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한국 교회를 위한 신학적 성찰 : 성장에서 성숙으로의 전환을 위한 불트만의 실존론적 신학의 재구성을 통하여

        윤충구 연세대학교 연합신학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8687

        본 논문의 목적은 한국기독교가 번영신학에 의해 왜곡되고 있음을 밝히고 성찰신학의 필요함을 주장하려는 것이다. 이를 위해 불트만의 실존론적 신학으로 번영신학을 비판하고 한국기독교에 실천적으로 적용하고자 했다. 이 목적을 위해 본 논문은 다음과 같은 논리적 내용으로 구성되었다. 우선, 번영신학이 한국기독교에 쉽게 뿌리내리게 된 그 근원적 원인을 밝히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번영신학의 근원적 뿌리가 신화론적 세계관으로부터 시작되었음을 논증하고, 그 본격적인 성장은 20세기 미국의 실용주의의 영향하에서 한국뿐만 아니라 세계로 퍼졌음을 비판했다. 또한, 번영신학이 한국기독교의 역사적 배경과 맞물려 더욱 쉽게 수용되었음을 논증하였다. 이어서 본 논문은 불트만의 실존론적 신학이 루터의 ‘오직 믿음,’ 자유주의 신학의 역사비평학, 하이데거의 실존론적 철학의 사상적 구성으로 이루어졌음을 밝히고, 이 세 가지 사상적 특징들이 탈신화화론을 구성하기 위해 서로 역설적으로 그러나 상호 구성적으로 조화를 이루었음을 논증하였다. 또한 본 논문은 탈신화화론의 사상적 배경을 통해 실존론적 신학의 목적과 의도를 더욱 명확히 전달하고자 하였다. 마지막으로 실존론적 신학의 특징들을 살펴보고 동시에 한국기독교에 만연된 번영신학의 특징들을 비판하면서 실존론적 신학을 적용하고자 하였다. 이 적용을 위해 실존론적 신학의 변증법적 주제인 시간성, 존재론, 자유를 재구성하여 번영신학을 비평하고, 성찰신학의 정의와 필요성을 주장하며 실존론적 신학을 성찰신학의 대안으로 제안하였다. 결론적으로 본 논문은 한국기독교 문제의 현안이 번영신학에 있음을 밝히고, 그 문제점을 비평하고자 한 것이다. 그리고 그 문제에 대한 대안으로 불트만의 실존론적 신학을 성찰신학으로서 적용하였다. 이는 불트만의 실존론적 신학이 현대 신학의 기반을 이루고 있으며, 한국기독교를 위해 성찰신학으로서 역할을 할 수 있다고 보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실존론적 신학이 빠른 현대적 시대의 흐름 속에서 성장주의를 외치는 한국기독교에 더욱 날카로운 신학적 반성과 깊은 성찰을 가져다준다고 판단하였다. 또한, 실존론적 신학이 한국기독교에 신앙하는 실존적 인간의 본질성을 제시하고 기독교 신앙의 본질을 회복시키는 신학적 대안임을 제시하였다.

      • 이머징교회에 대한 조직신학적 성찰과 제언

        김선영 장로회신학대학교 신학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32271

        본 논문은 조직신학적 관점에서 이머징 교회 운동 속에 내재되어 있는 신학적인 토대들을 정리하고 확인하고자 했다. 그 이유는 우선, 기존 이머징 교회를 소개하는 글이나 책에서 조직신학적 관점에서 이머징 교회를 체계적으로 설명하는 것이 없었던 점, 그동안 이머징 교회에 대한 신학적인 논의가 계속 진행되어 왔지만, 곳곳에 산재되어 있었던 점, 그리고 무엇보다 이머징 교회 운동을 한국적 상황에 도입하고 접목시키고자 할 때, 도입 시의 시행착오를 최소한으로 줄이고 싶었던 점 때문이다. 교회 부흥을 위해 어머징 예배 혹은 이머징 영성을 선별적으로 도입하려는 시도도 있을 것이다. 하지만 이머징 예배, 이머징 영성 이면에는 나름대로 그것을 뒷받침하는 신학적 바탕이 있다. 이머징 교회 운동의 신학적 배경을 이해하지 못하고, 그 예배, 영성만 따로 떼어서 도입할 경우 시행착오를 겪게 될 가능성이 크고, 일회성 프로그램을 도입하는 것 같이 큰 효과를 얻지 못할 것이기 때문이다. 본 논문은 다음과 같이 전개될 것이다. 우선 이머징 교회의 정의와 특징을 간단하게 다루었다(본문 Ⅱ장). 그 이유는 이머징 교회 운동이 미국을 비롯한 서구 교회 상황에서 발생한 것이고, 한국교회에는 아직 잘 알려진 주제가 아니기 때문이다. 그리고 이머징 교회를 조직신학적 틀 위에서 분석하기 전에, 먼저 이 글을 읽는 분들이 이머징 교회에 대한 큰 그림을 가지고 세부항목들로 접근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뒤이어 다음 부분에서는 하나님 나라, 기독론, 교회론, 영성이라는 조직신학적 틀거리를 이용해서 이머징 교회를 설명했다(본문 Ⅲ장). 결론 부분에서는 이머징 교회의 신학을 평가하고 한국교회를 위해서 기여할 수 있는 부분을 언급한 후에 논문을 마치려고 한다.

      • 종교비판에서 신앙성찰로 : 포이어바흐의 <기독교의 본질>에 대한 분석을 통하여

        김진한 연세대학교 연합신학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32255

        포이어바흐는 그의 역작 <기독교의 본질>을 통해 관념화된 신앙체계로 만들어진 신에 반동을 꾀하여 개념의 감옥에 갇힌 신의 탈출을 도모한다. 그러면서 종교라는 이름 뒤에 감춰진 무한을 동경하는 인간의 욕망이 고스란히 반영된 ‘인간의 신격화’의 정체를 폭로함으로써 종교의 비밀을 누설한다. 이러한 포이어바흐의 종교에 대한 인간학적 분석은 상호 뒤엉킨 종교와 인간의 관계를 주술관계 전복을 통해 그리고 투사를 통해 그 실타래를 하나둘씩 풀어낸다. 이러한 가운데 행해진 그의 종교비판은 오늘날 여전히 때론 억압을 때론 강박을 낳기도 하는 관념화된 신앙체계(혹은 믿음)에 길들여진 한국교회 현장에서 남도 속이고 자신도 속이며 믿음 생활을 하는 종교인들에게 그 믿음의 정체가 자기를 믿는 믿음에 불과하다는 점을 날카롭게 지적한다. 포이어바흐는 이처럼 철저히 인간 자신의 자기 믿음으로 포장된 자기 절대화된 신관을 부정하며 신이란 이름을 내세워 자신을 숨기면서 자신의 욕망을 채우려 하는 ‘종교적 인간’(homo religiosus)의 참되지 못한 실존을 고발한다. 본 논문에서는 기독교 밖에서 기독교를 향해 쏘아진 포이어바흐의 종교비판의 화살을 비껴가기보다 이를 비판적으로 수용, 특히 신론과 신앙론의 관점에서 그리스도교 신앙성숙의 도모를 위한 성찰의 기회로 삼고자 하는데 있다. 여기서의 종교비판이 종교 밖에서 종교를 비판하는 것이라면 신앙성찰이란 종교 안에서 종교 이데올로기의 자기반성을 담보하는 것으로써 신학적 모순을 대강 봉합해 말이 안 되는 신앙을 조장하는 교조화 된 교리를 비판적으로 검토하는 것을 포함한다. 그의 종교비판을 수용해 종교가 인간 소외가 아닌 인간 해방의 본래 자리를 찾도록 그 길을 모색해 보고자 함이다. 그러나 포이어바흐의 종교비판에서 우리가 유의할 것은 단순히 그가 무신론에 입각해 신 존재 유, 무를 가리는 게 그의 목적이 아니었다는 점이다. 다만 그는 철학과 신학의 통일을 시도한 헤겔에 의해 ‘절대정신’이라고 포장된 신 개념이 실은 인간 자기 본성의 투사에 지나지 않는데 그것을 신으로 받들어 모시는 기독교인들의 잘못된 신앙을 지적하고자 했다. 따라서 그의 주장 전체를 그가 무신론자라 하여 도매급으로 매도하여 귀를 기울이지 않는 것은 ‘목욕물만 버리면 될 것을 목욕물에 있는 아이까지 내버리는 일’에 해당하는 것이다. 그가 바라는 바 원초적 종교성에 기인한 인간의 소망이나 바람이 신의 뜻보다 항상 우선하였다는 불편한 진실을 목도하는 것이 우리가 먼저 하여야 할 일이라 본다. 이 같은 전제를 바탕으로 우리가 무엇보다 오늘의 한국 그리스도교의 신학적 갈등의 핵심으로 나타나고 있는 성서 문자주의에 대한 신학적 반성의 발판을 찾아내는 것은 더 없이 유의미한 일이라고 본다. 성서 문자에 신적 권위를 부여하는 신적 투사 작업을 통해 성서 문자가 어느새 신의 글씨로, 신의 음성으로 나아가 신 자체로 모셔져 인간 개개인의 신앙의 자유를 옥죄고, 탄압하는 광기어린 둔기로 둔갑하고 있는 것에 “아니오”하는 또 하나의 근거를 찾는다면 그것으로 논문의 소기의 목적을 달성하리라 본다. 따라서 성서 문자가 신으로 받들어지기까지의 과정을 포이어바흐의 투사의 구조와 기제를 바탕으로 분석하는 일과 그 모순을 들추어내는 일 그리고 그런 모순을 신학적으로 대강 봉합한 ‘성경의 특별계시 및 무오설’이 갖는 폐단들을 살펴보고, 성서에 대한 적절한 이해를 촉구하는 것은 중요 과제라 하겠다.

      • 상담 과정에서 나타나는 주요 은유 경험 연구

        신정미 연세대학교 연합신학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32254

        This research presents the significance of client's experience of metaphors based on the idea that the majority of language used in counseling is metaphoric in nature.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impact of metaphors (significant metaphors) and provide a foundation for future studies on the therapeutic usage of metaphors. This study, therefore, presents an understanding of clients' experience with meaningful metaphors from the clients' perspective. The research explores the following questions. First, what are types of significant metaphors experienced by clients? Second, what do clients experience through the significant metaphors? Third, what are some possible applications for Christian (pastoral) counseling based on the findings? To answer these questions, 10 participants with positive counseling experience were selected and asked to recollect the metaphors which were considered important to them during counseling. This data was collected through a semi-structured in-depth interview and analyzed according to the phenomenological method developed by Giorgi. According to the analysis, the significant metaphors identified by the participants were categorized into four types: Metaphors for counseling process, Metaphors for mirroring of problems/conflicts, Metaphors for new self-images, and Metaphors for unconscious needs. The key elements that constitute the meaning of significant metaphors experienced are described as ‘shared language’, ‘strengthening of therapeutic relationship’, ‘facilitating counseling process’, ‘clarification of problems’, ‘self-understanding’, ‘transformable self’, ‘new attitude toward life’, ‘problem-solving capability’, ‘induction of positive emotions’. The clients’ significant metaphorical experience is revealed in a narrative format that includes these components. The experience of significant metaphors is the process of transformation that emerges with the experience and creates new narratives of the past, present and the future. The results were discussed based on the following theories: intersubjectivity theory, Ricoeur’s hermeneutics and Schafer and Ferro’s analytic perspectives. First, the significant metaphors identified by clients are co-created in the intersubjective relationship between the counselor and the client. Second, clients produce narrative transformation in the process of interpreting significant metaphors. Lastly, each of the four types of the significant metaphors were considered as factors that facilitate change. Each were respectively discussed. In order to apply these findings to Christian (pastoral) counseling, the study integrated Capps' hermeneutics model for pastoral actions and Cooper-White’s theological reflection method utilizing counselors’ countertransference considering it as an intersubjective phenomenon to propose relational hermeneutical reflection model. This model focuses on counselors’ theological reflection after or between each counseling sessions. Christian (pastoral) counselor should be able to interpret counseling actions such as countertransferences as texts. Through such reflection, they can engage in the next intersubjective relationship with new and better understanding of the client and self. This is critical because Christian counselors act as ‘agents of hope’ in the relationship with clients. The experience of significant metaphors emerged from the intersubjective matrix has the meaning of creation of new narratives. The new narratives that have a temporal circle influences the past backward from the autobiographical present and forward from the past to the anticipated future. Transformation in narrative leads to a self-transformation, which then helps discover new metaphors of God.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it examined the experiences of significant metaphors emerging in the counseling process, from clients’ perspective. Secondly, it proved that the creation of a client's own narrative, which is crucial in successful treatment, is possible through metaphor. Thirdly, this study categorized language(words) that could be helpful for clients by presenting the types of significant metaphors to which clients give attention. Lastly, it proposed a methodological model to assist Christian (pastoral) counselors’ theological reflection. Using the model, counselors may not only understand clients deeper but also expand their self-understanding and identify their self-image in relation to the clients. It also provides methodical model which can be used to reflect on the transformable metaphor of God, who resides in the counseling process. 본 연구는 상담과 심리치료에서의 언어가 대부분 은유적 언어라는 점에 착안하여 내담자의 은유에 대한 경험의 의미를 밝힌 연구이다. 상담 과정에서 나타난 은유 중 내담자가 의미 있게 기억하는 은유(주요 은유)를 중심으로 내담자가 경험하는 것이 무엇인지 내담자 관점에서 연구하였다. 제기한 연구 질문은 첫째, 내담자들이 주목하는 주요 은유의 유형은 무엇인가, 둘째, 내담자들은 주요 은유를 통해 어떠한 경험을 하는가, 셋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기독(목회) 상담에 적용할 수 있는 점은 무엇인가이다. 이를 위해 상담 경험이 도움이 된 10명의 참여자들에게 사건중심의 관점에서 참여자들이 중요하게 여기는 은유를 명시하게 하고 반구조화된 심층 인터뷰를 통해 얻은 자료를 Giorgi의 현상학적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참여자들이 기억하는 주요 은유의 유형은 4가지로 범주화되었다. 유형1은 상담 과정에 대한 은유, 유형2는 문제/갈등 미러링 은유, 유형3은 새로운 자기상 은유, 유형4는 무의식적 욕구 표상 은유이다. 내담자들의 주요 은유 경험의 의미를 구성하는 요소들은 ‘공유된 공동 언어’, ‘치료적 관계 강화’, ‘상담과정 촉진’, ‘문제의 명료화’, ‘자기이해’, ‘변형 가능한 자기’, ‘새로운 삶의 태도’, ‘문제 해결력’, ‘긍정정서 유발’이다. 내담자들의 주요 은유 경험은 이 같은 구성요소들을 포함한 이야기 형식으로 드러난다. 연구 결과에 대하여 상호주관성과 Ricoeur의 해석학 그리고 Schafer와 Ferro의 정신분석적 관점을 바탕으로 다음과 같이 논의하였다. 첫째, 내담자들이 기억하는 주요 은유는 상담자와 내담자의 상호주관적 관계에서 공동 창조된 은유라는 것이다. 둘째, 내담자들은 텍스트 해석과 같이 주요 은유를 해석하여 이야기의 변형을 창출한다. 셋째, 결과에서 도출된 4가지 주요 은유유형 각각을 변화를 촉진하는 은유의 구성 요인으로 보고 각각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은유를 통해 내담자들이 새로운 이야기, 생동하는 이야기를 창출해낸다는 점에서 은유는 치료적이다. 이와 같은 결과를 기독(목회) 상담에 적용하기 위해 Capps의 목회 행동 해석학과 상호주관적 현상으로서의 상담자 역전이를 활용한 Cooper-White의 신학적 성찰 방법을 통합하여 관계 해석학적 성찰 모델을 제안하였다. 이것은 상담 이후 또는 회기와 회기 사이 상담자의 신학적 성찰에 초점을 두는 모델이다. 기독(목회) 상담자는 상담 이후 성찰의 과정에서 역전이를 포함한 상담 행동을 텍스트로 여기고 해석할 수 있어야 하며 이를 통해 내담자에 대한 이해를 심화하고 새로운 자기 이해를 가지고 다음 상담 관계에 참여할 수 있다. 이것이 중요한 것은 상담자는 내담자와의 관계 속 ‘희망의 행위자’이기 때문이다. 상담자와 내담자의 상호주관적 모체에서 생성된 주요은유에 대한 경험은 주요 은유를 기점으로 과거를 다시 말하고, 미래를 포함한 현재의 새로운 이야기를 창출하는 것이다. 이 이야기의 변형은 자기의 변형으로 이어지고 다시 자기상의 변형은 그에 상응하는 새로운 하나님 은유를 발견하게 한다. 본 연구의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는 상담과정에서 나타나는 주요 은유에 대한 경험을 내담자 관점에서 연구하였다는 점이다. 둘째는 상담 및 심리치료, 정신분석에서 보는 성공적 치료는 내담자 고유의 이야기의 창안으로 나타나는데 이 이야기의 창안이 은유를 통해 가능함을 밝혔다. 셋째, 내담자들이 관심 있게 주목하는 주요 은유의 유형과 각 특징을 제시함으로써 내담자들에게 도움이 되는 말을 범주화하였다. 넷째, 내담자 이해를 돕는 신학적 성찰 질문을 제안하고 상담자의 상담행동 해석과 상담 과정에 임재하시는 변형 가능한 하나님 은유를 성찰하는 데 활용할 수 있는 방법적 모형을 제시하였다.

      • 초심상담사의 역전이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김은호 연세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32239

        본 연구는 초심상담사가 상담에서 경험하는 역전이 현상과 과거 대상관계경험이 어떤 연결점이 있는지, 상담사는 상담현장에서 발생하는 역전이 현상에 대해 어떻게 인식하고 있으며, 그 현상이 어떻게 나타나는지, 또한 상담사의 작용적 신학이 어떤 배경에서 시작되고 유지되어 왔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시행되었다. 본 연구를 위하여 상담경력 5년 이하인 초심상담사를 최종적으로 4명 인터뷰 하였고, 이를 통한 자료 수집과 분석의 절차가 수행되었다. 자료 분석을 위해 참여자들의 주관적 심리적 경험을 잘 알 수 있는 A. Giorgi의 현상학적 방법론과 작용적 신학을 알 수 있는 M. Jordan의 목회신학적 방법론을 사용하였다. 먼저 역전이 현상을 알아보기 위해 심층면접을 통하여 그들의 주관적 역전이 경험과 그 경험의 바탕을 이루고 있는 배경에 주목하였다. 분석 과정을 통하여 연구참여자들의 핵심적인 진술이 드러난 61개의 문장들이 최종적으로 발췌 되었다. 발췌된 61개의 문장들은 다시 의미 단위로 구성되어 39개의 주제로 묶이고 최종적으로 6가지 범주로 구성되었다. Giorgi의 자료의 분석을 통해서 구성된 주제 범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문성에 대한 확신이 없음’이다. 이는 초심상담사로서의 특징뿐만이 아니라 내담자의 언어적, 비언어적 표현을 통해 상담사 불안이 역전이의 형태로 나타나면서 학습한 이론에 대한 확신이 낮아짐으로 상담사로서의 전문성에 대한 영향을 주게 된다. 둘째, ‘상담 실패에 대한 두려움’을 경험하였다. ‘무능력한 나’라는 과거의 고착된 정체성이 상담이 실패할 것이라는 왜곡된 신념으로 연결되고, 자신에 대한 평가 절하와 과거의 실패 경험을 반복하는 역전이 현상이라고 할 수 있다. 셋째, ‘내담자를 자신과 동일시하고 동질감을 느낌’이다. 알아차리지 못한 투사적 동일시로 인해 상담사 자신의 문제와 내담자의 호소문제의 경계가 무너지고 전이, 역전이를 주고 받으며 상담의 목적이 상담사의 미해결된 과제로 집중되는 결과가 나타나게 된다. 넷째, ‘역전이 자각의 어려움’이다. 초심상담사들은 스스로 역전이를 자각하는 일이 드물고, 내담자는 상담사가 리드하는 대로 핵심문제에 도달하지 못하고 상담이 종결된다. 다섯째, ‘소진을 경험’한다. 과거에 상담사의 갈등대상과 비슷한 내담자의 이미지, 나이, 성별, 성격적 특성이 상담사에게 역전이 감정을 발생하도록 하며 심리적 소진을 일으킨다. 여섯째, ‘전문가로 성장하기’이다. 초심상담사들에게 직면하기 힘든 역전이 현상이지만 이를 통해 내담자는 물론 상담사 자신을 알아가게 되고, 상담사를 성장 시킨다. Jordan의 작용적 신학적 관점에서 연구참여자들의 숨겨진 우상을 찾고, 쌍둥이(이중) 우상을 살펴본 후 하나님 이미지를 어떻게 통합하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제시된 사례의 작용적 신학을 종합하면 다음과 같다. 연구참여자들의 사례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우상은 부모(주양육자)였다. 연구참여자들은 상황에 따라 자신의 원형을 버리고, 구세주적인 주양육자의 무의식적 욕구대로 성장하게 되면서 주양육자로부터 경험했던 역기능적인 양육이 성인 이후의 삶에서 대인관계 방식이나 삶을 대하는 태도에서 반복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내재화된 우상은 차후에 쌍둥이(이중)우상숭배의 개념과 연결되어 개인의 삶뿐만이 아니라 상담사라는 직업적 정체성에도 많은 영향을 주었다. 이후 연구참여자들은 상담사가 되기 위한 훈련의 과정과 여러 생애사건을 통해 하나님 형상을 통합하는 과정을 거치게 되면서 내재화 되었던 “강압적이고 벌 주는 하나님” 표상이 “수용하고 양육하는 하나님” 표상으로 전환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find out the links between the countertransference that novice counselors experience in counseling and their past object relationships, to examine the aspect of countertransference that occurs in counseling and how counselors are aware of it, and to understand the background history of the counselors’ operational theology. 4 novice counselors with less than 5 years of counseling career were interviewed, and the study collected and analyzed the data based on their responses. For data analysis, phenomenological methodology by A. Giorgi was implemented to understand the subjective psychological experiences of participants, and their operational theology was studied by using the pastoral theological approach of M. Jordan. First, to see how the countertransference occurs, in-depth interviews were carried out to focus on the participants’ subjective countertransference and the background of those experiences. After analysis, 61 sentences that convey the key statement of the participants were selected. The sentences were then rearranged by 39 topics and organized under 6 themes. The following 6 themes were found through Giorgi’s data analysis: (1) Little confidence in expertise; while the problem is already common in novice counselors, when the verbal and nonverbal expressions of clients cause anxiety in counselors, it could result in countertransference and reduced confidence in trained theories, affecting their self-awareness of counseling performance. (2) having fear for counseling failure; the stuck identity of incompetent self from one’s past brings cognitive distortion that the counselor will fail in counseling session, and it could lead to a countertransference of self-deprecation and repeated past failure experiences. (3) identification with client and feeling similarity; when the boundaries of client’s and counselor’s problems erode from counselor’s unaware projective identification, they exchange transference and countertransference, and the aim of counseling turns to unresolved problems of the counselor. (4) difficulties in countertransference awareness; it is not common for novice counselors to be aware of countertransference on their own, and the counseling concludes without the client arriving at the essential problem under counselor’s lead. (5) experiencing exhaustion; if a counselor has a conflict in the past that had the similar image, age, sex, or characteristic with the client, it could cause countertransference feelings and psychological exhaustion of the counselor. (6) professional development; countertransference is difficult to face for novice counselors, but the counselor will eventually learn to understand the client as well as oneself through the experience and will achieve professional development. Next, the study took Jordan’s operational theological point of view to seek the hidden idolatry of the participants and examine their twin (double) idolatry to find how they integrate God image. The operational theology from cases were as follows: Common idolatry in participants’ cases were their parents (primary caregivers). Participants had to set aside their archetype growing up and followed the unconscious desires of their messianic caregiver, experiencing the dysfunctional nurture of the caregivers repeated in their relationships or life values as adults. The internalized idolatry connected to the twin (double) idolatry afterward and impacted their individual lives and professional identity as counselor. Participants then were able to integrate God image by receiving counseling training and going through personal life-events, which changed their internalized representation of “God who suppresses and punishes” to “God who embraces and nurtures”.

      • 영명주재천 : 정약용의 천관에 대한 신학적 성찰

        이숙희 서강대학교 신학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32239

        궁극적 실재에 대한 이해는 인간이 살고 있는 시공간의 문화와 전통을 벗어날 수 없다. 플라톤-아리스토텔레스의 철학에 토대를 둔 서구의 전통적 신 이해는 개념적이고 분석적인 방식으로 접근한다. 반면 '천의 명령을 성[天命之謂性]'으로 보는 유교에서는 이성적 추론에 의하기 보다는 우주만물에 내재한 성(性)을 탐구하여 궁극적 실재를 이해하려 한다. 특히 인륜과 도덕 등 사람됨의 도리[人道]에 충실한 것이 궁극자의 의지[天道]를 따르는 것이라 여겼다. 본 논문은 유교의 사유체계를 기반으로 하여 가톨릭의 하느님을 이해해보려는 시도이다. 유학의 세계관에 충실하면서 동시에 가톨릭적 세계관을 적극 수용한 인물로 다산 정약용을 들 수 있다. 다산은 자신이 이해한 궁극자를 '영명주재천(靈明主宰天)'이라고 표현하였다. 지혜로운 인격적 존재가 인간을 포함한 우주만물을 다스린다는 의미이다. 영명주재천은 다산 철학의 핵심이면서 유교와 가톨릭의 세계관이 융합된 개념이다. 절대자의 다스림[주재]의 구체적 내용을 자연에 대한 주재와 인간에 대한 주재 두 분분으로 나눠서 살펴보고, 궁극적 존재가 신적 이성[영명]이라고 고백할 수 있는 근거와 그것이 주재와 어떤 관련이 있는지, 마지막으로 희랍철학의 형이상학을 토대로 했을 때 야기된 육체와 영혼, 자연과 인간의 대립적인 이원론적 세계 이해가 다산의 천관 안에서 어떻게 극복되는지 동시에 어떤 점이 한계로 대두되는지를 총 3장에 걸쳐 살펴본다. 유한자인 인간이 궁극적 존재를 온전히 파악하는 것은 불가능하지만 이해하려는 노력까지 포기할 수는 없다. 인간이 할 수 있는 것은 자신의 이해와 관점이 상대적이며 부분적이라는 것을 인정하는 개방적인 자세뿐이다. 바로 이 같은 겸허함을 깨달을 수 있는 것이 본 논문의 가장 큰 성과이다. We can appreciate the Great Ultimate only within the limitation of time and space, the boundary of present cultures and traditions that we live. In the Western tradition based on philosophy of Plato-Aristotle, scholars have been study on the Great Ultimate with conceptual and analyzed approach. In the Confucian tradition, on the other hand, perceptions of the Great Ultimate are closely linked to views on human nature(so˘ng). Especially, they consider the loyalty of virtues of personality like humanity or morality the obedience of will of the Great Ultimate. This thesis is an attempt to understand God of Roman Catholicism based on a thinking process of Tasan's philosophy. Cho˘ng Yagyong (Tasan, 1762~1836) is a representative scholar who devoted himself to classical Confucianism and actively accepted a Roman Catholic outlook of the world at the same time. Tasan expressed himself that the Great Ultimate is "Young Myong - Ju Jai Ch'o˘n(Sangje)". It means the sublime, spiritual ruler of all things of the whole universe including human beings. Tasan's conception of Ch'o˘n as a personal supreme being. "Young Myong - Ju Jai Ch'o˘n(Sangje)" is the core of Tasan's philosophy and the fused concept of outlooks of the world of both Catholic and classical Confucianism. This thesis, first, looks into the detail contexts of superintendence dividing it into two parts; one is about the nature, the other is about human beings. Second, it examines the foundation that he could claimed the Great Ultimate has rationalization of Ch'o˘n/Heaven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oundation and superintendence. Third, it shows how Tasan's view of the Ch'o˘n/Heaven can overcome the antagonistic dualism between body and soul, the nature and human beings that we have to confront when we depend on metaphysics of Greek philosophy. In addition, it treats the limitation of a Tasan's philosophy. It might be impossible for human beings, the finite creatures, to understand the Great Ultimate perfectly. However, we should not abandon making efforts to understand the Great Ultimate at least. All we can do is to be still with the openhearted attitude accepting the fact that all our understanding and point of view are relative and limited. I think finding such humbleness is the worthiest fruit of this thesi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