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수업 공간 유형에 따른 사회과 수업 효과 비교 연구 : 교실 공간과 웹 공간을 중심으로

        이현아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8703

        웹 기반 사회과 수업(WBI) 모델을 만들기 위해 다양한 연구와 노력이 일선 학교 현장에서 이루어지고 있으며, 교육 연구의 상아탑에서도 웹 기반 사회과 수업을 위한 연구는 진전되고 있다. 그러나 기존의 선행 연구들은 웹을 기능적으로만 해석하고 있으며, 수업 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는 하나의 도구로서만 인식하고 있다. 또한 커뮤니티에 기초한 한국적 인터넷 환경의 특수성을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웹 기반 사회과 수업에 대한 기존 이론을 비판적으로 검토하고, 더불어 새로운 인터넷 트렌드를 분석해 보았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전통적인 교실 공간에서의 사회과 수업과 새로운 인터넷 트렌드에 입각한 웹 공간에서의 사회과 수업을 비교 분석해 보았으며, 웹 기반 사회과 수업이 교실에서의 사회과 수업보다 학생들의 지식·기능·태도 측면에서 더 효과가 있는지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먼저 이러한 연구 목적을 위해 다음과 같은 가설을 설정하였다. 첫째, 교실 공간에서 사회과 수업을 실시한 집단보다 웹 공간에서 사회과 수업을 실시한 집단의 내용 이해력이 더 높을 것이다. 둘째, 교실 공간에서 사회과 수업을 실시한 집단보다 웹 공간에서 사회과 수업을 실시한 집단의 자료 분석력이 더 높을 것이다. 셋째, 교실 공간에서 사회과 수업을 실시한 집단보다 웹 공간에서 사회과 수업을 실시한 집단의 토론 능력이 더 높을 것이다. 넷째, 교실 공간에서 사회과 수업을 실시한 집단보다 웹 공간에서 사회과 수업을 실시한 집단의 학습 만족감이 더 높을 것이다. 다섯째, 교실 공간에서 사회과 수업을 실시한 집단보다 웹 공간에서 사회과 수업을 실시한 집단의 협동 의식이 더 높을 것이다. 여섯째, 교실 공간에서 사회과 수업을 실시한 집단보다 웹 공간에서 사회과 수업을 실시한 집단의 참여 의식이 더 높을 것이다. 이러한 가설을 검증하기 위하여 실험 수업은 2주 동안 통제 집단과 실험 집단에 각각 6차시에 걸쳐 실시하였다. 웹 공간에서의 사회과 수업은 새로운 인터넷 트렌드의 장점을 최대한 활용하였다. 실험 수업 결과 학생들의 자료 분석력, 토론 능력, 학습 만족감, 협동 정신에 대한 가설은 채택되었고, 내용 이해력에 대한 가설은 역으로 수용되었으며, 참여 의식에 대한 가설은 기각되었다. 이러한 분석 결과는 웹 공간에서의 사회과 수업이 교실 공간에서의 사회과 수업보다 전체적으로 수업 능력과 협동 정신의 제고를 위한 민주적 시민 의식의 함양에 효과적인 방법임을 입증하는 것이다. 반면 내용 이해력은 교실 공간에서의 수업이 더 효과적이었다. 이는 웹 공간에서의 수업이 교실 공간에서의 수업보다 수업 내용에 있어서 그 폭은 넓을지언정 깊이는 오히려 얕을 가능성이 있다는 것을 말해 준다. 또한 참여 의식은 본 연구에서 기각되었다. 실천 의지는 몇 시간의 수업만으로는 함양되기 어려우며, 보다 지속적인 노력이 필요한 영역임을 알 수 있는 부분이다. 이상과 같은 연구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렸다. 첫째, 웹 기반 사회과 수업의 이론적 근거가 되고 있는 미국의 초창기 웹 기반 수업의 정의들과 개념들은 새로운 인터넷 문화를 창조하고 있는 한국적 특수성 속에서 재해석되고 재배치되어야 하며, 기존의 웹 기반 사회과 수업의 이론적 근거들과 실천들은 새로운 인터넷 트렌드의 분석과 새로운 인터넷 문화 패러다임의 토대 위에서 다시 쓰여져야 할 것이다. 둘째, 학생들을 비롯 젊은 인터넷 리더층들의 다양한 의사 표현과 소통의 도구로 활용되고 있는 기존의 인터넷 장치들을 면밀히 분석하여 학생들이 주도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의사 소통 기구로 배치시킬 수 있도록 다양한 웹 기반 사회과 수업의 연구가 필요하겠다. 셋째, 교실 안에서의 사회과 수업의 연장으로서, 학생들에 대한 민주적 시민의식의 함양을 위한 교육의 연장 차원에서도 '교실 밖' 웹 기반 사회과 수업의 조직은 절대적으로 필요하다. 넷째, 수업 결과로서의 협동 정신의 함양은 단지 그러한 의식의 고양으로만 그치는 것이 아니라 구체적인 실천으로 옮겨지고 행동으로 조직화 될 수 있는 형태로 나타나야 한다. 교사와 학생간의 의사소통이 막히지 않고 학생과 학생간의 의사소통 역시 학급과 학교 울타리라는 경계를 넘어 같은 지역과 학년, 고등학생 등으로 연대 되야 하며 교사와 교사 간에도 연대의 조직은 필요하다. 특히 구성주의의 '학습자 중심'이라는 허황된 논리 속에서 뒷걸음질 쳤던 교사의 적극적인 지도의 역할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침이 없다. This research has been carried out to show the differences of effectiveness in lesson caused by types of places where the lessons are given. Through the experimental lessons, I intended to prove that the web space was a more effective learning space than the traditional classroom in order to improve students' knowledge, function and attitude. As for the knowledge, I examined the differences of the ability of the two groups in understanding text and analyzing resources. As for the function, the gaps in discussing ability were considered, and as for the attitude, degree of satisfaction in learning, cooperation, and participation were considered. As the result of the experimental lessons, I accepted the hypothesis of analysis of resources, discussing ability, degree of satisfaction in learning, and cooperation. I also accepted the reverse of the hypothesis of ability to understand the text but I abandoned the hypothesis of participation. As a whole, it is proved that in social study, lesson in the web space is more effective than that in the traditional classroom.

      • 직장인 성인학습자의 교육대학원 실시간 비대면 수업 경험 탐색 - COVID-19로 인한 수업방식과 공간 변화를 중심으로 -

        이소희 서울시립대학교 교육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8701

        본 연구는 COVID-19로 실시간 비대면 수업을 경험한 직장인 성인학습자의 교육대학원 수업방식과 공간 변화에 따른 수업 경험을 고찰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연구자는 직장인 교육대학생의 실시간 비대면 수업에서 두 가지 측면의 특이성을 발견하였다. 첫째, 개별 공간에서 진행되는 비대면 수업으로 학습자 간 단절을 경험하고, 이로 인해 수업의 적극적인 참여가 제한되고 있었다. 둘째, 직장인 성인학습자로서 학생 역할에 대한 중심 공간인 학교라는 물리적 공간이 사라졌고, 이 때문에 각자 공간을 확보하여 수업에 참여해야 했다. 학교 외 공간에서의 수업은 접근성의 확대로 직장인 성인학습자의 다양한 역할을 수행하는데 용이함을 주었지만, 학생으로서 수업의 몰입을 어렵게 했고 대학원생이라는 인식도 옅어지게 했다. 이에 본 연구는 갑작스럽게 도입된 교육대학원의 실시간 비대면 수업에 대한 직장인 성인학습자의 경험을 드러내는 것에 중점을 두었다. 이를 위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직장인 성인학습자는 교육대학원의 실시간 비대면 수업방식에 어떻게 적응하고 있는가? 둘째, 직장인 성인학습자는 교육대학원의 실시간 비대면 수업으로 인한 물리적 공간 변화를 어떻게 경험하고 있는가? 이를 위해 COVID-19의 상황으로 비대면 수업을 경험한 직장인 교육대학원생을 대상으로 개별 심층 인터뷰 및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통한 질적연구를 진행하였으며,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COVID-19로 실행된 교육대학원의 실시간 비대면 수업은 학습자 간 분리된 공간에서 수업 참여가 이루어졌다. 이로 인해 학습 커뮤니티 형성이 어려워졌고, 발표와 토론이 많은 수업에 대한 참여의 비적극성이 나타났다. 또한 새로운 수업방식에 각자 적응하는 시간이 필요했으며, 수업의 집중이 떨어졌다. 둘째, 학교 공간은 수업을 진행하는 장소라는 의미 이상의 학생이라는 역할 인식과 몰입에 영향을 주는 요소이다. 직장인 성인학습자에게 대면 수업의 학교 공간은 직장과 가정에서 분리되어 학생 역할에 집중할 수 있는 장소였다. 구성원과 공간을 공유함으로써 학교와 관련된 대화를 나누고, 정보를 교환하며 자연스럽게 학생으로서 역할 전환을 경험했다. 하지만 비대면 수업은 불안정한 공간에서 수업에 참여함으로써 직장인 성인학습자로서 학생에 대한 인식을 어렵게 했다. 본 연구는 그동안 주목하지 않았던 수업공간 변화를 중심으로 비대면 수업 경험을 탐색함으로써 다중역할을 수행하는 성인학습자의 수업방식과 수업공간이 주는 의미를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 다만, 개인의 특성에 따른 차이와 일반화의 한계가 있을 수 있다. 또한, 일반적인 원격 수업이 아닌 COVID-19로 인한 실시간 비대면 수업에 관한 연구임을 밝혀둔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를 보완하기 위한 후속 연구를 제언하면 첫째, 연구대상과 범위를 확대하여 직장인 성인학습자의 다양한 수업 경험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둘째, 수업공간과 학습에 관한 심도 있는 탐색과 실시간 비대면 수업에 적합한 수업공간을 고찰하는 것도 의미가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classroom experience according to  the  change  of  the  teaching  method  and  space  of  worker  adult  learners  who experienced  real-time  non-face-to-face  classes  due  to  COVID-19. The researcher discovered the peculiarities of two aspects in the real-time non-face-to-face class of workers, graduate students of education. First, students experienced disconnection between learners due to non-face-to-face classes conducted in individual spaces, which limited their active participation in classes. Second, the physical classroom space, the school, which is the central space for the student's role as a worker adult learner, disappeared, and for this reason, they had to participate in the class in their own space. Classes  outside  of  school  provided  ease  of  access  to  the various  roles  of worker  adult  learners,  but  made  it  difficult  for  students  to  immerse  themselves  in  the  class  and  diminished  the perception  of  being  a  graduate  student. This study focused on revealing the experiences of worker  adult  learners in real-time non-face-to-face classes at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which was suddenly introduced. The research questions for this are as follows. First, how are worker  adult learners adapting to the real-time non-face-to-face class method of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Second, how do adult learners of workers experiences changes in the classroom space due to real-time non-face-to-face classes at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To  this  end,  a  qualitative  study  was  conducted  through  individual in-depth  interviews  and  focus  group  interviews  for  workers  graduate  students  of  education  that  experienced  non-face-to-face  classes  due  to  the  COVID-19  situation,  and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real-time  non-face-to-face  class  of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which  was  implemented  due  to  COVID-19,  was  made  in  a  class  participation  method  in  a  space  separated  between  learners. This made it difficult to form a learning community, and the inactivity of participation in classes of many presentations and discussions appeared. In addition, it took time for each to adjust to the new teaching method, and the concentration of class was reduced. Second, the school space was a factor that affected students' role recognition and immersion beyond the meaning of a place where classes were conducted. For adult learners, the school's face-to-face classroom space was a place where they could focus on student roles, separated from work and home. By sharing a space with members, they had conversations related to the school, exchanged information, and naturally experienced a role changes as a student. However,  made  it  difficult  for  students  to  recognize  workers  adult  learners  as  students  by  participating  in  classes  of  an  unstable  space  with  real-time  non-face-to-face classes. This study can help adult learners who play multiple roles to understand the meaning of class space and class methods by exploring the non-face-to-face class experience focusing on changes in class space that have not been noticed until now. However, differences according to individual characteristics and there may be limitations on generalization. Also, let me clarify that this is a study on real-time non-face-to-face classes due to COVID-19, not general remote classes. Finally,  if  we  suggest  a  follow-up  study  to  supplement  this  study,  first,  it  is  necessary  to  expand  the  scope  of  research  students  and  study  the  various  class  experiences  of  worker  adult  learner. Second, it would be meaningful to consider a class space suitable for in-depth exploration of class space and learning and real-time non-face-to-face classes.

      • 학교 공간 혁신 사례를 통한 초등 미술과 공간 디자인 수업 방안 연구 : 강원도 지역 초등학교 6학년을 대상으로

        홍은영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32319

        본 연구는 학교 공간 변화에 대한 시도가 활발하게 이뤄지고 있는 현 시점에서 교육과정과 연계한 학교 공간 혁신에 대한 요구와 수업 방안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에 따라 시작되었다. 연구의 목적은 학교 공간 혁신 관련 미술 수업 사례의 분석을 통해 초등 미술과에서의 공간 디자인 수업 방안을 제안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는 데 있다. 연구자는 실행연구 과정에 따라 수업을 실행하고 다양한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수집한 자료는 질적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2015 개정 초등학교 미술과 교과서 13종에 대한 분석 결과 초등학교 미술 교과서 내용을 기반으로 공간 디자인 수업을 설계하는 것은 적합하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둘째, 강원도의 학교공간혁신 관련 미술 수업 사례 분석을 통해 ‘공간의 의미 이해 활동’, ‘카메라와 사진 활용하기’, ‘다양한 재료 탐색과 프로토타입 제작지도’의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셋째, 본 연구에서 제안한 초등 미술과에서의 공간 디자인 수업의 결과를 ‘공간을 발견하다, 알면 비로소 보이는 공간’, ‘공간의 주인을 깨닫다, 우리가 만드는 공간’, ‘더 나은 공간을 고민하다, 디자인의 즐거움’, ‘작품으로 표현하다, 디자인에 표현력 더하기’의 네 가지 범주로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후속 연구에 대해서는 다음과 같이 제언하였다. 첫째, 학교급 간의 연계성을 고려한 체계적인 미술 공간 디자인 수업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둘째,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다교과 · 주제중심 융합수업으로 발전시켜 수업을 설계할 수 있을 것이며, 수업 실행을 통한 효과 검증도 필요하다. 셋째, 학교 교육 현장에서의 미술 교과 입체 조형 표현 활동에 대한 수업 내실화가 필요하다.

      • CAI에서 造作型 수업이 학습과제 유형 및 학습자의 공간지각력에 따라 학업성취에 미치는 효과 : 중학교 기술·가정 교과 '기계요소'를 중심으로

        이창로 공주대학교 교육정보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32317

        본 연구는 CAI에서 '造作型 수업'이 학습과제 유형 및 학습자의 공간지각력에 따라 학업성취에 미치는 효과에 의의 있는 차이가 있는지를 규명하여 CAI에서 '造作型 수업'의 타당성을 검증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 '조작형 수업'은 학습자가 컴퓨터로 학습정보를 만들어 가는 수업으로 사용되어졌다. 본 연구에서의 연구문제 및 가설은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Ⅰ : CAI에서 造作型 수업과 提示型 수업은 학습과제 유형별 학업성취에 어떠한 효과의 차이가 있는가? <가설 1> CAI에서 造作型 수업과 提示型 수업은 이해과제 학업성취에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낼 것이다. <가설 2> CAI에서 造作型 수업과 提示型 수업은 적용과제 학업성취에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낼 것이다. 연구문제 Ⅱ : CAI에서 수업방법(造作型 수업과 提示型 수업)과 학습자의 공간지각력(상위수준과 하위수준)은 학습과제 유형별 학업성취에 상호작용 효과가 있는가? <가설 3> CAI에서 수업방법(造作型 수업과 提示型 수업)과 학습자의 공간지각력(상위수준과 하위수준)은 이해과제 학업성취에 상호작용 효과가 있을 것이다. <가설 4> CAI에서 수업방법(造作型 수업과 提示型 수업)과 학습자의 공간지각력(상위수준과 하위수준)은 적용과제 학업성취에 상호작용 효과가 있을 것이다. 이 가설을 검증하기 위하여 충청북도에 소재하는 OO 중학교 2학년 학생을 造作型 수업 집단과 提示型 수업 집단에 각각 30명씩 배정하고, CAI에서 造作型 수업과 提示型 수업으로 처치되었다. 수업은 45분 단위의 수업을 5시간 처치하였으며, 수업이 종료된 직후 학습과제 유형별 학업성취도를 측정하여 선수학습 검사 결과와 함께 가설 검증을 위한 통계분석의 자료로 삼았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CAI에서 造作型 수업과 提示型 수업은 이해과제 학업성취에 의의있는 효과의 차이가 없었다(p>.05). 2) CAI에서 造作型 수업과 提示型 수업은 적용과제 학업성취에 의의있는 효과의 차이가 있었다(p<.01). 3) CAI에서 수업방법(造作型 수업과 提示型 수업)과 학습자의 공간지각력(상위 수준과 하위 수준) 사이에는 이해과제 학업성취에 상호작용 효과가 없었다(p>.05). 4) CAI에서 수업방법(造作型 수업과 提示型 수업)과 학습자의 공간지각력(상위 수준과 하위 수준) 사이에는 적용과제 학업성취에 상호작용 효과가 있었다(p<.05). 결론적으로 학습과제 유형과 학습자의 적성 수준에 따라 교수처치가 달라져야 한다는 것이다. 특히 CAI에서 造作型 수업은 학습과제 유형 측면에서는 적용과제에서, 적성 수준 측면에서는 공간지각력이 낮은 학습자에게 학습성취 효과를 높일 수 있는 한 방법이 된다는 점을 시사해 주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effects of task-based instructional method on academic achievement according to the types of learning tasks and the space perception ability labels in CAI. In this study, the term 'task-based method' was used as a method of making information by learners themselves in CAI. The problems and hypotheses for this study were as follows: [Problem Ⅰ] : When two instructional methods(task-based method and presentation method) are used in CAI, which method will be more effective in academic achievement according to the types of learning tasks in CAI ? <Hypothesis 1> : There would be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academic achievement of understanding relationships between task-based method group and presentation method group in middle school technology and home economics CAI class. <Hypothesis 2> : There would be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academic achievement of applying skills between the two groups in middle school technology and home economics CAI class. [Problem Ⅱ] : Which method is more effective in the academic achievement, task-based method and presentation method, according to both of the types of learning tasks and the learners' space perception ability levels in CAI ? <Hypothesis 3> : There would be a significant co-relative effect in the academic achievement of understanding relationships between instructional methods and learners' space perception ability levels in middle school technology and home economics CAI class. <Hypothesis 4> : There would be a significant co-relative effect in the academic achievement of applying skills between instructional methods and learners' space perception ability levels in middle school technology and home economics CAI class. To test above hypotheses, two groups of 2nd grade students were selected from ○○middle school located in Chungbuk, Korea. The number of subjects in each group was 30 respectively. The experimental group was treated with task-based instructional method and the other treated with presentation one in the CAI classes. The learning contents titled 「Understanding of Machinery」 was selected from technology and home economics textbook for the 2nd grade middle school students. For the experiment, a sequence of 5 experimental classes were presented to both groups respectively.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academic achievement of understanding relationships between the two groups(p > .05). That is to say, for the understanding tasks, the two instructional methods did not show any differences in the academic achievement. 2)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academic achievement of applying skills between the two groups(p < .01). That is to say, for the applying tasks, the task-based method was more effective than the presentation one in the academic achievement. 3) The two teaching methods in CAI mentioned above did not show any interaction effects with the students' space perception ability on the scores of achievement tests related to understanding relationship (p>.05). 4) The two teaching methods in CAI mentioned above showed a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s with the students' space perception ability on the academic achievement of applying skills (p<.05). That is to say, for the low level students in space perception ability, the task-based method was more effective in both understanding tasks and applying tasks. In conclusion, according to types of learning tasks and levels of students space perception ability, teaching methods should be changed. It is suggested that the task-based instructional method in technology and home economics CAI class can enhance the academic achievement of applying tasks, especially for the low-level students in space perception ability.

      • 컴퓨터 音樂을 이용한 音樂 授業 및 사이버공간에서의 活用에 관한 연구

        이종구 東洋大學校 敎育大學院 2003 국내석사

        RANK : 232253

        본 연구의 목적은 컴퓨터 음악 프로그램인 Cakewalk, Music pro를 이용하여 다양한 형태의 반주 음악을 제작하여 현장 수업 시 학생들이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를 조사하여 그 결과에 따라 음악 수업의 방향을 제시함에 있으며, 사이버 공간을 이용하여 멀티미디어 학습자료로 학생들의 음악적 흥미와 학습 동기 강화, 적극적인 학습 태도, 실기 기능의 신장을 위함에 있다. 연구의 대상은 경상북도 봉화군 봉화읍에 소재한 봉화고등학교 1, 2학년 4개반 113명이며, 수업 연구로 제시된 곡은 '청산에 살리라', '그대를 사랑해', '합창 교향곡', 등이다. 본 연구의 결과에 의하면 컴퓨터 음악과 멀티미디어 감상 도구를 이용하여 사이버 학습실을 운영함으로써 학습에 대한 흥미와 자기주도적 학습 능력이 향상되어 학업 성취도와 실기 기능이 향상되었음이 입증됐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using many different forms of accompany music produced using Cakewalk and Music Pro, computer music programs, According to results of research, I want to propose a new direction of music class based on the other purpose is to extend students' musical interest, intensification of study motivation, progressive learning attitude and practical function of using multi-media study material obtained through cyber space. The subjects of the research were 113 students in 4 classes of the first and second grade in Bonghwa High School located in Bonghwa-eup, Bonghwa-gun, Gyeongsangbuk-do. The songs presented for the class research were 'I'd like to live in green Mountain', 'Ich liebe dich', and 'Beethoven Symphony No.9 in d minor Op.125 Choral'.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they were proven that operating cyber class using the computer music and multi-media appreciation tool improved students' interest in learning and self-motivating learning ability thus improving the study achievement and practical functions.

      • 지리과 교실수업 평가에서의 공간적 사고의 평가도구 개발

        마경묵 高麗大學校 大學院 2010 국내박사

        RANK : 215935

        In geography education, there is lately a growing concern for spatial thinking, and fostering spatial thinking is emerging as one of major objectives of geography education. Spatial thinking refers to a series of mental activities that encode spatial information of things occupying a particular space, represent and transform the spatial images of the space, infer the spatial relationship and make a decision. Spatial thinking is one of core thinking that is more important in geography education than in any other kind of education, since a space is an object of inquiry and thinking in geography education. In fact, however, just a few studies of geography education have centered around spatial thinking, and few studies have ever made an intentional attempt to evaluate spatial thinking in geography class. Psychological tests like intelligence test are major ways to assess spatial thinking, but this kind of tests can rate only the fragmentary function of spatial ability and has nothing to do with their real life or improvement of think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geography evaluation items of classroom-teaching assessment type in a bid to overcome the limits of existing psychological tests, to evaluate spatial thinking in problem situations similar to real situations requiring spatial thinking, and to improve spatial thinking. And it's additionally meant to explore the validity of the developed items and their applicability into assessment of classroom teaching.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relevant literature was reviewed to find out the characteristics of spatial thinking and the roles of spatial thinking in geographic inquiry. Spatial thinking denotes a sort of mental action that encodes the spatial information acquired through the organs of sense and perception about things occupying a particular space, represents and transforms the spatial images of it for the purpose of problem solving, infers the spatial relationship and make a spatial decision. Unlike spatial ability that stresses fragmentary elements, spatial thinking is a multidimensional term that requires lots of research and elaboration efforts. Roughly speaking, spatial thinking consists of subfactors involving spatial representation, transformation of representation, spatial orientation, spatial reasoning and spatial relationship. Spatial thinking is definitely a unique thinking that is differentiated from the other sorts of thinking. That is unique in terms of not only its components and process but development, gender gap and related brain activities. At the same time, however, that is one of the components of thinking that acts by being united to the other kinds of thinking, and it's far more effective to perform tasks requiring different sorts of abilities than to train spatial thinking only. Indeed, spatial thinking plays a key role in geographic inquiry. A geographic inquiry needs various kinds of spatial thinking such as spatial visualization, spatial orientation, spatial relationship and spatial reasoning irrespective of the object of the inquiry. That is the key of geographic thinking that takes place in geographic inquiry process and is supplemented by mathematical thinking and verbal thinking. A geographic inquiry takes place through the complex action of geographic knowledge, geographic function, geographic theories, geographic models and geographic imagination, and the core of geographic knowledge is spatial thinking. Second, the evaluation of spatial thinking has mainly been done in the form of psychological tests. The limitations of this kind of evaluation were discussed, and geography evaluation that took the form of classroom-teaching assessment was proposed in this study as a possible alternative. When existing intelligence tests and psychological tests were analyzed, those tests just rated the fragmental function of spatial ability, and they were neither in line with the real life of students nor contributed to the improvement of their thinking. Geography evaluation that took the form of classroom-teaching assessment could be a successful alternative to resolve the problems. The assessment of spatial thinking that is done through geography evaluation makes it possible to rate comprehensive spatial thinking in association with the real life of students, to foster their spatial thinking faculty and to employ a variety of evaluation methods. Third, after evaluation items of geography classroom teaching were developed to rate spatial thinking, the validity and applicability of the developed items were verified by experts. A three-dimensional evaluation framework that consisted of three themes involving spatial thinking, geographic inquiry and geography learning was organized, and the functions of spatial thinking that could be rated by geography evaluation were segmented, and then 14 items were developed for each of the functions of spatial thinking. The 14 items were in the form of assignment given by teachers to students in geography class, and they covered various themes that were dealt with in secondary geography instruction. In order to check the effectiveness of the items as an assessment tool of spatial thinking, the content validity of the items was verified by experts. The experts were asked to rate the CVR value of the items in collaboration, and all the 14 items turned out to meet the minimum requirements. It showed that the geography evaluation that took the form of classroom-teaching assessment makes it possible to rate spatial thinking. In addition to the verification of content validity, item evaluation was carried out to see whether the items required a combination of different sorts of thinking, had something to do with the lives of learners and could foster their spatial thinking faculty. And most of the experts agreed that the geography evaluation items had the merits of classroom- teaching assessment. The findings of the study indicated that the geography evaluation of classroom-teaching assessment type could rate the emergence process of spatial thinking in problem situations similar to real ones. Therefore this evaluation makes it possible to rate the spatial thinking of students in association with their actual life and to let them foster their spatial thinking by experiencing different sorts of spatial thinking during the evaluation process. The findings of the study suggest that geography education could make a contribution to the improvement of spatial thinking, which is mandatory for human survival. The attempts and efforts to improve spatial thinking through geography education will lend credibility to the educational oughtness of geography education by proving the usefulness of that education not only as part of academic education but a subject to be of use for the development of essential human abilities. 최근 지리 교육 분야에서 공간적 사고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공간적 사고를 향상시키는 것이 지리 교육의 중요한 목표 중에 하나로 부각되고 있다. 공간적 사고란 공간을 점유하고 있는 사물에 대한 공간 정보를 부호화하고, 공간적 이미지들을 표상 &#8228; 변환하며, 공간 관계를 추론하고 의사결정을 내리는 일련의 정신적 활동을 말한다. 공간을 탐구와 사유의 대상으로 삼는 지리학과 지리 교육에서 공간적 사고는 그 요체로서 다른 어떤 학문이나 교과보다도 중요시되는 핵심적 사고이다. 그런데 지리 교육 연구에서 교육 현장에 적용 가능한 구체적 사례 연구가 미흡한 실정이다. 특히 지리 교육을 통해 공간적 사고를 의도적으로 평가하려는 시도나 이에 대한 연구는 매우 미흡하다. 공간적 사고의 평가는 주로 지능 검사와 같은 심리 검사 방식을 중심으로 이루어져 왔는데 이런 방식의 공간 능력 평가는 공간 능력의 단편적 기능만을 측정하고, 학습자들의 실제 삶의 맥락에서 벗어나 있으며, 그들의 사고 향상에 도움을 주지 못하는 등의 한계점들을 가지고 있었다. 이런 배경 하에 본 연구는 기존의 심리 검사 방식의 한계를 극복하고 실제 공간적 사고의 발현과 유사한 문제 상황에서 공간적 사고를 평가할 수 있으며, 평가와 동시에 공간적 사고의 향상을 기대할 수 있는 교실수업 평가 방식의 지리 평가 문항을 개발하고, 개발된 문항의 타당도와 교실수업 평가에의 적용 가능성을 밝혀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의 핵심 주제인 공간적 사고의 특성과 공간적 사고가 지리 탐구에 어떤 역할을 하는지를 문헌 분석을 통해 알아보았다. 그동안의 공간적 사고에 대한 개념적 논의를 종합하면 공간적 사고란 인간의 정신 작용의 일종인데 감각 지각을 통해 획득된 일정한 공간을 점유하고 있는 사물에 대한 공간 정보를 부호화하고 다양한 문제 상황에서 이용하기 위해 이런 공간적 이미지들을 표상하고 변형하며, 공간 관계를 추론하고 공간적 의사결정을 내리는 모든 정신활동이라고 할 수 있다. 공간적 사고는 단편적인 요소를 강조하는 공간 능력과는 달리 다면적 속성을 가진 용어로 더 많은 연구와 정교화가 필요하겠지만 대략적으로 공간적 사고는 공간 표상, 표상의 변환, 공간 정향, 공간 추론, 공간 관계 등의 하위 요소들로 구성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 한편 공간적 사고는 지리 탐구의 핵심적 역할을 수행한다. 지리 탐구의 과정에는 다루어지는 대상과 관계없이 공간적 시각화, 공간 정향, 공간적 관계, 공간 추론 등의 다양한 공간적 사고를 필요로 한다. 지리 탐구는 공간적 사고를 핵심으로 하는 지리적 사고를 중심으로 지리적 지식, 지리적 기능, 지리적 이론과 모델 그리고 지리적 상상력 등이 복합적으로 작동하면서 이루어진다. 결과적으로 지리 탐구 과정에서 작동하는 지리적 사고의 핵심은 공간적 사고이며 기타 수학적 사고, 언어적 사고 등이 그것을 보완하는 사고로 작동한다. 둘째, 기존의 공간적 사고의 평가는 주로 심리 검사 방식으로 진행되었는데 이런 평가 방식의 한계점을 살펴보고 그 대안으로 교실수업 평가 방식의 지리 평가를 제시하였다. 먼저 기존의 지능 검사와 심리 검사들을 분석해 본 결과 이런 검사들은 공간 능력의 단편적 기능만을 측정하고, 아동들의 실제 삶의 맥락에서 벗어나 있으며, 아동들에게 사고 향상에 도움을 주지 못하는 등의 한계점들을 가지고 있었다. 이런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대안으로서 본 연구에서는 교실수업 평가방식의 지리 평가를 제시하였다. 지리 평가를 통한 공간적 사고의 평가는 종합적인 공간적 사고에 대한 평가가 가능하며, 실제의 삶의 맥락 속에서의 평가가 가능하고, 평가의 과정 속에 공간적 사고력을 신장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 받을 수 있으며, 다양한 평가 방법을 활용할 수가 있다는 장점이 있다. 셋째, 공간적 사고를 평가하기 위한 지리과 교실수업 평가 문항을 개발하고 이의 타당도와 적용가능성을 전문가 평가를 통해 검증해 보았다. 먼저 문항 개발을 위해서 공간적 사고, 지리 탐구, 지리 학습의 주제로 구성된 3차원의 평가틀을 구성하고 지리 평가를 통해 평가할 수 있는 공간적 사고 기능들을 상세화하였으며, 상세화한 공간적 사고의 기능별로 총 14개의 문항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14개의 문항들은 일반적으로 지리 수업에서 교사가 학생들에게 제시하는 과제의 형식을 취하고 있으며 중등 지리 학습에서 다뤄지는 지리 학습의 다양한 주제들을 대상으로 개발되었다. 개발된 문항들이 공간적 사고를 제대로 평가하고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해서 전문가 평가를 통해 내용 타당도를 검증해 보았다. 내용 타당도는 전문가 집단의 합의도에 기초한 CVR값을 통해 살펴보았다. 그 결과 14문항 모두 최소값 이상인 것으로 확인되었는데, 이는 곧 교실수업 평가 방식의 지리 평가를 통해서 공간적 사고의 평가가 가능하다는 점을 보여준다고 하겠다. 내용타당도와 더불어 개발된 문항들의 해결과정에서 다양한 사고의 결합이 필요하며, 학습자들의 삶의 맥락과 관련되어 있고, 과제를 해결하는 중에 공간적 사고력의 신장이 가능한지에 대한 문항 평가를 병행하였다. 대부분의 전문가들은 제작된 지리 평가 문항들이 교실수업 평가 방식의 장점들을 가지고 있음에 동의하였다. 이상의 논의들을 통해 교실수업 평가 방식의 지리 평가가 실제 공간적 사고가 발현되는 과정과 유사한 문제 해결 상황에서 평가가 이루어질 수 있어 학생들의 삶의 맥락과 연계된 평가가 가능하다는 점과 평가의 과정에서 학생들에게 다양한 형태의 공간적 사고를 경험하게 함으로써 공간적 사고를 향상시킬 수 있다는 점을 보여주었다. 이런 결과들은 지리 교과가 공간적 사고 함양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인간 지능의 계발과 발달에도 도움을 준다는 것이 정당화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전통회화의 공간표현 특성을 활용한 수업지도방안 연구

        김소연 전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15919

        7차 교육과정에 들어와서 전통회화만을 다루는 단원이 생기고, 근래에 들어서는 한국화라는 용어도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사실들을 보면 전통회화가 제자리를 잡아가고 있는 듯하다. 그러나 참고작품만으로 제시되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전통회화에 대하여 자세히 다루는 단원은 5학년의 '수묵화와 채색화' 뿐이다. 그 또한 전통회화에 대하여 본질적인 접근을 하지 못한 채 교재를 구성하였다. 또한 참고작품들로 제시된 전통회화들은 전통회화가 가지고 있는 공간표현 특성을 보여주지 못하고 있다. 교과서나 교사용 지도서에 제시되어 있는 자료들도 충분치 못하다. 교사들이 보고 활용할 수 있는 자료들이 갖추어져있지 않은 것이다. 실제로 교과서나 교사용 지도서에는 전통회화의 특성에 대해서 거의 언급되어 있지 않으며, 재료와 용구의 사용법에 대한 언급에 그치고 있다. 그러므로 지금의 이러한 미술교육은 제대로 된 전통회화 교육이 아니다. 그래서 본 연구의 목적은 전통회화의 공간표현 특성을 활용한 수업지도를 통하여 아동들이 전통 미술에 흥미와 관심을 갖도록 하고, 전통회화의 공간표현 방식의 고유한 특성을 이해하게 하여 전통 미술을 전통적인 관점으로 보도록 하는 것이다. 전통회화의 공간표현 특성을 활용한 수업지도방안을 개발하여 현장에 적용하고 그 효과를 밝히기 위한 연구 내용 및 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교 전통회화 교육에서 공간표현 특성의 적용 가능성을 알아보기 위해, 전통회화의 공간표현 특성을 알아보고, 전통회화와 아동화의 표현 특성을 비교하기 위하여 참고 문헌과 선행 연구물을 고찰한 후, 교육적 의의를 제시하였다. 둘째, 전통회화의 공간표현 특성을 지도하기 위한 실제 교수·학습 지도안은 미술과 교사용 지도서와 선행 연구물을 참고하여 개발하였다. 셋째, 실제 수업안을 미술교육 현장에 적용하고 아동들의 반응과 작품 결과를 분석하였다. 그리고 적용 전, 후의 아동 작품을 비교하고, 미술 활동 학습지를 분석하여 전통회화 공간표현 특성의 적용 가능성과 그 효과를 알아보았다. 이렇게 전통회화의 공간표현 특성을 활용한 수업 지도를 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화면의 구성이 융통성이 있고, 자유롭다. 둘째, 이동시점과 산점투시를 사용하여 그림이 다양해졌으며 작품에서 움직임과 역동성을 느낄 수 있었다. 셋째, 여백을 고려하여 그렸기 때문에 아동의 작품이 함축적이고, 여운을 느낄 수 있었다. 넷째, 공존화 표현 방식을 이용하였기 때문에 아동들이 훨씬 자유롭고 역동적인 화면을 구성할 수 있었다. 다섯째, 비례를 왜곡하여 표현함으로써 아동들이 적극적으로 표현할 수 있었다. 여섯째, 다양한 주제, 표현 방법으로 전통회화를 그릴 수 있어서 아동들의 전통회화에 대한 흥미 진작에 긍정적인 효과를 보았다. 일곱째, 전통회화의 공간표현 특성에 대해 배움으로써 우리 전통회화에 대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알고, 이해하게 되었다. 여덟째, 전통회화의 공간표현 특성을 배움으로써 우리 전통회화를 우리의 전통적인 관점으로 감상할 수 있게 되었다. 아홉째, 전통회화의 공간표현 특성이 아동화의 공간표현 특성과 유사하여, 그와 연관시켜 전통회화의 공간표현 특성을 추출하여 지도했기 때문에 아동들이 공간표현 특성을 더 잘 이해하고, 친근하게 느끼며 흥미를 가지고 수업에 참여하였다. 열째, 전통회화에 대한 호감도가 높아졌다. 이처럼 전통회화의 고유한 특성에 대한 바른 이해가 미술교육에서 이루어져야 할 것이며, 그러기 위해서는 가르치는 교사의 많은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또한 앞으로도 전통회화에 대한 많은 연구가 계속되어 아동들이 전통문화에 자긍심을 갖고 진정한 전통회화 교육을 받을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As long as unit who enter and handle korean traditional painting in the 7th education curriculum occur, and enters at recent times, terminology that is Korean painting is used. If see these truths, korean traditional paintings is seeming to pick at place. But, member of party who deal in detail about korean traditional paintings except case that is presented to reference work is only 'Chinese ink picture and colored picture' of fifth grade student. Doing not essential access about korean traditional paintings also, composed teaching material. Bear also and korean traditional paintings that is presented to works do not show space expression attributes that only korean traditional paintings has. Datas that is presented a text book or guide for teacher are not enough. Datas that teachers see and active are not equiped. Actually, is being untold almost about special quality of korean traditional paintings in a text book or guide for teacher, and stop on reference about directions of material and tool. Therefore, present these art education is not korean traditional paintings education that become properly. So, purpose of this study is that make children have interest and interest in tradition art through instruction plan using space expression attributes of korean traditional painting, and that make to see tradition art as traditional viewpoint because do to understand peculiar characteristic of space expression mode of korean traditional paintings. Apply in spot developing instruction plan using space expression attributes of korean traditional paintings and research contents and method to clear the effect are as following. First, presented educational sense after search space expression attributes of korean traditional paintings and investigate literature cited and research reports to compare expression attributes of korean traditional paintings and child's painting, to search application possibility of space expression attributes in elementary school korean traditional paintings education. Second, actual studying guidance plan to guide space expression attributes of korean traditional paintings references and developed guide for teacher of art and research reports. Third, applied actual instruction plan in art education spot and analyze children's effect and work result. And analyze art activity studying paper and search application possibility and the effect of space expression attributes of korean traditional paintings. Got following result as result that teach instruction plan using space expression attributes of korean traditional paintings so. First, composition of screen is flexible and, free. Second, picture became various and could feel action and dynamic attribute in work because using moving visual point and disperse points perspective. Third, child's work could be implication enemy, and feel trailing note because painted considering unfilled space. Fourth, children could compose far free and dynamic screen because used expression way coexistence. Fifth, children could express positively by expressing distorting ratio. Sixth, saw affirmative effect on interest stimulation for children's korean traditional paintings because could paint korean traditional pictures by various subject, expression method. Seventh, knew little more concretely about our korean traditional paintings as learning about space expression attributes of korean traditional paintings, and understand. Eighth, could appreciate our korean traditional paintings by our traditional view point as learning space expression attributes of korean traditional paintings. Ninth, because space expression attributes of korean traditional paintings is resemblant with space expression attributes of children's painting, draw and guided space expression attributes of korean traditional paintings because connect with it, children understand better space expression special quality, and to be intimate and took part in lesson with interest. thenth, good feeling degree for korean traditional paintings rose. In this way, right comprehension about peculiar special quality of korean traditional paintings may have to consist in art education, and may need many efforts of teacher which teach to do. Also, because much researches for korean traditional paintings are continued forward, must do so that children may can have pride to culture heritage and take genuine korean traditional paintings edu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