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아파트 단위주호 평면 구성에 영향을 주는 욕실의 위상 분석에 관한 연구

        김춘수 慶尙大學校 大學院 2004 국내석사

        RANK : 232319

        Due to the economic purpose and change of social structure, and technical development, it is the recent trend to conduct the pursuit of utmost convenience and functional structure of space, and demand for privacy becomes higher in living space. In accordance with this trend, Korean living culture has changed drastically making apartments to be a popular type of urban housing. Changes in the pattern of living space such as living room, bed room, and kitchen represent the alteration of the living culture, furthermore, a variety of changes and trials for bathroom has also been being made. This study aims at the topological analysis of the bathroom which has been neglected in the process of apartment planning. Generally, bathroom is considered to be a supplementary space of living room, bed room, and kitchen, thus its location is not an important consideration. However, under the presumption that deciding the bathroom location with such fixed view frame is not desirable, the topological relation between bathroom and other spaces is analyzed. For the topological analysis method, the visual axis which represents the psychological depth and direction, and the closeness which represents the interval relations between bathroom and other spaces, were used as the major factors to model the apartment unit plan. By analysing the trends of the models, the role of bathroom in the process of apartment unit planning were investigated. Following are the summary of this study; First, the types of apartment unit plan can be classified into "straight-line type" and "square-line type" according to the linear aspects of the visual axis originating from the common bathroom. In the straight-line type, bathroom can be seen directly from the entrance where the possibility of arousing psychological disorder is higher, while the accessibility and convenience is better. Observing the relation between the visual axis and bathroom walls, the longer side is perpendicular to the axis. This type is popular in small and medium apartment houses with common bathroom. The square-line type, which has modified visual axis, can be classified into two types. One has the same location as the straight-line type, and the other has two bathrooms as the area becomes roomy - one common and another for private use in inner room. In the models which has the same location of one common bathroom as the straight-line type, the visual axis is perpendicular or parallel with the long side of bathroom. The door of bathroom depends on the bathroom shape, and position of sanitation fixtures show variety. Observing the variance in accordance with the area, the straight-line type which is better in closeness and compactness, with fixtures on single axis, and simple square-line type which is similar to the straight-line type, are popular in small and medium units, while in larger units, which has enough space to utilize, the square-line type which has common bathroom near the entrance is preferred. It is because such location has the advantage in accessibility. Secondly, classifying the common bathroom types according to the closeness with other spaces, there are two types. One is close to inner room and the other is close to entrance. In small and medium models close-to-inner room type is much preferred. Models with two bathroom can be classified into dispersed and converged types. converged type is preferred in medium units while dispersed type, with separate common and private bathroom, is preferred in large units. In the latter models common bathroom is located near the entrance for better accessibility, while the common bathroom of converged type is near the inner room. Most dispersed types locate the long side of bathroom in parallel with the axis of the units, however, in some variation it is perpendicular to the axis. Some locate the common bathroom at the upper part of the axis while others locate at the lower part near the front bedroom. Private bathroom, both in dispersed and converged types, is located on the front or back side of the inner room and being used as the exclusive space. In some very large models, antechamber such as dressing room is located between the bedroom and bathroom for convenience. The result of topological analysis considering the relation between bathroom and other spaces of apartment unit plans in Seoul area are as follows; First, in small and medium units which has restricted area, the type which has common bathroom located on the visual axis from entrance will be preferred continuously. Also simple square-line type which is a modified straight-line type, will be preferred continuously. Though this type has the possibility of giving psychological disorder to users, however, it is better in accessibility and compactness providing better space usage, and direct view from the entrance is mitigated. Secondly, such types as having common bathroom and private bathroom located on the side of the unit plan, i.e., near the inner room which is at the converging point of the common space and private space, becomes more popular. But more positive locations, such as between the living room at the front side of the unit and inner room, or at front of the inner room, or at balcony at the backside, are being adopted. Therefore, the location of bathroom should be considered in various positions such as at the front or back, lateral, within the compass not intruding other spaces. Therefore, bathroom should not be considered as no more than a supplementary space which assists other spaces such as living room, bedroom, and kitchen. It should not be neglected, in the process of unit planning, that bathroom effects and/or being effected by the location, dimension, and shape of other spaces. After all, addressing the bathroom with such fixed point of view deepens the stiffening of apartment unit plan. Therefore, the location of bathroom shall be decided under consideration of above mentioned features.

      • 아파트 단위주호의 주거환경 적합성에 관한 연구

        유서연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32255

        정부 규제의 공급자 주도의 시장에서 자율화된 소비자 주도의 시장으로 변모되고, 소비자의 의식도 크게 바뀌어, 육체적․정신적 건강의 조화를 통해 행복하고 아름다운 삶을 영위하려는 사람들이 늘어나면서 거주자의 삶의 질을 높여줄 수 있는 주택에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시대에 삶의 질을 높여줄 수 있는 주택을 계획하기 위해서는 거주자의 요구와 특성을 반영할 수 있는 거주자 의식 및 실태를 기반으로 한 연구가 절실하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거주자들의 주거환경에 대한 적합성을 파악하는 것으로, 적합성을 측정하기 위한 기준을 마련하기 위하여 머사앤리의 사용자이득기준(Murtha and Lee''s User Benefit Criteria) 이론을 사용하였고, 적합성에 대한 사용자의 반응과 대처행동을 이해하는 개념적인 틀로서 환경 스트레스 모델 [Bell et al.(1996)]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는 크게 두 부분으로 나누어 조사하였는데, 하나는 주거환경의 적합성에 관한 질문이고 다른 하나는 부적합한 주거환경에 대한 반응 및 대처방안에 대한 질문으로, 이러한 조사 결과를 요약하여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첫째, 주거환경의 적합성은 거실, 욕실, 주방, 침실, 현관, 발코니 전반적인 공간의 7개공간에 대한 49개 항목으로 조사되었으며, 공간별 적합성에 관한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거실공간에 대한 적합성은 일조와 채광, 가족들이 모여 대화하기에 적합한 구조, 자연환기 및 통풍에 대한 환경은 비교적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현관이나 외부에서 거실이 직접 들여다 보이지 않게 되어있는지에 관한 항목은 비교적 적합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욕실공간에 대한 적합성은 세면대의 높이와 세면대 주변의 배수에 관한 항목은 비교적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적합하지 않은 편으로 나타난 항목이 많았고, 특히 샤워부스나 샤워커텐이 있어 샤워시 욕실 바닥에 물이 튀지 않게 되어있는지에 관한 항목은 적합하지 않은것으로 나타났다. 주방 및 식당공간의 적합성은 충분한 조명과 화재나 가스누출 안전시스템 항목은 비교적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주방에서의 쓰레기 분리수거의 용이성 항목은 적합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침실공간에서는 채광과 일조, 환기와 통풍에 대한 항목은 적합한 편으로 나타났으나 침실의 충분한 수납공간에 대한 항목은 비교적 적합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현관공간에 대한 특성을 살펴보면, 현관에서 외부 방문객을 쉽게 확인 할 수 있는지에 대한 항목은 비교적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현관에 키 큰 물품을 수납할 수 있는 공간과 현관에서 실내가 직접 보이지 않는 구조에 대해서는 비교적 적합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발코니공간에서는 남쪽 발코니에서의 세탁건조 항목과 조망은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발코니에서 손빨래를 할 수 있는 공간에 대한 항목은 적합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전반적인 공간에 대한 적합성은 냉난방조명의 에너지 절약, 위급상황시 대피, 계절취미용품, 청소기 등의 수납공간, 각 실 문의 잠금상태 확인 순으로 나타나, 전체적으로 적합성이 낮음을 알 수 있다. 각 공간의 전반적인 적합성 평균을 종합하여 비교해 보면, 전체 공간 중 거실공간에 대한 적합성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발코니 공간의 적합성도 비교적 높게 나타났으나 욕실공간과 전반적인 공간에 대한 적합성은 낮은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부적합한 주거환경들로 인한 반응 및 대처행동을 알아보기 위하여, 스트레스를 받는 정도, 스트레스(피로, 불편, 짜증, 불안)를 느끼는 주거환경 계획요소,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주거환경 계획요소, 희망대처행동을 조사한 결과, 부적합한 주거 환경들로 인해 스트레스를 받는다고 응답한 사람이 전체의 81.1%로, 대부분의 사람들이 일상생활에서 스트레스를 받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피로를 느끼는 주거환경과 불편을 느끼는 주거환경으로는 주방에서의 쓰레기 분리수거에 관한 항목의 빈도가 높게 나타났고, 짜증을 느끼는 주거환경으로는 욕실 물소리 소음의 외부전달에 관한 가장 많은 빈도를 나타냈으며, 불안을 느끼는 주거환경으로는 위급 상황시 대피에 관한 항목의 빈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부적합한 주거환경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빈도분석 결과를 살펴보면, 불편한 곳에 잘 가지 않게 한다는 항목은 전체 조사대상자의 41.1%가 선택하여 가장 많은 빈도를 나타냈고, 다음으로 험한 말이 나오게 한다, 가족간의 관계를 원만치 못하게 한다, 집에 들어가기 싫어지게 한다 의 순으로 나타났다. 적합하지 않은 주거환경에 대하여, 대처하고 싶은 행동을 다중응답 분석한 결과 다른 집으로 이사를 가고 싶다는 의견이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하였고, 리모델링을 하고싶다, 공간배치를 바꾸고 싶다, 생활재를 교체하고 싶다, 그냥 참고 살겠다의 순서로 나타나 적극적인 대처행동을 희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셋째, 스트레스 정도에 따라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이 다른지에 대한 분석결과는 그 차이가 유의하며 스트레스가 심할수록 삶의 질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스트레스 정도에 따른 희망대처행동에 대한 결과는 스트레스 정도가 심할수록 좀 더 적극적인 대처행동을 하려는 응답이 많았다.넷째,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주거환경 계획요소를 분석한 결과, 거실의 환기와 통풍이 잘 안되고 가족간의 대화를 할 수 있는 구조에 적합하지 않을수록 가족관계를 원만치 못하게 만들고, 침실이 안락하고 조용한 느낌을 주지 못할수록 험한 말이 나오게 하며, 침실의 수납공간에 대한 적합성이 낮을수록 불편한 곳에 잘 가지 않게 하고, 주방의 조명이 가사작업을 하기에 충분하지 않을수록 집에 들어가기 싫어지게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근거로 결론을 내리면 다음과 같다.거실공간은 외부로부터의 시각적 프라이버시를 보호 받을 수 있어야 하며 빠르게 변화하는 현대 시대에 다양한 디지털 기기들을 수용할 수 있는 환경적 지원성을 갖추어야 한다. 욕실공간은 위생과 안전을 위한 시설이 갖추어야 함은 물론 앞으로의 생활양식 변화에 따라 정신적인 편안함을 줄 수 있는 공간이 되어야 할 것이다. 주방공간은 앞으로 환경과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주방에서의 쉽게 쓰레기 분리 수거를 할 수 있도록 해야 하며, 주방의 조리로 인한 열, 냄새, 연기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시설이 필요하다. 침실공간은 침실에서의 프라이버시를 높여줄 수 있도록 소음 차단을 고려하고 부부침실에는 전용 욕실을 설치 하는 것이 바람직 할 것이다. 현관공간은 주5일 근무와 더불어 여가활동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주택 외부에서 주로 사용하는 레저용품에 대한 물품들을 수용할 수 있도록 수납공간의 용량에 대한 고려와 키큰 수납물품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다. 발코니공간은 자주 쓰지 않는 물건들에 대한 수납공간을 강화해야 햐며, 손빨래를 할 수 있는 공간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다. 주택 전반에 걸쳐 효율적인 수납공간 확보가 요구되며, 앞으로의 고유가 시대에 대응할 수 있도록 주택내의 냉난방과 조명에 드는 에너지를 덜 소모할 수 있는 방안이 연구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위급상황시 대피할 수 있는 공간에 대한 고려와, 각 실 문의 잠금상태를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인지력을 높여주어야 할 것이다.부적합한 주거환경으로 인하여 많은 거주자들이 스트레스를 느끼고 있으며 이러한 스트레스로 인해 삶의 질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으나, 이에 관심을 갖고 적극적으로 대처하고자 하는 노력은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거주자들의 삶의 질을 높여주기에 적합한 주택 계획을 하기 위해서는 거주자의 실태를 기반으로 한 연구에 더 많은 비중을 두어야 할 것이다. In user-oriented society, apartments need to be developed for the quality of lif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analyzing residential design factors and examining the congruence of apartment characteristic to the residents needs. Questionnaire research is conducted and 282 questionnaires are analyzed for this study. The questionnaire mainly consists of questions about residential congruence of each space, and reaction to and coping behavior with the incongruent residential environment and the summarized and arranged such inquired results are likely as followings:First, Residential Congruence was surveyed in 49 items, for 7 spaces such as living room, bathroom, kitchen, bedroom, entrance hall, balcony and overall space, and the analyzed result related with the Congruence by each Space is as follows:Congruence about environment for living room space on sunlight, suitable structure to talk where families are gathering around, natural ventilation and air circulation was appeared as comparatively congruous, but the questioning item whether living room is peeped directly from entrance hall or outside was answered as comparatively incongruous.Regarding to Congruence about bathroom space on the questioning item such as height of washstand and drainage at near place of washstand was answered as comparatively congruous, however there were still found many of incongruous items thereat, and especially for the questioning item whether shower booth or shower curtain prevents splash over bathroom floor when showering was displayed as incongruous.With regard to Congruence about kitchen and dining room spaces on the questioning item such as a sufficient lighting and fire or gas-leakage safety system was showed as comparatively congruous, however about the easiness on separating collection of rubbish was exhibited as incongruous.While the questioning item for bedroom space on sunlight, ventilation and air circulation was appeared as congruous, regarding to item about sufficient storing closet space in bedroom was appeared as comparatively incongruous.In observation of the peculiarity of entrance hall, about questioning item whether it possible to identify visitor outside easily at the entrance hall was showed as comparatively congruous, however, regarding to storage space for tall article at the entrance hall, and about the structure whether one unable to look in direct interior room at the entrance hall was responded as comparatively incongruous.About questioning item on balcony space, while laundry drying at southern balcony and lookout were appeared as congruous, the item on the balcony space where for hand-laundry was appeared as incongruous.Regarding to Congruence about overall space on the questioning item, as it was answered in sequential order likely as energy-saving at air condition, heating, lighting, sheltering from emergency situation, seasonal goods or leisure equipment, storage space for cleaning sweeper, easily noticeable door lock condition of each rooms, Congruence about overall space was known as wholly lower, yet.Comparing the average figure of each space synthetically calculated for overall Congruence, the Congruence in living room space showed up as highest among all the spaces, and Congruence in balcony space also appeared as comparatively high. However, since the Congruence in both bathroom space and overall space appeared as lower, it might be said that a proper supplementary measure is required thereto.Second, in order to know out the reaction and coping behavior against incongruous residential environment, the degree of stress imposed, planning factor of residential environment which feels stress (fatigue, discomfort, temper, unrest), planning factor of residential environment effects to quality of life, expectable coping behavior were inquired, and the result of analysis to the foregoing is same as below:As the people who responded that suffering stress due to incongruous residential environment occupies 81.1% among the total, it is known that most part of people is imposing stress in their everyday life. As the residential environment which feels of fatigue and discomfort represents as that the frequency at the questioned item for separating collection of garbage in kitchen was appeared as high, and as the residential environment which feels of temper is examples water noise at bathroom propagates to outside of which frequency on the item was showed as also high, and as the residential environment that feels of unrest was shown at sheltering from emergency situation of which frequency on questioned item was extremely most highest.In observation of the result of frequency analysis where the incongruous residential environment influencing to quality of life, the item in which stated as ''let residents not go to inconvenient place'' was appeared the most highest frequency, chosen by 41.1% of the total objects to the questionnaire, and appeared the next runners in turn likely '' let residents say bad wording '', ''let the family relationship goes in not harmonious'', '' let residents dislike to return home’As the result of analysis on multiplex response for coping behavior with the incongruous environment, the opinion mentioning as '' want to move to other house '' has occupied at the most ratio, and continued by following order as '' hope to make remodeling '', '' hope to change the space layout '', '' would like to replace the living materials '', '' will keep on living as ever with endurance '', it was displayed that a positive coping behavior is quite expected there.Third, the analyzed Result whether the consequence influencing to the quality of life according to the degree of stress is different, the difference is significant, and the more severe of stress, it appeared as influences negative effect to the quality of life, the result about expected coping behavior according to the degree of stress, whenever the stress becomes more severe, there were many responses which willing to do with more positive coping behavior.Fourth, as the result of analysis on the planning factor of residential environment that effecting to the quality of life, wherever the ventilation and air circulation of living room are not so well and the worse structure of incongruous for mutual talking of family members, it makes the relationship of family members inharmonious, and wherever the bedroom does not keep a comfort as well as calm atmosphere, there must be arising discordant wordings, and the congruence on storage space in bedroom is getting lower, they used to not go to inconvenient place, and wherever the poorer lighting of kitchen that not so enough to do home affair work, it appeared that everybody does not like to return home, accordingly.Based on the above-mentioned results,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is as follows:On account of the incongruous residential environment, many of residents are suffering by stress, while due to such stress, it influences a negative effect to the quality of our life, but as the actual state, the effort having with keen interesting on this which willing to overcome it positively is still short as yet. Therefore, for the establishment of the housing program that suitable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for residents, the more its ratio should be placed on the Study based on the actual conditions of residents.

      • 아파트 단지 내 단위주호 면적 차이에 따른 어린이놀이터 이용특성에 관한 연구

        김덕곤 건국대학교 산업대학원 1997 국내석사

        RANK : 232255

        The primal planning standard for children's playground in apartment complex is the number of families, and by this standard, the minimum length and area of a playground is decided. Owing to this in most cases playground is designed without full consideration of the number of playground users which differ greatly according to the household area and their playing activities. In light of the above, these study searches a better planning the patterns of the childrens play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ir use of the playground based on the household area. First, I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and activities of children's play by age with the help of related published materials and compare domestic and foreing architectural regulations regarding children's playgrounds. Then, I select a sample apartment block which show a clear difference in gousehold area and children, children's gender and age. Concurrently, I conduct a search aming apartment residents in order to find out children's activities in playground in actual life by distributing prepared multiple questionnare in this regard and obtaining answers. Through SPSS/PC+ program, I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ren's activities and household area. The results showed that the number of children in small household area. Especially, as for the children before school age, the number recorded 4 times that of large household area. Meanwhile, according to the result, there was little difference between groups in terms of children's activities. The above research strongly supports that the number of children and their average age which differ depending on household area should be factors for design of playground in apartment complex and for related architectural regulations.

      • 중소형아파트 단위주호 평면유형의 특성 및 변화경향에 관한 연구

        김지민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15743

        본 연구는 향후 소비자 요구에 부응하는 평면개발을 위해 시장에 공급되어온 중·소형아파트의 단위주호 평면유형의 특성과 변화경향 분석에 관한 연구로, 서울에 소재하는 중·소형아파트 단위주호 평면의 평면구성과 공간별 구성유형의 특성과 변화경향을 분석하고, 아파트 단위주호 평면을 유형화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의 대상은 1990년 이후 2007년까지 분양된 서울시내 소재 아파트 단위주호 평면이며, ‘아파트 백과’를 통해 총 901개 평면을 수집하여 분석에 이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및 결론은 다음과 같다. 1) 중·소형아파트 평면의 수량·수치적 특성으로 침실수, 욕실수, 각실의 면적, 전면bay수, 발코니수 그리고 주동형식에 대한 변화경향을 조사하였다. 첫째, 침실수의 변화경향으로 중형평면의 경우에는 3침실이 고정화되는 현상을 볼 수 있었으며, 2000년대 후반에는 4침실이 등장하는 사례도 볼 수 있었다. 소형평면의 경우에는 3침실이 주를 이루나, 2침실도 지속적으로 나타나는 경향을 보여 중형과 소형평면에서 공통적으로 전반적인 침실수의 증가경향을 볼 수 있었다. 둘째, 욕실수의 변화경향을 살펴본 결과, 중형과 소형평면에서 모두 하나 또는 두 개의 욕실이 평면에 적용되었으며, 공동욕실 1개가 적용되던 초반과는 달리 주침실에 부부전용욕실이 부속되는 평면형식이 일반화되면서 욕실 두 개가 평면에 적용되는 사례가 증가하는 것을 볼 수 있다. 셋째, 각 실면적의 변화에서는 중형과 소형평면에서 공통적으로 거실의 면적이 늘어나고 주방 및 식당의 면적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으며, 이는 식문화 및 여성의 사회진출과 연관이 있는 것으로 해석된다. 넷째, 전면bay수 또한 중형과 소형평면에서 공통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는데, 이는 남향선호에 대한 소비자의 요구가 적극 반영된 결과라 할 수 있다. 다섯째, 발코니수도 전반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는데, 이는 분양가 자율화 이후, 소비자의 선호에 맞춰 평면계획을 하는 등 주택시장이 소비자 중심으로 재편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2) 중·소형아파트 평면의 공간별 평면구성의 특성으로 진입방식, 주침실 구성유형, 전면발코니 유형, 공동공간과 사적공간의 배치유형, LDK 구성유형, 출입공간 구성유형을 중심으로 각 공간별로 나타나는 유형과 그 변화경향을 살펴보았다. 첫째, 진입방식에 있어서는 복도형의 진입방식이 점차 쇠퇴하고, 계단실형의 진입방식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으며, 이러한 경향은 소형평면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둘째, 주침실공간 구성유형은 중형평면에서 변화가 많았는데, 이는 주침실에 부속되는 실들이 늘어나면서 생긴 변화이다. 셋째, 공동공간과 사적공간의 배치형태의 변화경향을 살펴본 결과, 시대별로 별다른 차이 없이 공동공간(거실·식당·부엌)이 하나의 공간으로 단위주거 내에서 중심공간으로 형성되고, 이를 중심으로 주변에 사적공간(침실)이 분산되어 배치되는 분산배치 형태가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하였다. 넷째, LDK 구성유형의 변화경향을 살펴본 결과, 중형평면에서는 시대별로 큰 변화 없이 거실과 식당/부엌이 꺾여 배치되었으나 두 공간이 개방되어 배치된 형태의 빈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소형평면에서는 1990년대 초반에는 거실과 식당/부엌이 일렬로 배치된 형태가 높은 비율을 차지하다가 점차 중형평면과 마찬가지로 거실과 식당/부엌이 꺾여 배치되었으나 두 공간이 개방되어 배치된 형태인 <유형6>이 비슷한 비율을 보이며 나타난다. 이는 평면의 하향화 현상으로 인한 소형평면에서의 침실수 증가, 공동공간과 사적공간의 배치형태의 변화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해석된다. 다섯째, 전면발코니 구성유형도 변화하여 입면의 다양화를 위한 발코니 형태의 변화경향을 보이고 있어 전반적으로 중·소형아파트 평면에서 개별실의 개실화가 더욱 심화되고 있는 경향에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마지막으로, 출입공간 구성유형의 변화를 분석한 결과, 중형과 소형평면에서 공통적으로 외부에서 현관문을 통해 현관으로 진입 후 내부로 바로 이어지는 형태의 비율이 가장 높았으며, 유형이 다양하게 나타나지 않은 것이 특징이다. 이는 면적의 협소함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해석된다. 3) 아파트 공간별 평면구성의 특성분석을 바탕으로 시대별로 나타나는 단위평면의 유형을 정리해 보았다. 전용면적을 기준으로 중형평면과 소형평면 두 그룹으로 나누어 평면을 분류하였으며, 이를 진입방식, 출입구 방향, 침실수, 욕실수, 전면bay수, LDK 구성방식으로 재분류하여 유형화하였다. 유형화 결과, 중형평면은 45개의 유형, 소형평면은 46개의 유형으로 분류할 수 있었으며, 이 중 출현빈도와 지속기간을 바탕으로 최종적으로 중형평면 14개의 주요유형, 소형평면은 11개의 주요유형을 제시하였다. 출입구 방향에 따라 분류된 주요유형들끼리는 기본적인 유형을 바탕으로 개실의 수나 위치에 따라 약간의 변형이 있었을 뿐, 그 평면형태에 큰 차이가 없음을 알 수 있었다. 중·소형아파트 단위주호 평면의 특징 및 그 변화경향을 살펴본 결과, 현대가족간의 프라이버시와 공동체의식강화의 공존에 대응하여 각 개실의 강조 및 가족공용공간이 확대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침실수의 고정화 및 개실화 경향의 강조와 더불어 주침실 등 주요공간의 면적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이는 중·소형아파트 평면계획이 주로 4인가족형 규모로 정형화되어 지어지고 있음을 의미하기도 한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평균 가구원수는 지속적인 감소추이를 보이고 있으며, 소가족화가 지속적으로 진행되고 있다. 이에 따라 앞으로 1인가구와 2인가구의 비율이 높아질 것으로 전망되고 있는데, 이처럼 변화하는 사회·인구학적 특성인, 고령자가구를 포함하는 가족규모의 감소경향에 비추어 생각할 때, 이러한 침실수의 증가 및 고정화경향, 사적공간의 개실화 등이 지속적으로 중·소형아파트 평면에 적용되어야 할 것인가는 고려되어져야 할 것이다. 가구 수에 맞춰 개실의 수를 감소시키는 방법도 있겠으나, 이보다는 각 실을 새로운 주거 내 활동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개별 실들의 특성화가 필요할 것이며, 다양한 계층 및 라이프스타일을 수용할 수 있는 다양한 용도로의 개발이 필요하다고 사료되어 진다. 생활주기에 맞추어 변화하는 가족구조를 수용할 수 있도록 아파트 내부구조를 바꿀 수 있는 가변형 설계 또한 변화하는 인구구조 및 가구구조에 상응하여 다양한 공간연출을 가능하게 하는 방법이라 사료된다.

      • 초고층 주상복합 아파트 단위주호의 공간특성에 관한 연구

        소윤경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199679

        본 연구는 최근 급속하게 증가되고 있는 초고층 주상복합 아파트 단위주호의 공간특성 파악을 위해 최근 5- 6년간 계획된 초고층 주상복합 아파트를 대상으로 단위평면 특성과 실내공간의 디자인 특성을 파악하여 미래 초고층 주상복합 아파트 단위주호 계획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시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조사내용에 대한 자료처리 및 분석방법으로는 빈도, 백분율, 평균, 교차분석, 상관관계를 이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초고층 주상복합 아파트 단위주호로의 진입방식 초고층 주상복합 아파트의 주호진입방식은 홀형이 많이 계획되고 있다. 2) 초고층 주상복합 아파트 단위주호의 단위평면 특성 (1) 평면의 형태 조사 결과, 평면윤곽의 형태는 가로형 다각형이 많았고, 평면외곽선의 형태는 직선으로만 이루어진 다각형이 가장 많았다. 평면내부선의 형태는 직선으로만 이루어진 경우가 가장 많았고, 곡선도입 공간은 베란다에서, 사선도입 공간은 부엌과 식당, 베란다에서 많이 계획된 것으로 나타났다. (2) 공간의 종류는 일반 아파트에서 나타나는 공간이 대부분 조사되었다. 드레스룸, 파우더룸, 보조부엌, 가족실, 통로, 홀, 전실, 실외기실 등이 많이 조사되었으며, 세탁실, 다용도실, 홈바, 독립현관, 조경공간 등도 일부 조사되었다. 공간의 갯수는 평균 방 3.65개, 욕실 2.16개, 창고 0.83개, 드레스룸 1.04개, 파우더룸 0.78개로 조사되었고, 전용면적이 커질수록 공간의 갯수는 증가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3) 공간의 면적과 점유율을 산출한 결과, 전용면적에 관계없이 거실의 면적과 점유율이 가장 컸고, 전용면적이 커질수록 각 공간의 면적은 증가하고, 점유율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4) 공간의 배치에 대한 조사결과는 다음과 같다. 남향에 위치한 공간은 거실, 부엌, 식당, 방이 주로 조사되었다. 거실의 위치는 평면의 중앙에 위치하는 경우가 많았고, 욕실1은 부부침실에, 욕실2는 방이 있는 통로쪽에, 욕실3은 방 연결공간에 계획되는 경우가 많았다. 붙박이장은 방에, 창고는 통로에, 장식장은 거실에 가장 많이 계획되었다. 전체공간의 연결관계는 통로(大)+구획형이, 공동공간과 개인공간의 배치관계는 양분형이, LDK 배치관계는 L-D+K형이 가장 많았다. 현관과 거실의 배치관계는 현관- 완충공간- 측면에 거실이 위치하는 경우가 많았고, 현관과 부엌의 배치관계는 현관에서 통로를 지나 부엌으로 진입하는 형태가 많았다. 거실과 부부침실의 배치관계는 거실과 부부침실이 벽과 인접하지 않고 하나의 실을 통해 연계되는 경우가 많았고, 부부침실이 포함하는 공간은 부부침실 외에 방1, 욕실, 드레스룸과 파우더룸, 전실과 같은 부부공간을 모두 포함하는 경우가 많았다. 부부침실로의 진입방식은 부부침실로 직접 진입하는 경우가 가장 많았다. (5) 기타공간의 특성에 대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현관중문은 67.2%가 중문이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고, 그 유형은 부분두짝 여닫이문이 가장 많았다. 신발장은 일자형이 가장 많았다. 욕실1의 유형은 변기+세면대+욕조가, 욕실2와 욕실3의 유형은 변기+세면대+샤워부스의 형태가 가장 많았다. 부엌 작업대의 배치유형은 자형이 가장 많았다. 3) 초고층 주상복합 아파트 단위주호의 실내공간의 디자인 특성 (1) 실내공간의 마감재 조사결과, 거실, 부엌, 식당의 바닥마감은 온돌마루가, 벽 마감은 주로 벽지나 도장의 한가지 재료가 많았고, 천장은 도장이 많았다. 방의 바닥재는 온돌마루가, 벽과 천장은 벽지가 많았다. 욕실의 바닥과 벽은 타일, 대리석이 많이 사용되었고, 천장은 대부분 도장으로 마감하였다. 현관의 바닥은 대리석이 많았고, 벽은 도장, 벽지가, 천장은 도장이 많았다. (2) 실내공간 색채에 대한 조사결과, 거실, 부엌, 식당의 바닥색채는 갈색계통이, 벽과 천장은 흰색이 가장 많았다. 방의 바닥색채는 갈색계통이, 벽은 베이지가, 천장은 아이보리가 많았다. 욕실은 전반적으로 흰색의 밝은 색채가 사용되었다. 현관의 바닥은 베이지가, 벽과 천장은 흰색이 많았다. (3) 실내공간의 조명형태는 공간별로 다양하게 조사되었다. 거실의 조명형태는 매입등, 중앙등, 간접등을 함께 사용한 예가 가장 많았다. 부엌의 조명형태는 매입등, 광천장을 함께 사용한 경우가 가장 많았고, 식당의 조명형태는 펜던트가 가장 많았다. 방의 조명은 중앙등의 형태가 높은 분포를 보였는데, 부부침실, 방1에서는 매입등과 중앙등을 함께 사용한 예가 가장 많았다. 욕실에는 매입등을 사용한 예가 가장 많았고, 현관에는 중앙등의 형태가 가장 많았다. (4) 실내공간의 천장디자인도 공간별로 다양하게 조사되었다. 거실의 천장디자인은 사각형 우물천장, 사각형 간접조명, 한쪽단차와 한쪽 간접조명의 순으로 많은 분포를 보였다. 부엌과 식당은 평평한 형태가 가장 많았다. 방 역시 평평한 형태가 가장 많이 조사되었으나, 부부침실의 경우 기타 방과는 달리 사각형 우물천장, 간접조명, 단차 등의 예가 조사되었다. 욕실의 경우 평평한 형태가 많았고, 현관은 평평한 형태, 사각형 우물천장, 한쪽 간접조명의 순으로 조사되었다. 본 연구결과에 따르면, 초고층 주상복합 아파트는 라멘구조의 타워형으로 계획됨으로서 자유로운 평면의 형태가 가능하였다. 이는 최근의 주상복합 아파트가 상가부분을 저층부에 최소화 시키고 주민편의시설로 계획함에 따라 주거비중을 높게 책정하고, 주거전용면적 비율이 높아져 공동주택으로서 새로운 위상을 차지하고 있기 때문으로 생각해 볼 수 있다. 또한 다양한 공간의 출현은 거주자의 요구가 평면계획에 적극 반영된 것으로 볼 수 있고, 실내공간에서 다양한 디자인 요소가 적극 활용되고 있다. 현재의 초고층 주상복합 아파트의 평면형은 첨단화, 고급화, 대형화의 추세로 고가의 주거지로서 일부 특권층의 수요에 보다 적합하다. 따라서 다양한 규모와 넓은 수요자 계층을 확보할 필요가 있고, 다양한 평면형의 개발로 특성있는 평면형을 제시할 수 있는 주거지로서의 역할을 자리매김할 필요성이 있다. 또한 동시대 아파트와의 비교 분석, 지역과 층수에 관계없는 전국의 주상복합건물의 단위주호 특성 파악, 시대적 단위주호의 변천, 초고층 주상복합 아파트 단위주호 공간에 관한 거주자의 만족도와 선호도를 조사하여 초고층 주상복합 아파트 단위주호 개발에 구체적인 제안을 할 필요성이 있다. 이러한 지속적 연구개발과 과정을 통하여 초고층 주상복합 아파트는 새로운 공동주택의 한 형태로서, 일반 아파트와는 차별화 되는 대안적인 모델로서 자리잡을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unit plan and interior design characteristics of existing high rise mixed-use apartment buildings and to present sufficient data for the planning of housing units in these buildings. Tools of analysis included frequency, percentage, mean, cross-tab, and correlation for statistical analysis. The hallway arrangement was the primary method of entering a housing unit located in a high rise mixed-use apartment building was primarily found to be that of. Various characteristics designing the basic unit plans of a high rise mixed-use apartment were examined in this study (1) The most frequently found characteristic of design unit was based on the horizontal polygon and straight lines of the shape. The linear approach appeared most for the interior spaces, the veranda for spaces located within a curved line, while the oblique line was employed in the kitchen, dining room, and veranda areas. (2) Most spaces found in apartment units were examined These include the dressing room, powder room, offset-kitchen room, family room, passageway, hallway, and front room. Spaces which were partially examined include the wash room, home bar, independent foyer, and interior garden. (3) The size and the amount of allocation of available space were the highest for the living room. A basic relation shows that as the size of the home increases, the size of each space increased but the ratio of each space allocation became smaller (4) Spaces of a Southern exposure were typically the living room, kitchen, dining room, and bedrooms. The living room was mostly central arranged in the apartment layout [Passage(large)+boundary] was most common for the arrangement of the total space, the type of separation for the arrangement of the union space and individual space; L-D+K for the arrangement of LDK,[foyer-passage-living room is positioned on the side] for the foyer and living room, kitchens with passageways arranged between foyer and kitchen, and lastly, the no adjacent wall shared by the master bedroom and the living area, but rather separated by a dividing room. The apartment arrangement consisting of the master bedroom, second bedroom, bathroom, dressing room, powder room, and front room most typically focused on the husband and wife and placed the master bedroom entrance in a direct accessible manner (5) Sixty seven percent of the housing unit have a front vestibule flanked by two sets of doors; a single door for the exterior entrance and a double door entering into the main living space. The type labeled''represents the common arrangement for shoe storage, (toilet+washbasin)bathtub] for bathroom type 1, and 'ㄴ' for the arrangement of the kitchen work-center. Additionally, the characteristics of the interior spaces of high rise mixed-use apartments were stooled (1) Wood flooring, wallpaper covering or painting the walls, and painting of the ceiling were common for the living room, kitchen, and dining room. In the bedrooms, wood flooring was most common, while wallpaper was most common for the walls and ceilings. For the bathrooms, tile and marble were mostly used to cover floor and walls, with a painted ceiling. In the foyer, marble again was common for flooring, with wall paper on the walls accompanied by painted ceilings. (2) Color schemes for the living room, kitchen, and dining room are again separated into floor, wall, and ceiling categories. Here the floors were typically brown and the wall and ceiling color were white. In the bedrooms, brown was chosen for the flooring, with beige walls and ivory ceilings. The bathrooms where entirely finished in a white scheme, while the foyer possessed a beige floor color with white for the walls and ceilings. (3) The lighting scheme employed in the interior of the housing unit varied in accordance to each spaces needs. The living room used recessed fitting, general lighting, and indirect lighting used simultaneously. The kitchen used recessed fitting in conjunction with luminous ceiling lights Pendant lighting was most common for the dining room. Mostly, the bedrooms had general lighting, however, recessed fitting with general lighting was also primarily used for the master bedroom and the second bedroom. The bathrooms mostly used recessed fitting lights and the foyer used a general type of lighting. (4) Ceiling designs also varied between the different spaces. In the living room and master bedroom, the ceiling was highlighted by a recessed rectangular box, whereas a flat ceiling was found in the kitchen, dining, secondary bedrooms, bathroom, and foyer area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the mixed-use high-rise apartment is constructed in the tower arrangement following the Rahmen method of construction and that some flexibility exist to create a more adjustable plan for the apartment units. It is assumed that high rise mixed-use apartments have a limited range of commercial ventures and planned convenient residential facilities in the lower floors, have a high resident to commercial ratio, and have played a role new community dwelling. The appearance of the various studied spaces assumes that the residential requirement is addressed in the planning and designing of elements utilized in the interior spaces. The current trend for the construction of these apartments is considered high-tech, of luxurious materials, and of a size accessible to wealthy social status. It is necessary, therefore, to develop these apartments in varying sizes and plans such that they be more accommodating to a broader range of people. Of considerable importance would be a detailed study of high rise mixed-use apartments and residential (only) apartments constructed at the same time to determine a detailed history of construction type, resident satisfaction, and preference which could then be used in constructing a more dynamically modeled apartment. The importance of this and other studies on high rise mixed-use apartments will only increase in importance as this type of living space will be one of the most common in the near fu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