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가정간호기반 모성역할강화 프로그램이 초산모의 모성정체성과 모성역할수행 자신감에 미치는 효과

        채미영 성균관대학교 임상간호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8703

        산욕 초기 모성역할은 이상적인 모-아 관계를 형성하고 자녀의 정상적인 성장 발달에 기초가 되므로 중요하다. 핵가족 저출산 문화와 더불어 양육에 대한 지식과 경험이 없는 초산모는 어머니 역할획득에 있어 어려움을 경험하고 있다. 최근 가정간호제도의 활성화와 더불어 초산모의 모성역할을 강화시킬 수 있는 가정간호에 대한 요구가 늘어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가정간호기반 모성역할강화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산욕초기 초산모의 모성정체성과 모성역할수행에 대한 효과를 파악하고자 수행되었다. 연구설계는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설계에 의해 이루어졌으며, 연구대상자는 서울 소재S전문요양기관에 입원하여 정상질식분만 후 퇴원한 초산모 중 실험군 29명, 대조군 29명 총 58명으로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12.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t-test, χ²-test, 실수,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로 분석하였으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가정간호기반 모성역할강화 프로그램을 제공받은 실험군은 제공받지 않은 대 조군보다 모성정체성이 높을 것이다’는 가설을 검정한 결과, 프로그램 적용 후 실험군의 모성정체성 점수가 대조군의 것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남으로써 지지되었다(t=-7.990, p=<.001) 2. ‘가정간호기반 모성역할강화 프로그램을 제공받은 실험군은 제공받지 않은 대 조군보다 모성역할수행 자신감이 높을 것이다’는 가설을 검정한 결과, 프로그램 적용 후 실험군의 모성역할수행 자신감 점수가 대조군의 것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남으로써 지지되었다(t=-10.109, p=<.001). 이상의 연구결과를 통해 분만 후 초산모에게 가정간호기반 모성역할강화 프로그램 제공은 모성정체성과 모성역할수행 자신감을 높여주는 효과적인 중재 전략임을 알 수 있었다. 모성정체성과 모성역할수행 자신감은 아기를 실제로 돌보는 과정 중에 형성되므로 입원 시 뿐 아니라 퇴원 후에도 지속적으로 교육과 시범을 포함하는 적극적인 지지간호프로그램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 중소병원 환자안전 전담인력의 역할갈등과 전문직자율성이 역할수행에 미치는 영향

        박교연 부산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8703

        목적: 본 연구는 중소병원에 종사하는 환자안전 전담인력을 대상으로 역할갈등과 전문직자율성이 역할수행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방법: 본 연구의 대상자는 100병상 이상 300병상 미만 종합병원 또는 병원에 근무하는 환자안전 전담인력 121명으로, 2022년 2월 8일부터 2월 27일까지 약 3주 간 온라인 설문조사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도구는 일반적 및 근무관련 특성, 역할갈등, 전문직자율성 및 역할수행으로 구성하였다. 자료분석은 IBM SPSS Statistics ver 25.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t-test, ANOVA, 다중회귀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연구대상자의 99.2%가 간호사로 나타났으며, 환자안전업무 외 다른 업무를 겸임하여 수행하는 경우는 64.5%로 나타났다. 연구대상자의 역할갈등은 5점 만점에 3.70점으로, 석사(수료포함)가 학사(RN-BSN포함)보다(F=3.51, p=.033), 환자안전 업무 외 겸임을 수행하는 경우가 환자안전 업무만 수행하는 경우보다(t=2.06, p=.041) 역할갈등이 높게 나타났다. 전문직자율성은 5점 만점에 3.17점으로 나타났다. 역할수행은 5점 만점에 3.76점으로, 의료기관인증평가(F=2.23, p=.028)와 의료질평가(F=2.06, p=.043)를 각각 시행한 경우에 시행하지 않은 경우보다 역할수행이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상관관계 분석결과 중소병원 환자안전 전담인력의 역할갈등이 낮을수록, 전문직자율성이 높을수록 역할수행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역할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한 결과 회귀 모형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고(F=6.988, p<.001), 역할수행에 있어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전문직자율성(β=.279, p=.002)이었고, 의료기관인증평가(β=.246, p=.005), 의료질평가(β=.181, p=.035) 순으로 나타났으며 이들 요인의 설명력은 16.6%였다. 결론: 중소병원 환자안전 전담인력의 역량을 강화하기 위한 전문간호사 등의 체계적인 교육과 독립적인 역할 및 업무 규정에 대한 법적 및 제도적인 장치가 마련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이를 통해 환자안전 전담인력의 역할수행을 향상시켜 환자안전 문화를 조성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 유아교사의 역할수행에 대한 교사와 학부모의 인식 조사

        고문영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0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의 목적은 유치원 교사의 역할수행에 대하여 교사 및 학부모가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를 변인별(교사의 경력과 학력, 학부모의 연령과 학력)로 알아 보고, 교사와 학부모의 인식에는 어떤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 보는 것이다. 이에 따른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유아교사의 역할수행에 대한 교사의 인식은 어떠한가? 1-1. 교사의 경력에 따라 유아교사의 역할수행에 대한 인식은 어떠한가? 1-2. 교사의 학력에 따라 유아교사의 역할수행에 대한 인식은 어떠한가? 2. 유아교사의 역할수행에 대한 학부모의 인식은 어떠한가? 2-1. 학부모의 연령에 따라 유아교사의 역할수행에 대한 인식은 어떠한가? 2-2. 학부모의 학력에 따라 유아교사의 역할수행에 대한 인식은 어떠한가? 3. 유아교사의 역할수행에 대한 교사와 학부모의 인식은 어떤 차이가 있는가?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 시내 소재한 유치원에 재직 중인 교사 224명과 유치원에 자녀를 보내고 있는 학부모 336명으로 총 560명이다. 본 연구에서는 유치원 교사의 역할수행을 알아보기 위하여 교사용과 학부모용 질문지를 사용하였다. 연구도구는 조부경과 Saracho(1997)에 의해 개발된 ECTRRS(Early Childhood Teacher,s Role Rating Scale)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연구문제에 따라 t검정, 분산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사후검증으로는 Duncan검증을 실시하였다. 분석도구는 SPSS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유치원 교사의 역할수행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은 전반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그 중 일과 계획 및 수행자로서의 역할에 대한 인식이 가장 높았고 연구자로서의 역할에 대한 인식이 비교적 낮게 나타났다. 변인별로 분석해 보았을 때 경력에 따라서는 경력이 높아짐에 따라 역할수행도 높게 인식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나 학력에 따라서는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유치원 교사의 역할수행에 대한 학부모의 인식은 대체로 중간 정도의 수준이었다. 역할유형 중 학부모도 교사와 마찬가지로 일과 계획 및 수행자로서의 역할에 대하여 가장 높게 인식하고 있었으며 연구자로서의 역할에 대해서는 가장 낮게 인식하였다. 변인별로 분석해 보았을 때 학부모의 연령에 대해서는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역할수행에 대한 인식도 높게 나타나 통계적으로도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나 학력에 따라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유치원 교사의 역할수행에 대한 교사와 학부모의 인식을 분석해 본 결과 모든 역할 유형에서 교사가 학부모 보다 높게 인식하고 있었고 통계적으로도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역할유형 중 일과계획 및 수행자로서의 역할에 있어서 가장 큰 차이가 나타났고 행정업무 및 관리자로서의 역할에 있어서 가장 작은 차이가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the recognition of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parents concerning the teachers'performance of their role is according to the variables (teacher's experience and education level, parent's age and education level ), and how the difference of recognition between the teachers and parents is. The specific ques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How is the early childhood teachers'recognition concerning the performance of their role? 1-1. How is the early childhood teachers'recognition concerning the performance of their role according to the experience? 1-2. How is the early childhood teachers'recognition concerning the performance of their role according to the education level? 2. How is the parents'recognition concerning the teachers' performance of their role? 2-1. How is the parents'recognition concerning the teachers' performance of their role according to the their age? 2-2. How is the parents'recognition concerning the teachers' performance of their role according to the their education level? 3. How is the difference of recognition between the teachers and parents concerning the teachers'performance of their role? The subjects of this study are composed of 560 in total, 224 early childhood teachers worked at kindergarten in Seoul and 336 parents whose children go to kindergarten. To examine the teachers'performance of their role this study used Early Childhood Teachers'Role Rating Scale ( ECTRRS ) developed by Cho Bu Kyeong and Saracho (1997). Collected data were treated by t-test, dispersion analysis, and Duncan-test. For the analysis of these , SPSS program was us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early childhood teachers'recognition concerning the performance of their role was generally high. Their recognition about the role as a planner and a performer of daily schedule was very high. On the other hand, their recognition about the role as a researcher was relatively low. According to the variables, the teachers'recognition of the performance of their role became high when the teachers' degree of experience became high. So, there was meaningful differences about the experience statistically, but was not about the education level. Second, the parents'recognition concerning the teachers'performance of their role was generally medial. The parents'recognition about the teachers' role as a planner and a performer of daily schedule was high like teachers. But in the case of the role as a researcher, the parents'recognition was very low. According to the variables, parents' recognition of the performance of teacher's role became high when the parents' degree of age became high. So, there was meaningful differences about the age statistically, but was not about the education level. Third, In the recognition of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parents concerning the teachers' performance of their role,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recognition was generally higher than the parents' recognition in every parts. Especially, in the teachers' role as a planner and a performance of daily schedule, there was the most difference between the teachers and the parents, and there was the least difference in the role as a administrative affair and the manager.

      • 태권도공연단원의 심리적 주인의식이 역할수행 및 공연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허재성 경희대학교 일반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태권도 공연단원의 심리적 주인의식이 역할수행 및 공연성취도에 미치는 영향관계에 대해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8곳의 태권도 시범단 및 공연단에 소속된 267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그 중 237명의 설문자료를 분석하여 본 연구에 사용하였다. 수집된 설문지는 통계프로그램인 PASW/WIN 21.0 Version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빈도분석(frequency analysis), 탐색적 요인분석(factor analysis) 및 신뢰도분석(reliability analysis)을 실시하였다. 또한 독립표본 t-검정, 일원변량분석(one-way ANOVA), 상관관계분석(correlation analysis), 다중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하였다. 이상의 연구방법과 절차를 토대로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심리적 주인의식의 차이를 조사한 결과, 연령과 공연경력, 보수유무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보수유무의 경우 직무에 대한 주인의식 요인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역할수행의 차이를 조사한 결과, 성별은 노력배가성 요인과 피드백 요인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고, 연령과 공연경력은 의사소통, 피드백, 이해도, 협응력 요인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공연횟수는 의사소통, 이해도, 협응력 요인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고, 보수유무는 의사소통, 노력배가성, 피드백, 이해도, 협응력 요인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공연성취도의 차이를 조사한 결과, 연령은 신체적 성취도 요인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고, 공연경력과 보수유무는 심리적 성취도, 신체적 선취도, 기술적 성취도 요인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공연횟수는 심리적 성취도 요인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심리적 주인의식과 역할수행의 관계를 조사한 결과, 직무에 대한 주인의식 요인이 역할수행의 모든 요인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조직에 대한 주인의식은 의사소통, 노력배가성, 협응력 요인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심리적 주인의식과 공연성취도의 관계를 조사한 결과, 직무에 대한 주인의식 요인은 공연성취도의 모든 요인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조직에 대한 주인의식 요인은 심리적 성취도, 기술적 성취도 요인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역할수행과 공연성취도의 관계를 조사한 결과, 의사소통 요인은 심리적 성취도 요인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노력배가성 요인은 심리적 성취도, 신체적 성취도 요인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피드백 요인은 신체적 성취도, 기술적 성취도 요인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협응력 요인은 심리적 성취도, 신체적 성취도 요인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examine the effects of Taekwondo performance group members' psychological ownership on role performance and performance achievement. To attain the goal, the research selected 8 Taekwondo demonstration groups and performance groups located in Seoul, Gyeonggi, and Jeonbuk as its population and selected total 267 members from them. Except for unreliably answered sheets, 237 members’ data were used for final analysis. Collected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with frequency analysis,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t-test(independent samples), one-way ANOVA, correlation analysis, multiple analysis using PASW/WIN 21.0 Version. The result is as in the following. First, as the result of analyzing the difference of psychological ownership according to demographic characteristic, age, carrier, the condition of reward(namely, pay or not) had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condition of reward case, it had significant difference in ownership of their job factor. As the result of analyzing the difference of role performance, sex had significant difference in effort amplification and feedback. Age and carrier had significant difference communication, feedback, comprehension and coordination. Also, number of performance had significant difference in communication, comprehension, coordination. And the condition of reward had significant difference in all factor of role performance. As the result of analyzing the difference of performance achievement, age had significant difference in physical achievement. Carrier and the condition of reward had significant difference in all factor of performance achievement, number of performance had significant difference in psychological achievement. Second, as the result of analyzing relationship with psychological ownership and role performance, ownership of their job showed significant effect on all factor of role performance. And the ownership of their organization exerted significant effect on communication, effort amplification, coordination. Third, as the result of analyzing relationship with psychological ownership and performance achievement, ownership of their job exerted significant effect on all factor of performance achievement. Also, ownership of their organization indicated significant effect on psychological and technical achievement. Finally, the result of analyzing relationship with role performance and performance achievement, communication exerted significant effect on psychological achievement factor. Effort amplification indicated significant effect on psychological and physical achievement, feedback showed significant effect on physical and technical achievement. coordination indicated significant effects on psychological and physical achievement.

      • 초등학교 학년부장교사의 역할수행과 교사의 동학년 조직몰입 간의 관계

        장선희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8703

        이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학년부장교사의 역할수행과 교사의 동학년 조직몰입 간의 관계를 살펴보는 것이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동학년 교사들이 지각하는 학년부장교사의 역할수행 수준은 어떠한가? 둘째, 교사들이 인식한 동학년 조직몰입도는 어떠한가? 셋째, 학년부장교사의 역할수행과 교사의 동학년에 대한 조직몰입의 관계는 어떠한가? 본 연구의 목적을 수행하기 위해 질문지는 기존에 개발된 질문지를 본 연구의 방향에 맞게 재구성하여 사용하였다. 질문지 구성은 학년부장교사의 역할수행 관련 질문 16문항, 동학년에 대한 조직몰입 관련 질문 12문항, 통제 변인으로 설정한 6문항의 총 34문항으로 구성하여 조사․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특별시 교육청 소속 공립초등학교에서 2013년 기준 학급수가 36학급 이상인 236개 학교 중 19개 학교를 임의표집하여 각 학교에 근무하는 교사를 대상으로 총 420부를 배부하여 그 중 377부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수집된 설문 자료는 SPSS 18.0으로 처리하였고, 다음과 같이 분석하였다. 첫째, 응답자의 일반적 특성을 알기 위해 빈도분석을 실시하고, 각 변수들의 신뢰도를 측정하기 위해 신뢰도 분석(Cronbach's a)을 실시하였다. 둘째, 가설 검증을 위한 분석 기법으로 변수들 간 차이 검증에 t검증과 F검증을 실시하였다. 셋째, 학년부장교사의 역할수행과 교사의 동학년에 대한 조직몰입의 관련성을 살펴보기 위해 상관관계분석을 하고, 변인 통제를 통한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년부장교사의 역할수행 수준은 교장 및 교감에 대한 보좌의 역할, 지도․조언의 역할, 업무 조정 및 추진의 역할, 인화조성자로서의 역할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사들의 동학년에 대한 조직몰입도는 규범적 몰입, 정서적 몰입, 지속적 몰입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셋째, 학년부장교사의 역할수행과 교사들의 동학년에 대한 조직몰입의 상관관계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가 나타났으며, 학년부장교사의 인화조성자로서의 역할과 업무 조정 및 추진의 역할이 동학년의 조직몰입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학년부장교사는 인화조성자로서의 역할수행 수준을 높일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다른 변인에 비해 학년부장교사의 인화조성자로서의 역할을 낮게 인식하고 있다는 것은 더 나은 인화조성자로서의 역할수행이 필요하다는 것을 말해주는 결과라 할 수 있다. 둘째, 교사들이 동학년의 학년부장교사와 구성원들과 더 오랫동안 함께 하고 싶다는 마음을 가질 수 있게 하는 방안과 저경력 교사들의 동학년에 대한 조직몰입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강구해야 한다. 셋째, 학년부장교사는 업무 조정 및 추진의 역할과 인화조성자로서의 역할을 잘 수행하여 동학년의 조직몰입도를 높일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이와 더불어 동학년의 조직몰입을 높일 수 있는 다른 요인들은 어떤 것들이 있는지 지속적인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어린이집 중간 관리자 역할수행의 중요도 인식과 역할수행 평가에 관한 원장과 중간 관리자의 비교 연구

        이애란 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어린이집 중간 관리자 역할수행의 중요도 인식과 역할수행 평가에 관한 원장과 중간 관리자의 인식을 비교해 보는데 있다. 원장과 중간 관리자의 서로 다른 역할수행 기대에 대한 인식과, 보육현장의 실제 역할수행 평가 수준에 관한 인식 차이를 살펴봄으로써 중간 관리자 역할수행의 효율성과 전문성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이와 관련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1. 어린이집 중간 관리자 역할수행의 중요도와 역할수행 평가에 관한 원장과 중간 관리자의 인식은 전반적으로 어떠한가? 2. 어린이집 중간 관리자 역할수행의 중요도에 대한 원장과 중간 관리 자의 인식은 차이가 있는가? 3. 어린이집 중간 관리자 역할수행 평가에 관한 원장과 중간 관리자의 인식은 차이가 있는가? 본 연구는 수도권에 소재한 어린이집에 근무하고 있는 원장 106명, 중간 관리자 95명으로 총 201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어린이집 중간 관리자 역할수행의 중요도 인식과 역할수행 평가에 관한 원장과 중간 관리자의 인식을 알아보고 비교하기 위하여 사용한 도구는 김현주(2016)가 ‘어린이집 주임교사의 성공적인 역할수행을 위한 필요요인 개념도 연구’에서 개발한 질문지를 사용하였다. 질문지는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배경과, 어린이집 환경 및 제도적 지원, 보육교직원의 협력, 관리자ㆍ보육교직원 유관기관과의 의사소통, 중간관리자가 갖추어야 할 능력, 중간관리자의 자질과 자세의 5개 영역의 46문항으로 구성되었다. 본 연구에서 수집된 자료는 SPSS 23.0 통계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첫째,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을 분석하기 위해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였으며, 연구도구의 문항의 일관성 신뢰도를 알아보기 위해 Cronbach’s α를 산출하였다. 둘째, 중간관리자 역할수행의 중요도 인식과 역할수행 평가에 대한 인식을 분석하기 위해서는 t-검정을 실시하였다. 연구문제에 따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어린이집 중간 관리자의 역할수행 중요도와 역할수행 평가에 관한 원장과 중간 관리자의 전반적인 인식은 역할수행 중요도에 비해 역할수행 평가를 낮게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어린이집 중간 관리자의 역할수행 중요도에 관한 원장과 중간 관리자의 인식을 비교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원장과 중간 관리자는 ‘중간 관리자의 자질과 자세’를 가장 높게 인식하고 있었다. 셋째, 어린이집 중간 관리자의 역할수행 평가에 관한 원장과 중간 관리자의 인식을 비교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고 원장과 중간 관리자 모두 역할수행 평가를 높게 인식하고 있었다. 하위영역에서는 '어린이집환경 및 제도적 지원’에 대한 역할수행 평가를 가장 낮게 인식하고 있었으며 원장이 중간 관리자 보다 높게 인식하고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어린이집 중간 관리자의 역할수행 중요도에 따른 역할수행 평가에 관한 원장과 중간 관리자의 인식은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원장과 중간 관리자 모두 ‘어린이집환경 및 제도적 지원’에 대한 역할수행 평가를 낮게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는 중간 관리자의 조직헌신과 직무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중간 관리자의 법적 지위를 확립하고, 중간 관리자의 지위에 따른 역할 및 업무 권한을 구체화 시켜 역할수행의 모호함과 불명확한 업무 권한에서 오는 직무스트레스를 최소화하고, 근무환경 개선과 법적 지위에 맞는 직책수당 및 보상체계가 확립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recognition difference in director and intermediate manager of daycare center about the importance of role performance of intermediate manager and the assessment of the role performance. By identifying differences in different role performance expectations of director and intermediate managers of daycare center, this study intends to be a help the efficiency and professionalism to role performance of the intermediate manager. In these regards, the following questions have been established : 1. What is the recognition of the director and the intermediate manager about the importance and the assessment of the role performance? 2. Is there any difference in recognition of the director and the intermediate manager about the importance of the role performance? 3. Is there any difference in recognition of the director and the intermediate manager about the assessment of the role performance? This study covered a total of 201 subjects; 106 directors and 95 intermediate managers, who are working in daycare centers within metropolitan regions. The means in order to find out and compare the recognition of the director and intermediate manager about the importance of the role performance of intermediate manager of daycare center is the questionnaire developed in Hyun-joo, KIM.(2016). Concept mapping of necessary factors to successful role performance by head teachers in child care center. The questionnaire consists of 46 questions on five domains: general background of the subjects, environmental and institutional supports of daycare centers, cooperation of daycare center staff, communication with relevant institutions of manager and staff, ability required to intermediate managers, qualifications and attitude of intermediate managers. The data collected in this study was analyzed using the SPSS 23.0 statistical program in the following ways: First, the data was calculated in the frequency and percentage to analyze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and Cronbach’s α was also calculated to identify the consistency of the questions on the study means. Second, T-test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recognition of intermediate manager about the importance and assessment of the role performance. The results of the questions are as follows. First, with regarding both the importance of role performance and the role performance assessment of the intermediate manager, the overall recognition of the intermediate managers is turned out that the subjects recognized the role performance assessment lower than the importance of role performance. Second, it was found that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recognition of director and intermediate manager of daycare center about the importance of role performance of the intermediate manager. Both the director and intermediate manager considered “qualifications of intermediate managers and attitude” as the most important domain. Third, it was found that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recognition of director and intermediate manager of daycare center about the assessment of role performance of the intermediate manager. And, both the director and the intermediate manager of daycare center highly recognized the assessment of role performance. In the sub-domains, the recognition about the role performance assessment of the "environmental and institutional supports of daycare centers" between the director and the intermediate manager of daycare center was lowest. And the director of daycare center recognized it higher than the intermediate manager. Summing up these points, it was revealed tha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recognition of director and intermediate manager about the assessment of role performance of intermediate according to the importance of role performance of intermediate manager of daycare center. But, Both the director and intermediate manager regarded the role performance assessment about “environmental and institutional support of daycare centers.” low. In order to enhance the organizational dedication and job satisfaction with intermediate managers of daycare center,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legal status of intermediate managers should be established, in order to minimize work stress originated from the ambiguous and unclear task authority of role performance the roles and task authority based on the status of intermediate managers should be specified, and it also suggests that the improvement of working environment and the suitable allowance for the legal status and compensation system should be established.

      • 초등학교 학년부장교사의 역할수행과 교사의 교육활동 만족도 간의 관계

        전영애 인천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870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statistical relationship between the degree of role performance of head teachers and the satisfaction of teachers in elementary schools. For doing this, research problems in this study when environmental variables include the gender, position, career, school size, and grade structure are as follows. First, is there difference in perception level of teachers on the role performance of head teachers in elementary schools according to environmental variables? Second, is there difference in satisfaction perception level of teachers on the educational performance of head teachers in elementary schools according to environmental variables? Third, is there relationship between the role performance of head teachers and the satisfaction of teachers on educational activities in elementary school?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teachers who worked in 20 public elementary schools located in Incheon. The questionnaire delivered to the subjects was based on the questionnaires used by Han Young Hee2002), Kim Jung Min (2006), Choi Kwang Wook (2005) on the role performance of head teachers and 'Analytic Research on Job Satisfaction of Teachers' studied by the Korean Federation of Education Association (1982) for measurement of satisfaction on educational activities, and was corrected & supplemented according to the opinions of the academic advisor. In the questionnaire consisting of 39 items, the role performance of head teachers in elementary schools were divided into five realms including a role of assistance, counsel and advice, connection and intervention, administration, and promotion of human relationship, and the satisfaction on educational activities were divided into three realms including human relationship, job, and enhancement of professionality. The data of this study were processed by using of the SPSS Windows/15.0, and frequency, percentage, reliability analysis, t-test, one-way analysis of variance,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degree of the role performance of head teachers perceived by teachers was M=4.28, positively high in general. Out of sub-factors, a role of assistance and a role of connection and intervention were highes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gender, position, and grade structure in perception on the role performance of head teachers according to environmental variables. As for the difference in perception on the role according to career, teachers whose career was five years or less had higher perception than those with 11-to-15 year career. As for the difference in perception on the role performance of head teachers according to school size, schools with 35 or less classes had higher perception on the realm of promotion of human relationship than schools with 36 or more classes. Second, the satisfaction on educational activities perceived by teachers was M=3.91. Out of sub-factors, human relationship, job, and enhancement of professionality were in order. AS for the environmental variables on the satisfaction of teachers on educational activities, no difference was shown according to gender and grade structure. According to position, master teachers had higher perception than general teachers in the realms of job and enhancement of professionality. According to career, teachers whose career was 21 years or more in the relevant job had higher perception than those with 11-to-15 year career. As for school size, schools with 35 or less classes had higher perception on the realm of human relationship than schools with 36 or more classes. Third, the correlation analysis showed that there was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role performance of head teachers and the satisfaction on educational activities. The results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the realms of role performance of head teachers affecting the teachers' satisfaction on educational activities were a role of administration and a role of promotion of human relationship. 교사들은 학교라는 공동체적 유대 속에서 행복하게 일할 수 있어야 한다. 그러나 초등학교 학년부장교사의 역할수행에 대한 학교 관리자,교사의 기대가 서로 달라 학년부장교사 자신뿐 아니라 동학년 교사와의 관계에서도 갈등이 일어나고 있다.그러므로 초등학교 학년부장교사의 원만한 역할 수행이 필요한 현실이다. 본 연구는 초등학교 학년부장교사의 역할수행 정도와 교사의 교육활동 만족도 간에 통계적으로 어떠한 관계가 있는가를 밝히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조사대상자의 성별, 직위, 경력, 학교규모, 학년조직을 배경변인으로 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교 학년부장교사의 역할수행정도에 대한 교사들의 지각 수준은 배경변인별로 차이가 있는가? 둘째, 초등학교 학년부장교사의 교육활동에 대한 교사들의 만족도 지각 수준은 배경변인별로 차이가 있는가? 셋째, 초등학교 학년부장교사의 역할수행정도와 교사의 교육활동 만족도 간에는 어떠한 관계가 있는가? 본 연구의 수행을 위해서 인천시내 공립 초등학교 20개교 교사들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하였다. 설문지는 학년부장교사의 역할수행 정도에 관한 한영희(2002), 김정민(2006), 최광욱(2005)등이 사용한 설문지와 교육활동 만족도를 측정하기 위한 대한교육연합회(1982)의 ‘교원의 직무만족도에 관한 분석적 연구’를 기초로 지도교수의 의견을 수렴하여 수정, 보완하였다. 설문지는 학년부장교사의 역할 수행정도를 초등학교 학년부장의 역할을 보좌의 역할, 지도조언의 역할, 연락조정의 역할, 사무관리의 역할, 인간관계 조성의 5개영역으로 나누었고, 교육활동 만족도를 인간관계, 담당직무, 전문성 신장의 3개영역으로 나누어 총39개 문항으로 구성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처리는 SPSS Windows/15.0을 사용하여 빈도, 백분율, 신뢰도 분석, t-검정, 일원변량분석, 상관관계 분석, 다중회귀분석 하였다. 본 연구의 수행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가 지각하는 학년부장의 역할수행 정도는 M=4.28로 전반적으로 긍정적으로 높은 지각을 보였다. 하위요인별로는 보좌의 역할과 연락조정의 역할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학년부장교사의 역할수행정도에 대한 배경변인에 따른 지각차이는 성별, 직위별, 학년조직별로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경력에 따른 역할 지각차이는 5년 이하의 교사가 11년-15년 경력의 교사보다 더 높게 지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교 규모에 따른 학년부장교사의 역할수행에 대한 지각 차이는 35학급 이하의 학교가 36학급 이상의 학교에서 인간관계 조성 영역에 대에 더 높게 지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사가 지각하는 교육활동 만족도에 대한 인식은 M=3.91로 나타났다. 하위요인별로는 인관관계, 담당직무, 전문성 신장순으로 나타났다. 교사의 교육활동 만족도에 대한 배경변인에서는 성별, 학년 조직별로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직위에 따라 담당직무 영역과 전문성 신장 영역에서 보직교사가 일반교사보다 높은 지각을 나타냈다. 또 경력에 따라 담당직무 영역에서 경력 21년 이상 교사가 11년-15년 경력 교사보다 높은 지각 수준을 보였으며, 학교 규모에 따라 35학급 이하의 학교가 36학급 이상의 학교보다 인간관계영역에서 높은 지각 수준을 나타냈다. 셋째, 초등학교 학년부장교사의 역할수행 정도와 교육활동 만족도 간에는 상관관계 분석결과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중회귀분석 결과 교사의 교육활동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학년부장교사의 역할수행 영역은 사무관리 역할 영역과 인간관계 조성 역할로 나타났다. 넷째,학년부장교사의 역할수행 영역 중에서 교사의 교육활동 만족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은 사무관리 역할 영역과 인간관계 조성 역할 영역이었다. 학년부장교사의 역할수행 영역에서 사무관리와 인간관계 조성이 잘 이루어질 때 교사들의 교육활동 만족도가 높아지는 것을 알 수 있다.

      • 수간호사의 역할인식과 역할수행정도에 미치는 영향요인

        이수연 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8703

        이 연구는 수간호사의 역할인식과 역할수행정도를 파악하고, 역할 수행정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기 위해 시도되었으며, 대상자는 서울 및 인접지역에 소재하는 12개의 종합병원에 근무하는 수간호사 183명을 편의 추출하였다. 이 연구에서 사용된 수간호사역할 측정도구로는 행정관리자 역할 18문항, 임상간호사 역할 14문항, 교육자 및 연구자 역할 12문항, 지도자 역할 12문항으로 구성된 구조화된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역할수행시의 장애요인에 관한 문항은 문헌고찰을 기초로, 수간호사에게 사전조사를 시행하여 연구자가 12문항으로 구성하였다. 자료수집기간은 2004년 4월 20일부터 5월 20일까지이며, 수집된 자료는 SPSS 10.0K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t 검정, 분산분석, 교차분석, 다중선형회귀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이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수간호사의 역할인식 총합의 평균은 196.46점(224점 만점 기준)이며, 평균은 3.50점(4점 만점기준)으로 중간이상의 높은 인식정도를 보였다. 각 영역별 평균은 임상간호사 역할의 인식도가 3.57로 가장 높았으며, 지도자 역할(3.56), 행정관리자 역할(3.52), 교육자 및 연구자 역할(3.39) 순이었다. 2. 역할수행정도의 총합의 평균은 174.55점이며, 평균은 3.10점으로 중간이상의 수행정도를 보였다. 각 영역별 평균은 행정관리자 역할의 수행정도가 3.29점으로 가장 높았으며, 임상간호사 역할(3.15), 지도자 역할(3.10), 교육자 및 연구자 역할(2.90) 순이었다. 3. 수간호사역할 인식과 역할수행정도간의 상관관계를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로 분석한 결과 모두 정의 상관관계를 보이고 있으며 (상관계수=0.50, P=0.00), 수간호사의 역할인식과 역할수행간의 평균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t=-18.033, P=0.000). 4. 수간호사역할 수행시의 장애요인은, 과중한 업무가 가장 많았으며(20.6%) 물적 인적자원의 부족(16.0%), 지식 및 경험부족(12.3%), 적절한 지지체계 부족(9.8%), 규칙 및 절차의 비효율성(9.2%) 등의 순이었다. 수간호사의 역할수행 향상을 위한 방안으로 가장 필요하다고 생각한 항목은 ‘관리능력 향상을 위한 교육기회 제공’으로서 응답자의 45.9%가 선택하여 1순위였으며, 적성 및 능력과 전문성을 고려한 부서 배치 및 이동, 인적 물적 자원의 적절한 지원의 순이었다. 5. 수간호사 역할수행정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에 대한 선형회귀분석의 결과, 임상간호사 역할에 대한 인식과 급여체계의 변수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임상간호사역할에 대한 인식이 높을수록 역할수행정도는 증가하고, 호봉제보다는 연봉제의 경우 수행정도가 높았다. 결론적으로 수간호사의 각 영역별 역할수행정도에 가장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역할인식이었으며, 전반적인 수간호사의 역할수행에 있어 임상간호사 역할에 대한 인식이 높을수록, 또 연봉제의 급여체계 적용 시 호봉제에 비해 역할수행정도가 높음이 밝혀졌다. 이는 전문직으로서, 임상간호사로서의 본연의 역할에 대한 인식이 전체 수간호사 역할수행에 긍정적으로 작용함을 의미하며, 실제 업무수행의 성과에 따른 적절한 보상 및 인정이 수행정도를 높이는 동기가 됨을 설명해준다. 반면 다양한 역할에 따른 업무의 과중함과 인적 물적 자원의 부족이 역할수행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각 영역별 수간호사의 역할인식은 비교적 고르게 높았으므로 각 영역에 대해 균형적으로 역할수행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위의 지지요인과 장애요인을 고려한 방안을 마련하여 적용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was designed to examine the role cognition and role performance of head nurses and to analyze the factors affecting the role performance of head nurses.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83 head nurses working in general hospital. The device on role cognition and performance of head nurses has 56 questions in which 18 for the role as the administration manager, 14 for the role as clinical nurses, 12 for the role as educator and researcher, and 12 for the role as the leader. Data used in this study were collected through a Questionnaire survey from Apr., 2004 to may, 2004.The data were analysed by Chi-square,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ith SPSS program.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1) Head nurse had a good cognition of their role with the average score of 3.50 in a 4-point scale. clinical nurse role showed the highest score followed by leader, administration manager, and educator and researcher.2) The average score role performance of head nurse was 3.10 in a 4-point scale, which was lower than that of role cognition(3.50). administration manager role showed the highest score followed by clinical nurse, leader, and educator and researcher.3) Role cognition and role performance was mostly correlated with r=.50 (P=0.000), meaning those head nurse with high role cognition were likely to do better role performance.4) In the barriers to role performance of head nurses, overwork showed the highest frequency followed by lack of material and human resources, lack of knowledge and experience.5) According to the result of regression analysis on variables affecting role performance of head nurses,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the role cognition as a clinical nurses and pay system.

      • 아버지의 역할수행과 아동의 성취동기에 관한 연구

        김진 全南大學校 1995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국민학교 6학년 아동이 지각한 아버지의 역할수행 정도와 아동 자신들의 성취동기 수준 및 관련변인을 파악하여 아동의 성장발달을 이해하는데에 도움이 될 수 있는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 아동기 자녀들에 대한 아버지 역할의 중요성을 인식시키고자 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조사대상자는 광주직할시에 소재한 4개 국민학교를 임의 선정하여 6학년 남, 여 아동을 대상으로 각각 227명, 231명 총 458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빈도분포,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Pearson's 적률상관 계수를 구하였고 일원 변량분석(one-way ANOVA), Duncan's Multiple Range Test, 중다회귀분석 (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조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배경변인에 따른 아버지의 역할수행 정도의 점수는 46.17∼58.51점(100점 환산치 61.56∼78.01) 사이에 분포되었다.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는 배경변인은 성별, 아버지의 종교유무, 아버지의 교육수준, 가정의 월 총수입, 의사결정권으로 그 내용을 보면 여아일 경우에, 아버지의 종교가 있는 경우에, 아버지의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가정의 월 총수입이 높을수록, 가족이 함께 의사결정을 할수록 아버지의 역할수행 정도가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아동의 출생순위, 가족형태, 아버지의 연령, 아버지의 직업, 어머니의 취업유무에 따른 아버지의 역할수행은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2. 배경변인에 따른 아동의 성취동기 수준의 점수는 77.17∼84.34점(100점 환산치 68.90∼75.30) 사이에 분포되었다.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는 배경변인은 성별과 의사결정권으로 그 내용을 보면 여아일수록, 가족이 함께 하는 의사결정일수록 아동의 성취동기가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아동의 출생순위, 가족형태, 아버지의 연령, 아버지의 종교, 아버지의 교육수준, 아버지의 직업, 어머니의 취업유무, 가족의 월 총수입에 따른 아동의 성취동기는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3. 아버지의 역할수행에 따른 아동의 성취동기를 보면, 1) 아버지의 역할수행 모든 영역에 따라 아동의 성취동기가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2) 아동의 성취동기의 전체영역에 대해서 탐구보조 역할(β = .25), 경제적 역할(β = .14), 가치전달 역할(β = .14)의 순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이들 변인들의 설명력은 22%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적으로 살펴보면 아버지의 역할수행은 아동의 성취동기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변인임을 알 수 있었다. 즉 무한한 성장 발달 가능성을 갖고 있는 아동기에 있어서 아버지의 역할은 매우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 그런데 현대 가정은 맞벌이 형태의 핵가족이 증가하고 있으며, 핵가족의 가족형태는 확대가족의 가족형태에서 보다 부성실조의 경향이 있다고 한다. 따라서 바람직한 자녀양육을 위한 아버지의 역할수행의 필요성이 더욱 강조되어지고 있다고 하겠다. 그리고 이러한 필요성에 부응하기 위해서는 아버지의 역할에 대한 올바른 가치관이 수립이 되어져야 하며, 아버지들의 보다 적극적인 역할수행의 노력이 있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i) to analyze the degrees of fathers' role performances which 6th-graders of elementary school perceived from their fathers, the levels of children's achievement motivations, and relational factors between them, (ii) to present the basic data which would be helpful for the better understanding of children's growth and development, based on the analyses, and (iii) to show the importance of fathers' roles on children. A survey was carried out on 458 (227 boys and 231 girls) 6th-graders at randomly chosen 4 elementary schools in Kwangju. Frequency, percentage, average, standard deviation and Pearson's coefficient were checked and one-way ANOVA, Duncan's multiple range test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also carried out on the collected data.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Evaluation of fathers' role performances depending on background variables ranged from 46.17 to 58.51 points (equivalent to 61.56∼78.01 points in the 100-point scale). Background variables that caus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children's sex, fathers' religion (whether they had one or not), fathers' education, monthly family income and decision-makers at home. The degrees of fathers' role performances were higher when the answerers were girls, when fathers had religions, when fathers educational level was higher, when the family income was higher, and when all family members participated in the decisioin-making. 2. Evaluation of children's achievement motivations depending on background variables ranged from 77.17 to 84.34 points (equivalent to 68.90∼75.35 points in the 100-point scale). Background variables that caus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children's sex and decision-makers at home. Children's achievement motivations were higher in the case of girls and when all family members participated in the decisioin-making. 3. When it comes to the children's achievement motivations in relation to fathers' role performances, 1) Fathers' role performances overall caus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children's achievement motivations. 2) The influence of fathers' role performances on children's achievement motivations was highest in the investigation-faciliator role (β = .25) and then the economic role (β = .14) and the value-transmitter role (β = .14). The explanative power of these variables was 22%.

      • 부부역할수행과 생활만족도

        한광희 단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8703

        이 연구의 목적은 생활 전반에 걸친 행복과 만족의 주관적 감정인 생활만족도와 부부의 역할 수행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었다. 이를 위해 남편의 생활만족도를 유의하게 예측하는 남편자신과 아내의 부부역할수행의 하위 영역을 알아보았다. 또한 아내의 생활만족도를 유의하게 예측하는 아내 자신과 남편의 부부역할수행의 하위영역을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 서울시와 경기도에 거주하는 129쌍의 부부에게 질문지를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부부 각자의 역할수행이 자신과 배우자의 생활만족을 유의하게 예측하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상관계수와 중다회귀분석을 하였다. 자료는 SPSS Windows version 15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남편의 생활만족도를 유의하게 예측하는 남편자신의 부부역할수행의 하위영역은 아내와의 의논 및 대화 상대역할이나 부부애를 두텁게 하기 위한 노력과 같은 배우자 역할수행과 집안의 경제적 어려움 대처능력이나 장래의 경제적 지출을 위한 대비와 같은 경제적 역할수행이었다. 둘째, 남편의 생활만족도를 유의하게 예측하는 아내의 부부역할수행의 하위영역은 시부모님을 자주 찾아뵙거나 시댁 식구들과 관계를 좋게 하기 위해 노력하는 것과 같은 자녀로서의 역할수행이었다. 셋째, 아내의 생활만족도를 유의하게 예측하는 아내자신의 부부역할수행의 하위영역은 남편과의 대화상대역할이나 남편의 사회활동을 존중하고 건강관리를 돌보는 것과 같은 배우자로서의 역할수행과 집안의 경제적 어려움과 지출을 돌보는 경제적 역할수행이었다. 넷째, 아내의 생활만족도를 유의하게 예측하는 남편의 부부역할수행의 하위영역은 처가 식구들과 관계를 좋게 하기 위해 노력하고, 장인 장모님을 자주 찾아뵙는 등의 자녀로서의 역할수행이었다. 결론적으로 이 연구에서 부부 각자의 생활만족도를 높이는 부부역할수행의 하위영역이 남편과 아내가 각기 다르게 밝혀졌다. 마지막으로 이 연구의 제한점을 논의 하였으며, 후속연구를 위한 과제를 제안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