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신규간호사의 시뮬레이션 학습 경험, 주관적 영향 및 교육 요구도 분석

        홍은정 을지대학교 임상간호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943

        이 연구의 목적은 신규간호사가 간호대학에 재학 중에 경험한 시뮬레이션 학습의 횟수, 주제, 시기 및 시뮬레이션 설계 특성을 분석하고 시뮬레이션 학습 경험이 임상에서 신규간호사 실무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것이다. 또한 신규간호사를 대상으로 임상에 투입되기 전 간호대학에서 실시할 필요성이 있는 시뮬레이션 교육과 관련하여 요구도 조사를 통해 시뮬레이션 기반 학습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이 연구는 구조화된 설문지를 사용한 서술적 조사 연구이며, 자료 수집은 2014년 8월 1일부터 2014년 9월 15일까지 이루어졌다. 연구의 대상은 D, S시에 위치한 종합병원 4곳에서 근무하며 2013년, 2014년도 간호면허 취득 후 임상 경력 12개월 미만의 신규간호사들 중 간호대학 학부과정에서 시뮬레이션 학습경험이 1회 이상 있는 대상자 220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기준 부적합 및 미응답 17부를 제외한 203부를 최종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도구는 NANDA 간호진단을 기초로 시뮬레이션 교육의 주제로 타당도 검증을 거쳐 구성화 된 총 20개의 진단명과 National League for Nursing에서 제시한 시뮬레이션 설계 특성 평가 항목이 포함된 설문지이다. 성인의 문제해결과정 측정도구와 임상수행능력 평가 도구 중에서 간호제공기능 영역의 문항을 이용하였다. 자료 분석은 IBM Statistics SPSS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연구 변수에 대한 서술적 통계와 K-평균 군집분석,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One-way ANOVA를 이용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상자는 학습주제 20개 중에 평균 7.10개의 시뮬레이션 학습을 경험하였다. 2) 시뮬레이션 학습주제 중에서 기도흡인 위험성, 호흡기능 장애, 비효율적 호흡양상이 경험빈도 상위 3개로 나타났다. 3) 시뮬레이션 설계 특성 항목 중 ‘디브리핑 및 반영 (debriefing/reflection)’ 항목 이 가장 높은 평가 점수를 나타냈으며 ‘지지 (support)’ 항목 이 가장 낮은 점수를 나타냈다. 4) 시뮬레이션의 경험 횟수는 문제해결과정(r=.11, p=.110)과 임상수행능력(r=.11, p=.117)에 미치는 주관적 영향과 상관관계가 없었으며, 시뮬레이션 설계 특성은 문제해결과정(r=.57, p<.001)과 임상수행능력(r=.43, p<.001)에 미치는 주관적 영향과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5) 대상자가 경험한 시뮬레이션 설계 특성에 따라 유형화한 결과 ‘우수형 시뮬레이션 설계 그룹’, ‘중간형 시뮬레이션 설계 그룹’, ‘사실성 취약형 시뮬레이션 설계 그룹’ 과 '지지 부족형 시뮬레이션 설계 그룹' 으로 나타났다. 6) 문제해결과정에 대한 주관적 영향은 총 4그룹 중 '지지 부족형 시뮬레이션 설계 그룹'이 유의하게 가장 높았고 ‘사실성 취약형 시뮬레이션 설계 그룹’이 가장 낮았다(F=20.68, p<.001). 그룹에 따른 임상수행능력에 대한 주관적 영향은 ‘우수형 시뮬레이션 설계 그룹’이 가장 높았고, ‘사실성 취약형 시뮬레이션 설계 그룹’이 가장 낮았다(F=8.25, p<.001). 7) 교육 요구도는 호흡기능 장애, 기도개방 유지불능, 비효율적 호흡양상 이 시뮬레이션 학습 주제 요구도 상위 3개의 학습주제이며, 불안 , 의사소통 장애, 연하장애, 요배설 장애가 시뮬레이션 학습 주제 요구도 하위 4개의 학습주제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에서 시뮬레이션 설계와 문제해결과정과 임상수행능력에 미치는 주관적 영향 간에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바람직한 시뮬레이션 설계가 이루어 질수록 문제해결과정과 임상수행능력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다. 교육 요구도 상위에 차지하는 2개의 학습 주제는 학부에서 시뮬레이션 학습의 경험 빈도가 높은 학습주제와 일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들을 토대로 본 연구가 시뮬레이션 기반 학습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외단열 프리캐스트 콘크리트(EIPC) 벽체의 시뮬레이션 기반 생산성 분석

        백호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박사

        RANK : 2943

        건설 기능 인력의 부족, 노무자의 고령화, 인건비 상승 등의 문제가 연쇄적으로 심해지고 건설회사에서 공사기간의 단축에 관심을 가지기 시작하면서 전통적인 철근콘크리트 공법이나 철골 공법을 대체할 새로운 기술로 PC공법이 대안으로 인식되고 있다. PC 공법은 건설업에서 발생하는 기능인력 부족 및 작업 프로세스의 복잡화 등의 단점을 현장 작업인원 및 프로세스의 최소화로 해결할 수 있고, 공장에서 면밀히 제작되어 현장에서 조립을 실시하기 때문에 공사품질과 공기단축의 효과를 보장할 수 있게 되었다. 한편, 초고층 구조에서 일반적으로 적용되는 기둥식 무량판 구조가 장수명 등을 이유로 공동주택에도 점차 확산될 것으로 예상된다. 즉 기존 공동주택의 골조방식이 벽식 구조에서 라멘 또는 무량판 구조로 전환될 것으로 예측되어 이에 적합한 커튼월 타입의 외피시스템 개발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그러나 기존 커튼월 방식은 대부분 열전도율이 높은 알루미늄 소재로 구성되어 패시브하우스 수준의 에너지 성능 기준을 만족하기 어렵기 때문에 단열성능이 우수한 소재를 활용한 조립식 벽체시스템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외단열 공법은 건축물의 외부에 단열재를 시공하는 방식으로, 외벽 단열성능 확보와 건물의 에너지 효율 달성에 효과적인 공법이다. 외단열 방식은 기존에 활성화되었던 내단열 공법 적용 시 발생하였던 벽과 슬래브 사이의 열교 현상을 방지할 수 있고, 실내 공간의 콘크리트가 축열 효과를 발휘하여 난방열을 지속시킬 수 있다. 공동주택 공사에 외단열 공법 적용 시, 내단열 방식 대비 연간 난방 에너지 요구량은 10.2%, 냉방 에너지 요구량은 1.3%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나 에너지 절약 측면에서 공법의 타당성이 검증되었다. 그러나 기존 외단열 방식은 골조공사가 완료된 후에 단열재를 부착하는 습식공법으로, 단열 및 마감 시공을 위한 곤도라, 비계 등 외부 가설시스템 설치가 불가피하며 이에 따른 공사기간 및 비용 증가, 안전문제 발생 등이 제기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은 외단열 공법 활성화의 저해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으며, 현재 공동주택의 단열공사 시 내단열 공법을 적용하여 에너지 손실 저감을 위해 단열재의 두께를 늘리고 있는 실정이다. 단열재 두께의 증가는 실내공간 감소로 이어질 뿐만 아니라 재료 차원의 보강만으로는 벽과 슬래브 사이에 발생하는 열교를 근본적으로 차단할 수 없어 에너지 효율 달성에 한계가 존재한다. 특히 정부 차원에서 공시한 공동주택의 에너지 의무 절감율 60%를 충족하기 위해서는 외단열 공법 적용이 필수적인데, 건물의 에너지 절감 달성을 목표로 외단열 공법을 활용하기 위해서는 공법 적용의 저해요소를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이 요구되고 있다. 현재까지 제시된 연구의 대다수는 저층 건물에 적합한 중단열 시공의 개선을 목적으로 수행되었거나, 에너지 및 친환경 설비 등의 측면에서 외단열 공법을 접근하였다. 외단열의 시공 개선을 목적으로 수행된 연구는 현재 미비하며, 특히 현장 작업인원 투입 및 작업공정의 최소화를 통한 최대 생산성 달성을 지원하는 기존 기술과 외단열 시공의 융합을 시도한 연구는 현재까지 제시되지 않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기존 외단열 습식공법을 대체할 수 있는 새로운 기술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Precast Concrete, PC) 공법과 외단열 시스템을 결합한 ‘외단열 PC 벽체 시스템’을 제안하였다. 이 시스템은 공장에서 제작된 부재를 현장에서 조립만 하는 공법으로, 현장 타설 공정 제거를 통해 공사기간을 단축하고 최소한의 인력 투입을 통해 최대 생산성을 발휘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공법이다. 더 나아가 본 연구에서는 외단열 PC 벽체 시스템의 기본성능 및 적용성 검증과 더불어 시뮬레이션을 통한 생산성 평가를 수행함으로써 건설 기술 시장의 변화에 대응할 수 있고, 정부의 친환경 정책에 부응하는 대안으로 제시하고자 한다.

      • 시뮬레이션에 의한 鑄方品生産資材의 適正水準決定에 關한 硏究 : H金屬의 塗型材 生産을 中心으로

        최기 全南大學校 經營大學院 1980 국내석사

        RANK : 2943

        The small and medium enterprises of our country did not perform rationally material management to dicide material quantity and time required according to production plan, and suffered from the cost-push on account of unnecessary loss of material by carrying it out unrationally. This paper aims to decide the optimum level of material for casting production by applying a simulation technique to the coating for casting products of H. company. The simulation for this study is that of a computer. The general concept of simulation and the computer simulation are studied in this paper. The model in this paper is a probabilistic model. Since most simulation studied in probabilistic model is conducted with the aid of digital computer, Monte Carlo method is introduced. Generally digital simulation is called Monte Carlo simulation. The method simulates probabilistic model with random numbers. There are meny methods of generating pseudo-random numbers, but congruential method is used in this paper. Pseudo-random nnumbers for this simulation is generated in a computer itself without using random number tables. FoRTRAN is selected among simulation languages because the model is not so complex and it is a more general-purpose programming language. The data of daily coating amount for 60 days are chosen in our simulation analysis. As production plan of an enterprise is run on a quarterly basis, the amount of coating products with minimum cost is decided by computer simulation for 90 days. In conclusion, this paper suggests the method of deciding optimum level by simulating a probabilistic model with Monte Carlo method.

      • 화재시뮬레이션에 의한 대공간 제연설비의 성능 검증에 관한 연구

        최원제 가천대학교 일반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943

        국문초록 화재시뮬레이션에 의한 대공간 제연설비의 성능 검증에 관한 연구 최 원 제 가천대학교 일반대학원 설비·소방공학과 지도교수 민 세 홍 본 연구는 제주국제공항의 지상 3층의 국제선 탑승 라운지와 국내선 출발 일반대합실로 사용되는 대공간을 대상으로 화재 시 연기 및 화재 확산을 방지하기 위해 방화셔터와 제연설비시스템을 선정하고, 제연설비시스템의 적용 가능성에 대한 효과를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을 이용해 평가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화재전용 시뮬레이션(FDS)과 열·유체 시뮬레이션(FLUENT)을 활용하여 대상공간의 제연설비 효과를 인명안전평가기준으로 공항시설 이용객의 화재·피난 안전성을 분석한 결과, 대상공간에 적용한 제연설비의 연기 배출효과가 시뮬레이션 수행시간동안 유효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2) 본 공항시설은 층고가 높고, 면적이 넓은 대공간의 건축구조를 갖추고 있어, 연기의 축적을 위한 상부공간이 충분하여 연기의 축연현상에 의해 농연 등이 이용객의 활동공간인 호흡선 한계선(2.4 m)까지 하강하는데 걸리는 시간이 지연되었다. 또한 대상공간에 적용한 제연설비의 연기배출 효과에 의해 공항시설 이용객은 화재발생시 화재·피난 안전성이 확보된 것으로 평가되었다. 3) 대상공간에 적용한 제연 풍량은 NFSC 501, NFPA 92B, NFPA 204의 수계산에 의해 산출했으며 제연 풍량을 상호 비교하였다. 4) 국내의 NFSC 501에서 규정한 제연 풍량보다 해외기준의 NFPA 92B, NFPA 204에 의해 산출한 제연 풍량이 훨씬 더 큰 것으로 분석되었다. 5) 대상공간에 적용한 제연설비의 제연 풍량은 제연구역 당 약 90,000 CMH 이상으로 하였으며, 국내 제연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501)에서 규정하고 있는 제연 풍량의 약 1.5~2배를 적용하였다. 화재발생 위치에 따라 2개의 제연구역(총 풍량은 약 180,000 CMH 이상)에서 동시에 연기 및 열기류 등을 옥외 배출하여 연기의 하강시간이 연장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6) 따라서, 공항시설과 같이 층고가 높고, 면적이 넓은 대공간에서 화재가 발생할 경우, 이용객의 화재에 대한 인명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다음과 같은 계획이 고려되어야 한다. 7) 제연설비의 기준 중 제연량은 사양위주보다 성능위주설계에 의한 수리계산을 근거로 산출하도록 개선하거나 기존의 제연 풍량을 약 1.5~2배 이상으로 적용하기 위해 화재안전기준의 보완이 요구된다. 8) 제주국제공항의 지상 3층의 국제선 탑승 라운지와 국내선 출발 일반대합실로 사용되는 대공간을 시뮬레이션에 의한 제연설비의 효과를 검증한 결과, 계획된 제연 풍량 및 장비 등의 시스템을 구축할 경우 충분한 연기배출로 인하여 공항시설을 이용하는 이용객의 피난안전성은 확보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핵심 용어 : 대공간, 제연설비, 화재시뮬레이션, 독성가스, 제연 풍량

      • 약학교육에 도입된 시뮬레이션의 형태 및 성과

        이소영 가천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943

        시뮬레이션이란 현실의 상황을 축소한 모형을 통해 실험을 하고 그 실험결과에 따라 행동이나 의사결정을 하는 기법을 말한다. 이는 현실적으로 반복하거나 재현해 내기 어려운 상황을 최대한의 상호 작용 하에서 재현하게 함으로써 교육과 훈련의 과정으로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다. 실제 상황을 통한 교육이 어려운 보건 의료 분야에서는 의료팀의 일원으로 실제 환자를 돌보기 전 임상기술을 익히는 시뮬레이션이 다양하게 이용되고 있다. 미국의 약학대학에서는 이러한 시뮬레이션을 이용하는 제도가 앞서 이루어지고 있었다. 성과와 방법을 연구한 자료를 고찰함으로써 우리 약학대학에의 도입 논의를 이끌어 내고자 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자료의 검색은 두 명의 독립적인 연구자들에 의해 네 개의 데이터베이스(PubMed, Scopus, Cochrane Library, Web of Science)를 포함하여 진행되었다. 검색된 자료들은 총 969건이었으며 중복을 제거하고 대상과 주제의 일치 여부 등을 고려하여 마지막으로 선정된 자료들은 20개였다. 이들을 대상으로 체계적 문헌 고찰을 수행하였다. 시뮬레이션 교육의 결과에 따라 연구논문들은 수행능력, 지식, 태도의 범주로 분류되었다. 시뮬레이션을 이용하거나 기존의 방법을 이용하여 결과를 비교하거나 교육 순서의 차이를 두고 결과를 측정하는 연구 들이 있었다. 또한 Intermediate Pharmacy Practice Education 학제에 시뮬레이션 과정을 포함한 경우와 직접 실습사이트에 나간 경우를 비교한 연구들도 존재했다. 병원과 약국에서 실습수업을 하지만, 사이트 간 편차와 과정의 통일성 등 현실적인 제약이 있는 교육 과정에 시뮬레이션이 도입된다면 학생들 자신과 학생들을 실무에 투입하기 전 다시 많은 교육을 해야 하는 실무 담당자들에게도 많은 도움이 될 것이다. 초기 도입 비용과 학제의 변환 등 예상되는 어려움이 있지만 2009년 6년제를 도입하여 약학교육의 내실화와 전문가 양성을 시작하고 있는 우리나라의 경우 시뮬레이션을 도입함으로써 얻을 수 있는 장기적 성과를 고려할 필요가 있다.

      • 시뮬레이션을 이용한 RFID 도입성과분석의 프레임워크 개발

        장성희 인하대학교 물류전문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943

        많은 기업들이 공급사슬관리에 있어 불확실한 도입효과, 관리의 한계와 막대한 투자비용 및 불확실한 투자수익률(ROI)의 문제 등으로 RFID의 도입에 주저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을 극복하고자 RFID를 실질적으로 도입하는데 따른 경제성분석을 시도하고, 구체적인 도입 가이드라인을 제시하며, 도입 성과를 측정할 수 있는 지표를 개발하고자 하는 다양한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다. 하지만 현재까지의 연구들은 대부분 이론 중심적인 접근방식이거나 실질적인 도입효과를 분석하기보다 정부주도의 RFID 도입 시범사업의 분석에 그치고 있는 실정이다. 그나마 기업체에서 연구한 연구결과도 대부분의 기대효과를 정성적인 방법으로 분석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공급사슬 내에서 RFID 도입의 성과 분석과 관련된 다양한 선행연구를 분석하여 실질적인 RFID 도입성과 측정방법의 프레임워크를 제시하고 기존의 연구에서 부족하였던 현실성을 확보하고자 현실에서 운영 중인 물류프로세스를 바탕으로 한 컴퓨터 시뮬레이션 실험을 통해 RFID 도입의 효과를 정량적으로 분석하여 현실적이고 타당성 있는 RFID 도입효과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국내 S사의 LCD 모니터 생산과정에서 사용되는 LCD 패널 포장 용기인 EPP(Expanded Polypropylene) 박스의 국제 물류프로세스를 대상으로 사례 연구를 진행하였고, 시뮬레이션 실험 결과를 살펴보면 각 거점별 EPP 박스의 재고 가시성과 정확성이 향상되어 부재고 발생의 문제가 해결되었고 EPP 박스의 주문충족률 및 전체 재고 수준이 크게 개선되었다. 지금껏 많은 연구들이 정성적 기대효과나 지엽적인 효과를 제시한 것과 달리 본 연구에서는 보다 구체적이고 실질적인 정량적 효과를 시스템 전체 프로세스를 대상으로 제시하였다는데 그 의미가 있다.

      • 시뮬레이션 기반 도심지 지하철 터널 공사 계획 모델 개발 : NATM 공법을 대상으로

        이시욱 인하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943

        Planning a process on a construction project is a important procedure that affects the success of entire construction work. To achieve the goal of construction process such as "cut down on construction fees, reduction on construction time and productivity enhancement." we need to predict appropriate construction time, expenses at the initial step. To predict appropriate construction time and expenses, reasonable construction process is essential, thus simulation technique is used. Simulation technique is a rational and scientific equipment to predict the result and analyze also measure the problems that would occur, by using different situations and conditions on a computer spaces. But construction business, not like the manufacturing industry or others using simulation actively, they have peculiarity and repetitiveness. To design complicated processes was difficult so that there was a limit to adapt simulation. But most of the resources were repeated by reiterative process, and such that they have a risk due to uncertainty, we predict adapting simulation program would enhance the effectiveness of construction business. This project is based on building a simulation model with all of the downtown area subway tunnel construction using NATM process. Choosing a construction are using NATM, analyze the process of that construction and collected several datas and finally built a modeling. Development of Model was using Areana, also reflected by the cases that could occur on real construction areas. Developed models were tested by comparing with the real construction time, thus showed that it had an conformity. Also, to adapt simulation model to other construction areas, we made it possible to modify the limited figures. On the foundation of construction model, we want to arrange an objective and rational basis to compare, analyze, and adopt various suggestions by using computer simulation process. Also as a result, managing efficient and beneficial construction process would be possible and we expect enhancement on productivity and efficiency in point of construction expense and time. 건설 사업에서의 공정계획은 공사 전반의 성패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절차이다. “공사비 절감, 공사 기간 단축, 생산성 향상”이라는 공정 계획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하여 건설공사의 초기 단계에서 적절한 공사기간 산정과 공사비용의 예측이 필요하다. 건설 사업은 고유성 또는 비반복성의 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사업수행과정에서 많은 불확실성과 다양한 변수들의 발생 가능성을 내포하고 있기 때문에 규격화 및 정형화가 어렵다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또한, 기존 건설공사의 계획 및 수행 과정은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분석과 계획이 이루어지기 보다는 많은 부분이 과거의 관습과 경험에 근거하여 계획이 수립되고 의사결정이 이루어지는 실정이다. 이러한 현실 속에서도 과학적인 분석 및 관리기법의 적용을 통한 건설공정 수행의 효율성과 생산성을 향상시키고자 하는 노력은 계속되어 왔으며, 그 대표적인 예가 시뮬레이션 기법의 적용이다. 시뮬레이션 기법은, 다양한 유형의 건설공사들 중에서도, 선형(linear) 공사의 형태이며 몇 가지 단순 공정이 반복되는 특성을 가진 터널 공사에 매우 적합한 기법이다. 터널공사 중에서도 현재 가장 많이 사용되는 공법의 하나인 NATM(New Australian Tunneling Method) 공법은 천공 발파, 버럭 처리, 쇼크리트(shotcrete), 록볼트(rock bolt)의 개별 공정들이 한 사이클을 구성하며, 터널공사가 완료될 때까지 이 사이클이 반복적으로 진행되기 때문에 시뮬레이션의 적용에 매우 적합한 공종이라 할 수 있으며, 전 공정에 대한 시뮬레이션 모델링과 분석을 수행함으로써 얻게 되는 총체적인 생산성과 효율성의 향상 정도에 대한 효과 또한 타 공사유형에 비해서 크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그 동안의 선행연구에서 진행되었던 일부 공정에 대한 모델 개발이나 확률분포 특성에 관한 연구가 아닌, NATM 공법으로 시공되는 도심지 지하철 터널의 전 공정을 대상으로 시뮬레이션 모델을 구축하고 이에 기반한 공정 계획 및 분석이 가능한 의사결정의 지원 도구를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구축된 모델은 또한 발생 가능한 제한 사항을 반영하고 조건들을 수정 가능하게 하여 본 연구의 대상 사례 현장뿐만 아니라 타 현장에도 적용할 수 있는 일반성을 부여하였다. 시뮬레이션 모델은 각 작업 별로 확률분포를 활용하여 데이터의 변동성을 최대한 반영하였으며, 양방향 굴착 터널에 적합하도록 작업 구간을 막장 A와 막장 B로 나누었다. 또한 발파 상황에 따른 변동성을 반영하기 위하여 모델을 Type1과 Type2로 나누어 발파상황에 따른 전체 작업의 변화를 반영하였다. 구축된 모델을 활용하여 예측공기를 산정하였으며, 현장의 예정공기와 실제 진행 공기와의 비교 검증을 실시하여 개발된 모델의 적정성도 검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모델은 과학적이고 합리적인 분석을 통한 현실적인 공사 완료 시점을 예측하게 하고, 계획 수립과정에서 의사결정을 지원함으로써 건설사업의 총체적인 생산성과 효율성 향상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 시뮬레이션기반 심폐응급간호교육이 신규간호사의 지식, 임상수행능력 및 문제해결과정에 미치는 효과

        김윤희 전남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박사

        RANK : 2943

        본 연구는 ‘심폐응급간호’를 주제로 한 시뮬레이션기반 교육을 신규간호사교육에 적용한 후 지식, 임상수행능력 및 문제해결과정에 미치는 효과를 기존의 강의식교육과 비교·검증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설계를 적용한 유사실험연구로 광주광역시 소재 C 대학교병원에 입사하여 신규간호사 오리엔테이션을 받고 있는 신규간호사를 편의표집하여 실험군 26명, 대조군 24명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강의, 수기교육, 팀시뮬레이션과 디브리핑으로 구성된 시뮬레이션기반 심폐응급간호교육은2009년 5월 18일부터 2009년 5월 25일까지 시행하였고 자료수집은 2009년 5월 13일부터 2009년 5월 29일까지 시행하였다. 프로그램의 효과검증을 위해 사용된 측정도구는 본 연구자가 개발한 지식측정도구와 임상수행능력측정도구 및 Lee(1978)가 개발하고 우옥희(2000)가 수정 보완한 문제해결과정 도구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17.0 PC+를 이용하여 실수와 백분율, Chi-Square, Fisher's exact test, Kolmogorov-Smirnov test, t-test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제 1가설인 ‘시뮬레이션기반 심폐응급간호교육을 받은 실험군은 강의식교육을 받은 대조군보다 지식이 더 높을 것이다.’는 실험군(25.35점)이 대조군(22.37점)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아 지지되었다(t=5.758, p<.001). 2. 제 2가설인 ‘시뮬레이션기반 심폐응급간호교육을 받은 실험군은 강의식교육을 받은 대조군보다 임상수행능력이 더 향상될 것이다’는 실험군(98.40점)이 대조군(80.95점)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아 지지되었다(t=5.859, p<.001). 3. 제 3가설인 ‘시뮬레이션기반 심폐응급간호교육을 받은 실험군은 강의식교육을 받은 대조군보다 문제해결과정이 더 향상될 것이다’는 실험군(82.50점)이 대조군(78.87점)보다 높았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아 기각되었다(t=1.109, p=.138). 이상의 연구결과를 종합한 결과, 시뮬레이션기반 심폐응급간호교육은 신규간호사의 지식과 임상수행능력향상에 효과적인 교육프로그램임이 검증된 반면 문제해결과정에는 영향을 주지 못하였는데 이는 본 연구의 프로그램 기간이 410분으로 문제해결과정에 영향을 주기에 충분한 시간을 제공하지 못하였기 때문으로 사료된다. 시뮬레이션기반 심폐응급간호교육은 환자의 임상상황 해결을 위해 필요한 지식과 임상수행능력을 임상현장과 유사하게 복제된 시나리오 학습환경에서 직접수행 해봄으로써 심폐응급간호 상황에서의 문제해결에 필요한 지식과 임상수행능력을 습득할 수 있어 신규간호사의 역량을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인 교육방법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신규간호사를 위한 교육프로그램에 시뮬레이션기반 심폐응급간호교육을 적극 도입하여 활용할 것을 제안한다.

      • 스토리텔링 콘텐츠 기술을 이용한 인터렉티브 360도 서클 체험 시뮬레이션 연구

        허학수 高麗大學校 經營情報大學院 2013 국내석사

        RANK : 2943

        국 문 요 약 스토리텔링 콘텐츠 기술을 이용한 인터렉티브 360도 서클 체험 시뮬레이션 연구 현재 스토리텔링 콘텐츠를 이용한 인터렉티브 가상체험관 기술은 TV, 라디오, 인터넷, 유원지, 관광지 등 여러 장소에서 많은 경험을 제공하고 있다. 이러한 가상체험관에서 360도 서클 영상은 3D, 4D로 된 일반영상과 시뮬레이션을 결합한 특수 입체영상으로 디즈니랜드, 엑스포, 과학관, 전시관등에서 구현되고 있다. 인터렉티브 영상은 운영체제인 PC와 디스플레이 형태로 양방향 음성 및 영상을 IR, VR 센서로 감지하여 구동되며, 360도 서클 영상과 같은 장소에서 구현되고 있다. 그러나 인터랙티브와 서클영상을 통합하여 구현되고 있는 동영상은 현재 국내에서는 180도 양방향 서클영상 모델까지 개발되어 있다. 본 연구를 통해서 제시하고자 하는 모델은 국내 최초인 인터랙티브와 서클영상을 결합한 360도 게임 형 해양체험 시뮬레이션이다. 이를 위하여 실제와 같은 크기의 선체 부분만을 가상의 모형으로 만들어 조타실을 꾸미고, 시계 창으로 보이는 바다를 컴퓨터그래픽 서클 영상으로 투사하여 함장을 포함한 4명의 선원과 4명의 탐사전문가들이 각각의 위치에서 임무를 수행할 수 있도록 프로그램을 개발하고자 한다. 본 시스템에서의 시나리오는 동해안에 이상기후 현상이 발생하여 탐사전문가와 함께 해양탐사를 떠나면서 시작된다. 이때 항해도중 일어날 수 있는 폭풍우, 암초, 해빙, 해일 등의 이상기후 상황을 가상의 시뮬레이션을 통해 제공한다. 본 시스템에 탑승한 선원들과 해양 전문가들은 항해 목적에 맞는 항로를 계획하고, 팀원 간의 의사소통 능력을 키우고, 협동심을 함양할 수 있도록 시나리오를 설계하고, 시뮬레이션 시스템을 구현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