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대학생의 부모애착과 진로적응력의 관계에서 기본심리욕구와 성장마인드셋의 매개효과

        이정연 가톨릭관동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9727

        본 연구는 대학생의 부모애착과 기본심리욕구, 성장마인드셋, 진로적응력 간의 관계를 분석하고, 부모애착과 진로적응력의 관계에서 기본심리욕구와 성장마인드셋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연구문제 1: 대학생의 부모애착은 기본심리욕구, 성장마인드셋 및 진로적응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연구문제 2: 대학생의 기본심리욕구는 진로적응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연구문제 3: 대학생의 성장마인드셋은 진로적응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연구문제 4: 대학생의 부모애착과 진로적응력의 관계에서 기본심리욕구 충족은 어떠한 매개효과가 있는가? 연구문제 5: 대학생의 부모애착과 진로적응력의 관계에서 성장마인드셋은 어떠한 매개효과가 있는가?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의 부모애착이 각 변인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부모애착은 기본심리욕구, 성장마인드셋, 진로적응력에 정적인 영향을 주고 있었으며, 하위요인 중 신뢰감이 각 변인에 높은 수준으로 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둘째, 기본심리욕구는 진로적응력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하위요인 중 유능성이 진로적응력의 모든 하위요인에 높은 수준으로 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셋째, 성장마인드셋은 높은 수준으로 진로적응력에 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며, 하위요인 중 재능신념을 제외한 지능신념, 회복탄력성, 과정지향 수행태도, 운명신념이 진로적응력에 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넷째, 대학생의 부모애착과 진로적응력의 관계에서 기본심리욕구는 부분적 매개효과를 보이고 있었으며, 하위요인 중 유능성만 부분적 매개효과를 보이고 있었다. 다섯째, 대학생의 부모애착과 진로적응력 관계에 성장마인드셋은 부분적 매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장마인드셋의 하위요인별 매개효과를 분석한 결과 재능신념을 제외한 지능신념, 회복탄력성, 과정지향수행태도, 운명신념이 부분적 매개효과를 보이고 있었다. 결론적으로 부모와 교육자를 포함한 기성세대는 자녀세대의 성장가능성을 제한하지 않아야 하며, 타고난 지능이나 재능을 우선시하기보다는 노력과 과정을 칭찬하는 방향으로의 인식과 태도의 전환이 요구된다. 대학생들의 진로적응력 향상을 위하여 성장마인드셋 및 유능성 함양 프로그램과 부모수용 프로그램을 접목시킨 교육·상담·코칭프로그램의 연구개발 및 보급 활용을 위한 보다 활발한 논의와 실천적 방안이 적극적으로 강구되어야 할 것이다.

      • 무용전공 대학생의 성장마인드셋과 자기효능감의 관계에서 그릿의 매개효과

        진정아 세한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9727

        본 연구의 목적은 무용전공 대학생의 성장마인드셋, 자기효능감 및 그릿 간의 구조 관계를 밝히고, 성장마인드셋이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그릿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중국 하이난성 Q 사범대학교 무용전공 대학생들인 250명을 대상으로 하였고, SPSS 25.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신뢰도, 평균차이, 상관관계 및 회귀분석을 하였다. 성장마인드셋, 그릿 및 자기효능감 사이에는 서로 간에 정(+)적인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성장마인드셋의 각 하위변수인 지능 변화신념과 성격 변화신념이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는데, 성장마인드셋은 자기효능감의 전체 변량의 58%를 설명하였다. 그릿이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그릿은 자기효능감의 전체 변량의 50%를 설명하였다. 성장마인드셋의 하위변수들과 그릿의 예측변수가 자기효능감의 전체 변량의 68%를 설명하였다. 성장마인드셋의 각 하위변수인 지능 변화신념과 성격 변화신념이 그릿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는데, 성장마인드셋은 그릿의 전체 변량의 36%를 설명하였다. 무용전공 대학생의 성장마인드셋이 자기효능감에 영향을 미침에 있어서 그릿의 매개효과가 있었다.

      • 중국 고등학생의 성장 마인드셋, 미래시간조망, 그릿, 학습몰립과 학업성취도 간의 구조적 관계

        유옥민 동아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9727

        본 연구의 목적은 중국 고등학생의 성장 마인드셋, 미래시간조망, 그릿, 학습몰입 및 학업성취도 간의 구조적 관계를 규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중국 산동성 Z시에 소재한 일반 고등학교 고1, 고2 학생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최종적으로 1,425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이 설정하였다. 첫째, 성장 마인드셋, 미래시간조망, 그릿, 학습몰입은 학업성취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가? 둘째, 성장 마인드셋은 그릿과 학습몰입을 매개로 학업성취도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가? 셋째, 미래시간조망은 그릿과 학습몰입을 매개로 학업성취도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가? 수집된 자료는 SPSS Ver. 26.0과 AMOS Ver. 23.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구조방정식 모형을 통해 구조적 관계를 분석하였다. 모형 추정 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해 최대우도추정법으로 측정모형의 적합도를 추정하였으며, 변수들 간의 구조적 관계를 분석하기 위해 구조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와 논의를 통해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변수들 간의 직접효과는 첫째, 성장 마인드셋 및 미래시간조망이 모두 그릿에 직접적인 효과를 미친다. 둘째, 성장 마인드셋 및 미래시간조망이 모두 학습몰입에 직접적인 효과를 미친다. 셋째, 그릿이 학습몰입에 직접적인 효과를 미친다. 넷째, 학습몰입이 학업성취도에 직접적 효과를 미친다. 다섯째, 성장 마인드셋이 학업성취도에 직접적인 효과를 미친다. 여섯째, 미래시간조망은 학업성취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다. 일곱째, 그릿은 학업성취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다. 변수들 간의 간접효과는 첫째, 성장 마인드셋은 그릿과 학습몰입을 이중 매개로 학업성취도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둘째, 미래시간조망은 학습몰입을 매개로 학업성취도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셋째, 미래시간조망은 그릿과 학습몰입을 이중 매개로 학업성취도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해 비인지적인 능력인 성장 마인드셋, 미래시간조망, 그릿 수준을 향상시켜 학습몰입을 촉진하여 궁극적으로 학업성취도를 높일 필요가 있다. 본 연구결과에 따라 최근 주목을 많이 받는 비인지적 요인이 학생의 학습과정에서 발휘한 영향력이 경험적으로 입증되었다. 본 연구결과는 교육현장에서 학생의 잠재력을 탐구하고 또한 그 작용을 통해 학업성취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는데 의미가 있다.

      • 대학생의 성장마인드셋과 행복감이 자기주도학습능력에 미치는 영향

        김명준 숭실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9727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effects of growth mindset and happiness on self-directed learning of university students. The research questions set up were as follows. First, is there a difference in growth mindset, happiness, and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ccording to the demographic background of college students? Second, how does the growth mindset affect university students’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Third, how does the happiness affect university students’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For the study,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for university students attending a four-year university in Seoul. A total of 203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the study, except 28 questionnaires with incomplete or missing responses.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independent sample t test, one-way ANOVA, Scheffe test,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difference of growth mindset, happiness and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of university stundents according to demographic background, there was a partial difference in each subfactor. Growth mindset differed by gender in beliefs about intelligence. Happiness differed by gender in negative emotions, and differed by grade-level in life satisfaction.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showed differences according to gender and reason of majoring at motivation of learning. Self-directed learning also differed by self-concept and persistence of learning.   Second, growth mindset had a significant effect on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mong the sub-factors of the growth mindset, belief about personality was found to have a greater influence than belief about intelligence. However, in the learning motivation and self-concept of the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the belief about intelligence had more significant effect than the belief about personality.   Third, happines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Satisfaction of life and positive emotions were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while negative emotions did not affect to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The conclusions based on the abov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difference in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ccording to the reason of majoring.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students' self-motivation, the concept of learning, and the persistence of the learning activities depending on how the departments were chosen. Therefore, it would be necessary to help the students choose the departments themselves. Next, since belief about personality had a greater impact on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than belief about intelligence, we should consider ways to make students believe that they can change their personality in improving self-directed learning. Finally, it was confirmed that happiness affects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suggesting that the development of a learning program that can give students a positive experience is more important.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성장마인드셋과 행복감이 자기주도학습능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는 데 있었다. 이를 위해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의 인구통계학적 배경에 따라 성장마인드셋, 행복감, 자기주도학습능력에 차이가 있는가? 대학생의 둘째, 성장마인드셋이 자기주도학습능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셋째, 대학생의 행복감이 자기주도학습능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연구를 위하여 국내의 수도권 4년제 대학에 재학 중인 대학생을 편의표집하여 설문을 실시하였다. 응답이 불성실하거나 누락된 설문지 28부를 제외한 203부의 설문지가 연구에 사용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프로그램으로 독립표본 t검정, 일원배치 분산분석(one-way ANOVA), Scheffe 사후 검정,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이를 통하여 도출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구통계학적 배경에 따른 성장마인드셋, 행복감, 자기주도학습능력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각각의 하위요인에서 부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성장마인드셋은 지능에 대한 신념에서 성별에 따른 차이가 있었다. 행복감의 차이는 성별에 따라 부정정서에, 학년에 따라 삶의 만족도에서 나타났다. 자기주도학습능력은 학습동기에서 성별에 따라, 그리고 소속학과 진학이유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소속학과 진학이유에 따른 차이는 학습동기뿐만 아니라 자아개념, 학습활동의 지속성에서도 나타났다. 둘째, 성장마인드셋은 자기주도학습능력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성장마인드셋의 하위요인 중 성격에 대한 신념이 지능에 대한 신념보다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자기주도학습능력의 정의적 영역인 학습동기, 자아개념에 있어서는 지능에 대한 신념이 성격에 대한 신념보다 유의한 영향을 주었다. 셋째, 행복감은 자기주도학습능력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행복감의 하위요인 중 삶의 만족도, 긍정정서가 자기주도학습능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부정정서에 의한 영향은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도출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먼저 소속학과 진학이유에 따라 자기주도학습능력에 차이가 있었는데, 학과를 어떻게 선택하느냐에 따라 학생들의 자아동기, 학습개념, 학습활동의 지속성 등에 차이가 있었으므로 학생들이 스스로 학과를 선택할 수 있게끔 도와주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다음으로 성격에 대한 신념이 지능에 대한 신념보다 자기주도학습능력에 미치는 영향이 컸으므로 자기주도학습능력 향상에 있어 학생이 스스로의 성격을 변화시킬 수 있다고 믿게 만드는 방법을 고려해봐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행복감이 자기주도학습능력에 영향을 끼치는 것이 확인되었는데 이는 학생들에게 긍정적인 경험을 부여할 수 있는 학습프로그램의 개발이 더욱 중요함을 시사한다.

      • 청소년의 성장 마인드셋과 성장적 실패마인드셋이 학업적 그릿에 미치는 영향

        정근선 단국대학교 대학원 2024 국내박사

        RANK : 249726

        본 연구는 우리나라 청소년들의 학업적 그릿에 영향을 주는 변인이 무엇인지 밝히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청소년들이 열정과 끈기를 가지고 장기간에 걸쳐 학업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학업적 그릿이 필요한데, 비인지적 능력인 학업적 그릿 형성에는 성장 마인드셋, 성장적 실 패마인드셋, 자율성, 유능성, 관계성이 중요하게 작용한다는 전제 아래 학업적 그릿과 관련변 인의 구조모형을 설정하고 이를 검증하였다. 또한, 추가적으로 부모의 학업기대를 상위지지 기대집단, 하위지지기대집단과 상위압박기대집단, 하위압박기대집단으로 설정하여 분석을 진 행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전국의 청소년과 그들의 어머니를 대상으로 하였다. 전국의 청소 년 자녀를 둔 어머니 약 30,000명에게 이메일을 보내, 본인과 자녀의 연구 참여에 동의한 어머니 403명과 청소년 자녀(중학생 236명, 고등학생 167명) 403명을 대상으 로 2022년 8월 29일부터 2022년 11월 30일까지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자 료분석은 기술통계 분석, 내적합치도 계수(Cronbach’s α) 분석, pearson 상관계수 분석, 구조방정식 분석, 부모의 학업기대에 따른 다집단 분석 등을 SPSS 24와 AMOS 28을 통해 실시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장 마인드셋, 성장적 실패마인드셋이 학업적 그 릿에 영향을 주는 경로에서 유능성이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성장 마인 드셋이 학업적 그릿에 영향을 주는 경로에서 관계성이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어머니의 자녀에 대한 학업기대에 따른 다집단 분석에서 상위압박기대집단과 하위압박 기대집단 간 성장 마인드셋이 학업적 그릿으로 가는 경로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청소년의 학업과 관련 변인들로 구조모형을 설정하고 이를 검증함으로써 청소 년의 학업과 관련된 학업적 그릿이 형성되는 전체적인 이해를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이를 통해 학업상담, 교육과정 및 프로그램개발 등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수퍼비전 및 상담자 교육에 있어서 그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주제어: 학업적 그릿, 성장 마인드셋, 성장적 실패마인드셋, 자율성, 유능성, 관계 성, 기본심리욕구, 부모의 학업기대

      • 유아교사의 성장마인드셋과 성취목표지향성 및 교수몰입이 교수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강지혜 인천대학교 교육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9726

        본 연구는 유아교사의 성장마인드셋과 성취목표지향성 및 교수몰입이 교수창의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와 같은 연구목적 달성을 위해 본 연구에서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1. 유아교사의 배경에 따라 성장마인드셋, 성취목표지향성, 교수몰입 및 교수창의성에 차이가 있는가? 연구문제 2. 유아교사의 성장마인드셋, 성취목표지향성, 교수몰입과 교수창의성은 어떤 관계를 보이는가? 연구문제 3. 유아교사의 성장마인드셋, 성취목표지향성, 교수몰입이 교수창의성에 미치는 영향력은 어떠한가? 본 연구를 위해 인천과 경기 지역에 소재한 유치원과 어린이집에 근무하는 유아교사 406명의 성장마인드셋, 성취목표지향성, 교수몰입, 교수창의성을 측정하여 분석에 활용하였다. 유아교사의 성장마인드셋을 측정하기 위한 도구로는 Dweck(2006)이 개발한 마인드셋 진단척도를 이혜미, 김유미(2019)가 국문으로 번안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유아교사의 성취목표지향성 측정은 Elliot이 개발한 목표지향성 척도(Achievement Goal Questionnaire)를 차정주(2007)가 수정 보완한 척도를 사용하였다. 유아교사의 교수몰입 측정도구는 Jackson과 Eklund(2004)의 수정판 몰입상태척도(FSS-2)를 김미현(2012)이 국문으로 번안하고 유아교사에 맞게 수정한 척도를 사용하였다. 유아교사의 교수창의성 측정도구는 Cropley(2001)가 개발하여 백영숙과 김희태(2008)가 국문으로 번역하고 수정 보완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SPSS 28.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통계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첫째, Cronbach’s α계수를 산출하여 본 연구 도구의 타당도 및 신뢰도를 검증하였다. 둘째, 빈도분석을 통하여 연구대상자인 유아교사의 일반적 배경 사항을 알아보았으며, 기술통계로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여 유아교사의 성장마인드셋, 성취목표지향성, 교수몰입, 교수창의성의 경향성을 알아보았다. 셋째, 분산분석으로 유아교사의 배경변인에 따른 성장마인드셋, 성취목표지향성, 교수몰입, 교수창의성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넷째, Pearson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여 유아교사의 성장마인드셋과 성취목표지향성, 교수몰입 및 교수창의성 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보았다. 다섯째, 중다회귀분석을 통해 성장마인드셋과 성취목표지향성 및 교수몰입이 교수창의성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을 알아보았다. 본 연구의 결과를 다음과 같이 요약해볼 수 있다. 첫째, 유아교사의 성장마인드셋은 연령, 결혼여부, 최종학력, 경력, 근무시설유형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둘째, 유아교사의 성취목표지향성 중 숙달목표는 연령, 최종학력, 경력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수행목표는 연령, 경력, 근무시설유형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둘 다 결혼여부에 따른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셋째, 유아교사의 교수몰입은 연령, 결혼여부, 최종학력, 경력, 근무시설유형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넷째, 유아교사의 교수창의성은 연령, 결혼여부, 최종학력, 경력, 근무시설유형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다섯째, 유아교사의 성장마인드셋, 성취목표지향성, 교수몰입, 교수창의성 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본 결과에서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여섯째, 유아교사의 성장마인드셋과 성취목표지향성의 숙달목표 및 교수몰입이 교수창의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교수몰입이 교수창의성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이 성장마인드셋과 성취목표지향성보다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유아교사의 교수창의성을 높이는 주요 변인으로서 성장마인드셋과 성취목표지향성 중 숙달목표, 교수몰입이 영향력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즉, 교수창의성에 유아교사의 신념, 성향, 태도적 요인이 모두 중요한 변인이라는 것을 염두에 두어야 한다. 교수창의성을 증진시키기 위해서 유아교사가 스스로 성장 가능하다는 신념인 성장마인드셋과 숙달목표지향적인 성향 및 교수몰입을 함양할 수 있는 다양한 연수 기회가 주어져야겠다. 그리고 태도적 요인인 교수몰입의 상대적 영향력이 크게 나타난 점을 고려해보았을 때, 교사 스스로도 교수 상황에서의 태도를 지속적으로 점검하고 교수몰입을 높일 수 있도록 노력을 기울여야 하겠다. 이러한 시도는 궁극적으로 유아교사의 교수창의성을 높여 유아창의성 교육의 질을 높일 것이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growth mindset,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and teaching flow on their teaching creativity. The research questions established to achieve the study purpose as such are as follows. Research questions 1. Are there differences in the growth mindset,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teaching flow, and teaching creativity according to the background of early childhood teachers? Research question 2. What relationships are shown between early childhood teachers' growth mindset,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teaching flow and teaching creativity? Research question 3. What are the effect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growth mindset,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and teaching flow on their teaching creativity? For this study, the growth mindset,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teaching flow, and teaching creativity of 406 early childhood teachers working at kindergartens and daycare centers located in Incheon and Gyeonggi Province were measured and used for analysis. As a tool to measure the growth mindset of early childhood teachers, the Mindset Diagnostic Scale developed by Dweck (2006) and translated into Korean by Lee &Kim (2019) was used. To measure the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of early childhood teachers, the Achievement Goal Questionnaire developed by Elliot and modified and supplemented by Cha (2007) was used. As a tool for measuring the teaching flow of early childhood teachers, the modified version of the Flow State Scale (FSS-2) of Jackson and Eklund (2004) translated into Korean and modified to fit early childhood teachers by Kim (2012) was used. Early childhood teacher's teaching creativity was measured using the tool developed by Cropley (2001) and translated into Korean and modified and supplemented by Baek &Kim (2008). In this study, st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the SPSS 28.0 program. First,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study tools were verified by calculating Cronbach's α coefficients. Second, the general background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who are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examined through frequency analysis, and the means and standard deviations were calculated with descriptive statistics to examine the tendencies of the growth mindset,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teaching flow, and teaching creativity of early childhood teachers. Third, the differences in the growth mindset,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teaching flow, and teaching creativity according to the background variable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were analyzed with ANOVA. Fourth,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correlations between early childhood teachers' growth mindset,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and teaching flow and teaching creativity. Fifth, the relative effects of the growth mindset,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and teaching flow on teaching creativity were examined through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growth mindset of early childhood teacher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age, marital status, final educational background, career, and type of facility where they work. Second, out of the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of early childhood teachers, mastery goal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age, final academic background, and career, and performance goal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age, career, and the type of facility where they work. Both goals did not show any difference according to marital status. Third, the teaching flow of early childhood teacher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age, marital status, final educational background, career, and type of facility where they work. Fourth, the teaching creativity of early childhood teachers was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age, marital status, final educational background, career, and type of facility where they work. Fifth, significant correlations were found in the results of examination of the correlations among early childhood teachers' growth mindset,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teaching flow, and teaching creativity. Sixth, the growth mindset, mastery goal out of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and teaching flow of early childhood teachers were found to affect their teaching creativity and the relative effect of teaching flow on creativity was shown to be larger than that of growth mindset or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Through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could be seen that major variables that improve the teaching creativity of early childhood teachers were the growth mindset, the mastery goal out of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and teaching flow. That is, it is necessary to keep in mind that early childhood teachers' beliefs, dispositions, and attitudes are all important variables for teaching creativity. In order to promote the of teaching creativity, various training opportunities to cultivate the growth mindset, which is the belief that early childhood teachers can grow on their own, mastery goal-oriented tendency, and teaching flow should be given. In addition, given the fact that the relative effect of teaching flow, which is an attitude factor, was shown to be large, teachers themselves should continuously check their attitudes in teaching situations and make efforts to increase teaching flow. It is expected that these attempts will ultimately enhance the teaching creativity of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thus the quality of early childhood creativity education.

      • 대학병원 간호사의 성장마인드셋이 조직사회화에 미치는 영향 : 조직분위기 매개효과 중심으로

        모민지 가톨릭대학교 행정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9726

        This study is a descriptive research study to examine the effect of the growth mindset of nurses in university hospitals on organizational socialization and to confirm the mediating effect of the organizational climate in the process. Since organizational socialization is a process of learning the knowledge and skills necessary for the performance of organizational norms, values, and roles, learning-related variables such as individual active behavior, achievement needs, and voluntary motivation are expected to be required for successful organizational socialization. Since the organizational climate mutually affects the flow of individual behavior and consciousness, it can be assumed that it will directly or indirectly affect the internal beliefs of individuals. So it is necessary to study the mutual influence between each variable of organizational socialization, organizational climate and growth mindset based on the intrinsic belief that one can grow one's intelligence and ability. Nevertheless, there is still a lack of interest in growth mindset research for nurses, and there are many studies related to external factors to enhance organizational socialization, but related studies focusing on individuals' intrinsic beliefs are insufficient.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influence on organizational socialization, focusing on the growth mindset based on the intrinsic beliefs of nurses, and to empirically analyze the mediating effect of the organizational climate in the process. In addition, it was attempted to provide basic data by seeking effective management plan to improve organizational socialization.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34 nurses working at E University Hospital, and after collecting a total of 234 valid questionnaires, frequency and percentage, average, standard deviation, independent test, ANOVA, Scheffeest,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Baron and Kenny method of testing mediation and sobel test were performed using the IBM SPSS Statistics 25.0 program. The summary of the results of this study is as follows. It was found that the growth mindset improves the organizational climate, and the positive organizational climate also increases organizational socialization.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the growth mindset improves organizational socialization, and the organizational climate partially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growth mindset and organizational socialization. Therefore, in order to plant a growth mindset for nurses, medical institutions should try to develop various programs according to the nurse's career, position, and work department, such as coaching, mentoring, and invited lectures, and try to devise various strategies for nursing personnel management. In addition, if a positive organizational climate is formed by creating a foundation for organizational members to create a cooperative and flexible organizational climate on their own, it is expected to lead to high quality of medical services and benefits of hospital management. 본 연구는 대학병원 간호사의 성장마인드셋이 조직사회화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그 과정에서 조직분위기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조직사회화는 조직의 규범, 가치, 역할의 수행에 필요한 지식과 기술을 학습해가는 과정이므로 성공적인 조직사회화를 위해서는 개인의 능동적 행위, 성취욕구 및 자발적인 동기부여 등 학습관련변인이 필요할 것으로 예상되며, 조직분위기는 개인의 행동과 의식 흐름에 상호영향을 주게 되므로 개인이 가지고 있는 내부적인 신념에도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칠 것으로 가정할 수 있다. 따라서 자신의 지능과 능력을 성장시킬 수 있다고 믿는 내재적 신념을 기반으로 한 성장마인드셋과 조직사회화, 조직분위기 각 변인 간 상호 영향력에 대해 연구할 필요성이 있는데, 그럼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간호사를 대상으로 한 성장마인드셋 연구에 대한 관심이 부족하며, 조직사회화를 높이기 위한 외재적 요소와 관련된 연구는 많이 진행되고 있지만 개인이 갖고 있는 내재적 신념에 중점을 둔 관련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간호사의 내재적 신념에 기조한 성장마인드셋을 중심으로 조직사회화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하고 그 과정 속에서 조직분위기의 매개효과를 실증적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또한 조직사회화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적인 관리방안이 무엇인지 모색하여 그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본 연구대상자는 E 대학병원에서 근무하는 간호사 234명이며, 각 부서에 설문지를 배포하여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총 234부의 유효한 설문지를 수거후 IBM SPSS Statistics 25.0 프로그램을 이용해서 평균과 백분율, 빈도, 표준편차, independent t-test, ANOVA, Scheffe test,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다중회귀분석, Sobel test, Baron과 Kenny가 제시한 3단계의 매개효과분석을 실시하였다. 이에 대한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성장마인드셋이 높을수록 조직분위기도 긍정적으로 높아지며, 조직분위기가 긍정적으로 높을수록 조직사회화도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성장마인드셋이 높을수록 조직사회화 도 높아지며, 성장마인드셋과 조직사회화와의 관계에서 조직분위기가 부분 매개효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간호사를 대상으로 성장마인드셋을 심을 수 있도록 의료기관에서는 코칭 및 멘토링, 초청 강연 등 간호사의 경력, 직급, 근무부서 등에 따른 다양한 프로그램들을 개발하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며, 이를 적용 및 평가, 관리하는 등 간호인력관리차원의 다양한 전략을 강구하도록 힘써야 할 것이다. 또한 이를 통해 조직구성원들이 협조적이며, 유연한 조직분위기를 스스로 창출할 수 있도록 기반을 만들어 긍정적인 조직분위기가 형성된다면, 이는 조직사회화 향상과 더불어 간호사의 높은 근무만족도와 근무환경의 안정화와 결부되어 높은 의료서비스의 질 향상과 병원 경영성과의 이익으로까지 이어질 것으로 기대된다.

      • 대학생의 성장 마인드셋이 진로태도 성숙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

        김진옥 호남신학대학교 특수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9726

        대학생의 성장 마인드셋이 진로태도 성숙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 김 진 옥 상담심리학과 호남신학대학교 상담대학원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발달과업 중 필수라 할 수 있는 진로에 대한 문제들 을 들여다보고, 좋은 해결방안을 위해 함께 탐색하며 적용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설정한 연구 문제는 대학생의 성장 마인드셋이 진로태도성숙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 에서 사회적 지지가 매개변인으로서 역할을 하는지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학습자가 진로태도 성숙에 대해 기저를 이루는 변인이 무엇인가를 파악하고, 변인 간의 영향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대학생의 성장 마인드셋에 따라 서 진로태도 성숙에 미치는 영향과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를 분석하는 데 중점을 두었다. 첫째, 대학생의 진로태도 성숙, 성장 마인드셋과 사회적 지지는 어떤 상관관계가 있 는가? 둘째, 대학생의 성장 마인드셋이 진로태도 성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셋째, 대학생의 성장 마인드셋과 진로태도 성숙 전체에 미치는 영향에서 사회적 지 지는 매개효과가 있는가를 선정하였다. 이 연구를 위하여 국내 G 광역시에 위치한 4년제 대학에 재학 중인 학생들을 대 상으로 진행되었다. 연구참가자는 총 204명으로 남학생 67명과 여학생 137명이었다. 자료수집방법으로는 일련의 진술에 대해 참여자들이 얼마나 동의하거나 불일치하는 지를 나타내는 자기 보고식 리커트 척도설문지를 사용하였다. 이 자료를 통해 대학 생들의 성장 마인드셋과 진로태도성숙, 그리고 이들이 받는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 과를 연구측정 할 수 있었다. 자료통계분석은 통계프로그램 SPSS 21.0을 이용하였다. 빈도분석과 기술통계 분석 을 시행했고, 변수 간의 상관관계를 확인하기 위해 피어슨 단순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변수 간의 상관관계를 검증하기 위해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 였고, Cronbach’s ⍺검증을 통해 측정 도구의 신뢰도를 확인했다. 또한, 변수 간 상 관관계를 분석하고 T-test, 분산분석(ANOVA), 사후검정 Scheff를 실시하여 변수의 차이를 검증했다. 아울러 매개효과 검증을 위해 중다회귀분석과 Sobel test를 실시 하였다. 본 연구의 주된 결론을 제시하자면 다음과 같다. 수집된 자료는 SPSS 프로그램으로 독립표본 t검정, 일원 배치 분산분석(one-way ANOVA), Scheffe 사후검정,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이를 통하여 도 출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장 마인드셋, 사회적 지지, 진로태도 성숙은 모두 통계적으로 정적으로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성장 마인드셋은 대학생들의 진로선 택과 직업 세계에 대한 더 나은 이해를 진로태도 성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볼 수 있다. 둘째, 성장 마인드셋이 진로태도 성숙에 미치는 영향에서 사회적 지지를 검증한 결과, 성장 마인드셋이 진로태도 성숙에 미치는 영향에서 성장 마인드셋은 진로태 도 성숙과의 관계에 부분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성장 마인드셋이 진로태도 성숙에 미치는 영향에서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 과를 검증한 결과, 진로태도 성숙에 사회적 지지가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 다. 넷째, 성장 마인드셋이 진로태도 성숙에 미치는 영향에서 사회적 지지는 진로태 도 성숙에 매개효과가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 성장 마인드셋이 진로태도 성숙에 미치는 영향에서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를 규명하였다. 특히 성장 마인드셋은 진로태도 성숙의 하위요인인 결정성 과 독립성에 각각 영향을 미치며, 사회적 지지의 매개 역할을 나타냈다. 이 연구는 대학생들의 진로태도 성숙 향상을 위한 실천적 및 정책적 접근방법으로 성장 마인 드셋 강화 프로그램개발, 사회적 지지 네트워크 구축, 진로태도성숙을 위한 교육 및 상담서비스 확대, 학교 생활만족도 향상 활동과 사회학적 특성을 고려하면서, 아르 바이트 및 취업 경험, 동아리 및 봉사 활동 등과 관련한 교육 및 지원 프로그램을 통하여 본인의 진로태도를 성찰하고 발전시킬 기회를 얻도록 돕는 것이 중요한 요 인이 됨을 확인하였다. 이를 종합하여 본 연구의 구체적인 의의와 제한, 후속 연구 의 개발과 필요성에 관한 기초 자료로 활용에 도움 되기를 바란다. 향후 진로 및 직업상담 과정에 대학생들의 성장 마인드셋을 촉진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실행한다면 직업 세계와 진로선택에 대해 더 나은 이해를 도울 수 있을 것으로 보 인다. 또, 대학의 안과 밖에서 다양한 형태의 사회적 지지를 제공하여, 멘토링이나 동아리 네트워킹, 상담서비스를 통해 본인의 진로태도를 성찰하고 발전시킬 기회를 얻도록 돕는 것이 중요한 요인임을 확인하였으며, 본 연구의 구체적인 의의와 제한, 후속연구의 필요성에 관해 확인하는 과정이 되었다. 주제어 : 대학생, 성장 마인드셋, 진로태도 성숙, 사회적 지지

      • 영유아교사의 성장마인드셋이 직무열의에 미치는 영향 : 그릿(Grit)의 매개효과와 원장의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남현우 경기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9726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ediated effect of grit and moder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in causal relation between mindset and job engagement.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s. First, is there mediated effect of grit between mindset and job engagement? Second, is there moder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between mindset and job engagement? does director's social support have the mediation effect in an effect of teachers grit upon his job engagement? Third, do director's social support and teacher's grit have dual mediated effect in an effects beween growth mindset and job engagement? This paper questioned 333 child-care teachers working at Child-care Centers in Gyeonggi-do, and measurement tools used are as follows. First, to measure the growth mindset, the researcher used the tool presented by Dweck(2008) and applied by the research of Ayers(2015). Second, to measure the grit, the researcher used the Original Grit Scale; Grit-O devised by Duckworth, Peterson, Matthews and Kelly(2007) and validated by Lee Su Ran(2015). Third, to measure the job engagement, the researcher used to this research the questions of Utrech Work Engagement Sclae(UWES) of Schaufeli and Bakker(2004) translated by Son Ji Hyang(2020). Fourth, to measure director's social support, the researcher used the tool of which Kim Mi Jung(2016) corrected and complemented the social support scale developed by Park Ji Won(1985). The data analysis was applied by frequency analysis to grasp general characteristics of subjects, factor analysis to verify the validity of tools and Cronbach’s α coefficient that represents the internal consistency for reliability verification. And to grasp the relation among the growth mindset, grit, job engagement, director's social support level and each variable, the researcher executed the technical statistics analysis, inte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s data analysis method to verify the research question of this paper, the researcher first executed the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for the mediator effect analysis of grit, and used Sobel Test, and executed the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to observe director's social support mediation effect in the relation between the grit and the job engagement. Finally, to verify director's social support and grit's dual mediator effect, the researcher repeated Sobel Test in order. The main result of this paper through these analysis methods was that first, the researcher confirmed grit's partial mediated effect in the effect of teacher's growth mindset upon job engagement; second, the researcher confirmed the moderating effect of director's social support on job engagement. Third, the researcher confirmed director's social support and dual mediator effect of teachers grit in an effect of teachers growth mindset upon his job engagement. In this study, to find a way to increase the job engagement of teachers, the relationship between related variables such as growth mindset, grit, and social support of the director was verified from various aspects. The significance of this paper is that it contributed to the expansion and deepening of related research as a research model that was not contested in previous studies, and that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an application method was sought to increase teachers' job engagement for the job in the field of Child-care Centers. As a result, to increase job engagement, teachers must have the belief that they can grow by themselves, plan specific goal steps, and make steady efforts. In addition it is assumed that the director should provided realistic support continuously based on intimate relationships in Child-care Centers. 본 연구는 영유아교사의 성장마인드셋이 직무열의에 미치는 영향에서 그릿의 매개효과와, 그릿과 직무열의의 관계에서 원장의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그리고 그릿과 사회적 지지의 이중매개효과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영유아교사의 직무열의를 높이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고자 관련 변인들의 관계를 밝히는데 목적을 두고 있으며, 이를 위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영유아교사의 성장마인드셋이 직무열의에 미치는 영향에서 그릿의 매개효과는 있는가? 둘째, 영유아교사의 그릿이 직무열의에 미치는 영향에서 원장의 사회적 지지는 조절효과가 있는가? 셋째, 영유아교사의 성장마인드셋이 직무열의에 미치는 영향에서 원장의 사회적 지지와 영유아교사의 그릿은 이중매개효과가 있는가? 본 연구는 경기도 소재 어린이집에 근무하는 영유아교사 333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 하였으며 사용된 측정도구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장마인드셋을 측정하기 위하여 Dweck(2008)이 제시하고 Ayers(2015)의 연구에서 적용된 도구를 사용하였다. 둘째, 그릿을 측정하기 위하여 Duckworth, Peterson, Matthews와 Kelly(2007)가 고안한 그릿척도원본(Original Grit Scale; Grit-O)을 이수란(2015)이 타당화한 Original Grit Scale 도구를 사용하였다. 셋째, 직무열의를 측정하기 위하여 Schaufeli와 Bakker(2004)의 직무열의척도(Utrech Work Engagement Scale; UWES)를 손지향(2020)이 번역한 문항을 본 연구에 사용하였다. 넷째, 원장의 사회적 지지를 측정하기 위하여 박지원(1985)이 개발한 사회적 지지 척도를 김미정(2016)이 수정·보완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은 설문 응답자의 일반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한 빈도분석, 측정도구의 타당성 검증을 위한 확인적 요인분석, 신뢰도 검증을 위한 내적 일관성을 나타내는 Cronbach’s α 계수를 산출하여 적용하였다. 그리고 본 연구의 성장마인드셋, 그릿, 직무열의, 원장의 사회적 지지의 수준 및 각 변수들 간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하여 기술통계분석, 상관관계 분석, 다중회귀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문제를 검증하기 위한 자료분석방법으로는 우선, 그릿의 매개효과분석을 위하여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한 후 Sobel Test를 활용하였으며, 그릿과 직무열의 간 관계에서 원장의 사회적 지지 조절효과를 살펴보기 위하여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마지막으로 원장의 사회적 지지와 그릿의 이중매개를 확인하기 위하여 Sobel Test를 순차적으로 반복하였다. 이러한 분석방법을 통한 본 연구의 주요결과는 첫째, 영유아교사의 성장마인드셋이 직무열의에 미치는 영향에서 그릿의 부분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둘째, 영유아교사의 그릿이 직무열의에 미치는 영향에서 원장의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를 확인하였다. 셋째, 영유아교사의 성장마인드셋이 직무열의에 미치는 영향에서 원장의 사회적 지지와 영유아교사의 그릿의 이중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영유아교사의 직무열의를 높이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고자 성장마인드셋, 그릿, 원장의 사회적 지지 등 관련 변인들 간의 관계를 다각적 측면에서 검증하였다. 이는 기존 선행연구에서 다루지 않았던 연구모형으로서 관련 연구의 확장 및 심화에 기여했다는 점과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영유아교육기관 현장에서 교사의 직무열의를 높이기 위한 적용방안을 모색했다는 점에 본 논문의 의의가 있다. 결과적으로 직무열의를 높이기 위해서는 교사 스스로가 자신이 성장할 수 있다는 신념을 갖고 구체적인 목표단계를 계획하여 꾸준히 노력하여야 하며, 이와 더불어 영유아교육기관에서의 원장은 교사와의 친밀한 유대감을 바탕으로 한 현실적인 지원을 지속적으로 제공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 중학생의 그릿과 성장마인드셋이 자기주도학습능력에 미치는 영향

        류윤채 숭실대학교 교육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9725

        본 연구는 중학생의 그릿과 성장마인드셋이 자기주도학습능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두 가지 연구문제를 선정하였다. 첫째, 중학생의 그릿이 자기주도학습능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둘째, 중학생의 성장마인드셋이 자기주도학습능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서울지역 중학교와 경남지역 중학교에 재학 중인 중학생 1, 2, 3학년 1,210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을 실시하였다. 설문 조사 기간은 2020년 5월 4일부터 2020년 5월 12일까지 진행되었으며, 총 1,030부의 유효한 응답을 확보하여 연구에 사용되었다. 수집된 자료 분석은 통계프로그램 SPSS 23.0 버전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기술통계를 실시하였다. 또한, 중학생의 그릿과 성장마인드셋, 자기주도학습능력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Pearson의 적률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고, 그릿과 성장마인드셋이 자기주도학습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다중 회귀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를 통한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학생의 그릿이 자기주도학습능력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쳤다. 그릿의 하위요인 중 끈기있는 노력이 높을수록 인지적사고, 초인지, 문제해결력, 내재적동기, 미래지향적동기, 자기효능감, 도움구하기, 물리적환경관리, 시간관리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지속적인 관심은 내재적동기, 미래지향적동기, 자기효능감, 시간관리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쳤다. 둘째, 중학생의 성장마인드셋이 자기주도학습능력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쳤다. 성장마인드셋이 높을수록 자기주도학습능력이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고정마인드셋이 높을수록 자기주도학습능력이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장마인드셋이 높을수록 인지적사고, 초인지, 문제해결력, 내재적동기, 미래지향적동기, 자기효능감, 도움구하기, 물리적환경관리, 시간관리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쳤으며, 고정마인드셋은 내재적동기, 미래지향적동기에서 유의한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도출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중학생의 높은 그릿과 성장마인드셋은 자기주도학습능력을 향상하게 시키므로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변인으로 검증되었다. 따라서 자기주도학습능력을 향상하기 위해 그릿과 성장마인드셋을 지향하여 긍정적인 효과를 볼 수 있도록 도모해야 하고, 그릿, 성장마인드셋, 자기주도학습능력을 종합적으로 활용한 프로그램이 개발되어야 한다. 자기주도학습능력 발달의 결정적인 시기인 중학생을 대상으로 그릿과 성장마인드셋의 교육적 의미와 중요성을 확인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grit and growth mind-set of middle school students effect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Two questions were raised to achieve this study purpose. First, how does middle school students’ grit effect the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Second, how does growth mindset of middle school students effect the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To achieve the result of this study an online questionnaire was conducted with 1,210 middle school students in all 1,2,3 years within Seoul area and Gyungsangnam-do area. This survey was operated from May 4, 2020 to May 12, 2020 and secured 1,030 valid responses for this study. The analysis of collected data was done via SPSS 23.0 version to perform frequency analysis and technical statistics. Additionally, Pearson product-moment correlation coefficient analysis was used to find out the correlation among middle school students’ grit, growth mindset and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mpleted to discover the effect on grit and growth mindset on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The result of this study is as followed. First, the grit of middle school students has meaningful effect on the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Sub-variables of grit, higher the tenacious effort, more cognitive thinking, meta cognition, problem-solving capabilities, intrinsic motivation, future-oriented motivation, self-efficacy, asking for help, managing physical environment, managing times had notable positive affect and the continuous attention had great impact on the intrinsic motivation, future-oriented motivation, self-efficacy and managing time. Second, growth mindset of middle school students shows substantial effect on the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Higher the growth mindset, more improvement on the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higher fixed mindset, lower the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Higher the growth mindset, more positive impact on cognitive thinking, meta cognition, problem-solving capabilities, intrinsic motivation, future-oriented motivation, self-efficacy, asking for help, managing physical environment, managing times; the fixed mindset had more negative impact on intrinsic motivation and future-oriented motivation. Throughout above study the conclusion was made as followed. As high grit and growth mindset of middle school students improves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it is proven to be a positive variable. Hence to improve the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it is expected to develop various educational programs applied to middle school educations that contributes to cultivate grit and growth mindset. It is substantial that the meaning and significance of grit and growth mindset has been confirmed targeting middle school students, a critical period of developing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