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성소수자(LGB)에 대한 비성소수자의 태도와 태도 예측 변인에 관한 연구 : 접촉 경험, 종교적 근본주의 및 본질주의적 믿음을 중심으로

        고현 성신여자대학교 2022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에서 성소수자(lesbian, gay, bisexual; LGB)의 성별과 성적 지향에 따라 비성소수자의 성소수자에 대한 태도가 다르게 나타나는지, 그리고 접촉 경험, 종교적 근본주의 및 본질주의적 믿음이 비성소수자의 성소수자에 대한 태도를 예측하는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만 19세에서 39세 비성소수자 남녀를 대상으로 온라인 연구를 실시하였으며, 총 308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 참가자들은 동성애자에 대한 태도, 양성애자에 대한 태도, 직접 접촉 경험 문항들, 간접 접촉 경험 문항들, 다차원 근본주의 척도, 동성애에 대한 본질주의적 믿음 척도 및 인구통계학적 문항들에 응답하였다. 분석 결과, 가설과 일관되게 비성소수자의 성소수자(LGB)에 대한 태도는 성소수자의 성별과 성적 지향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남성보다 여성에게, 양성애자보다 동성애자에게 긍정적인 태도를 보였다. 또한 준사회적 상호작용, 종교적 근본주의의 하위 요인인 세속적 거부 대 지지, 동성애에 대한 본질주의적 믿음의 하위 요인인 분별성, 불변성 및 보편성이 성소수자(LGB)에 대한 태도의 유의한 예측 변인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성소수자(LGB) 등장인물을 사회적으로 매력적이고 사실적으로 인지할수록, 세속적인 것을 지지할수록, 동성애자와 이성애자 사이에 근본적인 심리적 차이가 없다고 믿을수록, 성적 지향이 어린 시절에 결정되며 고정되는 범주라고 믿을수록, 동성애가 역사·문화적으로 보편적이라고 믿을수록 성소수자(LGB)에 대한 태도가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성소수자(LGB)의 성별과 성적 지향에 따라 비성소수자의 태도에 차이가 나타난다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국내 선행 연구에서 살펴보지 않았던 접촉 경험, 종교적 근본주의 및 본질주의적 믿음과 같은 변인과 성소수자(LGB)에 대한 태도의 관계를 살펴보았다는 데 의의가 있다. 이러한 내용들을 토대로 본 연구의 결과가 나타난 이유와 제한점 및 후속 연구 방향에 대하여 논하였다. This study attempts to verify whether attitudes of non-sexual minorities toward lesbians, gays, and bisexuals (LGB) differ according to their gender and sexual orientation and whether contact experiences, religious fundamentalism, and essentialist beliefs are related to attitudes of non-sexual minorities toward LGB. To test this hypothesis, we conducted an online study of 308 non-sexual minorities aged from 19 to 39 years. The participants of the study responded to the attitudes toward lesbians and gays scale (ATLGS), attitudes regarding bisexuality scale (ARBS), direct/indirect contact experience questions, multi-dimensional fundamentalism inventory (MDFI), essentialist beliefs about homosexuality scale, and other demographic questions.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e analysis, attitudes of non-sexual minorities toward LGB were found to be different considering their gender and sexual orientation. Specifically, participants showed a more positive attitude toward women sexual minorities compared to men sexual minorities and homosexuals compared to bisexuals. In addition, indirect contact experience―parasocial interaction, subscales of religious fundamentalism―worldly rejection versus worldly affirmation, and subscales of essentialist beliefs about homosexuality―discreteness, immutability, and universality were significant predictors of attitudes of non-sexual minorities toward LGB. Specifically, the positive attitude toward LGB can be explained by socially attractive and realistically perceived LGB characters, support secularity, belief that there is no fundamental psychological difference between homosexuals and heterosexuals, belief that sexual orientation is a category fixed in childhood, and belief that homosexuality is historically and culturally universal. This study is significant as it found that attitudes of non-sexual minorities toward LGB vary depending on the gender and sexual orientation of LGB and examined various predictors related to these attitudes. We conclude this paper by discussing our findings, the study’s limitations, and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 재림교회 하늘성소교리 발전사

        남경원 삼육대학교 신학전문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806

        본 논문의 목적은 하늘성소교리 발전사를 통해 하늘성소교리의 역사적 의미의 재인식과 하늘성소의 복음성 확립 그리고 하늘성소교리의 올바른 이해의 정립에 있다.1장에서는 문제의 진술, 연구의 목적, 연구의 방법 및 제한, 문헌연구를 진술하였다. 2장에서는 윌리암 밀러의 2300일에 대한 해석을 통해 등장한 밀러주의자들의 재림운동과 1844년 대 실망사건을 배경으로 등장한 하늘성소신학의 형성배경을 진술하였다. 3장에서는 1844년 대 실망사건이후, 대 실망에 대한 반응으로서 단 8:14의 성소정결에 대한 해석적 논쟁을 통해 발견되 하늘성소는 재림교회형성 이전의 초기 개척자들에 의해 문자주의적실재론해석으로 발전되었다. 문자주의적실재론해석은 초기개척자들의 하늘성소의 실재성과 하늘성소의 성서정결사건에 대한 일요일 준수 재림교도들의 공격에 대한 대응이었으며, 하늘성소교리를 체계화시키는 데에 큰 역할을 하였다. 하지만 성소교리의 문자주의적실재론해석은 제한 없는 해석적 적용으로 1863년 재림교회 형성이후 율법주의적 성향의 교회를 형성하는 배경을 제공하였다. 4장에서는 1886대부터 1890년까지 재림교회에는 하늘성소신학에 대하여 근본주의와 복음주의의 갈등이 있었다. 그러나 이 근본주의와 복음주의 사이의 논쟁을 하나로 담을 신학은 존재하지 않았다. 5장에서는 로이 애덤스에 대해 진술하였는데, 그는 성소신학에 있어서 근본주의와 복음주의의 조화를 시도하였다. 그는 기능론적실재론해석을 제시하였는데, 이것은 한계 없는 적용의 문자주의적실재론해석을 성소의 속죄, 중보, 심판이라는 기능으로 제한하였다. 6장에서는 위에서 언급한 내용들을 요약하였고, 결론을 제시하였다. This Purpose of thesis is to stand uprightly understanding of doctrine on heavenly sanctuary, establishment of heavenly sanctuary as gospel and new understanding of historical meaning of doctrine on heavenly sanctuary through the history of development of doctrine on heavenly sanctuary in Adventist church. Chapter 1 has presented problem in the direction, purpose of thesis, methodology and limitations of thesis, researching of literature. Chapter 2 presented formative background of theology of heavenly sanctuary to appear in the background of the great disappointment of 1844 and adventist movement as Millerite movement. In chapter 3, after the great disappointment of 1844, the heavenly sanctuary discovered by argument of interpretation about the cleansing of the sanctuary in Daniel 8:14 as reaction of the great disappointment was developed the literally realistic interpretation by early Adventist pioneers. The literally realistic interpretation was that to give important part to organize the doctrine of the sanctuary in Adventist church and to be opposed to against attack of the Sunday's Adventist about the doctrine of real sanctuary and the event of cleansing the sanctuary. But after 1863, gradually Adventist church was trended toward legalism due to unlimited application of the interpretation of the literally the sanctuary. In chapter 4, from 1886 to 1980, there were argument between fundamentalism and evangelicalism in the doctrine of the sanctuary but there was no theology can accept between fundamentalism and evangelicalism. Chapter 5 presented about theology of Roy Adams. He tried harmony the doctrine of the sanctuary of between fundamentalism and evangelicalism and he indicated the functional realistic interpretation. It restricted the literally realistic interpretation of unlimited application in functions of atonement, intercession and judgment on sanctuary. Chapter 6 summarizes the chapters and makes the conclusions.

      • 「현대의 사제 양성」에 나타난 교구사제 영성과 청소년 교구사제 성소자 양성 : 서울대교구를 중심으로

        안승태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805

        오늘날 사제 성소자 양성은 주로 대신학교를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한국 천주교회는 이 땅에서 가톨릭 신앙이 시작되고 얼마 되지 않아서부터 방인 사제 양성을 위해 노력한 결과 1855년에 한국 최초의 신학교인 ‘성 요셉 신학교’(1855~1866)를 배론에서 시작하였다. 병인박해로 문을 닫아야 했던 최초의 신학교는 그 이후 ‘예수성심신학교’(1885~1887: 원주 부엉골), ‘용산 예수성심신학교’(1887~1942), ‘경성천주공교신학교’(1945~1947), ‘성신대학’ (1947~ 1959), ‘가톨릭대학’(1959~1992), ‘가톨릭대학교’(1992~ )로 교명은 바뀌었지만 사제 양성을 위한 대신학교 과정을 지속하였다. 한편 트렌트 공의회의 가르침에 따라 소신학교 과정도 이러한 학제에 편제되었고, 1929년부터는 분리되어 독립된 소신학교 교육을 진행하였다(남대문상업학교(동성상업학교) 을조, 성신대학부속중학교, 성신중․고등학교). 그러나 한국 천주교 주교회의는 1978년 춘계 회의에서 지원자의 감소, 졸업생들의 대입 예비고사 불합격율의 증가와 합격자들의 대신학교 진학 포기의 증가, 소신학교 운영과 학생 교육비의 재정적 부담, ‘예비신학생 제도’의 활용 등의 이유로 소신학교인 성신고등학교의 폐교를 합의하였는데, 소신학교 과정의 주된 학습 과목이었던 라틴어가 교양 언어로 바뀐 시대적 변화의 영향도 있었다. 이러한 주교회의의 결정에 따라 서울대교구는 1978년 7월 고등부 예비신학생 모임, 1979년 2월 중등부 예비신학생 모임의 시작, 그리고 1982년 성소전담부(1987년 성소국으로 승격)의 발족과 더불어 변화된 환경에 맞게 청소년 교구 사제 성소자 양성을 주도해 왔고 성공적인 결실을 맺어온 것도 사실이다. 그러나 보편 교회가 사제성소의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여러 문헌을 반포하면서 우려하고 있는 현실이 한국 교회와 서울대교구 또한 직면하게 되었고, 서울대교구는 2010년부터 자율형사립고등학교로 전환된 동성고등학교에 35명 정원 하나의 학급 ‘예비신학생반’ 과정을 신설하기에 이르렀다. 이는 청소년 교구사제 성소자들인 예비신학생들이 한 달에 한 번 월모임을 통해 사제성소를 식별하고 대신학교에 입학하여 사제 양성 수업을 받을 수 있는 자질을 갖추기에 무리가 있다는 판단 때문이었다. 2012년에 교황청 가톨릭교육성 사제성소국에서는 세계 각국의 사제성소 사목에 관한 설문을 통해 직무 사제직의 성소와 정체성에 관한 명확하고 기초가 튼튼한 신학에 바탕을 둔 ‘사제성소 증진을 위한 사목 지침’을 내놓게 되었다. ‘오늘의 세상에서 사제성소 사목, 직무 사제직 성소와 그 정체성, 사제성소 사목을 위한 제안들’로 구성된 사목 지침은 소신학교에 대해 사제가 되는 청소년들을 동반하고 교육하고 양성하면서 그들에게 자신의 사제직에 대한 열망을 식별하는 기회를 제공할 수 있다고 언급하고 있다. 이러한 보편 교회와 한국 교회의 상황 하에서 본 논문은 1992년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에 의해 반포된 사도적 권고인 「현대의 사제 양성」을 통해 ‘교구사제 영성과 청소년 교구사제 성소자 양성’이라는 주제로 청소년 교구사제 성소자 양성의 측면에서 서울대교구의 현실을 진단하고 미래의 발전적인 제언을 시도해 보았다. 본 논문은 본문의 1장에서 제2차 바티칸공의회 이후 문헌 특히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의 사도적 권고인 「현대의 사제 양성」의 내용과 이를 바탕으로 한 교구사제 영성을 다루었다. 「현대의 사제 양성」에 나타난 교구사제 영성을 ‘목자로서의 사랑’, ‘기도 중에 그리스도와 함께 있음’, ‘하느님 말씀의 선포자’, ‘성사의 집전자’, ‘공동체의 인도자’로 정리하였는데, 이는 사제의 신원과 직무를 잘 드러내는 영성으로 청소년 사제 성소자들이 사제직을 잘 이해할 수 있도록 교육시켜야 하는 내용이며, 청소년 사제 성소자를 양성하는 이들이 사제 양성을 위한 영성적 지향으로 삼아야 할 내용이기도 하다. 이어서 2장에서는 서울대교구 청소년 사제 성소자 양성의 역사를 한국 천주교회의 사제 양성 역사 안에서 최초의 신학생이었던 김대건․최양업․최방제로부터 시작하여 시기에 따른 대․소신학교 교육의 형태 안에서 살펴보았고, 청소년 교구사제 성소자 양성의 현 상황을 오늘날 예비신학생 모임과 동성고등학교 예비신학생반 과정을 통해 살펴보았다. 3장에서는 청소년 교구사제 성소자 양성의 목표로 성소자들의 신앙교육과 규칙적인 기도생활을 통한 성소자로서의 자아정체성 확립으로 제시하고, 청소년 교구사제 성소자 양성의 토대로서 사제 성소자 양성 교육의 네 영역인 인간 교육, 영성 교육, 지적인 교육, 사목 교육과 양성의 자리인 가정과 본당과 교구 차원에서 어떠한 노력을 기울여야 할지 살펴보았다. 특별히 현대 그리스도인들의 위기를 ‘신앙의 위기’로 진단하고, 그러한 신앙의 위기를 타개할 근본적이고 구체적인 실천지침이 부모와 사제의 신앙의 모범과 조기교육이 펼쳐질 수 있는 환경 안에서 이루어져야 함을 제언하였다. 무엇보다 사제들의 신원의식에 대한 자각을 통해 사제직과 그 영성 Major seminaries are the primary locus for priestly formation today. As the very first seminary in Korea, the St. Joseph's Seminary (1855-1866) was established at Baeron in 1855. This was the fruit of the Korean Church's endeavors to promote the formation of Korean priests, after believers had sowed the seeds of Catholic faith in their land of the morning calm. Though the seminary was forced to close its doors due to the Byeongin Persecution of 1866, priestly formation at the level of major seminary continued as the seminary re-located to Bueonggol, Wonju and was renamed the Sacred Heart of Jesus Seminary(1885-1887). It then moved to Yongsan, Seoul(1887-1942), but was stopped again by the Japanese Government before resuming priestly formation as the Kyungsung Catholic Public Seminary(1945-1947) in Hyehwadong. This grew to become the Holy Ghost College(1947-1959), which came to be known as the Catholic College(1959-1992) and eventually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1992-) of today. The minor seminary remained a part of the whole system in accordance with the teachings of the Council of Trent, until in 1929 a separate institution was established as an independent minor seminary(Namdaemun Commercial High School <Dongsung Commercial High School>, Middle School attached to Holy Ghost College, Holy Ghost Middle and High School). But the Catholic Bishops' Conference of Korea decided to close down such minor seminary like the Holy Ghost High School at its 1978 Spring General Assembly. More and more students at the school were failing to pass their college entrance exams, while those with passing scores were less likely to move on to the major seminary. The number of applicants were decreasing, while the maintenance costs and tuition were posing increasing economic difficulties. All of these factors, along with the classification of Latin - one of the main subjects taught at the minor seminary - as a subject under liberal arts, accounted for the bishops' decision. The Archdiocese of Seoul responded to the change by carrying out its formation of young candidates to diocesan priesthood in ways that adapt to the changing environment. It commenced its monthly gatherings for high school 'pre-seminarians' in July of 1978, followed by the first gathering for middle school pre-seminarians in February of 1979. The Archdiocese also founded the Department of Vocations in 1982, which was elevated to become the Office of Vocations in 1987. Such movements have been able to bear much fruit over the years. But the Korean Church soon faced the grim reality that incited the universal Church to issue documents in the hopes of surmounting the crisis of priestly vocation. The Archdiocese of Seoul, unable to escape the problem itself, responded by opening a 'pre-seminarian' class of 35 students at the Dongsung High School, now an autonomous private high school, starting in 2010. It was judged that the monthly gatherings were not enough to prepare young candidates for formation at the major seminary and provide them the opportunity for proper discernment. And in 2012, the Pontifical Work for Priestly Vocations at the Congregation for Catholic Education published the Pastoral Guidelines for Fostering Vocations to Priestly Ministry. After carrying out surveys worldwide on fostering priestly vocation, the Congregation developed a robust theology that clarified the meaning of vocation and identity of the ministerial priesthood. Grounded in such theological vision, the document specifically deals with the following themes: the pastoral care of vocations to priestly ministry in today's world, the vocation and identity of the ministerial priesthood, and suggestions for pastoral ministry for priestly vocations. The guidelines explain that minor seminaries can effectively accompany young men with priestly vocations by providing proper education and formation that may help them discern their desire for priestly ministry. Such was the situation that both the universal Church and the Korean Church were facing when Pope John Paul II promulgated the apostolic exhortation Pastores Dabo Vobis in 1992. This paper looks to examine this document while addressing the theme 'spirituality of diocesan priests and priestly formation of young candidates to diocesan priesthood', thus attempting to diagnose the current situation in the Archdiocese of Seoul and present potential solutions for growth from the perspective of a formator for young men with vocations to diocesan priesthood. Chapter I accordingly deals with the spirituality of diocesan priests as it appears in the post-conciliar documents of Vatican II and Pasotres Dabo Vobis. Here we see how the apostolic exhortation of Pope John Paul II identifies the spirituality of diocesan priests as 'pastoral charity', 'one with Christ in prayer', 'minister of the word of God', 'minister of the sacraments', and 'leader of eccesial communities'. It is essential that young candidates properly realize how these aspects reveal both the identity and ministry of priests, thus enhancing their understanding of what the priesthood is. These should also become the very spiritual intention that formators of young candidates must consider in priestly formation. Chapter II then attempts to trace the history of formation for young men with priestly vocations in the Archdiocese of Seoul. The historical overview begins with the very first seminarians in the history of the Korean Church - Daegun Kim, Yangup Choi, and Bangje Choi - and goes on to examine the evolving forms of major and minor seminaries by era, finally dealing with the current situation for formation of young candidates by studying the monthly 'pre-seminarian' gatherings and the 'pre-seminarian' class at the Dongsung High School. With this Chapter III looks to suggest that the core objective for formation of young candidates to diocesan priesthood lies in establishing solid self-identity for young

      • 성소(난소·정소)의 제거와 고콜레스테롤 식이 급여가 흰쥐의 혈장과 간의 콜레스테롤, 중성지방 수준과 혈소판 응집성 및 간 조직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

        오인숙 제주대학교 일반대학원 2000 국내석사

        RANK : 247791

        심혈관계 질환의 발병요인이 되는 동맥경화증의 주된 원인으로서 체내 콜레스테롤에 많은 관심이 집중되어 왔다. 한편 남성이 같은 나이의 가임기 여성에 비해 심혈관계 질환의 발병률이 높으나, 이 차이는 여성이 폐경상태에 이르면서 사라지게 된다. 본 연구는 동물을 모델로 하여, 성소를 절제함으로써 성호르몬의 변화를 통해 나타나는 체내 콜레스테롤과 중성지방의 변화를 알아보고자 실행되었다. 6 주된 Sprague Dawley 암 · 숫쥐를 대상으로 성소의 절제가 성장률 및 혈장과 간의 콜레스테롤과 중성지방의 수준, 혈소판 응집과 간 조직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과 성소가 절제된 상태에서 0.5 % 콜레스테롤 + 0.2 % cholate 식이를 급여하였을 때 이에 대한 효과를 관찰하였다. Sham 암쥐에 비해 난소절제한 암쥐에서 식이효율이 현저히 증가하여 상당한 체중증가를 나타냈다. 혈장 총 콜레스테롤, LDL-콜레스테롤, HDL-콜레스테롤 수준은 암 · 숫쥐 모두 성소의 절제에 의해 다소 증가하지만, 유의성은 없다. 성소가 절제된 상태에서 콜레스테롤 식이는 혈장 총 콜레스테롤과 LDL-콜레스테롤 수준을 상당히 증가시키는 반면, HDL-콜레스테롤은 현저히 감소되었다. 다른 처리구에 비해 성소가 절제된 숫쥐에서 콜레스테롤 식이 급여는 혈장 중성지방 수준을 상당히 감소시켰다. 간에 있어 성소의 절제로 인한 콜레스테롤 수준은 암 · 숫쥐에서 별 변화가 없으나, 성소가 절제된 상태에서 콜레스테롤 식이는 암 · 숫쥐 모두 간의 총 콜레스테롤을 4-5배정도 증가시켰다. 특히 콜레스테롤 식이는 암 · 숫쥐의 중성지방의 축적을 야기해 비대성 지방간을 일으켰다. 혈소판 응집효과는 암쥐에 비해 숫쥐가 유의적으로 높으며, 성소의 절제는 암쥐에 있어 혈소판 응집효과를 증가시키고, 숫쥐는 감소시켰다. 콜레스테롤 식이는 암 · 숫쥐 모두 증가시켰다. 위 내용을 종합해 볼 때, 혈소판 응집력과 성장률에 있어 숫쥐에 비해 암쥐가 성소절제에 의한 영향이 더 현저하였다. 콜레스테롤 식이 급여시 숫쥐의 경우 정소절제에 의해 혈장과 간의 콜레스테롤 수준이 암쥐의 그것과 유사하였다. 암쥐와는 달리 숫쥐는 콜레스테롤 식이 급여시 간의 중성지방 수준이 높은 반면 혈장은 감소되었다. 암 · 숫쥐의 성소절제에 의해 나타나는 이러한 차이는 호르몬의 변화가 어떤 기전을 통해 콜레스테롤과 중성지방의 대상에 영향을 주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여전히 폐경 이후 또는 난소절제된 여성의 심혈관계 질환 발병률이 더 높으나, 호르몬 치료가 위험률을 감소시킬 수 있는지는 여전히 논쟁의 여지가 있다. 따라서 성호르몬과 관련된 콜레스테롤 대사에 대한 더 많은 연구가 폭넓게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Cholesterol has been considered to play a major role in the development of cardiovascular diseases (CVD) including atherosclerosis. Men generally have higher incidence of CVD than women at the same age, and this difference decreases after menopau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if gonadectomy (GD) and GD + a hypercholesterol diet affect the levels of plasma and liver cholesterol and triglyceride. Using 6 weeks old Sprague Dawley rats, we examined the growth rate and food efficiency, plasma and liver levels of cholesterol and triglyceride, platelet aggregation and histological change of liver tissue in sham or ovariectomized (OVX) female and intact or orchidectomized (ODX) male rats fed a normal or 0.5 % cholesterol + 0 2 % cholate diet. OVX female rats have a higher food efficiency and growth rate compared to sham female rats. The plasma levels of total cholesterol, LDL-cholesterol and HDL-cholesterol were increased in OVX female and ODX male than sham female and intact male rats, respectively, but the difference was not significant. The plasma levels of total cholesterol and LDL-cholesterol significantly were increased and HDL-cholesterol significantly decreased in both sexes when they were fed a hypercholesterol diet. Plasma triglyceride significantly decreased in ODX male rats fed a hypercholesterol diet compared to other groups. Gonadectomy did not influence the liver level of total-cholesterol, but gonadectomy fed a hypercholesterol diet increased the liver cholesterol 4-5 times in both sexes, compared to them fed a normal diet. Regardless gonadectomy, a hypercholesterol diet greatly increased liver triglyceride, leading to fatty liver. The maximum aggregation of platelet was significantly higher in male than in female rats. Gonadectomy increased the maximum aggregation in female and decreased in male rats, and a hypercholesterol diet increased the aggregation in both sexes. In conclusion, gonadectomy affects female rats more than male rats increasing growth rate and platelet aggregation. Orchidectomy of male rats increased plasma and liver cholesterol to the level of female rats when they were fed a hypercholesterol diet. Compared to female, male rats have a low plasma triglyceride level but higher liver triglyceride when they were fed a hypercholesterol diet. The differences observed between OVX female and ODX male rats may be attributed to the sex hormones which may influence cholesterol and triglyceride metabolism in some ways. It is still controversial that postmenopausal or ovariectomized women have more risk for the incidence of CVD and hormone treatment may reduce the risk. Further study should be done on cholesterol metabolism in relation with sex hormone.

      • 사목 양성 중심의 통합적 신학교 양성을 위한 고찰 : 『사제 성소의 선물』을 중심으로

        최재승 수원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740

        본 논문은 신학교 양성을 사목 양성이 중심이 된 통합적 관점에서 고찰하고자 한다. 『사제 성소의 선물』이 반포된 이후 통합 양성에 관한 관심이 커지고 있는 가운데, 사제단 중에서도 젊은 사제단 안에서 일어나는 크고 작은 문제들은 최근까지 이뤄진 기존 신학교 양성 방법의 제고와 변화를 요구하고 있다. 따라서 이 논문에서는 『사제 성소의 선물』에서 언급되는 통합양성이 기존 사제 양성 관련 문헌들에서 다루는 양성과 어떠한 차이를 가지는지 살펴본다. 특히 제2차 바티칸 공의회 이후 출간된 두문헌 「사제 양성 교령」과 『현대의 사제 양성』에서 언급하는 네가지 양성 차원이 『사제 성소의 선물』에서 어떻게 발전하고 변화했는지 알아본다. 이어서 『사제 성소의 선물』에 언급되는 네 가지 양성 차원이 ‘사목자 양성’이라는 목표를 향해 통합적 관점에서 서로 긴밀히 연결되는지 살펴보며, 궁극적으로 문헌에서 추구하는 사목자 양성에 관하여 고찰한다. 위의 결과를 토대로 3장에서는 수원가톨릭대학교 신학생과 해당 신학교 출신 10년 차 사제단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시행한다. 그리고 설문조사의 결과를 토대로 현재 신학교에서 이뤄지는 네 가지 양성 차원이 ‘사목자 양성’이라는 목표를 향해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지 살펴본다. 그리하여 마지막 장에서는 현실진단을 통해 알아본 현 신학교 양성과정이 통합적 관점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하도록 몇 가지 방법을 제언한다. 이러한 연구를 바탕으로 다음의 결론에 도달한다. 첫째, 가톨릭교회에서 추구하는 사목자 양성은 공동체 정신과 선교 정신의 함양이 이루어져야 한다. 이는 기존 문헌에서도 나오지만, 『사제 성소의 선물』에서 더욱더 구체적이고 실천적인 방식으로 언급된다. 둘째, 신학교에서 이뤄지는 네 가지 양성 차원은 사목 실습기 혹은 방학과 같은 일정 기간을 통해 신학생의 내면에서 통합되도록 해야한다. 그리고 이를 진단하는 보고서(Testimonium)의 작성 방법과 내용 또한 좀 더 통합적 관점에서 양성이 이뤄질 수 있도록 도와주는 방향이 되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기초신학적 관점에서 계시하는 하느님과 신앙하는 인간의 관계가 부르시는 하느님과 성소의 길을 걷는 신학생의 관계로 과연 치환될 수 있는지 과제로 남겨둔다. 그리하여 계시가 양성과정 안에서 어떻게 드러나고 신앙인의 자세로서 그 양성에 어떤 방식으로 응답할 것인지에 관한 연구가 진행되기를 희망한다.

      • 요한복음의 에고 에이미에 암시된 성소개념 연구

        김석우 삼육대학교 신학전문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724

        본 논문은 "에고 에이미"의 용례와 배경 그리고 그 신학적 의미를 주석적 연구를 통해 밝혀 그 속에 암시된 성소개념을 탐색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제1장의 서론에서는 문제의 진술, 연구의 목적과 중요성 그리고 연구의 방법과 제한을 다룬다. 제2장에서는 요한복음에 암시된 성소개념들을 살펴본다. 이것들이 예수님과 어떤 관계가 있는지를 연구한다. 제3장은 본 논문의 핵심장으로서 "에고 에이미"에 암시된 성소개념을 연구한다. 연구의 목적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에고 에이미"를 유형별로 분류하되 특히 성소의 개념을 암시하고 있다고 생각되는 분명한 술어를 지닌 여섯 개의 구절만을 본문주석을 통해 연구한다. 첫째, 요 6:35의 “나는 생명의 떡” 둘째, 8:12의 “나는 세상의 빛" 셋째, 요 10:7의 “나는 양의 문” 넷째, 요 10:11의 “나는 선한 목자” 다섯째, 요 11:25의 “나는 부활” 여섯째, 요 14:6의 “나는 길”등이다. 제4장은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고 결론을 맺는다. This study explores the sanctuary concepts alluded in "EGO EIMI" in the Gospel of John through an exegetical investigation of the texts of the Bible which have direct reference to it. Chapter Ⅰ states the problems and also the objective, the importance, methodology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Chapter Ⅱ researches the sanctuary concepts implied in the gospel of John. This research reveals the relationship between sanctuary and Jesus Christ. Chapter Ⅲ undertakes an exegetical analysis of "EGO EIMI" passages in the gospel of John. But it limits to 6 "EGO EIMI" passages which are regarded to allude the sanctuary concepts. First, 6:35 “I am the bread of life”. Secondly, 8:12 “I am the light of the world”. Thirdly, 10:7 “I am the gate for the sheep”. Fourthly, 10:11 “I am the good shepherd”. Fifthly, 11:25 “I am the resurrection”. Sixly, 14:6 “I am the way”. Chapter Ⅳ summarizes and synthesizes the results of the investigation.

      • 하늘성소와 계시록 14장 세 천사 기별의 연계성 연구

        박명호 삼육대학교 대학원 1988 국내석사

        RANK : 247711

        "The everlasting gospe" is a manifestation of God's righteousness and power of salvaion which re-establish the broken relation between God and man, to restore the image of God and to participate in the Divine Nature. And the center of the everlasting gospel is Jesus Christ. The plan of redemption has two centers. The cross of Jusus is first, the second comming of Christ is second. The master plan foward the first center was the earthly Sanctuary. It was a copy of the Heavenly sanctuary, which had shown that the source of salvation is only from the Lord. The three rituals ; the bolld of the sacrifices, the mediation of the priest and the purification of the sanctuary, were the vital facets of the sanctuary service. The antitype; the actualy atoning death of our LORD, took place at Calvary. On the Cross the penalty for human sins was fully paid, Divine justice was satisfied. After the cross the mediatorical ministry of the priest shirfted from the earthly type to its beabely counterpart. The heavenly sanctuary became the great center of tedemptive activity by means of Christ's priestly ministyry. The purification of the sanctuary may be viewed as foreshadowing the final jufgement that resolves the sin problem and completly removes all trace of its presence from God's univers. Since 1844, the human has been living in the Day of Atonement prefigured in the earthly sanctuary. Christ is perfpring the last phase of His priestly ministry in the heavenly sanctuary. What is the God's master plan forward the second center of the plan of redemption? It was to send " Three angel's message" that to prepare the people for the second advent. Three angels message showed and guided the people, had been indulged in man centered theologu since the Renaissance, and even more since the scientific revolution, to worship true God and announced to keep the continual fellowship with Him, and to obey God's commendments and to remain faithful to Jesus. Juman dustiny will be decuded by these message is Christ in the most holy place of heavenly sanctuary. the Israelite failed to fix their eyes on Christ by faith. Now, this last day, will be the spritual Israelite failure, too? Never to Fail! god gave Three angels message for this age not to fail. Three angels message is like the Jacob's ladder, which guide the people to the heavenly sanctuary. And make the prople fix their eyes ion christ in the most holy place of heavenly sanctuary. Three angel's message is the god's blue print forward to second center of the plan of the redemption.

      • 사사기 17-18장 주석 연구 : 레위인 제사장과 단 성소 기원 이야기

        노은호 장로회신학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708

        사사기 17-18장은 이스라엘의 초기 역사를 볼 수 있는 중요한 본문이다. 그러나 지금까지의 사사기 17-18장의 연구는 신명기역사서의 맥락에서 이루어짐으로써 제한된 해석에 머물러 있었다. 본 연구는 사사기 17-18장에 담긴 신명기사가의 신학을 가능한 한 걷어내고 중립적인 시각으로 역사의 한 면을 찾아보는 데에 목적을 둔다. 사사기 17-18장은 레위인 제사장과 단 성소의 기원을 다룬다는 점에서 내용상 통일을 보여준다. 사사기 17장에서 미가의 어머니와 미가는 야훼 신앙을 소유한 자들로 레위인 제사장으로 인해 제의를 위한 모든 준비를 마치게 된다. 레위인 제사장은 본래 유다 지파에 속했던 사람으로 제사장직을 위해 나그네를 자처한 사람이다. 사사기 18장에서 단 지파의 행위는 여호수아의 정복전쟁과 유사하고 그들이 세운 단 성소는 야훼 신앙을 이어간다. 미가 집의 제사장이 단 지파의 제사장이 되는 것은 초기 레위인의 구직활동을 보여준다. 사사기 17-18장에서 초기 이스라엘의 모습을 발견할 수 있는데 바로 레위인과 단 성소이다. 지파가 형성되기 이전의 레위인의 모습을 잘 보여주고 국가 이전 시기의 가족 제의에 대해서 서술한다. 초기 레위인의 구직활동을 통해 오늘의 목회자들의 모습을 점검해보게 되고 단 성소에 대한 이해를 통해 거룩의 참 의미가 무엇인지 돌아보게 된다. 또한 우상숭배에 대한 이해를 새롭게 하게 한다.

      • 고대 이스라엘의 성전모티프에 관한 연구

        임석일 협성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7707

        Abstract A Study on the Motifs of a Temple in Ancient Israel Surk Il Im Department of Theology Graduate School, Hyupsung University Supervised by Professor Myung Soo Suh, Ph.D. This thesis explores the motifs of a temple in ancient Israel. There are some motifs of a temple in the Old Testament. Typical types of a temple/sanctuary are an archetypal sanctuary and its antitypal sanctuary in earth. The former represents the world itself which was created by God, and the latter represents earthly sanctuary as a human holy architecture. The archetypal temple reflects heavenly temple. The typical antitypal temple are Solomon's temple and the second temple which was rebuilt by Zerubbabel (BCE 515) after the Babylonian period. The inquiry of the motifs of a temple/sanctuary will help Korean churches and believers understand the theological meaning and purpose of the church as a place where God lives today. The book of Genesis starts from the story of creation of heaven and earth(Gen.1:1-2:3), where the world itself contains a temple motif. The world presupposes a three-story structure just like the structure of the sanctuary, and after completion of the creation of heaven and earth, God rests(shābat) on the 7th in the world. 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the created world itself is a temple where God lives and rests. This is often referred to as an archetypal temple because it is an invisible temple. In the story of the second creation(Gen.2:4-3:24) the Garden of Eden contains a temple motif as a miniature version of the world. Motif, where water flows out of the center of the garden and wets the river on a slope, is like a temple motif, meaning a river of life in which water flows from the temple gate area through the Jordan River to the Dead Sea. In addition, there are pure gold and jewelry in the Garden of Eden, which is reminiscent of precious metals and jewelry decorated in the tabernacle and Solomon's Temple. The group that guarded the Garden of Eden was shaped like the insignia of the tabernacle and atonement, and the two candle sticks (menorah) at the altar of the tabernacle were shaped like the tree of life and the tree of knowledge in Garden of Eden. As such, the Garden of Eden is not a temple as a visible building, but it can be called a archetypal sanctuary in where God lives and meets people. God who dwells in the mountain after the exodus orders Moses to instruct the construction of the tabernacle to dwell in the Israelite camp. As God commands seven times, Moses executes seven times. This seven times command-execute pattern also applies to the appointment ceremony of priests in the chapter of Leviticus. In this pattern world, the tabernacle, and the appointment of a priest are closely linked by priestly theology and perspective. The tabernacle is divided into a courtyard, alter, and the Most Holy Place. This triadic division is similar to the three grades of Mt. Sinai, that is the foot of a mountain(on where the Israelites stay), mountainside(where Joshua and elders stay), top of mountain(where Moses stay and meet with God). Another temple motif can be found in Noah's ark(tēbah). Noah's ark has the same three-story structure as a sanctuary. Noah coated the a가 of cypress with pitch inside and outside for prevention of a chaotic water. Pitch in Hebrew is 'Koper', its verbal form is 'kāpar' which means 'spread over'. And sometimes 'kāpar' is used as a metaphor of atonement, that is 'spread over a sin'. Atonement means to cover up a sin. And according to God's command, Noah took seven of every kind if clean animal, a male and its mate, and two pf every kind of unclean animal, a male and its mate. This clean and unclean animals reflect the sprit of the code of purity and impurity in the book of Leviticus. For these reasons, Noah's ark can be called a floating temple on the water. Some scholars argue that Noah's ark corresponds to a floating ziggurat. Moses mother made a reed basked for child Moses. The reed basket in Hebrew is also <tēbah> which is same to Noah's Ark. In spite of difference of size the reed basket is called <tēbah>. It is why that two are coated with pitch for prevention of a great water(mābbûl in Hebrew) flooding into. Just as those who are in temple are safe, Noah's Ark and the reed basket function as a shelter. As visible temples on the ground, there are Solomon and Zerubbabel temples, which reflect an archetypal sanctuary as mentioned above. But it is difficult to say that they have been embodied in 100%. The temple of Solomon differs from the tabernacle because Solomon's temple has some The second temple is restoration of the first temple. So two temples are same. During the exilic period the prophet Ezekiel suggested a new vision of temple(Ezk. 40-48) for the near future. His new vision is not a restoration of the historical temple (the first temple), but an ideal temple that reflects the ideals of the heavenly temple and the archetypal temple. Through the above discussion on the temple motifs, some implications and implications for correcting the distorted temple architecture phenomenon of today's Korean churches can be indirectly inferred. In conclusion, all kinds of temple should be a place where the order, preservation, and reproduction of creation take place. Only God will be there(Yahweh-shammah).

      • 성소로 가는 길에 관한 히브리서 9:8-10의 주석적 연구

        김인상 삼육대학 대학원 1990 국내석사

        RANK : 247679

        This thesis illuuminated the ministry of Christ in the heavenly sanctuary through the exegetical study of Heb 9:8-10. As a brief summary of the weakness and inadequateness of the earthly santuary, this text has the following role and significance: 1. This text links the earthly sanctuary to the heavenly one with textual background, structure, and exegetical sense. 2. The mention of the imperfection of the imperfection of the earthly sanctuary finally focuses upon the perfect ministry of Christ in the heavenly one. 3." " of vs. 8 is a general term of the earthly sanctuary, and " " means the heavenly one. 4. "The parable" of vs. 9 means that the earthly sanctuary is a implicational description of the heavenly one used as figurative instruction. 5. "Until the time of reformation" of vs. 10 means "until the coming of the Messiah and the expiational death of Christ." The sense of "reformation" is the same as "retification" in this text. It says that the new way to have access to God directly is now open. That is, it means that heavenly sanctuary is opened. As mentioned above, Hed 9:8-10 opend the way to the heavenly sanctuary. Heb. 9:8-10 helps us realize that, as the high priest of the earthly sanctuary went into the earthly most holy place and sprinkled th blood on the mercy seat, Christ, our heavenly high priest, carries each person's name on His breastplate in the heavenly most holy place now.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