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The Synergistic Effect of Combining Idea Generation and Evaluation on Creative Idea Generation

        김가현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7807

        This research explores the effects of combining idea generation and evaluation upon creative idea generation. Previous literature has primarily emphasized either idea generation or evaluative thinking. We hypothesized that combining these two activities would result in a synergistic effect upon creative idea generation. To test this hypothesis, two experiments were conducted with college students. In Experiment 1, the condition of combining idea generation and evaluation were compared with that of idea generation only. The results supported the hypothesis. In Experiment 2, alongside replicating the results of Experiment 1, we examined whether there is a difference in effect on idea generation between the evaluating one's own ideas and evaluating others' ideas. Although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the two evaluation conditions, the replication was successful. The creative idea generation performance of the two evaluation conditions outperformed that of the idea generation only condition. These findings suggest that combining the training of idea generation and evaluation is more effective than training idea generation only in enhancing creative idea generation. 본 연구는 아이디어 생성과 평가를 결합하는 활동이 창의적 아이디어 산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았다. 대부분의 이전 연구는 아이디어 생성 또는 평가적 사고 중 하나에 초점을 맞추었다. 본 연구는 이 두 가지 활동을 결합하여 창의적 아이디어 산출에 시너지 효과를 발생할 것이라는 가설을 검증하였다. 대학생을 대상으로 두 개의 실험을 수행하였다. 첫 번째 실험에서는 아이디어 생성과 평가를 결합하는 조건과 아이디어 생성만 수행하는 조건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 두 활동을 결합한 집단이 아이디어 생성만을 반복한 집단보다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산출하였다. 두 번째 실험에서는 첫 번째 실험의 결과를 재현하고, 자신의 아이디어를 평가하는 상황과 다른 사람의 아이디어를 평가하는 상황이 창의적 아이디어 산출에 어떠한 차이를 불러오는지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실험 결과, 두 평가 조건 간에는 차이가 없었다. 하지만 실험 1에서와 마찬가지로, 이 두 평가 조건에서 아이디어 생성만을 한 조건에서 보다 창의적 아이디어가 더 많이 산출되었다. 이상의 결과는 아이디어 생성과 평가의 결합이 아이디어 생성만 반복하는 것보다 창의적 아이디어 생성을 더 향상시킨다는 것을 시사한다.

      • 시각적 사고를 통한 아이디어 발상교육에 관한 연구 : 타이포 일러스트레이션을 중심으로

        최정화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807

        디자인은 단순히 새로운 것을 생각해내고 마음대로 표현하는 행위가 아니다. 디자인의 의미는 "이미 존재하는 기호를 해석해서 새로운 기호를 창조하는 활동"이다. 풀어보면 우리의 문화, 전통, 관습을 이해하고 이를 바탕으로 능동적인 창조활동을 하는 과정인 것이다. 수학문제를 푸는 것은 이론일 수 있지만 그 과정 또한 하나의 디자인으로 해석될 수 있다는 것이다. 즉, 디자인은 조형성을 만들어내는 것 그 자체가 아닌 창조활동의 과정으로, 자체 접근의 문제해결과정과 결론이라 볼 수 있다. 이러한 디자인은 통합성과 창조성 육성을 기본으로 살아있는 경험 속에서 디자인이 발견, 분석, 해결되어져야 할 것이며 이를 다시 생활 속에서 확산시켜나가는데 디자인 교육의 의의가 있다고 볼 수 있다. 앞으로의 디자인 교육은 과거의 실기교육 차원에서의 디자인 교육이 아니라 창의적인 생각을 전개시킬 수 있는 능력과 생각을 그림으로 표현할 수 있는 체계적인 창조적 문제 해결 능력을 키울 수 있도록 교육되어야 한다. 이는 다양한 표현방법과 다양한 아이디어가 필요한 디자인 교육에 있어 좋은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생각된다. 여기서 창의적인 생각을 전개시키기 위해서는 창의적인 발상이 밑바탕이 되어야만 가능하다. 창의적인 발상은 아무 것도 없이 저절로 생겨나는 일은 없으며, 아이디어는 정신에서 나온다. 그리고 지식, 경험, 날카로운 관찰로 가득 찬 정신은 더욱 창의적인 생각을 낳기 쉽다. 이때 새로운 경험 및 관찰은 여러 감각기관을 통해 이루어지는데 그 중에서 시각이 다른 감각정보의 자극이나 통합의 원천으로서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한다. 따라서 시각, 곧 '보는 것'은 창의적인 발상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우리는 시각이라는 것을 전적으로 눈의 감각적인 작용으로 생각하기 쉽지만, 눈은 그 자체로 완전하지 못하다. 시각, 즉 보고 이해한다는 것은 '본다'라는 눈의 물리적인 작용과 '이해한다'라는 마음의 작용이 협동한 결과이며, 때문에 시각적 사고의 가능성이 있는 것이다. 그동안 디자이너들은 조형의 문제를 형태 자체의 문제 또는 디자인과 그것에 대한 사람들의 눈의 반응 문제로만 보아왔다. 이는 디자인과 사람의 눈이 만나는 그 찰나에만 집중하는 것이기 때문에, 결국 대부분의 조형적 노력은 순간적인 시각적 효과로 귀결될 수밖에 없다. 이렇게 되면 우리는 눈을 자극하는 화려한 형태에만 치중하는 오류를 범하기 쉬우며, 디자이너의 조형적 역량은 편협하고 정형화되기 쉽다. 하지만 시각이라는 것이 순간이 아니고 과정이므로, 조형에 대한 접근은 그러한 과정을 고려한 입체적 대응이 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시각적 사고를 고찰함으로써 아이디어 발상교육의 효율적인 학습방안을 모색하는데 의의가 있다. 본 연구의 방법은 시각과 지각, 그리고 사고의 관계를 고찰하여 시각적 사고의 이론적 배경을 마련하고 이를 적용한 타이포 일러스트레이션의 아이디어 발상교육 프로그램을 제시함으로써, 학습자가 아이디어 발상을 시각화하는 문제 해결 과정을 단계적으로 접근하여 보다 신속하고 다양한 발상이 이루어질 수 있는 프로그램을 제안하였다. 이를 위해서 첫째, 타이포 일러스트레이션의 개념 및 특성, 시각적 사고에 관한 관련 서적과 학술자료를 통해 이론적 배경을 고찰하였다. 둘째, 설문조사를 통하여 아이디어 발상교육 프로그램의 교육적 적용 가능성의 기반을 마련하였다. 셋째, 이론 및 현황분석 결과를 토대로 아이디어 발상교육을 위한 시각적 사고의 전략을 연구하였고, 이를 토대로 구체적인 시각적 사고를 통한 아이디어 발상교육 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로 제시한 시각적 사고를 통한 아이디어 발상교육 프로그램의 진행과정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시각적 사고 준비 단계에서는 감각으로 수용한 타이포 일러스트레이션의 작품을 감상·토론함으로써 다양한 시각적 관점을 교류한다. 둘째, 자율적 심상 단계에서는 주제에 친근감을 가지고 판단을 유보하여 많은 아이디어를 그려봄으로써 문제해결 기회의 폭을 넓히도록 한다. 셋째, 시각적 회상 단계에서는 아이디어의 변환, 해석, 추론을 통하여 자율적 심상 단계의 아이디어보다 더욱 명료화한다. 넷째, 과제 해결 단계에서는 아이디어를 최종으로 발전시켜 타이포 일러스트레이션을 완성한다. 아이디어는 정착된 아이디어나 이미지로 완성되어가는 미완성의 그림이다. 때문에 단계별로 중요한 사항을 충분히 고려하면서 각 단계를 신속히 진행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를 바탕으로 제시된 시각적 사고를 통한 아이디어 발상교육 프로그램은 순간적·일시적으로 이루어지는 발상을 구체화하는 과정을 통해 학습자가 단계별로 중요한 사항을 충분히 고려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단계의 주의집중을 유도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아이디어 발상교육을 더욱 효과적으로 실시하고 현재의 한계점을 보완하기 위한 방안으로 시각적 사고 이론을 제시하는데 의의가 있다. Be not acts a design has thought simply about new thing, and expressing freely. Meaning of a design is activity interpret a symbol to already exist, and creating a new symbol. Be to be processes it understands our culture, a tradition, a custom, and doing creation activity to be active with early bases. It can be theory to solve a mathematical problem but Can be interpreted to designs too one the process. In processes of the creation activity that is not itself be a problem solving process of own approach and conclusions, and a design can see to have made molding anger. These designs shall consist of integration and creativity enlightenment at experiences with bases, It is a meaning of design education to achieve again this in lives. Future design education is not design education of historic actual technique educational level. Be not acts a design has thought simply about new thing, and expressing freely. Meaning of a design is activity interpret a symbol to already exist, and creating a new symbol. Be to be processes it understands our culture, a tradition, a custom, and doing creation activity to be active with early bases. It can be theory to solve a mathematical problem but Can be interpreted to designs too one the process. In processes of the creation activity that is not itself be a problem solving process of own approach and conclusions, and a design can see to have made molding anger. These designs shall consist of integration and creativity enlightenment at experiences with bases. It is a meaning of design education to achieve again this in lives. Future design education is not design education of historic actual technique educational level. Creative thinking, and were able to picture a thought to pictures, and have to teach systematic problem solving ability. Various expression ways and ideas are good for necessary design education this will affect. A base shall work the originality idea that there is in order to think that there is. An idea does not rise of itself, and an idea is said in spirits. At this time new experience and observation play most a vital role as a stimulus of visual other sense information or the sources of integration among him to be performed through a lot of sensory organ tubes. Therefore, a sight plays a vital role to a creative idea. We are easy to think wholly about thing called time by sensible operations of an eye, but an eye cannot be perfect to itself. It is the results that physical operation and mind of an eye cooperated with to understand. As is so, be for there to be possibility of a visual thinking. In the meantime, designer thought about a plastic problem in a problem own a form or a problem of a design and a response regarding it. A design and an eye meet this be as concentrate in a moment. Effort for molding cannot but be finally over by a visual effect. We are easy to commit an error to be devoted to a splendid form to stimulate an eye if we become like this, and ability of a design is easy to be narrow-minded. But time is not a moment, and be processes. As is so, approach regarding molding shall take a process into consideration. There is a meaning look into a visual thinking, and to therefore grope for education for idea. A study way thinks about be visual perception and relation of an accident. Provide in theory background of a thought to be visual with early bases, and present educational program of the early typo illustration which applied. An idea is the unfinished picture which will be finished to a perfect idea or image. It is a need take enough an important matter into consideration, and to progress quickly according to steps as is so. There is a meaning this study executes more effectively idea education, and to present accident theory to be visual in ways to supplement the current critical point.

      • 소셜미디어가 아이디어 생성에 미치는영향에 관한 탐색적 연구

        조현웅 충북대학교 2014 국내박사

        RANK : 247807

        The increase of global social media users including Korean users is leading the changes in all fields of society. Individuals use social media for the making relation with others, acquisition and provision of information, and satisfying personal fun motivation. On the other hand, companies use social media as a tool for marketing and public relation. However, when social media is seen as a tool of new knowledge creation such as the definition of it, which is ‘an open online tool which creates new value by sharing individual opinion, experience, thought and information by way of bidirectional communication medium led by general people’, social media can be also utilized as a tool for knowledge creation. The most representative existing study on knowledge creation tool is the study of Nonaka and Konno. In this study, Nonaka suggested the ‘Ba’ as a tool to support SECI model. Among the ‘Ba’s, the ‘Originating Ba’ has the most similar property with the characteristic of social media. ‘Originating Ba’ means a place, which supports meeting with unspecific crowds, voluntary communication and horizontal communication. The provision of this ‘Originating Ba’ supports the socialization step, which is the first step of SECI model, and promotes the idea generation. Accordingly, this study set up some hypotheses and tested the utilization possibility of social media as an idea generation place. The core of ‘Ba’ is supporting the communication and collaboration of people. Therefore, the communication and collaboration type among the people in a social media was defined in this study. The people in social media is crowds and their characteristics were differentiated from the characteristics of general organization members. Asynchronous communication and mass collaboration occur in social media; while synchronous communication and relational collaboration occur among the members. The idea generation levels were compared and analyzed by making a test environment, which reflects the characteristics of communication and collaboration. The result of analysis on the test is as following. First, the idea generation level of asynchronous communication on social media, which enables multilateral(N:M) communication without specific addressees, was higher than the idea generation level of synchronous communication, which enables 1:1 communication or 1:N communication with specific addressees. Therefore, in order to promote idea generation in organization, it is necessary to provide with a tool, by which a person can leave its thought and opinion to other people of an organization or outside people instead of a tool for a communication with specific addressees. Second, the fact that the idea can be evaluated by others in a relational collaboration among the people with existing interests has negative impact. If the organization has a common objective, the idea generation can decrease because of the thought that the idea can belong to the idea of the organization. On the other hand, the mass collaboration with unspecific crowds who do not have experience of sharing certain objective and specific existing interests can enhance the idea generation level by voluntary participation and free opinion submission.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support a tool, which enables collaboration with people in and out of the organization, in an organization, which wants to promote idea generation, so that people can collaborate with unspecific parties. In addition, if the access of external people would be difficult, a plan is necessary which would disable the members with existing interests confirm the existing relation with members participating in the collaboration so that the existing interests would not have influence on the idea generation. As last, the asynchronous communication and mass collaboration in social media had higher idea generation level than the combination of communication and collaboration, which have different type from each other. By this, it has been confirmed that social media can be utilized as a place of promoting idea generation by supporting the socialization process, which is the first step of knowledge creation. 우리나라를 비롯해 세계적으로 소셜미디어의 이용자가 증가하고 있으며, 소셜미디어는 사회 전 분야에서 다양한 변화를 주도하고 있다. 소셜미디어는 개인의 경우 타인과의 관계 형성, 정보 획득 및 제공, 개인의 유희적 동기 충족 도구로, 기업의 경우 마케팅, 홍보 등의 도구로 인식되고 활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하지만, “일반인이 주도하는 양방향 소통 매체로 자신의 의견과 경험, 생각, 지식 등을 서로 공유하여 새로운 가치를 만드는 개방화된 온라인 툴”이라는 소셜미디어의 정의와 같이 소셜미디어를 새로운 가치 창출의 도구로 바라본다면, 지식을 창출할 수 있는 도구로도 활용할 수 있다. 지식 창출 도구에 대한 연구 중 가장 대표적인 연구는 Nonaka와 Konno의 연구로, Nonaka의 지식 창출 모델인 SECI 모델을 지원하기 위한 도구로 ‘Ba’를 제시하고 있다. Nonaka와 Konno가 제시한 Ba 중 소셜미디어의 특성과 가장 유사한 성격을 보이는 것은 생성바(Originating Ba)로 볼 수 있다. 생성바(Originating Ba)는 불특정한 다양한 사람과의 만남을 지원하고, 자발적이고 자유로운 커뮤니케이션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지원하는 장(場)을 의미한다. 이러한 생성바(Originating Ba)의 제공을 통해 지식 창출의 첫 단계인 사회화(Socialization) 과정을 지원하여 아이디어 생성을 촉진시키는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소셜미디어가 아이디어 생성을 촉진하는 장(場)으로 활용할 수 있는지를 확인하는 것이다. Ba의 핵심은 구성원의 커뮤니케이션과 협업(Collaboration)을 지원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소셜미디어에서의 구성원 간 커뮤니케이션과 협업 방식을 확인하였다. 소셜미디어의 구성원은 군중(Crowds)으로, 이를 일반적인 조직의 구성원인 조직원(Members)과 구분하였다. 구성원의 특성을 기반으로, 소셜미디어 상에서는 비동기식 커뮤니케이션(Asynchronous communication)과 대중 협업(Mass collaboration)이 이루어지며, 조직원(Members) 간에는 동기식 커뮤니케이션(Synchronous communication)과 관계 협업(Relational collaboration)이 이루어진다. 이러한 커뮤니케이션과 협업 특성을 반영한 실험 환경을 구성하여 아이디어 생성 수준을 비교하여 분석하였다. 실험 분석 결과 첫째, 소셜미디어 상에서 이루어지는 특정 수신 대상이 없는 다자간(N:M) 커뮤니케이션인 비동기식 커뮤니케이션(Asynchronous communication) 방식이 특정 수신 대상과의 1:1, 1:N 커뮤니케이션 방식의 동기식 커뮤니케이션(Synchronous communication)에 비해 아이디어 생성 수준이 더 높게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조직에서 조직 구성원 개인의 아이디어 생성을 촉진하기 위해서는, 특정한 수신자와의 커뮤니케이션이 아닌 조직의 모든 구성원 및 외부 사람에게 자신의 생각과 의견을 남길 수 있는 도구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 둘째, 기존에 이미 이해관계가 형성되어 있는 사람들과의 관계 협업(Relational collaboration)에서는 자신의 아이디어가 다른 사람에게 평가받을 수 있다는 사실이 부정적으로 작용할 수 있으며, 공동의 목표를 공유하고 있는 조직일 경우 자신의 아이디어가 조직의 아이디어로 귀속될 수 있다는 생각이 있기 때문에 아이디어 생성이 저하될 수 있다. 반면 특정한 이해관계가 형성되어 있지 않고 특정한 목표를 공유한 경험이 없는 불특정한 군중(Crowds)과의 대중 협업(Mass collaboration)은 자발적 참여 및 자유로운 의견 개진을 가능하게 함으로 아이디어 생성 수준을 높일 수 있다. 따라서, 아이디어 생성을 촉진하고자 하는 조직에서는 협업을 수행하는 구성원에 대해 불특정한 대상과의 협업이 가능할 수 있도록 조직 내부 및 외부 사람들과 협업을 할 수 있는 도구를 지원할 필요가 있다. 또한, 조직 외부 사람들의 접근이 어려울 경우에는 이미 이해관계가 있는 구성원이라 하더라도, 협업에 참여하는 구성원과의 기존 관계를 확인할 수 없도록 함으로, 이전의 이해관계가 아이디어 생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소셜미디어에서의 비동기식 커뮤니케이션(Asynchronous communication)·대중 협업(Mass collaboration) 방식에서 다른 유형의 커뮤니케이션·협업을 조합한 방식 보다 아이디어 생성 수준이 가장 높게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소셜미디어가 지식 창출 단계의 첫 단계인 사회화(Socialization) 과정을 지원함으로 아이디어 생성을 촉진시킬 수 있는 장(場)으로 활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 창의성 개발 및 성취동기 향상을 위한 디자인 아이디어 발상 교육 연구 : - 실업계 고등학교 디자인과 수업을 중심으로 -

        장선애 경희대학교 2007 국내석사

        RANK : 247807

        현대 사회는 지식 정보의 사회로서, 단순 보편적인 지식이 아닌 창의력과 잠재력을 지닌 인재를 필요로 하고 있다. 사람이 경쟁력인 현 시대에 맞는 인재 양성을 고려할 때, 과거 학생의 개인차, 성격, 성적 등을 무시한 획일적인 주입식 교육의 답습은 더 이상 의미가 없다. 교육은 그 시대에 맞춘 인재 양성을 위해 자발성과 독창성을 길러 주고 이를 표현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이러한 교육의 시대적 상황을 비추어 볼 때, 디자인 교육에서도 중요한 과정 중 하나이다. 과거에는 창의성은 특별한 재능을 가진 몇몇 예술가나 과학자들에게 국한되는 선천적인 능력으로 여겨져 창의성 향상을 위한 노력이나 교육 활동이 활발하지 못하였으나, 현재는 교육 · 훈련을 통해 계발 및 증진이 가능하다는 이론을 받아들이게 됨에 따라 이를 향상시키기 위한 교육 방법 내지는 프로그램들이 왕성하게 개발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성취동기 이론과 창의력에 관한 이론적 고찰을 통해 학생들의 성취 수준에 따라 나타나는 특정한 성격 유형을 파악하고, 이를 통해 학생들의 성취동기를 향상시키고 창의성 높은 아이디어 발상 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학습 진행 단계를 제시했다. 그 단계는 다음과 같다. 준비단계는, 학습 목표를 제시하고 흥미를 유발하여 학생들에게 성취할 수 있다는 기대감을 고취시키며, 시각적 예시로 조형에 대한 관찰력을 향상시키고자 창의적인 발상의 예를 보여 주며, 발상 의욕을 자극하고 동기를 유발시킨다. 1단계는 두뇌의 준비운동 단계이다. 주어진 주제 중 하나의 주제를 선택하여 자유로운 연상을 하며 카테고리나 이미지를 나열하여 아이디어를 찾아 나가는 방법으로 글과 그림으로 표현하는 과정의 반복적 훈련을 통해 확산적 사고를 기른다. 2단계는 창조적 이미지를 형성하는 단계로 주어진 원, 사각형, 삼각형을 주요소로 사용하여 아이디어를 표현하는 과정이다. 과거 선행 경험의 해체 및 재구성을 통해 시각적 표현 능력과 창의적 발상 능력을 계발한다. 3단계는 이미지에 형을 부여하는 단계로 제시된 형을 다양한 시선으로 바라보며 개성과 다양함을 표현할 수 있도록 학생들의 창의력 향상을 돕는 과정이다. 사물의 특징과 개성을 찾아 차별화된 아이디어를 제안할 수 있도록 하는 훈련이다. 4단계는 지금까지의 다양한 발상 훈련을 바탕으로 종합적이고 심화된 문제를 수행하는 단계로 제시되는 음악을 듣고 자신의 느낌을 시각적으로 풀어 표현하게 함으로써 감정의 표현력을 향상시킨다. 모든 단계들에 대한 평가는 성취동기 향상을 위해 성적에서 자유로워질 수 있도록 최대한 배려하여 학생들이 사고를 경직됨 없이 자유롭게 표현할 수 있도록 한다. 위와 같은 학습 진행 단계로 디자인 아이디어 발상 교육 프로그램을 수업에 적용한 결과, 학생들은 단계별 아이디어 발상 과정을 거치면서 다양한 사고를 하며 자기 능력을 발휘해 볼 기회를 가졌으며, 성취감을 경험하게 되었다. 또한 자신이 스스로 문제를 발견하고 해결하면서 성취동기가 향상되었다. 이렇듯 본 연구에서는 창의성과 성취동기를 향상시키고자 하였으며, 기존의 획일적인 발상 교육을 보완한 새로운 아이디어 발상법의 교육 방법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The modern society requires the people who have creativity and potential, instead of simple and universal knowledge. Considering the competitive human characters appropriate to the current times, it is not meaningful any more to follow previous type of uniform and cramming education ignoring the individual difference, personality and records etc. Education needs to contribute to increase and express the spontaneity and uniqueness required by this time. From this aspects, this concept should be integrated into design education. In the past, the creativity was considered inborn nature limited to a few talented artists and scientists and the effort for such education activities was not also active. However, as accepting the theory that it may be developed through education and training, a lot of methodologies and programs are actively being developed. In this regard, this study attempts to understand specific personality types appeared by students' achievement level through Achievement Motive theory and others on creativity, through which it presents the learning phases that increase motivation and develop the idea creation education programs. Such phase are as follows. In the preparation phase, it inspires the students to expect for achievement by presenting the learning objectives and arousing interest, stimulating and motivating the drive for creative ideas by showing them visual examples to ensure their observation to formative art. The first phase is brain warming-up in which the students select one from given themes and arrange the category and image under Free Association to explore ideas. This may grow divergent thinking through repeated training of writing and drawing. The second phase helps the students form creative images and express ideas by mainly using the circle, square and triangle. De-section and recomposition of the past experiences will help develop visual expression and creative idea ability. The 3 phase gives the shape to image, enabling the students to observe suggested shapes with various eyes and to express their own uniqueness and diversity. This is the training that helps them to find out characteristics and uniqueness of certain objects and to present differentiated idea. In the 4 phase, the students perform more comprehensive and further problems, based on various training so far, and they may increase expression of emotion by listening to music and then visually describing their feeling. As for the evaluation for all these phases, the teachers should allow the students to express without rigid thinking free from the worries about school records, in order help them to have increased motivation. In the result of applying the design idea education programs to class as described as above, the students experienced the feeling of achievement and had the chance to exhibit their ability through various thinking and idea generation process by phase. In addition, they had increased motivation in discovering and solving the problems on their ow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crease the creativity and motivation for achievement and to present new education method for idea generation that complements the existing uniform type of education.

      • '디지털성폭력' 대응 정책과정에 관한 연구 : 아이디어 접근을 중심으로

        부성필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807

        From May to December 2018, Protest at Hyehwa Station shows extensive demands by women to deal with digital sexual violence problem. Nevertheless the government has already announced three comprehensive measures starting with the 2017 Comprehensive Measures for Digital Sexual Violence, it is evaluated that the government don’t cope with that problem. It is different with the traditional agenda-forming theory which explain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ocial movement and the government response. This study aims to explain the perception gap between the government and NPO against anti-sexual violence and factors that caused this gap. We analyze how target populations perceive the current situation and how the ministry interprets this phenomena. Furthermore, this study intends to provide a description of factors that caused different interpretations. Ideas narrow down actors' problem definition and alternative preferences. In addition, it overcomes the limitations of the existing institutionalism in that it explains the changes in institutions or policies through the action of change of ideas. However, in this study, through the critical consideration of the existing research, we found five gaps: the ambiguity of the idea concept, the overlook of the social idea, the dynamic and temporality of the idea concept, and the overlook of the role of ideas in the policy enforcement process. By defining it as a variable and symbolic interpretation system in which actors try to understand and change phenomena, we intend to analyze how the ideas of policy participants have changed in time. This study aims to answer the question “How do target population understand the government’s response against “digital sexual violence” problem through an ideal approach? Therefore, it analyzes the process of forming ideas around social events, policy innovators, and framing that influence ideas, and as a result, attempts to explain how government departments understand ideas. The analysis was conducted through process tracing, focusing on literature data from 1994 to 2019 and interviews with managers of anti-sexual violence NPOs. There are four result in this study. First, when the problem was issued at first, due to the immaturity of the idea, the NPOs and the government couldn’t include all parts of the problems as issues at that time. Second, target population include institutional legacy that have been formed from 2004 to 2015, which regards 'digital sexual violence' problem as victims’ responsibility and neglects damages because there is no exercise of tangible forces. It also caused self-weakening policy feedback. Third, although the condensed anger exploded through the activities of the policy innovator and the framing strategy, the ministry selectively accepted due to conflict with existing work and rejection of ideas by street-level bureaucrats. Finally, despite the change of government and the increase in social pressure, the government's responsiveness was selective, and it was found that the representative bureaucracy and the degree of governance openness were affected. Thus, we contend that the study which explores how policy participants interpret the phenomenon is also necessary within public administration. 2018년 5월부터 12월까지 혜화역 시위가 지속되는 동안 여성들은 정부에게 ‘디지털성폭력’ 대응 정책에 대한 광범위한 개입을 요구해왔다. 정부는 2017년 디지털 성폭력 종합대책을 시작으로 총 세 차례에 걸친 종합대책을 발표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해당 문제에 대해 적극적으로 대응하지 않는다는 인식이 확산되고 있다. 이는 정책엘리트들의 선호에 부합하지 않는 의제는 의도적으로 무시된다는 전통적인 의제형성론과 결을 달리한다는 점에서 이론적 쟁점이 제기된다. 본 연구는 ‘디지털성폭력’ 대응 정책과정에서 정부의 대응에도 불구하고 정책대상들이 이를 대응으로 여기지 않는 인식의 간극, 그리고 이를 야기한 요인을 설명하고자 한다. 정책대상들은 당시의 현상, 그리고 이에 대한 부처의 대응을 무엇으로 해석하고 있는지를 분석해보고자 한다. 더 나아가 본 연구에서는 상이한 해석을 야기한 요인에 대한 설명을 제공하고자 한다. 아이디어는 행위자의 문제 정의 및 대안 선호를 제약하는 요인으로 기능한다. 또한 아이디어의 변화라는 행위성을 통해 제도 혹은 정책의 변동을 설명한다는 점에서 기존 제도주의의 한계를 극복한다. 하지만 본 연구에서는 기존 연구에 대한 비판적 고찰을 통해 아이디어 개념의 모호성, 사회아이디어의 간과, 아이디어 개념의 역동성과 시간성 간과, 정책집행과정에서의 아이디어 역할에 대한 간과라는 다섯 가지 틈을 발견했고, 이를 “행위자들이 현상을 이해하고 변화시키려는 가변적·상징적 해석체계”로 정의함으로써 시간성 속에서 정책참여자들의 아이디어가 어떠한 경로를 통해 변천해왔는지를 분석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정책대상들은 정부부처 별 ‘디지틸성폭력’ 문제에 대한 대응을 어떻게 이해하고 있는가?”라는 질문을 아이디어적(ideational) 접근을 통해 답하고자 한다. 따라서 시기별로 정책변동을 야기한 요인들을 아이디어적 함의를 중심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아이디어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적 사건, 정책혁신가, 프레이밍을 중심으로 아이디어 형성 과정을 분석하고, 그 결과 정부부처는 어떠한 형태로 아이디어를 이해하고 있는지 설명하고자 한다. 이에 ‘디지털성폭력’에 대한 최초의 제도적 개입이 발생한 1994년부터 2019년까지의 문헌 자료와 반성폭력운동단체의 관리자들과의 인터뷰를 중심으로 과정추적(Process Tracing)을 통한 분석을 진행했다. 본 연구의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첫째, 문제가 처음으로 사회화되던 시기에는 아이디어의 미성숙으로 인해 운동단체도, 정부도 문제의 일부만을 이슈로 제기하고 이를 제도화했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2015년에 이르기까지 형성되어 온 제도적 유제, 즉 ‘디지털성폭력’ 문제의 책임을 피해자에게 전가하고, 유형력의 행사가 존재하지 않는다는 이유로 피해를 경시하는 제도적 대응이 정책대상들로 하여금 자기약화적 정책환류를 형성하게 하는 요인으로 작용했음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정책혁신가의 활동과 프레이밍 전략을 통해 응축된 분노가 폭발적으로 분출되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부처의 대응은 기존 업무와의 상충, 일선관료의 아이디어 수용 거부로 인해 선별적으로 수용된 것으로 이해되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정권 교체와 사회적 압력의 증대에도 불구하고 정부 부처의 반응성은 선별적으로 나타났는데, 여기에는 대표관료성과 거버넌스 개방도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이를 통해 본 연구에서는 사회정책 영역에서의 정책 공동생산의 필요성을 제기하고자 한다. 또한 모호한 정책환경 속에서 객관적 타당성을 검증하는 연구 외에도 정책참여자들이 현상을 어떻게 해석하고 있는지를 탐색하는 간주관주의 역시 행정학 내에서 필요한 연구 영역임을 주장하고자 한다.

      • 지식표상이론을 적용한 아이디어 발상 창의력 증진에 관한 연구 : 중등 미술교육과정에서의 디자인 교육을 중심으로

        강서진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807

        현대사회는 다양하고 복잡한 정보화, 국제화 사회이다. 인터넷과 다양한 멀티미디어의 발달로 전 세계의 정보가 개방되고 국가 간의 경쟁이 치열해짐에 따라 변화의 속도는 점차 가증되고 있다. 이처럼 다변화의 속도가 빨라지고 경쟁력이 커지는 현대 사회에서 창의성을 개발시키는 일은 급변하는 미래사회를 위한 진정한 교육이라고 할 수 있다. 창의적 교육의 중요성은 이미 오래전부터 강조되어 왔으나, 현실적인 학교제도에 밀려 제 구실을 다 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창의성은 모든 인간에게 내재되어 있는 능력이며, 어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그에 적합한 아이디어를 산출하여 새로운 가치를 창조하는 능력을 말한다. 이는 오늘날 우리나라의 전반적인 교육과정에 있어서 가장 크게 차지하고 있는 부분이다. 21세기는 세계화와 정보화의 세계가 될 것이며, 범람하는 지식과 정보의 소용돌이 속에서 인간의 무한한 사고 능력의 원천인 창의성은 가장 큰 자원이 될 것이다. 디자인교육은 변화하는 사회에 스스로 적응해나가고 항상 새로운 것에 대처할 수 있는 창조적 인간의 육성에 그 목적이 있다. 학생들은 이제 보고 그리는 단순한 모방에서 벗어나 모든 것에 대한 새로운 눈으로 인식할 수 있어야 한다. 하지만 현재 디자인 교육은 교과서의 한 부분에서 극히 소수로 다루어지고 있고, 단순한 지식 전달 수준에만 그치는 것이 현실이다. 이제 미술교육은 보고 그리는 것에만 익숙한 사실적인 표현 문제가 아닌, 남들과는 다른 생각을 가지고 얼마나 개성 있게 표현하느냐에 대한 디자인 교육이 강조되어야 한다. 더 나아가서는 미술을 잘 그리는 학생들에게만 국한된 수업이 아닌 모든 학생에게 표현의 자유를 느끼게 해주고, 무한한 상상력을 발휘할 수 있게 도와주는 흥미로운 수업이 되어야 한다. 교육에서 특히 예술교육은 학생들에게 자발성과 독탕적인 표현력을 길러주기 때문에 창조성과 개성신장에 크게 이바지하고 있다. 이러한 예술교육에서 미술교과에 포함되어 있는 디자인 교육은 창의적인 인간 육성이라는 측면에서 미적 경험을 부과하는 교육적 목적과 함께 사회적 수준의 향상과 더불어 보다 편하고 안정된 삶을 살려는 인간의 욕구에 따라 그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디자인 교육에 있어 지적 능력이 개발되기 시작하는 미래의 주역들에게 일반화된 규칙을 주입시키는 것 보다는 자유로운 표현능력과 창조성을 자연스럽게 발전시키는 학습방법을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창조성과 자유로운 사고는 ‘만들고 행하는’ 디자인 학습에서 개발되어질 수 있으며 중등학교의 일반교육과정에서 디자인 교육이 새롭게 체계적으로 적용되어야 하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현 디자인 학습에서는 디자인 교육이 흥미 위주로 다루어져 디자인 기초 교육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하고 있다. 이는 디자인 사고 과정에서의 아이디어 표출화 전개가 개념과 모방에 치우치게 하는 요인이 된다. 따라서 그러한 교육은 디자인 과정에서 얻어지는 디자인적 사고, 즉 단계적 창의적 사고와 창의적 문제 해결 능력을 기를 수 없다.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본 연구에서는 미술교과의 디자인 교육에 있어서 창의력 신장의 필요성과 중요성을 깊이 인식하고 지식표상이론을 활용한 창의적인 아이디어 발상 교육연구에 초점을 맞추어 수업지도계획을 세운 후 수업지도안을 제시하고 실제 수업에 적용하여 그 효과와 능동적 활용가치를 연구하는데 주된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서 첫째, 현재 인문계 고등학교 미술교과 디자인교육의 아이디어 발상교육의 현황 및 실태와 교과내용, 발상과정 등을 분석한 후, 현재 인문계 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학생들의 설문조사를 통하여 현재의 창의적인 디자인 아이디어 발상교육에 대한 흥미도와 필요성, 그리고 문제점의 실태조사를 통하여 창의성 교육의 중요성 및 필요성을 밝혔다. 둘째, 지식표상과 창의성에 대한 이론적 고찰로, 지식표상의 이론적 고찰을 통하여 아이디어 발상교육에 있어서 창의성을 발달시킬 수 있는 교육의 적용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셋째, 지식표상을 활용한 창의적인 아이디어 발상 교육 방안인 일상 사물을 소재로 한 ‘이해, 버림, 체험, 이야기․통합’의 4가지 단계를 수업에 적용하여 학생들의 반응을 살펴보고 적용하기 전과 후의 수업결과물을 비교, 분석하는 과정을 통하여 다양한 디자인 과정에 있어서 창의적이고 효과적인 표현 능력을 위한 확산적 사고의 유도와 자신의 생각에 대한 유창성, 시각화 능력을 보다 효과적으로 훈련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함으로써 창의적인 아이디어 발상 교육 프로그램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단계별 결과로써 지식표상을 활용한 창의적인 아이디어 발상 교육 프로그램의 진행과정과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단계 이해 단계는 일상에서 사용하고 경험하는 사물의 다양한 의미들에 대해 생각하는 과정이다. 사물의 보편성에 대해 이야기하고, 그것이 실제 개별 사용자의 기대치와 얼마나 가까이 혹은 멀리 있는지를 알아본다. 사물에 대한 학습자의 지식표상을 표출하는 단계이다. 2단계 버림 단계는 사물이 가지는 보편적이고 일반적인 기대나 인식을 버리고, 자유롭게 사물을 바라보는 과정이다. 그 과정에서 서로 관련이 없어 보이는 것들 사이의 연관성을 발견할 수 있다. 이 단계를 통해 사물에 대한 일반적인 이해와 관념들을 버리고 새로운 사물과 만나야 한다. 3단계 체험단계에서는 사물이 보편적으로 가지고 있는 명칭이나 기능을 배제하고, 물질로서의 사물을 관찰과 체험을 통해 인지하는 훈련을 한다. 사물을 관찰하고 체험하는 과정을 통해서 보다 능동적으로 적극적인 수업 분위기를 유도할 수 있었고, 학습자의 창의적인 아이디어 발상에 대한 확산적인 사고를 향상시킬 수 있었다. 4단계 이야기․통합 단계는 1부터 3단계까지 얻어진 재료들을 언어놀이와 형태놀이 등의 방법으로 병치, 혼합, 재구성하고 새로운 이야기를 만들어 가는 단계이다. 앞의 3단계에서 도출된 세 개의 문장 혹은 세 개의 이미지를 조합하거나 융합하여 새로운 개념을 만들어내는 단계이다. 이러한 단계를 통하여 학습자는 다양한 작품에 대한 비교, 분석을 통해 창의성에 대한 다양한 시각이 향상되었고, 창의적인 아이디어 발상의 중요성을 다시 한 번 확인하는 과정을 갖게 된다. 위와 같은 연구과정을 통해 창의력 개발 프로그램 등 새로운 형태의 수업보다 그림 잘 그리기와 잘 만들기를 중시하는 표현 기능 위주의 수업이 중심이 되고 있는 학교의 미술수업의 한계점을 극복하고 학생들의 개성을 존중하고 상상력을 자극하며 내제된 창의력을 이끌어 낼 수 있는 프로그램을 제시하고자 하였고, 일 상사물을 통한 창의적인 아이디어 발상 프로그램으로 인해 학생들의 흥미를 유발시키고 창의력 신장을 통해 아이디어 발상에 대한 어려움을 극복할 수 있도록 하는데 주된 목적을 두었다.

      • 아이디어산출형 탐구실험 과정에 나타난 창의적 아이디어의 생성과정 이해

        김연숙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807

        이 연구의 목적은 과학자의 사고 과정 중 하나인 아이디어산출형 탐구실험을 효과적으로 학습하기 위한 모듈을 개발하고 적용하여 아이디어산출형 탐구실험의 특징을 알아보는 것이다. 또한 아이디어산출형 탐구실험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학생들의 창의적인 아이디어 생성과정을 이해하는 것이다. 아이디어산출형 탐구실험으로 기체 분수 만들기, 화학 분수 만들기 및 자연의 분수 만들기를 개발하였고, 일반화학 실험을 수강한 대학교 1학년 20명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적용하였다. 탐구실험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학생들의 대화를 녹음하였고, 탐구실험 수행 후 반구조화된 인터뷰를 실시하여 아이디어산출형 탐구실험의 특징과 수행과정에서 나타나는 창의적인 아이디어 생성과정에 대한 이해를 질적 연구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아이디어산출형 탐구실험을 창의적인 문제 해결의 과정으로 보고 각 단계를 구분하였으며, 각 단계에서 창의적인 사고가 어떻게 작용하는지를 알아보았다. 현상제시와 탐색 단계에서는 문제를 인식하고 정보를 탐색함으로써 개인의 경험과 지식이 공유되는 사회화가 진행되었다. 아이디어제시 및 선별 단계와 탐구 설계 과정에서는 논의를 통하여 아이디어 생성 방향이 제시되고, 전단계의 공유된 지식이 명시적 개념 지식으로 생성되어 Idea Pool을 구성하였다. 아이디어 제시, 아이디어 반증 및 아이디어 구체화에 해당하는 논의 진술 요소가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아이디어 검증 및 확정 단계에서는 개념적 지식이 구체적 지식으로 변환되었으며 서로 다른 지식과 경험이 결합하고 재구성되어 새로운 아이디어가 생성되었다. 학생들 상호 간에는 비판적인 논의가 많이 진행되며 수렴적 사고 과정이 활발히 일어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학생들의 활동을 중심으로 학생들의 지식과 경험 및 상상을 토대로 가설적이고 추상적인 아이디어를 생성해 내는 논의 중심 활동 과정과 실제적인 검증과 구체적인 문제 해결을 통해 새로운 지식을 생성해 내는 실행 중심 활동 과정으로 구분하여 제시하였다. 아이디어산출형 탐구실험은 문제 해결의 방법과 결론에 다양한 견해와 해석이 병립할 수 있은 개방된 탐구활동 과정으로 학생들에게 비판적 논의의 기회를 제공하였다. 따라서 학생들이 과학자의 사고 과정을 경험하고, 합리적으로 의사소통하는 데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이다. 아이디어산출형 탐구실험은 창의적인 지식 생성 과정과 논의 과정을 학습하기 위한 효과적인 교수- 학습 자료로 사용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developing and adapting a module for effective learning the idea-creative type inquiry, one of the scientists’ thinking processes, and looking into the features of the idea-creative type inquiry. Added to this, students’ comprehension of the process of the creative idea generation in process of performing the idea-creative type inquiry also was an important research subjec. Making gas fountains, making chemical fountains, and making natural fountains were developed as the idea-creative type inquiry, and this experiment was carried out targeting 20 first grade students registering general chemistry experiment in university. In conducting inquiry experiment, conversation contents of students were recorded. After finishing inquiry experiment, semi-constructed interview was performed, and the comprehension on process of the creative idea production was analyzed in quality way. The result of the study showed that socialization shared each individual experience and knowledge was progressed by recognizing problems and exploring information in the phase of presenting phenomena and exploring of the idea-creative type inquiry. In the process of idea suggestion and selection, and inquiry planning, through ample discussion, the direction of producing ideas was presented and composed of idea pool by transferring previous shared knowledge into explicit concept knowledge. Controversial statement factors corresponded to idea suggestion, refutation, and concretization appeared remarkably. Besides, in the stage of idea verification and clarification, conceptive knowledge turned into concrete knowledge, and quite different knowledge was combined and reconstructed, finally, produced as new ideas. Among the students, critical discussion was considerably progressed and revealed convergent thinking process actively. The performing process of the idea-creative type inquiry divided into the discussion-oriented activity process - which would be able to produce hypothetical and abstract ideas based on students’own knowledge, experience, or imagination - and the practice-oriented activity process which help the students make new knowledge through practical verification and concrete problem solving. The idea-creative type inquiry offered the opportunity of critical argumentation to the students as open inquiry process which had a compatibility of various opinions and interpretation about the method of problem solving and conclusion. The idea-creative type inquiry will affect positively to the students in experiencing on scientists’ thinking processes and reasonable communicating. In conclusion, the idea-creative type inquiry can be used as effective teaching-learning materials for studying the process of the creative knowledge production and of the discussion.

      • 과학적 창의성 활동에서 활동시간에 따른 유창성의 변화

        강대혁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807

        유창성은 과학적 창의성의 기본 요소이며 학생들의 발산적 사고를 키우는데 효과적이다. 그동안 과학적 창의성 요소로써 유창성에 대해 정의하는 연구는 많이 있었으나 과학적 창의성 활동 중에서 유창성만을 대상으로 한 연구는 거의 없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학생들이 과학적 창의성 활동에서 활동시간에 따라 산출하는 아이디어 수가 어떻게 변하는지 분석하고, 학생특성(일반학생, 영재교육을 받는 학생)에 따라 산출하는 아이디어 수가 어떻게 다른지 분석하며, 일반학생의 경우 과학성적과 유창성 사이에 어떤 상관관계가 있는지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일반학생과 영재교육을 받는 학생 121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학생들의 유창성을 조사하기 위해 2가지 과제를 투입하였다. 활동시간에 따라 산출하는 아이디어 수를 알아보기 위해 지도교사가 1분 간격으로 시간을 체크하여 학생에게 알려주면 학생이 시간을 조사지에 표시하도록 하였다. 자료 분석은 학생들이 산출한 아이디어 수를 세어 Excel 프로그램에 입력한 후 그래프와 추세선을 그려 분석하였고, SPS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t-검정을 하였다. 연구 결과 활동시간이 흐를수록 학생들이 산출하는 아이디어 수가 감소하였다. 즉, 학생들은 과학적 창의성 활동 초기에 가장 많은 수의 아이디어를 산출하였다. 영재교육을 받는 학생은 일반학생보다 더 많은 수의 아이디어를 산출하였으므로 영재교육을 받는 학생이 일반학생보다 유창성이 높다고 할 수 있다. 학생들이 산출한 전체 아이디어의 90%에 해당하는 아이디어를 산출하는 시간이 과학적 창의성 활동에 필요한 적절한 시간이라고 봤을 때, 유창성에 관한 과학적 창의성 활동에 필요한 적절한 시간은 일반학생의 경우 13분이었고, 영재교육을 받는 학생의 경우 42분이었다. 일반학생의 경우 과학성적과 유창성(아이디어 수)은 상관이 없었다. 즉, 과학성적이 높더라도 적은 수의 아이디어를 산출할 수도 있고, 과학성적이 낮더라도 많은 수의 아이디어를 산출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과학적 창의성 활동은 과학성적이 높은 학생만을 대상으로 실시하는 것이 아니라 모든 학생을 대상으로 실시하여야 한다.

      • 아이디어 특성을 고려한 마케팅 과업

        허인준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7807

        1985년 미국마케팅학회(AMA)에서는 그 동안 논란이 거듭되어온 마케팅에 대한 용어를 새롭게 정의하였는데 그 중 특히 괄목할 만한 것은 마케팅의 객체를 비단 제품 및 서비스뿐만 아니라 아이디어까지 포함시키고 있다는 것이다. 그 동안의 아이디어 마케팅은 주로 캠페인이나 주장, 이념 등 주로 사회적 관점의 맥락에서 접근하고 있으나 21세기 지식기반사회가 도래하기 시작하면서 인터넷 및 네트워크 등 디지털 기술이 발달하게 되고 이를 통해 아이디어 자체를 자유자재로 사고 팔 수 있는 공간이 생겨나고 있음을 볼 때 이는 아이디어 마케팅을 새로운 시각에서 접근해야 할 필요성을 절실히 요구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필요성을 인식함과 아울러 아이디어를 사회적 관점이 아닌 상품적 요소로서 접근하고자 시도한 것이다. 이러한 시도는 선행연구를 토대로 기존 학자들에 의해 주장되어온 아이디어 특성을 종합하는데서 시작하고 있으며 이러한 특성들을 경제적 분리에 입각하여 마케팅 과업들을 유추해 봄으로써 최대한 논리적 근거에 중점을 두고자 하였다. 그 결과 아이디어의 특성은 무형성, 대중성, 결과지향성 3가지로 압축할 수 있었으며 각각의 특성들에 대하여 마케팅 과업을 고찰해 본 결과 무형성은 아이디어의 기호화 및 디지털 기술의 활용, 지식탐색시스템 구축전략 등, 대중성의 경우 지적재산권제도 및 아이디어의 사유화, 고정비용회수전략 등으로, 마지막으로 결과 지향성의 경우 경험 재로서의 성격극복, IT기술을 활용한 고객 데이터베이스 및 쌍방향커뮤니케션 구축 전략, 정보중개업자의 활용 들을 통해서 각각의 특성들에 의해 야기되는 경제적 분리들을 해소시킬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In 1985, American Marketing Association(AMA) suggested that the new term of 'Marketing' which had made controversy in the past. Especially, The remarkable thing of new term is that the objects of marketing contain not only products and services but also ideas. The old concept of Idea Marketing was social point which contains campaign, cause, ideology and so on. But as the knowledged-based society appeared, the space where was able to sell and buy the idea freely was also appeared by digital technologies which contain internet and network. This phenomenon demands the necessity what the Idea Marketing must be understood by new concept. So, this paper recognizes this necessity coincidently, and tries to translate the idea what is not the social point but the commercial point. This trial starts from the unite of characteristics of ideas which are insisted already by old scholars. And from this characteristics the Marketing Tasks are analogized by Economic Separation Theory. As the result, the characteristics of ideas are summarized in three factors. These are "Intangibility", "Popularity", and "Inclination of result". The result of investigation of Marketing Tasks about each characteristics are; First, the economic separations of Intangibility are solved by symbolization of idea, application of digital technology and construction of Knowledge-search system. Second, the economic separations of Popularity are solved by Intellectual-property regime, privatization of idea, collection strategies of fixed costs. Last, the economic separations of Inclination of results are solved by recovery of character as experience-good, construction of customer data base, interaction communication strategy and application of infomediary.

      • How the Korean government created the child homecare allowances policy : Ideas and policy change

        Choi, Mihyang Sungkyunkwan University 2018 국내박사

        RANK : 247807

        이 연구는 한국 양육수당정책이 상위제도인 영유아보육법의 두 가지 목적, 즉 아동복지 증진과 부모 사회경제활동 촉진과 정합성이 낮음에도 불구하고 도입된 이유를 아이디어 개념을 중심으로 살펴본다. 아이디어란 정책 행위자들이 지니는 구체적인 정책 내용을 의미한다. 아이디어는 역사적 제도주의가 정책 변화를 설명할 때 제도라는 구조적 변수에만 치중한 나머지 정책 변화의 구체적 내용을 설명 못한다는 약점을 보완해줄 수 있다. 아이디어는 정책 변화의 시작점인 동시에 그 정책 변화의 구체적 내용을 설명해주는 역할을 한다. 아이디어가 정책으로 되기 위해서는 담론 과정을 거쳐야 하는데, 이 담론 과정은 한 나라의 제도적 맥락의 영향을 받는다. 한국과 같이 대통령과 대통령을 수반으로 하는 행정부에 의사결정 권한과 권력이 집중된 제도적 맥락 하에서는 담론 과정의 두 가지 하위 단계 중에서 소통적 단계가 더 중요하게 여겨진다. 또한 모든 아이디어가 담론 과정에서 논의될 수 있는 것은 아니며, 새로운 정책에 대해 호의적인 시기에 담론 과정에 아이디어를 올려놓을 수 있는 힘을 가진 행위자가 선택한 아이디어가 담론 과정을 성공적으로 마칠 가능성이 높다. 이 연구는 양육수당정책을 사례로 하여 양육수당 아이디어가 정책으로 되기까지의 담론과정과 행위자 및 시기 요인을 살펴본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양육수당을 둘러싼 담론은 정책 행위자들이 정책 내용에 대한 의견을 주고받는 조정적 단계보다는 일반 국민을 대상으로 정책 필요성을 설득하는 소통적 단계가 더 우세했던 것으로 나타났다. 제도적 조정적 담론장이라고 할 수 있는 중앙보육정책위원회와 공청회는 열리지 않았고, 비공식적으로 열렸던 간담회에서도 우선순위는 보육 전자바우처에 대한 담론이었다. 양육수당 아이디어에 반대입장이었던 어린이집과 시민단체 등의 의견을 수렴하고 조정할 수 있는 담론장이 통제된 가운데, 몇 번의 비공식적 담론장에서도 양육수당 담론은 후순위로 밀렸다. 양육수당과 관련된 조정적 담론이 활발하지 않았던 것으로 볼 수 있다. 반대로 소통적 담론은 특히 복지부에서 적극적으로 유통시켰던 것으로 나타났다. 소통적 담론장은 대통령 연설문, 보도자료, 언론보도를 들 수 있는데, 대통령은 국민을 대상으로 하는 연설에서 수요자 맞춤형 보육정책이라는 포괄적 담론을 반복적으로 제시하였다. 복지부는 양육수당 아이디어와 관련된 보도자료를 여러 차례 냈으며, 언론은 이 보도자료에 근거하여 모두 기사로 내보냈다. 또한 양육수당 아이디어에는 부모의 선택에 따라 어린이집을 이용하지 않더라도 국가의 지원을 받아야 한다는 형평성 프레임이 씌워지면서 이해하기 쉬운 논리로 또 지속적으로 대중에게 접근할 수 있었다. 둘째, 양육수당 아이디어는 정책 변화에 유리한 시기인 선거 기간에 권력을 가진 행위자의 강한 추진력을 바탕으로 하여 담론과정에서의 의제로 설정될 수 있었다. 소통적 담론이 더 중요하게 여겨지는 우리나라와 같은 제도적 맥락 하에서는 대통령과 선거기간이 새로운 정책도입 또는 정책 변화에 상당한 영향을 미친다. 양육수당 아이디어는 17대 대선뿐만 아니라 대선 4개월 이후에 실시된 18대 총선에서도 한나라당 공약사항에 포함되면서 지속적으로 이슈화가 되었다. 또한 대통령과 보건복지가족부가 양육수당정책 도입을 적극 추진하고 한나라당이 여기에 힘을 실어주면서 양육수당 아이디어는 비교적 빠른 속도로 정책화에 성공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하여 결론에서는 이론적 및 정책적 함의, 앞으로 연구에 대한 제언과 한계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Child Homecare Allowances Policy (CHAP) is a cash transfer program for families who do not send their children to childcare centers or kindergartens supported by the government, and is a representative example of the Korean childcare policy. However, the CHAP is not consistent with the objectives of the childcare policy—nurturing children into healthy members of society and facilitating parents’ economic and social activities. The CHAP is likely to encourage informal care and induce parents, particularly women, to take care of their children personally instead of participating in economic activities, because the cash benefits are given on condition that families do not use childcare facilities. The introduction of the CHAP is an example of the attachment of a new disparate element—familialization—to the Korean childcare policy, and the CHAP has been expanded since its introduction, resulting in changes in the Korean childcare policy. More serious concerns about the familialization effect have been raised in recent times because child allowances will be given in addition to the child homecare allowances from September 2018. This study thus began with the question: How could the CHAP be created without considering its consistency with the purposes of the superordinate institution? I sought to find the answer to this question through an exploration of the relationship of ideas to policy change. Ideas in institutional analysis can explain the specifics of policy change and can be a starting point for policy change, especially in Korea, where many social policies have been developed through policy transfer. The noteworthy point here is that not all ideas are embodied into policies and generate changes, and only become so if they go through discourse processes successfully. Moreover, this process also requires the influence of powerful actors and favorable timing for adopting ideas as an agenda of discourse processes. Another noteworthy point is that the institutional context of a country influences the impact of factors such as discourse processes, actors, and timing; in a single-actor system, like Korea, communicative discourse, high-ranking political actors, and election seasons are the most important factors for translating a certain idea into a policy. This study therefore investigated the discourse processes around the idea of child homecare allowances, highlighting the differences between the coordinative and communicative stages; and the impact of high-ranking political actors and election seasons on the creation of the CHAP. The results of the analysis were as follows. First, the communicative discourses aimed at the general public were found to be dominant, rather than the coordinative discourses in which opinions are exchanged among policy actors. The analysis showed that the arenas for coordinative discourse—the Central Infant Care Policy Committee, public hearings, and electronic public hearings—were restricted by the government, and that there were very few opportunities for the idea of child homecare allowances to be discussed due to the higher priority given to another issue—the childcare voucher system. On the other hand, discourse at the communicative stage—through presidential speeches, press releases, and press reports—was very active. It also appears that the fairness frame presented by the Ministry for Health, Welfare and Family Affairs successfully influenced the public psyche in a favorable direction, overcoming the competition from the gender inequality and informal care frames deployed by opponents of the idea of child homecare allowances. The Ministry for Health, Welfare and Family Affairs actively distributed the discourse on the necessity of the CHAP and secured support for the CHAP, which in turn resulted in a successful and relatively quick policy formation. Second, the idea of child homecare allowances could be set up as a policy agenda in the discourse processes due to the support of powerful political actors—the president, the Ministry for Health, Welfare and Family Affairs, and the Grand National Party—and the timing in favor of the CHAP—before and after the presidential election. The idea was included in the 17th presidential and the 18th general elections as a pledge by the Grand National Party, and it was brought to public attention continuously. The election of Lee Myung-bak as president and the Grand National Party securing a majority in the National Assembly created a favorable environment for the idea to become influential as a policy agenda. Besides the president, who is the most powerful political actor in the institutional context of Korea, the Ministry for Health, Welfare and Family Affairs led by a powerful minister and the Grand National Party holding a majority of seats in the National Assembly supported the idea and chose it as a policy agenda. Hence, the idea of child homecare allowances could be successfully and rapidly shaped into a policy because of the combination of these two factors—powerful actors and favorable timing. Based on these findings, I discussed some issues regarding the Korean childcare policy and presented theoretical and policy implications in the conclusion chapt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