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아동기 학대경험이 청소년기 사회적 문제 해결능력에 미치는 영향

        장량 한세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33343

        이 논문은 아동기에 부모로부터 받은 학대 경험이 청소년기 사회적 문제해결능력에 미치는 영향과 심리적 특성인 자기효능감, 통제소재와 사회·인구학적 특성들이 청소년의 사회적 문제해결능력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을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본 논문은 문헌 연구를 통해 가설을 설정하고, 이를 검증하기 위해 경기도 안산에 소재하는 고등학교 학생 291명을 대상으로(남학생 123명, 여학생 168명) 아동기 학대 척도, 사회적 문제해결능력 척도, 자기효능감 척도, 통제소재 척도를 사용하여 설문조사를 하였으며, SPSS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가설을 검증하였다. 아동기에 부모로부터 받은 학대 경험이 고등학교 시절 사회적 문제해결능력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살펴본바, 아동기에 학대받은 경험이 사회적 문제해결능력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보인다. 이는 아동기에 받은 학대경험이 아동기뿐만 아니라 청소년기 이후 성인기 까지 대인관계, 사회적응력, 낮은 자존감 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선행 연구들과는 다른 결과를 보였다. 이는 학대라는 스트레스로부터 보호해 주는 여러 가지 보호 요인들이 있음을 시사해 주는데, 일반적으로 부정적인 효과를 중재하는 보호요인으로서 자아탄력성이라든지, 대처양식, 사회적 지지 등이 있는데, 이러한 긍정적인 완화 요인들의 도움으로 청소년기에 사회에 잘 적응해 나간다고 볼 수 있다. 또한 아동기에 받은 학대경험과 심리특성인 자기효능감, 외적통제소재와 사회적 문제해결능력 간에 어떠한 영향관계가 있는지를 조사한바, 이들 변인 간에 유의미한 관계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정서적 학대는 청소년기 자기효능감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부모의 정서적 학대가 아동의 자기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 요인이라는 기존의 연구들과 자기효능감이 부모와의 상호작용에 의해 발달한다는 선행연구들과 일치한다. 이러한 연구 결과로 볼 때 병리적 양육형태로 간주되는 부모로부터 가해지는 아동기 학대경험이 심리적 발달과정이라 볼 수 있는 청소년기 사회적 문제해결능력에는 직접적인 영향은 없는 것으로 보인다. 청소년기 심리적 발달 과정에서 자아존중감, 지적 능력, 사회성, 내적 통제소재 등이 학대의 부정적인 요인을 최소화 할 수 있다는 선행연구들을 참조할 때 자신이 가지고 있는 이러한 내적 자원들에 의해서 오히려 사회적 문제해결능력에 더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is written to understand the influence that child abuse has on the social problem solving ability of adolescence and to examine if self-efficacy and locus of control play roles as mediums in this process. For this study, a hypothesis was first set through document research and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291 high school students (123 boys, 168 girls) in Ansan, Kyunggi-Do, which were categorised into ratings of child abuse, social problem solving ability, self-efficacy and locus of control scale, to examine the hypothesis. The SPSS program was used to verify the hypothesis. In an examination of child abuse experiences from parents and how they influence on the social problem solving ability in high school years, it showed that experiences of child abuse played no direct influence on the social problem solving ability in high school years. That result was different from preceding studies which stated experiences of child abuse negatively influence on human relationships, social adaptation, low self-esteem and so on, through childhood and adolescence and continuing into adulthood. But experiences of child abuse show not only maladjusted actions. It suggests that there are various protecting factors derived from the stress of abuse. Generally there are protecting factors, such as self-elasticity, management style, social support and so on, that mediate negative effects. These positive easing factors help adolescent people to adapt to society. Also in another part of the research about how self-efficacy and external locus of control work, it showed that there was no mediating effects of parameters, self-efficacy and external locus of control , in the process that child abuse experiences influence on social problem solving ability. However it did reveal that emotional abuse affects one's self-efficacy in adolescence. This result agrees with existing studies which state that emotional abuse is an important factor influencing the self-efficacy of a child and with preceding studies which state the self-efficacy develops through interaction with parents. With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seems that there is no direct influence between child abuse from parents, which is considered as a pathological rearing, and the social problem solving ability of adolescence that can be a recognition development process. Instead, a teenager's own resources including self-respect, intellectual ability, and sociability are considered to have more of a positive influence on their social problem solving abilities.

      • 아동기 학대경험이 대인관계문제에 미치는 영향 : 자기자비와 자기체계손상의 순차 매개효과

        성정옥 한양사이버대학교 휴먼서비스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33343

        본 연구의 목적은 아동기 학대경험이 성인기 대인관계문제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자기자비와 자기체계손상이 순차적으로 매개하는지 확인하는 것이다. 본 연구를 통하여 아동기 학대경험이 학대 당시뿐만 아니라 장기적으로 후유증을 남겨 성인기 대인관계문제에 미치는 영향력을 이해하고, 아동기 학대경험의 부정적 영향을 감소시킬 수 있는 임상적 개입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전국의 만 20세 이상의 성인 남녀 314명을 대상으로 아동기 외상 질문지 단축형(CTQ-SF), 한국판 대인관계문제 원형척도의 단축형(KIIP-SC), 한국판 자기자비 척도(K-SCS), 외상화된 자기체계 척도(TSSS)에 대한 설문을 온라인 방식으로 실시하였고, SPSS 25.0과 PROCESS macro 3.5를 사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상관분석 결과 아동기 학대 경험과 자기체계손상, 아동기 학대 경험과 대인관계문제, 자기체계손상과 대인관계문제 간에는 각각 정적 관련성이 나타났고, 자기자비는 아동기 학대경험, 자기체계손상, 대인관계문제와 부적 관련성을 나타냈다. 둘째, 아동기 학대경험과 대인관계문제 간의 관계에서 자기자비가 부분 매개효과를 나타냈다. 셋째, 아동기 학대경험과 대인관계문제 간의 관계에서 자기체계손상이 완전 매개효과를 나타냈다. 넷째, 아동기 학대경험과 대인관계문제 간의 관계에서 자기자비와 자기체계손상의 매개효과를 함께 살펴보는 이중매개 모형에서, 자기자비와 자기체계손상은 순차적으로 완전 이중매개효과를 나타냈다. 이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의의 및 제한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serial mediating effects of self-compassion and traumatized self-system in the relation of childhood abuse experiences and interpersonal problems. This research suggests therapeutic methods for reducing the negative effects of childhood abuse experiences. Online survey was conducted on 314 men and women aged 20 and older in South Korea. The data were collected using Childhood Trauma Questionnaire-Short Form(CTQ-SF), Short form of the Korean Inventory of Interpersonal Problems Circumplex scales(KIIP-SC), Korean Version of Self-Compassion Scale(K-SCS), and Traumatized Self-System Scale(TSS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variables was examined using correlation analysis based on the data collected. To examine the serial mediating effects of self-compassion and traumatized self-system in the relation of childhood abuse experiences and interpersonal problems, SPSS 25.0 and PROCESS macro version 3.5 of Hayes were used. The major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correlation between childhood abuse experiences and traumatized self-system, childhood abuse experiences and interpersonal problems, and traumatized self-system and interpersonal problems was positively related, respectively. On the contrary, the correlation between self-compassion and childhood abuse experiences, traumatized self-system, and interpersonal problems was negatively related, respectively. Second, self-compassion showed partial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 of childhood abuse experiences and interpersonal problems. Third, traumatized self-system mediated fully in the relation of childhood abuse experiences and interpersonal problems. Forth, it has been verified that the serial mediating effects of self-compassion and traumatized self-system in the relation of childhood abuse experiences and interpersonal problems. Based on the results, the significance and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 아동기에 경험한 폭력 및 학대에 관한 실태조사 : ICAST-R 활용

        김상원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3334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feasibility of using the ICAST-R in assessing the level of violence and abuse experienced during childhood. The ICAST-R (ISPCAN Child Abuse Screening Tool- Retrospective version) was modified to meet the cultural context of Korea. ICASTST was developed by ISPCAN(International Society for the Prevention of Child Abuse and Neglect), in response to the UN Violence Study, drawing experts together from all over the world. To this end,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were set. First, what is the validity of ICAST-R? Second, what is the reliability of ICAST-R? Third, what is the prevalence of child abuse for Korean youth aged 18-24 years using the ICAST-R? The ICAST-R was translated into Korean and back-translated to English. Survey of focus groups, one consisting of 10 professionals and another consisting of 10 college students were conducted to assess if the ICAST-R was suitable for screening child abuse. Consequently, the ICAST-R was modified to meet the cultural context. The final version of the ICAST-R was administrated to 450 participants aged 18-24 years from the following sub-groups: educational institution, work place, clinical setting, of which 379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Internal consistency and t-test were conducted to verify reliability and validity of ICAST-R. Descriptive analysis, chi-square test, multiple response analysis, and crosstabulation analysis were conducted to assess the prevalence of child abuse.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ICAST-R was assessed as an appropriate tool for screening child abuse based on the focus group interview. Several items of the leaf-questions were revised to meet the cultural context. Statistical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within interpersonal problems according to physical abuse and emotional abuse. Second, the internal consistency(as measured by Cronbach's 𝑎) for ICAST-R was .703, with .570 for physical abuse, .665 for emotional abuse, and .530 for sexual abuse. Third, the most frequently reported behavior for each type of child abuse was 'hit or punched' at 26.9%, 'insulted or criticized' at 25.6%, and 'someone exposed genitals' at 25.9%. There were gender differences in emotional abuse and sexual abuse, and location differences in sexual abuse. The most frequently responded in relation to frequency and experience period was '1 or 2 times' and 'between ages 14-17'. 'Boy at school(around their age or younger at the time of the incident)' was more most frequently reported as perpetrators of physical abuse, ‘Older male school mate(5 or more years older at the time of incident)' was more frequently reported as perpetrators of various acts of physical abuse, compared to parents. For emotional abuse, peers at school were most frequently reported perpetrators. Older male stranger was ranked the highest, with boy friend/ ex-boyfriend, and male in their neighborhood being next in sexual abuse. Those who reported forced to having sexual intercourse most frequently identified girls at school and girl friend/ ex-girl friend. It was notable that 'cyber/internet' was also reported as perpetrator of emotional and sexual abuse. Of those respondents who did not experienced physical abuse or emotional abuse, 30.7% and 5.9% respectively said that it was discipline and it was reasonable and justified. In addition, those abused physically or emotionally perceived that their experience was about the same as most children around their age. The sexually abused usually disclosed their unwanted sexual experience to their mother, and within one day regardless of who they disclosed it to. When asked about their reaction, 85.7% of respondents responded 'they believed me and supported me'. In conclusion, this study was able to confirm the feasibility of the ICAST-R in the Korea and to propose targeted intervention programmes. 본 연구는 아동이 경험하는 폭력실태를 알아보고자 ISPCAN이 전 세계 학대 전문가들의 참여를 도모하여 공동으로 개발한 ICAST-R(ISPCAN Child Abuse Screening Tool- Retrospective version)을 우리나라의 사회․문화적 맥락에 적합하게 수정하고, 본 도구가 우리나라에 적용 가능한지를 살펴보았다. 이를 위하여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ICAST-R의 타당도는 어떠한가? 둘째, ICAST-R의 신뢰도는 어떠한가? 셋째, ICAST-R을 사용하여 본 우리나라 만 18-24세의 아동기 학대경험 현황은 어떠한가? 포커스 그룹으로 전문가와 대학생 각 10인을 선정하여 ICAST-R이 우리나라 아동기 학대경험 선별에 적합한지 여부, 문항 이해도, 우리나라의 특수성을 반영하기 위해 추가사항 여부에 관해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만 18-24세 450명을 하위집단: 교육기관, 직장, 치료 및 상담기관으로 나누어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불성실한 응답 및 연령범주에 부합하지 않은 71명을 제외한 379명을 최종적으로 분석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program을 사용하였다. ICAST-R도구의 타당도 및 신뢰도를 검정하기 위해 t-test와 문항내적합치도 값을 산출하였고, 아동기 학대경험실태를 조사하기 위해 기술통계분석, χ²검정, 다중응답분석, 교차분석 값을 산출하였다. 본 연구에서 밝혀진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포커스그룹 인터뷰를 통해 ICAST-R이 우리나라 학대경험을 선별하기에 적합한 도구임을 밝히고 우리나라의 사회문화적 맥락에 따라 수정․보완하였다. 신체학대 및 정서학대 경험 유무에 따라 대인관계문제에 차이가 있었다. 둘째, ICAST-R의 전체 Cronbach's α값은 .703이며, 각 학대유형별로 신체학대 .570, 정서학대 .665, 그리고 성학대는 .530이 나왔다. 셋째, 각 학대 유형별로 살펴보았을 때 세게 맞아 다친 경험(26.9%), 스스로를 가치 없다고 모욕하거나 비난 받은 경험(25.9%), 원치 않는 상황에서 타인의 성기를 본 경험(15.8%)이 가장 많이 경험한 사례였다. 정서학대와 성학대 경험 중 일부가 성차를 보였고, 성학대 경험 일부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지역차가 있었다. 학대경험은 1회 또는 2, 또는 만 14-17세 사이 경험 사례가 가장 많았다. 학대 가해자는 신체학대에서 또래 학교친구(남)가 가장 많았고, 학교선배(남)도 부모보다 더 다양한 행동목록에서 신체학대 가해자로 지목되었다. 부모로 가해자를 제한한 일부 정서학대목록에서만 부모가 가장 많이 지목되었고 일반적으로 또래 학교친구(남, 여)가 가장 많았다. 성학대 가해자로 처음 보는 성인남자가 가장 많이 보고되었고, 또래 학교친구(남), 또래 과거/현재 이성친구(남), 그리고 성인 남자이웃 순으로 나타났다. 강제적인 성관계 경험은 또래친구 또는 후배(여)와 과거/현재 이성친구(여)에 의한 경험이 높게 보고되었다. 정서학대와 신체학대 경험 모두 인터넷/사이버를 매개로 한 피해 보고가 있었다. 신체학대 경험자 중 48.5% 및 정서학대 경험자는 53.9%가 훈육의 의도로 행해졌을지라도 학대는 정당하지 않다고 답하였으며 자신의 아동기 학대경험이 또래와 비슷한 수준이었다는 응답이 가장 많았다. 성학대 경험에 대해 털어놓는 대상에 대한 응답은 어머니가 가장 높았고, 그 시기는 하루 이내가 가장 많았다. 타인에게 털어놓은 경험이 있는 대상 중 85.7%가 상대방의 반응이 ‘나를 믿어주고 지지해 주었다’라고 답하였다.

      • 아동기 학대 경험이 대학생의 비자살적 자해에 미치는 영향 : 고통감내력 부족을 통한 정서도식의 조절된 매개효과

        김현정 경성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33343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emotional schema through distress intoleran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 abuse experience and non-suicidal self injury (NSSI). A total of 246 university students (59 men and 187 women) completed the following questionnaires: The Parent-Child Conflict Tactics Scale (PCCTS), The Functional Assessment of Self-Mutilation (FASM), Leahy Emotional Schema Scale Ⅱ (LESS-Ⅱ), and Distress Tolerance Scale (DTS). The main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child abuse experience, emotional schema, distress intolerance, and non-suicidal self injury. Second, mediating model showed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 abuse experience and non-suicidal self injury was fully mediated by distress intolerance. Third, using multiple regression and slope analysis, the moderation effect of emotional schema on the relationship between distress intolerance and NSSI was found. Finally, emotional schema also moderated the mediating effect of child abuse experience on NSSI through distress intolerance. These results suggest that emotional schema therapy would be considered as effective intervention for those who have child abuse experience and NSSI. 본 연구는 비자살적 자해를 경험한 대학생을 대상으로 아동기 학대 경험과 비자살적 자해 간의 관계에서 고통감내력 부족이 매개효과가 있는지 살펴보고, 이런 매개효과를 정서도식이 조절하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조절된 매개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를 위해 온라인 커뮤니티를 통해 전국 지역의 대학교에 재학 중인 학생을 대상으로 아동기 학대 경험(PCCTS), 고통감내력 부족(DTS), 정서도식(LESS-Ⅱ), 비자살적 자해(FASM) 척도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한 후 총 246부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결과 분석을 위해 IBM SPSS 26.0 프로그램과 Macro를 사용하였으며,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상관분석을 진행한 결과, 아동기 학대 경험과 비자살적 자해, 고통감내력 부족, 정서도식은 유의한 정적상관을 보였고, 아동 학대의 하위차원인 신체학대에서는 유의한 상관을 보이지 않았다. 둘째, 매개효과 검증을 위해 3단계 매개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아동기 학대 경험과 비자살적 자해 간의 관계를 고통감내력 부족이 완전 매개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회귀분석을 통해 조절효과를 검증한 결과, 정서도식이 고통감내력에 대한 비자살적 자해의 영향력을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Process Macro model 14를 통한 조절된 매개효과 검증 결과, 아동기 학대 경험과 대학생의 비자살적 자해와의 관계에서 고통감내력 부족이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고통감내력 부족과 비자살적 자해 간의 관계가 부적응적 정서도식의 수준에 따라서 달라지는 것으로 나타나 조절된 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대학생들의 비자살적 자해 행동을 선택하는 구조적인 이해를 돕고, 부적응적 정서도식 수준에 따른 차별화된 개입방법을 통해 비자살적 자해 행동의 선택을 줄일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임상 및 상담 현장에서의 시사점과 후속 연구에 대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 부모의 아동기 학대경험과 양육스트레스가 자녀 학대와 우울에 미치는 영향: 아동의 사회적 지지에 따른 완충효과

        이주연 충북대학교 2021 국내박사

        RANK : 233343

        This study aimed to analyze effects of parental experiences of childhood abuse and parental stress on offspring abuse and depression, as well as to examine the role of social support in relation to the offspring abuse and child’s depression. The data used in this study was selected from 2018 Childhood Life Experiences Survey, collected by the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with a sample of 1,515 parent-child dyad. Descriptive, structural equation model and multi-group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es were conducted to evaluate research questions. More than half of parents reported their experiences of child abuse and more than half of children also reported current child abuse experiences. The results showed that parental experiences of childhood abuse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rect effects on parental stress and offspring abuse, parental stress itself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rect effects to offspring abuse and depression, and finally child’s current experience of abuse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rect effect on their depression. In addition,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direct effects of parental experiences of childhood abuse on offspring abuse through parental stress, parental experiences of childhood abuse on child’s depression through parental stress, and parental experiences of childhood abuse on depression in offspring through parental stress and offspring abuse experiences. The direct effects of parental experiences of childhood abuse and parental stress on offspring abuse and child’s depression were moderated by the offspring’s perception of social support. For the offspring with the low- and the medium-level of social support, the child abuse had a significant direct effect on depression, whereas for those with the high-level of social support it had no significant effect on the depression. Moreover, for children with low-level of social support, the effects of parental stress on offspring abuse and child’s depression were much stronger than those with medium- or high-level of social support. The findings suggest that the child abuse can be intergenerationally transmitted as well as has an adverse influence on depression in offspring in Korea, as has been confirmed in many other countries, which informs the validity of the social learning theory and family systems theory too. The social learning theory hypothesizes that children who experienced violence learn that violence is useful and often use violence to their children as they become parents. The family systems theory suggests that violent relationships and negative emotion among family members are transmitted to the next generation. This study also sheds light on the necessity of family-centered interventions, not victim-only-centered measures for better tackling the child abuse issues and for effectively breaking the cycle of abuse. Furthermore, the findings strongly suggest that social interventions to decrease the depression of the abused children are to be well targeted to children with medium- or low-level of social support. Services and social intervention programs that help both children and their parents should include psychological supports and mental health supports, and finally, various local-based, better working support networks are also pivotal measures for vulnerable children. 본 연구의 목적은 부모의 아동기 학대경험, 양육스트레스가 현재의 자녀 학대와 자녀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이러한 영향이 아동의 사회적 지지에 따른 집단별로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살펴봄으로써 가족 내 학대의 세대 간 연속성을 약화시키고 학대피해아동의 심리정서적 건강을 도모하기 위한 개입의 근거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의 2018년도 ‘아동기 생애경험 실태조사’자료 중 1,515건의 부모-아동(만 9-17세) 자료를 연구에 활용하여, 다음과 같은 절차로 연구를 수행하였다. 첫째, 기술통계분석으로 연구대상의 일반적 특성, 학대 및 우울관련 특성을 살펴보았으며, 둘째, 측정모형 및 구조모형 분석과 매개효과 분석을 통하여 부모의 아동기 학대경험, 양육스트레스가 현재의 자녀 학대와 자녀 우울에 미치는 직접영향과 간접영향을 확인하였다. 셋째, 이러한 영향이 아동이 인지한 사회적 지지의 수준에 따른 집단별로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다중집단분석으로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결과 첫째, 연구대상 부모의 절반 이상이 아동기에 학대 피해를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아동의 절반 이상(신체학대가 30.2%, 정서학대가 53.4%)이 최근 1년 간 학대를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부모가 아동기에 신체학대와 정서학대를 중복적으로 경험할수록 자녀의 학대 피해와 부모의 양육스트레스를 높였으며, 부모의 양육스트레스가 심할수록 자녀학대와 우울을 높이고, 자녀학대가 심할수록 자녀의 우울을 높이는 직접적인 영향관계를 확인하였다. 셋째, 부모의 아동기 학대 피해경험이 양육스트레스, 자녀 학대피해 등을 거쳐 자녀의 우울을 높이는 간접경로의 유의성을 확인하였다. 부모가 아동기에 신체학대와 정서학대를 중복적으로 경험할수록 자녀의 학대피해를 심화시켜 우울을 높였고 부모의 양육스트레스 또한 심화시켜 자녀의 우울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부모가 아동기에 학대를 중복적으로 경험할수록 현재의 양육스트레스를 높여 자녀의 학대피해를 심화시키는 데에 유의한 영향을 주었다. 넷째, 부모의 아동기 학대경험과 양육스트레스가 자녀 학대와 우울에 미치는 영향은 아동이 인지한 사회적 지지에 따른 집단별로 차이가 있었다. 자녀의 학대피해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은 사회적 지지 저·중집단에서 정적으로 유의하였으나, 고집단에서 유의하지 않았다. 이러한 집단별 차이는 유의하게 나타났다. 부모의 양육스트레스가 자녀 학대피해와 우울에 미치는 영향은 사회적 지지 저집단에서 가장 크게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의 함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아동학대 피해는 성인기까지 자신의 자녀에 대한 학대로 세대 간 전이되었으며 동시에 자녀의 심리정서적 발달에도 부정적 영향을 끼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이는 아동학대가 세대 간에 걸쳐 매우 장기적이고도 부정적인 영향을 주며, 학대적 행동과 정서적 대응방식의 전이를 확인한 결과로 사회학습이론과 가족체계이론을 지지해 준다. 둘째, 아동학대의 가해자 중 부모의 비율이 가장 높고, 학대피해아동의 원가정 보호를 원칙으로 하는 한국에서 아동의 학대피해와 우울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을 가족체계 속에서 확인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특히 부모의 아동기 학대경험과 양육스트레스는 자녀학대 뿐 아니라 직간접적으로 자녀의 우울의 수준도 높였다. 이는 학대적 행위와 부정적 정서를 가족차원에서 살펴본 것의 타당성을 보여주는 결과이며, 향후 아동학대와 우울을 낮추는 데에 가족중심의 개입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셋째, 아동의 사회적 지지 수준별 집단 간에 자녀학대 피해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과 부모의 양육스트레스가 자녀 우울에 미치는 영향의 차이를 확인하여 아동우울을 낮추기 위한 구체적인 개입전략의 근거를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특히 사회적 지지가 중간 이하인 아동들이 학대피해와 양육스트레스의 부정적 영향을 더 많이 받았다. 따라서 사회적 지지가 중간 이하인 아동들을 대상으로 우울 수준을 낮출 수 있도록 심리정서적 지원을 확대하고 이들의 지지체계를 강화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 성인진입기 청년들의 아동기 학대경험과 경계선 성격성향의 관계에서 내면화된 수치심의 매개효과

        김수빈 숭실대학교 기독교학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33343

        본 연구의 목적은 내면화된 수치심이 성인진입기 청년의 아동기 학대경험과 경계선 성격성향의 관계를 매개하는지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통해 성격장애로 진단받지는 않았지만 경계선 성격성향으로 인해 개인·사회적으로 어려움을 겪는 성인진입기 청년들을 이해하고, 적절한 상담전략 수립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연구를 위해 2019년 9월∼10월 두 달 간 서울과 경기지역 대학교, 온라인 커뮤니티에서 성인진입기(만 18세∼25세)청년들에게 자기보고식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를 위해 사용한 척도는 아동기 외상 질문지(CTQ), 갈등관리행동척도(CTS)중 부부폭력노출 척도, 내면화된 수치심 척도(ISS), 경계선 성격장애 척도(PAI-BOR)이다. 수집된 자료는 Baron과 Kenny(1986)의 매개검증분석방법을 활용하여, SPSS 18.0 통계분석프로그램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자면 다음과 같다. 첫째, 주요 변수인 아동기 학대경험과 내면화된 수치심, 경계선 성격성향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모든 변수 간에는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각 변수의 하위요인 간 상관분석을 실시한 결과, 아동기 학대경험의 하위요인인 신체적 학대와 내면화된 수치심의 하위요인인 실수불안을 제외하고 두 변수 간 모든 하위요인은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아동기 학대경험의 모든 하위요인은 경계선 성격성향의 모든 하위요인과 유의한 정적 상관을 보였으며, 내면화된 수치심과 경계선 성격성향의 모든 하위요인 간에도 유의한 정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는 다른 선행연구와 같은 맥락의 결과이며, 아동기 학대경험의 빈도가 많을수록 내면화된 수치심의 정도가 심해지며, 내면화된 수치심과 경계선 성격성향의 관계도 정도 면에서 그렇다는 의미이다. 둘째, 아동기 학대경험이 경계선 성격성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아동기 학대경험은 경계선 성격성향에 유의한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아동기 학대경험이 많을수록 경계선 성격성향의 정도가 심해지는 경향이 있다고 할 수 있다. 셋째, 아동기 학대경험과 경계선 성격성향의 관계에서 내면화된 수치심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내면화된 수치심은 아동기 학대경험과 경계선 성격성향의 관계를 부분매개하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이는 아동기 학대경험이 경계선 성격성향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기도 하지만, 내면화된 수치심도 경계선 성격성향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연구의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인진입기라는 현대사회문화를 반영한 발달단계에 있는 청년들의 아동기 학대경험이 경계선 성격성향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둘째, 내면화된 수치심이라는 보다 본질적인 심리적 변수가 경계선 성격성향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고자 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최근의 경계선 성격성향 연구들이 언어화되거나 이해되기 어려운 초기경험과 관련된 심리적 변수에 주목하는 것과 맥을 같이 하고자 하였다. 셋째, 학대경험에 부부폭력노출을 포함하면서, 비교적 연구가 적은 부부폭력노출과 내면화된 수치심, 경계선 성격성향이라는 주요변수로 연구를 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넷째, 상담장면에서 경계선 성격성향 증상의 어려움으로 내방한 내담자의 사례를 개념화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내면화된 수치심이 상담자에 의해서도 자극될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할 수 있어야 한다는 점을 조명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internalized sham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xperience of childhood abuse and borderline personality traits in emerging adults. This study aims to provide a foundation to better understand emerging adults who are having difficulty in their personal and social life due to borderline personality traits and provide a means to establish an appropriate counseling approach. For this study, a self-report inventory was provided to emerging adults (age between 18∼25) throughout the universities located in Seoul and Kyeonggi and online community. The Scale used for this study is Childhood Traumatic Questionnaire(CTQ), exposure to marital violence in Conflict Tactics Scales(CTS), Internalized Shame Scale(ISS), and Personality Assessment Inventory-Borderline Features Scale (PAI-BOR). Collected data had been analyzed by utilizing Baron and Kenny’s (1986) Mediation Method and SPSS 18.0 statistical analysis program. An overview of the results is as follows. First, by analyzing the correlation existing between major variable such as childhood abuse experience, internalized shame, and borderline personality traits, the existence of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each variable had been confirmed. Additionally,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subfactors of each variable revealed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all subfactors of two variable excluding the fear of failure, a subfactor of internalized shame, and physical abuse, a subfactor of childhood abuse. All subfactors of childhood abuse showe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all subfactors of borderline personality traits and internalized shame. Such result matches those of precedented studies meaning more exposure to childhood abuse results in more intense internalized shame and such positive correlation exists between the intensity of internalized shame and the extent of displaying borderline personality traits. Second, by conducting 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in order to determine the effects of childhood abuse on the development of borderline personality traits, it was confirmed that experience of childhood abuse does exert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development of borderline personality traits. This suggests that more frequent exposure to childhood abuse is related to a stronger degree of borderline personality traits. Third, by conducting 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in order to determine the mediating effect of internalized shame between childhood abuse and borderline personality traits, it was confirmed that internalized shame does partially mediate between childhood abuse and the development of borderline personality traits. This means that although the development of borderline personality traits is directly affected by previous experience of childhood abuse, internalized shame also exerts an indirect effect on borderline personality traits. This study and its findings are meaningful in following ways. First, the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validated the effect the experience of childhood abuse has in the development of borderline personality traits in emerging adults. Second, the study investigated to prove how internalized shame, a more essential psychological variable, affect borderline personality traits. Such attempt was in context with other recent studies which focused on psychological variable related to earlier experience which can be difficult to verbally express or understood. Third, by including exposure to parental-conflict within the category of childhood abuse, the study attempted to investigate major variable such as exposure to marital violence, internalized shame, and borderline personality traits, three variables which only a limited number of study covers. Last, the study is significant in providing basic data for conceptualizing cases of subjects who sought counsel due to the difficulties related to symptoms of borderline personality traits. The study highlight the necessity of understanding the fact that internalized shame of a subject may be affected by the counselor as well.  

      • 부모의 아동기 학대경험이 자녀 양육태도에 미치는 영향 : 가족탄력성과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홍순옥 대구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3334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parents' experiences of childhood abuse on their child rearing attitude. It also analyzes how much social support and family resilience influence the above mentioned effects. As an empirical research, it has conducted a survey of 500 parents who bring up a child or children aged 0~18 and fill out a series of questionnaires individually, used the SPSS 24.0 and Amos 24.0 programs as a statistics method, and applied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for the test of the research model. The study comes to the following conclusion. First, three latent variables, such as parents’ experiences of childhood abuse, social support, and family resilience, directly influence their child rearing attitude. More specifically, family resilience (β = .611 p< .001) has direct effects at the level of p< .001; social support (β = .151, p< .001), p< .001; and parents’ experiences of abuse in their childhood (β = -.128, p = .004), p< .01. This means that parents with higher family resilience and social support, but less experiences of childhood abuse have better child rearing attitude. Second, parents’ experiences of abuse in childhood indirectly influence their child rearing attitude through mediation of social support and family resilience. Social support has also indirect effects on parents’ child rearing attitude through mediation of family resilience. More specifically, how much parents’ experience of childhood abuse leads to their child rearing attitude through mediation of social support is indexed to be β = -.054 (-.357 * .151) whose confidence interval of the indirect effect (-.147 ~ -.015) does not include 0. Therefore, the mediation effect of social support is obviously meaningful. The effect of parents’ experience of childhood abuse on their child rearing attitude through mediation of family resilience is indexed to be β = -.104 (-.171 * .611) whose confidence interval of the indirect effect (-.273 ~ -.049) also does not include 0. Thus, the mediation effect of family resilience proves significant. How much social support leads to parents’ child rearing attitude through mediation of family resilience is indexed to be β= .256 ( .419 * .611) whose confidence interval of the indirect effect (.135 ~ -.326) does not include 0, so that the mediation effect of family resilience is meaningful at the level of p<. 01. Thus, social support and family resilience that parents sense have positive mediation effects on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parents’ experiences of childhood abuse and their child rearing attitude. Family resilience also has a positive mediation effect on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upport and parents’ child rearing attitude. Third, in the context of the dual mediation effect in which parents’ experiences of childhood abuse affect their child rearing attitude through first mediation of social support and then mediation of family resilience, the effect of parents’ experiences of abuse in childhood on their child rearing attitude is indexed to be β = -.091 (-357 * .419 * .611) whose confidence interval of the indirect effect also does not include 0. Therefore, the dual mediation effect is meaningful at the level of p = <. 01. In sum, parents’ experiences of childhood abuse have directly negative impacts on their child rearing attitude. However they have positive effects when they undergo mediation of social support and/or family resilience. Moreover, when family resilience undergoes mediation of social support in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parents’ experiences of childhood abuse and their child rearing attitude, it has the dual mediation effect

      • 아동기 피학대 경험이 폭력행동에 미치는 영향 : 해리와 감정표현불능증의 매개효과 검증

        이주성 고려대학교 2005 국내박사

        RANK : 233327

        아동기의 피학대 경험이 성장후 폭력행동으로 이어진다는 폭력의 악순환 현상이 널리 알려져 있다. 본 연구는 피학대 경험이 정신적 외상으로 작용한다는 관점에서 폭력의 악순환 현상을 설명하고자 하였다. 청소년의 폭력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 아동기 피학대 경험, 피학대 당시의 외상중 해리, 외상후 해리, 감정표현불능증, 폭력행동시의 해리를 설정하고 이들 변인간의 관계와 피학대 경험에서 폭력행동으로 이어지는 경로를 알아보았다. 이 과정에서 선행 연구들에 제기된 문제점들을 해결하고자 하였다. 첫째, 기존 연구에서는 주로 피학대 유무만을 조사하거나 한 두개 유형의 학대만을 조사하여 피학대 경험이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다. 그러나 경험한 피학대의 빈도나 심각도 및 중복 피학대수에 따라 그 영향은 달리 나타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피학대 경험을 피학대 빈도, 피학대 심각도, 경험한 중복피학대수에 따라 집단을 구분하여 이에 따른 해리, 감정표현불능증, 폭력행동의 집단간 차이를 알아보았다. 둘째, 폭력행동을 동기와 목적에 따라 구분해야 각 유형의 특성을 파악할 수 있고 폭력행동의 예방과 치료에 도움이 된다는 주장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폭력행동을 주도적 폭력행동과 반응적 폭력행동으로 구분하여 각 집단별로 피학대 경험, 해리, 감정표현불능증의 집단간 차이를 알아보았다. 셋째, 폭력의 악순환 현상이 발생하느냐의 문제보다는 피학대 경험에서 폭력행동으로 이어지는 경로와 그 과정을 매개하는 변인들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는 상황에서 피학대 경험이 폭력행동으로 이어지는 경로와 해리와 감정표현불능증의 매개효과를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서 중&amp;#8228;고등학생 496명을 대상으로 피학대 경험, 해리, 감정표현불능증, 폭력행동(주도적 폭력행동, 반응적 폭력행동)의 관계를 상관분석, 일원변량분석, 중다회귀분석을 통해 알아보았으며 피학대 경험에서 폭력행동으로 이어지는 경로모형을 설정하고 이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주요 결과를 보면 첫째, 피학대 경험자들은 학대를 받는 상황에서나 학대 상황이 끝난 후에도 지속적으로 해리를 경험하고 있으며, 폭력중에도 해리를 경험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대를 많이 받을수록, 경험한 중복피학대수가 많을수록 외상중 해리, 외상후 해리, 폭력중 해리를 많이 경험하였고 감정표현불능증이 높았으며, 주도적 폭력행동과 반응적 폭력행동을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폭력을 행사한 집단 중에서 특히 주도반응폭력집단이 비폭력집단에 비해 감정표현불능증을 제외한 모든 변인들의 수준이 높았다. 폭력행동에 대한 회귀분석에서는 주도적 폭력행동은 피학대 경험, 폭력중 해리가, 반응적 폭력행동은 피학대 경험, 외상중 해리, 폭력중 해리가 유의미하게 설명하고 있었으며 이들 변인 중에서 폭력중 해리가 가장 큰 설명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피학대 경험은 외상중 해리, 외상후 해리, 폭력중 해리를 매개하여 주도적 폭력행동과 반응적 폭력행동으로 이어지고 있었으나 감정표현불능증에 의한 매개효과는 유의하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가 시사하는 바와 제한점을 다루었다. 본 연구의 주된 의의는 피학대 경험을 피학대 빈도, 중복피학대수, 피학대 심각도를 동시에 고려하여 피학대 경험에서 폭력행동으로 이어지는 경로를 알아보았다는 점이며 그 과정에서 피학대 경험은 학대 당시에 해리를 유발하는데 그렇게 되면 외상이 끝난 후에도 해리에 지속적으로 의존하게 되어 그 결과 폭력행동을 할 때에도 해리된 상태에서 폭력행동이 일어난다는 사실을 보여준 점이다.

      • 아동기 정서적 학대경험이 대학생의 정서표현양가성에 미치는 영향 : 열등감의 매개효과

        김현경 영남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33327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의 정서표현양가성과 이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예측되는 아동기 정서적 학대경험, 열등감의 구조적 관계를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D시에 소재한 대학생 1,008명을 대상으로 아동기 정서적 학대경험, 열등감, 정서표현양가성에 대한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이 중 평균보다 높은 빈도의 정서적 학대경험을 가진 275명을 선별하여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아동기 정서적 학대경험이 많을수록 열등감을 자주 경험하며, 정서적 학대경험의 하위요인인 행동차원이 열등감에 가장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아동기 정서적 학대경험이 많을수록 대학생의 정서표현양가성이 높아지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하위요인 간 관계에서 정서표현양가성의 하위요인 중 자기방어적양가성에 정서적 학대경험의 하위요인 중 행동의 결과차원이 가장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열등감을 자주 경험할수록 정서표현양가성이 높으며, 열등감의 하위요인인 형제자매비교가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아동기 정서적 학대경험은 직접적으로 정서표현양가성에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열등감을 유발함으로써 간접적으로도 정서표현양가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의의 및 제한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structural relations between college students' emotional expression ambivalence and their childhood emotional abuse experiences and inferiority, which were expected to have effects on it. For this purpose, the study conducted a survey on childhood emotional abuse experiences, inferiority, and emotional expression ambivalence with 1,008 college students in D City. Of them, 275 were selected and analyzed who had a higher frequency of emotional abuse experiences than average. The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the more childhood emotional abuse experiences they had, the more often they experienced inferiority. Behavior, a subfactor of emotional abuse experience, had the most significant effects on their inferiority. Second, the more childhood emotional abuse experiences they had, the higher their emotional expression ambivalence became. As for relations between their subfactors, outcomes of action, a subfactor of emotional abuse experiences, had the most significant effects on self-defensive ambivalence, a subfactor of emotional expression ambivalence. Third, the more often they experienced inferiority, the higher their emotional expression ambivalence became. Comparison with siblings, a subfactor of inferiority, had significant impacts on their emotional expression ambivalence. Finally, childhood emotional abuse experiences had both direct influences on their emotional expression ambivalence and indirect ones on it by causing inferiority. Based on these findings, the study discussed its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 향토사단 현역병사의 가족 응집력과 아동기 학대 경험이 군 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사회적 지지 조절 효과를 중심으로

        신동석 연세대학교 행정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33326

        본 연구는 향토사단의 현역병에게 있어 가족응집력과 아동기 학대 경험이 군 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가족 응집력 및 아동기 학대 경험과 군 생활 적응과의 관계에서 사회적지지(간부, 병, 사회친구)가 조절효과를 갖는지 검증하고자 하였다. 병사들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으로 계급, 학력, 연령, 가정 소득, 부모 관계를 통제변수로 설정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을 위하여 서울지역의 향토사단 보병대대에서 군 복무중인 현역병 210명을 대상으로 자기기입식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7.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연구목적에 맞게 신뢰도 분석, 기술통계분석, 분산분석, 단순적률상관분석, 중다회귀분석의 방법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조사대상자의 가족 응집력의 실태는 평균 3.612로 대체로 중상 정도인 것으로 나타났다. 가족응집력의 경향을 보면 응집력이 적당히 높은 연결형 가족은 52명(25.4%)이고 응집력이 적당히 낮은 분리형 가족은 54명(26.3%)로 나타나 106명(51.7%)의 병사 가족이 가족의 기능을 가장 효과적으로 기능하고 개인의 발달을 도와줄 수 있는 가족과 생활하였음을 알 수 있다. 반면 70명(34.1%)는 가족응집력으로 인해 개인의 자율성이 제한되는 가족생활을 함을 알 수 있다. 2. 아동기 학대 경험은 평균 1.001로 대체로 낮게 나타났으나 이중 정서적 학대는 1.827, 신체적 학대는 .875, 방임은 .702로 나타나 정서적인 학대를 더 많이 경험하였음을 알 수 있다. 3. 병사들에 대한 사회적지지(간부, 동료병사, 사회친구)는 평균값이 3.324로 보통 수준보다 약간 높게 나타났으며 이중 병사들의 지지가 3.456으로 가장 높았고 상대적으로 간부의 지지는 3.124로 다른 체계에 비해 비교적 낮게 나타났음을 알 수 있다. 4. 병사들의 군 생활 적응 정도를 살펴보면 평균이 2.925로 중간값인 3점보다 약간 낮은 점수로 나타났다. 하위 차원을 살펴보면, 심신의 상태가 3.384로 가장 높고, 직책?직무 만족이 2.852, 군 조직 환경에 대한 태도가 2.804, 임무수행 의지는 2.711로 나타나 가장 낮은 점수를 보여주고 있다. 따라서 심신 상태를 제외한 3가지 하위 영역은 사회복지 실천의 개입이 필요함을 알 수 있다. 5. 인구학적 특성에 있어 가계소득이 높은 병사가 낮은 병사보다 가족응집력이 유의미(P<.001) 하였고 양부모 가정의 병사가 한부모 가정의 병사보다 가족응집력에 있어 유의미(P<.05)하였다. 아동기 학대 경험에 있어서는 한부모 가정의 병사가 학대 경험이 많은 것으로 유의미(P<.05) 하였다. 사회적지지는 계급이 낮은 병사가 계급이 높은 병사보다 사회적지지 수준이 유의미(P<.01)하였다. 군 생활 적응에 있어서도 계급이 낮은 병사가 계급이 높은 병사보다 군 생활 적응에 유의미(P<.05)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6. 가족 응집력, 아동기 학대 경험, 사회적지지가 군 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가족 응집력이 높을수록 군 생활에 잘 적응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P<.001). 또한 아동기 학대 경험이 높을수록 군 생활 적응에 어려움이 있다는 것이 확인되었다(P<.05). 사회적지지는 하위차원중 간부의 지지가 높을 때 군 생활 적응을 잘하는 것으로 확인 되었다(P<0.01). 7. 가족 응집력과 아동기 학대 경험이 군 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에서 사회적지지가 조절효과를 갖는지 살펴본 결과 가족응집력(P<.01)과 사회적 지지의 하위차원인 간부의 지지(P<.001)가 군 생활 적응에 영향을 미치나 조절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상호작용 항에서는 통계적으로 무의미하여 조절효과에 대한 가설은 기각되었다. 그러나 사회적 지지의 하위 차원인 간부의 지지는 상호작용 투입하기 전후 모두 P<.001 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고 상호작용 투입후에도 β=.444를 보여주었다. 이는 간부의 지지가 가족응집력과 아동기 학대 경험보다 병사들의 군 생활 적응에 더 큰 영향을 미침을 알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