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李春風傳〉에 나타난 女性形象과 그 시대적 의의

        이주연 仁川大學校 敎育大學院 2004 국내석사

        RANK : 248702

        <이춘풍전(李春風傳)>은 18·19세기 조선후기 사회상을 잘 그려내며, 사회 부조리와 모순을 신랄하고 날카롭게 고발폭로하는 세태·풍자소설이다. 이 작품은 변화된 세상에 적응하지 못하고 무능하고 허세만을 부리는 춘풍과는 달리, 지혜와 용기로서 고난을 이겨내며, 시대가 요구하는 능동적인 활약을 보이는 춘풍 처 김씨가 등장한다. 그리고 돈이 지배하는 사회에서 극단적인 실리추구의식을 가진 평양 기생 추월이 등장한다. 본 논문에서는 작중 두 여성 춘풍 처 김씨와 평양 기생 추월에게서 나타나는 여성형상과 그 의미에 대하여 고찰해 보고, 여성형상을 통해 본 <이춘풍전>의 시대적 의의를 살펴보았다. 먼저 Ⅱ장에서는 중세해체기 여성 의식의 변화와 가부장 이데올로기와의 충돌에 대해 살펴보았다. 임진왜란과 병자호란 양란 후 18·19세기 조선후기 사회는 정치, 경제, 사회, 문화 전반에 걸친 많은 변화를 거듭하였다. 이러한 시대적 흐름 속에서 오랜 봉건체제의 불합리와 모순의 굴레에서 벗어나고자 하는 피지배계층의 자각이 일어나기 시작하였다. 또한 가부장적인 체제하에서 무조건적인 인내와 순종적 삶을 살아야 했던 당시 여성의식에도 주체적인 삶에 대한 근대적 각성이 움트기 시작하였다. <이춘풍전>에서 춘풍 처 김씨와 평양 기생 추월에게서 나타나는 여성형상은 사회전반의 총체적인 변화 속에서 여러 가능성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시대의 요구이며 흐름이라고 볼 수 있다. Ⅲ장에서는 '가정질서 수호의 여중호걸' 춘풍 처 김씨에게서 나타나는 여성형상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무조건적인 순종과 인내를 미덕을 삼으며 소극적인 삶을 살았던 여성들과는 달리 춘풍 처 김씨는 여중호걸, 여장부와 같은 기개로 자신의 고난을 슬기롭게 극복해 나갈 줄 아는 진취적이고 능동적인 여성이다. 그녀는 조선 후기 노동의 화폐가치가 증대되는 시대의 흐름에 승(乘)하여, 지략적 처세술을 유감없이 발휘하며, 능동적 대응을 하고 있다. 또한 남편을 구원하고 개과천선을 이끌어 내어 가정질서를 수호하고자 하는 모습에서 이전과는 달리 변화하는 시대의 흐름에 융합하는 '열녀의 열행(烈行)' 이 제시되고 있다. 그리고 남편의 봉건적 권위와 허랑방탕한 생활과 무능력함을 비판함으로써, 결국 불합리한 가부장 이데올로기를 풍자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Ⅳ장에서는 '배금주의 기녀의 전형' 평양 기생 추월에게서 나타나는 여성형상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평양 기생 추월은 경제적 풍요에만 집착하는 인물로서, 물질중시의 현실을 제대로 인식하고 있으며, 돈이 세상을 지배하는 사회에 잘 융합하는 인물이라고 할 수 있다. 그녀는 양반이나 부상들의 돈을 갈취하는 간악한 여성으로 그려지긴 하나, 이러한 행위는 경제적 능력과 금전적 풍요만을 중시하는 당대 시류를 대변하는 풍자적 역할을 수행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정신적 가치보다 물질적 가치를 더욱 중요시하는 그녀의 행위 이면에는 자신을 인간적인 존재로 대하기보다는 물질에 의한 호색행위의 대상으로밖에 보지 않는 남성들의 재물을 탈취하여 남성 이데올로기에 대한 풍자를 드러내고 있다. 또한 여색(女色)에 빠진 남성의식을 분열시켜 춘풍의 우둔함을 질책하고 반성하게끔 하는 원인을 제공하는 있다. Ⅴ장에서는 여성형상을 통해 본 <이춘풍전>의 시대적 의의를 밝혔다. <이춘풍전> 18·19세기 변화하는 사회상이 잘 드러나고 있는 조선시대 최후기 소설로, 시대의 흐름에 잘 융합하는 여성인물들이 형상화된 작품이다. 그리고 지금까지도 독자관객의 요구와 관심, 작가의 주제의식에 따라 다양한 관점에서 마당놀이, 마당극 등의 쟝르로 변화·수용되고 있는, 살아있는 문학이라는 점에서 그 시대적 의의를 살펴보았다. <이춘풍전>은 비록 짧은 분량의 소설임에도 우리 고전문학에서 찾아보기 어려운 대범성과 적극적인 면모를 보이는 두 여성이 형상화된 작품으로, 특히 일상생활 공간에서 문제를 제기하고 문제를 해결하는 현실적이고 구체적인 삶의 반영이 잘 드러난다는 점에서 그 가치는 결코 작지 않다고 보여 진다. 앞으로 여성의식의 각성과 그의 실현으로 작중 여성인물에게서 드러나는 행위와의 관계 규명을 위해 페미니즘적 시각의 연구가 더욱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The classical novel <LeeChunPoongJeon(李春風傳)> describes the life of the late ChoSun(朝鮮) dynasty in 18-l9th, and it is the folk and satirical novel which reveals and releases the vague abusement and contradiction in society. In this story two person are placed on the stage. One is ChunPoong(春風), who is incapable of adjusting on the changing life and only bluffs on a front. The other is his wife Missis Kim(金氏), who keeps track of the life of her times and does actively anything that the epoch asked with overcoming the difficulties wisely and courageously. And another actor, ChooWol(추월), who tries to have a command of the practical interests in a money -raised society, stages on the line. In this thesis I take into account the woman's figure which appeared in the two women Chunpoong's wife Missis Kim and the Kisaeng(妓生) ChooWol in PyongYang(平壤), and from this women' images I evalute the historical meaningfulness of the <LeeChunPoongJeon>. First in the Chapter two, I look into the woman's changes of the consciousness in the era of destructure of Fuedalism-middleage-and the conflictions agaist the ideology of the patriarchy. After two wars, Imjinwearan(壬辰倭亂) and Bungjahoran(丙子胡亂), the late 18-l9th repeated again and again in politic, economic, social and cultural changes. In this stream of the ages the proletarian class starts to realize on the liberating from the bond of the long lasted absurd and contradiction of fudalism. And under the patriarchy system the woman's consciousness upon living with the absolute perseverance and the decent life they have strats to turn into the mind of acknowledgement of the independent life. In the <LeeChunPoongJeon> the figure of the two women, Missis Kim and ChooWol, seems to be a part of the synchronized askings and streams that mixed complicatly with the various availablity in the whole changes of the society. In the third Chapter I look into the Missis Kim's figure who masters and controls herself as a "keeper of domestic order and safety". Apart from the woman who follows the rules of absolute perseverance and decent life and who keeps tracks of the inactive life, Missis Kim lives as an active and progressive woman who wisely surmounts her difficulties with the spirit like a powerful woman. She stands on the streams of the uprising the labor's worth with monetary values in late ChoSun dynasty, and with manifasting a wise strategic conduct of life she actively faces it. And in an keepers of ordering of the domestic lives and in the features of helping husband and making him an another man this old story describes the 'Woman with an Most Exertive Life' to the husband who harmonizes with the changing epoch unlike the previous times. And with criticizing about the husband's feudalic authorities and his debauchery and incapability, this story eventually satires on the absurd of the patriarchy ideology. In the Fourth chapter I peels off 'the stereotype of mammonism' from the Kiseang Choowol's image. Kiseang ChooWol in PyongYang is the woman who addits only to the monetary effluence, and acknowledges the importance of the reality of materialism. And so she well meltes to the society which money controls. She is described as an wicked woman who robs from the YangBan(兩班) or rich paddler, but this acts a part of satire that substitutes those times when economic ability and monetary effuence are respected. On the backsides of more adhesion on material values than that of mental values, this story satires a male chauvinism that is incapable of being robbed of property, from who treats her with not a human being but an intercourse partner by money. And by exploding the man's consciousness which falls into lust, this story blames bitterly on the ChunPoong's idleness and gives tips of recollection. In the Fifth chapter, I find out the historical significance of <LeeChunPoongJeon> through the women' status. The classical novel <LeeChunPoongJeon> is the story of the late Chosun dynasty that describes the changing society in 18-19 centuries perfectly, and it images that the female character well harmonizes with the ages, And from now on this story is still the alive literature by changing and accepting the new genre such as Madangnoli(마당놀이), Madangguk(마당극), following from the reader's request and interest and writer's mindedness. <LeeChunPoongJeon> is short story though, but writes about two bold and active women that is not easy to be explored in any old traditional stories. Especially in an aspact of describing a practical and definite way of the reflection, asking problems and solving ability in the daily lives cannot be overestimated. In the future to find out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conducts which happens to the woman characters, by acknowledging the female consciousness and its realization, it is necessary to study more about the feministic point of views.

      • 《聊齋志異》중의 女性形象 硏究

        전순남 영남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8702

        포송령의 《聊齋志異》는 중국 고전 문언소설사에서 매우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는 고소설집이며, 六朝 志怪 이래의 지괴적 기법과 전기적 고사를 계승&#8228;발전시켜서 문언소설사상 최고의 예술적 성취를 이루었다. 거의 500편에 가까운 단편소설 중에서 약 200편에 달하는 작품이 걸작으로 평가되는 《요재지이》는 여성형상의 묘사에 있어서도 훌륭한 성공을 거둔 작품이라 할 수 있다. 이에 본 논문은 《요재지이》에 나타난 여성형상의 유형과 그 표현수법에 대해 특히 중점적으로 논의를 전개하였다. 본론에서는 우선 《요재지이》의 창작배경에 대해 간략하게 언급하였다. 다음으로 본론의 핵심 내용은 여성형상의 유형과 여성형상에 대한 묘사부분이다. 본 논문은 《요재지이》에 나타난 여성형상들을 다음의 세 가지로 분류하였다. 첫째, 봉건적 여성형상으로, 전통윤리에 순종하거나 희생되는 여성형상을 분류하였다. 둘째, 반봉건적 여성형상으로, 봉건윤리나 숙명에 굴복하지 않고 이를 극복하고 뛰어넘고자 하는 여성형상들을 분류하였다. 셋째, 복합적 여성형상으로, 여러 가지 유형이 복합적으로 나타나는 여성형상들을 분류하였다. 마지막으로 《요재지이》의 여성형상에 대한 묘사기교를 다음의 세 가지로 나누어 고찰해 보았다. 첫째, 환경묘사의 수법을 통해 이야기의 공간적 배경을 묘사함으로써 여성형상을 부각시키고 있다. 둘째, 심리묘사의 수법을 통해 여성인물들의 행동 동기나 원인을 생동감 있게 설명해 주고있다. 셋째, 초상묘사를 통해 직접적으로 여성인물의 형상을 부각시키고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것처럼, 《요재지이》는 고전문언단편소설중 최고의 걸작이라는 명성에 걸맞게 여성형상의 창조와 묘사에서 훌륭한 예술적 성취를 이루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작가 세계관과 윤리관의 한계에도 불구하고 풍부하고 다채로운 여성형상, 생동감 넘치는 서술과 묘사를 통해 청대 봉건사회의 진실한 모습을 생생하게 보여주고 있다. 바로 이러한 장점이 《요재지이》가 오늘날에도 끊임없이 재해석되고 영화와 연극으로 만들어지고 있는 중요한 이유라고 하겠다.

      • 高麗時代 漢詩의 女性形象에 對한 硏究

        전경원 建國大學校 大學院 1997 국내석사

        RANK : 248702

        이 논문은 고려시대 한시의 여성형상에 대한 연구로서 한시(漢詩)라는 장르 속에 형상화된 여성의 모습을 통해 작가는 무엇을 말하고 있는가 하는 점과 남성과 여성으로 변별되는 시적 화자에 따라 여성의 형상이 어떠한 방식으로 다루어지고 있는가 하는 점에 대한 연구이다. 이를 논증하고 있는 논문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한시라는 장르 속에 형상화되고 이쓴 여서으이 실상을 체계적이며 구조적으로 파악하기 위하여 여성형상의 유형을 일곱 가지로 구분하여 유형분류의 기준과 실제를 제시하였다. 여기서 마련된 유형분류의 기준은 한시 장르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여성을 형상화하고 있는 모든 시가 장르에 공통적으로 해당하는 준거가 된다. 둘째,여성형상의 유형을 일곱 가지로 구분하고서 각각의 유형들에 속해 있는 작품들을 연구검토한 결과, 여성형상의 대상별 특성과 그러한 특성을 바탕으로 드러내고자 하였던 작가의 의도를 밝히었다. 그 결과, 고려시대 사대부 작가들의 의식세계 내부에서는 여성형상의 유형에 따라 전달하고자 하였던 의미가 각각 변별적으로 분화되어 있었음이 드러났다. 셋째,작품 내에 존재하는 시적 화자에 주목하는 논의를 통해, 시적 대상과의 거리 및 남·녀 화자별 발화방식과 정서의 특성을 검토함으로써, 한시가 지닌 장르적 성격을 드러내었다. 이 논문의 제2장은 예비적 검토의 장으로 본격적인 논의에 앞서 논증과정에서 필요한 예비적 검토가 이루어졌다. '여성형상'에 대한 개념과 이 논문에서 다루고 있는 자료의 범위를 제시하였다. 아울러, 이 논문에서 연구대상으로 다루었던 전체 작품을 대상으로 검토하여 산출된 결과를 바탕으로 자료의 분포와 그 의미에 관해 살펴보았다. 그 결과 여말선초(麗末鮮初)로 갈수록 여성을 소재로 작품화하는 경향이 현저하게 감소하고 있음이 드러났다. 이처럼 여말선초로 갈수록 여성을 문학적 형상화의 대상에서 기피하고 있었다는 점은 여성에 대한 시각이 경직되어 가고 있음을 의미하는 자료의 결과로 드러났다. 제3장은 여성형상의 대상별 특성과 작가의 의도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그 결과 작가의 정신적 기저에서는 형상화되고 있는 대상에 따라 전달하고자 하는 의미가 분화되어 변별적으로 작용하고 있었다. 궁중여성의 경우에는 임금을 중심으로 연군지정이 형상화되고 있었고, 사대부여성·서민여성·천민여성의 겨웅에는 생활고와 관련되어 형상화되고 있었다. 생활고라 하더라고 세부적으로는 그 신분에 따라 생활고의 층위를 달리하고 있었다. 사대부여성의 생활고는 지아비인 사대부 남서으이 벼슬살이(官路)와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었으며, 사대부들의 진퇴관(進退觀)과도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었다. 결국, 생활고에 시달리고 있는 여성형상을 통해, 그를 극복하고자 하는 작가의 의도로 사대부여성이 형상화되고 있었다. 서민여성의 생활고는 부조리한 사회제도나 왜곡된 현실로 말미암아 야기되는 생활고의 층위로서 작가층의 애민의식이 표출되고 있다. 또한 천민여성의 생활고는 자신의 타고난 신분이나 성품으로 말미암아 야기되는 생활고의 층위와 천민여서으이 생활고를 통해 작가 자신의 빈곤함을 드러내고자 하는 두 가지 충위가 존재하고 있음이 드러났다. 특수 신분여성과 범칭여성의 경우는 많은 작품에서 여성화자를 통해 애정상황을 형상화 하고 있었다. 이러한 작품군에서는 '만남'과 '이별'이라는 항구적인 소재를 통해 님과의 합일을 지향하는 여성형상을 창조하였고, 사대부 작가들은 이를 통해 당대의 질서에 부합하는 애정상황을 표출하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선계여성을 대상으로 삼고 있는 작품의 경우는 초월적인 여성형상을 창조함으로써, 인간에게 주어진 유한성을 극복하고자 하였던 의도에서 형상화되고 있었음이 드러났다. 제4장은 남성과 여성으로 변별되는 시적 화자(詩的話者)에 주목한 논의였다. 그 결과, 시적 대상과의 거리에서 남성화자를 통한 여성형상은 작가와 거리가 먼 여성형상이었고, 여성화자를 통한 여성형상은 작가의 개인적 모습과 매우 근접한 여성형상이었다. 발화방식의 경우에는 남·녀 화자가 공통적으로 대화와 독백의 형식으로 발화하고 있었다. 남성화자는 주로 독백형식에 의존하여 발화가 이루어지면서 소극적, 수동적, 체념적 여성형상을 창조하였고, 여성화자는 주로 대화형식에 의존하여 발화가 이루어지면서 적극적이며 대담한 여성형상을 창조하였다. 정서의 특성에서, 남성화자는 시적 대상의 객관적 상황이나 현실 인식에 기초하여 정서가 촉발되고 이었던 반면에 여성화자의 작품에서는 주로 직접 체험에 의한 주관적 정서가 표출되고 있었다. This thesis as a study through women's figures portrayed on the sino-korean poetry in the age of the Koryo dynasty focused main points on that firstly, what the author's intended subject is and secondly, following the distinctive male/female poetic persona, what methods are put into practice to picture women's figures. What is following explanation is the proofs of these arguments. Firstly, In order to comprehend systemetically and structurally the female reality shaped in the genre of sino-korean poetry, the category of seven women's types are represented with showing the categorical criteria and practice of these classificational models which are not limited only sino-korean poetry but become common standard elements of 진1 poetry genres saturated with female silhouette. Secondly, studying the works which belong to categorical groups after dividing the seven models among women's figures, this thesis made clear what the author's intentions are on the basis of characteristics of women's figures. In consequence, in the age of the Koryo the literatl authors' consciousness showed that the meanings which they want to deliver are distinctively differentiated according to women's categorical figures. Thirdly, Through the focus on poetic persona's main argument, by analyzing a distance between poetic objects, narrating ways, emotional differentiatives, and both an author and a poetic persona, this paper unfolded sino-korean poetic genre's characteristics. As a preliminary look-through arena before entering into the essential argument, the second chapter of this research not only accomplished the necessary pre-exam in the process of proof, but also presented the concept of women's figures and the marginal material colltour to which this paper's investigation is permitted. and Through the standards of classification of women's figures and concrete works' illustrations, the real practice enacted. Furthermore, this treatise surveyed the distribution and the meaning of sources on the basis of result derived from scrutinizing all works concerned. Chapter three touched on categorical characteristics of women's figure and author's intentiorls. In case of court women. The love emotions for king who is the cellter image are materialized. and On the other hand, to the literati, the popular and the lowborn status women, their poetry is taken form with economic distress. After all, through the women's figures who are burdened by hardships of life, the author's purposes to overcome these obstacles are uncovered by the verses of the literati women. The loorborn women's distressfulness originated from absurd social systems and distorted realities is expressed with converging author's sympathetic feelings. But it is proved that although the lowborn women's ecoilomic troubles connected, what is worse, with their inborn social positions and their character became more miserable, the lowborn status economic hardships was characterized by its close connection with the author's writing which revealed his/her destitution by using the the unfortunate's status. In case of special status women and generally naming women, most of works represent the love emotions adopting the female speaker(persona). Within these stylistic works, the everlasting motif viz, what is called "meeting and parting", created females who are longing for oneness with their lovers. Availing this trend, the literati women portraited affectional situations corresponding to order of the day. Lastly, In the works of depicting imagenary faerie figures as an object, its purpose is to create transcendental women's figures so as to surmount the morality of human beings. The fourth chapter debated on focusing poetic persona distinctive both female and male. Subsequently, from a distant of poetic objectives, the male persona expressed a true-blue voice of author's social roles, while female voice displayed an ardent tone of woman's desire. Even in the styles of narrating, masculine talkers depicted the negative and resigned female images by putting in words of soliloquy-orient. But on the other hand, feminine sayers through a dialogue form portrayed the woman images limned her desires positively and with boldness. Finally, at the nature of emotion the male voice conveyed sentiments confronted by objective situations through the object. Conversely the female voice painted subjective feelings by gaining immediate expenences.

      • 《左傳》의 女性形象 研究

        SHI, LONGCHAO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8686

        《左傳》은 춘추시대(春秋時代) 각 제후국간의 정치, 군사, 외교, 경제, 문화 등 여러 방면을 기록한 편년체 사서(編年體史書)이다. 또한 선진시기(先秦時期)의 위대한 역사산문 중 대표적인 작품이다. 특히 춘추시기의 역사와 문화·사회의 변천을 여러 방면에 걸쳐 기록하였다. 《左傳》의 서사는 명확하고 아름다우며 인물묘사에 특히 뛰어나다. 또한 인물형상의 묘사에 사용된 문장은 간결하고 생동감 있다. 《左傳》의 필체는 간결한 문장을 통해 대화와 행동을 기록하여 인물의 특징을 표현하는데 탁월하다. 그리하여 중국의 후대 문학의 발전에 지대한 영향을 끼쳤다. 중국문학사에 있어서, 《左傳》은 최초로 생생히 인물형상을 표현하고 다양한 성격의 여성형상을 묘사했다. 이렇게 기록된 춘추시대의 수많은 여성형상은 풍부하고도 다채롭다. 직접 분석한 통계에 따르면 《左傳》의 280여 명의 여성이 출현한다. 당시 여성은 남성에 비하여 사회적으로 현저히 낮은 지위에 있었다. 기록된 280여 명의 여성은 상층귀족이 대부분을 차지하며, 일반적으로 대부분 왕비, 왕대비, 첩 및 기타 왕실의 여성 등이 주를 이루며 소수의 하층여성이 기록되어 있다. 이 중 결혼·출산·사망 이외의 기록이 남겨진 여성은 90여 명에 이른다. 이 여성들은 자신의 지위와 나라를 위해, 혹은 사랑을 위해서 참혹한 정치세계로 뛰어들어 국가대사(國家大事)에 관여하게 되었다. 본고에서는 《左傳》에 등장하는 여성을 연구대상으로 삼아, 《左傳》의 여성을 표로 정리하고 여성들의 주변 관계를 분석하였다. 이와 함께 《左傳》의 여성형상을 분류하고, 이런 여성형상의 묘사수법과 이것이 후대 문학에 미친 영향의 세 가지 방면에 대해 연구를 진행했다. 春秋時期社會動蕩不安,處於新舊價值觀交替的社會轉型階段,是中國歷史上的一段特殊時期。研究這一時期的女性對我們了解當時的社會狀況有極其重要的意義。《左傳》是先秦時期的一部規模宏大,內容豐富的歷史著作,書中出現了大量豐富多彩的人物形象。相對於之前的史書,《左傳》中出現了為數不少的女性形象,記錄了一部分女性的思想和行為,這在史傳文學和女性歷史上有進步性的意義。本文主要以《左傳》中涉及到的女性為研究對象,用表格的形式按照書中記載的先後順序對《左傳》中的女性以及她們的社會關係和具體事件進行了整體梳理。根據統計《左傳》中共記載了274名以上的女性,大部分為貴族女性,而且大部分女性出現的事件集中在婚喪嫁娶這些方面,只有少數女性主動或被動的參與到當時的政治中去,提出了自己的政治見解,少數女性展現了自己的思想和文學才能等。通過《左傳》中這些對女性的記載,我們可對春秋時期女性的社會地位,社會制度對女性的影響,女性受教育程度等多方面進行研究,這對今人了解在歷史長河的發展進程中中國古代女性所保持的觀念是如何演變的有很大推動作用。《左傳》中出現的一定數目的女性形象具有很高的文學價值,特別是一些女性敘事和女性形象塑造手法對後代文學中的女性人物形象塑造提供了素材和很好的借鑒。本文一共有五個章節,主要分三部分對《左傳》中的女性人物進行了研究。首先在第二章對《左傳》中的女性形象進行分析,分類依據主要參考了漢代以來古人對《左傳》女性的分類和已有論文中的研究成果。主要對政治鬥爭中的女性,春秋時期婚姻禮法的受容方式及德才兼備的女性三方面進行了論述。對春秋時代女性與社會的關係,及這類女性的特點等進行了研究。根据整理《左传》中贵族女性的婚姻大多为政治联姻,这种婚姻往往是父国为了结同盟,扩展外交的一种手段,女性在这种婚姻关系中是以工具的作用存在的,带有政治使命,所以当时贵族女性往往是维持夫父两国政治联盟的关键人物。这些女性有一部分具有强烈的宗国观念,时刻以自己父国或宗族的利益为主,在父国或宗族需要帮助的时候进行外交等方面的政治活动。当时女性这种以宗族为主的观念是因为受到当时礼法制度的影响,先考虑父亲再考虑丈夫是‘知礼’的表现,被当时社会所认同。且受到宗族观念的影响,同宗人都要接受族内掌权者的控制,女性往往更没有自主权,很多女性被作为政治工具、物品甚至殉葬品使用。其次在第三章對《左傳》中女性形象的塑造手法進行了分析,從人物外在形象和性格塑造手法兩方面進行了分析。據統計《左傳》中對女性外貌的描寫極少且簡單,少有的幾例外貌描寫大多只用了一個‘美’字。在人物性格塑造方面,作者沒有刻意去描寫女性的性格,而是在事件中通過她們的行動、語言和一些細節等來把各種性格的女性等呈現在了讀者面前。最後在第四章主要以後世詩歌、戲曲、小說中的《左傳》女性形象爲主進行分析。可以認識到《左傳》中的女性形象隨著時代的發展和社會觀念的演變,後代人對這些女性的評價也在發生著變化,特別是20世紀以來以《左傳》中女性爲題材的作品中,出現了一些反對將女性妖魔化、紅顔禍水等男女不平等主張的作品,這類作品對提高當今女性社會地位具有重要的參考價值。

      • 최정희와 쑤칭(蘇靑) 소설의 비교연구 : 1930~40년대 소설의 여성형상을 중심으로

        왕명혜 연세대학교 일반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8685

        최정희와 쑤칭(蘇靑)이 활동했던 1930~40년대는 한국과 중국 사회가 급변을 겪던 시기였다. 19세기 중반 서양에서 일어난 여성해방 운동 사조는 20세기 초반에 한국과 중국으로 유입되었으며 1920~30년대에 최고조에 이르렀다. 당시 신교육을 받은 여성들은 서양으로부터 유입된 전위적 여성해방 사조의 영향을 받아 자기해방을 추구하기 시작했고, 여성의 운명과 여성해방에 대한 깊은 관심을 가지게 되었다. 특히 여성작가들의 문학작품에는 여성해방 의식이 매우 두드러지게 반영되었다. 최정희와 쑤칭은 1930~40년대 한·중의 대표적인 여성작가로서, 비슷한 사회 배경과 생활환경에서 살았던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한 삶의 유사성이 그녀들의 작품에서도 비슷하게 반영되어 있음을 파악할 수 있다. 본고에서는 최정희와 쑤칭의 문학작품에 나타난 여성 형상에 대한 분석을 통해 두 작가의 여성의식을 살펴보고자 했다. 본 연구에서는 비교문학 연구 방법 중에서 미국학파의 평행비교 연구 방법을 주 연구 방법론으로 삼았다. 고전 문학의 경우 한국과 중국은 상호교류 관계가 활발했던 만큼 작품들 사이의 영향 관계도 뚜렷하게 드러나 보이는 편이다. 그러나 19세기 말부터는 그러한 교류나 영향 관계가 잘 드러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며, 이에 프랑스 학파의 영향관계 비교연구 방법보다는 문학적 영향관계를 전제하지 않고 문학 현상의 유사점에 초점을 두어 비교·해석하는 미국학파의 평행비교 연구 방법이 본 연구에 더 적당하다고 생각했다. 본고에서는 최정희와 쑤칭의 소설에 나타난 다양한 여성 형상을 통해서 두 작가의 여성의식을 살피고자 했다. 구체적으로 말하자면 그들의 소설을 통해, 가부장제 사회에서 타자로 존재했던 여성들이 어떤 억압과 배척을 받고 있었는지, 그것이 어떤 양상들로 드러나고 있었는지, 이러한 억압 하에서 신교육을 받은 지식인 여성들이 어떤 방식으로 자기해방을 추구하고 있었는지 등을 살펴보고자 했다. 나아가 소설 속에 나타난 다양한 여성 형상들을 통해서 작가들의 여성의식을 밝혀보고자 했다. 본고는 최정희와 쑤칭의 유사점에 입각하여 비교연구를 수행한 것이다. 작가로서의 쑤칭에 대해서는 아직 한국에 잘 알려져 있지 않은 만큼, 2장에서는 최정희와 쑤칭의 생애와 문학 활동에 대해 간략히 소개하였다. 3장에서는 최정희와 쑤칭의 작품들에서 봉건적인 가족제도 하에 조혼제도와 남아선호 사상으로 인해 억압 받는 여성, 모성본능에 의해 낭만적 사랑에 대한 욕망을 희생하는 여성, 가부장적 사회에서 남성의 부재와 경제적인 무능력으로 인해 비극적인 운명을 맞이하는 여성 등이 어떻게 형상화되었는지를 검토해보고자 했다. 4장에서는 독립적인 인격체로서의 작가들의 글쓰기, 작중 경제적으로 독립한 여성 인물들이 보여주는 낭만적 사랑에 대한 추구와 성적(性的) 해방, 새로운 모성에 대한 발견 등을 통해 인간으로서의 여성이 주체의식을 각성해가는 과정을 고찰했다. 5장에서는 시대의 담론을 받아들이면서 문학을 창작하는 작가들의 특징을 고찰해보았다. 1930년대 후반부터 일제가 한국에서 선전한 '모성담론'에 따라서 최정희는 여성들을 가정의 소속으로 간주했다. 비슷한 시기 중국 상하이에서 소비적이고 상품화되어 '색정문화(色情文化)'라는 평가를 받기도 했던 '해파문학(海派文學)'의 영향을 받은 쑤칭의 소설에는 사랑과 성적 해방을 추구하는 특징이 있다. 이러한 점을 살펴본다면 최정희와 쑤칭은 각기 당대의 유행에 민감했던 작가였음을 알 수 있다. 최정희 소설 속 인물들이 여성으로서의 욕망을 모성 속으로 내면화하면서 복잡한 여성성을 구성한다면, 쑤칭의 인물들은 희생적인 모성보다 한 인간으로서의 여성적 욕망을 더 중요시한다. 두 작가의 차이점을 말하자면, 최정희는 봉건적인 조혼 제도로 인해 억압받는 여성상과 낭만적인 사랑을 추구하는 여성상을 많이 다루고 있으며, 쑤칭은 전통적인 남아선호 사상 때문에 고통스러워하는 여성과 성적 해방을 추구하는 여성의 형상을 많이 그리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최정희와 쑤칭의 소설에 나타난 다양한 여성 형상을 통해 작가의 여성의식을 살펴보고자 시도했다. 가부장제 사회에서 타자로 존재한 여성들이 어떤 억압과 배척을 받고 있었는지, 남성 중심주의 사회에서 어떤 수단으로 자기해방을 추구하고 있었는지를 고찰해보고자 하였다. 나아가 시대에 순응하는 두 작가의 여성의식을 밝혀보았다. During the 1930's and 40's, when Choi Junghee and Su qing were active, Korean and Chinese societies were experiencing rapid changes. The movement of women's liberation movement in the mid-19th century came to Korea and China in the early 20th century and reached its peak in the 1920s and 30s. Under the influence of avant-garde liberation movements from the West, women who received new education began to pursue self-liberation and became deeply interested in women's destiny and women's liberation. In particular, women writers are very prominent in their literary works. Choi Junghee and Su qing are representative women artists of Korea and China in the 1930s and 40s. They have lived in similar social backgrounds and living environments, and the similarities can be easily found in their works. In this paper, I tried to examine the female consciousness of the two artists through the analysis of the female figure in the literary works of Choi Junghee and Su qing. The research method of this study was to select a parallel comparative study of American schools among comparative literature research methods. This is because Korea and China are active in mutual literature and have a clear influence on classical literature. This is because the American school of parallel comparison research methodology, which focuses on the similarities of literary phenomena and compares and interprets them, is more appropriate. In this paper, I tried to examine the female consciousness of the artist through various female figures in the novels of Choi Junghee and Suqing. Specifically, what kind of oppression and rejection were women who were present in patriarchal societies in their novels, and what aspects were revealed in the novels? I tried to find out the women's awareness through various forms of women. This paper is a comparative study based on the similarities between Choi Jung Hee and Su Ching. In addition, in the second chapter, the life and literary activities of Choi Junghee and Suqing are examined. The third chapter deals with women who are oppressed under the feudal family system and the male ideology under the feudal family system in the novels of Choi Jung-hee and Suqing, women who sacrifice their desire for romantic love by their maternal instinct, and the patriarchal society. Absence and economic incapacity have resulted in women being tragedy. In Chapter 4 examines the awakening process of subjective consciousness as a human being through the writing of writers as independent personalities, the pursuit of economically independent works, the pursuit of romantic love, sexual liberation, and the discovery of new motherhood. In Chapter 5, the authors found the characteristic of creating literature according to the discourse of the times. In other words, according to the 'maternity discourse' that Japan advertised in Korea since the late 1930s, Choi regarded women as family members. At the same time, according to Haepa Literature, which was consumed, commodified in Shanghai, China, and even evaluated by "color culture", the novel of Suqing is characterized by the pursuit of love and sexual liberation. For this reason, Choi Junghee and Suqing are artists who create according to the times. Also, I examined the distance between the mothers and feminine desires of the two artists. When Choi Junghee internalizes her desire as a woman and complicates femininity, Suqing puts more importance on her feminine desire as a human being than her sacrificial mother.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writers is that Choi's novels deal with women's images suppressed by feudal marriage and romantic love, while in Suqing's novels, women seek sexual pain and women who suffer from traditional male preferences. I draw a lot of images of women. And in their novels, the maternal consciousness of the heroines shows a kind of changing trend. In other words, she showed her new motherhood as a subject from her mother who submitted her to sacrificial motherhood. In the novel of Choi Junghee, she was creating a conflict between the self, faithful to her instincts, and the motherhood forcing altruistic life. In the novel of Suqing, she showed the awakening process of female subjective consciousness. The author's subjective consciousness can be said to expand the femininity as a modern other to the social self and an independent individual. In this paper, I tried to examine the female consciousness of the artist through various female figures in the novels of Choi Junghee and Suqing. This study examined the oppression and rejection of women who existed as the other in patriarchal society and the means by which self-liberation was pursued in the male-centered society.

      • 元 戱劇에 表現된 女性形象 硏究

        노혜실 한서대학교 정보산업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8684

        본 논문에서는 중국 元代 四大 애정극이라고 할 수 있는 關漢卿의《拜月亭》, 白朴의《墻頭馬上》, 鄭光祖의《倩女離魂》, 王實甫의《西廂記》에 등장하는 여성의 형상을 고찰해보았다. 우선 이들 작품에 등장하는 여성들을 통하여 당시 청춘남녀가 사랑을 추구하고 결혼을 하는 과정에서의 갈등과 모순, 그리고 이들의 해결을 통한 작가의 이상향을 고찰하였다. 이어서 당시 전통 유가사상 아래에서 성장한 집안의 여성과 원시 부족사회에서 자유분방하고 거칠게 성장한 여성들이 등장하는 희극을 살펴보고 극중에 등장하는 여성들의 對比를 통하여, 가문의 전통을 이어가기 위한 그녀들의 적극적 혹은 소극적 참여행동, 아울러 집안의 예절 및 자녀의 교육 등에 대한 관심과 행위를 작가가 어떠한 감정과 관심을 가지고 자신의 이상향을 표현하였는지를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원대 희극 중 기녀가 등장하는 작품을 살펴보았다. 기녀는 고대 원시사회 때부터 생성되어 인류사회와 공존하여 왔다. 그리고 원대와 같은 특수한 사회에서 상업이 번창하게 됨에 따라 기녀라는 직업여성이 대거 등장하게 되는데, 이러한 기녀들은 당시 최하위 계층에서 생활을 하며 고통을 받고 있었다. 질병에 따른 고통과 불안정한 생활에 대한 불만 그리고 사랑과 결혼에 대한 그녀들의 갈망과 염원을 곁에서 보아온 작가들의 깊은 동정심과 모순되고 각박한 사회에 대한 강한 불만을 자신들의 작품에 반영하였음을 고찰하였다. This thesis investigates forms of women who appear in China's four Love Drama of YUAN dynasty, which are Guan Han Qing's (關漢卿) ≪Bai yue Ting(拜月亭)≫, Bai Pu's(白朴) ≪Qiang Tou Ma Shang(墻頭馬上)≫, Zheng Guang Zhu's(鄭光祖) ≪Qian Nv Li Hun(倩女離魂)≫ and Wang Shi Fu's(王實甫) ≪Xi Xiang Ji(西廂記)≫. First of all, the author's utopian ideal is examined through conflicts and contradictions of women in the dramas during the process of pursuit for love and marriage of the times and their settlements. Subsequently, the comedies are looked into in which both women, raised in families under traditional Confucian ideology, and free-wheeling and rough women, raised in primitive tribal society, appear. And through the contrast of women in these dramas, with what kind of emotions and interest the authors expressed their utopian ideals is also examined around active or passive participation activities of these women to keep their family tradition and interest and activities regarding the manners in the family and children education. And Last but not least, a comedy of YUAN dynasty, in which GISAENG (so-called official dancing girl) come on the scene, is investigated. GISAENG has been in existence with human society since the time immemorial, perhaps from ancient primitive societies. And with the advance of commerce in a unique society like YUAN, a large number of these professional women appeared and yet, they were leading lives of the lowest class under distress. Having witnessed their suffering from disease, complaints on unstable life and desire and yearning for love and marriage in close ranges, these authors reflected, it is also examined, their deep compassion and strong complaints about contradictory and heartless society.

      • 《金甁梅》의 女性形象 硏究

        송지연 경희대학교 2009 국내석사

        RANK : 248670

        《金&#29942;梅》&#23545;于中&#22269;&#20256;&#32479;小&#35828;&#26469;&#35828;,是被&#35780;价&#20026;&#24320;&#21551;&#21010;&#26102;代章程的明代章回小&#35828;。&#24182;且,&#19982;以往&#38271;篇小&#35828;等中,以英雄豪杰作&#20026;作品的主人公不同,是&#22260;&#32469;西&#38376;&#24198;一家的家事&#20026;中心,&#36825;一点存在着差&#21035;。&#36825;不&#20165;是文&#23398;本身&#25317;有的&#32431;粹&#33402;&#26415;性价&#20540;,&#36824;通&#36807;作品中描述的明末多&#31181;面貌,&#23545;&#24403;&#26102;的政治、&#32463;&#27982;、社&#20250;&#39118;俗、宗&#25945;、衣食住、方言等&#24456;多&#36164;料的&#30740;究&#32473;予&#24456;大&#24110;助。 《金&#29942;梅》中所描述的明代,是女性的&#36126;&#33410;崇拜和性淫&#27846;的追求&#36825;一矛盾&#29616;象共存的&#26102;代。明代科&#20030;考&#35797;的&#36807;&#28909;&#29616;象,在中&#22269;各地域大量&#20135;出&#32453;士&#38454;&#23618;,他&#20204;在&#20065;村把女性的守&#33410;和自&#26432;&#35748;&#35782;&#20026;儒&#25945;意&#35782;形&#24577;的一部分&#36190;&#25196;&#20026;烈女。 相反,&#24403;代的男性可以通&#36807;女性&#20080;&#21334;&#24456;容易做&#32435;妾行&#20026;,&#36824;通&#36807;妓女制度自由散&#21457;自己的性欲。因&#20026;如此矛盾的男性角度,女性在肉&#20307;上和精神上受到&#21387;迫。以&#36825;&#31181;背景&#20026;基&#30784;&#35806;生的小&#35828;《金&#29942;梅》,其&#23454;不&#20165;在男性作者的&#35266;点上,&#20174;否定的角度看待和描述大部分女性人物,而且&#36824;引出因果&#25253;&#24212;的&#32467;局,警示着&#35835;者&#20204;。 本稿中了解到明代社&#20250;的政治、社&#20250;、文&#23398;方面的背景,&#23558;《金&#29942;梅》的主要女性人物,在明代的家&#38271;制意&#35782;形&#24577;下表&#29616;出的每&#20010;人的&#20010;性和性格,作&#20026;焦点&#36827;行&#30740;究的同&#26102;,&#36824;&#35266;察了女性人物相互之&#38388;的&#20851;系和&#29233;情&#32467;&#26500;。 在明代,女性的&#36126;&#33410;崇拜&#34429;然&#36798;到&#39030;点,但在&#36825;一方面考&#34385;到性淫&#27846;的追求蔓延之&#22788;,&#24102;有《金&#29942;梅》用&#39034;&#30021;的性表&#29616;,&#23558;&#36825;&#31181;儒&#25945;社&#20250;的矛盾情&#20917;暴露于表面的反&#21160;意&#20041;。&#24182;且,在小&#35828;中良妻型女性人物&#20204;迎接&#23551;命&#38271;&#23551;等好的&#32467;局,但淫&#22919;型女性人物却迎接悲&#24808;的死亡,&#20174;&#36825;一点上可以看出作者&#23545;女性的警告。不&#20165;是&#36825;&#31181;因果&#25253;&#24212;的&#32467;局,&#20174;小&#35828;中&#25554;入的&#23545;&#36807;分的欲望追求反&#22797;警戒的&#21465;述者的&#25945;&#35757;之&#35265;解中,&#36824;可以看出&#24403;代的家&#38271;制社&#20250;&#35266;念。 《金&#29942;梅》作&#20026;社&#20250;小&#35828;,具有批判儒&#25945;社&#20250;的矛盾情形的告&#21457;性&#36136;,又具有未能打破家&#38271;制秩序,以儒&#25945;意&#35782;形&#24577;&#31215;&#21387;的男性&#35266;点的界限。 《金甁梅》는 중국 전통 소설에 있어서 획기적인 장을 열었다고 평가받는 明代 章回小說이다. 또한 이전의 장편소설 등이 영웅호걸들을 작품의 주인공으로 삼고 있는 것과는 달리 西門慶 一家라는 한 개인의 가정사를 중심으로 다루고 있다는데 차별성이 있다. 이는 문학 자체가 갖는 순수한 예술적 가치뿐만 아니라 작품 속에 묘사된 明末의 다양한 모습을 통해 당시의 정치·경제·사회풍속·종교·의식주·방언 등 많은 자료 연구에 도움이 되고 있다. 《金甁梅》가 쓰여진 明代에는 여성의 정절 숭배와 성적 쾌락의 추구라는 모순된 현상이 공존하던 시대였다. 明代 과거 시험의 과열 현상은 중국 각 지역에 紳士 계층을 양산하였고, 이들은 향촌에서 여성의 수절과 자살 현상을 유교적 이데올로기의 일부로 인식하여 烈女로서 찬양하였다. 반대로 당대의 남성들은 女性 賣買를 통해 손쉽게 蓄妾 행위를 할 수 있었고, 妓女 제도를 통해 자유롭게 자신의 성적 욕망을 발산하였다. 이렇게 모순된 남성의 시각으로 인해 여성은 육체적, 정신적으로 억압을 받았다. 이런 배경을 바탕으로 탄생한 소설 《金甁梅》는 사실 남성작가의 관점에서 대부분의 여성 인물들을 부정적인 시각으로 보고 묘사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인과응보적 결말을 끌어내어 독자들에게 경고를 하고 있다. 본고에서는 明代사회의 정치적, 사회적, 문학적 배경을 알아보고, 《金甁梅》의 주요 여성 인물들이 明代의 가부장적 이데올로기 아래에서 나타내는 각각의 개성과 성격들에 초점을 맞추어서 연구함과 동시에 여성 인물 상호간의 관계와 애정구조를 살펴보았다. 明代에 여성의 정절 숭배가 절정에 이르렀지만 그 이면에 性的쾌락의 추구 또한 만연했던 점을 고려할 때, 《金甁梅》는 거침없는 性표현으로 이러한 유교사회의 모순된 상황을 표면에 드러내는 반동적 의미를 지닌다. 또한 소설 속에서 良妻型의 여성 인물들은 수명장수 하는 등 좋은 결말을 맞이하지만, 淫婦型 여성 인물들은 비참한 죽음을 맞이하는 것에서 작가의 여성에 대한 경고를 살펴볼 수도 있다. 이러한 인과응보적인 결말 뿐 아니라 소설 중간 중간에 삽입되어 있는 지나친 욕망 추구에 대해 반복하여 경계하는 서술자의 교훈적인 견해에서 당대의 가부장적 사회관념 또한 찾아볼 수 있다. 이처럼 《金甁梅》는 사회 소설로서 당시 유교 사회의 모순된 상황을 비판하는 고발적 성격을 가지고 있으면서, 소설 안에서 가부장적 질서를 깨지 못하고 유교적 이데올로기가 체화된 남성적 관점의 한계를 가지고 있다.

      • 韓·中 小說의 女性形象 比較硏究 : 1920~30년대 작품을 중심으로

        신창순 成均館大學校 大學院 2004 국내박사

        RANK : 248668

        本論文通過考察在1920∼30年代韓中兩國小說中所出現的女性問題及女性相的比較,試圖?出共同点和差異点,從而闡明當時文學的普遍性和特殊性。至今爲止,在韓中比較文學硏究中,占主導地位的是對古典文學的比較硏究, 而對現代文學, 尤其是女性文學的比較硏究遠遠落后于此。這因爲比較文學只有影響關系才能比較的固定觀点。再這種情況下, 對韓中女性小說的比較硏究,將對兩國的現代文學及文化交流起到一定的推動作用。 本論文爲了更好地把握小說中出現的女性問題和女性形象,首先考察了當時兩國的時代背景和女性的現實問題,幷且這些女性問題是즘樣以文學的形式所表現出來的。 1920-30年代的韓國處于日本占領的殖民地時期。由于土地被剝奪和剝削,人們陷入極度的貧窮,背井離鄕的人和移民急劇增加。不僅如此,由于農村經濟的崩潰而導致家庭破裂的反面,爲了與經濟崩潰相抗衡,家族制度反而被强化。在這惡性循環中女性問題成爲?大的社會問題。 此時的中國也正是半殖民地半封建國家,孫文領導的國民革命派建立民主共和制國家的機會被以袁世凱爲中心的反近代化勢力?奪,愚昧的軍閥被列强分裂,不平等條約愈加深化,導致腐敗的蔓延和擴大,誤入亡國之路。而且經過悠久歲月浸染的傳統封建意識在社會各處殘存,對女性的偏見和差別依然束縛和壓迫着저們。雖然當時有一部分擔當女性運動先鋒的所謂新女性,可是,當時占多數的還是農民女性和包括勞動女性的底層女性。저們是當時社會的最底層女性,也是支撑社會的基層女性,是戰勝無數苦難和壓迫,維持遙遙欲墜的社會的主要成員。저們不但擔負着家夫長制結構家庭的?碎的家務,也擔負着維持生計的生産勞動。 在20世紀初,女性解放問題在韓中兩國?孚同一時期被提及。先進的知識階層用西方率先提出的女性解放理論,重点批判數千年統治東洋社會的儒敎思想中的女性觀。?一方面女性自救意識開始覺醒,許多女性?出家庭投身社會。可社會風氣依然是受男性優越的倫理觀支配,女性爲爭取解放要付出代价。 這一時期先進的韓中兩國作家關心當時面臨的女性問題,比如韓國的李光洙, 玄鎭健, 蔡萬植, 羅蕙錫,姜敬愛和中國的魯迅,老舍,廬隱,巴金,丁玲等作者積極地提倡女性解放,在現代小說當中加大反映女性生活的比重。他(저)們在文學作品中忠實地反映了當時女性所處的悲慘的社會現實和爭取女性解放的過程, 如實地反映了新時代的女性的思考方式如何變化,又즘樣被當時的傳統保守主義挫折。 本論主要考察了在韓中兩國小說中出現的女性問題和女性形象,其結果作品中表現的具有共性的女性問題及女性形象可分爲以下四点。 第一, 被傳統封建意識犧牲的女性。此時的韓中兩國, 雖然已進入近代化社會。但根深?固的封建意識依然存在着社會的各角落里。其中對女性的封建意識更加嚴重。比如:因家夫長制過뉴曲的生活,被父親出家賣身維持家庭的草鳳和小福子;依傳統倫理因爲不愼팽了祭祀食品,而被村里人打死的玉桂妻子;因爲是寡婦,受盡屈辱和冷眼郁郁而死的祥林嫂;從小遵父命守貞節達七年之久的英彩;被婆家간家門還堅持要做婆家的鬼,終于得到'貞節婦人'稱號的何姑娘;저們雖然民族與國籍不同,但却之所以有共同的命運,是因爲飽受了長久以來一直支配韓中兩國的三從四德、七去之惡等儒敎文化殘存意識的蹂躪,被剝奪了正當人過正常生活權利而過着被유曲的生活。 第二, 因經濟狀況窘迫導致的女性的悲慘命運。當時的韓國和中國因外來的侵略經濟上極度貧窮。因丈夫不在或丈夫的無能,女性不得不爲生計而奔波。可是,對于女性的經濟活動,旣有許多限制,又有?嚴重的?視待現象。在這種狀況下買賣婚姻和賣春行爲盛行。由此,社會風氣變得開始包容賣春行爲,出現了父母把年幼的女兒、丈夫把妻子當作經濟手段的不正常現象。依照儒敎的倫理,女性的貞節如生命一般重要,可是爲了給父母盡孝、守護家庭,貞節也只能抛棄。可以看出,在這種自我矛盾中,韓中兩國女性忍受着雙重多重的痛苦。 第三, 重新發現自我和覺醒的女性。一直作爲附屬品生活的女性逐漸開始覺悟,發現自我,主張自由和平等,向封建制度挑戰。저們勇敢地拒絶父母定下的婚約,?破家庭的樊籬,經濟上求獨立,堅守自我。通過經曆過的痛苦和挫折、通過先覺者的敎育,저們的思想開始專變, 其斗爭的目的不僅僅是爲自己,而開始着眼于社會。之所以有這種覺醒的女性形象出現,是因爲西方的女性解放思想被兩國所接受,新思想的敎育在兩國同一時期展開。 第四, 女性解放中出現的問題。伴隨着女性解放,新的知識女性出現。受過敎育的女性與男性以同等的資格參與社會。當時此類短發洋裝的知識女性是知識男性的婚戀對象。因此, 出現了已婚的男性心系在別處,以各種手段努力擺脫舊女性。其結果,部分女性委屈地從糟糠之妻的位置退出,因絶望和?屈而自絶。?外,還有一些新女性的虛僞和淪落。저們雖然主張女性解放,但面對現實却氣?和墮落。這是저們沒有眞正認識到女性解放的眞諦,僅僅把女性解放認爲是獲得自由的。卽把狹隘的自由與解放화等號的結果。 如上所述,現代韓中兩國的女性小說,雖然沒有直接地相互影響,但是 可以看出主題和內容方面都具有共同性或者類似性。從而可以得出結論,這因爲是隣近的兩國?久以前就有着共同的東方思維觀念,幷且同一時期吸收西方文化。 本論文最后考察了由于兩國作家的各不相同的世界觀和創作方法,所顯現的人物的性格和作品的結構差異。 首先考察近現代文學的先驅李光洙和魯迅,可以看出他們的女性觀相當不同。李光洙主要把新女性作爲主人公,表面上看呼?女性解放,但內心却依然未能擺脫男性中心的思想和傳統儒敎的女性觀。反觀魯迅,主要反映底層的受壓迫的女性生活,對저們的生活理解?深,思想透徹,眞正提倡女性解放,始終如一地以寫實的手法冷靜地描繪了女性的被유曲的人生,揭露了封建禮敎的弊端。 第二,考察蔡萬植和老舍的作品, 可知道兩位作家在處理作品結尾方面有?大差別。卽,對前途的否定和肯定。在儒敎封建秩序下,遭受男性的?視待遇過着悲慘的生活的女性相在兩位作家的作品中表現得相似。但結尾部分,在蔡萬植的大部分作品中,主人公都有意識或者無意識地覺醒而反抗、開始新的生活,展現未來;但在老舍的作品中,女主人公大部分都在與現實的對決中被打敗,陷入絶望以至死亡,幷不展現未來。從這一点上,可以說蔡萬植比老舍在女性問題上更進步一些。 第三,姜敬愛和丁玲是當時最進步的女性作家的代表。 저們都把女性作爲主人公,以寫實手法描繪了當時女性的悲慘的命運和痛苦,揭露批判了階級社會的矛盾和不正。尤其是,勇敢地?出封建家庭參與工人斗爭和革命的女性形象,這在爭取女性解放的當時社會起了?大的作用。 可是,由于兩位作者的不同的成長過程,作品的素材和人物的性格方面表現有所不同。 ?早失去雙親在親戚家寄宿,艱難長大的姜敬愛把底層女性的悲慘生活寫得過于悲慘,甚至到了不忍讀下去的地步。可是,縱觀出生于上層家庭,受過高等敎育的丁玲的作品中,?少有像姜敬愛那種對悲慘現實的描寫,人物的成長過程也不象姜京愛那樣眞實。 第四,寫女性小說的男性作家和女性作家的有着鮮明的差異。男性作家的作品中女性大部分不是以主人公出現而是以配角出現,出現的女性沒有主見,僅僅是成爲被同情的對象。當女性要擺脫悲慘命運時,必定由男性出現伸出援救之手,施敎予以覺醒。這或許是因爲男性優越意識或男女差別思想,在男性作家頭腦中不知不覺地還根深?固。但是,女作家的作品則相反。在作品中, 저們都將女性作爲主人公來描繪,這些女主人公大部分具有主體意識, 挑戰幷反抗男性社會的不合理的制度。尤其是在中國女性作家的作品中,把具有主體意識的女性刻?成主人公這一点, 較之韓國女性作家走在前列。這主要是與當時的中國革命斗爭現實及作家的意識有關。 通過以上考察,?出了1920-30年代韓中小說中所體現的女性問題及女性相方面的共同点和區別点; 探求了這一時期文學的普遍性和特殊性,基本達到了預期硏究的目的。但是,因爲女性問題這一主題較大,本硏究只局限于對兩國小說的槪括性硏究,沒有能구更深入地剖析,更因爲按主體選定作品,遺漏的女性作品也相當多。這些尙待硏究的課題。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