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보육시설의 영아보육 실태와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최효경 대구대학교 2002 국내석사

        RANK : 248703

        This study is researched for the purpose to investigate the day-care centers about the infants day-care and to offer a basic material for the activation of the infants day-care. The results of the research after investigating 184 day-care center's institutions in Dae-gu city are as follows. In the mean time, the infant day-care is regarded as a part of the children day-care, so it couldn't developed both Quantitatively and Qualitatively because of the exclusion about the progressive feature of the infants and the prejudice about the family day-care. So, to expand the infants day-care, the specific character of the infants has to be considered to make an improvement in Quality and there has to be the professional teachers and special program to teach for the infants. Also, for the ensuring of financial. material and human resources, the government should support for the management gradually and they have to make laws and institutions related to the infant day-care. It means that the careful examination about the infants' rate versus the teachers, the expenses for the day-care, the Qualifications of the teachers and the infant day-care center's environment is needed. The government should receive the suggestions positively and put these to practical use for the growth of the infant day-care industry. Finally, about the family nurturer system which is announced by government this year, I just make the each centers' position clear than having effects of the introduction of that system and the problems which are expected to cause. And about the prepared support by government to activate the infants day-care industry, that plan and the framing time of this research were not accorded with each other. So, some examinations about the introduction of the family nurturer system in many directions are required after this and the study about the henceforth changes of the infants day-care is demanded as well..

      • 영아보육기관의 운영실태 연구

        전영희 韓國外國語大學校 敎育大學院 2006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영아전담어린이집과 일반어린이집의 영아반을 대상으로 보육의 질적 수준을 비교․분석해보고 바람직한 영아보육의 시사점을 얻고자 하였다. 이러한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1. 영아보육의 질은 어떠한가? 1) 영아전담어린이집 및 일반어린이집의 영아보육의 질은 어떠한가? 2) 영아전담어린이집 및 일반어린이집의 영아보육에 대한 인식은 어떠한가? 3) 일반어린이집중 설립유형별(국․공립, 민간, 가정) 영아보육의 질은 어떠한가? 2. 영아보육의 발전방안은 무엇인가?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시 북서부 지역에 위치한 국․공립, 민간보육시설(단체, 법인), 민간보육시설(개인), 가정보육시설, 영아전담어린이집의 보육교사와 시설장이었다. 보육교사와 시설장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했으며, 일부 보육교사와 시설장, 그리고 학부모에게 면담을 실시하였다. 설문을 통한 자료의 분석은 WINDOW용 SPSSWIN. 11.0 프로그램을 운용하여, T검증, F검증, χ2검증 그리고 Scheffé검증 등의 통계적 방법을 사용하여 처리하였다. 연구를 통하여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영아전담어린이집의 영아보육의 질이 일반어린이집의 영아보육의 질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영아전담어린이집 및 일반어린이집의 영아보육에 대한 인식에서 연구대상 시설장의 67%가 영아전담어린이집이 필요하다고 보았고, 연구대상 교사들의 87%가 영유아가 연령별로 반편성이 되어도 영아만 전담하는 어린이집이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셋째, 일반어린이집의 설립유형별(국․공립, 민간[단/법], 민간(개인), 가정)도 차이를 나타내어 영아보육의 질은 전반적으로 국․공립어린이집의 영아보육의 질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지만, 상호작용, 건강과 영양, 안전부문에서는 어린이집 유형별 질적수준이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넷째, 정부지원 개선부문 가운데 가장 높은 비율을 보이고 있는 것은 영아보육 교사의 보수 지원확대가 34.00%이고, 영아 보육시설의 개선(24.7%), 교사 1인당 영아 비율 축소(22.20%), 그리고 교사에 대한 정기연수 및 교육 프로그램, 교재 교구 지원등으로 조사되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근거로 바람직한 영아보육을 위해 다음과 같은 발전방안을 제시하였다. 첫째, 영아는 발달 특성상 차이에 따른 관리 등으로 전담어린이집의 운영이 필요하다. 따라서 최근 정부의 영아전담 시설 사업의 축소 정책은 재고되어야 할 것이며 영아와 유아가 분리되어 보육하는 영아전담 보육을 강화하여야 할 것이다. 둘째, 영아보육교사의 전문성을 신장시키기 위한 보수교육 및 연수기회가 많이 부족한 실정이므로 주기적인 보수 교육을 통해 영아보육교사에 대한 전문성을 제고하여야 할 것이다. 셋째, 영아보육의 활성화 및 양질의 영아보육을 위하여서는 중앙정부의 예산지원이 절대적으로 필요하므로 국고 지원 비율을 높여야 한다. 넷째, 보조금 지원에 따른 복잡성을 최소화하여 보육인들이 영유아를 보육하는데 더 많은 시간을 투자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할 것이며, 보육시설에 대한 행정기관의 역할이 변화 되어야 할 것이다. 잘못을 찾기 위한 감사의 기능보다는 협력하고 조력하여 보육의 질을 향상시키는 동반자적 역할이 필요할 것이다.

      • 영아보육교사의 심리적 안녕감과 사회적 지지가 소진에 미치는 영향

        김지민 신한대학교 생활문화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영아보육교사의 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적 안녕감과 사회적 지지의 상대적 영향력을 살펴보고자 실시되었다. 연구대상은 경기북부지역에 소재한 어린이집(국.공립, 법인, 민간, 가정, 직장)에 근무하고 있는 영아반 교사 194명이었다. 본 연구에서는 영아보육교사의 소진을 측정하기 위해 Maslach와 Jackson(1981)이 개발한 Maslach 소진 척도(Maslach Bumout lnventory: MBI)를 이재일(2011)이 교사를 대상으로 국내 실정에 맞게 번안한 척도를 사용하였으며, 심리적 안녕감을 측정하기 위하여 Ryff(1989)가 개발한 심리적 안녕감 척도(Psychological Well-Being Scale: PWBS)를 Ryff, Lee와 Na(1993)가 보완하고 조명한과 차경호(2001)가 번안한 척도를 사용하였고, 사회적 지지를 측정하기 위하여 박지원(1985)이 개발한 유치원 교사를 위한 사회적 지지 척도를 김아령(2015)이 수정․보완한 척도를 사용하였다. 자료를 분석하기 위하여 각 변인에 대한 기술적 통계분석, t검증, Pearson의 적률상관분석, 단계적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결과를 연구문제별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영아보육교사들의 일반적 특성에 따라 소진에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본 결과, 영아보육교사가 미혼인 경우, 근무경력이 3년 이상 5년 미만일 경우, 월 평균 급여가 적은 경우, 학급 운영 형태가 복수일 경우 소진을 느끼는 정도가 높게 나타났다. 둘째, 영아보육교사의 심리적 안녕감, 사회적 지지와 소진과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영아보육교사의 심리적 안녕감과 사회적 지지는 소진과 부적인 상관관계를 보였다. 셋째, 영아보육교사의 심리적 안녕감과 사회적 지지가 소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살펴본 결과, 영아보육교사의 소진은 삶의 목적, 자아 수용, 정서적 지지, 환경 통제력의 순으로 유의하게 예측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어린이집에서 종사하는 보육교사 중 영유아의 인생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시기인 영아보육을 맡고 있는 교사를 대상으로 심리적 안녕감과 사회적 지지, 소진 간의 관계를 파악함으로써, 보육교사의 처우개선과 보육의 질 향상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relative influence of psychological well-being and social support on the burnout of infant care teachers. Participants were 194 infant care teachers who work at infant daycare centers in Gyeong-gi-do. Infant care teacher psychological burnout was assessed by the Maslach Burnout Inventory(Maslach & Jackson, 1981; revised by Lee, 2011), psychological well-being was measured by the Psychological well-being scale(Ryff, 1989; revised by Cho & Cha, 2001) and social support was measured by the social support questionnaire(Kim, 2015; revised by Bak, 1985). Date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and analysis, t-test,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major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differences in burnout in terms of marital status, work experiences and classroom operation type. It showed that the high burnout rate of infant care teachers who were single, if their work experience was between 3 and 5 years and if they had double classroom duties. Second, Infant care teachers' psychological well-being and social support were negatively correlated with burnout. Third, the most influential factor on infant care teachers' burnout was the purpose of life of infant care teachers, the second influential factor was their self-acceptance, the third influential factor was their emotional support, and the last influential factor was their environmental control.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psychological well-being enhancement program should be developed and emotional support from social relationship network should be enhanced in order to prevent infant care teachers' burnout. Keywords: infant care teachers, burnout, psychological well-being, social support

      • 영아보육시설 서비스에 대한 부모만족도 연구

        박재민 건국대학교 행정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의 목적은 만3세 미만의 영아기 자녀를 보육시설에 보내고 있는 부모님들의 보육서비스에 관한 만족도와 요구가 무엇인지 알아보고, 보육시설의 유형에 따라서 부모님의 만족도는 어떠한 차이가 나타나는지 조사하여 보육서비스 향상을 위한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문헌연구와 조사연구를 병행하였다. 문헌연구에서는 영아보육의 개념, 영아보육시설의 유형과 기능, 영아보육서비스의 구성요인, 선행연구 등을 고찰하였다. 조사연구에서는 문헌연구를 바탕으로 하여 작성한 조사 도구를 가지고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 기간은 2001년 10월 10일부터 10월 27일까지로 하였으며, 조사 대상은 서울 노원구, 강북구에 소재하고 있는 국공립 어린이집 6곳과 민간어린이집 8곳으로 하였다. 본 연구의 최종 분석대상은 국공립어린이집 121부, 민간어린이집 84부로서 총205부가 사용되었다. 조사도구의 구성은 ① 영아보육시설의 이용하는 부모님들의 일반적인 사항-6문항, ② 영아보육시설 이용실태-6문항, ③ 물리적 환경-5문항, ④ 운영관리-3문항, ⑤ 보육 프로그램-3문항, ⑥ 영양, 건강, 안전-4문항, ⑦ 시설장과 교사의 자질-5문항, ⑧ 부모교육-4문항, ⑨ 지역사회와의 연계성-4문항, ⑩ 부모의 요구-5문항으로 총 45문항으로 구성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프로그램의 빈도분석, 백분율, 산술평균, t-test, one-way ANOVA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조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제1절 영아보육시설을 이용하는 실태에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영아보육시설을 이용하는 이유에 대하여 중복응답을 실시 한 결과 민간 보육시설의 경우에는 거리상 이용하기 편해서(54.8%)가 가장 높게 나타났고, 국공립 보육시설은 직장을 다니기 위해서(9.4%)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둘째, 영아보육시설을 이용하는 데 어려움에 대하여 중복응답을 실시한 결과 민간 보육시설은 경제적 부담감(25%)과 아이가 아플 경우 부모가 병원에 데리고 가야한다(25%)라고 이용하는 데 어려움을 느꼈으며, 국공립 보육시설은 아이가 아플 경우 부모가 병원에 데릴러 가야 한다(14.3%)가 가장 큰 어려움으로 응답하였다. 셋째, 영아보육시설에 자녀를 보낼 때 가장 중요하게 여기는 부분에 대하여 민간 보육시설과 국공립 보육시설 모두 건강·안전·위생을 가장 고려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영아보육시설의 반 구성에 대하여는 민간 보육시설과 국공립보육시설 모두 1년 차이로 영아보육시설의 반을 구성하는 경우가 가장 많았다. 제2절 영아보육시설서비스에 대한 부모의 만족도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영아보육시설에 대한 전체적인 부모 만족도를 살펴보면 5점 평점 중 3.68로 나타나 비교적 만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민간 보육시설(3.64)보다는 국공립 보육시설(3.71)에서 전체적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다. 둘째, 하위 영역에 대한 부모 만족도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물리적 환경영역에서는 전체 평균이 3.67이 민간 보육시설(3.57)보다 국공립보육시설(3.74)이 부모만족도가 높았으며,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일반적 운영관리영역에서는 전체 평균이 3.63이며 민간보육시설(3.47)보다 국공립 보육시설(3.74)이 부모만족도가 높았으며,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보육프로그램영역에서는 전체 평균이 3.92이며 민간 보육시설(3.93)이 국공립보육시설(3.92)보다 부모만족도가 높았으며,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영양, 건강, 안전영역에서는 전체 평균이 3.74이며 민간 보육시설(3.54)보다 국공립보육시설(3.88)이 부모만족도가 높았으며,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시설장과 보육교사의 자질영역에서는 전체 평균이 4.27이며 민간 보육시설(4.23)보다 국공립보육시설(4.29)이 부모만족도가 높았으며,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다. 부모교육영역에서는 전체 평균이 3.27이며 민간 보육시설(3.54)이 국공립보육시설(3.08)보다 부모만족도가 높았으며,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지역사회와의 연계성영역에서는 전체 평균이 3.41이며 민간 보육시설(3.52)보다 국공립보육시설(3.34)이 부모만족도가 높았으며,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이상의 조사결과를 종합해 볼 때, 영아보육시설 전체에 대한 보육서비스의 만족도는 시설장과 보육교사의 자질영역, 보육프로그램영역, 영양·건강·안전영역, 물리적 환경영역, 운영관리영역, 지역사회와의 연계성영역, 부모교육영역 순으로 나타나고 있다. 따라서 낮은 만족도 수준을 보인 일반적인 운영관리영역과 부모교육영역, 지역사회와의 연계성영역에 대한 보육서비스 향상을 위한 방안을 모색하여야 한다. 제3절 부모님들의 영아보육서비스에 대한 요구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영아보육시설에서의 영양관리에 대한 요구를 살펴보면 민간 보육시설과 국공립 보육시설 모두 영양사가 작성한 식단에 의한 방식이 가장 좋다고 응답하였고, 영아보육시설에서 가장 시급 개선되어야 할 점에 대하여 민간보육시설의 경우에는 실내·외 환경(31.0%)을 들었으며, 국공립 보육시설의 경우에는 교육 프로그램(27.3%)을 가장 시급히 개선해야 할 점으로 나타났다. 둘째, 영아보육시설 기관의 운영에 대한 부모의 요구는 민간 보육시설과 국공립 보육시설 모두 정부기관에서 하는 것이 가장 좋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교육비 부담체계에 대한 부모의 요구는 민간 보육시설과 국공립보육시설 모두 학부모와 국가의 공동부담을 원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영아보육서비스에 대한 정책적 지원 중 가장 원하는 형태에 대한 부모의 요구를 살펴보면, 민간 보육시설은 자녀 양육비용에 대한 정책적 지원을 가장 원하고 있으며, 국공립 보육시설은 직장 내 보육시설의 설치를 가장 원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보육서비스에 대한 부모의 만족도 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보육시간의 다양화, 둘째, 영아를 위한 보육프로그램의 개발·보급, 셋째, 정부 및 지방자치단체의 재정적 지원이 화대, 넷째, 보육교사에 대한 교육훈련 강화 및 자질 향상, 다섯째, 보육정보센터의 기능 활성화 등을 제시하고자 한다. 보육서비스는 아동, 가정, 사회를 포함하는 총체적인 서비스이므로, 보육서비스를 제공할 때 보육시설의 수요자인 부모의 시각까지 포함하여 만족도와 욕구를 반영함으로서 더욱 효과적인 보육서비스의 향상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is designed to find what parents satisfy at and need of nursing service, whose children under three years of age go to nurseries, and to examine the difference of satisfaction according to nursery type. Based on it, it provides basic data for improving nursing service To accomplish the purpose, both literature study and survey research are done. In literature study, it reviews the concept of infants nursing, type and function of infants nurseries, constituent of infants nursing service, the development and present state of nursing service of the state and prior studies. Based on literature study, survey tool is prepared and a questionnaire is surveyed. The questionnaire is done with 6 national/public nurseries and 8 private ones located in Nowon-gu and Kangbook-gu, Seoul from October 10, 2001 to October 27, 2001. The number of questionnaires analyzed totals 205 pieces, consisting of 121 pieces for national/public nurseries and 84 pieces for private ones. The survey tool has 45 items in total as follows; ① General matters of parents who use infants nurseries-6 items, ② Use state of infants nurseries-6items, ③ Physical environment-5items, ④ Management-3items, ⑤ nursing program-3items, ⑥ Nutrition, Health, Safety-4items, ⑦ Directors' and teachers' qualification-5items, ⑧ Parents education-4items, ⑨ Connection to community-4items, ⑩ Parents' need-5items. SPSS program is used to analyze the data collected in terms of frequency analysis, percentage, arithmetic mean, t-test, one-way ANOVA. The result is summarized below; 1. The following relates to the use state of infants nurseries. First, Duplicate response is used to find why parents use infants nurseries. Thus, the highest is 'convenient of distance' for private nurseries(54.8%) and 'to work' for national/public nurseriesⅠ(9.4%). Second, for the difficulty in using infants nurseries, shown in duplicate response, private nurseries is found to be difficult to use in economic burden(25%) and parents' bringing children to hospital if they are sick(25%), whereas national/public nurseries have the greatest difficulty in parents' taking children out to go to hospital if they are sick(14.3%). Third, health·safety·hygiene are indicated the most important thing that parents consider when sending children to infants nurseries for both private and national/public nurseries. For class composition, both private and national/public nurseries tend to compose class with 1 year age gap on the whole. 2. The follows relates to parents' satisfaction at infants nurseries service. First, for the general satisfaction of parents at infants nurseries, it is 3.68 of 5 marks, showing their being satisfied relatively. National/public nurseries(3.71) shows general satisfaction higher than private ones(3.64). But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it. Second, it looks at parents' satisfaction at sub-items as follows; In physical environment, total mean value is 3.67, with parents' satisfaction at national/public nurseries(3.74) higher than at private ones(3.57).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general management, total mean is 3.63, with parents' higher satisfaction at national/public nurseries(3.74) than at private ones(3.47). There is significant difference statistically. In nursing program, total mean is 3.92, with parents' satisfaction at private nurseries(3.93) rather than at national/public ones(3.92), showing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it. In nutrition, health and safety, total mean is 3.74, with parents' satisfaction at national/public nurseries(3.88) rather than at private ones(3.54%), showing significant difference statistically. In directors' and teachers' qualification, total mean is 4.27, with parents' satisfaction at national/public nurseries(4.29) higher than at private ones(4.23). It shows no significant difference statistically. In parents education, total mean is 3.27, with parents' satisfaction at private nurseries(3.54) higher than at national/public ones(3.08), showing significant difference in it. In connection to community, total mean is 3.41, showing parents' satisfaction at national/public nurseries(3.34) higher than at private ones(3.52), no significant difference statistically. Considering all the result above, it shows satisfaction at the nursing service of entire infants nurseries in order as follows; directors and teachers' qualification, nursing program, nutrition·health·safety, physical environment, management, connection to community, parents education. So it need to be sought how to improve nursing service in teems of parents education and connection to community. 3. The following relates to parents' need of infants nursing service First, for need of nutrition care in infants nurseries, both private and national/public nurseries answer that using menu by dietician is the best. For pressing issues to improve infants nurseries, it shows Indoor-outdoor environment(31.0%) for private nurseries, while education program(27.3%) for national/public ones. Second, for parents' need of infants nurseries management, it finds that parents think both private and national/public nurseries run by the government agencies is the best. For education charge, it shows that parents want to share with government for both private and national/public nurseries use. Third, regarding what parents want as a policy support for infants nursery services. it shows private nurseries want fostering expenses support most, while national/public ones want to have nursery on the job. Based on the result of parents' satisfaction at nursing service, I have suggestion as follows; First, variation of nursing time. Second, development and dissemination of nursing program for infants. Third, increasing financial support of the government and local government. Fourth, increase of training and qualification improvement for teachers. Fifth, function variation of nursing information centers. Nursing service is total service including children, family and society. So when it reflects parents' satisfaction and need as consumer, in view of parents, the improvement of nursing service will be sought more effectively.

      • 가정보육시설 영아보육을 위한 표준보육과정 적용 교사교육 프로그램 개발

        박지영 덕성여자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박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가정보육시설 현장에 우리나라 국가수준의 표준보육과정을 효율적으로 적용할 수 있도록 돕는 영아교사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프로그램의 적용가능성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연구 1〕에서는 가정보육시설 영아보육과정 운영실태와 표준보육과정 적용에 대한 영아교사의 요구를 살펴보기 위하여 서울시 가정보육시설 영아교사 500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배포하고, 그 중 회수된 350부를 분석하였다. 다음으로〔연구 2〕에서는 문헌연구와 요구조사 결과를 토대로 가정보육시설 영아교사를 위한 표준보육과정 적용 교사교육 프로그램 시안을 구성하고, 전문가 협의를 통해 프로그램을 수정․보완하였다. 마지막으로〔연구 3〕에서는 개발된 교사교육 프로그램을 서울시 노원구에 소재한 가정보육시설 영아교사 45명을 대상으로 보육정보센터에서 10주에 걸쳐 주 1회, 140분씩 10회기의 프로그램을 실시하고 적절성을 검증하였다. 프로그램의 적절성 검증은 최종회 프로그램에 참여한 영아교사(38명)와 비참여한 영아교사(38명)를 대상으로 프로그램 시작과 종료시점에 보육 효능감, 교사-영아 상호작용에 대한 사전・사후 검사를 실시하고, 공변량 분석(ANCOVA)을 사용하여 그 변화를 분석하였다. 또한 프로그램에 참여한 교사를 대상으로 프로그램 만족도를 평가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얻어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설문조사 결과 가정보육시설 영아교사들의 특성은 평균 연령이 38.45세로 대체적으로 높은데 비해 보육경력과 학력은 낮은 편이었으며, 대부분 보육교사교육원을 통해 자격을 취득한 경우의 비율이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시설의 특성은 보육공간 면적이 평균 27.68평이며, 평균 12시간을 운영하고 과반수이상이 평가인증 미참여 시설이었다. 영아보육과정 운영실태를 살펴보면, 일일보육계획안 작성 비율이 가장 낮고, 주로 영유아관련잡지 및 인터넷 사이트를 통해 보육계획을 하여 아직은 표준보육과정 활동자료를 주자료로 활용하지는 않고 있었다. 영아보육 활동에 필요한 시설의 교수자료 구비정도는 부족하다고 인식하였고, 보육내용 중 영아의 기본생활 영역에 보다 중점을 두고 있었다. 교사들이 느끼는 영아보육과정 운영상 어려움은 가정보육시설 현장에 손쉽게 적용할 수 있는 활동의 수가 풍부한 참고자료가 부족하다는 것과 참고자료에 제시된 활동을 실행하는 것에 대한 어려움이 있었다. 또한 소규모시설 운영 특성에 따른 혼합연령 통합운영에 대한 교사의 전문성 부족이 가장 큰 문제점으로 부각되었다. 요구조사 결과는 표준보육과정에 대한 인식 수준은 낮았으나 대체적으로 표준보육과정 활동자료를 활용하는 것이 표준보육과정을 현장에 적용하는 것이라고 인식하였다. 또한 표준보육과정의 구체적인 내용을 가정보육시설의 인적, 물적 특성에 적절하게 실행할 수 있는 구체적인 활동프로그램 개발 및 워크숍이 실시되기를 희망하였다. 즉 표준보육과정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 및 구체적인 보육내용 영역에 대한 교육을 통하여 교사들의 표준보육과정 인식을 개선시키고, 영아교사로서의 책무를 완수할 수 있는 자질과 역량강화 및 전문성 향상에 도움이 될 수 있기를 희망하였다. 둘째, 문헌연구와 설문조사 결과를 토대로 한 본 교사교육 프로그램의 목적은 가정보육시설 영아교사들의 표준보육과정 인식과 구체적인 내용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이를 현장에 적용할 수 있는 교수방법과 기술을 증진하여 영아교사로서의 역량강화와 전문성을 향상시키는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구체적인 목표는 첫째, 표준보육과정의 기본관점 및 전반적인 내용을 이해한다. 둘째, 표준보육과정의 구체적인 보육내용 지식을 습득한다. 셋째, 표준보육과정을 실행할 수 있는 교수방법과 기술을 증진한다. 마지막으로, 표준보육과정 활동자료를 활용하여 가정보육시설에 적합하게 활동을 수정・보완하여 현장에 적용하는 것이다. 프로그램의 내용은 표준보육과정의 전반적인 내용과 더불어 가정보육시설 현장에 효율적으로 적용할 수 있도록 영아의 연령별, 수준별 구체적인 보육내용, 보육계획과 편성, 환경구성, 교사의 역할과 상호작용, 평가 및 부모와 지역사회와의 협력 등을 내용요소로 설정하였다. 워크숍에서는 표준보육과정의 내용을 현장에 직접적으로 연결하여 적용할 수 있도록 징검다리 역할로 표준보육과정 활동자료를 활용하여 참여교사들의 능동적인 협력학습 방법으로 가정보육시설에 적합하게 활동을 재구성하여 적용한 후 그 사례를 공유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가정보육시설 영아교사의 보육과정 실행경험 및 인식수준을 고려하여 가정보육시설 현장 경력이 있는 강사진이 프로그램을 진행하여 교사들이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전략을 수립하였다. 셋째, 개발된 교사교육 프로그램의 적절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표준보육과정 적용을 위한 지원과 네트워크가 이루어질 수 있는 보육정보센터에서 시청각을 이용한 강의와 토의, 사례발표, 자료제작 및 시연을 포함한 워크숍을 In this study, a family daycare teacher training program has been developed to enrich standard childcare curriculum by considering the circumstances of infant and toddler educare in the family daycare center, and the applicability of the program has been checked out. Part I, consists of survey analysis on how do the family daycare centers offer the standard childcare curriculum and what do the caregivers ask for applying the curriculum effectively. The questionnaire has been distributed to 500 family daycare teachers in 6 districts of the City of Seoul, and 350 questionnaires are returned and analysed. In Part II, caregiver training program that reflects the survey analysis is to be developed. Extensive literature survey and the questionnaire analysis are followed by the draft of infant/toddler teacher training program for effectively offering the standard childcare curriculum, and final program has come out through experts' careful adjustments. Part III, examines the applicability of the teacher training program devised for the family daycare centers. In the training program, conducted by Nowon District family daycare information center, there are 45 participants who are infant and toddler caregivers from the various family daycare centers at Nowon District, and the program consists of 10 rounds of a 140-minutes-long training course that are to be offered once in a week, so that it becomes 10 weeks program. The program applicability has been checked out by comparing 38 participants who have finished the program with 38 non-participants. Child-care efficacy and caregiver's interaction were measured against the two groups before(pre-test) and after(post-test) the 10-week program, and ANCOVA analysis has been performed to statistically justify those differences the two groups made. The levels of program satisfaction have also been evaluated by the participan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irstly, questionnaire survey showed that average age of the caregivers were 38.45 years old, while educational background and job career are little bit insufficient. Those who have acquired their license from caregiver institutes rather than from colleges or universities form a large majority. Average area and operating hours of the family daycare centers were 27.68 pyeong and 12 hours, respectively. Majority of them turned out to be non-certified facilities. Daily daycare plans were least prepared among the four (daily, weekly, monthly, and yearly) daycare plans. Related magazines and internet sites were the major sources for preparing the plans while activity information of the national curriculum was not being utilized frequently. The family daycare centers did not provide sufficient teaching information for family daycare, and more emphasis was put on basic livelihood. One of the difficulties met during the family daycare was insufficient references suitable for family daycare activities, and even though there is a reference, it was very hard to put to practical use. Others included lack of teacher professionalism for mixed-age class in small facilities. As far as caregivers' need analysis, recognition level of national curriculum was relatively low, however, practical use of standard childcare curriculum activity information was thought to apply the curriculum in their class. Activity programs development tailored for family daycare characteristics and workshop on the developed programs were also requested. In other words, it was strongly hoped that there should be caregiver training programs which enable them to understand standard childcare curriculum and improve their own qualification, capability, as well as professionalism as a infant and toddler caregiver. Secondly, the purpose of the caregiver training program derived from the literature survey and questionnaire analysis is to let the infant and toddler caregivers to recognize standard childcare curriculum, to understand its details, to be fully equipped with teaching methods and skills, and finally to improve their own capability and professionalism. Action plans for this purpose includes understanding the basic viewpoint and whole contents of the standard childcare curriculum, acquiring the detailed knowledge about the curriculum, learning the teaching methods to apply the curriculum, and putting to practical use of the curriculum customized to family daycare circumstances. The teacher training program consists of theoretical part and practical part. Former covers whole information of standard childcare curriculum, customized daycare contents differentiated by ages and levels, daycare plans and composition, circumstance organization, caregiver's role and interaction, and cooperation with parents and local community. Latter part contains reorganization of the activities information on the standard childcare curriculum adjusted for small sized family daycare centers, and active coordination and information sharing with caregivers. It also considers experiences and backgrounds of the participants, so that lectures who have family daycare career preside the program and motivate them to actively participate in the class. Thirdly, in order to verify the applicability of the training program, workshop was held in the daycare information center capable of networking each other easily as well as giving assistance to adopt and modify standard childcare curriculum. The workshop comprised of audio-visual lectures, discussions, case study presentations, and material demonstrations. Results of the applicability analysis showed that child-care efficacy and caregiver's positive interaction of the participants increased significantly compared to non-participants while caregiver's negative interaction did not. Degree of program satisfaction is evaluated as excellent (mean=4.29, SD.=.39). This study concludes with the need to develop diverse caregiver training programs in every aspects for expediting the dissemination

      • 영아 保育서비스에 대한 學父母와 從事者 滿足度 比較 硏究 : 全州市를 中心으로

        박숙영 全州大學校 行政大學院 2003 국내석사

        RANK : 248703

        산업사회가 발전하면서 가사노동에 종사하는 여성을 사회노동으로 끌어내려는 사회적 요구는 점차 증대하였다. 이에 따라 아동에 대한 보육서비스는 한편으로는 사회적 측면에서, 다른 한편으로는 취업을 통해 자신을 실현하려는 여성의 입장에서 적극적으로 요구되어져 왔다. 아울러 최근에는 아동의 발달 단계에 맞도록 보호를 받을 수 있는 아동의 권리로서 보육서비스의 중요성은 더욱 강조되고 있는 상황이다. 1991년 영·유아보육법의 제정으로 보육정책의 기본이념은 전통적인 아동의 가정양육 원칙과 자유민주주의 이념에 따라 보육정책 대상을 보호자가 보호하기 어려운 영아 및 유아 (보육위원회 의결을 거쳐 12세까지 연장 가능)로 한정하여 불필요한 국가 개입을 최소화하고 교육법에 의한 유아교육제도와의 구분을 명확히 하였다. 또한, '보호'냐 '교육'이냐로 그동안 계속되어 온 논란에 종지부를 찍고 보호와 교육을 통합한 '보육'이라는 진일보된 개념으로 전환하였다. 이러한 기본이념에 따라 보육의 내용도 아동에 대한 교육, 영양, 건강, 안전 등 보호와 교육뿐만 아니라 부모에 대한 서비스와 지역사회와의 교류까지 포괄하는 종합적인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하였다. 결국 보육정책을 통하여 아동복지, 여성 복지, 가정복지 및 지역사회의 발전을 동시에 도모하려는 생산적인 복지사업을 지향하게 된 것이다. 현재 우리나라의 보육서비스는 영아의 특수성과 영아를 둔 부모의 보육서비스에 대한 욕구를 무시한 채 발달 단계상 다른 특성을 보이고 있는 영아와 유아를 한 시설에서 보육하도록 하는 영·유아 혼합 정책의 기조 아래 제공되고 있다. 이는 영아를 둔 부모의 입장에서는 영아의 보육을 시설에 맡기는데 있어 안전과 양육에 대해 불안하게 하는 요소가 되고 있다. 또한 교사의 입장에서는 유아보다 상대적으로 보육하기 힘든 영아들에게 차별적인 서비스를 전적으로 제공하기 힘든 상황을 제공하고 있다. 영아전담시설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은 확산되고 있으나, 정부의 영·유아 혼합보육정책, 그리고 보육시설운영자들의 영아보육에 대한 기피로 인해 영아전담시설의 확대나 운영은 기피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구체적인 접근이 부족하여 영아전담시설에 관한 연구자료를 구하는 것도 유아시설에 관한 자료보다 극히 미비한 실정이다 사회복지학 분야나 유아교육학 분야 모두 영아보육서비스에 대한 실증적 연구가 절대적으로 부족한 상황이다. 이에 본 논문은 먼저 영아보육현황을 파악해서 우선 영아보육 수준을 알아보고, 영아보육서비스의 질을 높이기 위해 영아전담시설의 필요성을 학부모와 종사자를 통해 확인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영아보육서비스의 양적·질적 수준을 높일 수 있는 학문적 관심을 불러일으키고, 이 분야의 연구 확대를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서비스제공자(종사자)와 이용자의 측면(학부모)에서 시설의 실태를 파악하여, 이를 토대로 발전 방향을 설정하는 것은 의미 있다고 본다. 현재 영아보육을 담당하고 있는 영아보육시설은 영아전담시설과 영·유아 혼합시설로 나눌 수 있다. 영아전담시설은 영·유아보육법상 0-3세 미만의 아동 즉 영아만을 보육하는 시설이고, 영·유아혼합시설은 0에서 만 6세까지의 아동을 보육하는 시설로 12세까지 방과후 보육을 담당하고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영아보육시설을 영아전담시설과 영·유아혼합시설로 나누어 비교 하고자 한다. 학부모 및 종사자의 만족도와 견해는 첫째 영아보육시설의 환경, 둘째 영아보육서비스의 두 부분으로 나누어 살펴본다. 첫째, 영아보육환경에 대하여 법상으로 영아전담시설에 대하여 독립된 규정을 하지 않고 있는 현실에서 영아보육을 위한 적절한 환경에 대하여 파악하기 위한 것이다. 둘째, 보육서비스에 관해서는 건강·영양, 위생·안전, 부모참여 및 지역사회교류로 나누어, 사회복지 서비스의 이용자와 제공자의 관점을 종합한다. 그러므로 학부모와 종사자의 견해 차이를 비교 분석하여 현재 실시되고 있는 영아보육서비스의 문제점을 지적하고, 이를 근거로 바람직한 영아보육서비스 실현을 위한 대안을 논의해 보고자 한다. 본 논문의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부모와 종사자의 영아보육시설의 환경과 서비스에 대한 만족도를 비교한다. 영아보육시설의 환경(종사자, 시설)과 보육서비스(건강·영양관리, 위생·안전관리, 부모 참여 및 지역사회 교류)에 관한 학부모와 종사자의 만족도의 차이를 비교하여, 영아보육의 현황을 주관적 수준에서 파악하고, 문제점을 지적 하고자 한다. 둘째, 영아보육시설 형태에 따른 만족도를 비교한다. 영아전담시설과 영·유아혼합시설로 나누어 각 시설에 영아보육을 맡기는 학부모와 영아보육을 담당하고 있는 종사자들의 만족도를 비교하여, 영아보육에 있어 어느 보육시설의 만족도가 더 높은가에 관해서 조사하고, 어떠한 형태의 보육시설이 영아보육을 위하여 적합한지에 관해 연구하고자 한다. 보육시설 운영 실태 조사대상 시설은 전주시에 소재한 6개소의 영아전담시설과 영·유아혼합시설인 어린이집 각각 10개소와 가정보육시설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자료 수집 방법은 보육시설에 종사하고 있는 운영자, 교사 및 이 시설을 이용하는 학부모를 대상으로 연구자 및 도우미가 직접 설문지를 가지고 면접조사하였다. 그 중 학부모 만족도 조사대상은 전주시 영아보육시설에 아이들을 맡기고 있는 부모 292명을 상대로 실시하였다. 영아 전담시설에 아이를 맡기고 있는 부모 146명, 영·유아 혼합시설에 아이를 맡기고 있는 부모 146명을 대상으로 한다. 시설종사자는 총 83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영아전담시설 종사자 37명, 영·유아혼합시설에서 영아를 전담 보육하는 종사자 46명을 대상으로 한다. 본 논문의 조사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보육시설을 이용하는 학부모와 종사자의 만족도 차이를 볼 수 있었다. 학부모는 영아보육환경의 영아보육시설, 위생·안전관리, 건강·안전관리, 부모 참여 및 사회교류, 종사자 순으로 만족도를 보였다. 반면에 종사자들은 위생 안전관리, 영아보육시설물, 건강·안전관리, 부모 참여 및 사회교류, 종사자 순으로 만족도를 나타내었다. 만족도 순위에 있어 영아보육시설, 위생·안전관리에 대해 순위가 다르기는 하였으나, 학부모와 종사자 모두 현재 전주시내 영아보육시설들에 대해 종사자에 대해 가장 만족도가 낮고, 다음으로는 부모 참여 및 사회교류에 대한 만족도가 낮았다. 이러한 부분에 대하여 만족도를 높일 때 비로소 영아를 둔 부모들에게 영아보육에 대해 걱정하지 않고 맡길 수 있는 사회적 여건이 마련된다고 보여 진다. 만족도가 낮은 사항에 대해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영아보육시설의 기타 종사자인 간호사·영양사 등의 배치, 자원봉사활용, 지역사회서비스제공, 가족 서비스제공, 아동 대 교사 비유 건강기록부 작성 및 체크, 건강 및 영양의 정보교류, 종사자의 응급상황대처 순으로 만족도가 낮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를 부문별로 살펴보면 종사자, 건강·영양관리, 부모참여 및 사회교류에 대한 항목이 각각 2개 항목이었고 위생 안전에 대한 항목이 1개 항목이었다. 이러한 만족도가 낮은 항목에 대하여는 학부모와 종사자 모두 별 차이 없이 낮은 만족도를 나타내어 영아보육에 대한 커다란 관점의 차이는 없는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이러한 항목들에 대하여 영아보육시설에서는 더욱 관심을 가지고 개선하여야 될 것이다. 둘째, 영아전담시설과 영·유아혼합시설 간 만족도 차이도 확인하였다. 영아전담시설과 영·유아혼합시설에 대한 만족도를 비교하여 보면 학부모들은 영아전담시설에 대한 만족도는 영·유아혼합시설에 비해 만족한다는 평가가 월등하였다. 종사자들은 학부모와 달리 영아전담시설에 대한 뚜렷한 만족도를 보이기보다는 부문별로 만족도의 차이가 달랐다. 보육시설, 위생·안전에 대해서는 영아전담시설에 대해 뚜렷이 만족도가 높았으나, 보육환경, 건강·영양, 참여교류부문에서는 영·유아혼합보육시설에 대한 만족도가 높았다. 이 부문에 있어서 종사자들의 만족도는 보육시설의 규모와 관련되어 나타났다. 즉 민간법인시설, 민간개인시설, 가정보육시설 순으로 만족도가 나타났다. 학부모들의 만족도가 영아전담시설이 확연히 높음에도 불구하고 종사자들의 만족도는 영아보육의 서비스에 대한 만족도 평가보다는 영아보육에 대한 업무로서 만족도 평가와 구별이 되지 않았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영아의 보육은 여성의 사회 참여 및 모성과 아동복지의 차원에서 가장 중요시되어야 되는 사회복지정책의 근간이라고 할 것이다. 앞으로 여성의 사회참여는 늘어날 것이며, 이에 있어 가장 중요한 걸림돌 중의 하나는 영아의 보육문제이다. 이에 대한 대책으로 현 정부의 대책은 이미 확충되어 있는 유아보육시설에 영아의 보육도 함께 맡기는 영·유아혼합보육정책으로 방향이 설정되어 시행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논문의 조사결과에서도 나타났지만 유아와 달리 교육에 대한 관심보다는 건강·영양에 대한 관리가 더 중요시되며, 안전·위생에 대한 관심을 더 기울여야 되는 영아에 대해 유아와 혼합하여 보육한다는 것은 영아의 발달 단계상 특성을 무시한 정책이다. 본 논문의 조사에서 나타난 것처럼 영아를 둔 부모와 보육을 담당하고 있는 종사자 모두 영아의 보육에 있어 영아전담시설에 대한 만족도가 영·유아 혼합시설보다 더 높다. 따라서 영아보육을 위한 최적의 환경 구성을 위하여는 영아보육을 위한 영아전담시설을 확대해 나가는 것이라고 판단된다. 본 연구의 한계는 다음과 같다. 첫째, 조사대상을 전국으로 확대하고 결과를 도출해 낸다면 영아보육서비스에 대한 일반화된 욕구와 그 기준을 마련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본 연구는 지역적으로 전주시에 거주하고, 현재 보육시설에서 영아를 보육하고 있는 학부모와 종사자를 대상으로 연구하였다. 따라서 연구 조사 대상의 범위를 전주시에 한정하고 있는 이 연구 결과를 우리나라의 영아보육서비스에 대한 학부모와 종사자의 견해로 일반화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둘째, 영아보육서비스에 대한 연구 부족으로 보육서비스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의견을 살펴볼 수 있는 설문지 구성에 한계가 있었다. 기존의 유아를 중심으로 하는 보육서비스에 대한 연구는 많이 진행되어 왔으나, 영아를 유아와 분리하여 연구되어진 영아보육환경에 대한 연구 자료가 부족하여 본 연구자는 유아 중심의 보육시설 평가항목 중 영아보육환경이 유아보육환경과 차이가 있음을 고려하여, 아동의 발달 이론적으로 타당한가와 생태문화적으로 타당한가 고려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영아 보육시설 평가에 대한 기준이 마련된다면 영아시설의 평가에 유용할 것이다. 셋째, 영아보육시설 이용자만을 조사대상으로 하므로 영아보육서비스에 대한 일반적 욕구를 포괄적으로 설명하는데는 한계가 있다. 영아보육의 필요성은 있지만 시설이용은 하지 않거나, 할 수 없는 다양한 상황에 있는 학부모의 의견은 반영하지 못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를 영아를 보육하고 있는 모든 학부모들의 의견으로 일반화하는데는 한계가 있다. 영아보육의 필요성을 가지고 있는 모든 학부모들의 의견을 조사한다면 영아보육서비스를 마련하는데 바람직할 것이므로 이에 대한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하겠다. With the development of industrial society, the social demand to bring out women who are engaged in home labor to social labor is gradually increasing. Accordingly, babies upbringing service is aggressively required by both the society and women who are to realize themselves through jobs. In addition, the importance of upbringing as a right of babies to be protected in accordance with their development phases becomes more emphasized. In the law of upbringing of babies and infants established in 1991, the basic concept of upbringing policy restricted the subject of upbringing-by the conventional principle of babies upbringing, liberalism, and democracy -to the babies and infants who cannot be protected by their parents (It can be extended to 12 years by the decision of the upbringing committee) in order to minimize the unnecessary national intrusion and to make it different from the infants upbringing system by the education law. The existing controversy over the terms of "care" and "education" ended, and the developed concept of "upbringing"-it means the two former concepts at the same time-appeared. According to the basic concept, the content of upbringing developed into a synthetic service which comprehends services to parents and interchanges with community, a s well a s education, nourishment, health, safety of babies. The point is to make a productive welfare business in which upbringing policy could lead to child welfare, women welfare, home welfare, and the development of the community. The present upbringing service of our country ignores the characteristics of babies and the parents' desire for babies upbringing service, and provides the policy of bringing up babies and infants at the same facilities, though they show different characteristics in the development phases. It makes the parents of babies worry about the safety and the quality of upbringing when they commit their babies to the care of the facilities. It also prevents the teachers from providing the babies who are not easy to bring up, compared with the infants, with the differentiated service. Although the recognition of the necessity of the facilities exclusively for babies is becoming widespread, the expansion of the facilities is avoided-thanks to the government's policy of mixing babies and infants education, a s well a s the operators' reluctance to upbring of babies. For this reason, it is hard to get the research materials about the facilities exclusively for babies upbringing, compared with the materials about the infant upbringing facilities. The actual proof research about the babies upbringing service-in the field of both study of social welfare and study of infants education-is absolutely deficient. The purposes of this study is to grasp the actual situation of babies upbringing in order to consider the babies upbringing level, to confirm the necessity of the facilities exclusively for babies so a s to increase the quality of babies upbringing service, to invoke the academic interest in the improvement of the babies upbringing service in both quantity and quality, and to provide basic materials for the expansion of the study of this field. It is meaningful to grasp the actual situation of the facilities and to s e t up the development direction in the position of service providers (operators and teachers), as well a s service users (parents). The babies upbringing facilities are divided into facilities exclusively responsible for babies and those taking responsibility for both babies and infants. The former is for bringing up babies under the age of three by the law of upbringing of babies and infants, while the latter is for bringing up children between ages of zero and six-it is also responsible for education of children under the age of twelve after class. This study is to compare both of the facilities and to consider the satisfaction with and views about the environment of babies upbringing facilities a s well a s the babies upbringing service. First, this study is to grasp the suitable environment for babies upbringing, though the law does not prescribe exclusively the babies upbringing facilities. Second, upbringing service is divided into health and nourishment, sanitation and safety, parents' participation, and an exchange of communities, while. the views of social welfare service provider and the users are colligated. Therefore, this study compares and analyzes the different views of parents and those who are engaged, points out the problem of the current babies upbringing service, and suggests the alternatives for the realization of the desirable babies upbringing service. The objec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satisfaction of parents and those who are engaged with the environment of babies upbringing facilities and the service is compared. In other words, the satisfaction with the environment-those who are engaged in upbringing service and the equipment-and the quality of service-health and nourishment care, sanitation an safety control, parents' participation and exchange of communities-are compared, and the problems of the present babies upbringing system are indicated. Second, the satisfaction by the forms of babies upbringing facilities is compared. The satisfaction of parents and those who are engaged with the facilities exclusively for babies and the facilities for babies and infants alike is compared, and it is also considered which is more suitable for babies upbringing. The objects of this research are six facilities exclusively for babies, located in Jeonju City, and ten child-care facilities at once for babies and for infants. To collect data, the researcher and his assistants interviewed -with the questionaire-the operators of upbringing facilities, the teachers, and the parents who use the facilities. The objects of parents' satisfaction research are 292 parents who commit their children to the care of the upbringing facilities in Jeonju City. 146 of them use the facilities exclusively for babies, while the other 146 use the facilities at once for babies and for infants. 83 of those who are engaged in ,the upbringing service are interviewed. The number of those who work in the facilities exclusively for babies is 37, whist 46 of them work in the facilities both for babies and for infant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 s follows. First, parents and those who are engaged showed different level of satisfaction. Parents are satisfied with the equipment, sanitation and safety control, healthcare and safety control, parents' participation and exchange of communities, and those who are engaged in the order. Meanwhile, those who are engaged are satisfied with sanitation and safety control, the equipment, healthcare and safety control, parents' participation and exchange of communities, and those who are engaged in the order. The order of 'the equipment' and 'the sanitation and safety control' is different. However, the result shows that both parents and those who are engaged are satisfied the least with those who are engaged, and parents' participation and exchange of communities are the next. To provide the social condition in which parents can commit their children to the care of the facilities without worry, the satisfaction of the above objects should be made higher. In detail, they are not satisfied with employment of nurse and dietitian, volunteer activities, community service presents, family service offer, the ratio of teachers to children, heath document record and check, information exchanges of health and nourishment, and the ability of the teachers to cope with the emergency situation in the order. Second, the satisfaction differences depend on the forms of the upbringing facilities. Parents are more satisfied with the facilities exclusively for babies than the facilities responsible for both babies and infants. Unlike parents, those who are engaged do not show conspicuous preference to the facilities exclusively for babies. For the equipment, sanitation, and safety, they are remarkably satisfied with the former, while for the upbringing environment, health and nourishment, and participation and exchanges, they show higher satisfaction with the facilities both for babies and for infants. Those who are engaged are satisfied with corporation facilities, nongovernmental private facilities, and home upbringing facilities in the order. Babies upbringing is the basis of social welfare policy which had the biggest importance in terms of women's social participation and child welfare. Women's social participation will be increased and the major obstacle is the problem of babies upbringing. The governmental measure is to make the already-established infants upbringing facilities responsible for babies upbringing also. A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e policy ignor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baby in the development phases. For babies, health and nourishment, safety and sanitation are more important than the education itself. Like the results of this study, both parents and those who are engaged prefer the facilities exclusively for babies. Therefore, for the most suitable environment, the facilities exclusively for babies need to be expanded.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f the objects of research are across the country, it is possible to get the generalized desire for the babies upbringing service, and to set the standard. However, the objects of this study are parents and those who are engaged-they live in Jeonju City and work for the facilities in Jeonju City. Therefore, it is hard to generalize from the results of this study, which restricts the objects to one city, and to regard them as wide-spread views of parents and upbringing teachers of our country. Second, the limitation in the questionaire makes it hard to find out more specific opinions on the upbringing service. There have been many studies about the upbringing service focusing on infants, but unfortunately, there aren't sufficient materials for the study of babies upbringing. The researcher took into consideration the fact that the environment of babies upbringing is different from the infants upbringing environment, and tried to figure out what environment is suitable in terms of development theory and ecological theory. It may be helpful to prepare the criteria to measure the babies upbringing facilities. Third, the fact that the research objects are only those who have used babies upbringing facilities makes it hard to explain comprehensively the general desire for the babies upbringing service. In other words, this study does not reflect the opinions of the parents who recognize the necessity of babies upbringing, but do not or cannot use the facilities. Therefore, it's hard to look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 s opinions of all the parents who are bringing up babies. It is certain that it is helpful to prepare the babies upbringing service to do research for the opinions of all the parents who recognize the necessity of babies upbringing. That's why the succeeding studies are needed.

      • 보육시설의 영아반 이용모의 보육욕구에 따른 영아보육서비스 개선방안

        임계자 대구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영아보육시설을 운영함에 있어 현재 영아보육시설을 이용하고 있는 이용모를 대상으로 보육시설에서 제공되는 서비스 실태를 알아보고, 또한 이용모들의 영아보육에 대한 욕구를 파악하여 최근 정부가 시행하고 있는 '영아보육활성화 방안'에 대한 이론적 근거를 제시하며 양질의 효율적인 영아보육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용모들의 영아보육욕구를 알아보기 위하여 일반어린이집과 영아전담어린이집과의 영아보육실태와 영아보육서비스에 관하여 비교·분석하였다. 이는 영아보육에 대한 부모의 의견을 영아보육시설 운영에 반영함으로써 양질의 영아보육시설의 확충과 기혼여성들의 취업률 증가로 인한 육아부담을 줄이고, 육아부담으로 인한 출산률 저하를 방지하며 더 나아가 신체적, 정서적, 심리적으로 중요한 발달기에 있는 영아들의 올바른 성장을 유도할 것으로 기대된다. 영아보육시설 이용모의 영아보육에 대한 욕구를 다각적으로 분석하기 위해 대구광역시 서구, 남구, 북구, 수성구, 달서구에 소재하고 있는 영아전담보육시설 5곳, 일반보육시설 5곳의 이용부모 200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배포하여 184부가 회수되어 92%의 회수율을 보였으며, 신뢰도가 떨어지는 설문지 10부를 제외하고 본 연구에서 최종적으로 174부의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은 연구를 위해 수집된 일반어린이집과 영아전담어린이집에 대한 물리적 환경, 영양·건강, 보육프로그램을 비교하기 위해 SPSS 11.0 for Window를 이용하였으며, 설문에 응답한 어머니의 일반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평균과 표준편차 그리고 빈도와 백분율을 이용하였고, 일반어린이집과 영아전담어린이집을 이용하고 있는 것에 따라 물리적 환경, 영양·건강, 보육 프로그램에 대한 생각의 차이가 있는가를 분석하고 위하여 x² 검증을 실시하였으며, 일반어린이집과 영아전담어린이집을 이용하고 있는 것에 따라 어린이집과의 거리, 환경, 놀이터의 필요성, 교사대 보육영아의 비율, 보육시간, 희망 보육시간, 부모교육의 횟수, 월평균소득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t-test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나타난 결론을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물리적 환경에서 바깥놀이터의 보유여부에서는 일반어린이집이 바깥놀이터를 더 많이 보유하고 있었으며, 바깥놀이터의 설치 필요성에 대해서는 영아전담어린이집 이용모가 더 필요하다고 응답하였다. 둘째, 영양·건강에서는 선호하는 영아간식유형과 감기나 예방접종의 경우 병원방문 및 진료를 위한 어린이집의 서비스제공 그리고 영아보육시설의 전담간호사 배치필요성 등에 대해서는 영아전담어린이집이용모가 일반어린이집이용모에 비해 영아의 건강과 안전을 더 많이 요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보육프로그램에 있어 신체적, 사회적, 심리적 보육프로그램의 우선 구성순위에는 두 집단간에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나, 부모교육에 대해서는 이용모의 직업에 따라서 부모교육의 내용과 횟수에서 차이를 나타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일반어린이집이용모에 비해 영아전담어린이집이용모가 물리적 환경, 영양·건강, 보육프로그램 등 전반적인 측면에서 좀더 적극적이고 수준 높은 영아보육을 원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를 위해서는 공급자 중심의 서비스에서 벗어나 보육대상과 이용모 입장에서의 수요자중심의 보육서비스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며, 좀더 적극적이고 효율적인 영아보육을 위해 일반어린이집과 영아전담어린이집간의 보육연령을 구분하여 보육하여야 할 것이며, 영아기아동의 신체, 심리, 사회적인 면의 고른 발달을 고려한 정부의 적극적인 영아전문보육프로그램의 개발 및 영아전담보육시설의 확충·지원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is study investigates the conditions of services of current day-care centers, finds out the desire of infant nurture by mothers, and presents' ways of enhancement for infant nurture' implemented recently by the government as a theoretical ground.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provide effective ways of improving the quality of infant nurture services. Two hundred infant mothers were surveyed as subjects, and in order to analyze the desire of infant nurture from various aspects, the subjects were chosen from five infant day-care centers and five general day-care centers in Daegu. This study computerized the statistics of 174 surveys. The survey was developed by the researcher with reference books, and it was composed of 34 items: 9 items for general features of infant day-care, 8 items for environment, 7 items for nutrition and health, and 10 items for day-care programs. The period of collecting data was from January 10th, 2003 to March 24th, 2003, and self fill-in method was adopted. The analysis of data was used by SPSS 11.0 for Window. The conclusions through the study are made as follows: In the physical environment aspect, first, infant day-care centers should have an outdoor playground, and, second, should meet the regulation that there should be more than two personal beds in a room. In the nutrition and health aspect, first, snacks ant infant day-care centers should be considered in the order of rice, vegetable porridge, boiled potatoes or boiled sweet potatoes, and frozen yogurt. Second, medical services for a cold or inoculations should be provided with a nurse. In the day-care program aspect, first, systematic educational programs should be provided for the development of infants in various areas such as intelligence, language, cognition, and physical strength. Second, parental educations concerning infant health and learning should be administered 3 to 4 times a year. The study shows that infant day-care centers reflect the desire of infant nurture in all aspects by mothers better than general day-care center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separate infants day-care centers from general day-care centers in order to reduce the cost of infant nurture for working mothers and to prevent the decrease of birth rate due to the high cost. The development of infant nurture programs and the expansion of infant day-care centers, which consider physical, psychological, and social aspects for infants, should be made by the government's progressive policy.

      • 영아보육교사의 정서지능과 조직문화가 역할수행에 미치는 영향

        신희정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8703

        This study in on variables affecting role performance of infant care teachers and aims at developing quality care service by means of role performance of infant care teachers. The research participants were 350 infant care teachers in nurseries in Seoul, Incheon and Gyeonggi area. The scale employed in this study was a revised and complimented version of the tool developed by Heegyeong Lee and Seongsu Kim (2000). To understand emotional intelligence, the study employed WLEIS(Wong and Law Emotional Intelligence Scale) developed by Wong and Law (2002) and adopted by Jihyeon Han and Taeyong Yoo (2005). For organizational culture, the study revised and complemented a scale developed by Insook Jo (2005) and Jina Kim (2008). For statistical analysis, t-test와 ANOVA, post posteriori test (Scheffé),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ere us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no difference by age when the effect of infant care teachers’ demographical variables on teachers’ emotional intelligence, organizational culture and role performance was examined. As for educational level, there was a difference in ‘counseling and emotional support’ a subordinated factor in role performance. As for career, there was a difference in ‘education and teaching activity’ a subordinate factor of role performance. As for working facility type, there was a difference in emotional intelligence and organizational culture. Second, there was correlation between infant care teachers’ emotional intelligence and organizational culture, and their role performance. It means the higher emotional intelligence and organizational culture they have, the better role performance they carry. Third, as for the relative explanatory power that effects on infant care teachers’ overall role performance and subordinate factors, ‘care and basic life guidance’, ‘education and teaching activity’, ‘counseling and emotional support’, ‘study and reflective practice’, ‘relational role’ – subordinate factors of performance – and emotional intelligence and organizational culture in the overall role performance from the highest order had significant variables. The impact on individual variables was higher to emotional intelligence and organizational culture both in subordinate factors of role performance and overall role performance. 본 연구는 영아보육교사의 역할수행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변인들에 관한 연구로 영아보육교사가 역할수행을 통하여 양질의 보육서비스를 제공 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서울, 인천, 경기 지역 어린이집에 근무하는 영아보육교사 35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된 척도로는 영아보육교사의 역할수행을 알아보기 위해 이희경, 김성수(2000)가 개발한 도구를 어린이집에 맞게 수정, 보완하여 사용하였고, 정서지능을 알아보기 위해 Wong과 Law(2002)가 개발하고 한지현과 유태용(2005)이 번안한 WLEIS(Wong and Law Emotional Intelligence Scale)를 사용하였다. 조직문화는 조인숙(2005)과 김진아(2008)의 척도를 어린이집에 맞게 수정, 보완하여 사용하였다. 통계분석을 위해서는 t-test와 ANOVA, 사후검증(Scheffé), Pearson의 상관분석, 그리고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영아보육교사의 사회인구학적 변인에 따라 교사의 정서지능, 조직문화, 역할수행에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본 결과 연령에 따라서는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학력에서는 역할수행 하위요인인 ‘상담 및 정서적 지원’에서 차이가 나타났으며, 경력에서는 역할수행 하위요인인 ‘교육 및 교수활동’과 ‘관련적 역할’에서 차이가 나타났다. 또한 근무시설유형에서는 정서지능과 조직문화에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영아보육교사의 정서지능, 조직문화는 영아보육교사의 역할수행과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즉, 영아보육교사의 역할수행을 위해서는 정서지능이 높을수록, 조직문화를 높게 지각할수록 역할수행을 높게 인식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영아보육교사의 역할수행 전체와 하위요인에 미치는 상대적 설명력을 살펴 본 결과, 역할수행 하위요인인 ‘보육 및 기본생활지도’, ‘교육 및 교수활동’, ‘상담 및 정서적 지원’, ‘연구 및 반성적 실천’, ‘관련적 역할’과 역할수행 전체에서 정서지능, 조직문화 순으로 영향력이 있는 변인으로 나타났다. 개별변인에 대한 영향력은 역할수행 하위요인과 역할수행 전체 모두에서 정서지능과 조직문화의 영향력이 높게 나타났다.

      • 영아반 교사의 음악교육활동 운영실태와 ‘영아보육프로그램’의 음악교육활동에 대한 활용 어려움과 개선방안

        김지혜 위덕대학교 교육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870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a direction to develop the music education activities of the‘Infant Care Program’by exploring infant teachers’operation of music education activities and their difficulties and improvement plans the activities of the‘Infant Care Program’By doing so, this study is expected to provide a direction for developing the music education activities in the 4th‘Infant Care Program’guidelines and guidebooks for teachers and for operating in-service teacher training for relevant institutions. According to the purpose, the research problems were established as follows: 1) How have infant teachers been operating the music education activities? 2) What difficulties do infant teachers have in using the music education activities in the ‘Infant Care Program’? 3) What do infant teachers improvement plans the music education activities in the ‘Infant Care Program’? (1) What do infant teachers improvement plans the presentation of the music education activities in the‘Infant Care Program’? (2) What do infant teachers improvement plans in-service teacher training in the context of the music education activities in the‘Infant Care Program’? To investigate infant teachers’ operation of music education activities and their difficulties and improvement plans the activities of the‘Infant Care Program’this study conducted a preliminary survey and revised and supplemented it to a final one, which was used for infant teachers living in City P, Gyeongsangbuk-do from Feb 7 to 22, 2019. The researcher made phone calls to the target institutions to gain consent, paid visits to distribute the questionnaire in order to increase the recovery rate, and re-visited the institutions a week later to collect the questionnaire. Out of the total of 280 survey sheets distributed, 254 were used for a final analysis, excluding 26 sheets that were poorly or partially answered. The results of this survey are as follows: First, it was revealed that over 69.2% of the teachers had been operating music education activities well in terms of the reflection of infant care plans, the utilization of the Infant Care Program, the application of infants’ variables, themes related to life, various activity types, various musical elements, the characteristics of a range of activities, a range of teaching materials, and assessment. When it came to the differences by teachers’ variable, the teachers who were at home daycare centers (the type of institution), who completed a graduate school (the highest education level), who had more than 15 years of teaching experience (total teaching experience), and who had taught infants for more than 15 years (infant teaching experience) were more likely to apply plans, and those whose highest education level was 4-year university tended to reflect themes related to life. The teachers whose total teaching experience was over 15 years and those who had not participated in assessment certification applied various musical elements, while those who had been teaching infants for 9-14 years were more likely to provide their young students with the opportunity for autonomous activity and exploration and organize and reflect activities with different features such as activities planned by themselves, active and inactive activities, and combination with other interest areas. Second, 13.4-32.7% of the teachers answered that it was difficult to use the music education activities of Infant Care Program, while 41.7-64.5% revealed it was not. More teachers found the Infant Care Program not difficult to generally understand and the purpose, goal, and activity methods of the music education activities not challenging. As for the differences by teachers’ variable, those whose highest education level was high school and who majored in children education lacked teaching expertise, and the teachers whose total teaching experience was 1-5 years or 9-14 years showed high scores in the working environment. Those who majored in infant care were high in material and facility, and the teachers whose total teaching experience was 9-14 years were high in inconsistent demand. In all criteria for difficulty, those whose highest education level was high school and the teachers whose total teaching experience was less than 1 year revealed high scores. Third, 57.1% of the teachers revealed demand for improving the music education activities of the‘Infant Care Program’. In terms of the type of institution, the teachers at home daycare centers showed high results in all criteria except for the development and distribution of materials. As for major, those majored in child education were high in the development and distribution of materials and training by age. The teachers who had participated in assessment certification were high in all criteria of specific and accurate explanation, the development and distribution of materials, training for teachers by age, and improvement plans. More than 93.7% of the teachers required in-service teacher training in infant music education. 본 연구는 ‘영아보육프로그램’의 음악교육활동 개발방향 등을 제시하기 위해서 영아반 교사의 음악교육활동 운영실태를 살펴보고,‘영아보육프로그램’음악교육활동의 활용 어려움과 개선방안은 어떠한지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통해 추후 4차 어린이집‘영아보육프로그램’해설서 및 교사용 지도서의 음악교육활동 개발 방향과 관련 기관의 현직교육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와 같은 연구목적에 따라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영아반 교사의 음악교육활동 운영실태는 어떠한가? 2) 영아반 교사의‘영아보육프로그램’음악교육활동에 대한 활용 어려움은 어떠한가? 3) 영아반 교사의 영아보육프로그램’음악교육활동에 대한 개선방안은 어떠한가? (1) 영아반 교사의 영아보육프로그램’음악교육활동 제시에 대한 개선방안은 어떠한가? (2) 영아반 교사의 ‘영아보육프로그램’음악교육활동 관련 현직교육 개선방안은 어떠한가? 본 연구는 영아반 교사의 음악교육활동 운영실태와‘영아보육프로그램’의 음악교육활동에 대한 활용 어려움과 개선방안을 알아보기 위하여 예비조사를 통해 수정, 보완 된 최종 설문지를 2019년 2월 7일부터 2월 22일까지 경상북도 P시에 위치한 영아반 교사들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여 설문조사하였다. 설문지 회수율을 높이기 위해 연구자가 조사대상 기관에 전화하여 동의를 얻고 직접 방문을 통하여 설문지를 배포하였고 설문지는 일주일 후에 직접 방문을 통하여 설문지를 회수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총 280부를 배포하였으나 이중 응답이 불성실하거나 누락한 문항이 있는 26부를 제외하고 총 254부를 최종 분석 자료로 사용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얻어진 결론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의 영아음악교육활동의 운영 실태는 69.2% 이상의 교사가 보육계획 반영, 영아보육프로그램 활용, 영아 변인반영, 생활주제, 다양한 활동유형, 다양한 음악요소, 다양한 활동성격, 다양한 교수자료, 평가 면에서 잘 운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교사변인 별 차이에서는 교사의 기관설립유형에서 가정어린이집 교사가, 최종 학력은 대학원졸, 총 교육경력은 15년 이상의 교사, 영아반 교육경력은 15년 이상의 교사가 계획반영을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교사의 최종 학력이 4년대졸 교사들이 생활 주제 반영을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사의 총 교육경력이 15년 이상의 교사와 평가인증에 참여하지 않은 교사가 다양한 음악요소를 반영하였고, 교사의 영아반 교육경력이 9∼14년 미만의 교사들이 영아의 자율적인 활동과 탐색의 기회를 제공, 교사가 계획한 활동, 정적활동, 동적활동, 다른 흥미영역과의 통합 실행 등 다양한 특성의 활동구성  운영 반영을 많이 하였다. 둘째, 13.4∼32.7%의 교사는 영아보육프로그램의 음악교육활동에 대해 활용하기 어렵다고 하였고, 41.7∼64.5%의 교사들은 활용하기 어렵지 않다고 하였다. 영아보육프로그램을 전반적으로 이해하기 어렵지 않았고, 음악교육활동의 목적 및 목표, 활동 방법이 활용하기 어렵지 않다는 교사들이 어렵다는 교사보다 더 많았다. 그리고 교사변인 별 차이에서는 고졸인 최종 학력과, 아동학 전공 교사들이 교사지식이 부족하였고, 교사의 총 교육경력은 1∼5년 미만과 9∼14년 미만의 교사들이 근무환경 면에서 높게 나타났다. 보육학 전공 교사들이 자료시설 면에서 높게 나타났고, 교사의 총 교육경력이 9∼14년 미만의 교사들이 요구불일치 면에서 높게 나타났다. 어려움의 전체 항목에서 교사의 최종 학력이 고졸이고, 총 교육경력이 1년 미만 교사들이 높게 나타났다. 셋째, 57.1% 이상의 교사들이‘영아보육프로그램’음악교육활동에 대한 개선 요구도가 나타났다. 기관설립유형별로 가정어린이집 교사들이 자료 개발 보급을 제외한 모든 항목에서 높게 나타났고, 전공은 유아교육을 전공한 교사들이 자료 개발 보급과 연령별 연수에서 높게 나타났다. 평가인증 참여한 교사들이 구체 명확 설명, 자료 개발 보급, 연령별 교사연수, 개선방안 전체 항목에서 높게 나타났다. 교사들은 영아음악교육에서의 현직교육에 대한 필요성을 93.7% 이상 요구하였다.

      • 영아보육시설에 대한 어머니의 보육서비스 요구도

        신희숙 총신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영아보육시설을 이용하는 어머니의 요구에는 질적인 차이가 있을 것을 전제하여 영아보육시설의 시설유형, 운영주체, 어머니의 배경변인(취업유무, 가정 소득)에 따른 어머니의 보육서비스 요구도를 알아보아 보육서비스 향상을 돕고자 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와 같은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시설유형(영아전담 보육시설, 영유아 보육시설)에 따른 어머니의 보육 서비스 요구도는 어떠한가? 1-1. 영아전담보육시설에 자녀를 보내는 어머니의 보육 서비스 요구도는 어떠한가? 1-2. 영유아 보육시설에 자녀를 보내는 어머니의 보육 서비스 요구도는 어떠한가? 2. 운영주체(국·공립 보육시설, 민간 보육시설)에 따른 어머니의 보육 서비스 요구도는 어떠한가? 2-1. 국·공립 보육시설에 자녀를 보내는 어머니의 보육 서비스 요구도는 어떠한가? 2-2. 민간 보육시설에 자녀를 보내는 어머니의 보육 서비스 요구도는 어떠한가? 3. 어머니의 배경변인(취업유무, 가정 소득)에 따른 어머니의 보육 서비스 요구도는 어떠한가? 3-1. 어머니의 취업유무에 따른 보육 서비스 요구도는 어떠한가? 3-2. 가정 소득에 따른 어머니의 보육 서비스 요구도는 어떠한가? 연구대상으로는 인천시 소재의 영아전담 보육시설, 국공립 보육시설, 민간 보육시설을 이용하는 영아의 어머니 400명을 대상으로 하여 설문지를 배부 및 회수하였고, 그 중 195부를 최종 분석에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은 빈도분석(Frequency), t검증, 일원변량분석(ANOVA)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은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시설유형(영아전담 보육시설, 영유아 보육시설)에 따른 어머니의 보육서비스 요구도에 대한 결과는 유의한 차이를 보였는데, 이는 영유아 보육시설의 어머니들이 영아전담 보육시설의 어머니들에 비해 '물리적 환경', '영양·건강·안전', '프로그램', '지역사회의 지원' 영역을 더 높게 요구했다. 둘째, 운영주체(국공립 보육시설, 민간 보육시설)에 따른 어머니의 보육서비스 요구도에 대한 결과는 유의한 차이를 보였는데, 이는 민간 보육시설의 어머니들이 국공립 보육시설의 어머니들에 비해 '영양·건강·안전', '교사'의 질적 수준 영역을 더 높게 요구했다. 셋째, 어머니의 취업유무에 따른 어머니의 보육서비스 요구도에 대한 결과 유의한 차이를 보였는데, 이는 취업을 한 어머니들이 미 취업모에 비해 '물리적 환경', '영양·건강·안전' 영역에 대하여 더 높게 요구했다. 또한 가정 소득에 따른 어머니의 보육서비스 요구도에 대한 결과 유의한 차이를 보였는데, 이는 어머니의 가정 소득이 낮을수록 '물리적 환경', '영양·건강·안전', '프로그램', '지역사회의 지원' 영역에 대해 더 높게 요구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contents of daycare center program for 0-3 children, in consideration of the type of daycare facilities, operators, and their own background variables including job and family income. It's basically meant to lay the groundwork for enhancing daycare services. The research questions were posed as follows: 1. Do the types of facilities make any differences to mother needs for daycare services? 1-1. What are mother's needs for daycare services provided by daycare center for infant only? 1-2. What are mother needs for daycare services provided by daycare center for 3 year olds? 2. Do the operators of the facilities make any differences to mother needs for daycare services? 2-1. What are mother needs for daycare services provided by public daycare center? 2-2. What are mother needs for daycare services provided by private daycare center? 3. Do the background variables of mother make any differences to her needs for daycare services? 3-1. What do working mothers and full-time mothers require from daycare services? 3-2. What are mother needs for daycare services by family income?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400 mothers whose infants were attending daycare centers for infant only, public daycare centers and private daycare centers in the city of Incheon. After a survey was conducted, the responses form 195 people were chosen for analysis. In data processing, frequency analysis, t-test and ANOVA were employed.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below: First, the types of facilities had a significant impact on the mothers' needs. Those who used daycare centers for infant and preschoolers asked for better physical setting, higher nutritional, health and safety management, better-quality program and larger support from local community, compared to the others who used daycare centers for infant only. Second, their need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the operators. The mothers from the private daycare centers placed more stock in nutritional, health and safety management and teacher qualifications than the others from the public daycare centers. Third, whether or not they were working exercised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ir needs. The working mothers put more stress on physical setting, nutritional, health and safety management than the full-time homemakers. In addition, their needs significantly varied with family income. Those with smaller family income asked for better physical setting, higher nutritional, health and safety management, higher-quality programs and more support from local commun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