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소장폐쇄 환자에서 Gastrografin을 이용한 삼차원 CT 장조영술; 축상영상 및 투시조영 하 소장조영술과 비교 연구

        홍성숙 울산대학교 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7807

        목적: 소장폐쇄 환자에서 경구 조영제로 gastrografin을 사용한 후 다절편 CT를 이용한 삼차원 CT 장조영술이 기술적으로 가능한 지를 알아보고, 축상영상만 혹은 투시조영 하 소장조영술 영상과 비교하여 진단에 유용한 지를 비교해보고자 한다. 연구대상 및 방법: 2003년 1월부터 2003년 10월까지 소장폐쇄로 진단받고 동의하에 검사를 시행한 18증례의 환자 (남; 여=8; 10, 평균연령=56세)를 대상으로 하였다. 그 중 13예는 수술 후 협착 (12예) 혹은 방사선치료에 의한 협착 (1예)으로 양성 소장폐쇄였다. 5예는 악성폐쇄소견을 보였는데 대장암 전이 (2예), 폐암 전이 (1예), 난소암 전이 (1예), 재발된 위장관 간질종양 (1예)이 포함되어 있었다. 모든 환자에서 16 다절편 CT를 이용하였고, CT 스캔 전에 gastrografin을 복용시켰다. 12명의 환자에서는 CT 스캔 전에 투시 하소장조영술을 시행하였다. 소장폐쇄의 위치와 폐쇄의 원인에 대한 진단 신뢰도 및 각 영상 진단법의 해석의 용이성을 각각, 투시조영 하 소장조영술, 축상 CT영상, 삼차원 재구성영상으로 나누어 무작위 순으로 분석하였다. 소장폐쇄의 위치에 대한 진단신뢰도를 삼등급제를 사용하여 나타냈다; 1= 가능한 (possible): 2= 예상되는 (probable): 3= 확실한 (definite). 소장폐쇄의 원인에 대한 진단 신뢰도는 오등급제를 사용하여 분석했다; 1 = 확실한 양성 (definitely benign); 2 = 가능성 있는 양성 (probably benign); 3 = 중간단계 (indeterminate); 4 = 가능성 있는 악성 (probably malignant); 5 = 확실한 악성 (definitely malignant). 판독을 위한 각각 영상진단법들의 해석의 용이성을 삼등급제로 분석하였다; 1= 나쁨 (poor): 2= 보통 (fair): 3= 좋음 (excellent). 통계분석은 Wilcox-on rank sum test를 이용하여 p < .05이하를 통계적으로 유효하게 판단하였다. 결과: 모든 소장폐쇄가 의심되는 환자에서 경구용 gastrografin을 이용한 CT장조영술은 안전하게 시행할 수 있었고 다양한 삼차원 재구성도 기술적으로 가능하였다. 삼차원재구성 CT 소장조영술은 축상영상만 혹은 투시조영 하소장조영술만 검사하는 경우에 비해 소장폐쇄의 위치와 원인에 대한 진단 신뢰도와 각 영상의 해석의 용이성 모두에서 통계적으로 우월한 차이를 나타냈다( p < .05). 고찰: 소장폐쇄가 의심되는 환자에서 경구 조영제로 gastrografin을 사용한 후 다절편 CT를 이용한 삼차원 재구성 CT 장조영술은 사용 가능한 방법이며 관찰자의 진단에 대한 신뢰성을 높여 줄 수 있다. PURPOSE: To evaluate the feasibility of three-dimensional CT enterography using oral gastrografin in patients with small bowel obstruction, focusing on improving diagnostic performance compared with conventional axial CT alone and fluoroscopic findings. MATERIAL AND METHODS: Between January 2003 and October 2003, eighteen patients (men; women = 8; 10, mean age =56years) with known small bowel obstruction clinically and radiologically were enrolled, who agreed to participate and provided informed consensus. Thirteen patients were classified benign small bowel obstruction including postoperative adhesion (n=12) and radiation-induced enteritis (n=1). Five patients were classified malignant small bowel obstruction including: colon cancer with peritoneal seeding (n=2), lung cancer with peritoneal seeing (n=1), ovary cancer with peritoneal seeding (n=1), recurred peritoneal gastrointestinal stromal tumor (n=1). In all patients, CT enterography were obtained with a 16- channel multidetector row CT scanner, gastrografin (Schering, Berlin, Germany) was ingested before scanning. Twelve patients also underwent traditional fluoroscopic small bowel examination with use of gastrografin before CT enterography was performed. Two gastrointestinal radiologists reviewed all images in consensus. Fluoroscopic images, axial CT images, and 3D CT images were all random assessed the confidence for the level of bowel obstruction, for the cause of bowel obstruction, and the assessment of the interpretability of each imaging. The readers were asked to determine the diagnostic confidence of the level of bowel obstruction, using the following three-grade scoring system from 1 to 3; 1=possible: 2= probable: 3= definite. For the diagnostic confidence of the cause of SBO, the readers were used a five-grade scoring system; 1 = definitely benign; 2 = probably benign; 3 = indeterminate; 4 = probably malignant; and 5 = definitely malignant. In assessing the interpretability of each imaging the confidence for interpretation of image, the readers were requested to rank each images using the following three-grade scoring system; 1=poor: 2= fair: 3= excellent. The results were considered statistically significant if p < .05 by using the Wilcox on rank sum test. RESULTS: All patients (100%) were well tolerated and provided optimal bowel opacification by oral gastrografin. 3D CT enterography significantly improved observer's diagnostic confidence in their interpretation of the level and the cause of small bowel obstruction and the assessment of the interpretability of each imaging compared with axial 2D CT images only (p < .05). 3D CT enterography was superior to conventional small bowel follow-through using gastrografin in 12 patients (p < .05). CONCLUSION: The authors conclude that the use of gastrografin as an oral contrast agent for 3D CT enterography is a safe and feasible technique for precise evaluation of known or suspected small bowel obstruction.

      • 미술관 종사자의 소장품 관리에 대한 인식연구 : 소장품 처분정책을 중심으로

        김은경 국민대학교 행정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미술관 소장품 처분정책을 중심으로 미술관 종사자의 소장품 관리에 대한 인식연구로서 분석 결과 미술관 경영 및 소장품 활용, 소장품 훼손도 및 수장고 상태, 소장품의 법적관련 등이 소장품 처분에 관한 미술관 종사자의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소장정책의 처음부터 미술관 정체성에 맞는 작품들을 중・장기적 소장정책에 입각하여 수집하여야 하고, 수집된 소장품들은 꾸준한 연구 및 조사로 이어져야 한다. 이미 수집된 소장품들도 끊임없는 연구와 조사를 걸쳐 미술관의 정책과 필요에 대조해 보아야 할 것이다. 또한 내부 전시실 및 야외 전시장의 관리를 철저히 해서 전시중의 작품들이 더 이상 큰 훼손을 없게 하여야 할 것이며 그러기 위해서 이러한 인력들을 충분히 두어야 할 것이다. 그리고 조사, 연구를 위한 학예 인력과 수장고 및 전시장을 관리하는 인력 또한 늘어나야 할 것이며, 수장고의 상태를 충분히 점검해야 할 것이다. 정체성에 위배되거나 혹은 더 이상 전시 가망이 없는 작품들은 과감하게 다른 곳으로 교환 및 대여에 관한 사항들도 점검해야 할 것이다. 미술관의 경영이 좋다면 수장고의 시설을 끊임없이 늘리고 충분한 인력을 두어 소장품을 관리하겠지만 그렇지 않다면 그 안에서 소장품의 활용은 더욱 활발해야 할 것이다. 적극적인 소장품의 처분은 매각으로 나타나지만 아직까지는 많은 법적 문제와도 맞물려 있다. 그렇기 때문에 꾸준한 법적 문제 및 개정안들을 만들어야 할 것이다. 그리고 더욱 중요한 것은 이러한 소장정책에 관여하는 미술관 종사자의 전문성 및 미술관에 대한 정체성 확립, 소장품에 관한 높은 이해도가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미술관에 대한 경영 및 정체성, 소장품에 관한 이해가 없는 비전문가 미술관 종사자들로 인해 더욱 소장정책 및 미술관의 경영이 어려워지는 것 또한 알 수 가 있었다. 보다 열린 시각과 과감한 결정, 요소요소에 전문가들을 배치하여 소장품의 정체성 및 필요성에 대한 연구를 끊임없이 해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미술관 소장품 처분정책을 중심으로 미술관 종사자의 소장품 관리에 대한 인식연구로 미술관 소장품의 처분에 대한 현재 미술관을 이끌고 있는 종사자들의 미술관에 관한 정체성 및 소장품에 대한 인식이 어느 정도인지 알아보았고, 이를 바탕으로 소장품정책에 대한 보다 포괄적인 정책적 함의와 의의를 준다. 하지만 본 연구는 소장품 정책 실무자들만을 대상으로 하였기 때문에 본 연구의 결과를 모든 미술시장 및 미술관, 학계, 작가, 기증자들에게 일반화 시키는 것에는 한계가 있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미술관의 경영 및 소장품 활용관련 특성, 소장품의 훼손도 및 수장고 관련 특성, 법적 문제 관련 특성을 독립변수로 설정하여 연구하였다. 이러한 요인들 외에도 다양한 요인들이 미술관 소장품 처분요인에 영행을 미칠 것이다. 따라서 향후 연구에서는 미술관의 경영 및 소장품 활용관련 특성, 소장품의 훼손도 및 수장고 관련 특성, 법적 문제 관련 특성 외의 다양한 요인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This research is aimed at looking at the policy on collection, which is one of the most basic and cardinal impending issues for an art museum, and doing the study on the consciousness of management of collection of the personnel involved in an art museum, especially centering on deaccession & disposition of collection. The decision on disuse and disposition, which is a guideline on deaccession of collection, requires integrated activity between the individual personnel involved in an art museum and definite understanding and management of collection. The issue of the decision on disuse and disposition of collection, unlike collecting artworks, requires much stricter review and legal sanctions, so it's also important how much established an art museum employees' consciousness of the policy on collection is. From the beginning stage of the policy on collection, it's necessary for them to gather the works that well match with the identity of an art museum based on a medium & long-term collection policy, and gathered collection should be examined whether they meet the policy and necessity of an art museum through the endless research and investigation. In addition, it's also required that there should be no more big damage to the works on display by thoroughly managing an indoor & outdoor exhibition halls ; for this purpose, an adequate number of its related curatorial force should be added to the staff. Likewise, the number of the curatorial force for examination & research and the manpower in charge of managing a storage and exhibition hall should be added for adequately checking the condition of a storage. As for the works which contradict with the identity of an art museum or have almost no prospects of being displayed any more, the personnel in an art museum are expected to drastically check the matters on their exchange or loan to other museums. Positive disposition of collection comes out as deaccession, but it is still interlinked with a lot of legal issues. It's hoped that the personnel in an art museum do the study on the identity and necessity of collection with more open-minded eyesight and drastic decisions. This research has a limit to generalizing this research results to art market, art museums, academic circles, artists, and donors because it set only hands-on staff in charge of a collection policy as its survey object. In addition, this research did a study by setting the characteristics related to the management of an art museum & application of collection, characteristic related to damage of collection & its storage, and a characteristic related to legal matters as its independent variables . Besides these variables, there might be a variety of factors which will affect the factors in disposition of an art museum's collection. Therefore, this researcher think that its follow-up research needs to do research on diverse factors except characteristics related to the management of an art museum & application of collection, characteristic related to damage of collection & its storage, and a characteristic related to legal matters.

      • 소장품 관리체계 정립을 통한 사찰 성보박물관의 기능 강화 방안 연구 : 불전사물 목어(木魚)의 보존 관리와 활용을 중심으로

        김보람 경희대학교 경영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807

        사찰 성보박물관은 각 지역 사찰에 설립된 박물관으로서, 사찰의 불교문화재를 관리하는 역할을 한다. 오랜 역사 속에 존재해 온 전통사찰 내에는 수많은 불교문화재들이 보존되어 있다. 한국 전통문화에서 불교문화재는 역사성‧예술성을 간직한 문화자산이다. 역사적으로 불교문화는 약 1,700여 년 동안 이어지고 있으며, 그 안에서 꽃피운 불교문화예술은 우수한 문화재로 남아 후대에 전해지고 있다. 현대에 전통적인 가치를 인정받은 문화재는 국가지정 또는 등록문화재로 선정되어 보존하고 있다. 국가지정‧등록문화재 중 절반이 넘는 약 60%가 불교문화재인 것은 전통문화에서 불교문화예술이 차지하는 높은 위상을 말해준다. 또한 법적‧제도적으로 지정되지 않은 문화재일지라도 불교문화재가 가진 역사적인 의미와 예술적인 아름다움은 지속적으로 보존 및 활용의 가치가 높아 관리의 대상이 된다. 다양한 불교문화재 중 목어(木魚)는 문화재적 가치가 뛰어나며, 콘텐츠의 문화원형으로서 활용적인 요소가 많다. 목어는 다양한 형태적 특징을 통한 조형미를 보여준다. 또한 목어의 형태에 나타난 상징성과 고문헌에 기록된 다양한 유래담 등은 콘텐츠로 활용할 수 있는 스토리텔링 요소를 제공한다. 그러나 목어를 활용하기 위한 기본적인 보존 관리는 열악한 상황이다. 목어는 다른 문화재와 비교하여 제도적인 문제, 무관심과 인식의 부재, 목재문화재로서 관리의 어려움, 사찰 경내의 야외에 보관된 한계를 지니고 있다. 특히 목어의 보존 관리에서 가장 큰 한계점은 장소성의 문제이다. 각 지역의 사찰에서는 불교문화재를 가장 많이 소유하고 있으며, 많은 관람객들이 볼 수 있는 공간에 소장하여 보존 전시한다. 목어도 다른 불전사물 문화재와 함께 사찰 경내의 범종루(梵鐘樓)에 야외 전시되어 있다. 목어는 사찰 공간을 구성할 때 야외 공간의 건축물에 조성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목어의 장소성은 좁은 의미에서는 사찰 외부 공간을 구성하는 누각에 매달려 불전사물과 함께 위치한다. 넓은 의미에서는 사찰 야외 공간의 구성요소로서 위치한다. 목어는 석탑, 부도 등 사찰 경내의 다른 야외 문화재와 비교해서 이동의 가능성이 있지만, 본래의 장소성을 존중한다. 그러나 목어의 장소성을 존중하는 것은 목어의 보존 관리 문제를 야기 시키기도 한다. 이에 따라 현재 사찰의 목어는 근현대에 새로 조성된 경우가 많으며, 역사적 가치를 지닌 목어는 사찰 성보박물관으로 이동하여 보존하고 있다. 즉, 사찰의 불교문화재를 보존 관리하기 위한 방법은 각 지역 사찰의 성보박물관으로 이전하는 것이다. 사찰 야외에 두면 도난‧훼손 등 자연적‧인위적 위험에 노출되기 때문에 현재는 성보박물관을 설립하여 옮기는 것이 일반적인 추세이다. 성보박물관은 사찰의 장소성을 고려하여 불교문화재를 도난‧훼손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박물관 운영이 소장품 보존에 편향되어 있기 때문에 소장품 활용에 제약이 되었고, 현재는 오히려 보존 관리마저 취약하다. 도난‧훼손의 위험성이 가장 높은 사찰 경내의 야외 문화재들은 박물관 소장품의 범주에 포함되지 않으며, 관리체계에 대한 엄격한 잣대도 없다. 전국 30여 개소 성보박물관의 기능 강화에 대한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 따라서 박물관 소장품으로서 여러 한계점을 가지고 있는 목어의 보존과 활용을 통해 성보박물관의 소장품 관리체계를 정립해 본다. 소장품의 보존과 활용은 박물관 기능 강화와 운영 활성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구체적인 방안으로, 소장품 보존 관리체계 개선과 소장품 전시 기능 강화, 연구와 교육 기능 강화, 창조적 활용 운영 방안을 제시한다. 사찰 성보박물관은 설립된 이후부터 끊임없이 운영 관리상의 문제가 제기되고 있다. 소장품 관리체계 정립을 통해 성보박물관이 박물관으로서 기능을 확고히 하여, 불교문화재의 뛰어난 위상처럼 성보박물관의 위상도 상승하길 기대한다. Buddhist temple museum, designed to manage Buddhist cultural assets in temples, is built on the temples of each region. Traditional temples retain a lot of Buddhist cultural assets, which have existed for long time. Buddhist cultural assets have their own artistry and historicity in Korean traditional culture. Historically, buddhist culture has continued for about 1,700 years, and buddhist cultural arts have remained to the after age among them. Cultural assets, credited with its traditional value, are selected as registered or national cultural properties, 60% of which are buddhist cultural assets. It shows its own status is high in the buddhist cultural art. Also, even buddhist cultural assets, not designated legally or systematically, are considered to have historical meaning and artistic beauty with consistent preservation value and practical use, and thus become management object. Wooden fish, one of the various buddhist cultural assets, has high cultural asset value, and it has been utilized as the cultural original form of contents. It shows plastic arts by various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Also, many originating stories, recorded in the old literatures, and symbolization in the Wooden fish offer storytelling factors, used for contents. However, basic maintenance management for Wooden fish proves even poor. It has suffered from systematical problems, indifference and the lack of recognition, difficult maintenance method as a wooden cultural asset and limitation of outside storage in precincts, compared to other cultural assets. Especially, the most limitation that Wooden fish shows is placeness. The temples of each region have the most buddhist cultural assets, which are reserved and displayed in the area many can see. It has been exhibited outdoors with other buddhist assets in Buddhist temple bell inside precincts. Wooden fish, in the principle, is located at the outside buildings when a temple is built. In a narrow sense, placeness of Wooden fish hangs over the palace, composed of temple open space, with objects of buddhist temple. Meanwhile it is defined as one of the temple open space in a broad sense, Of course, Wooden fish has little chance of moving, compared to other outside cultural assets; however it generally follows its placeness, which rather causes the problem of maintenance system for Wooden fish. So, Wooden fish of current temples have usually been created in the modern and contemporary times, and Wooden fish of historical value is moved into buddhist temple museum and stored. In other words, they should be transferred into buddhist temple museums of each region so as to maintain and preserve cultural assets in the temple That's why they are built and moved in general due to the fact that they're likely to be exposed to natural or artificial risks, such as theft or damage, if outdoors. Considering the placeness of temples, buddhist temple museum is built to protect theft or damage. Because museum management is biased toward collection restoration, collection utilization has limitation and even its maintenance becomes more vulnerable. Outside cultural assets in the precincts of temple, which is the most likely to be susceptible to damage and theft, don't belong to the categories of museum collection without strict standard for management system. Thus, it is very urgent that the function of about 30 buddhist temple museums should be reinforced in the whole nation. Therefore, Wooden fish, which has various limitation as a museum collection, is analyzed to establish collection management system of buddhist museums with its storage and utilization, which can have positive influence on reinforcing the function of museums and activating their management. Specifically, it is suggested to improve management and storage system for collections, to consolidate the function of study and education and to manage creative utilization. Buddhist temple museum has been incessantly faced with management problems, since its establishment. It is expected that buddhist temple museum should be enhanced as a museum by founding collection management system, and its position will improve like remarkable status of buddhist cultural assets.

      • 원자력발전소장의 리더십 유형이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이수득 숭실대학교 경영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원자력발전소에서 근무하고 있는 발전소장을 대상으로 하여 변혁적 리더십과 거래적 리더십 유형이 조직유효성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또, 발전소장의 개인역량이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 및 리더십 유형과의 조절적 영향을 연구해본 것이다. 연구의 기본 모형은 변혁적 리더십과 거래적 리더십 유형을 독립변수로 조직유효성을 종속변수로 하고, 한편 발전소장의 역량을 독립변수 및 조절변수로 하여 각각 조직유효성과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조직유효성은 조직성과에 직무만족도, 조직몰입도 및 조직애착도로 설정하고, 운영성과에는 연간 운영실적을 기준으로 분석하도록 설정하였다. 본 연구를 위한 모 집단은 원자력발전회사이며, 원전 소재지를 중심으로 한 4개 원자력본부 및 본사를 포함한 기타 지역의 근무자를 대상으로 성별, 직급별로 골고루 설문지를 배포하여 172부를 회수하여 실증분석에 사용하였다. 실증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었다. 첫째, 리더십 유형과 조직유효성과의 관계는 변혁적 리더십의 모든 유형은 조직성과인 직무만족, 조직 몰입 및 조직애착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거래적 리더십의 경우는 조건 보상형과 능동적 예외관리형이 직무만족, 조직몰입 및 조직애착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운영성과에 대한 관계는 변혁적 리더십의 카리스마형 및 분발고취형이 그리고 거래적 리더십의 조건보상형이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고 있다. 전체적으로는 선행연구에서와 같이 변혁적 리더십요인이 거래적 리더십 보다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정도가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리더의 역량이 리더십 유형과 조직성과사이에서 조절적 영향 관계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전체적으로 소장의 역량이 집단행동의 결과인 조직성과에 조절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리더십 하위요소 유형별로 조직애착에는 개별 배려형, 조건 보상형 및 능동적 예외관리형만 유의한 것으로 판명되었다. 조직몰입에는 능동적 예외관리형만이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리더십 유형과 별개로 발전소장의 개인역량과 조직 유효성 간의 관계를 연구한 결과 리더의 역량이 조직유효성 모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특히 발전소 운영성과에는 큰 영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발전소장의 영향력이 발전소운영 전반에 차지하는 비중이 아주 ??기 때문에 유능한 발전소장을 발굴하여 임명함으로써 조직 효율성을 향상 시킬 수 있다고 본다. 발전소장의 리더십 역량 발휘 및 발전소 운영효율 개선을 위한 시사점으로는 바람직한 발전소장상 정립을 위한 회사차원의 노력이 요구되며, 리더십 개발을 위한 전문과정을 확대 시행하여 조직 행동론 및 경영학 등의 리더십 이론을 접목시켜 시너지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해야겠다. 그리고, 발전소장 본인 스스로도 꾸준히 노력해야 하며, 여직원 및 젊은 부하직원 층과의 대화의 기회를 넓혀 활발한 의사소통을 통한 발전소장의 리더십 역량이 조직원과 잘 융화되도록 노력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This study was conducted on plant managers who are working in Korea's nuclear power plants. This study focused on the effects of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transactional leadership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effects of personal competency of the plant managers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and moderating effect of leadership style. The basic structure of this study is as follows. The transformational leadership style and transactional leadership style were used as independent variable, the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was used as the dependent variable, and the plant manager's competency was used as independent & moderating variable.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was subdivided into organizational performance, such as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 organizational attachment. Also, operational performance was analyzed based on yearly operating achievements. The result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relationship between leadership style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shows that all transformational leadership styles effect on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organizational attachment. By the way, some of transactional leadership effect on the organizational performance. Overall, in accordance with previously conducted studie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was found to have stronger effects than transactional leadership. Second, the plant manager's competency has effects on the organizational performance which is the result of a group activity. In regard to sub-components of leadership, only management by exception with active for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individualized consideration, contingent reward & management by exception with active for organizational attachment were found to have any significance. This could be interpreted to be the result of plant managers with engineering background not being able to utilize the sociological and cultural management methods and thus not being able to contribute to increasing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beyond their own personal ability level. Third, the plant manager's personal competency has impact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The study result shows that the leader's competency does have impact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in all aspects, and especially on the operational performance of the plant. This indicates that the plant manager's role takes a big part of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plant, and therefore, finding a capable plant manager has great impact on the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 뮤지엄 소장품 보존 과정 공개 전시 특징 연구 : 미국과 영국의 7개 기관을 중심으로

        박지연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807

        20세기 후반부터 미국과 유럽의 뮤지엄들은 소장품의 보존 과정을 대중에게 공개하기 위한 다양한 형태의 전시를 진행하기 시작했다. 이는 뮤지엄의 기능 확대, 대중의 보존·복원에 대한 관심 증대, 보존의 사회적 역할 확대 등과 같은 사회·문화적 흐름의 변화와 소장품 보존 예산을 확보하려는 뮤지엄의 내부적인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이다. 본 논문에서는 미국과 영국의 기관을 중심으로 뮤지엄 소장품의 보존 과정을 공개하는 전시 사례를 형태별로 나누어 분석하고 이에 대한 특징을 연구하였다. 소장품 보존 과정 공개 전시는 크게 기획전시와 영구전시가 있다. 그 중 영구전시는 뮤지엄 내 개방형 보존실을 통한 전시와 개방형 보존센터를 통한 전시로 나뉜다. 2장에서는 사례로 선정된 7개 기관의 소장품 보존 과정 공개 전시의 배경을 분석하고 각 기관의 직제 및 현황을 정리하였다. 3장에서는 보존 과정 공개 중심의 기획전시, 뮤지엄 내 개방형 보존실을 통한 영구전시, 개방형 보존센터를 통한 영구전시로 유형을 나누어 분석하여 서술했다. 기획전시의 사례로는 브리티시 박물관의 ‘보존 중심’전과 클리블랜드 미술관의 ‘보존 중심: 카라바지오의 성 안드레의 십자가 책형’전을 선정했다. 기획전시의 경우 유물 및 보존과 관련된 텍스트나 이미지 등의 시각적 자료와 함께 일반 갤러리 내에 임시 보존실을 설치하여 유물의 보존처리 과정을 전시한다. 전시는 보존전문가의 작업 과정을 공개함과 동시에 관람객이 보존전문가의 소통할 수 있도록 유도한다. 뮤지엄 내 개방형 보존실을 설치하여 보존 과정을 영구적으로 전시한 사례로는 보스턴 순수미술관의 컨서베이션 인 액션 갤러리, 맨체스터 인간역사박물관의 섬유보존스튜디오, 펜실베니아대학 고고학 및 인류학 박물관의 유물 연구실을 선정했다. 세 기관 모두 단지 보존실을 개방한 것에 그치지 않고 유물 및 보존 관련 자료들을 함께 전시함으로써 관람객의 이해를 돕는다. 특히 보스턴 순수미술관의 컨서베이션 인 액션 갤러리와 펜실베니아대학 고고학 및 인류학 박물관의 유물 연구실은 관람객이 보존전문가와 직접 소통할 수 있는 시간을 제공하고 있다. 개방형 보존센터를 통한 영구전시의 사례로는 런더보존센터와 리버풀국립보존센터가 있다. 두 기관은 앞의 두 유형과 달리 뮤지엄이 아닌 소장품 보존을 담당하는 전문시설이다. 두 기관은 보존센터 개방을 통한 전시 및 교육활동을 통해 보존에 대한 사회적 활용을 이끌어내고자 했다. 4장에서는 7개 기관의 전시 분석을 통해 나타난 특징을 서술하였다. 도출된 특징으로는 보존전문가와 관람객의 소통, 홈페이지 및 소셜 미디어를 통한 보존 과정 공개, 보존 관련 전시연계 교육 기능이 있다. 첫째로 보존전문가와 관람객의 소통은 다른 일반 전시와는 유다른 특징이다. 전시를 통한 보존전문가와의 소통은 관람객 경험을 확장시키며 전시에 대한 이해를 높일 수 있다. 두 번째 특징은 홈페이지 및 소셜 미디어를 통한 보존 과정 공개이다. 전시를 통해 공개된 보존처리 과정뿐만 아니라 주요 보존 프로젝트 과정을 온라인을 통해 공유함으로써 보존 과정을 통해 얻을 수 있는 다양한 정보의 확산이 가능하도록 한다. 마지막 특징은 보존 관련 전시연계 교육 기능이다. 7개의 기관 중 전시와 연계하여 교육을 진행한 곳은 펜실베니아 대학 고고학 및 인류학 박물관, 런더보존센터, 리버풀국립보존센터이다. 교육 프로그램은 크게 어린이 및 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체험형 프로그램과 일반인 및 전문가를 대상으로 하는 강의 프로그램으로 나뉜다. 관람객은 보존 관련 교육 프로그램을 통해 보존의 역할 및 유물의 보존처리과정을 세부적으로 학습할 수 있다. 소장품 보존 과정 공개 전시는 대중의 보존에 대한 인식을 제고하여 유물보존의 중요성을 인식시키는 역할을 한다. 또한 유물의 보존처리 과정에서 드러내는 다양한 정보를 공개함으로써 관람객은 유물에 대한 이해를 높일 수 있다. 더불어 이러한 전시는 보존활동의 홍보 기능을 수행한다. 결과적으로 후원이나 지원을 통해 보존을 위한 예산확보가 가능해짐으로써 더 많은 유물이 보존될 수 있다. 때문에 소장품 보존 과정 공개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를 통해 유물보존을 수행하는 기관으로서 뮤지엄의 역할이 확대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Since the second half of the 20th century, museums in the United States and Europe have started various forms of exhibition to show the conservation process of their collections to the public. This is a result of a combination of the internal factors of the museum to secure the conservation budget of the museum and the change of social and cultural trends such as expansion of the function of the museum, increasing public interest in conservation and restoration and expanding of the social role of conservation. This paper analyzed the exhibition cases of the conservation process of museum collections of US and UK institutions open to the public. Public displays of museum collection conservation process are divided into special exhibitions and permanent exhibitions. Among them, the permanent exhibitions are divided into an exhibition through an open conservation lab in the museum and an exhibition through an open conservation center. In Chapter 2, this paper analyzed the background of the public displays of museum collection conservation process of 7 institutions selected as cases, and arranged the organization and status of each institution. In Chapter 3, this paper described and analyzed the exhibition types divided into special exhibitions centered to open conservation process, permanent exhibitions through open conservation labs and open conservation centers. Examples of the special exhibition are the ‘Conservation in Focus’ at the British Museum and the ‘Conservation in Focus: Caravaggio's Crucifixion of Saint Andrew’ at the Cleveland Museum of Art. In the case of the special exhibitions, temporary conservation studios are set up in the gallery along with visual materials such as texts and images related to objects and conservation, and the conservation process of objects is exhibited. The exhibition opens the work process of the conservators and at the same time encourages visitors to communicate conservators. Conservation in Action gallery at Museum of Fine Arts, Boston, Textile Conservation Studio at People's History Museum in Manchester, and Artifact Lab at University of Pennsylvania Museum of Archaeology and Anthropology were selected as permanent exhibits through open conservation labs. All three institutions are not only open the conservation labs but also display objects and conservation materials together to help the visitor understand them. In particular, the Conservation in Action gallery at Museum of Fine Arts, Boston, and the Artifact Lab at University of Pennsylvania Museum of Archaeology and Anthropology provide visitors with the opportunity to interact directly with conservators. Examples of permanent exhibits through open conservation centers include the Lunder Conservation Center and the National Conservation Centre, Liverpool. Unlike the previous two types, the two institutions are specialized facilities for conserving museum collections. Both institutions sought to bring about social usage of conservation through exhibition and educational programs through the open conservation centers. In Chapter 4, this paper describ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exhibition through analysis of 7 institutions. Among the features that have been derived are the communication of conservators and visitors, the opening of the conservation process through the website and social media, and the function of education related to the exhibitions. First, the communication between conservators and visitors is different features from other general exhibitions. Communications between the conservators and visitors through the exhibition can enhance the visitor experience and raise understanding of the exhibition. The second feature is the disclosure of the conservation process through the website and social media. Not only the conservation process through the exhibition but also the major conservation project process can be shared by online so that various information about the conservation process can be spread. The last feature is the function of education related to the exhibitions. Among the seven institutions, the University of Pennsylvania Museum of Archaeology and Anthropology, the Lunder Conservation Center, and the National Conservation Centre, Liverpool were progressed educations related the exhibition. Educational programs are largely divided into experiential programs for children and students, and lecture programs for the general public and experts. Visitors can learn the role of conservation and the conservation process of objects in details through conservation education programs. Public displays of museum collection conservation process has the role of recognizing the importance of conserving objects by raising awareness of conservation. Also, by releasing various information revealed during conservation process of objects, visitors can increase understanding of objects. In addition, these exhibitions carry out the publicity function of conservation activities. As a result, more objects can be conserved by funding for conservation through sponsorship or support. Therefore, it is suggested that the role of the museum as an institution of the objets conservation should be expanded through ongoing research on the disclosure of the collection conservation process.

      • 小腸上皮細胞株IEC-6の機能變化と細胞死に關する硏究

        이호근 東京大學 1995 해외박사

        RANK : 247807

        소장을 구성하는 세포로는 흡수상피세포, 배세포, 장관내분비세포, Paneth 세포의 4종류가 있다. 소장세포의 일생은 stem 세포가 3-4회 분열을하며, 분화과정을 거치며 최후로 apoptosis로 죽게된다. 이러한 일련의 과정은 고도로 제어되고 있을 것으로 추정하지만 현재로서는 명확히 밝혀지고 있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소장세포의 일생이라 할 수 있는 분열, 분화 그리고 apoptosis에 관한 제어과정을 세포신호전달계(signal transduction)의 전반적인 과정을 통해서 검토하였다. 그리고 소장계의 면역에 관해서 소장상피세포와 IEL의 상호작용에 관해서 종합적으로 검토하였다. 소장세포의 분열, 분화 그리고 apoptosis의 과정이 실제로 이루어지는지를 미분화 소장세포인 IEC-6 세포를 실험에 이용하였다. 먼저 이 배양세포가 분화를 하는지 표면 마커와 실제 소장 융모의 중간부분이며 분화세포에서만 분비하는 여러 소화효소를 중심으로 검토하였다. IEC-6는 증식 중에는 발현하지 않는 ALP(alkarine phosphatase)를 증식이 멈추는 시점에서 활성을 나타냈으며, 또한 ALP positive cell만이 apoptosis가 일어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상으로 IEC-6는 ALP가 분화의 marker라고 할 수 있으며 이를 기준으로 이 세포의 증식에 관여하는 인자를 검토한 결과 글로부린등이 증식을 유도하였다. 이러한 증식을 유도하는 물질은 분화의 유도를 억제하였고, 증식을 유도하는 PKC(protein kinase C)라는 것을 확인하였다. 분화를 유도하는 과정은 PKA(protein kinase A) pathway로 확인되었으며, 미분화세포에서는 apoptosis가 상당히 억제되고 있었지만 분화된 세포에서는 유도가 쉬웠다. 또한 PKA signal activator 등에 의해서 분화가 유도된 세포는 apoptosis가 일어나지만 PKC에 활성된 세포는 apoptosis가 억제되었다. 이상의 결과는 배양계세포를 모델로 소장 연구가 가능하며, 소장의 분화와 apoptosis를 제어하는 기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소장상피세포가 분비하는 lymphokine으로는 IL-10과 IL-6를 확인할 수 있었다. IL-10은 T cell의 증식을 억제하는 기능이 주로 알려져 있지만 소장에 존재하는 IEL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는 알려져 있지 않다. 따라서 IEL을 직접 분리하여 소장상피세포와의 cross talk를 검토한 결과 소장상피세포는 IEL의 항원을 제시하는 기능을 갖고 있었으며, 주어진 자극에 의해 증식을 유도하였다. 특히 IL-10의 발현이 LPS에 조절되고 있으며, LPS의 자극에 의한 IEL의 증식이 유도되는 것으로 보아 IEL은 Il-10에 의해서 다른 경로의 증식이 존재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에서 생체내의 특이적인 질병 등에 의해서 손상된 소장을 인위적으로 회복가능하다는 점이 시사되고 있다. 또한 소장의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기능성 물질의 개발과 특히 면역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기능성 물질의 개발이 가능하다는 점이다. 소장의 면역력을 이용한 vaccination에 대한 연구로서 소장상피세포가 항원제시능력이 있고, 이를 IEL에 의해서 기억되고 항체생산 등에 영향을 미친다고 하면 소장을 이용한 다양한 면역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일차적인 연구의 결과이지만 소장상피세포의 IEL에 대한 항원의 제시와 lymphokine 의 생산 등은 이러한 가능성을 높여주고 있다.

      • 자연사박물관의 소장품 정보공유를 위한 정보시스템 개선방안

        신다솜 경희대학교 경영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806

        본 논문은 국내 자연사박물관의 소장품 정보화 체계를 구축하고자 현 실태에 대한 분석을 토대로 개선방안을 모색하는 데 목적을 둔 연구이다. 자연사박물관의 소장품은 일반 역사박물관의 소장품과 차별화된 방법으로 관리 및 정보화가 이루어져야 함으로 세 가지 방면으로 현 실태에 대한 조사를 하였다. 먼저는 현재 국내 자연사박물관이 활용 가능한 소장품 정보공유시스템인 문화유산표준관리시스템, 국가 생물다양성 정보공유체계, 국가자연사연구종합정보시스템 운영에 대한 현황을 분석한 후 해당 시스템들이 자연사박물관 소장품의 특징에 특화되어 설계되었는지에 대해 연구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실태 연구를 통해 현재 운영되고 있는 자연사 소장품 관련 정보공유시스템의 문제점을 도출하였다. 다른 방면의 실태조사로는 자연사 관련 박물관의 소장품 외의 역사, 미술, 과학과 관련된 박물관의 소장품 정보화 체계에 대해 분석함으로 자연사소장품 정보공유시스템의 운영방식, 소장품 정보 입력 항목 등에 대해 비교하였으며 마지막 실태조사는 현 운영 중인 국내 자연사박물관이 앞서 언급한 각각의 시스템들을 어떻게 활용하고 있는 지에 대해 분석하였다. 다음과 같은 실태 분석을 통해 국내 박물관 운영 및 관리 부서인 문화체육관광부 소속 정보공유시스템이 자연사박물관의 특화된 정보 입력에 적합하지 않은 체계를 갖추고 있음이 드러났으며 이를 보안할 수 있는 타 정보공유시스템 또한 시스템 분리로 인한 정보 통합 불가로 각 자연사박물관 소장품에 대한 정보 등록이 활발히 진행되지 못한 상황임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자연사박물관 소장품의 특화된 정보공유시스템 구축을 위해 자연사 관련 기관과의 통합 체제를 구성하여 통합 정보공유시스템이 개발되어야 하며 이를 통해 분류에 대한 체계도 표준적으로 제시되어야만 한다. 각 자연사박물관이 내부 인력과 예산을 통해 개별적인 정보공유시스템 구축이 어려우므로 다음과 같은 통합 기관을 통해 시스템 보급과 교육 및 연구를 기반으로 한 분류체계에 대한 표준점 등이 공유되고 지원되어야 하며 이를 통해 자연사 관련 소장품 소장 기관의 네트워크가 형성되어 정보 제공 및 교육적 가치를 높여 박물관의 사회적 기능을 강화해야만 한다. 결론적으로 본 논문은 현 자연사박물관의 소장품 정보화에 대한 운영 사례를 분석함으로 자연사 소장품 통합 정보공유시스템에 대한 구축의 필요성을 증명하고 그에 따른 개선방안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 부천활박물관 소장품 해석 및 소통방법의 다양화를 통한 관람객 개발 방안연구

        최유리 경희대학교 경영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806

        본 논문은 부천활박물관의 소장품 해석 및 소통방법의 다양화를 통한 관람객 개발 방안연구를 주제로 삼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소장품의 해석을 토대로 박물관의 정체성이 잘 반영된 소장품을 통한 박물관의 전시, 교육, 체험 등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있다. 프로그램 개발을 통해 박물관이 가지는 정체성을 분명히 함으로써 특화된 박물관만의 경쟁력을 갖추는 것을 모색하고자 한다. 또한 소장품이 수집·보존·연구·전시를 넘어 관람객에게 좀 더 친근하고 다양한 방법으로 관람객과 소통할 수 있는지 알아보고, 관람객 개발을 하고자 한다. 최근 소장품과 체험학습, 전시, 체험, 소장품을 연계한 행사 등 각종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운영하는 곳이 크게 늘고 있다. 그동안 박물관이 가지고 있던 엄숙하고 정적인 분위기가 아닌 재미있고 특별한 경험을 할 수 있는 공간으로 바뀌려고 시도하는 박물관을 많이 볼 수 있다. 그 중 박물관이 존재하는 이유이자, 박물관의 성격과 방향을 결정하고 박물관에서 이루어지는 다양한 활동들의 주체가 되는 것이 바로 소장품이다. 따라서 박물관이 관람객과의 소통방법을 활용하여 관람객 개발 방안을 찾고자 한다면 그 대상을 바로 박물관의 전시와 교육·체험프로그램 분야에서 모색해야 할 것이다. 관람객의 특성에 맞는 교육 및 다양한 프로그램을 개발함으로써 관람객의 만족도를 높이고 재방문을 높일 수 있는 계기를 만들 수 있다. 연구방법은 기본적으로 문헌조사를 통한 이론연구와 사례연구로 진행하였다. 사례선정은 공통된 소장품을 가진 박물관을 통해 다양한 교육·체험, 이벤트행사, 전시체험 등 관람객이 활성화를 위해 어떤 노력을 하고 있는지 살펴보았다. 이러한 사례를 통해 시사점을 도출해내고 이를 바탕으로 문제점을 파악한 뒤, 부천활박물관의 실질적인 적용방안을 모색하고 소장품을 활용한 여러 가지 대안을 모색하여 관람객 확대를 꾀하고자 한다. 2장에서는 관람객 개발의 주제이론에 대한 선행연구를 통해 관람객 개발에 대한 이론을 살펴보고자 한다. 또한 소장품의 해석과 관람객 소통방법을 통해 이론적 고찰을 정리하고자 한다. 3장에서는 활에 대한 의미와 활의 다각적 해석을 알아보고 활 전문박물관들의 사례선정을 통해 운영현황, 소장품 수, 프로그램에 따른 관람객 개발을 저해하는 요소를 알아보고, 비교분석해 보았다. 4장에서는 3장에서 나타난 문제점을 토대로 부천활박물관에서 관람객 개발을 위해 정체성확립과 목표설정을 통해 소장품의 해석 및 소통의 다양한 방법을 알아보고 관람객 개발 방안을 연구하고 제시하였다. 5장에서 부천활박물관의 전시 및 교육·체험프로그램, 지역연계를 통해 관람객 개발에 있어서 정체성을 확립함으로써 특화된 박물관만의 경쟁력을 갖추는 개발이 필요하다. This study is concerned with measures for developing visitors through diversifying the methods for interpreting collections at the Bucheon Bow Museum and communicating with them. This study aims to develop the exhibition, education, and experience programs through the collections that reflect the museum’s identity well based on the interpretation of the collections. This study would seek for having the specialized museum’s own competitiveness by making its identity clear through developing programs. This study would investigate if the collections can communicate with visitors in more familiar and more diverse methods beyond collection, preservation, research, and exhibition and develop visitors. An increasing number of museums develop and operate various education/experience programs, such as experience learning with collections, exhibition experience, and events connected to collections. There are many museums that attempt to change themselves into space in which the visitors can have fun and special experiences, instead of the solemn and static atmosphere it has had. Especially, collections are the raison d’etre of the museum and the subject of various activities done in it, determining its character and direction. Thus, to find measures for developing visitors, utilizing the method of communication with them, the museum should seek the subject in the museum’s exhibition, and education and experience program. By developing education and various programs for the visitors’ characteristics, it is possible to create the opportunity to increase their satisfaction and revisitation. As for research methods, basically, this study conducted theoretical research through a literature review and a case study. For the selection of cases, this study examined the efforts made to vitalize visitors, such as various educations, experiences, events, and exhibition experiences, through the museums with common collections. Through these cases, this study would draw implications, understand problems based on them, seek measures for the substantive application to the Bucheon Bow Museum and seek various alternatives utilizing collections, aiming to expand visitors. Chapter 2 would investigate the theory of developing visitors through the preceding studies of the theory of the topic, developing visitors. Also, the chapter would sort out the theoretical discussions through the methods for the interpretation of collections and communication with visitors. Chapter 3 examined the meaning of bow and the diversified interpretations of the bow, investigated the deterrents of visitors according to the status of the operation, the number of collections, and programs through the selection of cases of the museums specialized in the bow and compared and analyzed them. Chapter 4 examined various methods for the interpretation of collections and communication through the identity establishment and goal setting for developing visitors at the Bucheon Bow Museum based on the problems appearing in Chapter 3 and investigated and proposed measures for developing visitors. Chapter 5 found that it would be necessary to develop the specialized museum’s own competitiveness by establishing its identity in developing visitors through the exhibition, education and experience programs, and local connection of the Bucheon Bow Museum. Key words: Bucheon Bow Museum, Developing visitors, Collections, Method of communication, Exhibition, education and experience programs

      • 박물관 소장품의 문화적 해석과 운영 : 생활사(生活史) 박물관의 상여(喪轝)를 중심으로

        윤현호 중앙대학교 예술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806

        The folk-life museum is now managed with the collection of the life devices used while mankind were living and a variety of remains related to the culture created in human life. But considering the fact that the remains and tools managed in the space of museum lose their functions in a technical aspect, it seems that the cultural environment and content disappear. As the folk-life remains collected have cultural characteristics, they are the functional products in which human skills and costumes involved. Thus, the curators of the folk-life museum are advised to interpret the remains in an aspect of cultural content when they manage them. The purpose of this collection activity is to preserve and to study the culture being disappearing as well as to give the more significance on the cultural features that the folk-life remains provide. If we collect the remains through the research activity, it is possible to collect and to record a variety of cultural elements related to remains. And even after the remains are collected, it leads to understanding the cultural content and interpreting the field characteristics that the materials provide. The museum will have the collected remains and materials as its collection after the curators arrange and register them. And those collected remains will be systemically classified to efficiently manage and use them according their characteristics. As each of the folk-life remains played a role as a tool that has been used in human life, it is important to group them depending on the original functions. When it is impossible to classify by materials because there are the remains composed of more than 2 materials, the functional classification is used. In addition, the collected remains and materials are given their numbers and names. After those procedures, the collection specification is written and the remains are registered as the museum collection. The collection specification is completed the way the remains are input in the Standards Antiquities Management System, where the specific items including the numbers, names, quantity, sizes, eras, features, and import reasons of remains and the information such as the images filmed and the locations where they have been kept are recorded. But it is difficult to interpret the life history using only these materials. Thus, it is required to consider the measures to specifically record the real contents researched in the field and the results from the study in detail. The study on all collected tangible and intangible materials becomes the foundation for all activities. The research activity allows us to understand the collections and helps perform such functions as exhibition, education, publication of a study as it re-constructs the phases of the times. Thus, the interpretation and researches in the cultural context, which are conducted by the curators and experts, can lead spectators to truly understand those collections. Meanwhile, we specifically discussed the management procedure and efficient measures on collections, providing the bier case in this study. It is necessary to collect a variety of devises related to funeral events by conducting the researches in the field and to understand all sorts of devices more by recording the procedures and scenes of funeral events in the field. And when we register and manage the biers collected in the field, we have to find the most efficient way considering the cultural features that the bier has. Moreover, based on the researches on the collected remains and recorded materials, it is required to help perform such functions as exhibition, education, and publication of a study and academically assist in several professional areas. Due to its individual circumstance, each museum is different in the procedure and system to manage collections depending on the finance status of museum, the existing conditions, and the supplying environment, but the role as a research institute that investigating collections may be same. Thus, the most important thing in the process of managing collections in museum is to investigate and study the cultural context information that the remains have. These materials for the research and such a cultural interpretation should be the foundation for a variety of the functions of museum. 생활사 박물관은 과거로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 인간이 생활을 영위하기 위해 사용한 생활용구를 비롯하여, 인간의 생활 속에서 형성된 여러 가지 다양한 유물들을 수집하여 운영하고 있다. 이와 같은 생활사 유물은 문화적 성격을 갖고 있으며, 인간의 지식과 기술 및 관습이 녹아 있는 기능적인 산물이다. 그러나 박물관이라는 공간 안에서 관리되는 유물은 생활 속 도구로서, 혹은 기술로서의 기능을 상실하는 것이므로 문화적 환경과 맥락을 잃어버리는 것과 같다. 그러므로 생활사 박물관의 학예연구원들은 문화적 맥락을 고려하여 유물을 해석해야 한다. 해석된 자료를 활용하여 소장품을 운영하고, 관람객에게 유물이 갖고 있는 문화를 올바르게 전달할 수 있어야 한다. 생활사 박물관의 수집 활동은 사라져가는 문화에 대한 보존&#8228;연구의 목적과 함께, 일상생활 속의 생활 유물들이 갖는 문화적인 특성을 더욱 의미 있게 하기 위한 목적도 갖는다. 그렇기 때문에 우리 민족의 생활 현장에서 현지조사를 통해 유물을 수집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한 수집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조사 활동을 통해 유물을 수집하면, 유물과 관련한 다양한 문화적 요소들에 대한 수집과 기록이 가능하다. 그리고 유물이 수집된 이후에도 문화적인 맥락에서의 해석을 돕고, 자료의 현장성을 읽어내는 것을 가능하게 해준다. 수집된 유물과 자료는 학예연구원들에 의한 등록과 정리를 통해 박물관의 소장품이 된다. 수집된 유물은 효율적 관리와 활용을 도모하기 위해 특성에 맞게 체계적으로 분류된다. 생활 문화 유물은 인간의 생활 속에서 사용되어온 도구의 하나이기 때문에 그 유물이 가지는 고유 기능에 따른 기능별 분류가 중요하다. 기능별 분류는 두 가지 이상의 재질로 제작된 유물이 많기 때문에 보존이 효율적이라는 재질별 분류가 불가능한 경우에 사용되고 있는 분류방법이다. 또한 수집된 유물 및 자료는 유물번호와 명칭을 부여하고 유물명세서를 작성하여 박물관의 소장품으로 등록한다. 유물명세서는 표준유물관리프로그램에 입력하는 방식으로 작성되며, 여기에는 유물번호&#8228;명칭&#8228;수량&#8228;크기&#8228;시대&#8228;특징&#8228;수입연유 등의 세부사항과 촬영된 이미지&#8228;소장위치 등의 정보가 기록된다. 그러나 이것만으로는 유물과 관련된 생활사를 충분히 읽어낼 수 없다. 그러므로 현지조사 된 실제 내용들과 유물에 대해 연구된 결과 등을 상세히 기록할 수 있는 방안이 고려되어야 한다. 수집된 유형&#8228; 무형의 모든 자료들에 대한 연구는 모든 활동의 근본이 된다. 연구 활동은 소장품에 대한 이해를 돕고 당시 시대상을 재구성하여, 전시&#8228; 교육&#8228; 연구서 발간 등의 기능 수행과 여러 전문분야에 도움을 준다. 때문에 학예연구원들 및 전문가들의 문화 맥락적인 해석과 연구가 관람객들의 올바른 이해를 유도할 수 있다. 한편, 본 연구에서는 상여(喪轝)를 사례로 박물관 소장품의 운영 과정과 효율적인 방안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논하였다. 현지조사를 통해 상례와 관련된 다양한 도구를 수집하고, 상례 절차와 모습을 현장에서 기록하여 수집한 상여와 각종 도구들에 대한 이해를 높여야 한다. 그리고 수집된 상여를 등록하고 관리할 때에는 상여가 가진 문화적인 특성을 고려하여 가장 효율적인 방안을 강구해야 한다. 또한 수집된 유물과 기록 자료에 대한 연구를 바탕으로 전시나, 교육, 연구서 발간 등의 기능 수행과 여러 전문 분야에 학술적인 도움을 주어야 할 것이다. 각각의 박물관은 개별적인 여건으로 인해 소장품을 관리하는 절차&#8228;시스템&#8228;시설 등이 박물관의 재정이나 기존의 여건, 지원 환경 등의 조건에 따라 다르지만, 소장품에 대한 연구기관으로서의 역할은 모두 같다고 할 수 있다. 그러므로 박물관에서 소장품을 운영하는 과정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유물이 갖고 있는 문화 맥락적인 정보에 대해 조사하고 연구하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 자료와 문화적인 해석은 박물관의 다양한 기능을 돕는 학술적인 기반이 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