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성공적노화 자원으로 운동참여의 심리적경험과 생활기술

        최미진 한국체육대학교 2019 국내박사

        RANK : 248829

        국문요약 성공적노화 자원으로 운동참여의 심리적경험과 생활기술 본 연구는 성공적노화 자원으로 운동참여의 심리적경험을 규명하고, 운동참여의 심리적경험으로 체득한 생활기술을 탐색한 뒤, 이를 성공적노화 관점을 토대로 해석 할 목적으로 진행하였다. 6개월 이상 규칙적으로 운동에 참여한 65세 이상 남녀노인 190명을 대상으로 개방형설문을 통해 운동참여의 심리적경험과 생활기술에 대한 자료를 수집해 분석하고, 참여자 중 10명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진행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귀납적 내용분석과 내용 타당도 검증, 연역적 자료전개를 통해 구체화하였다. 성공적노화의 신체적건강 자원, 심리적건강 자원, 사회적건강 자원, 개인적성장 자원은 심층면담 참여자 중 4명의 사례를 개개인의 체험에 집중하여 전개하고 도식화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운동참여의 심리적경험은 건강증진 인식, 삶의 활력증진, 운동열정, 사회적안정감, 부정정서의 5개 일반영역으로 추출되었다. 둘째, 운동참여의 심리적경험으로 체득한 생활기술은 건강관리기술, 자기조절기술, 개인성장기술, 삶의향유기술, 대인관계기술의 5개 일반영역으로 추출되었다. 마지막으로 성공적노화 자원으로 운동참여의 심리적경험과 운동참여의 심리적경험으로 체득한 생활기술을 성공적노화 관점으로 해석한 결과, 노인의 운동참여는 단순히 건강을 위한 체험이 아닌 참여자의 일상으로 전이되어 삶을 보다 건강하고 긍정적으로 영위할 수 있는 성공적노화의 자원에 기여하고 있다. 성공적노화의 신체적건강 자원, 심리적건강 자원, 사회적건강 자원, 개인적성장 자원은 운동참여의 심리적경험을 통해 일상에서 생활기술로 확장되고 이는 다시 삶 전반으로 선순환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결국 초고령화사회에 접어든 현 시대에 노인의 운동참여는 개인의 차원을 넘어 삶의 구성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본 연구가 운동을 통해 경험하는 심리적경험과 생활기술의 기능과 가치에 대한 논의를 확장시키고 성공적노화에 대한 후속연구의 기초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 심리적 외상경험이 관계중독에 미치는 영향 : 주관적 고통 감내력의 매개효과

        김수민 가톨릭대학교 상담심리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8815

        본 연구에서는 심리적 외상 경험과 관계중독 간의 관계를 알아보고, 이 변인들 간의 관계에서 주관적 고통 감내력이 매개효과를 갖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연애경험이 있는 미혼 성인남녀 360명(남성 213명, 여성 147명)에게 아동기 심리적 외상 질문지 단축형(CTQ-SF), 관계중독 척도(RAQ-30), 고통 감내력 척도를 사용하여 온라인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각 변인 간의 관계와 매개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SPSS 23.0 및 AMOS 23.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각 측정변수(심리적 외상 경험, 주관적 고통 감내력, 관계중독)는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이 있었다. 심리적 외상 경험과 주관적 고통 감내력은 부적 상관이 있었고, 주관적 고통 감내력과 관계중독도 부적 상관이 있었으며, 심리적 외상 경험과 관계중독은 정적상관이 나타났다. 또한, 구조 방정식을 통해 심리적 외상 경험과 관계중독의 관계에서 주관적 고통 감내력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주관적 고통 감내력이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간접효과의 검증을 위해 Bootstrapping을 실시한 결과, 심리적 외상 경험이 고통 감내력을 거쳐 관계중독으로 가는 매개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의의, 제한점 그리고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 경기 중 듀스상황에서 배드민턴 복식선수들이 겪는 심리적 경험

        김찬미 한국체육대학교 2021 국내석사

        RANK : 248765

        본 연구는 경기 중 듀스상황에서 배드민턴 복식 선수들이 겪는 심리적 경험을 탐색하기 위해 진행하였다. 연구의 대상자는 대한배드민턴협회에 선수등록이 되어있고, 10년 이상 경력을 가진 대학팀, 실업팀 선수 120명을 선정했고, 이후 개방형 설문을 시행하여 자료를 수집했다. 수집된 자료는 귀납적 분석을 거쳐 범주화를 실시했고, 이를 바탕으로 결과를 창출하였다. 경기 중 듀스상황에서 배드민턴 복식 선수들이 겪는 심리적 경험의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배드민턴 복식 선수들이 경기 중 듀스상황에서 겪는 심리적 경험에 대한 원자료를 범주화한 결과, 상대 팀 20점 선취득 후 듀스상황, 본인 팀 20점 선취득 후 듀스상황, 대등한 경기 중 듀스상황, 29:29 듀스상황으로 4가지로 구분하였다. 상대 팀 20점 선취득 후 듀스상황의 일반영역으로 긍정적 반응, 부정적 반응 2가지로 추출하였다. 하위영역은 긍정적 정서, 긍정적 행동, 부정적 정서, 부정적 행동 4개로 추출하였으며, 세부영역은 긍정적 정서 6개, 긍정적 행동 2개, 부정적 정서 5개, 부정적 행동 2개로 추출되었다. 다음으로 본인 팀 20점 선취득 후 듀스상황 또한 일반영역과 하위영역은 같은 조건으로 추출하였다. 세부영역은 부정적 정서 8개, 부정적 행동 3개, 긍정적 행동 2개, 긍정적 정서 6개로 추출되었다. 대등한 경기상황 듀스상황과 29:29 듀스상황은 상기 마찬가지로 일반영역 2개와 하위영역 4개로 추출하였다. 대등한 경기 중 듀스상황의 세부영역은 긍정적 행동 2개, 긍정적 정서 6개, 부정적 정서 5개, 부정적 행동 2개로 추출하였다. 29:29 듀스상황의 세부영역은 긍정적 정서 8개, 긍정적 행동 2개, 부정적 정서 5개, 부정적 행동 2개로 추출되었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보았을 때 배드민턴 선수들이 듀스상황에 따라서 긍정적 반응이나 부정적 반응이 다르게 나타났다. 심리적으로 부정적인 반응보다 긍정적인 반응이 더 높게 나타났다. 여러 가지 원자료를 바탕으로 보면, 심리적으로 다양한 경험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경기 중 듀스상황에서 배드민턴 복식 선수가 겪는 심리적 경험을 알아보는 것에 의의가 있다. 이 연구가 실제 경기를 하는 선수들이나 그 선수들을 지도하는 지도자에게 도움이 되길 바란다. 경기 중 배드민턴 선수의 심리적 요인을 강화하고 확장해 배드민턴 선수의 심리적 경험과 심리 훈련을 하는 것에 대한 기초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plore the psychological experiences of badminton doubles players in deuce situations during games.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registered as athletes of the Korean Badminton Association, and 120 athletes from university and business teams with more than 10 years of experience were selected, followed by an open survey to collect data. The collected data were categorized after an inductive analysis, and results were generated based on it. The results of a study of the psychological experiences experienced by badminton doubles players in deuce situations during games are as follows. As a result of categorizing raw materials for the psychological experiences of badminton doubles players in a deuce situation during a game, the deuce situation was divided into four categories: the deuce situation after the opponent's 20-point pre-acquisition point, the deuce situation after their own 20-point pre-acquisition point, the deuce situation, and 29:29 deuce situation. After the 20 point pre-acquisition point of the opposing team, two areas were extracted as the general areas of the deuce situation: positive and negative responses. The lower regions were extracted with four positive, positive, negative, and negative, while the detailed areas were extracted with six positive, two positive, five negative, and two negative. Next, after the 20-point pre-acquisition point of his team, the deuce situation was also extracted under the same conditions as the general and sub-area. The details were extracted from eight negative emotions, three negative actions, two positive actions, and six positive emotions. The Duce situation and the 29:29 Duce situation were extracted as two general areas and four lower areas, as shown above. The details of the Duce situation were extracted from two positive actions, six positive emotions, five negative emotions, and two negative actions. 29:29 The details of the Duce situation were extracted from eight positive emotions, two positive actions, five negative emotions, and two negative actions. Based on the results, badminton players showed different positive or negative reactions depending on the deuce situation. Positive responses were higher than psychologically negative responses. Based on a variety of raw materials, it has been shown to have a variety of psychological experience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recognizing the psychological experiences of badminton doubles players in deuce situations during games. Let's hope this study will help the actual athletes or the leaders who guide them. It is hoped that it will be used as basic data on badminton players' psychological experiences and psychological training by strengthening and expanding the psychological factors of badminton players during the game.

      • 2018년 평창 동계올림픽대회 출전 선수들이 경험한 홈경기 효과

        이철원 한국체육대학교 2021 국내석사

        RANK : 248700

        본 연구에서는 2018년 평창 동계올림픽대회에 참가한 한국 선수들이 경험한 홈경기 효과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이를 위하여 대회에 참가했던 선수 15명을 대상으로 심층 면담을 시행하였고 면담내용은 Colazzi의 현상학적 연구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213개의 ‘의미 있는 진술(significant statements)’이 파악되었으며, 이에 관한 원자료가 지닌 본래 의미를 최대한 보존하는 선에서 ‘일반적인 형태로 재진술(general restatement)’로 재진술 하였다. 이를 통해 44개의 ‘구성된 의미(formulated meaning)’로 범주화하였다. 구성된 의미들을 구조화 작업을 통해 총 15개의 주제(theme)를 도출했으며 4개의 주제 모음(theme cluster)과 2개의 범주(category)로 분류되었다. 연구 참여자들은 2018년 평창 동계올림픽대회에서 다수의 홈경기 효과를 경험하였다. 홈경기의 긍정적 측면과 관련하여 행정적 지원, 컨디션 조절, 멘탈강화(동기부여) 등을 경험하였다. 이런 효과들은 참여자들의 경기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특히, 경기장 사전적응에 관해 대한체육회와 연맹의 행정지원, 홈경기라는 특성상 시차 적응과 비행 피로 전무(全無)로 인한 컨디션 조절 용이, 홈 관중 응원에 의한 동기부여를 가장 강하게 경험하였다. 연구 참여자들은 부정적 효과에 대해서도 언급하였다. 선수들은 홈경기였기에 감수해야 했던 사항들로 인해 경기준비와 휴식시간에 큰 스트레스를 받았다고 하였다. 특히, 홈경기라는 특성상 숙소와 경기장 이동 시 한국 관객과 언론의 관심 때문에 훈련방해를 경험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참여자들은 원치 않는 상황에서도 이를 받아들일 수밖에 없었고 스트레스 상황을 경험했던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는 홈경기라는 특성상 언론과 관객들의 관심에 부응하지 못할 시 경험하게 될 부정적 여론에 대한 우려 때문이었다. 본 연구를 통해 선수들은 2018년 평창 동계올림픽대회에서 홈경기와 관련한 다양한 심리적 경험을 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관객을 비롯한 관계자들이 올림픽대회의 특수성이 선수에게 갖는 의미를 이해해주기를 바라고 있었다. 또한, 선수들의 정상적인 경기력 발현을 위해 부정적인 요인들은 지양하고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에 대한 지속적인 지원을 기대하고 있었다. 이 자료가 향후 동계올림픽대회 참가 선수들을 위한 관리 프로그램으로 개발, 적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In this research, we studied the home ground effects experienced by Korean athletes participating in the 2018 Pyeongchang Winter Olympics. For this purpose,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15 athletes among the participants, and the contents of the interview were analyzed through the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 of Colazzi. As a result, 213 ‘significant statements’ were identified, and the raw materials were re-examined as a ‘general restatement’, to the extent that it preserves the original meaning as much as possible. Through this, 44 'formulated meanings' were categorized. A total of 15 themes were derived through the composition of the constructed meanings, and were classified into four theme clusters and two categories. The participants experienced some home ground effects at the 2018 PyeongChang Winter Olympics. For the positive aspects, administrative support, balancing of condition, and mental strengthening were mentioned. These certainly played a positive role on their performance. In particular, administrative support from the Korea Sports Council and the Federation on the pre-adaptation of the stadium, not being exposed to jet lag and flight fatigue, and motivation from the support of the home audience were the strongest of all. Negative effects were also mentioned. The players said that they were under a whole lot of stress during the preparation and break time just because it was a home game. In addition, due to the environment of a home ground, it was found that their training was frequently interrupted due to the interest of the Korean audience and the media, when moving to the accommodation and the stadium. They indicated that they were forced to accept it even when they were not in the mood. These were all triggered by the concerns about negative public opinion, when the game did not meet the expectations of the media and the audience. This research showed that athletes came through various psychological experiences related to home games at the 2018 PyeongChang Winter Olympics. And they were expecting for the audience and other officials to understand what the specialized characteristics of the Olympic Games means to them. Moreover, they wanted continued support for positive factors, while avoiding negative factors, for their normal performance. It is hoped that this data will be developed and applied for the management program for athletes participating in the Winter Olympics.

      • 관광기업 종사원의 관광경험이 심리적 소진과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

        박나혜 대구대학교 2009 국내석사

        RANK : 232447

        본 연구의 목적은 관광기업 종사원의 관광경험이 심리적 소진과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것이다. 선행연구를 검토하여 관련 개념을 정의한 후 측청항목들을 추출하여 연구모형과 9개의 가설을 설정하였다. 연구가설을 검증하기 위하여 설문조사 방법으로 자료를 수집․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표본은 관광기업 종사원을 대상으로 하였고, 조사기간은 2009년 4월 1일부터 4월 25일까지 이루어졌으며, 총 200부의 설문지를 배포․조사하였다. 분석은 유효표본 172부를 SPSS WIN 12.0을 이용하여 빈도분석과 요인분석 및 신뢰도분석을 실시하였고, 설정된 가설을 검증하기 위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관광경험에 관한 7개의 요인, 심리적 소진의 3가지 요인, 조직유효성의 2가지 요인의 관계는 다음과 같다. 관광경험의 자기결정감․자기향상감 요인은 감정적 고갈에 유의한 부(-)의 영향을 미치며, 사회적교류․자기표현감 요인은 비인격화에 유의한 부(-)의 영향을, 신기성 경험은 성취감 감소에 유의한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러한 심리적 소진의 성취감 감소 요인은 직무만족에 유의한 부(-)의 영향을, 비인격화․성취감 감소는 조직몰입에 유의한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이론적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심리적 소진이 국내외를 막론하고 다양한 학문분야에서 적용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특히, 관광학 분야에서는 그 이론에 대한 인식마저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았다. 하지만 본 연구에서는 종사원들이 지각하는 관광경험의 결과 심리적 소진에 미치는 영향을 질적연구와 분석을 통하여 그 관계를 밝혀냈다는 점이다. 둘째,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의 조직유효성에 관한 연구는 관광학 분야에서 끊임없이 다루어지고 있다. 하지만 조직유효성이 관광경험과, 심리적 소진과의 관계에 대해서는 그 연구가 미흡한 현실이다. 본 연구가 그 시초가 되었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셋째, 관광자의 관광경험이 자신의 삶의 질에 도움이 되며, 스트레스 해소와 같은 심리적 효과에 대한 연구는 찾아보기 힘들며 이런 주제는 관광학자의 전통적인 관심주제가 아니였다. 본 연구에서 관광기업 종사자를 대상으로 선행연구와 분석을 통하여 관광경험의 심리적 효과를 규명했다는데 큰 의의가 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실무에서 적용할 수 있는 관리적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주관적 관광경험을 높게 지각 할수록 심리적 소진에 유의한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관광경험이 감정적 고갈, 비인격화, 성취감 감소와 같은 심리적 소진을 완화시키기 위한 방법으로 종사원들의 관광경험의 기회를 높이고, 여가로서 심리적 상태를 개선하기 위해 기업에서 많은 관심과 지원을 가져야 할 것이다. 둘째, 심리적 소진을 높게 지각 할수록 조직유효성에 유의한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업의 장기적인 생산성이 종업원의 헌신과 몰입에 달려 있음을 인식하고 이러한 결과 종사원들이 지각하는 심리적 소진을 감소시키기 위해 전문 상담원을 배치하여 종사원의 사명감과 적극적인 업무수행을 지원하는 시스템을 개발하여야 할 것이다. 향후 연구에서는 본 연구에서는 주관적 관광경험을 통한 심리적 소진이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선행연구와 문헌을 통한 이론적 고찰을 통하여 개념을 정립하고 연구가설을 설정, 실증조사를 위한 선행단계로서 관광기업 종사원을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하여 이를 기초 자료로 분석하여 검증하였으나 다음과 같은 한계점을 지니고 있다. 첫째, 본 연구는 국내외를 막론하고 관광학에서는 아직 선행연구가 미비하여 미지의 영역에서 새로운 개념과 이론적 관점들을 관계 규명하였다는 점과 새로운 분야에 대한 연구시도에 대해서 의의를 가지고 있지만, 관광경험의 심리적 효과에 대한 몇몇 요인들에 대한 학자들의 선행연구 부족의 한계로 논리전개에 객관적인 사실의 부족을 드러낼 수 있고, 직접적인 상호 비교분석이 불가능하였다는 점에 한계가 있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 규명된 이론을 주관적 관광경험의 요인으로 적용하는 데는 한계점을 지니고 있으므로 추후 연구자는 향후 연구 과제를 보완하여 진행하여야 할 것이다. 둘째, 일반적인 개인적 특성에 따른 관광경험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았다. 성별, 연령, 학력, 직업, 사는 곳 등의 선천적인 특성의 성격에 따라 조직구성원이 느끼는 전반적인 관광경험, 심리적 소진, 조직유효성에 대한 차이가 있을 수 있는데 본 연구에서는 이를 고려하지 않아, 향후 연구에서는 이런 일반적인 특성을 고려한 구체적인 연구가 이루어져야 하겠다. 셋째, 연구의 대상을 관광기업 종사원들만을 대상으로 한정하였기에 관광기업의 특성과는 다른 일반기업 종사원들의 의견이 반영되지 않아 심도 있는 분석이나 결과도출에는 어려움이 있었다. 향후에는 두 집단을 비교 분석하여 세분화된 실질적이고 깊이 있는 앞으로의 후속연구를 기대해 본다.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analyze how tourism experience of tourism business workers a effect, on psychological burnout and the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of organization. Research model and 9 hypotheses were set depending on literature review. The data were collected and analyzed by survey. The survey was done from April 1 to 25, 2009 and total 200 copies of questionaire was distributed and checked. 172 effective sample was analyzed to frequency study, factor study and reliability analysis with SPSS WIN 12.0.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practiced to verify the hypotheses. The relationship between 7 factors of tourism experience, 3 factors of psychological burn out and 2 factors of the effectiveness of organization are as following. The tourism experience factors of choice, self-determination and self- improvement have negative effect on emotional drain. Factors of social interaction and expressiveness have negative effects on impersonalization. And amazed experience factor has negative effect on decline of a sense of achievement. Also the decline of a sense of achievement of psychological burnout influenced negatively on job satisfaction and impersonalization. And finally decline of a sense of achievement influence negatively on job involvement. Among implications of this study, the most important thing is that this study applied the variable of tourism experience for the organization behaviors. Perhaps this study exploring for the psychological of tourism experience of employee in tourism industry would be the first in tourism academic area. Especially because the dependent variable, psychological burnout means job stress, the results of this study may help to understand and manage the organizational behaviors of tourism industry, theoretically and practically. On the result of the study, suggestions applicable on the field are as following. First, the more subjective tour experience is perceived, the more negative effect falls on psychological burnout. Bussinesses should pay attention to the result of the study to give more tour opportunities to their employees so that they can reduce psychological burnout such as emotional drain, impersonalization and decline sense of achievement improving mental condition by means of leisure. Second, the more psychological burnout is perceived, the more negative effect is on the effectiveness of organization. According to this, an active and task-supportive system in which specialized counsellors are arranged to reduce psychological burnout that the employees perceive so that the employees will have a sense of duty. For further research, primarily, as research subject is limited to tourism workers, opinions of other business workers are not reflected, which makes it difficult in-depth analysis and achieving result. Two groups of tour business employees and other business employees should be studied in depth with comparative analysis. Also, as established studies on relationship between tour experience and psychological burnout are not sufficient to support hypothesis, examining more research materials and study in depth needs to be done in the future

      • 대학생의 내면화된 수치심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 지각된 정서적 지지와 다차원적 경험회피의 매개효과

        이다은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32447

        본 연구는 내면화된 수치심과 심리적 안녕감과의 관계에 있어 지각된 정서적 지지와 다차원적 경험회피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18세 이상의 대학생 404명(남 169명, 여 235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여 내면화된 수치심, 지각된 정서적지지, 다차원적 경험회피를 측정하였고, 연구모형을 검증하기 위해 SPSS 21.0과 SPSS macro를 이용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내면화된 수치심, 지각된 정서적지지, 다차원적 경험회피, 심리적 안녕감 간에 유의한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둘째, 내면화된 수치심과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지각된 정서적 지지와 다차원적 경험회피의 매개효과가 나타났다. 그러나 내면화된 수치심과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지각된 정서적 지지와 다차원적 경험회피의 순차적 매개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위의 결과를 바탕으로 수치심이 내면화된 개인의 관계적 특성과 내적인 특성을 고려한 상담 및 심리치료 장면에서의 시사점과 연구의 제한점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s of perceived emotional support and multidimensional experiential avoidan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university student internalized shame and psychological well being. A total of 404 university students participated and completed the survey including measures of internalized shame, perceived emotional support, multidimensional experiential avoidance and psychological well being. The data was analyzed with using SPSS 21.0 and SPSS Macro.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internalized shame, perceived emotional support, multidimensional experiential avoidance, psychological well being showed a significant correlation respectively. Secon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nalized shame and psychological well being, perceived emotional support and multidimensional experiential avoidance showed mediating effect. However, perceived emotional support and multidimensional experiential avoidance showed no serial mediating effect. Based on these results, implications for counseling, limitation of the study and the necessity of further research was discussed.

      • 재난을 경험한 고등학생의 외상 후 스트레스가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의 매개효과

        박태철 안양대학교 2017 국내박사

        RANK : 232446

        본 연구의 목적은 재난을 경험한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외상 후 스트레스, 인지적 정서 조절전략, 심리적 안녕감 간의 관계를 밝히는데 있다. 이를 통해 재난을 경험한 청소년의 외상을 이해하고, 외상 후 스트레스 예방 및 관리와 심리적 안녕감 증진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교육적 의의가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이 설정하였다. 첫째, 재난을 경험한 청소년의 외상 후 스트레스, 인지적 정서조절전 략, 심리적 안녕감 간의 상관관계는 어떠한가? 둘째, 재난을 경험한 청소년의 심리적 안녕감에 대한 외상 후 스트레스, 인지적 정서 조절전략의 영향력은 어떠한가? 셋째, 재난을 경험한 청소년의 외상 후 스트레스와 심리적 안녕감 간 의 관계에서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적응적인 정서조절전략, 부적응적인 정서조절전략)은 유의미한 매개효과를 나타내는가? 본 연구의 대상은 2014년 세월호 재난을 간접적으로 경험한 경기도 안 산시에 소재하고 있는 인문계고등학교 및 특성화 고등학교 1, 2, 3학년 학생의 학년과 성별의 균등비율을 고려하여 선정하였다. 설문지는 1,200 부를 배부하였으며, 회수된 설문지 중 최종 남학생 512명, 여학생 524명 으로 총 1,036명을 활용하였다. 설문조사는 2014년 11월 1일부터 11월 30 일까지 약 한 달 동안 이루어졌다. 본 연구에서는 외상 후 스트레스 정도를 측정하는 사건충격검사 (IES-R-K) 척도, 인지적 정서조절전략(CERO)검사 척도, 심리적 안녕감 척도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기 위해서는 SPSS 21.0 Window 프로그램을 통해 상관관계분석(Correlation)과 신뢰도 분석, 다 중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 그리고 위계적 회귀분석(Hierarchical Regression)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연구문제별로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의 외상에 관련되는 주요 변인들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외상 후 스트레스와 심리적 안녕감은 부적 상관관계로 나타났다. 인지적 정서조절전략과 심리적 안녕감과의 관계에서 적응적인 전략(조망 확대와 계획 다시 생각하기, 긍정적 초점변경, 수용, 긍정적 재평가)은 심리적 안녕감에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부적응적인 전략(자기비난 과 타인비난, 반추, 파국화)은 심리적 안녕감과 유의한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즉 조망확대와 계획 다시 생각하기, 긍정적 초점변경, 수용, 긍정 적 재평가와 같은 적응적 조절전략을 많이 사용할수록 심리적 안녕감이 높았으며, 자기비난과 타인비난, 반추, 그리고 파국화와 같은 부적응적인 조절전략을 많이 사용할수록 심리적 안녕감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외상 후 스트레스와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은 고등학생의 심리적 안녕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먼저 외상 후 스트레스는 심리적 안녕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심리 적 안녕감에는 재경험과 과각성이 유의한 부(-)의 영향을 미쳤고, 회피 는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쳤다. 따라서 고등학생들은 재경험이 높을 수록, 회피가 낮을수록, 과각성이 높을수록 심리적 안녕감이 낮음을 알 수 있다. 다음으로 심리적 안녕감에는 적응적 조절전략 중 계획 다시 생 각하기와 긍정적 초점변경, 그리고 긍정적 재평가가 유의한 정(+)의 영 향을 미쳤으며, 부적응적 조절전략 중에는 자기비난과 타인비난, 그리고 반추가 유의한 부(-)의 영향을 미쳤다. 따라서 재난을 경험한 고등학생 들은 계획 다시 생각하기와 긍정적 초점변경, 그리고 긍정적 재평가가 높을수록 심리적 안녕감이 높으며, 자기비난과 타인비난, 그리고 반추가 높을수록 심리적 안녕감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청소년의 외상 후 스트레스와 심리적 안녕감 간의 관계에서 적 응적 인지조절전략은 부분 매개효과가 있었으며, 부적응적 인지조절전략 은 완전매개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적응적 인지조절전략의 하위요인 인 조망확대, 계획 다시 생각하기, 긍정적 초점변경, 수용, 긍정적 재평가 는 부분 매개효과가 있었고, 부적응적 조절전략 하위 요인별로는 각각 다르게 효과가 나타났다. 자기비난, 타인비난, 파국화 전략에서는 유의한 부분 매개효과가 있었으며, 반추는 완전 매개효과를 나타냈다. 이상의 연구결과는 외상 후 스트레스를 경험하고 있는 고등학생에게는 조망확대, 계획 다시 생각하기, 긍정적 초점변경, 수용, 그리고 긍정적 재 평가와 같은 적응적 인지조절전략들의 개입을 통해 심리적 안녕감을 향 상시킬 수 있음을 시사한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외상 후 스트레스를 경험할 때에는 부적응적 인지조절전략보다는 적응적 인지조절전략을 사 용하는 것이 심리적 안녕감 향상에 도움이 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외상을 경험하는 청소년이 증가함에 따라 외상 후 스트레스를 경험 할 때에는 모든 전략을 혼란스럽게 사용하기보다는 상황에 맞는 적절한 적응적 인지조절전략을 교육·훈련함으로써 보다 효과적으로 외상 후 스 트레스에 대응하고, 청소년의 심리적 안녕감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of post-traumatic stress,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and psychological wellbeing in high school students with experience of disaster. This study is of educational significance in that it makes it possible to have a more perfect understanding of the trauma of adolescents with experience of disaster and provides some information on how to boost psychological wellbeing and how to prevent and manage post-traumatic stress. Three research questions were posed: 1. What are the correlations of post-traumatic stress,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and psychological wellbeing among high school students with experience of disaster? 2. What influence do their post-traumatic stress and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exert on psychological wellbeing? 3. Do their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adaptive and maladaptive strategies) have any significant mediating effect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ost-traumatic stress and psychological wellbeing?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1,200 students who were selected from among the sophomores, juniors and seniors in an academic high school and a specialized high school that were both located in the city of Ansan, Gyeonggi Province. The students experienced the Sewol ferry disaster in a secondhand manner, and they were selected in consideration of academic year and gender to ensure equal proportions of gender and academic year. After a survey was conducted, the answer sheets from 1,036 students who were 512 boys and 524 girls were analyzed. The survey was implemented for approximately a month from November 1 to 30, 2014. The instruments used in this study were the Korean version of the Impact of Event Scale-Revised(IES-R-K), which measures the degree of post-traumatic stress,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Questionnaire(CERQ) and a psychological wellbeing scale.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a statistical package SPSS WIN 21, and correlation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ere carried out. The major findings of the study on the research questions were as follows: First, when the correlations of the major variables related to youth trauma were analyzed, there was a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post-traumatic stress and psychological wellbeing. As for the relationships of cognitive emotion strategies to psychological wellbeing, adaptive strategies that were putting into perspective, refocus on planning, positive refocusing, acceptance and positive reappraisal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psychological wellbeing, and maladaptive strategies that were self-blame, blaming other, rumination and catastrophizing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s with psychological wellbeing. In other words, psychological wellbeing became better when the adaptive regulation strategies were more used such as putting into perspective, refocus on planning, positive refocusing, acceptance and positive reappraisal, and it became worse when the maladaptive regulation strategies were more used such as self-blame, blaming other, rumination and catastrophizing. Second, the psychological wellbeing of the teens was under the significant influence of post-traumatic stress and th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Post-traumatic stress exercised a significant influence on psychological wellbeing, and psychological wellbeing was under the statistically signifiant negative influence of reexperience and hyperarousal. Avoidance affected it significantly in a positive way. Therefore it has been found that more reexperience, less avoidance and more hyperarousal led to less psychological wellbeing in the high school students. Next, psychological wellbeing was under the significant positive influence of refocus on planning, positive refocusing and positive reappraisal among the adaptive strategies, and that was under the significant negative influence of self-blame, blaming other and rumination among the maladaptive strategies. Thus, the psychological wellbeing of the students who experienced the Sewol ferry disaster was better when refocus on planning, positive refocusing and positive reappraisal were more prevailing, and their psychological wellbeing was worse when there were more self-blame, more blaming other and more rumination in them. Third, th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had partial mediating effect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osttraumatic stress and psychological wellbeing of the teens, and the adaptive strategies and the maladaptive strategies also produced partial mediating effects. As for the subareas of the adaptive strategies, putting into perspective, refocus on planning, positive refocusing, acceptance and positive reappraisal produced partial mediating effects. In the case of the subareas of the maladaptive strategies, self-blame, blaming other and catastrophizing produced significant partial mediating effects, and rumination was identified as a variable to produce no partial mediating effects. The above-mentioned results of this research suggest that it will exercise a positive influence on the psychological wellbeing of teens who suffer from post-traumatic stress after experiencing a disaster when intervention is provided using the adaptive regulation strategies such as perspective expansion, re-thinking of plans, positive focus shift, acceptance and positive reappraisal. Therefore the use of the adaptive regulation strategies is more likely to serve as a catalyst in promoting psychological wellbeing than that of the all kinds of negative regulation strategies when someone is under post-traumatic stress. Also, the use of particular strategies that are suitable for particular situations is more expected to be more effective at boosting the psychological wellbeing of adolescents with disaster experience than the mixed use of every strategy.

      • 펜싱선수의 기피상대 유형에 따른 심리적 경험과 대처과정

        이지영 한국체육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32446

        본 연구의 목적은 펜싱선수의 기피선수 유형에 따른 심리적 경험과 대처를 탐색하기 위해 진행되었다. 2019년 대한펜싱협회에 등록된 고등부 이상의 남녀 선수 60명을 대상으로 개방형 설문지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기피선수 유형은 원자료 188개를 도출하였으며 심리적 경험은 203개, 대처 원자료는 225개가 도출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귀납적 내용분석을 통해 분석 후 기피선수의 유형에 따른 심리적 경험과 대처과정을 인과 네트워크로 도출되었다. 자세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펜싱선수의 기피선수 유형은 신체지능형, 경기지능형, 심리지능형으로 범주화가 진행되었다. 신체지능형은 체격우위형, 체력우위형, 기술우위형, 운동감각우위형으로 범주화가 진행되었다. 경기지능형은 경기감각우위형, 전술운용우위형, 기술연결우위형, 운동지능우위형으로 범주화가 진행되었다. 심리지능형은 낮은 도덕지능형, 노련한 유형, 열정적 유형으로 범주화가 진행되었다. 둘째, 펜싱선수의 기피선수 유형에 대한 심리적 경험은 부정정서 촉발, 경기운영 혼란, 대응전략 모색으로 범주화가 진행되었다. 부정정서 촉발은 심리적 압박, 분노 유발, 무력감 유발로 범주화 되었다. 경기운영 혼란은 자신감 저하, 분석력 저하, 경기감각 난조, 인지적 복잡성으로 범주화 되었다. 대응전략 모색은 심리적 재무장, 프레임 전환, 심리전, 경기운영 변화로 범주화 되었다. 셋째, 펜싱선수의 기피선수 유형에 대한 대처는 경기전략 수립, 상황변화 전략, 심리적 항상성 추구로 범주화가 진행되었다. 경기전략 수립은 자기전략 조절, 기술조정, 전술유도로 범주화 되었다. 상황변화 전략은 극복 노력, 상황대응, 상황회피, 전환시도로 범주화 되었다. 심리적 항상성 추구는 긍정적 사고, 심리적 동요중재, 사고조절로 범주화 되었다. 넷째, 펜싱선수의 기피선수 유형에 따른 인과 네트워크가 진행되었다. 펜싱선수는 신체지능형으로 인해 경기운영 혼란을 경험하며 경기전략 수립을 통해 대처하였다. 경기지능형으로 인해 부정정서 촉발을 경험하며 상황변화 전략으로 통해 대처하였다. 심리지능형으로 인해 부정정서 촉발을 경험하며 심리적 항상성 추구를 통해 대처하였다. 이상 종합하면, 펜싱선수는 기피상대 유형에 따라 부정정서 촉발과 경기운영 혼란을 상대적으로 높은 빈도를 보이며 경기전략 수립으로 대처하였다. 펜싱선수에게 경기전략 수립은 경기흐름을 정돈하고 상황을 전환하여 자신의 경기흐름을 추구하기 위해 노력하는 결과로 사료된다. 이는 펜싱선수는 기피상대를 상대하기 위해서는 심리조절보다 구체적인 경기전략을 필요로 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psychological experience and response of the avoidance type of the fencer. In 2019, 60 male and female high school male athletes registered with the Korea Fencing Association were collected through an open questionnaire. The avoidance type derived 188 raw materials, 203 psychological experience and 225 coping raw materials. The collected data were derived through inductive content analysis from the psychological experience and response process according to the avoidance type after analysis into the causal network. The results of the detailed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type of fencer who avoids was categorized into physical intelligence, competition intelligence, and mental intelligence. Body intelligence was categorized into physical advantage, physical strength advantage, technical superiority, and motor sense superiority. competition Intelligence was categorized into competition Sensitive, Tactical Operation Preferred, Technical Connectivity Preferred, and Motion Intelligence Precedence. The mental intelligence type was categorised into a low moral intelligence, a seasoned type, and a passionate type. Second, the psychological experience according to the type of fencer who avoids has been categorized into triggering negative emotions, confusion in the operation of the game, and search for a response strategy. The trigger of negativity was categorised as psychological pressure, anger and helplessness. Confusion in the running of the game has been categorised into a lack of confidence, poor analytical skills, poor sense of performance, and cognitive complexity. The search for a response strategy has been categorised into psychological rearmament, frame-conversion, psychological warfare and changes in the operation of the economy. Third, the coping according to the type of fencer who avoids was carried out with the establishment of competition strategy, situation change strategy and pursuit of psychological constancy. The establishment of the competition strategy has been categorised into self-strategies adjustment, technical coordination, and tactical induction. The strategy of changing the situation has been categorised as efforts to overcome, respond to the situation, avoid the situation, and attempt to change the situation. The pursuit of psychological constancy has been categorised into positive thinking, psychological agitation arbitration, and thought control. Fourth, the cause and effect network was carried out according to the type of fencer. Fencers experienced confusion in the operation of the games by the type of physical intelligence and were dealt with by developing strategies for the games. The competition intelligence type experienced a negative emotion trigger and dealt with the situation change strategy. The mental intelligence type experienced a negative emotion trigger and dealt with it with a psychological Therefore, the fencer experienced the triggering of cheating and confusion in the operation of the competition according to the type of opponent he avoided, and dealt with by developing the competition strategy. For the fencer, the establishment of a competition strategy is thought to be the result of trying to turn the situation around and pursue a leading competition. This is judged to require a specific game strategy for the fencer.

      • 이혼 위기를 경험한 기독중년여성의 심리적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김경옥 부산디지털대학교 휴먼서비스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32446

        According to data on the divorce rate recentely presented by the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the divorce rate of middle-aged couples in Korea continues to increase and the divorce of middle-aged couples tends to be led by women rather than men. The problem is that many of these divorced women are in economically poor conditions, and such “unprepared middle-aged divorce” can cause not only personal loss due to family breakdown, but also social problems such as an increase in the number of elderly people living alone. 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theoretical and practical considerations that can help middle-aged couples in divorce crisis recover their relationship or prepare for their divorce. Along with these realistic concerns, studies on the process of responding to the psychological crisis of middle-aged women who have experienced divorce crisis are relatively active, whereas studies on Christian middle-aged women are insufficient.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explore in a precautionary way the psychological experiences of middle-aged Christian women during the divorce crisi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by applying Giorgi’s phenomenological research model, to understand the meaning and essential structure of the psychological experiences of six Christian middle-aged women who have experienced a divorce crisis, and further to seek a psychological intervention plan for them. Among the contents of this study, the components of the psychological experiences of middle-aged Christian women in divorce crisis were derived through the process of comparing, categorizing, and reorganizing concepts from collected data. This study is of great significance in the part that the participants solved, with the power of their faith, the painful situations that they experienced in the divorce crisis and the numerous difficulties in relationship with their husbands. As a result of the study, 8 essential components - inward depression, darkness without exit, entirely my responsibility, need for professional help, complex emotions when facing difficulties, hopeful factors, God’s help, finding an exit - and 37 sub-components were derived from the psychological experience of middle-aged Christian women who experienced a divorce crisis. Among these 8 essential components, “inward depression” firstly demonstrates feelings including 4 sub-components - 1) Psychological experience of behaviour of mother-in-law, 2) Psychological experience of depression, 3) Psychological experience of being alone, 4) Longing for mother - and abbreviated meaning units. Secondly, “Darkness without exit” shows feelings of hopelessness by 4 sub-components - 1) Painful emotion of hopelessness, 2) Experience of helpless condition, 3) Resentment towards parents-in-law, 4) Psychological experience of mother’s disappearance from home - and abbreviated meaning units. “Entirely my responsibility” reveals psychological aspects that have not changed, through 3 sub-components - 1) Expectation of buiding relationships, 2) Adherence to one’s notion, 3) Attitude of incompetent husband - and several meaning units. “Need for professional help” including 6 sub-components - 1) Husband’s twisted ideas, 2) Husband’s unreliable attitude, 3) Husband’s selfish behaviour, 4) Sympathy for husband, 5) Husband with no answer, 6) Feeling about inconsiderate husband - shows that the husband needs professional counseling. “Mixed emotions in the face of difficulties” includes 11 sub-components as follows : 1) Complex difficulties, 2) Unhappy memories of childhood, 3) Prime mover in overcoming difficulties, 4) Facing cultural difficulties, 5) Overcoming with faith, 6) Psychological experience of GOD, 7) Healing by spiritual restoration, 8) Awakening of GOD’s love, 9) Commitment to children, 10) From anxiety to gratitude, 11) Wisdom for all good things. “Hopeful factors” draws following 3 sub-components, 1) Speechlessness of mind, 2) Psychological experience of service activity, 3) Overcoming crisis only by faith, and expresses a variety of feelings within abbreviated meaning units. “God’s help” draws 3 sub-components : 1) Eyes on GOD, 2) Only by prayer and word of GOD, 3) Heaven helps those who help themselves. To finish with, “Finding an exit” includes 3 sub-components : 1) Empathy for husband, 2) Training for “letting go”, 3) Unshakable faith in GOD. Although there were some differences in the path to find the answer, all the participants were able to overcome psychological difficulties within their faith through the Word of GOD, prayer, and small faith-sharing group. This study draws the components of psychological experiences by in-depth observation and exploration of a series of processes in which middle-aged Christian women overcome the divorce cri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provide more efficient counseling for middle-aged women suffering from divorce crisis in the future and to help them enough in the process of overcoming the divorce crisis. 최근 한국보건사회연구원에서 제시한 이혼율에 관한 자료에 따르면 한국의 중년기 부부의 이혼율은 계속해서 증가하고 있다. 또한 중년기 부부의 이혼은 남성보다 여성이 주도하는 경향을 띠고 있는데, 문제는 이렇게 이혼을 한 여성들 중 다수가 경제적으로 열악한 상황에 놓여있다는 점이다. 이런 “준비되지 않은 중년기의 이혼”은 가정의 해체로 인한 개인적 손실 뿐 아니라, 독거노인의 증가와 같은 사회적인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따라서 중년 이혼 위기에 처한 부부들의 관계가 회복될 수 있도록 혹은 그들의 이혼이 준비될 수 있도록 도울 수 있는 이론적, 실제적 고민이 필요하다. 한편 이혼위기를 경험한 중년여성의 심리적 위기에 대응하는 과정에 대한 연구는 비교적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는 반면 기독중년여성에 대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기독중년여성을 대상으로 그들이 이혼 위기 속에서 겪은 심리적 경험을 예방적 차원에서 탐구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Giorgi의 현상학적 연구 모델을 통해 이혼 위기를 경험한 기독중년여성 6명의 심리적 경험에 대한 의미와 본질적 구조를 이해하고, 더 나아가 그들을 위한 심리적 중재 방안을 모색하는 데에 목적을 두고 있다. 본 연구의 내용은 이혼 위기를 경험한 기독중년여성의 심리적 경험의 구성요소를 수집된 자료들로부터 개념을 비교하고 범주화하며 재조직하는 과정을 통해 도출되었다. 연구 참여자들이 이혼 위기 속에서 겪었던 고통스러운 상황들과 부부 관계에서 빚어지는 수많은 어려움들을 신앙의 힘으로 해결해냈다는 부분에 본 연구는 큰 의미를 두고 있다. 연구의 결과는 이혼 위기를 경험한 기독중년여성의 심리적 경험은 8개의 본질적인 구성요소와 37개의 하위 구성요소로 도출되었는데, 본질적인 구성요소 중 첫째 “내면의 우울”은 1)시어머니 처신에 대한 심리적 경험, 2)우울증에 대한 심리적 경험, 3)혼자 겪는 심리적 경험, 4)어머니에 대한 그리움 등 4개의 하위 구성요소 및 요약된 의미단위를 포괄한 심리적 감정을 표출하고 있다. 두 번째, “출구가 보이지 않는 깜깜함”은 1)막막함에 대한 아픈 감정, 2)기댈 곳 없는 답답함, 3)시부모님에 대한 서운함, 4)어머니 가출로 인한 심리적 경험 등의 4개의 하위 구성요소와 더불어 요약된 의미단위를 통해 막막한 감정을 드러내고 있다. 세 번째 “책임은 나의 몫으로”는 1)관계형성에 대한 변화 기대, 2)자기 생각 고수하기, 3)무능력한 남편의 행동 등의 3개의 하위 구성요소와 갖가지 의미 단위 속에서 쉽게 변하지 않는 심리적인 부분을 보여준다. 네 번째, “전문적인 도움이 필요함”은 1)남편의 왜곡된 생각이 불편함, 2)불성실한 남편의 태도, 3) 남편의 이기적인 행동, 4)남편을 향한 측은함, 5)희망이 보이지 않는 남편, 6) 배려 없는 남편에 대한 감정 등 6개의 하위 구성요소를 통해 남편에게 전문적인 심리 상담이 필요하다는 점을 드러내 보여주고 있다. 다섯 번째 “어려움에 직면한 복합적 감정”은 1)복합적인 어려움, 2)어린 시절 아픔, 3)감당할 수 있었던 계기, 4)문화 차이를 겪음, 5)오직 믿음으로 위기 극복, 6) 하나님을 향한 깊은 심리적 경험, 7) 영적 회복을 통한 치유, 8) 하나님의 사랑을 깨달음으로, 9)자식에 대한 사명감, 10)불안에서 감사로, 11)좋은 일에도 지혜가 필요함 등 11개의 하위 구성요소를 포함하고 있으며, 여섯 번째 “희망적인 요소”는 3개의 하위 구성요소 즉, 1)형용할 수 없는 마음. 2)이웃을 섬기며 봉사했던 심리적 경험. 3)오직 믿음으로 위기 극복을 도출하고 요약된 의미 단위 안에서 다양한 심리적 감정을 표출하였다. 일곱 번째 “하나님의 도우심”은 1)바라봄의 법칙, 2)오직 말씀과 기도로 나아감, 2)하늘은 스스로 돕는 자를 도움 등의 3개의 하위 구성요소를 도출하고, 여덟 번째 “출구를 찾아감”은 1)역지사지의 마음, 2)자신을 내려놓기 위한 훈련, 3)하나님을 향한 절대 믿음으로 등의 3개의 하위 구성요소를 포함하고 있다. 각각의 참여자들이 해답을 찾아가는 경로에 있어서는 다소간의 차이가 있으나, 그들은 모두 신앙 안에서 말씀, 기도, 소그룹 나눔을 통해 심리적인 어려움을 극복해낼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이상의 결과를 통하여 기독중년여성들이 이혼 위기를 경험하는 일련의 과정을 깊이 있게 관찰하고 탐색하여 심리적 경험의 구성요소를 도출해 냄으로써, 향후 이혼 위기를 겪는 중년여성들을 대상으로 보다 효율적으로 상담을 진행하고 그들이 이혼 위기를 극복하는 과정에 도움을 주는 데에 그 의의를 두고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