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개인변인별 영재교육 담당교원의 영재수업에 대한 중요도와 실행도에 관한 인식

        임수진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의 목적은 초·중·고 영재교육 담당교원들의 영재수업에 대한 중요도와 실행도를 비교하여 영재교육 담당교원이 가진 신념과 실제 수업행동의 특징 및 차이를 알아보는 것이다. 영재교육 담당교원의 수업에 대한 4가지 하위범주를 설정하여 교육환경 및 분위기, 교육내용 재구성, 교육내용 및 방법, 평가 항목에서 중요도와 실행도 차이를 복합적으로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선정한 연구대상은 경기도 내 2019년 영재학급 수업을 진행하는 초등교사 253명, 중등교사 69명, 고등교사 32명이며 온라인설문지 159명, 종이설문지 185명으로 설문을 진행하였다. 연구에서 불성실한 응답 23개의 설문지는 분석에서 제외하였다. 교사의 성별, 교육경력, 영재교육경력, 학교급, 영재학급 소재지, 연수이수여부에 따른 교사의 신념이 반영된 중요도와 실제 수업상황에서의 실행도의 차이를 비교하고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영재수업에 영재교육 담당교원의 중요도가 실행도보다 모든 하위범주 전체에서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하위범주는 교육환경 및 분위기, 교육내용 및 방법, 평가, 교육내용 재구성 4가지 항목이다. 둘째, 초등 영재교육 담당교원들은 여자교사가 남자교사보다 중요도와 실행도 응답한 점수가 모두 높았다. 특히 중요도 하위 범주 중 교육환경 및 분위기, 교육내용 및 방법 면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여자교사의 점수가 더 높았다. 반면 중고등교사는 성별에 따른 큰 차이는 없었다. 셋째, 소재지에 따른 영재교육 담당교원의 중요도와 실행도는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교육 총경력이 높을수록 중요도, 실행도 점수가 높아지는 결과를 보였으며 실행도 하위 범주 중 교육 환경 및 분위기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다섯째, 초등 영재 학급에서 수업하는 교사보다 초등 영재원에서 수업하는 교사가 실행도 하위범주 중 교육내용 및 방법에서 실행도 점수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 중고등 영재교육 담당교원에게서는 중요도와 실행도 차이가 유의하게 나타나지 않았다. 여섯째, 초등영재교육 담당교원은 심화연수까지 이수한 교사가 중요도, 실행도 모든 항목에서 점수가 조금 더 높게 나타났으며 중고등 영재교육 담당교원은 기초연수 이수 교사보다 심화연수 이수 교사가 실행도 하위 범주 중 교육내용 재구성, 평가 항목에서 실행도가 높게 나왔다.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영재교육 담당교원의 지식관, 교수-학습관을 변화시킬 수 있는 영재교육정책 마련을 위한 토대와 영재교육 담당교원의 전문성 향상에 도움을 주고자 하며, 특히 하위 범주별로 중요하게 생각하는 정도와 실제 실행하고 있는 정도를 비교함으로써 영재수업 및 전문성 향상에 대한 구체적인 시사점을 얻고자 하였다.

      • 초등 수학 영재를 위한 참고서의 특징 분석 연구

        김별이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8703

        국문 초록(요약) 및 주제어(초등수학영재, 수학영재교육, 수학영재 사설교육, 수학영재교육 참고서, 수학영재교육 문제풀이) 초등 수학 영재를 위한 참고서의 특징 분석 연구 본 연구는 현재 우리나라의 영재교육에 대하여 시중에서 판매되고 있는 사설 출판사의 영재교육 참고서를 분석해 보고 이를 통해 개별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수학영재 교육의 실태를 분석해 봄으로서 수학영재 교육의 내실을 기하고자 하는 데 목적을 두고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고 연구를 하였다. 첫째, yes24의 초등 영재교육 분야의 인기 참고서 7종을 선정하여 각 교재별 외형적, 내형적인 특성을 분석하였다. 둘째, 문제 설정과 창의성의 관점에서 이미 분류되어 있는 한 개의 출판사(시매쓰) 교재를 제외하고 나머지 6종의 교재를 분석하였다. 셋째, 영재교육 참고서에서 가장 인기가 좋은 시매쓰 출판사의 <수학 1031: 고급 시리즈>의 예제 80문제를 수학적 사고 능력과 수학적 창의력 & 문제해결 전략 관점에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7종의 영재교육 참고서는 모두 학년별로 혹은 유형별로 혹은 난이도별로 시리즈로 출간되고 있었다. 또한 대부분의 교재는 ‘유형별 대표문제 - 예제 - 기본문제 - 발전문제 - 심화문제’ 순으로 정리되어 있었으며, <B 참고서>와 <D 참고서>를 제외한 나머지 참고서는 개념 정리 코너에서 개념을 잘 이해하도록 돕고 있었다. 그리고 <A 참고서>와 <D 참고서>를 제외한 나머지 참고서들은 정답·풀이를 자세히 정리하여 학생들이 자기주도 학습이 가능하게 하였다. 또한 설명 과정에서 여러 시각적인 도형이나 표 등의 자료를 활용하여서 학생들이 혼자서도 재미있게 학습할 수 있도록 장치해 놓았다. 시중의 영재교육 참고서에서 창의성 요소의 관점에서 가장 많이 다루고 있는 요소는 ‘이해력’과 ‘정교성’이고, 수학적 사고 능력과 수학적 창의력 관점에서는 ‘일반화 및 적용 능력’과 ‘공간화/시각화 능력’을 필요로 하는 문제를 많이 다루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문제해결 전략의 관점에서는 ‘실제로 해보기’ 전략과 ‘규칙 찾기’, ‘표 만들기’ 전략을 사용하는 문제가 많이 다루어 지고 있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통해 학부모와 사설 출판사에서 추구하는 수학 영재 참고서의 외형적·내형적인 특징을 확인하였다. 주제어(키워드, 색인어) 초등수학영재, 수학영재교육, 수학영재 사설교육, 수학영재교육 참고서, 수학영재교육 문제풀이 ABSTRACT & Keyword (Elementary school math gifted children, Math gifted children's education, Math gifted private education, Reference books for math gifted education, Math gifted children's education problem solving)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Reference Books for Mathematically Gifted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reference books for mathematics gifted education issued by the private publishers on the internet market in Korea. The following research problems were set and studied. First, I selected seven kinds of popular reference books for gifted children at Yes24, which is the online bookstore and analyzed external and internal characteristics of each reference book. Second, the six reference books were analyzed by problem setting and creativity except for C-MATH, which is a publisher. Third, I analyzed the sample 80 problems based on C-MATH publisher's ‘Math 1031:Advanced series’ according to the perspective of mathematical thinking ability and mathematical problem solving strategy. As a result of the study, all seven gifted education reference books were published by grade, type, or difficulty. In addition, most of the reference books were arranged in the following order: ‘Representative problem by Type - Example - Basic Problem - Development Problem - Advanced Problem’. Most reference books provided concept section every single chapter to understand mathematical concepts well except <B Reference book> and <D Reference book>. The other reference books provided detailed answers and solutions using various visual figures and tables so that students can enjoy learning by themselves except <A Reference book> and <D Reference book>. The reference books on the gifted education showed that problem setting and creativity was high rates in ‘understanding’ and ‘insight’. Also, mathematical thinking and creativity ability was high rates in ‘generalization and application ability’ and ‘spaceization&visualization ability’. Moreover, problem-solving strategies was high rates in ‘actual try strategies’, ‘find rules’ and ‘table making’. Therefore, this study indicated external and internal characteristics of reference books that parents and private publishers pursue for gifted children in mathematics. * Keyword : Elementary school math gifted children, Math gifted children's education, Math gifted private education, Reference books for math gifted education, Math gifted children's education problem solving

      • 아동의 영재성교육 특성화에 대한 교사와 학부모의 인식 연구

        김성신 국제문화대학원대학교 2007 국내박사

        RANK : 248703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analysis the effect of a selected program designed to develop giftedness of children. Two hypotheses were established for the study as the followings : hypothesis 1 ; There will be no difference between teacher group and parent group in recognizing the giftedness of children. hypothesis 2 ; There will be no difference between teacher group and parent group in evaluation of the effect of a selected program developing the giftedness of children. The program was applied for 10 months for 9.870 children of the 1st ∼ 2nd grade of primary school in Jeon buk Province, Korea. On beginning and finishing the program, surveys were conducted by questionnaires for the both of 488 teachers and 501 parents of selected children. The effect was evaluated through a quantitative analysis of teachers' and parents' recognized effect of the program. Statistical method of percentage, x² test and t-test were applied and data were processed by WINDOWS SPSSWIN 12.0 program.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 : 1.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eacher group and parent group in recognizing the giftedness of children. 2. Statistically,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between teacher group and parent group in recognizing the effect of the applied program for development of the children's giftedness. 3. Both of teacher group and parent group were positive in evaluating the effect of the program. 4. As a results, both of hypothesis 1 and hypothesis 2 were accepted. In other word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eacher group and parent group in recognizing the giftedness of children as well as evaluating the effect of a selected program for develping children's giftedness. 5. From the above results of the study, the research suggested the followings : First of all, more specified and sophisticated programs should be developed for the more effective education for the gifted children. 6. On-the-job training for the teachers in primary school and kindergarten should be strengthened and supported by the government for the efficient education of gifted children. 7. For those suggestions, above mentioned, relevant institutions should be strengthened financially and administratively by both of central government and local government and so on. 이 연구는 영재성교육 특성화 프로그램의 효과가 아동들의 잠재된 재능을 계발시키는 실행 과정을 분석하였다. 연구를 위한 두 가지 가설은 다음과 같다. [가설 1] 아동의 영재성에 대한 교사와 학부모의 인식은 비슷한 수준이어서 평가와 설문에 대한 동질 집단으로 간주할 수 있을 것이다. [가설 2] 아동에 대한 영재성 계발 프로그램을 투입한 전·후의 교사와 학부모의 영재성 계발에 대한 인식은 차이가 없을 것이다. 이 프로그램은 전라북도(한국)의 초등학교에서 실시한 아동 영재성 교육 활동으로 10개월 동안 1, 2학년 학생 9,780명이 영재성 향상 프로그램을 재량활동 시간과 아침 자습시간에 활용하였다. 이 창의성 프로그램으로 학습된 영재성교육 특성화가 일상생활에 전이되어 원활한 창의 활동에 기여한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교사 488명과 학부모 501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영재성 특성화 프로그램의 적용 전·후, 지도교사와 학부모 집단으로 분류하여 설문을 실시하고, 수집된 모든 자료는 WINDOWS용 SPSSWIN. 1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평균비교(M), 일표본 t-test, X² 검증 등의 통계적 방법을 사용하여 처리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아동들의 영재성에 대한 인식은 교사 그룹과 학부모 그룹이 현저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2. 통계상으로 아동들의 영재성 발달을 위해 적용된 프로그램의 효과 인식에서 교사 그룹과 학부모 그룹 사이에 현저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3. 교사 그룹과 학부모 그룹 모두 프로그램의 평가 효과에서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4. 결과적으로 [가설 1]과 [가설 2]가 일반적으로 용인되었다. 바꾸어 말하면, 교사 그룹과 학부모 그룹 사이에 현저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고, 아동들의 영재성 발달을 위한 선택된 프로그램의 평가 효과 뿐만 아니라 아동들의 영재성 인식에서 두 그룹 사이의 의미있는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5. 또한 가설과 관련하여 아동의 영재성에 대한 교사와 학부모의 인식은 비슷한 수준이어서 아동의 영재성에 대한 인식에 있어서 동질 집단으로 간주할 수 있으며, 연구 대상 아동에 대한 영재성 특성화 프로그램을 투입한 전·후의 교사와 학부모의 영재성 계발에 대한 인식에도 차이가 없었으며, 영재성 교육을 조기에 실시할 수 있는 제도적인 장치의 추진을 제언하고자 한다. 6. 초등학교와 유치원 교사들을 위한 연수 활동은 타고난 재능이 있는 아동들의 능률적인 교육을 위하여 정부와 지방자치 단체에 의해 강하게 추진되어야 하고 지속적으로 유지되어야 한다. 7. 이미 언급되어진 이러한 제안들과, 영재성 특성화와 관련된 제도들이 재정적이고 행정적으로 정부, 지방 자치단체 그리고 관계 기관에 의해 강하게 추진되어야 한다.

      • 중학교 영재교육대상자를 위한 로봇 주제 중심의 TEAMS 통합 교육 프로그램 개발

        김성애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박사

        RANK : 248703

        이 연구의 목적은 중학교 영재교육대상자를 위한 로봇 주제 중심의 과제를 선정하고, 선정된 과제에 따른 TEAMS 통합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데 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문헌 연구를 통하여 TEAMS 통합 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개념 모형과 절차 모형을 개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중학교 영재교육대상자를 위한 로봇 주제 중심의 TEAMS 통합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TEAMS 통합 교육 프로그램은 준비, 개발, 평가의 3단계로 이루어졌으며, 개선 단계의 평가 결과를 반영한 수정・보완 활동을 포함하여 총 14개의 세부 단계를 거쳐 개발되었다. 준비 단계에서는 (1) 중학교 영재 교육 기관의 영재교육대상자와 교사의 통합 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요구 분석, (2) TEAMS 통합 교육 프로그램에 적합한 분석 모형 개발 및 통합 유형 선정, (3) 영재 교육 과정 모형 구안, (4) 단계별 과제 선정을 위한 준거 도출을 하였다. 개발 단계에서는 (1) TEAMS 통합 교육 프로그램의 단계별 과제 선정, (2) 단계별 학습 내용 추출, (3) 단계별 통합망 작성, (4) 단계별 학습 내용 조직, (5) 단계별 수업목표 진술, (6) 단계별 과제 내용 구성을 하였다. 평가 단계에서는 (1) 전문가 집단에 의한 평가, (2) 예비 시험 및 현장 시험을 통한 영재교육대상자에 의한 평가를 실행하였으며, 평가 결과를 반영하여 수정・보완함으로서 TEAMS 통합 교육 프로그램은 완성되었다. 이 연구의 결과인 중학교 영재교육대상자를 위한 로봇 주제 중심의 TEAMS 통합 교육 프로그램은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갖고 있다. 첫째, TEAMS 통합 교육 프로그램은 로봇을 주제로 한 기술 교육이 중심이 된 통합 교육 프로그램으로서 중학교 영재교육대상자의 창의적 문제 해결 향상을 위한 교육과정을 바탕으로 한 과제로 구성되어 있다. 둘째, TEAMS 통합 교육 프로그램은 총 4단계로 구성되어 있으며 1단계‘1센서 1모터 발명품 만들기(1+1, 생활용품의 똑똑한 변신)’, 2단계‘바퀴 없는 로봇의 개발(움직임의 INNOVATION)’, 3단계‘자유도에 따른 발명품 제작(산업용 로봇팔을 벗어난 자유도)’, 4단계‘노인문제와 로봇(노인문제를 해결한 개인서비스용 로봇’의 과제로 구성되었다. 셋째, TEAMS 통합 교육 프로그램은 교사용 지도안, 학생용 활동지, 평가 루브릭으로 구성되어 있다. 교사용 지도안은 현장의 일반화를 위해 영재 교육에서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양식을 사용하였으며, 학생 활동지는 영재성을 최대한 발현할 수 있도록 구성되었다. 또한, 평가 루브릭은 자기평가, 모둠평가, 동료평가, 댓글평가의 학생 평가와 완제품 평가의 교사 평가로 이루어져 다양한 평가를 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평가는 영재교육대상자 활동의 피드백 자료로 사용될 수 있도록 하였다.

      • SBS '영재 발굴단' TV 프로그램을 통한 학부모와 일반인의 영재교육 인식 조사

        정현지 아주대학교 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8703

        국 문 초 록 SBS ‘영재발굴단’ TV 프로그램을 통한 학부모와 일반인의 영재교육 인식 조사 정 현 지 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영재교육전공 (지도교수 유 미 현) 본 연구는 TV 영재 발굴 프로그램을 통해 영재교육에 대한 학부모와 일반인들의 인식을 조사하고, 영재교육의 올바른 발전을 위한 방향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를 위해 학령기의 자녀를 둔 학부모 101명을 대상으로 영재교육 인식에 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SBS ‘영재발굴단’ 홈페이지의 시청자 게시판의 의견을 분석하였다. 또한 SBS ‘영재발굴단’ 제작팀장 PD, 영재교육과 ‘영재발굴단’에 관심이 많은 일반 학부모, 고등학교 진로교사를 대상으로 영재교육 인식에 관한 개인 면담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로부터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TV프로그램 시청 후 영재교육에 대한 학부모의 인식변화는 일어나지 않았으나 영재교육에 대해 이해도가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영재교육 인식 설문조사에서 영재교육의 장애요인은 영재교육시스템의 체계성 부족이라고 생각하고 있으며, 영재교육의 올바른 진행방향은 통합교과를 중심으로 이루어져야 한다고 응답하였다. 셋째, 프로그램의 시청자 게시판 분석 결과 프로그램의 방향성에 대해 시청자들은 긍정적인 것으로 평가하였으며, 시청소감 내용을 분석한 결과 다양한 영재에 대해 알게 되었고 프로그램의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개인 면담을 통한 영재교육 인식에서 영재교육기관은 인성함양교육과 함께 다양한 교육과정을 시행할 수 있어야 한다고 응답하였다. 영재교육의 확대에 관한 관해서도 다양한 분야로의 확대는 필요하다는 의견을 제시하였다. 교육부나 영재교육 관계자의 영재교육 인식과는 달리 일반인들은 영재에게 좀 더 체계적인 지원과 교육이 필요하다고 하는 의견을 가지고 있었다. 이는 획일적인 교육 프로그램으로 영재교육을 하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사료된다. 따라서 소위 ‘한국형 영재’와 같이 모든 방면에 우수한 영재뿐만 아니라 특정 영역에서 창의성이 뛰어나고 잠재력이 큰 아이도 판별하여 선발하고, 수․과학 중심의 영재교육보다는 통합․융합교육, 창의성 계발, 인성함양교육, 특수 분야 멘토 교육으로 영재교육의 다양화를 실현해야 할 것을 제안하는 바이다. 주요어: 영재발굴단, TV 프로그램, 학부모, 일반인, 영재교육 인식

      • 한국과 미국의 과학영재교육센터 현황 연구 : 대학부설 영재교육센터의 과학영재교육을 중심으로

        손옥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8703

        오늘날 날로 치열해지는 국제 사회에서 국제 경쟁력을 높이는 주요 수단은 우수한 인재의 육성이며, 선진국의 경제발전이 과학기술의 발전에 힘입었다는 점은 모두가 주지하는 사실이다. 그러므로, 과학기술을 발전시키기 위해서는 자국의 국제 경쟁력을 높이는 우수한 과학 인재의 육성이 필요한데 이런 시대적 요청으로 인해 과학영재교육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한국의 과학영재교육이 아직 미흡한 이 시점에서 다양하고 융통성 있게 운영되고 있는 교육선진국의 과학영재 교육을 고찰하고 분석할 필요가 있고, 학교 안에서의 영재교육이 흔들리고 있는 현 상황에서 학교 밖에서의 영재교육의 효과를 기대하고 있는 대학부설 영재교육센터를 중심으로 과학영재교육에 대해서 살펴볼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과 미국의 대학부설 영재교육센터에서의 과학영재를 대상으로 하는 교육 운영 현황을 비교·분석하고자 각 국의 센터별로 조사·비교하고, 그 비교 결과를 이용하여 다시 한국과 미국을 비교·분석하여 대학부설 과학영재교육센터를 이용한 과학영재교육의 활성화에 도움을 주고자 한다. 본 연구에 따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한국은 1998년부터 대학부설 영재교육센터를 이용한 영재교육을 시작한데 비해 조사 결과 내의 미국의 센터는 20년 전부터 시작되었다. 2. 한국의 대학부설 영재교육센터는 과학을 중심으로 영재교육이 이루어지고, 미국의 경우에는 과학영재의 범주 안에 드는 수학, 과학 분야 외에 인문학 분야의 영재 교육도 함께 실시하는데 그 중 수학과 과학의 과정이 대부분을 차지하므로 과학영재교육을 중심으로 교육이 이루어진다고 볼 수 있다. 3. 교육의 대상은 한국은 초등학교 고학년부터 중학생까지를 대상으로 하며, 미국의 경우는 유치원부터 고등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다양한 교육이 실시되어진다. 4. 미국의 교육 프로그램은 주말교육과 방학 집중교육, 원격교육 등이 있는데 주말 교육은 학기 중에, 방학 집중교육은 여름 방학에 학생들을 통학시키거나 기숙시키면서 운영을 한다. 한국의 센터도 주말교육과 방학 집중교육 위주로 실시한다. 5. 미국은 영재를 선별함에 있어 국가적으로 통용될 수 있는 자격 수준의 테스트가 있어서 학생의 학교에 따른 성적과 지원 센터에 따른 전형 방법을 통해 선발되어지는 한국보다는 객관적인 기준이라고 할 수 있다. 6. 원격교육에 있어서 미국의 경우에는 수학 분야의 교육(주로 Stanford University 의 EPGY 사용)이 주로 이루어지는데 반해 한국은 수학, 과학, 정보 분야에 걸쳐 원격 교육을 시도하는 센터가 다소 있지만 아직은 미흡하고, 그 중 한국과학기술원의 경우에는 원격 중심의 영재교육을 실시함으로써 원격교육이 활발히 이루어지는 센터이다. 7. 교사 교육과 학부모 교육에 있어 한국은 학부모회의 정도로 그치는 반면 미국의 센터는 학부모들이 직접 강의도 듣고, 영재에 대해 토론도 하는 방법을 두고 있고, 그 외로 교사에 대한 교육과 영재 졸업생에 대한 교육도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한국의 대학부설 과학영재교육센터를 이용한 과학영재교육의 발전을 위하여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1. 교육 대상에 있어서 현재 초등학교 고학년과 중학생 대상의 폭을 넓혀 어린 과학영재를 조기에 발견하여 영재교육의 기회를 제공해 주어야 한다. 2. 대부분의 교수진이 순수과학을 전공한 한국의 센터는 미국의 센터와 같이 교육학을 전공한 담당자가 필요하다. 영재들의 심리적 상태나 특성을 파악하여 그들의 잠재력을 이끌어내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3. 센터에서 학생을 선발함에 있어서 학교 성적에 따른 추천과 센터별 전형 방법에 의한 선발보다는 객관적 기준이 되는 검사를 실시하여 영재를 선발해 교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4. 현재 영재 교육 중에 과학영재교육이라는 특성화를 띤 한국의 센터를 더욱 세분화시켜 과학영재를 교육시켜야 한다. 모든 센터에서 같은 분야, 같은 과정을 교육시키는 것이 아니라 세분화된 분야에 대해 교육시키는 것이 센터의 특성화를 살리는 길이다. 교육분야뿐만 아니라 교육 프로그램, 대상 학생 등에서 다른 센터와 차별화되는 특징을 두어 그것을 발전시켜야 할 것이다. Thesedays, as competition between nations become more intense, a rearing of the gifted is the most importnat for the national competitive power. Also, we notice that the science technalogy is the basement of economic development of advanced nation. Therefore, a rearing of scientifically the gifted is needed for science technology development, and the importance of the education for them is raised. At this point of the time that a special education for the scientifically gifted in Korea is still insufficient, we must investigate and analyze that a advanced nation of the education that is operated variously and adaptively for a special education of the scientifically gifted. And then in this situation that a special education of the gifted in the school is shaking, we must study this education that is based on university, and is expected to make an effect on this education at the out of school. So, in this study, we will investigate and compare the present situation of a special education for the scientifically gifted based on university of Korea with that of America, and hope that this result will be contributed to the activation of that based on universit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like the following. 1. A special education based on university for the gifted was started from 1998 in Korea, but this education was started from earlier 20 years in America than in Korea. 2. In Korea, a special education center for the gifted based on University is operated by attending to the science. The other side, in America, it is operated not only by attending to a math and science field of a education course for the scientifically gifted but also by attending to a humanities field. But a math and science take the most part of a education. So we can see that this education is operated by attending to a education of the scientifically gifted. 3. The target of this education of the gifted is from higher grade of elementary school to middle school in Korea, but from kindergarten to high school by various education course in America. 4. Education programs in America are operated by Saturday program that is during a term, summer program that supply a commuter or residential program, and distant education program. Centers of Korea operate Saturday program and Summer·Winter program. 5. The gifted is selected by the national grade level test in America. This method is more objective than that of Korea(grade score and a center's screening test). 6. The distant education in america focuses on the mathematics using EPGY from stanford university. But the distant education in Korea is tried and this education focuses on the math, science, and information areas. KAIST has actively operated distant education. 7. Most of education for teachers and parents is parents-conference in korea. But, in america, parents attend personally lectures and discuss the gifted, and there are education for teachers and the gifted who graduated from the school for the gifted. In light of this study's results, the following is proposed for improvements in our education center based on university for the scientifically gifted. 1. Up to now, the target of education is from higher grade in elementary school to middle school. but this target must be expanded to supply more opportunity of a special education for the gifted and discover a little scientifically gifted in early period. 2. In the Korean situation that most of the staff's academic speciality is pure science, a pedagogist needed as education center in america. They grasp the gifted's psychology and character. And they help to the gifted give full play to their genius. 3. It is desirable that the selection of sudent by using a test of a objective standard than recommendation based on grade score and a center's screening test. 4. Most of the centers of the scientifically gifted educate them with the same subject and same course. But each of the centers must make the most of characteristics and be subdivided in the subject and also education program and education target students.

      • 우리나라 초등 영재교육의 운영 실태 및 발전 방향 탐색

        임규태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의 목적은 2000년 1월 28일에 제정?공포된 ‘영재교육진흥법’에 의해 2003년 3월부터 실시되고 있는 영재학교, 영재교육원, 영재학급을 근간으로 하는 현행 초등 영재교육의 운영실태를 점검하고, 초등 영재들의 잠재력 계발을 도모할 수 있도록 영재교육 운영기관에 따른 발전방향을 탐색하는 데 있다. 본 연구에서는 초등 영재교육 운영 기관을 ‘영재교육진흥법’에 제시된 영재학교, 영재교육원, 영재학급으로 구분하고, 운영 과정은 교육 대상, 교육 형태, 교육 방법의 세 가지 하위 영역으로 나누어 초등 영재교육이 효율적으로 운영될 수 있는 발전 방향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해 문헌 연구에 의한 자료 분석 방법을 활용하였고, 교육 대상, 교육 형태, 교육 방법이라는 운영 모형 개념 틀에 따라 우리나라 초등 영재교육의 현황과 문제점 그리고 외국의 초등 영재교육 동향을 분석하였다. 또, 문헌연구를 보완하기 위해 경기도 성남교육청 부설 영재교육원에서 초등 영재교육을 담당하고 있는 8명의 초등학교 교사들을 대상으로 반 구조화된 질문지를 사용하여 심층 면접을 하는 질적 연구를 부분적으로 실시하였다. 문헌자료와 면접내용을 정리?분석한 결과와 영재교육 관련 자료들을 바탕으로 향후 영재교육의 바람직한 운영 방향과 발전 방향을 제시하였다. 초등 영재의 능력을 최고로 발휘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는 초등 영재교육은 한 개인의 잠재능력을 조기에 발견하여 그 능력을 최대한으로 계발시켜 개인의 자아실현과 국가 경쟁력을 높인다는 면에서 볼 때 절실히 필요하다. 이러한 초등 영재교육 실태를 파악하기 위해서 영재학급은 영재교육을 운영했던 전국의 7개 연구?시범학교를 중심으로 현황과 문제점을 분석하였고, 영재교육원은 경기도 교육청, 경기도 교육정보연구원과 최근 2년 이상 운영된 12개 대학부설 과학영재교육센터를 대상으로 하여 한국교육개발원의 통계 자료와 연구 보고서 및 인터넷 홈페이지를 중심으로 현황과 문제점을 분석하였다. 초등 영재교육의 실태를 살펴보면 현재 4-6학년을 대상으로 추천과 학업 성취도, 표준화 검사 등을 통하여 선발되고, 수학과 과학 분야를 중심으로 방과 후 시간을 통해 이루어지고 있다. 또한 강의보다는 주로 탐구?실험, 현장 학습, 캠프, 초빙 강의 등의 방법으로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초등 영재교육 대상이 적고, 판별 방안이 다양하지 못하며, 특정 영역에 치우친 내용과 비효율적인 교육 시간 배정 등에 대한 비판이 제기되고 있다.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는 방법의 강구차원에서 영재 교육을 실시하고 있는 많은 국가들 중에서 영재교육 역사나 평판도 등에서 대표적이라고 볼 수 있는 미국, 이스라엘, 러시아, 중국, 대만의 초등 영재교육 동향을 인터넷 자료와 한국교육개발원의 영재교육 연구보고서를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통해 향후 우리나라 초등 영재교육이 발전하기 위해서는 영재교육 대상을 확대하여 실시해야 하며, 다양한 방법의 판별도구와 절차를 사용해야 하고, 체계적인 교육내용과 각 지역상황에 맞는 형태로의 운영, 효율적인 교육 시간의 활용, 그리고 잠재적인 영재성을 계발시키는 다양한 교육 방법을 제공하는 방향으로 나아가야 할 것이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administrative status of the elementary gifted education program - which started from March 2003 based on the Promotion Legislation for Gifted Education which came into force as from Jan. 28, 2000, and to investigate future development directions for elementary gifted educational institutes and organizations. In this study, I classified management organizations for the gifted education into three groups such as schools of the talented, institution of the talented, and class of the talented. I also classified management programs into three sub-groups such as educational objects, forms, and methods. Then desired development directions for elementary gifted education are introduced. For this, I performed data analysis with document research, and analyzed the present situation and problems of elementary gifted education based on the management classification mentioned above. I conducted a qualitative field study as well by interviewing eight teachers who have been in charge of elementary gifted education in ?Gifted and talented edcation on Seongnam office of education? using semi-structured questionnaires. Based on analysis results from the document research and the interviews, desired future directions of the gifted education are presented here. Education of the gifted in elementary schools, which can raise individual students'' potential talents at an early stage, is very crucial, since it develops not only their self-realization, but also our nation?s competitive power in the future. To examine the actual conditions of the elementary gifted education, I investigated current situation and problems of the seven experimental model schools nationwide which have run classes for gifted students, KEDI''s statistical data and research reports, and relevant websites on the internet. The gifted students are being selected through recommendations, academic achievement, and standardized tests. They are taught mainly math and science after school, and learn from experiments, on-the-job learning, camping, and invited lectures rather than in-class lectures. However, in implementing these teaching methods, some problems have been pointed out, such as small population of gifted students, too-simple student selection criteria, unbalanced learning contents, inefficient time management, etc. I tried to solve these problems by analyzing the KEDI(Korean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s reports about the gifted education in developed countries such as the US, Israel, Russia, etc, which cover many cases of that subject. As a result of this study, I suggest that education for gifted children should focus on widening the opportunity of gifted education, presenting various criteria for selection, systematic contents for the gifted education.

      • 藝術英才와 科學英才의 學習 및 家族環境 特性에 관한 硏究

        박종화 慶南大學校 2005 국내박사

        RANK : 248703

        The term of education of the scientifically gifted has been frequently used in Korea. It reflects that education of the gifted children has been actively conducted mostly in the area of science and that scientifical gifts are considered as most needed in Korea. Education for the gifted in our society seems to have been focused largely on knowledge-centered subjects such as math and science, but there are many gifted children in a broad range of fields including art, physical edu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y(IT) as well. Accordingly, it is imperative that more studies on education of the gifted be made from multiple perspectives. Keeping pace with such demands of our times, this study focuses especially on the education of the artistically talented such as music genius among various field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learning characteristics and family environment of the artistically talented and the scientifically gifted, which have never been discussed concretely until now, with those of nongifted high school students and examine the differences between them. This study seeks to answer the following questions: 1. What's the difference in learning characteristics between the artistically talented, the scientifically gifted and nongifted high school students? 2. What's the difference in family environment between the artistically talented, the scientifically gifted and nongifted high school students? 3. What's the correlation between social family climate and learning characteristics of the artistically talented and the scientifically gifted as well as nongifted high school students? As research methods for this study, we began with analysis of sub-factors determining their learning characteristics and family environment and then based on the previous analysis, conducted tests and questionnaires for artistically talented and scientifically gifted students and nongifted high school students as well as their parents. For the purpose of examining the learning characteristics, questionnaires for student included academic motivation, learning style preferences, and learning skills, together with social family climate scale to understand family environment, while those for parents consisting of social status and background of family, experiences in education of the gifted, values of parents, commitment to parental support, and attitude of child-rearing. To obtain answers to research questions, One-way ANOVA was employed for comparison of the three groups, with using a Scheff test for post test. Also, to compare social status and background of family, we turned to frequency analysis, with correlation analysis used to examine the correlation in sub-factors of learning characteristics and social family climate among the three groups. In conclusion, we found the following results based on the purpose of the study. First, both the artistically talented and the scientifically gifted were generally far more higher in academic motivation among other learning characteristics than nongifted high school students, as a result of comparison between the group of artistically talented and the scientifically gifted and that of nongifted high school students. Tenacity and patience toward a task considered as one of characteristics of the gifted students are remarkable, regardless of gift areas, which is viewed as evidence to prove that the gifted children have higher academic motivation not only in the scientific area, but also in the area of art. Self-confidence as one of the sub-factors of academic motivation appeared higher in the artistically talented than the scientifically gifted. It seems that this is because of environmental factor specific to the artistically talented; that is, they have to play or perform on the stage all the time, so it is difficult to function effectively without self-confidence. In addition, the scientifically gifted are more excellent than both of the artistically talented and nongifted high school students in the areas of task level preference of academic motivation, and most of learning style preference and learning skills, which means that the scientifically gifted with usually strong academic records is highly superior in intellectual activity to the other two groups. In terms of learning style preference, the study indicated that the scientifically gifted preferred project learning and independent study the most, which means that they more like such learning activities to select a theme and do research in a group or individually. Meanwhile, the artistically talented are found to prefer independent study the most, developing their own unique style of learning and building up the results. Moreover, the study showed that they like to study independently more than to be directed by others. Even though there is a difference in degree, all those three groups appeared most excellent in examination performance technique of the areas of learning skills. Second, in this study family environment factors include social status and background of family, social family climate and parents' attitude toward education. As a result, in the ares of social status and background of family, most of the artistically talented and scientifically gifted were a first child in their family of a relatively small size, with higher educational background of their parents and higher household income compared to nongifted high school students. In terms of social family climate, it is clear that families with a child showing giftedness are more likely to be supportive, creating an atmosphere for the child to make a decision independently. One of the notable differences in social family climate between the artistically talented and the scientifically gifted is an moral-religious emphasis, with the artistically talented showing a higher significant difference than the scientifically gifted. It is thought that this is because family of the artistically talented compared to the family of scientifically gifted are more involved in religious activities, particularly those relating to music such as a church choir or musical performance. In terms of attitude toward education of their child, values of parents, level of support, and attitude of child-rearing, regardless of the areas of talents, parents of the artistically talented and the scientifically gifted have a higher significant difference than those of nongifted high school students. However, parents of the artistically talented showed stronger long-term support, while parents of scientifically gifted being stronger in immediate learning support. It implies that continuous support and interest are needed on the part of parents of the artistically talented. Third, self-confidence in terms of the correlation between social family climate and academic motivation, a closer correlation is found with expression of social family climate both in the artistically talented and scientifically gifted. Especially, solidarity among social family climate of scientifically gifted is found to have a highly strong correlation with self-efficacy. In term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family climate and learning style preference, the artistically talented have a significant correlation in most of the sub factors of social family climate except conflict and control with lecture among learning styles, while the scientifically gifted showing a relatively higher correlation with independent study and project learning. Also, nongifted high school students are found to have a relatively high correlation with project learning. In terms of correlation between social family climate and learning skills, all those three groups showed high correlation in most of the sub factors of social family climate except conflict with sub factors of learning skills. In particular, the artistically talented showed a significant correlation in solidarity, independence, intellectual and cultural inclinations, and organization with all the sub factors of learning skills. The scientifically gifted are found to have a significant correlation in solidarity, ability to express, intellectual and cultural inclinations among social family climate with all the sub factors of learning skills. Furthermore, from the fact that nongifted high school students have a significant correlation in solidarity, ability to express, independence, achievement inclination, and organization among social family climate with all the sub factors of learning skills. we reached a conclusion that in terms of solidarity of social family climate, all of the three groups alike have a in-depth correlation with learning skills. 우리나라는 지금까지 과학 영재교육이라는 용어가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다. 즉 주로 과학분야의 영재교육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는 것인데 이는 국가가 사회적으로 과학분야의 특수한 재능을 가장 많이 요구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처럼 우리의 영재교육은 주로 수학, 과학 등과 같은 지식위주의 교과에만 치중되는 면이 없지 않다. 그러나 영재는 수학, 과학분야에만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예술, 체육, IT 등 다양한 방면에서 존재한다. 따라서 영재교육 영역에 대한 연구도 이제는 다양한 영역으로 확대·개발되어야 할 것이며 이에 대한 더 많은 연구가 절실히 필요한 시점에 이르렀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시대적 흐름에 발맞추어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영재분야 중 특히 음악영재 즉 예술영재에 중점을 두고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지금껏 구체적으로 다루어지지 않았던 예술영재와 과학 영재의 학습과 가족환경 특성을, 일반학생들과의 비교를 통해 살펴보고 그 차이점을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의 내용으로는 다음과 같이 세 가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예술·과학영재와 일반학생의 학습특성에는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둘째, 예술·과학영재와 일반학생의 가족환경 특성에는 어떤 차이가 있는가? 셋째, 예술·과학영재와 일반학생의 가족 사회적 환경과 학습특성들간에는 어떠한 상관관계가 있는가? 본 연구의 방법은 학습과 가족환경 특성을 구성하는 하위변인을 찾아내고 이를 활용하여 예술영재, 과학영재, 일반학생 그리고 그들의 부모에게 검사 및 설문을 실시하는 것이다. 학생용 설문지는 학습특성을 검사하기 위해 학업 동기, 학습양식선호도, 학습기술을 포함하였고 가족환경을 파악하기 위해 가족 사회적 환경 검사로 구성되었으며 학부모용 설문지는 가정의 지위배경 및 영재교육경험, 부모의 가치관, 지원정도, 양육태도 등으로 구성되었다. 연구 문제의 해결을 위해 세 집단간 비교는 일원배치 분산분석을 시행하였으며, 사후검증으로는 Scheff검증 방법을 사용하였다. 또한 가정의 지위배경 비교를 위해 빈도 분석을 사용하였으며, 세 집단별 학습특성과 가족 사회적 환경의 하위 요인간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상관관계분석을 활용하였다. 연구 목적에 따른 연구 결과를 근거로 하여 내린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예술영재, 과학영재, 일반학생의 학습특성 중 학업동기의 집단비교에 있어서는 전체적으로 예술영재와 과학영재 모두 일반학생보다 월등히 뛰어났다. 이는 곧 영재의 특성인 과제에 대한 집착력과 끈기가 영재의 분야와 관계없이 두드러진 요소로 나타난다는 것이며, 영재들은 학문적 분야뿐만 아니라 예술분야에서도 매우 높은 학업동기를 가지고 있다는 것이 증명 된 셈이다. 학업동기의 하위요인 중 자신감은 예술영재가 과학영재보다 높게 나타났다. 이것은 항상 무대에서 연주를 하고 발표를 해야 하는 예술영재인 경우 자신감 없이는 자신의 영역을 수행할 수가 없는 환경적인 요인이 많이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또한 과학영재는 학업동기의 과제수준선호와 대부분의 학습양식선호도, 학습기술에서 예술영재와 일반학생들보다 뛰어났는데 이는 학업성적이 우수한 집단인 과학영재 집단은 지적 활동 영역에서 다른 두 집단보다 월등히 뛰어나다는 것을 의미한다. 과학영재는 학습양식선호도에 있어서 프로젝트 학습과 독립 학습이 가장 높게 나타났는데 이는 주제를 선정하여 개인별 또는 소집단별로 탐구하는 활동을 선호한다는 것이다. 그에 반해 예술영재 학생들은 독립학습 양식을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자기만의 학습형태를 개발하여 결과를 축적하며 다른 사람들의 지시를 받는 것보다 독자적으로 학습하는 것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습기술 영역에서는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세 집단 모두 시험치기기술이 가장 뛰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본 연구에서는 가족환경 변인으로 가정의 지위배경, 가족 사회적 환경, 부모의 교육적 태도를 포함시켰다. 그 결과 가정의 지위배경 면에서는 예술 영재와 과학영재 모두 일반학생과 달리 형제서열 중 첫째가 많으며 가족의 규모가 적고 부모의 학력이 우수하며 가정의 소득 수준이 높은 것으로 특징 지을 수 있었다. 가족 사회적 환경면에서는 영재성을 발휘하는 자녀의 가족이 영재아에 대한 적극적인 지원과 스스로 결정할 수 있는 분위기를 더 잘 형성해 준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예술영재와 과학영재의 가족 사회적 환경에서 두드러진 차이점 으로는 도덕적/종교적 강조로, 예술영재가 과학영재보다 유의한 차이로 높게 나타났는데 이는 예술영재의 가족이 과학영재의 가족보다 종교활동을 많이 하고, 성가대와 교회 연주활동과 같은 음악활동을 많이 하는 데 기인한다고 볼 수 있다. 자녀교육 태도면에서는 부모의 가치관, 지원정도, 양육태도 모두 영재분야에 상관없이 예술영재와 과학영재 부모 모두가 일반학생의 부모보다 유의미한 차이로 높게 나타났다. 다만 예술영재의 부모는 장기적 지원의 경향이, 과학 영재의 부모는 당면학습 지원의 경향이 더 강하다는 차이가 나타났다. 이는 예술영재인 경우 부모의 지속적인 지원과 관심이 더 요구됨을 나타낸다고 볼 수 있었다. 셋째, 가족 사회적 환경과 학업동기간의 상관관계에서 학업동기의 자신감은 예술영재와 과학영재 모두 가족 사회적 환경의 표현력과 밀접한 상관성을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과학영재의 가족 사회적 환경 중 결속력은 자기조절 효능감과 매우 높은 상관관계를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가족 사회적 환경과 학습양식선호도간의 관계에서 가족 사회적 환경 중 예술영재는 갈등과 통제를 제외한 대부분의 하위요인들이 학습양식의 강의와 유의미한 상관성을 가지고 있었으나, 과학영재는 독립학습과 프로젝트학습에 비교적 높은 상관성을 보이고 있었다. 또한 일반학생은 프로젝트학습에 비교적 높은 상관관계를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가족 사회적 환경과 학습기술간의 상관관계에 있어서는 세 집단 모두 가족 사회적 환경의 갈등을 제외한 대부분의 하위요인들이 학습기술의 하위요인과 높은 상관성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예술영재는 결속력, 독립성, 지적/문화적 성향, 조직이 학습기술의 모든 하위요인과 유의미한 상관성을 보이고 있었다. 과학영재는 가족 사회적 환경 중 결속력, 표현력, 지적/문화적 성향이 학습기술의 모든 하위요인과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었다. 또한 일반학생은 가족 사회적 환경 중 결속력, 표현력, 독립성, 성취성향, 조직이 학습기술의 모든 하위요인과 유의미한 상관성을 가짐으로써 가족 사회적 환경의 결속력은 세 집단 모두 학습기술과 깊은 상관관계를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 사설 과학영재교육기관에 대한 청소년들의 인식에 관한 연구

        김단영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영재학교, 과학고등학교 진학을 목표로 하는 중학생들의 영재성과 영재교육에 대한 인식조사를 수행하고 사설 과학영재교육기관 만족도 및 국가 과학영재교육기관과의 선호도, 영재에 대한 사교육 경험의 필요와 효과성 등을 살펴보는데 주안점을 두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영재성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은 성별, 부모의 월 소득에 따라 집단 간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성별로는 남학생은 영재성을 노력에 따른 재능으로, 여학생은 노력과 선천성으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모의 월 소득으로는 영재성이 무엇인가에 대해 노력과 선천성으로, 나머지 집단은 노력에 따른 재능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영재에 대해서는 학생들이 성별에 관계없이 공통적으로 특정분야에서 뛰어난 재능을 보이는 사람, 창의성이 높은 사람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영재교육의 필요성과 관련하여 남학생은 자신의 소질과 적성에 맞기 때문으로, 여학생은 창의성 개발에 도움이 되기 때문으로 응답한 비율이 높았다. 영재교육의 목적과 관련하여 성별에 상관없이 남녀 모두 창의적으로 생각하는 능력을 길러주어야 한다고 응답하였으며, 영재선발 기준으로는 흥미와 적성을 고려해야 한다는 응답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해당 중학생이 인식하는 사설 과학영재교육기관의 교육수준과 난이도, 교육내용, 강사의 수준, 교육환경, 또래 친구들과의 관계, 수업형태에 대한 만족도는 모든 항목에서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성별에 따른 교육수준과 난이도, 교육내용, 교육환경에서 성별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셋째, 국가와 사설 과학영재교육기관 중 강의수준에서 사설 과학영재교육기관의 선호도가 높았고 수업형태, 수업내용, 수업방법에 대해서는 국가 과학영재교육기관에 대한 선호도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래 집단과의 관계에 있어서도 월 소득에 따른 차이를 보였다. 넷째, 학생들이 사설 영재교육기관을 찾는 가장 큰 이유는 상위권 학교를 진학하고자 하는 것이고, 사설 영재교육기관을 선택할 때 가장 중점을 두는 사항은 교육의 내용과 질로 나타났다. 사교육 경험이 상급학교 진학 시 상위권 학교 진학에 미치는 영향과 관련하여서는 학생들의 성별이나 부모학력과 상관없이 사교육의 영향을 받았다는 것으로 인식하는 응답이 매우 높게 나타났다. 부모의 관심과 배려가 성적 향상 및 상급 명문학교 진학에 영향을 받는가에 대해 조금이라도 도움이 된다는 응답 비율이 매우 높게 나타났으며, 학력이 높은 부모를 둔 여학생일수록 부모의 관심과 배려가 성적 향상 및 관련 학교 진학에 도움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우리나라는 영재교육에 대한 필요성과 효과 등의 다양한 요구로 인해 국가 영재교육기관이 영재교육에 대한 수요를 감당하지 못하는 실정으로 영재고와 과학고를 진학을 목표하는 학생들이 국가 과학영재교육기관에서 충족되지 못하는 교육내용들을 보충하기 위해 사설 과학영재교육기관을 이용하고 있다. 앞으로 사설 과학영재교육기관은 국가적 차원에서 추구하고자 하는 영재성 신장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함께 상담을 통하여 영재의 특성을 이해하고 그들이 자신들의 특성을 긍정적 방향으로 이끌어 가는 방법을 배울 수 있도록 도와주어야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