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日本語受動文の動作主表示と他動詞の関係の研究

        김미연 韓國外國語大學校 大學院 2010 국내박사

        RANK : 247807

        일본어 수동문의 동작주 표시와 타동사의 연구 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 일어일문학과 김미연 본 논문은 일본어수동문에 있어서의 동작주 표시와 주어의 특징을 주로 후접 동사의 성질과의 상관성에 대해 대체로 수량적인 측면에서 논하고자 한 것이다. 그 연구 결과를 정리해보면, 우선, 1)동작주의 표시별로 많이 사용되는 동사종류를 제시해 보면, 「に」는 선행연구에서 지적하고 있듯이 감정, 언어동사(よびか け) 등의 기술에 많이 사용되나, もようがえ, 態度, ふれあいの動詞, 意志活動の動詞등, 다양한 타동사의 경우에도 자주 쓰이는 것을 알 수 있다. 態度的な動詞가 20%로 가장 높은 숫자를 나타내고 있고, 언어활동(よびかけ) 동사가 16%를 차지하고 있고,ふれあいの動詞가 15%를 차지하고, 위치변화 동사가 14%,もようがえ動詞가 11%를 차지하고 있다. 따라서, 동작주 표시 「に」의 표출 특징은 주로 태도적인 동사와, 언어활동(よびかけ)의 표현 및 위치변화의 동사와 ふれあいの動詞의 경우에 자주 사용되고 있는 것이 아닐까 한다. 그리고 「から」는 선행연구에서 지적하고 있듯이 감정, 언어동사 (よびかけ)등의 기술에 많이 사용되고 있으나, 위치변화, 태도 등, 다양한 타동사의 경우에도 자주 사용되는 것 같다. 언어활동 (よびかけ)동사의 경우가 전체의 41%를 차지하고, 다음에 태도동사, 그리고 위치변화 동사가 각각 비교적 높은 퍼센트를 보이고 있다. 따라서, 동작주 표시「から」의 표출의 특징은 주로 언어활동(よびかけ)과, 태도의 표현, 위치변화 및 もようがえ의 동사에 자주 사용되는 것이 아닐까 한다.「から」의 경우는 기점으로서의 논점과 감정, 언어동사(よびかけ)와의 사용이 논해져 왔는데, 본 논문의 조사에서는 언어의 경우가 압도적으로 많고, 그 다음으로 태도, 위치변화의 동사의 경우가 많았다. 다음에 「によって」의 경우, 선행연구에서 지적하고 있듯이 논설문, 해설 등의 논리적, 객관적인 기술에 사용되는 데, 재판 등에서의 변론 등에도 자주 사용되는 것 같다. 소위 창조동사와의 사용이 寺村 등에 의해 주장되어 왔는데, 일단 본 논문의 조사 결과에서는 24%라는 비교적 높은 숫자를 나타내고 있는데, 일부 파괴동사의 경우도 있었으므로, 종래의 설명으로는 적용되지 않는 부분이 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で」의 경우는 종래의 설과 같이, 도구, 원인, 재료, 수단 등의 표현으로서의 성격이 강하고, 동작주로서의 성격이 가장 약한 것을 알 수 있다. 동사의 유형별로는 もようがえ動詞가 가장 높은 숫자를 보이고, 그 다음으로 ふれあいの動詞,그리고 위치변화의 동사와 부착적인 동사가 자주 사용됨을 알 수 있었다. 2)표시별 aspect면에서의 성격을 비교해 보면, 주어의 유,무생의 경우,유생이 전체의 81%를 차지, 무생은 19%를 차지하고 있는「に」는 동작수동으로서의 표현으로 볼 수 있으나,상태수동으로서의 표현이라 할 수 있는 무생의 주어도 19%를 차지하고 있음을 간과할 수 없다고 여겨진다. 그리고「から」의 경우는 주어의 유·무생의 경우, 유생이 전체의 83%를 차지하고, 무생은 17%를 차지하고 있다. 동작수동으로서의 성격이「に」의 경우 보다도, 오히려 많이 나타나고 있다. 다음으로 「によって」의 경우, 주어는 무생이 전체의 80%를 차지, 대체적으로 상태수동표현이 되어 있다고 할 수 있으나, 20%의 유생 주어표현이 있었으므로, 동작수동의 표현도 적지않게 나타나고 있다고 할 수 있지 않을까 한다. 또한,「で」의 경우는, 주어의 유, 무생의 경우를 관찰해 보 면, 유·무생이 각각 51%와 49%를 차지하고 있는데, 본고의 첫 부분에서 상태수동의 성격이 높을 것을 예측했으나, 동작수동의 표현에도 자주 쓰임을 알 수 있었다. 즉, 동작수동, 상태수동으로서의 정도를 비교해 보면, 「から」〉「に」〉「で」〉「によって」이다. 그리고, 주어의 성질과 관련해서 한 가지 더 언급할 수 있는 것은, 「から」〉「に」〉「で」〉「によって」의 순서로 이해(利害)를 받는다는 느낌의 정도가 달라진다고 할 수 있을 지도 모른다. 3) 동작주 명칭과 관련해서는, 「に」는 유생의 동작주의 경우에는 砂川有里子가「도달점·동작주」라는 용어를 사용하여「ニ」를 설명하고 있는 점에 착안하여, 위의 용어를 사용하여「に」의 성격을 정의하고 있다. 이럴 경우, 유생의 경우가 많으므로 전형적인 「동작주」로서의 용법이 많다고 할 수 있으나, 무생의 경우도19%로 비교적 높은 수치를 나타내, 원인 등의 의미로 사용된다고 생각한다. 또한 「から」는, 역시 砂川有里子의 용어에 착안하여,무생의 경우, 砂川有里子가 쓰고 있는 「기점(起点)·동작주」라는 용어를, 유생의 경우는 「동작주」를 함께 사용하여 설명하는 것이 적당하다고 생각하여 그것을 사용하기로 한다. 그리고 「によって」의 경우, 순수한 동작주로서 역할을 하고 있는 것은 유생의 경우이므로, 여기서는「동작주」라는 용어와 함께 「근거(よりどころ)·동작주」라는 용어를 사용하여 표현하기로 하 고, 무생의 경우로, 「원인·동작주」과 「수단·동작주」라는 용어를 사용하여 표현하기로 했다. 한편 「で」의 경우, 유생의 경우에는「동작주」라는 용어를 사용하여 표현하기로 하고, 무생의 경우에는 단순히 「수단·동작주」와 「원인·동작주」로 표기하기로 했다. 4)또한 동작주의 유·무생의 비율과 관련해서는 우선, 「に」의 경우에는 유생이 71%, 무생이 29%를 나타내고 있다. 그리고 「から」는 유생이 91%, 무생이 불과 9%를 나타내고 있어서, 조사한 표시들 가운데 가장 높은 유생의 숫자를 보이고 있다. 그리고 「によって」는 유, 무생이 각각 41%, 59%의 수준을 보이고 있다. 그리고 「で」의 경우에는 무생이 전체의 85%를 차지하고, 유생이 15%를 차지하고 있으므로, 동작주 표시 「で」의 특징은 무생의 동작주 표출이 많은데, 이는 서양 문장의 번역 내지 서양적인 표현의 한 표출이 아닐까 여겨진다. 「で」와 「によって」에 의한 표현이, 어떤 의미에서는 일본어의 표현 부족을 보충하고 있다고 여겨진다. 재삼 유생 동작주의 숫적 비교를 나타내 보면, 「から」(91%)>「に」(71%)>「によって」(41%)>「で」 (15%)와 같이 된다. 5)「장소성」「방향성」과 관련해서는, 우선「に」의 경우, 「に」가 지니고 있는 「장소성」과 「방향 성」 때문에, 「장소성」이 강조될 경우에는 「초점(焦点)」과의 관련성이 문제가 되고, 「방향성」이 발휘될 경우에는 그「방향성」이 동작주의 입장에서 보면, 「구심적(求心的)」인 방향성을 지닌 것으로 여겨진다. 그리고「から」는, 오로지 「방향성」의 성격만을 지니고 있고, 「장소성」은 없는 표현이다. 그리고 「から」가 지니고 있는 방향성은 동작주의 입장에서 보면, 원심적(遠心的)인 방향성을 지닌 것으로 여겨진다. 또한「によって」의 경우에는, 「に」가 갖고 있는 「방향성」보다「장소성」이 발휘되어, 표시명사에 「초점(焦点)」이 모이는 표현이 된다고 생각하며,「よって」에 의해 표시 명사가 강조되는 경향을 지니고 있는 것이 아닐까 한다. 그리고 「で」는 「장소성」과 「방향성」이라는 관점에서는, 「で」의 경우에는 오로지 「장소성」하고만 관련되고 있는 것으로 여겨진다. 6)자동문과의 연속성에 대해 수동구조와 자동구조는 행위자의 전제 유무에 있어서 상이한데, 수동문의 동작주의 동작주성이 희박해 지고, 원인·수단에 의한 작용을 받을 경우, 수동문은 자동문에 중화되어 버리는 경우가 나오게 된다. 이리하여 수동문과 자동문은 행위자에 의한 작용성을 함의하고 있느냐의 여부에서 기본적으로 다른데, 동작주성이 약한(무생)에 의한 작용성을 표현하는 수동문을 매개로 하여 연속되고 있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런 의미에서 수동화 변형은 능동타동성의 성격에 의해 그 자동문화(自動文化)에 hierarchy가 생기는 것이 아닐까 여겨진다. 본고에서는 일단 일본어 수동표현의 동작주 표시를 개별적으로 논해 보았으나, 그들 표식 사이에는 일종의 상호 연속성이 관계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일본어의 품사를 비롯하여, 각각 서로의 연구 분야는 적지않이 상호 연속성을 보이고 있는 것이 문법을 연구하는 자가 늘 품고 있는 하나의 공통점이 아닐까 한다. 본고의 결과에서도 알 수 있듯이, 동작주 표시 간에 있어서도 그 상호성, 연속성은 부인할 수 없는 점 일 것이다. 이번 논문은, 어디까지나 수동표현의 동작주 표시의 각각을 수량적이라는, 보다 객관적인 수치를 부여하면서, 공시적, 개별적으로 고찰한 것으로, 서로의 비교를 목적으로 한 것은 아니었다. 금후의 과제로서 그러한 비교연구가 남게 된다. 그리고 태(態 (voice))전체에 있어서의 관련성도 금후의 연구 테마로서 취급해야할 문제가 된다, 또한 가능하다면, 통시적인 연구 및 한국어와의 비교 등도 앞으로의 연구 테마로서 취급하고 싶은 바램을 갖고 있다.

      • 수동휠체어의 사용성 평가척도 개발

        민숙현 서울과학기술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7807

        보행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지체·뇌병변 장애인의 약 70% 이상은 보조기기를 사용하고 있으며, 그 중에서 수동휠체어가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그런데 보조기기에 대한 만족도 연구에서는 장애인들의 만족도가 낮게 나타났다. 이는 자신의 신체에 부적합한 보조기기 선택으로 인해 불편함을 느껴 보조기기의 사용을 포기하게 되거나 중단하기 때문이다. 반면에 보조기기를 선택하거나 맞춤 제작 전에 사용의 편리성, 효과성, 적합성 등의 요소를 확인한 경우에는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각 개별 사용자의 신체적 특성, 장애 정도, 주요 행동을 고려한 맞춤형 휠체어를 사용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일부에서는 휠체어 및 이동기기 평가도구를 이용해 휠체어 맞춤 제작 서비스를 진행하고 있다. 그런데 현재 사용되고 있는 휠체어 및 이동기기 평가도구는 대부분 안정성·기능성 항목으로 구성되어 있고, 사용자의 요구사항을 반영할 수 있는 사용성 평가 항목은 부족하다. 사용자가 직접 휠체어를 움직여야 하는 수동휠체어에서는 2차 사고나 잘못된 조작으로 인해 2차 합병증이 발생하는 경우가 자주 발생하기 때문에 수동휠체어의 사용성을 개선시키는 것은 중요한 요구사항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수동휠체어를 이용하는 장애인들의 만족도를 향상시키고 잘못된 사용에서 오는 2차 장애를 최소화하는 것을 목표로 장애인의 신체적 특성, 장애 정도, 주요 행동을 고려한 수동휠체어 사용성 평가척도를 개발하고자 한다. 연구 결과, 수동휠체어의 사용성 평가의 대항목은 학습의 용이성, 오류의 최소화, 직관성, 효율성, 사용 만족도, 적합성으로 나타났으며, 세부항목은 사용방법의 직관성, 낙상위험 방지, 미끄러짐 방지, 신체 끼임 방지, 방해요소 제거, 조작의 효율성, 올바른 자세, 신체 적합성, 편안함, 외형 만족도로 도출되었다. 도출된 항목을 토대로 수동휠체어의 사용성 평가척도가 개발되었다. 다음으로 전문가 의견조사와 실제 수동휠체어 사용자의 인터뷰를 통해 중복된 항목은 제거하고, 누락된 항목은 추가하여 사용성 평가 항목의 보완 및 수정을 거쳤다. 또한 전문가를 대상으로 한 평가항목의 쌍대비교 설문을 통해 평가 항목의 가중치를 도출하여 반영하였다. 총 58개의 세부항목으로 구성된 수동휠체어의 사용성 평가척도가 완성되었다. 최종적으로 개발된 평가척도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해 수동휠체어 사용자를 대상으로 사용성 평가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토대로 신뢰도분석과 주성분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모든 항목이 타당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수동휠체어의 사용성 평가척도는 수동휠체어의 제작 및 맞춤 제작에 사용성을 평가할 수 있는 평가도구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More than 70% of people with physical disabilities and brain lesions use assistive technology devices. According to past assistive technologies research from the users with physical disabilities appeared to give poor satisfaction ratings of using the device. Because they had discomforts of using inadeq uate devices which made them to give up or stop using it. They didn’t consider their physical characteristics when they were purchasing it. On the other hand, the satisfaction was shown to be very high for those of who had checked the convenience, effectiveness and suitability of using the device before purchasing or customizing the device. It’s more effective to use customized wheelchairs that considered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extent of disability, and key behavior of the individual user. The customization of wheelchairs has been performed using evaluation tools. The evaluation tools that are used currently like wheelchair and mobile assistive devices are focused on safety and functionality; however, it has lack of evaluation items on usability to reflect the user’s requirements. It is important to consider improving the usability of the manual wheelchairs. Because it makes a lot of secondary complications due to false manipulations and secondary accidents where the manual wheelchair users who controls the device by themselves. To enhance the usability of manual wheelchairs, this study developed a usability evaluation scale for manual wheelchairs while considering the key behavior of users based on the standard manual wheelchair, which is most widely used by people with physical disabilities or brain lesions in the early stage. The results showed that the major topic of the usability evaluation were ease of learning, minimization of error, intuitiveness, efficiency, satisfaction and suitability. Full details were convenient controls, objective elements, reduced risk of falling, prevention of body parts getting caught in the wheelchair, efficiency of controls, proper posture, physical adequacy, convenience, and external satisfaction. Based on the details, the usability evaluation criteria of the manual wheelchair have been developed. Afterwards, they eliminated duplicated items through gathering opinions from the actual manual wheelchair users comments and the expert’s opinion research. They also went through modification as well as revise of usability evaluation items based on adding the missing out details. In addition, they applied by showing a weighting value through a double comparison survey of the evaluation item from the experts. Usability evaluation measures of a manual wheelchair that made with a total of 58 detailed were completed. Manual wheelchair users implemented the usability assessment to verify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The reliability analysis and the principle component analysis were tested based on the collected data and all of the items appeared to be proper and valid. The usability assessment measure of manual wheelchairs, which developed through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used as a valuable tool to evaluate the customized and manufacture of manual wheelchairs.

      • 日本語受動文における相的意味に関する一考察

        정우진 韓國外國語大學校 大學院 2015 국내석사

        RANK : 247807

        일본어수동문에 있어서의 상적의미에 관한 일고찰: 능동문과 대응관계를 중심으로 본 논문은 ‘직접수동문’과 ‘소유자수동문’, ‘간접수동문’을 고찰대상으로 하여 각 수동문이 동사의 어휘적 의미와 상적 의미하고 어떠한 관련이 있는지, 아울러 각 수동문이 어떠한 구문적 조건에 의해 상적 의미의 이행현상이 나타나는지 검토한 것이다. 그 결과 ‘직접수동문’과 ‘소유자수동문’은 두 가지 확실한 구문적 조건에 의해 상적 의미가 이행되는 사실을 확인하였고, ‘간접수동문’의 상적 의미는 동사의 어휘적 의미와는 상관없이 이른바 ‘완료(perfect)’의 의미가 일반적으로 나타나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즉, ‘직접수동문’과 ‘소유자수동문’의 경우 ‘주체동작동사’의 완망상(perfective aspect)은 동사의 어휘적 의미에 따라 ‘진행(progressive)‘을 나타내는 것이 일반적이다. 하지만 상태변화가 이루어진 대상(patient)이 주어로 전면화(foregrounding)하는 동시에 동작주(agent)가 구문적요소로 나타나지 않는 경우에는 상적 의미가‘결과(resultative)’를 나타내면서 상호이행현상이 나타난다. 또한, ‘간접수동문’은 수동문의 주어(경험자)가 특정 사건(event)으로부터 어떠한 간접적인 영향을 받았는가에 대해 서술하는 기능을 지니고 있다. 그러므로, ‘간접수동문’은 현재 또는 과거의 특정시점에 이전시점으로부터 어떠한 영향을 받고 있는가에 대해 서술하는 이른바 ‘완료’의 의미가 일반적으로 나타난다. 마지막으로, 지금까지의 연구에서 수동문의 범주 안에서 생각해온 이른바 ‘속성서술수동문’에 대해 능동문과 대립관계에 있지 않다는 점과 시제(tense)대립이 존재하지 않는 점을 근거로 일시적 사건(single event)을 나타내는 수동문이 아닌 수동문의 특성화로 파악하는 것이 적절하다고 판단하였다. 이상으로 수동문의 종류에 따른 상적 의미에 대해 능동문의 대응관계를 중심으로 분석 및 검토하였다. 하지만, 본고에서는 상적 의미에 따른 하위분류를 하기보단 수동문 종류에 따라 하위분류를 하고 있어 상적 의미의 상호이행현상이 어떠한 이유로 일어나는가에 대해 면밀하게 확인했다고는 할 수 없을 것이다. 따라서 금후에는 보다 확실한 논지 전개방식을 통해 어떠한 조건에 따라 수동문의 상적 의미가 상호이행현상을 보이는지 명확히 규명해 나가고 싶다.

      • 구급상황에서의 혈압계 적용성에 관한 연구

        전재인 서울시립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7807

        119 paramedics measure vital signs such as blood pressure, pulse, respiration, body temperature, and oxygen saturation at the scene of the accident. Blood pressure is an important indicator of patients' prognosis. 119 paramedics measure blood pressure using a manual blood pressure meter(aneroid) and an automatic blood pressure meter(automatic defibrillator) for patients before arrival at the hospital. The accident scene is very unstable due to noise and vibration. When transporting patients in an ambulance, they face a variety of road environments such as unpaved roads, speed bumps, and rapid curved roads. In the ambulance being carried, it interferes with accurate blood pressure measurement due to vibration and noise. In this study, various road conditions were set, there were a continuous uneven(unpacked) road first, a continuous unevenness road with setting up speed bumps second, and a continuous steep curved road third. Using a manual blood pressure meter(aneroid) and an automatic sphygmomanometer(automatic defibrillator), we measured blood prressure each to experiment assistants in the moving ambulance, and the change rate of each blood pressure measurement value was examined. The purpose of the study is summarized as 'Which blood pressure meter should be selected and applied to 119 paramedics at the accident site and during transport.' In order to accomplish this research purpose, we conducted questionnaires and in-depth interviews with 36 siblings of the Sungbuk Fire Station in Seoul. That was about preferred blood pressure meter, reason for preference, and reliability. Then, various road conditions were set to measure blood pressure, made experiments, and charted the results. To summarize the main results of the survey, The accuracy and quickness was for manual blood pressure meter and the convenience was for automatic blood pressure meter. They preferred a manual tonometer when they were at the scene of the accident and in the stationary ambulance, preferred an automatic sphygmomanometer(automatic defibrillator) due to noise and vibration during transportation, while they preferred a manual tonometer to measure blood pressure by palpation. Meanwhile, the nurses and the first-rate emergency medical technicians selected the manual blood pressure meter at the scene of the accident and during transport. The second-rate emergency medical technicians selected the automatic blood pressure meter under the same conditions. The second-class emergency rescue team was in charge of assisting nurses and the first-class rescuers at the accident site, and the lack of actual measurement experience significantly reduced the confidence in the use of manual blood pressure meters. We should use a manual blood pressure meter for emergency patients, and should measure with an automatic blood pressure meter for non-emergency patients during transport, but should accurately measure with a manual blood pressure meter when in doubt. In summary, manual and automatic blood pressure meters are complementary. Then, it is significant that blood pressure was measured by manual type and automatic type sphygmomanometer in the ambulance while driving and the change rate was confirmed through experiments. The results of the experiments showed that the automatic blood pressure meter frequently caused errors when it was being transported and took a long time to measure. Therefore, we conclude that an automatic sphygmomanometer should be used for non-emergency patients and the blood pressure of the emergency patients should be accurately measured with a manual sphygmomanometer. In addition, second-rate emergency medical technicians should be actively involved in emergency situations and should thoroughly learn the manual blood pressure meter technique to improve the measurement ability. If the choice of the sphygmomanometer depends on the capacity of the 119 paramedics and the deviation of blood pressure measurement results is large, the rate of resuscitation of the emergency patients will be greatly reduced. All paramedics themselves have to make only thorough efforts to master how to handle a manual blood pressure meter accurately. That will protect people more safely and happily. Key words : Manual blood pressure meter, Automatic blood pressure meter, Road condition, Accuracy, Reliability, Technique. 119 구급대원은 사고현장에서 혈압, 맥박, 호흡, 체온, 산소포화도 등 활력징후(Vital Sign)를 측정한다. 이 가운데 혈압은 환자의 예후를 나타내는 중요한 지표다. 119 구급대원은 병원도착 전 환자에게 수동식혈압계(아네로이드)와 자동식혈압계(자동제세동기)를 사용하여 혈압을 측정한다. 사고현장은 소음과 진동으로 매우 불안정한 상황이 발생한다. 구급차에 환자를 태우고 이송할 때 비포장도로, 과속방지턱과 급커브 도로 등 다양한 도로환경과 마주한다. 이송 중인 구급차에서는 흔들림과 소음으로 정확한 혈압측정을 방해한다. 본 연구에서는 첫째, 비연속요철(비포장)도로 둘째, 연속요철(과속방지턱)도로 셋째, 급커브가 연속한 도로 등 다양한 도로상황을 설정하고, 이송 중인 구급차에서 실험 참가자를 상대로 수동식혈압계(아네로이드)와 자동식혈압계(자동제세동기)로 혈압을 측정하여, 각각의 혈압 측정치의 변화율을 살펴보았다. 연구목적은 ‘사고현장과 구급차 이송 중 119구급대원은 어떤 혈압계를 선택하고 적용하여야 하는가’로 요약된다. 이와 같은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서울시 성북소방서 구급대원 36명을 대상으로 선호혈압계, 선호이유, 신뢰도 등의 설문조사 및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이어서 다양한 도로상황을 설정하여 혈압을 측정하는 실험을 하였다. 설문을 통한 주요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정확도와 신속성은 수동식혈압계, 사용의 편리성은 자동식혈압계로 나타났다. 사고현장 및 구급차가 정차된 안정된 상태에서는 수동식혈압계, 이송 중에는 소음, 진동으로 인하여 자동식혈압계(자동제세동기)를 사용하는 경향을 보였고, 수동식혈압계는 촉진을 통한 혈압측정을 선호하였다. 한편, 간호사와 1급응급구조사는 사고현장 및 이송 중에 수동식혈압계를, 2급응급구조사는 자동식혈압계를 선택, 선호도가 극명하게 갈렸다. 2급응급구조사는 사고현장에서 간호사와 1급응급구조사를 보조하는 역할에 그치고, 실제 측정 경험의 부족으로 수동식혈압계 사용의 자신감이 현저히 떨어졌다. 응급환자는 수동식혈압계를 사용하고, 이송 중에 비 응급환자에게는 자동식혈압계로 측정하되, 혈압측정치에 의문이 들 때 수동식혈압계로 정확하게 측정하여야 한다. 정리하면, 수동식과 자동식혈압계는 상호 보완관계라고 할 수 있다. 이어서, 실제 주행 중인 구급차에서 수동식, 자동식혈압계로 혈압을 측정하고 그 변화율을 실험을 통해 확인하였다는데 큰 의의가 있다. 실험의 결과는 이송 중인 경우 자동식혈압계는 오류가 자주 발생하고, 측정시간이 오래 걸렸다. 따라서 자동식혈압계는 비 응급환자에게 사용하고, 응급환자는 수동식혈압계로 정확하게 측정하여야 한다는 결론에 이른다. 또한, 2급응급구조사는 평소 적극적으로 구급상황에 임하고, 수동식혈압계사용 술기를 철저히 익혀 측정 능력을 향상시켜야 한다. 119구급대원의 역량에 따라 혈압계 선택이 극명하게 갈리고, 혈압측정치의 편차가 크게 나타난다면, 응급환자 소생율은 크게 떨어질 것이다. 구급대원 스스로 살을 깎는 노력과 의식전환만이, 국민의 안전과 행복을 지켜준다고 믿는다. 주제어 : 수동식혈압계, 자동식혈압계, 도로상황, 정확도, 신뢰도, 술기.

      • 영어수동문의 기능과 수동화의 제약

        김영빈 동아대학교 교육대학원 1999 국내석사

        RANK : 247807

        이 논문은 문법 범주에서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수동구문의 제 현상에 관하여 통사, 의미, 화용론에 걸쳐서 수동구문의 기능과 제약을 기술하고 분석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영어 수동문은 행위자 비명시 기능, 초점 및 비초점 기능, 객관화 기능, 감정이입 기능, 담화적 기능, 문조망의 기능을 갖고 있다. 수동구문의 제약에 관해서는 의미나 기능과 관련시켜서 기술했고 표면적으로 보아서 직접목적어가 있는 타동구문은 모두 수동문이 가능하다고 가정하지만 실제로 불가능한 경우들이 있는데 이러한 경우들을 동사, 목적어, 행위자로 인한 제약으로 분류될 수 있다. 동사의 특성에서 오는 제약은 수동 구문에서는 사용되지 못하고 능동문에서만 사용되는 동사와 수동구문에서만 사용되는 동사가 있다. 수동구문을 허용하지 않는 동사들에 관해서는 대칭관계의 동사, 상태동사, 이중 타동사 등이다. 목적어의 제약에 관해서는 재귀대명사, 상호대명사, 소유격 대명사와 목적어가 명사일 때 그리고 동족 목적어일 경우에 발생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and analyze the pragmatic, syntactic, and semantic functions as well as constraints, of the passive construction in English. The passive constructions are very important in that they lead variety and delicacy. This impotance causes us to require systematic arrangements and analyses of passive constructions which contribute to the better understanding of English. Chapter 2 discussed various functions of the passive such as agentless function, focusing and defocusing function, patient function, empathic function, discourse function and so on. Chapter 3 discussed passive constraints in terms of agents, patients, and verbs, some of which do not allow passive constructions. It is believed that passive and active construction have to be syntactically correlated with each other. I argued that not all passive constructions have their corresponding active counterparts. In conclusion, passive constructions meet satisfactory conditions, when the active agent is unknown, the agent is self-event, and a speaker intends to hide the agent.

      • 영어수동구문의 제약기반적 분석

        심규섭 朝鮮大學校 大學院 2003 국내박사

        RANK : 247807

        The aim of this thesis is to present the problems of the previous analyses of English passives in GB (Government Binding Theory) and HPSG (including Standard HPSG and HPSG-Ⅲ lexical rule-based one) and suggest a HPSG-Ⅲ constraint-based analysis as an alternative. For this purpose, we compare each analysis of English passives in GB kins and HPSG lexical rule-based analysis t o HPSG-Ⅲ constraint-based analysis and then argue that the latter can analyze English passives in more efficient way. In Chapter 1, the outline of this thesis is drawn, and in Chapter 2, the definition of passives is provided. Not only differences and similarities between active and passive constructions but also classification of types of passive constructions by Quirk et. a1.(1972) and generative grammars is elaborated. In Chapter 3, the previous studies on passives in English are examined. In the studies of transformational grammars as the previous studies, first, the analysis in TG is treated. Second, the analysis in GB, suggested as a solution t o the problems of the TG analysis, is shown, and the problems of GB analysis are identified. Especially Chapter 3 and 4 lay emphasis on understanding the tendencies of the studies on English passives by generally showing the problems of the previous studies and the developments of the theories achieved in the process of solving those problems. In Chapter 4, the analysis of English passives in HPSG-LU, the core of this thesis, is given. In this chapter, after examining the analysis in Standard HPSG, a non-transformational grammar unlike TG and GB, we illuminate the formal devices of HPSG-Ⅲ, and examine the analysis of Sag & Wasow(1999). which uses lexical rules. However, showing that the lexical rules of HPSG as well as transformational rules of GB cannot settle some problems of passive constructions, we suggest a constraint-based analysis of HPSG-Ⅲ as a n alternative. First, we point out the limits of the lexical rule-based analysis, and then argue that the constraint-based analysis is effective enough to overcome the limits of the previous analyses, and show that it has explanatory power by trying syntactic comparative analyses on various English passive constructions. In constraint- based analysis of HPSG-LU, according to Kathol(l991, 1994), two lexical types can be derived from one proto-sort but a lexical type cannot be derived from another lexical type by a lexical rule. We suppose that the type of the passive lexeme is a subtype of ergative making active constructions apart from passive constructions. In Chapter 5, based on the discussion so far, previous analyses of various passive constructions in English are compared to the constraint-based analysis in support of the effectiveness of the second analysis. Treated are idiom chunks, pseudo passives, ditransitive passives, raising verb passives, and clausal subject passives. Chapter 6 summarizes the discussion and concludes the thesis.

      • 수동적 대명동사 구문의 통사적·의미적 특성에 대한 고찰과 하위유형화

        이서윤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807

        En français, le sens passif est exprimé par deux moyens : l’un via le passif ; l’autre la construction du verbe pronominal passif(désormais CVPP). Par rapport au passif, la CVPP s’emploie de manière limitée et spécifique. Mettant au point sur sa particuliarité, cette étude a pour but de révéler les propriétés syntaxico-sémantiques de la CVPP et de classifier systématiquement sa diversité interprétative. Pour reconnaître le statut de la CVPP, nous avons constaté la définition et le système du verbe pronominal qui sont décrits par la grammaire traditionnelle et la grammaire générative transformationnelle. En revanche, il s’avère que la caratérisation du verbe pronominal que les études dernières ont précisée ne pouvait pas s’appliquer quand il s’agit de la CVPP. Faute de cohérence, la CVPP a été définie à nouveau dans une cadre de structure argumentale adoptée par Creissels(2003). S’appuyant sur cette réinterprétation, nous analysons les caractères syntaxiques, aussi que sémantiques de la CVPP. Ce faisant, nous avons découvert que la CVPP comporte syntaxiquement l’inaccusativité qu’un argument interne du prédicat verbal se réalise comme un sujet en surface, résultée de la décausativisation au niveau structural lexique. Concernant l’aspect sémantique, il est apparu qu’elle permet un sujet non humain et qu’elle présuppose toujours l’agent humain qui ne apparaît pas en surface, donc appelé « agent sous-entendu ». Ensuite, se référant à Melis(1990), Zribi-Hertz(1982), Yamada(1997), Hayashi(2004), et Iguchi(2007), cette étude a proposé trois sous-catégories de la CVPP : type PROPRIÉTÉ DU SUJET, type ACTION RÉITÉRATIVE, et type ÉVÉNEMENT. La sous-catégorisation se fait selon les critères sémantiques : caractère narratif, restriction aspecto-temporelle, syntagmes adverbiaux et modalité. Il faudrait prendre en considération le contexte où un énoncé se situe, dont nous n’en avons pas rendu compte, dépassant la domaine sémantique. Certes, il n’en reste pas moins que les critères donnés pourraient servir de guide pour interpréter de façon adéquate la CVPP. Dans une dernière partie, étant donné que la CVPP n’est pas expliqué en détail dans l’enseignement du français en Corée malgré sa varieté du sens, nous avons tenté d’explorer une méthode d’enseignement sur la CVPP et ses sous-catégories, destinée aux apprenants coréens du français au niveau intermédiaire-avancé. Notre essai leur permettrait d’approfondir la compréhension sur divers emplois de la CVPP, et enfin nous nous attendons que les apprenants se préparent la compétence langagière, voire la pensée flexible. 프랑스어의 수동적 대명동사 구문은 ‘être+Vé’ 형태의 수동문, 즉 수동태에 비해 그 쓰임이 제한적이고 특정되어 있다. 이러한 수동적 대명동사 구문의 특수성에 집중하여 본 연구는 수동적 대명동사 구문의 통사적・의미적 특징을 밝히고 의미적 다양성을 체계적으로 분류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문법서는 대명동사를 공지칭 표지로 기능하는 대명사 se를 동반하는 동사로 정의하고 의미에 따라 대명동사의 용법을 분류하는 한편, 변형생성문법은 통사론적인 관점에서 대명동사 구문의 용법에 따라 다른 변형과정을 제시하였다. 그러나 문법서의 경우 대명동사의 정의가 수동적 대명동사의 정의를 포괄할 수 없고 수동의 의미를 결정하는 기준도 상세히 주어져 있지 않다. 변형생성문법의 경우, 수동적 대명동사 구문의 변형과정에 대한 견해가 저자마다 달라 수동적 대명동사 구문의 파생 과정을 하나로 정의하지 어렵다. 이에 따라, 본고에서 Creissels(2003)이 주장한 논항 구조라는 접근법으로 대명동사 구문을 타동사 구문의 자동사화의 결과로서 정의하고 이를 기반으로, 수동적 대명동사 구문이 통사적으로 비대격 구문의 특징을 가지며, 의미적으로 표면에 드러나지 않는 잠재적 행위주를 내포하고 있음을 밝혔다. 다음으로 수동적 대명동사 구문을 의미론적으로 구분을 시도한 Melis(1990), Zribi-Hertz(1982), Yamada(1997), Hayashi(2004) 그리고 Iguchi(2007)의 논의를 참고하여, 수동적 대명동사 구문을 네 가지 의미론적 기준, 서술 성격, 시상적 제약, 부사적 요소, 양태 속성에 따라 세 가지 하위유형, 주어속성형, 행위반복형 그리고 사건서술형으로 분류했다. 본 연구는 형태적 기준으로는 드러나지 않는 수동적 대명동사 구문의 의미적 특성을 정리하여 체계적인 유형화를 시도했다는 데에 그 의의가 있다. 마지막 장에서는 교육학적인 시각에서 수동적 대명동사 구문과 그 하위유형의 교수법을 고안하였다. 학습단계를 세분화하여 다른 대명동사 용법과의 비교, ‘être+Vé’구문과의 비교를 통해 한국인 프랑스어 학습자들이 수동적 대명동사 구문과 그 하위유형을 효과적으로 습득할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하였다.

      • 영어 수동구문의 한국어 번역연구 : 현행 고등학교 영어교과서 번역사례 중심으로

        이은숙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박사

        RANK : 247807

        영어와 한국어는 다른 어떤 두 언어보다 지리적, 사회적, 문화적 배경이 다르고 언어학적으로도 상호 관련성이 극히 적은 언어들이라는 점에서 번역의 문제는 수동구문에만 국한되어 나타나는 것은 아니다. 그러나 어순을 바꾸어주고 동사의 형태를 변화시키는 복합적인 과정이 개재된 수동구문을 중심으로 영한번역의 문제를 분석하는 일은 영어와 한국어간의 근본적인 문법, 어휘, 의미적인 차이점을 드러내 준다는 점에서 의미깊은 작업이라고 생각된다. 국어에 이미 익숙해져 있는 우리가 영어 문장들을 대할 때 느끼는 여러 가지 특징들 가운데 영어는 한국어에 비해 특히 수동태 표현이 빈번함을 우선 지적할 수 있다. 중 ․ 고교 영어교육과정에서 수동문을 능동문의 문법적 대안으로만 고려하는 맹목적 전환위주의 학습은 대학생 및 초보 번역자들에게 어색한 번역투와 영어식 한국어와 같은 비정상적인 언어문제를 초래하였다. 본 논문은 영한번역시 언어상의 차이로 인한 문제 가운데 특히 수동구문을 중심으로 그 차이와 특징을 분석해 봄으로써 올바른 수동구문의 학습과 번역방법을 논하고자 한다. 연구대상은 현행 7차 교육과정의 5종의 고등학교 영어 교과서로서 그곳에 실린 수동구문 300문에 대한 분석과 함께 전문가 집단의 교과서 해설서번역과 100명의 비전문가 집단의 번역실험 결과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교과서분석 결과 일반설명문과 정보과학문의 비율이 문학이나 기타 유형에 비해 월등히 높았으며 이들 텍스트에서 특히 영어수동문의 비율이 높았았다. 한국어번역을 살펴보면 전문가 집단에서는 한국어 능동문의 비율이 60%를 차지하였고 행위의 대상(수동자)를 강조하는 경우와 객관적인 기술을 하고자 할 때는 한국어에서도 수동문을 선호하는 경향을 알 수 있었다. 비전문가 집단의 번역은 일대일 대응의 축어역이 빈번했으며 학습번역의 형태를 나타내고 있었다. 그리고 전문 번역에 비해 한국어 수동문의 비율이 63%의 높은 수치를 보였다. 대학에서 번역기초에 대한 이해와 전문 번역 교육을 통하여 분명히 개선될 수 있는 문제라고 본 연구자는 확신하며 목표언어에 대한 중요성을 강조하는 바이다.

      • 수동문의 통사적 분석에 관한 연구

        이은정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1996 국내석사

        RANK : 247807

        This study aims at investigating the syntactic characteristics of passive constructions in English. In early transformational grammar, passive constructions are considered to be derived from active constructions through passivization transformation. which is applied by the Structure-Preserving Hypothesis and the Katz-Postal Hypothesis. But passive constructions appear to have semantic differences from their active counterparts. Thus, passive constructions are considered, reasonably, to have different D-structures from those of active constructions. Syntactically, passive constructions are classified into verbal passive, adjectival passive and verbal-adjectival passive. And it is verified that there is no reason for a by-phrase to be treated as a criterion of verbal passive. In the framework of the Government and Binding theory. D-structure of passive constructions puts its foundation on the Projection Principle, Case Theory and Theta-Theory. S-structure is derived from D-structure by applying NP-Movement. Principles such as Extended Projection Principle, Case Theory and Theta-Theory provide evidence for NP-Movement. In addition, they make it possible to explain the formation of passive constructions reasonably and grammatically. Unlike the verbal passive, the adjectival passive is formed by applying lexical changing rule in the lexicon instead of NP-Movement in syntactic component. In the formation of passive constructions, there exist various kinds of restrictions on verbs, objects and agent by-phrase. And there are also sentences found which have no passive or active counterparts. These points mentioned above support the fact that passive constructions are not simply derived from active constructions. Considering the various characteristics of passive constructions in English, it is advisable that passive constructions should be understood by learners with special respect payed to their syntactic aspects. This will enable language learners or speakers to understand passive constructions better and use them in the proper situation.

      • 현대 일본어 간접수동의 의미 분석 : 정보영역이론의 관점에서

        김아랑 高麗大學校 大學院 2010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논문은 현대 일본어 간접수동의 의미 분석에 관한 연구이다. 일본어 간접수동의 의미를 피해라는 부정적인 의미로 보고 있는 일반적인 의견이 있으나 그렇지 않은 경우도 있다는 연구도 있어서 일본어 학습자에게 학습의 어려움을 주고 있다. 또한 의미 분석 연구에서도 부정확한 개념 설명과 애매한 기준을 제시하고 있어서 혼란을 가중시키고 있다. 본 연구는 정확한 기준과 개념 정의를 통해 일본어 간접수동의 의미분석 연구에 있어서 적확하고 명확한 이론을 제시하고자 한다. 우선 다양한 예문을 살펴본 결과 간접수동의 의미는 부정적인 의미 뿐만 아니라 플러스적인 의미 그리고 중립의 의미도 갖고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부정적인 의미도 그 의미가 나타나는 경로에 따라 두가지로 나누어 생각할 수 있다는 점을 강조하였다. 그리하여 간접수동의 의미를 나타내는 개념으로 피해 폐 중립 이익 네 가지로 나누어 제시하였다. 본 논문은 각각 네 가지의 의미를 나타내는 기준으로서 정보영역이론과 동사의 작용성이라는 개념을 제시하였다. 본래의 사태와 간접수동의 주어와의 관계를 판단하는 기준으로서 정보영역이론을 제시하였다. 또한 본래 동사의 작용성이 간접수동으로 표현했을 때 그 의미에 영향을 줄 것이라 판단하여 작용성의 정도와 유무를 간접수동의 의미분석의 기준으로서 제시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