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그래픽 조직자를 활용한 활동이 초등학생의 영어 쓰기 성취도 및 상위인지전략에 미치는 효과

        김보영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초등학생에게 쓰기 전 단계에서 그래픽 조직자를 활용하여 영어 자유 글쓰기 활동을 실시하였을 때 학습자의 쓰기 성취도와 상위인지전략 인식 및 정의적 태도에서의 변화를 살펴보고 상·중·하 수준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했다. 이를 위해 설정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영어 쓰기 전 활동으로서 그래픽 조직자 활동이 수준별 학습자의 쓰기 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가? 둘째, 영어 쓰기 전 활동으로서 그래픽 조직자 활동이 수준별 학습자의 상위인지전략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가? 셋째, 그래픽 조직자를 활용한 영어 쓰기 활동이 수준별 학습자의 정의적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가? 이를 위해 6학년 학생 60명을 대상으로 10회의 그래픽 조직자를 활용한 영어쓰기활동을 진행하였으며, 사전·사후로 쓰기 성취도 평가와 상위인지전략 인식 및 정의적 태도 설문을 통해 얻은 결과를 양적 분석하였고 쓰기 결과물과 주관식 설문 및 개별 면담 결과를 질적 분석하였다. 그 결과를 정리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그래픽 조직자 활동 전보다 후의 자유 글쓰기 평가 점수가 높게 나타났다. 특히 구조, 어휘, 문법, 기술 영역보다 내용 영역에서 긍정적인 효과를 보였으며, 하위 집단에서 쓰기 성취도 평가 점수가 가장 크게 상승하였다. 둘째, 상위인지전략 인식에 대한 점수는 그래픽 조직자 활동 전과 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내용 영역의 점수 차이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수준별 집단에서는 하위 집단의 전략 인식 점수가 가장 높은 폭으로 상승하였다. 셋째, 정의적 태도 설문에서 그래픽 조직자 활동 전과 후의 흥미도, 자신감, 학습 동기의 점수 평균이 상승하였으며 그 중 학습 동기 점수가 하위 요인 중 가장 높게 나타났다. 아이디어 생성하기와 글의 구조 확립하기에 중점을 둔 그래픽 조직자 활동은 영어 쓰기 성취도, 상위인지전략 인식, 정의적 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는 연구 결과를 토대로 우리나라 영어 쓰기 교육 현장에서 그래픽 조직자 활동을 활성화 시킬 수 있음을 시사한다.

      • 학습자문학(Learner Literature)을 활용한 중학생 영어 쓰기 학습 활동에 관한 사례 연구

        임다애 韓國外國語大學校 敎育大學院 2020 국내석사

        RANK : 248703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that English writing activities based on story structure using Learner Literature has on middle school students' writing proficiency. In addition to observing changes in English writing abilities of the students, their affective response to the conducted writing activities using Learner Literature has been simultaneously monitored. This thesis proposed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1. How was participants' syntactic maturity of English writing affected by writing activities based on story structure using Learner Literature? 2. How was participants' English writing ability, especially discourse competence, affected by writing activities based on story structure using Learner Literature? 3. How was participants' affective response to writing activities based on story structure using Learner Literature? In order to seek answers to the proposed research questions, the researcher carried out experiment classes consisting 21 periods and involving two middle school students for seven weeks. Four learner literature works from Oxford Bookworms Series were selected according to participants' English reading and writing level. Pre-/Post tests on students' writing proficiency and writing activities based on story structure were conducted to answer research question 1 and 2. Moreover, pre-/post interviews were carried out to examine any noticeable changes within affective domain of the participants. T-unit analysis method and discourse analysis tool were adopted to analyze pre-/post tests and writing activity worksheets. Moreover, researcher's observation logs and sources regarding in-depth interviews with the participants were scrutinized and later categorized according to common themes. The finding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no significant change in the syntactic maturity of participants' English writing. Second, there was a noticeable improvement in participants' discourse competence. All three of analyzed story structure worksheets showed either cause and effect relationship or problem and solution relationship. This is a meaningful change since it proves that story structure provided a guidance to form logical links between episodes. Third, participants found reading learner literature more interesting than initially expected. Moreover, they thought adopting story structure lessened the pressure when it came to writing a summary in English. From the results above, several educational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can be derived. First, a long-term research involving more participants should be conducted in order to examine effects that English writing activities using Learner Literature has on middle school students' writing proficiency. Second, adopting various types of writing activities beside writing summary based on story structure is suggested, such as free writing, writing letters to characters in the story or restructuring an episode into a form of news article. Third, English literature should be considered as useful reading material since it has potential to increase interest in learning English. Especially, since many students expect English Literature texts to be abstruse and verbose, utilizing Learner Literature as class reading material will be an effective way to enjoy linguistic, literary and cultural value that English Literature possesses. 본 연구는 영문학 작품을 단순화한 학습자문학을 교재로 활용한 쓰기 학습 활동이 중학교 학습자의 영어 글쓰기 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쓰기 학습 활동의 일환으로 모든 이야기마다 공통적으로 존재하는 규칙체계인 이야기 구조를 기반으로 한 요약 활동지 쓰기를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학생들이 작성한 영어 문장의 길이와 복잡성에 변화가 있는지, 그리고 학생들이 작성한 영어 글에서 문장들이 논리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담화 간의 응결성에 긍정적인 변화가 일어났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학습자들의 영어 글쓰기에 나타난 문장성숙도와 담화구성능력, 그리고 학습자문학을 활용한 영어 쓰기 학습 활동 수업에 대한 학생들의 정의적 태도에 나타난 변화를 연구 문제로 설정하고, 이에 대한 답을 모색하기 위한 질적 연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자는 서울시 소재의 S중학교에 재학 중인 중학교 3학년 학생 2명을 대상으로 총 7주 동안 21차시에 걸친 실험 수업을 진행하였다. 실험 수업에 활용된 학습자문학 교재는 Oxford Bookworms Series에서 출판된 것으로, 이 중 작품의 이야기 구조에서 주인공의 변용 과정이 잘 나타나고 학습자들이 해당 문화권에 대한 문화적 지식과 시대적 배경지식을 배울 수 있으며 학습자들의 흥미도 등을 고려한 작품 총 4권을 선정하였다. 실험 수업을 시작하기에 앞서 영어 글쓰기 능력 사전 평가와 학생 사전 면담을 실시하였고, 실험 수업이 진행되는 동안 학습자들은 한 작품이 끝날 때 마다 이야기구조를 바탕으로 작품의 요약글을 작성하는 쓰기 활동을 실시하였다. 또한 독자반응위주의 문학 수업을 실시한 만큼, 학습자들의 지각적 반응을 이끌어내기 위한 읽기 후 활동의 일환으로 인상적인 부분에 대해 그림으로 그리고 이를 간단히 영어로 설명하는 쓰기 활동을 실시하였다. 실험 수업이 모두 끝나고 나서는 영어 글쓰기 능력 사후 평가와 함께 학생 사후 면담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학습자들이 작성한 사전 및 사후 영어 글쓰기 능력 평가지와 이야기구조 기반 요약 활동지를 T-unit 분석 기법을 적용해 분석하여 학습자들의 영어 문장의 유창성과 복잡성을 의미하는 문장성숙도에 나타난 변화를 관찰하였다. 또한, 학습자들의 담화 구성 능력에 뚜렷한 변화가 있는지 파악하기 위해 사전 및 사후 영어 글쓰기 능력 평가지와 이야기구조 기반 요약 활동지를 신동일, 김금선, 김나희(2007)가 제시한 담화 분석 틀에 입각해 이야기의 배경, 에피소드의 구성력, 에피소드들 간의 층위 및 연결 관계 측면에서 분석하였다. 이와 같이 실시된 본 연구의 분석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사전 및 사후 영어 글쓰기 능력 평가지와 이야기구조 기반 요약 활동지를 분석한 결과, 학습자들의 문장성숙도에 뚜렷한 향상이 이루어지지 않았다. 둘째, 사전 및 사후 영어 글쓰기 능력 평가지와 이야기구조 기반 요약 활동지를 분석한 결과, 학습자 한 명의 에피소드의 완성도 및 구성력 측면에 있어 향상이 이루어졌다. 셋째, 관찰자 일지와 학생 면담의 기록을 분석해 공통적으로 나타난 소주제별로 분류한 결과, 학습자문학을 활용한 수업과 문학 텍스트에 대한 학습자들의 인식에 있어 긍정적인 변화가 이루어졌음을 파악할 수 있었다. 또한, 이야기 구조 기반 쓰기 학습 활동 수업에 대한 정의적 반응 역시 긍정적이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학습자의 흥미, 동기, 수준을 고려한 읽기 자료로써 영미 문학 작품의 가치와 교육적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교과서의 지문 선정에 있어 학습자문학을 활용한다면 학생들이 난해하다고 느끼는 기존의 영문학 텍스트를 재미있고 부담 없이 접할 수 있는 기회가 마련될 수 있을 것이다.

      • 그림 영어 사전 만들기 활동을 통한 초등학교 영어 쓰기 지도에 관한 연구

        이수경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초등학교 6학년 학습자를 대상으로 그림 영어 사전 만들기 활동을 통한 영어 쓰기 수업을 통하여 학습자들의 쓰기에 대한 정의적인 영역과 쓰기 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대상은 경상남도 양산시에 소재하고 있는 S 초등학교 6학년 1개 반 32명이며 2006년 4월부터 7월까지 12주간 실험 수업이 이루어졌다. 이를 위하여 먼저 선행연구를 고찰해 그림 영어 사전 만들기의 필요성을 알아보고 수업에 적절한 그림 영어 사전 만들기 활동 교수-학습 모형을 구안하여 투입하였으며, 학습자들의 그림 영어 사전 만들기 활동 결과물 자료를 분석하여 쓰기 학습의 변화를 알아보았다. 또한 영어 쓰기 학습에 대한 정의적 영역(흥미도, 참여도, 자신감, 자기주도력)에서의 사전, 사후 변화를 t-검정을 통해 알아보았고, 면담 및 자기 보고를 통해 질적인 분석을 하였다. 실험 수업을 통해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그림 영어 사전 학습 결과물 분석에서는 문장 수, 단어 수, 문장 당 단어 수, 문장 구성, 그리고 대소 문자 및 구두점의 적절성 면에서 향상되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둘째, 정의적 영역에 대한 사전, 사후 설문 조사를 통한 분석에서는 흥미도, 참여도, 자신감, 그리고 자기주도력의 네 영역에서 모두 유의미한 변화를 나타내고 있다. 셋째, 실험수업 사전 및 사후에 실시된 개인 면담과 학생 자기 보고 결과에서도 긍정적인 반응을 나타냈다. 결론적으로, 그림 영어 사전 만들기 활동을 통한 쓰기 학습은 암기 위주의 쓰기 수업과 교과서 중심의 획일적인 수업 방식에서 벗어나 자신이 생각하고 있는 것을 직접 그림으로 그려보고 표현할 수 있는 기회를 줌으로써 초등학교 영어 쓰기 교육에서 긍정적인 효과를 거두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학습자 개개인의 특성이 다양하므로 그림 뿐 아니라 그 밖의 다양한 자료를 이용하여 학습자의 요구를 충족시켜주고 또한 학습자의 특성에 맞는 의미 있는 방법을 구안하여, 이를 위한 수업 설계 및 투입이 이루어진다면 보다 효과적인 쓰기 학습이 이루어질 것이다.

      • 영어쓰기 불안감, 영어쓰기 자기효능감이 영어쓰기 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송미 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에서는 중학생을 대상으로 영어 쓰기 불안감, 영어 쓰기 자기효능감이 영어 쓰기 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중학생들의 영어쓰기 불안과 영어 쓰기 자기효능감 정도를 알아보고 영어쓰기 능력과의 관련성을 밝히고자 하였다. 그 결과, 영어쓰기 불안감과 영어쓰기 자기효능감은 영어 쓰기 능력에 미치는 요인임을 알 수 있었다. 학생들의 자기 효능감을 높여주고 불안은 낮춰주는 것이 쓰기 능력에 도움을 줄 수 있다는 연구는 앞으로 쓰기 교육의 방향에 시사하는 바가 크다. 본 연구는 경기도 수원시 소재의 중학교에 재학 중인 2학년 3개 학급, 총 학생 84명을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먼저, 영어쓰기에 대한 불안과 자기효능감의 정도를 알아보기 위해 기술통계분석을 실시하여 평균, 표준오차를 구하였다. 또한 영어쓰기 불안과 자기효능감 설문지의 하위영역들간의 평균차이를 보기 위해 각각 일원분산분석(One-Way ANOVA)을 실시하였다. 하위영역 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 경우 Scheffé 사후검증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영어쓰기 능력을 상, 중, 하로 나누어 영어쓰기 능력에 따라 영어쓰기 불안, 자기효능감이 각각 어떤 차이를 보이는지 검증하기 위해 일원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집단 간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 경우 Scheffé 사후검증을 실시하였다. 그 다음으로 영어 쓰기 불안, 영어 쓰기 자기효능감이 영어 쓰기 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상관관계분석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영어쓰기 불안, 자기효능감과 영어 쓰기능력간의 상관관계를 바탕으로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영어쓰기 불안과 자기효능감을 독립변수로, 영어쓰기능력을 종속변수로 하여 영어쓰기 불안과 자기효능감 중 어떤 요인이 영어쓰기능력에 큰 영향력을 주는지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에 참여한 중학생들의 영어 쓰기 불안은 대체로 중간이상 이었고 영어 쓰기 불안의 하위영역 중 회피행동이 가장 높은 수치를 보였다. 또한 영어쓰기 불안의 하위영역 간 유의미한 평균 차이가 있었다. 사후검증 결과 회피행동이 신체적 불안보다 높다는 결과를 알 수 있었다. 전체 영어쓰기 불안 및 모든 하위영역에서 하위 집단과 상위 집단사이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회피행동의 경우 하위 집단과 중간 집단사이에도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어 영어 쓰기 불안의 하위영역 중 집단별 평균차이를 가장 명확하게 보여주었다. 둘째, 학습자들의 영어 쓰기 자기효능감은 대체로 높지 않았고 영어 쓰기 자기효능감의 하위척도 중 경험극복 효능감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또한, 학습자의 영어 쓰기 능력에 따라 영어 쓰기 자기효능감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유의미한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전체 영어쓰기 자기효능감 및 모든 하위영역에서 하위집단과 상위집단 사이 유의미한 평균차이를 보였다. 영어쓰기 능력이 상위집단인 학습자들은 하위집단보다 높은 영어쓰기 자기효능감을 가진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전체 영어쓰기 자기효능감 및 경험지속 영역에서 상위집단과 중간집단 간의 유의미한 평균차이도 보였다. 활동수행 영역에서는 하위 집단과 중간집단간의 유의미한 평균차이도 볼 수 있었다. 따라서 위의 결과를 통해 영어 쓰기 자기효능감이 높은 학생일수록 영어 쓰기 능력이 높게 나타난다는 것을 시사한다. 셋째, 영어 쓰기 불안과 영어 쓰기 능력은 유의미하게 연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하위척도 중 신체적 불안, 인지적 불안, 회피 행동 순으로 영어 쓰기 능력간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영어 쓰기 자기 효능감과 영어 쓰기 능력 또한 유의미하게 연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다수의 선행연구들과 마찬가지로 본 연구에서도 영어 쓰기 불안감과 영어 쓰기 자기효능감은 부적 상관성을 보였다(Bloom, 1980; Daly & Wilson, 1983; Zhang. 2011) 즉, 영어 쓰기 불안이 높은 학습자들은 영어 쓰기 자기효능감이 낮음을 알 수 있다. 넷째, 영어쓰기 불안감과 영어쓰기 자기효능감은 영어 쓰기 능력에 영향을 주는 변인임을 알 수 있었다. 영어쓰기 불안감과 영어쓰기 자기효능감이 영어쓰기 능력에 약 43% 설명력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영어 쓰기불안감과 영어 쓰기 자기효능감이 영어 쓰기 능력에 영향을 준다는 인과관계가 성립했다. 또한 영어쓰기 불안은 약 30%, 영어쓰기 자기효능감은 약 39% 영어 쓰기능력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나 영어쓰기 능력에 더 큰 영향력을 주는 요인은 영어쓰기 자기효능감이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영미단편소설을 이용한 Reading Journal 쓰기 활동이 고등학생의 영어 쓰기능력에 미치는 영향

        윤나라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의 목적은 영미단편소설을 이용한 저널 쓰기 활동 수업이 고등학생의 쓰기 능력에 어떠한 변화를 주는지 살펴보고, 그 현장 적용 가능성과 교육적 시사점을 알아보고자 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비형준화 지역인 경기도 용인시에 소재한 B고등학교 1학년 여학생 20명을 대상으로 리딩 저널 쓰기 수업을 4개월 동안 영어 재량시간을 이용하여 50분씩 총 10차시를 진행하였다. 연구 대상 학생들의 흥미와 수준을 고려하여 O. Henry‘s Short stories 중에서 학생들에게 친숙한 작품인 The Last Leaf, After Twenty Years, 그리고 The Gift of the Magi 등 세 작품을 기본 텍스트로 활용하도록 하였고, 학생들은 읽은 내용을 바탕으로 자유롭게 저널 쓰기를 하였다. 그리고 연구 대상 학생들의 영어 능력이 전국 평균에 비해 많이 낮았고, 영어 쓰기에 대한 경험이 거의 없었기 때문에 1차시와 10차시를 제외한 총 8차시의 수업 전반 20여분 가량 학생들에게 영작문 작성을 위한 영어 쓰기에 대한 명시적인 지도를 하였다. 본 실험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실험수업 전후에 쓰기 능력 평가가 행해졌고, 영어 학습 측면, 영어 쓰기 측면, 그리고 영미단편소설에 대한 인식의 변화를 설문을 통해 알아보았다. 쓰기 평가 결과와 설문 조사 결과를 통계적으로 분석하였고,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실험 전에 실시했던 심화 기초설문 조사에서는 영어 쓰기에 대한 학생들의 요구를 확인할 수 있었고, 실험 후에 실시했던 자유 응답 분석 결과에서는 본 실험 수업에 대한 긍정적인 답변과 의견이 많이 나옴으로써 영미단편소설을 이용한 리딩 저널 쓰기 활동이 장기간에 걸쳐 지속되기를 바라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사전·사후에 실시한 영어 읽기, 영미단편소설, 영어 쓰기에 대한 설문조사 분석 결과, 전반적인 영역에서 학생들이 흥미와 자신감을 갖게 되는 유의미한 긍정적인 태도의 변화를 보였다. 즉, 학생들의 수준과 관심에 맞는 영미문학작품을 이용한 리딩 저널 쓰기 활동은 영어 학습과 영어 쓰기에 대한 정의적 태도와 동기유발 면에서 긍정적인 역할을 할 수 있다는 결론을 얻었다. 셋째, 영미단편소설을 읽고 저널 쓰기 활동을 한 결과, 학생들의 쓰기 능력이 글의 내용, 구성, 문법과 어휘의 전반적인 면에서 유의미하게 향상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영어 쓰기에 대한 지식과 경험이 거의 없는 학생들에게 8차시에 걸쳐 영어 글쓰기에 대한 명시적인 수업을 하였는데, 이를 통해 학생들이 영어 쓰기 규칙을 배우고 이를 적용하여 직접 영어 쓰기를 해봄으로써 영어 쓰기에 대한 기본적인 지식과 능력을 함양했을 뿐만 아니라 리딩 저널 쓰기를 통해 직접 자신의 생각을 진정성 있게 글로 표현해볼 기회를 가졌기 때문이라는 결론을 얻었다. 넷째, 학생들의 리딩 저널 분석을 통하여 주로 우리 주변에 있음직한 인물과 사건을 다루고 있는 영미단편소설이 다른 장르의 글과는 달리 학생들의 쓰기 능력에 있어서 내용과 표현의 측면에서 문학적인 표현력 향상을 가져왔으며, 학생들로 하여금 간접경험을 하게 함으로써 자신의 삶을 타인의 삶과 비추어 자기 삶에 대해 성찰할 수 있는 기회를 갖게 하여 궁극적으로 학생들의 정신적 사고능력과 개인적인 성장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결론을 얻었다. 본 연구를 통해 영미단편소설을 이용한 리딩 저널 쓰기 활동 수업이 학습자들의 영어 읽기와 영미단편소설에 대한 흥미와 자신감 면에서 긍정적인 태도의 변화를 가져왔으며, 학습자들의 영어 쓰기 능력에 있어 전반적인 향상을 가져왔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학습자의 수준과 관심에 맞는 영미단편소설을 이용한 리딩 저널 쓰기 활동이 우리나라와 같은 EFL 상황에서 영어 학습과 영어 쓰기에 대한 학습 동기를 증진시키고 동시에 학생들의 영어 쓰기 실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좋은 방안이라고 사료된다.

      • 중학교 1학년 학습자들의 온라인 영어 작문에 나타나는 통사적·어휘적 특성과 매체에 대한 중요도 인식 조사

        박지민 韓國外國語大學校 敎育大學院 2020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의 목적은 온라인 매체가 쓰기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는 것으로 학습자들의 영어 쓰기 활동 결과물에 나타난 언어적 특성을 오프라인 환경에서의 활동 결과와 비교 분석하고자 하였다. 또한 온라인 환경과 관련된 요소의 중요도 인식도 함께 살펴보고자 하였다. 따라서 중학교 1학년 학습자 119명이 참여하여 편지 쓰기 과제를 수행하였으며 확보한 결과물은 수기 채점과 기계를 활용한 평가로 보다 세부적으로 분석하였다. 학습자의 영어 쓰기 활동 결과물에 나타나는 통사적 특성은 관사 오류 분석과 코메트릭스(Coh-Metrix)의 11가지 측정치를 활용하여 판단하였다. 이어서 어휘적 특성은 코메트릭스의 10가지 측정치를 활용하여 판단하였다. 본 연구는 코메트릭스 분석에 앞서 매체의 영향을 보다 뚜렷이 파악하기 위해 쓰기 활동 결과물을 관사 오류 수준에 근거하여 세 수준별 집단으로 나누었다. 관사 오류 채점 시 미평가 결과물 수를 제외하여 결과적으로 온라인 집단으로부터 45개의 텍스트와 오프라인 집단으로부터 46개의 텍스트를 수집하였다. 이어서 코메트릭스를 사용해 쓰기 결과물에 나타나는 21가지의 언어적 특성은 온·오프라인 매체와 수준이라는 요인에 따라 어떠하게 나타나는지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온라인 쓰기 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들에 관한 중요도 인식 조사를 통해 온·오프라인 집단에 나타나는 중요도 차이를 비교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온라인 집단의 관사 오류는 오프라인 집단에 비해 적게 나타났지만 이 결과가 유의미한 차이로 나타나지는 않았다. 둘째, 네 가지의 통사적 특성은 오프라인 매체에서 유의미한 결과가 도출되었다. 셋째, 온라인 영어 쓰기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들에 대한 중요도는 온라인 집단에서 더 높게 인식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종합해보면 학습자들이 온라인 매체를 긍정적인 학습 도구로 인식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영어 문법 성취도에는 오프라인 매체의 활용이 유리할 수 있다는 의미를 시사한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온·오프라인 매체를 활용한 중학교 영어 쓰기 교육에의 교육적 함의를 제공하였다. 현장에서는 두 매체가 보다 조화롭게 어우러지도록 사용하여야 하며 교수자는 학습자의 오류에 초점을 맞추어 영어 쓰기에 문법과 어휘를 교수하는 최적의 방법을 고안하여야 한다. 또한 영어 쓰기와 관련한 여러 변수들을 고려하여 교수자는 수업 현장에서 고전적인 수업 매체와 멀티미디어 기술을 보다 적절히 조화시켜야 한다. 결과적으로 본 연구는 공교육 현장에서의 고전적 매체와 멀티미디어 기술의 활용 방향을 제시하며 연구를 마무리 하였다. This study is to analyze online and offline English writing samples collected from 1stgrade middle school students to investigate effectiveness of online media. And also analyze awareness for online media from participants. 119 middle school studen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and they were each given the task of writing a letter in English. In this study, two types of analyzing tool were used to elaborate analyze: teacher’s marking and computational analyze. This study investigated grammatical features of language using the level of each article error, the type of article errors and 11 types of indices of Coh-Metrix. And this study investigated lexical features using 10 types of indices of Coh-Metrix. Specifically, the English writing text consisted of three levels classified by the level of students’ errors when using articles to comprehend effectiveness of online media more definitely. A total of 119 English writing samples were collected from participants. And after finishing grading, finally 45 samples were collected from the online group and 46 samples were collected from the offline group. And this study examined different linguistic features of each student's writing pattern using 21 types of Coh-Metrix indices. Finally, this study identified what variables influence the success of online English writing from the perspective of each group of learners.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are: (1) The article errors level of the offline group were higher than the on-line group.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The study also showed omission errors for articles were the most frequent of any errors. (2) The 4 types of grammatical features were shown more clearly when using offline media. (3) Variables related to learner characteristics, environments, instructors, learning activities and psychological support were more influential to the online group. To sum up, although learners aware of effectiveness of online tool related to aspects of technological and domain features, offline media is useful for achievement for grammar. Pedagogical implications for English writing education are discussed. Teachers should focus on learners’ errors and consider the best way of teaching English accurately and properly. Considering the diverse variables related to English writing, teachers need to find methods to better harmonize classic materials and multimedia technology. In conclusion, pedagogical implications are provided on how to utilize classic and multimedia technology for effective English instruction.

      • 영어 쓰기 평가 기준 개발 : 평가자간의 채점 과정 분석을 통해

        박정민 단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에서는 채점 준거들을 바탕으로 공통 평가 기준표를 고안하여 원어민과 비원어민의 채점 과정상의 차이와 공통점을 분석하여 이를 바탕으로 우리나라 수험자의 영어 쓰기 능력을 평가하기 위한 평가 기준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영어 쓰기 평가의 중요성에 대해 이론적으로 알아본다. 영어영문학 전공 대학생을 대상으로 4가지 평가 과업을 제시하여 작문하게 한다. 그 중 6명의 표본을 추출하여 원어민과 비원어민 평가자의 신상에 대한 사전 설문조사 후 동일한 작문 표본을 채점 하도록 한다. 채점 과정에서 해당 점수에 대한 이유와 채점 과정상의 생각들을 말로 표현하게 하여 녹음하는 생각말하기(Think aloud protocol)를 통해 기록한다. 채점 과정을 비교 분석 하여 원어민 교사에 비해 비원어민 교사들이 범할 수 있는 채점 과정상의 문제점들을 수정하고 우리나라 교육 환경에 익숙한 비원어민 교사들이 가지고 있는 채점 과정상의 특징들을 바탕으로 영어 쓰기 평가 기준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비원어민 평가자와 원어민 평가자들은 영어 쓰기 평가 과정에서 주어진 과제의 목표 수행 여부와 문법적 오류를 가장 중요시여기는 공통된 평가항목으로 나타났다. 이는 두 평가 집단 간의 점수 차이는 있지만 평가 과정에서 사용되는 주요 평가기준은 동일하다는 것을 나타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둘째, 비원어민 평가자는 모국어와 영어 사이의 차이점을 인식하기 때문에 모국어의 방해 요소를 파악하여 표현의 적절성을 중요한 기준으로 평가 하였다. 이를 통해, 비원어민 평가자들이 원어민 평가자에 비해 우리나라의 실정에 맞는 채점 기준을 더 적절히 사용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반면, 원어민 평가자는 문법적 오류가 없어도 문화 차이로 인한 어조와 문장 표현력을 지적하였다. 따라서 원어민 평가자들은 비원어민 평가자들에 비해 문화적 배경의 차이로 인한 영어 표현력 오류를 평가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셋째, 원어민 평가자는 비원어민 평가자에 비해 비교적 구체적인 기준을 사용하였다. 이를 통해, 원어민 평가자는 구체적 요소들을 중요하게 평가하며, 비원어민 평가자는 전체적 구조와 논리성을 더 중요하게 평가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얻어진 결론을 바탕으로 우리나라 교육환경에 적합한 쓰기 평가 기준을 위해 다음과 같은 고려사항을 제언하고자 한다. 첫 째, 본 논문에서 제안한 쓰기 평가 기준들을 실제 영어 쓰기 학습자들에게 적용해 볼 것을 제안한다. 둘째, 쓰기 과제별 평가 기준 연구를 제안한다. 일반적으로 빈번히 사용되는 각 과제들에 대한 특징을 연구 분석하여 과제들을 기반으로 하는 평가 기준들을 연구하여 제시한다면 좀 더 분석적인 평가 기준이 마련될 수 있을 것이다. 셋째, 본 논문의 평가 기준과 함께 쓰기 평가 기준에 대한 연구를 제안한다. The rating criteria of English Writing in Korea is insufficient even though there is an expansion of an opportunity of the teaching skills of writing. In the case of rating criteria being used now, it is developed in other countries, including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nd England, and we only accept and use them without considering reliability and suitability of rating criteria for Koreans. Therefore, they are being used regardless of non-native speaker's context. Therefore, this paper analyzes raters' rating process between native English speakers(NES) and non-native speakers(NNS) and develops a rating criteria of English Writing that is suitable for Korean students and teachers. For analyses, a survey and an interview were employed with think-aloud protocol. Both raters considered a task completion and a grammatical error as the first rating factors. The difference was that NNS evaluated the interrupted expression by a native language. The developed rating criteria in the study included common and different rating factors. In addition, this study suggests raters apply the developed rating criteria into evaluating students' English writing and another study on developing rating criteria by tasks should be conducted.

      • 영작문 채점기준표 작성 활동이 동료평가 및 영어쓰기 수행에 미치는 영향

        김지혜 韓國外國語大學校 敎育大學院 2019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중학생의 영어쓰기 활동에서 학습자가 동료평가용 채점기준표를 작성하는 활동이 동료평가와 영어쓰기 수행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강원도 인제군 소재의 공립중학교에 재학 중인 중학교 2학년 14명이었고 사전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영어쓰기와 관련한 배경정보를 수집하였다. 그리고 사전작문 쓰기를 수행하여 학습자들의 쓰기 성취도를 판단하였다. 실험의 편의성을 위하여 학습자들이 작성한 채점기준표로 동료평가를 수행하였던 7명의 참여자들은 실험집단, 교사가 제공한 채점기준표로 동료평가를 수행하였던 7명의 참여자들을 통제집단으로 구분하였다. 사전설문조사와 사전작문쓰기는 통제·실험집단 공통으로 진행하였고 이후 실험집단은 학습자들이 의미협상과정을 통해 채점기준표를 작성하는 활동을 수행하였다. 또한 학습자들이 작성한 채점기준표로 1차 동료평가, 사전작문에 대한 수정안 작성, 수정안에 대한 2차 동료평가, 사후작문쓰기, 개별인터뷰 순서로 실시하였다. 통제집단은 사전설문조사와 사전작문쓰기 이후에 예시 작문에 대한 모의 동료평가를 2회 수행하였다. 이후 교사가 제공한 채점기준표로 1차 동료평가, 사전작문에 대한 수정안 작성, 수정안에 대한 2차 동료평가, 사후작문쓰기 순서로 실시하였다. 위의 실험절차로 얻어진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제공 채점기준표로 동료평가를 한 집단보다 학습자 작성 채점기준표로 동료평가를 한 집단이 교사평가 점수와 비교하였을 때 차이가 더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두 집단 모두 1, 2차 동료평가에서 교사평가 점수보다 학생평가 점수가 더 높았다. 둘째, 두 집단은 사전·사후 작문 평가에서 점수 상승이 있었다. 셋째, 채점기준표를 작성하는 활동에 대한 학습자들의 태도, 인식, 학습 동기에서는 긍정적인 영향이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평가에서 쓰이는 채점기준표의 개발 및 평가 과정에서 교사와 학습자가 공동으로 참여하는 교육적 방안이 요구되는 점을 시사한다. 또한 동료평가를 실시할 경우 참여자들의 학습 성취도나 학습자가 편차를 고려할 필요가 있다. 그러므로 학습자 중심의 평가를 위해 학습자들이 함께 토의를 하는 과정을 거쳐 채점기준표를 만드는 활동은 학습자들의 교육적 환경과 영어쓰기 능력을 면밀히 고려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effects of student-generated rubric for peer assessment in middle school students' English writing. The current study aims to investigate (1) the positive and negative effects of peer assessment in English writing, (2) the method for making up of negative effects of peer assessment through student-generated rubric, (3) the positive effects of student-generated rubric, (4) the importance of student-generated assessment.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14 Korean middle school students. The procedure was as follows. First, participants wrote an essay for pre-test on a given topic "My summer vacation plan" for 30 minutes. Second, students who were in treatment group had a discussion for developing students' rubric for peer assessment. Third, students who were in treatment group made a students' rubric. And then all participants performed peer assessment using given rubric by teacher and student-generated rubric.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students writing ability was improved based in the scores from writing task. Second, there was new criterion that included authenticity, reality, writing style. Third students were interested in writing rubric and had motivation toward English writing and peer assessment. Fourth, there was little difference on peer assessment scores between students and teacher. The suggestions are as follows. (1) students were struggled to write their rubric because it was the first time to do this activity. Therefore there would be participate with teacher and students. (2) it is considered the difference of writing ability for the peer assessment. (3) peer assessment and student-generated rubric activity would be possible for reducing the teacher's burden to give feedback and students can be improved their English writing skills through this activity. Consequently, student-generated rubric can develop peer assessment performance and English writing skills.

      • 초등학교와 중학교 1학년 영어 교과서 연계성 분석 : 쓰기활동 중심으로

        배주영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870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whether the writing activities in current 5th and 6th grades of elementary school text books are appropriately linked with lst grade middle school textbooks. To accomplish this study, elementary school English text books and eleven kinds of middle school English textbooks are analyzed. This study investigates the writing achievement guidelines and advanced contents analyze on the basis of the writing criteria prescribed in the 7th curriculum. And it examines the steps of the writing activities and topic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 First, writing activities in the textbooks of 5th, 6th grades reflect on the writing achievement guidelines. In the 1st grade middle school textbooks, the writing achievement guidelines of 6th grade are too much repeated, however the writing achievement guidelines of 1st grade middle school are not represented sufficiently. They are not balanced. Second, advanced contents of 5th grade are presented in 1st grade of middle school, not 6th grade elementary school. Some advanced contents of 6th grade are still represented advanced contents in 1st grades textbooks. They do not satisfy the criterion in the 7th national curriculum, as for the proportions. Third, each frequency of the steps of the writing activities is not regular and balanced. The writing activities of the 5th and 6th grades of elementary school textbooks are repeated mainly controlled writing. The 1st grade of middle school textbooks are repeated from copying to free writing but there are a lot of controlled writing activities as the elementary school. Fourth, the topics introduced in the 5th and 6th grades of elementary school textbooks are introduction, the immediate classroom, the school, the family. The same topics in the 1st grade middle school textbooks are represented and new ones are repeated and some are not introduced at all. In conclusion, the connectivity between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textbooks is not well managed. It is arranged in various ways according to the publisher. The 3rd and 4th graders can learn English more effectively when they are exposed to written language as well as spoken language. In addition, this study suggests that considering the important role of textbooks, students' writing skills will be improved properly. We should develop writing activities requiring more diverse and creative expression in future textbook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