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영성형성을 위한 기독교교육에 관한 연구 : 파머 파머와 그룹홈 사역을 중심으로

        박마리아 장로회신학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8703

        현재 한국교회는 기존에 봉착한 교회학교 및 다음 세대의 신앙 위기 문제뿐 아니라 위드 코로나 시대로 인해 개인과 공동체의 영성 또한 더욱 위태로운 상황에 처해 있다. 이러한 분위기 속에서 세상뿐만 아니라 교회조차도 손닿지 못한 채 사각지대로 밀려나고 있는 위기 아동들의 삶에 대해 한국교회는 기존의 문제와 함께 그리스도인으로서 소외된 이들의 신음에 반응해야 할 책임이 있다. 위기 아동들은 자신이 하나님의 자녀라는 사실과 버림받은 것이 아니라 연약한 부모를 통해서라도 지켜내져 하나님의 인도하심과 부르심을 받은 소중한 존재라는 사실을 알지 못한 채 방황하며 살아갈 수밖에 없는 상황에 놓여있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본 연구의 목적은 이러한 위기 아동이 속한 그룹홈 사역을 대상으로 그들이 진리이신 하나님과 참 자아 그리고 그들의 꿈과 소명을 마주할 수 있도록 하는 영성형성을 위한 기독교교육을 제안하는 것이다. 파머는 기독교 영성을 바탕으로 그의 교육 사상을 논하고 있으며, 특히 그의 영성형성으로서의 교육은 기독교교육과 밀접한 상관성을 지닌다. 파머는 영성이란 참 자아를 발견하고 진리를 통해 하나님의 형상으로 회복되며, 나아가 새로운 피조물로서 우리가 하나님께서 부여하신 소명을 찾아 공동체와 더불어 살아가는 것이라고 이야기한다. 이 논리를 바탕으로 볼 때 그룹홈 아동들에게 영성형성은 강력하게 요청되는 기독교교육이며, 따라서 본 연구는 파머가 영성형성으로서의 교육으로 제안하는 세 가지 영성 훈련과 변화를 위한 교육으로서의 새로운 전문인을 중심 원리로 선택하였다. 파머가 이야기하는 진리에 대한 순종이 실천되는 공간으로서 세 가지 영성 훈련과 변화를 위한 교육이라는 가르침 즉, 영성형성을 위한 기독교교육을 통해 그룹홈이 하나님의 자녀로서 정체성을 발견하고, 그들을 부르신 소명을 따라 살아갈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것이 본 연구의 내용이며 논지이다. 이를 바탕으로 그룹홈 사역을 중심으로 한 영성형성을 위한 기독교교육의 실천방안을 제시할 것이다.

      • 영성형성을 위한 '세례영성' 프락시스 모델 연구 : -생명수교회를 중심으로-

        서지영 백석대학교 기독교전문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그리스도인의 영적정체성 약화를 세례영성의 문제로 인식하고, 영성형성을 위한 세례영성 프락시스 모델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에, 세례영성의 개념을 도출하고, 개혁주의생명신학의 7대 실천운동과 연계한 세례영성 실행 방안을 제안하였다. 고대교회의 영성은 그리스도의 죽음과 부활의 패턴대로 사는 삶이다. 연구자는 이를 성경의 세례 이미지와 연결시켰다(롬 6:5). 즉, 세례영성은 그리스도의 사건을 받아들이는 영적인 삶으로, 하나님과 연합을 추구한다. 영성형성은 그 과정이라고 할 때, 하나님과 연합을 추구하는 전 과정이 된다. 이러한 의미에서 초대 교회의 영성형성은 세례의 과정이었다. 그들은 일평생 죽음과 부활의 신앙 안에서 살았으며, 이는 목회 현장에서 세례영성의 중요성을 한층 강화시켜 주는 근거가 된다. 구성으로는 세례영성의 통합적 이해를 위해 초대부터 근현대까지 세례영성의 역사를 고찰한 후, 세례영성 프락시스로서 교육과 훈련, 예식서를 개혁주의생명신학 7대 실천운동과 연계하여 실증적으로 제시하였다. 세례영성 실천 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으로는 ‘영적생명운동’을 통한 세례 전·중·후 교육으로 『디다케』, 『세례로의 초대』, 『개혁주의 신앙고백서』의 교육지도안을 제시하였다. 둘째, 훈련으로는 말씀과 기도훈련을 실증적으로 제시하였다. 개인적 훈련으로는 ‘신앙운동’을 통한 렉시오 디비나, 영성일기, 공동체적 훈련으로는 ‘기도성령운동’을 통한 잠언·시편읽기, 중보기도, 주기도문, 교회력 영성기도, 회중의 참여기도를 제시하였다. 셋째, 생명수교회의 세례예식 시행규칙과 세례영성을 강화한 예식서 모델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가치는 시대별 영성과 세례영성의 함의를 밝혀 간학문적 방법을 시도한 점과, 개혁주의생명신학의 실천적 보고로서 교육과 훈련과 예식서를 제공하여 세례영성의 개념을 목회 현장에 실증화시켰다는 데 있다.

      • 영성형성을 위한 통전적 기도모형의 개발에 관한 연구 : '세겹줄기도'의 개발과 적용

        이효근 백석대학교 기독교전문대학원 2014 국내박사

        RANK : 248703

        국문초록 영성형성을 위한 통전적 기도모형의 개발에 관한 연구 - ‘세겹줄기도’의 개발과 적용 - 본 논문은 영성 형성을 위한 통전적 기도모형의 개발과 적용에 관한 연구이다. 한국개신교회는 기도를 실천하는 훌륭한 전통을 물려받아 기독교 역사상 유례가 없는 양적 성장을 이루었다. 그러나 급격한 성장과정을 거치면서 다양하게 유입된 신학 사조에 의해 왜곡된 영성―이원론적 영성, 이성부재(말씀부재)의 영성, 혼합주의(종교다원주의) 영성 등―구조가 형성되는 심각한 휴유증을 앓고 있다. 선교 초창기 성경적 비전을 펼쳐가는 선한 영향력으로 교회 안팎에서 강력한 영적 권위를 인정받았던 한국개신교회는 이제 더 이상 세상에서 빛을 발하고 질서를 창출하는 주체가 아니라 도리어 세상을 어둡게 하고 무질서를 조장함으로써 세상으로부터 배척당하는 객체로 전락된 느낌마저 든다. 간단없이 강단에서 복음이 전파되고, 기독교 윤리가 교육되고 있는데도 교회 안팎에서 부정적이고 비판적인 현상이 심화되는 이유는 무엇일까? 본 연구는 그 원인을 한국개신교회가 영적으로 성숙하지 못한 영적 미숙아의 상태에서 찾고, 한국개신교회와 성도들을 향해 ‘영성형성’이라는 지향적 주제와 영성 훈련의 한 요소인 ‘기도’를 그에 대한 해결 방안으로 제시하고 있다. 본 논문은 다음과 같은 세 가지 목적을 가지고 설계되었다. 첫째, 기도에 대한 올바른 성경적 이해를 통해 한국교회와 성도들로 하여금 믿음의 정상적인 훈련을 감당하게 함으로써 풍성한 하나님의 은혜를 경험할 수 있도록 돕고자 함이다. 둘째, 성경에 나타나는 영성에 대한 올바른 개념들을 정립함으로써 한국교회와 성도들이 통전적인 영성형성을 추구할 수 있도록 돕고자 함이다. 셋째, 영성형성을 위한 통전적 기도의 한 모형을 개발하고, 그것을 적용하는 효과적인 방법을 제시함으로써 한국교회와 성도들로 하여금 통전적인 영성형성을 위한 실제적 훈련에 도움을 주고자 함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문헌을 중심으로 기도에 대한 성경적 이해와 신학적 의미, 영성과 영성형성에 대한 이해, 영성형성과 기도와의 관계, 기도의 유형들에 대한 논의를 병행하여 진행하였다. 본 논문에서 개발한 ‘세겹줄기도’는 기도가 믿음을 표현하는 행위라는 관점에서 접근되며, 믿음이 갖는 특징 세 가지를 주된 요소로 하여 고안된 기도모형이다. 다시 말해 ‘세겹줄기도’는 하나님과의 관계에서 기도로 나타날 수밖에 없는 참된 믿음을 전제로, 기도의 원리나 태도들―존재론적으로 ‘성령 안에서 기도하라’, 방법론적으로 ‘말씀을 통해서 기도하라’, 목적론적으로 ‘행함(삶)을 통해 기도하라’―을 각각 하나의 줄로 설정하고, 그 세 개의 줄을 하나로 통합시킨 통전적인 기도모형이다. 그런 점에서 ‘세겹줄기도’는 기도의 내용이나 형태의 특징을 따라 명명되어진 다른 유형의 기도들과는 구별되며, 다른 유형의 기도들이 드려질 때 방향을 제시하는 기도의 길라잡이라고도 할 수 있다. ‘세겹줄기도’는 전도서 4:12에서 아이디어를 얻은 것으로, 상징적으로도 쉽게 끊어지지 않는 강력한 기도모형이다(전 4:12). 아울러 ‘세겹줄기도’는 본 연구 제5장에서 논의된 것처럼 인간의 구조적 통전(영혼, 정신, 몸), 인간의 관계적 통전(하나님, 자기 자신, 이웃, 자연세계), 인간의 실존적 통전(창조, 타락, 구속), 을 포함하는 통전적 기도모형이기도 하다. 그러므로 ‘세겹줄기도’를 기도생활에 적용함으로써 기대할 수 있는 가치와 공현들은 다음과 같다. 첫째, ‘세겹줄기도’는 기도신학의 부재를 해결하는 하나의 방책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둘째, ‘세겹줄기도’는 통전적 영성형성을 위한 유용한 수단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셋째, ‘세겹줄기도’는 영성형성의 거시적 접근을 가능하게 하는 기도의 길라잡이로서 역할을 감당할 수 있을 것이다. 넷째, ‘세겹줄기도’의 적용을 위해 수용을 제안한 두 틀(frame), 즉 QT와 렉시오 디비나는 수행자들의 기도생활에 있어서 선택의 폭을 넓혀줌으로써 공동체 내의 영적 사각지대를 줄여나가는 데 일조할 수 있을 것이다. 주제어: 영성, 영성형성, 기도, 기도신학, 기도유형, ‘세겹줄기도’, 거룩한 독서

      • 기독교 생활공동체르 통한 영성형성에 대한 연구 및 제언 : 예수원 회원의 경험을 중심으로

        홍수정 장로회신학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8702

        본 논문은 기독교 생활공동체를 통한 영성형성에 대한 연구이다. 구체적인 사례로서, 예수원의 공동체 경험을 중심으로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연구 과정과 방법은 먼저 예수원 회원 가운데 4명을 연구 참여자로 요청하고, 이들을 대상으로 개인별 심층 면담을 통해 그들의 전체적인 공동생활의 내용과 경험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였다. 이렇게 수집된 정보들을 통해 먼저 예수원의 공동생활을 공동예배, 개인기도, 노동, 교제(코이노니아), 자유 시간 등 다섯 영역으로 나누고, 이 다섯 영역의 생활 체험들을 근거이론의 질적 연구방법을 통해 범주화하여 분석하였다. 동시에 이러한 공동생활 경험을 여러 영성학자의 영성형성 이론들에 비추어 대조하고, 범주화된 체험의 중심현상을 중심으로 해석하였다. 이런 연구 과정을 통해 공동체 생활 가운데 어떠한 요소가 영성형성에 형성적인 작용을 하고 있는지 밝히고, 또 그 요소들을 분석하여 그로부터 어떤 원리를 발견할 수 있는지 탐구하였다. 한편 공동체 생활은 개인의 영성형성에 형성적인 작용을 할 수도 있고, 역으로 반형성적 작용을 할 수도 있다는 것을 연구 참여자들의 실제 경험에서 발견할 수 있었다. 따라서 공동체 생활의 영성형성이 긍정적이며, 형성적인 방향으로 전환될 수 있는 보완 방안을 제언하면서, 개인의 영성형성뿐만 아니라 공동체의 성장에도 유익이 될 수 있는 길을 함께 모색하는 것에 본 논문의 연구 의의를 두고자 한다.

      • 어린이 영성형성을 위한 교회학교 교사교육 : - 이야기 중심으로 -

        최영애 백석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8702

        본 연구는 교사가 어린이의 영성형성을 돕기 위해 이론적인 고찰을 통한 이야기 중심의 어린이 영성형성 교육 제안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방법은 이야기 중심의 어린이 영성 모델방법을 모색하기 위해 문헌연구를 채택하였다. 연구 문제는 첫째, 어린이 이해와 교사개념, 그리고 교회교육은 무엇인가? 둘째, 영성이란 무엇인가? 셋째, 일반영성과 기독교영성의 교육적 방향성은 무엇인가? 넷째, 어린이 영성교육과 교육의 방향성은 무엇인가? 다섯째, 어린이 영성과 이야기는 무엇인가? 여섯째, 어린이 영성형성-이야기 중심의 교육은 무엇인가? 이다. 연구결과는 어린이 영성은 하나님의 선물로 성경 이야기 속에서 하나님과의 관계 속에서 감각 의식과 감성적 종교적 경험, 어린이의 전인적이며 통전적 삶의 과정이라고 하였다. 이것을 토대로 교사를 위한 ‘스토리텔링 영성형성’ 교육을 제안하였다. 교육 목적은 교사는 영적 존재인 어린이가 성경 이야기 속에서 하나님과 관계적 만남을 맺으며, 정체성 형성과 초월적 하나님의 사랑과 성령의 은혜로 예수 그리스도의 복음을 알고 닮아가며, 원래의 하나님의 형상대로 회복해 가도록 돕는 것이라고 하였다. ‘스토리텔링 영성형성’ 교육은 첫째, ‘성경 이야기’이다. 어린이가 성경 이야기 속에서 하나님과 관계적 만남과 다양한 사람들과 만남을 갖도록 도우며, 어린이가 자신을 발견하고 정체성을 형성하며, 소명을 찾고 세계와 이웃, 나와의 이야기를 만들어 가도록 돕는 교육이다. 둘째, ‘예배-신앙공동체 이야기’이다. 어린이가 예배를 통한 신비적 경험으로 헌신의 다짐과 신앙의 의미, 세계관 형성, 전인적이며 통전적인 영성형성 교육의 장이 되도록 해야 한다. 셋째, ‘다감각적인 경험 이야기’이다. 어린이가 신비의 감각인 감탄, 경이, 초월성을 성경 이야기 속에서 다감각적으로 경험하며, 성경 이야기를 자신의 삶과 연결시켜 변형을 경험하도록 돕는 교육이라고 하였다. 결과적으로 본 연구는 교회학교 교사교육을 위해 이야기 중심의 영성이란 주제를 탐구하여 기독교 영성이 추구하는 핵심적 요소를 구분하였으며, 이것을 바탕으로 연구자는 ‘스토리텔링 영성형성’ 교육을 통하여 이야기 중심의 어린이 영성형성의 정의를 마련하고, 교사교육에 어린이 영성교육을 위한 실천적 적용이 가능한 교육을 제안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주제어 : 어린이, 교사, 교회교육, 영성, 기독교 영성, 어린이 영성, 이야기, 스토리텔링 영성형성 교육 ABSTRACT Church School Teacher Education for Children's Spiritual Formation - Centered on the Story - Choi, Young Ae Directed by Professor Joo, Jeong Gwan Department of Christian Education The Graduate School of Baekseok Univers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 teacher training for children's spiritual formation centered on Bible stories through theoretical consideration so as to help teachers to form children's spirituality. Literature research was adopted to explore story-centered children's spirituality model method. Here are some research questions. First, What are children's understanding, teacher concept, and church education? Second, What is spirituality? Third, What is the educational direction of general spirituality and Christian spirituality? Fourth, What are spiritual education for children and the direction of education? Fifth, What are children's spirituality and story? Sixth, What is the children's spiritual formation education centered on Bible stories?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 that children's spirituality is a gift from God, and it is a process of sense consciousness, emotional religious experience, and holistic and holistic life of children in the relationship with God in Bible stories. Based on this, A storytelling spirituality formation education was suggested for teachers. The purpose of the education is that teachers help children, who are spiritual beings, to have a relational encounter with God in Bible stories, to form identity, to know and resemble the gospel of Jesus with the love of transcendent God and the grace of the Holy Spirit, and to restore to the origianl image of God. What is storytelling spirituality formation education? First, It is the story of the Bible. It is an education that helps children to have relational encounters with God and various people in bible stories, helps children to discover themselves, form their identity, find their calling, and make stories with the world and neighbors. Second, it is the story of the worship-faith community. The mystical experience through worship should be the place of education for children to pledge their devotion, the meaning of faith, form a world view, and form a holistic and holistic spirituality. Third, it is a multi-sensory experience story. It is an education that helps children to experience multi-sensory experiences of admiration, wonder, and transcendence, which are the senses of mystery, in Bible stories, and to experience transformation by connecting Bible stories with their lives. As a result, this study divided the core elements pursued by Christian spirituality by exploring the theme of story-centered spirituality for church school teacher training. Based on thi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provided a definition of story-centered spirituality formation for children through storytelling spirituality formation education and suggested an education that can be practically applied to teacher training for children's spirituality education. Key Words: Children, Teachers, Church Education, Spirituality, Christian Spirituality, Children's Spirituality, Storytelling, Storytelling Spiritual Formation Education

      • 찰스 웨슬리의 영성형성 연구 : A Study on the Spiritual Formation of Charles Wesley

        김정민 감리교신학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8701

        21세기에 접어들면서 기독교는 정치적·경제적·사회적 성공을 위한 수단의 하나가 되어버렸다. 최근 20~30년 사이에 교회가 사회에 비난을 받는 일이 많아지고있다. 사실 오랫동안 기독교 영성은 자본주의와 번영신학에 가려졌다. 현대 기독교와 그리스도인들이 사회로부터 비난을 받는 이유는 기독교와 그리스도인들에 대한 세상의 기대에 미치지 못하기 때문이다. 이에 대한 반작용으로 교회 내부에서 개혁의 움직임이 일어나기 시작했고, 한국교회는 그 해결의 실마리를 기독교 영성에서 발견하였다. 기독교 신앙은 개인과 공동체의 삶에서 영성을 형성해 나아가는 것이다. 기독교 영성이란 하나님을 체험하는 능력, 하나님을 체험하는 삶이며, 기독교영성형성이란 영성을 삶에서 이루는 것이다. 영성형성은 영적 성장 또는 영적 진보(Spiritual Growth)와 영적 성숙(Spiritual Maturation)을 아우르는 표현이다. 형성이 시작되면서 성장과 성숙이 일어나고 일련의 과정을 거쳐 합일 또는 연합의 단계에 도달하게 된다. 하지만 합일 또는 연합의 단계에 이르렀다고 해서 방심해서는 결코 안된다. 영성의 특성상 언제든지 퇴보할 수 있기 때문이다. 영적 성장과 성숙은 메토디즘 교리에 따르면 ‘성화(聖化, sanctification)’로 표현된다. 성화와 영성은 동일하게 ‘그리스도를 닮아가는 삶’을 의미한다. 성화를 추구하는 그리스도인은 영성이 형성되고 영성이 나타난다. 그 영성은 신자에게 나타나는 성령의 적극적인 증거로 인해 다른 사람들에게 영향을 끼친다. 영향을 받은 사람은 그리스도를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체험하면서 신앙이 생기고 영성을 형성하기 시작한다. 따라서 현대 교회와 교인들은 먼저 자신의 영성을 돌아보고 성찰하는 것이 시급하다. 이를 위해 우리는 먼저 기독교 영성과 영성형성의 참된 의미를 알아야 한다. 그 기반으로 삶에서 작은 것부터 실천해야 한다. 이를 위해 필자는 현대 교회와 교인들에게 찰스 웨슬리라는 탁월한 모델을 제시하는 바이다. 찰스 웨슬리의 영성의 핵심은 ‘사랑으로 역사하는 실험적이고 실천적이고 체험적인 믿음의 영성’(The experimental, practical and experiential spirituality of faith working by love)이다. 찰스 웨슬리는 생의 마지막까지 예수를 바라고 노래하며 - viii -자신의 영성, 곧 사랑으로 역사하는 실험적이고 실천적이고 체험적인 믿음의 영성을 형성하였다. 그 모든 과정은 결코 찰스 웨슬리 혼자만의 힘으로 이뤄지지 않았다. 아드리안 반 카암의 형성이론과 부합하여 그의 영성이 형성되는 데에는 많은 사람들―찰스의 증조부, 조부, 부모, 두 형 사무엘과 존, 윌리엄 로우, 진젠도르프, 피터 뵐러, 존 브레이 등―의 도움과 다양한 사건 · 상황을 통한 신적 개입이 있었다. 그 과정에서 언더힐의 영성형성 5단계―신 인식의 각성(The awakening of the Self), 정화(Purgation: a state of pain and effort), 조명(Illumination), 신비적 고통 또는 신비적 죽음(mystic pain or mystic death), 합일(Union)―가 그의 인생 전반―옥스퍼드 신성회, 조지아 선교, 회심, 가족의 고난, 노년과 임종―에 걸쳐 나타났다. 찰스 웨슬리의 삶과 노래로 표현된 그의 영성은 당시 사회에서 소외된 가난한 사람들, 일용직 근로자들, 병자들에게 전이되었다. 전이된 찰스 웨슬리의 영성은 메토디스트 공동체의 영성으로 확장되었다. 18세기 메토디스트들은 찰스의 찬송시를 부르면서 그의 영성뿐만 아니라 메토디즘 교리를 배우고 메토디스트 공동체 영성을 형성할 수 있었다. 찰스 웨슬리의 영성은 찬송시를 통해 발현되었으며 그의 영성이 담긴 찬송시는 아메리카 대륙으로 전해졌고, 아메리칸 메토디스트들의 영성생활에 큰 영향을 주었다. 그의 영성형성의 지표는 충분히 이 시대를 살아가는 우리에게 좋은 본이 된다. 그의 영성형성의 흐름과 그가 시도하고 고군분투한 훈련들은 여전히 유효하다. 기독교 영성과 영성형성의 전이해의 토대 위에 우리 자신에게 맞는 방법을 적용하면서 우보만리(牛步萬里)하면 한국교회의 영성은 크게 진보·성숙하게 될 것이다. 찰스의 영성형성의 중심은 오직 예수였다. 그는 예수를 만나기를 간절히 원했고 예수는 그의 갈망에 응답하였다. 찰스는 일평생 구원받은 은혜와 사랑에 힘입어 “나 진심으로 당신을 사랑한다고” 주님께 고백하고 세상에 선포하였다. 찰스의 간절하고 진심어린 신앙고백이 한국감리교회 메토디스트들의 영성으로 형성되기를 염원한다.

      • 영,유아 영성 형성을 돕는 성인초기부모영성교육

        손은경 장로회신학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8701

        본 논문은 영유아 자녀영성형성을 돕는 성인초기를 대상으로 한다. 첫아이의 나이를 유(乳)아기 3세(36개월) 이전으로 제한한다. 이때까지 부모의 절대적인 도움이 필요로 할 때이며 어린 유아들을 양육하는 부모들의 부부관계에도 많은 갈등과 위기가 오기 때문이다. 이 시기 부모들에게 적합한 부모교육, 부모자신이 다시 하나님 앞에 설 수 있도록 도와줄 수 있는 영성형성을 돕는다. 레빈슨의 삶의 주기 이론, 에릭슨의 심리사회적 발달이론, 콜버그의 도덕발달 이론, 파울러의 신앙발달 이론에서 성인초기를 이해해 보며 인습성을 지나 탈인습성의 특징을 지니는 성인초기 시기를 위해서 이들을 위한 성인교육을 한다. 또한 성인초기의 부모됨의 모습을 이해해 보기 위해 가족주기를 알아보며 갈린스키의 부모 발달단계와 성인초기 부모와 자녀관계에 대해 생각해 보며 종교적 경험으로까지 확장시켜 보도록 한다. 영유아 영성에 대해 살펴보면서 영유아 대상을 신체적, 인지적, 정서적, 사회적 특성(성격)으로 살펴 본다. 영유아 영성을 살펴보기 위해 영.유아의 영적특성과 영성교육자들의 영성이해를 통해 어린이 영성연구가들에게 나타나는 어린이 영성의 공통점을 도출해 보며 이를 통해 영유아가 어렸을 때 영성 형성을 위해 부모의 도움이 필요하다. 영유아 영성형성 교육방향으로 영유아가 영성적 정체성을 형성하도록 하나님과 부모와 관계성을 가지며 감각과 감성으로 영성이 형성될 수 있도록 영유아가 몰입할 수 있는 장을 열어주는 영적환경을 만들어 주도록 해야 한다. 변형적 이야기를 통해 부모스스로 영성적 정체성을 형성한 후 가정생활에서의 5가지 관계들의 우선순위를 정리하여 성경적 부모됨의 지혜를 알아보며, 성인 영성 형성 교육의 감각적 모델인 “센싱 큰 나무”를 통해 감각적으로 영성 형성 교육을 할 수 있도록 돕는다. 영성형성을 위한 영적환경으로서 가정에서의 자녀와 함께하는 가정예배를 통해 자녀영성을 돕는 부모영성 형성 교육해야 할 것이다.

      • 이야기를 통한 부모-자녀(어린이) 영성형성 교육

        이명숙 장로회신학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8700

        본 논문은 부모와 자녀가 기독교 신앙 안에서 함께 영적으로 동반성장하는 교육적 생태계를 제시하는 것으로, 일상에서 가장 쉽게 접할 수 있는 이야기를 매개체로 하여, 이야기에 대한 여러 학문적 고찰을 통하여 부모-자녀가 함께 영성을 형성함으로 건강한 기독교 신앙 가정으로 세워지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제까지 부모 교육과 어린이 교육에 대한 연구들은 많이 있었으나 대부분의 연구들이 부모 교육과 어린이 교육을 구분하여 독립된 개체로서의 신앙 형성 교육에 대한 연구들이었다면 본 연구는 가정은 한 인간이 최초로 접하는 공동체이자, 한 집단이나 사회의 최소 공동체를 이루는 토대가 된다. 이에 가정을 이루는 부모와 자녀는 한 공동체 안에서 서로에게 영향을 주고 받으며 신앙과 문화화를 통한 사회화를 이루게 되기에 부모와 자녀의 영성 형성을 별도로 구분하여 보는 것이 아니라 이를 하나로 보아야 할 필요가 있으며, 이러한 교육 생태계에서 부모는 자녀 신앙 교육에 대해 주체적 교육자가 되어야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이야기를 매개체로 하여 성서에 나타난 이야기를 통한 자녀의 신앙 교육에 관해 살펴보았으며, 또한 어린이 발달 이론과 양육 이론을 이야기와 접목하여 어린이 발달과정 속에서 주된 양육자인 부모의 양육 속에 이야기를 통한 부모-자녀 영성형성을 연구하였다. 이 연구에는 발달이론 학자들의 이론뿐 아니라 다수의 기독교교육 학자들의 이론을 토대로 하고 있으며, 연구를 통하여 신앙의 초석을 놓는 어린이 시기에 부모는 자녀에게 절대적이며 최고의 신앙 교육자임은 분명함이 제시되기에, 부모는 주위 모든 것이 이야기가 될 수 있도록 이야기를 만드는 자가 되어야하기에 이에 대한 방법들을 제시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