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아동문학 중심 교과 통합 수업 방안 연구 : KDB모형을 적용하여

        이효성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8703

        이 연구는 초등 국어 교육이 통합 교육 시대에 발맞춰 나아갈 교육적 실천의 한 방향으로 아동문학 중심 교과 통합 수업 방안을 마련하는데 목적이 있다. 초등 국어 교육은 고유의 정체성에서부터 교과 통합을 위한 특성을 내재하고 있다. 왜냐하면 초등 국어 교육은 초등학생의 언어 발달, 상상력 발달, 독서 능력 발달, 현대인의 삶의 역량으로서 국어 능력 향상 등 학습자 요인을 고려하여 교육 내용을 설계하고 실행하는데 중점을 두고 있기 때문이다. 그래서 교과를 통합하여 가르치면 더욱 효과적으로 초등국어교육을 할 수 있다. 특히, 언어 기능은 학습자의 삶 속에 통합 되어 존재하며 언어는 근본적으로 상황과 관련된 것인데, 상황을 강조하기 위해서는 아동문학 중심 교과 통합이 필요하다. 또한, 통합은 학습의 양을 감축시켜 학습의 효율성을 높인다는 점에서 초등 국어과 교수 학습 방법으로 필요하다. 아동문학은 학습자의 흥미를 복돋우며, 학생들의 생활과 학습을 연관시킨다. 또한 이것은 읽기와 쓰기 기능을 가르치는 데 유익하고 유용할 뿐만 아니라, 사회나 과학 및 다른 내용 영역의 이해를 도와준다. 이처럼 아동문학은 학습을 보다 더 깊은 이해와 의미로 나아갈 수 있는 길을 마련해 준다는 점에서 교과 통합을 위한 가장 강력한 수단이 된다. Drake(2007)의 KDB모형은 국가 수준에서 제시하는 교육과정의 전체적인 모습을 파악하는 데 유용할 뿐만 아니라, 통합 학습을 위한 주제를 찾고, 찾은 주제를 중심으로 통합 수업을 설계하고 실행하는 일련의 절차를 일원화하여 제공하고 있다는 점에서 아동문학 중심 교과 통합 수업 설계에 적절한 교수학습 방안이다. 아동문학 중심 교과 통합 수업을 현장에서 실현하기 위한 방안으로 Drake(2007)의 KDB모형을 적용한 아동문학 중심 교과 통합 수업 방안을 제안하고 수업을 운영하여 특성을 고찰했다. KDB모형을 적용한 아동문학 중심 교과 통합 수업 방법은 아동문학 작품과 교과 간 성취 기준의 연계, 학습 목표의 통합, 학습의 효율성 강화, 학습과 학습자의 경험 일치, 실제 과제 수행력 강화를 위한 실제성 강화, 탄력적 시간 운영, ‘단원’ 중심 수업 설계의 특성을 지닌다. 이는 실제 KDB모형을 적용한 아동문학 중심 교과 통합 수업을 설계하고 적용하는데 중요한 기준으로 작용한다. KDB모형을 적용한 아동문학 중심 교과 통합 수업 방안을 마련하고 실제 적용하여 결과를 분석한다. 먼저, 2009개정 초등학교 6학년 1학기 교과서를 분석하고, 이와 관련된 교육과정 성취 기준 및 내용 요소를 확인한다. 초등학교 교과 및 창의적 체험활동의 교육과정과 교과서를 수평적 및 수직적으로 훑어본 결과, 6학년 1학기 아동문학 중심 교과 통합 수업과 관련 있는 교육과정은 국어, 사회, 도덕, 미술, 수학, 창의적 체험활동이다. 이들 교육과정에서 공통적으로 다루는 간학문적 개념은 ‘상호 의존성’이었으며, 간학문적 기능은 ‘협력’, 인성 요소는 ‘사랑’ 이다. 이러한 세 가지 요소에 기초하여 교과 통합의 주제를 ‘크고 아름다운 사랑’으로 정하고, 학생들의 발달단계에도 맞고 주제를 가장 잘 담고 있는 아동문학 작품으로 ‘나비를 잡는 아버지’를 선정하여 이를 중심으로 교과 통합 프로그램을 설계하고 적용한 후 결과를 분석한다. KDB모형을 적용한 아동문학 중심 교과 통합 수업은 학습자의 문화 예술 향유 능력 신장, 의사소통 능력, 문제 해결 능력, 정보처리 능력, 대인관계 능력 등 국어과를 통해 기르고자 하는 능력들을 골고루 발달시킨다. 또한 학습자를 학습에 몰입하게 하고, 다양한 맥락을 통한 학습은 교수학습 이해력을 높여 학습을 효율적으로 이끌 수 있다. 무엇보다 국가 수준 교육과정에 기초한 통합 교육과정 설계 모형인 KDB모형을 적용함으로써 공교육 안에서 체계적인 교과 통합 수업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그리고 서로 다른 교과 교육과정의 상호 중복 요소를 해소함으로써 교육의 질과 경험을 풍부하게 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의의를 찾을 수 있다.

      • 한국 아동문학의 알레고리 연구 : 이원수와 마해송 동화의 공간과 인물을 중심으로

        우미옥 명지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박사

        RANK : 248703

        Allegory is defined in the dictionary as the alluded expression to something, and is referred to rhetoric which has the different meaning from the expression. Allegory had been perceived as a low-grade and simple rhetoric without the proper recognition of its values since Romantic period, but it has started to attract the notice as the appropriate method to express the 21 century of the fragmentization and deconstructive which are not able to understand with the integrated and general thoughts in the modern society. Allegory has been used mostly for the delivery of the didactic moral meaning through fables as well as the figuration of the character through the personified abstract notions. Children's literature is closely related with allegory because it is deeply rooted in old stories using a lot of fables or personifications. In addition, it coincides with characteristics of allegory in terms of its morality, simplicity, suitability, and reality as well as the animistic characteristic of children. In this study, I tried the meaningful interpretation of allegory for children's literature to find the fadeless meaning of it beyond time and space, and reviewed the relation between children's literature and allegory. As for children's literature in Korea, I focused on works of Lee, Won su and Ma, Hae song who are called as 2 biggest stems of children's literature history in Korea, and analyzed more on space and characters which have strong tendency on allegory among their works. In Lee, Won su's works, the fantastic space of allegory is not insulated from the reality, but it is the space to suggest an alternative by critical of the reality with its communication. The pursued life in this space is the life of community in solidarity with each other with self-sufficiency. Another fantastic space is the space of healing and love which could be reached after judgment and punishment against sins in reality. Beyond the fantastic space, there is the space which we might face with problems of the real life and so we return to the real life again at the end. In personificated works with the nature and animals, the space of the regeneration is set up to gain a life again through the space of regeneration and resurrection by a character in death and despair. In space of plants and animals, personified stories with plants and animals suggest how to gain the eternal life with new life as well as gives us the warning of risk about the real life. In Lee, Won su's literature for children, characters in pursuit of socially equal community appear to stand against the contradictory reality which is unequal and unbalanced. The independent characters for the freedom and independence out of existing wrong values and regulations are used as figures for the hope of new age. Characters personified with animals and plants are forced to sacrifice by the outside force, but they come to reach the enlightenment of love and devotion through it. Those lives and deaths of characters suggest new meaning of the death out of the dichotomy between life and death. In the fantastic space of Ma, Hae song's literature for children, characters in real life are transformed to describe as humorous and satirical. They are mostly focused on groups rather than individuals, and allegory about individuals damaged by group's values as well as dependant people swayed here and there by the power. It warns with the tragic results about the destruction of individuals in the end, if they cannot acquire independence from it. In personified fairy tales with plants, characters full of hope and vitality appear and push up objects represented by non living things or exiting power with new vitality in order to suggest the hope for the future by showing the process of opening the new world. Children's literature in Korea was formed under the space and the time of the social turbulence with chaos and disorder, and so overcoming the gap between the reality and fiction was a big challenge. In such a turbulent period, Lee and Ma who played the role of locomotives in our children's literature, utilized allegory as main writing methods in fairy tales with the fantastic spaces and personified fairy tales with animals and plants. We could see their constant search on the balance between abstract notions of real experiences and understandable concrete figurations by children by using allegory. The methodology of allegory as reflection and overcome of the reality can renew the meaning of children's literature beyond time and space. Our future challenge of children's literature is to create global works by succeeding and developing the methodology of allegory in children's literature of Lee and Ma. 알레고리란 다른 것에 빗대어 표현한다는 사전적 의미를 갖고 있으며, 표현하고자 하는 것과 의미하는 것이 서로 다른 수사법을 말한다. 알레고리는 낭만주의 시대 이후에는 저급하고 단순한 수사법으로 인식되어 그 가치를 인정받지 못했지만 현대에 들어와서는 통합적이고 총체적 사고로 이해 불가능한, 파편적이고 해체적인 21세기를 표현할 적절한 방법으로 인식되면서 주목을 받기 시작했다. 알레고리는 주로 우화에서 교훈적인 의미를 전달하기 위한 방법으로 사용되었으며, 추상 관념을 의인화의 방법을 이용하여 인물로 형상화하는 데 주로 활용되었다. 아동문학은 우화나 의인화 기법을 많이 사용하는 옛이야기에 그 뿌리를 두고 있기 때문에, 알레고리와 밀접한 관계를 갖는다. 또한 아동의 물활론적인 특성과 더불어 아동문학의 특성인 교훈성, 단순성, 적합성, 현실성은 알레고리가 갖고 있는 특성과도 부합된다. 본고에서는 아동문학의 알레고리가 담고 있는 의미 해석을 시도하여 알레고리로 창작된 아동문학이 시간과 공간을 넘어서도 퇴색되지 않는 의미를 갖고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아동문학과 알레고리의 관계를 검토하였다. 우리나라 아동문학의 알레고리 연구를 위하여 우리나라 아동문학사의 큰 줄기인 이원수와 마해송 두 작가의 작품들 중심으로 다루었으며, 두 작가의 작품 가운데 알레고리 성향이 짙은 작품들을 대상으로 공간과 인물을 중심으로 알레고리를 분석하였다. 이원수 작품에서의 알레고리적 환상 공간은 현실과 단절되어 있지 않고 현실과 소통하며 현실을 비판적으로 바라보며 대안을 제시하는 공간이다. 이 공간에서 추구하는 삶은 서로 연대하는 공동체의 삶과 자급자족하는 생활이다. 또 다른 환상 공간은 현실에서 저지른 죄에 대한 심판과 형벌을 거친 뒤 다다르는 치유와 사랑의 공간이다. 환상 너머의 공간은 결국에는 다시 현실로 되돌아와 현실의 문제와 대면하는 공간이다. 자연과 동물이 의인화된 작품에서는 죽음과 절망에 처해 있던 인물이 재생과 부활의 공간을 거쳐 다시금 생명을 얻게 되는 재생의 공간이 설정되어 있다. 식물적 공간과 동물적 공간에서는 의인화된 식물과 동물의 이야기를 통해서 새로운 삶과 영원한 생명을 얻는 방법을 제시하며 동시에 현실의 위험성을 경고한다. 이원수 동화에는 사회적으로는 평등한 공동체를 지향하는 인물이 등장하여 불평등하고 불균형한 현실 사회의 모순적 현실과 대면하고 맞선다. 기존의 잘못된 가치와 규율에서 벗어나 자유와 독립을 향한 주체적 인물을 새로운 시대를 위한 희망의 인물로 내세운다. 동식물을 의인화한 동화의 인물들은 외부의 힘에 의해 강제로 희생되지만 결국에는 그 안에서 사랑과 헌신의 깨달음에 이르게 된다. 이러한 인물들을 통해 삶과 죽음의 이분법에서 벗어나, 죽음의 의미를 새롭게 제시한다. 마해송 동화에서의 환상 공간은 현실의 문제점을 드러내어, 현실 사회와 정치에 대한 비판과 풍자가 이루어지는 공간이다. 또한 평화롭고 소박한 공간이 강한 외부 세력에 의해 약탈당하고 점령당해가는 과정을 보여준다. 경제 침략과 영토 점령으로 인해 벌어지는 현실적 상황들이 투영된 알레고리 공간으로 볼 수 있다. 여기에 의인화 기법과 전래동화적 구성을 바탕으로 대립적인 공간을 구성하여 공간 사이의 갈등과 긴장을 통해서 주제를 표출한다. 동식물을 의인화한 동화에서는 삶의 순환과 생명의 공간을 형성하여, 자연의 흐름과 순환을 통해 승리하는 생명의 힘을 보여준다. 마해송 동화에서는 현실의 인물들이 해학적이고 풍자적인 모습으로 변형되어 나타난다. 주로 개인보다는 집단이 중심이 되는데, 이는 집단의 가치에 훼손되어 가는 개인과, 주체성 없이 권력에 이리저리 휩쓸리는 사람들에 대한 알레고리이다. 결국 비극적인 결말을 통해 개인으로서의 정체성을 획득하지 못할 경우 파멸하게 될 것임을 경고한다. 식물 의인 동화에서는 희망과 생명력이 충만한 인물들이 등장하여 무생물 혹은 기존 권력으로 대변되는 것들을 밀어올리고서, 새로운 생명력을 발휘하여 새로운 세상을 열어가는 모습을 보여줌으로써 미래에 대한 희망을 제시한다. 우리나라 아동문학은 사회적 격동기라는 혼돈과 무질서의 시공간에서 형성되었으며, 그렇기 때문에 현실과 허구 사이의 괴리를 극복하는 것이 큰 과제였다. 이러한 격동의 시기에 우리나라 아동문학의 견인차 역할을 했던 이원수와 마해송은 환상 공간을 설정한 동화와 동식물을 주인공으로 한 의인 동화에서 알레고리를 주요 창작 방법으로 활용하였다. 이원수와 마해송은 알레고리의 활용을 통해 현실 경험에서 추출된 추상적 관념과 아동이 이해 가능한 구체적 형상화 사이의 균형에 대한 끊임없는 모색을 해 왔다. 현실의 반영과 극복으로서의 알레고리는 시․공을 넘어서도 아동문학 작품이 지닌 의미를 새롭게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앞으로의 아동문학의 과제는 이원수와 마해송 동화에서의 알레고리적 방법론을 계승 발전시켜 세계적인 작품을 창작해 내는 일이다.

      • 아동문학을 활용한 효과적인 초등 영어교육 : 6학년 학생을 중심으로

        방경아 서울産業大學校 産業大學院 2006 국내석사

        RANK : 248703

        어떤 하나의 언어를 제대로 학습하기 위해서는 언어의 기호학적 지식뿐만이 아니라 그 언어를 사용하는 사람들의 사고방식을 알아야만 한다. 또한 흥미로운 내용과 방식이 아니라면 아동들의 관심을 끌 수 없어 초등영어를 좀 더 효과적으로 지도하기 위해 여러 장르의 아동문학을 활용할 필요가 있다. 아동문학은 다양하고 풍부한 간접체험의 기회를 제공해줄 뿐만 아니라 상상력과 호기심, 창의력을 자극하여 학습의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으므로 이러한 아동문학의 활용 방법에 대해 연구하여 보았다. 자연적 교수법과 총체적 교수법이 그 이론적 토대가 되며 Oller의 에피소드 가설로부터 이야기(아동문학 포함)교수법이 발달되었다. 그리하여 3장에서는 이러한 이야기교수법을 성공적으로 하기 위한 이야기자료 선정의 일반 원칙, 수업에서의 활용 방안, 개작의 원리와 방법 및 이야기 활용 수업 모형에 대해 알아보았다. 현재 우리나라에서도 전래동화나 창작동화를 활용한 영어교수학습이 많이 연구되고 실행되고 있으나 학년특성이나 흥미도에 대한 고려가 부족하고 기존에 많이 소개된 전래동화와 창작동화의 활용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 이에 본 연구자는 4장에서 초등 6학년을 대상으로 6학년의 발달특성 및 흥미도를 고려하여 좀 더 다양한 장르의 문학자료(이야기)를 선정하여 제시하였으며 교실에서의 실제 교수 방법의 예를 제시했다. 본 논문은 실제 현장에서의 적용을 해 보지 못한 한계를 안고 있다. 그러나 EFL 상황에 있는 우리나라 아동들에게 아동문학을 활용한 영어교육은 필수적이다. 그러므로 수업절차나 평가방법 등이 더욱 구체적으로 연구되어야 하며, 정규 교육과정에 더욱 반영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학교나 공공도서관의 영어교육에 대한 지원이 더욱 필요하다. The primary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examine the children's literature which can be used in language learning, and to investigate how to take advantage of it in teaching English in Korean elementary school. Lately, the importance of teaching English through storytelling and reading has been increased. In order to maximize the positive effects of using children's literature in teaching English, it is desirable to find out the effective teaching methods and techniques. To attain the objective above, the following chapter presents the theoretical background which is fundamental to teaching English through storytelling and reading. A few teaching methods such as Natural Approach and Whole Language Approach can be found in this chapter including the hypothesis which is the basis for teaching method using stories. In addition, the merits of using children's literature in EFL classrooms are commented. In the third chapter, the definition and the various genre of the children's literature are presented. It is of great importance for the teacher to choose the appropriate stories considering children's developmental stage and their interests. And the standards for selecting and adapting stories are also provided. In Chapter Four, I try to deal with the way of using children's literature for the 6th grade. To choose the appropriate stories, the distinctive features of the 6th grade and the rate of their interests in children's literature are investigated. Here I present some stories and a teaching plan for the 6th grade as a model. Finally Chapter Five summarizes the discussions in the previous chapters and draws a conclusion of this study. Some ideas related to teaching English through children's literature in elementary school are suggested here. The results of this study lead me to the conclusion that using children's literature has a great deal to do with learning a foreign language. And it is shown that the learners want to read more informative and realistic stories including folk tales. As a result, not only teacher's effort and passion but also the assistance of the education system is necessary for successful English teaching.

      • 아동문학을 활용한 수학의 지도에 관한 연구

        선종희 인천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0 국내석사

        RANK : 248703

        수학교육의 중요한 목적 중 하나는 수학 학습에 흥미와 자신감을 가지게 하는 데에 있다. 그러나 최근의 수학 성취도 국제 비교 연구 결과에 의하면, 우리 나라의 대다수 학생들은 수학 학습에 대해 큰 흥미를 느끼지 못하고 있으며, 수학에 대한 자신감 역시 결여되어 있다. 또한 이를 극복하기 위한 교사의 지도도 어려운 실정이다. 본 논문의 목적은 아동 문학을 활용한 수학 수업을 통해 실제로 아동들이 보여주는 수학교육적인 시사점들을 발견해 냄으로써, 아동 문학을 활용한 수학의 수업이 수학교육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밝히는데 있다. 다양한 상황에서 수학이 활용됨을 느끼고, 자연스럽게 수학적 개념을 배우며, 흥미 있게 학습에 참여하면서 자신감과 긍정적 수학 학습관 형성에 도움을 줄 수 있는 가능성을 찾아보고자 하였다. 이러한 취지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수학 교수-학습에 활용 가능한 아동 도서들을 찾아 제시하고, 이를 수업에 적용 및 분석을 한다. 연구를 위한 아동 도서는 수학에 대한 교육적 관점에 따라 선정하였다. 먼저 우리 나라에서 출판되는 도서 중 짧고 재미있으며 수학적 사고를 기를 수 있는 암시를 지닌 책을 찾았다. 그 중 초등학교 1~6학년 교과서 내용과 관련지을 수 있는 것끼리 묶어 보았다. 이에 따라 해당 학년의 관련 단원과 차시를 찾아 어떤 방식으로 이용할 것인가를 분석하였다. 연구를 위한 수업은 1999년 9, 10, 11월 중 2학년 2학기 「1. 곱셈」 단원과 「5. 여러 가지 문제 (1)」 단원에서 각각 2차시씩 실시하였다. 아동의 활동 분석을 위해 수업의 전 과정을 녹화하고 프로토콜을 작성하였다. 그리고 아동의 반응과 활동 관찰 및 수업 후 기록한 소감문을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초등학교 2학년 교실에서 실시한 수업에서 다른 때와는 다른 점들을 살펴 볼 수 있었다. 수학을 재미있게 공부 할 수 있게 되었다는 소감문의 의견들이 많았고, 발표하려고 손드는 아동의 수도 많이 늘었으며 그 발표 내용도 다양하였다. 둘째, 소집단 의사 교환 활동에서 실험 수험이 계속 될수록 자신이 말하는 수학적 개념이나 현상을 유창하게 표현하는 어린이들의 모습이 관찰되었다. 셋째, 4차시의 실험수업을 전개한 바로는 일반적인 아동 문학보다는 수학 학습 전용 아동 문학을 활용한 수업에서 위에서 제시한 반응들이 더 컸다는 점이다. 또한 책을 한 장 한 장 넘길 때마다 삽화에 대한 궁금함이 무척이나 큰 것을 그들의 반응을 통해서도 알 수 있었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로부터 다음의 결론을 도출 할 수 있다. 어린이들이 동화를 이용한 수학의 수업에 높은 관심과 흥미를 가지고 있음을 볼 수 있었다. 또한 의사 소통 능력에도 향상을 가져 왔다. 그러나 수학 수업에 비교적 활용이 쉬운 수학 학습 전용 아동 문학의 수는 그리 많지 않다는 점이다. 또한 일반 아동 문학을 이용하기엔 들이는 시간과 노력이 한층 더 요구된다. 본 연구는 실천 기간이 짧아, 일반적인 결과를 얻었다고 보기 어렵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미흡한 사항을 보완한 이 분야의 지속적 연구가 요청된다. One of the important purposes of mathematic education is making students have interest and confidence in learning it. But due to the latest comparative research of math accomplishment in some nations, Korean students hardly have interest and confidence in learning math. And guidance for overcome this is under difficulties. In my thesis, I want to find and solve the current problems of math education through the classes availing of children's literature. With such classes, students know that math is available in various situations. And they learn mathematic concepts naturally with interest. Thus they have confidence and affirmative view of learning math. According to such an opinion, I presented some juvenile books here and applied them to classes. The books was chosen due to the pedagogic view about mathematics. I presented some short and interesting books which suggest mathematic thinking and are related to the textbooks of elementary school (from the first to the sixth grade). I analyzed how to use the books according to the related units and sequence of each textbook. I gave two research classes for each 「1. Multiplication」, 「5. Exercise(1)」 of last term in the second grade in Sept., Oct., Nov. of .1999. I recorded the experimental classes on video tape and made a protocol to analyze students' activities. I met the following results with students' expression and impression after the class. 1. I can find some differences than usual. Students are getting more interested in learning math. Many students want to express their opinions. And the expressions are very various. 2. Students express more fluently their mathematic concepts and phenomena as the experimental classes continue. 3. Due to the experience of experimental class four times, it is more helpful for students to have a class with exclusive juvenile books using of math than general ones. As they read the books, their curiosity for illustration is higher. As the above, students have more interest and improved communication in learning math with juvenile books. But it is hard to avail juvenile books in learning math because of little quantity. And we need more time and effort to use general juvenile books. Unfortunately, it is hard to say that this thesis has general results because of the short experimental time. So the continuous study is needed for the supplement of insufficiency.

      • 한국 아동문학에 나타난 카니발적 특성 연구 : 2000년대 이후 동화를 중심으로

        서은혜 건국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8703

        이 연구의 목적은 2000년대 이후에 발표된 한국 아동문학을 카니발적 특성으로 고찰하는 데 있다. 2000년대는 아동문학이 여러 측면에서 변화를 맞이한 시기이다. 이 시기의 아동문학은 부흥기로 불리는 1990년대를 거쳐 영역이 확대되었고, 작가의 양식과 기법 또한 다양해져서 다층적인 모습을 보이게 되었다. 주제 역시 자연, 생태, 환경, 문화, 과학, 예술, 교양 등 풍부하게 다루어졌다. 이와 더불어 아이들의 인권, 교육, 복지 등에 관심이 높아졌지만, 그럼에도 아이들을 어리고 미성숙한 존재로 보는 시선이 지배적이었다. 하지만 2000년대의 아동문학은 아이들이 욕망을 드러내고, 어른들의 규범을 전복시키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어 눈길을 끈다. 계몽적이고 교육적이던 아동문학은 이제 아이들에게 즐거움과 전복을 통한 해방감이라는 새로운 통로를 제시하고 있는 것이다. 이에 본고에서는 현시대를 살아가는 아이들의 상황을 더욱 직접적으로 포착하기 위해, 2000년대 이후에 발표된 한국 아동문학을 러시아의 문학 이론가 미하일 바흐찐(Mikhail Bakhtin)의 카니발 이론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고에서는 카니발적 특성을 인물, 광장, 전복과 아이러니의 세부 항목으로 구분 짓고, 현재까지 활발한 활동을 하고 있는 다양한 작가들의 동화 아홉 편을 예시 작품으로 선정하였다. 위의 연구 결과로 2000년대 이후에 발표된 아동문학에는 다양한 측면에서 카니발적 특성이 구현되고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이는 지배세력으로부터 억압받는 아이들에게 일시적으로나마 전복적인 힘을 부여해 즐거움과 해방감을 느끼게 해주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 아동문학 활용 리터러시 활동이 초등 학습자의 영어 발화와 비판적 사고력에 미치는 영향

        박경진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48703

        본 연구의 목적은 아동문학 텍스트를 활용한 리터러시 활동이 초등 학습자의 영어 발화 능력과 비판적 사고력에 미치는 효과를 탐구하는 것이다. 이때 리터러시 활동은 단순히 글을 읽고 쓰는 것을 넘어 텍스트와 세상에 대하여 성찰하고 더 나은 세상을 만들기 위한 실천 방안을 모색하여 재구성하도록 하는 비판적 리터러시 활동을 중심으로 하였다. 비판적 사고력은 비판적 사고 기능과 성향으로 나누어 각 요인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궁극적으로 영어 발화와 사고력 향상의 상호 발전 양상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그리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교육 현장에서의 활용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다음의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아동문학 텍스트를 활용한 리터러시 활동이 초등영어 학습자의 발화 능력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둘째, 아동문학 텍스트를 활용한 리터러시 활동이 초등영어 학습자의 비판적 사고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셋째, 비판적 사고 기능 향상 및 성향 변화는 초등영어 학습자의 영어 발화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가? 연구 문제에 답하기 위하여 초등학교 5학년 31명을 대상으로 1학기와 2학기에 걸쳐 아동문학 텍스트를 활용한 리터러시 수업을 진행하고 수업 활동지, 저널, 비판적 사고 성향 검사지, 소감문, 면담, 교사 일지 등을 비롯한 다양한 자료를 수집하여 양적 및 질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아동문학 텍스트를 활용한 리터러시 활동을 통해 참여 아동들의 영어 발화 능력이 향상되었다. 먼저, 텍스트 읽기는 발화를 위한 입력원이 되었는데 리터러시 활동을 통한 영어 읽기는 아동들의 읽기 이해도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어 이를 기반으로 발화를 준비할 수 있었다. 즉, 아동들은 그림 묘사하기, 요약하기, 비교하기 등의 여러 가지 읽기 전략을 사용하면서 맥락에서의 이해를 추구하는 읽기를 할 수 있게 되었고, 이를 통해 발화의 기반을 마련하였다. 또한 텍스트를 입력원으로 활용하여 영어 발화를 시작할 수 있었다. 음성 언어 발화 측면에서 상호작용 양상을 중심으로 아동들의 음성 언어 발화를 분석한 결과, 다양한 활동을 통해 일대다, 일대일, 자유형 등과 같은 여러 유형의 상호작용을 시작할 수 있게 되었다. 그리고 실험 수업의 후반부로 갈수록 음성 언어를 통한 아동 간의 상호작용이 활발히 일어날 수 있었고, 의미 협상을 하면서 생각을 주고받는 진정한 의미의 상호작용을 할 수 있게 되었다. 문자 언어 발화 측면에서, 아동들은 생각이나 의견을 표현하는 다양한 쓰기 활동을 하면서 문자 언어 발화를 활성화할 수 있었다. 즉, 짧은 문장 쓰기, 생각을 확장하는 쓰기, 독자를 고려한 쓰기 등으로 발전하는 양상을 보였다. 그리고 아동들의 처음 저널과 마지막 저널 쓰기를 평가한 결과 각자의 수준에서 실질적인 문자 언어 발화 능력이 향상된 것을 볼 수 있었다. 둘째, 아동문학 텍스트를 활용한 리터러시 활동을 통해 참여 아동들의 비판적 사고력이 향상되었다. 먼저, 비판적 사고 기능 측면에서 아동 저널을 분석한 결과, 추론, 분석, 해석, 평가 기능을 통해 비판적 사고력을 기를 수 있었다. 특히 가장 많이 나타난 사고 기능은 추론 기능이었으며, 분석 기능 또한 실험 수업 내내 꾸준히 높게 나타났다. 해석과 평가는 매우 적게 나타나다가 후반부에 상승하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텍스트별로 비판적 사고 기능이 향상된 정도가 다르게 나타났다. 비판적 사고 성향 측면에서는 비판적 사고 성향 검사 결과를 분석한 결과, 개방성, 독립성, 객관성, 탐구성의 긍정적인 변화를 볼 수 있었다. 개방성은 비판적 사고 성향의 네 가지 하위 영역 중 가장 높았고, 독립성은 비교적 낮은 편이었으나 네 영역 중 상승 폭이 가장 크게 나타났다. 객관성 또한 높은 편에 속했으며, 탐구성은 가장 낮은 점수를 보였다. 셋째, 비판적 사고력의 향상은 참여 아동들의 영어 발화를 촉진하였다. 먼저, 비판적 사고 기능의 향상에 따른 발화 양상을 살펴본 결과, 추론 기능을 통해 타당한 결론을 도출하는 음성 언어 및 문자 언어 발화를 할 수 있었다. 분석 기능은 텍스트와 관련하여 관계를 확인하는 문자 언어 발화를 주로 촉진하였으며, 해석 기능은 대상의 숨은 의미를 찾거나 중요성을 밝히는 음성 언어 발화를 촉진하였다. 마지막으로 평가 기능을 통해서 사고를 개선하는 음성 언어 및 문자 언어 발화를 할 수 있었는데, 자기 생각을 점검하는 사고는 문자 언어 발화에 도움이 되었으며, 타인의 의견을 평가하는 사고는 주로 음성 언어 발화를 촉진하였다. 다음으로 비판적 사고 성향의 변화에 따른 발화 양상을 살펴본 결과, 개방성은 서로의 의견을 공유하는 음성 언어 발화와 다양한 관점을 이해하고 타 문화를 존중하는 태도를 반영한 문자 언어 발화에 도움이 되었다. 독립성은 텍스트 내용에 의문을 제기하거나, 문제점을 인식하여 비판하는 문자 언어 발화를 촉진하였다. 객관성을 통해서는 이유나 근거를 요청하고 적절성을 따져보는 음성 언어 발화와 자신의 생각에 대한 이유와 근거를 적어보는 문자 언어 발화가 이루어졌다. 마지막으로 탐구성은 텍스트 내용과 관련하여 스스로 탐구한 내용을 적어보는 문자 언어 발화를 주로 촉진하였다. 이같은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영어 교육 현장에서 아동문학을 활용한 리터러시 교수를 보다 쉽게 적용해볼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즉, 실험 수업에서 활용한 주요 활동을 중심으로 문제 해결형, 텍스트 비판형, 세계문화 탐구형, 토론형의 네 가지 리터러시 수업 모형을 각 모형에 적절한 텍스트와 함께 제시하였다. 본 연구가 영어 교육에 주는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아동문학 활용 리터러시 활동을 통한 언어와 사고 교수의 통합적 접근은 학습자의 목표어 발화 능력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 둘째, 아동문학 활용 리터러시 활동을 통해 언어와 사고의 상호 강화를 활성화하고 이로써 학습자의 목표어 발화 능력과 비판적 사고력을 동시에 길러줄 수 있다. 셋째, EFL 맥락의 초등 수준에서도 아동문학 텍스트를 활용한 리터러시 활동을 통해 아동들의 비판적 사고력 향상을 위한 교수․학습이 가능하다. 넷째, 리터러시 활동에서 아동문학을 활용하는 데 있어 장르적 확장이 필요하며, 교수 목적에 맞게 적절한 텍스트를 선정하는 것이 중요하다. 마지막으로 아동들의 학습 동기와 흥미를 유발할 수 있는 다양한 활동이 필요하다.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정책적 제언을 하자면,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도 강조하고 있는 사고력 배양을 실제 수업을 통해 구현하기 위해서는 현장 연구에 대한 지원과 연수 유형의 다양화가 필요하다. 또한 영어 학습자와 교사가 다양한 장르 및 내용의 책에 쉽게 접근할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되어야 한다. 이 연구를 기반으로 폭넓은 텍스트를 소재로 학습자의 비판적 사고력과 영어 능력을 함께 길러주고자 하는 보다 심화된 연구들이 다양한 맥락에서 시도되기를 기대한다. 주요어: 리터러시, 발화 능력, 비판적 사고력, 아동문학, 초등영어 * 본 논문은 2020년 7월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위원회에 제출된 교육학 박사학위 논문임.

      • 아동문학에 나타난 그로테스크의 양상과 교육적 의의

        박인철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8703

        이 연구는 그로테스크의 역사적 변천 과정에 나타나는 특성을 바탕으로 현대 아동문학에서 그로테스크의 양상을 살피고 그 교육적 의의를 밝히고자 했다. 고대로부터 전래 된 예술 미학으로서의 그로테스크가 아동문학 속에서도 발현되는 장면을 목격하였기에 그것이 갖는 문학적이고 교육적인 의미를 탐색하는 것이다. 그로테스크의 역사적 변천 과정을 보면 시대적 특성 및 개념의 진화를 살펴볼 수 있었다. 그로테스크는 서로 이질적이거나 어울리지 않는, 양립할 수 없는 것들의 혼종이자 부조화로서, 이들은 과장되고 극단적이기에 비정상성과 과격성을 띠면서 끊임없이 생성하는 감정의 이미지이다. 이를 일으키는 수단과 벌어진 형식의 틀을 기준으로 고대 예술에서는 “환상적 괴물과의 대면”, 중세와 르네상스 시기에는 “ 광대의 카니발”, 낭만주의 시대에는 “ 악마의 변덕”, 현대에 이르면 “주변인의 경계 이월”이라는 계보적 범주를 설정할 수 있었다. 역사적 특성이라는 범주에 비추어 현대 우리 아동문학 속에 나타난 그로테스크의 양상을 살피고 그 의미를 분석하였다. 먼저 이 세계가 규정하기 애매하거나 분류하기 어려우며 이름 붙일 수 없는 사태나 존재에 대한 상징기호로써 겨우 붙잡고 있는 것이 괴물이라는 그로테스크다. 따라서 괴물의 정체와 괴물의 출현 장소로서의 서식지를 탐색하였다. 그 과정에서 출현하는 괴물은 과연 누구인지, 또 어떤 특성이 변화하고 발현되는 지를 원인-결과 관계에 초점화하였다. 또 라깡의 정신분석에 기대어 각각의 작품이 갖는 문학적이고도 교육적인 의미를 살펴보았다. 고대 예술에 등장하는 혼종과 융합의 이미지는 고대인들의 의례와 그것이 간직한 유희성에서 발현한다. 아동문학 속에서는 인어나 귀신 등 이계의 인물들로서 주인공에게 신비롭고도 친근한 존재로 나타났다. 이 ‘환상적 괴물과의 대면’을 통해 드러내는 진실은 이런 괴물적 존재가 되게 한 남성 중심사회의 가부장제이거나 전쟁 등 사회적 문제다. 거인, 악당, 광대 등이 커다랗게 입이나 배, 성기를 드러내며 먹고 마시고 배설하고 웃고 떠들며 전복하는 중세․르네상스의 그로테스크함은 육체․물질적 이미지로 표현되는 카니발이고 그 생성력이다. 아동문학 속에서는 작거나 유치한, 장난스러운 ‘광대의 카니발’로서 소동과 다툼, 경연과 행진의 양상을 보이며 이를 통해 전통이나 다수의 위력으로부터 소외된 약자와 소수자에게 놀이와 웃음을 회복시켜준다. ‘악마적인 웃음’으로 진화한 낭만주의 시대 그로테스크의 특성과 인형, 가면 등의 모티브는 유령과 투명인간, 인형 등 ‘악마의 변덕’을 부리는, 변신하는 아이의 모습으로 나타났다. 이는 생명과 생활에 대한 무심을 조장하고 관심을 물질과 돈, 지위와 명예, 성공과 소비 등 생명 외적인 것을 탐닉하게 하는 사회와 세태에서 기인하는 것으로, 개인이나 가족 문제로 치부되거나 왜곡된 것을 도리어 풍자하고 폭로하는 효과를 나타냈다. 복잡하고 급격한 변화를 보이는 현대사회문화의 특성은 ‘차가운 그로테스크’ 등 그 현대적 양상도 다양하게 펼치고 대중문화와 밀접하다. 생성하는 힘으로써의 그로테스크는 끊임없는 경계 이월을 추동한다. 소수자와 이방인 등에게 씌워지는 외계인과 괴물이라는 혐오의 경계를 넘어서면, 오히려 차별하고 혐오하는 진짜 괴물의 정체가 드러나는 ‘주변인의 경계 이월’이 아동문학 속에서 발견되었다. 해체하고 삭제하려는 시도와 부딪히는, 괴물이라고 명명된 이 존재가 증명하는 것은 상징계라는 고정관념의 세계이고 새로운 가치체계로서의 실재계이다. 억압하는 아버지의 세계는 의심스럽고 왜곡시키며 은폐하므로 어린이 주인공은 히스테리나 우울증 등으로 불안하고 일그러졌다. 따라서 분석의 결과는 약자와 소수자에 대한 기존의 윤리적 태도의 반성, 그를 육성하거나 조장하는 권력을 향한 비판, 그리고 여성적 가치인 평등과 평화, 자연주의 생명관 등에 다다랐다. 그 교육적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아동문학의 그로테스크는 세계에 관한 창의적 표현양식이다. 둘째, 아동문학의 그로테스크는 세계에 관한 인식을 넓혀준다. 셋째, 아동문학의 그로테스크는 세계에 대한 윤리적 태도를 고양한다. 또한 반응 중심 이론을 따르는 문학의 심미적 읽기 수업 속에서 미적․예술적 반응을 활성화할 수 있는 문학 교재로서 그로테스크 아동문학은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현대 한국 아동문학 중 일부만을 연구대상으로 삼았기에 폭넓고 다양한 양상을 드러내지 못했고 실제 학생 독자의 수용과 활용 사례는 검토되지 못한 한계가 있다. 그러나 대중문화와 여러 분야의 예술에서 흥미로운 기법이자 미학적 전략으로 활용되고 창작의 동기이자 생장점인 그로테스크를 우리 아동문학에서 발견하고 그 의미를 분석하는 첫 시도였으며 나아가 그 교육적 의의를 발굴한 첫걸음이다.

      • 독립적 장르로서 아동문학의 정의에 대한 고찰

        김도균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8703

        많은 아동문학 연구자들과 아동문학을 실제로 생산하고 있는 사람들에게 있어서 ‘아동문학이란 무엇인가?’라는 주제는 본격적인 연구의 초점이 되지 못했다. 그들에게 자신이 집중하고 있는 ‘아동문학’이라는 대상 자체는 회의하고 깊이있게 파고들어 다시 정립해야 할 개념이 아니었다. 모든 아동문학에 대한 접근과 아동문학으로부터 출발하는 연구에는 언제나 아동문학에 대한 정의가 전제되어 있다. 대부분의 정의는 자의적인 진술로써 제시된다. 그러한 진술들에서 객관적인 명료함이나 일치된 개념은 발견할 수 없다. 아동문학의 정의가 모호한데도 많은 아동문학 연구자들과 관련 문헌들은 이에 대한 자의적인 개념 정의로부터 아동문학에 접근하고 논의를 발전시킨다. 많은 아동문학에 대한 개념 정의는 일반 문학의 규범을 그대로 가져와 적용한 것이거나 명확하지 않은 동심이라는 관념에 의해 이끌어 낸 것이다. 아동문학의 장르적 경계는 늘 모호하고 아동문학에 대한 임의의 정의들은 아동문학의 문학적 지위를 스스로 약화시키는 결과를 가져온다. 아동문학을 하나의 문학 장르로서 정의할 수 있는 고유함은 아동문학의 고유한 수신자로부터 나온다. 아동문학은 어른이 어린이를 위해 생산한 문학이다. 그러나 이 어린이는 실제의 어린이에서 도출된 개념이라기보다 근대라는 맥락에서 어른의 바깥에 있는 타자로서 어른이 어른과 분리되어야 하는 존재로 구성한 타자이다. 근대적 내면이 이끌어낸 타자로서의 어린이는 낭만주의적 이상과 계몽주의적 담론의 결합으로 구축된 순진무구하면서 착하고, 미래를 개척하고 사회를 혁신해야 할 사명을 안은 어린이였다. 타자로서의 어린이는 시대와 사회의 요구에 따라 다양한 양상으로 개발되었는데 아동문학은 끊임없이 이러한 어린이의 타자성을 새롭게 구성하고 재생산하는 장치로서 기능한다. 타자로서의 어린이는 어른의 욕망과 어린이라는 존재에서 기인하는 만큼 이중적이다. 이중적 타자로서 어린이는 아동문학 텍스트에서 이중적인 내포독자를 구성하여 아동문학을 한편으로는 ‘어린이’라는 구성된 관념 안에 내포된 어른을 향해, 다른 한편으로는 그 안에 내포된 어린이를 향해 발화하는 문학으로 만든다. 이로 인해 아동문학은 다른 문학과 다른 발화양식, 즉 이원적인 독자를 향한 이중적인 발화형식으로 의사소통하는 문학이 된다. 이러한 아동문학의 독특한 이원적이면서 이중적인 발화는 아동문학에서 어린이를 이중적인 존재로 형상화한다. 아동문학 속에서 어린이는 동물이면서 사람이거나, 로봇이면서 사람이고, 어린이이면서 어른이다. 또한 아동문학 속 어린이는 텍스트 안에서 권력에 대한 위치에 대해서도 이중적이다. 한편으로 권력의 내부에, 다른 한편으로 권력의 바깥에 위치한다. 그들은 텍스트 안에서 약하고 결핍된 존재로서 권력의 바깥에 위치하다가도 언제나 텍스트의 요청에 따라 다른 인물들을 대해 권력을 행사하는 중심적인 위치로 탈바꿈한다. 아동문학의 어린이의 이중성은 어른과 어린이 모두에 대해 타자화 전략이 작동되도록 한다. 아동문학의 이중적 주체에 대한 타자화 전략과 이로 인한 발화와 인물의 이중성은 아동문학이 식민주의적 문화와 유사한 양가성을 띠게 만든다. 아동문학의 타자화 전략은 궁극적으로 아동문학에서 발견할 수 있는 고유한 모든 특징적인 표지들, 이를테면 반복되는 패턴, 단순성, 교훈성 등을 이항대립적으로 구축한다. 그러면서 동시에 그 이항을 모두 양가적으로 만든다. 이제껏 많은 아동문학 연구자들이 아동문학의 특징적인 표지들 가운데 어느 한 편을 외면하면서 다른 어느 한편만을 부각시킨 것은 아동문학의 이러한 고유한 특성에 주목하지 않은 결과이다. 아동문학 텍스트의 이항대립성은 언제나 어른의, 다시 말해 보수적인 세계와 어린이의, 다시 말해 전복적인 세계 사이에서 양가적으로 구성된다. 양가성은 필연적으로 두 세계에 대한 혼종화를 야기하고 아동문학을 어른과 어린이, 보수적인 가치와 전복적인 가치의 양쪽 모두, 서로가 서로를 잠식하여 양쪽 모두에 속하게 만든다. 그래서 아동문학은 어른 세계를 지향하면서 어린이 세계를 지향하고, 보수적인 가치를 고양시키면서 그것을 스스로 약화시키는, 교육적이면서 전복적인, 단순하면서 복잡한, 밖에 있으면서 안이 내재된 강박증적인 이항성의 구조 아래 혼종화를 양산하는 문학이다. 아동문학의 독립적인 장르로서의 고유함은 수신자가 타자로서 구성된 이중적인 어린이라는 점과 이중적 발화와 이항대립적이면서 양가적인 혼종화에서 비롯된다. 아동문학을 정의하는 일은 하나의 똑 부러지는 명제의 제시가 아닌 아동문학이라는 장에서 작동하고 있는 고유한 메커니즘을 역동적으로 포착해서 제시하는 일련의 과정에 대한 기술이 되어야 한다. 이에 따라 아동문학은 어른을 위한 문학과는 분명하게 다른 문학이다. 아동문학은 타자로서 어린이를 내포독자로 구성해 어른이 생산하는 문학으로서 필연적으로 어린이와 어른이라는 이원적인 내포독자를 향해 분열되게 만든다. 아동문학의 이원적인 내포독자를 향한 이중적 발화 양식은 어린이를 이중적으로 구성하고 아동문학의 독특한 표지들을 이항대립적으로 만들면서 동시에 양가적이게 하고 혼종화한다. 아동문학은 이러한 타자로서의 어린이를 끊임없이 이중적이면서 양가적으로 재구성해서 재생산하는 문학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