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대학교원 성역할 인식척도 개발 및 타당화 = Th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Gender Role Recognition Inventory for University Facult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651345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대학교원이 성역할에 대한 인식의 정도를 측정하기 위해 성역할 인식 구성요소를 확인하고, 대학교원 성역할 인식척도를 개발 및 타당화를 목적으로 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

      본 연구에서는 대학교원이 성역할에 대한 인식의 정도를 측정하기 위해 성역할 인식 구성요소를 확인하고, 대학교원 성역할 인식척도를 개발 및 타당화를 목적으로 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을 위해 선행 연구 고찰과 3차에 걸친 전문가 자문을 거쳐 총 59문항을 예비문항으로 개발하였다. 4년제 교원을 241명을 대상으로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고, 그 검증 결과를 통해 얻은 사적인 생활의 성평등, 여성성역할고정관념, 공적생활의 성평등, 성역할에 따른 민감성, 남성성역할 고정관념으로 구성된 5개 요인으로 15개 문항을 도출되었다. 또 다른 대상인 4년제 교원 373명을 표집 하여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여 최종문항의 모형 적합도를 확인하였다. 대학교원 성역할 인식척도의 타당화 작업을 위하여 한국형 남녀평등 의식척도와 한국형 다면성별 의식척도를 통해 상관관계를 통해 타당도를 갖춘 검사 도구임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대학교원 성역할 인식척도가 상담에 활용될 수 있는 시사점을 제공하고 후속 연구에 대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ough universities as higher educational institutions are required to have more gender-equal education systems and value systems, there are, still in reality, lots of power-related violence between faculty and students, seniors and juniors. In this s...

      Though universities as higher educational institutions are required to have more gender-equal education systems and value systems, there are, still in reality, lots of power-related violence between faculty and students, seniors and juniors. In this situation, it is important to complete the scale development which offers exact understanding and examination of gender role recognition of faculty members in universities, with the full understanding of the necessities of developing assessment tools for gender role recognition in the studies and researches of gender equality in universities.
      This study aims to perform the reliability tests and validation researches of the objective tools for examining how faculty feel and express the gender issues in their education fields and daily lives through developing and validating the gender role recognition inventory for university faculty. I have primarily extracted the component factors of the gender role recognition in university faculty members through the investigation of preceding research analysis, and then have prepared preliminary surveys consist of 59 questions divided by 5 subdivisions, scrutinized by 10-12 experts and professors who demonstrated, revised, and deleted the questions after proving content validity a few times.
      To develop scale, I did the online preliminary survey for the university faculty members in Daegu and Kyungbuk Province, and extracted 15 questions from the 241 responses, classified by 5 component factors, such as gender role sensitivity, gender equality in public life, male gender-role stereotype, gender equality in private life, female gender-role stereotype screened through the question analysis and validation of reliability. I have conducted the online main surveys of 373 respondents in Daegu and Kyungbuk Province with the questions in Korean-Multiple Sexism Inventory(K-MSI) questionnaire and Korean gender egalitarianism scale(KGES) questionnaire.
      In the analysis results of 373 responses analyzed by using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the gender role recognition suitability of the university faculty scores .924 and .942 each in TLI and CFI, and in RMSEA analysis. The correlation coefficient in the subordinate scope scores .75(p<.001), which proves construct validity resulting in significant consequences in a higher level. It has proved that with the K-MSI and KGES scales, to verify the convergent validity and criterion-related validity the extracted 15 questions confirm the validity.
      Consequentially, it can be said that gender role recognition scale for university faculty developed in this research consists of reasonable and suitable questions which prove their own validity and reliability in the questionnaire. This gender role recognition scale can contribute to making it possible for the faculty in universities to produce policies and educational programs preventing sexual violence including sexual harassment by teachers through the self-assessment committed by themselve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제 1 장 서론 1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 2. 연구 문제 5
      • 3. 용어 정의 5
      • 제 1 장 서론 1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 2. 연구 문제 5
      • 3. 용어 정의 5
      • 제 2 장 이론적 배경 7
      • 1. 성역할 7
      • 1) 성역할 개념과 특징 7
      • 2) 대학교원 성역할 인식 12
      • 2. 성역할 관련 선행연구 14
      • 1) 성역할 관련 검사 도구의 선행연구 15
      • 2) 대학교원 성역할 인식 예비문항 구성요인 21
      • 3. 성역할 인식 관련 변인 23
      • 1) 성평등 23
      • 2) 성역할 고정관념 25
      • 3) 성인지 민감성 28
      • 4. 성역할 인식과 다른 변인과의 관계 30
      • 1) 성역할 인식과 남녀평등의식 30
      • 2) 성역할 인식과 다면성별의식 32
      • 제 3 장 연구 방법 35
      • 1. 척도개발 절차 35
      • 2. 척도개발을 위한 예비 연구 37
      • 1) 관련 문헌 및 기존의 성역할 관련 척도 37
      • 2) 기초 예비 문항 작성 40
      • 3. 내용타당도 검증 42
      • 1) 1차 내용타당도 검증 45
      • 2) 2차 내용타당도 검증 48
      • 3) 3차 내용타당도 검증 50
      • 4. 대학교원 성역할 인식척도 개발 54
      • 1) 연구 절차 및 대상 54
      • 2) 자료 분석 55
      • 3) 문항 분석 56
      • 4) 탐색적 요인분석 58
      • 5) 하위요인 간의 상관분석 64
      • 6) 신뢰도 검증 66
      • 제 4 장 대학교원 성역할 인식척도의 타당화 68
      • 1. 연구 절차 및 대상 68
      • 2. 연구 도구 69
      • 1) 대학교원 성역할 인식척도 69
      • 2) 한국형 남녀평등 의식척도 70
      • 3) 한국형 다면성별 의식척도 70
      • 3. 자료 분석 71
      • 4. 연구 결과 72
      • 1) 구인타당도 검증 72
      • 2) 공인타당도 검증 79
      • 3) 대학교원의 특성에 따른 성역할 인식척도 분석 결과 82
      • 제 5 장 요약 및 결론 86
      • 1. 연구의 요약 86
      • 2. 결론 및 제언 95
      • 참고 문헌 99
      • ABSTRACT 125
      • 부 록 128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