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알코올중독자의 자녀를 위한 집단상담사례연구 : 해결중심적 단기치료모델에입각하여

        박재연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1998 국내석사

        RANK : 248703

        알코올중독자의 자녀들은 다양한 문제들을 가지고 있으나 그들을 위한 개입은 아직까지 지역사회에서 활성화되지 못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알코올중독자의 자녀들이 자신들의 문제해결을 위한 방법으로 지금까지 해결을 위해 노력했던 것 외의 다른 어떤 것을 찾아서 이를 지속할 수 있는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해결중심 단기치료모델에 기초하여 진행한 후, 각 구성원들의 변화와 효과성을 살펴봄으로써 앞으로 알코올중독자 자녀를 위한 개입으로써 해결중심모델을 활용한 집단상담 프로그램의 활용가능성을 검증해 보는데 그 목적이 있었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설문척도에 의한 분석과 개별변화에 대한 질적 분석의 결과, 집단상담의 참여전에 비하여 참여후에, 알코올중독자의 자녀들의 문제해결능력과 자신감이 향상되었다는 결과가 나와 해결중심단기치료모델을 활용한 집단상담이 알코올중독자의 자녀의 문제해결능력과 자신감을 향상시키는 데에 효과적인 방법이었다는 것이 입증되었다. 본 연구자는 해결중심적 단기치료 모델에 입각한 이 번 집단상담이 위와 같이 효과적인 결과를 보였던 이유를 몇 가지를 제시하고자 한다. 첫째, 본 집단상담에서는 기존의 내담자들의 문제를 파악해내고 함께 그 것을 해결해 나가는 ‘문제’중심의 상담이 아닌, 가장 잘 해냈던 때와 좋아질 것에 대해 생각하게 하고, 이를 통해 장점을 부각시켜 자신의 문제를 풀어나가는 ‘해결’중심의 상담을 함으로써 구성원들의 거부감을 없앨 수 있었고, ‘문제해결’에 대한 용기와 자신감을 북돋울 수 있었다. 또한 작은 변화에 민감하게 반응해 주고 지지를 해줌으로써 구성원들에게 자신감과 의욕을 실어줄 수 있었다. 둘째, 알코올중독자 자녀들의 상담에 ‘집단’을 이용했다는 장점이다. ‘부모의 알코올중독’이라는 어려움을 함께 겪고있는 동료들이 서로의 관계에서 항상 다른 사람의 장점을 살펴봄으로써 서로 지지와 칭찬을 해주었고, 부모의 술을 줄이기 위한 방법을 서로 얘기해 주며 도움을 주고자 했다. 이는 부모의 알코올중독으로 인해 많은 어려움과 문제를 가지고 있는 구성원들에게 많은 격려가 될 수 있었다고 본다. 셋째, 치료자의 입장에서도 구성원들의 능력과 잠재력을 믿고 상담에 임함으로써 구성원들에게 좀 더 많은 자신감을 심어줄 수 있었다고 본다. 상담에 임했을 시 문제점을 수정해주려고 치료자가 접근하기 쉬우나 해결중심적으로 진행한 이번 상담에서는 항상 구성원의 장점과 강점을 살려주는데 주력했으므로 치료자가 칭찬과 지지를 아끼지 않았고, 서로의 관계와 믿음이 좋아질 수 있었다. 넷째, 해결의 답을 가르쳐주는 것이 아닌 항상 자기 스스로 해결책을 찾게 하는 상담의 방법을 통해 구성원들이 자기 스스로 길을 찾고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데에 효과가 컸다고 본다. 본 연구에서는 위의 요인들로 인해 알코올중독자의 자녀를 위한 집단상담에 해결중심적 단기치료모델을 활용하는 것이 효과적일 수 있었다고 결론지으며, 앞으로 사회사업가들이 알코올중독자 자녀를 위한 개입을 할 때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The children of alcoholics have diverse problems, but there are little intervention for them in the commun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verifies the practical use of the group counseling program that is based on the solution-focused brief therapy model. This program will make the children find their problems for themselves and get their confidence. The consequence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analysis of the result of the T-test and the individual change proves that the children's ability of solving problems and their confidence have improved after they participated in the group counselling. This result can show that the solution-focused brief therapy model is an effective method for curing the children of alcoholics. There are several reasons for the effectiveness of this method. First, the group counselling of the solution-focused brief therapy model can make the group members feel comfortable to the counselling, for this counselling method shows their merit and the time when they are very good. And the counsellor's encouragement for their small improvement can give them the self-esteem and volition. Second, the characteristic of this method for counselling the children of the alcoholics uses "group". The individuals who are in the same environment of "the alcoholism of the parent" can communicate with each other. So, they can find the better solution by reflecting other individual's cases. And, they encourage other group members' merit. Third, as the therapist trust the ability and potential of the individuals, the group members can get more confidence of their ability to solve their problems by themselves. Fourth, the therapist does not give the way to solve their problems but guides them to find their own solutions for themselves. So, this make them get the confidence of their ability to solve their problems in the future. This reasons make sure that the solution-focused brief therapy model is an effective method. So, the social workers can use this counselling model for curing the children of the alcoholics.

      • 알코올중독자가 인지하는 가족관계에 관한 연구

        조미경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1995 국내석사

        RANK : 248703

        알코올중독은 임상양상도 다양하고 서서히 진행되며 쉽게 재발하는 만성 질환으로서 원인에 대해서는 생물학적 요인, 심리학적 이론, 사회학적 이론, 가족이론에 의한 여러가지 요인이 복합적으로 상호작용하여 발생한다고 알려져 왔다. 그 중에서도 특히 사회문화적 상황의 변천과 다양화로 인해 사회문화적 환경이 알코올중독의 중요한 요인으로 대두되면서 개인의 사회문화적 환경으로서 가장 직접적이고도 중요한 영역인 가족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 알코올중독자의 가족적 배경에는 부모의 음주, 가족학대, 부부간의 갈등, 조기부모사망, 가족 구조상의 결함, 비행성 부친 또는 과보호적인 모친 등의 특성이 많이 나타나고 있다. 이처럼 가족환경은 알코올중독과 밀접한 연관이 있으므로 알코올중독을 다루는 데 있어서 문제의 원인을 단순히 그 개인의 내적, 심리적 요소에만 국한시켜 파악하면 안되며 가족을 하나의 단위로 보아 가족의 상호작용 차원에서 문제를 이해하고 해결해야한다. 따라서 알코올중독의 원인분석과 치료를 위해서는 가족환경에 대한 정확한 사정이 필수적인데 가족환경에 대한 사정에 있어서 중요한 점은 가족환경에 대한 중독자 자신의 관점을 파악하는 것이다. 그 이유는 알코올중독자 자신이 가족을 지각하는 방법을 이해하고, 알코올중독자의 관점에 따라서 가족내에서의 그의 경험을 해석하는 것이 알코올중독의 원인 분석과 치료방침을 정하는 데 중요하며 알코올중독자가 자신의 가족환경에 대해 긍정적인 견해를 갖게 될 때 회복의 효과도 기대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가족의 사회적 환경 중 관계차원인 가족관계를 알코올중독자가 어떻게 인지하고 있는지를 알아보았다. 또한 알코올중독자들이 인지하는 가족관계와 일반적, 임상적 특성과의 관련성을 살펴보았다. 이 연구는 치료자가 환자의 가족관계를 파악하고 질병행동을 이해하는데 있어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조사대상은 서울 C정신병원에 알코올중독으로 입원중인 환자 53명이었으며, 대상자가 직접 설문지에 응답케 하였다. 자료수집 기간은 1995년 9월 18일부터 10월 18일까지 였고, 수집된 자료는 정보통계패키지(Information Statistical Package)에 따라 빈도와 백분율, 산술평균과 표준편차, 변량분석(ANOVA)으로 분석하였다. 조사도구는 Moos와 Insel에 의해 개발되어 이미 여러 연구에서 신뢰도 및 타당도가 입증된 가족환경척도(Family Environment Scale)중 Form R의 관계차원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을 보면 연령은 30대, 결혼상태는 기혼, 가정내 위치는 가장, 종교는 무교, 교육정도는 고졸, 직업상태는 무직, 치료비 부담자는 부인, 경제적 상태는 중류, 동거가족 수는 2~4명이 많았다. 조사대상자의 임상적 특성을 보면 음주 후 행동은 공격적 파괴적 행동, 음주기간은 20년, 입원 횟수는 1회, 입원기간은 15~30일, 입원방법은 강제입원이 많았다. (2) 알코올중독자가 인지하는 가족관계점수는 최하 46점에서 최대 117점의 점수분포를 보였으며, 평균 82.62점( 표준편차는 ±19.78)이었다. 이 결과는 김애경의 혈액투석환자의 가족관계 평균점수(94.21점)와 서현정의 정신분열증환자의 가족관계 평균점수(88.38점)보다 낮게 나타나 알코올중독자가 다른 질환자보다는 가족관계에 대해 더 부정적으로 인지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특히 응집력, 표현, 갈등 등 가족관계의 세 하위영역 각각의 평균점수는 응집력 28.26점, 표현 26.56점, 갈등 25.52점으로 서현정의 정신분열증환자의 응집력 27.78점, 표현 29.42점, 갈등 22.97점과 비교해 보면, 알코올중독환자는 가족관계 가운데 표현과 갈등영역에 있어서 정신분열증환자보다 부정적임을 알수있다. (3) 알코올중독자가 인지하는 가족관계와 일반적 특성과의 관련성은 다음과 같다. 첫째, 알코올중독환자의 가족관계는 결혼상태와 관련성이 있었다( F = 4.0132 P = 0.0242 ). 이는 알코올중독자가 기혼일 때 미혼이나 기타(파탄난 결혼상태로서 이혼, 별거, 배우자 가출, 동거)의 경우보다 가족관계에 대해 긍정적으로 인지하였음을 의미한다. 둘째, 알코올중독환자의 가족관계는 직업상태와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F = 31.5426 P = 0.0000 ). 이는 알코올중독자가 직업을 갖고 있을때 무직인 경우보다 가족관계에 대해서 긍정적으로 인지하였음을 의미한다. 세째, 알코올중독환자의 가족관계는 치료비 부담과 관련성이 있었다( F = 3.8340 P = 0.0153). 이는 치료비를 알코올중독자 자신이 부담할 때 부모나 부인이 부담하는 경우보다 가족관계를 긍정적으로 인지하였음을 의미한다. 이상의 결과를 볼때 알코올중독자가 인지하는 가족관계는 결혼생활이 안정적으로 유지되거나 자신이 직업을 갖고 있고 치료비 부담능력을 갖추고 있어서 가족의 경제적 부담을 덜어줄 수 있을때 긍정적으로 인지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4) 알코올중독자가 인지하는 가족관계와 임상적 특성과의 관련성은 다음과 같다. 알코올중독자의 가족관계는 음주 후 행동에 있어서만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F = 13.6658 P = 0.0000 ). 이는 알코올중독자가 음주 후 행동으로서 공격적이거나 파괴적인 행동을 보여 가족들에게 정신적, 육체적 피해를 많이 줄 때는 잠을 자거나 잔소리가 심하거나 우울, 비관하는 등의 가족들에게 덜 피해를 주는 경우보다 가족관계를 부정적으로 인지하였음을 의미한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임상사회사업실천과 관련하여 몇가지를 제언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알코올중독환자의 가족관계를 정확하게 사정하는 것은 치료적 개입의 기초가 되므로 간편하고 신속하게 가족관계를 평가할 수 있는 도구가 필요하며 그 내용에는 입원 전의 가족관계와 퇴원 후 환자가 생활해야할 상황, 직업 및 경제적인 상황 등이 포함되어야 한다. 둘째, 알코올중독자가 인지하는 가족관계를 긍정적으로 변화시키기 위해서는 중독자 개인의 치료만으로는 부족하며 가족이 하나의 단위로서 치료에 함께 참여할 수 있도록 치료계획을 수립해야한다. 세째, 알코올중독자가 인지하는 가족관계는 경제적 문제와 밀접한 관련성이 있으므로 퇴원을 앞둔 환자에게는 취업과 직업훈련에 대한 상담과 교육을 통해서 지속적인 직업활동을 할 수 있도록 격려하는 등의 직업재활프로그램을 각 병원과 입원환자의 여건에 맞도록 수립해야 한다. 이는 가족들의 경제적 부담을 감소시키고 중독자가 자신감을 갖고 사회적 직업적인 적응을 하도록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네째, 가족교육프로그램의 내용에는 중독자가 음주상태에서 공격적이고 파괴적인 행동을 보여 가족에게 위험한 상황이 발생했을때 가족들이 대처할 수 있는 방법이 포함되어야 한다. Alcoholism has various clinical feature, it is gradually progressive and relapsed chronic disease and its has been known that it occurs by biological, psychological, sociological and family factor interacting complexity. Among them especially the theory that socioal and cultural situation can be a cause of alcholism is being strongly focused, the interest is increased on family which is a important part as social and cultural environment of induvidual. The family background of alcholism is mainly marital conflict, alcholic parents, family abuse and early death of parents. Like this, as family environmental affect greatly on family members' mental health, when emotional and psychological problem occurs to a member of family, one should not understand the problem just as the members internal, psychological factors but consider a family a unit and understand the problem as a interaction of family. For the management of alcoholism, the correct assessment of the family environment is essential. The important one in the assessment of family environment is to know the point of view of the alcoholic patients to the family environment. The reason is that the effect of family on the members' mental health depends on the way that member perceive the family and interpretation of his experience in the family according to his point of veiw. When the alcoholics have a positive opinion about the family environment, we can expect the effect of recovery. At this point, this reserch focus on the way that alcoholic perceives family relationship in the relation dementions amomg social environment of family. Also, this research tried to reveal the correlation between the family relationships which alcoholics perceive and general, clinical characteristics.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September 18,1995 through October 18,1995 in the form of questionnaire from 53 patients who were being treated for alcoholism at a mental hospital in Seoul. The data were analysed by frequency distribution, percentage and ANOVA methods according to ISP program. Also, 27 items(relationship dementions) of the family environment scale by Rudolf Moss and Iasel were used for this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1)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researched are like these : the average age is thirties, marital status is married , the position in the family is a leader , religion is none,education level is high school graduated, occupational situation is unemployed, financial supporter is wife, ecomomic status is middle class, and the number of family member is 2-4 , the clinical characteristics of the researched are like these ; the behavior patterns during drunken state are aggressive and destructive drinking duration is 20 years, number of admission is one, duration of admission is 15 -30 days, and motive of hosptalization is compulsory admission. (2) The family relationship score which alcholics perceive is score distriloution between 46 to 117 , average 82.62 ( standard deviation is 19.78) This result is lower than Kim, Aw Kyoung(1990)'s mean score of family relationship of HD patients(94.21), Seo, Hyoun Joung(1992)'s mean score of family relationship of schizophrenic patients(88.38) and indicate alcholics perceive family relationship more negatively then other patients. Especially the average score of 3 subcategory of family relationship cohesion(28.26), expressiveness(26.56) and conflict(25.52) is lower than Seo, Hyun Jung(1992)'s score(27.78, 29.42, 22.97) This means that alcoholics are more negative than schiophrenic in the aspect of expression and conflict in family relationship. (3) The relation between family relationship and general characteristics which alcholics perceive is as follows. First, the family relationship of alcholics is related with marital status( F= 4.0132 P= 0.0242). This means that alcholics perceive family relationship more positively when he is married. Second, the relationships of alcholics have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job conditions ( F = 31.5426 P = 0.0000 ). This means that alcholics perceive family relationships more positively when he has a job. Third, the family relationships of alcholics have relationships with financial supporter(F=3.8340 P=0.0153). This means alcholics perceive more positively when he pay the bill than his parents or his partner pay the bill. Like this way alcholics perceive family relationships more positively when his marital life is stable, he has a job, has an ability to pay the bill and to relieve the economic burden. (4) The relation between family relationship which alcholics perceive and clinical characterics is as follows. There is a significant correlations in family relationships of alcholics only in the behavior patterns during drunken state. (F=13.665 P=0.0000) This show alcholics perceive family relations more negatively when give his family mental, and physical damage by acting aggressively and destructively after drinking than when he give less damage by sleeping, talkive, depressive. With this result, I will make some suggestion related with clinical social work practice. First, the scale to evaluate family relationships promptly and easily because it is a base of treamental intervention to assessment correctly the alcholics, family relationships, and the content includes family relationships , conflict, and disfrustrations of before admission and occupational, economic situations of diacharge. Second, to change family relationships positively which alcholics perceive, individual therapy of the addicted is not sufficient, we should make the treatment plan which let the family involve the treatment as a unit. Third, as the family relationships which alcholics perceive have a close connection with economic problem, hospital must make a vocational rehabilitation program which suit the istuation of each hospital and inpatients to encourage the patients to have a continuous occupational actions through counselling and educations about occupational training. This will relieve family of economic burden and help the addicted have a confidence and adapt to society and job. Forth, the content of family education program should include coping method when dangerous situations occur such as alcholics become aggressive and destructive.

      • 재가/입원 알코올중독자의 스트레스 생활사건과 대처방식 비교 연구

        정혜선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8703

        알코올중독자들은 현실적인 불안이나 스트레스를 건전한 방법이나 기타 신경증적인 방어 방법으로 해소하지 못하고 술을 통해서만 해결하려는 비정상적인 방법을 사용한다. 또한 스트레스에도 취약하기 때문에 환경적 스트레스에 직면했을 때 일반인에 비해 더 심각하게 인지하며 자신의 대처능력으로 감당하기 힘든 경우 알코올을 지속적으로 섭취함에 따라 만성화 경향을 보이게 된다. 그러므로 알코올중독자의 취약성에 대한 스트레스의 영향을 최소화하고 재발을 줄이기 위하여 알코올중독자 스스로가 스트레스를 잘 관리하고 사회에 잘 적응하여 질적인 삶을 살 수 있도록 간호사는 다양한 대처기술을 개발하고 교육하여야 한다. 이에 간호영역에서도 알코올중독자의 스트레스 관리 측면과 대처 기술에 대한 관심을 가질 필요가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재가 알코올중독자와 입원 알코올중독자의 스트레스 생활사건 및 심각성 정도를 파악하고 스트레스 대처방식을 비교 분석함으로써 알코올중독자들이 각각 처해있는 스트레스 상황에서 대처능력을 높이고 재발을 예방할 수 있도록 체계적이고 실제적인 간호중재 방법을 개발함에 있어 재발률을 줄일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대상은 DSM-Ⅳ에 의해 물질남용장애(알코올의존 및 알코올남용)로 진단을 받거나 NAST(National Alcoholism Scaling Test)에 의해 선별된 서울, 경기 지역에 위치한 6곳의 정신과 병원에 입원한 알코올중독자 116명과 9개 지역(서울, 부산, 대전, 대구, 부천, 인천, 광주, 마산, 울산)의 자조모임(A.A.)에 참여하거나 알코올상담센터 5곳(서울3, 경북1, 광주1)를 방문하는 재가 알코올중독자 135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수집 기간은 2002년 10월 1일부터 2002년 10월 28일까지였다. 연구도구는 Selye의 스트레스 이론에 기초를 둔 Homes와 Rahe(1967)의 43문항 사회재적응 척도를 기반으로 이평숙(1984)이 제작한 생활사건을 수정ㆍ보완한 42문항과 Lazarus와 Folkman이 1985년에 개발한 68문항의 대처방식 척도를 토대로 김정희(1985)가 제작한 대처방식 척도(The Ways of Coping Checklist)를 수정ㆍ보완한 42문항을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은 백분율, 교차분석, 평균, 표준편차, t-test, ANOVA의 통계 방법으로 분석하였고, 도구의 신뢰도는 Chronbach's Alpha로 검정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재가 알코올중독자와 입원 알코올중독자의 일반적 특성에 대한 동질성 검정결과 교육정도(p=0.048), 가구당 월 평균수입(p=0.001), 형제순위(0.047)를 제외한 성별, 연령, 결혼여부, 종교, 직업, 동거여부, 생활보호혜택 등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2. 재가 알코올중독자와 입원 알코올중독자의 음주관련 특성 비교 1) 각 과별 평균 입원경험 횟수에서는 재가 알코올중독자가 입원 알코올중독자보다 내과(p=0.013)와 정신과(p=0.036)에서 평균 입원경험 횟수가 더 많았고, 단주경험 여부에서도 재가 알코올중독자가 입원 알코올중독자보다 단주경험을 더 많이 하였다(p=0.000). 2) A.A. 인지에서는 재가 알코올중독자가 입원 알코올중독자보다 A.A.에 대해 더 많이 인지하고 있었고(p=0.000), A.A. 참여여부에서도 재가 알코올중독자가 입원 알코올중독자보다 A.A.에 더 많이 참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p=0.000). 3) 알코올치료기간에서 실시하는 프로그램참여 경험여부에서는 재가 알코올중독자가 입원 알코올중독자보다 프로그램에 참여한 경험이 더 많았고(p=0.000), 프로그램에 참여한 기간도 재가 알코올중독자가 입원 알코올중독자보다 참여한 기간이 더 길었다(p=0.036). 4) 지지체계 필요 요구도에서는 재가 알코올중독자와 입원 알코올중독자 모두 경제적 지원을 가장 많이 필요로 하였다. 3. 재가 알코올중독자와 입원 알코올중독자의 스트레스 생활 사건 경험 유무에서 재가 알코올중독자가 가장 많이 경험한 스트레스는 '부부간의 의견 및 성격차이로 인한 불화'(44.0%)였고, 입원 알코올중독자는 '가족과 함께 모임 및 대화시간이 줄어듦'(49.1%)이었다. 4. 스트레스 심각성 정도에서는 재가 알코올중독자와 입원 알코올중독자 모두 '이혼'(재가 M=4.00, 입원 M=4.10)에서 가장 높은 스트레스를 지각하였다. 5. 재가 알코올중독자와 입원 알코올중독자의 대처방식차이에서 문제중심 대처(p=0.000)와 사회적지지 추구(p=0.001)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 재가 알코올중독자가 입원 알코올중독자보다 문제중심 대처와 사회적지지 추구를 더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6. 음주관련 특성에 따른 대처방식 차이 1) 알코올중독치료프로그램 참여여부에 따른 대처방식에서 재가 알코올중독자는 비참여군이 참여군보다 사회적지지 추구를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p=0.048), 입원 알코올중독자의 경우 두 군간의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2) A.A. 참여여부에 따른 대처방식에서 재가 알코올중독자는 A.A.참여군이 비참여군보다 문제중심 대처를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p=0.031), 입원 알코올중독자의 경우 두 군간의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재가 알코올중독자와 입원 알코올중독자들이 일상생활에서 가장 많이 경험하고 지각하는 스트레스는 가족과 관련된 스트레스였고, 또한 A.A.에 참여하면서 단주를 유지하는 것이 스스로 문제에 부딪쳤을 때 문제중심 대처를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가족지지가 알코올중독자들에게 중요하다는 것과 A.A.에 참여하면서 단주를 유지하는 것이 스트레스에 잘 대처하는 가장 효율적인 방법임이 본 연구를 통해 밝혀진 바 알코올중독자들에 대한 A.A.의 지속적인 연계 서비스가 필요하고 더 나아가 정부의 홍보 및 지원 대책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Alcoholics tend to use alcohol to deal with stress and they lack healthy coping skills or defense mechanisms to handle stressful situations. At the same time, alcoholics are more vulnerable to stress than others which often leads to relapse in alcohol abuse or dependence. In order to reduce the effect of stress among alcoholics and to assist alcoholics to better deal with stress, there is a need for the field of nursing to develop various coping skills and educate patients struggling with alcohol-related disord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stressful events and their seriousness among people of alcohol disorder and to compare and analyze stress coping behavior of these people in order to provide a foundation to develop a more effective prevention program to deal with stressful events among alcoholics. The study examined 116 individuals who have been diagnosed with substance abuse disorder (i.e., alcohol dependence or alcohol abuse) by DSM-IV and NAST (National Alcoholism Scaling Test) and have been place in inpatient care in six different medical centers in Seoul and vicinity, and 135 individuals who participated in Alcoholics Anonymous(AA) groups in nine different locations (Seoul, Busan, Dajun, Daegu, Buchon, Inchon, Gwangju, Masan, Woolsan) or who visited five different alcohol counseling centers in Seoul, Gyungbook, and Gwangju areas. The measure used for the study was modified Lee (1984)'s stressful life events measure and modified Kim (1985)'s The Ways of Coping checklist. Both measures consisted of 42 items. The main statistical method utilized for the analyses were t-test and Analysis of Variance (ANOVA). A summary of findings is as follows: 1. Both inpatient and home-based alcoholics did not differ significantly in their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including gender, age, marital status, religion, occupation, and social service benefits, but did differ in education (p=0.048), household monthly income (p=.0001), birth order (p=0.047). 2. The difference between the inpatient and home-based in average number of hospitalization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psychiatric p=0.036, internal medicine p=0.013). The two groups differed in attempts to quit drinking (p=0.000), A.A. knowledge (p=0.000), A.A. participation (p=0.000), participating in alcohol treatment program (p=0.000), and in length of participation (p=0.036). Both groups did not differ in their urgent need of financial support system. 3. In the experience of stressful events, home-based alcoholics listed "conflict with spouse due to personality difference" as the most frequently experienced stress (44.0%), and inpatient alcoholics listed "lack of family members' get-together and communication" as the most frequently experienced stressful event (49.1%). 4. In the degree of seriousness of stressful events, both groups acknowledged 'divorce' as the most stressful event (home-based M=4.00, inpatient M=4.10). 5. In ways of coping with stress, home-based alcoholics were found to utilized more problem-centered coping (p=0.000) and social support seeking (p=0.001) than the inpatient group. 6. Ways of coping with stress in relation to alcohol: 1) In ways of coping with stress in relation to alcohol treatment program participation, home-based alcoholics who did not participate in treatment program were found to utilize social support seeking than those who participated in treatment program (p=0.048), but for inpatient alcoholics ways of coping with stress was not related to participation in alcohol treatment programs. 2) For home-based alcoholics, ways of coping with stress differed in relation to A.A. participation in that those who participated in A.A. use more problem centered coping skills (p=0.031), but for the inpatient group, ways of coping were not related with A.A. participation. In summary, the study showed that the most frequently experienced stressful event experienced by alcoholics were related to family, and findings indicated that alcoholics who participated in A.A. and stayed sober were able to utilize problem-centered coping skills when in stress. The study implied the importance of family support among alcoholics and indicated that the most effective way to cope with stress is to participate in self-support group such as A.A. and stay sober. The study also implies the importance of continuous support of A.A. program through community and government for those struggling with alcohol-related disorders.

      • 알코올중독자의 의미있는 가족원을 위한 대처기술향상 프로그램 개발과 효과에 관한 연구

        이종숙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4 국내박사

        RANK : 248703

        우리사회에 알코올 중독이 점차 심각한 사회 문제로 대두되어 이에 대한 정부와 민간 전문기관의 대처가 절실한 실정이다. 알코올 중독자 개인의 역기능적이고 폭력적인 행동은 자신의 정상적인 사회활동에 막대한 지장을 초래하여 결국 중독자 자신의 경제적·사회적 지위를 현저히 저하 시킬 뿐 아니라 가족원들에게 심한 신체적·정서적·심리적 고통을 안겨준다. 이로 인해 알코올 중독자는 별거와 이혼을 경험하게 되고 이것은 가족해체의 요인으로 발전하게 된다. 그런데 알코올 중독자로 인해 가족원 모두가 위와 같은 고통을 겪게 됨에도 불구하고 가족원들은 알코올 중독이 가져다주는 해악에 대해 대부분 무지 할뿐 아니라 오히려 알코올 중독자의 음주 사실을 은폐·보호 하고자 노력하는 과정에서 알코올 공동의존자가 된다. 본 연구는 따라서 알코올 중독자와 밀접한 관계가 있는 배우자, 부모, 형제·자매, 며느리 등 의미있는 가족원들에게 알코올 중독이 가져다주는 개인적·가정적·사회적 피해에 대한 현실 인식을 높이고 교육과 훈련을 제공함으로써 알코올 중독으로 인해 유발되는 중독자의 문제행동에 효과적으로 대처하여 그로부터 받게 되는 고통을 최소화 하고 가족들이 공동의존에서 탈피하여 자신들의 삶을 영위하도록 하여 가족체계가 안정되게 함으로써 궁극적으로는 알코올 중독자의 회복을 돕는 우리 사회에서 지속적으로 활용될 수 있는 대처기술향상 프로그램 개발에 그 목적을 두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첫째, 국내외의 선행연구와 문헌고찰을 통해 알코올문제치료에 효과적인 인지행동치료 이론에 근거하여 예비 프로그램을 구성하였다. 둘째, 구성된 예비프로그램을 서울 강북지역(강북구, 도봉구, 성북구, 노원구)에 거주하는 12명의 중독자 가족에게 1일 2시간 1주 1회의 24주간 연속 실시하였고 전문가의 지도와 평가를 통해 프로그램 내용을 수정·보완하여 본 프로그램을 완성하였다. 셋째, 실험집단(13명)에게 이 대처기술 프로그램을 주1회(1회 2시간) 총 13주간 실시하였다. 또한, 프로그램 시행이전과 이후에 실험집단(13명)과 통제집단(15명)에 대해 사전조사와 사후조사를 실시하였고 또한, 프로그램 종료 6개월 후 추후조사를 실시하여 알코올 인식도, 공동의존, 불안, 스트레스, 의사소통, 분노조절 등 6개 변수에 대한 변화량을 비교함으로써 그 효과성을 측정하였다. 효과성 검증은 양적분석과 과정평가를 병행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알코올인식도 알코올인식도에 대한 실험집단의 사전·사후, 사전·추후의 변화량이 통제집단의 사전·사후, 사전·추후 변화량보다 점수가 큰 폭으로 증가되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나 본 프로그램이 알코올중독자의 의미 있는 가족원에게 효과적인 개입임을 입증할 수 있었다. 이러한 변화는 실험집단에서도 동일한 결과로 나타나 알코올 인식에 관한 프로그램은 단기간으로 효과성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공동의존 공동의존에 대해 집단간 변화량을 비교한 결과 통제집단보다 실험집단이 점수의 감소 폭은 더 크게 나타났으나 두 집단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아 본 프로그램을 통한 공동의존감소 효과는 입증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가족원들의 공동의존이 오랜 기간에 걸쳐 이루어진 것인만큼 단기간의 프로그램을 통해 공동의존을 감소하기는 어렵다는 것을 시사한다. 그러나 실험집단 내 변화분석에서는 사전조사에 비해 추후조사에서 공동의존의 감소가 유의한 수준에서 이루어짐을 볼 때 본 프로그램을 통한 공동의존의 감소가 어느 정도 수준에서는 영향을 미칠 수 있었다고 볼 수 있다. 불안 불안의 변화량의 집단간 분석결과 실험집단이 사전·사후, 사전·추후 모두 큰 폭의 점수의 감소를 보인 반면 통제집단은 오히려 점수가 증가함을 보여 두 집단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같은 결과는 불안은 공동의존과는 달리 단기간의 프로그램으로도 효과가 나타남을 시사하고 있다. 이는 프로그램을 통한 지지적인 개입의 효과가 연구대상자의 불안수준을 낮추었다고 볼 수 있겠다. 마찬가지로 실험집단 내에서도 사전·사후조사에서 불안에 대한 점수가 큰 폭으로 감소하여 통계적으로 유의미함을 보여주었고 추후검사에서도 유의미함을 보여 불안의 감소가 프로그램이 종료후에도 지속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스트레스 (대처기술관련변수) 실험집단과 통제집단간의 스트레스 대처의 변화량의 사전·추후 결과를 살펴보면 실험집단은 점수가 증가한 반면 통제집단은 큰 폭으로 감소한 것으로 나타나 실험집단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결과는 연구대상자들의 알코올중독자를 돕는 실질적인 지식의 습득과 프로그램을 통해 스트레스에 대한 직접적인 접근이 이루어진 점이 사후조사 결과보다 추후조사에서 효율적인 스트레스 감소효과를 가져왔다고 판단해 볼 수 있다. 실험집단 자체내의 변화량에 있어서도 사전·사후 검사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여 주었으나 사전·추후검사에서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여주고 있지 않아 프로그램 종료후에도 계속적인 개입이 요구됨을 보여주고 있다. 의사소통 (대처기술관련변수) 의사소통에 대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간의 변화량을 분석해 본 결과 사전·사후 조사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음이 확인되었다. 그러나 사전·추후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나 프로그램의 효과가 지속되지 못하고 있었다. 실험집단내에서는 사전·사후 조사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나지 않았으나 사전·추후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함을 볼 수 있었다. 이것은 프로그램의 효과가 단기간에 나타나지는 않지만 프로그램이 끝난 6 개월후 변화가 있었음을 입증하는 것이다. 따라서, 프로그램 계획에 있어서 연구대상자들의 장기간의 변화를 염두에 두고 계획되어야 할 것이다. 분노조절 (대처기술관련변수) 특성분노에 대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변화량 비교 결과 실험집단이 더 많은 점수가 감소하여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나 본 프로그램이 연구대상자에게 분노를 감소시키는데 효과적이었음이 입증되었다. 그러나 추후조사 시점까지 효과성이 지속되지 못하였다. 실험집단내에서는 사전·사후, 사전·추후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분노표현의 실험집단과 통제집단간 사전·사후 변화량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으며 사전·추후조사 결과에서 약간의 점수차이는 있었으나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음을 볼 수 있다. 이것은 알코올중독자 가족원들이 알코올중독자와 함께 생활하면서 겪는 분노를 표현하는 것이 단기간의 프로그램으로 부족함을 나타내는 것이라고 판단된다. 실험집단 내에서도 같은 결과가 나타나 프로그램을 통한 분노표현의 효과성은 입증되지 않았다. 따라서, 분노표현 프로그램은 장기간을 가지고 지속적인 개입이 필요하다고 하겠다. 이상과 같은 알코올 중독자의 의미있는 가족원을 위한 대처기술향상 프로그램의 효과성 검증을 통해 본 연구가 갖는 의의 및 함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우리나라에서 알코올 중독자가족을 위한 프로그램의 대다수는 알코올 중독자가 병원에 입원해 있는 단기간동안 배우자를 대상으로 실시한 것이나 본 연구에서는 지역사회 주민들 중 지역사회에 오랜 기간 잠재되어 있는 중독자를 발견, 이들을 돌보는데 책임을 갖고 있는 의미있는 가족원을 대상으로 한 프로그램이라는 점과 둘째, 병원에서의 가족을 위한 프로그램과는 달리 프로그램 종료 후에도 지속적인 사례관리를 통해 지지함으로서 퇴원한 알코올 중독자는 AA에, 가족원은 Alanon에 참여하게 된 점과 지역사회 복지관의 여러 자원을 활용 알코올중독자의 입원비 지원, COA의 상담 및 미술치료, 놀이치료, 할인혜택이 협정된 알코올 전문병원 연계, 병원사회복지사와 사례공유, 가정지원금 및 자녀의 장학금 지원, 실험집단 성원의 무료의료수술지원 등 지역사회의 여러 자원을 연계한 지역사회 모델의 강점을 활용하여 사후관리를 함으로서 프로그램의 효과를 극대화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셋째, 본 연구결과는 알코올 가족원을 위한 프로그램 계획시는 알코올인식, 불안, 특성분노는 단기간의 개입으로 효과가 있음이 입증되었으며 공동의존, 분노조절은 장기간의 개입을 염두에 두어야 함을 시사함으로서 임상실천현장에서 적용해 볼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하였는데 의미가 있다. In Korean society today, alcoholism has emerged as a serious social problem. This makes it urgent for relevant counter-measures to be facilitated by both government policies and by intervention on the part of professional human service organizations. Dysfunctional and violent behaviors of alcoholics cause grave damage to families, resulting not only in deterioration of economic and social status, but also in physical, emotional and psychological pain of the family members. Because of the economic difficulties and stressful family life caused by alcoholism, alcoholics often experience separation and divorce; this leads to family disorganization. Despite negative influences of alcoholism on family life, family members are rarely aware of the vicious harm alcoholism is bringing about in the family. Even though they may feel dismayed, frustrated, confused, scared, crazed, upset, ashamed, and sick of the alcoholic's continued drinking, family members often try to cover-up the alcoholic's drinking behavior, and sometimes they even support the alcoholic's drink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refore, is to develop a coping skill improvement program for the family members of alcoholics aimed at helping them get out of alcoholic co-dependency. Such a program, in turn, could assist participants to stabilize the family system, leading to normal family life. This comprehensive program was designed, first of all, to help family members recognize the deleterious effects of alcoholism by acquisition of better knowledge about alcoholism and awareness of how alcoholism affects them pathologically and socially. The next step was to educate and train family members to cope effectively with the problem behaviors of the alcoholics. Improvement in their use of coping strategies would minimize the effects of the abusive and violent acts of the alcoholics. The target behaviors of the program included the coping behaviors of communication skill, anger control, stress management and resolving stressful situations so as to help the family members improve relationships with the alcoholic. In this way, family members could detach from co-dependency with the alcoholic. This, in turn, could assist the alcoholic to recover from alcoholism. The design of the present research included a pilot study. The construction of the preliminary program was based on cognitive behavioral treatment theory and review of pertinent literature. The preliminary program was applied to 12 families residing in four northern districts of Seoul Gangbuk-gu, Dobong-gu, Sungbuk-gu and Nowon-gu two hours a day, one day per week for 24 consecutive weeks. The program contents were modified and revised after careful assessment and in-depth evaluation with supervisors and professionals. The revised program was applied to the experimental group (13 families) two hours per day, one day per week, for 13 consecutive weeks. Before and after the revised program was administered to the family members of alcoholics, pre- and post-tests including process evaluation and follow-up investigations were conducted. Process evaluation was obtained by interviewing the participants of the experimentalgroup four months after the program was terminated. A follow-up test was executed six months after the program was terminated. In these tests, variations within the six areas recognition of alcoholism, co-dependency, anxiety, stress management, communication skill and anger control were compared in order to measur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A comparable control group (15 families) received pre-, post-, and follow-up tests but no treatment program. Statistical analysis was by SPSS ll.5.The analysis showed both between and within group variations. Recognition of Alcoholism After treatment, the scores on recognition of alcoholism on the part of experimental group were higher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This statistically significant between group difference indicates this program proved to be an effective intervention for recognition of the reality of alcoholism. These findings were also shown within the experimental group itself in variations between their pre-and post-tests. Co-dependency Comparison of the variables on co-dependency in the two groups showed no statistical significance, though the difference in reduced scores of the experiment group is larger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This result indicates that it would be difficult to reduce the degree of co-dependency by a short-term program in that co-dependency has been formed over a long period of time. However, within-group comparison of pre-test scores with the follow-up investigation revealed a slight reduction of co-dependency in the experimental group. This means that a slight decrease of co-dependency could be achieved through extension of the short-term program. Anxiety The results of analysis of variation on anxiety in the two groups confirmed a significant decrease in the scores of the experimental group at both the pre- and post-tests, and the pre-test and follow-up investigation while the control group's scores on anxiety actually increased. This resulted in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anxiety between the two groups. Thus, it can be claimed that short-term treatment for anxiety could be effective; that is, supportive interventions were effective in decreasing the level of anxiety of the program participants. The program was effective for both the short and the extended term. Stress (Variables relative to coping skill) Comparison of variations between pre-test and follow-up investigation of coping skills against stress between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shows that variations in coping skills of the experimental group increased while those of the control group decreased. This indicates that the experimental group members had learned how to help the alcoholics, and how to cope with stressful situations by participating in the program. Within the experimentalgroup,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in variations between the pre- and post-test, but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noted between the pre-test and follow-up comparison, indicating that continued intervention would be needed after the programs were terminated. Communications (Variables related to coping skill) A statistically significant between groups result was confirmed on communication variations between pre- and post-test. However,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between the pre-test and follow-up investigation during this short-term observed period, suggesting that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did not last long. On the other hand, investigation of variations within the experimental group itself comparing pre-test with follow-up scores turne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This result meant that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could be shown in about six-months after the program was terminated. Anger control (Variables related coping skill)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between group variations in trait anger control showed the effectiveness of this program. However, the between group differences did not continue until follow-up time. Within the experimental group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rait anger control was shown between pre- and post-test as well as pre-test and follow-up test times. A significant between groups pre- and post-test difference was not found on anger expression. Though there was a little pre- and follow-up test difference between groups, this difference showed no statistical significance. This indicates that a short-term program was not sufficient to help the family members to get along with the alcoholic by expressing anger appropriately. Within the experimentalgroup, effective anger expression was not evidenced. This indicated that effective anger expression might be improved only by continued interventions. The following discussion was based on assessment of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implemented in the present research. First, most of the programs for the families of the alcoholics in Korea had previously focused on spouses only, particularly, during the period when the alcoholics were hospitalized for treatment. In contrast, the present research was designed to help all significant family members of alcoholics. Therefore, this program started first to locate alcoholics as well as their family members who had been imbedded in the community without the benefit of professional services. Secondly, unlike the programs provided for the family members at hospitals, this program emphasized follow-up case management by encouraging the alcoholics and the family members to participate in Alcoholics Anonymous and Alanon, respectively after the program was terminated. This program was also designed to assist alcoholics and their family members with financial support such as hospital charges and school fees for the Children of Alcoholics (COA) and to provide various professional social services to COA and significant family members such as counseling, art and play therapy, and connecting with medical institutions in cooperation with the medical social workers of the hospitals where the alcoholics were given treatment. Thirdly, it was verified that for recognition of alcoholism and decrease in anxiety, short-term intervention would be effective whereas a long-term program should be utilized for co-dependency and anger control. In conclusion, results of the present research show that this program can be applied to the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services and programs for families of alcoholics. The researcher's proposals and suggestions for clinical practice and policy framing were discussed.

      • 알코올중독자의 자녀를 위한 스트레스관리 프로그램의 효과

        양승희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3 국내박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알코올중독자의 자녀를 위한 스트레스관리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그 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연구로서 비동등성 대조군 사전 사후 유사실험 설계(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post test design)로 수행되었다. 연구의 개념적 기틀은 Lazarus와 Folkman(1984)의 스트레스-대처모형을 기초로하였다. 연구기간은 2003년 1월 16일부터 2003년 2월 27일까지였고, 연구대상은 실험군과 대조군 각각 10명이었으며, 동질성 확보를 위해 비슷한 연령과 성별을 고려하여 선정하였다. 본 연구에서 알코올중독자 자녀를 위한 스트레스관리 프로그램은 스트레스 대처자원 강화와 대처능력 향상에 초점을 두었고, 대처자원의 강화를 위한 전략으로는 자존감 증진, 사회적 지지, 알코올과 알코올중독에 대한 지식을 포함하고, 대처 능력의 향상을 위한 전략으로는 정서적 이완훈련과 문제해결전략을 포함한 주 2회, 6주 프로그램이다. 연구도구는 Jones(1981)가 개발하고 김미례, 장환일, 김경빈(1995)이 한국 실정에 맞게 보완한 알코올중독자 자녀 선별검사, Coopersmith(1967)가 개발하고 강종구(1986)가 번안한 자존감 척도(Self- Esteem Inventory), Derogatis 등(1973)이 개발하고 김광일 등(1978)이 우리나라 실정에 맞게 제작한 간이 정신진단검사(Symptom Check List-90-Revision: SCL-90-R), Ayers 등(1996)이 개발하고 본 연구자가 번역, 수정 보완한 대처유형(HICUPS: How I Coped Under PressureScale)도구를 사용하였다. 자료수집은 사전·사후조사로 이루어졌는데, 사전조사에서는 실험군과 대조군의 일반적 특성, 알코올중독자 자녀 선별검사, 우울, 불안, 적대감, 자존감, 대처유형 점수를 측정하였으며, 사후조사에서는 실험군과 대조군의 우울, 불안, 적대감, 자존감, 대처유형 점수를 측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AS program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χ^(2) test, t-test 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가설 1 "스트레스관리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은 참여하지 않은 대조군보다 우울 점수가 낮을 것이다" 가 지지되어(t=3.81, P=.001) 스트레스관리 프로그램이 알코올중독자 자녀의 우울 감소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설 2 "스트레스관리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은 참여하지 않은 대조군보다 불안 점수가 낮을 것이다" 가 지지되어(t=3.79, P=.001) 스트레스관리 프로그램이 알코올중독자 자녀의 불안 감소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설 3 "스트레스관리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은 참여하지 않은 대조군보다 적대감 점수가 낮을 것이다" 가 지지되어(t=3.94, P=.001) 스트레스관리 프로그램이 알코올중독자 자녀의 적대감 감소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설 4 "스트레스관리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은 참여하지 않은 대조군보다 자존감 점수가 높을 것이다" 가 지지되어(t=-7.37, P<.0001) 스트레스관리 프로그램이 알코올중독자 자녀의 자존감 증진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설 5 "스트레스관리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은 참여하지 않은 대조군과 대처유형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 는 적극적 대처(t=-2.32, P=.031)와 하위영역 중긍정적 인지재구성(t=-2.11, P=.050)과 문제해결을 위한 지지추구(t=-3.03, P=.007)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회피적 대처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t=.00, P=1.00). 따라서 "스트레스관리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은 참여하지 않은 대조군과 대처유형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 가설은 부분적으로 지지되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종합해보면, 본 스트레스관리 프로그램은 알코올중독자 자녀의 자존감과 대처능력을 향상시켜 우울, 불안, 적대감 감소에 효과적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본 프로그램은 정신보건 간호사나 학교 보건교사들이 알코올중독자 자녀를 위한 교육과 상담에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비용효과적인 간호중재로 간호사의 역할을 확대하고 독자적 영역을 구축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a stress management program on the mental health of children of alcoholics(CoA). The design of study was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study. The stress management program consisted of enhancing self-esteem and education in alcohol and alcoholism and social support for trengthening coping resource and emotional relaxation exercise and problem solving skills for improving coping ability : 6-week, 12 session. The subjects were 20 adolescents from ages 13-18. They were homogeneous age and sex. The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ing in the intervention consisted of 10 CoAs. The control group who were not participating in the intervention consisted of 10 CoAs. The pretest was given before the treatment, and the posttest was performed after a 6- week intervention on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 The instruments for this study were the Coopersmith's Self-Esteem Inventory, Derogatis et al's Depression, Anxiety and Hostility Scale on SCL-90, Ayers Collegue's HICUPS(How I coped Under Pressure Scale). The data was collected from 16, January to 27, February, 2003. Data was analyzed with descriptive statistics, chi-square test, and t-test with SAS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There were significant decreased depression, anxiety and hostility in the experimental group than the control group. 2) There were significant increased self-esteem in the experimental group than the control group. 3) There were significant increased active coping and sub dimension, positive cognitive restructing, and support seeking for problem solving in experimental group than the control group. In conclusion, the program helped adolescent COAs by enhancing self-esteem and improving coping ability. This eventually enhanced in mental health.

      • 알코올중독자 가족의 공동의존증과 사회적지지에 대한 연구

        김송자 광주대학교 경상대학원 1998 국내석사

        RANK : 248703

        알코올중독은 개인의 신체적. 정신적인 손상은 물론 함께 생활하는 가족들에게도 영향을 주어 전반적인 가족의 기능이 역기능적인 형태로 나타나 병리적인 악순환이 지속된다. 알코올중독자로 인해 인생이 영향을 받는 사람들의 문제를 광범위하게 정의하는 것으로 공동의존이라는 개념이 사용되고 있다. 동의존증은 알코올중독과 상호작용의 결과 나타나는 가족의 성향으로서 비적응적이며 강박적인 행도으로서 자기파괴적인 행동을 동반하는 등 진행성이며 만성적인 질병이기 때문에 가족도 함께치료를 받아야 함을 의미한다. 알코올중독자 가족에 대한 적절한 사회적 지지는 정서적인 균형을 유지하며 위협적인 상황으로 부터 보호받을 수 있고 상황에 대한 해석, 자신감이나 환경 통제감을 가질 수 있게 하여 문제해결에 적극적인 대처를 가능하게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알코올 중독자 가족의 공동의존증과 사회적 지지를 조사함으로서 치료기관에 사회사업적인 개입방안을 위한 기초자료를 얻기 위함이다. 알코올중독과 알코올중독자 가족의 특성인 공동의존증을 이해하기 위해 정신의 학, 학위논문, 국내외 저널 등을 참고로 하였으며, 조사연구를 위해서는 전남 나주시 소재 국립나주정신병원에서 1998년 3월10일부터 1998년 4월10일까지 DSM-IV진단기준에 의하여 알코올의존 또는 알코올남용응로 진단 받은 환자의 가족을 대상으로 선정하였고, 대조집단으로서는 같은 기간에 국립나주정신병원을 방문한 일반인들을 대상으로 면담을 실시하여 현재 가족구성원 중 다른 정신과적 질환이나 알코올 및 약물남용의 문제가 없는 가족 50명을 대상으로 Friel의 공동의존증척도, 박지원의 사회적 지지척도를 포함한 5개의평가척도에 의한 설문지로 iv 면접조사를 실시하였다. 자료는 빈도분포(frequency), 백분율(percentage),단순상관계수(Pearson's r). 단일변량분석(ANOVA),티 검증(t-test)을 SPSSWIN 7.5 통계패키지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1.공동의존증 알코올중독자 가족과 일반가족의 공동의존증 평균 점수의 비교에서는 알코올중 독자가족이 일반가족보다 유의미한 차이를 보여 알코올중독이 상호작용효과가 있 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가조구성원의 성별, 가족관계, 동거여부에 따른 평균점 수의 비교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2. 사회적 지지 구조적 지지의 지지제공자의 수를 의미하는 크기는 알코올중독자 가족이 일반가 족보다 유의미하게 낮은 차이를 보였으며, 친족.비친족.지역사회로 구분한 비교 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이 친족에서 사회적 지지를 많이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능적 지지에 있어서 구체적인 도움은 알코올중독자 가족이 일반가족보다 정서 적 지지를 적게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에, 알코올중독자 가족이 일반가족에 비하여 평가적 지지를 더 많이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만족도에서는 알코올중독자 가족이 일반족보다 낮은 만족도를 보였으며, 유대 강도(접촉빈도.동질성.안정성)도 일반가족보다 낮게 나타나 유의미한 치을 보 였다. 사회적 지지제공간의 상호작용 또한 알코올중독자 가족이 일반가족보다 낮게 나타났다. - v - 3. 알코올중독자 가족의 공동의존과 사회적지지 알코올중독자 가족의 공동의존증에는 사회적 지지제공자의 크기, 기능적 지지요 인과는 낮은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지지제공자와의 접촉빈도는 낮은 부적상관관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과 같은 분석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자는 사회사업의 실천적 측면에서 알코 올중독자 가족의 사회적 지지에 대한 접근방안을 제언하였다. -vi -

      • 알코올중독자 부인의 극복력과 사회적지지, 영성

        한미라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알코올중독자 부인의 극복력을 파악하고 사회적지지와 영성과의 관계를 파악하므로써 알코올중독자 부인과 관련된 정신보건서비스를 계획하는데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기 위한 조사연구이다. 연구대상자는 알코올중독자 부인 총 80명이며 자료 수집은 2003년 9월 25일 - 12월 5일까지 하였고 서울, 경기 지역에 소재한 알코올가족친목모임(Al-Anon), 가톨릭 알코올사목센터, 알코올상담센터, 병원, 복지관, 단주모임(A.A)에서 실시하였으며 직접 질문지를 배부하여 조사하였다. 연구도구는 인구학적 특성과 Wagnild 와 Young이 개발한 Resilience Scale, 박지원이 개발한 사회적지지척도, Howden이 개발하고 오복자 등이 번역한 한국어판 영성측정도구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11.0 PC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t-test, ANOVA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극복력 평균점수는 116.19±21.13(Range 25∼175), 문항별 평균점수는 최대 7점에서 4.65점으로 나타났다. 간접적으로 지각한 사회적지지의 평균점수는 74.35±19.84(Range 25~125), 문항별 평균점수는 최대 5점에서 3.03점으로 나타났다. 직접적으로 지각한 사회적지지의 평균점수는 45.49±8.79(Range 5∼75), 문항별 평균점수는 최대 5점에서 3.01점으로 나타났다. 영성의 평균점수는 112.45±24.92(Range 28∼168), 문항별 평균점수는 최대 6점에서 4.02점으로 나타났다. 2. 대상자의 특성에 따른 극복력 점수를 보면 직업(p<.05), 수입(p<.01), 대상자가 참가하고 있는 프로그램의 기간(p<.05)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직접적으로 지각한 사회적지지 점수는 수입(p<.05)과, 영성은 종교(p<.01), 수입(p<.05), 대상자가 참가하고 있는 프로그램 참석기간(p<.05), 남편인 알코올중독자의 연령(p<.05) 및 학력(p<.05), 남편의 프로그램 참석기간(p<.01)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3. 극복력과 영성(r=.731, p=.000), 직접적으로 지각한 사회적지지(r=.346, p=.002), 영성과 직접적으로 지각한 사회적지지(r=.460, p=.000)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에서 순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종합해보면 알코올중독자 부인의 극복력을 높이기 위한 중재 개발시 직접적으로 지각한 사회적지지와 영성을 높일 수 있는 관련 변수들이 고려되어져야 할 것이다.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reilience, social support and spirituality in wives of alcoholics.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80 wives of alcoholics at Al-Anon, Catholic Alcohol Pastoral Ministry Center, Alcohol community center, welfare center, hospital, A.A. The data collected from September, 25 to December, 5, 2003 using Resilience Scale(Wagnild & Young, 1993), Social support Scale(Park, 1985), The Korean version of Spirituality Assesment Scale(Oh et. al., 2001).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t- test and ANOVA using SPSS 11.0 WIN program. The major finds were as follows. 1. The mean score of resilience was 116.19±21.13(Range 25∼175) and the mean score of indirected social support was 74.35±19.84(Range 25∼125), directed social support was 45.49±8.79(Range 5∼75) and the mean score of spirituality was 112.45±24.92(Range 28∼168). 2.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 in resilience score and occupation(p<.05), income(p<.01), participated program duration of wives of alcoholics(p<.05). Directed social support sco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income(p<.05) and spirituality sco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religion(p<.01), income(p<.05), participated program duration of wives of alcoholics(p<.05), age of alcoholics(p<.05), education of alcoholics(p<.05), participated program duration of alcoholics(p<.01). 3.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resilience and directed social support(r=.346, p=.002) and spirituality(r=.731, p=.000).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spirituality and directed social support(r=.460, p=.000). In conclusion, directed social support and spirituality must be assessed when planning nursing interventions to increase resilience in wives of alcoholics

      • 알코올중독자 자녀를 위한 심리극집단프로그램의 효과성연구 : 자기표현력 향상을 중심으로

        김수진 가톨릭대 사회복지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8703

        부모의 알코올중독으로 인한 다양한 가족스트레스 상황속에서 그 자녀들은 심각한 정서, 행동, 사회적 문제를 나타내고 있다. 그러나 이들을 위한 임상적인 개입은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알코올중독자 자녀들의 정신건강과 대인관계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자기표현력향상을 위한 심리극 집단프로그램을 실시, 그 효과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지역사회내에서 대상자를 파악하여 프로그램 참여에 대한 동의를 구하는 사전과정과 8회 심리극 집단프로그램, 그리고 프로그램의 지연효과를 파악하기 위한 2회의 사후과정으로 진행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설문척도에 의한 분석을 통해 자기표현행동척도의 네가지 하위영역(행동적·인지적·정서적·전반적 자기표현)중 행동적·인지적·정서적 자기표현의 세가지 영역에서 긍정적인 결과를 얻었으며, 수량적인 결과를 지지할 수 있도록 집단전체 및 개별구성원의 변화를 질적연구한 결과 대부분의 구성원의 자기표현행동이 향상되었음을 관찰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알코올중독자 자녀들을 위한 프로그램의 개발과 실천이 부족한 현상황에서 지역사회내에서 이들의 특정한 심리사회적 문제에 개입하였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으며, 연구결과를 통해 알코올중독자 자녀들을 위한 집단프로그램에 심리극을 활용하는 것이 효과적일 수 있다는 가능성이 제시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드러나지는 않은 알코올 중독자와 그 가족들에 대한 지역사회내에서의 적극적 개입이 요구된다. 또한, 가족내 성원 어느 한 사람의 변화만으로는 알코올중독이라는 문제상황을 벗어나기 어려우므로 알코올중독자 본인과 배우자에 대한 개입뿐 아니라 그 자녀에 대한 치료적 접근이 함께 병행되어야 한다. 둘째, 알코올중독자 자녀들의 다양한 연령층이나 발달단계, 개별 특성에 맞게 적용할 수 있는 좀 더 다양하고 전문적인 프로그램들의 개발 및 실시가 필요하다. 셋째, 단기프로그램 외에 더 지속적인 사후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자조집단 등 연계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이 필요하다. The children who have grown under the environment of various stresses in their families due to parents' alcoholism have shown the serious emotional, behavioral and social problems. However the clinical interventionfor them has not almost been lied. This study intended to look into the effectiveness by conducting the psychodrama group program, which helps the children under alcoholic parents improve the ability to express themselves, which greatly affects their mental health and personal relationship. To achive these goals, the subjects for this survey were chosen in their community. The prior process were practiced for the agreement toparticipate in the program, and the psychodrama program for group were played 8 times, and then the post-processes for finding out thecontinuity their changes were examined twice. The results of this study is as follows; This study obtained the positive results from 3 fields of behavioral, cognitive and emotional self-expression among 4 sub-fields, that is, behavioral, cognitive, emotional and whole self-expression, which were divided through the analysis by questionnaire scale, and as a result we studied qualitatively the change of whole group and individual member in order to support the quantitative results, we could find that most of members improved their self-expression behavior. Therefore, it was possibly suggested that it may be effective to utilize a psychodrama as a group program for the children under alcoholic parents, and under the current situation that the development and practice of programs for the children under alcoholic parents is insufficient, it is considered that this study has the meaning in that it intervened in their specific psycho-social problem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would like to suggest as follows; First, the positive intervention in the alcoholics and their family members who are not revealed is required. In addition, since a family can't escape from alcoholism only by one member's change among the family, the approach to treat their children as well as the intervention in alcoholics themselves and their spouses should be done simultaneously. Second, we need to develop and implement the more various and specialized programs, which can be applied according to the children's under alcoholic parents various age level, development level or individual characteristics. Third, the development of related programs such as self-help group is required to provide more continuous After Service in addition to short-term program.

      • 알코올중독자의 직업생활 적응과정

        조명숙 동신대학교 2017 국내박사

        RANK : 248703

        우리사회는 중독공화국이라고 할 정도로 중독이 심각하다. 알코올중독은 진행적이고 만성적인 과정을 밟은 대표적인 질환으로 개인뿐만 아니라 가족과 사회전반에 미치는 피해가 심각하여 알코올중독자의 회복에 대한 관심은 커질 수밖에 없다. 이에 본 연구는 알코올중독자를 대상으로 알코올중독자의 직업생활 적응과정을 파악할 수 있는 실체이론을 개발하여 알코올중독자를 이해하고 정신간호중재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D대학교에서 IRB(No. 1040708-201609-BM-005-01)을 받은 후 실시하였다. 자료수집은 2016년 10월부터 시작하여 2017년 2월까지 실시하였고, 연구참여자는 알코올중독자로 치료받고 단주와 직업생활을 최소한 1년 이상 유지하고 있는 12명이었다. 연구방법은 알코올중독자의 직업생활 적응과정에서 나타나는 상호작용을 확인하고, 이 과정을 통합하는데 적절한 Strauss와 Corbin(1998)의 근거이론을 사용한 질적 연구이다. 연구참여자들의 직업생활 적응과정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알코올중독자의 직업생활 적응과정의 개방코딩 결과는 최종적으로 개념 74개, 하위범주 33개, 범주 14개가 도출되었다. 축 코딩에서는 인과적 조건으로 ‘새로운 삶을 원함’, ‘일을 찾아 나섬’, 맥락적 조건으로 ‘중독자라는 낙인을 받음’, ‘중독자로서의 취약성이 두드러짐’, 중재적 조건으로 ‘신중하게 직업을 선택함’, ‘주변의 인정과 지지를 받음’, 중심현상으로 ‘당당히 서기위해 몸부림 침’, 전략으로 ‘마음을 다잡음’, ‘자기관리에 철저함’, ‘단주의지를 실천함’, 결과로는 ‘직업유지가 견고해짐’, ‘대인관계가 회복됨’, ‘단주가 확고해짐’, ‘영적으로 성장함’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선택코딩에서는 알코올중독자의 직업생활 적응과정의 ‘당당히 서기위해 몸부림 침’이라는 중심현상을 형성해 가는 과정이면서 다른 범주를 모두 아우르는 핵심범주는 ‘중독자로서의 현실을 끌어안고 견뎌내기’로 도출되었다. 셋째, 알코올중독자의 직업생활 적응과정의 유형은 가족과 주변사람들과의 관계회복이 중요한 ‘관계회복형’, 경제적으로 의존하지 않고자 하는 ‘경제자립형’, 자신의 삶의 의미를 찾고 공동체를 위해 기여하고자 하는 ‘실존추구형’으로 분류되었다. 넷째, 알코올중독자의 직업생활 적응과정에서 핵심범주인 ‘중독자로서의 현실을 끌어안고 견뎌내기’의 과정은 시간의 흐름에 따라 변화하는 ‘숙고기’, ‘역경기’, ‘인내기’, ‘자립기’라는 일련의 과정을 거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 참여자들은 중독자의 삶에서 지금과는 다른 삶을 살고자하는 굳은 의지를 가지고 직업생활을 원했다. 주변사람들의 도움을 받거나 스스로 노력으로 일자리를 찾아 나섰다. 그러나 중독자라는 사회적 낙인과 취약성으로 구직과 직업유지는 쉽지 않았다. 참여자들은 과거의 직장 사직 경험과 주변의 지지로 신중하게 직업을 선택하고 직업을 유지하기 위해서 단주를 위한 노력과 새로운 마음가짐으로 버티면서 당당히 자기로 서기 위한 몸부림을 쳤다. 참여자들은 직업생활이 유지됨으로써 직장인으로서 위치가 견고해 졌고, 가족과 주변사람들과 관계가 회복되었다. 단주 또한 확고해졌으며 나아가 자신과 공동체에 기여할 수 있는 삶을 살고자 하는 영적인 성장을 가져왔다. 따라서 알코올중독자에게 직업생활 적응과정은 길고 어두운 터널을 지나온 과정이고 조개가 진주를 잉태하는 과정에 비유될 만큼 회복을 넘어선 인간으로서의 잃어버린 진정한 삶을 되찾는 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 알코올중독자와 가족의 치료개입에 대한 탐색적 연구

        임은혜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과학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의 목적은 알코올중독이 알코올중독자 한 사람의 질병이 아니고 가족질병이라는 점에서 알코올중독자와 가족을 하나의 치료집단으로 보고 현재까지 이루어져 왔던 알코올중독자와 가족에 대한 개입이 알코올중독자의 치료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현재까지 연구되어 왔던 알코올중독자와 가족에게 개입하였던 연구문헌들을 살펴보았다. 알코올중독자만 개입하였을 때와 가족만 개입하였을 때 그리고 공동 개입하였을 때의 문헌을 보았고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게 되었다. 첫째, 알코올중독자만 치료를 했을 때는 입원치료와 입원 중에 실행되었던 여러 가지 치료를 AA와 같이 병행하였을 때 효과적이었다는 결과가 나왔다. 입원치료를 했을 때는 우선 술과 격리 되어 있기 때문에 단주의 효과가 있지만 단주가 장기적으로 가지 않는 경우가 많은 것으로 나왔다. 그렇게 때문에 AA를 병행하면서 단주를 할 때 효과적이라는 결과가 나왔다. ⅰ 둘째, 가족치료는 처음에 가족들이 가족프로그램이나 가족친목모임에 참석을 할 때는 알코올중독자의 술을 끊게 하려는 목적에서 프로그램에 참석을 하는데 모임에 참석을 하다보면 알코올중독자의 단주보다는 가족 자신이 더 도움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족에게 나타났던 우울이나 불안이 감소되고 자아존중감이 향상되는 모습을 보였다. 또한 알코올중독자에게는 적절한 대처행동을 하게 되어서 알코올중독자의 단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결과가 나왔다. 셋째, 알코올중독자와 가족을 같이 공동 개입하였을 때 알코올중독자의 치료에 미치는 영향은 우선 같이 프로그램을 참석하기 때문에 집에서는 서로 하지 못했던 이야기를 프로그램에 참석하여서는 편안하게 이야기 하면서 서로 겪었던 어려움에 대해서 이해하는 시간을 갖고 서로 이해할 수 있게 되었다. 부부치료는 또한 알코올중독자와 가족을 각각 단독으로 치료했을 경우보다 그 효과성이 더 컸고 재발률도 각자 치료했을 때 보다 낮고 가족간의 갈등도 더 완화된 것을 볼 수 있었다. 또한 회복기의 가정에 있어서의 부부치료가 단주전의 부부치료 만큼이나 중요하고 오히려 회복하는 중에 다시 재발하지 않기 위해서는 회복기 부부의 부부치료가 아주 중요하다는 결과가 나왔다. ⅱ 이러한 결과는 알코올중독자뿐만 아니라 가족의 치료가 중요하다는 것을 알게 하였고 가족의 치료가 가족의 치료와 알코올중독자의 치료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게 하였다. 그렇기 때문에 가족 치료프로그램 및 가족단주친목모임이 알코올중독자의 치료 및 재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평가할 수 있으며, 이를 사회사업 실천적 측면에서 활용하고 더욱 발전시키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제언하고자 한다. 첫째, 사회복지사는 알코올중독자가 퇴원을 할 때 AA모임을 안내하고 병원에 입원해 있는 동안에 단주에 대한 동기부여를 계속 적으로 해야 한다. 둘째, 사회복지사는 알코올중독자뿐만 아니라 가족에게도 관심을 가지고 여러 가지 프로그램과 가족친목을 안내하고 정확한 정보를 제공하는 역할을 하여야 한다. 셋째, 프로그램이 없는 곳에 프로그램을 개설하고 가족친목모임이 없는 곳에 사회복지사는 모임을 새로 시작하거나 개발하고 장소제공을 하는 역할을 하여야 한다. 넷째, 부부치료와 가족치료에 효과적인 개입을 위해서는 그에 관해서 공부하고 전문적인 훈련을 받아서 프로그램을 전문적으로 운영할 수 있는 전문적인 교육이 이루어져야 한다. 다섯째, 병원 안에서 이루어지는 회복기 부부의 가족모임이 있어야 한다. 알코올중독자가 술을 끊기 위해서는 가족의 역할이 중요하기 때문에 정기적으로 병원 안에서 부부가 같이 할 수 있는 가족교육과 모임이 이루어 져야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