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양성평등 교육 프로그램이 유아의 성 역할 인식 변화에 미치는 효과

        김완신 단국대학교 2003 국내석사

        RANK : 249711

        21세기 현대사회는 이미 남녀가 성에 의한 구분 없이 양성이 평등한 삶을 살아가도록 기대되고 있으나, 아직도 우리 사회는 여전히 남녀에 따라 이분화된 성 역할이 자리하고 있다. 그러나 앞으로 길러져야 할 인간상은 남녀간의 평등한 권리를 인정하고 상호 신뢰와 존경을 바탕으로 하여 생산적 사회생활을 할 수 있어야 한다. 이성의 존재를 존중하며 이성의 사회적 역할을 이해함으로써 건전한 남녀 평등원칙의 권리관계를 유지하고 성 윤리를 형성해 나가도록 해야하는 것이다. 그리하여 남성과 여성이 사회공동체의 구성원으로서 건전한 사회생활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돕는 일이 중요하다. 이 연구는 취학 전 유아를 대상으로 양성평등 교육 프로그램을 제시하고, 이 프로그램이 유아들의 성 역할 고정관념이나 인식변화에 얼마나 효과가 있는지에 대해 밝혀보고자 하였다. 또한 이를 통해 전통적인 성 역할에 대한 고정관념을 바로 잡고 타인을 존중하며, 양성이 평등하다는 사실을 인식하도록 하는데 이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한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양성평등 교육 프로그램이 유아의 성 역할에 대한 고정관념에 영향을 미치는가? 2. 양성평등 교육 프로그램의 효과는 유아의 성별 및 부모의 맞벌이 여부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위와 같은 연구문제를 알아보기 위하여, 경기도 시흥시 소재의 K어린이집에 재원 중인 만 5세의 유아 26명을 대상으로 실험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대상을 유아로 한정한 이유는 성 역할 고정관념이 만 3세에서 만 7세 사이에 급격히 발달한다는 이론적 배경에 근거한 것이다. 이들은 남아 13명, 여아 13명으로서 이들 중 13명은 맞벌이 가정의 자녀이며, 나머지 13명은 전업주부의 자녀이었다. 이 연구는 먼저 SERLI척도를 사용하여 개별사전검사를 실시하였고, 본 실험으로 한국여성개발원에서 개발한 ‘취학 전 아동 양성평등의식 교육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매주 월요일부터 금요일까지 10일 동안 실시하였다. 그로부터 3주 후 사전검사 때와 같은 방법으로 사후검사를 실시하였다. 이를 분석하기 위하여 평균과 표준편차, 2(성별)×2(집단별) 이원변량분석을 사용하였으며, 이에 따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이 연구에서 실시한 양성평등 교육프로그램은 유아의 성 역할에 대한 고정관념의 하위 영역별로 다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신」,「이성」,「혼합」영역에서는 중재의 효과가 나타났으나, 「아동활동」,「성인활동」영역에서는 중재의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즉, 유아들이 가지고 있는 성 역할 고정관념은 완화되었다고 할 수 있으나 성 역할을 고정적으로 선호하는 면에서는 변화가 없었다. 이는 자기 성에 대한 역할을 더 선호하고 있다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그러나, 평등주의적인 태도인가, 전통적 고정관념적인 태도인가를 식별하는 「혼합」영역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기에, 양성평등을 목적으로 하는 이 연구에서 사용한 프로그램은 그 효과가 있다고 볼 수 있다. 둘째, 유아의 성별이나 부모의 맞벌이 여부는 양성평등 교육프로그램의 결과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이 통계적으로 의의 있는 차이가 없다는 것은 남녀 모두가 성 역할 고정관념이 완화되었으며, 어느 한 쪽에만 효과가 있었던 것이 아니라 남녀 모두에게 동등한 실험 효과가 있었음을 의미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결과들을 종합하여 볼 때, 양성평등 교육프로그램은 비교적 효과적이라고 할 수 있으나, 그 결과가 유아의 성별이나 부모의 맞벌이 여부에 따른 영향은 받지 않는 것으로 결론지을 수 있다. 유아들이 성별이나 부모의 맞벌이 여부에 영향을 받지 않는다는 것은, 아직 이 시기의 유아들은 성 역할에 대한 고정관념이 강하지 않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 점은 이 시기에 유아들의 교육이 그만큼 얼마나 중요한지를 시사해 주고 있다. 즉, 이 시기에 유아들에게 주어지는 교육에 따라 유아들의 성 역할에 대한 인식이 양성평등적이냐, 전통적 고정관념적이냐가 결정되어진다는 것이다. 따라서 앞으로 개발되어지는 양성평등 교육 프로그램들은 더욱 신중을 기해 유아들의 특성을 고려하여 각 연령에 맞게 개발되어져야 할 것이며, 유아들을 가르치고 있는 교사와 부모들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들의 개발 또한 함께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고등학생들의 성역할 인식과 체육수업 몰입, 수업만족도의 관계 분석

        정혜진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9711

        본 연구에서는 고등학생들의 성역할 인식이 체육수업 몰입과 수업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전라남도 나주시 지역 소재의 고등학교 학생들을 모집단으로 선정하였고, 표본추출방법은 무작위표본추출(Rendom Smpling Method)을 사용하였으며, 자기평가기입법(Self-Administrated Method)으로 설문에 응하도록 하였다. 또한, 응답이 불성실하거나 일부가 누락된 설문지를 제외한 227명의 자료를 SPSS Win Ver. 18.0 프로그램을 통해 자료처리를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성역할 인식과 체육수업 몰입, 수업만족도의 관계에서는 성역할 인식의 여성성이 체육수업 몰입의 자기목적적 경험, 체육수업에 대한 몰두, 도전과 통제감, 수업만족도의 교수행동 만족, 체육환경 만족, 체육성적 만족, 운동능력 만족 등 모든 요인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체육수업 몰입과 수업만족도의 관계에서 체육수업 몰입의 자기목적적 경험, 체육수업에 대한 몰두, 도전과 통제감 등, 모든 요인이 수업만족도의 교수행동 만족, 체육환경 만족, 운동능력 만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체육수업 몰입의 자기목적적 경험, 체육수업에 대한 몰두가 체육성적 만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종합적으로 기존의 선행연구 및 체육수업에 대한 인식에서는 체육수업에 있어서 성역할 인식의 남성성이 여성성 요인 보다 수업 몰입과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이 크고 남학생들이 여학생들보다 수업에 몰입하며 만족도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본 연구에서는 여성성 요인이 수업 몰입과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이 더 컸으며 체육수업을 남성성이 강하고 여성미와 거리가 있는 수업이 아닌 여성에게도 적합하며 흥미를 유발하는 과목이라고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나 결과적으로 남학생과 여학생 간에 신체적 구조․운동 능력 면에 있어서 크게 차이가 없다고 인식하고 있고, 여학생도 체육을 잘할 수 있다고 여기는 것을 알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at high school student's recognition of gender role affect the commitment in the physical education class and class satisfaction. To achiev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the study represents the population of high school students located in Na-ju, Jeollanam-do, using Random Sampling Method, and having them to answer by Self-Administrated Method. To validate the hypothesis, SPSS Win Ver. 18.0 was used to process the data except the questionnaire which the answer was insincere, and left out. As a result, following conclusions were drawn. Firstl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ecognition of gender role and the commitment in the physical education class, and class satisfaction, positive effects were found in all factors. In other words, feminity in the recognition of gender role affects the experience of self-purpose in the commitment to the physical education class, the commitment in the physical education class, the sense of challenge and control, the satisfaction about acting of professor, physical education environment, physical education record, and exercise ability. Secondl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mmitment in the physical education class and class satisfaction, all factors such as the experience of self-purpose in the commitment, the commitment to the physical education class, the sense of challenge and control showed positive effects such as the satisfaction about acting of professor, physical education environment, and exercise ability. Also the experience of self-purpose in the commitment to the physical education class, and the commitment to the physical education class showed positive effect in the satisfaction of physical education record. Synthetically, in the recognition of preceding research and physical education class, the perception toward gender role of masculinity in physical education class had bigger effects in the commitment to the class satisfaction, and male students were more absorbed to the class and had higher satisfaction than female students. Meanwhile, in this study, the factor of feminity showed higher effects in the commitment to the class and satisfaction. Physical education class is also suitable for female and arouse them interest, not have only a masculinity and is not a long way from feminity. As result, there is not a big difference of body structure and exercise ability between male and female students, and it is considered that female students can also good at physical education.

      • 여군의 지각된 직무특성과 직무만족에 관한 상관관계 연구 : 성역할(sex role)인식을 중심으로

        유은희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9708

        본 연구에서는 전형적인 남성성 직업으로 간주되는 군대 조직이 여군 조직을 재정비하는 단계에서, 각 분야별로 여성인력을 남성인력과 동등하게 활용하고, 성 통합 및 여성인력의 대폭적인 확대를 합리적으로 위해서 필요한 구체적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여군은 전반적으로 조직에 대한 몰입이 높고 군 복무에 스스로 동기부여가 많이 되어있어 직업의식 또한 높은 반면, 직무환경이나 여건은 남자군인에 비해 불리한 측면이 많다. 또, 한국인의 성역할 개념은 전통적인 성역할 개념과 새로운 성역할에 대한 개념의 차이에서 혼란을 겪고있어 여군은 바람직한 성역할의 지각과 주어진 성역할의 차이에서 오는 불합리에 상당한 혼란을 느끼고 있다. 이에 대하여 군 조직에서는 여군의 직무만족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안으로 직무조건이나 작업환경의 개선은 상당한 효용성을 가질 수 있으나 실제로 군 조직의 임무위주의 특수상황에서는 이러한 개선은 많은 어려움이 있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여군의 직무내용차원에서 직무특성과 개인특성이 직무만족에 어떤 관련이 있는지 알아봄으로써 군내 여성인력의 자원개발 및 활용에 있어 의의를 가질 것이다. 따라서 여군의 직무만족에 가장 영향력이 있는 지각된 직무특성은 어떤 것이며, 이 두 변수간 각 개인의 성역할 인식이 어떠한 조절적 역할을 하는지를 살펴보고 향후 여군의 조직관리의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하는 것을 연구의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먼저, 문헌분석을 통한 직무만족과 직무특성이론, 성역할 정체감이론에 대해 살펴보고 여기에 조절적인 역할을 하는 변수에 관한 선행연구들을 알아본다. 그리고 이론적 배경을 토대로 한 실증연구의 설계를 하는데, 설문문항작성 및 서베이 리서치(survey research), 측정도구의 신뢰성 및 타당성 평가, 실증분석을 위한 설계를 실시한 후 독립변수와 종속변수의 상관관계, 개인적 특성과 독립변수와의 관계를 알아보고 조절변수의 조절효과를 검증한 뒤 마지막으로 본 연구자의 연구모형을 구조방정식을 통해 설명하였다. 이에 따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직무특성에 대한 지각은 연령이 많을수록, 계급이 높을수록, 근무경력이 많을수록, 전투부대에 근무할수록 높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지각된 직무특성은 개인의 외적만족보다 내적만족과 더 밀접한 관계가 있었다. 이 결과는 경로모형을 통해 알 수 있었으며, 지각된 직무특성은 외적만족보다 내적만족에 대하여 0.69의 높은 양(+)의 영향을 미치는 것이다. 셋째, 지각된 직무특성이 낮은 경우, 개인의 성역할 인식이 미분화이면 직무만족이 높을 것이며, 지각된 직무특성이 높은 경우, 개인의 성역할 인식이 양성성이면 직무만족이 높을 것이라는 가설 3에 대해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이것은 Bem의 심리적 양성성에 대한 주장에 대해 비판받고 있는 연구들을 지지하는 것이다. 넷째, 지각된 직무특성과 직무만족에 성역할 인식은 조절역할을 하지 않았다. 이것은 많은 조절변수의 선험적 연구를 토대로 군 조직이라는 남성적 집단에 여성의 통합과정에서 심리적 정체감이 어떠한 역할을 할 것이라는 기대에서 실증연구를 통해 유의하지 못했음은 직무만족에는 직무특성요소나 다른 변수들의 설명력이 더 크다는 것이다. 군조직은 사조직의 조직구성원들에 비해 남성성이 높은 집단으로 군 조직내 여군을 대상으로 한 연구이니 만큼 성역할 정체감이 직무특성과 직무만족에 조절적 역할을 한다기보다 다른 요인, 즉 조직문화, 개인의 성격특성, 배우자의 후원등의 요인들을 고려해 보아야 한다는 점을 시사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여군의 직무재설계에 있어서는 형식적인 조직 개편에서 이제는 보다 근본적인 개혁이 필요한데, 특히 부사관의 경우 행정병과에 소속된 인력은 전체의 41%나 되고 있는데도 불구하고 이들의 직무는 주로 병사들이 처리하는 잔무정도인 워드 등의 업무가 주를 이루었다는 점은 정보화의 가속화로 여군의 입지와 중요도가 더욱 미약해지는 원인이 되었다고 생각된다. 이제 여군의 자질이나 업무능력은 비 전투 분야, 특히 정비, 관제, 전산, 경리 등에서 우수하다는 인정을 받고 있기 때문에 더욱 현 시점에서 직무특성을 고려한 직무의 재설계는 더욱 절실한 부분이라고 생각된다. 결국, 여군의 직무만족에 있어서 직무내용 자체로부터 만족을 느끼게 하는 것이 더욱 중요하고, 이를 위해서는 전반적인 직무특성의 수준을 높여야 하나 직무차원 중에서도 과업중요성이 가장 중요하다는 것은 여군의 활용을 그 동안 조직 내 주류적인 분야에서 활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특히, 전투부대에서 근무할 때 비 전투부대보다도 직무특성을 높이 지각한다는 것은 지금까지 육군에서 여군은 여성스러운 보직에 한정해서 보직해야 한다는 기존의 인사원칙이 여군들에게 오히려 만족스럽지 못하다는 것을 말한다. 따라서 여군들이 자신의 직무에 대하여 강한 애착심을 갖도록 보다 다양하고 중요한 직무특성이 높은 직무를 할 수 있도록 직무재설계를 실시해야 하며 직위에 따른 직무내용의 양과 질을 명확히 파악하여 임무를 부여하는 것이 필요하다. It is the purpose that obtaining the existing state of affairs of woman army's perceptive job characteristics and job satisfaction on the army base, special organization to be good in arrangement. It is the purpose to apply the woman's attribution with man's attribution based on equality in terms of gender integration and number amplification of woman's army in each part of the military. Also to obtain the existing state of affairs of interrelationship of woman army's perceptive job characteristics and job satisfaction, to re-complete women's army organization and achieve what are necessaries for it. Woman army's job satisfaction has conspicuous effectiveness with improvement of working environment or working cause, in reality, arduous to accomplish as improvement in special military organization with count of first duty importance. In previous case, little research for women's army organization drops the hint number amplification of women's army in military includes effective elements. As a result, politic expansion of the organization possesses possible irritation. First step to analyze document, which is job characteristics theory, gender role identity theory, and remark variable factors of arbitrating role at the situations in previous studies so that specify real investigation based on theory background. To contrive actual proof ; fill in search, survey research, trust specific implement, appraise rationality, contrive actual proof based on theoretical circumstances, after that presume mutual concern of independent variation and subordinate variation, and concern of personal characteristics, independent variation. Finally, explain that study model through structural equation, after ascertaining intervening variation and affect. First, there is high awareness of job specialty as long as senior, high rank, experienced people and charge in fighting military. Generally, senior have high satisfaction because of pur suing stable and tranquil life in actuality rather than challenge and new experience, as like junior. Especially, this is remarkable situation to married people, the reason that in spite of complains in their organizational life, they try to parallel connection with family and social life. Experience people perform diverse obligations at any field of military in that they are skillful, flexible for whole military working and have wide range of human network in the military, Therefore as long as experienced people have high job comprehension in the military. According to type of military, not possibly concede support fighting military with higher job awareness, but fighting military dose. In terms of upper ranks of the military, which is generally supporting fight military so that conceivably deem valuable job characteristics in upper ranks of the military. In reality, the typical women's army position is lower and passive state than higher and active state, by means of that simplicity and lack of job importance, the existing state of affair, which is deficiency autonomy. In fight military, the women's army position not only director but also general is variety in time of the war or the general. Although somewhat difficult by fundamental work, education training, annual training, start out training, and dispatch service, the members consider that their duty is substantial and various responsibilities in pool of participation and liberty. Second, according to hypothesis 2 ascertain that perceptive job characteristics is closely involve in interior contentment than exterior contentment. Besides, in this investigation demonstrate that the motivation of women's army is affected by exterior contentment on account of process model. Consequently, immanent satisfaction has 0.69 higher plus relation, which exterior contentment 0.386, interior contentment 0.476 is. Third, according to hypothesis 3 ascertain which didn't intend the different statistics between perceptive job characteristics and individual gender role awareness. As the diagram shows, the result of the average, which is lower perceptive job characteristics as female is the lowest job satisfaction whereas ; higher perceptive job characteristics as male is the highest job satisfaction. Forth, cognition of gender role didn't adjust to perceptive job characteristics and satisfaction. It is job satisfaction that special factor of obligation or other various factor s. Women's army integrative process was not effected by real proof investigation in masculine military organization through previous different studies with psychology stagnation, it means that other varieties or specific job elements are in sense to job satisfactions. Compared with general organization, military society is high rate of man's members than woman and in this environment, the study of women's army is inappropriate to job definition and satisfaction with gender stagnation. So that scheme to women's army right duty, need to reflect on organization culture, personal characteristics, support spouse, etceteras. Consequently, to satisfy ; job is inquired up-grade of whole military degree neverthless, the most essentail factor is task significance in task contents so that the right way to apply human resource needs to control in main stream of organization. Out standingly, high awareness of job characteristics in fighting military is caused by women army's valuable performance with general ranks, otherwise low awareness of job characteristics in supporting military is caused by invaluable achievement with general ranks. In concerned of this situation, Ministry of National Defense willing to managing female human resource to put on supporting military than fighting military, by means of this policy result to current situation like above mention. Therefore, women's army, themselves have to develop their own job, ahead of job characteristics and ranks and make re-scheme of job characteristics in military field with job affection instead of simple, monotonous duty.

      • 한국 2,30대 남녀의 성역할태도와 결혼 인식

        채민진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33343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effect of gender-role attitude types on marriage perception. Prior discussions have pointed out deteriorating socioeconomic conditions and women’s opposition to gender inequality in the family as the main reasons behind South Korean young adults’ growing negative perception of marriage. However, this negative perception of marriage is not necessarily invariable among different people. Thus this study raises and empirically validates the argument that perception of marriage depends on the type of gender-role attitude, and that the effect of gender-role attitude type again varies by gender. Many earlier studies have maintained that the "traditional" gender-role norm based on gender division of labor is changing into an "equal" gender-role norm that supports the distribution of roles regardless of gender. They argue that, in cross-national comparison, perception of marriage varies with the degree of change in gender-role norm. In countries where "equal" gender-role norm is established, perception of marriage is generally positive, but in countries where "traditional" gender-role norm persists, it tends to be negative. However, the change in gender-role norm cannot be interpreted simply as evidence of progress from traditionalism to egalitarianism, since the meaning of egalitarianism is different by national context. This study analyzes how South Korea's two institutional contexts, the familial welfare system and the gender-segmented labor market, have constructed gender role norms. South Korean society encourage women to participate in wage labor, and still expect women to take full charge of care work in family. This study also pays attention to the fact that an attitude divergent from the normative context has emerged among young adult groups in their twenties and thirties. Contrary to those in their forties or older, a considerable number of those in their twenties and thirties believe that women should enjoy equal rights in the workplace, and that women should not be the only ones who are in charge of care work in the family. Their attitudes differ from the institutional and normative contexts of gender-role division in the family, thus developing a negative perception of marriage. Even when the normative context that imposes double-role on women is accepted, the difficulty of performing the expected dual roles negatively affects marriage perception. The negative effect of gender role is more pronounced in women who have played a main role in the family. The major findings from latent class analysis and binary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using the data from Korea General Social Survey 2016 are as follows. First, considering gender-role attitude in both workplace and family, this study reveals that South Korea’s gender-role norm cannot be examined under the dichotomy of traditionalism and egalitarianism. Some refuse to conform to the gender role norm, and even the ones sticking to the norm face conflict between the double expectations on women to take full charge of family care and to participate in economic activities. Second, this study also figures out the mechanism of gender-role attitude affecting marriage perception. The result shows that the more women and men in their twenties and thirties believe in equal gender-role division, the more negative their perception of marriage becomes This finding reflects that, under the current institutional and normative contexts of South Korea, people expects a low possibility of being able to live according to their individual gender-role attitude after marriage. 이 연구는 성역할태도의 유형에 따른 결혼 인식의 차이를 밝히려는 목적을 갖는다. 기존의 논의는 한국 2,30대에서 부정적인 결혼 인식이 확산된 원인으로 사회경제적 조건의 침식 또는 가족 내 젠더불평등에 대한 여성의 반발을 지목해왔다. 그러나 인구 혹은 여성 집단 전체의 결혼 인식이 일관되게 부정적이지 않다는 점에서 내부의 차이를 고려할 필요가 있다. 이에 이 연구는 성역할태도의 유형에 따라 결혼 인식이 달라지며, 성역할태도 유형의 효과는 젠더에 따라 다시 달라진다는 주장을 제기하고 이를 경험적으로 검증한다. 선행 연구는 성별 분업에 기초한 ‘전통적’ 성역할규범이 젠더와 무관한 역할 분배를 지지하는 ‘평등한’ 성역할규범으로 변화하고 있으며 국가별 변화 정도에 따라 결혼 인식이 달라진다고 논의해왔다. ‘평등한’ 성역할규범이 정착된 국가에서는 결혼 인식이 대체로 긍정적이나, ‘전통적’ 성역할규범이 지속되는 국가에서는 부정적인 경향을 보인다는 내용이다. 하지만 모든 국가에서의 성역할규범 변화를 전통에서 평등으로의 단선적인 진보와 동일시할 수 없으며 평등의 의미는 국가별 맥락에 따라 분화할 수 있다. 일터에서의 성평등을 지지하면서도 가족의무는 여성에게만 배정하거나 여성이 일터와 가정에서 남성과 동등한 역할을 수행하는 대신 가정에 대한 헌신을 선택할 수 있다는 성역할태도 또한 평등한 것으로 수용될 수 있다는 뜻이다. 이 연구는 한국에서 가족주의적 복지 체제와 젠더 분절적 노동시장을 두 축으로 하는 제도적 맥락이 여성의 임금노동 참여를 장려하면서도 가족 내 돌봄노동의 전담 역시 기대하는 ‘이중역할’의 규범적 맥락을 체현하는 동시에 형성했다고 분석한다. 동시에 이 연구는 한국의 2,30대 일부의 성역할태도가 규범적 맥락으로부터 급진적 변화를 일으켰다는 사실에 주목한다. 한국의 2,30대에서는 여성이 일터에서 남성과 동등한 권리를 누려야하며 가족의무가 여성의 몫만은 아니라고 보는 비중이 40대 이상에 비해 두드러지게 높다. 이러한 차이는 가족 내 성역할 분배를 둘러싼 기성의 제도적・규범적 맥락과 조응하지 않아 결혼 인식을 부정적으로 만든다. 여성에게 이중역할을 부과하는 규범적 맥락을 수용하는 경우에도 기대되는 역할 수행을 부담스럽게 여겨 부정적인 결혼 인식을 갖는다. 성역할태도의 부정적 효과는 가족 내 역할을 담당해온 여성에게서 더욱 뚜렷하다. 2016년 한국종합사회조사 자료를 사용하여 잠재집단분석과 이항로지스틱회귀분석을 수행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한국 2,30대의 성역할태도는 평등, 이중역할, 전통 유형으로 분류되며 각각 32%, 42%, 26%를 차지한다. 평등 유형은 동등한 역할 수행을 긍정하면서도 유독 자녀돌봄 부문에서는 여성의 역할을 강조하는 비율이 높다는 특징을 보인다. 이중역할 유형은 임금노동할 권리가 여성과 남성에게 동일하게 주어진다고 보면서도 가사 및 돌봄노동의 의무는 여성의 몫으로 파악한다. 전통 유형은 남성은 노동시장, 여성은 가족에서 주된 역할을 수행하는 성별분업이 바람직하다는 시각을 취한다. 규범적 필요성과 경제적 편익으로 나누어 측정한 결혼 인식에 성역할태도 유형이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평등 유형은 이중역할 유형에 비해, 이중역할 유형은 전통 유형에 비해 규범적 필요성을 인식할 가능성이 높다. 이 영향은 젠더에 따라 달라진다. 여성은 이중역할 유형이 전통 유형에 비해 규범적 필요성을 인식할 가능성이 크게 낮은 반면, 남성은 두 유형 간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다. 결혼에서 경제적 편익을 인식할 가능성은 평등 유형과 전통 유형 간의 차이만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다. 더불어 젠더 차이를 고려한다면 남성은 전통 유형에서 이중역할과 평등 유형에 비해 경제적 편익을 인식할 가능성이 높으나 여성은 세 유형 간 차이가 미미하다. 남성만을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상용직은 비고용 상태에 비해 전통 유형에서 다른 두 유형보다 경제적 편익을 인식할 가능성이 높았다. 다시 말해, 남성은 전통 유형에서 다른 두 유형에 비해 경제적 편익을 인식할 가능성이 높은데 상용직이 그 차이를 주도한다는 뜻이다. 비고용 상태의 남성은 생계부양 역할에 대한 부담을 느껴 전통 유형에서 다른 두 유형에 비해 경제적 편익을 인식할 가능성이 높아지지 않는다는 의미이기도 하다. 이 연구의 의의는 한국 2,30대의 성역할태도를 일터와 가정에서의 역할을 모두 포괄할 수 있도록 유형화하여 전통과 평등의 이분법으로 포착될 수 없는 복합적인 양상을 드러낸 데 있다. 여성이 가족 내 역할을 전담해야한다는 규범은 일부에게는 거부의 대상이 되었고 일부에게는 수용되더라도 여성이 동시에 경제적 역할에도 책임이 있다는 태도와 충돌을 일으킨다. 또한 이 연구는 2,30대의 성역할태도가 결혼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기제를 밝혔다. 여성과 남성이 동등한 역할을 수행해야한다고 믿을수록 결혼 인식이 부정적이라는 분석 결과는 한국의 제도적・규범적 맥락 아래에서 결혼이 지향하는 성역할태도의 실현 가능성을 제약할 것이라는 인식을 시사한다.

      • 대학교원 성역할 인식척도 개발 및 타당화

        최현옥 경일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33342

        본 연구에서는 대학교원이 성역할에 대한 인식의 정도를 측정하기 위해 성역할 인식 구성요소를 확인하고, 대학교원 성역할 인식척도를 개발 및 타당화를 목적으로 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을 위해 선행 연구 고찰과 3차에 걸친 전문가 자문을 거쳐 총 59문항을 예비문항으로 개발하였다. 4년제 교원을 241명을 대상으로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고, 그 검증 결과를 통해 얻은 사적인 생활의 성평등, 여성성역할고정관념, 공적생활의 성평등, 성역할에 따른 민감성, 남성성역할 고정관념으로 구성된 5개 요인으로 15개 문항을 도출되었다. 또 다른 대상인 4년제 교원 373명을 표집 하여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여 최종문항의 모형 적합도를 확인하였다. 대학교원 성역할 인식척도의 타당화 작업을 위하여 한국형 남녀평등 의식척도와 한국형 다면성별 의식척도를 통해 상관관계를 통해 타당도를 갖춘 검사 도구임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대학교원 성역할 인식척도가 상담에 활용될 수 있는 시사점을 제공하고 후속 연구에 대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Though universities as higher educational institutions are required to have more gender-equal education systems and value systems, there are, still in reality, lots of power-related violence between faculty and students, seniors and juniors. In this situation, it is important to complete the scale development which offers exact understanding and examination of gender role recognition of faculty members in universities, with the full understanding of the necessities of developing assessment tools for gender role recognition in the studies and researches of gender equality in universities. This study aims to perform the reliability tests and validation researches of the objective tools for examining how faculty feel and express the gender issues in their education fields and daily lives through developing and validating the gender role recognition inventory for university faculty. I have primarily extracted the component factors of the gender role recognition in university faculty members through the investigation of preceding research analysis, and then have prepared preliminary surveys consist of 59 questions divided by 5 subdivisions, scrutinized by 10-12 experts and professors who demonstrated, revised, and deleted the questions after proving content validity a few times. To develop scale, I did the online preliminary survey for the university faculty members in Daegu and Kyungbuk Province, and extracted 15 questions from the 241 responses, classified by 5 component factors, such as gender role sensitivity, gender equality in public life, male gender-role stereotype, gender equality in private life, female gender-role stereotype screened through the question analysis and validation of reliability. I have conducted the online main surveys of 373 respondents in Daegu and Kyungbuk Province with the questions in Korean-Multiple Sexism Inventory(K-MSI) questionnaire and Korean gender egalitarianism scale(KGES) questionnaire. In the analysis results of 373 responses analyzed by using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the gender role recognition suitability of the university faculty scores .924 and .942 each in TLI and CFI, and in RMSEA analysis. The correlation coefficient in the subordinate scope scores .75(p<.001), which proves construct validity resulting in significant consequences in a higher level. It has proved that with the K-MSI and KGES scales, to verify the convergent validity and criterion-related validity the extracted 15 questions confirm the validity. Consequentially, it can be said that gender role recognition scale for university faculty developed in this research consists of reasonable and suitable questions which prove their own validity and reliability in the questionnaire. This gender role recognition scale can contribute to making it possible for the faculty in universities to produce policies and educational programs preventing sexual violence including sexual harassment by teachers through the self-assessment committed by themselves.

      • 발달장애 자녀를 둔 부모의 성역할 고정관념과 돌봄 스트레스가 자녀의 성에 대한 인식에 미치는 영향

        강지인 경기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33340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impact of parents' gender role stereotypes and caring stress on their perception of gender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ccordingly, the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s. First, how is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s' gender role stereotypes, caring stress, and their perception of gender with respect to the child's gender? Second, are th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parents' gender role stereotypes, caring stress, and their perception of gender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based on the child's gender and grade level? Third, how does parents' gender role stereotypes vary in their impact on their perception of gender based on the child's gender? Forth, how does parents' caring stress vary in its impact on their perception of gender based on the child's gender? The study subjects were parents of children enrolled in special education classes and schools, ranging from 1st grade elementary school to 3rd grade high school, who were registered as having developmental disabilities under the Disability Welfare Act or identified as special education recipients under the Special Education Act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Research data was collected using an online survey form, with a total of 146 participants completing the survey. After obtaining participants' research consent, ensuring data integrity, and removing outliers, a total of 136 data sets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The tool used to measure perception of gender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was developed by Kim Seung-Don(1992) and modified by Noh Soo-Hee(2011). The tool used to measure gender role stereotypes was developed by Kim Dong-Il(1993) and modified by Han Jeong-Hee(2020) to 26 items. The measurement tool for caring stress was based on the QRS developed by Holroyd(1974) and reduced to 52 items as QRS-F by Friedrich et al.(1983) which was adapted by Jung Cheong-Ja(1988). The data analysis of the research was conducted using SPSS 23.0 statistical software. Firstly,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to identify the demographic and soci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research subjects. Next, 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between key variables. Independent sample t-tests and ANOVA analysis were conducted to determine if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parents' gender role stereotypes, caring stress, and their perception of gender based on the child's gender and grade level. Lastly, sim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parents' gender role stereotypes and caring stress, among parents with child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on their perception of gender.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Regarding the correlation between the main variables based on the child's gender, it was found that when the child was male, there was a inverse correlation between the overall perception of gender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overall gender role stereotypes. When the child was female, there was a inverse correlation between the overall perception of gender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overall gender role stereotypes. When the child was male, there was a significant inverse correlation between overall caring stress and its subfactors and the perception of gender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its subfactors. When the child was female, there were only a few subfactors of the main variables where significant inverse correlations were found. Gender role stereotypes and caring stress were positively correlated when the child was male, but no significant correlations were found when the child was female. Second, regarding the perception of children's sexual desire as a subfactor of parents’ perception of gender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ased on the child's gender. Parents had a higher perception when the child was male compared to when the child was female. There was no difference in parents' gender role stereotypes and caring stress based on the child's gender. However, based on the child's grade level,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subfactor of the general attitude towards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mong parents' perceptions of gender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n other words, parents of children from 1st to 4th grade had a lower perception compared to parents of children from middle school 3rd to high school 3rd grade. In addition,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subfactors of pessimistic attitudes of parents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child in caring stress. Parents of children from 1st to 4th grade had a higher perception in pessimistic attitudes compared to parents of children from 5th grade to middle school 2nd grade, and in the characteristics of the child compared to parents of children from middle school 3rd to high school 3rd grade. Last, depending on the child's gender, parents' gender role stereotypes and caring stress had negative effects on the perception of gender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he present study analyzed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s' gender role stereotypes, caring stress, and their perception of gender, among parents with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based on their children's gender. The results revealed the correlations and causal relationships among these three variables, providing insights into the significance of gender role stereotypes and caring stress in supporting parents' perception of their children's gender. Additionally, by examining the differences in parents' perception, gender role stereotypes, and caring stress concerning the gender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based on the children's gender and grade level, this study offered meaningful implications regarding the influence of child characteristics on parents' perception of their children's sexuality and caring stress. Keyword : parents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perceptions of gender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gender role stereotypes, caring stress 본 연구의 목적은 발달장애 자녀를 둔 부모의 성역할 고정관념과 돌봄 스트레스가 자녀의 성에 대한 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다. 이에 따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녀의 성별에 따라 부모의 성역할 고정관념, 돌봄 스트레스와 발달장애 자녀의 성에 대한 인식의 관계는 어떠한가. 둘째, 자녀의 성별과 학년단계에 따라 부모의 성역할 고정관념과 돌봄 스트레스 그리고 발달장애 자녀의 성에 대한 인식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가. 셋째, 자녀의 성별에 따라 부모의 성역할 고정관념이 발달장애 자녀의 성에 대한 인식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넷째, 자녀의 성별에 따라 부모의 돌봄 스트레스가 발달장애 자녀의 성에 대한 인식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이다. 연구대상은 장애인복지법에 의거하여 발달장애로 등록되었거나 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법에 의하여 특수교육 대상자로 선정되어 특수학급 또는 특수학교에 재학 중인 초등학교 1학년부터 고등학교 3학년까지의 학생을 자녀로 둔 부모이다. 연구 자료의 수집은 온라인 설문 양식을 활용하였고 총 146명이 설문에 참여하였다. 응답자의 동의 여부, 자료의 충실도, 이상치 제거 등의 단계를 거쳐 최종적으로 136명의 자료를 결과분석에 활용하였다. 발달장애 자녀의 성에 대한 인식을 측정하는 도구는 김승돈(1992)이 개발하고 노수희(2011)가 수정하여 활용한 척도를 활용하였다. 성역할 고정관념의 측정도구는 김동일(1993)의 성 고정관념 척도를 26문항으로 수정한 한정희(2020)의 척도를 활용하였고, 돌봄 스트레스 측정도구는 Holroyd(1974)의 QRS 척도를 Friedrich 등(1983)이 재구성한 QRS-F인데, 이를 정청자(1988)가 번안 척도를 활용하였다. 연구결과의 분석은 SPSS 23.0 통계프로그램을 활용하였다. 먼저, 연구 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한 기술통계분석을 진행하였다. 다음으로 주요 변수들 간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한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자녀의 성별, 학년단계에 따라 부모의 성역할 고정관념, 돌봄 스트레스, 발달장애 자녀의 성에 대한 인식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독립표본 t검정(t-test)과 ANOVA 분석을 실시하였다. 마지막으로 부모의 성역할 고정관념과 돌봄 스트레스가 발달장애 자녀의 성에 대한 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단순회귀분석도 각각 실시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녀의 성별에 따라 주요 변인 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본 결과, 자녀의 성별이 남성일 경우 발달장애 자녀의 성에 대한 인식 전체와 성역할 고정관념 전체는 부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녀의 성별이 여성일 경우 발달장애 자녀의 성에 대한 인식 전체와 성역할 고정관념 전체는 부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녀의 성별이 남성일 경우, 부모의 돌봄 스트레스 전체와 하위요인 모두에서 발달장애 자녀의 성에 대한 인식 전체와 하위요인 모두 유의미한 부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자녀의 성별이 여성일 경우에는 주요 변인들 간 몇몇 하위요인에서만 부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녀의 성별이 남성일 경우에는 성역할 고정관념과 돌봄 스트레스가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여성일 경우에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자녀의 성별에 따라 발달장애 자녀의 성에 대한 인식의 하위요인인 자녀의 성적 욕구에 대한 인식은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모는 자녀의 성별이 여성일 경우보다 남성일 경우 자녀의 성적 욕구를 더 높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녀의 성별에 따라 부모의 성역할 고정관념과 돌봄 스트레스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자녀의 학년단계에 따라 주요 변인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발달장애 자녀의 성에 대한 인식의 하위요인 중 자녀의 성에 대한 일반적인 태도가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초1~초4의 자녀를 둔 부모는 중3~고3의 자녀를 둔 부모보다 자녀의 성에 대한 일반적인 태도가 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돌봄 스트레스의 하위요인 중 부모의 비관적 태도와 아동의 특성 역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초1~초4의 자녀를 둔 부모는, 부모의 비관적 태도에서는 초5~중2의 자녀를 둔 부모보다 높게 인식하고, 아동의 특성에서는 중3~고3의 자녀를 둔 부모보다 높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자녀의 성별에 따라 부모의 성역할 고정관념과 돌봄 스트레스는 각각 발달장애 자녀의 성에 대한 인식에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자녀의 성별에 따라 발달장애 자녀의 성에 대한 인식과 부모의 성역할 고정관념, 돌봄 스트레스 간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를 통해 세 변인 간의 관련성 및 인과관계를 확인하였으며, 발달장애 자녀의 성에 대한 부모의 인식을 지원하는데 있어 성역할 고정관념과 돌봄 스트레스가 갖는 의미를 제시한 점에서 의의가 있다. 또한, 자녀의 성별과 학년단계에 따른 발달장애 자녀의 성에 대한 인식, 성역할 고정관념, 돌봄 스트레스의 차이를 분석하여 발달장애 자녀의 성에 대한 부모의 인식과 돌봄 스트레스에 대해 자녀특성이 갖는 의미를 제시한 점에서 의의가 있다.

      • 대도시 남녀 대학생의 결혼관 및 결혼의향과 관련요인에 관한 한·중 비교 연구

        송흠 상명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33339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influencing factors related to the marriage view and marriage intention of unmarried Korean and Chinese male and female college students residing in metropolitan areas, and to compare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male and female college students in the two countries. To this end, a survey was conducted on male and female college students attending universities in Seoul, Korea and Beijing, China, and the responses of 440 participants were used for the analysis. For the measurements, the Marriage view Scale, the Gender Role Perception Scale, the Parent Marital Relationship Scale, and the Parent-Child Relationship Scale were used. For statistical analysis, SPSS 24.0 program was used for descriptive statistics, reliability test, T-test, chi-square, ANOVA, Pearson's correlation,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tendency of marriage view, Korean college students, especially males, showed high in the stable-romantic view of marriage, while Chinese students, especially female, showed low. Chinese students, especially male, showed high in the conservative-instrumental view of marriage, whereas Korean students, especially female, showed low, showing a difference from the other three groups. In the negative-exclusive view of marriage, Korean students, especially male, showed the highest, but Chinese students, especially male, showed the lowest. Regarding marriage intentions, Korean students are less likely to marry than Chinese male and female college students. Korean male (57.7%), Chinese male (76.3%), and Chinese female (72.3%) were more likely to have an intention to marry, and Korean female were more likely to answer 'I don't know' (39.6%). Korean college students have relatively more stable-romantic views ​​than Chinese but they are less likely to marry than Chinese. In particular, the intention to marry Korean female students i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Korean male. Second, the socio-demographic variables, individual variables, and family environment variables showed differences between the two countries in terms of religion, only child or not, whether parents lived together, parents' educational background, and family income. In the gender role perception, which is an individual variable, Chinese students, especially male, showed a relatively conservative gender role perception, but Korean, especially female, showed a relatively progressive gender role perception. In the family environment variable, most of the participants had never experienced parental divorce. The psychological harmony perceived about parental marital relationships was higher in Chinese students than in Korean. Third, in Korean male students, the parental marital relationship and the relationship with mother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conservative-instrumental view of marriage and the passive-exclusive view of marriage. In the case of Korean female students, family income, marital relationship of parents, and relationship with mother had a positive effect on conservative-instrumental view of marriage and passive-exclusive view of marriage. In the case of Chinese male students, conservative gender role perception, parental divorce, parental marital relationship and relationship with mother had positive effects on stable-romantic marriage view, and mother's educational background had negative effects on conservative-instrumental view and passive-exclusive view of marriage, while conservative gender role perception, parental marital relationship and relationship with mother had positive effects on the conservative-instrumental view and the passive-exclusive view of marriage. In the case of Chinese female students, conservative gender role perception and relationship with mother had a positive effect on stability-romantic view of marriage, and religion had positive effects on conservative-instrumental view and passive-exclusive view of marriage, while conservative gender role perception, parental marital relationship and relationship with mother had positive effects on the conservative-instrumental view and the passive-exclusive view of marriage. In this study, demographic variables (family income) of Korean male students had a negative effect on their intention not to marry. In the case of Korean female, the better the relationship with their mother, the weaker their intention not to marry. In the case of Chinese male, the more progressive gender role perception, the stronger the intention not to marry. For Chinese female, the progressive gender role perception, parental divorce, and the rigid relationship with the mother increased the intention of not to marry. The findings of this study need to be interpreted under the limitation of generalization because the data was only collected two cities in two countries. In addition, for Korean college students, the regression model describing the stable-romantic marriage view was not significant, which may be the limitation of the marriage view scale used in this study and indicates the need to explore more diverse variables for the dependent variable. 본 연구는 대도시지역에 거주하는 미혼 한‧중 남녀대학생들의 결혼관 및 결혼의향과 관련된 영향요인을 확인하고 양국의 남녀대학생들의 유사점과 차이점이 무엇인지를 비교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한국 서울과 중국 북경의 4년제 대학교에 재학 중인 남녀대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최종 440명의 응답을 분석에 사용하였다. 한‧중 남녀대학생들의 결혼관 및 결혼의향을 확인하기 위해 결혼관 척도, 성역할 인식 척도, 부모의 부부관계 척도, 부모-자녀 관계 척도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4.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였고, 평균과 표준편차, 신뢰도 검사, T검증, 카이자승검증, ANOVA 분석, 피어슨의 상관관계 분석, 다중회귀분석,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고 해석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한‧중 남녀대학생들의 결혼관의 경향성을 살펴보면, 한국 대학생 특히 남학생들이 안정-낭만적 결혼관에서 높게 나타난 반면, 중국 대학생 특히 여학생들이 안정-낭만적 결혼관에서 낮게 나타났다. 중국 대학생 특히 남학생들이 보수-도구적 결혼관에서 높게 나타난 반면, 한국 대학생 특히 여학생들이 보수-도구적 결혼관에서 낮게 나타나 다른 3집단과 차이를 보였다. 소극-배타적 결혼관에서 한국 대학생 특히 한국 남학생들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나 중국 대학생 특히 중국 남학생들이 낮게 나타났다. 한‧중 남녀대학생들의 결혼의향을 살펴보면, 한국 남녀대학생은 중국 남녀대학생보다 결혼할 의향을 덜 가진 반면 중국 남녀대학생은 한국 남녀대학생에 비해 결혼할 의향을 더 가진다. 한국 남학생(57.7%), 중국 남학생(76.3%)과 중국 여학생(72.3%)이 결혼할 의향을 가지고 있는 경우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한국 여학생은‘잘 모르겠다’(39.6%)라고 응답한 경우가 높게 나타났다. 한국 대학생은 안정-낭만적 가치관을 상대적으로 중국보다 더 많이 갖고 있지만 결혼할 의향은 중국 대학생보다 적게 나타났다. 특히 한국 여학생의 결혼할 의향은 한국 남학생에 비해 현저히 낮았다. 둘째, 한‧중 남녀대학생의 사회 인구학적 변수, 개인적 변수, 가족환경 변수를 살펴보면, 사회 인구학적 변수인 종교, 외동여부, 부모동거여부, 부모학력, 가족소득은 양국 간에 차이가 나타났다. 개인적 변수인 성역할 인식에서 중국 대학생 특히 남학생이 높게 나타나 상대적으로 보수적인 성역할 인식을 갖고 있었으며 한국 대학생 특히 여학생이 성역할 인식에서 낮게 나타나 상대적으로 진보적인 성역할 인식을 갖고 있었다. 가족환경변수에서 양국 대학생들 부모의 대다수는 이혼한 경험이 없었으며, 부모의 부부관계에서 심리적 조화를 높게 인지하고 있었지만 부모의 부부관계에 대해 인지하는 심리적 조화의 점수는 중국 대학생이 한국 대학생보다 높게 나타났다. 셋째, 한국 남학생의 경우 부모의 부부관계와 어머니와의 관계가 보수-도구적 결혼관과 소극-배타적 결혼관에 정적 영향을 미쳤다. 한국 여학생의 경우, 가족소득, 부모의 부부관계와 어머니와의 관계가 보수-도구적 결혼관과 소극-배타적 결혼관에 정적 영향을 미쳤다. 중국 남학생의 경우, 보수적 성역할 인식, 부모의 이혼경험, 부모의 부부관계와 어머니와의 관계가 안정-낭만적 결혼관에 정적 영향을 미쳤으며 어머니의 학력이 보수-도구적 결혼관과 소극-배타적 결혼관에 부적 관계를 미쳤으나 보수적 성역할 인식, 부모의 부부관계와 어머니와의 관계가 보수-도구적 결혼관과 소극-배타적 결혼관에 정적 관계를 미쳤다. 중국 여학생의 경우, 보수적 성역할 인식과 어머니와의 관계가 안정-낭만적 결혼관에 정적 영향을 미쳤고, 종교(=있음)가 보수-도구적 결혼관과 소극-배타적 결혼관에 정적 관계를 미쳤으나 보수적 성역할 인식, 부모의 부부관계와 어머니와의 관계가 보수-도구적 결혼관과 소극-배타적 결혼관에 정적 관계를 미쳤다. 본 연구에서 한국 남학생의 경우 사회 인구학적 변수(가족소득)가 결혼 안할 의향에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 여학생의 경우, 어머니와 경직된 관계를 맺을수록 결혼 안할 의향이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 남학생의 경우, 진보적 성역할 인식을 갖을수록 결혼 안할 의향이 강하게 나타났다. 중국 여학생의 경우, 진보적 성역할 인식을 갖을수록; 부모가 이혼경험이 있을수록; 어머니와 경직된 관계를 맺을수록 결혼 안할 의향이 강하게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한국 서울과 중국 북경의 대학생들을 표집한 것으로 일반화의 한계를 가진다. 또한 한국 남녀대학생들의 경우, 안정-낭만적 결혼관을 설명하는 회귀모델이 유의미하지 않았는데, 이는 본 연구에서 사용한 결혼관 척도가 가지는 한계일 수 있으며, 한국대학생의 결혼관을 설명하는 보다 다양한 변수의 탐색이 필요함을 말해주는 결과이다. 마지막으로 한‧중 대학생의 결혼관에 관한 비교연구는 시대의 흐름과 함께 지속적으로 추가하여 검토할 필요가 있다.

      • 남성의 돌봄 참여 경험을 통한 성역할 규범의 변화 가능성과 한계

        홍예슬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33326

        Recently, the system of paternity leave for men has attracted attention as a way to balance work and family life of workers. This is a system designed to reduce the burden of dual labor between women 's care work and wage labor as the vacancy of care occurs and low fertility problems arise. However, male participation is lower than that of female participants. The reason for the low rate of male participation in the parental leave system was the stereotype that the males were not suitable as the main caretaker for the child caring. Nevertheless, the number of male paternity leave is on the rise, and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number of paternity leave will increase even more if the increase of male participation in care continues. The question of whether gender role perceptions of males on parental leave differed from the existing norms of gender roles which was raised. Based on the consciousness of this problem, this study conducted an in - depth interview focusing on eight men who participated in care work, and examined the perception of gender role norms and how gender role norms appeared in the process of participation in care work.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interviewees perceived negatively about traditional gender role norms. According to the existing norms on gender role , men had the right to exempt care for having economic responsibility. However, the interviews did not strongly recognize the role of breadwinner, and felt that working with their spouse was necessary. This can be seen from the economic and social unrest that has deepened since the IMF, including economic instability, a decline in men's economic status, and an increase in women's employment. Second, the interviewees participated in a gendered way in the caring for their children and participating in domestic labor. The interviewees insisted that they did not have a sense of gender role, but they left the area as a share of spouse such as playing with their children or labor that can be represented as feminine within the division of domestic labor. The interviewees also insisted that their role was a result of biological differences in participating in work that could be physically damanding or dirty, not a consequence of gender role norms. Third, despite the fact that there was a crack in the gender role norm that was given to the care area, the interviews showed that the gender role norm is reproduced by the attitude of the family and the surrounding environment. This is because it appears to be helping the areas that can be represented as feminine . However, the interviews did not regard the help of the surroundings as a result of the perception of gender role, and perceived the help as being natural or receiving the help of the weak part.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perception of men 's gender role norms through caring participation is somewhat different from that of existing gender role norms. In the process of modernization and industrialization, where the existing economic development was a major ideology, men's economic responsibility as a family was a key factor in gender division. However, due to the Korean social structure that has changed since the economic crisis, the existing gender role norms are gradually in the process of change. Moreover, as the men are encouraged to participate in care work at the national level, the existing gender role norm in the area of care is being cracked. As a result, the increase in the number of male who is on parental leave shows the illusion effect that seems to change the existing gender norm. However, it can be seen that the existing gender role norm still works in the way of sharing the burden and responsibilities of housework. Moreover, this method is difficult to capture directly, and the illusion effect due to the change of gender norms in some areas such as care work and economic responsibility is appearing. This suggests that gendered forms of labor tend to be overlooked. 최근 근로자의 일과 가정생활 균형을 도모하기 위한 방안으로 남성의 육아휴직 제도가 주목받고 있다. 이는 돌봄의 공백이 발생하고 저출산 문제가 야기됨에 따라 여성의 돌봄 노동과 임금 노동 간의 이중노동에 대한 부담감을 줄이기 위하여 마련된 제도이다. 그러나 남성들의 참여는 여성 참여자들에 비해 저조한 수준이다. 남성들의 육아휴직 제도 참여율이 낮은 원인을 살펴보면, 남성이 자녀 양육을 하는데 주된 양육자 역할로 적합하지 않다는 성역할 고정관념이 가장 큰 원인으로 나타났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남성 육아휴직자 수는 점차 증가하고 있으며, 남성들의 돌봄 참여의 증가가 지속된다고 가정할 때 향후 육아휴직자 수는 더 늘어날 수 있는 가능성이 있다. 그렇다면 남성 육아휴직자의 성역할 인식은 과연 기존의 성역할 규범의 성격과 다른 것인지 의문이 제기되었다. 이러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돌봄 노동에 참여하는 남성들 8명을 중심으로 심층면접을 진행하여 성역할 규범에 대한 인식과 돌봄 노동 참여과정 내에서 성역할 규범이 어떻게 나타나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의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대상자들은 전통적인 성역할 규범에 대해 부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기존의 성역할 규범에 대한 논의에 따르면 남성들은 경제적 책임감을 가짐으로써 돌봄의 면제권을 가지고 있었다. 그러나 연구대상자들은 생계부양자 역할을 강하게 인식하고 있지 않았으며, 배우자와의 맞벌이가 반드시 필요하다고 느끼고 있었다. 이는 경제적 불안정성과 남성의 경제적 지위의 하락, 그리고 여성의 취업 증가 등 IMF 이후 심화된 경제적·사회적 불안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확인해볼 수 있다. 둘째, 연구대상자들은 자녀를 돌보는 방식과 가사노동 참여 방식에서 젠더화된 방식으로 참여하고 있었다. 연구대상자들은 성역할 인식을 가지고 있지 않다고 주장하면서도 자녀와 놀아주거나 가사노동 분업 내에서 여성적으로 표상될 수 있는 영역은 배우자의 몫으로 남겨두고 있었다. 또한 연구대상자들은 자신의 역할을 육체적이거나 심리적으로 더럽다고 느껴질 수 있는 노동에 참여하는 것에 대하여 생물학적인 차이 일 뿐, 성역할 규범이 반영된 결과가 아님을 주장하였다. 셋째, 연구대상자들은 돌봄 영역에 부여되었던 성역할 규범에 대하여 균열이 발생했음에도 불구하고 가족과 주변 환경의 태도로 인해 성역할 규범이 재생산되는 것으로 나타난다. 이는 주변에서 여성적인 것으로 표상될 수 있는 영역들에 대하여 도움을 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기 때문이다. 그러나 연구대상자는 주변의 도움을 성역할 인식이 반영된 결과로 여기지 않았으며, 주변의 도움을 당연하다고 인식하거나 자신이 미흡한 부분에 도움을 받는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해 돌봄 참여를 통한 남성들의 성역할 규범에 대한 인식은 기존의 성역할 규범의 성격과는 일부 상이함을 확인할 수 있다. 기존의 경제발전이 주요 이데올로기였던 근대화 및 산업화 과정에서 남성들은 가정으로서의 경제적 책임감이 성별 분업의 핵심 요인이었다. 그러나 경제위기 이후 변화된 한국 사회구조로 인해 기존의 성역할 규범은 점차 변화의 과정에 놓여있다. 더욱이 국가 수준에서 남성들의 돌봄 노동 참여를 권장함에 따라 돌봄 영역에 대한 기존의 성역할 규범의 균열이 가해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난다. 이로 인해 남성의 육아휴직자 수의 증가는 일견 기존의 성역할 규범이 변화하는 것처럼 보이는 착시효과를 나타낸다. 그러나 여전히 가사노동의 분담과 책임을 분담하는 방식 내에서 여전히 기존의 성역할 규범이 작동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더욱이 이러한 방식은 직접적으로 포착하기 어려우며, 돌봄 노동과 경제적 책임감 등 일부 영역에서 나타나는 성역할 규범 변화로 인한 착시효과가 나타나고 있다. 이로 인해 젠더화된 노동 형태에 대해서는 간과되는 경향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