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시각적 단서를 제공한 관찰학습이 골프퍼팅 학습에 미치는 영향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investigate observational learning that can be applied to learning golf putting skill by identifying efficient visual cues strategies for perception and cognition by analyzing the effects of observational learning with visual cues on the efficiency of learning golf putting. subjects were 40 male college students who were randomly assigned to observation group, movement element cue group, spatial cue group, and control group. subjects putted 10 times from 3 m during pretest. During the training interventions, subjects in each group practiced putting 20 times from the same distance as the pretest everyday for four dats in addition to interventions by group. A posttest and a delayed posttest were conducted one and three days after the termination of training, respectively. In the movement analysis of golf putting by phase, which includes address, backswing, downswing, follow-through, and total performance scores, the movement element group showed greater improvement in movement scores compared to other groups as the experiment progressed from pretest to posttest and delayed posttest. The spatial cue group, however, showed gradual improvement in movement scores in the address phase as the experiment progressed. In the radius error and variable error analysis, the movement element group showed reduction in errors as the experiment progressed from pretest to posttest and delayed posttest. The consistency analysis of the stroke path showed that the path became more efficient after the experimental interventions for the movement element group compared to other groups. The movement element group and the spatial cue group showed significantly better accuracy and consistency compared to other groups as the experiment progressed from pretest to posttest and delayed posttest in the backswing rhythm analysis. The results suggest that observational learning with visual cues have efficient influence on golf putting preformance and help to improve putting skills.
만성 뇌졸중 환자에서 시각적 단서와 인지적 운동과제가 기립자세조절에 미치는 영향
뇌졸중 환자의 기립자세에서 자세동요를 줄이는 방법으로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며, 시각적 되먹임과 인지과제를 포함한 이중과제 수행은 자세동요 감소에 효과적인 것으로 보고되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만성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정적 기립자세에서 시각적 단서와 인지적 운동과제가 마비측 하지와 비마비측 하지의 COP와 체중부하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 시각적 단서 조건에서 인지적 운동과제를 수행하는 이중과제가 기립자세조절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다. 20명의 만성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정적 기립자세에서 시각적 단서, 인지적 운동과제, 이중과제를 수행 하였을 때 마비측과 비마비측 하지의 COP 총이동거리, 동요속도, 체중부하량을 힘판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반복 측정된 삼원 분산분석(repeated three-way ANOVA)을 이용하여 과제조건별 COP 총이동거리, 동요속도, 체중부하량을 비교하였다. 연구 결과, 시각적 단서를 제공하였을 때 시각적 단서가 없을 때보다 COP 총이동거리, 동요속도가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5). 또한 시각적 단서가 없을 때는 비마비측 하지에 비해 마비측 하지의 COP 총이동거리와 동요속도가 증가하였지만 시각적 단서를 제공하였을 때는 마비측 하지와 비마비측 하지의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인지적 운동과제를 수행하였을 때에도 인지적 운동과제를 수행하지 않았을 때보다 COP 총이동거리, 동요속도가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5). 이중과제 수행 시 하지의 COP 총이동거리, 동요속도는 시각적 단서만 제공한 조건과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이러한 결과는 만성 뇌졸중 환자의 재활프로그램에서 자세동요를 줄이기 위한 훈련방법으로 시각적 단서와 인지적 운동과제를 사용하는 것이 효과적임을 시사하며, 시각적 단서는 마비측 하지의 조절에 대해 선택적으로 훈련시킬 수 있는 치료의 한 부분으로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For stroke patients, there has been much research conducted to reduce postural sway in the standing posture, and the visual feedback and the dual task including cognitive task is reported as a effect to reduce postural swa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with chronic stoke patients how the visual cue and the cognitive motor task affect COP and weight load of paretic and non-paretic legs in the quiet standing posture and also investigate how the dual task performing a cognitive motor task in the visual cue condition influences standing postural control. With the subjects of 20 chronic stroke patients, this study measured the COP total distance, sway velocity, and weight load of paretic and non-paretic legs, using the force plate when they performed the visual cue, cognitive motor task, and the dual task in the quiet standing posture. The COP total distance, sway velocity, and weight load by the task conditions were compared using a repeated three-way ANOVA. According to the research result, when the visual cue was provided, the COP total distance and sway velocity reduced significantly more than when it was not given (p<.05). Although there was increase the COP total distance and sway velocity of paretic leg than non-paretic leg when the visual cue was not given,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of paretic and non-paretic legs when the visual cue was provided. Also when the cognitive motor task was performed, too, the COP total distance and sway velocity decreased significantly more than when it was not conducted(p<.05). When the dual task performed, COP total distance and sway velocity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compared when the visual cue provided. This result implies that for chronic stroke patients, as a way to train them in the rehabilitation program in order to reduce their postural sway, the visual cue and the cognitive motor task can be effective. And the visual cue can be used as a part of treatment to train them for their paretic leg selectively
시각적 단서를 이용한 부모 참여 중재가 자폐성장애학생의 독립적인 샤워하기에 미치는 영향 : -
마혜선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24 국내석사
시각적 단서를 이용한 부모 참여 중재가 자페성장애학생의 독립적인 샤워하기에 미치는 영향 마 혜 선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특수교육전공 샤워하기는 아동이 성장함에 따라 점차 독립된 형태로 수행하게 되지만 많은 자폐성장애인은 장애 특성상 독립적인 샤워하기를 수행하는 데 어려 움을 겪게 된다. 샤워하기 기술의 부재는 자폐성장애학생의 청결, 건강, 또 래 관계 문제, 양육자의 양육 부담감 등에 영향을 미치며, 교육의 궁극적 목표인 자립생활과도 밀접한 관련이 있다. 따라서 장애 학생이 샤워하기를 독립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하기 위해서는 대상자의 특성에 맞는 교육적 접근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의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폐성장애학생에게 시각적 단서를 이용한 부모 참여 중재를 제공 하였을 때 독립적인 샤워하기의 수행률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둘째, 자폐성장애학생에게 시각적 단서를 이용한 부모 참여 중재를 제공 하였을 때 독립적인 샤워하기 수행률의 유지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연구 대상은 일반학교 특수학급에 재학 중인 만 9세 자폐성장애 남아 1 명이다. 연구 설계는 행동간 중다간헐기초선설계를 사용하였다. 연구 기간 은 2023년 4~9월로 평소 샤워하기를 수행하는 시간과 동일한 시간대에 연 구가 진행되었으며, 시각적 단서는 사진보드와 가정 환경 수정으로 제공되 었고 부모 참여 중재에는 주 양육자인 어머니가 참여하였다. 위와 같이 실시한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폐성장애학생에게 시각적 단서를 이용한 부모 참여 중재를 제공 하였을 때 독립적인 샤워하기의 수행률이 향상되었다. 둘째, 자폐성장애학생에게 시각적 단서를 이용한 부모 참여 중재를 제공 하였을 때 중재가 종료된 후에도 독립적인 샤워하기의 수행률이 유지되었 다. 본 연구는 자폐성장애 1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대상. 환경에 대한 일반 화 측정이 이루어지지 않았다는 제한점이 있다. 하지만 건강, 또래 관계, 양육적 부담감 등과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교육 현장에서 가르치는 데 어 려움이 있는 샤워하기를 부모 참여 중재로 인해 습득할 수 있도록 하였다 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주제어 : 시각적 단서, 부모 참여 중재, 자폐성장애학생, 독립적인 샤워하 기, 일상생활활동 ABSTRACT The Impact of Parental Engagement Interventions Usingvisual Cues on Independent Showering of Students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ASD) Ma, Hyeseon Major in Special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Gyeongin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Children shower independently as they grow; however, many people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ASD) have difficulty showering independently due to the nature of their disability. The lack of showering skills affects the cleanliness, health, peer relationships, and caregiver burden of students with ASD and is closely related to independent living, which is the ultimate goal ofeducation. The refore, to enable a student with a disability to shower independently, a pedagogical approach tailored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target audience is required.In this regard, the research questions for this study are as follows.First, what is the impact of providing a parental involvement interventionusing visual cues on the independent showering performance rate in studentswith ASD?Second, what is the impact of providing a parental involvement interventionusing visual cues to students with ASD on the maintenance of the independent showering performance rate?The research subject of this study is a 9-year-old boy with ASD enrolled in a special class in a general school. The study design employed a multiple probe design between behaviors. Furthermore, it was conducted between April and September 2023, during the same time of the day that the child normally showers, with visual cues provided by photo boards as well as home environment modifications and parental involvement interventions involving the primary caregiver, that is, the child’s mother.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First, providing parental involvement intervention using visual cues improved the independent showering performance rate in the student with ASD.Second, when the parental involvement intervention using visual cues was provided to the student with ASD, the rate of independent showering was maintained even after the intervention ended.This study was conducted on one child with ASD and has a limitation in that the generalization measurement regarding the environment was not performed. However,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showering, which is closely relatedto health, peer relationships, and parental burden but is difficult to teach ineducational settings, was made to be learned through a parental engagement intervention. Keywords : Visual cues, Parental engagement intervention, Student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Independent Showering, Activities of Daily Living.
(The) effect of visual and haptic cues for haptic imagery on perceived ownership
Kim, Min-sun Graduate School, Yonsei University 2017 국내박사
기존 연구들은 단순히 실물을 만지는 것만으로도 그 대상에 대해 심리적 소유감을 형성하고 그 대상에 대한 가치를 높게 평가하는 소유효과가 나타나는 것을 발견하였다. 또한 단순히 만지는 상상을 하는 경우에도 실물을 만지는 것과 같은 효과가 나타난다는 것이 발견되었다. 기존의 촉각적 심상화 연구에서는 실물을 만지는 상상을 하라는 직접적인 지시에 따른 촉각적 심상화의 효과를 밝혔으나 본 연구에서는 실물을 만지는 상상을 하라는 직접적인 지시보다 촉각적 상상을 자연스럽게 유도할 수 있는 효과적인 방법을 탐색해보고자 하였다. 실물이 아닌 화면을 통한 상품 이미지가 제시되는 환경에서는 감각 정보들을 이용한 풍부한 단서들을 제공하는 것이 상상하라고 직접적으로 지시하는 것보다 촉각적 심상화를 유도하고 심리적 소유감을 형성하는데 효과적일 것으로 기대하였다. 실험 1에서는 시각적/언어적 단서가 촉각적 심상화를 유도하고 심리적 소유감을 형성하는데 효과적인지 살펴보았다. 독립변인은 상상유도조건으로 통제조건, 직접적 지시 조건, 시각적/언어적 단서 조건으로 조작하였다. 종속변인은 심상화의 생생함, 물리적 통제감, 심리적 소유감을 측정하였다. 촉각적 정보가 풍부하게 제시되는 단서조건이 유리할 것으로 기대하였으나, 기대와는 달리 직접적 지시조건이 모든 종속측정치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단서조건 통제조건과 유사한 수준으로 나타났다. 실험 2에서는 실험 1에서 제시된 시각적/언어적 단서에 추가로 촉각적 단서가 제공되었을 때 촉각적 심상화와 심리적 소유감 형성에 얼마나 효과적인지를 살펴보았다. 또한 실험 1의 종속측정치에 선호도와 구매의도를 추가적으로 측정하여 실질적인 소비자의 구매태도도 살펴보았다. 단서 조건은 촉각적 단서가 시각단서와 질감이 일치하도록 주어진 조건과 불일치한 조건으로 나누어 제시하고 촉각적 단서의 제공 자체가 효과적인 것인지 시각적/언어적 단서와 일치하였을 때에만 효과적인지 알아보았다. 그 결과, 단서 일치 조건이 직접적 조건, 통제조건보다 대부분의 종속측정치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불일치 조건은 통제조건 수준이거나 오히려 더 낮게 나타났다. 즉, 시각적, 촉각적 단서가 일치하도록 제공될 때 촉각적 심상화 및 심리적 소유감 형성에 효과적이며 선호도 및 구매의도도 높게 나타났다. 실험 3에서는 질감이 아닌 촉각의 다른 속성인 온도 차원에서 촉각적 단서가 제공되었을 때 촉각적 심상화나 심리적 소유감 형성에 얼마나 도움이 되는지 살펴보았다. 시각적 자극과 의미적으로 일치하는 조건과 불일치하는 조건을 조작하여 통제조건과 직접적 지시 조건과 비교한 결과, 터치의 다른 차원인 온도를 통한 촉각적 단서는 촉각적 심상화 및 심리적 소유감 형성에 효과적이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시각적 자극과 일치하지 않는 촉각적 단서는 온도차원에서도 오히려 방해가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다중감각 단서를 적절히 활용하였을 때 생생한 촉각적 심상화를 유도하고 심리적 소유감을 형성하는데 효과적일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촉각적 심상화를 유도하는 시각적, 촉각적 단서들에 대한 일련의 연구 결과는 실제 상품을 직접 보거나 만져볼 수 없는 쇼핑 환경을 위한 의미있는 함의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Existing studies have found that simply touching a real object can create psychological ownership of the object and the endowment effect. It was also found that simple imagination of touching a product can make the same effect as that of touching the real object. As such, existing haptic imagery studies have used direct instructions asking to imagine touching real objects to induce haptic imagery. Building on this prior research, this study explores effective methods that can naturally induce haptic imagery other than direct instructions asking to imagine touching real objects. Specifically, I expect that, when product images can be provided through the screen instead of real objects, providing ample cues using sensory information can be more effective than directly instructing to imagine the products in inducing haptic imagery and generating psychological ownership. In Experiment 1, I examined whether visual/verbal cues are effective in inducing haptic imagery and generating psychological ownership. Haptic imagery conditions were manipulated as control condition, direct instruction condition, and visual/verbal cue condition. Dependent variables were imagery vividness, feeling of physical control, and perceived ownership. Although I expected that the cue conditions under which tactile information is abundantly presented would be advantageous, the direct instruction condition showed higher scores in all dependent variables than the cue condition and the control condition. In Experiment 2, I examined the effects of the provision of haptic cues (texture) in addition to the visual/verbal cues presented in Experiment 1 on haptic imagery and psychological ownership. In addition, preference and purchase intention were also measured in addition to the dependent variables in Experiment 1 to examine actual consumers’ purchasing attitudes. To examine whether the provision of haptic cues per se is effective or it is effective only when haptic cues are congruent with visual/verbal cues, I presented two cue conditions; condition where haptic cues and visual cues indicated identical textures and condition where haptic cues and visual cues indicated different textures. I found that the congruent cue condition showed higher scores than the direct instruction and the control condition in most dependent variables, and that the incongruent cue condition showed similar scores to or lower scores than those of the control condition. That is, the congruent cue condition was found to be effective in inducing haptic imagery and generating psychological ownership and preference and purchase intention were also high in the congruent cue condition. In Experiment 3, I examined whether temperature which is another attribute of tactile sensations can be an effective haptic cue in inducing haptic imagery or generating psychological ownership. The congruent cue condition where haptic cues were semantically congruent with visual stimuli and the incongruent cue condition where haptic cues were semantically incongruent with visual stimuli were compared with the control condition and the direct instruction condition. Results indicated that temperature haptic cues were not effective in inducing haptic imagery or generating psychological ownership. In addition, temperature haptic cues not congruent with visual stimuli were shown to be rather obstructive. In conclusion, through a series of studies on visual and haptic cues that are expected to induce haptic imagery, I found that appropriately utilized multisensory cues can be effective in inducing vivid haptic imagery and generating psychological ownership. The results can provide meaningful implications for shopping environments where actual products cannot be firsthand seen or touched.
파킨슨병 환자의 보행 능력 및 균형 효과에 대한 동작 관찰 훈련과 시각적 단서 훈련의 비교
강준수 청주대학교 보건의료대학원 2025 국내석사
This study aimed to compare the effects of Action Observation Training (AOT) and Visual Cueing Training (VC) on gait ability, balance, functional mobility, and quality of life in patients with Parkinson’s disease.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was conducted on 15 Parkinson’s disease patients at C Hospital in Cheongju from June to August 2024. Participants were selected based on Hoehn-Yahr stages 1–3 and a score of 24 or higher on the MMSE-K, with those having a history of neurological or orthopedic disorders being excluded. Participants were randomly assigned to the AOT and VC groups, receiving training five times a week for four weeks, with each session lasting 20 minutes. The VC group performed gait training using visual cues attached to the floor, while the AOT group watched videos related to gait and then performed the same movements. Gait and balance abilities were assessed using the 10-Meter Walk Test (10MWT), Timed Up & Go (TUG) test, 5-Times Sit-to-Stand Test (5STS), Berg Balance Scale (BBS), the Parkinson’s Disease Quality of Life Scale (PDQL), and G-WALK. Both groups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s; however, the AOT group demonstrated greater improvements in TUG and 10MWT, indicating positive effects on motor learning and neuroplasticity. Conversely, the VC group was more effective in improving stride length and balance by enhancing gait rhythm and stability. The study confirmed that both AOT and VC training effectively improve physical function and quality of life in Parkinson’s disease patients through distinct mechanisms. AOT contributed to motor learning and social engagement, while VC proved effective in improving balance and gait rhythm. A tailored rehabilitation program combining these two training methods is expected to yield optimal outcomes for Parkinson’s disease treatment. Future studies with larger sample sizes and long-term effect analyses are recommended. 본 연구는 파킨슨병 환자를 대상으로 동작 관찰 훈련(AOT)과 시각적 큐잉 훈련(VC)의 효과를 비교하여 보행 능력, 균형, 기능적 이동성, 그리고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2024년 6월부터 8월까지 청주의 C병원에서 파킨슨병 환자 15명을 대상으로 무작위 대조 실험을 진행하였다. 연구 대상자는 Hoehn-Yahr 척도 1~3단 계와 MMSE-K 24점 이상의 기준을 충족한 자로 선정되었으며, 신경 및 정형외과적 질환 병력이 있는 환자는 제외하였다. AOT와 VC 그룹으로 무작위 배정된 참가자들은 주 5회, 4주간 하루 20분씩 훈련을 받았다. VC 그룹은 바닥에 부착된 시각적 단서를 따라 보행 훈련을 진행했으며, AOT 그룹은 보행 관련 영상을 시청 후 동일한 동작을 수행하였다. 보행 및 균형 능력은 10m 보행 검사(10MWT), Timed Up & Go(TUG), 5회 앉았다 일어서기 테스트(5STS), Berg Balance Scale(BBS), 삶의 질 척도 (PDQL) 및 G-WALK를 통해 평가되었다. 두 그룹 모두 유의미한 개선을 보였으나, AOT는 TUG와 10MWT에서 더 큰 개선을 보여 운동 학습과 신경 가소성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다. 반면, VC는 보행 리듬과 안정성을 강화해 보폭 및 균형 향상에 더 효과적이었다. AOT와 VC 훈련은 각각 고유한 방식으로 파킨슨병 환자의 신체 기능과 삶의 질을 개선하는데 효과적임을 확인하였다. 특히 AOT는 운동 학습과 사회적 참여를 촉진하는데 기여하였고, VC는 균형과 보행 리듬 향상에 효과적이었다. 두 훈련을 융합한 맞춤형 재활 프로그램이 파킨슨병 환자의 치료에 최적의 결과를 도출할 것으로 기대되며, 향후 연구에서는 더 큰 표본과 장기적 효과 분석이 필요하다.
시각적 단서에 따른 촉각적 심상화가 지각된 품질과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Physical interaction with product has a great influence on the purchasing decision-making process. However physical interaction with product has been restricted as retail environment rapidly changed from offline to online. Instead of physical interaction, consumers are required to use information cues for their online information search process. According to previous researches, sight and touch are most involved senses during the purchasing decision-making process. However, the way people get visual sensory information and tactile sensory information of product is different in online retail context. To be specific, in order to get tactile information of product, people are required to guess the sense of touch from provided information cues in visual/text format. This can happen based on their past experience of touch. The guessing process involves 'haptic imagery', which means making a representation of the information that would be gained through touching the product, in one's mind. Related researches report that haptic imagery allows people to sense product as if they physically touch the product. The degree of vividness or elaboration of haptic imagery can differ depending on the provided information presentation format. This paper focuses on the role of haptic imagery in purchase decision-making processes whitin the context of online retail environment. To do so, this study investigated the difference in the level of haptic imagery according to information cue presentation format. Then the relationships between haptic imagery of each cue presentation format, perceived quality and buying intention was investigated. In detail, experiment was 2 (with tactile information/ without tactile information) × 2 (visual cues: image/video) design and 'Muffler' was selected among material product for experiment. The results of this experiment are as follows. First, visual cues(image/video) significantly affected the degree of haptic imagery. Also image resulted higher degree of haptic imagery than video. This result is aligned with previous research that information presentation format with high abundance is advantageous when performing emotional tasks, and the form of information presentation with low abundance is advantageous when performing formal tasks. The task given in this study was to search for tactile sensory information of product assuming shopping condition. This task has a clear purpose of evaluating the product for purchase decision. Therefore can be determined as formal tasks. So in this case, it is likely that video format(higher abundance) distracted consumer from understanding essential information they need. Consequently, the result can conclude that image(lower abundance) was appropriate presentation format in given experimental condition. Second, the types of text cues(with tactile information/without tactile information)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Also there was no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s between text cues and visual cues. This means text cues and image cues do not create synergy effect in given experiment condition. According to previous researches, these results can be explained that text cues were ignored because they were perceived as less useful compare to image cues. In other words, when there is more than one cue presentation format type is given, people tend to ignore cue presentation format which is less useful. Also considering the type of task given in experiment, spatial format of information(visual format) is more appropriate than symbolic format of information(text format). It is because tasks which require perception can be done more successfully when spatial format of information is given. Lastly, the result shows that haptic imagery has positive affect on perceived quality and purchase intention. Also the results shows that perceived quality mediated haptic imagery and purchase intention. These results empirically proves that haptic imagery is one of critical factors in purchase decision making process. Based on results shown above, the following suggestions can be made. First, it is important to distinguish proper information presentation format for each type of task. For instance, task regarding information searching requires evaluation of specific product. In this case information presentation format with low abundance is proper rather than information presentation format with high abundance. Also, the result that spatial information presentation forms (images) are more advantageous than symbolic forms (texts) where task is related to perceiving can be another example. In this paper, the experiment was done only with material goods(scarf). Therefore, follow-up research could cover proper information presentation format depending on different characteristics of the product such as geometric goods. Second, this study shows the role of haptic imagery in the online purchase decision-making process of consumers is important. Related researches are done mostly regarding on sight whereas the role of other senses in retail context is underestimated. Therefore researches regarding other senses and how these sensory information can be delivered can be done in follow-up study. Finally, it is necessary for study regarding senses to be conducted in consumer point of view. This is because advanced technology does not mean appropriate technology. In other words, proper technology will differ depending on contexts, tasks and consumer attributes. Therefore follow-up researches of senses should be done because these studies in consumer perspective allows to set right direction of technology usage for both consumers and suppliers. 구매 전 제품에 대한 물리적 접촉은 소비자의 구매의사결정과정에 큰 영향을 미친다. 그러나 소비환경이 오프라인에서 온라인 중심으로 재편되면서 제품에 대한 물리적 접촉이 불가능해졌다. 이에 소비자는 온라인에서 제공되는 단서를 이용한 대안적 정보탐색을 하게 되었다. 구매 시점에 소비자의 제품탐색에 관여하는 감각은 주로 시각과 촉각으로 보고된다. 특히 온라인 소비환경에서 제품의 촉각정보를 얻기 위해서는 이미지나 텍스트로 제공되는 촉각정보의 단서와 기존의 경험을 종합해 유추해야 한다. 이러한 유추 과정에서 소비자는 제품을 만지는 상상인‘촉각적 심상화’를 경험한다. 기존 연구들은 제품을 만지는 상상만으로 직접 만지는 것과 동일한 효과가 나타날 수 있음을 보고하며, 촉각적 심상화를 제품에 대한 물리적 접촉의 대안으로 제시한다. 본 연구는 온라인 소비환경에서 소비자가 제약된 지각을 극복하고 합리적 구매의사결정과정을 하는 방안으로써 촉각적 심상화에 주목하였으며, 촉각정보에 대한 단서 제시형태에 따라 나타나는 촉각적 심상화 수준의 차이를 실증적으로 탐구하고자 하였다. 나아가 촉각적 심상화와 지각된 품질, 구매의도 간의 관계를 확인함으로써 촉각적 심상화에 의한 소비자 구매의사결정과정의 구조를 실증하고자 했다. 특히 본 연구는 재료적 속성이 강한 제품인 ‘목도리’를 실험물로 설정했으며, 촉각정보에 대한 단서 제시방식을 2(텍스트 단서: 유/무) × 2(이미지 단서: 사진/영상)의 이원분산 교차설계 실험법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촉각정보에 대한 단서 제시형태 중 이미지 단서(사진/영상)는 촉각적 심상화 수준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며, 사진의 촉각적 심상화 수준이 영상의 촉각적 심상화 수준보다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감정적 과업을 수행할 때는 풍부성이 높은 정보제시형태가 유리하고 형식적인 과업을 수행할 때는 풍부성이 낮은 정보제시형태가 유리하다는 선행연구를 다시 한번 입증하는 결과이다. 정보탐색은 재화의 속성에 대한 가치판단이라는 분명한 목적을 가진 형식적 과업으로 풍부성이 높은 영상의 경우 주요 정보로부터 소비자의 주의를 산만하게 하거나 주의를 분산시키는 경향을 보이기 때문이다. 둘째, 촉각정보에 대한 단서 제시형태 중 텍스트 단서(유/무)에 따른 촉각적 심상화 수준에는 유의한 차이가 발견되지 않았으며, 텍스트 단서와 이미지 단서 간의 상호작용 효과도 유의하게 나타나지 않았다. 이는 온라인 소비환경에서 제품의 촉각정보를 탐색할 때 텍스트 단서와 이미지 단서가 시너지 효과를 내지 못함을 의미한다. 이러한 결과는 유용한 이미지 단서가 이미 존재하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유용성이 낮은 텍스트 단서는 무시되었다고 이해될 수 있다. 또한,‘촉각정보 지각’이라는 본 연구의 과업을 고려할 때 지각이 요구되는 상황에서 기호적 형식의 정보제시형태보다 공간적 형식의 정보제시형태가 적합하다는 선행연구와 일치된 결과를 보여줌을 확인할 수 있다. 셋째, 촉각적 심상화는 지각된 품질과 구매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며, 지각된 품질은 촉각적 심상화와 구매의도를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소비자가 온라인에서 재료적 재화를 구매할 때 촉각적 심상화가 중요한 영향요인임을 보여주며, 구체적으로 소비자가 재화의 품질을 긍정적으로 지각하게 만들어 구매행동을 유발함을 보여준다. 본 연구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할 수 있다. 첫째, 과업의 성격에 따라 적합한 정보제시형식이 사용되어야 한다. 정보탐색과정은 제품 속성 등에 대한 가치 판단이 요구되는 과업으로 이미지 단서 중 풍부성이 높은 정보제시형태 보다 풍부성이 낮은 정보제시형태가 더 유리하다. 또한, 대상을 감각적으로 지각해야 하는 상황에서는 공간적 정보제시형태(이미지)가 기호적 형식(텍스트)보다 유리하는 것을 밝혔다. 본 연구는 감각적 속성이 중요한 재료적 재화인 목도리로 한정지어 정보제시형식을 살펴보았다. 한편, 형태적 속성이 중요한 기하학적 재화의 경우 적합한 정보제시형식이 달라질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제품의 특성에 따라 적합한 정보제시형식이 어떻게 달라지는지 살펴보는 후속연구가 진행되어야 한다. 둘째, 본 연구는 소비자의 온라인 구매의사결정과정에서 촉각적 심상화의 역할을 살펴보았다. 시각을 중심으로 감각 연구가 이루어 지고 있는 상황에서 소비환경에서 기타 감각의 역할이 과소평가되고 있다. 후속 연구에서는 본 연구에서 수행한‘촉각’외에도 구매의사결정과정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기타 감각정보들을 효과적으로 전달하는 방안에 대한 연구가 수행되어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소비맥락에서의 기술 활용과 감각에 관한 연구를 소비자학적 관점에서 고찰함으로써 얻을 수 있는 함의에 대한 모색이 필요하다. 공급자 중심의 맹목적인 기술 진보보다는 상황에 따라 소비자가 편리함을 느끼는 기술을 분류하고 이에 적합한 적정기술을 활용하는 것이 중요하기 때문이다. 이후 후속연구를 통해 소비자의 합리적 구매의사결정과정을 촉진하는 방향성을 제시해줄 수 있는 소비맥락에서의 기술 활용과 감각에 관한 연구가 더욱 활성화되어야 할 것이다.
원격 조작 시 AR 인터페이스가 거리 지각에 미치는 영향
건설 현장과 같은 위험한 환경에서 작업자를 위한 솔루션으로 원격 조작 기술이 활용되고 있다. 원격 조작은 위험 지역에서 멀리 떨어져 작업을 수행하기 때문에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하지만 시각적 제약으로 인해 작업 환경 내 지형 및 장애물 등의 위치, 거리를 정확하게 판단하는 능력이 저하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증강 현실 기술이 도입되어 사용자의 공간 인식을 향상시키고 있으나, 과도한 정보 제공으로 인해 사용자의 혼란을 야기하고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원격 조작 시 AR 인터페이스의 설계 요소가 거리 지각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한다. 거리 지각을 향상시킬 수 있는 Multi-view 인터페이스와 AR 시각적 단서를 통해 거리 지각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함으로써 사용자의 작업 부하를 낮추면서 거리 인식을 효과적으로 지원할 수 있는 적정 수준을 탐색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RC 장난감를 활용한 원격 환경에서 AR 인터페이스를 구현하였으며, 40명의 연구 참가자를 대상으로 과업을 수행하였다. 뷰 인터페이스 조건과 AR 시각적 단서의 Line density 수준에 따라 총 12가지 실험 조건을 설계하였으며 거리 추정 오차, 과업 수행 시간, 작업 부하를 평가하여 거리 지각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식을 확인하였다. 연구 결과, Multi-view 인터페이스는 거리 지각을 향상시켰으며, 특히 Overhead-view일 때 가장 높은 거리 지각을 확인하였다. 이는 원격 조작 시 작업 효율성을 향상시키는 Multi-view의 필요성을 강조한다. 또한 AR 시각적 단서의 Line density는 높을수록 거리 지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나, 일정 수준 이상의 조건에서는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이를 통해 원격 환경에서 AR 시각적 단서 설계 시 적정 밀도 수준을 고려해야 하며, 필요 이상의 정보 제공이 항상 거리 지각을 향상시키지 않을 수 있음을 시사한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원격 조작 시 거리 지각 향상을 지원하는 AR 인터페이스 설계 방향을 제시하며, 건설 분야를 포함한 다양한 원격 작업 환경에서 인터페이스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e use of teleoperation technology has become a prevalent method for ensuring the safety of workers in hazardous environments, such as construction sites, by enabling operations to be conducted from a safe distance. However, visual limitations often hinder operators from accurately perceiving the position and distance of terrain and obstacles within teleoperated workspaces. To address these challenges, augmented reality (AR) technology has been introduced to enhance operators’ spatial awareness. Nevertheless, the excessive information presented through AR interfaces can lead to workload and operator confusion. This study investigates the influence of AR interface design elements on distance perception during teleoperated operations in construction environments. In particular, it examines the impact of multi-view interfaces and AR visual cues on distance perception, aiming to determine the optimal level of information that enhances spatial awareness while minimizing operator workload. To achieve this, an AR interface was implemented in a teleoperation system using an excavator, and experiments were conducted with 40 participants. A total of 12 experimental conditions were designed, varying in interface configurations and densities of AR visual cue lines. The study evaluated distance estimation errors, task completion times, and operator workloads to identify the most effective strategies for improving distance perception. The results indicated that multi-view interfaces significantly enhanced distance perception, with the overhead view yielding the highest accuracy. These findings underscore the importance of multi-view configurations in improving operational efficiency during teleoperated tasks. Furthermore, while higher levels of AR visual cue line density positively influenced distance perception, the effect plateaued beyond a certain threshold, showing no further improvement. This suggests that AR visual cues in teleoperation systems should be carefully optimized to prevent excessive information that may not contribute to enhanced distance percepti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provide valuable design guidelines for AR interfaces to support distance perception in teleoperation systems. These results are expected to serve as foundational data for interface development in various teleoperation applications, including the construction industry.
시각적 단서 제시 여부에 따른 동영상 유형이 학습 성과 및 교수실재감에 미치는 영향
동영상 강의는 최근 몇 년 동안 공공기관, 교육 시설, 그리고 Coursera, 칸아카데미, TED와 같은 오픈 학습 콘텐츠에서의 활용이 증명되면서 온라인 강의의 매우 일반적인 형태가 되었다. 동영상 강의는 다른 유형의 콘텐츠에 비해 전통적 교실 강의 형태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기 때문에 학습자들이 익숙하게 받아들이며 이러닝 콘텐츠 유형 중 학습자들이 가장 선호하는 유형으로 많은 연구에서 언급되었다(김종무, 2015; 이향아 & 이영, 2010; Chen & Wu, 2015). 동영상 강의는 학습자에게 실제로 교실에서 수업을 듣는 것과 같은 실재감을 제공해주며(홍원준, 임철일, & 박태정, 2013) 급속도로 기술이 발전하는 환경 하에 다양한 디바이스에서 문제없이 호환되기에 가장 적합한 형태라 여겨지고 있다. 강의 유형에 따른 학습자 선호도 및 학습 성과와 관련된 연구들은 주로 동영상 유형을 하나의 이러닝 콘텐츠 유형으로 포함시켜 진행되어 왔으며 어떤 강의 유형이 가장 학습자 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지에 관한 연구 결과는 연구마다 조금씩 다르게 제시되고 있다. 이러닝 콘텐츠 강의 유형과 관련된 연구는 주로 강의 유형에 대한 학습자 선호도 분석에 초점이 맞춰져 있을 뿐 학습 성과나 강의 유형에 따른 효과성을 검증하는 연구는 거의 진행되지 않았다. 동영상 관련 연구에서 역시 동영상 강의 자체의 효과성을 검증하는 연구는 진행되어 왔으나 동영상 강의의 유형을 세분화하여 효과성을 검증한 연구는 매우 미비하다. 또한 동영상 유형이 다양함에도 불구하고 학습효과를 검증한 연구는 대부분 현장 강의형과 화면 속 화면(pictureinpicture) 형태, 즉 크로마키 유형에 국한되어 왔으며 최근 부상하고 있는 칸스타일형(Khanstyle video lecture)의 효과를 검증하고 있는 연구는 거의 없다. 멀티미디어 학습 환경은 학습자와 컴퓨터의 관계가 사회적 관계라는 가정 하에서 학습자들이 잘 학습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야 한다(Mayer, Sobko, & Mautone, 2003; Moreno, Mayer, Spires, & Lester, 2001). 사회적 에이전시 이론(Social Agency Theory)에 따르면 학습자와 상호작용할 수 있는 의인화된 에이전트가 증가할수록 학습에 긍정적인 요인이 늘어날 것으로 기대할 수 있다(류지헌 & 유지희, 2012). 이 이론은 멀티미디어 학습 환경에서 언어적, 시각적 단서와 같은 사회적 단서를 통한 상호작용이 기존 면대면 환경에서의 상호작용에서 기대하던 것과 유사하게 느끼게 함으로써 학습 효과의 향상을 가져올 수 있음을 주장한다. 그러나 사회적 단서 제시에 따른 학습 성과 차이가 있는지에 대한 실험과 연구는 상대적으로 미진한 편이다(Krǟmer, 2010; Krǟmer & Bente, 2010; Mayer, Fennell, Farmer, & Campbell, 2004; Mayer et al., 2003; Mayer, 2014a). 이에 본 연구에서는 동영상 유형을 사회적 단서 중 시각적 단서에 초점을 두고 화면에 보이는 강사의 이미지 즉, 강사 출연 여부와 강사의 친필 여부에 따라 다음의 3가지로 구분하였다. 첫째, 강사가 출연하고 필기도 친필로 진행하는 전통적인 강사 출연 동영상, 둘째, 강사의 이미지는 제시되지 않고 강사 목소리로 진행되며 친필 설명만 있는 칸아카데미 스타일 동영상, 셋째, 강사 목소리 씽크에 맞춰 강사 친필이 아닌 파워포인트를 활용한 강의 화면만 제시되는 프리젠테이션 동영상 유형의 3가지 유형을 학습했을 때 학습 만족도와 학업 성취도, 교수실재감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를 고찰하고자 한다. 또한 학습에 대해 가지는 기대와 가치는 교과에 따라 다르며 학습자 특성에 따라 학습 방식이 다르게 나타나므로 동영상 유형과 교과 및 연령 변인의 상호작용 효과가 학습 만족도, 학업 성취도, 교수실재감에 영향을 미치는지 탐색하였다. 실험 참가자들은 수학 과목과 사회 과목의 여섯 가지 동영상 콘텐츠에 무작위로 배정되었고 이들은 여섯 개의 실험 집단으로 구성되었다. 각 집단의 동질성 여부를 파악하기 위해 사전 지식을 평가한 결과 실험 집단 간 유의한 차이는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F=, p>.05). 또한 온라인 사전 학습 경험 정도가 학습 만족도나 교수실재감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판단되어 모두 1학년 학생들로 실험을 진행하였다. 총 180명의 학생이 참가하였으며 10대 46명, 20대 8명, 30대 19명, 40대 76명, 50대 31명으로 구성되었다. 실험 결과 강의 유형에 따른 학습만족도(F=17.11, p=.00)와 학업성취도(F=6.52, p=.00), 교수실재감(F=11.37, p=.00)은 각각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만족도에 대한 독립변수 간의 상호작용효과에 있어서는 연령과 교과(F=7.86, p=.01), 연령과 강의유형(F=3.75, p=.03), 교과와 강의유형(F=32.16, p=.00)간에는 유의미한 상호작용이 있었다. 학업 성취도에 대한 독립변수 간의 상호작용효과에 있어서는 교과와 연령(F=11.08, p=.00), 교과와 강의유형(F=4.62, p=.01)간에 유의미한 상호작용이 있었다. 교수실재감에 대한 독립변수 간의 상호작용효과에 있어서는 교과와 강의유형(F=8.59, p=.00)간에만 유의미한 상호작용이 있었다. 학습 만족도에 대한 결과는 강사 출연 동영상 또는 현장 강의 녹화형 영상의 긍정적인 만족도를 보고하는 다른 연구 결과(Bridge et al., 2009; Dey et al., 2009; Shaw and Molnar, 2011 ; Kizilcec, Bailenson & Gomez, 2015)와도 맥락을 함께 한다. 강사 출연 동영상 유형 집단의 학습 만족도가 칸아카데미 스타일 유형과 프리젠테이션 유형으로 학습한 집단보다 비교적 높은 만족도를 보였다. 여기서 흥미롭게 살펴볼 부분은 수학 과목에서의 만족도 순위는 강사 출연 동영상 유형 > 칸아카데미 스타일 유형 > 프리젠테이션 유형의 순서였지만 사회 과목에서의 만족도 순위는 강사 출연 동영상 유형 > 프리젠테이션 유형 > 칸아카데미 스타일 유형이었다는 점이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어학 교과와 이론 중신 일반 교과에서 선호하는 강의 유형이 다르게 나타났던 김종무(2015)의 연구 결과를 지지한다. 학업 성취도에 있어서는 칸아카데미 스타일 동영상으로 학습한 집단이 강사 출연 동영상과 프리젠테이션 동영상으로 학습한 집단보다 높은 성취도를 보였다. 이 결과는 강사 출연 동영상으로 학습한 집단이 만족도는 높았지만 학업 성취도 면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던 Kizilcec, Bailenson과 Gomez(2015)의 결과와 일맥상통한다고 할 수 있다. 대부분의 연구들은 강사출연이 학습을 더 효과적으로 이끈다는 연구결과(Lusk & Atkinson, 2007; Griffin, Mitchell, & Thompson, 2009; Domagk, 2010; Mayer & DaPra, 2012; Chen & Wu, 2015; 엄한숙, 2016)를 제시하였으나 본 연구결과는 강사의 시각적 정보가 오히려 학습자의 주의를 분산시켜 학습에 방해가 된다는 주장(Gullberg and Holmqvist, 2006; Homer, Plass, & Blake, 2008)을 지지하고 있다. 성취도에 대한 결과를 연령에 따라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성인학습자의 경우 성취도 평균 점수가 가장 높은 집단은 칸아카데미 스타일 유형이었으며 10대 학습자의 경우 성취도 평균 점수가 가장 높은 집단은 강사 출연 동영상 유형으로 학습한 집단이었다. 또한 수학 과목의 경우 성취도 평균 점수가 가장 높은 집단은 칸아카데미 스타일 유형이었으며 사회 과목의 경우 성취도 평균 점수가 가장 높은 집단은 강사 출연 동영상 유형으로 학습한 집단이었다. 이는 강사 출연 동영상 유형과 학습 결과 사이의 부정적인 관계를 보고한 연구 결과(Fernandes et al., 2012; Franklin et al., 2011; McNulty et al., 2009; McNulty et al., 2011 ; Owston et al., 2011; Gullberg & Holmqvist, 2006)를 지지하고 있다. 반면 동영상 강의를 현장 강의 녹화형, 프리젠테이션 강의 유형, 크로마키 유형, 그리고 칸스타일 유형 등으로 분류하여 학습 성과를 측정하였을 때 칸스타일 유형보다 강사 출연 동영상이 학습에 효과적이라는 실험 결과(Ilioudi et al., 2013; Griffin et al., 2009; Chen & Wu, 2015)와는 차이가 있다. 마지막으로 동영상 강의 유형의 차이가 교수실재감 측면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하다는 결과가 나타났다. 강사 출연 동영상으로 학습한 집단이 칸스타일 스타일 유형으로 학습한 집단과 프리젠테이션 유형으로 학습한 집단보다 높은 교수실재감을 보였다. 이 결과는 교수자 그리고 교수자 활동이 교수실재감을 획득하게 하는데 주요한 요인(Jefferies, Grodzinsky, & Griffin, 2003; Marks, Sibley, & Arbaugh, 2005; Vonderwell, 2004)이라고 제안한 연구 결과들을 실증적으로 검증하고 있다. 교수자의 존재 즉, 직접 교수는 학습자교수자의 교류 거리를 의미있게 감소시킬 있고 고립감을 감소시킬 수 있다는 Chen(2001)의 연구 결과와도 일맥상통한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연구자는 동영상 학습 콘텐츠를 설계할 때 반드시 고려해야 할 사안들을 제안하고자 한다. 첫째, 개발하고자 하는 학습 내용의 교수 분석을 반드시 진행해야 한다. 교수 설계의 첫 단계는 바로 학습 내용을 규명하는 것이다. 학습 내용을 명확히 규명한 후 해당 내용을 제시하고자 할 때의 가장 효과적인 교수 전략을 세워야 한다. 그러나 실제로는 거의 이런 식으로 진행되지 않는다. 보통 내용전문가나 교수설계자가 선호하는 전달 방식이 결정되어 있어서 교수 설계 과정이 시작되기도 전에 이미 선정되어 있는 것이다. 그러나 이렇게 개발된 동영상 강의는 학습자에게 높은 만족도를 줄 수도 없을 뿐 아니라 학업 성취의 향상 역시 이끌어낼 수 없을 것이다. 수학 과목의 원리학습에서는 교수자의 등장보다는 풀이 과정에 집중할 수 있는 칸아카데미 스타일 동영상 유형에서 학업 성취도가 더 높게 나온 반면 사회 과목의 실증적인 자료를 활용하여 해석하는 내용의 학습에서는 교수자와 강의 화면이 함께 제시되는 유형에서 학업 성취도가 높게 나온 본 연구의 결과 역시 학습 내용에 따라 교수 전략에 따라 강의 유형을 다르게 선택해야 함을 나타내고 있다. 둘째, 학습자 분석을 반드시 진행해야 한다. 본 연구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학습자가 누구냐에 따라 학습의 양상은 다르게 나타난다. 설계자는 학습 대상에 대해 학습 주제에 대한 사전 지식, 전달 매체로 활용하고자 하는 미디어에 대한 친숙도, 미디어에 대한 태도, 교육 수준과 지적 능력, 일반적인 학습 선호도 등에 대한 분석을 반드시 진행해야 한다. 10대 학습자는 성인 학습자보다 화면에 집중할 수 있는 칸아카데미 스타일 동영상 유형에 높은 만족도와 성취도를 보인 결과 역시 학습자에 따라 교수 전략이 다르게 적용되어야 함을 나타내고 있다. 본 연구 결과는 동영상 유형을 과목별로 세분화하여 제작한 후 학습 효과 및 교수실재감을 실험을 통해 검증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하지만 다음과 같이 몇 가지 제한점이 있다. 첫째, 실험에 사용된 영상은 6분 정도의 짧은 영상이었다. 아주 내용이 적은 편에 속하는 소주제 1개를 학습한 후 측정한 학업 성취도이기 때문에 동영상 강의 유형에 따라 학업 성취도의 차이가 유의미한 것으로 결과가 나오긴 했으나 소주제 3개 정도로 학습량을 늘려 학습 성과를 측정할 필요가 있어 보인다. 또한 재수강이나 반복학습, 조절학습의 가능성을 통제한 후 학습하자마자 학업 성취도를 측정하였기 때문에 반복학습의 가능성을 열었을 경우 학업 성취도나 학습 만족도는 달라질 수 있다. 반복학습, 조절학습의 가능성을 열어둔 후 어느 정도 시차를 두고 학습 성과를 측정하는 연구가 후속적으로 요구된다. 둘째, 방송고 학습자는 꽤 오랜 기간 동안 학업 공백기가 있었던 학습자로 특히 영어, 수학 과목에서 기초 학력이 상당히 떨어진다. 본 연구에서도 수학 과목의 학업 성취도 평균은 사후 검사에서 10점 만점에서 1.94점으로 매우 낮은 편이다. 사전 검사와 사후 검사의 점수 차이가 매우 미약하므로 학습이 일어났다고 볼 수 있을지 재고할 필요가 있다. 이에 기초 학력이 떨어지는 집단에서 학업 성취를 보고자 할 때에는 사전 검사와 사후 검사의 난이도 조절이 매우 중요할 것으로 보이며 난이도를 상, 중, 하로 나누어 문항 별로 학습 성과를 측정하는 것도 고려해 볼 필요가 있겠다.
시각적 단서를 활용한 자극변별 훈련이 자폐스펙트럼장애 중학생의 차례 기다리기에 미치는 효과
변지영 백석대학교 교육대학원 2021 국내석사
차례 기다리기는 가정, 학교뿐만 아니라 지역사회에서도 수시로 요구되는 행동이다. 그러나 자폐스펙트럼장애 학생은 타인의 입장을 고려하여 자신의 행동을 통제하는 데 어려움을 겪는 사회적 특성으로 인하여 차례 기다리기 행동의 지속시간이 짧고 문제행동이 많이 나타내는 경향을 보인다. 특히 타인의 차례에 타인이 가진 선호물을 빈번하게 요구하는 행동은 자폐스펙트럼장애 학생의 학교 및 사회로의 통합을 방해한다. 본 연구에서는 시각적 단서를 활용한 자극변별 훈련이 자폐 스펙트럼장애 중학생의 차례 기다리기에 미치는 효과에 대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에 따라 시각적 단서를 활용한 자극변별 훈련이 자폐스펙트럼장애 중학생의 차례 기다리기 행동의 지속시간을 증가시키는가, 그리고 증가된 차례 기다리기 행동의 지속시간이 유지되는가를 연구 문제로 설정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 참여자는 서울특별시 소재 특수학교에 재학 중인 중학교 1학년 자폐스펙트럼장애 학생 1명이다. 연구 설계는 준거변경설계를 적용하여 기초선, 중재, 유지 순서로 진행하였고 특히, 중재 단계에서는 점진적으로 차례 기다리기 행동 지속시간의 준거를 높여가도록 구성하였다. 본 연구의 독립 변인은 시각적 단서인 사진 카드와 시각적 타이머를 활용한 자극변별 훈련이다. 그리고 종속 변인은 차례 기다리기, 즉 타인의 차례라고 지시했을 때 자신의 차례가 올 때까지 타인이 가지고 있는 선호물을 요구하거나 접촉하지 않고 기다리는 행동이다. 연구 결과 기초선에서는 차례 기다리기 행동의 지속시간이 평균 6.3초로 짧았으나 중재를 투입하면서 최장 300초까지 차례 기다리기 행동의 지속시간이 증가하였다. 중재가 종료되고 1주일 후 기초선과 동일한 조건에서 2회기의 유지를 평가한 결과 차례 기다리기 행동의 지속시간이 중재 기간의 최종 준거보다는 짧으나 기초선 보다는 긴 수준을 보임을 확인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는 시각적 단서를 활용한 자극변별 훈련이 자폐스펙트럼장애 중학생의 차례 기다리기에 효과적임을 나타낸다. Waiting for a turn is a behavior that is frequently required not only at home and at school, but also in the community. However, students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tend to have short duration of waiting for their turn and many problem behaviors due to their social characteristics, which make it difficult to control their behavior considering other people's position. In particular, when students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frequently request priority for preferences at the turn of others, it hinders integration in school and society. In this study, we tri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timulus discrimination training using visual clues on the waiting behavior for a turn of middle school student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Accordingly, the research questions was whether stimulation discrimination training using visual cues increased the duration of waiting behavior for a turn in middle school student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and whether the increased duration of waiting behavior for a turn was maintained. The participant in this study was one student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in the first grade of middle school attending a special school located in Seoul. The design of this study was constructed by applying a changing criterion design and proceeding in the order of baseline, intervention, and maintenance. In particular, in the intervention phase, the criterion for the duration of waiting behavior for a turn was gradually increased. The independent variable of this study was stimulus discrimination training using photo cards and visual timer, which are visual clues. And the dependent variable was waiting behavior for a turn, that is, waiting without contacting or asking for the preferences of others until their turn comes.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duration of waiting behavior for a turn was short at an average of 6.3 seconds at the baseline, but the duration of waiting behavior for a turn of up to 300 seconds increased with intervention. A week after the intervention was completed, the maintenance of the two sessions under the same conditions as the baseline was evaluated, and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the duration of the waiting behavior for a turn was shorter than the final observation of the intervention period, but longer than the baseline.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d that stimulation discrimination training using visual cues was effective in waiting behavior for a turn for the middle school student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영아의 물체 정보처리에 대한 사회적 단서의 영향 : 시선, 가리키기, 발화의 역할
This study examined whether 12-month-old Korean infants could utilize social cues (gaze, pointing, speech cues) provided by an adult in encoding and processing new objects, and which social cues are most effective in this process. Additionally, we investigated whether infants’ temperament traits are related to their ability to process novel objects in response to social cues. As a result, infants showed a pattern of primarily using pointing and infant-directed speech (IDS) cues rather than gaze cues in processing target objects and this pattern was more prominent in behavioral responses than in gaze responses. In the object choice task, infants chose the target object more frequently under the IDS and pointing cue conditions compared to the gaze cue condition. However, during the looking time comparison phase, the proportion of looking times to non-target object did not show a significant difference from chance levels across all conditions. When examining the looking time patterns to non- target object in 2-second intervals, it was found that the proportion of looking duration towards the non-target object did not differ from chance levels across all conditions. Despite differences observed between infants’ gaze responses and behavioral responses, these results suggest that 12-month-old Korean infants effectively process new objects utilizing pointing and IDS cues. Furthermore, significant correlations were observed between the subdomains of infants’ temperament and their abilities in visual attention/object-processing, indicating that infants may vary in their ability to process novel objects by attending to social cues based on their temperament traits. 본 연구에서는 한국 12개월 영아들이 새로운 물체에 대한 정보를 처리하는 과정에서 성인이 제시하는 사회적 단서(시선, 가리키기, 발화 단서)를 활용할 수 있는지, 그리고 어떠한 사회적 단서가 이러한 물체 정보처리 과정에 가장 효과적인지 영아의 응시 반응과 행동 반응을 통해 살펴보았다. 나아가 영아의 기질 특성이 성인의 사회적 단서를 따라 새로운 물체에 대한 정보를 처리하는 능력과 관련이 있는지도 함께 검토하였다. 결과적으로, 영아들은 물체에 대한 정보를 처리하는 과정에서 시선 단서보다 가리키기 단서와 IDS 발화 단서를 중점적으로 활용하는 패턴을 보였으며, 이러한 패턴은 영아의 응시 반응보다 행동 반응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영아들은 물체 선택 시행에서 시선+IDS 조건과 시선+가리키기 조건의 표적 물체를 시선 조건보다 더 많이 선택했지만, 응시시간 비교 단계에서는 전반적으로 표적 물체와 비표적 물체를 동등하게 응시하는 결과를 보인 것이다. 응시시간 비교 단계의 한 시행을 2초 단위의 짧은 구간으로 나누어 영아들의 응시 패턴을 살펴보았지만, 모든 조건의 구간에서 비표적 물체에 대한 응시시간 비율이 우연수준과 다르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비록 영아의 응시 반응과 행동 반응에서 차이가 드러났지만, 이러한 결과는 한국의 12개월 영아들이 가리키기 및 IDS 단서를 통해 새로운 물체에 대한 정보를 효과적으로 처리했을 가능성을 시사한다. 추가로, 영아의 기질 하위영역과 시각적 주의 및 물체 정보처리 수준 간 유의한 관련성도 다수 관찰되어, 영아의 기질에 따라 성인의 사회적 단서에 주목하여 새로운 물체에 대한 정보를 처리하는 수준이 달라질 가능성도 함께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