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학령기 아동의 생성이름대기 발달

        유하나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807

        생성이름대기 검사는 1분이라는 제한시간 동안 주어진 범주 내 단어를 산출하는 검사로서 크게 의미범주 생성이름대기 검사와 음소범주 생성이름대기 검사로 분류할 수 있다. 생성이름대기 검사는 언어기능을 평가하는 데 유용한 검사로 신경학적 및 발달적 정도 제공의 가치를 갖는다. 그런데 우리나라에서는 현재 학령기 아동을 대상으로 한 생성이름대기 능력의 발달에 관한 연구와 정상 규준을 위한 기초 자료로서의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학령기 아동을 대상으로 한 정상 규준 기초 자료를 제공함으로써 임상적으로 유용성을 갖는다.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1학년에서 6학년까지의 생성이름대기 능력을 양적·질적인 측면으로 분석하여 학령기 아동의 정상 규준을 위한 기초 자료를 개발하고자 하는 데에 있다. 본 연구에서 학령기 아동을 대상군으로 설정한 까닭은 학령기의 어휘력은 듣기와 읽기를 통해 낱말의 습득이 가능해지며, 11~12세 정도가 되면 성인 수준에 거의 도달하는, 어휘력 발달에 있어 중요한 시기이므로 학령기 생성이름대기 능력의 발달 특성을 양적·질적으로 평가하는 데 적합하기 때문이다.생성이름대기 검사는 의미 범주의 생성이름대기에서 『동물』과 『슈퍼마켓에서 살 수 있는 물건』을, 음소 범주의 생성이름대기에서 /ㄱ/과 /ㅂ/음소를 하위범주로 설정하였다. 양적 측면은 총산출단어수로 측정하였고, 질적 측면은 군집 수, 군집 크기, 그리고 전환의 횟수로 분석하였다. 또한, 의미·음소 범주 생성이름대기의 학년 및 성별에 따른 총산출단어수를 분석하였다.분석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1. 의미범주 생성이름대기에서는 학년이 증가할수록 총산출단어수와 군집 크기, 군집 수 및 전환 횟수가 유의하게 많았다. 이는 전체적 어휘력의 발달과 함께 의미범주 생성이름대기에서 군집과 전환이 학년에 따른 특성을 보여주는 중요한 질적 요인임을 알 수 있었다.2. 음소범주 생성이름대기에서는 학년이 증가할수록 총산출단어수와 군집 수 및 전환 횟수가 유의하게 많았다. 이는 학년에 따른 전체적 어휘력 발달인 총산출단어수를 증가시키는 요인은 단어 인출 전략적 지표인 군집 수와 전환 횟수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3. 의미범주와 음소범주 생성이름대기 모두 학년이 증가할수록 총산출단어수는 증가하였지만, 성별에 따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이와 같이 학년에 따른 생성이름대기 능력의 차이는 어휘집 내 단어의 양적인 증가와 함께, 군집과 전환이라는 단어 인출 전략의 효율성의 향상이라 할 수 있다.본 연구 결과는 학년과 성별에 따른 학령기 아동의 생성이름대기 점수의 평균과 표준편차를 제시함으로써 규준 자료 제시의 토대를 마련했다는데 의의가 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학령기에 해당하는 언어발달장애 아동이 치료실에 왔을 때, 유용한 평가 도구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아동들은 낱말을 산출 할 때 학년에 따라 총산출단어수와 단어 인출 전략인 군집과 전환 능력을 함께 발달시켰다. 이는 생성이름대기 검사에서 아동이 특정범주의 낱말 산출을 적게 한다면 결과를 분석하여 아동의 어휘치료 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앞으로 의미범주 단서로서 성차가 없는 중립적인 항목을 찾는 후속 연구와 지역적 요인과 피험자의 부모 교육 수준, 사회경제적 지위 등 환경적인 요인들은 이 연구에서 고려되지 않았는데, 이에 대한 후속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Generative naming test is categorized by the semantic category of generative naming and phonemic category of generative naming as the test which orally produces as many words from a given category within one minute. Generative naming test is useful to evaluate language functions and has a value by providing neurologic and developmental degree. In addition, it is clinically useful by providing the standard criterion of fundamental data for school-aged children. But, the studies of the development of generative naming ability for current school-aged children and the studies of fundamental data for standard criterion are insufficient.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fundamental data for standard criterion for school-aged children by analyzing the ability of generative naming for elementary students in grades 1 through 6 quantitatively and qualitatively. In this study, school-aged children were selected as target groups. Students aged from 11 to 12 are suited to evaluate the developmental characters of school-aged students’ generative naming abilities because the period is important for them to develop their vocabulary abilities which almost reach the adults’ level.In generative naming test, “animal test” and “supermarket test” were used in semantic category and two phonemes of /ㄱ/ and /ㅂ/ were used in phonemic category. In the quantitative aspect, the total number of words was measured and in the qualitative aspect, the number of clusters, the size of clusters, and the number of switch were analyzed. Furthermore, the total number of words were analyzed with regard to grades and gender in semantic and phonemic generative naming.The results are the followings;1. As students’ grades were higher, the total number of words, the size of clusters, the number of clusters, and the number of switch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The results showed that the vocabulary ability and clusters and switch in the semantic category of generative naming were important factors for the characters with regard to grades.2. In the phonemic category of generative naming, as students’ grades were higher, the total number of words and clusters, and switch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According to the results, the factors which increased the total number of words as the ability of using vocabulary were the number of clusters as a strategical word retrieve index and the number of switch.3. Although the semantic category and the phonemic category of generative naming increased as students’ grades were high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gender.Therefore, the differences in generative naming ability with regard to students’ grades was the effectiveness of inducing strategy of words of cluster and switch as the quantity of words in vocabulary groups increased.The results of the study is meaningful to form the groundwork for suggesting standard data by providing th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of generative naming scores with regard to students’ grades and genders. The outcome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a useful evaluation tool for children with language impairment.In addition, when children generate words, they develop the total number of words and ability of cluster and switch with regard to the grades. If children orally produce words in a certain category, the words can be analyzed to instruct them.Further studies which examine a neutral category as the clue of a semantic category and consider locational factors, parents’ educational background, social status, and environmental factors are warranted.

      • 질문생성전략 기반 과학 독서활동에서 초등과학영재의 질문 분석

        장수현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에서는 체계적이며 효과적인 과학 독서지도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과학 독서과정에서 학생들이 생성한 질문을 분석하여 시사점을 찾고자하였다. 이를 위해 질문생성전략 기반 독서 활동에서 초등과학영재들이 만들어낸 질문을 분석하고 질문 유형과 질문 유형별 빈도 및 특징을 살펴보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질문생성전략 기반 과학 독서활동에서 초등과학영재는 어떤 유형의 질문을 하는가? 둘째, 질문생성전략 기반 과학 독서활동에서 초등과학영재가 생성한 질문들은 과학도서에 따라 어떻게 나타나는가?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먼저 2018년도 서울 소재의 대학교 영재교육원에 속한 초등과학영재들이 2권의 과학 도서를 읽고 제출한 질문생성전략 기반 독서록의 질문 118개를 우선 분석하여 질문의 3가지 유형을 정하였다. 이후 독서록을 수정 및 보완하여 2차 독서록에는 질문의 유형별 설명을 사전에 제시하여 학생들이 질문의 필요성과 가치를 알고 다양한 관점에서 질문을 만들도록 안내했다. 각 질문 유형에 대하여 과학영재들이 어떠한 세부 유형의 질문을 형성하는지 확인하고 주제가 다른 과학 도서별 질문의 차이점을 살펴보기 위하여, 2019년도의 영재교육원 소속 초등과학영재 54명을 대상으로 각 유형의 질문을 1개씩 만들고 주제가 다른 총 3권의 과학 도서를 읽고 독서록을 작성토록 하였다. 이 세 권에 대하여 작성한 질문 총 464개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영재 학생들이 과학 도서를 읽고 생성한 질문들은 생산적 질문, 수렴적 질문, 평가적 질문으로 나타났으며 특정 유형의 질문에 빈도가 치우쳐져 있었다. 둘째, 학생들이 질문의 유형에 따라 각각 질문을 생성하고 이를 살펴본 결과, 학생이 텍스트의 내용을 얼마나 잘 이해하는지 판단할 수 있는 자료로서 가치가 있는 수렴적 질문은 텍스트에서 답을 쉽게 찾을 수 있는지 여부와 내용의 주제에 따라 질문의 세부 유형이 나타났다. 셋째, 생산적 질문은 답을 찾는 방식에 따라 세부 유형이 나타났으며, 답을 텍스트 외부에서 직접 찾아야 하므로 과학적 탐구와 이어진다고 볼 수 있다. 넷째, 평가적 질문은 정의적 태도를 기를 수 있는 질문으로써, 가치판단의 유무와 관점의 주체에 따라 세부 유형이 나뉘었다. 다섯째, 초등과학영재가 생성한 질문은 과학 도서의 주제에 따라 질문의 세부 유형 및 빈도가 다르게 나타났다. 본 연구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보다 효과적인 질문생성전략 기반 과학 독서교육을 위하여 다음과 같이 제언한다. 첫째, 질문생성전략 기반 과학 독서교육이 광범위하게 일반 학생에게도 확대 적용하고 효과를 검토해야 한다. 둘째, 질문생성전략 기반 독서교육의 효과를 확대시키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 사용한 방식보다 다양한 방법을 적용할 필요가 있다. 셋째, 질문 유형별로 과학적 태도나 사고력 변화를 연구나 과학 독서와 과학 탐구의 연계성을 알아보는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결과는 초등과학영재들이 과학 독서과정에서 다양한 수준의 사고를 유발하는 질문들을 형성해 냄을 시사하며 향후 효과적 과학 독서교육이 이루어지도록 독서지도 방안을 개선 및 개발하는 데에 토대가 될 것이다.

      • 모야모야병 청소년의 건강생성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염인선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박사

        RANK : 247807

        Moyamoya disease is a rare progressive cerebrovascular occlusive disease. It cannot be cured by surgical intervention. It is a chronic disease in which treatment can provide that symptom relief and lessen the risk of cerebral infarction or cerebral ischemia. Patients with moyamoya disease therefore require daily care management. There are hypertrophic and stressful conditions that trigger the clinical symptoms observed in moyamoya disease. Specific clinical symptoms include neurological symptoms such as movement disorders, speech disorders, seizures, sensory disturbances, and visual impairment. These symptoms include a transient ischemic attack that develops within a few seconds, whereas if the duration is long, the cerebral ischemia can progress to cerebral infarction or cerebral hemorrhage, so effective management of stress is required as well as management to alleviate symptoms during daily care. Adolescents with moyamoya disease experience difficulties in relation to their development and the various psychological challenges and tasks that they normally experience, in addition experiencing clinical symptomatology and the treatment of illness affects their quality of life. 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an intervention program that helps adolescents with moyamoya disease fully understand their illness and improve their quality of life with effective stress management. Moyamoya disease requires intervention based on the theory of health creation so as to enhance the ability to overcome stress caused by the disease and to generate health, rather than attempting to cure moyamoya disea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salutogenesis program that improves the generalized resistance resources (GRR) and sense of coherence (SOC) of moyamoya-suffering adolescents by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s and needs of adolescents with moyamoya disease based on the theory of health creation. The effect of the program was also tested. The salutogenesis program was developed according to the Intervention Mapping Protocol (IMP) through literature review, in-depth interviews with moyamoya disease-suffering adolescents, and focus group interviews with experts and parents. The developed program consisted of one 70-minute group training session, three 70-minute group discussion sessions and three 40-minute individual counseling sessions.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design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the salutogenesis program. From September 6, 2018 to January 4, 2019, preliminary research and experimental treatment were conducted at a Severance Hospital ward and outpatient clinic. The study subjects consisted of 48 adolescents with moyamoya disease aged 14 to 19 years. There were 24 patients in the intervention group and 24 patients in the control group. The study variables were “knowledge of moyamoya disease,” “social support,” “sense of coherence,” “moyamoya disease health behavior,” “stress,” “depression,” “subjective health status,” “frequency of ischemic symptoms” and “quality of life.”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real numbers, percentage, mean, standard deviation, Shapiro-Wilk test, Fisher's exact test, ²²-test and t-test, independent t-test, Paired t-test and Cronbach's alpha coefficient.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1. The stress score for the intervention group was significantly greater than the control group after the application of the salutogenesis program for adolescents with moyamoya disease (t = 2.73, p = .039). 2. The generalized resistance resource score for the intervention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control group after the application of the salutogenesis program for adolescents with moyamoya disease (knowledge of moyamoya disease score: p = .042; social support score: p = .012). 3. The sense of coherence score in the intervention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control group after the application of the salutogenesis program for adolescents with moyamoya disease(t = 2.22, p = .040). 4. The moyamoya disease healthy behavior score in intervention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control group after the application of the salutogenesis program for adolescents with moyamoya disease(t = 2.25, p <.05). 5. The hypothesis that the intervention group which undergoes the salutogeneis program for adolescents with moyamoya disease will have a health status score than the control group was confirmed (depression: p=.492; frequency of ischemic symptoms; p=.982; subjective health status: p=.042). 6. The quality of life score in the intervention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control group after the application of the salutogenesis program for adolescents with moyamoya disease (t=2.41, p=.031). The results of the above study indicate that the salutogenesis program can improve the knowledge and social support of illness-related adolescents and the fulfillment of health behaviors and reduce stress. It was confirmed to be effective in improving quality of life. However, the study found that the program had no effect on the frequency of cerebral ischemia, which is a variable of depression and physical health. This program is considered to be limited since it is difficult to improve the clinical symptoms and emotional state of the patients with moyamoya disease. This program is designed to improve clinical symptom and psychological variables. Nevertheless, considering the improved subjective health status and quality of life, this program is considered to be beneficial to youths with moyamoya disease and is considered necessary. Therefore, it can be applied to future research or hospital practice to improve the awareness of the illness and social support of adolescents with moyamoya disease, and to reduce their stress, thereby improving the health behavior and health status of moyamoya disease sufferers and positively contributing to the quality of life of the individual. 모야모야병은 진행형 뇌혈관 폐쇄성 희귀 난치성 질환으로 수술적 중재로도 완치가 아닌 증상 경감이나 뇌경색이나 뇌허혈의 위험 감소 정도의 효과를 기대하는 만성질환이다. 따라서 모야모야병을 가진 환자들은 일상생활에서 철저한 관리가 필요하다. 모야모야병에서 관찰되는 임상적 증상을 촉발하는 요인으로 과호흡과 스트레스 상황이 있고, 구체적인 임상적 증상에는 운동장애, 언어장애, 발작, 감각장애, 시력 장애 등의 신경학적 증상이 있다. 이들 증상은 수초에서 수분 이내에 바로 좋아지는 일과성 허혈발작이 있는 반면, 지속 시간이 길어질 경우 뇌허혈에서 끝나지 않고 뇌경색이나 뇌출혈로 진행할 수 있으므로 일상생활 중에 증상을 에방하기 위한 관리뿐만 아니라 효과적인 스트레스 관리도 요구된다. 모야모야병 청소년은 임상적 증상 경험과 질병의 치료과정에서 겪는 경험외에도 청소년기의 발달과정상 겪게 되는 다양한 심리적 도전과 과업과 관련하여 어려움을 경험하며, 이는 청소년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따라서 모야모야병 청소년들이 자신의 질병에 충분히 이해하고 효과적인 스트레스 관리로 개인들의 삶의 질을 높이도록 돕는 중재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모야모야병 청소년들을 위한 중재는 모야모야병을 제거하려는 시도보다는 질병으로 인한 스트레스를 극복하고 건강을 생성할 수 있는 역량을 증진시켜 줄 수 있도록 건강생성이론에 근거한 중재의 적용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건강생성 이론을 기반으로 모야모야병 청소년 환자의 특성 및 요구를 반영하여 모야모야병 청소년의 일반적 저항자원과 통합력을 향상시키는 『모야모야병 청소년의 건강생성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를 적용하여 그 효과를 검정하였다. 본 연구의 『모야모야병 청소년의 건강생성 프로그램』은 Intervention Mapping Protocol (IMP)에 따라 문헌고찰, 모야모야병 청소년 심층면담, 전문가, 부모집단과의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통해 최종 개발되었다. 개발된 프로그램은 총 7회기로 1회의 그룹 교육과 3회의 그룹 토의 3회의 개별 상담으로, 그룹 교육과 토의는 70분, 개별 상담은 40분으로 구성하였다. 『모야모야병 청소년의 건강생성 프로그램』의 효과 검정을 위하여 무작위 대조군 전후 실험설계로 연구를 실시하였으며 2018년 9월 6일부터 2019년 1월 4일까지 사전조사, 실험처치, 사후조사 순으로 서울시에 소재하고 있는 세브란스 병원 병동과 외래에서 진행하였다. 연구대상자는 만 13세 이상 만 18세 미만의 모야모야병 환자 48명으로, 중재군 24명, 대조군 24명을 편의표집하였다. 연구 변수는 모야모야병 지식, 사회적 지지, 통합력, 모야모야병 건강행위, 청소년 스트레스, 우울, 주관적 건강상태, 뇌허혈 발생빈도, 삶의 질이며 이들을 실험 전과 후에 측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실수,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Shapiro-Wilk test, Fisher’s exact test, ²-test와 t-test, Independent t-test, Paired t-test, Cronbach’s alpha계수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 대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모야모야병 청소년 건강생성 프로그램』을 제공받은 중재군은 제공받지 않은 대조군보다 스트레스 점수가 더 낮을 것이다.’는 두 집단간의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여(t=2.73, p=.039) 지지되었다. 2. ‘『모야모야병 청소년 건강생성 프로그램』을 제공받은 중재군은 제공받지 않은 대조군보다 일반적 저항자원이 증가할 것이다.’는 두 집단간의 차이검정에서 모야모야병 지식 점수(p=.042), 사회적 지지 점수(p=.012)로 통게적으로 유의히여 지지되었다. 3. ‘『모야모야병 청소년 건강생성 프로그램』을 제공받은 중재군은 제공받지 않은 대조군보다 통합력 점수가 높을 것이다.’는 두 집단간의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여(t=2.22, p=.040) 지지되었다. 4. ‘『모야모야병 청소년 건강생성 프로그램』을 제공받은 중재군은 제공받지 않은 대조군보다 모야모야병 건강행위 점수가 높을 것이다.’는 두 집단간의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여(t=2.25, p=.040) 지지되었다. 5. ‘『모야모야병 청소년 건강생성 프로그램』을 제공받은 중재군은 제공받지 않은 대조군보다 건강상태가 향상될 것이다’는 두 집단간의 차이검정에서 우울 점수(p=.492), 뇌허혈 발생빈도(p=.982), 주관적 건강상태(p=.042)의 통계적 값을 근거로 부분적으로 지지되었다. 6. ‘모야모야병 청소년 건강생성 프로그램을 제공받은 중재군은 제공받지 않은 대조군보다 삶의 질 점수가 높을 것이다.’는 두 집단간의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여(t=2.41, p=.031) 지지되었다.

      • 생성형 인공지능을 활용한 서사 창작 지도 방안

        표상철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의 목적은 생성형 인공지능을 활용하여 서사를 창작하는 지도 방안 을 제시하는 것이다. 감상 영역에 주로 치우쳐져 있는 문학 교육에서 서사 창 작 영역의 중요성을 인식시키며, 학습자들이 서사 창작을 어려워하는 이유를 생성형 인공지능을 활용하여 타개하며 서사 창작에 관한 흥미와 창작 능력을 높이고자 한다. 즉, 서사 창작 능력을 향상하기 위한 목적으로 생성형 인공지 능을 도구로 활용하여 서사 창작 지도 방안을 마련하고자 한다. 서사 창작은 가상의 인물과 이야기를 통해 현실과 초현실 사이를 넘나들며 새로운 조합을 창조하고, 다양한 시각으로 현실 세계를 바라보게 하는 일이다. 서사 창작 능력은 서사적 상상력, 형상화 능력, 자율 조정능력 등 복합적인 능 력이 필요하며 이를 통해 소재 발견에서부터 작품의 구체화 및 개선에 이르는 전 과정을 수행하는 능력이라고 할 수 있다. 하지만 초등학생 학습자는 창작 활동에서 아이디어를 생성하거나 내용을 조직하는데 어려움을 겪어 흥미를 잃 는 경우가 많다. 본 연구는 학습자들이 서사 창작에 느끼는 어려움을 극복하 고 창작 과정에 대한 지원을 하기 위하여 생성형 인공지능을 도구로 활용한 다. 생성형 인공지능은 서사 창작 교육에서 아이디어를 생성하거나 내용을 조 직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이를 통해 학습자들의 서사 창작에 대해 느끼는 어려움을 줄이고, 상상력과 창의력, 표현 능력의 향상을 이끌 수 있다는 점에 서 교육적 의의가 있다. 생성형 인공지능을 활용한 서사 창작 프로그램을 구안하여 실제 6학년 학습 자를 대상으로 9차시로 적용하고 그 결과를 제시한다. 프로그램 활동 전과 후 서사 창작 능력 검사, 창작 태도 검사를 실시하고 프로그램 활동에 대한 반응 지를 활용하여 결과 분석에 활용한다. 지도 절차는 과정 중심 서사 창작 프로 그램을 만들어 활용한다. 각 단계는 생성형 인공지능과 아이디어 생성하기, 생 성형 인공지능과 내용 생성·조직하기, 초고쓰기, 생성형 인공지능과 고쳐쓰 기, 공유하기 5단계로 제시한다. 생성형 인공지능과 아이디어 생성하기 단계에 서는 학습자가 생성형 인공지능에게 서사 창작을 도와줄 수 있도록 역할을 부 여하며 인물과 배경을 설정한다. 생성형 인공지능과 내용 생성·조직하기 단 계에서는 생성형 인공지능과 대화를 나누며 사건들을 설정하고 내용을 조직한 다. 이후 초고쓰기 단계는 학습자의 창작 능력을 위하여 생성형 인공지능의 도움 없이 학생들이 직접 작성한다. 생성형 인공지능과 고쳐쓰기 단계는 동료 학습자와 글을 바꾸어 읽으며 피드백을 서로 주고 받는다. 그리고 교사가 제 시한 평가 기준을 공통적으로 생성형 인공지능의 프롬프트에 먼저 입력하여 자신의 글을 피드백 받는다. 이후 학습자는 동료 학습자와 생성형 인공지능으 로부터의 피드백을 통해 자신의 글을 고쳐쓰기 한다. 공유하기 단계에서는 자 신의 글을 다른 친구들과 공유하고 서로의 글을 읽으며 감상을 나눈다. 이를 통해 자신이 창작한 결과물에 대한 성취감을 느끼고, 자신감을 가질 수 있도 록 한다. 이후 학습자들의 창작 능력과 창작 태도에 대한 사전·사후 검사 결과를 분 석하였다. 창작 능력 검사 결과를 분석한 결과, 생성형 인공지능을 활용하여 서사를 창작하는 활동이 학생들의 창작 능력을 향상시킴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평가 내용 요소인 내용, 조직, 표현 면에서도 각각 유의미한 향상이 있었 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창작 태도 검사 결과, 생성형 인공지능을 활용한 서사 창작 지도가 학습자들의 창작 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 것을 확인할 수 있 었다. 세부 영역인 창작 효능감과 선호 영역 모두 사후 평균 점수가 상승하여 생성형 인공지능을 활용한 서사 창작 지도가 학생들의 창작에 대한 효능감과 선호 태도를 신장시키는 효과가 있다고 할 수 있다. 위의 논의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의의를 다음과 같이 말할 수 있다. 생성형 인공지능을 활용한 서사 창작 지도는 학습자의 서사적 상상력과 창의력을 신 장시킬 수 있다는 점, 서사를 창작함에 있어 학습자의 창작 아이디어 생성과 내용 조직에 대한 부담을 줄여주고, 표현 능력을 향상시키는 데 도움이 된다 는 점, 서사 창작을 통해 허구 세계를 이해하고 자신의 생각을 투영하여 가능 세계에 대한 지평을 넓힐 수 있을 것이다.

      • 자동생성문항의 설계 및 문항반응모형 연구 : 인수분해 단원을 중심으로

        임형준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807

        오늘날 컴퓨터가 널리 보급되면서 모든 산업분야 뿐 아니라 교육현장에서도 많이 쓰이게 되었으나 유독 평가 영역, 특히 수학과의 평가에서는 지필평가가 여전히 주를 이루고 있다. 교육자들과 연구자들은 지필평가보다 컴퓨터를 사용하여 평가를 수행하는 것이 여러 가지 장점이 있다는 것을 밝히고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평가 연구자들이 주목하는 것이 컴퓨터를 이용한 문항자동생성이다. 문항자동생성이란 주어진 문항모형을 바탕으로 컴퓨터가 임의로 규칙에 따라 문항을 자동적으로 만들어내는 시스템이다. 문항자동생성은 단시간에 많은 문제를 만들어 문제은행을 풍부하게 하고 보안과 문제 관리의 편리성을 가진다는 장점을 가지는데, 수학 교과에서도 학생들의 학습 과정에서 신속한 피드백을 주거나 맞춤형 교육을 실시하는데 그 활용도가 높을 것으로 예상된다. 본 연구에서는 자동생성문항의 설계 이론 중 하나인 강한 인지이론 기반 문항모형 설계를 사용하여 문항을 제작하는 원리를 알아보고, 이를 적용하여 문자식의 인수분해에 대한 인지모형과 그를 바탕으로 자동생성문항의 문항모형을 개발한다. 문항모형에 따라 문항을 생성한 후 강한 인지이론 기반 문항모형이 학생 반응에 대한 문항함수의 예측을 어느 정도 가능하게 한다는 주장에 대하여 여러 가지 구체적 가설을 수립하고 이를 검증한다. 연구를 위하여 자동 생성된 문항을 인수분해 능력에 대한 검사로 구성하고 서울에 위치한 3개 중학교 3학년 10개 학급 총 243명을 대상으로 검사를 실시하였다. 인수분해에 필요한 인지적 요소가 이루는 인지모형은 “식의 기본 유형 배우기”, “공통 인수 묶기”등의 내용적 인지 요소와 “수의 구조에 대한 감각”, “식의 구조에 대한 감각”등의 과정적 인지요소로 이루어짐을 밝혔다. 이러한 인지모형을 기반으로 작성한 문항모형은 각 문제 유형별로 다루는 문자식을 이러한 인지요소의 복합적 결합으로 임의로 생성할 수 있게 하였고, 각 요소의 조건에 따라 제한요소 등의 부가 규칙을 설정하였다. 이러한 문항모형을 토대로 문제를 해결하는 인지요소가 얼마나 필요한지, 그리고 각 인지요소가 학습되는 순서 등을 고려하여 문항 난이도와 변별도에 대한 가설을 설정하였다. 연구 대상 피험자들의 문항반응 결과로부터 문항특성함수를 추정하고 난이도와 변별도 모수를 추정한 결과를 분석한 결과, 식의 유형 특성과 수의 구조 특성은 특성의 포함 여부가 난이도와 변별도에 영향을 확실하게 끼치지는 못하는 것으로 나왔으며, 공통인수 특성과, 식의 구조 특성은 포함 여부에 따라 난이도와 변별도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는 인지모형을 기반으로 하여 만들어낸 문항들이 학생들의 수행수준에 대한 예측을 제공할 수 있다는 강한 이론에 대한 주장을 실제 실험을 통해 확인했다는 의의를 가진다. 또한 수학과 평가에서 인지모형 기반의 자동문항생성이 유용하게 쓰일 수 있음을 인수분해 단원의 문항 설계와 검사 수행을 통해 확인하였다.

      • 생성의 사유와 '무'의 시학 : 김지하 詩세계 연구

        임동확 西江大學校 大學院 2003 국내박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김지하의 문학을 우주만물이 유기적으로 연관되어 하나의 연속체로서 전체를 이루고 있다고 생성적 사유에 기반해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즉 이 연구는 인지(cognition)의 형식에 제한을 가하는 형식 논리나 변증 논리와 구분되는 제3의 논리적 관점, 곧 '존재하는 모든 것'의 부동(不動)의 원인 또는 근거를 추구했던 서구의 형이상학적 전통 내지 존재의 철학과 일정한 긴장관계를 유지하면서 그의 문학이 진행되어 왔음에 주목하면서 출발한다. 서로 대립적이고 상반된 것들의 공동귀속에 의한 근원적인 일치의 추구를 과정에서 그의 생명사상 또는 경물윤리가 탄생할 수 있었다는 것이 본 연구의 핵심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우선 2장에서는 1960년대 이후 군부정권과 연결된 한국 근대화과정에서 정치적 야만과 경제적 불평등 상황 속에서는 당대현실의 모순과 역사적 부조리에 맞서기 위해 제시된 '행동의 시'와 풍자시 또는 풍자담론을 살펴본다. 그리고 그가 이것을 통해 행동만이 아닌 시적 혹은 예술적 저항의 극대화할 수 있었으며, 근본적으로 타자를 배제하고 억압하는 '근대화 담론'을 역구성하는 대항담론을 탄생시킬 수 있었음을 밝히고자 한다. 하지만 그는 왜곡된 근대와 대립하는 한편 '근대화 신화에 맞설 대항담론을 모색에 그치지 않고, 근대적 시간관과 맞물려 있는 동서양의 모든 유토피아의 비판과 민중상의 재구성을 통해 근대의 직선적이고 목적론적인 시간관을 극복할 대안으로 비선조적인 생성의 시간론을 제시한다. 그러면서 그에 대응하는 새로운 담론의 모반(matrix)으로 생명 담론 또는 생태담론을 개진하며 자기 지향적이고 내향적인 '애린'의 시세계를 탄생시킨다. 그리고 이것은 동서양 고금의 사상과 한국 고유의 사상 가운데서 동학과의 상호텍스트성 속에서 탄생한다. 또한 이것은 주체와 타자 사이의 상호교통을 통해서 얻어지는 상호간의 의식의 통일 또는 상호주관성의 시 세계를 통해 근대를 극복하고자 하는 강력한 의지로 나타나고 있다 하지만 그의 생성의 사유는 인식론적이고 가치론적인 것으로만 나타나지 않는다. 그가 '신명'으로 명명한 가락과 장단, 울림과 그늘, 빛깔과 냄새 등 문학의 형식적 측면과 연관되어 나타난다. 그리고 이것은 '생명의 본디 성품'이며 '처음도 끝도 없는 우주적인 생명의 경험 전체'를 의미하는 '활동하는 무' 또는 '활동하는 자유'와 밀접한 관계를 가지면서 인간의 삶을 고양시키는 그 어떤 것으로 작용한다. 따라서 3장에서는 개념적으로 규정하거나 인식이 불가능하다는 점에서 '무(無)'라고 할 수 있지만, 어떤 역동적인 힘을 가졌다는 점에서 플라톤이 말하는 '코라(kho^ra)와 유사한 '활동하는 무'의 성격 규명과 더불어 그것이 어떻게 그의 생명론과 연결되고 있는지의 문제를 다룬다. 동시에 그것이 '신명'으로 대변되는 언어적이고 형식적인 측면이 반복구조와 구어체 사용, 카니발적인 언술과 결합되면서 '무의 작용 내지 봉기'를 무력화하고 원천봉쇄 해온 서구의 존재 논리적 세계와 대결해 왔는지를 탐색한다. 초기부터 그는 모든 있음을 있음으로 온전하게 만드는 근거적 존재로서 무에 주목함으로서 후일 삶의 언어로 쉽게 규정하거나 치환해 볼 수 없는 무궁한 삶의 근본자리에 대한 향수와 성찰로 발전해 갈 수 있었다고 할 수 있다. 특히 말이나 논리가 아니라 침묵이나 직관의 세계와 관련이 있는 이러한 무의 작용 내지 역동성에 대한 주목함으로써 타자에 대한 배려와 숙고를 바탕으로 하는 생명사상 또는 '경물윤리'을 탄생시킬 수 있었던 것이다. 한편으로 생성적 사유에 기반한 그의 시 세계는 두 방향을 동시에 긍정하는 역설적인 세계인식과 모순어법적인 수사학으로 발현되고 있으며, 무엇보다도 그의 시 텍스트에서 서로 모순되고 역설적인 관계에 있는, 존재하는 그 모든 것들의 이중성 내지 양면성에 주목한 시들로 나타난다. 자신의 생명론을 뒷받침하는 논리의 하나로 모순어법'의 중요성을 강조가 여기에 해당하는데, 따라서 4장에서는 그의 생명론 또는 생성의 사유와 이러한 모순어법적이고 역설적인 수사학이 어떻게 연결되고 있으며, 동시에 그것들이 세계를 이해하는 방법론의 차원에까지 승화되었는지 살펴보고자 했다. 특히 그의 시 텍스트에 자주 출현하는 환상이 모순어법을 가장 기본적인 수사법으로 차용하고 있음에 주목하면서 당대 이데올로기와 문화적 제한과 어떻게 관계 맺고 있는지 규명해보았다. 무엇보다도 이것을 통해 이른바 '아름다움' 속에 짓눌려 있는 하위문화로 분류되는 거친 것, 또는 그 어떤 체계나 질서에도 동화하지 않으려는 것을 대표하는 그의 추의 미학이 숭고미와 결합되어 서로가 공경하고 섬기는 것을 목표로 하는 생명관이 탄생할 수 있었던 것이다. 즉 생명논리 그 자체가 비합리적인 역설일 수밖에 없다는 사실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는 이러한 모순통합적인 세계인식을 통해, 그는 비가시적인 숨겨진 질서에 대한 신비적 직관과 가시적 세계에 대한 검증적인 접근 사이의 역설적이고 카오스적이면서 일원적인 생성 전체를 이해하고자 했던 것이다. 그러나 존재하는 것들의 양면성 내지 이중성을 전제로 한 김지하의 생성론적 사유는 단지 새로운 세계관과 문화를 위한 인식틀 또는 사유문법에 만족하지 않는다. 타자에 대한 윤리적 응답과 도덕적 책임의 문제에까지 이른다. 인간뿐만 아니라 무생물까지 낯선 타자를 향한 자기 초월의 공간을 열어 놓음으로 자기 중심적 자아의 이기적 삶을, 윤리적이고 이타주의적 삶의 차원으로 초월시키는 것이 그가 말하는 '경물윤리'이고 '모심'은 문제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제5장에서는 '경물윤리' 또는 '모심'으로 대변되는 그의 타자 윤리학이 자기 상실 또는 자아의 해체를 통해 이뤄진다 것을 그 전제로 한다. 곧 그의 생명윤리학은 모든 타자를 자기 또는 자아의 관점이나 이념 속에서 규정하거나 동일화하려는 시도를 포기하는 태도나 자세에서 자아와 독립성과 함께 타자의 타자성을 확보한다. 각 주체의 모든 표상과 척도들을 넘쳐흐르는 타자의 타자성을 있는 그대로 유보 없이 받아들이려는 데서 '나'아닌 모든 타자를 드높이는 '공경' 또는 '모심'으로 이어지며, '나'의 자발성과 주관성을 넘어서 타자를 위한 타자 중심의 윤리적 관계 설정이 가능해진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그의 '경물윤리' 또는 '모심'의 윤리 등 이타적 윤리가 주체의 해체와 그에 따른 도덕적이고 윤리적인 책임의식과 응답의 차원에서만 이뤄진 것은 아니다. 근대세계에 연결된 시각 중심주의와 대척점에 있는 일명 '듣기의 시학'과 음악을 통한 인간정신의 순화 또는 교화적인 성격이 강한 '율려운동'을 나타난다. 또한 그것은 선적 세계의 지향과 선적 어법의 구사와 맞물려 있으며, 특히 그러한 선(禪)의 세계가 근원적 은유형태로 나타나고 있다. 무엇보다도 그것이 여러 한계상황을 통해 새로운 실존의 가능성에서 획득되는 영원성 또는 무궁의 추구와 맞물려 있으며, 종국엔 부분과 전체의 공속(共屬)과 관계되는 제유적 세계인식으로 나타나고 있는 것이다. 결론적으로 그의 시들은 초기부터 미약하나마 서로가 상극(相剋) 또는 상반(相反)의 관계에 있으면서도 상생(相生)하거나 상보(相補)하는, 각기 개별성이 유지하되 전체적으로 화합하는 그 생성론적 세계와 깊은 연관을 맺고 있다. 특히 주관과 객관, 현상과 본질, 삶과 예술의 패러독스적 결합에 역점을 두는 생성론적 철학의 바탕으로 근대 비판을 넘어서는 탈근대적 사유 내지 해체적 사유를 전개할 수 있었으며, 나아가 오늘의 지배문명을 대신할 새로운 문명의 패러다임 모색과 더불어 새로운 문학의 가능성을 탐지해 왔다고 할 수 있다. This dissertation aims to consider, on the basis of thinking of Becoming, the literature of Kim Jiha in which all the things of the universe are organically related with one another and make up the whole as a continuum. In other words, this study comes to start, focusing on the fact that his literature has proceeded with the tensional relations with the Western metaphysical tradition or philosophy of existence, which has pursued the solid cause or basis of 'all the existent' ; the cause of basis is the another logical perspective distinguished from the formal logic or the dialectic logic that impose restrictions on the form of cognition. The core of this study is that his ecological thought or the ethics of kyung-mul(respecting all the things) can be given birth in the process of pursuing the fundamental harmony through the co-return of oppositional and contradictory things. From this point of view, in the chapter 2, I examine the 'poetry of action' and the 'satirical poetry' or satirical discourse, which were suggested, in the procedure of korean modernization connected with the military regime after 1960s, for us to confront the contradiction of that times and the historical absurdity under the economical inequality and the political savageness. Then, I try to show that he could maximize the poetic or artistic resistance as well as actual one through this and give birth to the counter-discourse that reversely structures the 'modernization discourse' excluding and oppressing the other. However, he is opposed to the distorted Modern Times and at the same time, and proposes the non-linear time-view of production as an alternative to overcome the modern linear and teleological time view through these : the criticism of all the Eastern and the Western utopias related with the modern time view and the reconstruction of ideal type of people. He produces the self-oriented and introversive poetry of 'ae-lin', developing the ecological discourse as a matrix for new discourses. Then, this is given birth in the intertextuality of Dong-hak among the original thoughts of Korea and the Eastern and the Western ones. Moreover, the poetry of 'ae-lin' is revealed as the strong will to surmount the Modern Times through the intersubjectivity gotten by the communication between the subject and the other. However, his the thinking of Becoming does not only appear to be something epistemological and axiological. It emerges, related with the formal aspect of literature such as the melody and rhythm named 'shin-myung' by him, echo and shadow, and color and smell. His thinking has close connections with the 'animate nothingness' or 'acting liberty', which is 'the nature of the life' and means 'the whole experience of cosmic life without the beginning or the end. It functions as something encouraging lives of human beings. Therefore, we deal with the problem as following: for one thing, we define the characteristic of 'animate nothingness', which is similar to Plato's Kho^ra in terms of having dynamic power and can be regarded as 'the nothing' in terms of the impossibilities of defining conceptually or cognizing; for another, how is it related with his ecological thought? At the same time, we search out how it has confronted the Western ontological world that has weakened and blocked the 'the operation or riot of nothingness', combined with the linguistic and formal aspects - represented as 'shin-myung' - like the repetition structure, a spoken style and the carnival enunciation. Especially, we have to notice that his interest in the nothing results in the ecological thought or the 'ethics of kyung-mul', the thought based on the concern and the consideration for others. That is to say, in his early period, he concentrated on the nothing as the fundamental existence making all the existent complete. After that, he focuses on the operation or dynamics of the nothingness, which is related not with the words or logic but with the silence or intuition. Then, his poetry, based on the thinking of Becoming, is revealed as the paradoxical point of view and the oxymoron that affirm the bifurcate directions simultaneously. In his texts, we can notice the duality or ambiguity of all the existent in the contrary and paradoxical relations. The poet himself had an emphasis on the importance of the oxymoron as the one of logic supporting his ecological thought. Therefore, in the chapter 4, I try to consider, how his ecological thought or productive thinking is related with the rhetoric of the oxymoron and the paradox, and how they are sublimated to the level of the methodology to understand the world. Especially, I made clear how the fantasy makes relations with the ideology of that time and the cultural limitations, regarding the fact that the fantasy borrows the oxymoron as the basic rhetoric. Above all, we can confirm that, combined with the sublime, his esthetics of the ugliness suggest the life view aiming to respect and serve each other. That esthetics represents these things; the abject classified in the category of subculture put down under the so-called 'beauty'; or something trying not to be assimilated with any system or order. Through the recognition synthesizing the contradiction, and related with the ecological logic which is paradoxical, he tried to understand the chaotic and monistic production between the mystic intuition of invisible and hidden orders, and the evidential approach to the visible world. However, Kim Jiha's the thinking of Becoming, presupposing the duality or ambiguity, does not remain the frame of the cognition or the thought grammar for the new world view and culture. It extends to the ethical response to the other and the problem of moral responsibility. The ethics of kyung-mul and mo-shim(serving) is to make the inanimate matter as well as human beings transcend toward the space of ethical and altruistic life, by opening a space of self-transcendence. Thus, in the chapter 5, I presuppose that his ethics of altruism represented as 'the ethics of kyung-mul' or 'mo-sim' is achieved by the loss or deconstruction of the self. Therefore, in his ethics, the otherness of the other with independence of the self is guaranteed, through the attitude to give up the trial to define or identify all the others in the view or ideology of the self. We can reach the 'kong-kyung(respect)' or 'mo-shim(serving)' to revere all the others not the self through the acceptance of the otherness of the other surmounting all the representations and the measures. Then, beyond the subjectivity and spontaneity, we can set the ethical relations that is other-oriented and for the other. However, his ethics is not fulfilled only in the dimension of the deconstruction of the subject and the accompanied moral and ethical responsibility or response. His ethics shows the 'poetics of listening' opposed to the ocular centrism of the modern world, and the 'yul-ryo(six yang-tunes and six yin-tunes) movement' that aims to refine human mind through music. In addition, it is connected with the inclination toward the world of Zen and the use of the language in the air of Zen. That world of Zen is reveled as the form of fundamental metaphor. We can make sure that it is engaged with the pursuit of the infinity or eternity achieved in terms of possibilties of the new existence beyond various limits. Besides, it takes its form of synecdochic world view related with the co-pertinence of the part and the whole finally. Consequently, his poems can be regarded as ones produced, closely related with the world of Becoming that all the things remaining individual and accordant are incompatible or contrary, and complementary at the same time. Especially, on the basis of the logic of Becoming emphasizing on the paradoxical combination of subjectivity and objectivity, appearance and reality and life and art, he can develop the post-modern or deconstructive thought beyond the criticism of the modern times. Moreover, he can trace out the possibility of the new literature, with searching for a new paradigm of culture that will be replacing this dominant civilization.

      • 과학 관련 사회적 쟁점(SSI) 토론 수업에서 생성형 AI의 활용이 고등학생의 담화 요소와 생성형 AI 활용에 대한 인식에 미치는 영향

        강남수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의 목적은 SSI 토론 수업에 생성형 AI 적용의 효과와 생성형 AI의 활용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을 확인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중소도시 소재 고등학교 2학년 학생 20명을 대상으로 정보 탐색 과정에 생성형 AI를 활용한 SSI 토론 수업을 진행하였다. 그 결과, 생성형 AI를 활용하였을 때 토론 활동의 전체 발화 수의 유의미한 증가가 나타났으며, 담화 요소 또한 윤리적 민감성, 비판적 사고, 다양한 관점 고려, 증거 기반 추론 순으로 증가하였다. 학생들이 생성형 AI 활용에 대한 장점으로 인식한 것은 다양한 정보의 효율적 수집, 단점으로 인식한 것은 신뢰성 부족이 가장 중요한 요소로 나타났다. 신뢰성에 대한 비판적 인식은 정보의 출처 미제공과 할루시네이션(Hallucination) 같은 불만족스러운 경험과 언론 매체를 통해 접한 생성형 AI에 대한 부정적인 사전 정보가 영향을 끼친 것을 확인하였다. 연구에 참여한 학생들은 생성형 AI의 단점에 비해 장점이 훨씬 더 크기 때문에, 단점을 보완하면서 효과적으로 사용하는 방안이 중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본 연구는 생성형 AI를 SSI 토론 수업에 적용해 생성형 AI의 교육적 활용 가능성과 생성형 AI 활용에 대한 학생들의 긍정적 인식을 확인하였다는 의의가 있다.

      • 존 파울즈의 『프랑스 중위의 여자』: 생성적 텍스트와 들뢰즈의 생성이론

        홍지원 숭실대학교 일반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807

        John Fowles's The French Lieutenant's Woman: the productive textuality & Deleuze's theory of becoming Hong, Ji-Won Department of English Language & Literature Graduate School Soongsil University John Fowles is a representative postmodern writer who actively worked in the 1960's from the center of change of British novels. The French Lieutenant's Woman is a novel which is praised by critics of English and American literature as well as gaining the attention of many readers. This novel is written with various and experimental metafictional techniques along with realistic narrative and plots of the Victorian Age. In this novel, Fowles uses diverse techniques such as open ending, intertextuality, parody, a self-conscious writer/narrator, breaking of novel's frame and induction of the reader. All take part in the story. The postmodern spirit as the basis of the postmodern literature's technique is based on deconstruction philosophy. Particularly, Deleuze's deconstruction philosophy as a philosopher like Fowles in the same period has something in common with the postmodern literature. It is proper to explain about the postmodern literature with the Deleuze's theories, such as the Desiring-Machines, Becoming-Something, Assemblage, Difference, Repetition, Rhizome, Territorialization, the Line of Flight, Nomadology. This study explores the idea of desire in John Fowles's The French Lieutenant's Woman as the productive and the desiring text in the Deleuze's theory. First of all, the introduction explains "the Desiring-Machines" of Deleuze's concept that productive desires which are not necessarily the suppressive sexual desires. The second chapter analyzes Fowles's metafictional techniques through the view of Deleuze's "the Desiring-Machines." Fowles's writing techniques show two texts such as realism and metafiction in a text, The French Lieutenant's Woman. Furthermore, it can be analyzed in two texts which are vertical writing as a conventional writing and horizontal writing as a revolutionary writing. Fowles's writing endeavors to connect itself with the reader as well. Consequently, the productive textuality of Fowles's writing techniques can be explained from Deleuze's rhizome theory. The third chapter investigates the sexuality and desires of human beings in the Victorian Age that suppressed the reality by its particular. It explains how Sarah Woodruff escapes from Lyme Regis and analyzes Sarah's strategy of flight from the view of Deleuze's "becoming-something" theory. Also, it examines how Charles Smithson is deterritorialized from a conventional idea. In conclusion, Fowles employs the Victorian concept of desires to explain Sarah's dishonor as his desiring-machine and criticizes realist literature. Fowles's desiring-machines produced a postmodern novel as a productive text which connects with other texts and reader's desires. 국문초록 존 파울즈의 『프랑스 중위의 여자』: 생성적 텍스트와 들뢰즈의 생성이론 英語英文學科 홍 지 원 指 導 敎 授 전 은 경 존 파울즈는 1960년대 영국 소설의 변화의 중심에서 활발하게 작품 활동을 한 대표적인 포스트모던 작가이다. 그의 많은 작품들 중에서도 『프랑스 중위의 여자』는 영미 비평가들로부터 새로운 소설로 주목을 받았던 소설이다. 이 소설은 빅토리아 시대의 사실주의 문체와 플롯을 바탕으로 하면서 동시에 실험적인 메타픽션 기법으로 쓰였다. 『프랑스 중위의 여자』에서 파울즈는 복수 결말을 통한 의미의 열림, 상호텍스트성, 패러디, 등장인물로서의 작가등장, 자의식적 서술자 등장, 틀 파괴 기법, 독자 참여 유도 등의 포스트모던 시대에 부응하는 새로운 소설 창작의 다양한 기법들을 구사하고 있다. 포스트모던 문학 기법의 근간이 되는 포스트모던 정신은 해체주의(또는 탈구조주의)철학이 바탕이 되어있다. 들뢰즈의 철학의 기본을 이루는 개념들이라 할 수 있는 욕망기계, 생성/되기, 배치/배치물, 차이, 반복, 영토화, 근경/리좀, 도주/탈주의 선, 유목론 등에 대한 이론은 포스트모던 문학을 설명하는데 매우 적절하다. 특히 파울즈와 동시대의 철학자인 들뢰즈의 생성 이론은 파울즈의 『프랑스 중위의 여자』의 메타픽션적 글쓰기를 설명하는데 매우 유용하다 할 만큼 서로 상통한다. 본 논문에서는 포스트모던 소설인 『프랑스 중위의 여자』를 욕망의 텍스트, 생성적 텍스트로 상정하고 들뢰즈의 포스트모던 철학적 사유에 적용하여 텍스트의 욕망, 작가인 파울즈의 욕망, 등장인물들의 생산적인 욕망의 흐름을 따라가며 읽어 보고자 한다. 먼저 서론에서는 들뢰즈의 욕망 개념을 소개한다. 들뢰즈의 욕망 개념은 전통적으로 우리의 사고를 지배하고 있던 성에 관한 억압적 욕망이 아닌 무엇이든 하고자 하는 생산적인 욕망이다. 2장에서는 파울즈의 메타픽션 기법들을 들뢰즈의 개념인 생성적인 욕망기계들이라고 보고 파울즈의 글쓰기에 대해 탐색하고자 한다. 파울즈는 『프랑스 중위의 여자』를 사실주의와 메타픽션이라는 두 개의 텍스트로 배치한다. 전통적인 사실주의 글쓰기는 수직적 글쓰기이고 메타픽션 글쓰기는 파울즈의 혁명성을 지닌 수평적 글쓰기라고 할 수 있다. 더 나아가 파울즈가 독자의 욕망과 접속하고자 함은 들뢰즈의 사유와 상통하는 생산적인 글쓰기라고 볼 수 있다. 파울즈는 빅토리아 시대의 성과 욕망은 사실주의 문학에 의해 왜곡되었다고 주장한다. 따라서 3장에서는 빅토리아 시대의 왜곡된 담론과 기록들이 어떻게 인간의 자연스러운 욕망을 억압하고 있는지에 대해 살펴본다. 그리고 여주인공 사라가 억압적인 라임사회에서 탈주하기 위한 전략을 들뢰즈의 “생성/되기” 이론으로 분석한다. 마지막으로 찰스가 인습적인 사고에서 탈영토화를 이루게 되는 과정을 살펴본다. 결론적으로, 파울즈는 사실주의의 재현의 세계를 비판하기 위하여 빅토리아 시대의 성과 사라의 거짓된 오명을 자신의 문학기계로 이용한다. 파울즈의 문학기계들은 들뢰즈의 욕망기계라고 할 수 있다. 파울즈의 욕망기계들은 서로 접속하고 작동해서 욕망이 흐르는 생성적 텍스트인 포스트모더니즘 소설을 생산한 것이다.

      • 공동생성적 대화(cogenerative dialogues)가 중학생의 과학적 모델에 관한 이해와 모델 구성에 미치는 영향

        김지윤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807

        공동생성적 대화(Cogenerative Dialogues)는 수업을 한 뒤 학생-교사-연구자가 모여 수업 시 실행하였던 모든 과정을 살펴보고 반성하여 다음 차시에 반영하는 것으로 새로운 교수 학습 전략 중 하나이다. 이 연구의 목적은 과학적 모델 구성 수업에서 만들어지는 중학생의 과학적 모델에 관한 이해와 모델 구성에 공동생성적 대화가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는 것이었다. 본 연구에서는 서울 소재 중학교 1학년 2개 반 49명의 학생들에게 총 5차시 모델 구성 수업을 실시한 후 연구에 참여할 자발적인 의사를 보인 학생들 중, 공동생성적 대화에 참여한 2개 조(8명)의 학생들과 참여하지 않은 2개 조(9명)의 학생들의 모델 구성 능력을 비교하였다. 학생들은 1차시와 2차시동안 염분에 주는 요인에 관한 모델(모델1)을 만들었고, 3차시와 4차시동안 염분비 일정의 법칙에 관련된 모델(모델 2)를 만들었으며, 5차시에 표층해류의 생성원리와 표층 순환(모델 3)을 만들어 총 3개의 모델을 구성하였다. 그리고 2차시와 3차시 사이, 4차시와 5차시 사이, 5차시가 끝난 뒤인 총 3번의 공동생성적 대화를 진행하였다. 모델 구성 수업 및 공동생성적 대화가 마무리 된 후 4개 조의 학생들을 조별단위로 심층인터뷰를 하였다. 모델 구성 수업, 공동생성적 대화, 심층 면담 모두 캠코더로 촬영하고 보이스 레코더로 녹음한 뒤, 전사하였다. 학생들의 모델에 관한 이해는 Upmeier zu Belzen & Krüger (2010)의 분석틀을 사용하여 5가지 영역을 세 가지 수준으로 나누어 분석하였고, 학생들의 모델 구성 과정은 Baek et al. (2011)의 분석틀을 수정 및 보완하여 7가지 요소를 세 가지 수준에 맞춰 분석하였다. 그 결과 전반적으로 공동생성적 대화에 참여한 학생들은 그렇지 않은 학생보다 과학적 모델에 관한 이해와 모델 구성 수준이 높게 나타났다. 공동생성적 대화에 참여한 조의 학생들은 모델을 새로운 현상을 설명할 수 있는 가설로 인식하였지만, 참여하지 않은 조의 학생들은 모델을 현상을 이해하는 하나의 수단으로 인식하였다. 또한 공동생성적 대화에 참여한 학생들의 경우, “개인 모델 구성하기”와 같이 개인적 수행이 강조된 요소보다는 “조별로 토의 및 평가하기”, “발표”, “합의 모델 구성하기” 등 조원이 함께하는 태도적인 면이 강조된 요소에서 변화가 잘 나타났다. 본 연구는 공동생성적 대화가 과학적 모델 수업에서 학생들의 이해능력이나 수행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 새로운 학습 방법으로써 공동생성적 대화의 의의를 찾을 수 있다. 또한 학생들의 모델 구성 과정을 측정하는 분석틀을 마련하고, 공동생성적 대화를 모델에 관한 이해 및 모델 구성에 접목시켜 보았다는 점에서 후속 연구의 발판이 될 수 있다. 후속 연구에서는 공동생성적 대화가 학생의 능력 변화뿐만 아니라 교사, 구성원 간의 상호작용, 수업 설계, 수업 전략 등과 같은 다른 영역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연구할 필요가 있다. 공동생성적 대화가 학교 현장에 실제로 적용되기 위해서는 수업 사이에 교사와 학생이 모여 이야기할 수 있는 시간이 확보되어야 하고 현장 수업의 개선이 필요하다. 블록 타임 수업제와 같이 교사가 융통성 있게 활용할 수 있는 수업이 늘어야만 하고 이를 위해서는 교육정책의 변화가 동반되어야 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