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초등학교 3학년 학생들의 수동적 영어 어휘력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에 관한 구조적 연구

        강희진 전남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8831

        언어학습에 있어 풍부한 어휘능력은 자유로운 의사소통을 위해 가장 중요하며 필수적인 요소이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EFL환경에서 공교육을 처음으로 접한 L2 초기 학습자들의 수동적인 어휘능력을 평가하여 어휘학습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분석하고 구조방정식 모형을 이용하여 종합적이며 구조적으로 분석하고자 하는 것이다. 연구목적을 위해 한국의 K도시에 거주하는 113명의 초등학교 3학년 학생들을 피실험자로 설정하였으며 실험도구로서 수동적 L2어휘능력을 평가할 수 있는 테스트지와 어휘학습전략과 어휘학습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기 위해 총 27문항으로 구성된 설문지가 사용되었다. 수동적 L2어휘능력 테스트지는 Woodcock-Johnson Ⅲ Diagnostic Reading Battery (Woodcock, Mather, & Schrank, 2004)와 3학년 1학기 초등교과서를 바탕으로 실험대상자들의 인지능력과 집중력을 고려하여 동의어(synonyms), 반의어(antonyms), 그리고 유의어(analogies)로 총 15문제로 구성되었으며, 1시간 동안 어휘 테스트를 먼저 보고 그 후 설문지 작성을 시도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들은 SPSS 22와 AMOS 22를 이용하여 분석되었다. 구체적으로 먼저 어휘 테스트지를 분석하였고, 두 번째로 설문지를 통한 L2 어휘학습에 영향을 주는 요인분석을 하였으며, 세 번째 요인들 사이의 상관성을 알아보았으며, 상관분석을 통해 어휘력에 가장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무엇인지 알아보았다. 마지막으로 구조방정식 모형을 이용하여 결과들을 전체적이며 구조적으로 검정하였다. 결과는 다음과 같다. L2 수동적 어휘능력 테스트를 통해 어린 학습자들은 동의어나 유의어 보다는 반의어를 더욱 잘 습득한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설문지의 요인분석을 통해 6개의 요인들- 학습전략으로 기억 및 인지 전략, 의미 결정 전략, 부모의 영어에 대한 관심, 학습자들의 학습태도, 사교육, 모국어 능력이라는 요인들로 분류되었으며 이중 기억 및 인지 전략이 가장 유의미한 요인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상관분석을 통해 이 여섯 개의 요인들은 서로 매우 강한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었으며, 회귀 분석을 통해 모국어 어휘 능력이 L2 어휘능력에 매우 직접적이며 유의미한 관련성을 갖는다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SEM을 통해 L1 어휘능력이 L2 어휘 습득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매우 영향력 있는 직접변수로서 나타났으며 간접변수 중에서 기억 및 인지전략과 영어에 대한 사교육이 L1 을 매개로 하여 L2 어휘 습득에 영향을 미치는 유의미한 요인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Cummins, 1997)의 developmental interdependence hypothesis를 증명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L2 어휘학습의 직접적인 성공 요소로서 모국어 능력의 중요성을 인지하고 다른 간접적인 요인들을 고려하여 학습자들에게 모국어능력을 활용한 학습자의 영어에 대한 호기심 및 동기유발을 할 수 있는 프로그램의 개발과 적극적이고 능동적인 수업환경을 조성하여 좀 더 효과적인 교수법을 개발하여 외국어 교육에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대해 본다.

      • 인지진단모형을 활용한 어휘능력 부진 평가와 읽기장애 진단

        조영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박사

        RANK : 248830

        읽기이해는 읽기의 궁극적인 목표로 읽기이해의 어려움을 조기에 선별하여 중재하지 못할 경우 성인이 되어서도 읽기이해의 문제는 계속될 수 있다. 읽기이해부진학생을 조기에 선별하여 지도하기 위한 노력은 읽기이해에 영향을 주는 관련변인을 밝혀내는 연구로 이어졌다. 읽기이해에 영향을 주는 변인으로는 단어인지의 정확성과 속도의 어려움(Catts, Herrera, Nielsen, & Bridges, 2015), 배경지식 활용에서의 실패, 초인지 전략 실패, 낮은 유창성, 어휘력 부족 등이다(Gersten, Fuchs, Williams, & Baker, 2001). 이 중 어휘능력은 읽기이해를 예측하는 변인 중 읽기이해와 상관관계가 가장 높은 변인으로 밝혀졌다. 어휘능력은 단일 단어를 이해할 뿐만 아니라 문맥 속에서의 단어의미를 추론하고 단어 사이의 관계성을 이해하고 활용하는 능력이다. 이러한 어휘능력은 양적 능력과 질적 능력으로 구분된다. 양적 어휘능력은 어휘의 표면적인 양을 의미하며 얼마나 많은 단어의 의미를 알고 있는지와 관련된다. 이에 반해 질적 어휘능력은 학습자가 어휘의 의미를 얼마나 깊이 이해하는지와 관련되는 능력으로 다른 어휘와의 관계 및 맥락에 맞게 적절하게 어휘를 사용하는 어휘의 화용과 관련된 지식이다(김광해, 2008). 그러나 현재 국내에서 사용 중인 어휘력 검사 도구는 양적 어휘 또는 질적 어휘만을 측정하거나 실시방법에 있어서도 개별검사로 실시해야 하는 등 읽기이해에 위험요소를 지닌 학생들을 조기에 선별하는데 활용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어휘의 양적 능력과 질적 능력을 고루 측정하며 활용도가 높은 집단검사로서의 어휘력 검사 개발이 요구된다. Fischer(1973)에 의해 제안된 인지진단모형(Cognitive Diagnostic models; CDM)은 인지진단이론을 수리적 ・ 통계적 수식으로 표현하여 학생들의 문항 반응과 인지요소의 관계를 바탕으로 인지요소의 숙달여부를 파악하는 모형이다. 인지진단모형은 총점으로 제공되는 기존검사 결과의 한계를 보완하여 평가 본연의 목적에 부합하며 집단검사를 통해 학생 개인의 개별적인 인지요소 숙달 여부에 대한 상세 정보를 추론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인지진단모형은 일반학생은 물론이고 능력수준이 하위인 학생들의 다양한 인지요소 숙달유형을 파악하여 교수학습에 도움을 줄 수 있는 분석도구이다. 이렇게 인지진단모형을 적용하여 학생들의 어휘력을 평가할 경우 총점 만으로 제공하는 기존 검사 결과와 달리 개별 학생별로 어휘능력에서의 강점과 약점에 대한 상세 정보를 제공해주어 어휘력 관련 중재에 관한 계획을 수립하는데 도움을 줄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인지진단모형 중 DINA모형을 활용하여 읽기 학습부진 및 장애학생들의 어휘능력을 진단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기초학력 진단평가의 기준학년이자 4학년 슬럼프 현상(Fourth grade slump)을 겪기 전의 3학년을 대상으로 어휘능력과 관련된 인지요소를 추출하여 Q행렬을 개발하고 DINA모형을 적용하여 분석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 설정한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1. 일반학생과 읽기 학습부진 및 장애학생들의 어휘관련 인지요소의 숙달확률에는 차이가 있는가? 연구문제 2. 어휘관련 인지요소의 숙달유형에 따라 읽기 학습부진 및 장애학생들은 어떻게 분류되는가? 연구문제 3. 읽기 학습부진 및 장애학생으로 분류된 학생들이 유창성 및 읽기이해 검사의 수행수준에 따라 어휘관련 인지요소의 숙달확률에 차이가 있는가? 본 연구대상은 서울, 경기, 울산, 부산지역의 초등학교 3학년 학생 1000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이들 중 읽기 학습부진 및 장애학생은 어휘력 검사결과 하위 15%미만에 해당되는 학생으로 선정하였다. 어휘력 검사 개발은 2015년 7월부터 10월까지 문헌연구, 국어과 교육과정 분석 및 전문가 협의회를 통해 개발되었다. 먼저 초등학교 1학년 1학기 ~ 3학년 2학기까지의 초등학교 국어과 교과서, 교사용 지도서 및 국내외 어휘 및 읽기이해 관련 문헌을 통하여 어휘능력과 관련된 인지요소를 추출하였다. 이후 10명의 전문가들의 협의회를 통해 최종 인지요소를 확정하였다. 이 같은 절차를 통해 낱말의 사전적 의미 알기, 낱말 간의 의미관계 알기, 낱말 간의 범주관계 알기, 동음이의어 및 다의어 의미 변별하기, 낱말 간의 호응관계 알기, 주변의 어휘 정보 활용하기로 인지요소를 최종적으로 확정하였다. 최종 확정된 인지요소를 바탕으로 인지요소를 측정하기 위한 문항과 인지요소 간의 관계를 나타내는 Q행렬을 15명의 전문가들의 협의를 통해 최종 확정하고 본 연구에서 활용할 40문항의 어휘력 검사를 개발하였다. 2차에 걸친 예비검사를 통해 문항의 난이도와 변별도를 분석하여 문항을 수정하였으며 확정된 어휘력 검사문항과 Q행렬을 바탕으로 2015년 12월 모집문건을 통해 검사 참여에 동의한 학교 및 학생들을 대상으로 개별일정에 따라 검사를 실시하였다. 검사는 40분간 묵독유창성, 읽기이해, 어휘력 검사 순으로 실시되었으며 이후 정답은 1, 오답은 0으로 코딩하였다. 어휘력 검사의 채점자간 일치도는 100%였다. 본 연구는 다음의 순서에 따라 코딩한 데이터를 분석하였다. 인지진단모형을 적용하여 학생들의 어휘능력을 보다 정확하게 측정하기 위해서는 타당한 Q행렬의 개발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전문가들의 합의를 거쳐 Q 행렬을 개발하였지만 보다 신뢰로운 결과를 얻기 위하여 자카드 계수, 다중회귀분석, 인공신경망 등의 통계적 방법을 활용하여 Q행렬이 타당한지 확인하였다. 이후 읽기 학습부진 및 장애학생들이 일반학생과 달리 어떤 어휘능력에서 낮은 수행을 보이는지 살펴보기 위하여 인지진단모형 중 DINA모형으로 분석하여 두 집단의 어휘관련 인지요소의 평균 숙달확률을 살펴보았다. 또한 전체 학생들이 어휘관련 인지요소의 숙달유형에 따라 몇 개의 집단으로 분류되는지 확인하고 읽기 학습부진 및 장애학생들이 속한 숙달유형의 특성을 살펴보았으며 학생들의 문항반응에 따른 잠재집단분석(LCA)을 실시한 결과와 인지요소 숙달유형을 비교하여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어휘관련 인지요소의 숙달확률과 묵독유창성 및 읽기이해와의 상관관계를 살펴본 후에 묵독유창성과 읽기이해검사의 수행수준에 따라 읽기 학습부진 및 장애학생을 하위유형으로 구분하여 집단 간 차이가 분명하게 드러나는 어휘관련 인지요소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와 논의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읽기 학습부진 및 장애학생들은 6개의 어휘관련 인지요소에서 일반학생보다 낮은 숙달확률을 보였다. 이들은 낱말간의 의미관계 변별하기와 관련된 유의어 및 반의어 찾기에서 가장 높은 숙달확률을 보였으며 낱말의 사전적 의미 알기와 관련된 인지요소에서 가장 낮은 숙달확률을 보였다. 일반학생은 인지요소별 숙달확률의 차이가 5% 이내였으나 읽기 학습부진 및 장애학생들은 인지요소별 숙달확률의 차이가 35%로 인지요소별 숙달확률의 차이가 크게 나타났다. 또한 읽기 학습부진 및 장애학생들은 6개의 어휘관련 인지요소에서 낱말의 사전적 의미 알기, 낱말간의 범주관계 알기, 낱말 간의 호응관계 알기와 관련된 인지요소에서 특히 낮은 수행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기존의 어휘력 검사가 가지고 있는 어휘의 한 측면만 측정하던 것을 보완하여 어휘의 양적, 질적 및 활용능력을 모두 측정하여 읽기 학습부진 및 장애학생들의 어휘능력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를 제공한다. 이러한 어휘능력에 관한 정보는 교수학습 현장에서 이들에게 중점적으로 지도해야 하는 어휘관련 내용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고 읽기이해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보완해야 하는 어휘능력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둘째, 어휘관련 인지요소 숙달에 따라 전체학생은 23개의 숙달유형으로 구분되었다. 일반학생들은 [111111], [011101], [011111], [010111]의 숙달유형을 보였다. 일반학생들은 낱말간의 의미관계 변별하기, 동음이의어 및 다의어 의미 변별하기, 주변의 어휘정보 활용하기와 관련된 인지요소를 공통적으로 숙달한 형태를 보이고 있었다. 읽기 학습부진 및 장애학생들은 [000000], [010101], [010000], [000101], [011101]의 숙달유형을 보였다. 또한 전체학생의 문항반응에 따라 잠재집단분석을 실시한 결과 읽기 학습부진 및 장애학생들은 2개의 잠재집단으로 분류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절단점 근처의 점수분포에 속한 학생들의 인지요소 숙달유형을 살펴 본 결과 동일한 점수를 지녔음에도 인지요소 숙달유형은 다를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는 총점기반 어휘력 평가에서 줄 수 없는 읽기 학습부진 및 장애학생들의 어휘에서의 강점과 약점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를 제공해준다. 이러한 학생들의 교육적 요구는 이들을 위한 실효성 있는 개별화교육계획을 개발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또한 인지요소 숙달유형에 따라 얻어진 진단정보는 지도와 진단을 유기적으로 연결하게 해준다. 마지막으로 일반적인 교실 수업의 형태로 어휘관련 인지요소를 숙달하지 못한 학생들을 위한 소그룹 또는 개별지도 형태의 의도적인 어휘교육이 필요하며 이를 개발하는데 인지요소 숙달유형이 활용될 수 있다. 셋째, 어휘는 유창성보다는 읽기이해와 상관이 높은 읽기영역이다 또한 읽기 학습부진 및 장애학생 중 묵독유창성, 읽기이해에서도 하위 15%미만의 낮은 수행을 보이는 학생들은 다른 하위집단에 비해 문맥적 정보를 활용해야 하는 어휘관련 인지요소에서 뚜렷하게 낮은 수행을 보였다. 이는 어휘가 유창성보다는 읽기이해에 영향을 미치는 읽기기술임을 보여준다. 또한 모든 읽기영역에서 낮은 수행을 보이는 학생들은 문맥적 정보를 활용하는데 취약하며 이는 이러한 과제들이 읽기 학습부진 및 장애학생들을 선별하는데 활용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교사들이 교육현장에서 손쉽게 인지진단모형을 진단에 활용할 수 있도록 Q행렬을 개발하고 타당화 하는 과정에 대한 지침이 마련되어야 한다. 인지진단모형을 현장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Q행렬 개발 및 이에 따른 문항을 개발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러나 인지요소를 어떻게 설정할 것인지에 관한 전문가들의 합의를 이끌어내는 것이 쉽지 않고 모든 전문가의 의견의 일치를 이루기도 어렵다. 따라서 Q행렬 개발에 관한 수월성을 확보하기 위해 Q행렬 개발에 대한 지침 및 전문가들의 의견을 수합하는데 활용할 수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개발될 필요가 있다. 또한 인지진단모형을 적용하여 학생들의 능력을 보다 구체적으로 측정하기 위해서 컴퓨터를 활용한 맞춤형 검사에 대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학생들이 지닌 인지요소 상의 약점과 강점을 진단하고 이를 교육으로 연결시키기 위해서는 학생들이 모든 문항을 풀지 않아도 문항반응 결과에 따라 최소한의 문항만으로 숙달확률을 제공하고 이에 대한 교육계획까지 연결할 수 있는 컴퓨터 활용 검사도구의 개발이 필요하다. 인지진단모형을 적용한 검사결과를 통해 얻어진 정보를 교육현장에 실제적으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검사 결과 활용에 관한 교사 연수 프로그램의 개발도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인지진단모형의 결과로 주어지는 학생들의 강약점 진단이 교수학습과 유기적으로 연결되기 위해서는 인지요소 숙달유형에 따른 약점에 대한 지도가 이루어진 후 어휘능력이 어느 정도 진전이 있었는지에 관한 증거가 필요하다. 따라서 인지진단모형의 결과에 따른 지도 후 인지요소 숙달유형을 타당화하는 과정이 필요할 것이다.

      • 프로세스드라마 기법을 활용한 고등학생의 영어 어휘능력 신장 방안에 관한 연구

        김진선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8828

        영어 학습에 있어서 어휘능력은 의사소통 능력신장을 위한 기본 조건으로 없어서는 안 될 중요한 요소이다. 어휘능력은 언어의 네 가지 요소를 발전시키기 위한 필수적이고 중요한 역할을 한다. 하지만 학생들은 어휘를 단순 암기로 생각하는 경향이 강하며 어휘학습에 있어서 어려움을 토로하고 있고, 또한 평소에 알고 있다고 생각하는 어휘를 실제로 사용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아 영어에 대한 좌절감을 느끼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어휘의 수에 대한 명시만 있을 뿐 영어의 교수학습 방법에 있어 네 영역과 구분되는 별도의 어휘교수·학습에 대한 언급은 하고 있지 않다. 개정교과서에서의 어휘에 대한 소개에 있어 특기할 점은 기존의 단어와 발음의 소개를 기본으로 하고 있지만 더불어 Role play를 통한 어휘 제시, 상황극 만들기를 통해 학생들이 어휘를 학생들의 개인적 경험과 유의미한 상황에 대한 설정을 통해 직접 사용해 볼 수 있는 기회를 주고 있다는 점이다. 하지만 학습자 중심의 유의미한 어휘제시에 대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의사소통능력향상을 위한 어휘제시가 충분하지 못한 아쉬움이 있다. 이에 프로세스드라마의 맥락에 있어서의 유의미성, 학습자 중심의 과정의 특성을 활용해 학생들이 어휘를 흥미를 가지고 직접 사용해보면서 학습할 수 있는 방법을 연구해 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특히 인문계 고등학교에서의 영어어휘학습이 주입식·암기식 수업으로 치중하여 의사소통을 목적으로 하는 언어사용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을 불러일으킬 기회가 적고 그로 인해 학생들의 어휘 학습에 대한 내적 동기부여가 부족하며 실제로 유의미한 어휘학습과는 무관하게 어휘를 단순 암기로 학습하고 있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학습자들이 유의미하고 실제 상황과 비슷한 설정 안에서 어휘를 여러 번 반복적이고 전략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프로세스 드라마적 기법을 활용하여 어휘 능력을 키울 수 있는 방안을 연구해 보고자 하였다. 그러한 목적을 위해 익산시에 소재한 인문계 고등학교 영어 동아리반 20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하여 프로세스 드라마 기법을 활용한 어휘능력향상 방안을 연구해 보았다. 어휘능력과 어휘에 대한 정서적 반응을 알아보기 위하여 예비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실험 전 어휘력 평가를 위하여 전국 연합학력평가의 어휘부분을 통한 어휘지식 능력 평가와 교육과정에서 제시한 어휘목록을 활용한 어휘규모 능력 평가를 실시하였으며, 실험 후 정서적 반응과 어휘지식능력, 어휘규모 능력 평가를 실시하였다. 학생들의 실험 처치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어휘지식능력평가는 전국연합평가 기출문제를 재구성하여 같은 양식의 다른 문항으로 실시하였다. 또한 실험의 과정에서 학생들에게 어휘를 학생들이 어휘를 활용한 결과물을 분석하여 과정에서 어떤 변화가 있는지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얻어진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프로세스 드라마를 통한 어휘 학습을 통해 학습자의 어휘의 크기가 확장된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는 통계적으로도 유의미한 결과를 보임으로써 확인할 수 있었고 학습자의 포트폴리오를 분석한 결과에서도 다양한 어휘들이 나타남으로써 학습자들이 프로세스 드라마를 통해서 진정한 필요를 느끼고 학습한 어휘의 인지가 더욱 유의미하다는 점을 보여주고 있고 나아가 그러한 어휘를 실제 사용하는 진전을 볼 수 있었다. 둘째, 프로세스 드라마를 통한 어휘학습을 통해 학습자의 어휘인식과 어휘유추전략이 신장된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는 문맥을 이해하고 유추하여 적절한 단어를 고르거나 어구를 고르는 사전 사후 평가 비교 분석을 통해 통계적으로도 유의미한 결과를 보여주었다. 이는 프로세스 드라마 활동을 통해 의사소통에 있어서 상대방의 언급에 대해 미리 예측하거나 논리적으로 자신의 의견을 설명하는 활동을 통해 문장의 맥락을 더욱 잘 파악하고 의미의 혼동을 피할 수 있었기 때문이라고 해석할 수 있다. 셋째, 실험 수업 전의 설문조사와 실험 수업이 끝난 후의 사후 설문 조사를 비교한 결과, 학습자의 정의적 태도에도 유의미한 변화가 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 특히 프로세스 드라마 활동을 통한 어휘학습에 대한 필요성과 흥미도는 사전 조사 때에 비해 큰 폭으로 상승하였다. 자신감에 있어서도 흥미도에 비해서 다소 부담을 보이는 듯 보이지만 상승을 보여주어서 프로세스 드라마 활동을 통한 어휘학습에 대해 긍정적임을 알 수 있었다. 이상을 종합하여 살펴보면 프로세스 드라마 활동을 통해 어휘능력 신장을 도모하고자 한 실험 수업이 학습자의 어휘능력 향상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고 할 수 있으며, 이는 학습자의 정의적 태도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어휘 지도 시 프로세스 드라마 기법을 사용하여 어휘에 대한 흥미와 필요성을 높이며 나아가 어휘능력을 발전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판단된다.

      • 영어·한국어 그림책 반복 읽기가 유아의 어휘 능력에 미치는 영향

        김연지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8827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the effect of repeated reading in English·Korean picture books on English vocabulary skill of children aged from five to seven years old. 34 students selected from total classes participated in this study. Each of 17 students was discretionally appointed into an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by referring the number of students per class, male and female students, and result from pre-evaluation. For study method, the reading steps designed by Lee Eunyoung, Jeon youyoung(2012) were applied to the class repeated reading in English and Korean picture books for the experimental group. For control group, a typical class was provided. To evaluate young children's vocabulary skills in English, vocabulary the study used the modified Peabody Picture Vocabulary Test (Dunn & Dunn, 1981, 1997, 2007) by Roberts(2008). To evaluate Korean vocabulary skills, The Receptive and Expressive Vocabulary Test (REVT) was used. SPSS t-test and Pearson correlation test were conducted to analyze collected data. Results from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repeated reading through English picture books positively influenced the young children’s English vocabulary skill. Second, it was found that repeated reading with Korean picture books positively influenced young children’s Korean vocabulary skill. Third, There i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English vocabulary skill and Korean vocabulary skill. In conclusion, repeated reading activities through English picture books are required to improve English and Korean vocabulary skill of young children aged 5-7. 본 연구는 영어·한국어 그림책 반복 읽기가 유아의 어휘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 대상은 이중 언어 교육기관에 재원중인 5-7세 총 34명이다. 연구 대상의 총 인원수, 남녀 학생 수, 사전평가 결과를 바탕으로 총 17명씩 각각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 임의 배정하였다. 연구 방법은 실험집단은 그림책 읽기 단계를 기반으로 영어·한국어 그림책 반복 읽기 수업을 설계하고 적용하였다. 반면 통제집단은 기존의 수업으로 진행하였다. 연구 도구는 영어 어휘 능력 측정을 위해 만 2세에서 9세의 수용언어능력 측정 도구인 Peabody Picture Vocabulary Test (Dunn & Dunn, 1981, 1997, 2007)를 근거로 Roberts(2008)가 재구성한 유아의 제2외국어 어휘 습득 그림 어휘능력 검사로 사전, 사후 어휘 능력을 측정하였고, 한국어 어휘 능력 측정을 위해 수용 ·표현 어휘력 검사 (Receptive and Expressive Vocabulary Test, REVT: Kim, Hong, Kim, Jang, & Lee, 2009) 도구를 사용하여 사전, 사후 어휘 능력을 측정하였다. 그 후 수집된 자료의 분석을 위해 SPSS를 사용하여 독립표본 t 검정과 Pearson 상관관계 검정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영어 그림책 반복읽기를 통한 교육이 유아의 영어 어휘 능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둘째, 한국어 그림책 반복읽기를 통한 교육이 유아의 한국어 어휘 능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셋째, 영어·한국어 그림책 반복읽기를 통한 교육이 영어 어휘 능력과 한국어 어휘 능력사이에 유의미한 상관을 보였다. 결론적으로 영어·한국어 그림책 반복읽기가 유아의 영어·한국어 어휘 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영어·한국어 그림책 반복읽기를 통한 수업이 유아의 어휘 능력 향상에 필요하다.Key words: 영어그림책, 한국어그림책, 반복읽기, 유아의 영어 어휘능력, 유아의 한국어 어휘능력

      • 경험중심 마인드맵 학습 프로그램이 어휘력 신장 및 언어 표현 능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

        백병미 중앙대학교 2005 국내석사

        RANK : 248815

        본 연구는 경험중심 마인드맵 학습 프로그램이 어휘력 신장 및 언어 표현 능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는데 초점을 두고 수행되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여 두 가지 어휘 지도 방법을 초등학교 2학년 2개학급을 대상으로 서로 다른 유형의 수업, 즉 실험집단에게는 경험중심 마인드맵 프로그램을 적용한 수업을, 비교집단의 학습자에게는 전통적 학습 방법으로 실시하고 내용은 초등학교 국어과 2학년 1학기를 중심으로 바른생활, 슬기로운 생활 등 전교과에 걸쳐 학생들의 경험과 관련된 내용으로 선정하였다. 1. 경험중심 마인드맵 프로그램에 의한 어휘 지도와 전통적 학습에 어휘 지도는 어휘의 이해력에 있어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가? 2. 경험중심 마인드맵 프로그램에 의한 어휘 지도와 전통적 학습에 의한 어휘 지도는 어휘의 사용 능력에 있어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가? 그리고 실험 결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사전․사후 검사를 실시하고 검사 결과를 토대로 두 가지 어휘 지도 방법이 어휘의 이해력과 어휘의 사용 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경험중심 마인드맵 프로그램이 전통적 학습에 의한 지도 방법에 비해 어휘의 이해력 및 사용 능력 신장에 있어 모두 효과적이었다. 가설검증에 사용한 통계적 방법은 t-검증이었으며 본 연구에서 얻은 결론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경험중심 마인드맵 학습 프로그램을 적용한 수업이 어휘의 이해력를 향상시켰다. 본 연구에서는 어휘 이해력 향상의 효과를 검증함에 있어서 경험중심 마인드맵 학습 프로그램를 교육현장에 실제로 적용 가능하도록 하는데 중점을 두었으며, 연구결과에서도 경험중심 마인드맵 학습 프로그램으로 수업을 받은 집단의 학습자들은 어휘의 이해력이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학습자의 경험을 중심으로 흥미있는 주제를 선정하여 국어과를 비롯한 타 교과에서도 수업에 적용함이 가능하며 학교현장에서 교사의 의도적이고 체계적인 어휘지도 방법이 필요함을 증명해 주었다. 둘째, 경험중심 마인드맵 학습 프로그램이 학습자의 어휘 사용능력을 향상시킨 것으로 나타났다. 경험중심 마인드맵 학습 프로그램을 적용한 수업이 학습자의 알맞은 낱말 찾기 및 문장 사용능력을 향상시키는데 긍정적인 것을 볼 때 다른 교과에서도 확대 적용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의 결과에 의하면 전통적인 어휘 지도 방법보다는 초등학교 저학년에 있어서는 학습자의 경험과 관련된 내용을 교과와 관련하여 추출하고 이를 수업에 적용함으로써 어휘의 이해력 및 사용능력의 향상을 보였으므로 경험중심 마인드맵 학습 프로그램은 효과적인 어휘 지도의 한 방법으로 정립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에 연구자는 저학년 아동에게 있어 말하고 표현하는 언어 사용 능력 신장 및 어휘력을 신장시키기 위해서 교사의 체계적이고 의도적인 지도 방법 연구가 의의 있는 일이라고 보여진다.

      • 고등학생의 영어 어휘학습전략과 어휘능력과의 관계 연구

        박주현 계명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8815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Korean high school students' English vocabulary learning strategies (EVLS) and their vocabulary proficiency. For this purpose, a survey regarding students' English learning experience and EVLS was conducted to 113 first grade high school students. A vocabulary proficiency test was constructed based on Nation(2001)'s definition of vocabulary knowledge and it was used to divide the students into three groups (high, intermediate, low). The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participating students had a similar experience in terms of the time they started learning English and the amount of vocabulary studying time. Most of the students began learning English before they started the third grade of elementary school. They had been attending private institutes for more than one year. The average time for their vocabulary learning was less than one hour per day. Second, it was shown that the students favored simple memorization strategies such as ‘studying the sound of the words’, ‘guessing meaning from the context’, and ‘word-spelling’. On the other hand, ‘using English-language media’ or ‘interacting with other people’ was not frequently used for vocabulary learning. Among the five EVLS categories, the determination strategy was most frequently used while the social strategy such as ‘interacting with native speakers’ and ‘practicing meaning in a group’ was least frequently used. Third, all three groups preferred the strategies such as ‘studying the sound of the words’, ‘using a dictionary’, and ‘guessing meaning from the context’. Overall, the low vocabulary proficiency group used less EVLS compared with the high proficiency and intermediate proficiency groups. However, except in the determination strategy,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ir use of the other strategies in the aspect of the vocabulary proficiency.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d that high school students used similar vocabulary learning strategies without much difference. It can be suggested that teachers need to provide students with various EVLS and to encourage them to actively use EVLS in their vocabulary learning. In order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vocabulary proficiency and strategy use, a more appropriate English language proficiency assessment and vocabulary tests need to be developed in the future research. 본 연구는 영어 학습에서 어휘의 중요성을 제시하고 한국 고등학생들의 영어 어휘 학습 전략과 어휘 수준에 맞는 어휘 학습 전략의 차이를 알아보았다. 본 연구의 목적을 위해 고등학교 1학년 113명을 대상으로 어휘 학습 경험, 어휘 학습 전략에 관한 설문을 실시하였다. 또한 어휘 능력 평가를 실시하여 상, 중, 하 집단으로 나누어 학습자들의 언어 능력에 따른 어휘 학습 전략의 차이를 알아보았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첫째, 고등학교 1학년 학습자들의 영어 학습 경험은 어휘 능력에 따른 차이가 크지 않았으며 대부분이 초등학교 3학년 이전에 영어 공부를 시작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단어 학습 시간은 1시간 미만이며 1년 이상 사교육을 받아오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어휘 학습 전략 설문 조사 결과 새로운 단어의 발음 익히기, 글의 문맥을 통해 의미를 추측하기, 새로운 단어의 철자 익히기 등의 보편적인 단순 암기 전략을 가장 자주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영어로 된 매체의 사용이나 타인과의 상호작용을 요구하는 전략은 자주 사용하지 않았다. 범주별 어휘 학습 전략 사용 정도를 살펴보면 의미 결정 전략을 가장 많이 사용하고 다음으로 인지 전략, 기억 전략, 상위 인지 전략, 사회적 전략을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어휘 능력에 따른 어휘 학습 전략 사용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상, 중위권 학습자에 비해 하위권 학습자가 어휘 학습 전략을 더 적게 사용했으나 세 집단 모두 새로운 단어 발음 익히기, 사전 이용하기, 글의 문맥을 통해 의미 추측하기 등의 전략을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실제 물건에 영어 이름표 붙여 기억하기, 원어민과 대화하여 사용해보기, 친구들과 함께 연습하기 등의 전략은 주로 사용하지 않았다. 어휘 능력에 따른 범주별 어휘 학습 전략을 살펴보면 의미 결정 전략에서만 집단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으며, 상, 중위권 학습자보다 하위권 학습자들이 사회적 전략을 대체로 더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어휘 교수 시 학생들에게 다양한 어휘 학습 전략을 제시하여주고 교사나 친구들과의 상호작용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필요함을 알 수 있다. 그리고 하위권 학습자에게 맞는 효율적인 전략 방법을 제시하여 어휘 학습 전략 사용을 늘일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또한 상, 중위권 학습자에게는 의미 결정 전략 사용을 유도하고 다양한 전략을 좀 더 사용할 수 있게 하는 적절한 전략 지도가 필요하다.

      • 영어 어휘 학습 책략과 어휘 능력

        오유진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8815

        This study investigated English vocabulary proficiency in relation to the use of vocabulary learning strategies. Subjects, 60 middle school students,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ir proficiency test. Two sets of tests were used to measure learners' vocabulary comprehension proficiency and vocabulary production proficiency respectively. And a survey questionnaire was us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vocabulary proficiency and vocabulary learning strategies. Then the results were analyzed by means of frequency analysis, factor analysis, correlation, and ANOVA. The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 (1) Seven factors were extracted from their vocabulary learning strategies. Three of them-dictionary use, inferring, simple repetition - were used a lot. (2)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comprehension and production proficiency. It means that middle school learners have little proficiency to produce the word in context although learners know the L1 meaning of a word. (3) Vocabulary comprehension proficiency correlated more with consolidating the retention factor than with simple repetition factor and vocabulary production proficiency highly correlated with dictionary use factor. (4) The use of metacognitive strategy and consolidating the retention strategy distinguished higher level students from other groups in comprehension proficiency and the use of metacognitive strategy and dictionary use strategy distinguished higher level students from other groups in production proficiency. The implication of this study was that students need to be trained to make more use of various vocabulary learning strategies. Also, teachers should encourage students to use dictionary effectively to develop vocabulary production proficiency and various strategies for consolidating the retention to develop vocabulary comprehension proficiency.

      • 다문화가정 아동의 표현어휘능력 연구 : K-BNT-C를 중심으로

        이수정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8814

        Recently, the number of children raised in multicultural families is expanding rapidly, but reference materials in language intervention and treatment are quite insufficient. This study attempted to examine and compare expressive vocabulary ability of multicultural family children to normally developing children using the Korean-Boston Naming Test for Children(K-BNT-C).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6 multicultural family children and 105 normally developing children aged between 3 years, 6 months and 3 years, 11 months. Through this, we aimed to identify variables related to multicultural family children’s expressive vocabulary ability and to find the variable that has the highest effect on their expressive vocabulary ability.The results were as follows.First, the multicultural family children’s K-BNT-C mean score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the normally developing children.Second, the multicultural family children’s K-BNT-C scores were in a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mothers’ Korean-Boston Naming Test(K-BNT) scores, the children’s time spent at preschool education institutions, and the family’s income. From the results of regression analysis, the effect on multicultural family children’s expressive vocabulary ability was the highest for the mothers’ K-BNT scores with the number of children’s hours at preschool education institutions coming in second, but the effect of family income was insignificant. That is, multicultural family children’s expressive vocabulary ability was higher when the mother’s expressive vocabulary ability was high and when the children’s time spent at a preschool education institution was long.Summing up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the multicultural family children’s expressive vocabulary development was affected negatively by the limited Korean language skills of the mothers, the main rearer, and accordingly, multicultural family children have the risk of expressive vocabulary developmental delay. Furthermore, we found that multicultural family children compensate for the lack of language stimulation at home in both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aspects by regular verbal interactions with their teacher and friends at a preschool education institution.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provided basic information on expressive vocabulary ability in multicultural family children. Furthermore, this study is believed to give specific implications for creating an environment to promote multicultural family children’s language development by identifying variables affecting multicultural family children’s expressive vocabulary development. To enhance understanding of overall expressive vocabulary development in multicultural family children, we propose further research with multicultural family children from various groups of age and areas. 최근 한국 사회에는 국제결혼이 큰 증가 추세를 보이며 다문화가정에서 성장하고 있는 아동의 수가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다문화가정 아동의 경우에 주양육자인 어머니의 제한된 한국어 구사 능력으로 인하여 아동의 언어발달이 지체될 가능성이 매우 크다.현재 다문화가정 아동들의 언어발달에 대한 연구가 부분적으로 이루어지고는 있으나, 대상자를 모집하는 데 따르는 현실적인 문제 및 다문화환경에 익숙하지 못한 사회적 분위기 등으로 인해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지 못하고 있다. 이에 따라 언어치료 임상 현장에서 다문화가정 아동을 치료하게 되는 경우에 참고할만한 자료가 현저히 부족한 실정이다.이에, 본 연구에서는 생활연령이 만 3세 후반에 해당하는 다문화가정 아동 26명에게 아동용 한국판 보스톤이름대기검사(Korean-Boston Naming Test for Children: 이하 K-BNT-C)를 실시하여 일반가정 아동 105명의 결과와 대조함으로써 표현어휘능력 면에서 두 집단 간에 차이가 있는지 밝히고자 하였다. 더불어 다문화가정 아동의 표현어휘능력과 관련된 변인들 가운데 다문화가정 아동의 표현어휘능력에 가장 크게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무엇인지 알아보고자 하였다.본 연구에서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첫째, 다문화가정 아동의 평균 K-BNT-C 점수가 일반가정 아동에 비해 유의하게 낮은 것으로 관찰되었다. 둘째, 어머니의 한국판 보스톤이름대기검사(Korean-Boston Naming Test: 이하 K-BNT)점수, 아동의 외부교육시간, 그리고 가정 소득수준 변인이 다문화가정 아동의 K-BNT-C 점수와 양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어머니의 표현어휘능력이 높을수록, 아동의 외부교육시간이 많을수록 다문화가정 아동의 표현어휘능력이 높아진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위 연구 결과를 종합해보면, 다문화가정의 경우 주양육자인 어머니의 제한된 한국어 구사 능력으로 인해 아동의 표현어휘발달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게 되고, 이에 따라 다문화가정 아동의 경우 표현어휘발달지체의 가능성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더불어 이처럼 제한된 가정 내 언어적 자극을 사설교육기관에서 이루어지는 교사와 친구들 간의 주기적인 언어적 상호작용에 의해 보상받게 됨을 알 수 있었다.본 연구는 만 3세 후반 다문화가정 아동의 표현어휘능력에 관한 기초 자료를 제시하고 다문화가정 아동의 경우 표현어휘발달지체의 가능성이 있음을 밝혔다는데 의의가 있다. 더불어 다문화가정 아동의 표현어휘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밝힘으로써 다문화가정 아동의 언어발달을 촉진하기 위한 환경 조성에 있어서 구체적인 시사점을 마련하였다고 할 수 있다. 후속연구로서 다문화가정 아동의 보다 전반적인 표현어휘발달 과정을 이해하기 위하여 다양한 연령대 및 다양한 지역의 다문화가정 아동을 대상으로 하는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을 제언한다.

      • 유아용 CD-ROM 타이틀의 Scarrolding 수준이 유아의 어휘·읽기능력과 수세기 능력에 미치는 효과

        김인화 광주대학교 산업대학원 2000 국내석사

        RANK : 248795

        본 연구의 목적은 CD-ROM 타이틀이 유아의 어휘·읽기 발달과 수세기 발달에 있어서 scaffolding의 역할을 할 수 있는지를 검증하고, 또 CD-ROM 타이틀의 scaffolding 수준에 따라 유아의 어휘·읽기 발달과 수세기 발달이 달라지는지를 검증하는 것이다. 연구의 대상은 90명이며, 무선표집하여 3·4세 유아 각각 15명씩 6개반, 3개의 집단으로 할당하였다. 3개의 집단은 높은 수준 scaffolding(프로그램 I) 집단·낮은 수준 scaffolding(프로그램 II) 집안, 낮은 수준 scaffolding 교사집단등이었다. 사전·사후 검사는 K-ABC 하위검사 표현어휘 11·산수13·문자해독15 검사점수를 사용하였으며, scaffolding 수준과 연령에 따른 유아의 어휘·읽기, 수세기 능력에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서는 이원변량분석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높은 수준 scaffolding CD-ROM 타이틀로 컴퓨터 활동을 한 유아가 낮은 수준 scaffolding CD-ROM 타이틀로 컴퓨터 활동을 한 유아보다 어휘·읽기 능력에 있어서 긍정적 효과가 나타났다. 이는 Papert가 유아에거 적합한 프로그램을 상호 작용하도록 도와주면 유아의 언어 발달에 도움이 된다고 지적한 연구 결과와 같다. 또한 컴퓨터 소프트웨어의 유형이 유아의 어휘발달과 읽기 발달에 효과가 있다고 입증한 유구종(1995, 1998)의 연구 결과와도 일치한다. 둘째, 높은 수준 scaffolding CD-ROM 타이틀로 활동을 한 유아가 낮은 수준 scaffolding CD-ROM 타이틀로 컴퓨터 활동을 한 유아보다 수세기 능력에 있어서 긍정적 효과가 나타났다. 셋째, 낮은 수준의 scaffolding 프로그램 집단과 낮은 수준 scaffolding 교사집단(전통적 읽기 자료를 가지고 언어영역에서 활동을 한 유아)간의 어휘·읽기 능력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전문가들이 주장하고 있는 것과 마찬가지로 CD-ROM 타이틀 사용보다는 CD-ROM 타이틀의 scaffolding 수준이 유아의 인지능력 향상에 결정적인 역활을 한다는 점을 보여준다. 넷째, 낮은 수준의 scaffolding 프로그램 집단과 낮은 수준 교사집단 간에 수 세기능력에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설정된 가설에는 포함되지 않았으나 추가적으로 연령변인의 효과를 검증한 결과 연령에 따른 차이가 나타났다. 이는 여러 선행 연구의 결과를 뒷받침하는 것이다.(유구종, 1998). 이상에서 유아교육의 컴퓨터 활동에 있어서 CD-ROM 타이틀 사용자체 보다는 CD-ROM 타이틀의 scaffolding 수준이 중요하며 이러한 scaffolding 수준이 유아의 어휘·읽기 능력과 수세기 능력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The study examined the use of microcomputers with preschoolers, comparing computers and traditional resoures. Ninety children were randomly assigned to theree groups, distinguishes by the level of computer-provided scaffolding: substantial, minimal, or none (control group, with minimal teacher-proviede scaffolding). A pretest-posttest design usa used to compare cognitive changes over an 3 week period. In terms of specific skills, CAI(Computer Assisted Instruction) CD-ROM Title was successful in increaing verbal and language skills, basic math skills, and only as a functin of substantial scaffolding. Results also revealed that software with substantial scaffolding features increase general cognitive abilities singnificantly more than minimally scaffolded instruction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sw: 1-1. The young children's verbal and language ability were different by each CD-ROM title scaffolding levels. The main effect analysis of verbal and language ability data by using ANOVA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3 between-groups [F92,83)= 7.614, p=.001]. In addition, The age effect was tested. 1-2. The young children's basic math ability were different by each CD-ROM Title scaffolding levels. The main effect anaysis of basic math ability data by using ANOVA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3 between-groups [F(2, 83)=59.105, p=.001]. In addintion, The age effect was tested. 2-1. The analysis of teaching resourecs(computer group-traditional teacher group) data by ANOVA post-test data showed no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2 groups in young children's verbal and language ability. 2-2. The analysis of teaching resources(computer group-traditional teacher group) data by ANOVA post-test data showed no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2 groups in young children's basic math ability. The practical implication of this study in preschool settings includes the effectiveness of scaffolding techniques in CAI CD-ROM title.

      • 영어연극을 활용한 중학생의 어휘능력 향상과 모험시도와 학업적 자기효능감에 관한 사례 연구

        정주일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8782

        In this study, the researcher, who was drama instructor, utilized English drama lessons to encourage students’ interest in English and to teach them English in an entertaining way. English drama lessons reduced the burden of examinations for students. Also, these lessons gave them an opportunity to communicate with other people in English by using physical activities. English lessons that use English drama are in accordance with the purpose set in the Seventh National Basic Curriculum by the South Korea’s Ministry of Education, which emphasizes learners’ communication. This study is a case study that utilizes English drama lessons and investigates the development of middle school students’ vocabulary proficiency and the changes in their risk-taking and their academic self-efficacy. Therefore, the research questions of this study were set as follows. First, we investigated how learners‘ vocabulary improved through the use of English drama lessons. Second, we aimed to understand how learners' risk-taking changed over time through the use of English drama lessons. Third, we studied how learners' academic self-efficacy changed over time through the use of English drama lessons. In order to answer the research questions, nine students of K middle school in P District in Seoul, South Korea, were taught English drama lessons in an English Drama club. In the English drama lessons, the researcher taught the students by using drama techniques. In addition, the students and researcher practiced for a theater performance by using Cinderella play script adapted for them specifically.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nalyzed based on pre-practice the post-practice vocabulary ability assessment, questionnaires, interviews with the participants and the researcher’s diar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 terms of middle school students’ vocabulary development, in pre-practice interviews, the students said that it was difficult for them to learn English vocabulary. After participating in the English drama lessons, in their post-practice interviews, the students said that they did not have to learn English vocabulary laboriously by means of rote learning in the English drama lessons. On the contrary, they enjoyed learning English vocabulary. Through various activities by using drama techniques, the English drama lessons reduced the burden on students to memorize English words. Drama techniques included playing drama games, miming, tableaux, drawing, observations and interview activities. Through miming and tableaux, the students were able to learn English vocabulary without feeling burdened. As a result of the theater practice, where the researcher used an English play script, the students internalized their newly learned vocabulary while spontaneously producing dialogues. In the process, the students memorized English vocabulary in a natural way. Second, in terms of changes in students’ risk-taking, the students hesitated to speak to their peers and the researcher in the English drama lessons. The students were shy and said that they did not ask their teachers, even if they did not understand something. In the English drama lessons, the researcher provided them with opportunities to speak in various activities. In order to increase students’ participation, the researcher focused on pair and group activities. As a result, at first, the students had difficulties speaking to their peers and the researcher, because they were afraid of making mistakes. However, they could speak to their peers and the researcher with confidence as time passed. In addition, as the English drama lesson progressed, the students collaborated with each other to create drama performances. In the process, they communicated successfully with their peers. Furthermore, the English drama lessons were not teacher-centered, but students-centered. The students presented their opinions to the researcher and asked the researcher what they did not know about the plays. Third, in terms of students’ academic self-efficacy, they reported that they were nervous when they spoke in public. The researcher provided the students with various presentation opportunities through the English drama lessons. Thus, the students could feel a sense of accomplishment and enhance their confidence. As a result, they actively presented in front of their peers and the researcher, as they became more confident. During the play performances, they did not feel nervous, but performed the play with confidence. Regarding task difficulty preferences, the students wanted to learn difficult vocabulary, more than learning easy vocabulary. The results showed that students with high academic self-efficacy selected challenging tasks with high levels of difficulty. According to these results, the middle school students developed their vocabulary proficiency and increased their risk-taking and academic self-efficacy through participation in the English drama lessons delivered by the researcher. To utilize English drama lessons in public education, the researcher suggested that role plays are introduced in regular English classes. In role plays, students can benefit from meaningful communication in set situations that might happen in real life. Also, the researcher suggested that through role plays, students learn English vocabulary in a more relaxed and pleasurable way, as opposed to rote learning. In addition, through role plays, students are expected to learn English confidently and without resistance or fear, because their risk-taking and academic self-efficacy would increase. 본 연구에서는 입시위주의 영어교수 학습이 아닌 학습자들에게 흥미를 주고 즐겁게 영어를 학습할 수 있도록 영어연극을 활용하였다. 영어연극은 학생들이 입시에 대한 부담감을 줄일 수 있는 수업이며 신체활동을 활용하여 상대방과 영어로 의사소통을 할 수 있는 기회를 부여할 수 있는 수업이다. 영어연극을 활용한 수업은 학습자의 의사소통을 중시하는 7차 교육과정의 목적과 일치한다. 본 연구는 영어연극을 활용하여 중학생들의 어휘능력 향상과 모험시도와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변화를 파악하기 위한 사례연구이다. 그러므로 본 연구의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이 설정하였다. 첫째, 영어연극 활용 수업을 통해서 학습자의 어휘능력이 어떠한 변화를 보이는가? 둘째, 영어연극 활용 수업을 통해서 학습자의 모험시도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어떻게 변화하였는가? 셋째, 영어연극 활용 수업을 통해서 학습자의 학업적 자기효능감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어떻게 변화하였는가? 위의 연구문제를 풀기 위하여 서울시 P구에 소재한 K중학교 9명을 대상으로 영어연극 정규동아리 수업시간에 영어연극을 활용한 수업을 진행하였다. 영어연극 수업에서 드라마 기법을 활용하여 수업을 하였고 학생들과 함께 직접 각색한 신데렐라 대본을 활용하여 연극 공연 연습을 하였다. 본 연구의 영어연극 동아리 학생들을 대상으로 사전, 사후 어휘능력 평가지, 사전, 사후 설문지, 연구참여자들과의 면담, 교사의 수업일기를 토대로 연구결과를 분석하였다. 중학생들의 어휘능력, 모험시도,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변화를 알아보는 본 연구의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학생들의 어휘능력 향상에 관하여 학생들은 사전면담에서 영어단어를 익히는 것이 힘들다고 이야기 하였다. 영어연극 수업을 진행한 후 사후면담에서 학생들은 영어연극 수업을 통해서 영어 단어를 주입식으로 힘들게 학습하지 않았고 즐겁게 익힐 수 있었다고 이야기 하였다. 드라마 기법을 활용한 다양한 활동을 통해서 학생들에게 수업을 진행한 점이 학생들의 영어 단어를 힘들게 암기해야 하는 것에 대한 부담을 줄여주었다. 드라마 기법은 연극 게임, 마임, 정지장면, 그림그리기, 관찰활동, 인터뷰 활동을 포함한다. 마임과 정지장면을 통해서 학생들은 영어 어휘를 부담없이 익힐 수 있었다. 영어연극 대본을 활용하여 연극연습을 한 결과 학생들은 스스로 대사를 발화하면서 익힌 어휘를 내재화하였다. 그 과정에서 학생들은 자연스럽게 영어 단어를 기억하였다. 들째, 중학생들의 모험시도의 변화에 관하여 학생들은 연극 수업에서 처음에는 수줍어하여 발표하는 것을 주저하였고 모르는 내용이 있어도 교사에게 질문을 하지 않는다고 이야기 하였다. 영어연극 수업에서 연구자는 다양한 활동을 통해서 학생들에게 발표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였다. 연구자는 학생들의 참여를 높이기 위해서 짝활동과 그룹활동 위주로 수업을 진행하였다. 그에 따라 처음에는 학생들이 실수를 두려워하여 대답하는 데 어려움을 겪었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자신감있게 발표하였다. 뿐만 아니라 수업을 진행하면서 학생들은 공연을 만들기 위하여 서로 협동하였다. 그 과정에서 동료들과의 원활한 의사소통이 이루어졌다. 게다가 영어연극은 교사의 주도의 일방적인 수업이 아니라 참여자가 주도가 되는 수업이기 때문에 학생들의 의견을 교사에게 제시하였고 연극에 관해서 모르는 내용을 교사에게 질문을 하였다. 셋째, 중학생들의 학업적 자기효능감에 관하여 자신감의 측면에서 학생들은 다른 사람 앞에서 발표를 하였을 때 긴장하였다고 이야기 하였다. 연구자는 영어연극 수업을 통해서 다양한 발표기회를 제공하여 학생들의 성취감을 높이고 자신감을 가질 수 있도록 하였다. 그 결과 학생들은 자신감이 높아짐에 따라 발표할 때 적극적으로 발표하였다. 공연을 할 때 학생들은 긴장하지 않았고 자신감을 가지고 공연을 하였다. 과제 난이도 선호에 관하여 영어연극 수업에서 학생들은 쉬운 단어를 학습하는 것보다 어려운 단어를 학습하는 것을 원하였다. 이는 학업적 자기효능감이 높은 학습자는 난이도가 높은 도전적인 과제를 선택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위와 같은 연구결과를 통해서 중학생들은 영어연극 수업을 통해서 그들의 어휘능력과 모험시도와 학업적 자기효능감이 긍정적으로 상승하였다. 공교육에서 영어연극을 활용하기 위해서 정규수업 시간에 역할극을 활용하는 것을 제안한다. 역할극을 통해서 실생활에서 일어날 수 있는 상황을 설정하여 가상으로 의사소통을 연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게다가 중고등학생들의 학생들이 역할극을 통해서 영어 단어를 주입식으로 힘들게 익히는 것이 아니라 즐겁고 부담없이 영어 단어를 습득할 수 있는 방안을 강구하는 것을 제안한다. 뿐만 아니라 역할극을 통해서 학생들이 정의적 영역인 모험시도와 학업적 자기효능감을 높여서 영어에 대한 거부감과 두려움이 없이 자신감있게 영어를 학습하기를 기대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