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스토리보드를 통한 영화와 애니메이션의 표현적 특성연구 : 영화(괴물, 살인의 추억), 애니메이션(센과 치히로의 행방불명, 이웃집 토토로)을 중심으로

        전영재 목원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8703

        스토리보드는 영상 작품을 만들어 가는 과정의 일부로서 일반대중에게는 보여 지지 않는 부분이다. 또한, 스토리보드 자체만을 놓고 독립적인 완성품이나 예술작품으로도 평가받지 못한다. 그러나 연출자가 포스트프로덕션 단계에서 극 전체를 어떻게 계획하고 준비하는지를 연구하는 데에는 스토리보드 만큼 중요한 자료가 없을 것이다. 빌딩의 설계도면과도 같은 스토리보드를 단순히 촬영계획을 위한 중간단계에서 소모시키는 것은 낭비이며 학문적인 체계를 잡아 데이터를 축적할 수 있는 기회를 버리는 것이나 마찬가지이다. 본 연구는 스토리보드를 통해 영화와 애니메이션의 표현적 특성을 비교해 보고 공통점은 무엇이며 두 분야가 함께 발전할 수 있는 비전을 모색하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연구 작품으로는 봉준호 감독의『살인의 추억』,『괴물』 미야자키 하야오 감독의 『이웃집 토토로』,『센과 치히로의 행방불명』을 중심으로 다루었으며 쇼트, 앵글, 시점, 카메라 움직임, 인물의 동선과 동작, 편집을 중점적으로 비교하였다. 카메라움직임의 경우 애니메이션에서는 필드 컷(field cut)을 같은 의미로 규정하였다. 가장 많은 차이를 보인 항목은 카메라움직임과 인물의 동선부분으로 영화의 경우 카메라가 인물과 함께 움직이거나 인물 쪽으로 다가가는 움직임이 많았고, 애니메이션의 경우 인물이 카메라 쪽으로 다가가는 움직임이 많았다. 연구에서는 그 것이 기술적으로 어떤 차이가 있는지, 미학적으로는 어떤 의미가 있는지 밝히고자 하였다. 현실에 근간을 둔 영화와 상상력에 근간을 둔 애니메이션의 근원적인 차이를 인정하고 서로의 장점을 스토리보드 단계에서부터 적용시킨다면 두 분야의 시너지효과는 커질 거라고 본다. 본 연구는 앞으로 다가올 영화와 애니메이션의 경계가 모호해질 3D그래픽 영화분야에서 스토리보드 역할이 중요해 질 수밖에 없다는 것을 증명하고자 하였다. The Storyboard is the part of process that making a moving images and that invisible part to the general public. And the Storyboard itself can't be estimated as a independent finished goods and a work of art. But there is nothing more important resources than the Storyboard as the director on the stage of postproduction plans and prepares the whole play. It is a waste to dissipate the Storyboard that is as important as a draft of building in the middle stage for simply plan of picture-taking. It is same with throwing away the opportunity to accumulate the data by getting academic system. This study is put into the purpose of Comparing Movie with Animation through the Storyboard and Understanding what is the sameness between the two fields and Searching the vision of developing together. Focussed on the 『The Host, 2006』, 『Memories of Murder, 2003』 by director Bong-Junho and 『My Neighbor Totoro, 1988』, 『The Spiriting Away of Sen and Chihiro, 2001』 by director Miyazaky Hayao. And concentrated comparison on Short, Angle, Visual Point, Movement of Camera, Character's line of action and act, editing. In the case of Movement of Camera, one(Movement of Camera) in the Animation's Field Cut Use is similar to one in the Movie's. The item that shows the biggest differences is the part of Movement of Camera and Chracter's line of action. In Movie, camera is moved according to the character or is getting near to the character. In Animation, however, the character is getting near to camera. In this study, Comparing these differences and Revealing that how they(these differences) affect their products aesthetically. If admitting the basic differences of Movie based on the reality and Animation based on the imagination, and applying the merit of two fields to the stage of the Storyboard, there would be great synergy. This study is proving that role of the Storyboard cannot help being important and significant in the field of 3D Graphic Movie that the border of Movie and Animation will be ambiguous.

      • VR 플랫폼에서 프리프로덕션을 위한 가상현실 스토리보드 연구

        김정호 중앙대학교 첨단영상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8703

        As hardware and software are developing in the VR field, demands for VR negative contents are increasing and it is gradually demanding more mature contents. However because VR platforms are different from normal image platforms, there are limitations in applying video grammar used for making images and storyboards that were previously used. Accordingly, it is necessary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VR platforms and to study the production tools and optimized pipelines to which these characteristics are applied. In this study, we developed a storyboard production tool, including painting and editing functions with VR platform characteristics, by projecting improvement directions through a case study of the existing storyboard production tools and expanding them from 2D space to 360̊ space. Storyboard production tools that are made according to VR platform characteristics enable detailed production at preproduction stage. Therefore, this research expects that the production tool will help produce more mature content as it shares the process as a communication tool when producing animatics. VR 분야에서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가 발전함에 따라 VR 네러티브 콘텐츠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점차 완성도 높은 콘텐츠를 요구하고 있는 상황이다. 하지만 VR 플랫폼은 일반 영상 플랫폼과는 다른 특성으로 인해 기존 영상제작에 사용되는 영상문법과 기존에 활용하던 스토리보드를 적용하는데 한계가 있다. 이에 따라 VR 플랫폼이 가지는 특성을 살펴보고, 이 특성이 적용된 저작 도구 및 최적화된 파이프라인에 대한 연구가 필요한 상황이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에 사용된 스토리보드 저작도구 사례조사를 통해 개선방향을 토출하고 이를 토대로 2D공간에서 360˚ 공간으로 확장하여 VR 플랫폼 특성이 적용된 페인팅 및 편집 기능을 포함한 스토리보드 저작도구를 개발하였다. VR플랫폼 특성에 맞게 제작된 스토리보드 저작도구는 프리프로덕션 단계에서 디테일한 연출을 할 수 있게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 저작도구가 애니메틱스 제작을 할 때 소통의 도구로써 프로세스를 공유함에 따라서 완성도 높은 콘텐츠를 제작에 도움을 줄 것이라고 기대한다.

      • 스토리보드 시뮬레이션을 위한 캐릭터 애니메이션 동작에 관한 연구

        이충호 중앙대학교 첨단영상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영화 또는 애니메이션 등과 같은 영상물을 제작시, 시나리오가 가지는 언어의 특성을 시각적인 면과 영상적인 면으로 나타내 주는 스토리보드를 보완하기 위한 목적을 가지고 있다. 기존 핸드드로잉 스토리보드는 2차원이라는 평면적 특성으로 인해 공간성과 시간성의 표현에 한계가 있다. 따라서 이를 극복하고자 3차원 스토리보드 시뮬레이션에 캐릭터의 동작모듈을 적용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동작모듈을 구성함에 있어서는 언어학 및 행동학에서 나온 표현 수단에 따른 분류와 감정에 따른 분류 및 기존 액션영화에서의 캐릭터 동작 분석을 통하여 스토리보드 제작 시 쉽게 적용하도록 체계화를 하고 동작모듈들을 구현하였다. 구현된 각각의 동작모듈들은 감정의 강약과 같은 값에 따라 좀 더 자세한 동작으로 제어가 가능하다. 이 연구를 통하여 향후 기존 스토리보드 시뮬레이션에 다양한 변화를 꾀함과 동시에 영상물 제작에 있어서 스토리보드 작성으로 인해 허비되었던 많은 시간들이 단축되어 경제적, 산업적 측면에도 도움이 되고자 한다. This paper has a purpose of a complement to a storyboard which shows linguistic property when we make images like a movie or an animation. There is a limit to an existing hand-drawing storyboard to express space and time as property of 2D plan. So, It is explained the way that applies the action module of character in the 3D storyboard simulation to overcome a limit. In the composition of the action module, it was systematized and embodied easily to apply through analyzing an character action of existing action movie by the classification from lingistic and ethology. It is possible to control each embodied action module for more detailed actions through the value like strength and weakness of emotion. Hereafter, this paper will be help as aspect of economy and industry thorough that an existing storyboard simultion will be variously changed and reducing the time that will be wasted when an image will be made.

      • 단편영화 <정희> 제작을 통한 영화 스토리보드의 중요성에 대한 연구

        이혜원 청주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48703

        스토리보드(Storyboard)는 그림을 순차적으로 그려서 영화에 나오는 쇼트의 흐름 혹은 연속성(Continuity)을 묘사하고 계획하는 수단이다. 스토리보드는 영상으로 제작되는 다양한 매체에서 여러 형태로 사용되고 있다. 영화 스토리보드는 감독이 시나리오를 소리와 함께 시각화를 할 때 하는 일 중 하나는 영화 속 인물이 말을 하지 않을 때 하는 행동을 생각하여 감정의 충돌이 없이 관객에게 소리와 그림으로 전달하는 것이다. 영화작업에서 대사가 많아 보일 수 있지만 스크린에서는 행동이 대사 없이도 이야기를 훨씬 더 명확하게 전달할 수 있다. 영화가 가진 이미지의 연속성을 통한 이야기전달의 독특함 때문이다. 시나리오는 일련의 이미지 움직임을 하나의 이야기로 말할 수 있어야 한다. 이미지 움직임을 시각화하기 위해서는 영화예술이 가지고 있는 형식으로 이해할 수 있는 시나리오와 스토리보드가 절대적으로 필요하다. 스토리보드는 감독이 가지고 있는 생각과 다양한 의견과 시간들을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영화의 시각, 미학적 언어이다. 스토리보드는 시나리오의 내용을 해석하여 그림으로 표현한 것이 아니라 감독의 시각적 어적 언어를 작품으로 표현한 것이라고 봐야한다. 완벽한 시나리오라 할지라도 영상화를 위해 스토리보드가 뒷받침이 되지 않는다면 시각화를 하는 것이 명확해지지 않는다. 스토리보드는 시나리오의 텍스트의 이미지화를 위해 카메라의 앵글(Angle)과 쇼트(Shot)를 설정하고 프레임 안의 미장센에 대한 총체적인 지침서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어야한다. 본 연구는 영화 <정희>의 스토리보드 작업화를 통해 영화의 내러티브가 장면의 연속성으로 구성하는데 있어 콘티뉴이티의 중요성에 대해 논한다. 스토리보드의 세밀한 구성은 감독의 생각과 시나리오의 기능을 정확히 알 수 있으며 프로덕션(Production)에서의 즉흥적인 충돌을 막아 포스트프로덕션(Post-production)의 예측이 가능하다는 것을 보여줄 수 있다. 스토리보드는 시나리오의 텍스트를 이미지화 하는 첫 번째 단계로 시나리오 분석을 통해 이미지들이 재현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즉 분석을 통해 해석되어진 영화의 다양한 의미를 쇼트의 나열을 통해 이야기를 만들어 낸다는 것이다. 본 연구는 영화 <정희>의 제작 과정을 통해 프리프로덕션(Pre-production)에서 이루어지는 스토리보드 작업(사전 시각화)이 프로덕션에서 영화의 콘티뉴이티에 미치는 영향력의 중요성에 대해 심도 있게 연구하고자 한다. Storyboard is a means to describing and planning the flow or continuity of shots in a film by depicting images in consecutive order. Storyboard is used in several forms by various media that are produced as visual media. Film storyboard is one of the activities that a director performs when visualizing a screenplay with sounds to imagine how the characters in a film would act when they are not speaking and to convey such to the audience with sounds and images without an emotional clash. It may appear that there are a lot of lines in film work, but on a screen, an action without any lines can convey the story much more clearly. This is thanks to the film’s distinct storytelling through continuity of images. A screenplay must be able to tell a series of image movements as a single story. To visualize image movements, a screenplay and storyboard that can interpret them in a cinematic form are absolutely necessary. A storyboard is a film’s visual, aesthetic language that visually expresses a director’s thoughts, various views, and times. A storyboard should be viewed as a work of art that expresses a director’s visual, linguistic language, and not as something that interprets the contents of a screenplay and expresses them in images. Even a perfect screenplay cannot have a clear path to visualization if not backed up by a storyboard for cinematic adaption. A storyboard must be able to set the camera’s angle and shot and play the role as a general guide to mise-en-scène in frames for the visualization of the text in a screenplay. This study discusses the importance of continuity in forming the film’s narrative into continuity of scenes through the work of the film’s storyboard. A detailed construction of a storyboard can accurately convey the director’s thoughts and the function of a screenplay and can show that it is possible to predict post-production by preventing impulsive clashes in production. Storyboard is the first stage of visualization for the screenplay’s text and must reenact images through analysis. In other words, a screenplay creates a story from the various meanings of the film that have been interpreted through analysis by arranging them into shots. This paper aims to study in depth the importance of the influence that the storyboard work (previsualization) performed in pre-production has on the film’s continuity in production through the filmmaking process.

      • UI 스토리보드 작성용 컴퓨터 기반 도구 UI 디자인 연구

        장종균 국민대학교 테크노디자인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8702

        최근의 모바일 폰은 기능의 확장과 기기의 소형화라는 두 가지 대표적인 기술적 경향을 보여 주고 있으며, 제품의 출시 주기도 기업의 간의 경쟁을 위해 빨라 지고 있다. 그러나, 기능의 확장과 소형화는 사용자에게 사용을 더욱 더 힘들게 만들고 있다. 이 점을 해결하기 위해 기업의 Ul 디자이너는 사용자 조사, 분석을 통해 문제 해결점을 UI 스토리보드라는 문서에 작성한다. 하지만, 한정된 인원과 제한된 개발 기간으로 일련의 과정에 충분한 시간을 투자하지 못하는 것이 현실이다. 그 중 스토리보드 문서는 Ul 디자인의 최종 결과물로서 디자이너의 모든 역량과 개발될 모바일 폰의 기능을 내포하여 그래픽 디자이너, 관련 기획자, 개발 엔지니어에게 전달된다. 즉,건축물에서의 설계도면과 같은 것이어서 문서 내용의 오류는 개발 시간을 연장하며 이것은 기업간의 경쟁에 실패하는 요인으로 나타난다. 하지만, 이 문서의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최적화된 컴퓨터 기반 도구는 없다. 이에 본 논문은 Ul 스토리보드 문서 작성을 위한 컴퓨터 기반 도구의 UI/GUI를 제안한다. 이 연구를 위해 현재 기업 실무의 Ul 디자이너를 대상으로 사용자 조사와 기업에서 작성된 문서 및 컴퓨터기반 선호 도구를 분석 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Ul 스토리보드 문서 작성용 도구의 기능 요소를 제안하고, 그중 일부 기능을 디자인하여 제안하였다. 이렇게 제안된 Ul 스토리보드 문서 작성용 도구는 문서 작성에 있어 반복적인 작업의 수고를 줄이고, 오류 감소에 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또한, 기업의 개발비 또한 기존 대비 감소시키는 결과를 가져올 것이다. Recent mobile phones show the two representative technical trends, which are the extension of the function and the minimization of the device, and the product release cycle is becoming faster owing to competition among corporations. However, such extensions of function and minimization cause users to feel greater difficulties in using devices.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UI designers of companies prepare a document called a UI storyboard for solving the problem through user research and analysis. Nonetheless, it is hard to invest sufficient time in the series of procedures as in reality human resources and development periods are limited. Among others, as a final product of UI design, a storyboard document includes the functions of the mobiie phone to be developed as well as all the capabilities of a designer, and then it is delivered to a graphic designer, related planner, and development engineer. That is, it is like a design drawing for a building so that errors in the contents of the document delay the development time, and this is a factor leading to failure in competition among corporations. However, even though this document is so important, there is no optimized computer-based tool. Therefore, this thesis proposes a computer-based tool UI/GUI for preparing a UI storyboard document. For this study, this thesis conducted research into users and analyzed documents prepared by companies, and a computer-based preferred tool aimed at current UI designers engaged in companies. Based on the research and analysis, this thesis proposed functional factors for a tool for preparing UI storyboard documents, and also proposed some of their functions after designing them. The tool for preparing UI storyboard documents prepared in this way should make a significant contribution to reducing the errors and problems caused by repetitive work in the preparation of UI storyboards. Also, this will lead to a reduction in a company's development costs compared with the past.

      • 융합 기술을 활용한 사전시각화에 효과적인 저작 툴 개발 : 인터랙티브 스토리보드 어플리케이션 개발을 중심으로

        최혜경 한성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8700

        멀티미디어가 발달하고 영상 매체가 대중화되면서 영상 제작이 매우 활발하게 일어나고 있다. 영상 제작에 있어서 사전시각화는 결과물의 높은 완성도, 제작비의 절감 등을 위해 매우 중요한 작업이다. 효과적인 사전시각화를 위해 디지털 스토리보드와 같은 소프트웨어가 개발되었다. 그러나 기술의 표준화, 안정화를 이루지 못하였고, 사용자 편이가 낮아 접근성이 떨어진다. 본 연구는 스마트 디바이스에서 비전문가도 쉽게 저작할 수 있는 스토리보드 어플리케이션을 개발하였다. 어플리케이션 개발은 CG(3D), 게임 엔진, 인터랙션, 네트워크 기술 등 문화기술(CT)을 융합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개발은 목표 영상물의 시뮬레이션이 가능하고, 시간과 공간의 제약 없이 저작할 수 있으며, 현장에서 디지털 배포·전송·출력이 가능한 스토리보드 저작 도구이다. 스토리보드 어플리케이션으로는 처음으로 3D를 도입해 2D 스토리보드의 최대 단점인 시·공간적 한계를 극복하였다. 모든 스토리보드는 컷을 일일이 그리거나 작업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컷 분할의 작업 방식을 신 중심의 작업 방식으로 스토리보드 저작 시스템을 재구성하였다. 어플리케이션 내에서 신의 설계도 1장을 구성함으로써 신에 속해 있는 카메라 배치에 의해 컷이 작성되도록 하였다. 이로써 신/컷의 동시 저작이 가능하게 되었다. 또 본 개발은 시나리오 에디터(Cine-ERP)로부터 정보를 받아 자동으로 신 리스트를 생성, 브레이크다운 시트를 지원하는 한편, 어플리케이션에서 수정된 내용을 다시 시나리오 에디터로 전송하여 정보를 교류하는 인터랙션을 시도하였다. 이는 지금까지 상용화된 모든 디지털 스토리보드에서 지원하지 않던 기능으로 사용자의 편의성, 업무의 효율성을 높이고, 근무 환경을 개선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저자는 본 연구를 통해 스토리보드의 디지털 배포를 최초로 제안하였다. 이것은 영상(영화) 제작현장에서 유일하게 아날로그로 남아 있던 스토리보드의 배포를 디지털화함으로써 제작 전 과정의 디지털화를 완성하는 의의를 갖는다. 본 개발은 날로 복잡해지고 있는 제작 현장에서 치밀한 사전 준비를 가능하게 하여 결과물의 완성도를 높이고, 현장의 업무 효율을 높이는 데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

      • 스토리보드 제작 활동을 통한 미디어 리터러시 교수·학습 방법 연구

        조예솔 경상국립대학교 교육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8687

        스마트폰의 보급으로 모두가 미디어에 쉽게 접근하는 시대가 되었다. 학생들은 영상미디어의 제작자이자 소비자로 활동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미디어 리터러시를 ‘영상 중심 의사소통 역량’으로 정의하고, 그동안 학교 교육과 미술교육에서 미디어 리터러시가 어떻게 다루어져 왔는지 분석해 보았다. 국어, 사회, 도덕 교과에서는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의 ‘비판적 읽기’에 집중하고 있으며, 영상미디어의 시각 문화적 요소보다 언어표현에 의존하고 있었다. 타 교과의 언어중심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보다, 영상 미디어의 시각적 요소를 이해하는 수업이 필요하며, 시각적 소통능력과 창의적 표현능력을 다루는 미술이 가장 적합한 교과임을 주장했다. 나아가 두 가지 역량을 위해 영상제작수업이 가장 효과적이며, 이를 바탕으로 선행연구를 분석한 결과 제작수업의 실천연구가 활발하지 않은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동안 학교 미술수업에서 영상제작수업은 중등 미술교육보다 문화예술교육 차원에서 더 활발히 이루어졌다. 하지만 스토리보드는 드로잉 형태의 회화 기반 표현활동이며, 예술성을 추구하는 특성이 있다. 따라서 영상 제작 전 과정의 기술적 이해를 중심으로 한 문화예술 교육보다, 학생의 창의적 표현능력 신장을 목표로 한 중등 미술교육에서 더 심도 깊게 다룰 수 있다. 스토리보드는 기획, 촬영, 편집의 세 단계로 나누어지는 영상의 제작 단계 중 기획단계에 속하며, 시각문화로서 영상의 정체성을 확립하게 하는 과정이다. 텍스트 중심의 구성안을 드로잉의 형태로 일정한 양식에 표현하며, 영화와 애니메이션, 광고, 뮤직비디오 등 장르와 길이, 형식을 넘나들며 제작된다. 스토리보드를 형식, 구성, 조형원리 중심으로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스토리보드는 점, 선, 면의 세 가지 요소를 바탕으로 3차원을 구현하며, 이를 시간 순서대로 나열하며 움직임을 표현하는 활동이다. 수업의 실제에서 영화 감상-표현을 연계한 수업을 계획했고, 총 4차시에 걸쳐 이해-감상-표현-발표 및 성찰로 진행했다. 1차시 이해 단계는 영상이론의 용어들이 영어임을 고려해 예시와 어원 설명으로 학생들의 이해를 돕는데 중점을 두었다. 2차시는 영화를 감상하고 감상활동지를 텍스트로 서술하는 활동이며, 1차시에 학습한 영상 이론들을 재학습 하기위한 교사의 시범작이 제공되었다. 3차시는 2차시에서 작성한 구성안을 바탕으로 학생들이 직접 스토리보드를 제작했다. 4차시에서는 스토리보드를 구성안과 함께 발표하며 자유로운 토의를 기반으로 성찰, 보완했다. 마지막으로 학생들의 결과물을 분석했으며, 구성안 작성에서 표현까지 잘 진행되는 유형과, 구성안 작성에서 개인적 경험을 도출하는 것부터 어려운 유형으로 나눌 수 있었다. 결론에서는 후속연구를 위해 본 연구에서 도출한 개선점을 제시했으며 다음과 같다. 첫째, 다양한 평가 단계를 도입해야한다. 둘째, 다양한 예시와 시범작을 추가한다. 셋째, 학생 개인별 격차 해소를 위해 주제를 좁힐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