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하이데거 '근본 기분'에 대한 이해와 중독에 대한 새로운 해석

        박보경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논문은 하이데거의 기초 존재론의 출발인 인간이라는 현존재와 현존재의 기분에 대한 분석을 토대로, 인간의 존재방식과 존재의미를 이해하고, 그 이해를 바탕으로 중독을 하나의 존재방식으로 해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하이데거는 존재를 실체로 규정하는 전통 형이상학을 비판하며 ‘존재란 무엇인가’라는 물음에서부터 자신의 기초 존재론을 시작한다. 존재란 실체로서의 본질이 아니라, ‘있음’의 방식에서 드러나는 존재의미라고 규정한다. 그리고 존재를 겨냥하여 존재물음을 물을 수 있는 유일한 존재자인 인간을 ‘현존재’로 명명하고 현존재의 존재방식과 존재의미를 밝혀내는 작업을 진행한다. 하이데거에 따르면, 인간이라는 현존재의 존재방식 일반은 ‘세계-내-존재’이며 그 존재방식에서 드러나는 존재의미는 현존재의 고유한 시간성이다. ‘세계-내-존재’방식에서 존재의미를 드러내 주는 것이 바로 기분이며 그 중에서도 인간이 현존재임을 더욱 두드러지게 개시해주는 것이 불안과 권태이다. 불안은 인간이 ‘죽음을 향한 존재’라는 것을 개시한다. 죽음을 자신의 가능성으로 직면한다는 것은 불안에 빠진다는 것이다. 불안에 빠진 인간은 세계와의 모든 관련성이 끊긴 단독화된 자신을 직면하게 된다. 그리고 바로 이 순간이 현존재가 본래성을 획득하여 자신의 결단을 내릴 수 있는 기회이다. 권태를 통해 드러나는 것은 현존재가 길어지는 시간느낌을 갖는다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시간느낌은 현존재가 자신의 결단을 통해 행동하고 작업에 몰입할 때 사라진다. 따라서 현존재의 시간성이란, 자신의 결단을 통해 드러나는 현존재의 본래성이다. 결국, 불안과 권태를 통해 드러나는 것은 현존재가 자신의 결단을 내리는 것이 현존재의 고유한 본래성이자 시간성이며, 이러한 시간성은 과거, 현재, 미래가 결단이라는 한 순간에 중첩되어 있으며, 미래로의 정향이 과거와 현재를 현재로서 시간화시키는 동기로서의 역할을 한다는 것이다. 일상적 시간은 과학적 시간으로, 시계 등으로 재어지고, 과거 현재 미래가 직선적으로 무한히 계속되는 시간성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하이데거는 이러한 과학적 시간은 현존재의 고유한 시간성의 파생태이며, 결단성으로서의 현존재의 시간성이 더욱 근원적임을 불안과 권태의 분석을 통해 제시한다. 오늘날 중독은 원인을 가진 질병으로 치료적 접근이 이루어지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중독은 무기력감, 우울, 불안, 권태 등의 기분에서 벗어나고자 약물이나 행동에 지나치게 의존하는 문제적 현상들 자체이다. 하이데거에 따르면 기분은 현존재의 존재방식을 개시한다. 따라서 중독은 다양한 저조한 기분으로 드러나는 현존재의 하나의 존재방식일 수 있다. 저조한 기분에서 벗어나려는 중독자의 충동성은 중독자가 앞으로 더 이상 나아가지 못하고 지금이라는 순간에 붙잡혀 있음을 보여준다. 즉 현존재가 자신의 결단으로 본래성을 획득하지 못하고 있는 상황으로 해석할 수 있다. 따라서 중독에 대한 치료 방법도, 질병적 접근보다는 현존재 시간성 회복의 차원에서 접근하는 것이 더욱 근원적 방법이 될 수 있을 것이다.

      • 시간성이 엔터테인먼트 방송의 채널 아이덴티티 형성에 미치는 영향 연구

        박상희 홍익대학교 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7807

        디자이너의 사명은 매체의 변화에 빠르게 대응함으로써 표현 영역을 확장하는 것뿐만 아니라 인간의 역사, 철학, 언어와 문화에 대한 인문적 성찰력과 사회과학적 통찰력을 배양하는데 노력을 기울이는 것이다. 디자이너가 사용하는 매체에 따라 정의되었던 디자인 개념은 이제 다중적이고 심층적 능력으로 확장되어야 한다. 현재 우리는 산업 혁명이래, 지난 150여 년 간 디자이너들이 사용했던 것과는 매우 다른 기술을 사용하고 있다. 새로운 기술의 원동력이 되었던 기계 매체의 발달은 사람들의 라이프 스타일에 변화를 가져오게 되었다. 즉, 매체의 발달과 미디어의 확장으로 시공간의 한계를 초월해 전자 네트워크가 가능해짐으로써 사용자가 어떠한 행위를 하는데 걸리는 물리적 시간이 줄어들고 사용자가 직접 그 시간을 조절할 수 있게 된 것이다. 결국 디자이너는 시간성을 간과할 수 없게 된 것이다. 또한 현대사회에 있어서 정보전달 기능으로서의 시각 커뮤니케이션이 보편화되면서 평면적 매체 (Media)는 차츰 그 한계점에 다다랐고, 그에 따라 인쇄 미디어에서 전자 미디어로 전이되면서 필연적인 변화 즉, 움직이는 그래픽이 탄생하였다. 그것은 시지각의 심리적인 운동공간이 물리적인 움직이는 이미지로 변화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에 디자인에서 ‘시간성’의 개입이 중요한 요소가 된다. TV가 출연한 후 인쇄미디어보다 전자 미디어가 시각 커뮤니케이션의 주요 수단이 되었다. 문자와 인쇄 테크놀로지는 특정한 분화과정과 전문화과정, 일탈과정을 촉진하고 조장해왔다. 전자 테크놀로지는 통합과 몰입을 촉진하고 주장한다. 그것은 TV가 시각뿐 아니라 모든 감각을 동시에 끌어들이는 능동적, 탐색적 접촉 감각의 확장을 유도하기 때문이다. TV 영상에서는 실제적인 시각적 리듬 즉 2차원적인 매체 내에서 시간과 움직임의 문제를 해결하려는 시각적 리듬은 새로운 디자인 원리로 등장하고 있다. 모든 움직임에는 속도가 있으며 속도를 컨트롤하는 시간 조절은 기본적으로 디자인이 가능한 영상매체의 차원이다. 근대 회화에서 나타난 평면, 입체 조형물이나 타이포그래피의 자유로움과 역동성이 시간을 통해서 실제적인 움직임을 만난다면 영상의 차원으로 이행될 수 있음은 흥미로운 추측이 아닐 수 없다. 다매체, 다채널 시대에 있어서 방송사들은 대외적으로는 타 방송사와의 차별성과 대내적으로는 일관성 있는 아이덴티티 형성의 중요성을 느끼게 되었다. 100여 개의 채널들 사이에서 독특한 채널의 아이덴티티를 확립하는 것 즉, 수많은 채널 가운데 변별력을 갖는 것은 상당히 의의 있는 일이며 영상의 질적 향상을 통한 채널의 차별화가 필수적인 시점에 이르렀다. 본 연구는 채널의 아이덴티티 확립에 대한 문제에 있어 시각적 측면에서 채널 ID (Identification)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TV에 있어 시각요소는 채널의 이미지를 형성하는 주요한 요소로 시청자의 시청행위에 커다란 영향을 주기 때문이다. 채널 ID는 다채널 시대의 방송에 있어 그래픽의 영역 가운데 차별화 요소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다채널 시대의 채널 ID는 방송사의 경영이념과 방송철학을 담아 차별화 된 이미지를 전달함으로서 지속적인 시청동기를 유발할 수 있어야 한다. 특히 방송의 성격이 뚜렷하고, 방송 컨텐츠가 사용자의 감정에 호소하는 측면이 강한 엔터테인먼트 방송사들은 아이덴티티 규정에 있어 채널의 성격에 맞는 ID 제작이 시급하다. 채널 ID의 특성에 비추어 보면 가시적 표현은 물론 심미적 가치가 높은 시각적 움직임을 창조하기 위해서 내용적으로 적절한 시간성의 표출과 조형에 있어서 시간 적용 방법이 중요한 요소이므로 본 논문에서는 그 제시를 목적으로 한다. 아울러 표현 수단과 매체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힘으로써 표현의 가능성을 확대시킬 수도 있으며 매체를 명료하게 이해함으로써 현혹되지도 말아야 할 것임을 경계하기도 한다. 결론적으로, 채널 ID (Identification)를 구성하는 시간에 대한 시각 테크놀로지는 미래 매체를 책임져야 할 디자이너의 몫이다. 또한 시간성의 시각화 과정은 매체와 환경에 대한 통찰력의 전제하에 다루어져야 함을 강조하고자 한다. The role of todays designers is not only to extend the field of expression by catching up with the rapid development of media, but also to make an effort to cultivate insights into cultural and social sciences such as history, philosophy, language and culture. The notion of design, which has been defined so far by its medium, should be broaden into a more comprehensive practice with multiple levels. Long after the Industrial Revolution, designers are now using very different technologies from those used by their predecessors of the past 150 years. The mechanical development, which has been serving as the driving force of the new technology, has invited transformation of the mode of life. In other words, electronic network based upon the development and extension of media beyond the space-time limit made it possible for users to perform their works in even shorter time and to control their pace. Ultimately, time became an essential factor in design. Furthermore, as visual media for communication of information became generalized in a contemporary society, traditional media has reached its limit, and, printing media has converted to electronic format. Set against this background, it seemed inevitable to witness the birth of moving imagery in graphic - transformation from psychological sense of motion to physical sense of motion in visual perception. In this sense, the notion of time came to obtain a significant importance in design. Since the appearance of television, electronic media started to take precedence over print media, in visual communication. In the meantime, lettering and printing technology facilitates the process of diversification, specialization and deviation of communication. In addition, electronic technology has accelerated the integration and immersion of it. This is because the extension of all senses including visual sense has been induced by television. In TV imagery, visual rhythm as a solution to the problem of time and movement in two-dimensional medium appears the new principle of design. Movement involves time; therefore, time control is considered a crucial element for visual media in design. It is interesting that freedom and dynamism in the plane or solid structures in modern art and typography can be viewed as moving imagery if sense of time is added to produce an actual movement. In the age of multimedia and multi-channel televisions, broadcasters have come to realize the importance of differentiating themselves from competitors by forming coherent identities. That is to say, having a distinct identity among over 100 channels has become meaningful and even essential to improve the quality of visual imagery. In this dissertation, I examined channel identification from the visual aspect. Visual elements in Television play a crucial part to establish the image of a channel, having an enormous impact on the act of viewing. Furthermore, channel ID serves as an important factor to endow an unique identity to the channel, in the field of graphic design in multi-channel broadcast. Therefore, it is necessary for designers to convey in channel ID distinct imagery with philosophy of the broadcaster in order to trigger audiences motivation to constant viewing. Especially, in the case of entertainment broadcasters, whose contents tend to appeal to viewers emotion, establishment of a suitable channel ID is even more urgent. In this dissertation, I intend to highlight the representational sense of time, in terms of contents, the application of time, and of forms, for the purpose of creating a more highly aesthetic visual movement. Finally, I suggest that designers should avoid being deluded by media, and that they should attempt to extend the possibility of visual expression by understanding its methods more clearly. Moreover, visual technology for time control in formation of channel Identities should become the sole responsibility of designers, particularly in the development of future media. Thus, I would like to place the emphasis in the process of visualizing a sense of time, which should be studied closely from the perspective of understanding media and its communication environment.

      • 미디어 아트의 시간성 표현에 기반한 미술교육의 방향성 연구 : 중학교 미술교과를 중심으로

        조성희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미디어 아트에 나타나는 시간성의 표현을 살펴보고 현재 중학교 미술교과를 중심으로 분석하며 이를 통한 미술교육의 방향성에 대해 고찰하는 시도이다. 미디어 아트의 논의를 위해 먼저 이론적 배경으로 매체의 구분에 따른 시간성 표현의 양상을 분석하였다. 사진, 영화, 비디오 아트, 디지털 미디어 아트로 구분한 매체별 시간성 표현의 양상은 다음과 같다. 사진에 나타난 시간성은 순간 혹은 찰나의 시간을 포착하거나 단일 이미지에 긴 시간의 느낌을 함축하는 표현으로, 영화는 서사적 영화에 나타난 자연적인 시간의 흐름과 편집하여 사건을 재구성하는 합성된 시간 등의 표현이 있었다. 비디오 아트 역시 기술적 발전으로 ‘실시간’이라는 새로운 시간의 개념을 구현했다. 이는 곧 철학과 예술적 시각을 더해 순환하는 시간, 왜곡된 시간 등 ‘시간’의 다양한 성격을 드러내는 매력적인 매체로 인식되기 시작했다. 디지털 미디어의 시대로 접어들면서 원격현전이 시도되었고 이는 현실의 확장이 되는 사이버 스페이스, 증강현실, 가상현실과 같은 새로운 시공간의 표현이 되었다. 이러한 기술적 혁신은 가상의 현실을 관객이 직접 조작하고 참여하여 변화시키는 상호작용적 미술을 가능하게 하였고 이에 대해 시간에 대한 다양한 접근이 더욱 가속화되었다. 미디어 아트에서 이러한 다양한 시간성의 표현 양상은 이미 중등 미술교육에서도 다양하게 다루어지고 있었다. 교육과정과 교과의 내용의 대표성을 띠는 중학교 ‘미술’ 교과서를 분석하며 관련 내용을 찾을 수 있었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체험’영역에서 미디어 아트의 시간성 표현은 하위 요소인 ‘지각’과 ‘소통’과의 연관이 깊지만 관련 자료가 균형 있게 안배되지 않고 ‘표현’중심의 활동으로 치우쳐 있다. 둘째, 시간성을 드러내는 다양한 미디어 아트는 현대미술의 큰 흐름의 하나로 감상 영역에서 충분히 다루어져야 함에도 불구하고 현 교과서에는 감상활동에 현격하게 소외되어 있는 점에 대해 개선이 필요하다. 셋째, 시간성이 나타나는 미디어 아트의 작품들은 충분히 감상하고 표현할 수 있는 교육환경의 인프라가 갖추어져야 할 것이다. 넷째, 매체를 중심으로 하는 활동은 학습자 수준에 맞는 기법, 용어의 정련, 기술적 이해에 대한 교육적 연구가 더욱 필요하다. 분석한 결과들을 통해 미디어 아트의 시간성 표현에 기반한 미술교육의 방향성은 다음과 같이 논할 수 있다. 미디어 아트의 시간성 표현에 대한 교육적 적용을 통해 시간에 대한 다양한 개념적 접근과 매체의 이해를 돕는다. 이를 토대로 인문학적 접근을 통한 교육적 융합의 가능성을 모색할 수도 있다. 특히 디지털 미디어 시대의 학습자들은 수동적인 관람자에서 적극적 사용자이자 창조자로 변모하고 있다. 이에 따라 주체적으로 지각하는 현실과 실제 삶을 살아가는 시간의 인식이 중요해지고 있다는 점을 더욱 주지할 필요가 있다. 이는 미술교육을 통해 학습자들이 무분별한 대중문화 속에서 균형을 찾도록 하며, 미술이 삶의 의미로서 다가가도록 도와야 한다는 점에서 더욱 그러하다. 또한 교사들은 이러한 미디어 아트에 나타나는 시간에 대한 인식을 교육적 적용을 통해 반영하면서, 동시대 미술의 흐름을 조망하며 교육의 내용으로 적극적으로 활용해 나가야 할 것이다.

      • 시간성의 예술적 표현 연구

        백현준 상명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807

        시간성의 예술적 표현 연구 시간성의 예술적 표현 연구는 입체파, 미래파 등 여러 화파를 거쳐 시대에 따라 변화하면서 지속적으로 표현의 범주를 넓히고 심화하였으며 최근에는 비디오 아트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시간성의 이론적 연구는 시간을 수의 개념으로 사용하는 과학적 개념과 의식 속에 존재하는 철학적 시간으로 나눌 수 있다. 과학적 시간은 정확한 시간을 재는 것에 대한 문제로 진행되었고, 철학적 시간은 삶속에 시간이 어떻게 정의되고 존재하는가의 본질적인 문제로 확장된다. 연구자에게 시간성의 예술적 표현 연구는 다양한 현대미술에서 유일한 개성을 만드는 방법으로서, 사회적으로 보편화된 시간의 예술적 표현으로 시작하여 시간의 본질적 문제를 다룬 이론적 연구와 그 연구의 예술적 표현으로 발전하였다. 본 연구는 시간성의 이론적 배경을 고찰하고 그를 바탕으로 본 연구자의 작품을 정리하는 동시에 현대미술에서 시간성의 예술적 표현 연구를 통하여 연구자의 작품세계를 심화 할 수 있는 기틀을 마련하고자한다. 더불어 연구자의 작품에서 시간성 표현의 한 양상으로 보이는 우연성을 존 케이지와 잭슨 폴록의 예술 작품을 통하여 연구해보고, 예술작품 속 우연성에 대한 잘못된 인식과 시각을 바로 잡으려한다. 이론적 배경을 토대로 연구자의 작품을 살펴본 결과 연구자의 작품 속에도 과학적 시간과 철학적 시간의 예술적 표현이 진행된 것으로 보이며, 그 표현의 전개는 실용성을 추구하여 보편적으로 사회 속에 시간의 개념으로 자리 잡혀 있는 과학적 시간의 예술적 표현 연구로 시작하여 베르그송의 영향으로 심리적이며 질적인 개념의 철학적 시간을 예술적 표현 연구로 발전한 것을 알 수 있다. 한편 시간성을 표현하고 있다고 판단되는 현대작가로 로만 오팔카와 비디오 아티스트들을 사례로서 살펴보았다. 그 결과 본 연구자의 주된 예술적 표현방식인 시간성의 예술적 표현이 여러 가지 방향으로 확장될 수 있다는 판단에 이르렀다. 하지만 다른 한편, 지금까지 진행된 연구자의 작품에는 시간성 표현의 뚜렷한 내러티브 없이 단순히 시간의 물리적 기록에 그치고 있다는 사실을 깨닫게 되었다. 이러한 고찰을 토대로 연구자는 이후 진행될 작업에서는 시간 속에 변화하는 삶과 시간의 감성적 사고에 초점을 맞춰 내러티브를 형성하고자 한다. A Study on the Artistic Expression of Temporality Studies on the artistic expression of temporality have changed with the change of the times through several schools of painting such as cubism, futurism and the like and continue to expand and deepen the categories of expression, which has recently remarkably appeared in video art. A theoretical study on temporality can divide time into the scientific concept used as the number of number and the philosophical time existing in consciousness. Scientific time was progressed as the problem of measuring the accurate time, and philosophical time is extended to the essential problem of how time is defined and exists in life. Here, studies on the artistic expression of temporality have begun with the artistic expression of socially universalized time as the method of creating the sole individuality in diverse contemporary art and developed into theoretical studies dealing with the essential problem of time and into the artistic expression of those studies. This study attempted to investigate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temporality, describe the work for it and lay the foundation for deepening the world of the work for it through a study on the artistic expression of temporality in contemporary art. In addition, it attempted to study the contingency seen as one aspect of the expression of temporality in the work of art for it through John Cage's and Jackson Polock's works of art and correct the wrong understanding and vision of contingency in the works of art. An attempt was made to investigate the work of art for this study based on the theoretical background.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 artistic expression of scientific time and philosophical time in the work of art for this study was made, that the development of its expression began with the study on the artistic expression of scientific time pursuing practicality and universally positioned as the concept of time in society and that the artistic expression of the philosophical time of the psychological and qualitative concept developed into a study on its artistic expression. On the one hand, it attempted to investigate, as an example, Roman Opalka and video artists as contemporary artists judged to express temporality.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an artistic expression of temporality as a major method of artistic expression could extended to several directions. On the other, it came to a realization that the works thus far made for this study simply ended in the physical record of time without a clear narrative of the expression of time. Based on this investigation, future works will form the narrative by focusing on the changing life in time and the emotional thinking of time

      • 영화에서 시간성 표현 방식에 관한 연구 : 연구자의 작품 'Schizzo'를 중심으로

        김주연 仁濟大學校 大學院 2003 국내석사

        RANK : 247806

        영화가 예술로서의 가치를 가지기 시작한 시기에 대한 규명은 영화가 예술로서 인정받을 수 있는 영화 나름대로의 법칙이 도래하기 시작한 시기에 대한 규명이며 이는 보는 이의 시각에 따라 다양한 견해들이 제시되고는 있지만 명확한 하나의 결론을 맺지는 못하고 있다. 하지만 이 들이 견해를 낼 수 있는 원인 규명의 문제는 공통적인 기준에 의해서 행하여지는데 그것은 '영화적 특이성' 혹은 '영화의 특수성'을 갖추었느냐에 관한 문제이며 이 영화 예술의 시작에 대한 다양한 견해는 이 '영화적 특이성'을 발견하는 시각의 차이에서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즉, 그리피스에 의한 쇼트의 출현은 연극적인 표현방식에서 벗어나 영화만의 표현방식을 구체화 시킨 데서, 멜리에스의 발견은 영화만의 표현방식 중 하나인 편집의 가능성을 보여준 데서 각각 영화만의 특수한 표현방식으로서의 의의를 지니고 있음으로 의견이 발생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영화가 나름대로의 법칙을 지닌 독립된 예술로서 표현방식을 갖추는 데 있어 영화만의 특수성을 활용하는 것에 의미가 있다고 보고 그 특수성을 '시간'으로 보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보는 영화의 시작은 1895년 오귀스트 뤼미에르에 의한 '기차의 도착'이 된다. 뤼미에르 형제에 의해 영화의 근본적인 미학적 원칙 즉, '시간을 사로잡을 수' 있는 가능성이 발견되었기 때문이다. 이후 100여년이 지난 오늘날의 영화는 기술적, 문화적으로 눈부신 발전을 해 온 것임에는 분명하다. 일반대중에게 가장 크게 영향을 미치는 문화 형식이 되었으며 기술적인 발전과 함께 관객의 시각적 감수성과 문화적 이해력도 높아졌다. 하지만 대중문화로서의 영화는 무궁한 예술적 응용능력에도 불구하고 지금까지 표현된 방식들의 범위는 너무 좁은 나머지 자주 쓰이는 방법이 무엇인지 나열할 수 있을 정도이다. 본 연구는 영화의 근본적인 미학적 원칙, 즉 시간을 사로잡아 그 고유의 특성을 왜곡하여 표현하는 것을 시간성 표현이라고 하고 시간성 표현을 통해 영화적 표현을 풍부하게 할 수 있다고 보았다. 영화에서 시간성 표현의 개념과 특성을 알아보아 시간성 표현이 가지는 의미와 중요성을 다시금 인식해 볼 수 있었고 기존의 영화들에서 사례를 찾아 분석하는 과정에서 시간성표현이 단순히 시각적인 표현을 풍부히 할 뿐만 아니라 작가의 의도에 따라 다양한 기능을 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연구자의 작품은 시간성 표현의 다양한 기능을 활용할 수 있는 방향으로 적용 제작하여 시간성 표현의 방식을 체득해 보는 데 의의가 있다. 본 연구를 통해서 시간성 표현의 중요성을 인식함은 물론 시간성 이외의 다른 표현의 방식들에도 지속적인 관심을 유도하여 영화적 표현의 다양화와 예술로서의 발전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There are many opinions about starts of movies as arts. They are same as the close examination of the starts of movies' own rules and they can't make one conclusion. But the opinions are presented by common standard, that is the existence of 'cinematic unique' or, cinematic specialty'. These variety opinions are occurred by diferences of discoveries when is the start of 'cinematic unique'. So D.W Griffith can be the start, because he took movie's own concrete forms out of theatrical forms, and George Holies can also be the start, because he found out the possibilities of 'edition' which is one of movie's own expression methods. They have their own significant worth as the movie's own special method so they can be the start of movie. In this study, movies can have a value as an independent art when it is expressed by applying its own specialty, and this specialty is regarded as 'the time'. So in this study, the start of movie is the 'arrival of train' of Auguste Lumie're, l985. Because Lumie're found out the esthetic principle, that is the possibility,'catching the time' About 100 years later, up to now movies have been clearly developed technically and culturally. Movies became the most influenceable culture in the optical sensibilities and cultural comprehensive faculties, at the same time the technical developments are increased. In spite of movies as the public culture has infinity artistic ability, its expression ways have been standardized. In this study, esthetic principle of movies, which catched the time and expressed the time as distorted nature is called 'expression of time nature' and it could have effects on variety cinematic expression. Through this study, aware of the importance of 'expression of time nature' in movies after understanding of notion and specialty and through the process of analysis, this 'expression of time nature' could can make not only influent optical expressions but also variety roles by author's intentions. This student's work was produced to apply these plenty roles of 'expression of time nature', and have a significance to experience how to use it. This study could help to make aware of importance of 'expression of time nature' and contribute to diversify cinematic expression methods and also develop movies as an art by guiding continuant interests in other expression methods.

      • 근대건축물의 공간 재활용에서 시간성 표현 방법에 관한 연구 : 국내 근대건축 문화유산을 중심으로

        박태우 건국대학교 건축전문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806

        한국의 근대화과정에서 도시환경은 개화기 서구 문물의 도입에서부터 일제 강점기와 6·25라는 전쟁의 과정을 거치면서 대부분이 파괴되었고, 새롭게 근대적 도시로 태어나기까지 50여년의 시간을 필요로 했다. 이러한 개발 과정에서 가장 중요시 되었던 것은 경제적 측면에서 개방중심의 사고였으며, 이는 기존의 우리가 가지고 있던 건축 환경의 역사적 가치를 무시한 근대 건축문화유산의 훼손으로 이어졌다. 이후 근대건축물은 급속도로 성장하는 사회·문화적 상황에 적응하기 위해 ‘활용’의 관점에서 많은 논의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최근에는 다양한 근대건축물의 재활용 사례들이 등장하고 있다. 대부분의 사례들이 디자인적 측면에서 외모를 지키는 선으로 타협하고 있으며 이는 건축물이 가지는 역사적 가치를 고려하지 않은 채 기능적, 미적 측면에서만 고려되어 디자인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근대건축물의 재활용에서 역사적 가치는 후세에게 우리가 살아온 생활양식 또는 발전 과정 등을 쉽게 전달할 수 있는 교육적 환경을 제공하며 역사적 사실로서 존재함으로 현재 급격하게 변화하는 우리들의 도시 환경과 자연스럽게 융화하여 앞으로도 지속되어야만 할 것이다. 역사란 그 대상이 시간이라는 차원에서 다루어지고 인식되어지며 규명되어지는 성격을 말한다. 공간과 역사는 어떠한 공간 안에서 현재의 시점부터 오래전의 정지된 시점의 시간과 공간을 경험 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근대건축의 역사적 가치는 시간성의 관점에서 논의되어 질수 있으며 그 표현방법에 관한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근대건축물의 재활용에서 시간성표현 방법을 연구하기 위하여 국내·외 사례 분석을 통해 다양한 시간성 표현방법들을 규명하였으며 앞으로 국내 근대건축물 재활용에 있어 보다 적극적인 시간성 표현방법을 제시하는 것에 그 목적을 둔다. 그 결과 근대건축물 재활용에서 시간성을 표현하기 위한 방법은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첫째, 각각의 근대건축물이 가지고 있는 시간성은 그 건축물이 위치한 입지에 따라 다르다. 이에 따라 그 건축물의 역사적 맥락과 현재 가지고 있는 환경을 고려하여 앞으로 변화하는 환경과 자연스럽게 융화될 수 있는 디자인이 요구된다. 둘째, 기존 건물을 그대로 보존하기 보다는 새로운 환경을 수용하고 그에 의해 파손된 기존의 재료나 공간을 혼합 또는 재활용 하여 새로운 공간에서 기존 공간에 대한 인식을 할 수 있는 디자인이 요구된다. 셋째, 프로그램의 경우 과거의 프로그램과 전혀 상관없이 대비되는 프로그램보다는 과거의 프로그램을 수용하고 재해석된 디자인이 요구된다. 이상과 같이 다양한 시간성 표현을 통해 기존 사례와는 차별화되고 보다 적극적인 재활용 디자인방법을 제시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향후 근대건축물의 재활용디자인에 있어 시간성의 관점에서 논의되어지기를 기대한다. In the course of Korea's modernization, most of the city environment was destroyed during the flowering stage's introduction of western civilization to Japanese colonization and the Korean War, and it required about 50 years to be born new as modern city. The most important thing in such developing progress was opening centered thinking in the aspect of economy, which led to the damage of modern cultural heritage of structure disregarding the historic value of construction environment our country had. After that, much discussions were held in the viewpoint of 'utilization' for modern structure to adapt to rapidly developing social·cultural situation, and recently, many cases of reuse of various modern structures are emerging. Most cases are negotiated with the line of keeping the appearance in the aspect of design, and they show a tendency of having only functional and aesthetic aspects considered without regarding historic value the structures have. In the reuse of modern structure, its historic value is that it provides educational environment which can easily deliver the life pattern or developing progress Koreans have lived to our descendents, so it should be naturally combined with our city environment which is currently rapidly changing by existing as historic fact. History refers to the character of a subject being dealt with, perceived and defined in the aspect of time. Space and history imply the meaning that in a certain space, time and space which had stopped for a long time can be experienced from the present. In such viewpoint, the historic value of modern structure can be discussed in the viewpoint of time, so study should be held regarding its expression method. Therefore, the study has defined various expressing methods of time through domestic and overseas cases to study the method of expressing time in the reuse of modern structure, and also, its purpose is to suggest more active expressing methods of time regarding reuse of domestic structure. As a result, the methods for expressing time regarding reuse of modern structure can be arranged as the following. First, the time which each modern structure contains differs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its location. Therefore, considering the historic context and the current environment a structure has, a design which can naturally combine with such changing environment is demanded. Second, rather than preserving previous buildings as they are, a new design which can bring perception of previous space in a new space by mixing and reusing destroyed previous material or space is demanded after accepting new environment. Third, regarding program, rather than programs which are contrasted regardless of past programs, a design which is re-interpreted after accepting past programs is demanded. As in the above, through various expression of time, method of reuse design which is more active and differentiated from previous cases was suggested. Therefore, it is expected that in the future, modern structure would be discussed in regards to reuse of design.

      • 새창조의 시간성 이해 : 몰트만 신학을 중심으로

        홍준희 장로회신학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806

        본 논문은 몰트만의 신학을 중심으로 새창조의 시간성을 탐구한다. 몰트만은 새창조의 시간성을 이해하기 위해 시간의 ‘성취’(fulfillment)라는 개념을 가지고 그의 독특한 사고를 전개하고 있다. 그런데 이렇게 창조의 종말론적 완성인 새창조가 시간성을 갖는다면, 그 시간의 특징들은 창조 세계의 시간과 비교할 때 어떤 공통점과 차이점을 지니는지 본 연구는 고찰한다. 또한 본 연구는 몰트만 신학과 함께 현대 과학에서 제시하는 시간의 특성들을 살펴봄으로써 창조와 새창조의 시간성에 대해 논의한다. 시간의 ‘성취’ 개념 안에는 새창조를 무시간적으로 혹은 단지 끝이 없는 시간의 연장으로 간주하지 않으려는 몰트만의 사고가 돋보인다. 비록 현대 빅뱅우주론은 시간의 암울한 종말을 예상하지만, 실제로 본 연구에서 드러난 몰트만의 주장이 의미하는 새창조의 시간은 가역적이고, 순환적이며, 생동적인 동시에 역동적인 특징을 포함한다. 또한 시간의 현재성과 동시성의 특성도 함께 지니고 있다. 이처럼 본 연구는 현대 과학에서 주장하는 시간의 논의와 함께 몰트만이 제시하는 새창조의 시간의 특징들을 다양하게 구체적으로 밝힌다. 계속해서 본 연구는 판넨베르크와 볼프와 같은 현대 신학자들과 몰트만과의 비판적 대화를 통해 새창조의 시간성을 더 다양한 각도에서 조명한다. 또한 세 명의 과학신학자 폴킹혼, 윌킨슨, 그리고 러셀을 통해 몰트만이 제시하는 새창조의 시간성이 어떻게 현대 과학과 함께 대화하고 이해될 수 있는지 연구한다. 예를 들어, 폴킹혼은 일반상대성 이론과 같은 현대 과학으로 밝혀진 창조 세계의 특성이 새창조에도 이어질 것으로 주장하며 새창조의 시간성을 강조한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몰트만과 현대 (과학)신학자들과의 건설적 대화를 통해 몰트만의 제안이 새창조의 시간성 이해에 타당할 뿐만 아니라 과학과의 대화에도 유용함을 밝힌다. 또한 본 연구는 오늘날 현대 과학 시대의 신학적 담론에 필요한 일임을 제안한다.

      • 관계적 시간성 기반 도시 공공공간 디자인 모형 제안

        김소현 충남대학교 대학원 2024 국내박사

        RANK : 247806

        This thesis introduces the concept of 'Relational Temporality' as a vital community value for our current era, addressing various challenges faced by society today. Relational Temporality is defined as a temporality that is shaped and redefined through relationships, encompassing subjective relationships, interactive relationships, and public relationships. The proposed design model for urban public spaces based on Relational Temporality aims to enhance publicness by helping users better understand themselves, strengthen their connections with others and the external environment, and foster new perspectives and relationships with the subject, relationships, and the public. The research finding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ly, through theoretical exploration of temporality, the relationship between temporality and the subject within the era was understood. Temporality was examined based on theories of existentialism, empiricism, phenomenology, and post-structuralism, leading to its interpretation centered around the subject, experience, phenomenon, and relationships. Additionally, temporality in contemporary architecture and visual arts was reinterpreted as a key mediator in transforming life into art, with its embodiment occurring through connections with the environment, the body, and daily life. Finally, the expansion of the concept of temporality to subjects, relationships, and publicness, and its spatialization, were identified. Secondly, the relationship between temporality and urban public spaces was analyzed. Based on an understanding of the connection between temporality and urban public spaces, the concept of temporality in urban public spaces was defined as 'Public Temporality', 'Interactive Temporality', and 'Physical Temporality', from which 18 components were derived. Subsequently, user perception evaluations of urban public spaces applying temporality were conducted, demonstrating that temporality could be a means to realize publicness, and suggesting parks, squares, rest facilities, and symbolic sculptures as suitable public spaces and facilities for applying temporality. Finally, a case analysis of urban public spaces applying temporality was conducted to identify relationship characteristics and embodiment elements. The main relationship characteristics between temporality and urban public spaces were identified as superposition, intersection, deconstruction, intervention, exchange, pseudo-nature, integration, multiple perspectives, and simultaneity. Thirdly, the design of urban public spaces based on Relational Temporality was typified, and design elements for each stage were derived, followed by expert evaluations to review and refine the design types and elements. 'Relational Temporality' was proposed as a key concept and design element for urban public spaces, defined as a temporal characteristic for the expansion of subject perception, formation of empathy through interaction, and the creation of new perceptions and relationships. Additionally, Relational Temporality was interpreted in terms of subjective, interactive, and public relationships, and its design characteristics were typified. Subsequently, types based on Relational Temporality were categorized into 'Incorporation of Temporal Values', 'Exchange of Temporality', and 'Spatialization of Temporality' for each design stage, and design elements were derived. Expert evaluations were conducted on the derived types and elements, and the results were used to clarify the design types and elements and understand the principles of applying temporality. Fourthly, having verified the design elements for urban public spaces based on Relational Temporality, the design model was presented as 'Immersive Temporality-Based Design Model', 'Emergent Temporality-Based Design Model', and 'Diagonal Temporality-Based Design Model'. The direction of Immersive Temporality-based design is to maximize users' immersive experiences in urban public spaces, thereby expanding perception of the subject and strengthening the connection with space. The direction of Emergent Temporality-based design is to suppor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ubject and others, the artificial and the environment, thereby transforming the perception of the subject into relationships through empathy formation. The direction of Diagonal Temporality-based design is to deconstruct the perception of space-time through diagonal spatial-temporal configurations, thereby redefining the perception of the subject as public. The researcher interprets the concepts and directions of design based on Immersive, Emergent, and Diagonal Temporality, and proposes a design model by deriving experience and embodiment elements to form such temporalities. In conclusion, this research advocates 'Relational Temporality' as a design concept that contemporary urban public spaces should aspire to and presents a design model to achieve it. The value of urban public spaces based on Relational Temporality lies in their ability to restore subjectivity through Immersive Temporality, nurture relationships through Emergent Temporality, and realize publicness through Diagonal Temporality. In the complex urban environment of today, various spatiotemporal dimensions overlap, and experiences in public spaces are interpreted multi-dimensionally. This research proposes a community-centric value through the reinterpretation of temporality and urban public spaces, re-exa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concepts and mediums, mediums and experiences. This opens up possibilities for fluid and evolving space design concepts, moving beyond fixed ones, and typifies and structures characteristics and elements that can be usefully applied to urban public spaces in relation to temporality, suggesting aesthetic values that grow over time. The significance of this research lies in proposing a design model by deriving conceptual, experiential, and embodiment elements of the abstract concept of Relational Temporality. Keywords : Relational Temporality, Urban Public Space, Public Design, Multiple Perspectives, Simultaneity

      • 백남준(1932~2006) 작품 연구 : 시간성을 중심으로

        최지나 상명대학교 일반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805

        본 논문의 의도는 백남준(Nam June Paik)(1932~2006)의 작품세계에서 시간성을 연구하는 데에 있다. 백남준 예술을 전체적으로 가로지르는 특성중 하나가 시간과 관련한다는 사실을 확인하고, 시간성을 분석하여 백남준의 작품을 해석하는 것이 글의 목적이다. 백남준은 음악에서부터 행위예술, 비디오예술, 설치예술, 레이저예술을 진행하면서 시간예술과 조형예술의 경계에 위치했다. 백남준은 이렇게 종횡 무진한 예술활동을 펼쳤지만, 그에 대한 비형은 대게 음악가로서의 백남준과 테크놀로지예술가로서의 백남준으로 거칠게 나누어져 왔다. 본 논문은 기존 백남준의 예술세계에 대한 이분법적 논의를 넘어서 그의 전체적인 예술세계를 접근하고자, 시간성을 중심으로 그의 작품세계를 고찰해 보았다. 본 논문의 전개는 다음과 같이 진행되었다. 제Ⅰ장에서는 백남준의 생애, 예술사상의영향, 예술의 획기를 살펴보면서 백남준 예술의 전반적인 지형도를 그렸다. 제Ⅱ장에서는 미술사에서 나타나는 시간의 문제를 다룬 후, 백남준의 작품에서 시간성에 대한 논의를 진행하기 위한 분석적 틀을 만들었다. 제Ⅲ장에서는 백남준의 작품 전개에 따라 일정한 특성을 가진 시간성을 중심으로 작품을 분석해 나갔다. 시대 흐름의 주요한 작품 경향을 기준으로 하되 어떠한 맥락에서 그 경향성이 시작되었고, 그 이후의 작업들에 어떠한 방식으로 영향을 주게 되는지의 관계성까지 살폈다. 그리고 마지막 제Ⅳ장에서는 몇 가지 주요한 시간 구조인 ‘반복성’ ‘동시성’ ‘시간의 재구조화’를 중심으로 작품의 시간성 의미를 여러 관점에서 바라보고 작품들의 해석을 시도했다. 여기에서 백남준의 작품에서 시간의 문제가 시대적, 문화적으로 어떠한 맥락 속에 있는지 바라보면서 넓은 지평에서 백남준의 예술세계를 이해 할 수 있었다. 본문의 내용들을 토대로 백남준 예술 작품들의 시간성은 다음과 같은 특징으로 정리 되었다. 첫째, 체험적이다. 관객의 직접적인 체험을 바탕으로 한다. 둘째, 동시대적이다. 매 시기 발전하는 테크놀로지와 변화한 사회상을 반영하고 그 세계와 관계한다. 셋째, 역사성을 지닌다. 백남준은 일상을 기록했기 때문에 모든 것이 역사적 기록으로서의 가치를 획득하게 된다. 그리고 테크놀로지 자체가 시대성을 지닌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백남준 예술의 시간은 실존적이라 할 수 있다. 쉽게 말하자면, 백남준은 전쟁, 이데올로기 대립, 제3세계인에 대한 시선, 첨단테크놀로지 발전의 가속화 등을 경험하면서, 인간의 유한한 삶과 세계와의 관계성에서 존재에 관한 질문을 작품들의 시간 구조를 통해 나타낸 것이다. The intent of this paper is to studying on the Temporality of Nam June Paik's works. Nam June Paik's Arts had been done in various area, such as, Music, Performance, Video Art, Installation Art, and Laser Art. However, the criticisms for him has been divided into as a Musician and as a Technology artist. And, interpretations of the Paik's works have been stayed on the same frame. This study attempted to go beyond the traditional dichotomous view of Paik's art world by methodology that analyzed his works through the viewpoint of the temporality. This paper developed as follow: Chapter Ⅰ, Nam June Paik's life, art historical background, and artistic development were simply discussed. Chapter Ⅱ, in art history, works that represented the time or dealed with the problem of time were looked at. After that, tried to make gender analytical framework for the discussion about temporality in the work of Nam June Paik. Chapter Ⅲ, Paik’s works were analyzed on the basis of temporality. Chapter Ⅳ, The meaning of the 'repeatability', 'simultaneity', ‘time collage’ which is mainly appeared temporality on Paik’s art works was interpreted. Based on above discussion, the temporality of Paik’s works was characterized by the three characteristics. At first, it is experiential. His works only can be entirely appreciated through the direct experience. Second, it is contemporary. Paik always adopted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and reflected the issues in the world. Third, it is historical. Paik had known that not only human, but also everything has limited life span. So he recorded around him, and exhibited Time itself: music, alive-object, old-object, picture, and so on. In conclusion, the Temporality of Nam June Paik’s Art can be called existential.

      • 큐비즘의 투명성과 시간성 표현에 의한 환경디자인 모형사례 연구 : 디자인 박물관 연구를 중심으로

        김호연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7805

        우리는 다른 나라에 가게 되면 그 도시나 지방의 미술관 혹은 박물관을 찾아가게 된다. 짧은 시간에 그 도시나 지방의 문화와 역사를 알아보고 현재를 조금 더 깊이 이해하려면 박물관을 찾는 일이 가장 효과적인 방법이기 때문이다. 박물관은 그 나라, 그 지방의 생활과 역사, 예술에 관한 지식과 체험의 장으로서 중요한 문화공간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세계적인 경향에서 사회적 변화에 따른 전시환경의 내재적 기능과 사회적 역할이 전혀 다른 체계로 변환되고 있는데 비해 우리 나라의 박물관 환경은 아직도 초기의 모더니즘 양태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생활수준의 향상과 여가 시간의 증가, 외국 관광객의 증가로 인해 문화공간을 찾는 인구가 늘어남에 따라, 조금 더 향상된 수준의 문화공간 조성이 필요하다. 이러한 배경으로 본 연구에서는 큐비즘의 투명성과 시간성 표현에 의해 『디자인 박물관』의 환경 디자인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큐비즘의 조형적 특성을 이해하고 특히 투명성과 시간성의 개념을 적용하여 디자인함으로써, 예술로서의 환경, 커뮤니케이션 수단으로서의 전시환경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는 큐비즘의 조형적 특징을 현대적으로 해석하고, 디지털 테크놀로지_(Digital Technology)를 재현의 도구가 아닌 디자인 사고의 도구로 이용함으로써 새로운 접근 방안으로서의 가치를 지닌다. 또한 큐비즘의 조형언어를 실험적이고 독창적인 디자인 과정을 통해 환경디자인에 적용했다는 의의를 가진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이 구성되어 있다. 제 Ⅰ장에서는 연구의 배경과 목적, 범위와 방법을 서술하였다. 제 Ⅱ장에서는 큐비즘의 개념과 조형적 특성에 대해 이론적으로 고찰하였다. 제 Ⅲ장에서는 큐비즘에 나타난 투명성과 시간성의 조형적 특징을 고찰하였다. 투명성과 시간성의 개념과 특징에 대해 고찰하고, 이러한 특징이 공간에 표현된 사례들을 분석하여 그 표현효과를 고찰하였다. 제 Ⅳ장에서는 연구 대상으로 디자인 박물관을 선정하고, 박물관의 기능과 공간을 분석하여 이에 적합하면서 투명성과 시간성의 개념을 적용한 공간 디자인안을 제시하였다. 실제 대상환경을 설정하고 대상환경에 대한 환경적 분석 과정을 거치 Ⅲ장에서 제시한 투명성과 시간성의 개념을 기반으로 디자인 방향을 설정하였다. 다음 단계에서는 대상지에 적용 가능한 디자인 방안과 패턴언어를 추출하여 각 공간에 대해 조직계획을 세웠다. 도출된 디자인 방안과 개념에 의해 기능성, 심미성, 자연친화성 등을 고려하여 최종안을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최종안을 종합하고 디자인 평가를 내렸다. 제 Ⅴ장에서는 본 연구에 관한 요약과 논의를 하였으며, 연구의 기대효과 및 공헌도를 서술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연구자는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릴 수 있었다. 첫째, 박물관 환경디자인은 기능성과 더불어 조형성을 가미해 조성하면 그 환경자체가 갖는 미적 가치로 인해 기존의 박물관 환경과 차별화 될 수 있다. 둘째, 순수한 조형 개념으로부터 디자인 개념을 이끌어내 디자인 도출을 했을 때 상징적이면서도 은유적인 독창적 환경디자인이 될 수 있다. 셋째, 공간 자체의 조형성과 더불어 전시환경으로서의 기능을 지원하기 위해서는 기본적인 박물관 환경의 요구사항을 만족시키고, 효율적인 공간을 조성하는 것이 제시된 공간디자인의 실효성을 높게 한다. 넷째, 박물관 환경은 전시, 교육, 연구, 보관, 휴게 등 복합적이고 포괄적인 기능을 포함하는 공간이므로, 디자인을 접근함에 있어서도 포괄적인 안목으로 접근해야 한다. 다섯째, 시각적으로나 개념적으로 새로운 문화공간의 조성은 도시 내에는 생명력을 불어넣고, 사회적으로는 대중에게 문화를 고양하는 공간으로서 가치를 가진다. 환경 디자인의 획일화 경향의 폐해를 느끼고 있는 현 시점에서, 큐비즘의 순수한 조형사상을 현대적으로 해석해본 연구는 여러 환경 중에서 박물관 디자인이라는 부분적인 내용을 연구한 것이지만, 이러한 내용은 앞으로의 전체 환경디자인에 확대되어 적용될 수 있고 인간에게 영향을 주는 모든 환경디자인에 응용될 수 있다고 생각한다. When we visit another country, the first place to go to would be either a museum or an art gallery. For it should be the most effective way so that we can understand the current situation of that place through culture and history in a short time. It can be alleged that a museum must be an important cultural space because we can experience their life, history and art there. Although the immanent functions and social roles in milieus of exhibitions are totally changing in global tendency, Korean museums are still in the early modernism Based on the increasing needs of cultural spaces following the improvement of level of life, increase of spare-time and augmentation of foreign tourists, it should be the right moment for us to improve culture-spaces more than ever. According to these cultural changes,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suggest the environmental design of 「The National Museum of Design」 through the transparency and space-time of the Cubism. By understanding formative properties of the Cubism, which especially focused both on transparency and space-time, I'd like to propose the environment as an art and the exhibition-environment as a way of communication. As it were, it can be valued as a new approach on condition that formative feature is interpreted with 'modem' terms and the "Digital Technology" is not used a tool of representation but a tool of thinking in terms of design. Moreover, it can be argued that formative language of the Cubism will be able to be applied to the environmental design through the experimental and creative design process. Therfore, the conclusions of this research can be addressed as these. Firstly, if we make environmental design of museum with funtional property and fomative property, it can be a good example against the existing environmental design of museums because new environment would have the aesthetic values. Secondly, when we design from the pure formative concepts it would be a symbolic, metaphorical and creative environmental design. Thirdly, the fact that the basic request of museum-environment is completed, the efficient space is made for the support of formative property in that space itself, and the function as environmental design, would provide us with the efficiency of space design. Fourthly, the design should be approached inclusively because the environmemt of museum contains the complex and various functions like a exhibition, education, research, custody and rest. Finally, the new culture-space created visually and conceptually will provide vitality to the city and the space for culture to the people. In conclusion, at the present time, the tendency of generalization in the field of environmental design has come to the fore as a problem. In this situation, though it is just a museum-design as a part of all environment this research, which can be interpreted the pure formative idea of the Cubism, will be applied to the total environmental design and adopted to all environmental design which influenced to the peopl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