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문학교육의 가치 내면화를 위한 교육방법 고찰

        김가현 순천대학교 교육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47

        우리는 4차 산업혁명 시대에 필요한 핵심역량을 기르기 위하여 창의성과 인성, 자기주도 학습 능력, 공동체의식과 민주시민 의식함양에 힘써야 한다고 말한다. 이러한 핵심역량에서 빠지지 않는 것 중에 하나가 창의성과 인성이다. 그만큼 창의성과 인성에 대한 부분은 현재 학교 교육에서 중요한 화두이다. 창의성과 인성은 곧 인간의 내면화의 문제와 관련이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문학교육의 목표와 가치의 내면화를 중심으로 문학 교육적 가치 내면화를 위한 교수 · 학습의 방안을 모색하였다. 학생들은 학교에서 문학시간을 통해 많은 작품을 보고 배우지만 자신과는 크게 상관없는 하나의 이야기로만 읽고 넘어가게 된다. 문학 작품이, 문학수업이 자신의 삶 가운데 스며들지 못하고 더 나은 삶을 향해 나아가도록 방향 제시의 역할을 하지 못하고 있다. 문학작품을 수용하는 단계 중에 하나가 문학작품의 가치를 내면화하는 것이다. 독자는 문학 작품에서 찾아 낸 인식적·윤리적·심미적 가치를 자신의 삶에 비추어봄으로써 자신의 삶을 여러 가지 면에서 현재보다 더 바람직한 방향으로 이끌어 나갈 수 있다. 내면화는 인지적, 정의적 영역의 목표를 포괄하면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문학을 통한 세계파악의 학습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내면화가 중요한 이유는 문학 교육의 교육적 목표는 궁극에 있어서는 내면화의 과정으로 요약되기 때문이다. 내면화 과정은 문학 교육의 교육활동 과정상 중핵을 이루는 부분이며, 문학 수용의 완결을 의미하며 고도의 심리 작용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해당 연구에서는 문학교육의 가치와 내면화의 문제의 중요성을 제시하 면서, 문학교육의 가치와 내면화가 문학 작품을 통해서 어떻게 적용될 수 있는지 방안을 살펴보았다. 결국 문학적 가치를 내면화 하는 활동을 통해 독자 자신의 삶은 물론 자신이 속한 사회에 대해 인식하고 성찰 할 수 있으며, 자신의 정서를 정화하고 일상생활에서 맛보기 어려운 심미적 체험을 얻을 수 있게 된다. 이처럼 가치 내면화 중심의 문학교육 방법은 학습자가 발견한 가치를 자신의 삶과 연결시켜 세계를 이해할 수 있게 된다는 점에서 중요한 문학교육의 방법이 될 수 있을 것이다.

      • 부모가 본 영유아 혼자놀이의 현황 및 인식

        김가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만 0-5세 영유아의 가정에서의 혼자놀이 및 부모의 혼자놀이에 대한 전반적인 인식에 대해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1. 부모가 본 자녀의 혼자놀이 현황은 어떠한가? 2. 부모가 자녀의 혼자놀이에 대해 갖고 있는 인식은 어떠한가? 3. 부모가 자녀의 기관에서의 혼자놀이에 대해 갖고 있는 인식은 어떠한가? 연구대상은 만 0-5세 영유아 자녀를 둔 부모 295명이었다. 본 연구에서는 부모의 혼자놀이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기 위하여 연구자가 선행연구 및 개방형 설문지를 통해 조사한 내용을 토대로 제작한 온라인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을 위해 빈도분석 분석을 하였고, 평균 및 표준편차를 산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만 0-5세 영유아의 부모가 자녀의 혼자놀이를 주로 관찰하게 되는 장소는 가정이었다. 영유아가 혼자놀이에서 주로 하는 놀이는 블록놀이, 조형놀이, 역할극놀이 순으로 나타났다. 가정에서 혼자놀이를 하는 빈도에 대해 부모는 때때로 집에서 혼자놀이를 한다고 응답하였다. 둘째, 부모는 자녀가 가정에서 혼자놀이를 하게 되는 이유는 부모의 영향이 가장 크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부모의 영향이란 구체적으로 부모가 자녀와 충분히 놀아줄 시간이 부족하여 혼자 놀게 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가정에서 자녀가 혼자 놀이하는 것에 대해 혼자놀이하는 시간도 필요하다고 응답하는 부모가 그렇지 않은 부모보다 많았으며 이유로는 혼자 놀이하면서 유아가 주체적으로 놀이할 수 있음이 가장 높은 응답을 보였다. 또한 혼자놀이는 자체로서 영유아의 발달에 교육적 가치가 있다고 응답한 부모가 그렇지 않은 부모보다 많았다. 이유로는 자유롭게 놀이를 시도할 수 있기 때문이라고 응답한 부모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자녀의 혼자놀이를 보며 부모는 대견스러움, 고마움 순으로 정서를 느꼈다. 자녀가 가정에서 혼자놀이 할 때 부모의 이상적인 역할에 대해 함께 놀이해주는 것이라고 응답한 부모가 가장 많았으나 실재 현황은 자녀가 혼자서 노는 것을 지켜보기만 한다고 응답한 부모가 높은 응답을 나타내어 차이를 나타내었다. 셋째, 기관에서 자녀가 지속적으로 혼자놀이를 하는 것에 대해 부모는 걱정이 된다고 응답하였다. 가정에서 혼자놀이를 하는 것에는 걱정이 되지 않는다는 부모가 걱정이 된다는 부모보다 많았으며 기관과 가정에서의 혼자놀이에 대해 부모가 상이하게 인식함을 나타내었다. 기관에서의 혼자놀이에 대해 부모는 교사의 도움이나 가정의 지원이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으며 또래관계를 통한 개입이 적절하다고 가장 높은 비율로 응답하였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investigate the overall perception and attitude of parents with infants and toddlers to solitary-play. In order to accomplish this purpose, the following three questions were set up. 1. What is the status of children's playing alone that parents saw? 2. What is the perception that parents have about their children's playing alone? 3. What is the perception that parents have about playing alone in their children's institutions? Subjects for this study are 295 parents of child aged 0-5 years old. In order to investigate parents' perception of solitary-play, an online questionnaire produced based on previous studies open questionnaires was used. For data analysis, average, standard deviation, frequency analysis and case analysis were utilized for the research quest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place where parents mainly observe their children's solitary-play was at home. The type of play that child usually play alone were block play, constructive play, and dramatic play. The frequency of playing alone at home is that they sometimes play alone at home. Second, parents recognized that the reason why their children play alone at home was most influenced by their parents. Parents' influence means that parents do not have enough time to play with their children, so their children play alone. Many parents said their children need time to solitary-play at home because their child could play independently for solitary-play. In addition, most of parents responded that solitary-play has educational value in the development of children, because children can freely try to play for solitary-play. Watching their children’ solitary-play, parents feel pride and gratitude. The most of parents answered that the ideal role when their children play alone at home is playing with their children, not just observing them. But the actual role showed most of parents just observe their children’s solitary-play. Third, parents responded that they are worried about their children playing alone at the kindergarten or pre-school. while parents are not worried about playing alone at home. It is to indicate that parents perceived playing alone at home and institution differently. Regarding playing alone in institutions, parents perceived the need for help from teachers or family support, and responded at the highest rate that intervention through peer relations.

      • 얼굴형 이미지와 퍼스널컬러 유형 분류의 연관성 분석

        김가현 서경대학교 미용예술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ABSTRACT Analysis of the association between Face image and Personal color type Kim, Ga Hyun Dept. of Beauty Art The Graduate school of Seokyeong University Recent years has witnessed ICT-based beauty industry in place which offers a variety of beauty service through AI-based face perception, including skin analysis, makeup recommendation, and cosmetic reviews. Constantly growing interest in a person’s appearance has promoted development in personal color service aimed at creating a person’s personalized image. Personal color research in beauty and fashion industry is steadily gaining in popularity. With recent advances in IOT(Internet Of Thing), beauty industry has seen smart mirror apps developed for personalizing makeup and styling by face. Personal color type has been explored generally based on skin color so far, but should be evaluated in terms of personal character, image, figure, voice, constitution, etc., for more accuracy. In this study, therefore, we adopted the behavioral approach in order to exclude limitations of existing personal color diagnosis: the subjective intervention, the use of inconsistent tools, and the influence of the surrounding environment. Sensory evaluation is more easily made by facial features than by skin color. And the facial features don’t need any specific diagnosis tool, and are a determining factor which is less influenced by the surrounding environment. Therefore, we examined a facial features distribution and a personal color type distribution through the personal color or/and makeup expert evaluation toward 504 women in their 20s living in a metropolitan area centered in Seoul. And then we configured a face image evaluation sheet and analyzed what is the mode in a face image distribution by facial feature in order to find out an association between face image and personal color type. In this analysis,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what is the most frequent distributed facial feature in women in their 20s is an angled face shape, followed by diamond, round, long, inverted triangle, and oval ones, while what is the most often distributed personal color type is a summer type, followed by autumn, winter, and spring ones. Second, in the round face shape, an optimistic image is most often invoked, followed by ‘friendly’, ‘mild’, and ‘lively’ ones. The angled face shape most often invokes a ‘trustworthy’ image. What the inverted triangle face shape most often invokes is ‘intelligent’ or ‘cool’ images. In the diamond face shape, a ‘cool’ image is most often invoked. The long face shape has people most often invoke ‘mature’, ‘calm’, ‘grown up’, ‘quiet’, ‘intelligent’, ‘classic’, ‘feminine’ or ‘courtly’ images. The oval face shape has people most often invoke ‘soft’, ‘natural’ or ‘friendly’ images. Third, what is the mode in the distribution of spring type of personal color is the round face shape with ‘sporty’, ‘young’, ‘youthful’, ‘cute’ or ‘cheerful’ images – an indication of their association. Fourth, the round face shape with ‘friendly’ or ‘gentle’ images and the oval one with ‘soft’, ‘natural’, ‘friendly’, ‘cozy’ or ‘gentle’ images are most often distributed in the summer type of personal color - a show of their association. Fifth, the diamond face shape with a ‘mature’ image is the mode in the distribution of the autumn type of personal color - an evidence of their association. And ‘mature’, ‘calm’, ‘grown up’, ‘quiet’, ‘intelligent’, ‘classic’, ‘feminine’ or ‘courtly’ images invoked in the long face shape may be meaningful in the type classification. Especially, the ‘courtly’ image merits consideration because it is commonly invoked at once in the long face shape and the diamond one, and more frequently invoked in the latter. Sixth, the angled face shape with ‘gallant’ or ‘active’ images, the diamond one with a ‘cool’ image and the inverted triangle one with ‘cool’ or and ‘sharp’ images are most frequent distributed in the winter type of personal color–a display of their association. And the ‘cool’ or/ and ‘sharp’ images invoked in the inverted triangle face shape may be meaningful in personal color type classification. In particular, the ‘cool’ image deserves attention because it is commonly invoked at once in the diamond face shape and in the inverted triangle one, and especially, more frequently invoked in the latter. In brief, the findings of this study concluded that the facial features and face images can be used as a variable for diagnosing a person’s personal color type. Thus, they are expected to become a standard of diagnostic modalities in the personal color diagnosis system, helping rev up ICT & IOT–based beauty service. 국문 초록 얼굴형 이미지와 퍼스널컬러 유형 분류의 연관성 분석 뷰티산업은 현대사회에서 꾸준하게 성장하는 신성장 산업 중 하나로 정보통신기술을 활용한 인공지능 기술이 발전하면서 얼굴 인식을 통해 피부 분석, 화장품 추천, 화장품 리뷰 분석 등 산업 전반에 걸쳐 IT(Information Technology)를 기반으로 한 서비스 인프라가 구축되고 있다. 이러한 사회 현상 속에서 현대인의 외모에 대한 관심은 계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개인의 특화된 이미지를 만들기 위해 퍼스널컬러를 적용한 서비스산업이 지속적으로 발전하고 있다. 그 중 뷰티와 패션을 활용한 퍼스널컬러의 연구는 꾸준히 진행되고 있으며, 매우 높은 관심을 끌고 있다. 최근 들어 사물인터넷에 대한 정보 수집에 관한 산업이 발전하면서 뷰티분야에서는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얼굴형에 적합한 메이크업 방법과 스타일링 등을 맞춤으로 제안하는 스마트 미러 앱이 개발되었다. 퍼스널컬러는 자신의 유형을 알기위해 타고난 피부색에 집중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개개인의 성격, 이미지, 체형, 목소리, 체질 등의 여러 가지의 요소를 고려해 평가되어져야 할 사항이기에 본 연구는 기존 퍼스널컬러 진단시 한계점으로 꼽았던 주관적 개입과, 통일되지 않은 도구, 주변 환경의 영향을 배제 할 수 있는 진단 방법으로 형태학적 관점에서 접근하였다. 얼굴 형태는 피부색보다 관능적으로 평가하기 수월하고, 특별한 진단 도구를 필요로 하지 않으며, 주변 환경의 영향을 덜 받는 요소이다. 따라서, 얼굴형을 통해 얼굴형 이미지가 퍼스널컬러 유형과 연관성이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수도권에 거주하는 20대 여성 504명을 선정하여 퍼스널컬러와 메이크업전문가의 평가를 통해 얼굴형 분포도와 퍼스널컬러 유형 분포도를 알아보고, 얼굴형 이미지 평가지를 구성하여 얼굴형별로 가장 해당이 높은 이미지가 무엇인지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얼굴형 이미지와 퍼스널컬러 유형 이미지의 연관성을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20대 여성에서 가장 분포가 많은 얼굴은 각진형이었고, 다음으로 다이아몬드형, 둥근형, 긴 형, 역삼각형, 계란형 순이었다. 퍼스널컬러 유형은 여름이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가을, 겨울, 봄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둥근형에서 가장 많이 느껴지는 이미지는 ‘낙천적인’이었고, 다음으로 ‘친근한’, ‘온화한’, ‘발랄한’이었다. 각진형에서 가장 많이 느껴지는 이미지는 ‘신뢰감 있는’이었다. 역삼각형에서 가장 많이 느껴지는 이미지는 ‘지적인’, ‘차가운’이었다. 다이아몬드형에서 가장 많이 느껴지는 이미지는 ‘차가운’이었다. 긴 형에서 가장 많이 느껴지는 이미지는 ‘성숙한’, ‘침착한’, ‘어른스러운’, ‘조용한’, ‘이지적인’, ‘고전적’, ‘여성스러운’, ‘고상한’이었다. 계란형에서 가장 많이 느껴지는 이미지는 ‘부드러운’, ‘자연스러운’, ‘친근한’이었다. 셋째, 둥근형 얼굴은 퍼스널컬러 봄 유형의 가장 많은 분포를 차지하며, 둥근형 얼굴의 ‘발랄한’, ‘젊은’, ‘어려보이는’, ‘귀여운’, ‘쾌활한’ 이미지는 퍼스널컬러 유형 분류와 연관성이 있는 이미지라는 것을 알 수 있다. 넷째, 둥근형과 계란형 얼굴은 퍼스널컬러 여름 유형의 가장 많은 분포를 차지하며, 둥근형 얼굴의 ‘친근한’, ‘온화한’과 계란형 얼굴의 ‘부드러운’, ‘자연스러운’, ‘친근한’, ‘포근한’, ‘온화한’은 퍼스널컬러 유형 분류와 연관성이 있는 이미지라는 것을 알 수 있다. 다섯째, 다이아몬드형 얼굴은 퍼스널컬러 가을 유형의 가장 많은 분포를 차지하며, 다이아몬드형 얼굴에서 느껴지는 ‘성숙한’은 퍼스널컬러 유형 분류와 연관성이 있는 이미지라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긴형 얼굴에서 느껴지는 ‘성숙한’, ‘침착한’, ‘어른스러운’, ‘조용한’, ‘이지적인’, ‘고전적인’, ‘여성스러움’, ‘고상한’ 이미지는 유형 분류에 있어 의미를 갖는다고 할 수 있다. 특히, ‘고상한’은 긴형과 다이아몬드형 얼굴에서 공통적으로 느껴지는 이미지이고, 다이아몬드형 얼굴에서 더 많이 느껴지므로 주목할 필요가 있다. 여섯째, 각진형, 다이아몬드형, 역삼각형 얼굴은 퍼스널컬러 겨울 유형의 가장 많은 분포를 차지하며, 각진형 얼굴의 ‘당당한’, ‘활동적인’과 다이아몬드형 얼굴의 ‘차가운’ 이미지는 퍼스널컬러 유형 분류와 연관성이 있는 이미지라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역삼각형 얼굴에서 느껴지는 ‘차가운’, ‘날카로운’ 이미지도 유형 분류에 있어 의미를 갖는다고 할 수 있다. 특히, ‘차가운’ 이미지는 다이아몬드와 역삼각형 얼굴에서 공통적으로 느껴지는 이미지이고, 역삼각형 얼굴에서 더 많이 느껴지므로 주목할 필요가 있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통해 얼굴의 형태와 이미지가 퍼스널컬러 유형 진단의 하나의 변수가 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향후 퍼스널컬러 진단의 척도로 시스템화되어 ICT기술과 IoT기기를 기반으로 다변화되고 있는 뷰티관련 서비스 산업의 활성화에 일조하기를 바란다.

      • 초등학교 1학년 교실에서 이루어지는 그림 그리기 활동의 의미 탐색: 소통, 공감, 타협을 통한 성장과 변화

        김가현 광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어린이는 글이나 다른 매체를 이용한 자기표현이 성인에 비해 어려우므로 그림 그리기 활동을 통해 자신을 표현하고자 하는 욕구가 강하다. 인간이 초등학교 1학년에 입학하는 시기는 가정의 울타리를 넘어 학교라는 새로운 세계에 들어가는 중요한 시기이다. 물리적 환경의 변화뿐만 아니라 심리적 변화와 새로운 인간관계의 형성, 자신의 의지와는 관계없이 받아들여야 하는 학교와 교사라는 권위 등 초등학교 1학년 학생들 느끼는 변화에 대한 부담은 상상할 수 없을 만큼 클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1학년 교실에서 그림 그리기 활동의 의미란 무엇인가라는 주제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초등학교 1학년이라는 집단의 사고와 행동 등을 사회, 문화적 맥락으로 이해하고 해석하기 위해 1학년 교실 문화의 관점에서 문화기술지적 방법으로 연구를 진행하였고, 교사인 나의 수업 과정 또한 다양한 맥락적 사고가 통합적으로 적용되므로 수업 진행 과정에 대한 성찰을 위해 자문화기술지적 방법으로 기술하였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는 초등학교 1학년 교실에서 학습자와 교사에게 그림 그리기 활동의 의미가 무엇인지를 탐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탐색하기 위한 연구 질문은 다음과 같다. 첫째, 1학년 교실에서 행해지는 그림 그리기 활동은 어떠한 모습으로 이루어지고 있는가? 둘째, 1학년 학생들이 생각하는 잘 그린 그림은 무엇인가? 셋째, 그림 그리기 활동으로 학습자와 교사는 어떻게 성장하고 변화하였는가? 초등학교 1학년 교실은 무질서하거나 산만한 풍경으로만 묘사하기에는 너무 많은 이야기를 담고 있다. 그림으로 일상을 기록하는 호준이는 자신이 겪어온 일상을 그림 곳곳에 표현하여 친구들과 소통했다. 주영이와 승주에게 그림 그리기 활동은 1학년이라는 위치와 나이에 지워진 의무와 과업으로의 의미를 갖는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좋아하는 것과 관심 있는 것을 모르는 상태에서 초등학교에 들어왔던 태성이는 다양한 친구들과의 만남, 새로운 세계와의 조우를 통해 그림 그리기 활동의 즐거움을 알게 되었다. 이처럼 초등학교 1학년 교실에서 그림 그리기는 각각의 학생들에게 서로 다른 의미로 또 다른 세계를 만나는 의미 있는 활동이었다. 초등학교 1학년 학생들이 생각하는 잘 그린 그림이란 첫째, 풍성한 표현으로 자신의 일상을 기록한 그림, 둘째, 그림 속 이야기를 함께 나눌 수 있고 그림 밖에서도 재미있는 이야기가 많은 친구의 그림이었다. 마지막으로 자신이 좋아하는 친구의 작품이었다. 이처럼 초등학교 1학년 아이들에게 잘 그린 그림이란 그림 자체뿐만 아니라 그림과 관련된 심리적, 환경적 요인과 인간관계가 그 판단기준으로 작용하는 것을 볼 수 있다. 그러므로 미술 수업에서 교사는 학생들이 자신의 일상을 깨워 그림으로 환원하는 과정이 잘 이루어질 수 있도록 질문하기, 이야기하기, 공유하기의 과정을 거쳐 학생들이 잘 그린 그림을 그릴 수 있도록 해야 한다. 1학년 교실에서 아이들은 저마다 자신만의 의미로 그림 그리기 활동에 참여하였고, 친구들과 소통하고 새로운 세계에 적응하면서 변화하고 성장하였다. 친구의 작품을 보고 그리는 과정 가운데 단순한 모방을 넘어서 스스로 새로운 것을 창조해 내는 단계에 이르는 과정을 겪으면서 새로운 세계에 적응하고 성장하기도 하고 친구들과 함께 그림 그리는 과정을 통해 세상과 타협하고 또 다른 세상과 친구들을 인정하는 변화와 성장을 경험하기도 했다. 또, 자신만의 독특한 세계를 노란색으로 표현하며 다른 색을 허용하지 않았던 친구는 다른 친구들의 따뜻한 배려와 친절을 통해 이해와 공감을 경험하고 다양한 색상을 사용하기 시작하는 변화를 맞이하기도 했다. 이같은 사례에서 볼 수 있듯이 미술 수업에서 서로의 정보를 공유하고 보고 그리기, 또는 함께 그리기 등의 또래학습을 위한 자유로운 환경과 분위기를 조성해 줌으로써 서로에게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이를 위해 미술 교과는 심미적, 정서적 발달과 관련된 교과라는 편견을 버리고 인지적 영역의 발달을 주도할 수 있는 미술 교과의 성격에 대한 재조명이 필요하다. 또한 ‘나’와 ‘너’의 만남을 경험을 통해 서로 다른 세계를 인식하고 진정한 나를 발견할 수 있도록 이해와 존중의 교육에 대한 고민이 필요하다. 연구를 진행하는 과정에서 교사인 ‘나’는 반드시 그림을 완성해야 하는가, 그림을 꼭 잘 그려야 하는가에 대해 고민하게 되었다. 이는 1학년 학생들이 그림을 끝까지 완성하기까지 느끼는 부담감과 교사로서 의무, 학부모의 기대 등이 맞물려 그림 그리기 활동 가운데 느끼는 불편함에서 기인했다. 우리나라 교육 현실에서 감상 교육 활동과 맞물려 작품이나 학습의 결과물을 전시하는 것이 일상화되어 있고, 교실 내 공간 또한 작품 전시를 위한 것으로 구성되어 있다. 하지만, 진정한 의미의 교육과 성장은 결과가 아닌 과정과 변화라는 것을 감안한다면 작품의 과정을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고 게시할 수 있는 교실 공간 등의 물리적 환경, 작품의 과정 또한 소중한 교육의 의미임을 자각하는 교사의 인식 변화가 필요하다. 학생과 학부모, 교사 모두 의미 있는 과정의 교육을 실현하기 위해 작품 결과 전시 위주의 학교 교육에서 개개인의 모두 다른 과정과 변화를 가늠하고 받아들이며 다양한 방향과 방법으로 성장할 수 있는 작품 게시의 교육이 필요하다.

      • 나눗셈 단원의 과정 중심 평가가 초등학교 3학년의 수학 학업 성취도 및 정의적 영역에 미치는 영향

        김가현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duct a process-focused assessment in division targeting 3rd graders and explore the impact of process-focused assessment on students' mathematical achievement and affective domain. The research questions for this purpose are as follows: A. What is the effects of process-focused assessment on the mathematical achievement of 3rd graders in division? B. What is the effects of process-focused assessment on the affective domain of 3rd graders in division ? To address the research questions, a review of previous studies on process-focused assessment was conducted, and instructional materials in division were developed. Subsequently, a pre-test for mathematical achievement and affective domain was conducted with 3rd graders at S Elementary School in Gangbuk-gu, Seoul, to select two classes with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During the course of nine sessions, process-focused assessment were conducted to the experimental group, and textbook-focused lessons were applied to the comparative group. After the experiment, the mathematics achievement and affective domain test were conducted to both groups. The test results were analyzed using independent samples t-tests with i-STATistics 2.01. For the mathematical affective domain, paired samples t-tests were conducted to examine the total scores and the effects of each sub-factor separately for each group in the pre-test and post-test. Additionally, qualitative analysis of students’ interviews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causes for the research resul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process-focused assessment in division does not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act on the mathematical achievement of 3rd graders. This finding is based on a comparative group that used textbooks aligned with the revised 2015 curriculum, which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process-focused assessment. However, qualitative analysis of interviews revealed that students mentioned self-assessment as an advantage of process-focused assessment and highlighted the benefits of peer assessment. Second, process-focused assessment in division does not have statistically significantly impact on the mathematical affective domain of 3rd graders. When the pre-test and post-test scores of the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were separately subjected to t-tests, no significant results were found in either group. Although there were no significant findings in the analysis of sub-factors based on the mathematical affective domain classification, it was observed that the average scores increased in experimental group. Through analysis of interviews, there are cases which indicating that process-focused assessment in division towards math learning, values, extrinsic motivation, intrinsic motivation, and interest in mathematics. Through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important to clearly explain the meaning and intent of the process-focused assessment to students when conducting process-focused assessment. Additionally, it is suggested that the development of process-focused assessment materials for 3rd graders is needed. 본 연구는 초등학교 3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나눗셈 단원 지도를 위한 과정 중심 평가를 고안하여 진행하고, 과정 중심 평가가 학생들의 수학 학업 성취도와 수학 정의적 영역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다음의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가. 나눗셈 단원의 과정 중심 평가가 초등학교 3학년 학생들의 수학 학업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나. 나눗셈 단원의 과정 중심 평가가 초등학교 3학년 학생들의 수학 정의적 영역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연구 문제에 따라 과정 중심 평가에 관한 선행연구를 분석하고 나눗셈 단원 지도를 위한 과정 중심 평가 자료를 개발하였다. 그 후, 서울특별시 강북구 S초등학교 3학년을 대상으로 하는 사전 수학 학업 성취도 및 정의적 영역 검사를 실시하여 통계적으로 동질 집단인 2개의 학급을 선정하였다. 9차시 동안 3학년 1학기 나눗셈 단원에 대하여 실험집단에는 과정 중심 평가를 적용한 수업을, 비교집단에는 교과서에 충실한 수업을 실시하고 과정 중심 평가의 영향을 확인하기 위하여 사후 수학 학업 성취도 및 정의적 영역 검사를 진행하였다. 검사 결과는 i-STATistics 2.01을 사용하여 독립표본 t-검정하였고, 수학 정의적 영역에서는 집단 별로 사전, 사후에 총점과 각 하위 요인별 영향을 확인하기 위하여 대응표본 t-검정을 진행하였다. 또한, 학생들의 소감문과 면담을 통하여 추가적으로 연구 결과의 원인을 질적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나눗셈 단원의 과정 중심 평가는 초등학교 3학년 학생의 수학 학업 성취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이는 과정 중심 평가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검정 교과서로 수업을 진행한 비교집단에서 교사가 의도하지 않았지만 과정 중심 평가의 일부 요소가 포함된 것이라고 판단된다. 한편, 사전 수학 학업 성취도 검사에서는 비교집단의 평균 점수가 높았지만 사후 수학 학업 성취도 검사에서는 실험집단의 평균 점수가 더 높았다. 면담과 소감문을 질적으로 분석한 결과, 학생들은 과정 중심 평가의 장점으로 학습 과정을 스스로 성찰하고 확인하는 자기 평가를 언급하고, 동료 평가를 통하여 다양한 문제 해결 방식을 알 수 있다고 하였다. 연구자인 교사의 입장에서 과정 중심 평가는 학생의 반응을 누적하여 정리하고 피드백으로 학생의 사고를 파악할 수 있으므로 학생의 이해를 돕고 교사의 교수에도 영향을 미친다. 둘째, 나눗셈 단원의 과정 중심 평가는 초등학교 3학년 학생의 수학 정의적 영역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이는 노시현(2018), 이초롱(2019), 문소정(2020), 강이슬(2022)의 연구 결과와 일치한다.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의 사전, 사후 검사 점수를 집단 별로 각각 t-검정한 결과는 두 집단 모두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수학 정의적 영역을 이환철 외(2017)의 정의적 영역 분류에 따른 하위 요인 분석에서도 유의미한 결과는 나타나지 않았지만, 사전 검사 결과에 비하여 평균 점수가 상승함을 알 수 있었다. 실험집단 면담 및 소감문 분석을 통하여 나눗셈 단원의 과정 중심 평가가 수학 정의적 영역 중 수학 흥미, 수학 학습 태도, 가치, 외적동기, 내적동기, 수학 흥미 요인의 점수 상승 사례를 찾을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하여 과정 중심 평가를 실시할 때, 학생들에게 과정 중심 평가의 의미와 의도를 명확하게 설명해야 함을 알 수 있다. 또한, 초등학교 3학년을 대상으로 하는 다양한 영역의 과정 중심 평가 자료 개발이 필요하며, 학생의 수학 정의적 영역을 긍정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는 과정 중심 평가 자료 개발 연구가 필요하다.

      • 채식주의자(Veg*ns)의 가치체계 및 채식주의자와 잡식주의자(Omnivores)의 식이 정체성 및 식품 선택 동기와 식물성 식품 선택 속성

        김가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채식주의는 더 이상 소수의 특별한 식생활이 아니라 동물 윤리, 환경 보호, 지구 생태계, 지속가능성 등 폭넓은 사회 문제와 연관되어 있는 개념이다. 세계적인 채식주의 증가 추세와 함께 한국도 지속적으로 채식주의자가 증가하고 있으나, 이와 관련된 학술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채식에 대한 국내 채식주의자의 가치체계를 탐색하고, 채식주의자와 잡식주의자의 식이 정체성 및 식품선택동기를 비교하고 식물성 식품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는 것이다. <연구1>은 채식(Veg*n diets)에 대한 채식주의자의 가치체계 탐색을 위하여 수단 목적 사슬 이론(Means-end chains theory)을 기반으로 한 래더링 기법(Laddering technique)을 바탕으로, 채식주의자 33명을 대상으로 일대일 심층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내용분석(Content analysis) 결과 채식과 관련하여 도출된 속성(Attribute) 코드 13개는 ‘고기 없음’, ‘공장식 축산 없음’, ‘식물성’, ‘채소’, ‘맛이 좋은’, ‘국내산/로컬식품’, ‘가공되지 않은’, ‘화학물질이 없는’, ‘체질에 맞는’, ‘유기농/Non-GMO’, ‘인프라 부족’, ‘편견’, ‘인지 부족’이다. 채식의 속성으로부터 얻을 수 있는 결과(Consequence)는 ‘건강’, ‘환경보호’, ‘동물보호’, ‘생태계보존’, ‘잔인함 없음’, ‘죄책감 없음’, ‘활력’, ‘질병예방’, ‘신체기능향상’, ‘반자본주의’, ‘인권’, ‘지역경제’, ‘먹는 즐거움’, ‘선택권 없음’, ‘인간관계/사회생활 문제’, ‘불편함’의 16개 코드가 도출되었다. 채식으로부터 궁극적으로 충족되는 가치(Value)는 ‘양질의 삶’, ‘윤리적 삶’, ‘지속가능한 미래’, ‘자연에 대한 책임’, ‘생명존중’, ‘약자존중’, ‘만족’, ‘행복’, ‘가족애’, ‘내적 조화’의 10개 코드로 요약되었다. 개발된 코드 간의 연결 관계를 LadderUX software에 입력한 후 컷오프(Cut-off) 수준 결정 과정을 거쳐 속성, 결과, 가치에 이르는 지배적인 인지구조를 보여주는 가치계층도(Hierarchical Value Map)에 도식화한 결과 채식에 대한 채식주의자의 지배적인 인지구조는 다음과 같다. 1) 공장식 축산 없음/고기 없음-동물보호-잔인함 없음-생명존중-윤리적 삶 2) 공장식 축산 없음-환경보호-생태계보존-지속가능한 미래 3) 고기 없음/식물성-건강-삶의 질 즉, 채식의 속성으로 ‘공장식 축산 없음’, ‘고기 없음’, ‘식물성’을 중요하게 인지하고 있으며, 다수의 선행연구에서 채식주의의 주요 동기로 제시하는 ‘동물보호’, ‘환경보호’, ‘건강’이 주요 결과로 도출되었다. 이로부터 충족되는 궁극적인 가치는 ‘윤리적 삶’, ‘지속가능한 미래’, ‘삶의 질’이다. 채식을 통해 다양한 가치가 충족되지만 ‘인프라 부족’, ‘편견’, ‘인지 부족’ 등으로 인해 대다수의 채식주의자가 채식 생활에서 ‘불편함’을 겪는다고 나타났다. <연구2>에서는 채식주의자와 잡식주의자의 식품선택동기, 식이 정체성을 비교하고 제품화된 식물성 식품에 대한 인식, 구매행동, 선택속성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총 491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설문조사 결과를 SPSS Statistics 22.0을 사용하여 분석한 결과, 채식주의자와 잡식주의자는 식품선택동기, 식이 정체성 및 제품화된 식물성 식품에 대한 인식, 구매행동, 선택속성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식품선택동기에 있어서 윤리적 관심(Ethical Concern), 건강(Health), 편의성 및 가격(Convenience & Price) 요인에서는 채식주의자의 점수가 더 높은 반면 감각적 측면(Sensory Appeal), 체중 관리(Weight Control) 요인은 잡식주의자의 점수가 더 높았다. 식이 정체성의 복합 동기(Complex motivation) 요인과 엄격성(Strictness) 요인에서는 채식주의자의 점수가 더 높았고 외집단 평가(Out-group regard) 요인과 대중적 평가(Public regard) 요인에서는 잡식주의자의 점수가 더 높게 나타났다. 제품화된 식물성 식품(Plant-based food products)에 대한 인식에서 채식주의자 148명(60.4%), 잡식주의자 160명(65.0%)이 긍정적이라고 응답하여 두 그룹모두 긍정적으로 생각하는 비율이 높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채식주의자 80명(32.7%)이 양가적으로 인식하고 있고, 잡식주의자 54명(22.0%)은 의견 없음으로 응답하여 차이가 있다. 제품화된 식물성 식품에 대한 세부 인식에 있어서 맛이 좋을 것(Good taste), 동물 생명 살리기에 도움이 될 것(Animal-friendly), 개인적 가치에 부합(Personal value)하는지에 대한 인식에서는 채식주의자의 점수가 높았고, 건강에 도움이 될 것(Good for health), 환경보호에 도움이 될 것(Environmental-friendly)에서는 잡식주의자의 점수가 더 높았다. 제품화된 식물성 식품의 구매 빈도에 있어서 ‘식물성 대체 육류(Plant-based meat)’, ‘비건 베이커리류(Vegan bread and cake)’, ‘비건 과자류(Vegan snack, chocolate, and jelly)’의 경우 채식주의자가 더 자주 구매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통적인 콩 가공품(Traditional soybean product)’과 ‘식물성 대체 우유(Plant-based milk)’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새로운 식물성 식품 구매의향에 있어서 채식주의자는 ‘매우 그렇다’와 ‘그렇다’ 응답이 높은 반면 잡식주의자는 ‘약간 그렇다’와 ‘보통이다’ 응답이 많았다. 새로운 식물성 식품에 대하여 채식주의자는 ‘비건 식품(Vegan foods, 완전채식 식품)’이라는 표시를 선호하고, 잡식주의자는 ‘식물성 식품 (Plant-based foods)’이라는 표시를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제품화된 식물성 식품에 대한 선택속성에서 채식주의자는 원재료(Ingredients) 속성을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반면, 잡식주의자는 맛(Taste) 속성을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원재료(Ingredients), 첨가물 여부(Addictive), 가공 정도(Processing degree), 포장재(Packing materials), 생산 방식(Way of producing)은 채식주의자가 더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맛(Taste), 영양 강화(Nutrient-enhanced), 가격(Price), 편의성(Convenience), 브랜드(Brand), 디자인(Design), 광고(Advertising), 독창성/새로움(Uniqueness)에 대해서는 잡식주의자가 더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식이 정체성을 조사한 DIQ의 4가지 요인이 식품선택동기를 나타내는 FCQ의 6가지 요인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다중 회귀 분석(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한 결과 대부분의 식이 정체성 요인이 식품선택동기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그동안 연구가 미비했던 한국인 채식주의자의 채식에 대한 가치체계를 탐구하여 한국인 채식주의자의 채식에 대한 인지구조 개념을 정립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또한 채식주의자와 잡식주의자의 특성을 비교하교 식물성 식품에 대한 인식과 기대를 조사하여 추후 진행될 다양한 연구의 기반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의 결과는 지속 가능하며 환경 친화적이고, 윤리적이고, 건강한 식생활 문화 발전을 위한 기초자료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Vegetarians are increasing worldwide. Vegetarianism is no longer just food-related, rather it evokes various meanings such as environmental sustainability and animal welfare. In the West, many studies examined vegetarians’ motivations, which related to animal, health, and environmental concerns. In South Korea, however, there is little research in this area despite the growing number of vegetarians. The aim of the <study 1> is to identify the hierarchical value maps (HVM) of vegetarians, understand more deeply why they are vegetarians, and investigate the dark side as well as the good. I conducted in-depth one-to-one laddering interviews with 33 vegetarians in South Korea based on means-end chain theory. Laddering technique is a qualitative approach to determine the linkages among attributes, consequences, and value. The results suggest that vegetarians tend to value on ethical life, sustainable future, ecological circulation system, responsibility for nature, respect for life, respect for the weak and quality of life. HVM differs slightly in groups by vegetarian type (vegans and non-vegan vegetarians), gender (females and males), and age (20s and 30s), but it was similar overall. The most dominant cognitive structures toward vegetarian foods were ‘meatless’, ‘no factory farming’, and ‘plant- based’ (attributes), ‘health’, ‘environment-friendly’, and ‘animal-friendly’ (consequences), ‘quality of life’, ‘ethical life’ and ‘sustainable future’ (values). This insight will help us understand vegetarianism especially in South Korea. Although vegetarians are increasing worldwide, both the total amount and average per capita consumption of meat is increasing. Thus, detailed insight into consumers’ perceptions, expectations, and attitudes towards plant-based food products can help promote plant-based foods settle and continue in the market. Hence, the purpose of the <study 2> is (1) to identify food choice motives, dietarian identity, (2)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 purchase behavior, and what attributes that vegetarians and omnivores expect of plant-based foods and (3) to identify differences between vegetarians and omnivores. I conducted an online survey of 245 vegetarians and 246 omnivores to collect data. The results suggest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vegetarians and omnivores. In the food choice motivation, vegetarian scored higher in the factors of ‘ethical concern’, ‘health’, and ‘convenience and price’, while omnivores responded higher in ‘sensory appeal’ and ‘weight control’ factors. In dietary identity, vegetarians scored higher in the ‘complex motivation’ and ‘strictness’ factors, on the other hand omnivores scored higher in ‘out-group regard’ and ‘public regard’ factors. More than half subjects take a positive view on plant-based food products, but some vegetarians thought ambivalent, and some omnivores had no opinion. For plant-based food products, vegetarians valued on ‘ingredient’ most importantly, whereas omnivores valued ‘taste’ the most. This study established the concept of cognitive structure on vegetarian diets by exploring the value system for vegetarians of Korean vegetarians. Also, this study identified the differences between vegetarians and omnivores. The results of this study could be used as basic data for research on Korean vegetarians. Ultimately,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advancing environmental, good for health and ethical plant-based food culture.

      • 포스트하위문화 관점의 한국 타투문화

        김가현 서울대학교 2019 국내박사

        RANK : 247631

        국내에서 타투문화는 이를 중심으로 파생되는 관광산업, 예술 및 컨텐츠 발달, 일자리 창출과 같은 상당한 규모의 경제적 효과와 문화적 발전이 기대되는 산업이지만 여전히 불법인 문화로 존재하고 있다. 타투문화는 현재 젊은 층에서 유행현상처럼 확산되고 있으며, 타투는 스타일 자체로 개인들의 미적 기호가 되었다. 의복, 액세서리, 메이크업 등 몸을 장식하는 다른 복식과 비교했을 때 타투가 갖는 가장 큰 특성은 지속기간이 상당히 길고 영구적일 수도 있다는 점이다. 이러한 특성 때문에 타투문화 향유자는 일반적인 복식문화를 향유하는 사람들과는 다른 동기와 의미가 있을 것이며, 타투문화는 현대사회의 새로운 현상으로 바라봐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현대사회에서 특수한 복식문화로서의 타투를 조명하여 개인들의 타투에 내재된 사회문화적 의미 및 타투문화 향유 현상을 심층적으로 이해하고자 하였다. 타투는 주로 소수문화 내에서 향유하는 문화였기 때문에 본 논문에서는 타투문화를 고찰함에 있어서 하위문화적 관점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사회·문화 환경이 변화함에 따라, 하위문화를 계급이나 인종, 젠더와 같이 주류문화로부터 뚜렷하게 구분되는 집단으로 보는 시각에서 나아가서, 최근에는 다양한 사회·경제적 배경을 가진 개인들이 취향에 따라서 모호한 경계의 집단으로 구성되는 것으로 보는 포스트하위문화 관점이 대두되며 관련된 분석을 이어가고 있는데, 이러한 관점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타투문화 현상을 바라보았다.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 타투문화의 사회문화적 의미를 실증적으로 밝힌다. 둘째, 포스트하위문화 관점에서 한국 타투문화의 특성을 도출한다. 연구문제 해결을 위해 문헌연구와 심층면접법을 병행한 질적 연구를 실시하였다. 문헌연구로는 국외 타투문화의 특성을 정리하기 위해, 1900년대 이후 발행된 연구논문과 단행본들 중 타투문화와 관련되는 문헌들을 선별하여 고찰하였으며, 영문으로 작성된 문헌 위주로 살폈다. 또, 포스트하위문화 관점들 중 타투문화를 해석하는데 적합한 Maffesoli와 Thornton의 이론들을 고찰하였다. 문헌연구를 통해 정리한 일반적인 타투문화의 특성 및 사회문화적 의미는 지배 담론에 대한 저항, 정체성의 표식, 무의식의 발현, 신체 장식으로 나타났고, 포스트하위문화 관점은 산발적 네트워크, 끼리끼리 모임, 유동적 참여, 일시적인 정서적 유대, 스스로 구별 짓기, 끊임없는 소수 찾기, 보여주기와 감추기의 일곱 가지 특성으로 나타났다. 정리된 특성들을 기반으로 반구조화된 질문지를 구성하여 실증하였다. 한국 타투문화의 사회문화적 의미로는 첫째, ‘지배 담론에 대한 저항’ 특성이 발견되었다. 세부 개념으로는 부모로부터 자유로운 몸의 의미를 지닌 타투 특성과 사회적으로 형성되어온 성적 담론에 대한 저항의 의미가 나타났으며, 특수하게 국내에서는 유교에 기반하여 형성된 몸에 대한 가치관 때문에 몸을 주체적으로 훼손한다는 데서 오는 저항적 가치가 더욱 강하게 나타나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국내에서 타투소유자들은 타투에 사회적으로 부여되는 다양한 상징을 선택하여 정체성을 찾아가는 모습을 나타났으며 이는 ‘정체성 찾아가기’ 개념으로 정리할 수 있었다. 특히 타투소유자들은 타투의 일탈적인 상징을 차용하거나, 감각적인 이미지로 변화를 꾀하거나 아티스트적인 이미지를 강화하기도 하며 정체성을 형성하는 모습을 보였다. 셋째, 타투는 현대인들의 내면으로부터 발현되는 정신적인 표출로 나타나기도 하였는데, 그들은 타투를 통해 내면을 다잡고 자아를 보호하였다. 또, 타투를 함으로써 그들은 스스로 몸을 통제한다는 사실을 내면화하여 주체성과 자신감을 얻고 자아의 성장을 꾀하였다. 이러한 정신적 요소들의 발현과 관련되는 사회문화적 의미로 ‘몸을 지배하는 힘’ 개념이 도출되었다. 넷째, 타투소유자들은 가장 기본적으로 몸을 장식하는 복식으로 타투를 사용하고 있었으며 ‘일상화된 액세서리’ 특성이 나타났다. 현대인들은 타투를 액세서리를 대체하는 하나의 패션 아이템으로 활용하고 있었고, 개인의 이미지나 평소의 의복 스타일과 어울리는 디자인을 선택하여 스스로를 치장하고 개성을 표출하였다. 이상의 고찰을 통해 국내 타투문화의 사회문화적 의미들이 국외 연구들에서 언급한 타투문화의 의미 및 특성들과 맥을 같이하며 나타나는 것을 확인하였다. 포스트하위문화라는 문화적 관점을 적용하여 도출한 한국 타투문화의 포스트하위문화적 특성은 동조를 통해 타투문화로 유입되는 양상과 관련되는 산발적 형성, 일시적 유대를 기반으로 유동적으로 타투문화를 향유하는 스트리밍적 참여, 타투문화 내에서 하위문화자본에 따라 씬을 구별하고 비주류를 좇는 하위문화 내 구별 짓기, 사회 내에서 타투의 노출을 조절하는 과정과 관련되는 일반인 코스프레로 나타났다. 첫째, ‘산발적 형성’의 경우 문헌에서 고찰한 포스트하위문화 특성 중 산발적 네트워크, 끼리끼리 모임과 맥을 같이 하며, 국내 타투소유자들이 특정 대상과의 동조를 통해서 타투문화에 유입하는 특성이 확인되었다. 그들은 동경집단과 정서적 공감, 또래문화와 지리적 전염, 무정부주의적 소셜 네트워킹을 통해 타투문화를 향유하게 되었고, 정서적 공감을 한 대상과는 동조에 따라 유사한 스타일이 나타났지만, 또래집단 내에서는 스타일과 관련한 동조는 미미하였으며, SNS 내에서는 특정 스타일이라기보다 콜라주 형식으로 취향에 따라 산발적인 동조가 일어났다. 둘째, ‘스트리밍적 참여’의 경우 포스트하위문화 특성 중 유동적 참여, 일시적인 정서적 유대에서 언급된 관점과 유사하게 나타났다. 본 특성의 세부주제로 일시적 머무르기, 표류적 넘나들기, 비일상적 유대 특성이 확인되었다. 타투소유자들은 타투문화에 몰입하기 보다는 필요에 따라 일시적으로 참여하였고, 그들이 향유하는 다양한 문화들 중 하나로서 타투를 향유하며 다양한 집단을 표류하였다. 특히 타 관심사로 응집한 집단에서 타투를 중심으로 새로 응집하기도 하며 집단이 중첩되는 현상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 그들은 주체적으로 몸을 재구성하는 타투를 했다는 공통된 경험이 있다는 것만으로 타 타투소유자들과 같은 단계에 있다고 느끼며 비일상적이고 일회적으로 유대를 경험했다. 셋째, ‘하위문화 내 구별 짓기’는 포스트하위문화 특성 중 스스로 구별 짓기, 끊임없는 소수 찾기에서 그 근거를 찾을 수 있었으며, 해당 특성을 통해 타투문화 내에서 하위문화자본에 따라 씬을 구별하는 양상을 확인할 수 있었다. 타투소유자들이 타투문화 내에서도 특정 타투들을 배척하는 모습이 나타나며 하위문화자본에 따른 배척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한편, 국내에서 타투가 대중화되는 양상을 보이자 하위문화자본이 높은 타투소유자들은 대중적인 타투로부터 멀어지려 애쓰며 영원한 비주류를 추구하였다. 넷째, ‘일반인 코스프레’ 특성은 비밀, 침묵, 가면으로 설명된 보여주기와 감추기 특성과 그 맥을 함께하며, 사회 내에서 타투소유자들이 타투 노출을 조절하여 일상에 참여하는 모습으로 설명되었다. 세부 내용으로는 팬덤의 상징물이 담긴 타투는 비밀과 침묵으로 작용하며 외부인은 그 내용을 알지 못하지만 서로는 알아볼 수 있다는 비밀스러운 팬덤 특성이 나타났고, 사회적 상황에 따라 타투소유자들은 타투를 은폐하고 타투가 없는 일반인의 모습으로 경제활동 및 일상에 참여하여 사회적 가면 쓰기의 특성이 확인되었다. 다섯째, 이 외에 한국에서 특수한 타투문화에 대한 새로운 특성이 확인되었는데, 이는 ‘소비적 타투시장의 형성’으로 정리하였다. 국내 타투시장이 과거에 비해 크게 활성화되며 여타 패션 상품 시장과 같이 상업화가 진행된 모습을 확인할 수 있었다. 우선, 국내 타투소유자들은 타투를 인스턴트식으로 소비하였다. 그들은 타투를 선택할 때 다소 즉흥적인 모습을 보였고, 의미를 많이 담기보다 기성품을 고르듯 소비하였다. 또한, 타투소유자들은 타투이스트를 쇼핑하는 모습이 나타났다. 현대의 타투이스트는 SNS 상에 그들의 작품 포트폴리오를 구축하여 고객을 모으며, 주로 인스타그램을 사용하였다. 타투소유자는 인스타그램 게시물을 표류하며 여타 복식 소비재를 쇼핑할 때와 유사하게 타투이스트를 쇼핑하는 모습이 나타났다. 한편, 국내에서 타투는 시술과 관련해서 구체적인 면허나 거래 관련 법안이 없기 때문에, 전 세계에서 유일하게 타투 무법지대로 통하는 불법 예술 시장이다. 현재 타투이스트들은 국내에서 타투 합법화를 추진하고 있는 가운데, 타투소유자들의 의견은 다양하게 분화되었다. 대부분의 타투소유자는 무분별한 가격 책정과 현금 거래 방식에서 벗어나고, 위생적으로 안전한 시술과, 도안에 대한 소유권을 보장받을 수 있는 소비자로서의 권리를 찾길 바라며 합법화에 동의하였다. 한편, 일부는 사회적 규제가 생길 시 초래되는 제한적인 예술적 표현, 대량생산, 상업화 등과 같은 부작용을 언급하며, 현재의 아슬아슬한 국내 타투문화의 지위를 즐기기도 하였다. 본 연구는 급변하는 사회 내에서 타투문화가 스타일 취향 문화로서 등장한 현상을 분석하여 현대 복식문화의 다양한 양상을 확인하였다는 데서 학술적 의의가 있다. 몸을 장식하고자하는 패션소비자의 욕구와 그들의 문화 향유 형태를 심층적으로 파악함으로써, 더욱 창의적인 패션 제품 개발과 관련 업계의 성장을 통한 국내 패션 시장의 확장을 기대할 수 있다. 또한, 사회를 구성하는 하위문화 일반의 현대적 특성을 타투문화에서도 발견하고 논의함으로써 문화 현상에 대한 이해를 넓혔다는 점에서도 의의가 있다. 특히 국내 타투산업은 불법 시술이라는 한계에 부딪혀 성장이 더딘 와중에, 타투문화 현상을 밝혀 타투가 더 이상 불량한 집단의 일탈이 아닌 현대 사회에서 필연적으로 나타나는 자기표현의 수단임을 학문적으로 제시함으로써, 타투 시술의 합법화에 기여할 수 있다. 타투 합법화를 통해 시술과 거래의 안정성을 보장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국내 패션·예술·문화 산업의 발전과 부수적인 관광산업의 발전까지 기대해볼 수 있을 것이다. In Korea, tattoo culture still exists as an illegal culture despite the fact that tattoo industry has potential to have significant economic effects and cultural development. Tattooing is now spreading in the younger generation, and it has become an aesthetic preference of individuals in its own style. Compared to other costume to decorate body such as clothing, accessories and makeup, the characteristic of tattoos is that they are permanent. Because of permanency, tattoo wearers might have different motives and meanings of wearing them than those who wear general costume, and tattoo culture should be looked at as a new phenomenon in this society. In this study, researcher tried to shed light on tattooing as a special costume culture in contemporary society to understand in depth the social and cultural implications inherent in individuals' tattoos and the phenomenon of participating in tattoo culture. Since tattooing was mainly a culture shared within subcultures, this paper has analyzed it from the subcultural perspective. As the social and cultural environment changes, the perspective of subculture as distinct from mainstream culture, such as class, race, or gander, has recently emerged with a post-subcultural perspective that individuals with diverse socio-economic backgrounds view as being composed of vague marginal groups according to their tastes. Therefore, the researcher empirically revealed the social and cultural implications of tattoo culture in Korea, and derived the characteristics of it from the perspective of post-subculture. In this research, a qualitative study was conducted using both literature and in-depth interview methods. To summarize the characteristics of foreign tattoo culture through literature research, the literature mainly written in English related to tattoo culture was selected among research papers and books published since the 1900s. Among post-subculture perspectives, the theories of Maffesoli and Thornton which are suitable for interpreting tattoo culture were reviewed. The characteristics and social and cultural meanings of the general tattoo culture compiled through the literature study were shown by resistance to dominant social discourse, expression of identity, expression of unconsciousness, and body decoration. The perspective of post-subculture was shown by the seven characteristics of sporadic network, grouping, fluid participation, temporary emotional bonds, self-distinction, pursuit of underground, display and concealment. Semi-structured questionnaires were constructed and demonstrated based on the organized characteristics. In the social and cultural meaning of tattooing in Korea, first, the characteristic “resistance to dominant social discourse" has been discovered. Detailed concepts showed the characteristics of tattooing with the meaning of independent body from parents and resistance to sexual discourse that has been socially formed. The resistance value that comes from self-damaging the body was even stronger in Korea because of the values of the body philosophy formed based on Confucianism. Second, Korean tattoo wearers were seeking identity by choosing various symbols that were socially attached to tattoo, which could be summed up as a concept of “seeking identity". In particular, They formed identity through borrowing the deviant symbols of tattoo, changing their images to sensuous identities, and strengthening their artistic images. Third, tattoos were also expressed as spiritual expressions from the inside of people today, who grasped the inside and protected themselves through tattoos. In addition, by tattooing, they internalized the fact that they controlled the body on their own, thereby gaining self-reliance and self-confidence. In the social and cultural meaning associated with the expression of these mental factors, the concept of “power of controlling the body” has been derived. Fourth, tattoo wearers were using tattoos as the most basic body-decorating costume, and the “everyday accessories” feature appeared. Contemporary people were using tattoos as a fashion item to replace accessories, and chose designs that matched individual images or ordinary clothing styles to dress themselves and express individuality. The post-subcultural characteristics of Korean tattoo culture are as follows. First, among the post-subculture characteristics considered in the literature, the characteristics of the "sporadic formation" are consistent with the concepts of sporadic network and grouping, and the characteristic of tattoo wearers entering tattoo culture in sympathy with specific objects has been identified. They shared tattoo culture through emotional empathy with the reference group, geographical transmission with peer culture, and anarchistic influence in social networks. Second, in the case of “‘streaming’ participation”, it was similar to the view mentioned in the context of fluid participation and temporary emotional bonds among the characteristics of post-subculture. Temporary participation, various group drift and non-usual bond characteristics have been identified by the detailed themes. Rather than immerse themselves in tattoo culture, tattoo wearers participated temporarily as needed, and wandered various groups, considering tattoo as one of the various cultures they participate. They also felt that they were at the same stage as the tattoo wearers just because they had a common experience of body modification, and felt an unusual and temporary bond. Third, “distinction within subculture" found its basis in self-distinction and pursuit of underground. Through this concept, it is possible to identify scenes according to the subcultural capital within tattoo culture. Tattoo wearers are also seen ostracizing certain tattoos within the tattoo culture, indicating that there is a distribution based on lower subcultural capital. Meanwhile, as tattooing became popular in Korea, tattoo wearers with high subcultural capital sought underground constantly, trying to distance themselves from popular tattoos. Fourth, the “costume-playing ordinary” characteristic shared the concept with the characteristic of display and concealment described by secrets, silence, and mask. Tattoo wearers controlled tattoo exposure in society and took part in daily life. The details showed that tattoos with the symbol of fandom acted as secrets and silence, and that outsiders did not know the contents but group members could recognize each other. Also, according to social situations, tattoo wearers covered up tattoos and participated in economic activities and daily life as ordinary tattooless people. Fifth, other characteristic of tattoo culture in Korea has been newly discovered, the “formation of consumer tattoo market.” First of all, tattoo wearers consumed tattoo instantly. They appeared rather impromptu when choosing tattoos, and rather consumed them as if they were choosing an ready-made goods than carrying much meaning. Second, tattooists today have amassed customers by building a portfolio of works on Instagram, while tattoo consumers are shopping for tattooists. Third, Korea is the only country in the world that goes without specific licensing or transaction-related laws on tattooing. While tattooists are now seeking to legalize tattoos here, opinions of tattoo wearers have diversified. Most of them agreed to legalize, hoping to break away from reckless pricing and cash transactions, and seek hygienic safe procedures and consumer rights to secure copyright of the design. On the other hand, some enjoyed the current status of the tight domestic tattoo culture, referring to side effects of ligalization such as limited artistic expression, mass production and commercialization that would result from the social regulations. This study has academic significance in that it has identified various aspects of contemporary costume culture by analyzing the phenomenon of tattoo culture appearing as style culture within a rapidly changing society. By taking a deeper look at the desire of fashion consumers to decorate their bodies, one can expect to see more creative fashion product development and expansion of the domestic fashion market through the growth of related industries. There is also significance in that we have expanded our understanding of cultural phenomena by discovering and discussing the post-modern characteristics of the subculture general that make up society in tattoo culture. In particular, while the domestic tattoo industry have low growth due to the limitations of illegal procedures, it can contribute to legalization of tattoo procedures by revealing the phenomenon of tattooing culture, suggesting that tattoos are no longer a means of deviation but a means of self-expression in contemporary society. Through legalization of tattoos, not only the stability of procedures and transactions are ensured, but also the development of the fashion, arts and cultural industries in Korea and the development of the incidental tourism industry can be expected.

      • 元末, 奇皇后의 政治的 位置와 그 影響 : 원말, 기황후의 정치적 위치와 그 영향

        김가현 수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고에서는 공녀의 신분에서 황후의 자리에 까지 올라간 기황후에 대하여 알아보고, 그녀는 그러한 자신의 정치적 위치에서 어떠한 역할을 하였으며, 중국이나 고려에 어떤 영향을 끼쳤는가에 관하여 알아보고자 한다. 또한 선행된 연구들을 참고하여 일반적으로 부정적으로만 알려진 기황후의 긍정적인 부분에 대하여 정리해 보려고 한다. 기황후는 1333년 고려출신 환관에 의하여 순제에게 소개되었다. 1340년 2월 백안이 조카 탈탈에게 축출되자 그녀는 1340년 4월 제2황후가 될 수 있었다. 기황후는 자신의 아들인 애유식리달납을 황태자로 책봉하고자 하였다. 그러기 위해서는 먼저 재정적인 수단을 확보해야만 하였다. 그리하여 기황후와 고려출신 환관들은 1340년 12월 자정원을 창치하여 그들의 세력기반을 더욱 확고히 하게 된다. 1365년 8월에는 백안홀도 황후가 서거하자 기황후는 같은 해 12월에 정후로 책봉되었다. 또한, 애유식리달납은 1370년에 황제가 되어 북원의 소종으로 1378년까지 재위하였다. 기황후는 한국 역사상 유례가 드물게 외국의 황후가 되었으며, 자신의 자손들을 북원의 황제로서 그 지위를 이어받게 하였다. 또한 그녀는 자신의 탁월한 정치적 감각을 이용하여 정치에도 적극 간여하였을 뿐만 아니라 자신의 신앙인 불교를 위하여 불사도 적극 후원하였다. 하지만 그녀의 이러한 적극적인 정치 및 사회활동 참여에도 불구하고 그에 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한편 기황후의 기록은 대부분 부정적인데, 이와 같은 부정적인 자료는 기황후를 객관적으로 평가하는데 한계가 있을 수 있다. 그러므로 앞으로는 이 점에 유의하여 부정적으로만 인식되었던 그녀에 관한 재평가를 내려야하며, 국내에서 이루어진 연구 외에도 중국 내에서 이루어진 연구 성과를 조사하여야 한다. 그리하여 기황후에 관한 폭넓은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기를 기대해본다. This Study tries to scrutinize who Empress Gi, who upgraded her position from a workwoman to empress, was, what roles she did in her political position, and what effects she had on Goryeo and China. And with pre-studies consulted, I arrange the positive parts related to Empress Gi - there were mostly negative parts about her so far. Gi had the most dogmatic and practical power at the imperial household of Yuan. She was introduced to Sun Emperor for the first time by the medium of an eunuch from Goryeo in 1333. When Danachiri, the first Empress of Sun, was killed by Bayan because of her participation of conspiracy case, Gi came near to be installed to a formal Empress. The restraint of Bayan, however, obstructed the installation. Thereafter, as Bayan was driven out by his nephew, Toghto, in 1340, the political situation was changed sharply and Gi could be installed to the second Empress on April of 1340. Gi tried to install her son, Ayuushridar, to the Prince Imperial. In order to do that, she had to secure a financial means first. So, Gi and eunuches from Goryeo founded Jajeongwon on December of 1340 and could secure the base for their power more firmly. When Bayan Qutuq Empress died on August of 1365, Gi could be installed to the formal empress on December of the same year. In addition, Ayuushridar became an emperor in 1370 and was on the throne until 1378 as Bilegt Qan of North Yuan. Uncommonly of the Korean history, Gi became a empress of foreign country and made her descendants take the positions of emperors of North Yuan. She not only involved actively in political field using her excellent political sense, but also supported the Buddhist temples generously for her own religion, Buddhism. But, though her active participation on politics and social activities, there have never been many studies on Gi Empress so far. On the other hand, most records regarding Gi have been on negative views, so the negative materials can have limitation in evaluating Gi objectively. Therefore, with this negative attitude regarded, from now we have to reevaluate her recognized negatively. Besides the studies at home, we have to examine the study establishments fulfilled in China. Subsequently, it is expected that we study on Gi Empress more broadly and active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