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우리나라 노동시장의 성별 임금격차와 직종분리현상에 관한 연구

        윤혜린 동아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807

        우리나라 노동시장의 성별 임금격차와 직종분리현상에 관한 연구 Gender Wage-Differentials and Job Segregation in the Korea Labor Market 경제학과 윤 혜 린 지도교수 오 민 홍 본 논문의 목적은 우리나라 노동시장의 성별 임금격차와 직종분리현상을 파악하는데 있다. 성별 임금격차의 원인은 크게 두 가지로, 여성에 대한 성차별의 결과로 나타나거나, 생산성 차이에 의한 결과라고 볼 수 있다. 우리나라의 성별 임금격차는 경제가 성장하고, 여성의 경제활동참가율이 성장함에 따라 줄어드는 경향을 나타내고 있지만 아직 까지 그 격차는 크게 좁혀지지 않고 있다. 직종분리현상은 일반적으로 성별에 따라 직종이 분리되는 현상을 말하며, 채용과정이나 승진과정에서 여성에 대한 진입장벽이 나타나는 고용차별이 대표적인 원인이나, 최근에는 자신의 생애주기를 고려한 여성의 자기선택적 과정을 통해서 직종분리가 이루어진다는 주장도 설득력을 얻고 있다. 먼저 본 논문은 「대졸자 직업이동 경로조사(Graduates Occupational Mobility Survey: GOMS)」자료를 사용하여 20~34세의 표본을 대상으로 성별 임금격차의 실증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성별 임금격차 중 약 45.5%가 자질차이에 의한 것으로 나타났고, 통상적으로 차별이라고 볼 수 있는 보상격차 및 상호작용에 의한 격차는 약 54.5%로 나타났다. 또한, 임금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예상했던 학점, 영어점수 등 주요스펙은 임금에 크게 영향을 주지 못했고, 특정 직종의 여성비중은 남성과 여성 모두의 임금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본 논문에서는 직종분리현상을 파악하기 위해서 통계청의 「고용형태별 근로실태조사」자료를 활용하여 던컨지수 및 성 집중도를 구하였다. 2000년부터 2012년까지의 던컨지수를 살펴본 결과, 직종분리현상의 정도는 완화되고 있었으나 여전히 직종 중분류기준 40이상의 지수를 나타냈다. 이어서 성 집중도를 살펴본 결과, 여성은 대부분 사무직 및 서비스 직종에 집중되어있었다. 관리자 및 전문직종의 경우 1995년부터 2012년까지 여성의 집중도가 높아졌으나, 여전히 남성에 비해서는 매우 낮은 수준이었다. 결론적으로, 남성과 여성의 임금격차는 여전히 큰 수준이었고, 차별적 요소가 상당부분 존재하였다. 직종분리현상의 경우 원인이 무엇인지 정확히는 알 수 없으나, 성별마다 강세 직종이 존재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중점적으로 다루지 않았으나, 성별 임금격차의 실증분석 결과를 통해 직종분리현상과 성별 임금격차의 상관관계에 대해서도 어느 정도 예측할 수 있었다. 여성비중이 높을수록 임금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은 곧, 여성강세 직종의 임금이 낮다는 것을 시사하며, 이것은 직종분리현상과 성별임금격차간의 상관관계가 있을 수 있음을 의미한다. 주요어 : 성별 임금격차, 직종분리현상, 던컨지수, 입지계수, 오하카-블라인더

      • 성별소수자 스트레스와 자살생각의 관계: 회복력과 대인관계 요인의 조절된 매개효과

        이성우 충북대학교 2022 국내석사

        RANK : 247807

        성별소수자는 남성과 여성으로 이분화 되어 있는 주류 사회에서 다양한 차별 문제에 직면해있다. 본 연구는 성별소수자 특정 스트레스 요인과 정신건강의 관계에 대한 소수자 스트레스 모델과 자살의 대인관계 심리학적 모델에 기반하여 성별소수자의 자살생각에 기여하는 심리사회적 과정을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먼저 성별소수자가 겪는 외부 및 내부 스트레스와 회복력 요인을 측정하는 성별소수자 스트레스와 회복력 척도(Gender Minority Stress and Resilience, GMSR)를 국내 타당화 하였다. 다음으로 성별소수자의 외부 스트레스가 내부 스트레스를 매개하여 자살생각으로 이어지는 경로에서 성별소수자 스트레스 모델의 회복력 요인인 성별소수자 자긍심과 공동체 연결성이 보호요인으로서 조절효과를 보이는지와 좌절된 소속감과 짐이 되는 느낌이 위험요인으로서 조절효과를 보이는지를 알아보기 위한 네 개의 조절된 매개모형을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온라인 설문조사를 통해 수집된 성별소수자 성인 200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GMSR 척도의 요인 구조, 신뢰도 및 타당도는 적합하였다. 성별소수자 스트레스와 자살생각의 관계에 대한 조절된 매개모형 검증 결과, 성별 소수자 외부 스트레스와 자살생각의 관계를 내부 스트레스가 완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내부 스트레스가 자살생각에 이르는 경로에서 회복력 요인과 대인관계 요인의 조절효과 검증 결과에서는 짐이 되는 느낌만이 유의하게 이들의 관계를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예상과 달리 성별소수자 자긍심과 공동체 연결성, 그리고 좌절된 소속감은 유의한 조절효과를 보이지 않았다. 본 연구의 결과는 성별소수자가 경험하는 내부 스트레스와 짐이 되는 느낌이 이들의 자살생각을 높이는 위험요인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Gender minorities in Korea face the problem of various discrimination in the mainstream society, which is divided into man and woman. The goal of this study was twofold. First, this study validated the Gender Minority Stress and Resilience (GMSR) measure, a self-report measure of stress and resilience of gender minorities, in a Korean population. Second, based on the gender minority stress and resilience model and the interpersonal psychological model of suicide, this study aimed to examine psychosocial process of suicidal ideation among gender minorities. Specifically, this study was to examine whether pride and community connectedness, which are resilience factors, would be protective factors in the path from internal stress to suicidal ideation, and whether the thwarted belongingness and perceived burdensomeness in the interpersonal psychological theory of suicide would be risk factors. The results of the study indicated that the GMSR is a valid measure of gender minority stress and resilience in a Korean population. The nine-factor model of the GMSR had an appropriate model fit. Perceived burdensomeness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nal stress and suicidal ideation while thwarted belongingness, pride, and community connectedness did not. The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 that gender minority specific stress, especially internal stress, and burdensomeness are significant risk factors for suicidal ideation among gender minority population in Korea.

      • 성별격차와 제4차 산업혁명 기술기반과의 관계에 관한 연구

        김상윤 인천대학교 일반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807

        Recently, an interest in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has been increased since Klaus Schwab, the executive chairman of the World Economic Forum (WEF), mentioned it. People anticipate usability that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will bring and simultaneously worry about job loss caused by replacement of machines. Especially, women, one of the social strata that were alienated, have been hot issue. With these interests, WEF publishes annual report that deals with an actual condition of gender gap between male and female. This report announces score and ranking of gender gap of approximately 140 countries. In the report in 2015, there were 15 countries so-called ‘western advanced country’ among the upper 20 rankings of the gender gap. This study was started with this point. This fact is a good source to research a relationship between the gender gap and an economic level. British economist C. G. Clark argued the industrial structure of a nation is reorganized for secondary and tertiary industries according to economic growth. We call this phenomenon an industrial structural improvement. With this phenomenon, IT technologies which is a technical base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can be developed. Therefore, this study investig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gender gap and technical base of the fourth revolution related to an industrial structural improvement. To be specific, 145 countries were selected as an analysis of objects and relevant data were collected based on the report of 2015. Total population, GDP per capita, Urban population, Unemployment rate, Infrastructure, Knowledge-intensive jobs, Human development, R&D expenditure, Sex ratio, Wage equality, Female students in tertiary education, Proportion of seats held by women in national parliament and six regional dummy variables were used as independent variables. ICT Development and Network Readiness representing technical base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through an industrial structural improvement were used as dependent variables. According to regression analysis results, Infrastructure, Human development, R&D expenditure, Sex ratio, Wage equality and Proportion of seats held by women in national parliament showed statistically meaningful relationship with the ICT Development. GDP per capita, Urban population, Unemployment rate, Infrastructure, R&D expenditure, Sex ratio and Wage equality showed statistically meaningful relationship with the Network Readiness. Sex ratio and Wage equality have a negative relationship and a positive relationship respectively with both the ICT Development and the Network Readiness. Proportion of seats held by women in national parliament has a negative relationship with only the ICT Development. Furthermore, this study analyzed the tendency of the gender gap for the past ten years in Korea. Korea recorded a low score without a large fluctuation generally. There was no sub-index exceeding sample average among four sub-indexes, Health and Survival, Economic Participation and Opportunity, Educational Attainment and Political Empowerment. Specifically, scores of Economic Participation and Opportunity and Political Empowerment were far lower than the average, so that the policy approach to these fields will be needed. As we can identify the importance of women from the analysis result, it is expected that women as well as men can play a significant role in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era. Thus, a careful approach will be needed at the national level. 2016년 세계경제포럼 회장 클라우스 슈밥(Klaus Schwab)이 향후 세계가 직면할 화두로 제4차 산업혁명을 언급한 이래로 제4차 산업혁명이라는 단어가 언론에서 연일 오르내리고 있으며 국가적인 관심도 매우 높다. 인공지능(AI), 네트워크를 통한 초연결 사회(Hyper-connected Society), 자동화 시스템 등의 기술적 특징을 갖는 제4차 산업혁명에 대해 사람들은 향후 편의를 제공할 것이라는 기대감과 동시에 일자리를 빼앗아 갈 것이라는 불안감을 동시에 느끼고 있다. 그 중에서도 노동 분야에서 소외받아왔던 계층 중 하나인 여성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관심과 함께 세계경제포럼에서는 여러 국가들의 남성과 여성의 성별격차 실태를 나타내는 보고서를 매년 발행하고 있다. 이 보고서는 전 세계 140여개 국가를 대상으로 남성과 여성의 성별격차(젠더 갭)를 점수와 순위 형식으로 발표한다. 2015년에 발간된 보고서를 보면 성별격차 순위 상위 20개 국가 중에서 15개 국가가 서구 선진국이었다. 선진국이라고 불리는 국가들의 성별격차 순위가 대부분 높다는 것은 성별격차와 경제 수준 사이의 관계를 연구하기 흥미로운 소재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성별격차 요인들과 산업구조의 고도화를 통한 제4차 산업혁명의 기술기반 측면과의 관계 규명을 연구 문제로 설정하여 진행되었다. 구체적으로 2015년 보고서를 기준으로 145개 국가를 분석대상으로 하여 동년 자료를 수집하였다. 한 국가의 기본특성을 나타내는 변수로서 총인구, 1인당 GDP, 도시화율, 실업률을 설정하였고, 경제성장 요인으로 인프라, 지식집약직업 비중, 인적자본, GDP 대비 연구투자 비율을 설정하였다. 성별격차를 나타내는 성별격차 요인으로는 성비, 남녀 임금 평등, 3차 교육에서의 여학생 비율, 여성국회의원 비율을 설정하였다. 추가로 국가들을 지역에 따라 분류한 더미변수를 포함하였다. 마지막으로 종속변수는 제4차 산업혁명이 진행되는 데에 있어 필수적이라고 할 수 있는 산업구조의 고도화를 대표하는 ICT 개발과 네트워크 준비를 설정하였다. 회귀 분석 결과 ICT 개발에 유의미한 영향 관계를 보인 변수는 경제성장 요인 중 인프라, 인적자본, GDP 대비 연구투자 비율로 나타났고, 성별격차 요인 중 성비, 남녀 임금 평등, 여성국회의원 비율로 나타났다. 추가로 지역더미변수로는 중동-북아프리카,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 유럽-중앙아시아 지역이 유의미한 결과를 보였다. 네트워크 준비에 유의미한 영향 관계를 보인 변수는 국가기본특성 중 1인당 GDP, 도시화율, 실업률로 나타났고, 경제성장 요인 중 인프라, GDP 대비 연구투자 비율로 나타났다. 성별격차 요인 중에서는 성비, 남녀 임금 평등으로 나타났고 지역더미변수로는 중동-북아프리카,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 유럽-중앙아시아 지역이 유의미한 결과를 보였다. 성비와 남녀 임금 평등은 ICT 개발과 네트워크 준비에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하였고 각각 부(-)의 관계, 정(+)의 관계를 보였다. 여성국회의원 비율은 ICT 개발에만 유의한 부(-)의 관계를 보였다. 추가로 10년 동안 우리나라의 성별격차 현황을 분석해보았다. 전체적으로 큰 변동 없이 저조한 기록을 보였다. 4개의 하위 분야인 경제참여기회, 건강·보건, 교육 성취도, 정치적 권한 중 우리나라가 145개 국가의 표본 평균을 상회하는 분야는 없었으며 특히 경제참여기회 분야와 정치적 권한 분야는 평균에 한참 못 미치는 결과를 보여 이 분야에 대한 정책적 접근이 시급한 것을 알 수 있었다. 회귀 분석 결과에서 여성에 대한 중요성을 알 수 있듯이, 향후 제4차 산업혁명 시대를 맞이하게 되면 여성들 역시 남성 못지않게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될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국가적인 측면에서 이에 대한 신중한 접근이 필요하다.

      • 성별에 따른 근로빈곤의 특성과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김난이 경북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807

        A Study on Characteristics and Determination Factors of Working Poor According to Gender* Kim, Nan Lee Department of Social Welfare Graduate school of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Daegu, Korea (Supervised by Professor Kim, Young-Hwa) (Abstract)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and factors of determination of working poor by subdividing into groups according to gender. First off, the trend of working poor from 1998 to 2007 was analyzed. For finding out the characteristics of working poor according to gender, the characteristics of a working poor group and nonworking poor headed by men were compared. A working poor group and nonworking poor group headed by women were also compared and the working poor group headed by men and women were also compared by their characteristics. For conducting the above comparison, descriptive statistics for independent variables were used along with analyzing methods such as x² and t tests. Lastly, logistic regression was used to analyze the determination factors of working poor according to gender. The data used for this study is from Korea Labor and Income Panel Study .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women's working poor rate from 1997 to 2007 had been two to three times higher than men’s working poor rate. For ten years since the economic crisis in 1997, the working poor rate of men had been from 11.3% to 15.6% while the working poor rate of women had been 23.4% to 41.1%. It showed that the working poor issues of women were much more serious. Second, the characteristics of working poor and nonworking poor families headed by men were compared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The age of the male heads of working poor families was from 30 to 50. Although most of them graduated high school, their education degree was lower than nonworking poor families headed by men. There were more single fathers and elderly family members among the male heads of working poor families than the male heads of nonworking families. More male heads of working poor families lived with a monthly rent or other rental housing and had fewer family members who have a job than the male heads of nonworking families. The income of the male heads of working poor was 1/3 of the male heads of nonworking poor families. Moreover, most of the male heads of working poor families had unstable jobs working as a blue-collar worker, a day laborer, or working for agricultural or fishery industries. Third, the characteristics of working poor and nonworking poor families headed by women were compared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The age of the female heads from working poor family was from 40 to 50. They also had fewer family members who have a job than nonworking families headed by women. An average income of the working poor families headed by women was a quarter of the income of the nonworking families headed by women. Moreover, the female heads of working poor families had unstable jobs working as a blue-collar worker, a day laborer, or working for agricultural or fishery industries. Fourth, although they were all working poor, some characteristics differed depending on gender. The working poor headed by women showed higher age range and lower education degree than the working poor families headed by men. The ratio of single mothers was the highest among the working poor headed by women while most of the male heads of working poor families had a spouse. When it comes to incomes, the male heads of working poor families earned much money than the female heads. As a job type, the ratio of technical jobs or others was the highest among the male heads while the ratio of service or sales job was the highest among the females which clearly showed that the types of jobs were different depending on their gender. Fifth, female heads of family have had a longer period of working poor than male heads of household. Most of the male heads haven’t experienced working poor for ten years or have experienced a short-term of working poor from one to two years. However, most of the female heads have experienced a long-term of working poor from six to ten years. Sixth, the factors that affected working poor families headed by men were as follows. There were more chances that the families headed by men could become working poor if their age was higher or education degree was lower. The male heads who were a single father, live in a rent house, or had more number of family members to take care (children or elderly) had more chances to become working poor. There were fewer chances to become working poor if having a bachelor degree or higher, working with a stable job, or having more family members who have a job. Seventh, the factors that affected working poor families headed by women were as follows. There were more chances that the families headed by women could become working poor if their age was higher or they had more family members. Furthermore, there were fewer chances to become working poor if having a bachelor degree or higher, working as a employer or owner rather than not having jobs or working as a daily worker, having more family members who have a job, or having transfer income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research implications are as follows: First, the incomes for working poor families headed by older workers need to be secured along with proper policies. Second, job training programs, supporting education costs, offering a chance to study at a higher education institute will be needed for the working poor with low human capital. Third, the structure of the labor market that is twofold and its gender discrimination should be improved. The government’s intervention is needed to prevent the creation of non-regular positions by companies and supervise if companies offer employees proper salaries and benefits. Fourth, more people should be able to receive benefits from social insurance programs to reduce blind spots. Fifth, specific measures for the long-term working poor families headed by women are needed. Supports for them especially need be multi-dimension such as offering them a psychological therapy, income supports, job counseling and training. Lastly, other supports for housing or raising children will be needed for working poor families.

      • 성별에 따른 공감화 과제 쓰기의 수행 차이 분석

        권미진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807

        공감 능력이란 대상의 관점이나 처지에서 그 대상이 느끼는 정서나 감정을 공유할 수 있는 능력을 말한다. 이러한 공감 능력은 관계를 맺고 더불어 살아가는 현대인들에게 매우 필수적이고 핵심적인 능력이라고 할 수 있다. 학생들에게 이러한 공감 능력을 요구하는 과제를 공감화 과제라고 하며, 학교 교육현장에서 보편적으로 많이 사용되는 과제의 유형이라고 볼 수 있다. 이 연구는 공감화 과제 쓰기 수행에서 성별의 차이를 살펴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Ⅱ장에서는 이론적 배경을 살펴보았다. 문식성 학업성취도에서 나타난 성별의 차이를 살펴보고 쓰기 수행을 인지적 요인과 정의적 요인으로 나누어 성별에 따라 어떤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았다. 또한 이 연구에서 다루고 있는 공감화 과제를 정의하고 특성을 알아보아 이론적 토대를 마련하였다. Ⅲ장에서는 성별에 따른 공감화 과제 쓰기의 수행 차이를 분석하기 위한 연구 방법을 기술하였다. 조사 연구를 위한 공감화 과제를 개발하여 사전 검사와 국어교사들의 검토를 거쳤다. 경기도 의정부시 민락중학교 1, 2, 3학년, 호원고등학교 1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공감화 과제 쓰기 수행을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 중 160편을 임의로 선정하여 이를 워드프로세서로 전사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경력 5년 이상의 평가자 4인이 협의를 실시하고 평가자 훈련을 거친 후, 쓰기 수행을 평가하였다. Ⅳ장에서는 성별에 따른 공감화 과제 쓰기의 수행 차이의 결과를 고찰하였다. 쓰기 수행 점수를 SPSS 20.0을 이용하여 독립표본 t 검증을 실시하여 분석하였고 쓰기 유창성 점수는 한글 2014의 문서 정보를 활용하여 기술 통계로 분석하였다. 성별의 차이의 정도를 확인하기 위하여 Cohen's d를 사용하여 효과 크기를 분석하였으며, 쓰기 반응 검사의 질적 연구도 병행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서 얻게 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별에 따른 공감화 과제 쓰기의 수행에서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5.34점 더 높은 점수를 얻었다. 전체적인 수준에서 공감화 과제 쓰기의 수행에서 여학생들이 남학생보다 49.38%포인트 더 우수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둘째, 공감화 과제의 쓰기 수행의 하위 요인인 내용, 조직, 표현, 단어 선택, 형식 및 어법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뚜렷한 성별의 차이를 드러냈다. 셋째, 학년별 쓰기 수행에서도 성별의 차이가 뚜렷이 나타나며, 통계적으로 유의하다. 학년이 올라감에 따라 성별에 따른 쓰기 수행의 차이가 다소 줄어드는 것으로 보인다. 넷째, 학년별 쓰기 수행의 하위 요인에서 여학생의 우위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다섯째, 쓰기 유창성 지표로서의 글자 수(공백 포함, 공백 제외), 낱말 수, 문단 수의 기술 통계를 살펴본 결과, 여학생의 양이 남학생보다 많았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여섯째, 쓰기 반응 검사의 응답을 통해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더 적극적으로 참여했으며 쓰기 수행 과정이 수월하다고 여겼음을 알 수 있다. 일곱째, 공감화 과제 쓰기에 대하여 남녀 학생 모두 대체로 긍정적인 인식을 갖고 있으며, 공감화 과제 쓰기를 통해서 공감 능력이 향상될 것이라 기대하고, 쓰기 수행이 발전할 것으로 여긴 것으로 보인다. 이 연구는 일부 지역에서 이루어졌으며 표본의 크기가 작기 때문에 연구 결과를 일반화하기에 제한점이 있다. 하지만 공감화 과제 쓰기에서 성별에 따른 차이를 쓰기 수행과 유창성을 통해 분석함으로써 여학생이 어떤 면에서 얼마나 유리한지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남학생이 성별의 차이에 따라 불리하다고 여겨지는 원인을 분석할 수 있는 기회를 마련했다는 데 그 의의가 있다 .이는 쓰기 교육을 비롯한 국어 교육에서 공감화 과제 쓰기를 활용하는 데 있어 교육적인 시사점을 줄 수 있을 것이다. 남학생들이 공감화 과제 쓰기 수행에서 겪는 어려움을 파악하고, 이를 보완하기 위한 방법에 대한 숙고의 필요성을 제시하는 것이다. 성별의 차이를 제대로 앎으로써 차별이 아닌 차이를 존중하는 교수 학습 방법에 대한 논의를 가능하게 할 것으로 여겨지며, 다양한 과제의 필요성 및 새로운 과제의 구안 방향을 제시할 것으로 기대한다.

      • 성별영향평가 제도 수용도가 수행성과에 미치는 영향요인 연구

        김은혜 대구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성별영향평가제도에 대한 공무원들의 인식이 제도 수용도와 수행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규명하는데 목적을 둔다. 연구목적 달성을 위해 설정한 연구문제는 크게 세 가지이다. 첫째, 이론적 논의를 통해 제도 수용도와 수행성과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제시한다. 여기서 수행성과는 선행연구를 통해 객관적 성과와 주관적 성과로 분류하였다. 둘째, 성별영향평가 성과지표를 기준으로 대구광역시와 경상북도의 성별영향평가제도에 대한 제반요인 실태를 확인하였다. 셋째, 성별영향평가제도 인식이 제도 수용도와 수행성과에 얼마나 영향을 미치는지 실증적 검증을 수행하였다. 이를 위한 연구방법은 문헌연구와 설문조사이다. 문헌연구는 이론적 논의와 성별영향평가 실태조사를 위해 실시하였다. 먼저 제도 수용도의 이론적 논의는 성별영향평가제도 수용 연구와 성과관리제도 수용도 및 영향요인 연구로 범위를 확대하였다. 다음으로 수행성과의 이론적 논의는 성별영향평가에 대한 공무원들의 주관적 인식조사 연구를 참고하였다. 본 연구는 공무원들의 인식과 수행성과 사이에 제도 수용도의 매개효과 검증을 위해 성과관리제도 연구, 성과관리제도 수용도와 조직성과 및 경영성과 영향관계 분석 연구까지 범위를 확대하였다. 설문조사는 2020년 12월부터 2021년 2월까지 성별영향평가 업무를 수행한 성별영향평가 담당자와 이를 지원한 여성정책부서 공무원들을 대상으로 하였다. 조사된 자료를 바탕으로 다중회귀분석, 단계적 회귀분석, 경로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대구광역시와 경상북도 공무원들의 제도에 대한 인식과 태도는 긍정적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응답자 배경에 따른 인식 차이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성별에 따른 인식 차이에서 수행성과 인식은 남성이 여성보다 높고, 제도 수용도 인식은 여성이 남성보다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성평등 교육과 자료를 접한 경험이 있는 집단은 수행성과와 제도 수용도 모두 높게 나타났으며, 성평등 회의 등에 참여한 경험이 있는 집단은 성별영향평가 수행성과에 대한 인식은 높지만 제도 수용도는 상대적으로 낮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성별영향평가 근무경험에 따른 인식조사 결과 수행성과는 근무경험이 있는 집단이 높았으나 제도 수용도는 근무경험이 없는 집단이 높았다. 독립변수들이 제도 수용도에 미치는 영향력과 수행성과에 미치는 영향력 그리고 독립변수와 수행성과 사이에 제도 수용도의 매개효과 분석을 위해 다중회귀분석과 단계적 회귀분석, 경로분석을 실시하였다. 회귀분석 결과, 제도 수용도의 영향요인은 제도요인, 조직요인 순으로 나타났다. 수행성과 영향요인은 제도요인, 조직요인, 정책요인, 환경요인, 개인요인이며 제도요인, 조직요인, 환경요인, 정책요인, 개인요인의 순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제도 수용도가 수행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독립변수와 종속변수인 수행성과 사이의 매개효과 분석에서 제도 수용도는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근무경험에 따른 분석결과 제도요인, 조직요인이 제도 수용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고 제도 수용도는 수행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수행성과의 영향요인은 제도요인, 조직요인, 정책요인, 환경요인, 개인요인으로 나타났으나 근무경험에 따른 분석이 유의미하지 않게 나타났다. 근무경험에 따른 제도 수용도의 매개요인 효과 검증결과 제도요인, 조직요인, 정책요인이 수행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제도 수용도의 매개효과가 없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다음으로 경로분석 결과, 제도요인, 조직요인, 정책요인이 제도 수용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제도요인, 조직요인, 정책요인이 수행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별영향평가제도 수용도는 수행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독립변수와 종속변수 관계에서 제도 수용도의 매개효과 검증결과 제도요인과 수행성과 사이에 제도 수용도가 부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근무경험에 따른 성별영향평가제도 인식, 제도 수용도, 수행성과의 영향 관계를 검증한 결과 제도요인이 제도 수용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고, 제도요인, 조직요인, 환경요인은 수행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한편 근무경험에 따른 성별영향평가제도 인식과 제도 수용도, 제도 수용도와 수행성과, 성별영향평가제도 인식과 수행성과의 다중집단 경로분석을 실시한 결과 제도요인과 제도 수용도와의 관계에서만 집단 간 경로차이가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성별영향평가제도를 수행하는 주체인 공무원들의 제도 수용도가 높을수록 수행성과가 향상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제도 수용도와 수행성과는 공무원들의 성별영향평가제도 인식요인이 잘 정비될수록 향상될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prove how much public officers’awareness influences the acceptance and performance of Gender Impact Assessment(Gender Impact Assessment: GIA). This study purposes to investigate the factors related with GIA acceptance and performance so as to suggest tasks to enhance the GIA acceptance and performance of government employees. In order to solve above problems, this study delves into three major research task. First, GIA acceptance and performance are defined through theoretical discourse. Performance is classified into objective and subjective performance in accordance with previous studies. Second, the actual conditions of GIA with Daegu Metropolitan City and Gyeongsangbuk-do regarding theoretical factors from previous research are verified. Third, the relationship among public officer’s perception, GIA acceptance and performance was inspected through multiple regression and path analysis.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among the women’s policy department in both Daegu and Gyeongbuk from December 2020 to February 2021.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the perception of GIA performance and acceptance was positive among government officials. Second, the level of approval was found to differ by sex. Further, those who had experienced gender equality education and studied gender-related materials perceived GIA performance and acceptance more favorably than those who had not. It was also found that those who had GIA work experience and had participated in gender-related conferences were more favorable toward GIA performance. Thir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showed institutional and organizational factors affected acceptance of GIA. In addition, performance was influenced by institutional, organizational, policy, environmental, and individual factors. Acceptance of GIA was determined to be a mediating factor between the independent variables and performance. Regarding the relationship of GIA with work experience in women’s department, it was confirmed that institutional, organizational, and policy factors influence affect performance as a result of multiple-group regression analysis. Forth, path analysis found institutional, organizational, and policy factors to have an effect on GIA acceptance. Furthermore, institutional, organizational, and policy factors were found to affect performance. Acceptance of GIA was again confirmed to have an effect on performance. As a result, acceptance of GIA was verified as a mediating variable between the institutional factor and performance. Lastly, regarding the relationship of GIA with work experience in women’s department, it was confirmed that institutional factors influence acceptance, and institutional, organizational, and environmental factors affect performance as a result of multi-group path analysis. The result showed that the more public officials would accept the importance of GIA, the more performance would be achieved. For having positive effects with GIA acceptance and performance, it is highly important to properly arrange institutional, organizational, policy, environmental and individual factors.

      • 성별에 따른 무릎 신전 운동 수축 유형별 근 피로와 회복 차이

        민나온 동국대학교 일반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7807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sex differences in fatigue and recovery following two different types of contractions: isometric and isotonic leg extension contractions. A total of 24 adolescents (12 male, 12 female) participated in this study to examine changes in MVIC torque, blood lactate concentration, and muscle mechanical properties before, immediately after, 5 minutes, 10 minutes, and 15 minutes after isometric and isotonic contractions. To analyze the data, separate two-way repeated measures ANOVA was performed to determine differences in fatigue(before-immediately after contraction) and recovery(immediately after contraction-15 minutes after contraction).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 (p<.05) between group and period in MVIC torque and blood lactate concentration during fatigue after isometric contraction, with male subjects showing a greater decrease in MVIC torque and higher rise in blood lactate concentration. On the other h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MVIC torque and blood lactate concentration in recovery after isometric contraction, and changes in muscle mechanical properties after isometric contraction also did not show a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 on both fatigue and recovery. In addition, among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muscle, those of muscle tension, muscle stiffness, and muscle relaxation time showed a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 (p<.05) in both fatigue and recovery after isotonic contraction, with males showing a greater rate of change. However, MVIC torque, blood lactate concentration, and logarithmic decrement were not significant. Considering the above results, muscle fatigue may appear differently depending on sex and type of contraction. Future research should be expanded to include more diverse muscles, and with hope that it can be used as useful data not only in the academic aspect of preparing basic data for fatigue research, but also in the practical aspect of rehabilitation or the sports field to focus the development and training of more personalized exercise programs that take sex into account. 본 연구의 목적은 두 가지 다른 유형( 등척성 및 등장성 ) 무릎 신전 운동 수축에 따른 피로 및 회복의 성별 차이를 조사하는 것이다. 총 24명의 청소년(남성 12명, 여성 12명)이 참여하여 등척성과 등장성 수축 전, 직후, 5분, 10분, 15분 후 MVIC 토크, 혈중 젖산농도, 근육 기계적 속성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자료 분석은 피로(수축 전-수축 직후)와 회복(수축 직후-수축 후 15분)의 차이를 확인하기 위해 별도의 양방향 반복 측정 ANOVA를 수행하였다. 연구 결과, 등척성 수축 후 피로에서 MVIC 토크와 혈중 젖산농도는 그룹과 시간 간 유의한 상호작용 효과(p<0.05)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남성의 MVIC 토크가 더 많이 감소하고 혈중 젖산농도가 더 높게 상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등척성 수축 후 회복 시 MVIC 토크와 혈중 젖산농도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 등척성 수축 후 근육 기계적 속성의 변화도 피로와 회복 모두에 유의미한 상호작용 효과를 나타내지 않았다. 또한, 등장성 수축 후 피로와 회복 모두에서 근육의 기계적 속성 중 근 긴장도, 근 경직도, 근 회복시간은 유의미한 상호작용 효과(p<.05)를 보였으며, 남성의 변화율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MVIC 토크, 혈중 젖산농도 및 근 탄성은 유의하지 않았다. 본 연구 결과 성별에 따른 근 피로는 수축유형에 따라 차이가 나타났다. 향후 연구는 보다 다양한 근육 부위를 대상으로 확대되어야 하며, 피로 연구의 기초자료 마련이라는 학문적 측면뿐만 아니라 재활이나 스포츠 현장이라는 실질적인 측면에서 성별을 고려한 더욱 개인화된 운동 프로그램 개발 및 훈련의 초점을 맞추기 위한 유용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 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성별 언어 교육 방안 연구 : - <세종한국어> 분석을 중심으로

        손위한 세종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807

        Gender is an important factor which has a great effect on language chosen. People will choose different languages and different preferred languages when communicating, because of gender. In this study, we examined the results of the research on Korean gender language and analyzed the gender language in the textbook of <Sejong Korean>. Then we discussed the content and teaching methods of the gender language for Chinese learners. In chapter 1, we reviewed the results of previous studies in various fields, such as gender language, Korean gender language as a second language, and Korean gender language for Chinese learners. According to these results, we divided Korean gender language into gender target language and gender spoken language in chapter 2. Then we examined gender language characteristics of each type. On this basics , we analyzed the gender language in the textbooks of <Sejong Korean> by each type in chapter 3 . We also pointed out the points that to be taken in the viewpoint of Chinese learners. The gendered language in the textbook was largely described in terms of idiomatic, occupational, and other related terms. Gender utterances were divided into conversation initiative, subject, discourse markup, exclamation, and communication language. We also analyzed gender language using in listening and reading text. Finally , considering the gender awareness and language habits of Chinese learners , We find out the parts of gender languages that appear in the textbooks , which teachers and learners should pay attention to . And the different parts which were used by Korean people in real life . The gender language reflection in the textbooks is not perfectly and it has limitations, so the curriculum needs to fill these deficiencies. In order to cope with the phenomenon in which learners unconsciously learn gender language, I think it is very helpful to use various materials rather than textbooks or to induce teachers in the classroom. As a result, we discussed the contents and education methods of gender language so that Chinese learners can use Korean gender language appropriately. This study has limitations in the quantitative and depth of analysis data . There're a lot of things that can not be analyzed when we only analyze the textbooks . Because of lacking analysis data , and gender language classification . And when discussing the content and education methods for Chinese learners , We only made a rough essay and did not give concrete education plan .Despite these limitations, this study is worthy of reference to the selection of content and teaching methods for Korean language learners for Chinese learners. Key words: Korean gender language, gender target language, gender spoken language, Chinese Korean learners, Sejong Korean textbook, textbook analysis 국문초록 성별은 언어에서 중요한 요인 중의 하나이다. 성별에 따라 적용되는 언어표현이나 선호하는 언어 표현이 다르기 때문이다. 이 연구에서에서는 한국어 성별 언어에 대한 그 동안의 연구 성과를 살펴보았으며<세종한국어> 교재에서 나타난 성별 언어를 분석하여 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성별 언어의 교육 내용과 교육 방법을 대해 논의하였다. 1장에서는 성별 언어와 한국어 성별 언어, 제2언어로서의 한국어 성별 언어, 그리고 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성별 언어 등 다양한 영역에서 이루어진 선행 연구의 성과를 정리하여 검토했다. 이러한 연구 성과를 바탕으로 2장에서는 한국어 성별 언어를 성별 대상어와 성별 발화어로 구분하였으며, 각 유형별 성별 언어의 특성을 살펴보았다. 이를 바탕으로 3장에서는<세종한국어> 교재에서 나타난 성별언어를 각 유형별로 분석하여 중국인 학습자의 입장에서 주의해야 할 점 등을 지적했다. 교재에서 나타난 성별 대상어를 크게 묘사어, 호칭어와 직업, 기타 관련어로 나누었으며, 성별 발화어는 대화 주도권과 주제, 담화표지어와 감탄사, 발화 행위 그리고 통신언어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또한 본문의 지문뿐만 아니라 듣기, 읽기 지문에 사용된 성별 언어 역시 분석했다. 마지막으로 중국인 학습자의 성별 인식과 언어습관을 고려하여 교재에 나타난 성별 언어 중에서 교사 및 학습자가 주의해야 하거나 실제 한국 사람들이 사용하는 양상과 다르게 나타나는 부분을 찾은 후, 이를 바탕으로 4장에서 교육 방안을 논의했다. 교재에 반영된 성별 언어는 완벽하지 않고 한계가 있을 수 밖에 없기 때문에 교육 과정에서 이러한 부족함을 채워야 한다. 그리고 학습자들이 무의식적으로 성별 언어를 습득되는 현상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교재 이외의 다양한 자료를 활용하는 것과 수업 현장에서 교사의 유도가 굉장히 큰 도움이 된다고 생각한다. 이에 따라 중국인 학습자들이 한국어 성별 언어를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성별 언어의 교육 내용과 교육 방법에 대해 논의하였다 . 이 연구는 분석 자료의 수량과 분석의 깊이가 한계점이 있다. <세종한국어> 교재만으로 분석하는 것이 분석 자료가 부족하고 분류별로 성별 언어를 살펴볼 때 다루지 못 하는 부분들이 많이 있어다. 그리고 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교육 내용과 교육 방법을 논의 할 때 대략적 논술했을 뿐이고 구체적 교육 방안을 제시하지 않았다. 이런 한계점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 연구는 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성별 언어 교육의 내용 선정과 교육 방법 작성에 대해 참고할 가치가 있다. 주요어 : 한국어 성별언어, 성별 대상어, 성별 발화어,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 세종한국어, 교재 분석

      • 性別的으로 偏向된 問題狀況이 數學 成就度에 미치는 影響

        김현정 建國大學校 敎育大學院 1998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중등학교 수준에서의 수학 문제에서 서술된 상황이 성별적으로 편향된 경우에 수학 성취도에서 성별 차이가 있는지를 조사하여 앞으로의 교수 학습 활동을 하는데 있어서 참고 자료로 활용하고자 하는 것이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1) 중학교 수학문제에서 서술된 문제 상황이 성별적으로 편향된 경우에 각각 수학 성취도에 전반적으로 차이가 있는가? (2) 중학교 수학문제에서 서술된 문제 상황이 성별적으로 편향된 경우에 각각 수학 성취도에 성별 차이가 있는가? (3) 중학교 수학문제에서 서술된 문제 상황이 성별적으로 편향된 경우에 수학 성취도 차이의 유형이 성별에 따라 달리 나타나는가? 연구 문제를 분석하기 위하여 서울 시내에 위치한 남녀 공하인 중학교 3학년 학생들로 남학생 108명, 여학생 62명을 중학교 2학년 성적을 기준하여 통계적으로 성적 차이가 없는 4학급을 선정하여 표집하였다. 검사 도구는 본 연구자가 중학교 2, 3학년 수준의 문제로 8종 교과서와 문제집에서 선출하여, 검사지 A는 남성다운 문제 상황을 제시하였고, 검사지 B는 여성다운 문제 상황을 제시하여 사용하였다. 위의 검사 도구는 표집된 연구 대상 모두에게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에 대한 채점 방식은 각 문항마다 ① 3점: 정확한 과정을 통해 해답을 구한 경우, ② 2점: 바른 과정으로 해를 구하였으나 계산상 해답이 틀린 경우, ③ 1점: 풀이 과정은 대체로 바르지 못했으나 해답을 구한 경우와 풀이 과정 없이 해를 구한 경우, ④ 0점: 풀이를 시도 하였으나 답을 구하지 못한 경우와 문제 풀이를 시도하지 않은 경우 등으로 처리하여 총 30점 만점으로 채점하였다. 자료의 통계 처리는 연구문제 1과 2를 위해서는 t-검증을 적용하여 분석하였으며 각각의 평균과 표준편차를 구하였고, 연구문제 3은 2×2 변량분석방법(two way ANOVA: ANalysis Of VAriance)으로 분석하였다. 이상의 모든 자료 분석은 개인용 컴퓨터의 윈도우용 통계 패키지인 SPSS(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를 이용하여 처리하였다. 결과 분석에 의해 얻어진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남성다운 문제 상황을 제시한 집단과 여성다운 문제 상황을 제시한 집단 사이에는 수학 성취도에 의미있는 차이가 발견되지 않았다. 둘째, 남성다운 문제 상황을 제시한 집단에서 남녀별 수학 성취도에 의미있는 차이가 발견되지 않았다. 또한, 여성다운 문제 상황을 제시한 집단에서도 남녀별 수학 성취도에 의미있는 차이가 발견되지 않았다. 셋째, 문제 상황이 성별적으로 편향된 경우에 수학 성취도에서 문제 제시 유형과 성별 사이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성별 요인이 문제 유형 요인보다 더 영향력이 있지만, 유의수중 5%이내에서 두 변인 사이에는 상호관련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 성별화된 몸(gendered body)이 여자 배우의 연기를 위한 창조적 준비상태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사막별의 오로라’의 <Make up to wake up2> 공연 창작 과정의 몸에 대한 탐구 사례를 바탕으로

        황은후 한국예술종합학교 2019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성별화된 몸(gendered body)이 배우의 연기에 있어 심신의 창조적 준비상태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고, 그 현상과 문제점을 여자 배우의 몸을 중심으로 분석함으로써 여자 배우의 성별화된 몸에 대한 인식의 확장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여성 혹은 남성이라는 생물학적인 성(sex)을 가지고 태어나는 우리는 사회 속에서 다시금 사회적 구성물로서 자신의 성(gender)을 형성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여성과 남성은 사회·문화적인 통념에 따라 일상생활 속에서 여성 혹은 남성으로서 자신의 태도와 몸짓을 익히고 이를 수행하며 살아간다. 우리가 짓는 표정, 상대에게 악수를 건네는 태도, 목소리 톤과 말투 등 행동 구석구석에는 성별화된 몸의 사용방식이 스며들어있다. 성별화는 개인의 몸에 실질적으로 작용하여 몸의 형태와 사용방식에 영향을 미친다. 또한 이는 우리의 정신세계에도 역시 지대한 영향력을 가진다. 배우 역시 한 사회의 구성원으로서 성별화된 몸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는 사실은 자명하다. 그런데 무비판적으로 지나치게 성별화된 몸의 사용방식은 배우의 몸과 정신을 제한하여 배우의 창조를 방해할 위험이 있다. 본 연구자는 배우에게 있어 ‘몸’이 배우의 창조적인 심신을 마련하는데 유용하고 중요한 통로가 된다는 점에 주목하였다. 따라서 배우의 창조를 방해하는 요소 중 하나로서 성별화된 몸과 배우의 관계에 대한 검토가 필요하다고 보았다. 이에 본 연구는 성별화의 문제를 ‘몸’이 나타내는 현상의 측면에서 바라보고 분석하는 데 초점을 맞추어, 이론적인 고찰과 실기적인 탐구의 양방향에서 성별화된 몸이 배우에게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를 진행한다. 먼저 페미니즘의 젠더(gender)에 관한 연구를 바탕으로 성별화의 문제를 바라본다. 특히 푸코(Michel Foucault)의 권력 개념을 기반으로 성별화를 해석하는 시각을 바탕에 두고, 성별화를 ‘몸에 대한 훈육’의 관점에서 바라볼 것을 제안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분석한 성별화된 몸이 배우에게 파생하는 문제를 (1) 몸의 습관과 경향성 형성, (2) 몸의 동질화를 통한 배우의 다양성 상실, (3) 제한된 자아상 형성의 분류로 자세히 살펴본다.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여자 배우의 성별화된 몸의 구체적인 현상과 문제점을 분석한다. 현대 사회 여성의 성별화는 ‘이상적인 미의 기준’과 깊은 연관 속에서 여성적 몸으로 훈육되는 양상이 두드러진다. 이에 대해 (1) ‘여성적 외형’에 대한 훈육 속에 동질한 몸과 몸에 대한 왜곡된 인식을 형성하게 되는 측면과 (2) ‘여성적 움직임’에 대한 훈육 속에 긴장되고 제한된 몸짓을 형성하게 되는 측면으로 나누어 분석한다. 아울러 창작집단 ‘사막별의 오로라’의 <Make up to wake up2> 창작과정에서 수집된 여자배우들의 사례를 살펴보며 이러한 여성적 몸의 훈육이 배우에게 미치는 구체적인 영향을 짚어본다. 이어서 여성의 성별화된 몸에 대해 몸의 실제적인 감각으로 탐구가 이루어진 <Make up to wake up2> 공연 창작 과정의 몸에 대한 탐구 사례를 살펴본다. 창작 과정 안에서 본 연구자를 비롯한 참여자들은 성별화된 자신의 몸을 다양한 방법을 통해 객관화하여 바라보았으며, 아울러 성별화된 몸과 대비되는 본질적인 몸에 대한 탐색을 진행하였다. 참여자들은 이러한 과정들을 통해 성별화된 자신의 몸과 ‘여성적 몸’에 대한 스스로의 강박을 다시금 바라보게 되었다. 이 과정을 크게 (1) 나의 몸 바라보기와 (2) 나의 몸 재인식하기로 분류하여 과정 속에서 발생한 경험과 그 의미를 되짚어본다. 무비판적인 성별화는 여성과 남성 배우 모두에게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으나 본 연구의 구체적인 분석 대상을 여자배우로 한정하는 이유는 다음과 같다. 먼저 본 연구는 본 연구자가 가진 여자배우로서의 경험과 탐구를 바탕으로 배우의 몸에 대해 연구하는 실기 논문이기 때문이다. 또한 오래된 남성중심의 세계관 속에서 문화 사회적으로 여성의 몸이 남성에 비해 제한되고 관리되는 측면이 많다고 보았기 때문이다. 근래 사회 전반적으로 젠더 문제에 대한 관심이 가시화되고 다양한 문제제기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젠더와 배우의 몸이 가지는 관계에 대해서는 그 논의와 고찰이 잘 이루어지고 있지 않으며, 실제 배우 교육 시스템이나 창작과정에서도 성별화된 몸과 배우에 관한 고려와 의식적인 접근이 미미하다. 이에 본 연구는 젠더와 관련된 문제를 ‘젠더를 살아가는 몸과 그것이 배우에게 미치는 영향’에 초점을 맞추어 들여다보고, 창작 과정 속에 발생한 실제 몸을 통한 실기적인 탐구의 경험으로 그 구체성을 더하였다. 이를 통해 배우에게 있어 성별화된 몸을 무의식의 층위에서 의식적인 층위로 끌어와 이에 대해 수동적인 입장에서 주도적인 입장으로 변화를 도모하는 데 중점을 두고자 하였다. 앞으로 성별화된 몸에 대한 문제제기와 다각도의 탐구가 배우의 몸에 대한 연구·교육 분야와 공연 창작 과정 등에서 다양하게 이루어지기를 기대하며, 그 과정에서 본 연구가 이 문제에 관한 하나의 발화이자 구체적인 시각으로서 유용한 참고가 되길 희망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