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성취수준에 따른 남녀학생의 수학에 대한 태도 연구

        백수연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1999 국내석사

        RANK : 247807

        학교 수학교육에서 여학생이 상대적으로 불리한 교육경험을 하는 측면은 수학과 교육과정에서부터 교사의 성별차에 대한 잠재적 편견에 이르기까지 매우 다양하며 복합적이다. 남학생과 여학생에게 동일한 교육년한과 동일한 교육과정이 주어진다 하더라도 성별에 따라 상이한 교육경험을 하게 되어 교육적 성취의 결과도 다르게 나타난다. 수학적 지식이 중시되는 현대 산업기술사회에서 수학과목에 대한 흥미와 태도 및 성취도는 진로선택·결정의 중요한 기준으로 작용하는데, 수학에 있어서의 여학생들의 열세는 결국 전체적인 성적저하를 초래하여 상급학교 진학에 있어서의 불이익은 물론 여성의 사회참여에도 직접적인 영향을 끼친다. 흔히 수학을 중요한 여과 장치(critical filter)로 비유하는 것도 이 때문인데, 남성 지배적 영역으로 간주되고 있는 수학관련 분야에 더 많은 여성들이 진출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여학생들의 수학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가 강조된다. 한편, 수학 학습자의 태도와 수학성취도간에 높은 상관 관계가 있다는 것을 전제로 하여 수학에 대한 태도의 남녀 차이와 수학 학습에서의 남녀 차이를 관련지은 연구들이 있다. Fennema와 Sherman은 수학에 대한 태도의 측정 도구로 「Fennema-Sherman 수학태도척도(Mathematics Attitude Scales ; MAS)」를 개발하여, 수학성취도의 성별 차이와 관련있는 변인들에 관하여 폭넓은 연구를 하였다. 「Fennema-Sherman 수학 태도 척도」의 하위항목으로는 수학학습에 대한 자신감, 수학의 유용성, 수학의 성역할 적합성, 학습자에 대한 어머니의 태도, 학습자에 대한 아버지의 태도, 학습자에 대한 교사의 태도, 수학학습에 대한 동기성, 수학의 성공에 대한 태도의 8가지 하위 항목으로 구성되어 있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수학성취도 검사에서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고, 수학태도 검사에서도 자신감, 유용성, 동기성 측면에서 남학생이 높은 점수를 얻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현재 전국적으로 시행되고 있는 수준별 이동수업을 기준으로 성취수준을 상·중·하로 구분하여 성취수준에 따라 남녀학생의 수학에 대한 태도에 어떤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또한 어느 성취수준에서 남녀간 태도의 격차가 가장 큰지를 연구함으로써, 현행 수준별 이동수업의 각 수준별 수학학습지도에서 남녀별로 어떻게 차이를 두어야 하는지에 대한 시사점을 얻고, 남녀학생들의 수학학습 태도와 생활태도 개선에 도움을 주고자 한다. 본 연구를 위하여 수도권 소재 중학교 2학년 학생의 학업성취도 수학 성적과 수학에 대한 태도 설문지가 사용되었다. 수학에 대한 태도가 수학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 한국교육과정평가원에서 출제한 1997, 1998학년도 학업성취도 평가 성적과 설문지에 의한 태도 점수간의 다중회귀분석을 시행하였다. 성취 수준별로 남녀 학생의 수학에 대한 태도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다변량 유의성검정과 t 검정을 시행하였고, 성취 수준에 따른 남녀 학생들의 수학에 대한 태도 양상을 비교하기 위해서는 다변량 분산분석을 시행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수학에 대한 태도는 수학 성취도에 영향을 미친다. 둘째, 수학 학습에 대한 자신감, 수학 학습에 대한 동기성, 수학의 성공에 대한 태도, 학습자에 대한 어머니의 태도 등은 수학 성취도에 강한 영향을 준다. 셋째, 수학에 대한 태도 검사에서 남학생은 수학 학습에 대한 자신감, 수학 학습에 대한 동기성, 학습자에 대한 아버지·어머니의 태도 등이 여학생보다 높다. 넷째, 성취 수준이 중위 그룹인 경우, 수학 성취도 및 수학 학습에 대한 자신감, 수학 학습에 대한 동기성의 남녀 태도 차이가 가장 크다. 다섯째, 성취 수준에 따른 전체 학생의 수학에 대한 태도는 수학 학습에 대한 자신감, 학습자에 대한 어머니의 태도, 수학 학습에 대한 동기성, 수학의 성공에 대한 태도, 수학의 유용성 인식의 순으로 상위·중위·하위 그룹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다. 여섯째, 성공과 실패의 요인 분석 방식을 살펴보면, 남학생은 성공의 원인을 능력에 두는 반면 여학생은 실패의 원인을 능력에 두는 경향이 있다. 일곱째, 성취 수준이 상위 그룹에 속하는 학생들은 성공의 원인을 능력에 두는 반면 성취 수준이 하위 그룹에 속하는 학생들은 실패의 원인을 능력에 두고 있으며, 이러한 경향은 남학생보다는 여학생에게 나타난다. 여덟째, 남학생은 성취 수준별로 성공의 요인 분석 방식에 차이가 없는 반면, 여학생은 성취 수준이 상위 그룹인 학생들은 성공의 원인을 능력에 두고 하위 그룹인 학생들은 성공의 원인을 환경과 같은 외적 요인에 둔다. 이상과 같은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의 결론을 내리면 다음과 같다. 첫째, 수학에 대한 태도의 남녀 차이는 수학 성취도의 남녀 차이와 관련이 있다. 둘째, 수학에 대한 태도의 남녀 차이는 성취 수준이 중위 그룹인 경우 가장 크다. 셋째, 수학 학습에서 남학생은 성공의 원인을 자신의 능력으로 돌리는 경향이 있는 반면에 여학생은 실패의 원인을 능력의 부족으로 돌리는 경향이 있는데, 이러한 성공과 실패의 귀인 방식에서의 남녀 차이가 수학 성취도의 남녀 차이와 관련이 있다. 넷째, 남학생은 성취 수준별로 성공의 원인을 돌리는 경향에 차이가 없는 반면 여학생은 성취 수준에 따라 차이가 있다. The link between attitude toward mathematics and mathematics achievement has been examined and judged to be important in a number of studies. And studies showing the relationship between gender differences in mathematics achievement and gender differences in attitudes toward mathematics are being continued. Therefor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differences in male and female students´ attitudes toward mathematics according to achievement grade. The study presents some perspectives on improving students´ attitudes toward mathematics. For this study, Fennema-Sherman Mathematics Attitude Scale is chosed and the National Achievement Evaluation tested in 1998 mathematics scores of 380 boy students and 370 girl students are sampled. The analysis is proceeded with SPSS 7.0 Statistics Package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Attitudes toward mathematics had a strong effect on mathematics achievement 2. Confidence in learning mathematics, motivation in mathematics, attitude toward success in mathematics and parents´ attitudes toward the student had a significant relation with mathematics achievement. 3. Confidence in learning mathematics, motivation in mathematics, parents´ attitudes toward the student were higher in boys than girls. 4. In high-achieving group, confidence in learning mathematics, motivation in mathematics, and parent´s attitudes toward the student were higher in boys than girls. 5. In middle-achieving group, while sex-role congruency were higher in girls than boys, confidence in learning mathematics and motivation in mathematics were higher in boys than girls. 6. In low-achieving group, confidence in learning mathematics, motivation in mathematics and parent´s attitudes toward the student were higher in boys than girls. 7. In middle-achieving group, gender differences on attitude toward mathematics was the most. 8. In analysis of achievement grade,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ree achieving group in confidence and motivation. 9. While boys were more likely to attribute success to ability than girls, girls were more likely to attribute failure to the lack of ability than boys. 10. While high-achieving group were more likely to attribute success to ability, low-achieving proup were more likely to attribute failure to the lack of ability. 11. While high-achieving girl´s group were more likely to attribute success to ability, low-achieving girl´s group were more likely to attribute success to environment.

      • 성취목표지향과 노력조절 및 학업성취도의 관계

        진창욱 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807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between achievement goal orientations, effort regula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The major concern of the study was the mediation effect of the effort regulation between the goal orientations and achievement. Three hypotheses were formulated as follows. 1. There would be moderate correlations between achievement goal orientations and academic achievement. 2. There would be moderate correlations between achievement goal orientations and effort regulation. 3. The relations between achievement goal orientations and academic achievement would be mediated by effort regulation.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304 high school students, sampled from a general high school, located in Jeonju. The tests of achievement goal orientations, based on the 2x2 factor model of achievement goal theory, were administered, and the effort regulation questionaire was developed by the researcher and administered to them . The mid-term math and Korean language test scores were also collected for the analysis. The results of the study could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t was confirmed that there were moderate correlations between achievement goal orientations and academic achievement. Specifically, the mastery approach and performance approach goal orientations had positive correlations with both of math and Korean language scores. And the mastery avoidance and performance avoidance goals had negative correlations with the academic achievement. Second, it was confirmed that there were moderate correlations between achievement goal orientations and effort regulation. As in the relations between the goal orientation and achievement, the mastery approach and performance approach goals had positive correlations with effort regulation, and the mastery avoidance and performance avoidance goals had negative correlations with effort regulation. Third, it was confirmed that the four goal orientations were not differentiated in predicting the Korean language scores by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Only the mastery approach goal orientation had additional effect in accounting for the variance of the scores and the other goals had no additional predictive effects on the scores. Contrary to the Korean language scores, each of the three goal orientations out of four added the proportion of variance predicting the math and effort regulation scores respectively. Finally,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s were confirmed that the relations between achievement goal orientations and academic achievement were mediated by effort regulation. Specifically, the partial mediation models were better fitted to the data than the complete mediation models; the partial mediation models had an indirect and direct path between the goals and scores , but the complete mediation models had only the indirect path connecting the goals and scores mediated by effort regulation.

      • 성취 기준 및 평가 기준 개발과 활용 방안 : 과학 3 <생식과 발생> 단원을 중심으로

        김지운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7807

        제7차 교육 과정에서는 교육 과정 평가 체제 확립을 통한 교육에 대한 질 관리를 강조하고 있다. 이를 위해 절대적 준거인 학습 목표의 달성 여부를 중시하는 준거 지향 평가를 점진적으로 권장하고 있으며, 학생의 목표 도달도를 확인하기 위하여 다양한 평가 도구를 사용할 것을 강조하고 있다. 학교 현장에서, 교육 과정 중심의 교육이 이루어지고 학습 목표의 도달 정도를 평가하는 준거 지향 평가가 제대로 시행되기 위해서는 국가 교육 과정에 근거한 학교 수준의 구체적이고 상세한 성취 기준 및 평가 기준이 마련되어야 한다. 이 연구는 학교 수준의 객관적이고 타당한 성취 기준 및 평가 기준이 설정되어 있을 때, 그 기준이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고 연구 목적을 설정하였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중학교 과학 3의 '생식과 발생' 단원을 연구 영역으로 선정하여 성취 기준과 평가 기준을 개발한 후에 이 결과를 활용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성취 기준과 평가 기준의 개발에 앞서 선정된 단원에 대하여 우선적으로 필수 학습 요소를 추출하였는데, '생식과 발생' 단원에서 뽑아낸 필수 학습 요소는 총 16개였다. 이 필수 학습 요소와 함께 학생들이 도달해야 할 학교 수준의 구체화된 성취 기준을 크게 지식 영역, 탐구 영역, 태도 영역으로 나누어 개발하였다. 이 개발된 성취 기준은 총 32개였으며, 지식(K) 영역, 탐구(P) 영역, 태도(A) 영역에 각각 16개, 13개, 3개였다. 그 다음에는 학생들의 성취 수준을 실질적으로 판단할 수 있는 학교 수준의 상세한 평가 기준을 개발하였다. 이 개발된 평가 기준은 총 30개였으며, 지식(EK) 영역, 탐구(EP) 영역, 태도(EA) 영역에 각각 16개, 11개, 3개였다. 끝으로 이 연구에서 개발된 성취 기준과 평가 기준을 활용할 수 있는 다양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학생 개개인의 실질적인 성취 정도를 알아낼 수 있는 다양한 준거 지향 수행 평가 도구(서술형, 단답형, 개별과제, 포트폴리오)의 개발, 차시 별 실험 수업 목표와 차시 별 교실 수업 목표 개발, 수준별 수업의 판별, 교과 내용 인지 요구도 판별에 '생식과 발생' 단원에서 개발한 성취 기준과 평가 기준을 직접 활용한 실례를 제시하였다. 결론적으로 이 연구에서 개발한 '생식과 발생' 단원에 대한 성취 기준과 평가 기준을 교육 목표, 교육 과정, 교육 방법 및 교육 평가의 입장에서 충분히 활용할 수 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 In this study, 「achievement standards」, 「assessment standards」and its application have been developed. It deals with the area of 'reproduction and development' in 'Middle School Science 3' from the 7th national curriculu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 1. In the first place, the characteristics of the 7th national science curriculum, and the contents of the six kinds of science textbooks of middle school 3rd grade were carefully analyzed. Then the 16-requisite-learning elements in the units of 'reproduction and development' were extracted from them. 2. The 32 「achievement standards」 that the students should fulfill were developed. The fore-mentioned 「achievement standards」 are divided into three categories; knowledge, process skill and attitude. These can be used as the actual guidelines of teaching and learning in a classroom. 3. The 30 「assessment standards」 were developed to decide the level of student's achievement. Each standard has three levels; satisfactory, average and poor. 4. Based on the above-mentioned 「achievement standards」 and 「assessment standards」, its application -「performance assessment instruments」, 「deepening·supplementary curriculum classification」, 「unit by unit class objectives」, 「cognitive demand of contents discrimination」- was developed.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is as follows. Based on the so-developed 「achievement standards」and 「assessment standards」, science teachers can easily make various 「criterion-referenced performance assessment instruments」, classify students with different ability to 「deepening and supplementary curriculum」, make 「unit by unit class objectives」 which can be used in field class, and finally discriminate 「cognitive demand of contents」.

      • 교육성취불평등의 결합조건에 대한 국제비교연구 : 질적비교분석(Qualitative Comparative Analysis)을 중심으로

        고주은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PISA 2018에 참여한 60개국을 대상으로 경제, 문화, 정치, 교육제도의 특성 간의 어떠한 결합 형태가 교육 성취 불평등과 집합적 관계를 형성하는지 검증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인간의 삶에 다방면으로 그리고 멀리까지 영향을 미치는 교육 불평등은 미래 불평등의 원인으로도 간주되는 중요한 문제로 각 국가의 맥락에 따라 다른 양상을 보이는데, 본 연구에서는 교육 성취 불평등에 관여하는 조건들의 결합 형태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설정한 연구 문제는 첫째, 정치·경제·문화·교육제도가 교육 성취 불평등의 발생과 관련하여 필요조건 또는 충분조건인지 분석하고, 둘째, 정치·경제·문화·교육제도의 어떠한 결합에서 교육 성취 불평등이 발생하는지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질적비교분석(Qualitative Comparative Analysis: QCA)방법론을 사용하였다. QCA는 중범위 사례(intermediante N)의 비교를 위해 만들어진 방법론으로 집합이론(set theory), 부울 대수(boolean algebra), 진리표(truth table)를 활용하여 특정 사회현상과 관련된 조건이 어떠한 집합관계를 형성하는지 분석한다. 본 연구에서 선행연구와 관련 이론에 근거하여 교육 성취 불평등에 영향을 미치는 국가 조건을 정치, 경제, 문화, 교육제도의 네 가지 조건으로 설정하고 이들의 집합적 관계를 분석하였다. 세부적으로 정치체제 조건은 ‘복지국가(탈상품화 정도)’, ‘민주주의’ 사용하였고, 문화조건은 Hofstede의 문화 차원 구분을 사용하여 ‘권력거리지수’, ‘장기지향지수’를 사용하였다. 경제적 조건은 ‘경제적 불평등 정도(지니계수)’와 ‘GDP 대비 정부 교육비 지출(%)’을 사용하였다. 마지막으로 교육제도의 조건은 ‘교육제도의 표준화 정도’와 ‘교육제도의 계층화 정도’를 사용하였다. 이를 통해 알아보고자 하는 결과 조건인 ‘교육 성취 불평등’은 서로 다른 사회·경제적 배경의 학생 간의 성취가 일치하지 않은 정도가 큰 상태로 설정하고 PISA 2018의 자료를 활용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 성취 불평등과 정치·경제·문화·교육제도의 집합관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어느 한 가지 조건도 개별 조건으로서 교육 성취 불평등과 필요조건이나 충분조건 관계를 형성하지는 않았다. 둘째, 높은 수준의 교육 성취 불평등의 충분조건은 다음과 같은 결합 관계로 나타났다. 1) 경제적으로 불평등하면서 표준화되지 않는 교육제도일 경우 2) GDP 대비 국가 교육비 지출이 높지만, 교육제도가 계층화되었을 경우 3) 복지국가이며 낮은 수준의 경제적 불평등을 보이지만 계층화된 교육제도일 경우 4) 복지국가이며 낮은 수준의 경제적 불평등을 보이지만 높은 권력거리 문화일 경우 높은 수준의 교육 성취 불평등이 발생하였다. 셋째, 낮은 수준의 교육 성취 불평등의 충분조건은 분석 결과 다음과 같은 결합 관계로 설명할 수 있다. 1) 경제적 불평등 정도가 높고, 복지국가가 아니면서 표준화된 교육제도일 경우 2) 낮은 권력거리 문화와 교육이 계층화된 정도가 낮으면서 교육제도가 표준화된 경우에 낮은 수준의 교육 성취 불평등이 발생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를 종합해보면 국가별로 상이한 정치체제, 문화, 경제 상황 및 교육제도와 ‘교육 성취의 불평등’의 집합관계는 일관된 결과를 가져오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즉, 각각의 원인조건은 독립적으로 각국의 교육 불평등을 설명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맥락에 있는 여러 조건 어떻게 결합되느냐에 따라 그 결과의 방향이 다르게 나타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교육 성취 불평등의 문제는 교육제도 영역 안에서만 다루어질 수 없는 복합적인 성격을 지닌 문제이다. 따라서 교육을 둘러싸고 있는 경제적·정치·문화적 측면에서 함께 살펴보고 해결 방향을 모색해야 할 것이다. 이런 점에서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의 영향력을 최소화하려는 교육정책으로만 문제 해결에 한계가 있다. 복지 체제를 개선하고, 경제적 불평등 문제를 해소하는 등 사회의 다른 평등적 조치와 함께 동반될 필요가 있다.

      • 초등학생의 성취정서와 학교생활적응의 관계에서 자기주도학습능력의 매개효과

        채승연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초등학생의 성취정서가 학교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 성취정서와 학교생활적응의 관계에서 자기주도학습능력의 매개효과를 밝혀 학교생활적응의 개선 방안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연구를 위하여 설정한 연구문제는 아래와 같다. 연구문제 1. 초등학생의 성취정서, 자기주도학습능력, 학교생활적응 간의 구조적 관계는 어떠한가? 연구문제 2. 초등학생이 지각하는 성취정서와 학교생활적응의 관계에서 자기주도학습능력의 매개효과가 있는가?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서울, 경기, 광주, 대전, 강릉 소재 초등학교에 재학 중인 5∼6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Likert식 5점 척도로 구성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최종 302부의 응답자료를 SPSS Statistics 25.0과 Amos 23.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다음과 같이 분석하였다. 첫째, 초등학생이 지각한 성취정서와 학교생활적응 및 자기주도학습능력 간의 관련성을 살펴본 결과, 즐거움 성취정서는 학교생활적응 및 자기주도학습능력과 정적 상관을 가지며, 불안감 성취정서는 학교생활적응 및 자기주도학습능력과 부적 상관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수업시간에 즐거움을 더 많이 느낄수록 학교생활적응 수준과 자기주도학습능력이 높고, 불안감을 더 많이 느낄수록 학교생활적응 수준과 자기주도학습능력이 더 낮음을 뜻한다. 또한 본 연구에서 즐거움 성취정서는 학교생활적응 및 자기주도학습능력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나 불안감 성취정서는 그렇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초등학생의 자기주도학습능력과 학교생활적응의 관련성을 살펴본 결과, 자기주도학습능력과 학교생활적응은 정적 상관이 있었으며, 자기주도학습능력은 학교생활적응에 직접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자기주도학습능력이 높은 학생일수록 학교생활적응도가 높으며, 자기주도학습능력이 낮을수록 학교생활적응에 어려움이 있음을 뜻한다. 셋째, 초등학생이 지각하는 즐거움 성취정서가 학교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자기주도학습능력의 부분매개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즉, 즐거움 성취정서가 자기주도학습능력을 매개로 하여 학교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다. 이는 즐거움 성취정서를 자주 혹은 덜 자주 느끼는 학생들의 학교생활적응을 도울 때 자기주도학습능력을 향상시키는 것이 도움이 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본 연구의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는 초등학생 고학년의 성취정서, 자기주도학습능력, 학교생활적응 변인 간의 구조적 관계를 종합적으로 밝힘으로써 초등학생의 학교생활적응에 있어서 성취정서와 자기주도학습능력의 영향력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초등학생의 학교생활적응을 향상시킬 수 있는 더욱 다양한 변인들에 대한 검증이 필요하다. 둘째, 본 연구는 학생의 자기주도학습능력 향상을 통해 학교생활적응 수준을 개선시킬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학생의 학교생활적응 수준을 높이기 위해 교사가 수업 시간 중 즐거움 성취정서를 더욱 많이 느끼게 하기 위한 노력과 더불어 자기주도학습능력을 기르기 위한 노력을 병행한다면 훨씬 효과적일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whether elementary school students’ achievement emotions have an influence on school life adaptation or not, and explore the way of improving the school life adaptation by finding the mediating effect of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between achievement emotions and school life adaptation. The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s: How is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achievement emotions,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school life adaptation of elementary students? Does the mediating effect of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chievement emotions and school life adaptation of elementary students exist? In order to solve the research problems, fifth-grade and sixth-grade students attending elementary schools in Seoul, Gyeonggi, Gwangju, Daejeon, Gangneung were asked to do a survey composed of Likert scale. The data for the final 302 students were analyzed using statistical programs of SPSS 25.0 and Amos 23.0.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achievement emotions and school life adaptation, there was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achievement emotions and school life adaptation. Joy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school life adaptation, and anxiety did not have an effect on school life adaptation. Secon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school life adaptation,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school life adaptation, and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had a direct effect on school life adaptation. This means that the higher the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is, the better the students adapt to the school life, and the lower the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is, the more likely to struggle with adapting to the school life. Thir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achievement emotions and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joy ha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anxiety ha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Furthermore, joy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while anxiety did not. Fourth, it was verified that the partial mediating effect of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the process of joy influencing school life adaptation. This means that when helping students who feel joy more or less in class, it may be helpful to improve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is study confirmed the effect of achievement emotions and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on school life adaptation of elementary students by revealing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achievement emotions,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school life adaptation. It is necessary to reveal more various factors that can help school life adaptation of elementary students. Second, the result implies that it is possible to help students adapt to school life by improving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Thus, teachers are required to try to develop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s well as make students feel joy more in class.

      • 고등학생의 성취목표지향성, 부모지지, 교사-학생관계가 학업적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최옥순 동아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807

        초 록 고등학생의 성취목표지향성, 부모지지, 교사-학생관계가 학업적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High School Students’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Parental Support, Teacher and Student Relationship on Their Academic Self-Efficacy 교육심리 및 상담전공 최 옥 순 지도교수 조 규 판 본 연구의 목적은 고등학생의 학업적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개인적요인과 사회·환경적인 요인에 관심을 갖고, 성취목표지향성, 부모지지, 교사-학생관계가 학업적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목적을 위하여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고등학생의 성취목표지향성, 부모지지, 교사-학생관계, 학업적 자기효능감 간의 관계는 어떠한가? 둘째, 고등학생의 성취목표지향성, 부모지지, 교사-학생관계가 학업적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본 연구를 위해 부산시 소재 고등학교 1학년에 재학 중인 고등학생들에게 270부의 설문을 실시하였다. 이 중 260부가 회수되었고, 회수된 설문지 중 응답이 충실하지 못한 설문지 11부를 제외한 249부가 자료 분석에 포함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고등학생의 성취목표지향성, 부모지지, 교사-학생관계 및 학업적 자기효능감 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상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고등학생의 성취목표지향성, 부모지지, 교사-학생관계가 학업적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및 논의를 통하여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고등학생의 성취목표지향성, 부모지지, 교사-학생관계, 학업적 자기효능감 간에는 유의미한 정적상관이 있다. 둘째, 고등학생의 성취목표지향성의 하위요인 중 숙달접근 목표 지향성, 수행회피 목표 지향성이 학업적 자기효능감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친다. 셋째, 고등학생의 부모지지의 하위요인 중 어머니의 정보적 지지가 학업적 자기효능감에 영향을 미친다. 넷째, 고등학생의 교사-학생관계의 하위요인 중 유능감이 학업적 자기효능감에 영향을 미친다. 이상의 내용을 종합해 볼 때, 고등학생의 학업적 자기효능감을 높이기 위해서는 학습자가 타인에게 과시하기 위한 점수목표로 학업에 임하는 것이 아니라 자신감을 가지고 스스로 학습목표를 설정하고 주어진 과제를 성공적으로 지속할 수 있는 교육적 환경을 조성하고 강화할 필요가 있다. 주요어: 학업적 자기효능감, 성취목표지향성, 부모지지, 교사-학생관계

      • 교사의 학생성취기대에 따른 무용실제학습시간 연구

        박정미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무용수업에서 전개되는 학습자 행동을 체계적으로 관찰하여 교사의 학생성취기대와 활동과제에 따른 무용실제학습시간과는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를 살펴보는데 목적을 두었다. 본 연구의 대상은 경기도 성남시에 소재하고 있는 초등학교 2개교의 3학년 중 각 1개학급을 대상으로 수업중 학생 행동을 관찰하였으며 무용수업에 참여하는 학습자가 적극적으로 참여하리라는 교사의 기대수준에 따라 상위 학생 남녀 1명, 중위 남녀 1명, 하위 남녀 1명씩 6명의 총 12명 학생을 선정하였다. 본 연구방법은 Sidentop의 동료 연구진(1982)이 개발한 관찰도구를 사용하여 학습환경 영역과 학습자참여 영역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처리는 무용실제학습시간의 수업 상황에서 나타난 학습환경 영역과 학습자참여 영역으로 구분하여 수집된 자료를 컴퓨터에 입력시킨 후 SPSS/PC+ Version 10.0 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무용실제학습시간은 백분율을 산출하였고, 교사의 학생성취기대에 따른 무용실제학습시간과 학생의 성별에 따른 무용실제학습시간은 단일변량분석인 X²으로 실시하였다. 이상과 같은 과정을 통해 밝혀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전체 무용실제학습시간체계를 분석한 결과 학습환경 영역 중에서 일반내용에 소요한 시간이 총 학습시간의 27.6%였으며, 그 중 운영이 13.8%였다. 한편 교재내용(지식) 영역에서는 무용기능이 31.1%의 시간이 소요되었고, 교재내용(기능) 영역에서는 약 39.9%시간이 할애된 것으로 나타났다. 학습자참여 영역의 신체활동에 소요한 시간은 43.2%였으며, 비신체활동에 소요된 시간은 56.8%로 신체활동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비신체활동 영역에서 주연습이 아닌 수업참여가 가장 높았고, 신체활동 영역에서는 적절한 연습이 가장 높은 비율을 보였다. 2. 교사의 기대가 높은 학생은 기대가 낮은 학생에 비해 무용실제학습시간이 높았으며, 교사의 학생성취기대와 활동과제에 따른 무용실제학습시간은 차이가 없었다. 본 연구는 교사의 학생성취기대와 무용실제학습시간과의 관계에 있어서 교사가 학생의 학업성취에 대하여 높은 기대를 가지면 수업 활동을 통하여 이러한 학생의 기대가 학생들에게 충분히 전달되어 결과적으로 높은 학업 성취를 가져오게 된다는 사실을 입증하게 되었다. 3. 학생의 성별에 따라 무용실제학습시간은 차이가 없었으며, 학생의 성별과 활동과제에 따른 무용실제학습시간도 차이가 없었다. 즉, 교사의 학생성취기대에 따른 학생의 학습시간에 미치는 영향은 학생의 성별과 관계없이 동일함을 알수 있으며, 수업내용과 기대수준을 통제하더라도 무용실제학습시간에 성별의 차이는 나타나지 않음을 알 수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종합적으로 정리하여 살펴볼 때, 교사는 기대가 높은 학생에게 특별한 행동과 성취를 기대하게 되고, 이러한 기대로 인하여 교사는 학생들에게 차별적으로 행동하여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서 높은 기대를 받으면 높은 수준의 성취를 하도록 이끌어지고, 낮은 기대를 받으면 성취 수준이 저하되어 학생들의 성취나 행동은 점점 더 교사가 본래 기대했던 행동에 일치함을 알수있다. 교사는 지나치게 개인차에 구애받지 말고 전체로서의 학급을 대상으로 어떻게 가르칠 것인가를 생각해야 하며, 학급내 학생간의 학업성취 능력의 차이를 줄이고 그 능력 수준을 높이기 위하여 교사는 학생에 대한 기대를 학생의 배경요인이나 이전 자료 등에 관계없이 균등하게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grasp the degree of students' academic learning in dance education in the class context and analyse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s expectation and activity task and academic learning time in dance education in order . That is, it was intended to investigate what effect teacher's expectation and activity task had on academic learning time in dance education and systematically observe the behavior of the learners that had an effect on their academic learning time in dance education. The object of this study was each class from the 3the grade of two elementary schools located in Sungnam City, Kyonggi Province. A total of 12 students in two elementary, composed of one male and one female at the top level, one male and one female at the medium level and one male and one female at the lower level in each elementary, were selected according to the level of teacher's expectation that the learner participating in the dance class would take an active part in the dance class. Using the measurement instrument developed by Sidentop et al(1982), this study analyzed the learning process of learners by dividing it into the learning environment aspect and the aspect of learner's participation. Data were collected by dividing the class setting into the learning environment aspect and the aspect of learner's participation. Those data obtained from this process were analyzed using SPSS/PC+ Version 10.0 on the computer. Percentage was calculated to analyze the academic learning time in dance education. An univariate analysis was conducted of the difference between the academic learning time in dance education with teacher's expectation and activity task and the academic learning time in dance education with students' sex and activity task. As a result, the following study results were obtained: 1. An attempt was made to analyze the overall body of academic learning time in dance education. As a result, the time spent on general content in the domain of the learning environment aspect and accounted for 27.6% of the total learning time. Among them. the time of class operation amounted to 13.8%. On the one hand, the dance function in the domain of text content(knowledge) accounted for 31.1% of the total learning time, and about 39.9% of the total time was devoted to the domain of text content(function). In the domain of the aspect of learner's participation, the time spent on physical activity accounted for 43.2%, and the time spent on non-physical activity amounted to 56.8%. In the domain of non-physical activity, participation in classes, not major classes, occupied the highest proportion, whereas the domain of physical activity showed the highest proportion of the appropriate practice variable. 2. The students toward whom the teacher had the high expectation showed the high level of academic learning time in dance education compared to the counterparts, and there was no difference in academic learning time in dance educa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eacher's expectation and academic learning time in dance education, this study proved the fact that if the teacher had the high level of expectation towards the student's scholastic achievement, this expectation was sufficiently conveyed to students through class activity, resulting in bringing their high level of scholastic achievement. 3.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academic learning time according to students' sex, and there was no difference in academic learning time according to students' sex and activity task. At last, it was reconfirmed that the groups of male students and the group of female students were the same as the effect of the teacher's expectation on the student's learning time. It was found that there existed no difference in academic learning time according to students' sex even though class content and the level of expectation were controlled for. Taken together, the teacher comes to expect special behavior and achievement from a special student. Due to this expectation, the teacher acts with discrimination against students. If the student is given the high level of expectation by the teacher with the passage of time, the teacher leads the student to have the high level of achievement. If the student is given the low level of expectation, the student comes to have the lowered level of achievement. Consequently, Students' achievement and behavior correspond with the behavior originally expected by the teacher.

      • 고교 운동선수들의 성취목표성향이 진로결정유형에 미치는 영향

        이왕성 단국대학교 2008 국내석사

        RANK : 247807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losely examine difference of goal entation and career decision type on High school athletes, also was to analyze what kind of effect had. With regard to data collection in Seoul, Gyeonggi-do, In-chen and Chungcheongnam-do a survey was established as universe involving among High school athletes who registered in the Korea Amateur Athletic Association. The data was collected by 350 high school athletes. After 32 samples considered to be answered in appropriately were excluded, a total of 318 samples were used for final analysis. In order to analyze the samples SPSSWIN version 12.0,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employed and as a result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First, with individual character of high school athlete, difference of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was that male athlete was shown self-oriented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higher than female athlete in gender, but there were not shown different with scholastic year, exercise experience, winning a prize record, and exercise type. Second, with individual character of high school athlete, difference of settle their route type was that male was higher than female in instinctual decision, anaclisis decision of the settle route type, and in scholastic year, the settle route type of anaclisis decision was shown to be different significant influence between group, and all settle route type were shown to be different significant influence in winning a prize. Also the settle route type of rational decision was shown to be different significant influence in exercise type, but there was not different in exercise experience. Third, achievement good orientation of self-oriented and task-oriented of high school athletes had an positive influence for explaining rational intention decision type. Forth, achievement good orientation of self-oriented and task-oriented of high school athletes had an positive influence for explaining instinctual intention decision type. Fifth, self-oriented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of high school athletes had an positive influence for explaining all anaclisis intention decision type, but there had not positive influence task-oriented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Lastly, with individual character of high school athletes,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was confirmed to be difficult participation in accordance with the gender as well as the gender, the grade, the winning a prize, the exercise type of the settle route decision type,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was confirmed to had positive influence partially in the settle-route.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was confirmed to had positive influence for explaining all the settle route decision type of the rational, the instinctive, the anaclisis and intention decision type. Accordingly,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is needed to enhance mainly in the settle their route of high school athletes. 이 연구는 고교운동선수들의 개인적 특성에 따른 성취목표성향과 진로결정유형의 차이를 규명하고, 성취목표성향이 진로결정유형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 분석하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었다. 자료 수집은 2007년도 현재 서울, 경기, 인천 그리고 충남지역의 고등학교 운동선수 중 대한체육회에 선수 등록된 고등학생 운동선수를 모집단으로 설정하였으며, 자료 수집은 편의표본추출법을 이용하여 고등학교 운동선수 350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 중 조사내용의 일부가 누락되었거나 불성실하게 답변된 것으로 판단되는 자료 32부를 제외한 총 318부의 자료를 SPSSWIN 12.0을 이용하여 t-test, 일원분산분석 그리고 다중회귀분석을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고등학교 운동선수의 개인적 특성에 따른 성취목표성향의 차이는 성별에서 남자선수가 여자선수보다 자아 지향적 성취목표성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학년, 운동경력, 입상경험 그리고 운동유형에 따라서는 차이가 없었다. 둘째, 고등학교 운동선수의 개인적 특성에 따른 진로결정유형의 차이는 직관적 결정과 의존적 결정에 대한 진로결정유형에서 남자선수가 여자선수보다 높게 나타났고, 학년에서는 의존적 결정에 대한 진로결정유형에서 집단간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입상경험에서는 모든 진로결정유형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또한 운동유형에서는 합리적 결정에 대한 진로결정유형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고, 운동경력에 따라서는 차이가 없었다. 셋째, 고등학교 운동선수들의 자아지향과 과제지향의 성취목표성향은 합리적 의사결정 유형을 설명하는데 정(+)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친다. 넷째, 고등학교 운동선수들의 자아 지향과 과제 지향의 성취목표성향은 직관적 의사결정유형을 설명하는데 정(+)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친다. 다섯째, 고등학교 운동선수들의 자아 지향적 성취목표성향은 의존적 의사결정유형을 설명하는데 정(+)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과제 지향적 성취목표성향은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고등학교 운동선수들의 개인적 특성에 따른 성취목표성향은 성별에 따라서, 진로결정유형에는 성별, 학년, 입상경력, 운동유형에 따라서 각기 다르게 관여될 수 있다는 것이 확인 되었고, 진로결정유형에 성취목표성향은 부분적으로 영향을 주는 것으로 확인 되었다. 성취목표성향은 합리적, 직관적, 의존적 의사결정유형의 모든 진로결정유형을 설명하는데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고등학교 운동선수들의 진로에 있어 성취목표성향을 높이는데 주력할 필요가 있다.

      • 어머니의 불안, 심리적 통제 양육과 성취관심이 유아의 과제 재도전 반응에 미치는 영향 : 과제수행 효능감의 매개효과

        장유진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박사

        RANK : 247807

        이 연구는 유아의 과제 재도전 반응의 중요성에 주목하여 유아 과제 재도전 반응에 미치는 어머니 불안과 심리적 통제 양육 및 성취관심, 유아 효능감의 영향에 대해 살펴보았다. 유아의 과제 재도전 반응은 유아의 현재 발달 수준이나 성취보다는 미래의 수행 가능성과 수행 과정에 초점을 둔 변수로 유아의 동기와 관련이 있다. 구체적으로 이 연구에서는 이들 변수의 양상과 변수들 간의 상관관계 및 경로를 분석하였다. 어머니의 심리적 특성인 불안과 자녀에 대한 심리적 통제 양육 및 성취관심이 유아의 과제수행 효능감을 매개로 과제 재도전 반응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고찰하였다. 이를 위하여 서울시에 소재한 유치원 4곳에서 만 5세 유아 213명과 유아의 어머니를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으며, 어머니 질문지는 최종적으로 201부가 회수되었다. 유아를 대상으로 퍼즐실험 과제를 이용하여 과제 재도전 반응을 측정하였고, 손인형 인터뷰의 방법으로 과제수행 효능감을 측정하였다. 어머니 질문지를 통해 어머니 불안과 심리적 통제 양육 및 성취관심에 대한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PASW 18.0 프로그램과 AMO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통계방법으로는 빈도분석,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상관관계 분석, 독립표본 t 검정, 경로분석을 사용하였다. 이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이 연구의 대상 유아들은 중앙값보다 높은 수준의 도전 지향적 과제 재도전 반응을 나타냈으며, 어머니들은 자신의 불안과 심리적 통제 양육을 중앙값 이하로 지각하여 자신의 양육을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이와 함께 실패 후 재도전 상황에서 도전 회피적인 반응을 보이는 것은 유아의 낮은 퍼즐 완성 능력과 관련이 있었다. 둘째, 어머니의 심리적 통제 양육 중 자율성 억압 양육은 유아의 부정적 과제수행 효능감 및 도전 회피적인 과제 재도전 반응과, 어머니의 심리적 통제 양육 중 애정 통제 양육은 유아의 도전 회피적인 과제 재도전 반응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어머니의 성취관심은 심리적 통제 양육 중 애정 통제와 같은 부정적 양육과 정적인 상관을 나타냄과 동시에, 자녀의 긍정적 발달을 예측하는 과제수행 효능감과도 정적인 상관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어머니의 불안은 심리적 통제 양육인 자율성 억압과 애정 통제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다. 어머니가 자녀의 자율성을 억압하는 경우에는 자녀의 과제수행 효능감이 낮았고, 애정을 통제하는 어머니의 양육은 유아의 과제 재도전 반응에 직접적으로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더불어 효과분해 결과, 어머니의 불안은 유아의 과제 재도전 반응에 부정적인 간접효과를 가지고 있었으며 어머니 불안이 유아의 과제 재도전 반응에 갖는 간접효과는 자율성 억압 양육 및 성취관심이 갖는 간접효과보다 더 큰 효과 크기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어머니의 불안은 성취관심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어머니의 성취관심은 유아의 과제수행 효능감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나, 과제 재도전 반응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이 연구는 유아기 자녀에게 미치는 심리적 통제 양육의 부정적 효과를 확인하고 성취관심 요인의 독특한 특성을 파악하였다. 부모는 자녀가 스스로 선택하고 방향을 설정할 기회를 제공하여 자녀의 관점을 수용하며, 압박적인 평가나 목표, 요구를 최소화하려는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더불어 자녀의 성취나 학업에 대한 어머니의 관심이 긍정과 부정의 양면적 특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과도하지 않은 적절한 수준의 성취관심을 지향할 필요가 있다. 유아의 도전 지향적인 과제 재도전 반응을 도모하기 위해서는 어머니의 자율성 지지를 기반으로 하여 유아의 과제수행 효능감을 높이는 방법이 가장 긍정적인 것으로 예측된다. 자녀의 자율성을 지지하는 어머니 양육으로 인한 유아의 높은 과제수행 효능감은 실패의 경험 이후에도 유아가 미래에 대한 긍정적인 기대를 갖고, 자신을 신뢰하며, 새로운 과제에 도전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 연구는 어머니의 불안 수준을 낮출 수 있는 부모교육 프로그램 및 심리적 통제 양육을 지양하고 자율성 지지적 양육을 실제적으로 교육할 수 있는 부모교육 프로그램 개발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