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중학교 영어 말하기 수업 현황과 저해 요인 분석

        이상아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8652

        제7차 교육과정에서 강조하고 있는 영어 교육의 핵심은 영어를 사용한 의사소통능력의 향상에 있다. 상대방과 의사를 교환한다는 것은 바로 영어로 자신의 생각을 표현하고 정보를 전달할 줄 아는 말하기 능력에 바탕을 두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본 논문에서는 서울의 중학교 영어교사 92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 조사를 통해 현재 우리나라의 말하기 수업이 의사소통능력 향상을 위한 실질적인 발화를 유도하는 방향으로 이루어지고 있는지 그 현황을 파악해 보고 나아가 교육 현장에서 교사가 느끼는 말하기 수업의 저해요인에 대해 분석해 보았다. 또한 서울 소재의 중학교 2곳의 총 422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 조사를 통해 수업 중 말하기에 영향을 미치는 여러 요인들 중 저해 요인을 파악해 보고, 나아가 학년별, 성별, 지역별, 성적별의 변인별 차이와 요인간 상관관계에 대해서도 분석해 보았다.교사 설문 분석 결과, 우리나라의 말하기 수업은 과거에 비해 교사의 영어 사용이 증가되고 소집단 활동 중심으로 전개되는 등 학생들의 말하기를 유도하는 방향으로 변화되고 있음이 밝혀졌다. 그러나 교사들은 다양한 지도법에 대한 지식과 자료 부족으로 여전히 ‘카세트 테이프 듣고 따라하기’, ‘짝과 대화 연습 후 발표하기’ 와 같은 고전적인 교수법에 의존하는 경향이 있었으며, 학생들의 영어 능력 부족과 낮은 학생 참여도, 과밀학급, 지도법에 대한 지식 부족 등으로 인해 말하기 수업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고 지적했다.학생 설문 분석 결과, 전체적으로 학생들은 말하기에 대한 높은 동기 수준을 갖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교실에서 실질적으로 발화하는 정도는 매우 미약한 것으로 드러났다. 학생들의 말하기를 방해하는 요인으로는 체면, 또래 압력, 두려움으로 나타났으며 반면에 교사의 영어 사용과 activity 위주의 교수법, 자신감은 말하기에 긍정적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밝혀졌다.또한 변인별 요인간 차이 분석 결과, 학년별로는 2학년생들이 긍정적인 요인들의 영향을, 3학년생들은 부정적인 요인들의 영향을 각각 크게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별로는 여학생이 남학생에 비해 높은 동기를 갖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두려움, 체면, 또래압력, 오류수정에 대한 압박과 같은 부정적 요인들의 영향을 많이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적별로는 성적이 높은 학생이 낮은 학생보다 동기, 자신감, 교사의 영어 사용, activity 위주의 교수법 등 긍정적인 요인의 영향도가 월등히 큰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별로는 비교적 생활 여건이 좋은 지역의 학생들이 말하기에 대해 높은 자신감을 보였으며 반면에 그렇지 못한 지역의 학생들은 자신감은 떨어졌으나 교사의 영어 사용에 대한 강한 긍정적 반응을 보였다.이상의 분석 결과를 통해 얻을 수 있는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첫째, 교사들은 영어로 전개되는 소집단 중심의 말하기 수업의 어려운 점으로 학생들의 영어 능력 부족을 꼽았으나, 교사의 영어 사용과 소집단 중심의 수업은 EFL 상황의 우리나라 학생들에게 목표어를 접하고 스스로 연습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는 면에서 발화를 유발하는 긍정적인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음이 밝혀졌다. 그러므로 교사는 영어로 전개되는 다양한 지도법을 익혀 학습자가 스스로 말을 할 수 있는 수업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둘째, 교사는 학년별, 성별, 지역별, 성적별로 학습자의 말하기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저해 요인들이 다름을 인지하고 말하기 수업을 전개하는 데 있어 학습자의 배경과 수준에 맞는 수업을 제공하는 세심함을 잃지 말아야 한다.셋째, 제도적으로는 학습자의 수준별, 학년별에 맞는 말하기 커리큘럼이 체계적으로 개발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 밝혀졌듯이 우리나라 중학생의 경우 성적에 따라 또는 학년에 따라 말하기에 영향을 미치는 저해 요인들의 양상이 가장 다르게 나타났다. 즉 말하기 수준이 다른 학생들을 한 교실에 넣고 가르치기보다는 스스로 동기 부여를 하여 자신의 수준에 맞는 레벨에서 단계적으로 발전해 나갈 수 있도록 수준별 말하기 교육을 실시해야 한다. 또한 학년이 올라갈수록 인지적, 감정적으로 급격한 변화를 겪는 중학생들의 특성을 고려하여 학년별로 그들의 관심사에 부합되는 말하기 자료 및 커리큘럼을 개발하고 활용하는 작업이 필요하다. The one of the most important topics of current English Education in Korea is how to improve English communicative competences. And speaking proficiency is essential to communicate to each other because we are able to convey our expressions and exchange informations through the speaking. However it is true that the Korean English education has focused on grammar or translation rather than communicative speaking skills. So this study sets its principal objectives as follows, a) viewing the present condition of English speaking education in middle school; whether teaching leads students to speak out themselves in a classroom or not, b) analyzing the factors affecting and hampering students'' English speakings, and c) considering the improvement plans for making more effective English speaking class in Korea.The results of the questionnaire to English teachers show that they are still using the old style teaching methods and the materials like ''listening to a dialogue and repeating'' or ''practicing with a partner'', even though they are trying to provide English inputs and speaking opportunities to their students. And they indicate the poor English of students as the main obstacle to managing the effective English speaking class.The results of the questionnaire to students show that the Korean middle school students do not speak as much as their strong motivations for speaking in English. The reasons why they are reluctant to speak in English are showed as the anxiety about making a mistake, the Korean culture of fearing losing one''s face, and the peer pressure. However it is showed that the teacher''s use of classroom English and the communicative activities are positive factors to help students to speak in English.Based on these results, the sugges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a) teachers should try to provide constantly the learner-centered communicative activities and the classroom English to encourage students'' practical English speaking, (2) teachers need to be aware that the negative factors and the positive factors are different according to each students and, in addition, try to remove the negative factors to make students feel at ease speaking freely in a classroom, and (3) the systematic speaking learning curriculum should be developed for providing level-specific instructions based on students’ different needs.

      • 무시험 미용사면허에 따른 미용학개론 수업현황과 개선방안

        박진희 한서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8652

        최근 미용관련 교육과정에서는 ‘미용학개론’ 수업의 개선방안을 모색하려는 일환으로 무시험 미용사면허 발부에 관한 지정 교과목의 타당성에 따른 교과목 이수규정과 산업현장 직업군에 따른 미용사 직무 문제가 논의되고 있다. 이 연구는 교수자 중심의 수업운영 현황에서 나타나는 수업계획서 및 문제를 분석하고 개선과제 및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은 문헌분석 연구를 중심으로 하고 학습자의 인식조사를 통해 보완하였다. 문헌연구의 도구는 4년제 17개 대학이 제시하는 ‘미용학개론’ 수업계획서를 준거틀로 제시하였다. 강의교재를 근거로 교수자가 직접 작성한 수업계획서의 교육내용과 중간고사 평가지를 통해 교육목표 달성을 분석한 후 공동강의 표준교재를 제시하였다. 제시된 공동강의 표준교재는 내적 구성요소를 모형화하여 표준 수업계획서 제시와 작성을 위한 정보를 제공하였다. 이와 더불어 현재 대학에서 사용하고 있는 수업계획서의 실태와 학습자 인식(2항목)을 조사하기 위해 17개 대학의 수업계획서 17부를 수합하였다. 선행연구를 통해 설정한 수업계획서 구성요소 준거틀에 따라 각 대학이 제시하는 수업계획서 양식과 교수자가 직접 작성한 수업계획서 구성요소별 내용을 분석하였다. 또한 수업계획서에 대한 학습자의 인식을 조사하기 위해 설문지를 개발하고 그 신뢰도를 검증하였다. 자료 처리는 SPSS 17.0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기술통계량, 빈도분석, 교차분석의 통계적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미용학개론’ 수업계획서에 대한 분석과 교재 모형개발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17개 대학 ‘미용학개론’ 수업계획서 구성요소는 정혜령(2007)이 고안한 10개의 상위영역과 36개의 하위영역인 준거의 틀에 의해 구성영역인 기본정보, 교육활동, 수업 규정을 중심으로 상위 8영역과 하위 24영역으로 표준 수업계획서 분석틀을 제시하였다. 둘째, 교육활동영역에서 교수자가 직접 작성한 명시적 학습목표를 토대로 학습내용을 선택하고 학습방법을 제시하는 평가를 비교하였다. 그 결과 교육목표의 취지와 이해를 구분하지 못하여 학습자 위주의 명확한 수업계획을 드러내지 못하였으며 교수자의 교과 내 지식수준에 따른 체계성 부족의 문제를 야기하였다. 대체로 교수요목은 대부분의 대학에서 주교재로 지정된 <미용학개론>의 개괄적인 단원명을 제시하였다. 중간고사 평가지의 문항은 미용의 개요, 미용 기초이론, 모발학 등 3개의 단원이 주로 서답형, 논술형으로 제시되었다. 선정된 교육목표와 교육내용을 제시하는 교육방법은 수업방법, 주체, 활용기자재를 항목으로 하고 있다. 그러나 세부적 분석결과는 기본적으로 일관성과 무관하게 대학별로 다르게 운영하고 있었다. 넷째, 미용사(일반)의 입문서인 ‘미용학개론’의 내용은 모발관련 교과인 실기과목의 선수과목으로 제시된다. 이는 모발생리, 형태, 미세구조, 성질 등의 개념과 원리가 접목되는 샴푸 및 린스, 두개피관리, 헤어세팅 및 디자인, 헤어컷, 헤어펌, 헤어컬러링(이하 모발관련 교과)에 대한 개론서의 전문적인 형식을 갖춤으로써 내용 비중상 대체 교과목명의 필요성을 규명하였다. 다섯째, 「공중위생관리법」 이・미용관련 교과목 이수규정에 따른 ‘한국미용학회’ 의견 서(2011년 5월 3일) 제출에서 이수교과별로 제시된 교과와는 달리 ‘미용학개론’ 교과목명과 내용규정은 어디에도 제시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미용학개론’에 대체할 수 있는 공동강의 표준교재(안)는 《모발 미용학의 이해》를 중심으로 내적 구성요소의 모형을 제시하였다. 여섯째, 미용사 및 미용교사 양성을 위한 교과목이라는 특수성이 내용 구성에 적절히 반영된 공동강의 표준교제의 내용을 토대로 표준 수업계획서가 작성되었다. In the recent beauty-related curriculum, the rules of course completion by the validity of specified subjects on cosmetology license and the jobs of beauty artists by occupational groups in industry are being discussed as part of looking at ways to improve the ‘Introduction to Cosmetology’ cour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syllabus and teaching issues from the status of professor-centered teaching, and develop improvement challenges and implications. To achieve this, it was made up for through a survey of learners' perception based on the literature review and analysis. For the scale of literature review, the ‘Introduction to Cosmetology’ syllabus offered by 17 4-year colleges was come up with as a framework. Based on the course materials, the standard textbook for joint lecture was come up with after an analysis of education goal attainment through the educational contents of syllabus and the evaluation sheets of midterm exam directly written by professor. The offered standard textbook for joint lecture came up with information for the suggestion and writing of standard syllabus through the modelling of internal components. In addition to this, 17 copies of the syllabus in 17 colleges were gathered to survey the status of syllabus at colleges and learners' perception(2 items). It analyzed the syllabus form offered by each college and the syllabus contents directly written by professors depending on the framework of syllabus components established through the precedent study. And it developed a questionnaire and verified its reliability to survey learners' perception of the syllabus. For the analysis of data, descriptive statistics, frequency analysis, and cross-tabulation analysis were conducted by using SPSS 17.0 statistics package program. The analysis of the ‘Introduction to Cosmetology’ syllabus and the result of textbook model development are as follows. First, the components of ‘Introduction to Cosmetology’ syllabus in 17 colleges offered framework for analyzing the standard syllabus to 8 hyper-scopes and 24 sub-scopes on the basic information, educational activities and course rules of component elements by framework of 10 hyper-scopes and 36 sub-scopes designed by Jeong Hye-ryung(2007). Second, it made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evaluation that selects the learning content and suggests the learning method based on the explicit learning objectives directly written by professors in the scope of educational activities. As a result, it didn't show clear teaching plans by failing to separate the object of educational goals from the understanding of them and brought about a dearth of system depending on the level of professors' knowledge in the curriculum. Generally, the teaching curriculum suggested the general unit name of <Introduction to Cosmetology> specified as main textbooks in most colleges. The questions of evaluation sheet for midterm exam were mainly come up with as the constructed response and the essay-typed response in 3 units such as the summary of beauty, the fundamental theory of beauty, and trichology. The educational method, which suggests the selected educational goals and contents, itemizes the teaching method, the subject, and materials for use. But the detailed analysis showed that it was being differently operated regardless of fundamental consistency by college. Third, the contents of ‘Introduction to Cosmetology’, a manual of beauty artists(ordinary people), are suggested as an initiative subject of hair-related curriculum, practice subject. In other words, it determined the need for alternative subject name on the importance of content by having the professional forms of introductory textbooks on shampoo and rinse, scalp hair treatment, hair setting and design, hair cut, hair perm, and hair coloring(the rest is a hair-related curriculum) that combine the concept of hair physiology, shape, microstructure, and character with the principle. Fourth, the subject names and content rules of ‘Introduction to Cosmetology’ were come up with nowhere, unlike subjects suggested by taken subject in submitting a written opinion(May 3, 2011) of the ‘Korean Society of Cosmetology’ depending on the completion rules of beauty-related subjects by the 「Public Health Control Act」. Consequently, standard textbooks(plans) for joint lecture, which can alternate the ‘Introduction to Cosmetology’ suggested the models of internal components based on the 《Understanding of Hair Cosmetology》. Fifth, based on the contents of standard textbooks for joint lecture that properly reflect the specialty of a subject to train beauty artists and beauty teachers in the structure of contents, the standard syllabus was written out.

      • 중학교 음악과의 멀티미디어 활용 수업현황 연구

        박형석 충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8637

        This research is made to find out how teachers use multimedia data as one of the tools focused on ICT in middle school music classes and what they feel they should do to activate music classe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ly, no one can make study data including media, sound and motion images in using multimedia data. Teachers with relatively short careers in education use multimedia data more frequently and teachers in Seoul use them more than those in Chungnam. Secondly, teachers with short careers in education usually use multimedia data as a way to motivate students. In contrast, teachers with long careers in education use them in all parts from introduction to arrangement. Teachers in Seoul use them more than those In Chungnam in many parts such as motivation, Thirdly, multimedia data in music classes are reconstructed and used mostly as assistant teaching materials. Older teachers depend on them more than younger teachers. Mostly, teachers in Chungnam reconstruct them as assistant teaching materials, while teachers in Seoul depend on multimedia data. In conclusion, teachers with short careers in education and those in the city usually depend on multimedia data in terms of using multimedia data effectively in classes focused on real sound. ICT education doesn't mean a lot with only its own introduction and practice. It is just one of the teaching methods to achieve educational purposes. So it is important not to use ICT education thoughtlessly but to use it properly according to the class purpose. Finally, the value of ICT should be recognized not as its own purpose but as ways or means to achieve class purpose. ICT education in classes focused on the real sound can come into effect when many parts are practiced together. We have already noticed ICT's technological usefulness through many preceding researches. However, we can't make sure if the technological usefulness has educational value and utility in every subjects. So in the following studies, the educational effectiveness about ICT should not be thought positively or negatively. Besides its educational value and effect should be proved in many parts to find out its value and possibility in classes. Art is the product of the times. Because that has played various roles by the times and historical background and has become important element which forms the culture. Therefore the appreciation training is very essential for understanding the culture. Middle school students have usually the opportunities of learning from their school and their teacher. So, this thesis analyzed and arranged the previous study documents of the 7th education curriculum which is focused on upbringing creative Korean leading globalization and information of 21th century. First, this thesis is focused on the theoretical background, importance and meaning of appreciation learning. Second, this thesis studied the appreciation training of art in middle school by the characteristics and the goal and the contents of each unit and studied the method for teaching in the current education system. A revision of the 7th curriculum of art education does emphasize the characteristic of art as the education for individuality, originality, emotion and does emphasize, in the structure of its contents, continuation, systematization, unification including essential learning element and activity. In addition, that emphasizes the platitude of art, establishing one's subjecthood to the Korean art and culture, understanding to the global culture , establishing of sensibility of beauty and one's value to beauty. So, this thesis chose the subject of the appreciation class to cope with the changes of the times and showed some examples of the appreciation class.,

      • <인공지능 수학> 교과에 대한 수업 현황 및 현직교사의 인식 분석

        김지호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32301

        본 연구의 목적은 <인공지능 수학> 교과에 대해 수업 유경험자를 대상으로 수업 현황과 인식을 조사하여 신설 과목인 <인공지능 수학> 수업이 현장에서 잘 정착되기 위한 시사점과 현직교사를 위한 교육에 시사점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 하였다. 1. <인공지능 수학> 교과 수업 내 공학적 도구의 활용에 대한 현황과 현직교사의 인식은 어떠한가? 2. <인공지능 수학> 교과의 교수⋅학습 및 평가에 대한 현황과 현직교사의 인식은 어떠한가? 3. <인공지능 수학> 교과와 관련된 교사의 전문성 및 연수에 대한 현황과 현직교사의 인식은 어떠한가? 본 연구는 연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절차를 따랐다. 문헌 조사를 바탕으로 연구 대상을 선정하고 설문 문항 초안을 개발하였다. 예비 연구를 시행한 후, 설문 문항을 1차 수정하였다. 전문가의 검토를 거쳐 설문 문항을 최종 수정하였다. 구글 폼을 이용한 설문조사를 실시해 37명이 참여 하였고, 면담 대상자 선정 후 면담을 진행하였다. 설문조사 결과는 결측치가 있는 응답을 제외하여 선다형 문항은 빈도분석과 독립표본 t-검정을 실시하였으며, 서술형 문항은 연구자가 유형별로 정리하여 필요한 경우 빈도분석을 실시하였다. 면담은 설문조사 결과 분석 시 필요한 부분을 발췌하여 이용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다음의 결과를 얻었다. 첫째, 대부분의 교사가 <인공지능 수학> 수업에서 공학적 도구를 활발하게 활용하고 있으며, 파이썬이 가장 많이 사용된 도구로 나타났다. 또한 교사들은 주로 연수, 교과서, SNS를 통하여 공학적 도구와 관련된 정보 및 지식을 확보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사들은 <인공지능 수학> 수업에서의 공학적 도구 활용 효과를 긍정적으로 인식하였으며, 교사들이 파이썬과 스프레드시트를 가장 선호하였다. 또한 교사들은 공학적 도구 사용법, 공학적 도구를 활용한 교수⋅학습 자료의 부족, 공학적 도구 이용 환경 미비 등 다양한 이유로 공학적 도구를 활용하는 수업에서 어려움을 겪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인공지능 수학> 교과의 수업은 단위학교의 학기제 수업은 주로 3단위로, 학년제 수업은 2단위 또는 3단위로 운영되었으며, 학교 간 공동교육 과정인 경우 주로 2단위로 운영되었다. 학기제 수업의 경우 수강하는 학생이 대부분 단일 학년이었고, 학년제의 경우는 모두 단일 학년 학생인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교사들은 <인공지능 수학> 교과의 평가 시 ‘인공지능과 수학’ 영역에서는 포트폴리오 평가와 프로젝트 평가를, 나머지 세 영역에서는 프로젝트 평가와 지필 평가를 주로 활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교사들은 <인공지능 수학>의 교수⋅학습 시 활용할 수 있는 교수 ⋅학습 자료의 부족, 구체적인 교수⋅학습 방향에 대한 이해 부족, 학생들의 선수 학습 정도의 차이 등 다양한 이유로 수업 및 지도 시 어려움을 겪은 것으로 나타났다. 적절 운영 시수에 대한 인식으로는 단위학교의 학기제 수업은 주로 3단위로, 단위학교 학년제 수업과 학교 간 공동교육과정인 경우 2단위로 나타났다. 선수 과목으로는 <수학> 외에도 <수학Ⅱ>와 <수학Ⅰ>을 이수해야 한다고 인식하였다. 수업에 대한 자신감은 대체로 적절하거나 높은 편이었으며, 교직 경력에 따른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여섯째, 교사들은 <인공지능 수학> 교과의 평가 시 평가 범위 및 난이도 설정, 공학적 도구를 활용한 평가 등 다양한 이유로 평가 시 어려움을 겪은 것으로 나타났다. 일곱째, 교사들은 <인공지능 수학> 수업의 전문성 향상을 위해 다양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으며, 연수 프로그램에 만족감을 느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구체적인 교수⋅학습 방법, 공학적 도구 활용 방법, 인공지능의 원리 및 수학과의 연계성에 대한 연수를 희망하고 있다. 교사들은 연수, 교수⋅학습 자료, 공학적 도구 사용 환경을 필요로 하며, 학생들은 공학적 도구 사용 환경, 다양한 교육 경험을 필요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다음의 결론을 얻었다. 첫째, <인공지능 수학>의 교수⋅학습과 평가에서 파이썬과 같은 프로그래밍 언어가 활용될 수 있도록 교사를 위한 공학적 도구 관련 연수 지원 강화가 필요해 보인다. 둘째, <인공지능 수학> 교과의 교수⋅학습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해 최소한 <수학> → <수학Ⅰ> → <수학Ⅱ> → <인공지능 수학>의 학습 경로가 적절하다. 셋째, 교사들은 구체적인 교수⋅학습 방법을 비롯해 공학적 도구 활용법, 인공지능의 원리 및 수학과의 연계성을 연수 주제로 희망하여 이를 주제로 다루는 연수의 지원 강화가 필요해 보인다. 넷째, 교사들은 <인공지능 수학> 수업에서 공학적 도구 활용 시 공학적 도구를 이용할 수 있는 환경이 잘 갖추어지지 않아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공학적 도구 사용의 환경 개선을 위한 지원을 필요로 하고 있어 <인공지능 수학> 교과의 공학적 도구 사용 수업을 위한 환경 개선이 필요하다.

      • 대안고등학교의 체육수업 현황및 요구분석

        신창훈 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32286

        본 연구에서는 전라북도에 소재하는 대안학교의 체육교사와 재학생들을 대상으로 하여 대안학교의 체육수업 운영 현황과 요구 도를 조사한 것으로 본 연구를 통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전라북도 대안고등학교의 체육수업 운영현황은 다음과 같았다. 1) 계획 대안학교의 체육교사는 체육수업을 위해 도교육청의 교육과정 문서를 참고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실제적인 수업의 계획을 위해 학생들의 요구와 창의적인 아이디어로 수업을 준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교내에 체육교과 협의회는 교사가 1명인 관계로 구성될 수 없었다. 2) 실행 대안학교의 체육교사는 실제 체육 수업에서 대안학교의 체육수업이 일반학교 체육수업보다 학생들의 실제학습 시간이 높다는 것을 자부하며, 학생들 개개인의 수준차를 고려한 수업이 진행될 수 있다고 인식 하고 있다. 그러나 교사가 인식하고 있는 실제학습시간(ALT-PE)은 체육수업이 소규모인 관계로(15명이내) 교사의 개인적 차원에서 생각한 것 이지 계수적인 비교분석이 이루어지지 않았기 때문에 실제학습 시간을 측정해보는 것이 필요할 것이라 생각된다. 3) 성취 대안고등학교 체육교사들은 체육수업 성취 면에서 학생의 체력과 운동능력이 일반학교의 학생들 보다 더 향상되었다고 생각한다. 그 이유로 대안학교는 일반학교와 달리 정규 체육수업 외에 특별활동으로 태권도, 아침운동, 생태체험, 자연학습 등을 주기적으로 실시하고, 또한 기숙사에서 공동생활을 하며 학생의 체력의 변화를 수시로 확인할 수 있는 여건이 마련되었기 때문이라고 설명하고 있다. 4) 배경요인 대안학교 에서는 교육과정에 영향을 주는 요소인 학교장의 관심, 교사문화, 학생문화, 학부모의 특성 등에서 큰 영향을 받고 있지 않다고 설명 하였다. 대안학교는 대부분 학생의 권리와 인권의 존중에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통제와 규율 보다 자유스러운 분위기에서 학습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대안학교별 설립 이념과 목적이 뚜렷하고 부모님 또한 자녀를 입학시킨 입학동기가 뚜렷하기 때문에 학교교육과정에 크게 영향을 미치지 않았고, 체육교과 또한 영향을 받지 않는다고 설명하였다. 둘째, 전라북도 대안고등학교 학생들의 체육수업에 대한 요구를 통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1) 전라북도 대안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남, 여학생들은 '신체적 움직임 자체의 즐거움'과 '심신의 건강유지', '친구관계 개선' 등을 체육수업의 장점으로 인식하였으며, 신체적 움직임 자체의 즐거움과 미래를 위한 능력개발의 영역에서 남, 여 성차를 보였다. 반면에 '체육수업의 내용에 대한 불만' 을 가장 큰 문제점으로 평가하였다. 내용에 대한 불만 다음으로 체육시설에 대한 불만 그리고 체육수업을 위한 준비가 번거로운 점을 문제점으로 평가하였다. 특히 여학생은(2.41%)로, 남학생(2.22%)보다 체육수업을 위한 준비의 번거로움을 더 크게 느끼고 있었다. 2) 체육수업의 내용과 관련된 대안학교 학생들의 요구 도를 분석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남학생들은 가장 많은 수가 체육수업 시간에 운동시합을 하는 형식의 수업을 원했고 여학생들은 특정 종목의 운동 배우기와 운동시합 방식의 수업을 원했다. 배우고 싶은 종목은 남, 여 차이를 보이고 있는데 남학생은 구기 종목에서 축구, 테니스, 농구를, 투기 종목에서는 태권도, 검도, 경호무술을, 일반종목에서는 수영과 달리기를 배우고 싶다고 하였으며, 여학생은 구기 종목에서 배드민턴과 테니스를 투기 종목에서는 경호무술과 태권도를, 일반종목에서는 수영과 체조를 배우고 싶다고 하여 남, 여학생 간 부분적으로 차이를 보이고 있었다. 3) 전라북도 대안고등학교의 재학생들은 자신들의 체육수업 지도를 대안학교의 교사나 대학생 자원봉사자가 해주길 원했다. 수업 시간은 주로 일주일에 1~2회, 오후에, 30분~1시간 정도로 진행되기를 원했다. 4) 평가방식에 대해서는 남, 여학생 모두 평소 수업 참여도를 통한 평가를 원했다. 그리고 체육수업을 너무 적은 학생들이 받는 것 보다는 적어도 20명 이내의 학생들이 함께 수업받기를 원했다. This study investigated recent situation of the physical education class offerd at Chon Ra Buk Do Area alternative high schools and the student's needs regarding this class. Ninety four student's responded to the questionnaires asking their needs on the contents and the ways of the physical education classes offered at their alternative schools. and, 2 teachers responded to the deep interviews and asking the recent situation of the physical education classes at their alternative schools. Data were analyzed using frequency analysis, repeated measurement analysis of variance, and Chi test.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all of the alternative schools in Chon Ra Buk Do offered the physical education class. These schools were teaching one sports item Tae Kwon Do and, once a week for one and a fifty minute. The teachers reported that a physical education teacher in Alternative schools can refer to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the curriculums for P.E. a physical education teacher in Alternative schools expect that ALT-PE, feedback and Physical strength are high. The Alternative schools don't get the influences from the dean's interest, the culture of the teacher, the culture of the student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students' parents which affect to the curriculums. The students reported that physical education classes were helpful for feeling enjoyment and relationships with friends, and maintaining good health. However they also reported that poor curriculums, the bothersomeness in preparing for the class, and the absence of space and facilities were main problems that made them feel boring during the class. Findings on the students' need regarding the contents and the ways the physical education class is operated suggest that the Chon Ra Buk Do alternative high school physical education classes can be activated by supports from athletic facilities and universities communities.

      • 효율적 원격 화상 수업을 위한 현황 분석 및 제안 연구

        유승현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32253

        When we use new media for teaching and learning style, that has lot of strength point but it is not answer for all problems. Because we research for how to get maximum educational effect use video-conference system. We will foreknow, if we use video-conference system of education, we can get same effect of school work. Video-conference system trance type of voice, graphic, and motion picture at real time, and able to two way interaction. But we can get different result of class, when we how to use in the class. This research is thinking about class environment and consideration when we use in the class, for effective video-conference system. And searching to check when apply A engineering college. When we will be best effect in this class, that is harmony of between video-conference system's and student's arrangement. Each structural element is teacher, student and facilitator, when will be must effective work each structural element. Specially teacher have planning and running for effective class, at that time must be thinking between teacher and student, maximum reciprocal action of between students and how to concentration. System administrator and school affairs, they are video-conference system's operation and administration. System administrator maintence and mending for system. School affairs work about video-conference class from planning to a close. Specially school affairs work with facilitator, they are planning, how to get the utility factor about video-conference. And offer evaluation feedback of each class for teacher, before class start. This video-conference class was effected teacher's operation ability, when we know through pose question and observe A engineering college case study. And we can know school affairs' publicity work's very important for effective video-conference.

      • 제 7차 교육 과정에 의한 7학년 과학 교과서 및 수업 현황에 관한 교사들의 인식

        최연심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32251

        우리가 당면한 21세기의 미래 사회를 세계화 정보화 사회로 규정하고 있다. 세계화·정보화 사회에서 요구되는 것은 새로운 과학 지식과 기술, 그리고 세계시민으로서의 협동심과 경쟁력을 갖춘 인간의 육성이다. 이러한 시대적 요구를 해결하기 위해서, 제 6차 교육과정이 개정된 지 5년밖에 되지 않으나, 새롭게 교육과정의 개정이 요청되었다. 제 7차 교육 과정은 제 6차 교육 과정에 비하여 여러 가지 특징을 가지게 되는데, 그 중의 하나는 과학과 시수가 줄어 교육 내용의 축소가 필요하며, 수준별 교육과정의 정신을 살려 심화 학습 과제를 개발을 필요로 했다. 따라서 이 연구는 7차 교육 과정에 의해 2001학년도 새롭게 실행되고 있는 중학교 1학년 '7학년 과학' 교과서에 대한 교사들의 의견을 분석하고, 학교 현장에서 7학년 과학 수업 상황을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 연구의 수집된 자료는 SPSS(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기법으로는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였고, 연구 대상자의 성별과 연령, 전공분야에 따라 7차 교육과정에 따른 과학과목에 대한 인식을 살펴보기 위해 빈도와 백분율, Likert척도에 의한 평균 산출, t-test(검증), F검증을 실시하였다. 이때 과학 과목 전담 방식은 한 선생님이 전담하여 지도하는 경우가 많았다. 일선 교사들은 교과서의 '7차 교육 과정'의 개정 중점 사항과 목표에 관련해서 대체적으로 부정적인 답변을 하였는데 그 중 과학과의 심화 보충 과정은 학생의 자기 주도적 능력은 향상시킬 것이라는 긍정적인 답변을 하였다. 대부분 지도하는 교사의 전공 과목, 연령, 학력, 분담하고 있는 방식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또한 일선 교사들은 7학년 교과서가 개정 중점 사항에 관한 내용은 국민 공통기본 교육과정이 다양한 선택의 기회를 제공한다는 것과 심화 보충 교육과정에 적합하다는 것에는 낮은 인식을 보였으나 심화보충과정은 학생들에게 자기 주도적인 학습 능력을 향상시키고 과학적인 재능을 발휘할 수 있다는 것에는 높은 인식을 보였다. 또한 학교 급간 연계성 있는 교육 과정이라는 중점 사항을 잘 반영하였는가의 문제와 탐구 요소를 명시하지 않은 것이 창의적 탐구 활동 증진에 도움이 되는가의 문제 또한 학습량의 과도를 해소하기 위한 학습량의 적정화를 이루었다는 것에는 낮은 인식을 보였다. 제 7차 교육 과정의 과학 교과 목표와 관련한 질문에서는 7학년 교과서 내용이 자연 현상과 과학 학습에 대한 흥미 증가 및 탐구 자세를 신장시키며, 실생활 문제의 과학적 해결 능력을 신장 시켰으며 교과서 내용이 탐구 활동을 통한 기본적인 과학 지식을 종합적으로 이해하도록 구성되어 있다고 인식하였으나 교과서 내용이 과학적 지식을 활용한 창의적 문제 해결과 과학과 기술 발달과 사회 현상에 미치는 영향을 인식하게 하는 각각의 질문에는 부정적 답변을 하고 있다. 제 7차 교육과정에 근거하여 수업을 실시할 때의 질문에는 수업 시수 내의 심화 보충 수업 운영에 어려움이 많고 과중한 업무, 학생수의 과다로 교육 과정의 변화를 실생활에 적용하기 어렵다와 심화, 보충 수업 자료의 부족으로 인한 어려움이 많다 순이었다. 심화·보충 학습 지도를 위한 자료를 준비하였는가의 질문에는 23-34세에서 많은 준비를 했다는 답변을 하였고 대체로 준비되지 않은 수업임을 알 수 있었고 심화·보충형의 수업을 위한 분단을 달리하며 실제 수업을 운영한 충실도를 묻는 문항에서는 낮은 점수로 답변하였다. The 7th national curricula are more distinctive and characteristic than the 6th. One of the features is that decreased science classes call for the reduction of science education, and that enrichment learning tasks should be prepared to make the differentiated curricula successful. Therefore, it's needed to create new approaches different from the existing on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what teachers thought about the 7th-grade science textbook for the first graders in middle school, which has been newly introduced in 2001, and how the 7th-grade science instruction was actually offered in school.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In many cases, science was taught by a teacher who took exclusive charge of that subject, and the most widely selected science textbook publishing company was Gyohaksa, followed by Jihaksa, Didimdol, Daeil Doseo, and Geumseong Publishing Company in the order named. In general, the teachers had a negative opinion on the textbook in terms of the major revision and object of the 7th national curricula, but the enrichment and supplementary science course was viewed favorably, as they consider them to be able to improve the self-directed ability of students. In general, the major, age and academic background of the teachers didn't make any significant difference to the way of sharing the responsibility for the courses. The idea that the national common fundamental curriculum provides a variety of choices and fits the enrichment and supplementary curriculum was rarely accepted, but they placed high value on the effect of that course on helping students enhance self-directed learning capabilities and exert scientific talent. They didn't think that there are good articulated curricula between schools of different grades, and whether creative inquiring activities could be facilitated not by specifying inquiring factors and serve to lower student workload to be on optimum level was scarcely agreed. Concerning the object of the 7th national science curriculum, they saw the 7th-grade textbook as being capable of encouraging students to take more interest in natural phenomena and science, have better inquiring mind, and develop scientific problem-solving skills for daily living. And the textbook was considered to be designed to assist a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fundamental scientific knowledge. However, they had a negative view on whether the textbook contributes to building creative problem-solving skills based on scientific knowledge, and on whether it can teach students to be aware of the development of science and its impact on social phenomena. When they offered instruction based on the 7th curriculum, they found most difficulties in putting the enrichment and supplementary course in the assigned sessions, and oversized class and heavy teacher workload made it hard to apply the changed curriculum to real life. And they also had a lot of difficulties due to the shortage of the enrichment and supplementary teaching materials. In regard to the preparation for the enrichment and supplementary teaching materials, the teachers aged from 23 to 34 made a lot of preparations, but the classes weren't generally well prepared. And there was a tendency for them not to divide class in a different way for the enrichment and supplementary course nor to be faithful in conducting the class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