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20대 여성의 핫 요가운동 수행이 신체조성 및 체력에 미치는 영향

        신혜란 건국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의 목적은 20대 여성들에게 8주간 핫 요가(Hot Yoga)운동을 적용시킨 후 신체조성, 체력의 변화를 분석하여 핫 요가운동 프로그램이 신체적, 생리적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여 20대 여성들의 삶의 질을 높이는데 기초자료로 제시하는데 있다. 연구대상은 20대 여성 30명을 대상으로 핫 요가군(n=15), 통제군(n=15)으로 구분하여 8주간 주5회 60분의 핫 요가 프로그램을 실시하여 핫 요가 전·후 신체조성과 기초체력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신체조성에서는 체중, 제지방량, 체지방률을 측정하고 기초체력에서는 근력, 근지구력, 순발력, 유연성, 평형성을 측정하였다. 핫 요가가 20대 여성의 신체조성과 기초체력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핫 요가 전·후 신체조성의 변화에서는 체중, 체지방량은 핫 요가 전 보다 핫 요가 후에 감소를 보여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제지방량은 핫 요가 전 보다 핫 요가 후에 증가를 보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2. 핫 요가 전·후 기초체력의 변화에서는 근력, 근지구력, 순발력, 유연성, 평형성에서 핫 요가 전 보다 핫 요가 후에 증가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8주간 핫 요가(Hot Yoga) 프로그램이 20대 여성의 신체조성과 기초체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단된다. 계속적인 유산소 운동은 20대 여성의 신체조성 향상과 기초체력 개선에 긍정적인 효과를 나타냄으로 매일 규칙적인 핫 요가 운동을 수행한다면 20대 여성의 삶의 질 향상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is intended to examine the effect of 8-week Hot Yoga training of women in their 20s on the body composition, fitness. For that, the experiment was carried out by dividing the subjects into the Hot Yoga training group comprised of 15 women and the control group comprised of 15 women. In the exercise treatment which was carried out for a total of 60 minutes, the warming up was performed for 5 minutes, followed by the 50-minute main exercise and the 5-minute cool-down exercise. The exercise was conducted for a total of 8 weeks, 5 times a week. The changes in the body composition(body weight, fat-free massbody fat ratio), fitness(muscular strength, muscle endurance, power, flexibility, balance) were measured before the exercise treatment, 8 weeks after the exercise treatment, respectively, and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First, the body weight and the body fat ratio - which were the variables of the body composition - decreased and the fat free mass increased as the period of exercise treatment was longer. Second, the muscle strength, muscle endurance, and power, flexibility, balance - which were the variables of the health fitness - increased as the period of exercise treatment was longer. Based on the aforesaid results comprehensively which suggest that the body composition, health fitness showed the change altogether 8 weeks after the Hot Yoga exercise treatment, it is considered that the continued aerobic exercise of women who lost the opportunities for physical activities due to the advancement of the contemporary civilization may improve the body composition, health fitness in a positive way, which would help increase the quality of life of young women if the Hot Yoga exercise is performed routinely in every day life.

      • 복합운동이 폐경 전 성인여성이 신체조성 및 골밀도에 미치는 영향

        김경희 대구한의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박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복합운동에 의한 신체조성의 변화와 골밀도의 변화가 존재하는지 규명하여 복합운동이 폐경 전 30, 40대 성인여성의 신체조성 및 골밀도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분석하였다. 연구는 30, 40대 폐경 전 여성 18명의 연구대상 중 연령대, 체질량지수별로 저체중, 정상체중, 과체중 각각 3명으로 구성하여 각 연구대상의 2회와 3회 측정값의 변화가 실험군, 1회와 2회의 측정값의 변화가 대조군이 되도록 하여 총 24주간 실시하였다. 이 결과는 복합운동이 폐경 전 성인여성의 신체조성 및 골밀도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여 치료하는데 필요한 권고사항이나 지침을 마련하고, 젊은 성인여성의 골다공증 예방교육을 조기에 실시해 관리능력을 배양하는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여 폐경 후 골다공증 예방을 위한 보건교육자료의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폐경 전 성인여성의 연령별 복합운동에 의한 30대 신체조성은 근육량, 제지방량, 골격근량 증가하였고, 체중, 체지방량, 체지방률, 허리둘레는 감소하였다. 40대 신체조성 중 근육량은 증가 하였고, 체중, 체지방량, 체지방률, BMI는 감소하였다. 30대 골밀도 변화는 요추골밀도는 요추1번, 요추2번, 요추3번, 요추전체, 대퇴골밀도는 대퇴 각 부위에서 증가하였고, 40대 골밀도 변화는 요추골밀도, 대퇴골밀도는 요추 각 부위, 대퇴 각 부위에서 증가하여 유의하게 나타났다. 복합운동에 의한 신체조성의 변화에서 근육량은 증가하였고, 체중, 제지방량, BMI, 체지방률, 허리둘레는 감소하였으며, 요추골밀도, 대퇴골밀도는 요추 각 부위, 대퇴 각 부위에서 증가하였다. 골밀도의 변화에서 요추골밀도는 요추 각 부위에서, 대퇴골밀도는 대퇴 각 부위에서 복합운동으로 인하여 모두 유의한 차이의 증가가 있었다. 연령과 체형별 복합운동에 의한 신체조성은 30대 저체중은 체중과 허리둘레, 정상체중 체중, BMI 및 허리둘레가 감소하였고, 과체중은 근육량, 무기질 및 제지방량은 증가하였으나 골격근량, 체중, 체지방량, BMI 및 체지방률은 감소하였다. 40대 저체중은 체지방량, 정상체중은 체중 및 BMI가 감소하였고, 과체중은 무기질, 체중, BMI 및 허리둘레가 감소하였다. 골밀도 변화는 30대 저체중은 요추전체, 정상체중은 요추1번과 요추전체, 과체중은 요추2번이 증가하였고, 40대는 과체중에서 요추2번과 요추3번이 증가하였다. 이 연구는 규칙적인 복합운동이 폐경 전 성인여성에게 긍정적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았다. 골다공증을 예방하기 위해 성장기부터 규칙적이고 지속적인 복합운동과 젊은 시절부터 적절한 체중조절을 통해 최대 골 질량에 도달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investigated changes in body composition and bone mineral density due to combined exerci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compound exercise on body composition and bone mineral density of pre - menopausal women in their 30s and 40s. The subjects were 18 premenopausal women and each group by age group and BMI was composed of 30 age group, 40 group, low weight, normal weight and overweight group. Changes in the measured values of the secondary and tertiary were performed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hanges of the primary and secondary measured values in the control group for a total of 24 week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premenopausal women were able to identify changes in body composition and bone mineral density by composite exercise to develop an education program that not only diagnoses and treats but also promotes osteoporosis prevention education early to cultivate management skills. And provide basic data on health education. After combined exercise, 30S premenopausal women decrease body fat, percent body fat percent and waist circumference, and increased muscle mass, skeletal muscle mass, and lean body mass. 40s premenopausal women increased muscle mass, body weight, body fat, body fat percentage and BMI. In the 30s, changes in BMD were increased in lumbar spine L1, lumbar spine L2, lumbar spine L3, lumbar spine L1 to L4, and femoral density increased in all parts of the femur. In the forties, lumbar spine BMD increased in all parts of the lumbar spine, and femur density increased in all parts of the femur. After combined exercise, muscle mass was increased and body weight, lean body mass, BMI, body fat percentage and waist circumference were decreased. Changes in BMD were increased in all parts of the lumbar spine and in the femur after combined exercise. Body weight and waist circumference were decreased in the low 30s group after combined exercise and body weight, BMI and waist circumference were decreased in normal body weight. Overweight was associated with increased muscle mass, mineral and dietary fat skeletal muscle mass, body weight, body fat mass, BMI and body fat percentage decreased. Body fat decreased in the low weight 40s after combined exercise and body weight and BMI decreased at normal weight. Bone mineral, body weight, BMI and waist circumference decreased in overweight. Body weight in the 30s increased in the whole lumbar spine, normal body weight in.creased in L1 and L1 to L4, and overweight was increased in L2. 40s increased L2 and L3 when body mass index was overweight. This study found that regular combined exercise had a positive effect on premenopausal women. In order to prevent osteoporosis, it is necessary to exercise combined exercise regularly continuously from the growing season and actively try to reach the maximum bone mass by appropriately adjusting the weight from an early age.

      • 폐경 후 여성의 신체조성과 골밀도의 관계 연구

        김현정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8702

        본 연구는 폐경 후 여성을 대상으로 체지방량과 제지방량, 골밀도의 관계를 규명함으로써 그들의 신체적 건강수준에 대한 이해를 돕고 폐경 후 여성의 골건강증진을 도모하기 위한 간호중재 마련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1999년 6월부터 2002년 1월까지 경기도 안산시 안산헬스 스터디 센터에서 수집된 자료를 이용하여 최종적으로 선정된 40세 이상 폐경 후 여성 156명을 분석하였다. 신체조성과 골밀도를 관계를 조사하기 위해 이중 에너지 방사선 골밀도 측정기(Dual Energy X-ray Absorptiometry, DEXA)를 이용하여 체지방량과 제지방량, 골밀도를 직접 측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SPSS 10.0 program을 이용하여 평균과 표준편차, 피어슨 상관관계분석, 다중회귀분석을 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연구 대상자의 최소 연령은 40세, 최대 연령은 80세, 평균 연령은 62.6±9.2세, 평균 폐경 나이, 폐경 후 기간은 각각 50.1±3.9세, 13.0±9.2년이었다. 2. 연구 대상자의 신체계측, 신체조성, 골밀도 연구 대상자의 평균 신장, 체중, 체질량지수, 총체지방량, 총제지방량, 체지방률은 각각 156.3±5.8cm, 57.4±8.3Kg, 24.5±3.6Kg/㎡, 21.4±6.9Kg, 32.1±4.3Kg, 38.9±0.07%였고 평균 대퇴경부 골밀도는 0.75±0.15g/㎠이고 평균 요추 골밀도는 0.95±0.18g/㎠였다. 3. 일반적 특성에 따른 골밀도 연령이 증가할수록 대퇴경부, 요추 골밀도는 감소하였다. 폐경 후 기간이 길어짐에 따라 대퇴경부, 요추 골밀도가 감소하였다. 교육 수준이 높아짐에 따라 대퇴경부, 요추 골밀도 모두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월수입이 높은 군은 대퇴경부 골밀도가 높게 나타났으나 요추 골밀도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결혼 상태는 결혼을 한 경우가 미혼, 별거, 사별한 경우보다 대퇴경부, 요추 골밀도 모두 유의하게 높았다. 음주를 하는 경우가 음주를 하지 않은 경우보다 대퇴경부, 요추 골밀도 모두 유의하게 높았다. 규칙적인 운동과 골밀도의 관계에서는 대퇴경부 골밀도의 경우 유의하지 않았으나 요추 골밀도의 경우 규칙적인 운동을 하는 군이 높았다. 연구 대상자 중 흡연을 하는 사람이 2%여서 일반적 특성에 따른 골밀도 분석을 실시하지 않았다. 4. 신체계측, 신체조성 및 골밀도의 상관관계 연령, 폐경 후 기간, 신체계측, 신체조성, 골밀도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보면 연령은 폐경 후 기간(r=.906)과는 양의 상관관계였고 신장(r=-.457), 총제지방량(r=-.344), 대퇴경부(r=-.658), 요추 골밀도(r=-.389)와는 음의 상관관계였다. 폐경 후 기간은 신장(r=-.417), 총제지방량(r=-.322), 대퇴경부(r=-.644), 요추 골밀도(r=-.371)와 음의 상관관계였다. 신체계측, 신체조성 및 골밀도간의 관계를 살펴보면 신장은 체중(r=0.258), 총제지방량(r=0.425), 대퇴경부(r=0.376), 요추 골밀도(r=0.413)와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고 체질량지수(r=-0.271)는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체중은 체질량지수(r=0.857), 총체지방량(r=0.850), 총제지방량(r=0.660), 체지방률(r=0.652), 대퇴경부(r=0.258), 요추 골밀도(r=0.419)와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체질량지수는 총체지방량(r=0.824), 총제지방량(r=0.429), 체지방률(r=0.714), 요추 골밀도(r=0.191)와 양의 상관관계였다. 신체조성과 골밀도간의 관계에서 총체지방량은 대퇴경부 골밀도와는 관계가 없었으나 요추 골밀도(r=0.270)와는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총제지방량은 대퇴경부 골밀도(r=0.442), 요추 골밀도(r=0.402) 모두에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체지방률은 대퇴경부, 요추 골밀도 모두와 관계가 없었다. 5. 신체조성 및 골밀도의 분석 총체지방량과 총제지방량 중 어느 것이 골밀도에 영향을 미치는 독립적인 변수인지를 알아보기 위해, 폐경 후 기간과 일반적인 특성 및 체질량지수를 보정한 후 단계별 선택방법을 이용한 다중회귀분석을 하였다. 분석결과 대퇴경부(p=0.003)와 요추 골밀도(p=0.008) 모두에서 총제지방량만이 독립적인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신제조성 중 체지방량과 제지방량 어느 것이 더 골밀도와 관련이 있는지를 알아보았다. 이제까지 신체조성과 골밀도의 관계 연구가 많이 이루어졌지만 연구 대상자에 따라, 골밀도 측정 장비나 골밀도 분석변수 등에 따라 서로 다른 결과를 나타냈다. 앞으로 신체조성과 골밀도 관계 연구에 대한 반복 연구가 필요하다. 폐경 후 여성을 대상으로 한 연구 결과에서 체중을 구성하는 신체조성 중 총제지방량은 대퇴경부, 요추 골밀도를 유의하게 예측하였으나 총체지방량는 유의하게 예측하지 못하였다. 폐경 후 여성에서 골밀도를 유지, 증진하기 위해서는 총제지방량을 증가시키는 것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총제지방량은 변경이 가능한 요소이므로 건강한 생활방식, 규칙적인 운동이나 신체활동의 증가를 통해 제지방량을 증가시키고 골밀도 감소를 줄이고 적정수준의 골밀도의 유지를 도모할 수 있도록 하는 골건강관리 간호중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그러므로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1. 간호 연구 측면 신체활동과 같은 요인이 신체조성과 골밀도의 관계성 사이에 잠재할지도 모르므로 신체조성과 골밀도 사이의 관계성 연구에서 신체활동 수준 패턴이 잘 사정되어야 할 필요가 있고(신체활동이나 운동 강도, 횟수, 기간 등)이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2. 간호 실무 측면 폐경 후 여성의 건강한 생활방식, 규칙적인 운동이나 신체활동의 증가를 통해 제지방량을 증가시키고 골밀도 감소를 줄이며 적정수준의 골밀도 유지를 도모할 수 있도록 하는 골건강관리 간호중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3. 간호 교육 측면 본 연구 결과가 폐경 후 여성의 골밀도를 유지, 증진하기 위한 교육 자료의 일부로서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the independent effect and relative contribution of lean mass and fat mass to bone mineral density (BMD) in postmenopausal women. The sample consisted of 156 postmenopausal women(age: mean=62.6; S.D.=9.2) over aged 40 years. Baseline characteristics included age, age at menopause, years since menopause (YSM), height, weight, and body mass index (BMI,Wt/Ht(2)). Total fat mass, total lean mass, percentage of body fat, femur neck and lumbar spine BMD (L2-L4) were measured by dual-energy X-ray absorptiometry. Total fat mass had only positive relationship with BMD of lumber s-pine. Total lean mass had positive relationship with BMD of lumber s-pine and femur neck. However, using multivariate regression analyses, only total lean mass remained significant predictors for BMD of femur neck (r2 = 47.8%) and lumber spine(r2 = 34.1%). Total fat mass was not a significant predictor of BMD at any skeleton site.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otal lean mass, not total fat mass, is a significant contributor to femur· neck and lumber spine BMD in postme-nopausal women.

      • 한국 청소년들의 신체조성 및 체력발달경향에 관한 연구

        이창진 건국대학교 대학원 2000 국내박사

        RANK : 24870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body composition and physical fitness development trend of Korean youth. The subjects were 1,237 Korean youth, 623 male(323 middle school students, 300 high school students) and 614 female(313 middle school students, 301 high school students), from the first grade of the middle school to the third grade of the high school. Body composition was measured by InBody 2.0 of a segmental multifrequency impedance analyzer. The measured items were total body water, fat mass, fat free mass, %body fat, waist hip ratio, body mass index and basal metabolic rate. Physical fitness was measured by the same method. The measured items were strength(left/right grip strength, back strength), balance(stork stand), speed(50m dash), power(stand long jump), muscular endurance(sit-up), flexibility(sit and reach), agility(whole body reaction test), and cardiovascular endurance(1,200m, 1,600m run). The data were analyzed with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trend analysis and factor analysis using SPSS Version 10.0 and MINITAB.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Depending on the development stage of students, body composition of male subjects had significant differences in total body water, fat free mass, %body fat, waist hip ratio, body mass index and basal metabolic rate except fat mass, and that of female subjects had significant differences in total body water, fat mass, fat free mass, %body fat, body mass index and basal metabolic rate except waist hip ratio. 2. Depending on the development stage of students, physical fitness of youth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strength, muscular endurance, agility, balance, power, speed, flexibility and cardiovascular endurance both in male and female. 3. As students become older, strength, muscular endurance, flexibility, power, speed, cardiovascular endurance and balance of physical fitness factors tended to be enhanced in male subjects, and strength, muscular endurance, flexibility, cardiovascular endurance and agility tended to bo enhanced in female subjects. 4. The factorial structure of physical fitness appeared differently by the development stage both in male and female. When the components of factorial structure of physical fitness were divided by development stage, these two results were found in male subjects. First, the components of factorial structure of physical fitness in middle school students were strength, cardiovascular endurance and flexibility in the first grade, strength, speed and balance in the second grade, and strength, cardiovascular endurance and agility in the third grade. Second, the components of factorial structure of physical fitness in high school students were strength, cardiovascular endurance and balance in the first grade, strength, power and flexibility in the second grade and strength, cardiovascular endurance, agility and flexibility in the third grade. In female subjects, these two results were found. First, the components of factorial structure of physical fitness in middle school students were strength, cardiovascular endurance and muscular endurance in the first grade, speed, strength, flexibility and agility in the second grade and power, strength and agility in the third grade. Second, the components of factorial structure of physical fitness in high school students were strength, cardiovascular endurance, muscular and agility in the first grade, strength, power and agility in the second grade and strength, cardiovascular endurance and flexibility in the third grade. 5.Depending on the development stage, body composition of male subjects was dramatically higher in total body water, fat free mass, waist hip ratio and body mass index and that of female subjects was significantly higher in fat mass and %body fat, however, body mass index had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female subjects. 6.Depending on the development stage, physical fitness of male subjects was significantly greater in strength, muscular endurance, power, agility, speed and balance, and the only flexibility was greater in female subjects and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7. The factorial structure of physical fitness appeared differently by the development stage of male and female. When the compos of factorial structure of physical fitness were compared male with female by the development stage, these results were found in middle school student. First, the components of factorial structure of physical fitness in the first grade were strength, cardiovascular endurance, flexibility in male,andstrength, cardiovascular endurance and muscular endurance in female. Second, the components of factorial structure of physical fitness in the second grade were strength, speed and balance in male, and speed, strength, flexibility and agility in female. Third, the components of factorial structure of physical fitness in the third grade were strength, cardiovascular endurance and agility in male, and power, strength and agility in female. These results were found in high school students. First, the components of factorial structure of physical fitness in the first grade were strength, cardiovascular endurance and balance in male, and strength, cardiovascular endurance, muscular endurance and agility in female. Second, the components of factorial structure of physical fitness in the second grade were strength, power and flexibility in male, and strength, power and agility in female. Third, The components of factorial structure of physical fitness in the third grade were strength, cardiovascular endurance, flexibility and agility in male, and strength, cardiovascular endurance, and flexibility in female.

      • 초등학생의 태권도 급수에 따른 신체조성, 체력 및 신체활동량의 비교연구

        송성빈 경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8702

        국문초록 초등학생의 태권도 급수에 따른 신체조성, 체력 및 신체활동량의 비교 연구 송 성 빈 경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체육교육전공 지도교수 김 남 수 본 연구는 초등학생들이 가장 접하기 쉽고, 선호하는 태권도를 선정하여 현재 태권도장에서 실시하고 있는 급수별 운동 프로그램이 초등학생들의 신체조성, 체력 및 신체활동량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며, 신체활동량과 신체조성, 체력 간 상관성을 알아보고 초등학생들의 적절한 운동량 및 강도의 재구성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 연구의 대상자들은 총 75명으로 현재 태권도 수련중인 5-6학년 남학생 46명과 여학생 29명을 선정하였다. 운동은 급수별 태권도 수련에 초점을 맞추고 운동의 빈도는 주 5회이며, 실제로 태권도장에서 행하고 있는 태권도 수련 프로그램을 적용하였다. 자료처리는 성별을 구분하고 태권도 급수별 체지방량(fat mass), 체지방률(%fat), 제지방량(fat free mass), 600m 달리기, 50m 달리기, 제자리멀리뛰기, 사이드스텝, 앉아윗몸앞으로굽히기, 팔굽혀펴기, 윗몸일으키기, 태권도 수련 활동량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일원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이 연구를 토대로 나온 결론은 다음과 같다. 1) 태권도 급수별 남녀 모두 체지방량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2) 태권도 급수별 남녀 모두 제지방량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3) 태권도 급수별 체지방률은 남학생의 경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여학생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4) 태권도 급수별 남녀 모두 근력과 근지구력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5) 태권도 급수별 남녀 모두 민첩성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6) 태권도 급수별 남녀 모두 유연성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7) 태권도 급수별 남학생은 순발력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여학생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8) 태권도 급수별 남학생은 심폐지구력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여학생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9) 태권도 급수별 남녀 모두 신체활동량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0) 태권도 급수별 수련 프로그램에 따른 초등학생의 신체조성, 체력 및 신체활동량 간 남학생은 신체활동량과 모든 체력구성 요인에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체지방률의 경우 부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체지방률과 모든 체력구성 요인에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체지방량과 팔굽혀펴기와 50m달리기를 제외한 모든 체력항목에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제지방량과 체력 간에는 상관관계가 없었다. 11) 태권도 급수별 수련 프로그램에 따른 초등학생의 신체조성, 체력 및 신체활동량 간 여학생은 신체활동량과 50m 달리기, 600m 달리기를 제외한 모든 체력항목에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신체조성에는 상관관계가 없었다. 또한 체지방량과 600m 달리기에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제지방량은 윗몸일으키기를 제외한 모든 체력 항목에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현재 대부분의 태권도장의 초등학생 태권도 수련은 급수별 프로그램으로 시행되고 있다. 장기적이고 규칙적인 수련이 성장기에 있는 초등학교 아동들의 신체조성과 체력발달에 긍정적인 효과를 주는 것은 사실이지만 단순히 수련기간의 증가에 의한 발달보다는 좀 더 효과적인 방법이 고안되어야한다고 판단된다. 따라서 단순히 급수에 의한 수련 방식보다는 체력과 신체조성의 등급에 맞는 프로그램의 개발과 근력 및 심폐지구력 증진에 대한 노력이 시행된다면 현재 당면하고 있는 초등학생의 비만 유병율 증가와 체력저하 현상에 대해 지금의 태권도가 주는 이점보다 더욱 효과적인 대응을 할 수 있으리라 사료된다.

      • 유.무산소 훈련방식에 따른 중년비만여성의 신체조성에 미치는 영향

        신윤석 경기대학교 일반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8702

        현대 사회에서 신체활동의 감소와 식생활의 발달로 인하여 비만이 심각한 질병으로 대두 되고 있다. 생활수준의 향상과 서구적 식생활화로 인하여 남·녀 노소를 가리지 않고 비만이 증가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는 중년비만여성을 대상으로 유․무산소 훈련을 활용하여 중년비만여성의 신체조성의 차이 수준을 비교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L' 휘트니스클럽 40~50대 회원 21명이며 무산소훈련 집단 7명, 유산소훈련 집단 7명, 유·무산소병행훈련 집단 7명으로 나누어 주 3회 12주간 실시하여 세 집단의 훈련 전·후의 신체조성의 차이를 비교 분석하였다. 중년비만여성의 12주간의 훈련프로그램 참여 전 집단간 신체조성 검사결과에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결과 세집단간 사전 신체조성은 체중과 제지방량, 체지방량, BMI(Body mass index), 체지방률, 복부지방률, 그리고 기초대사량 모두 동질하게 구성되어 있었다. 12주간 훈련프로그램 참여 후 집단간 신체조성 수준의 차이분석결과 체중의 변화에는 유산소훈련을 한 중년비만여성이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체지방량 감소에는 모든 훈련집단이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제지방량증가에는 무산소훈련 집단과 유․무산소병행훈련 집단이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고, BMI의 감소에는 유산소훈련 집단이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또한 체지방률의 감소에는 모든 훈련집단이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복부지방률의 감소에도 모든 훈련집단이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기초대사량의 증가에는 무산소훈련 집단과 유․무산소병행훈련 집단이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12주간 훈련프로그램 참여에 따른 집단내 신체조성 수준 차이를 분석한 결과 무산소훈련 집단은 체지방양, 제지방량, 체지방률, 복부지방률, 기초대사량이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으며, 유산소훈련 집단은 체중, 체지방량, 체지방률, 복부지방률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내었다. 유․무산소병행훈련 집단은 체지방양, 제지방량, 체지방률, 복부지방률, 기초대사량이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유․무산소 훈련 방식에 따른 중년비만여성들에게 가장 효과적인 훈련형태는 유·무산소병행 운동 프로그램이 가장 유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무산소훈련을 함으로써 제지방량과 기초대사량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 유산소훈련을 통해 보다 많은 체지량과 체지방율, 복부비만률의 감소 효과를 볼 수 있으므로 두 훈련의 병행을 통하여 제지방, 기초대사량의 증가와 체지방률, 체지방량, 복부지방률(WHR)의 감소에 효과적이므로 중년비만여성의 이상적인 신체조성에 많은 도움이 될 것으로 보여진다. In modern society, obesity is raising its head as a serious disease due to the diminution of physical activity and the improvement of dietary life. The elevation of living standard and western dietary life are responsible for the increasing of obesity without distinction of age or sex. In this study, we conduct a survey of middle-aged obese women applying aerobic exercise and anaerobic exercise in order to compare and analyze the difference of physical formation. We analyzed the difference of physical formation before and after the exercise 3 times a week for 12 weeks dividing 21 persons into three groups who are the members of ‘L’ fitness club in their forties to fifties, namely 7 persons of anaerobic exercise, the other 7 persons of aerobic exercise, and the rest 7 persons of both aerobic and anaerobic exercise in parallel. We confirmed the preliminary inspection on the physical formation of thesemiddle-aged obese women of these three groups in all aspects; weight, diverse fat amount, body fat amount, BMI, body fat ratio, abdominal fat ratio, and the amount of basal metabolism are nondiscrimination. Analyzing the physical formation of these three groups after 12 weeks exercise program, the analogous change of weight is shown in aerobic exercise groupof middle-aged obese women, meanwhile the reduction of body fat amount is shown in all three groups similarly. The increase of diverse fat amount is shown similarly in anaerobic exercise group and anaerobic/aerobic exercise in parallel group, also the diminution of BMI is shown similarly in aerobic exercise group. And at the same time, all three groups came out analogous difference in the diminution of body fat ratio and abdominal fat ratio, meanwhile the increase of basal metabolism amountwas founded similarly in anaerobic exercise group and anaerobic/aerobic exercise in parallel group. After 12 weeks exercise program, we found that the anaerobic exercise group displayed similar difference in diverse fat amount, body fat amount, body fat ratio, abdominal fat ratio, and the amount of basal metabolism, meantime the aerobic exercise group displayed similar difference in weight, body fat amount, body fat ratio, and abdominal fat ratio, and also the similar difference of body fat amount, diverse fat amount, body fat ratio, abdominal fat ratio, and the amount of basal metabolism was displayed in the group of aerobic/anaerobic exercise in parallel. As a consequence, aerobic/anaerobic exercise is the most effective program for the middle-aged obese women since you can increase the diverse fat amount and basal metabolism amount by doing anaerobic exercise, on top of that you can also decrease even more body fat amount, body fat ratio and abdominal fat ratio through aerobic exercise. Therefore, we can expect that it would be great help to make ideal physical formation for the middle-aged obese women running parallel with these two exercise; aerobic and anaerobic exercise, since it is efficient for both the increase of diverse fat amount and basal metabolism amount and the decrease of body fat ratio, body fat amount and abdominal fat ratio.

      • 비만 중년여성의 신체조성 및 혈액성상에 대한 습식마사지의 효과 평가를 위한 메타분석

        서유영 경기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8701

        본 연구는 우리나라 비만 중년여성에게 효용성이 높은 습식마사지(wet massage) 요법을 제시할 목적으로 중년여성의 신체조성과 혈액성상에 미친 습식마사지의 효과를 평가하고자 메타분석(meta analysis)을 실시하였다. 비만 중년여성의 신체조성과 혈액성상에 대한 습식마사지의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국내에서 22년간(2000년 1월부터 2022년 9월까지) 발표된 연구물들을 수집한 후 최종적으로 선정된 33편으로 메타분석을 실시하였다. 비만 중년여성의 신체조성과 혈액성상에 미친 습식마사지의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최종적으로 수집된 연구물들의 종속변인은 신체조성과 혈액성상으로 분류하였다. 메타분석을 위해 신체조성의 하위요인은 BMI(체질량지수, body mass index), 체중(body weight), 체지방량(fat mass), 근육량(body muscle) 및 신체계측치(anthropometric measurement)로 분류하였다. 단, 신체계측치는 신체둘레(body circumference)와 피하지방두께(skin-fold thickness)로 다시 분류하였다. 메타분석을 위해 혈액성상의 하위요인은 혈중지질(blood lipid)과 혈당 및 혈중호르몬(blood glucose & hormone)으로 분류하였다. 단, 혈중지질은 중성지방(triglyceride), 총콜레스테롤(total cholesterol), HDL-콜레스테롤(HDL-cholesterol) 및 LDL-콜레스테롤(LDL-cholesterol)로 다시 분류하였다. 그리고 습식마사지(경락, 아로마, 스웨디시) 중 비만 중년여성의 신체조성과 혈액성상에 가장 효과적인 요법도 알아보았다. 또한, 습식마사지의 최적 중재기간을 알아보고자 중재기간(4주 이하, 5∼8주 및 10∼16주)이 비만 중년여성의 신체조성과 혈액성상에 미친 효과도 알아보았다. 본 연구 결과, 비만 중년여성의 신체조성과 혈액성상에 미친 습식마사지의 전체 효과크기(effect size)는 중간 효과크기보다 낮은 수준(0.366)이었다. 신체조성 중 체지방량, BMI, 체중, 근육량 및 신체계측치에 미친 습식마사지의 효과크기는 각각 신체계측치(0.525), 체지방량(0.324), BMI(0.273), 체중(0.222), 근육량(0.222)의 순으로 나타났다. 신체계측치의 하위요인인 신체둘레와 피하지방두께는 각각 0.477과 0.645로 중간 정도의 효과크기로 나타났다. 혈액성상 중 혈중지질(0.307)과 혈당 및 혈중호르몬(0.208)은 중간보다 낮은 효과크기로 나타났다. 그러나 혈중지질의 하위요인은 중성지방(0.414), 총콜레스테롤(0.367), LDL-콜레스테롤(0.295), HDL-콜레스테롤(0.180)의 순으로 나타나 낮은 효과크기부터 중간 효과크기까지 다양하게 나타났다. 비만 중년여성의 신체조성과 혈액성상에 미친 습식마사지 종류에 따른 전체 효과크기는 경락마사지(0.379), 스웨디시마사지(0.375), 아로마마사지(0.311)의 순으로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습식마사지 종류에 따라 신체조성에 미친 효과크기는 스웨디시마사지(0.441), 경락마사지(0.379), 아로마마사지(0.292)의 순으로 나타났다. 또 혈액성상에 미친 효과크기는 경락마사지(0.400), 아로마마사지(0.377), 스웨디시마사지(0.161)의 순으로 나타났다. 비만 중년여성의 신체조성 및 혈액성상에 대한 습식마사지의 중재기간은 10∼16주(0.532), 5∼8주(0.349), 4주 이하(0.299)의 순으로 중재기간이 길수록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특정 마사지 요법에만 한정된 기존의 연구와 달리 본 연구는 우리나라에서 사용 빈도가 높은 습식마시지 요법 중 경락마사지, 아로마마사지 및 스웨디시마사지를 선정하고 신체조성, 혈액성상 및 중지개간이 미친 효과를 종합적으로 평가한 것에 의의가 있다. 차후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좀 더 심도 있는 프로그램이 개발되어 중년여성의 비만 관리에 효과적으로 사용되길 기대한다. This study aims to propose wet massage therapies which are effective for obese middle-aged women in Korea. To this end, a meta-analysis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effects of wet massage on the body composition and serum profile in middle-aged women. For the purpose of evaluating the effects of wet massage on the body composition and serum profile in obese middle-aged women, a meta-analysis was conducted with 33 finally selected for the data collected from research papers domestically published over 22 years (from Jan. 2000 to Sep. 2022) were collected For the evaluation of the effects of wet massage on the body composition and serum profile in obese middle-aged women, dependent variables for meta-analysis were categorized into body composition and serum profile. For the meta-analysis, sub-factors of body composition were classified into BMI (body-mass index), body weight, fat mass, body muscle, and anthropometric measurement. Among them, anthropometric measurement was again classified into body circumference and skin-fold thickness. For the serum profile, sub-factors were classified into blood lipid and blood glucose & hormone. And serum profile was again classified into triglyceride, total cholesterol, HDL-cholesterol, and LDL-cholesterol. In addition, the most effective therapy for body composition and blood properties in obese middle-aged women among wet massage (meridian, aroma, and swedish) was also investigated. In the meta-analysis process for body composition and serum profile, the intervention period of wet massage was categorized into 4 or fewer weeks, 5∼8 weeks, and 10∼16 weeks. The results of the meta-analysis are as follows. The total effect size of wet massage on the body composition and serum profile in obese middle-aged women was lower (0.366) than the median level. As for the sub-factors of body composition of wet massage, that is, fat mass, BMI, body weight, body muscle, and anthropometric measurement, the effect size was largest for anthropometric measurement (0.525), followed by fat mass (0.324), BMI (0.273), body weight (0.222), and body muscle (0.222), respectively, in the presented order. Regarding body circumference and skin-fold thickness, which are the sub-factors of anthropometric measurement, the effect size was 0.477 and 0.645, respectively, which was at around the median level. And among the sub-factors of the serum profile, the effect size for blood lipid (0.307) and blood glucose and hormone (0.208) was lower than the median level. However, the effect size of the sub-factors of blood lipid was widely distributed along the spectrum from the lower end to the median level: triglyceride (0.414), total cholesterol (0.367), LDL-cholesterol (0.295), and HDL-cholesterol (0.180), in the presented order. The total effect size of wet massage on the body composition and serum profile of obese middle-aged women was largest for meridian massage (0.379), followed by swedish massage (0.375) and aroma massage (0.311). In the evaluation of effect size on body composition depending on the type of wet massage, swedish massage (0.441) showed the largest effect size, followed by meridian massage (0.379) and aroma massage (0.292). In addition, the effect size on serum profile was largest in the case of meridian massage (0.400), while aroma massage (0.377) was ranked second and swedish massage (0.161) showed the smallest effect size. The results of this study also showed that as the intervention period gets longer, the effect size of wet massage on the body composition and serum profile in obese middle-aged women becomes larger, in the order of 10∼16 weeks (0.532), 5∼8 weeks (0.349) and 4 or fewer weeks (0.299). While previous studies selected and analyzed a specific type of massage therapy, this study has its significance in that it comprehensively analyzed body composition, serum profile, and the effects of the intervention period by selecting meridian massage, aroma massage, and swedish massage, which are the wet massage therapies most frequently used in Korea.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be utilized in the future in developing more intensive wet massage programs that could be effective in managing the obesity in middle-aged women.

      • 비만관리프로그램 적용이 중학생의 신체조성과 기초체력에 미치는 효과

        조영운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8701

        이 연구는 비만관리프로그램 적용이 중학생의 신체조성과 기초체력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 분석하는 것이다. 이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비만관리프로그램 적용에 따른 비만 학생의 신체조성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둘째, 비만관리프로그램 적용에 따른 비만 학생의 기초체력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셋째, 비만관리프로그램 적용에 따른 남․ 여학생의 신체조성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넷째, 비만관리프로그램 적용에 따른 남․ 여학생의 기초체력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이다. 연구대상은 경기도 부천 J중학교 51명이 지원하였으며, 최종 45명의 자료가 분석되었다. 이 연구의 자료는 우선, 비만관리프로그램 참여에 대한 검사자의 신체조성 및 기초체력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하여 사전․사후검사를 실시하였고, 검사치 간의 유의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대응표본 t-검정을 했다. 그리고 집단 간 효율성은 일원분산분석(One-Way ANOVA), 사후검정은 Scheffe 검증을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2주 동안 식이요법을 하고 신체를 줄어든 식사량에 적응시킨 후 운동요법을 적용한 집단이 식이요법과 운동요법을 동시에 적용한 집단보다 신체조성변화에 더 효과적이었다. 둘째, 2주 동안 식이요법을 하고 신체를 줄어든 식사량에 적응시킨 후 운동요법을 적용한 집단이 민첩성과 근지구력에서 향상도가 높았으며, 식이요법과 운동요법을 동시에 적용한 집단의 유연성이 높아졌다. 셋째,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대부분의 신체조성이 많이 향상되었다. 넷째, 기초체력 역시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유연성과 근지구력에서 더 높은 향상을 보였고, 반대로 민첩성에서는 여학생이 남학생들보다 더 많은 향상을 보였다. 이 연구를 통해서 학생들의 비만을 예방하기 위해서 학교는 무엇보다도 식생활 지도가 철저하게 이루어져야 하고, 운동을 할 수 있는 시설이 충분히 제공되어져야 한다. 또한 교사들의 체계적인 지도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 코디네이션 트레이닝을 통한 축구동아리 활동에 참여하는 대학생의 신체조성과 체력향상

        황정민 고려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8700

        본 연구의 목적은 코디네이션 트레이닝을 통한 축구동아리활동에 참여하는 대학생의 신체조성과 체력향상을 알아봄으로써, 축구동아리활동의 효과를 규명하여 신체활동이 부족한 대학생 및 일반인들에게 신체조성과 체력향상을 위한 신체활동을 제안하는 기초자료 제공에 있다. 또한 코디네이션 트레이닝의 효과를 규명하여 축구동아리활동에 참여하는 대학생 및 일반인들에게 조금 더 효율적인 트레이닝 방법에 대한 기초자료 제공에 있다. 실험결과를 분석해 본 연구의 가설을 검증한 결과 축구동아리활동 참여를 통해 골격근량 증가, 체지방률 감소 등 신체조성의 향상뿐만 아니라 근력, 근지구력, 순발력, 민첩성, 유연성, 평형성, 심폐지구력 등의 체력향상도 나타났다. 즉, 축구동아리활동 참여는 신체활동이 부족한 대학생 및 일반인들에게 효과적인 신체활동이라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대학생의 신체조성과 체력에 축구동아리활동은 긍정적인 영향을 미침을 확인하였다. 또한 본 연구에서 코디네이션 트레이닝이 일반적 트레이닝보다 대학생의 신체조성과 체력에 더 나은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의 연구 결과에 따라 CTG가 GTG보다 뛰어난 신체조성이나 체력의 향상을 나타낸 변인은 골격근량의 증가, 배근력의 향상, 20M 4회 왕복달리기 기록의 향상, 눈감고 외발서기 기록의 향상으로 나타났다. 즉, 코디네이션 트레이닝은 대학생의 골격근량과 근력의 증가, 민첩성, 평형성에서 일반적인 트레이닝보다 더 나은 결과를 나타냄으로서 코디네이션 트레이닝의 효과를 한층 더 강하게 시사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 PBT 발레프로그램이 여성의 신체 조성 및 행복지수,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강한경 창원대학교 2023 국내석사

        RANK : 248700

        발레는 오랜 시간 동안 극소수의 지배계층만이 향유하는 사교형태이면서 여흥의 한 방식이었다. 하지만 20세기에 들어서며 발레의 형태는 적극적으로 변화하였고, 21세기에는 기존의 고급문화 이미지를 간직한 채 교양으로 자리 잡았다. 오늘날의 발레는 여러 대중 매체를 통해 다양한 양식의 발레 공연을 접할 수 있는 대중문화가 되었으며, 많은 발레 아카데미 설립과 대학에서 강좌가 개설되어 모두가 가깝게 느낄 수 있는 형태로 자리 잡았다. 현대의 발레는 단순히 관람하는 공연 예술문화에서 벗어나 직접 즐기는 하나의 문화로 성장하였고, 여가 활동으로 발레를 접하는 대중들이 늘어나고 있다. 이에 따라 성인발레 교육이 새로운 문화 코드로 활성화되고, 취미로 발레를 즐기는 사람이 늘어나면서 발레 프로그램의 체계화와 대중화가 경제 자본, 문화 자본, 사회 자본으로 확산되고 있다. 발레가 대중화되고, 여가, 취미 활동으로 자리 잡았지만 발레의 전문적인 테크닉을 일반 대중이 배우기에는 다소 어려움이 따른다. 이는 발레 전공자 역시 마찬가지로 고난도의 발레 테크닉을 위해서는 부상을 감내해야하는 경우가 발생하기도 한다. 이러한 문제점을 인식하여 Marie Walton-Mahon는 발레 기술을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훈련할 수 있는 PBT(Progressing Ballet Technique) 프로그램을 고안하였다. PBT 프로그램은 발레 기술을 배우는 과정에서 무용수의 부상 위험을 완화시킬 수 있도록 고안되었다. Marie Walton-Mahon는 PBT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과정에서 인체 해부학적 지식을 포함하였다. 또한 부상 예방과 재활에 도움이 될 수 있는 프로그램을 함께 고안하였다. 국내에서는 다양한 발레 프로그램을 통해 프로그램 참여자들의 신체적, 정서적 변화를 관찰한 연구가 다양하게 존재한다. 하지만 PBT 프로그램을 활용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부상 위험이 적은 PBT 프로그램을 통해 발레 학습자의 신체와 정서에 긍정적 변화를 이루는 것을 목적으로 프로그램 참여자들의 신체조성과 행복지수, 신체적 자기효능감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C시에 거주하는 20대 여성 45명을 통제군, 발레전공군, 비전공군의 세 그룹으로 구분하여 12주 동안 PBT 프로그램 참여 전과 후에 신체조성 측정과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신체조성 측정을 위해 한국 인바디사의 InBody Dial w 모델을 사용하였다. 행복지수 검사는 권석만(2008)이 번안한 “옥스퍼드 행복 척도”를 사용하였으며, 신체적 자기효능감은 석창혁(2012)의 신체적 자기효능감 척도(Physical Self-Efficacy Scale)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측정된 신체조성 정보와 행복지수, 신체적 자기효능감의 신뢰도를 검사하기 위해 Cronbach’s Alpha를 산출하였고, SPSS Win 통계프로그램을 통해 독립표본 t-검정과 대응표본 t-검정을 실시하여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PBT 프로그램 참여로 신체조성 중 인바디점수, 체중, 골격근량, 체지방량, BMI, 내장지방레벨이 발레전공 유무와 관계없이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통제군에서는 유의한 변화가 없었다. 둘째, PBT 프로그램 참여로 행복지수가 발레전공 유무와 관계없이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통제군에서는 유의한 변화가 없었다. 셋째, PBT 프로그램 참여로 신체적 자기효능감이 발레전공 유무와 관계없이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통제군에서는 유의한 변화가 없었다. 본 연구를 통해 PBT 프로그램은 발레전공 유무와 관계없이 신체조성과 행복지수, 신체적 자기효능감을 긍정적으로 향상시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국내에서는 연구가 부족한 PBT 프로그램의 유용성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향후에는 부상 예방과 재활의 기능을 더욱 고려한 PBT 프로그램 활용방안에 대한 연구가 지속되길 기대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