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슬로리딩을 적용한 수업 사례 연구

        김동현 청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8703

        4차 산업혁명의 영향으로 학교교육에서는 창의적 사고력과 자기주도성을 강조하고 있다. 또한 학생이 주체가 되는 활동이 증가함에 따라 교과간, 단원간 연계가 긴밀해지며 교사와 학생, 학생들 간 관계 속에서의 소통이 중요해졌다. 2015 국어과 교육과정에서 ‘한 학기 한 권 읽기’가 도입된 것과 같이 본 연구에서는 새로운 인재상을 구축할 수 있는 방안으로 ‘책을 통한 활용 방안(슬로리딩)’에 주목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슬로리딩’을 수업에 적용하여 이에 대한 학생들의 반응을 분석함으로써 교육적 효과를 검증하는데 목적을 둔다. Ⅱ장에서는 ‘읽기교육’과 ‘슬로리딩’에 대한 선행 연구를 살펴보았다. 읽기교육에서는 슬로리딩을 하면서 학생들이 글을 어떻게 이해해야 하는지 알아보기 위해 읽기 과정 모형인 상향식, 하향식, 상호작용식 모형을 비교하여 살펴보았다. 또한 2015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 내용체계와 성취기준을 살펴봄으로써 슬로리딩을 적용한 수업을 통해 초등학교 4학년 학생들 수준에서는 어떠한 내용들을 가르쳐야 하는지 알아보았다. 그리고 슬로리딩을 적용하기 위한 모형을 찾아보기 위해 읽기 교육 지도 방법을 통해 기능 및 전략 지도 방법, 독해 지도 방법, 문학 지도 방법을 알아보았다. 또한 문헌연구를 통해 슬로리딩의 개념을 살펴보았다. 슬로리딩이란 책을 천천히 곱씹어 읽어가면서 이해하는 독서의 방법이다. 책을 읽는 도중 다양한 활동을 통해 작품의 전체적인 이해를 돕는 하나의 수업 방법이다. 이런 ‘슬로리딩’ 수업은 책을 읽는 여유, 다양한 활동을 통한 수업 참여, 글쓰기를 즐거워하는 등의 교육적 의의를 지닌다. Ⅲ장에서는 Ⅱ장을 바탕으로 슬로리딩 수업을 설계하고 실행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슬로리딩은 다섯 단계를 통해 이루어진다. 첫째 단계에서는 국가수준 교육과정에서 제시하는 각 교과별 성취기준이 무엇인지 확인한다. 둘째 단계는 성취기준을 달성하고 학생들 수준에 맞는 책을 선정하기이다. 셋째 단계는 책을 읽으며 활동할 수 있는 것을 생각하며 성취기준과 관련이 있는지 확인하며 성취기준을 정리한다. 넷째 단계는 정리한 성취기준을 바탕으로 하여 학습목표, 학습활동, 평가방법을 정리하는 실제적인 수업 설계단계이다. 마지막으로 Ⅳ장에서는 경기도 안산시 소재 A초등학교 4학년 학생 22명을 대상으로 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검은여우》책을 중심으로 전개한 수업의 모습을 차시별로 제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수업 적용 후 학생들의 반응을 면담, 활동 산출물을 분석하여 제시하였다. 본 연구가 주는 교육적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슬로리딩을 적용하기 위한 수업설계 및 실행을 통해 책을 깊이 있게 이해하면서도 교육과정 성취기준에 도달할 수 있는 활동을 할 수 있었다. 둘째, 슬로리딩의 다양한 활동을 통해 학생들은 의미 있는 수업 활동을 할 수 있었다. 셋째, 슬로리딩을 통해 책에 대한 관심과 독서하는 습관을 가지게 되었다.

      • 슬로리딩 기반의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기초독서력 향상에 미치는 영향

        정인숙 대진대학교 교육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8703

        독서를 통해 얻은 지식과 감상을 일상생활에 적용할 수 있는 기초독서능력을 향상하는 데 있어 읽기와 쓰기의 상관성을 규명하고 슬로리딩의 개념과 프로그램에 나타난 교육적 효과에 대해 알아본다. 책을 읽어서 이해하고 즐기는 능력의 기초독서력 향상을 위해 슬로리딩 기반의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에게 책에 대한 호기심을 가지고 독서에 흥미를 느끼게 되어, 학습에도 보다 긍정적인 경험을 할 수 있도록 한다. 기초독서력 향상을 위해 읽기, 쓰기의 태도 변화를 관찰 한다. 본격적으로 글을 읽은 후 글의 내용을 간추리며 예측하는 추론적 읽기가 가능하고 독서의 기초 기능을 익혀 독해로 나아가는 시기의 초등학교 3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슬로리딩 기반의 프로그램이 기초독서력을 향상시키는데 미치는 영향을 밝히고자 한다. 이를 위해 N 시 H 초등학교 담임교사가 추천한 독서능력 기초아 3학년 학생들을 1차 선정한 후 프로그램 참여 의사를 밝힌 8명의 학생을 최종 선정한다. 슬로리딩 기반의 프로그램을 위해 80분씩 총 8회기에 걸쳐 실시한다. 독서력을 측정하는 사전·사후 설문 결과를 대응표본 t-검증 하였고 정성적 반응을 확인하기 위해 활동지 작성을 분석하여 결론을 내리고자 한다. 프로그램 실시 전 독서력 사전 검사를 하고 프로그램 실시 후에는 독서력 사후 검사 및 프로그램 만족도 조사를 실시하여 독서태도, 독해력의 읽기 변화와 감상력의 쓰기 변화를 분석하여 슬로리딩 기반 프로그램이 기초독서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를 추출하였다. 본 연구과정에서의 결과로, 얻어진 내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독서태도에 있어 검사한 결과는 통계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슬로리딩 활동으로 학생들이 책 읽기에 자신감을 가져 프로그램을 지속적으로 참여해 주었다. 둘째, 읽기 전, 중, 후 활동을 3학년 교육과정 성취기준을 활동 목표로 삼고, 계획하여 진행한 결과 슬로리딩으로 읽기 변화가 향상되어 독해력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셋째, 쓰기 표현을 통해 감상력이 향상되고 독서의 흥미가 상호작용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활동지와 질문지를 통해 내용을 파악하고 독서감상문을 작성하여 문맥에 맞게 이야기의 줄거리를 요약할 수 있다. 슬로리딩으로 생각과 느낌을 글로 표현하는 활동은 책을 깊이 있게 내용을 파악하여 전체적인 이해를 도와준다. 위 결과는 도서관에서 지속적인 책 읽기의 방법으로 천천히 깊게 읽을 수 있는 슬로리딩으로 자발적인 독자로 나아갈 수 있는 토대가 되었다. 향후 기초독서력 동기 구성요인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들을 적용한다면 학생 스스로 지금까지 어떠한 책을 얼마나 읽고 있는지, 그중에서 감명받은 책은 어떤 것인가 등 책 속에서 답을 찾는, 마음을 움직여 주체적으로 독서활동을 전개할 수 있겠다. 아울러, 긴 시간을 통해 한 권의 책을 꼼꼼히 곱씹으며 읽고 긴 호흡으로 주제 관련 다양한 샛길 새기 활동은 읽기와 쓰기 독서력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게 된다. 학교 도서관에서 천천히 깊이 읽기와 다양한 주제 분야의 활동을 전개할 수 있다면 학생들에게 책을 이해하며 읽는 긍정적인 변화에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이에 대한 슬로리딩 프로그램을 지속적으로 개발 및 적용에 대한 연구가 진행될 필요가 있다.

      • 다문화 가정 초등학생 대상 슬로리딩(Slow reading) 한국어 수업 방안

        전은혜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870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 slow reading Korean language teaching plan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of multicultural families. We will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the slow reading as the theoretical background for preparing the slow reading Korean teaching plan. The characteristic of the slow reading is that the learner slowly reads a book and participates in the activities organized by the teacher. Teachers' activities are centered on Korean language classes, but they can be integrated with various subjects. It is possible to integrate with the social subject into the book topic and to carry out a field trip to investigate. And the differentiation from the other teaching methods using the other books is that the educational meaning of 'the way' is important. When we think or act out of the central flow, we say 'it has fallen into a byway'. 'Byway' means things that are out of the subject. As such, the 'byway' is an irrelevant and It is not important thing in the classroom. However, in the Slow Reading Instruction, 'Byway' is regarded as having an educational meaning. When the scene of eating the cookies in the book comes out, the students will eat, read the book, and when the scene of flying the kite comes out, they will make a kite and fly it themselves. In this way, we would like to apply the lesson method that can make interesting class to Korean language class for multicultural students. However, the main purpose is different because the Slow Reading teaching method and the Korean language lesson of the researcher are different from learners. The Slow Reading Instruction was designed to help students develop their thinking skills through class and help them to live as well as study. However, the main purpose of this researcher 's Korean language class is to improve Korean language skills and understand Korean culture. This is because it is a class that should help students to understand Korean society and school. Improving thinking ability through reading books is a side effect. Therefore, I will apply the Slow Reading teaching method but try to redefine the concept for Korean language lesson. The Slow reading Korean class will identify the level of the learner and set a book, and select a topic to help Korean language learning and understanding of Korean culture on one book. When writing a ‘One-volume plan’, it should be within 10 hours. Next, When writing each subject plan of each session, It Based on the one-volume plan. After the lesson is completed, the evaluation of the learner 's ability to improve the Korean language is confirmed. The point to consider when planning lessons is to utilize the 'Korean Revised Curriculum' announc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The Korean language required for the level of the students is presented as the achievement standard for language function. So you have to use it, but be careful not to get caught up in the frame. In this study, we conducted slow reading Korean lessons for intermediate level multicultural students during 31st period with 3 volumes of "Give me the pocket money", "The day your sister gets married" and "Twelve Stories". And students take an exam with TOPIK and .other subject. It is used as a quantitative evaluation. We conducted qualitative evaluation by interviewing students and ana analyzing Student's tutoring. Since TOPIK is not intended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it is necessary to check whether the difficulty level of the test is appropriate and whether the grade standard proposed by the supervisory institution is applicable to the multicultural students. Therefore, the same test was applied to the 4th grade students of the Korean family, and the percent correctance for each question and the distribution of students by grade were analyzed to determine the evaluation criteria for the TOPIK test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If we look at the students' Korean ability by these criteria, we can confirm that they have improved much after class in listening and reading. Through the interviews, the students were able to understand the content of the book, which was very interesting because the Slow reading Korean class was able to fully understand and was able to learn various difficult grammar and vocabulary, and to experience various experiences like the main character in the book. As a result of this study, it was confirmed that it is educational meaning to construct a Korean class to read completely books in a way that helps Slow reading Korean class to improve listening and reading ability. As a result of the TOPIK, multicultural students' listening and reading achievement scores were improved. However, there is a lack of objective data on speaking and writing in this study. Through observing the student's individual study paper and activities in the field of speaking and writing has been described as an interviewer, it is necessary to confirm the student's change as an objective fact. Therefore, there is a need to attention and study the educational effect of Slow reading Korean class on speaking and writing ability of multicultural students. 본 연구는 다문화 가정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슬로리딩 한국어 수업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슬로리딩 한국어 수업 방안을 마련하기 위하여 이론적 배경이 되는 슬로리딩 수업법의 특징을 살펴보기로 한다. 슬로리딩 수업법의 특징은 학습자가 한 권의 책을 천천히 읽으며 교사가 구성한 활동에 참여하는 것이다. 교사가 구성하는 활동은 국어 수업이 중심이지만 이에 국한되지 않고 다양한 교과와 통합할 수 있다. 책 속 주제에 대해 사회 교과와 통합하여 조사하고 견학을 가는 것 등을 할 수 있다. 그리고 다른 책을 활용한 수업법과 차별화 되는 특징은 ‘샛길’의 교육적 의미를 중요시 여긴다는 것이다. 우리는 중심 흐름에서 벗어나는 생각이나 행동을 하게 되면 ‘샛길로 빠졌다’라는 표현을 한다. 이처럼 ‘샛길’은 평소의 수업에서 엉뚱한 일이고 중요한 것이 아니다. 하지만 슬로리딩 수업법에서는 이를 새로운 측면으로 바라본다. 책 속 장면에 막과자를 먹으면 학생들도 먹으며 책을 읽어보고 연날리기 하는 장면이 나오면 책 읽다가 연을 만들고 직접 날려보는 수업을 하는 것이다. 이처럼 학생들에게 흥미로운 수업을 구성할 수 있는 수업법을 다문화 가정 학생 대상 한국어 수업에 적용하고자 한다. 하지만 슬로리딩 수업법과 본 연구자가 하는 한국어 수업은 대상이 다르므로 주 목적이 다르다. 슬로리딩 수업법은 학생이 수업을 통해 사고력을 키워서 공부뿐 아니라 생활하는데 도움이 되고자 하였다. 하지만 본 연구자의 한국어 수업은 그 특성상 한국어 기능 향상과 한국 문화의 이해가 주 목적이다. 한국어 수업을 통해 학교와 한국 사회를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어야 하는 수업이기 때문이다. 책 읽기를 통해 사고력이 향상되는 것은 부수적인 효과인 것이다. 그래서 슬로리딩 수업법을 적용하되 한국어 수업에 맞게 개념을 재정립하고자 한다. 슬로리딩 한국어 수업은 학습자 수준을 파악하여 책 한 권을 정하고 책 한 권에 대해 한국어 학습과 한국 문화 이해를 돕는 학습 주제를 선정하여 10차시 내외로 ‘한 권 계획안’을 작성한다. 한 권 계획안을 토대로 각 차시별 주제에 맞게 지도안을 작성한다. 수업이 끝난 후 평가를 통해 학습자의 한국어 능력 향상 정도를 확인한다. 수업 계획시 고려할 점은 교육부에서 발표한 ‘한국어 개정 교육과정’을 활용하는 것이다. 해당 수준에서는 어떤 한국어 공부를 해야 하는지 언어 기능별 성취기준을 제시하기 때문에 이를 활용하되 틀에 얽매이지 않도록 주의한다. 본 연구에서는 『용돈주세요』, 『우리 누나 시집가던 날』, 『열두띠 이야기』 3권의 책으로 총 31차시 동안 중급 수준의 다문화 학생에게 슬로리딩 한국어 수업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TOPIK과 다른 교과 성적으로 양적 평가를, 학생 학습지와 면담으로 질적 평가를 하였다. TOPIK의 경우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것이 아니기에 시험의 난이도가 적절한지, 주관 기관에서 제시하는 등급 기준이 연구 대상에게 적용가능한지 확인할 필요가 있었다. 그래서 한국 가정 초등학생 4학년을 대상으로 같은 시험을 쳤고, 각 문항별 정답률과 점수대별 학생 분포도를 분석하여 TOPIK 시험에 대한 평가 기준을 초등학생에게 맞게 정하였다. 이러한 기준으로 학생의 한국어 능력을 살펴보면 듣기, 읽기 영역에서 수업 후 많이 향상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학생의 면담을 통해 슬로리딩 한국어 수업이 재미있는 책 내용을 온전히 이해하며 몰입할 수 있어서 좋았고 어려운 문법, 어휘에 대해 공부하고 책 속 주인공처럼 다양한 경험들을 할 수 있어서 만족한다고 하였다. 이러한 결과로 슬로리딩 한국어 수업이 듣기, 읽기 능력을 향상시키는데 도움이 되며 책을 온전히 읽는 한국어 수업을 구성하는 것이 교육적 의미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TOPIK의 결과로 다문화 가정 학생의 듣기, 읽기 영역에 대해 향상됨을 점수화하여 확인하였지만 말하기, 쓰기 영역에 대해서는 점수화된 객관적인 자료를 제시하지 못한 아쉬움이 있다. 말하기, 쓰기 영역에 대해 학생의 학습지와 활동을 보며 수업자로서 관찰한 것을 서술하였지만 학생의 변화를 객관적인 사실로 확인할 필요가 있다. 그러므로 다문화 가정 학생의 말하기, 쓰기 능력에 대한 슬로리딩 한국어 수업의 교육적 효과에 대한 관심과 연구가 필요하다.

      • 슬로리딩을 통한 다문화교육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다문화 수용성에 미치는 영향

        최혜민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8703

        Korea’s recent shift toward multicultural society increases not only the need for risk mitigation methods in response to possible social disorder but also enhancement of the multicultural acceptability through public multicultural education.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multicultural education applied with a slow-reading program for 3rd-grade elementary students which would improve their multicultural acceptability. This program is designed to focus on the two factors: the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which includes core competencies and the assessment standards; the ‘National Multicultural Acceptability Survey’ by the Ministry of Gender Equality and Family which underlines diversity, relationship, and in order for a student to achieve multicultural acceptability. In order to plan the program for this study, previous studies were analyzed which began in July 2018. On August 2018, the slow-reading book selection criterion for multicultural education was developed to select the most appropriate book among easily found multicultural storybooks. Detailed teaching-learning materials were developed based on the National Curriculum and the multicultural acceptability elements from September 2018 to January 2019. Finally, the 53 terms of slow-reading program were applied to a 3rd-grade class from 24th January to 12th February 2019. In order to determine the effectiveness of the multicultural education program based on slow-reading, the changes in multicultural acceptability in the experimental group were examined through the independent samples t-test. Additionally, students’ expressions during activities and the final review reports were used for qualitative analysis. The program concluded that multicultural education applied with the slow-reading program could improve the multicultural acceptability of general elementary 3rd-graders. To acquire this result, pre-to-post survey quantitative assessments and post-activity responses and qualitative assessments such as book reports from students were taken into account. The report offers the following suggestions for future studies related to this field. First, adding another group for comparison with the program including the same storybook as the experimental group but with a one-off reading program (not in a slow-reading way) would enhance the credibility. Second, further studies targeting students with different age groups are needed to develop slow-reading programs applied with several multicultural education for all ages and developmental levels. Third, more storybooks for the multicultural slow-reading program should be developed and discovered. 현재 한국은 빠른 속도로 다문화 사회에 진입하고 있으며, 이에 따른 혼란과 시행착오를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일반 국민들의 다문화 수용성을 높이기 위한 공교육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슬로리딩을 통한 다문화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하여 초등학교 3학년 일반학생들의 다문화 수용성 신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프로그램의 세부 내용은 교육부의 2015 개정 교육과정과 여성가족부의 국민 다문화 수용성 조사의 내용들에 바탕을 두어 설계되었다.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핵심역량과 성취기준이 활용되었으며, 국민 다문화 수용성 조사에서 제시된 다문화 수용성의 3가지 차원(다양성, 관계성, 보편성)도 고르게 적용되도록 하였다. 연구를 위해 2018년 7월 선행연구 고찰을 통해 프로그램 주제를 구체화하였고, 8월에는 슬로리딩을 통한 다문화교육에 적합한 도서기준을 개발하여 여러 권의 후보도서를 탐색한 끝에 최종 도서를 선정하였다. 2018년 9월부터 이듬해 1월까지 교육과정과 다문화 수용성 차원에 근거하여 구체적인 학습자료를 개발하였으며, 2019년 1월 24일~2월 12일까지 53차시에 걸쳐 3학년 1개 학급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후 슬로리딩을 통한 다문화교육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다문화 수용성 설문 결과를 독립표본 t-검증 하였다. 추가적으로, 정성적 반응을 확인하기 위해 학생들이 작성한 차시별 활동지의 응답과 독서감상문을 분석하였으며 이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슬로리딩을 통한 다문화 교육 프로그램이 초등학교 3학년 학생들의 다문화 수용성 지수를 높이는 데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둘째, 실험집단의 사전-사후검사 결과 다문화 수용성의 다양성, 관계성, 보편성 차원 모두에서 긍정적인 효과를 확인할 수 있다. 셋째, 정성적 분석 결과 초등학교 3학년 학생들이 다문화 수용성의 다양성, 관계성, 보편성 차원에서 내면적으로 성장하였다. 넷째, 일회성 독서에서 나아가 한 권의 책을 천천히 깊게 읽는 슬로리딩 기법을 일반적인 학생들을 위한 다문화 교육에 처음으로 접목하였다는 데 큰 의미가 있다. 이 연구의 결론에 근거하여 후속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이 제언하고자 한다. 첫째, 슬로리딩의 강점과 취약점을 보다 명확하게 파악하기 위해 같은 도서로 일회성 독서를 한 집단을 추가하여 비교분석할 필요가 있다. 둘째, 보다 다양한 연령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후속연구를 하여 학생의 발달 수준에 맞는 프로그램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셋째, 슬로리딩에 적합한 다문화 교육용 도서가 개발·발굴 될 필요가 있다.

      • 슬로리딩 기반 독서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적용

        박창민 경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8703

        This research is designed to develop a Reading program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based on the Slow Reading Method to understand educational effect about an attitude of reading books. The Slow Reading method is a process of reading a book slowly with many exercises related to the points of the book. Most of all, applied to lessons in the classroom, the Slow Reading Method needs to analyze the achievement standards of the target grade. After that, it is necessary to select a book applied to a Reading program. Reading a book many times, a teacher makes an exercise list related to the contents of the book and organizes a subject curriculum related to the achievement standards of the subjects. Making progress in this research, The 24 fifth grade students who go to J elementary school in Gyeongsangnam-do are selected to apply to a Reading program based on the Slow Reading method. The book students read is the 『Shelter Train』 about a family in the Korean War. The Reading program is composed of a total of 29 lessons integrated in many subjects; Korean, Society, Ethics and Arts. Finishing the Reading program, I did a survey to understand interests in the Unification of Korea and changes about the reading attitude of the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is research. There are 3 conclusions to this research. First, a Reading Program based on the Slow Reading Method makes students a lot more interested in studying. Second, a Reading Program based on the Slow Reading Method gives affirmative effects on Reading attitude of students. Third, a Reading Program based on the Slow Reading Method affects changes of inner consciousness related to the subject of book. 본 연구는 슬로리딩 기반 독서교육 프로그램을 개발·적용하여 학생들의 독서 태도 변화에 미치는 교육적인 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이를 통해 다양한 도서들을 활용하여 주제중심 교육과정 재구성을 통한 교과연계형 독서교육 방법을 연구하고자 한다. 슬로리딩은 한 권의 책을 읽는 도중 책 속의 내용 여러 지점에서 파생되는 활동들을 통하여 천천히 책을 읽어가는 과정이다. 슬로리딩을 교실 수업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우선 적용대상 학년의 교과 성취기준에 대한 분석이 필요하다. 성취기준에 대한 분석이 끝난 뒤 프로그램에 적용할 책을 선정하고, 교사가 직접 책을 여러 번 읽으면서 책의 내용과 관련된 교수·학습 활동 목록을 만든다. 전체적인 구상이 끝나면 이를 과정 중심 읽기 지도 과정(읽기 전 활동, 읽기 중 활동, 읽기 후 활동)에 따라 교수·학습 활동을 분류하고, 교과 성취기준에 연결시켜 책의 내용과 교과 성취기준이 서로 연결·통합된 주제중심 교육과정으로 조직한다. 이 연구를 진행하기 위하여 경남 지역의 J초등학교 5학년 24명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슬로리딩 기반 독서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적용하였다. 프로그램 운영을 위해 선택한 책은『피난열차』이다. 『피난열차』는 통일과 관련된 주제도서로, 외할머니의 이야기 속에서 6.25 전쟁을 다루는 이야기책이다. 프로그램은 국어, 사회, 도덕, 미술 등 여러 교과를 통합하여 총 29차시로 구성되었으며 과정 중심 읽기 지도 과정에 따라 진행되었다. 프로그램 종료 후에는 책에 대한 흥미도, 수업에 대한 흥미도, 독서 태도의 변화와 관련된 설문을 통하여 슬로리딩 기반 독서교육 프로그램 운영 효과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이와 더불어 북한 및 통일 문제에 대한 관심, 통일의식과 관련된 설문을 실시하여 도서의 주제에 따른 학생들의 내면의식 변화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이를 통하여 알게 된 연구의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슬로리딩 기반 독서교육 프로그램은 학생들의 학습 흥미를 높여준다. 둘째, 슬로리딩 기반 독서교육 프로그램은 학생들의 독서 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 셋째, 슬로리딩 기반 독서교육 프로그램에 적용된 도서의 주제에 따른 학생들의 내면의식 변화에 영향을 준다.

      • 아동문학을 활용한 영어 슬로리딩 수업이 학생의 영어 읽기 능력 및 영어 학습에 대한 인식에 미치는 영향

        강현주 대구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8702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find what effects Slow-Reading instruction using English children’s literature has on students’ reading ability and perception of English learning and to provide effective teaching materials and approaches for primary English classes.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27 fifth grade-level students in M public elementary school in Gyeongsangnamdo province. In the survey of the participants, the researcher examined the experience of private education, type and duration of it, experience of English literature and interest in English.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amount of exposure to English and interest in English. In the research process, the researcher modified and supplemented instruction activities and schedules by reflecting the above results. Among English children’s literary works, children’s books and poems were selected considering the English ability level of students and the achievement standards of fifth graders. The pre-reading, mid-reading, post-reading activities were planned using the Slow-Reading method. Before the start of the study class, tests of reading ability and the perception of English learning were conducted. After the study class, the researcher conducted those tests again to check if any change occurred. Also, interviews were conducted to understand students’ thoughts and opinions about the lessons in the middle of the study and they were used as a resource for the researcher's reflection on the Slow-Reading lessons and to make a necessary modification of the upcoming lessons. The study lasted eighteen weeks and 27th periods. The conclusions obtained from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Slow-Reading instruction using children’s English literature ha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improving reading ability on fifth-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average score after the study was all increased but only the reading accuracy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compared to vocabulary and content understanding. Therefore, Slow-Reading class helped the experimental group to improve the reading ability. It led to the conclusion that it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improvement of reading accuracy among reading skills. Second, it was confirmed that Slow-Reading classes using English children’s literature improved confidence in the students' perception of English learning. The researcher organized the class in which students could expand their thinking by means of English, rather than as a place where they are evaluated by their English skills. This way students felt secure in the class. Third, Slow-Reading lessons using English children’s literature contributed to improving students' interest in English learning. Students’ interest in English has increased by using English as a means to participate in various play, games, presentations, questions, and creative activities. Fourth, it was shown that Slow-Reading classes using English children’s literature were effective in having students recognize the value of English learning. It seems that they realized the necessity of English in the process of reading English literature and creating their own literary works. Fifth, Slow-Reading classes using English literature had a significant effect on students' motivation of learning English. The researcher's adjustment and modification of activities by collecting students’ opinion through the interviews in the middle of the research period and switching to student-led activities contributed to their motivation for learning. Sixth, there were fewer positive changes in students' perception of learning English than changes in their reading ability. Slow-Reading classes involved more activities for creative exploration. It means that students spent more time on English classes than usual. As a result, it is reasoned that students were somewhat tired of English classes. Seventh, after the Slow-Reading class using English children’s literature, students became positive about the Slow-Reading class. More than 80 percent of the students said reading became much easier and that they would use the various reading methods they learned in slow reading in their reading out of school, as the barriers to reading have been lowered while learning through various reading methods in Slow-reading clas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the following suggestions can be made. First, this study was conducted in a limited number of 27 students in one class, and without the control group, so the objective effect was not proven. Further research is needed to compare data with control groups and increase the number of students for research classes. Second, the study was conducted one to two times a week for about four months which is relatively a short period of time. In future studies, it is necessary to conduct a study for over a longer period of time. Third, various teaching methods and materials on Slow-reading classes using English literary works should be explored. Research on Slow-reading classes using various English children's literature that fits the English level of students is needed. Fourth, Slow-Reading classes in Korean classes are officially included in the curriculum, but little research is done on Slow-reading classes in English classes. More active research is needed. 본 연구의 목적은 영미 아동문학을 활용한 영어 슬로리딩 수업의 긍정적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학생들의 읽기능력과 영어 학습에 대한 인식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규명하고 학교 현장에 아동문학작품을 활용한 슬로리딩 수업 교수 방안에 대한 다양한 자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위 목적을 위해 다음과 같이 실행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경상남도 소재 M 공립 초등학교 5학년 27명의 학생들이며, 연구 기간은 총 18주간, 27차시였다. 연구 참여자의 기초 설문에서 사교육 경험 및 유형과 받은 기간, 영미 아동문학작품을 읽은 경험 유무, 영어수업과 영어 학습에 대한 흥미도를 조사하였고 영어에 대한 노출량, 흥미도에 차이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사전 읽기 능력 평가에서 수준별 분포도 다양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연구 과정에서 위 결과를 반영하여 수정·보완하며 연구 수업을 진행하였다. 영미 아동문학 작품 중 학생들의 수준과 초등학교 5학년 성취기준을 고려하여 동화책과 시를 선정하였고 슬로리딩 방법을 활용하여 읽기 전, 중, 후 활동을 교육과정을 재구성하여 계획하고 진행하였다. 연구 수업 시작 전 사전 읽기 능력 평가와 영어 학습에 대한 인식 검사를 실시했고 연구 수업이 끝난 뒤 사후 읽기 능력 평가 및 영어 학습에 대한 인식 변화를 위해 검사를 한 번 더 진행하였다. 또한 연구 수업 중간에 학생들의 연구 수업에 대한 생각과 의견을 듣고자 면담을 진행하여 이 후 수업 계획에 수렴된 의견을 반영하였다. 본 연구가 학습자들의 읽기 능력과 영어 학습에 대한 인식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 지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영미 아동문학작품을 활용한 슬로리딩 수업이 연구 참여자들의 읽기 능력 향상에 유의미한 효과가 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 읽기능력의 하위요인을 세부적으로 나누어 읽기 정확성, 어휘, 내용 이해적 측면에서 분석해보았을 때, 읽기능력 가운데 읽기 정확성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친다는 결론에 도달할 수 있었다. 이는 읽기 과정에서 스스로 어휘의 뜻을 추론하고 사전 찾기 활동을 반복적으로 실시한 것에 대한 효과가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둘째, 영미 아동문학을 활용한 슬로리딩 수업이 영어 학습에 대한 인식에서 자신감을 향상시킨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연구자는 학생들의 영어 능력 차이로 인해 서열이 나눠지는 활동이 아니라 영어를 하나의 수단으로 사고를 확장할 수 있는 슬로리딩 활동으로 수업을 구성하였는데, 이는 학생들이 자신의 영어 능력과 무관하게 활동에 참여할 수 있다는 인식을 주어 수업에서 안정감을 느낄 수 있었음을 짐작할 수 있다. 셋째, 영미 아동문학을 활용한 슬로리딩 수업이 영어 학습에 대한 인식에서 학습의욕에 유의미한 효과가 있다는 것이 검증되었다. 이는 일률적인 교수·학습방법을 탈피하고 교사가 계획한대로만 수업을 이어나가는 것이 아니라 중간 면담을 통해 학생들의 의견을 수렴하여 활동을 재구성한 것과 배움 중심의 학생 주도적 활동 구성이 학습 동기향상에 기여한 것으로 보인다. 넷째, 영미 아동문학을 활용한 슬로리딩 수업이 영어 학습에 대한 인식 중 영어학습의 가치를 알게 하는 데 효과가 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 학습자들이 직접 알고 있는 영어 지식을 활용하여 영미 문학 작품을 읽고 스스로 문학 작품을 창작해나가는 과정에서 영어의 필요성을 깨달은 것으로 보인다. 다섯째, 영미 아동문학을 활용한 슬로리딩 수업이 영어 학습에 대한 인식에서 흥미를 향상시키는 데 기여한 것을 알 수 있었다. 학생들이 무의식적으로 영어를 수단으로 활용하여 다양한 놀이·게임, 발표, 질문, 창작 활동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하여 영어에 대한 관심이 높아진 것으로 보인다. 여섯째, 읽기 정확성과 능력의 변화에 비해 학습 인식의 긍정적인 변화는 적은 편인 것을 알 수 있다. 영어교과 수업 외, 추가적으로 창의적 체험활동시간을 활용하여 영어 슬로리딩 수업을 진행하면서 결과적으로 주간 영어교과 시수보다 많은 시간을 영어 수업에 할애하게 되었고 이는 학생들의 영어 수업에 대한 피로도가 어느 정도 있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일곱째, 영미 아동문학을 활용한 슬로리딩 수업 후 학생들은 슬로리딩 수업에 대해 긍정적 인식을 가지게 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영어 읽기가 좀 더 쉬워졌으며 슬로리딩에서 배운 다양한 읽기 방법을 실생활에서 활용할 것이라고 답한 학생이 80%이상 이었으며 이는 다양한 읽기 방법 배우면서 읽기에 대한 장벽이 낮아졌기 때문이다. 위의 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이 연구는 한 학급 학생 27명을 대상으로 한정하여 진행된 연구로 비교집단이 없는 상태에서 연구가 진행되었다는 점에서 한계가 있다. 그러나 질적 자료를 보완적으로 사용하여 연구 참여자들의 변화를 관찰했다는 점에서 한계를 어느 정도 극복했다. 둘째, 약 4개월간 일주일에 1~2번 정도씩 짧은 기간 동안 적은 횟수로 이루어졌기 때문에 장기간에 걸쳐 연구가 진행되었을 시에 나타날 수 있는 결과를 예측할 수 없다. 후속 연구에서는 기간을 늘려 연구를 장기간에 걸쳐 진행할 필요가 있다. 셋째, 영미 아동문학을 활용한 슬로리딩 수업에 대한 다양한 교수 방안과 자료가 연구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연구자의 역량으로만 교육과정이 재구성되어 슬로리딩의 활동이 연구 수업 중 활용한 영미 아동문학 작품으로만 한정되어있다. 따라서 학생들의 수준을 아우르는 다양한 영미 아동문학 작품을 활용한 슬로리딩 수업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넷째, 국어 교과에서의 슬로리딩 수업은 교육과정 안에서 한권읽기, 온 책읽기라는 명칭으로 공식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나 영어 교과와 접목한 슬로리딩 수업에 대한 연구는 현재 미흡하며 그 효과를 증명하기 위한 연구가 더욱 더 활발히 진행될 필요가 있다.

      • 슬로리딩을 적용한 장애인식개선 활동이 초등학생의 장애수용태도 및 장애인관 변화에 미치는 영향

        황혜원 대구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8687

        본 연구는 슬로리딩을 적용한 장애인식개선 활동이 초등학생의 장애수용태도와 장애인관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실험연구이다. 구체적인 연구 문제는 첫째, 슬로리딩을 적용한 장애인식개선 활동이 초등학생의 학습, 조력, 일상활동 중 장애수용태도와 둘째, 장애인관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려는 것이다. 대구광역시 달성군 A 초등학교에 재학 중인 6학년 10명의 실험집단을 연구대상으로 7주간 총 28차시 실시하였다. 슬로리딩 도서는 최영민 외(2017) 등의 기준을 활용하여 ‘아주 특별한 우리 형 2’로 선정하였으며 슬로리딩 프로그램은 2015 개정교육과정 5-6학년군 성취기준(교육부, 2015)과 황현주(2012), 곽주아(2012)의 프로그램을 참고하여 연구 목적에 맞게 구성하였다. 사전·사후 변화를 알아보기 위하여 장애수용태도는 SPSS/PC+24.0 for Windows 프로그램으로 95% 신뢰구간에서 대응표본 t-검증을 하였고, 장애인관 변화는 마인드맵과 그림검사 결과를 이대식, 김수연(2012)의 장애인관 분석 4차원 틀로 분석했다. 본 연구 결과와 논의를 통해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슬로리딩을 적용한 장애인식개선 활동은 초등학생의 장애수용태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친다. 장애인이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하며 목표를 이루기 위해 노력하고 성취해내는 모습을 보면서 장애인도 스스로 할 수 있다는 인식은 학습활동 중 장애수용태도를 향상시킨다. 장애인과 비장애인이 서로 다름을 알고 무조건적인 도움이 아닌 그들에게 필요한 사회적 도움과 배려를 바탕으로 장애인이 자립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이 중요하다는 인식은 조력활동 중 장애수용태도를 향상시킨다. 장애를 다양성의 관점에서 수용하고 장애를 사람들이 가질 수 있는 다양한 특징 중 한 가지로 생각하면서 장애인도 사회 구성원으로 더불어 살아간다는 인식은 일상활동 중 장애수용태도를 향상시킨다. 둘째, 슬로리딩을 적용한 장애인식개선 활동은 초등학생의 장애인관 변화에 긍정적 영향을 미친다. 슬로리딩 도서에 등장하는 내용뿐만 아니라 그와 관련된 내용을 추가 조사, 토의, 체험하는 활동과 연계하여 장애에 대한 기본적 지식을 함양한다. 또한 한 권의 책을 오래 읽으며 장애 문제에 대해 깊이 고민하면서, 지식적으로 아는 것에서 더 나아가 활동의 의미를 찾고 직접 실천하는 체득의 기회를 통해 장애인관의 변화를 꾀했다. 이는 장애를 개인적 문제, 의존적인 모습에서 사회적 문제, 자주적인 모습으로 인식을 변화시킨다. This study is the experimental research to examine the effects of slow reading activities for disability awareness on the disability acceptance attitude and the viewpoints of disabilit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To be more specific, the first research question is to analyze the effect of slow reading activities for disability awareness on the disability acceptance attitude that was consisted of learning activities, helping activities, and daily activities with disabilities. The second research question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low reading activities for disability awareness on the shifting of viewpoints of disability. The research subjects were 10 students who were 6th grade at the A elementary school in Daegu. And slow reading classes were opened 28 times for seven weeks. The data was administrated before and after the experiment and analyz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of all, slow reading activities for disability awareness are effective in improving the disability acceptance attitud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addition, slow reading activities for disability awareness are effective in expanding the knowledge about disabilities and help students’ viewpoint shifting from disabilities as individual impairments to disabilities as social handicaps.

      • 영화와 연계한 아동문학 슬로우 리딩 수업이 한국인 EFL 초등학생의 영어 읽기 능력과 비판적 사고 성향에 미치는 영향

        윤선영 부산대학교 교육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8620

        정보가 범람하고 다양성이 심화되는 오늘날을 살아가는 학생들에게 비판적 사고는 편견과 자기중심성에서 벗어나 다양한 관점을 고려하고 판단하는 데 필수적인 것이 되었다. 비판적 사고력의 정의적 측면인 비판적 사고 성향은 저절로 길러지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어렸을 때부터 의문을 제기하고 답을 구하는 과정에서 합리적 사고가로서의 태도를 익히고 단련하는 과정이 필요하다(Fasione, 1990; Fisher, 1990). 영어 아동문학 작품은 목표 언어의 습득에 더해 비판적 사고와 같은 고등 사고 기능을 기르는 데 효과적인 교수 학습 자료이다. 문학은 입체적인 인물들과 생생한 삶의 모습, 풍부한 맥락을 지니고 있기 때문에 가르쳐야 할 특정한 목적에 따라 구성된 교과서의 읽기 자료와는 달리 언어적 다양성과 특별한 ‘깊이’를 더할 수 있다(조현희, 2013; 한상택, 2023; Lambrou, 2015; Larzar, 2015). 학생들은 텍스트 표면에 드러난 것 이상으로 행간에 내재된 의미를 추론하고 해석하는 능력을 발달시킬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능동적으로 텍스트를 재해석하고 감상하는 힘을 갖게 된다. 그러나 EFL 영어 교육에서 학습자의 언어 능력의 한계로 인하여 영어 아동문학 작품을 활용한 연구 및 비판적 사고력 연구가 부족하다는 여러 연구자들의 지적이 있다(김보라, 2016; 박경진, 2021; Huh & Suh, 2005; Santos & Fabricio, 2006). 또한 초등 영어 교육에서 읽기는 텍스트 자체의 감상보다는 특정 표현을 익히기 위한 수단으로 활용되어 온 경우가 많았다. 따라서 아동문학을 활용한 슬로우 리딩 수업을 통해 주어진 텍스트를 단순히 해독(decoding)이나 이해(comprehension)하는 데서 더 나아가 학습자가 주체가 되어 의미를 구성해 나가는 것으로 읽기 행위를 확장시킬 필요가 있다(Rosenblatt, 1995). 본 연구는 교과서의 조각글이 아니라 문학작품을 온전히 읽어내는 경험을 통한 성취감과 읽기의 즐거움, 심미적 감수성을 영어 교과에서도 획득할 수 있음을 확인하고자 하는 시도에서 출발하였다. 영어 아동문학 작품과 영화를 연계함으로써 학습자 간 언어 능숙도의 격차를 극복하고 흥미를 유발하며, 문학작품과 영화의 상호텍스트성(intertextuality)을 통해 내용 이해와 깊이 있는 감상을 시도하였다. 영화와 아동문학의 연계는 음성언어와 문자언어를 통합적으로 학습하도록 하고, 텍스트와 삽화, 영상, 소리 등 다양한 양식을 오가며 다중양식 리터러시(multimodal literacy)의 계발에도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EFL 환경의 초등학교 6학년 학년 67명을 대상으로 영화와 연계한 아동문학 슬로우 리딩 수업을 10차시에 걸쳐 진행한 뒤, 영어 읽기 능력과 비판적 사고 성향에 미치는 효과를 양적, 질적 분석으로 확인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첫째, 수업 전과 수업 후 영어 읽기 능력 검사 점수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고, 학생들의 설문과 면담에서도 아동문학 작품의 풍부한 맥락 속에서 목표 언어를 습득할 수 있었음을 확인하였다. 둘째, 개방성, 탐구성, 객관성과 같은 비판적 사고 성향의 변화가 보였다. 짧은 실험 기간이었으나 수업 전과 수업 후 비판적 사고 성향 검사 점수와 질적 분석에서 다양한 관점을 고려하여 반성적으로 사고하고자 하는 태도의 내면화를 관찰할 수 있었다. 셋째, 영화와 연계한 아동문학 슬로우 리딩 수업을 적용한 수업의 실제를 살펴보고 교수·학습 모형의 예와 학습 전략을 제안함으로써 초등학교 영어 수업에서도 읽기의 즐거움을 맛보고 상호작용을 통해 사고를 확장해 나가는 경험을 공유하고자 한다.

      • 하브루타 온 작품 읽기 수업을 통한 초등학생들의 성장 연구

        정경임 부산대학교 2023 국내박사

        RANK : 248586

        기존의 독서교육에서는 파편적이고 분절된 작품을 제시하여 작품 전체의 맥락을 이해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제기되었으며 이를 보완하고자 하는 독서교육 패러다임의 변화를 위한 노력은 ‘온 작품 읽기’, ‘한 학기 한 권 읽기’라는 연구 형태로 대두되고 있다. 연구자는 본 연구에서 독서교육 패러다임 변화에 발맞추어 온 작품 읽기의 본질과 특성을 살리고 상호작용을 강조한 하브루타 온 작품 읽기 수업모형 및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적용해보고 학생들의 성장과 변화의 양상이 어떻게 나타나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 수행은 실행연구(action research)의 방법을 사용하였다. 첫 번째 연구 문제인 ‘하브루타 온 작품 읽기 수업모형을 적용할 수 있는 수업 프로그램은 어떻게 구성되는가?’를 해결하기 위해 예비연구로 하브루타 온 작품 읽기 수업모형을 개발하였다. 이 수업모형의 목적과 특징에 부합하는 구체적 1차 수업 프로그램을 기본 10차시와 심화 10차시로 교과, 창의적 체험활동의 융합 프로젝트학습 형태로 총 20차시 분량으로 개발하였다. 1차 수업 프로그램은 2022학년도 1학기 동안 연구반에 수업 적용되었으며 적용 중 발생한 문제를 수정, 보완점으로 정리하였으며 전문가 형성평가를 실시하여 내적, 외적 타당도 검증을 진행하였다. 1차 프로그램 실행 성찰 결과 도출된 시사점을 반영하여 수업 프로그램을 수정, 보완한 후 2차 프로그램을 완성하였다. 2차 수업 프로그램도 1차와 같은 형태와 분량으로 개발하여 2022학년도 2학기 동안 연구반에 수업 적용하였으며 적용 후, 성찰 과정을 거쳐 시사점을 도출하고 정리하였다. 두 번째 연구 문제인 ‘하브루타 온 작품 읽기 수업 프로그램 적용을 통한 학생들의 성장과 변화는 어떠한 양상으로 나타나는가?’의 연구 과정은 첫째, 학생 읽기 동기의 변화를 분석하기 위해 수업 프로그램 적용 전과 후로 읽기 동기 검사를 실시하였다. 검사 결과를 대응 표본 t-검정으로 분석한 결과, 효능감, 몰입, 흥미, 호기심, 인정 등의 대부분의 하위 효소에서 유의미한 결과를 얻었으며 적용 전과 비교하여 적용 후에 모든 요소에서 평균이 증가하는 결과를 얻었다. 둘째, 하브루타 온 작품 읽기 수업 진행 과정에서 적용 및 성찰 과정을 반복하면서 수집된 수업일지, 연구 참여들과의 면담 기록, 설문 결과물, 소감문과 성찰 일기, 학습활동 결과물 등의 다양한 질적 분석 자료들을 포괄적,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성장하고 변화한 학생들의 모습에서 의미를 찾아내었다. 4가지로 범주화된 특징과 의미는 ‘스스로 배움의 즐거움을 찾아가는 힘’, ‘자신을 성장시키는 힘’, ‘함께 살아가는 힘’, ‘긍정적 삶의 자세를 키우는 힘’이다. 연구 결과, 하브루타 온 작품 읽기 수업은 연구 대상 학생들의 읽기 동기를 향상시키고, 스스로 배움의 즐거움을 찾아갈 수 있는 힘을 길러주었다. 또한 자신을 성장시키기 위해 노력하도록 이끌었으며, 다른 사람을 이해하고 배려하며 존중하는 자세를 갖도록 하여 더불어 함께 살아가는 힘을 길러주었다. 그리고 학생들의 삶의 태도와 가치관을 긍정적으로 변화시킨 것으로 나타났다.

      • 일본어 교육에서의 효과적인 ‘읽기’ 학습방안 고찰 : ‘슬로 리딩’을 통한 읽기 수업을 중심으로

        신유현 韓國外國語大學校 敎育大學院 2021 국내석사

        RANK : 232267

        本論文は日本語の初級学習者が感じる文字や表現の違いから来るさまざまな困難について、興味深い読解学習を通して自然に習得し理解できるよう、考察したものである。具体的には、現行教育課程の2015改訂高等学校の日本語Ⅰ教科書8種を対象に読解領域を比較·分析し、問題点を導出した後、効果的な読解学習を提案するために、「スロウ・リーディング(Slow Reading)」の方法を日本語教育に活用する方案を提案した。 「スロウ・リーディング(Slow Reading)」とは、そのまま解釈してみると「ゆっくり読むこと」である。「スロウ・リーディング(Slow Reading)」の授業を行うことで、自ら知らない単語の意味を探したり、本文を読んだあと、学習者個々の考えや経験と関連づけて各章のテーマを決めてみたり、気に入った部分を書き写したりするなど、学習者は授業の主体となって授業に参加することができる。また、自分の考えを他の学習者と共有する協働学習を通じて、お互い自然なコミュニケーションが行われる。このように、自然なコミュニケーションが行われることが学習の興味とコミュニケーション能力を高めることにつながり、肯定的な影響を与えると予想している。 第1章では、日本語教育における「読解」の概念及び必要性、スロウ・リーディングを定義し、第2章では日本語Ⅰ教科書8種の読解領域を分析するための、分析基準及び方法を提示した。また、読解領域の分析、分析結果を基に以下のような問題点が確認できた。 第一、主なテーマが意思疏通機能を扱うテーマになっている。第二、教科書8種全体の文の構成が対話文に偏っている。第三、教科書内の読解教材の内容が意思疏通基本表現を学習するための、状況別場面の一断面のみを提示しており、読解教材のストーリー構成が不足している。第四、読解教材を読んだ後の活動には、「文の内容確認及び把握」、「語彙や表現などの言語学習」に過度に偏っている。 上記の問題点は教育部が告示する「読解」の成就基準を満たすための設定であると解釈できる。しかし、学習者が自分の意見を表現したり、共有したりするなどの授業活動は期待しにくいため、依然として受動的な学習から抜け出せずにいるということが確認できる。 第3章では、日本語Ⅰ教科書8種の読解領域分析により、導出された問題点を補完することのできる読み方として、「スロウ・リーディング日本語」の概念を提示した。また、教科書の副教材としての読解教材の紹介とともにスロウ・リーディング日本語を適用した教授·学習過程案及び活動紙を制作した。 「スロウ・リーディング」の読み方としては1)深く読む、2)広く読む、3)ゆっくり読む、4)自ら読む、5)体験しながら読むの五つの方法がある。「スロウ・リーディング」の読み方を日本語の授業に導入することにより、次のような学習効果が期待できる。まず、「深く読む」活動を通して、学習者の想像力を刺激し、記憶に残る活動が予想される。「広く読む」活動を通しては、読解教材の内容を理解すると共に言語及び文の構造、意思疏通表現の学習が期待される。また、「ゆっくり読む」活動を通して、学習者は読解学習に慣れることができ、読解内容を再び想起させて、意味を付与することが期待できる。さらに、「自ら読む」活動や「体験しながら読む」活動を通じて、自然に日本の文化に触れることができ、さまざまなメディアや資料を活用する能動的な授業が可能となる。つまり、「スロウ・リーディング」方法を適用した日本語教育は、学習者の意見を十分に反映しつつ、現行『日本語Ⅰ』教育課程が追い求めている学習目標を達成するのに役立つと考えられる。 しかし、「スロウ・リーディング」は本来、各国の国語の授業で活用した授業方法であるが、本論文では日本語の授業、すなわち、第二言語学習での活用を強調した。また、実験を行わず、読解教材の紹介と「スロウ・リーディング日本語」を適用した教授·学習課程案、活動紙による提言にとどまった。したがって、教育的な効果に対する実験や立証については今後の課題とする。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