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유도선수의 학년별 체력훈련정도와 성취동기 및 경쟁상태불안이 스포츠자신감에 미치는 영향

        김병찬 서남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박사

        RANK : 248703

        본 연구의 목적은 고등부유도선수들의 성별과 학년에 따른 체력훈련정도와 성취동기 및 경쟁상태불안이 상태스포츠자신감에 미치는 영향과의 관계를 분석, 파악하는 것이었다. 본 연구의 피험자는 2011년 대한유도협회에서 주최하는 청풍기 전국 초, 중, 고등학교 유도대회 기간은 2011년8월17일-19일 장소 충북, 충주실내체육관에 출전한 전국 고교 유도선수들을 대상으로 450부의 설문지를 각 코치들에게 설명한 후 경기 전 1시간 전에 실시하여, 작성 소유시간은 보통 15분 정도밖에 소요되지 않았으며, 신뢰성이 없는 설문지를 제거 한 다음 SPSS Statistics 18.0의 프로그램으로 자료 분석의 목적에 따라 전사적 통계처리를 실시하였다. 본 장에서는 연구가설과 방법에 소정의 절차에 따라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고등부유도선수는 기초배경변인의 성별과 학년별에 따라서 체력훈련정도는 부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체력훈련정도에서 성별은 훈련기간의 참여정도는 남자가 여자보다 훈련참여기간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학년별은 훈련빈도에서 1학년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둘째, 고등부유도선수는 기초배경변인의 성별과 학년별에 따라서 성취동기와 경쟁상태불안은 부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취동기에서 성별은 여자는 노력수준, 남자는 포부수준동기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경쟁상태불안에서 학년별은 상태자신감에 3학년이 경쟁상태불안에서 상태자신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고등부유도선수는 기초배경변인의 성별과 학년별에 따라서 상태스포츠자신감은 부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태스포츠자신감에서 학년별은 3학년이 스포츠자신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1학년이 스포츠자신감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고등부유도선수는 체력훈련정도가 성취동기, 경쟁상태불안, 스포츠자신감에 부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취동기에서 체력훈련정도(강도)는 포부수준의 3시간 이상, (빈도)는 포부수준의 6일 이상, (기간)은 포부수준에 1달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경쟁상태불안에서 체력훈련정도(강도)는 인지적상태불안은 3시간 이상, 상태자신감은 3시간 이상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기간)은 신체적상태불안은 1달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상태스포츠자신감에서 체력훈련정도는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못하였다. 다섯째, 고등부유도선수는 체력훈련정도가 성취동기, 경쟁상태불안, 스포츠자신감에 부분적으로 유의한 영향이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체력훈련정도가 성취동기(포부수준)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훈련강도는 강화시키고 훈련기간은 약화시켜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쟁상태불안(인지적상태불안)을 해소시키기 위해서는 훈련강도를 강화시켜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쟁상태불안(신체적상태불안)을 해소시키기 위해서는 훈련강도를 강화시켜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태스포츠자신감에 미치는 영향 요인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고등부유도선수는 성취동기가 경쟁상태불안과 스포츠자신감에 미치는 영향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곱째, 고등부유도선수는 경쟁상태불안이 스포츠자신감에 모두 유의한 영향이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쟁상태불안이 상태스포츠자신감에 유의수준 0.001에서 상태자신감이 정(+)의 영향을 미치며, 유의수준 0.05에서 인지적상태불안, 신체적상태불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상태스포츠자신감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상태자신감을 강화시켜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상태스포츠자신감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인지적상태불안과 신체적상태불안을 약화시켜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and identify the effect of grade-level physical training, ahievement motivation and competitive state anxiety on the sport confidence of judo player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the judo players of high schools across the nation who participated in the Phoenix Cup Games elementary school,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held by the Korea Judo Association in Choongju Gymnasium, Choongbuk from August 17th-19th, 2011, wherein 450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1 hour before games with 15 minutes for completing the survey after explaining coaches. After excluding questionnaires without reliability, the enterprise statistics were treated with SPSS Statistics 18.0 Program according to the purpose of data analysis. In this chapter the data were collected and analyzed according to the specific procedure for the hypotheses and methods, and it was concluded as follows: First, it was shown that high-school judo players had parti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level of physical training depending on gender and grade of basic backgraound variables. With respect to the level of physical training, it was shown that men had longer training period than women. As for grade-level, 1st grade showed the highest frequency of training. Second, it was shown that high-school judo players had parti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ahievement motivation and competitive state anxiety depending on gender and grade of basic backgraound variables. With respect to ahievement motivation for gender, it was shown that women had higher motive for the effort level and men for ambition-level motivation. With respect to competitive state anxiety for grade level, 3rd grade showed the highest state confidence. Third, it was shown that high-school judo players had parti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state sport confidence depending on gender and grade of basic backgraound variables. With respect to state spport confidence for grade level, 3rd grade showed the highest sport confidence. On the contrary, 1st grade showed the lowest sport confidence. Forth, it was shown that physical training levels of high-school judo players had parti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ahievement motivation, competitive state anxiety and sport confidence. With respect to ahievement motivation, the degree of physical traning(strength) with 3 hours or longer, (frenquency) with 6 days or longer and (period) with a month showed higher ambition level. With respect to competitive state anxiety, the degree of physical traning(strength) with 3 hours or longer showed higher cognitive state anxiety; with 3 hours or longer showed higher state confidence; and (period) with a month showed higher physical state anxiety. With respect to state sport confidence, the degree of physical training showe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Fifth, it was shown that physical training levels of high-school judo players had partially significant influence on ahievement motivation, competitive state anxiety and sport confidence. It was shown that the training strength should be reinfored and the training period should be reduced to ensure that physical training levels can enhance achievement motivation(ambition level). It was shown that the training strength should be reinfored to eliminate competitive state anxiety(cognitive state anxiety). It was shown that the training strength should be reinfored to eliminate competitive state anxiety(physical state anxiety). It was shown that there were no factor that influenced on state sport confidence. Sixth, it was shown that achievement motivation of high-school judo players had no influence on competitive state anxiety and sport confidence. Seventh, it was shown that competitive state anxiety of high-school judo players had significant influence on sport confidence. With respect to competitive state anxiety, it was shown that state confidenc had positive influence on state sport confidence with significance level of 0.001 and negative influence on cognitive state anxiety and physical state anxiety with significance level of 0.05. That is, it was shown that state confidence should be reinforced to enhance state sport confidence. Also, cognitive state anxiety and physical state anxiety should be reduced to enhance state sport confidence.

      • 대학 농구선수들의 자기관리와 스포츠자신감 및 경쟁불안의 관계

        이상윤 상명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8703

        대학 농구선수들의 자기관리와 스포츠자신감 및 경쟁불안의 관계 본 연구는 대학 농구선수들의 자기관리, 스포츠 자신감, 경쟁불안에 관계성을 알아보고 이를 토대로 자기관리와 스포츠 자신감이 경쟁불안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대상은 2016년 대한체육회에 등록된 대학 농구선수 225명을 비확률 표집방법(Nonprobability sampling)의 목적적 표집방법(Purposive sampling)으로 표본을 선정하여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회수된 설문지를 선별작업을 통해 15부 설문지에서 문제점(이중기입, 기입누락, 편향적 기입 등)이 발견되어 본 연구에 적합하다고 판단되는 210부를 본 연구 최종 분석 자료에 이용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대학 농구선수들의 자기관리와 스포츠 자신감에 대한 상관관계는 자기관리의 대인관리, 정심관리, 훈련관리, 몸관리 요인이 스포츠 자신감의 능력입증, 코치 지도력, 사회적지지, 신체적·정신적 준비 요인과 모두 정적 관계가 나타났고, 자기관리와 경쟁불안의 상관관계에서는 자기관리의 대인관리, 정신관리 요인이 경쟁불안의 인지적 상태불안 요인에 부적 관계를 나타냈으며, 자기관리의 대인관리, 정신관리, 훈련관리, 몸관리 요인이 경쟁불안의 신체적 상태불안 요인에 정적 관계를, 상태 자신감은 자기관리의 훈련관리 요인에서만 정적 관계가 나타났다. 또한 스포츠 자신감과 경쟁불안에 대한 상관관계에서는 스포츠 자신감의 능력입증 요인이 경쟁불안의 인지적 상태불안 요인에 부적 관계가 나타났다. 둘째, 대학 농구선수들의 자기관리 하위요인 대인관리, 정신관리, 훈련관리, 몸관리 요인이 스포츠 자신감 하위요인 능력입증에 정적영향을 미쳤고, 자기관리 하위요인 몸관리, 정신관리 요인은 스포츠 자신감 하위요인 코치 지도력에 정적 영향을 미쳤다. 또한 자기관리 하위요인 대인관리, 훈련관리 요인이 스포츠 자신감의 사회적지지 요인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고, 자기관리 하위요인 몸관리, 대인관리, 정신관리 요인은 스포츠 자신감의 신체적·정신적 준비 요인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셋째, 대학 농구선수들의 자기관리 하위요인 대인관리, 정신관리 요인이 경쟁불안 하위요인 인지적 상태불안 요인에 부적영향을 미쳤고, 자기관리 하위요인 정신관리 요인이 경쟁불안 하위요인 신체적 상태불안 요인에 부적영향을 미쳤다. 또한 자기관리 하위요인 훈련관리 요인이 경쟁불안 하위요인 상태 자신감 요인에 정적영향을 미쳤고, 정신관리 요인은 부적영향을 미쳤다. 넷째, 대학 농구선수들의 스포츠 자신감 하위요인 능력입증 요인이 경쟁불안 하위요인 인지적 상태불안 요인에 부적영향을 미쳤고, 스포츠 자신감 하위요인 코치지도력, 신체적·정신적 준비 요인이 경쟁불안 하위요인 신체적 상태불안 요인에 정적영향을 미쳤다. The Relationships among Self-Management, Sport Confidence, and Competitive Anxiety of College Level Basketball Athlet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s among self-management, sport confidence and competitive anxiety of college basketball athletes. By investigating the causal relationships between these variables, college athletes may be able to avoid the negative consequences of competitive anxiety by regulating the levels of behavioral and psychological readiness. Two hundred twenty five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from registered college basketball players, and 210 responses were used for further analyses after initial screening. The results from the correlation analyses showed, first, most of the sub-factors of 3 variables showed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each other. Secondly, the results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between self-management and sport confidence showed significant positive influences of inter-personal, mental, practice, and physical management factors on ability confirmation. Physical and mental management factors significantly and positively influenced coaching ability. Also, inter-personal and practice management factors showed significant positive influence on social support. Physical, inter-personal, and mental management factors significantly influenced mental and physical readiness. Next, regar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 management and competitive anxiety, cognitive state anxiety was negatively influenced by inter-personal and mental management factors while the physical state anxiety was negatively influenced by mental management factor. State confidence was positively influenced by the practice management factor while mental management had negative influence. Finally, ability confimation factor of the sport confidence negatively influenced cognitive state anxiety factor of competitive anxiety. On the other hand, coaching ability and mental-physical readiness factors positively influenced the physical state anxiety.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sport confidence and self-management variables may be useful source for psychological and behavioral intervention necessary for regulating the level of competition related negative psychology.

      • 중·고등학교 탁구선수의 자기관리행동과 특성 스포츠 자신감에 관한 연구

        권수정 용인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8703

        스포츠에서 성공한 선수들의 공통점 중에 하나는 자기관리에 철저하다는 것이다. 많은 언론보도에서도 성공한 사람들을 기사화할 때 자기관리에 철저하다는 언급은 빼놓지 않을 정도로 성공조건에 중요한 요인임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선수들은 개인마다 스포츠 상황에서 성공할 수 있는 많은 요인들이 잠재되어 있는데 그 중에서 평상시 선수들이 가지고 있는 스포츠 자신감은 경기를 수행함에 있어서 어떠한 결과를 가져올 수 있을 것인가를 예언하는 중요한 요인 가운데 하나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중·고등학교 탁구선수들을 대상으로 자기관리행동 및 특성 스포츠 자신감의 차이를 규명하여 중·고등학교별, 성별, 학년별에 따라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조사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자기관리행동은 정신력관리, 생활관리, 고유행동관리, 훈련관리, 대인관계관리, 몸관리로서 6가지 하위요인으로 구성되어 있다. 연구대상은 총 316명의 탁구선수들로서 중학생 174명(남71명,여103명)과 고등학생 142명(남74명,여68명)으로 구성되었으며 중·고등학교별, 성별, 학년별에 따른 자기관리행동과 특성 스포츠자신감의 차이를 규명하기 위하여 t-검증, 일원변량분석(one-way ANOVA) 및 scheffe’사후검증을 사용하여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고등학생별에 따라서는 자기관리행동 6가지 하위요인 중 대인관계관리 요인에서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특성 스포츠 자신감에서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성별에 따라서는 중학생의 경우 자기관리행동의 6가지 하위요인 중 고유행동, 훈련관리, 몸관리에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고등학생은 몸관리에서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성 스포츠 자신감은 중학생은 성별에 따른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고등학교 학생들은 성별에 따라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학년별에 따라서는 중학생의 경우 자기관리행동의 6가지 하위요인 중 대인관리에서만 차이가 나타났으며 특성 스포츠 자신감에서는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고등학생의 경우 자기관리행동과 특성 스포츠 자신감에서 모두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중·고등학교별, 성별, 학년별에 따른 자기관리행동과 특성 스포츠자신감에 차이를 분석해봄으로써 선수들의 효과적인 자기관리 방법의 발견과 개선 그리고 시합을 준비하는 과정에서 인지행동전략을 세우고 지도자들의 선수관리 등에 의미 있는 자료와 정보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Thorough self-management is one of the characteristics that most successful athletes have in common. It is such an important factor that it can be found in almost all media coverage on athletes who have made great achievements in sports. All athletes have their own potentials that can contribute to success, among which their usual confidence in sports is one of the important factors that can be used to make predictions on the accomplishment of competition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herefore, to find out if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athletes' self-management behavior and trait sport-confidence according to their school levels, sex, and grades. Self-management behavior comprises of 6 sub-elements: mental control, life-style control, one's own behavior control, discipline control, personal relationship management, and physical control. A total of 316 table tennis players were included in the study. Those subjects were broken into two groups: 174 junior high school students (71 males and 103 females) and 142 high school students (74 males and 68 females). T-test, one-way ANOVA, and scheffe' post-test were used as tools to investigate differences in self-management behavior and trait sport-confidence among those subjects. The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by school levels, the only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in personal relationship management. There was no difference in trait sport-confidence. Second, by sex, junior high school students showed some differences in their own behavior control, discipline control, and physical control whereas high school students reveal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only in physical control. As for trait sport-confidence, there were some differences between male and female junior high school students while no difference was found among high school students. Third, by grades, only difference was found in personal relationship management among junior high school students, revealing no difference in trait sport-confidence. In case of high school students,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in either self-management behavior or trait sport-confidence. It is expected that the findings of this study will provide useful data and information for athletes so that they can find out effective ways of self-management and improve them. The findings will also be helpful to work out useful strategies for cognitive behaviors and the management of athletes in making preparation for competitions.

      • 스포츠자신감 형성요인과 다차원스포츠자신감의 타당도 및 모형검증

        김재훈 경기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박사

        RANK : 248703

        본 연구의 목적은 Vealey 등(2002, 2008)이 체계화한 다차원스포츠자신감 모형을 토대로 고등학교 운동선수의 형성된 자신감요인 및 유형을 분석하고, 이들의 관계를 검증하는데 있었다. 이를 위해 대한체육회에 등록된 고교운동선수 633명을 편의표집하고, 질문지를 통해 조사하였다. 구체적으로 <연구 1>에서는 스포츠자신감 형성요인과 다차원스포츠자신감의 개념구조를 검증하기 위해 불성실한 응답으로 판단되는 55부를 제외하고, 323부의 자료를 사용, 이들의 관계를 검증한 <연구 2>에서는 불성실한 자료 18부를 제외한 237부의 사용, 총 560부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8.0과 AMOS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탐색적 요인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상관분석, 다중회귀분석, 경로분석을 실시하였고, 구체적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국내 고등학교 운동선수의 스포츠자신감 형성요인과 다차원스포츠자신감의 개념구조를 검증한 결과, 스포츠자신감 형성요인은 6요인 23문항(숙달, 능력입증, 신체적/정신적 준비, 사회적 지지, 대리적 경험, 지도자 리더십)으로 최종 확인되었고, 3요인 18문항(신체적 자기표현, 환경적인 편안함, 상황의 유리함)이 삭제되었다. 또한 다차원스포츠자신감은 스포츠숙련자신감, 스포츠인지효율자신감, 스포츠회복탄력자신감 3요인 12문항이 다차원적 개념으로 최종 확인되었다. 둘째, 고등학교 운동선수의 배경변인에 따른 스포츠자신감 형성요인이 다차원스포츠자신감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사용하는 요인의 순서에 따른 차이는 있었으나, 숙달, 능력입증, 신체적/정신적 준비는 정적 영향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사회적 지지, 지도자 리더십, 대리적 경험은 부적 영향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스포츠자신감 형성요인과 다차원스포츠자신감의 경로분석에서 스포츠자신감 형성요인의 하위변인 중 숙달, 능력입증, 신체적/정신적 준비는 다차원스포츠자신감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사회적 지지, 지도자 리더십, 대리적 경험은 부적 영향을 미쳤다. 그리고 다차원스포츠자신감의 하위요인 중 스포츠숙련자신감은 스포츠회복탄력자신감과 스포츠인지효율자신감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에서는 국내 고등학교 운동선수들의 자신감이 어떻게 형성되었고, 이렇게 형성되어진 요인은 선수의 자신감 유형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중점을 두어 논의하였으며, 특히 운동수행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이 두 요인을 예측하고 평가하는 데 있어 세분화된 도구 개발의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또한 다른 문화와 정서 차이의 중요성을 인식하여 국내선수들만이 가지고 있는 자신감의 요인과 유형들을 알아볼 필요가 있음을 시사하였다.

      • 주니어 골프선수들의 성취목표성향이 스포츠자신감과 운동몰입에 미치는 영향

        황진철 경희대학교 2011 국내석사

        RANK : 248703

        국문초록 주니어 골프선수의 성취목표성향이 스포츠자신감과 운동몰입에 미치는 영향 경희대학교 대학원 황 진 철 본 연구의 목적은 주니어 골프선수의 성취목표성향이 스포츠자신감과 운동몰입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규명하고, 주니어 골프선수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차이를 비교 분석하여 변화하고 있는 주니어골프선수의 경기력향상에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을 위하여 2010년 현재 서울, 경기지역에 거주하고 있는 중·고등학교 골프 선수들을 대상으로 비확률표본추출법 중 편의표본추출법(convenience sampling method)을 사용하였으며 모든 설문 문항에 대하여 자기평가기입법(self-administration method)으로 응답하도록 하였다. 자료처리는 SPSS(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 Version 18.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자료 분석을 위해 사용된 통계기법은 빈도분석, 요인분석, 독립표본 t-test, 일원변량분석(One-way ANOVA), Scheffe의 사후검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와 같은 자료수집 및 분석과정을 통하여 얻어진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주니어 골프선수의 성취목표성향이 스포츠자신감과 운동몰입의 인구통계학적특성에서 성별에 따른 차이를 알아본 결과 성취목표성향 중 자아성향, 스포츠자신감 중 상태자신감, 운동몰입 중 인지몰입에서 남자가 여성보다 높게 평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년에 따른 차이를 알아본 결과 성취목표성향 중 과제성향에서 고 3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골프경력에 따른 차이를 알아본 결과 성취목표성향에서는 과제성향이, 스포츠자신감에서는 특성자신감, 운동몰입에서는 인지몰입과 행위몰입에서 6년 이상이 경력을 가진 그룹이 높게 평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입상경험에서는 성취목표성향에서는 과제성향이, 스포츠자신감에서는 상태자신감과 특성자신감, 운동몰입은 행위몰입에서 입상경험이 있는 그룹에서 높게 평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주니어 골프선수의 성취목표성향이 스포츠자신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 결과 자아성향목표가 높을수록 특성스포츠 자신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과제성향목표가 높을수록 인지몰입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과제성향목표가 높을수록 행위몰입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상태스포츠자신감과 특성스포츠자신감이 높을수록 상태 몰입의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Effect of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of Junior Golfers on Confidence and Flow in Sports Hwang Jin Chul Major in Sports and Taekwoodo Graduate School of Physical Education KyungHee Univers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search the effect of goal-oriented attitude of junior golfers on confidence and absorption in sports and provide data for the improvement of their play levels based on a comparative analysis of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junior golfers.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convenience sampling method of non-probabilistic sampling method was used on golfers of middle and high schools who reside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currently in 2010, and they were asked to respond in self-administration method for all questionnaire. Data analysis was done by SPSS (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 Version 18.0, and statistical methods, such as frequency analysis, factor analysis, independence sampling t-test, one-way ANOVA, and evaluation of Scheffe, and multiple regressional analysis, were conducted. The conclusion obtained through such data collection and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of all, men scored higher than women in self-construal of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the status confidence of sports confidence, and flow experience of exercise flow,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gender difference in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sports confidence and exercise flow for the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of junior golfers. For the difference by grades, the senior high school students scored the highest in task orientation of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As for the difference by golf career experience, the group of 6 years or more experience got the highest score for task orientation of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trait confidence of sports confidence, and flow experience and behavioral flow of exercise flow. In terms of receiving awards, the group with awards scored higher in task orientation of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status confidence and trait confidence of sports confidence, and behavioral flow of exercise flow. Secondly, as examining the effect of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of junior golfers on sports confidence, the their trait sports confidence is higher as the self-construal goal is higher. As the score of task orientation is higher, their flow experience is higher, and the score of task orientation is higher, the behavioral flow is higher. Thirdly, the level of status flow is higher when their status sports confidence and trait sports confidence are higher.

      • 골프경기에서 스포츠자신감과 운동수행과의 관련성

        서종영 大邱가톨릭大學校 敎育大學院 2001 국내석사

        RANK : 248703

        The primary aim of this thesis is to understand, based on sports-confidence theory of Vealey, not only the relationship of the athletes' play and the frequency of putting but the difference between their age, the average shots and their career records, and the self-confidence, if there is any psychological factors that can affect to play golf seriously. To get this purpose the athlete's confidence before and after rounding and the frequency of putting will be surveyed. The results of the analysis show that sports-confidence affects to play golf which requires the delicate athletic skill. As for the psychological factors, the confidence can be ascending after being qualified and it can be declined after being disqualified for the preliminary match. And they can affect more critically especially if the athletes' age and the career records are high and shots are low. It seems that the experienced athletes can have less psychological burden than the beginners can have, and older players can have more social experiences, higher circumstantial judgement and cognitive ability than younger ones have. However this study shows that the analysis of the athlete's sports-confidence and putting has about 9% relations with 회귀방정식 모형, but the rate 9% is very little and has no importance to the result. In other words, it seems to be thought other factors such as psychological, physiological, and environmental factors affect more seriously to the play. To summarize this study, sports-confidence in playing golf tends to be strong in case the athletes are old and average shots are low, and they have lots of experiences. Therefore if they want to have good results in the matches, they must practice many times in the actual condition of games. That is the most effective way to improve sports-confidence.

      • 탁구선수의 스포츠자신감 형성요인과 스포츠자신감과의 관계

        이경선 용인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8703

        스포츠 상황에서 성공적인 선수와 실패한 선수들의 차이점에서 가장 중요한 일관된 요인은 자신감이라고 지적되고 있으며 시합과 연습상황에서 가장 필수적으로 갖추어야할 심리적 요인으로 인식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탁구선수들을 대상으로 스포츠자신감 형성요인과 스포츠자신감과의 관계를 규명하여 성별과 소속별에 따라 어떠한 요인들이 스포츠자신감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조사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스포츠자신감 형성요인은 과제숙달, 능력입증, 신체적/정신적 준비, 사회적지지, 코치의 지도력, 대리적 경험요인으로서 6가지 하위요인으로 구성되어 있다. 연구대상은 총 300명의 탁구선수들로서 고교 150명(남75:여75), 대학 86명(남42:44) 그리고 일반 64명(남33:여31) 으로 구성되었으며, 스포츠 자신감 형성요인과 스포츠자신감과의 관계를 규명하기 위해 상관관계분석과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체 선수들의 경우 스포츠자신감 형성요인 6개의 변인이 스포츠자신감을 27.2%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신체적/정신적 준비요이노가 대리적 경험요인이 스포츠자신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성별에 따라서는 여자 선수들은 스포츠자신감 형성요인 6개의 변인이 스포츠자신감을 36%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신체적/정신적 준비요인과 코치의 지도력 요인이 스포츠자신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남자 선수들은 15.7%의 설명력을 가지고 있고 신체적/정신적 준비요인만 스포츠자신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소속별에 따라서는 고교 선수들은 33.3%의 설명력을 가지고 있고 과제숙달, 신체적/정신적 준비, 대리적 경험요인이 스포츠자신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대학 선수들은 15.4%의 설명력을 가지고 있고 신체적/정신적 준비요인이 스포츠자신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반 선수들은 14.1%로서 가장 낮은 설명력을 가지고 있는것으로 나타났으며 코치의 지도력 요인이 스포츠자신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성별과 소속별에 따라 스포츠자신감에 어떠한 요인들이 영향을 주는지에 대해 분석해봄으로써 선수들의 스포츠자신감 전략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It is generally estimated that in the difference between the successful players and failed ones, the most important factor is confidence and it is recognized as the most necessary psychological factor in the competition and practical situation.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what factors affect on the sports confidence in accordance with sex and belonging while identify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ports confidence and its formation-factors on a survey of table tennis players. The sports confidence formation-factors consist of six sub-factors such as task skill, competence demonstration, physical/psychological preparation, social support, leadership of coach, and indirect experience. The subject of the research includes 300 table tennis players in total, 150 high school students (75 males, 75 females), 86 university students (42 males, 44 females), and 64 professional (33 males, 31 females). In order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ports confidence and its formation- factor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re performed. The results are following. First, in case of all players, six variables of sports confidence formation-factors affected sports confidence at the level of 27.2%. Physical & psychological preparation and indirect experience affected the sports confidence. Second, in case of sex, six variables of sports confidence formation-factors of female players affected sports confidence at the level of 36%. The physical & psychological preparation and leadership of coach affected sports confidence. For the male players they had 15.7% explanatory power and only physical/psychological preparation affected the sports confidence. Third, according th belonging, high school students had 33.3% explanatory power and task skill, physical/psychological preparation, and indirect experience affected the sports confidence. In case of the university students, they had 15.4% explanatory power and physical/psychological preparation affected the sports confidence. For the professionals, it had the lowest explanatory power, 14.1% and the leadership of coach affected the sports confidence. The result of the study is expected that the basic data would be provided for the strategy of the players sports confidence analyzing what factors affect the sports confidence in accordance with sex and belonging.

      • 여자프로선수의 외모관리행동이 스포츠자신감과 스포츠몰입에 미치는 영향

        정은영 강원대학교 2013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의 목적은 여자프로선수의 외모관리행동이 스포츠자신감과 스포츠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여 운동선수들의 더 나의 경기력 향상을 위하여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WKBL에 등록 되어있는 여자프로농구선수 92명과 Kove에 등록이 되어있는 여자배구 선수 90명에게 전수조사를 실시하여 총 182개의 설문지 중 불성실 응답설문지 40개를 제외한 142개의 설문지를 분석하였다. 자료 분석 방법은 연구가설을 검증하기 위하여 수집한 자료를 SPSS Windows ver. 18.0 통계프로그램과 빈도분석(Frequency analysis), 탐색적 요인분석(Exploratory Factory Analysis : EFA), 일원변량분석(O-way ANOVA), 상관관계분석(correlation analysis), 다중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엿다. 첫째 인구사회학적 변인에 따른 외모관리행동의 하위요인중 피부관리, 의류 및 장신구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인구사회학적 변인에 따른 스포츠자신감의 차이의 경우 월수입에 따른 스포츠자신감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셋째 인구사회학적 변인에 따른 스포츠몰입에 차이의 경우 월수입에 따른 스포츠몰입과 외모관리비용에 따른 스포츠몰입의 하위요인이 인지몰입과 행위몰입에 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넷째 여자프로선수의 외모관리행동이 스포츠자신감과 스포츠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 본 결과 외모관리행동과 스포츠몰입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외모관리행동과 스포츠자신감, 스포츠자신감과 스포츠몰입은 상관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종합해 보면 인구사회학적 변인에 따른 외모관리행동이 스포츠자신감과 스포츠몰입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지만 외모관리행동과 스포츠자신감, 스포츠자신감과 스포츠몰입은 상관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여자프로선수들의 생활은 일반여성들과 크게 다를 것이 없지만 코트에서 만큼은 정해진 유니폼과 제한된 주변 환경의 영향을 받으며 또한 프로선수라는 자신의 실력만큼 평가를 받아야 하는 것이기에 코트에서는 최선을 다하는 것이 외모관리행동으로써 팬들에게 좋은 경기를 보여주는 것이 여자프로 스포츠가 활성화 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The primary object of this research was to investigate the impact of appearance-management behavior of female professional athletes on sports confidence and sports commitment to provide preliminary data to improve performance. Among 182 questionnaire, 92 from female professional basketball players who registered in WKBL(Women’s Korean Basketball League) and 90 from female professional volleyball players who registered in KOVO(Korean Volleyball Federation), 142 questionnaire were analyzed except 40 incomplete questionnaire. To analyze the questionnaire, SPSS(Window ver.18.0), Frequency analysis, EFA(Exploratory Factor Analysis), O-Way ANOVA, Correlation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used. This research revealed following conclusion. First, skin care, clothing and jewelry from sub-factor of appearance-management behavior according to social demographic variable indicate significant difference statistically. Second, in case sports confidence according to social demographic variable indicate significant difference depend on monthly income. Third, in case sports commitment according to social demographic variable, the sub-factor from the sports commitment depends income and the sports commitment depends appearance management cost lead to significant affect cognitive commitment and behavioral commitment. Fourth, as result of examining the impact of sports confidence and sports commitment from appearance-management behavior of female athletes indicate there no relevant between sports confidence and appearance-management behavior, between sports confidence and sports commitment whereas there is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sports commitment and appearance-management behavior. To sum up, although the appearance-management behavior according to social demographic variable indicate significant difference on sports confidence and sports commitment statistically there is no relevant not only between sports confidence and appearance-management behavior but also between sports commitment and sports confidence. From this aspect, the lives of professional female athletes has no significant difference from the general female however, it is affected by designated uniforms and limited environment situation especially on the court, furthermore doing one’s best on the court as appearance-management because the professional player need to be judged by performance lead to promote female pro-sports leagu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