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손창섭 소설의 생명 정치 연구

        이진송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24 국내박사

        RANK : 248702

        본 연구는 손창섭의 소설에서 생명을 관리하는 통치 기술로서 권력이 작동하는 양상을 분석하였다. 이는 문학에서 형상화되는 권력의 다양한 성격과 효과를 규명하고, 긍정과 부정의 이분법을 넘어서는 손창섭 소설의 고유성을 규명했다는 의의가 있다. 본 연구는 푸코의 생명 정치 이론을 이론적 틀로 삼는다. 푸코의 권력 이론에서 생명 권력은 주권 권력, 규율 권력과 함께 권력의 복합적 구조를 생성한다. 주권 권력이 죽일 수 있는 권력을 행사한다면 규율 권력은 훈육과 통제를 통해 온순한 신체를 생산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생명 권력은 생명을 ‘살게 만들고 죽게 내버려 두는’ 권력으로서, 안전 테크놀로지를 이용하여 인구를 육성하고 사회를 보호한다. 생명에 대한 권력의 조직화는 육체의 규율과 인구의 조절이라는 두 가지 극을 중심으로 전개되는 광범위한 기술이다. 생명 권력은 각종 지식과 결탁하여 종(種)으로서의 인구를 낱낱이 분석하고 관리한다. 생명 정치는 권력이 생명을 보호한다는 명목으로 육체와 삶의 여러 요소에 개입하여 장악하는 방식과, 이에 순응하거나 저항하는 주체의 역동적인 관계망을 일컫는다. 푸코의 생명 정치 이론은 통치성이라는 개념으로 확장된다. 통치성은 국가의 권력이 작용하는 기술과 관행을 아우르는 종합적 틀이자 피통치자들의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논리나 방법을 뜻한다. 생명 정치에서 통치란 삶과 생명을 통솔하는 권력의 행사이다. 한국 전쟁을 겪고, 국가 재건이 중요한 과제였던 1950-60년대는 강력한 주권 권력과 규율 권력, 생명 권력이 복합적으로 작동하는 통치성의 시대였다. 안보를 내세우며 불순분자를 축출하고, 근대적 규율을 체화한 시민으로 개조될 것을 촉구하고, 경제적 자유를 보장하고, 국민의 건강을 증진하고, 생활의 질을 개선하는 기술이 동시다발적으로 이루어졌다. 억압과 규제만이 아니라 자유를 보장하고 욕구를 독려하는 기술이 주체의 순응과 동의를 끌어내는, 중층적인 권력 구조가 이 시기의 통치성을 형성한다. 손창섭의 소설이 가부장제와 자본주의, 당대 정치 체제에 비판적이었다는 사실은 널리 알려져 있다. 생명 정치의 차원에서 손창섭의 소설을 읽는 것은 통치성에 저항하거나 거부하는 양상뿐 아니라, 매혹되거나 적극적으로 동의하는 면모를 함께 발견하는 작업이다. 이를 통해 손창섭의 소설의 특성을 재구성할 수 있다. 성적 일탈, 아동의 트라우마, 가족의 해체, 훼손된 신체와 무기력 등은 지금까지 손창섭 소설의 부정성을 강조하는 요소였다. 본 연구는 생명 권력이 정상과 비정상을 생산하고 이용하는 권력 체계를 검토하여, 비규범적 요소들이 문학적으로 형상화되는 의미를 새롭게 사유하고자 한다. 이 논문은 섹슈얼리티, 가족, 노동 장치를 중심으로 손창섭 소설을 분석하였다. 장치는 권력이 침투하거나 구체화되는 장소이자 권력의 효과를 가시화하는 틀이다. 장치는 다의적이어서 권력의 작용과 동시에 저항을 산출한다. 따라서 각 장치가 손창섭의 소설에서 생명 정치의 통치술과 맺는 관계를 주체, 공간, 서사의 층위에서 규명하고자 하였다. Ⅱ장에서는 손창섭의 소설이 창작되었던 시대에 생명 정치의 통치술이 어떻게 전개되는지 살펴봄으로써 소설과 시대의 상관관계를 살펴보았다. 1950년대와 1960년대는 반공과 규율이 상징하듯 억압적인 권력의 이미지가 강한 시대이다. 동시에 이 시기의 생명 정치는 전후 한국 사회를 재건하려는 국가의 통치성과 더 나은 삶을 누리려는 국민의 열망이 맞물리며 작동했다. Ⅲ장에서는 섹슈얼리티 장치를 통해, 손창섭 소설에서 의학적 지식을 통치의 전략으로 활용하는 생명 정치의 양상을 분석했다. 정신의학과 심리학은 특정 섹슈얼리티를 병리화하고, 오염과 감염의 공포는 공간을 분할하고, 인구조절과 재생산을 목표로 하는 가족계획사업은 부부의 섹슈얼리티를 관리한다. 섹슈얼리티를 교화하려는 통치에 맞서는 저항은 일탈로 드러난다. 성적 타자는 병리적 쾌락을 향유하는 대항품행을 실천하고, 격리된 공간의 경계를 침투하여 새로운 장소성을 창출한다. 섹슈얼리티의 주도권을 쥐려는 아내들의 서사는 기혼 여성의 섹슈얼리티를 결혼 관계 안으로 포섭하려는 통치에 대항한다. Ⅳ장에서는 가족 장치를 통해, 손창섭의 소설이 생명 정치의 통치술과 어떻게 상호작용하는지 살펴보았다. 가족은 인구의 최소 단위 집단이자 이데올로기가 교차하는 장소이다. 생명 정치는 합법적인 재생산을 가족 내부로 한정하며, 생활 조건이나 삶의 방식을 규격화한다. 근대적 양육 지식의 중요성이 부상하면서 생명 정치는 바람직한 보호자로의 주체화를 요청한다. 가족이 머무는 집은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살림의 기술로 운영되어야 하고, 가정은 외부의 위험을 차단하는 안전한 공간으로 영토화된다. 근대적 가족상을 권장하는 생명 정치의 통치술은 이상적 가부장의 주도로 행복한 가족이 가능하다는 환상을 서사화한다. 가족을 돌보고 육성하는 통치에 저항하는 움직임은 가족 체계를 교란하는 불온함으로 드러난다. 문제아는 불안을 유발하며 통치술을 거부하고, 다양한 정체성의 거주자들이 집의 의미를 전복하는 헤테로토피아를 형성한다. 가족의 본질을 폭로하는 진실의 말하기는 쉽사리 행복의 서사에 통합되기를 거부하며 불화를 선택한다. Ⅴ장에서는 노동 장치를 통해 손창섭 소설에서 자본주의와 결합한 생명 정치가 어떻게 생산성과 효용을 기준으로 생명을 통치하는지 살펴보았다. 생명 정치의 통치술을 내면화한 주체는 자기 계발을 중시하는 생산적 주체로 거듭나고, 공간 통치는 효용과 근면의 규율이 내재한 건전한 노동 환경을 구성한다. 자립 이데올로기를 강조하는 사회복지사업은 사회 취약층을 산업역군으로 갱생시키려는 욕망을 서사화한다. 생명의 가치를 생산성으로 규격화하는 통치에 맞서는 저항은 아픈 몸의 불능과 무능함이다. 가치 없는 생명을 배제하는 생명 정치의 통치술에 맞서 끈질기게 살아남으려는 잉여인간은 장소의 의미를 전환하거나 파괴적으로 탈취한다. 또한 자립 이데올로기에 맞서 인간의 유한성을 인정하고, 의존과 돌봄을 주고받는 실천이 자활을 중시하는 생산성 통치를 무력화한다. 손창섭의 소설은 생명 정치가 배제하는 유형의 인간을 인식하고, 문학적으로 구현하는 작가 의식이 치열한 텍스트이다. 본 연구는 권력이 지식과 관리의 기술로 생명과 삶을 통치하는 특성에 주목하여, 손창섭 소설에서 생명 정치가 작동하는 양상을 살펴보았다. 권력의 다층적인 속성을 파악하여 통치와 피통치자의 관계를 다채롭게 살펴보는 것은 문학 연구에서 해석의 가능성을 확장한다. 이를 통해 작가가 형성하는 고유한 문학적 의미를 발굴하고, 손창섭 소설 독해에 새로운 관점을 제시한다는 의의가 있다. This study analyzed how biopower operates as a governing technology for managing life in Son Chang-seop's novel. This study went beyond value judgments that place productivity and health as positivity and unproductive desire and non-normative bodies as negativity and identified the uniqueness of Son Chang-seop's novels. This study uses Foucault's biopolitical theory as its theoretical framework. In Foucault's theory of power, biopower creates a complex structure of power along with sovereign power and disciplinary power. While sovereign power exercises the power to kill, disciplinary power aims to produce docile bodies through discipline and control. biopower is the power to ‘make life and let die’ and uses safety technology to convert life into population and protect society. The organization of power over life is a broad technology that revolves around two poles: discipline of the body and control of population. The power of life colludes with various types of knowledge to analyze and manage the population as a species. Biopolitics refers to the way power intervenes and takes control of various elements of life in the name of protecting life, and the dynamic network of subjects who comply or resist this. Foucault's biopolitical theory extends to the concept of governmentality. Governmentality refers to a comprehensive framework that encompasses the technologies and practices through which state power operates and the logic or method that influences the behavior of the governed. Governing as biopolitics is the exercise of power to control life. The 1950s and 1960s, when the Korean War was over and national reconstruction was an important task, was an era of governmentality in which powerful sovereign power, disciplinary power, and biopower operated in complex ways. By focusing on biopolitics, a three-dimensional analysis of governmentality during this period is possible. Governmentality is formed not only by methods of oppression or regulation, but also by a complex structure of power that guarantees freedom, encourages desire, and elicits compliance and consent from subjects. Reading Son Chang-seop's novels from the perspective of biopolitics is a task of discovering not only aspects of resisting or rejecting governmentality, but also aspects of agreement. Through this, the characteristics of Son Chang-seop's novel can be reconstructed. Sexual deviance, child trauma, family disintegration, damaged body and helplessness have been elements that emphasize the negativity of Son Chang-seop's novels so far. However, this study examines the power system in which biopower produces and uses normal and abnormal, and seeks to rethink the meaning of non-normative elements being embodied in literature. This paper analyzed Son Chang-seop's novels focusing on sexuality, family, and labor mechanisms. A device is a place where power penetrates or materializes and a framework that visualizes the effects of power. The governing art of biopolitics operates at the level of subject, space, and narrative through devices. The device is polysemous, producing resistance at the same time as the operation of power. Chapter Ⅱ examines the correlation between the novel and the times by examining how the governing techniques of biopolitics were developed in the era in which Son Chang-seop's novel was created. Chapter Ⅲ analyzed the aspects of biopolitics governing sexuality in Son Chang-seop's novels, using medical knowledge as a governing strategy. Psychiatry and psychology pathologize specific sexualities, fears of contamination and infection divide space, and family planning projects aimed at population control and reproduction manage the sexuality of couples. Resistance against the rule that seeks to civilize sexuality is revealed as an aberration. The sexual other practices countervailing behavior that enjoys pathological pleasure, and creates a new sense of place by infiltrating the boundaries of the isolated space. The wives' counterattack to take control of their sexuality counters the narrative that seeks to include married women's sexuality within the marriage relationship. In Chapter Ⅳ, we looked at how Son Chang-seop's novels interact with the governing techniques of biopolitics through the family device. The family is the smallest unit of population and a place where ideologies intersect. Modern parenting knowledge makes the subject a desirable guardian. The house where the family stays is governed by scientific and systematic housekeeping techniques, and the home is territorialized as a protective space that blocks external dangers. The governing art of biopolitics narrates the fantasy that a happy family is possible under the leadership of an ideal patriarch. Movements that resist this are revealed as unrest that disturbs the family system. Problem children cause anxiety, and residents with diverse identities form a heterotopia that overturns the meaning of home. Additionally, telling the truth that exposes the nature of family refuses to be easily integrated into the narrative of happiness and instead chooses discord. The Chapter V is a device that visualizes the operation of biopolitics combined with capitalism based on productivity and utility. Subjects who have internalized the governing techniques of biopolitics are reborn as productive subjects who value self-development, and the space where labor discipline operates provides a sense of efficacy. Social welfare work that emphasizes the ideology of self-reliance rehabilitates the socially vulnerable into industrial workers. On the other hand, the sick body reveals its incompetence and confronts the ruling techniques of biopolitics that abandon and exclude surplus humans. They transform or destructively steal the meaning of a place. The narrative that acknowledges human finitude and exchanges dependence and care neutralizes the rule of biopolitics that emphasizes self-sufficiency. Son Chang-seop's novel is a text that fiercely embodies the governing techniques of biopolitics and the movement to resist it. This study focu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power governing life and life with knowledge and management techniques, and examined the way biopolitics operates in Son Chang-seop's novels. This paper sought to explore the possibility of analysis beyond the existing dichotomy of positive and negative. This approach is significant in that it expands the political meaning of Son Chang-seop's novel and analyzes the relationship with governmentality in the 1950s and 1960s in a three-dimensional manner.

      • 초연결사회 감염서사에 드러난 정동정치와 돌봄윤리

        최슬기 동아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8701

        본 연구는 초연결사회 감염서사를 대상으로 하여 집단감염의 상황에서 생명권력이 신체에 작동하는 방식과 그에 대한 개별·집단 신체의 정동, 그리고 기존 질서를 재편하고자 하는 대안으로서 돌봄을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팬데믹 국면에서 ‘감염’이라는 재난은 이제 일상이 되었다. ‘비가시화 영역’의 바이러스 확산 상황은 우리가 인지하지 못하는 사이 우리의 ‘몸’이 이미 물질과 비물질로 인해 수 없이 연결되어 있음을 주지시킨다. 감염서사에서 신체는 외부와 내부를 연결하는 열린-계(系)이자 권력(potentia)과 역능(potestas)이 끊임없이 통과하는 장(場)이다. 본 연구는 초연결사회 일상을 배경으로 한 2010년대 이후 감염서사 텍스트를 대상으로 집단감염의 상황에서 초연결 테크놀로지와 결합한 미시-권력이 신체에 작동하는 방식과 이에 대응하는 개별·집단 신체의 상호작용을 파악한다. 이를 위해 우선, 푸코의 생명정치 이론을 바탕으로 오늘날 통제사회에서 생명권력이 작동하는 방식을 감염 신체의 분리 양상에 따라 분석한다. 집단감염의 상황에서 생명권력은 개별 신체에 대한 규율권력, 집단 신체에 대한 안전권력, 나아가 인종주의를 통해 복원된 주권 권력의 형태로 작동한다. 통제사회로 접어든 오늘날, 감염서사는 새로운 테크놀로지와 결합하면서 일상 깊숙이 파고드는 생명관리권력의 형태를 텍스트를 통해 전면화한다. 다음으로 정동 이론을 참고하여 통제사회의 생명관리권력을 유지하는 정치적 이데올로기의 작동방식과 감염이라는 재난 상황에 놓인 개별·집단 신체 외부와 내부의 상호작용을 살펴본다. 감염서사에서 ‘정동’은 두 가지 양태로 나타난다. 첫 번째는 감염 신체를 다루는 생명권력에 포섭되어 통치를 용이하게 하는 수단으로 활용되는 정동이다. 감염 신체에 대한 혐오적 정동을 생성함으로써 통치 권력은 ‘권력의 내면화’를 달성하고, 신체를 둘러싼 환경을 이용하여 정동을 조작함으로써 ‘환경의 최적화’를 수행한다. 두 번째는 생명권력에 대항하는 신체들 사이에서 촉발하고 촉발되는 정동이다. 신체 내부에 잠재되어 있던 정동은 신체들의 모여듦과 마주함을 통해 서로를 공명하고 증폭시키면서 신체 역량을 증대한다. 증가한 신체적 역량은 통치 권력의 구조를 비틀고 바깥으로 빠져나가려는 반-경향성을 보인다. 마지막으로 감염서사에 드러난 집단감염과 통제사회로 이행에서 파편화된 개인에 의해 통치 권력의 수동적 대상이 되는 ‘공동체’에 대한 실재적 대안 체제를 사유하기 위해, 헬드와 트론토의 정치·철학적 관점의 ‘돌봄’을 참고한다. 감염서사는 현실에서 지속적으로 논의되는 ‘돌봄 불평등’과 ‘돌봄 결핍’의 문제를 궁극적인 재난 상황을 통해 전면화하고, ‘함께 돌봄’에서 이어진 ‘돌봄 민주주의’의 실현을 그려내면서, 존재의 역량을 증대시키는 정동적 연결의 신체성 구축의 한 방식으로 돌봄을 제시한다. 연결된 자신과 타자의 취약성 인지를 바탕으로 상호공유하는 관계성은 감염 재난이 초래한 우울증을 타자에 대한 배려로 전환하고 그러한 배려의 형태는 인간을 넘어 동물과 환경으로 확대된 타자-되기로 발현한다. 감염서사는 이렇듯 인간의 ‘몸’이 다른 ‘몸’ 또는 사물-에너지와 결합하면서 권력에 의해 굴절되거나 저항적 신체로 확장되는 과정을 가시화한다. 감염서사가 가시화한 감염의 정치적 메커니즘을 미시물리·미시정치적 관점에서 분석함으로써 본 연구는 코로나19의 팬데믹을 맞이한 현시점에 우리가 궁극적으로 추구할 사회적 방향성을 사유토록 하는 계기를 마련한다.

      • 홉스 사회계약론의 인식론적 재구성 : 자연상태, 생명 그리고 권력을 중심으로

        이원혁 건국대학원 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8700

        본 논문은 현대국가에서 권력이 어떻게 구성되는지에 대한 탐구를 토마스 홉스(1588〜1679)의 사회계약론에 대한 현대적 해석을 바탕으로 시도한다. 이러한 시도는 권력에 대한 동의와 그로 인한 인민과 국민의 탄생을 홉스의 사회계약론에서 다시 고찰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논문은 현대 국가의 전제적 권력의 성격을 홉스의 국가론을 통해 이해하고 그의 근대적 주체가 가진 창조성에 현대적 의미를 부여하고자 한다. 자연상태의 인간은 자신의 생명을 매개로 보편과 관계를 맺으며 세계 속에 자신을 위치시키고 지배를 받는다. 이러한 계약이 가능하기 위해서는 계약을 구성하고 이해할 수 있는 근대적 주체의 가능성이 중요한 문제가 된다. 이런 근대적 주체에 대한 이해를 위하여 본 논문은 자연상태를 인식론적으로 재구성하여 고찰하고 그 속에서 탄생한 근대적 주체를 생명, 언어, 권력의 관점에서 논의한다. 이때 주체는 생명으로서 자기 창조성을 가지며, 국가와 법을 만든다. 홉스는 개체의 보편성을 완수하기 위하여 개체성에 대한 포기를 단행한다고 한다. 따라서 홉스의 보편은 개체성과 융합되지 않으며, 반대로 보편 역시 개체를 담지 하지 않는다. 푸코와 달리 홉스는 생명 자체가 권력을 구성하며 지배를 확립하는 역할을 스스로 자처하고 스스로 지배받는다. 이때 개체는 권력을 구성하지만 스스로 국민이 됨으로써 권력과는 멀어지며 조정되고 지배받는다. 생명이 지닌 자립성과 창조성은 사회계약이라는 제헌적 권력을 가진다. 그러나 현실에서 이러한 권력이 반드시 민주주의를 기획하지는 않는다. 본 논문은 홉스의 제헌권력이 가진 탈도덕성, 탈이상성에 주목하며 생명이 만들어내는 권력에 대한 책임이 개체로서 모든 생명에게 있다는 점에 주목하며, 생명은 전체주의와 민주주의 모두를 양산하는 권력을 가진다는 점을 확인한다. This study explores how power forms in contemporary countries based on a modern interpretation of Thomas Hobbes’ (1588–1679) social contract theory. This attempt is aimed at re-examining the consent to power, and the resulting birth of people and citizens, from that perspective. This study intends to comprehend the attributes of despotic power in contemporary countries from the viewpoint of Hobbes' theory of nation, and to impart a contemporary meaning to the creativity of his modern political subject. Humans in the state of nature establish a relation to a universal thing or idea through their own life, and they are governed by the world wherever they have placed themselves . To render this contract viable, the possibility of a modern political subject, who can compose and understand the contract, arises as an important issue. This study explores how power forms in contemporary countries based on a modern interpretation of Thomas Hobbes’ (1588–1679) social contract theory. This attempt is aimed at re-examining the consent to power, and the resulting birth of people and citizens, from that perspective. This study intends to comprehend the attributes of despotic power in contemporary countries from the viewpoint of Hobbes' theory of nation, and to impart a contemporary meaning to the creativity of his modern political subject. Humans in the state of nature establish a relation to a universal thing or idea through their own life, and they are governed by the world wherever they have placed themselves . To render this contract viable, the possibility of a modern political subject, who can compose and understand the contract, arises as an important issue.

      • 푸코(M. Foucault)의 생명정치와 방역정책 : ?감염병예방법?을 예로 하여

        한민지 고려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8700

        Every Quarantine policy implemented under the title of protection and management from the COVID-19 reminds of Michel Foucault’s theory of ‘biopolitics’ that power is exercised in the form of state power managing the lives of the population. Biopolitics refers to the phenomenon mainly used for the state power to protect and manage the lives of the people under the needs of the times. Foucault states that from the 15th century to the 19th century, the main operation method of power shifted from sovereign power to disciplinary power where power penetrates the individual’s body, and then to biopower which manages the whole population. Foucault’s biopolitics refers to a form of politics that protects the wellness and lives of the population through the following two methods: disciplinary power that controls individual physical body and biopower that controls the entire population. Foucault claims that “disorderly epidemics” have legalized “penetration of discipline into minor parts of daily lives.” Fear and chaos from such epidemics inject state power in the people’s body and facilitate management of the whole population, thereby enhances the ‘biopolitics’ phenomenon. In other words, ‘biopolitics’ is a major concept expressing the COVID-19 pandemic era. Thus, this paper discusses how Foucault’s theory of ‘biopolitics’ can be applied in the current COVID-19 pandemic situation and analyzes from Foucault’s perspective to find how the state’s responses to the COVID-19 help people to understand the COVID-19 better and protect the whole population. Foucault, who was the first person to advocate biopolitics, repeatedly emphasized that power has both the positive and negative effects as he analyzed the process of state power shifting from sovereign power to biopower. As Foucault argued, the concept of power has changed through times, and with the advent of neoliberalism, biopolitics has emerged as the time demanded active intervention of the state, where the state’s role is not limited to protection of individual’s property rights. As a result, the state has deeply intervened in our daily lives. Although administration of biopower has been enhanced under the unavoidable pandemic situation, the state’s quarantine policies can not be justified. People’s horror is intensified under such national emergency, which facilitates use of public power by the state could result in the enlargement of state power. As the COVID-19 is not the first epidemic of mankind, another virus may threaten humanity in the future even if the COVID-19 comes to an end. Therefore, this paper reflects whether we easily allowed the state to invade, regulate and control our day to day lives, and how we can handle a new virus in the future with the lessons and self-reflections learned from the current pandemic. 코로나19로부터 생명을 보호하고 관리한다는 명목으로 시행되는 모든 방역정책들은 국가권력이 인구의 생명을 관리하는 형태로 행사된다는 미셸 푸코의 ‘생명정치’ 이론을 떠올리게 한다. 생명정치란 국가권력이 시대적 요구에 따라 사람들의 생명을 보호하고 관리하는데 주로 사용되는 현상을 말하는 것으로, 푸코에 따르면 15세기경부터 19세기에 걸쳐 권력의 주 작동방식은 주권권력에서 개별 인간의 신체로 침투하는 규율권력을 거쳐 인구 전체를 관리하는 생명권력으로 중심이 이전되었다고 한다. 푸코가 말하는 생명정치는 개별 신체의 통제방식인 규율권력과 전체 인구를 조절하는 방식인 생명권력 두 가지 방식을 통하여, 인구의 건강과 생명을 보호하는 정치형태를 말한다. 푸코에 따르면, 무질서한 전염병이 일상의 아주 사소한 부분 안으로 규율이 침투하는 것을 합법화하였다고 한다. 팬데믹에서 이러한 전염병에 대한 공포와 혼란은 정부의 지속적인 감시와 규율을 통하여 직접적으로 사람들의 신체에 국가권력을 침투시키고 그 전체 인구를 관리하는 것을 수월하게 하기 때문에 ‘생명정치’ 현상을 더욱 강화시킨다. 따라서 생명정치 개념은 현 코로나19 팬데믹 시대를 잘 표현하는 주요한 개념이라고도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은 푸코의 ‘생명정치’ 이론이 현 코로나19 팬데믹 상황에서 어떻게 적용될 수 있는지를 논의한 글로서, 팬데믹에서 보여준 국가의 코로나19 대응이 어떻게 사람들에게 코로나를 더 잘 이해하게 하고, 전체 인구를 보호하고 도와 마침내 어떻게 살게 만들어 주는지를 푸코의 관점에서 분석한 글이다. 생명정치를 처음 주창했던 푸코는 국가의 권력이 주권권력에서 생명권력으로 전환되는 과정을 분석하면서, 권력은 부정적인 측면과 긍정적인 측면 모두 존재할 수밖에 없다고 누누이 강조한 바 있다. 푸코의 주장처럼 시대에 따라 권력변화 과정을 거쳐오고, 신자유주의로 오면서 국가의 역할이 개인의 재산권 보호에만 국한되지 않고 적극적으로 국가가 개입해야 하는 시대적 요구로서 생명정치 시대가 도래하였으며, 이에 따라 국가는 우리 일상생활에까지 깊숙히 개입하게 되었다. 팬데믹이라는 불가피한 상황 속에서 생명권력의 작동은 더욱 강화될 수밖에 없지만, 그렇다고 해서 모든 국가의 방역정책의 수단들이 정당화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이러한 국가 비상상황에서는 시민들의 공포가 심화되어 국가의 공권력 행사가 더 쉬워지며 이로써 국가의 권력은 더 커질 수 있기 때문이다. 코로나19 바이러스가 인류의 첫 번째 전염병이 아니었던 것처럼, 이번 팬데믹이 종료된다고 하더라도 미래에 또 다른 바이러스가 우리 인류를 다시금 위협할지 모른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그동안 우리가 막연히 ‘팬데믹 위기상황’이라는 명목으로 국가가 우리의 일상까지 침범하여 규제·통제하는 것을 쉽게 용인한 것은 아닌지, 더 나아가 현 팬데믹으로 얻은 교훈과 반성으로 우리는 향후 또 다른 신종 바이러스의 출현에 어떻게 대처할 것인지 등을 함께 고민해보고자 한다.

      • 한국사회에서 COVID-19와 ‘사회적인 것(the social)’의 변형 : COVID-19에 대한 통치양상을 중심으로

        박지연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8635

        The COVID-19 pandemic has led to unprecedented changes in society, and the government concerns the life and health of a population more than ever. In Korea, the first COVID-19 confirmed case was reported in January 2020. Korea’s successful response to COVID-19 has been compared with many countries worldwide. However, little is known about the transformation of ‘the social’ in Korea. Using Foucault’s analytics of power, such as ‘discourses or knowledge’, ‘technologies of power,’ and ‘technologies of the self,’ this study explored the aspects of social life and the society that have changed in Korea. ‘The discourse analysis’ shows dramatic changes in the meanings of the social. As the notion ‘social distancing’ implies, society is now perceived as dangerous and negative. The freedom of assembly guaranteed by the Constitution is also restricted in the name of the general public’s safety. In addition, the medical staff treating COVID-19 patients are now promoted as heroes, and certain groups that do not comply with quarantine rules are demonized. Hence, the two opposing discourses around the social hero and social demon arose simultaneously. Through the analysis of ‘the state’s governance techniques’, I identified the aspects of politics, power, and governance during the pandemic era. The state endeavored to supply masks to prevent the spread of infection. Furthermore, as a country boasting its digital capabilities, the state took measures to extract, compile, and utilize the general public’s personal information to make precision tracking and timely tests are possible. The state focused on securing the safety of the entire population by restricting the fundamental rights guaranteed in the Constitution and making the violation of emergency measures illegal. It encouraged the people to manage the COVID-19 situation on their own by inducing self-control among individuals and groups. Moreover, the state implemented a massive vaccination program to achieve a certain level of collective immunity and controlled the range of the number of confirmed cases and deaths through ‘governance through numbers.’ Analysis of the ‘practice techniques of the self’ examined the personal lives of the individuals. The results revealed that individuals mutually agreed to respect the ‘benefit of life’ and voluntarily reduced the activities that relied on direct, face-to-face interactions, and increased contactless meetings from home to protect themselves from the risk of infection. The common aspect of the above three dimensions is that the transformation of social life and the social are clearly revealed in the pandemic situation. As direct interactions between individuals disappeared and each stayed in a ‘home’ space, society has changed its inherent character toward ‘connect with objects’ like living creatures connecting with their habitats. In this pandemic situation, ‘the principle of life’ and ‘the principle of population’ have begun to overwhelm the standard social principles of ‘morality’ and ‘norm’ to which Emile Durkheim paid attention. Hence, individuals’ basic rights and freedoms are suppressed, and social life and the social are strengthened as individuals are closely controlled. In addition, as indicated by many previous studies, I found that the main contributing factors behind the success of the so-called ‘K-quarantine’ measures are ‘access to information as a digitally advanced nation’ (State level) and citizen’ willingness to tolerate restrictions’ (individual level) voluntarily. However, as the pandemic continues for a long time and the quarantine systems lean heavily toward centralized control, citizens need to be aware of the state’s immense power. In addition, the voluntary nature of citizens needs to be redirected because becoming too immersed in pandemic prevention can easily turn into hatred and criticism toward those who are not compliant with the quarantine measures. 코로나19로 인한 팬데믹 가태는 우리 사회에 전례 없는 변화를 가져왔고, 정부는 그 어느 때보다도 인구의 생명과 건강에 주목하고 있다. 2020년 1월 국내에서 첫 번째 코로나19 확진자가 발생한 이후 코로나19에 대한 한국의 성공적인 대응은 세계 여러 나라들과 비교되었다. 그러나 한국에서의 ‘사회적인 것’의 변형에 대해서는 거의 논의되지 않고 있는 상황이다. 본 연구는 사회적 삶과 사회적인 것에 있어서의 변화된 양상을 미셸 푸코(Michel Foucault)의 권력분석론 관점에서 확인하고자 하였다. 푸코의 권력분석론에 따르면, 권력의 메커니즘을 분석하기 위해서는 ‘담론 혹은 지식’, ‘권력의 테크놀로지’, ‘자기의 테크놀로지’를 확인하여야만 한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담론과 지식, 국가의 통치기술, 개인의 실천기술 이 세 가지 차원으로 구분하여 분석을 시도하였다. ‘담론분석’을 통해서는 사회적 삶에 대한 사회적 의미론적 차원을 확인하였다. ‘사회적 거리두기’에 의해 사회는 위험하고 부정적인 것으로 인식되고 있었으며, 헌법에서 보장하는 정치적 집합행위도 국민 전체의 안전을 위해 금지·제한되었다. 또한 감염환자를 치료하는 의료진들은 영웅으로, 방역에 소홀한 특정집단에 대해서는 악마로 인식하면서 영웅담론과 혐오담론이 동시에 등장하고 있었다. ‘국가의 통치기술’ 분석을 통해서는 팬데믹 시대의 정치·권력·통치 측면을 확인하였는데, 국가는 감염위험 및 감염확산을 방지하기 위해 마스크 수급을 안정화시키고, 디지털 데이터 국가로서의 역량을 통해 개인정보를 추출·종합·활용함으로써 추적과 검사가 용이하도록 했다. 헌법에 명시된 기본권을 제한하고 불법화시킴으로써 국민 전체의 안전을 확보하는데 주력하였으며, 개인 및 집단별로 자기통제를 유도해 스스로 코로나19 사태를 관리하도록 했다. 또한 집단면역 달성을 위해 백신접종을 시행하였으며, 확진자수와 사망자수가 적정수준에서 발생하도록 ‘숫자에 의한 통치’ 측면도 발견된다. ‘개인의 실천기술’을 통해서는 개인의 사적인 삶을 확인하였는데, ‘생명의 논리’가 중시되면서 개개인들은 감염위험으로부터 벗어나기 위해 직접적인 상호작용이 수반되는 활동은 줄이되 집에서 비대면으로 가능한 활동은 증가시키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분석결과를 통해 위 세 가지 차원에서 공통적으로 확인되는 양상은 팬데믹 사태 속에서 사회적 삶과 사회적인 것의 변형이 비교적 뚜렷하게 확인되고 있다는 점이다. 개인들 간의 직접적인 상호작용은 사라지고 집이라고 하는 공간에 각자 머무르게 되면서 사회는 마치 서식지에 거주하는 생명체를 지닌 동물처럼 ‘사물들과의 연결’로 그 구성방식이 변화되고 있었다. 이처럼 팬데믹 상황에서는 에밀 뒤르케임(Emile Durkheim)이 말한 ‘도덕’과 ‘규범’ 보다는 ‘생명의 논리’, ‘인구의 논리’가 중시되면서 개인이 가진 기본권과 자유는 억압되지만, 동시에 사회라고 하는 집합체에 개인들이 통합되면서 사회적 삶과 사회적인 것이 구조적으로 유지된다. 또한 여러 선행연구들과 마찬가지로 본 연구에서도 K-방역을 성공시킨 요소로 국가적 차원에서는 ‘디지털 데이터 국가’로서의 ‘정보’를, 개인적 차원에서는 ‘시민들의 자발성’을 지목할 수 있다. 그러나 팬데믹 사태가 장기간 지속되면서 방역체계가 중앙집권적인 성격이 짙어지고 있는 만큼 시민들도 권력을 감시할 필요가 있으며, 시민들에게서 나타나는 자발성 또한 방역에 지나치게 집중하고 몰입하게 만들어 방역에 소홀한 이들을 향해 혐오와 비난으로 이어질 수 있는 만큼 태도에 있어 전환이 필요하다.

      • 박완서 소설에 나타난 생명정치 인식

        김재건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32318

        This study aims to shed light on the writer's sense of the writer's consciousness of confronting the expansion and deepening of sovereignty that dominates Korean society by considering the biopolitical perception shown in the novel by author Park Wan-seo. The novelization of sovereignty in postwar Korean society is a driving force for creativity for Park Wan-seo. The power of life-political sovereignty, which governs and monitors the daily lives of the people and treats life itself as a political subject, has a strong influence not only in exceptional situations such as the Korean War, but also in economic development promoted by dictatorial governments in the 1970s. The economic development under the Park Chung-hee administration has been carried out in a way that activates the myth of the people, and the core of this is to root out a super-nation. The exception that left the people's lives bared during the war is now seen as deepening in the industrialized inner cities. By setting "Biopolitics" as the main element in Park Wan-seo's novel, this Report tries to get a fresh grasp of the post-war literature located in a specific space-time from a continuous perspective. For Park Wan-seo, the operation of life politics by sovereign authority begins with the sense of "Lee Kyung's Desire to Live", the protagonist in his book "Rare Wood". Lee Kyung's confession that she happened to survive while watching his family be bombed in the extreme political space of war shows the structure of sovereignty that produces survival. The writer's perception of biopolitics, which chose the daily life of the war, is problematic in that it starts from an "exception." Agamben, of course, does not see the exception as an extreme example of modern politics, but rather defines it as the fundamental nature of the sovereign structure. Even so, the author's insight into "the bared life" in the war space is worth noting. This study tries to show that such an author's vision is centered on her literary sensibility and that the exception in the narrative of the Korean War continues to appear in industrialized cities and in the history of old age. Park Wan-seo was a writer who rose in 1970 at the age of 40. As she has a heavy memory of war, the meaning of the postwar space of 17 years since the declaration of a ceasefire (1953.7.27) is also significant. If the post-war space is evaluated as a time of maturity to identify the nature of war, along with the desire for liberal democracy that has emerged under the authoritarian regime, it would have a view to comprehensively consider the similar characteristics inherent in the two paragraphs (the dictatorship-the war). Then, we can take a look at the modern history of Korea and assume a section of biopolitics that penetrates the works of Park Wan-seo, who succeeded in making a novel. It is 'dailyization of exception'. If during the war, the distinction between our allies and the enemy changed for a moment as the front moved, The dailyization of exception will produce the people/non-people (or people/non-ethnic) in the inner city, and the reproducer/non-renewable or boys/girls in the family. First, the second chapter will select novels based on the narrative background of the Korean War and reveal what violent structures the characters in the novel are under. People living on the Korean Peninsula during the Korean War are forced to respond to the call of certain ideologies depending on which government occupies the area. The characters who appeared in "Rare Wood," "The thirsty Season," "The heaviest dentures in the world," "Near the Buddha," and "Return Land" experienced exception during the Korean War. Furthermore, the exception during the war forms a structure that constantly suppresses characters through monitoring and punishment in the context of the war. This study will focus on the author's intention in Chapter 2 to identify the situation in which people who suffer continuously during the Korean War and later periods are described as "Korean constraints." Chapter 3 noted judicial power as a institution to maintain the modern national system. The representatives of judicial power in the work are capable of maintaining and stopping the power of law. The judicial power organization are the fundamental structures that constitute the unity of the system of the people's state, and they are presented in a super-status form, in which the norm and exception are self-imposed, including the suspension of the law's effect. On the other hand, This report would like to describe the structure of exploiting the bodies of poor workers in capitalist nation. Those who are desperately surviving under heavy labor are "bared life" located outside the legal boundaries. The creation of a structure in which life is capital, and capital is circulated to life, is etched into the bodies of certain workers and exposes life to threat. In Chapter 4, This study will reveal the life-force involved in family ideology through the author's novel. In particular, this report aims to reveal how the 1970s landscape, which saw a surge in the phenomenon of Lee Chon-hyang, is being connected to the novel by the author. In particular, This study want to show how the writer's novels reflect the era of the rise of the phenomenon of Rural-Urban Migration. Park Wan-seo, who is known to have made the biggest change through Rural-Urban Migration, is paying attention to the influx of elderly people into cities, suggesting that new social problems have emerged. In Park Wan-seo's work, old people who moved from farming and fishing villages are described as objects of segregation that do not belong to family and society, who have yet to have death but lead miserable lives amid dying. Thus her works repeatedly put their lives on the stage of the novel, asking for new imagination of the life and body of old age. Park Wan-seo is paying attention to the elderly who are located on the border between humans/non-humans, and is thus asking anew the meaning of human beings. Meanwhile, This study want to reveal in his novels the scenes of life-threatening birth control. Author Park Wan-seo will mainly make novels about the Korean War, nationalist development, and the disintegration of the family community. The work of Park Wan-seo can be seen as a focus on the grand narrative inherent in Korean society. Therefore, the study wanted to reveal how laws, institutions, and discussions are affecting Korean society in the process of analyzing his novels. This paper attempted to use resistant writing to counter the nationalist ideology of politicizing the lives of the people in the critical practice discourse. Liotar is looking for the "Post Modern", which is the keynote of modern literature in " La Condition postmoderne," at the "doubt of grand narrative." If so, Park's novels should be read from a strategic perspective, which destroys the epicenter formed during the construction process of the modern nation. Park Wan-seo's fictional characters, who have led to the possibility of reflecting the violence of nationalist ideology, are inducing a wealth of imagination about human life. 본 연구는 작가 박완서 소설에 나타난 생명정치적 인식을 고찰해봄으로써 한국 사회를 지배하고 있는 주권권력의 확대·심화에 맞선 작가의식을 새롭게 규명해보고자 했다. 전후 한국 사회에 있어 주권권력에 대한 소설화는 박완서에게 있어 창작의 동인이다. 국민의 일상을 지배하고 감시하며 생명 그 자체를 정치적 주제로 다루는 생명정치적 주권권력은 6·25전쟁과 같은 예외상태에서 뿐만 아니라 1970년대 독재정권이 추진한 경제개발 속에서도 강한 영향력을 갖는다. 박정희 정권기 경제개발은 민족의 신화를 작동시키는 방식으로 진행됐으며 초-국가를 정초하는 것이 그 핵심을 이룬다. 전쟁 중 국민들의 생명을 벌거벗게 만든 예외상태는 이제 산업화된 도심에서 심화된 양상을 보인다. 이 글은 ‘생명정치’를 박완서 소설에서 형상화하고자 한 요체로 설정함으로써 특정 시공간에 위치한 전후문학을 연속된 관점에서 새롭게 파악하고자 했다. 작가에게 있어 주권권력에 의한 생명정치의 작동은 그의 등단작인 『나목』에서 주인공 ‘이경’이 갖는 ‘살고 싶음’의 감각에서부터 시작한다. 전쟁이라는 극단적인 정치적 공간 안에서 가족이 폭살당하는 것을 목도하며 우연히 살아남게 됐다는 ‘이경’의 고백은 ‘생존을 생산’하는 주권권력의 구조를 여실히 드러낸다. 폭격이 난무하는 전쟁 일상을 서사배경으로 택한 작가의 생명정치 인식은 ‘예외상태’로부터 출발하며 국민의 생명을 보호하는 법이 중지된 순간을 예리하게 포착한다. 아감벤은 예외상태가 현대 정치의 극단적인 사례라고 보지 않고 오히려 주권 구조가 지닌 근본적인 성격으로 규정한다. 전쟁 공간 속의 ‘벌거벗은 생명’에 주목한 작가의 통찰은 고찰되어야 하며, 전쟁서사를 넘어 도시 및 노년서사에 이르기까지를 아우를 수 있는 포괄적 방법론을 강구해야 한다. 따라서 본고는 생명정치의 인식을 박완서의 문학관 중심에 위치시키며, 6·25전쟁 서사에 나타난 예외상태가 산업화된 도시 및 노년서사에까지 지속적으로 등장하고 있음을 밝히고자 한다. 박완서는 1970년 그의 나이 40세의 나이에 등단한 작가이다. 전쟁의 기억이 무거운 만큼 휴전이 선포(1953.7.27.)된 이후 17년이란 전후 공간의 의미 또한 작가에게 있어 유의미하다. 전후 공간을 독재정권 하에서 발현한 자유민주주의에 대한 열망과 더불어, 전쟁의 성격을 규명해볼 수 있는 숙의의 시간으로 평가한다면, 이 두 가지 항(독재정권-전쟁)에 내재한 유사한 성격을 통합적으로 고찰해볼 수 있는 시각을 갖게 됐을 것이다. 그렇다면 한국근현대사를 통시적으로 고찰해 소설화에 성공한 박완서의 작품들을 관통하고 있는 생명정치 특질의 한 단면을 가정해볼 수 있는데, 그것은 바로 ‘예외상태의 일상화’이다. 전쟁 중 예외상태가 아군과 적군의 구분이 전선의 이동에 따라 일순간 뒤바뀌는 기능을 했다면, 예외상태의 일상화는 도심 속에서 국민/비국민(혹은 민족/비민족)을 생산하게 되고, 가족 내에선 재생산자/비재생산자 혹은 남아(男)/여아(女)를 조직하게 된다. 먼저 2장에서는 6·25전쟁을 서사배경으로 하는 소설들을 선별해 주권권력에 의해 소설 내 인물들이 어떤 폭력적 구조 속에 포함 돼 있는지를 밝혔다. 6·25전쟁 당시 한반도에 거주한 사람들은 어떤 정부가 해당 지역을 점령하는가에 따라 특정 이데올로기의 호명에 응답할 수밖에 없는 처지에 놓인다. 『나목』, 『목마른 계절』, 「세상에서 제일 무거운 틀니」, 「부처님 근처」, 「돌아온 땅」 등에 등장하는 인물들은 6·25전쟁 중 예외상태를 경험하게 된다. 뿐만 아니라 전쟁 중 예외상태는 전후 맥락 안에서 감시와 처벌을 통해 인물들을 지속적으로 억압하는 구조를 형성한다. 6·25전쟁과 그 이후의 시기에 지속적으로 고통 받는 인물들이 처한 상황을 “한국적 제약”이라고 명명한 작가의 의도를 2장에서 중점적으로 살피고자 한다. 3장에서는 현대 국가 시스템을 유지하기 위한 제도로서의 사법권력에 주목하였다. 이번 장에서는 「연인들」, 「조그만 체험기」, 「꿈과 같이」, 「어느 시시한 사내 이야기」, 「카메라와 워커」, 「도둑맞은 가난」 등을 주요 분석 대상으로 하여, 사법권력 대리자의 수행 및 초-입법적 생명경제화되는 장면들을 분석하였다. 사법권력 기관은 국민국가의 시스템의 통합을 이루는 근원적 구조인데, 법의 효력을 중지시키는 것을 포함하기에 정상과 예외를 스스로 정초하는 초위상적 형태로 제시된다. 한편, 자본주의 국가 내에서 가난한 노동자의 몸을 착취하는 구조에 대해서 기술하고자 한다. 강도 높은 노동을 감수하며 필사적으로 생존하는 인물들은 법의 테두리 바깥에 위치한 ‘벌거벗은 생명’이다. 생명이 곧 자본이고, 자본이 곧 생명으로 순환하는 구조의 생성은 특정 노동자의 몸들에 새겨지며 생명을 위협에 노출시킨다. 4장에서는 가족 이데올로기에 개입되고 있는 생명권력의 모습들을 작가의 소설을 통해 드러내고자 했다. 특히 본고에서는 이촌향도 현상이 급증한 시대를 작가의 소설에서 어떻게 반영하고 있는지를 밝히고자 하는데, 박완서는 이촌향도를 통해 가장 큰 변화가 이뤄진 것으로 ‘노년 인구의 도시 유입’을 주목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새로운 사회 문제가 대두했음을 시사한다. 박완서의 작품에서 농어촌 발(發) 노년들은 가족과 사회 그 어디에도 속해있지 않은 격리의 대상으로 묘사되는데, 이 노년들은 아직 죽음(death)을 갖진 않았지만 죽어감(dying) 속에서 비참한 생활들을 영위하는 존재들이다. 따라서 그의 작품들은 노년의 삶과 몸에 대한 새로운 상상력을 요청하며 반복적으로 그들의 삶을 소설의 무대에 올린다. 작가는 인간/비인간의 경계에 위치한 노년들에 주목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인간의 의미를 새롭게 묻고 있다. 한편, 출산담론을 둘러싸고 생명의 위계화가 이뤄지는 현장들을 그의 소설에서 밝혔다. 작가 박완서는 6·25전쟁·국가주의 발전·가족 공동체의 해체 등을 주로 소설화한다. 이러한 박완서의 작업은 한국 사회에 내재한 거대서사에 대한 주목으로 볼 수 있으며, 이 속에 기입된 억압을 비판한 것으로 볼 수 있다. 따라서 그의 소설을 분석하는 과정에서 법·제도·담론 등이 현재 한국사회에 어떤 영향력을 끼치고 있는지를 밝히고자 했다. 본고는 비판적 실천 담론 속에서 국민의 생명을 정치화하는 국가주의 이데올로기에 맞설 수 있는 저항적 글쓰기를 시도했다. 리오타르는 『포스트 모던의 조건』에서 현대문학의 기조가 되고 있는 포스트 모던함을 “거대 서사의 회의”에서 찾고 있다. 그렇다면 박완서의 소설은 현대 국가의 건설의 과정 중에 형성된 거대서사를 부수는 기획적 차원에서 파악해야 함이 옳다. 국가주의 이데올로기의 폭력성을 성찰 가능하도록 이끈 박완서의 소설 속 인물들은 인간 생명 및 삶에 대해 풍부한 상상력을 유도하고 있다.

      • 박완서의 전쟁 소설에 나타나는 생명정치 연구 : 주권권력과 호모사케르를 중심으로

        조길란 명지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32317

        1950년 6월 25일 발발한 한국 전쟁은 한반도에 지대한 영향을 끼쳤다. 한국 전쟁이 남긴 피해는 개개인의 삶에 커다란 상흔을 남겼으며 한국 전쟁으로 형성된 반공 이데올로기는 말 그대로 대한민국 사회를 지배하였다. 반공 이데올로기는 대한민국을 결집시키는 힘이었던 동시에 내부의 적을 색출하여 처벌하는 근거였다. 국가는 반공 이데올로기를 통해 국민을 통제하였고 빨갱이라는 이름으로 수많은 생명이 배제되었다. 한국 전쟁은 반공 이데올로기와 함께 생명 정치를 형성했다. 한국 전쟁을 통해 형성된 국가 체계는 국가가 개개인의 삶과 사적인 영역을 통제할 수 있게 만들었으며 개인이 그것을 당연하다 여기게 만들었다. ‘반공 이데올로기에 따르지 않는 빨갱이는 죽어도 되는 생명’이라는 가치는 국가가 국민의 생명을 살게 할 것인지 죽게 할 것인지를 결정할 수 있다는 생각을 심어주었으며, 이러한 생각은 이후 국민의 생명인 출산과 사망까지도 정치에 끌어들일 수 있게 만들었다. 문학 또한 한국 전쟁으로부터 많은 영향을 받았다. 한국 전쟁 이후 한국 문학에서는 한국 전쟁에 대해 다루는 소설이 대거 등장했다. 한국 전쟁을 다루는 소설들은 전쟁으로 인한 개인의 상흔을 그려내거나 동족상잔이라는 민족적 비극을 형상화 하였으며 개인에게 가해지는 국가의 폭력을 드러내기도 했다. 박완서는 한국 전쟁을 소설로 형상화한 대표적인 작가이다. 박완서는 전쟁소설을 통해 국가의 억압을 고발하고 전쟁으로 인해 배제된 생명들을 조망함으로써 자신의 비극을 개인사에서 보편사로 끌어올렸다. 특히 박완서의 소설은 한국전쟁기 국가가 생명을 통치한 방식을 보여줌으로써 대한민국이 근대 국민 국가로 형성 되는 과정에서 생명정치를 통해 생명을 정치의 영역에 포섭하는 구조를 노출시킨다. 그런 의미에서 생명정치가 더욱 교묘하게 일상에 포진해있으며 주권권력이 더욱 촘촘하게 생명을 얽매고 있는 현 시점에서 대한민국의 생명정치가 어떻게 시작되었으며 주권권력이 어떻게 형성되었는지를 고찰하는 것은 중대한 의미를 가질 것이다. Ⅱ장에서는 박완서의 전쟁 소설을 바탕으로 한국전쟁기에 국가가 어떻게 형성되었으며 이 과정에서 주권권력이 어떻게 형성되고 작용되었는지는 살펴보았다. 1절에서는 예외상태에서 법이 효력을 정지하는 것과 그로인해 법과 폭력, 내부와 외부가 식별되지 않는 아노미적 공간이 창출되는 것을 살펴보았다. 한국전쟁기에 서울은 법률은 존재하지 않지만 주권권력은 존재하는 공간이다. 이 공간에서 국가의 내부와 외부, 법의 내부와 외부는 식별되지 않으며 법과 폭력 또한 식별되지 않는다. 2절에서는 주권 권력을 독점하기 위해 국가가 형성되고 그 과정에서 생명이 정치의 대상으로 포섭되는 것을 살펴보았다. 한국전쟁은 대한민국과 인민공화국이 주권권력을 독점하기 위한 싸움이었다. 국가는 인구조사를 통해 만들어진 명단을 자원의 동원과 통치에 사용한다. 생명의 출생과 사망이 국가의 국력과 국부에 직접적인 영향을 끼치는 요소로써 정치의 영역에 본격적으로 들어오게 된 것이다. 명단을 통해서 국가는 국가의 통치에 필요하지 않은 생명을 구분했으며 그를 배제하는 방식으로 국민을 형성했다. 3절에서는 주권권력의 특성에 대해 알아보고 정치와 하나가 된 생명인 주권자에 대해 살펴보았다. 예외상태를 결정할 수 있다는 점에서 주권자는 법의 내부와 외부의 비식별역에 위치한다. 주권자의 신체는 그 자체로 예외상태이며 그의 목소리는 법률 없이도 법과 같은 힘을 지닌다. 『목마른 계절』에서 수령의 말이 법과 같은 힘을 가지며 인민군 군관의 말로 인해 아이들의 존재가 없는 것이 되는 것은 이러한 것을 보여준다. Ⅲ장에서는 박완서의 전쟁 소설을 바탕으로 한국전쟁기에 국민이 형성된 과정과 생명이 국민에서 배제되는 과정을 살펴보았다. 1절에서는 한국전쟁을 통해 혈족 중심의 민족 공동체가 붕괴되고 비오스 중심의 국민이라는 공동체가 새롭게 형성되어 생명이 정치적 존재가 되는 것을 살펴보았다. 한국전쟁은 민족 공동체를 무너트렸으며 국민이라는 공동체를 새롭게 형성했다. 국민은 민족처럼 혈통과 같은 자연적 요소에 의해 결정되는 것이 아니라 그가 어떠한 삶의 방식을 따르는가에 의해 결정된다. 생명은 비오스라는 정치적 생명으로 탈바꿈되었다. 반면 국가와 정치에서 배제되었던 출산은 인구라는 형태로 새롭게 정치의 영역에 포섭되었다. 2절에서는 생명이 국가로부터 배제되지 않기 위해 국민 수행을 하는 것을 살펴보았다. 국가에서 배제된 생명은 희생제의 없이 살해당할 수 있었기에 생명은 배제되지 않기 위해 정치적 행위를 해야 했다. 대한민국은 국민이 따라야 하는 삶의 방식은 반공이었다. 생명이 국가로부터 배제되지 않기 위해서는 국민 수행을 해야 했다. 박완서의 전쟁 소설에 대표적으로 등장하는 국민 수행은 피난이다. 가족들은 피난을 가지 못해 국민에서 배제될 위험에 처하며, 이러한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해 피난을 연기하기도 한다. 3절에서는 배제된 생명인 호모사케르를 조명하여 호모 사케르를 창출해 생명에 대한 생사여탈권을 소유하는 것이 주권의 구조임을 살펴보았다. 박완서의 전쟁 소설에 공통적으로 등장하는 인물인 오빠는 호모 사케르란 무엇인가를 보여준다. 주권자는 국가 내의 모든 생명에 대하여 생사여탈권을 가진다. 이런 점에서 모든 국민은 주권자에게 생사여탈권을 맡긴 호모사케르이다. 생명을 국민으로 포섭하거나 국민에서 배제하는 것, 결과적으로 모든 생명을 호모 사케르로 만들어 그에 대한 생사여탈권을 지니는 것이 바로 생명 정치이자 주권의 구조이다. Ⅳ장에서는 박완서의 전쟁 소설을 바탕으로 한국전쟁 이후 호모사케르가 되어버린 생명이 주권의 구조에 어떻게 대응했는가를 살펴보았다. 1절에서는 호모사케르로서의 처지와 현실이 예외상태임을 망각하기 위해 스펙타클의 세계로 빠져드는 모습을 살펴보았다. 박완서의 전쟁 소설에서 스펙타클은 피엑스라는 공간과 미제 물건으로 나타난다. 또한 인물들은 미제 물건을 사용하고 미국인의 삶을 흉내내 전쟁 중인 현실을 망각한다. 그러나 이렇게 미제 물건을 갈망하고 미국인의 삶을 모방하면 할수록 그들은 주권권력과 부를 소지하지 못한 현실만을 느끼게 될 뿐이다. 이러한 낙차는 모멸감과 수치로 다가온다. 2절에서는 호모사케르로서의 처지에서 벗어나기 위해 미국으로의 이민을 꿈꾸는 인물들을 살펴보았다. 박완서의 전쟁 소설에 등장하는 이들 중 미국으로의 이민을 꿈꾸는 자들은 대부분 성매매 여성이며 국가로부터 배제된 생명이다. 그들은 미국 주권자의 도장이 찍힌 신분증명서를 얻어 호모사케르의 처지에서 벗어나려 한다. 그러나 생명을 호모사케르로 만들어 주권 권력을 창출하는 주권의 구조는 근대 국민 국가의 근간이며 이는 미국에서도 마찬가지이다. 대한민국에서도 배제되고 미국에서도 배제된 생명들은 결국 난민화 된다. 3절에서는 현실이 예외상태이며 자신이 호모사케르로서라는 것을 받아들인 인물들을 통해 증언의 의의에 대해 살펴보았다. 박완서의 전쟁 소설에 등장하는 엄마라는 인물들은 자신이 호모사케르임을 받아들이고 살아간다. 그의 앞에서 오히려 주권 권력은 무화된다. 이때 엄마는 무기력한 인물이 아니라 망각에 저항하는 인물이 된다. 이는 『그 많던』에서 ‘나’가 벌레의 시간을 잊지 않고 증언하려는 의지로 나타나며 이는 작가 박완서의 글쓰기와 연결된다. 박완서의 글쓰기는 희생제의를 거부하는 글쓰기이며 벌레의 시간에 대한 증언은 호모사케르임을 받아들이는 행위이다. 자신이 호모사케르임을 받아들이는 작가 박완서와 그의 전쟁 소설들 앞에서 주권권력은 무화된다. The Korean War which broke out on June 25th 1950 affected the Korean peninsula immensely. It has left a great scar in each individual’s lives and the anti-communist ideology has literally dominated the Korean society. The anti-communist ideology was the force that held Korea together as well as the justification for seeking out and punishing the enemy within. Republic of Korea controlled its people through anti-communist ideology and in the name of ‘commies’, many lives have been excluded. The Korean War created biopolitics alongside anti-communist ideology. The state system that occurred during the war has made the state able to control each individual’s lives and invade their personal areas, and also to have them consider it justifiable. The idea that ‘a commie who defies the anti-communist ideology is a life worth killing’ instilled the notion that the state can determine whether or not its people can live or die. The same notion has since made it possible for politics to get involved in people’s life, namely their birth and death. Literature has also been heavily influenced by the Korean War. After the war, dozens of novels concerning the subject have surfaced amongst the Korean literature scene. Several have illustrated the pain of an individual caused by the war or portrayed the national tragedy of fratricidal war, consequently revealing the violence wielded upon the people by the state. Park Wan Seo is one of the prominent authors who portrayed the Korean War. She has transformed her personal history into the people’s history by writing novels that disclosed the state’s oppression and shone light on lives that were marginalized by the war. Her novels especially exposed how life itself gets dragged into politics, meaning how biopolitics is formed over the course of Korea becoming a modern state, by showcasing the mechanism in which the state controlled people’s lives during the war. At the current moment, where biopolitics is prevalent in everyday lives in a much more subtle ways and sovereign power has grasped life much more tightly in their hands, studying how biopolitics in Republic of Korea has begun and how sovereign power was formed will have significant meaning. The second chapter discusses how the state was formed during the Korean War and how the sovereign power was also formed and applied during that period of time, according to Park Wan Seo’s war novels. The first section discusses the law coming to a halt in times of exception and thus creating a space where law is not discerned from violence, the inside not discerned from the outside. In the period of war, Seoul was a place where law did not exist, but sovereign power did. In this space, the inside and the outside of state and law are not distinguished. In a similar fashion, law and violence could not be discernable as well. The second section discusses how a state is formed with intention to have monopoly on sovereign power, and how life becomes an object of politics during that process. The Korean War was a battle to decide who acquires sovereign power, between Republic of Korea and the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 The state used the list of names made by census to rally resources and to reign over people. The birth and death of a life full-fledged became a factor that directly affected the power of state and its national wealth. Using the list of name, the state sorted out lives that were not essential in its reign and formed a nation by excluding those figures. The third section focuses on the features of sovereign power and the sovereign, which is a life that became one with politics. In the sense that they can determine a state of exception, the sovereign is placed in the indistinguishable area between the inside and the outside of law. His body itself is in a state of exception and his voice equal as law, even without legislation. In the Season of Thirst, one can observe how the leader’s words have the same power as the law, and how the presence of children disappears due to the words of a North Korean military officer. The third chapter discusses the process in which a nation was formed during the Korean War and how life was excluded from the idea of nation, based on Park Wan Seo’s war novels. The first section discusses the process where the ethnic community based upon blood relations is destroyed by the war and instead the national community based on bios is newly formed, allowing life to become a political existence. The Korean War dismantled the ethnic community and newly created a community of nation. A nation is not determined by natural factors like an ethnic group is, but is determined by the way of life people choose to follow. Life is transformed into political life called bios. On the other hand, the birthing process that was previously excluded from the state and politics came to be newly included in the realm of politics in the form of population. The second section discusses the performance of nation that a life has to act out in order to not be excluded from the state. Since a being that was excluded from the state could be killed without sacrificial ritual, in order to not be excluded, they had to politically perform. The way of life that nation of Republic of Korea should follow was anti-communism. For a life to not be excluded from the state, they had to follow the performance of nation. The performance of nation that mainly appears in Park’s war novels is taking refuge. The family members risk from being excluded from a nation because they cannot take refuge and they eventually perform the act of seeking refuge. The third section focuses on homo sacer, the excluded life, and the structure of sovereign that is in the making of homo sacer, thus possessing the life-or-death authority. The older brother figure that makes appearance in both of Park’s war novels shows what it means to be a homo sacer. The sovereign holds absolute power over life and death of every being within the state. In this sense, one can say that every nation is a homo sacer who has entrusted the sovereign with the life-or-death authority. Including a being into a nation or excluding them from it, thus making every being into homo sacer, is in itself biopolitics and the structure of sovereign. The fourth chapter discusses how a being that has turned into homo sacer since the Korean War fought against the structure of sovereign, according to Park Wan Seo’s war novels. The first section discusses the state where homo sacer finds themselves, and them falling into a world of spectacle in order to forget the fact that the real world is a state of exception. In Park’s novels, spectacle is represented in a space called PX and products made in America. The characters also use these products to mimic the lives of Americans in order to forget the real world, which is at war. However, the more they desire American products and mimic American lives, they are only left to feel the current state they are in, a world where they possess neither sovereign power nor wealth. This discrepancy transforms into mortification and shame. The second section discusses characters who dream of immigrating to America in order to escape their status as homo sacer. Most of the ones who dream of moving to America in Park’s novels are prostitutes, lives excluded from the state. They intend to escape their position as homo sacer by obtaining identification papers with stamp of approval as American sovereign. However, as the structure of sovereign that turns lives into homo sacer in order to create sovereign power is the very foundation of modern nation-state, things a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in America. These lives that were excluded in both Republic of Korea and United States eventually become displaced. The third section discusses the significance of testimonies by those who accepted the reality that is the state of exception and their status as homo sacer. In Park’s novels, the mothers accept their state as homo sacer. In the face of them, the sovereign power rather disintegrates. In this case, a mother is not a lethargic being but a being that resists against oblivion. This is represented in Who Ate Up All the Shinga, where ‘I’ attempts to not forget the times of vermin, but rather to testify it. This is also linked to Park’s writing. Park’s writing is a kind of writing that rejects sacrificial rituals and the testimonies of times as vermin is an act of accepting the status of homo sacer. Sovereign power disintegrates in the presence of author Park Wan Seo and her novels, both of which accepting the state of homo sacer.

      • 북한에서 학교체육을 통한 몸의 통제

        조진수 연세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32285

        70여 년 간 닫힌 사회주의 체제를 유지하고 있는 북한에 대한 연구들은 북한을 여타 국가들과 다른 특수하고 독특한 체제로 인식하고 바라보는 경우가 많다. 본 논문은 북한 역사의 내적 동학은 특수한 것이 아니라 세계 역사의 큰 틀 속에서 나타난 근대 산물의 변형이라는 전제로 북한의 학교체육 영역에서 작동한 미시규율권력을 분석했다. 역사 속에서 서구 근대라는 시기의 출현과 그 영향으로부터 자유로울 수 있는 국가와 국민 혹은 인민은 있을 수 없기 때문이다. 이러한 관점으로 북한을 바라볼 수 있게 한 이론적 틀은 푸코의 생명관리정치의 미시규율권력이다. 일반적인 권력이론은 위로부터의 권력의 메커니즘을 분석하는 반면 푸코는 권력은 소유물이 아니라 사람들 사이의 전략이며 사회 속에서 살아있는 유기체처럼 촘촘히 연결된 그물망과 같기 때문에 권력을 아래로부터 파악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푸코는 근대사회로 들어서면서 국가권력에 의해 사회구성원의 삶을 관리하고 최대한 활용하기 위해 몸을 규율․감시하고 조절․통제하는 생명관리정치의 시대가 왔다고 주장하였다. 근대 이후의 생명관리정치는 미시적 통치 대상인 개인의 몸에 대한 미시규율권력 기술과 종(種)으로서의 인구의 통제라는 거시적 통치 기술이 서로 맞물리면서 작동한다. 국민을 생산하고 순종하는 몸으로 만들기 위한 몸의 정치학적 기술이 미시규율권력인데 사회 도처에 치밀하고 정교한 그물망과 같은 다양한 제도를 작동시켜 국민이 자유로운 실천 속에 규율권력을 내면화하도록 하였다. 푸코의 생명관리정치는 자유주의적 통치 환경 하에서 작동하는 이론인데 그는 이것을 좀 더 진화시켜서 자본주의와 전체주의의 동근성(同根性)을 언급하면서 나치독일과 소비에트에서의 생명관리정치의 작동도 독창적이고 특수한 게 아니라 대부분 근대 정치이성이 만들어낸 기제를 사용했다고 논한다. 전체주의 기획은 위로부터의 독재와 폭압적 권력으로만 이루어진 것이 아니라 아래로부터 과학적인 지식을 이용하여 각종 법과 제도, 교육, 문화, 담론, 선전·선동, 규율을 통해 국민의 일상의 삶에서 동기부여, 장려를 함으로써 자율적인 실천 속에 스스로 규율권력을 내재화하도록 한 것이다. 위로부터 사람들의 자아를 억압하는 방법 대신 개인이 사회에 공헌하고 사회를 번영시키기 위해서는 개인이 집단에 통합되어야 한다고 끊임없이 속삭이면서 몸의 정치학적 기술을 통해 사람들 스스로 그들의 유토피아 국가를 건설하게 만들었다. 나치와 소비에트에서 만들어진 새로운 인간형은 자본주의에서보다 더 극단적이고 치밀하고 정교하게 기획된 것이다. 1950년대에 북한권력은 소비에트 체제를 그대로 이식하여 과학적 합리성에 기초하여 빠르게 사회주의 국가를 건설하고자 했고 그 과정에서 새로운 사회주의 인간형을 창출하려 했다. 이를 위해 사회주의 교육제도가 빠르게 정립되었다. 그런데 북한권력은 사회주의 인간형을 창출하기 위해 단순히 교육제도 정비와 이론적인 사회주의 교육 강화에만 그치지 않고 학생의 몸에 적극적으로 개입했던 것으로 보인다. 북한이라는 국가가 원하는 사회주의 인간형을 창출하기 위해서는 체력이 뒷받침되는 인민이 필요했던 것이다. 제도화된 학교는 인민들이 몸을 형성해나가는 직접적인 장소이다. 학교의 일상생활은 말하고 듣고 배우는 것만 있는 게 아니라 움직임, 관리, 통제, 훈육이 이루어진다. 특히 학교의 체육교육은 몸의 형성에 본질적인 영향을 끼치는데 북한권력은 학교체육을 통해 학생의 몸에 적극적으로 개입하여 생산하고 순종하는 몸으로 만듦으로써 사회주의 인간형을 만들고자 했다. 북한권력은 노동력과 국방력의 튼튼한 기반이 될 인민을 원했던 것이다. 이를 위해 북한의 당과 국가는 체육위원회를 통해 섬세한 학교체육 제도의 그물망을 만들었으며 교장과 체육교사의 어떠한 자율권도 허용하지 않았다. 본 논문은 이러한 문제의식을 가지고 북한이 학교체육에 개입한 이유와 이를 위해 활용했던 통제 기술을 푸코의 생명관리정치의 미시규율권력의 네 가지 기술에 적용시켜 분석했다. 분석 시기를 셋으로 나누었는데 먼저 1950년대 사회주의 근대적 기획기에 북한의 규율권력은 학교체육 영역에서 각 학생의 몸을 섬세한 그물망으로 얽는 다양한 기술을 통해 학생의 일상생활에 깊이 개입하여 학생을 사회주의 인간형으로 만들기 위한 학교체육 제도를 기획했다. 두 번째 시기인 1970-80년대 사회주의 완성기에는 1950년대에 기획된 학교체육 제도가 자리를 잡았을 뿐만 아니라 한층 진화되고 강화되었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 1970-80년대 인민들은 북한권력이 원하는 사회주의 인간형에 가장 가까웠던 것으로 보인다. 실제로 북한 역사에서 1970-80년대는 사회주의 혁명정신이 가장 투철한 시기로 여겨진다. 두 시기의 분석을 통해 학교체육 영역에서 개별 주체를 과학적․합리적으로 지배하고 규율하려 했던 근대 생명관리정치의 미시규율권력의 특성이 나타났으며 규율권력의 기술은 자유주의적인 통치환경에서보다 극단적으로 작동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사회주의의 근대적 기획은 계급 없는 사회라는 유토피아를 목표로 국가의 강력한 지휘 아래 극단적으로 작동한 것이다. 사회주의 근대적 기획기에 태동된 북한 체제의 기본 골격은 큰 틀에서 1990년대까지 이어져 왔다. 그런데 1990년대 전후로 일련의 사건들이 발생하면서 고난의 행군이 일어났다. 푸코는 역사의 힘을 중요시 여겼다. 전통적 역사가 사건의 연속성에 주목하는 반면 푸코의 계보학적 역사는 사건의 불연속성에 주목한다. 즉, 역사에서 불연속적 사건들이 인간의 삶에 구체적인 영향을 끼치는 힘을 가진 것으로 본 것이다. 푸코의 후기 이론을 토대로 볼 때 고난의 행군이라는 사건, 역사적 우발성은 북한 사회주의 체제를 유지시키는 배급경제를 붕괴시켰으며 이로 인해 사회 곳곳에 모세혈관처럼 뻗어 내려가서 촘촘한 그물망을 통해 작동하던 북한의 미시규율권력이 이완되기 시작했다. 이것은 학교교육 영역에서도 마찬가지였는데 북한권력의 학생의 몸의 대한 미시적 통제는 서서히 이완되었다. 본 논문의 분석 결과 고난의 행군 이후에 북한의 학교체육은 제도적인 틀이 크게 바뀐 것은 아니며 새로운 제도가 생기지 않았다. 그런데 그 안을 살펴보면 1950년대 기획해서 1970-80년대 강화시킨 다양한 학교체육 제도들이 약화되거나 사라졌다. 이것은 고난의 행군 이후 북한 미시규율권력 기술이 특별히 바뀐 것이 아니라 사회 하부까지 촘촘하게 작동하던 권력의 그물망이 이완됨으로써 미시적 통제가 약화된 것으로 볼 수 있다. 고난의 행군 이후 25년이 흐르면서 북한권력이 학교체육을 통해 학생의 몸을 통제하던 규율권력이 서서히 이완됨으로써 인민들이 자신의 몸에 내면화하고 받아들인 권력의 효과가 서서히 빠져나가면서 점차 탈복종화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이것은 북한권력이 1950년대에 극단적인 사회주의 근대적 기획을 시작한 이래 1990년대 중반까지 45년 동안, 일상의 정치 속에서 창출해냈던 사회주의 인간형에서 벗어나 새로운 주체로 생성될 가능성이 열려있음을 암시한다. North Korea has maintained the closed socialist system for about 70 years, and many studies on North Korea have treated North Korea as a special and pre-modern nation because of the power system of 'Suryeong'. This dissertation explores the micro-disciplinary power that has worked in the field of school physical education in North Korea focusing on the socialist modernity. Entering a modern society in Western Europe, the states started to control the human body and to utilize the lives of members of society. This new technology of power is biopolitics. The biopolitics evolved in two basic forms. One is to discipline the human body, the other is to regulate the populations with the scientific rationality. In modern times, the body was involved in a political field directly. The modern states considered peoples' bodies as the useful forces only if they are both productive and subjected bodies. Foucault's theory of power is not to analyze the rule-governed and legitimate forms of power, but to understand the power in its most regional forms and institutions. The power relations go right down into the depths of society and form a network of relations, constantly in tension and in activity. Biopolitics started to work in the liberal government in the early modern period when the states were interested in the population and its productive capacity. Foucault also said totalitarian states used the ideas and the devices of the political rationality in spite of its internal madness. It can be said that Western capitalist states and totalitarian states had the same root of such intervention in the early modern period, when the states control the human body and utilize the lives of members of society. Although Nazi Germany and the Soviet Union were illiberal, both were modern because of their commitment to create a New Man. Nazi Germany and the Soviet Union tried to transform the people into a Nazi New Man or a New Soviet Man who could voluntarily participate in building of their Utopia through the political technology of life. They thought that individuals must merge with the collective for constructing their Utopia. A Nazi New Man and a New Soviet Man were designed in the extreme and sophisticated way as compared with the Western capitalist states. After the Korean War, the North Korean government tried to create a new type of a New Socialist Man in order to construct a socialist state with the scientific rationality based on the Soviet system. For this, the North Korean government seems to have used biopolitics. This means that North Korea pursued the modernity in the extreme form of state-led mobilization for Utopia that is a classless society. The North Korea government established the socialist education system and strengthened the policy of the physical education because schools were the most crucial places for transforming human body into a New Socialist Man that could be the basis of labor and defence. North Korean Party and the Leader formed the dense and sophisticated network of the school physical education system through the Sports Committee, and the principal and the physical education teacher must follow the guidelines of the sports committee. This dissertation explores the reason why the North Korean government got involved in the field of school physical education directly and how they have transformed a student's body into a New Socialist Man in order to control and utilize the human body based on the four essential techniques of the disciplinary power by Michel Foucault. The analysis period is divided into three in this dissertation. At first, in the 1950's which is the period of the socialist modern project, the disciplinary power planned the system of the school physical education in order to transform the people's body into the New Socialist Man. In the 1970-80's which is the period of socialist completion, the system of the school physical education of 1950's was established and strengthened.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this dissertation, the people in the 1970-1980's were close to the ideal type of the New Socialist Man whom the North Korea state had been pursuing. Through the analysis of two periods, the modern socialist regime of North Korea used the political technology of the body in the field of the school physical education in order to transform the people's bodies into both productive and subjected bodies for constructing a socialist state. The political technique of the body in North Korea seems to have worked in a more radical way in creating a New Socialist Man than in the liberal government. The basic framework of the socialist state which the North Korean government had planned and established in the 1950's was maintained until the mid-1990's. North Korea went through the Arduous March period in the mid 1990's right after a set of events occurred in the late 1980's. The genealogical methodology by Foucault focuses on the discontinuity of history. The historical contingency has the power to affect human life in detail. This historical contingency of the Arduous March collapsed the public distribution system that had been maintaining the socialist system, and the dense network of the micro-disciplinary power started to be relaxed. This occurred in the field of the school physical education as well. About twenty-five years have passed since the Arduous March period. The disciplinary power of North Korea which have controlled and utilized the peoples' body through the physical education are being relaxed. The subject as a Socialist Man seems to have been freed from the effect of the micro-power which resulted in its internalized obedience. This implies the possibility of North Korean people changing into a New Subject from a Socialist Man.

      • 루이 알튀세르의 이데올로기론 : 『이데올로기와 이데올로기적 국가장치』를 중심으로

        서찬욱 서울시립대학교 2011 국내석사

        RANK : 232267

        생산관계와 정치적 지배관계가 ‘예속적 주체’의 재생산을 요구한다는 점에서, 알튀세르의 이데올로기적 국가론은 ‘지배양식’과 ‘주체화양식’을 포괄한다. 그에 따르면, 국가장치는 억압장치와 이데올로기장치로 구별된다. 그 가운데 ‘이데올로기적 국가장치’(AIE) 개념은, 지배이데올로기를 실현하기 위한 여러 기관들과 그 실천으로 이루어진 체계이다. AIE가 실현하는 이데올로기는 재생산과 계급투쟁 사이의 상호작용에 의한 산물이다. 알튀세르는 국가의 ‘상대적 자율성’에 대한 불완전한 이해로 인하여, ‘자본주의적 국가’(재생산)와 ‘자본주의 사회 내 국가’(계급투쟁) 사이에서 동요한다. 이를 넘어서려면, 국가/이데올로기가 다양한 정치적 지배관계를 설정하는 전략적 공간임을 전제해야 한다. 이데올로기는 모든 역사 속에 편재하고, 사회에 실재하는 상상적 관계이며, 물질성을 갖는다. 이로부터 ‘이데올로기는 개인을 주체로 호명한다’는 테제가 도출된다. 주체는 자유주의-자본주의 사회의 현실에서 정당하고 합법적인 행위자이다. 호명이론은 ‘어떻게 사회 속에서 계급지배에 대한 복종이 확립되는가’라는 문제설정에서 비롯된다. 지배양식으로서 알튀세르 이데올로기적 국가론에서 해결되어야 할 문제는, 이데올로기적 장치가 그 물질적 기반으로서 국가에 특권적 지위를 부여하는 이유, AIE들과 호명구조 사이의 접합 근거, 그리고 사회구성원이 체제에 포섭되는 주관적 조건들에 대한 해명이다. 푸코에게 주체는 담론적 실천의 효과로서 존재한다는 점에서 알튀세르의 주체(물질적 실천의 효과)와 유사하다. 그러나 푸코에게 지배란 특정한 지식 및 실천을 생산하는 ‘권력’의 한 양태일 뿐이므로, 그는 마르크스주의가 권력을 지배로 환원하는 경향을 비판한다. 푸코는 권력의 특성으로서, ‘전략, 관계, 분산, 생산, 배치’ 등을 제기한다. ‘모든 권력(지배)는 특정한 장치/배치로 물질화되어는 한에서만 존재한다’는 점에서, 알튀세르의 ‘장치’와 푸코의 ‘배치’는 유사하다. 그러나 푸코의 배치는, 그것이 권력효과에 속하는 물질성의 상이한 양태들을 가리키기 때문에, 장치와 다르다. 푸코는 판옵티콘으로 대표되는 규율적 배치와 정신분석으로 대표되는 성적 배치를 분석한다. 양자의 공통성은, 자본주의 경제발전에 쓸모있는 주체를 생산하고, 지배세력의 헤게모니를 보증하는 데 기여한다는 점이다. 그리고 그 차이는, 전자가 신체의 규율을 목표로 삼는 반면에, 후자는 인구의 조절(주민의 통제)을 목표로 삼는다는 점이다. 또한 ‘규율권력’의 본질이 생산성이라면, 규범/규범화는 ‘생명권력’과 그 저항의 공통된 지반이다. 푸코는 권력에 대항하는 저항의 전략으로, 욕망과 같은 권력배치로부터 신체를 단절시킴으로써 쾌락을 향유할 것을 제안한다. 그 결과, 푸코의 문제설정은 권력에 대한 분석에서 ‘자기배려(자기반성성)의 기술’로 이동한다. 이는 프롤레타리아의 계급투쟁이 저항 전략인 알튀세르와 갈라서는 지점이다. 알튀세르와 푸코에 공통된 한계는, 물질적 양보에 의한 ‘동의’의 메커니즘을 설명하기 어렵다는 것이다. 하지만 양자는 ‘완전한 지배의 불가능’을 전제하고 있으며, 상부구조 또는 권력이 결코 지배계급/세력의 일의적인 도구가 아님을 논증한다. 그리하여 양자에게 공통적인 문제설정은 지배체계에 대한 ‘저항’과 투쟁이며, 이를 통한 자유의 실현이다. ※ 주요어 : 지배양식, 주체화양식, 이데올로기적 국가장치(AIE), 호명, 권력/지식, 배치, 규율권력, 생명권력, 저항, 동의, 완전한 지배의 불가능성 Insomuch as the relations of production and political domination require the reproduction of subject/subjection, Althusser's theory of ideology and state comprehends the modes of domination and subjectification. According to him, the State apparatus is divided into the Repressive State Apparatus and the Ideological State Apparatuses. The latter(ISAs) consist of the systems of diverse institutions and their practices to actualize the dominant ideology. Ideology actualized by ISAs is the effect of reciprocal action between the Reproduction and the Struggle of classes. Althusser fluctuates between the capitalist state(Reproduction) and the state in capitalist society(Struggle of classes) because of his incomplete consideration for the relative autonomy of the State. To sublate this, it must be presupposed that State/Ideology is a strategic space establishing the diverse political dominant relations. Ideology is omnipresent in history and the imaginary relationship in society, and has a material existence. Out of this derives the thesis that ideology interpellates individuals as subjects. Subjects are just and legitimate agents in the liberalist-capitalist society. The theory of Interpellation arise from the problematic how the subjection to class domination can be settled in society. In the light of the modes of domination, Althusser's theory should settle several problems: the privilege of the State in the ideological apparatus, the grounds of articulating the ISAs with the structure of Interpellation, the explication of subjective conditions that members of society are captured by the capitalist domination. As far as the subject as the effect of discursive practices is concerned, Foucault's theory is similar to Althusser's. However, the domination in Marxism, for him, is a mere modality of power that produces certain knowledge and practices. On this account he criticize the marxist tendency that reduces power to domination. He analyzes power into strategy, relation, dispersion, production, and disposition. Althusser's apparatus and Foucault's disposition share certain traits, because both of them assent to the perspective that all power(or domination) can exist only insofar as it is materialized in certain dispositions(or apparatuses). Nevertheless, Foucault's disposition is distinct from Althusser's, since it refers the diverse modalities of materiality affiliated to the effect of power. Foucault analyzes the dispositions of discipline(Panopticon) and the dispositions of sexuality(Psychoanalysis). Both have something in common, insomuch as they serve as the guarantor of the hegemony of dominant forces by producing subjects for capitalist economic development. However, the former aims at discipline of body, whereas the latter takes aim at regulation of population. Productivity is essential for the disciplinary power, and norm/normalization is the common terrain of the biopower and the resistance from the bottom. Foucault suggests the resistant strategy, that is, the enjoyment of bodily pleasure by breaking off from the dispositions of power(the desire). Consequently, Foucault's problematic changes from the analysis of power to the technology of the self-care(self-reflexivity). In this regard he goes his way totally separate from Althusser who considers the struggle of classes as the only given resistant strategy. The common limitation of Althusser and Foucault is that both have difficulty in accounting for the material substratum of the consent of the masses. In spite of their different views on power/domination they postulate likewise the impossibility of perfect domination in their theories, and demonstrate that superstructure or power is by no means a mere instrument of the ruling class/dominant force. Therefore, the most important and common problematic of both philosophers is the resistance and struggle(agonism) to dominant power system, and the actualization of liberty. ※ Keyword : modes of domination, modes of subjectification, Ideological State Apparatuses(ISAs), Interpellation, power/knowledge, disposition, disciplinary power, biopower, resistance, consent, impossibility of perfect domination

      • 교사전문성의 담론 변화에 대한 연구 : 미셸 푸코의 통치성 변화를 중심으로

        정용주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박사

        RANK : 232265

        The discussion of teachers' professionalization in South Korea was a key topic in the field of education in general education, including teachers responsible for educational activities in education, educational administrators promoting educational policies, and educational administration and teacher education. The reason why the discussion about teachers' professionalization is the key to educational reality and education theory is that public education is finally realized by the teacher. Because of this importance of teachers' professionalization, there have been various discussions about teachers' professionalization in various branches of education including the educational administration in South Korea. These studies have not only been theoretically accumulated with many achievements, but they have also became policy in reality. However, the research on teachers' professionalization reveals that the various strategies for professional growth do not show the point of connection with power or the point of failure in various contexts. In addition, we can not analyze the teachers' professionalization from a single integrated viewpoint, analyze how to divide the area of ​​expertise and what elements should be included in each area, and apply a reductionist, elementist approach. Based on this consciousness, in this essay, we conducted the research while approaching teachers' professionalization from a holistic point of view. The fact that teachers' professionalization is totality has two meanings as follows. First, the fact that teachers' professionalization constitutes a totality means that each area and elements of teachers' professionalization are decomposed into individual parts, not an integral part, but an integrated internal structure within the teacher do. Thus, rather than categorizing each factor of expertise and focusing on how to extend each factor, it is important to develop reflective thinking of the teacher as a high-level mental ability to control and control these factors. Second, the integration of teachers' professionalization is due to the combination of visible knowledge expressed in language and tacit knowledge (Nonaka & Takeuchi, 1995, Polanyi, 1962), which is difficult to express in explicit language, and the context of educational activities . In teacher professionalization, an unanalyzed totality is a part of the iceberg that can be represented in language because it is mixed with things that can not be analyzed together with parts represented in language. Classification is also difficult because it is difficult for teachers to excel in teaching activities to be taught explicitly and in many cases to be difficult to express in language. In addition to this, competencies related to values and attitudes are more problematic than typologies. Therefore, not only are many important competencies that have a crucial effect on the teacher's performance, such as the iceberg model, but also that it is almost impossible to classify the sum of the abilities that affect the performance of the teacher for the purpose of typification. First of all, there is a problem of categorizing the competence that affects the performance, and as the autonomous entity that integrally controls and acts on a myriad of situational variables, it can define the teacher as a passive person who acts according to the competence of a specific domain. If we do not approach teachers' professionalization as a sum of cumulative parts from a holistic point of view, then we should focus on the coherent inclination and presence method of actors who explore and utilize knowledge and technology, This is treated as more important in teachers' professionalization height. This kind of directional anxiety naturally leads to a process of expanding professionalism throughout the lifetime, without the need to separate the stages of training, recruitment, and training separately from explicit definitions and measurable behavioral indicators Will you design? It is not easy. In this study, we use the concept of ‘discourse' to analyze the teachers' professionalization. How to approach teachers' professionalization with discourse will select good teachers? This means that the teacher focuses on the process of continuing to develop professionalization throughout his-her life. However, the development of professionalization over the life of the teacher is not achieved step - by - step and evolutionarily according to free will, but is achieved through internal discrepancies, contradictions and tensions. Because the state represents the formation and operation of public education from the people, it uses the highest level of pedagogical knowledge accumulated to raise the quality of education, leading the teacher in a special direction (governmentality) and various strategies (Dispositif) because it is. Therefore, approaching teachers' professionalization as a framework of discourse is not only an extension of professionalism according to free will, but also the effect of educational knowledge of education, the effect of governmentality by the countries that utilize it, This means that dispositif are subject to analysis together. In this paper, we use Foucault 's concept of governmentality to analyze, weather or not, What kind of direction does the discourse of 'teachers' professionalization work in, what kind of specialist is the teacher (production of the subject), what do the teachers do in order to avoid being ruled in such a way(counter-subjectification). However, rather than applying Foucault's governmentality model of law, discipline, and safety, Foucault focuses on the analysis framework used for the analysis of governmentality, characterizing the South Korean governmentality as state-authoritarianism governmentality: the model of legal-discipline and neo-liberalism governmentality: The model of bio-security. According to the classification of governmentality, the discourse change of teachers' professionalization is divided into the change of frame, the change of knowledge - power dispositif, the production of subject and the opposing subjectific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governmentality changes from state-authoritarianism governmentality governmentality to neo-liberalism governmentality, the direction of the vocabulary and frame produced in relation to the curriculum, evaluation, and classroom reaches the goal, And to provide comprehensive information to support the development and growth of the knowledge and competence of the Fusion. Therefore, the contents of the required expertise can be used in understanding the accurate knowledge of the subject, effective method of transfer, development of objective and reliable evaluation items, ability to utilize various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And the evaluation design ability integrated with the class. Naturally, various dispositifs to support teacher professionalization have also changed accordingly. First, the supervision changed from the supervision of the school board to the supervision of the field to the support of the field, and the curriculum of the teacher training institute changed from the repetitive performance to the reflective performance and reconstruction of the curriculum. Decisions also focused on the principal and shifted from collective decision-making to responsible decision-making and accountability, from autonomy and responsibility to action by command and control, direction and guidance. These changes also affected the subject's production and counter-subjectification. In the period of state-authoritarianism governmentality, if we were loyal to the state and demanded a loyal teacher prize that allowed the educational ideas of the state to permeate the students, the teacher responsible for the public education in the neo-liberalism governmentality period was a teacher who harmonized democratic citizenship and Self-development. This change in the mode of production of the subject has changed the way of resistance. During state-authoritarianism, resistance against the oppressive and controlling state power, and the state's excessive response to such resistance, showed resistance to the absurdity of education to be too politicized. On the other hand, in the neo-liberalism governmentality period, this resistance is weakened, the production process of the subject and the aspect of the opposition subjectivity are integrated, and teachers are subjectively changed in the process of changing the class, reconstructing the curriculum, Participant innovator, and entrepreneur. However, despite the distinction of governmentality, the discourse of teachers' professionalization also found common characteristics created by South Korea's modernization process. As a late capitalist nation, South Korea has pursued a modernization strategy following the war, catching up with the West. In this process, while formally democratizing, different historical times such as authoritarianism, totalitarianism, traitism, pre-modern patriarchalism and postmodernism have not been overcome and have produced simultaneous coexistence. In addition, high economic growth has been massively exacerbated by elite bureaucratic administration and military authoritarianism, which are heavily dependent on efficiency. Asynchronous elements appeared throughout society in the process of catching up with the West by shortening the stage of modernization in a compact way without going through a long evolutionary, continuous, gradual, and autogenous process like the Western modernization. teachers' professionalization discourse was no exception. The application of US academic pedagogy's academic knowledge, which had already reached the highest level in the US military period, to the South Korean reality, and the attempt to telescoping the stage of professional development by compressed and shortening is reflected in teachers' professionalization discourse Respectively.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expand the professionalization of teachers in all areas related to teachers' professionalization, including teacher training courses, training(supervision) courses, in-service teacher training, The phenomenon of making an effect, the activism-based expertise to generate visible goals, and the governmentality to improve the input contrast efficiency dominated the teachers' professionalization discourse. Research has shown that governmentality does not imply disconnection or uncontrollability, such as paradigm. The transition from state-authoritarianism to neo-liberalism does not mean that the previous governmentality has disappeared and no other governmentality has emerged. Since governmentality is an act of the state that arranges things correctly as an ensemble of human and objective objects in order to attain its purpose, the strategies and tactics mobilized to effectively arrange things for specific purposes are variously respected . For this reason, the state-authoritarianism governmentality coexists with a model of justice and discipline, and neo-liberalism governmentality is accompanied by liberalism, neoliberalism, later liberalism, and nationalism. Taken together, the teachers' professionalization discourse has the following characteristics: First, the teachers' professionalization discourse is a dual movement. In discourse, teachers are autonomous self-experts, and they develop their professionalism throughout their lives. They are self-regulating professional formation principles and national professional management in the quality of education quality management, The principle has the nature of double movement which influences at the same time. Therefore, the state is trying to oppress the teacher, and the teacher is not a proper person to expand his / her expertise. The state has a powerful function of producing teacher as professional subject while strategically arranging various knowledge authority dispositif related to teachers 'professionalization frame by utilizing knowledge of education in teachers' professionalization discourse However, it is not only a direction to suppress teachers or to restrict the educational activities of teachers, but also to support and foster teachers' professional development activities. On the other hand, teachers resist against the will to control the educational activities of the state, but rather they turn the education into a private relationship, while trying to realize the desire of the individual, or to prevent the public intervention to promote the publicness of education, It also pursues autonomy without interference. Next, teachers' professionalization discourse has the characteristic of a system of various desires. Discourse is not a policy or a rational system, but a desire for individual teachers to be promoted, a desire to learn and grow continuously, a passion for research, a desire for good teachers, a desire to be recognized as a professional, The desire to work, the desire to engage in more decision-making, produce and organize. Teachers are not only resistant to reasonable and rational directions such as autonomy and professionalism of curriculum development and reconstruction, professionalism in life guidance, evaluation expertise, and instructional expertise, but they are not resistant to promotions, less authoritarian organizational culture, more vacations, They also resist the same emotional and psychological factors. In this discourse, the subject always has a rational and emotional relationship with the dispositifs and exists in an unstable and open relocation. This means that a discourse can not simply be a combination of rational institutions, quality control of training and training processes, and rationalist approach. Rather, the discourse means to increase the acceptance of the subjects and to change the educational way by controlling the subject 's desire to expand the body and the way of life. Liberalism is a practice, which means that liberalism sets and tame the range of normal individuals by knowledge. However, the way to set and tame the normal individuals appears when power combines elements of ideology (value) - capital (labor) - knowledge. First, the issue of ideology is a question of what constitutes a teacher as a subject with a certain value and ideology. The problem of capital is related to factors related to the teacher 's wages and working conditions. Finally, the problem of knowledge is connected with the problem of the role, symbolic resources and norms related to pedagogical knowledge required of teachers. However, the way in which power is produced as a subject in relation to capital - labor relations, pedagogical knowledge, political and social ideologies, and subjectivity differs according to the context of governmentality. 한국에서 교사전문성에 대한 논의는 교육현장에서 교육활동을 책임지는 교사, 교육정책을 추진하는 교육행정가에게, 그리고 교육행정학이나 교원교육학을 비롯한 교육학 전반의 학문분야에서 핵심을 이루는 주제였다. 이렇게 교사전문성에 대한 논의가 교육실제에서나, 교육이론에서 핵심을 이루는 이유는 공교육이 최종적으로 교사를 통해 학습자에게 실현되기 때문이다. 교사전문성이 가지는 이러한 중요성 때문에 한국의 교육행정학을 포함해 교육학의 여러 분과에서 교사전문성과 관련한 논의가 다양하게 이루어졌다. 이러한 연구는 많은 성과를 내어 이론적으로 축적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현실 속에서 정책화되기도 하였다. 그런데 교사전문성에 대한 연구는 전문성 신장을 위한 다양한 전략이 권력과 연결되는 지점 또는 실패하는 지점 등을 다양한 맥락에서 보여주지 못하는 동시에, 전문성 신장과 관련하여 교사들의 저항이나 거부가 일어나는 구체적 현실을 드러내지 못한다는 한계가 있었다. 또한 교사전문성을 하나의 통합적 관점에서 분석하지 못하고, 전문성의 영역은 어떻게 구분되고, 각각의 영역에는 어떤 요소가 포함되어야 하는지에 대해 분석하여 이를 교사 전문성으로 종합하는 환원주의적이며, 요소 주의적 접근을 한다는 한계도 드러냈다. 이러한 문제의식을 토대로 본 논문에서는 교사전문성을 총체적 관점으로 접근하면서 연구를 수행하였는데, 교사전문성이 총체성을 이룬다는 것은 다음의 두 가지 의미를 갖는다. 첫째, 교사전문성이 총체성을 이룬다는 것은 교사전문성의 각 영역과 요소들이 개별적으로 분해되어, 부분의 합으로서 전체를 이루는 것이 아니라 교사 안에서 통합되는 내적 구조(internal structure)를 이루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전문성의 각 요소들을 분류하고 각 요소들을 어떻게 신장할 것인가에 관심을 갖기보다, 이러한 요소들을 조절하고 통제하는 고차원적인 정신 능력으로서 교사의 반성적 사고(reflective thinking)를 기르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둘째, 교사전문성이 총체성을 이룬다는 것은 언어로 표상된 가시적인 지식들과 명시적 언어로 표현되기 어려운 암묵지(Tacit Knowledge, Nonaka & Takeuchi, 1995, Polanyi, 1962), 그리고 교육활동의 맥락이 결합되어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교사 전문성 안에는 언어로 표상되는 부분과 함께, 분석될 수 없는 것들이 혼합되어 전체를 이루기 때문에 언어로 표상될 수 있는 부분은 빙산의 일각에 불과하고, 전체적으로는 분석되지 않는 총체성(an unanalyzed totality)을 이루고 있다. 교육행위에서 교사의 탁월한 성과를 내는 것은 명시적으로 가르칠 수도 없고 많은 경우에 언어로 표현되기도 어렵기 때문에 유형화 역시 쉽지 않다. 여기에 더해 가치와 태도와 관련된 역량은 유형화에 더더욱 문제의 소지를 안고 있다. 따라서 빙산모형처럼 교사의 성과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많은 중요한 역량이 가시적이지 않을 뿐만 아니라, 교사의 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능력의 총합을 유형화하려는 목적으로 분류한다는 것 자체가 불가능에 가깝다는 것을 의미한다. 무엇보다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역량의 범주화를 통해, 무수히 많은 상황적 변인을 통합적으로 관장하며 행동하는 자율적 존재로서 교사를 특정 영역의 역량에 따라 행동하는 수동적인 존재로 규정할 수 있다는 문제가 있다. 총체적인 관점에서 교사전문성을 누적적인 부분의 합으로 접근하지 않는다면 교사가 어떤 지식을 알고 어떤 기술을 익혀야 하는지에 관한 관심보다, 지식과 기술을 탐구하고 활용하는 행위자의 일관된 성향과 존재방식에 관한 내용이 교사전문성 신장에서 보다 중요한 것으로 다루어지게 된다. 이와 같은 방향의 고민은 자연스럽게 교사 전문성을 신장하게 위해, 양성, 임용, 연수의 각 단계를 분리하여 명시적인 정의와 측정 가능한 행동지표로 구성하여 접근하지 않고, 생애에 걸쳐 전문성을 신장하는 과정을 어떻게 설계할 것인가? 에 대한 고민으로 이어지게 한다. 그래서 이러한 고민을 구체화하고 교사전문성을 분석하기 위해서 본 연구에서는 푸코의‘담론(discourse)’이라는 개념을 사용하였다. 교사전문성을 담론으로 접근한다는 것은 어떻게 좋은 교사를 선별할 나갈 것인가? 보다 교사가 생애에 걸쳐 지속적으로 전문성을 계발해나는 과정에 중심을 둔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나 교사의 생애에 걸친 전문성 계발은 자유의지에 따라 단계적이고, 진화적으로 이루어지지 않고, 내적 불일치, 모순과 긴장 속에 이루어진다. 왜냐하면, 공교육의 형성과 운영을 국민으로부터 대리하는 국가가 교육의 질을 높이기 위해 당대 축적된 최고 수준의 교육학 지식을 활용하면서 교사를 특별한 방향으로 이끌면서(통치:governmentality), 전문성을 신장시키는 다양한 전략을 구사(장치:dispositif)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교사전문성을 담론이라는 틀로 접근한다는 것은, 교사가 자유의지에 따라 전문성을 신장하는 것뿐만 아니라, 교육학의 학문적 지식, 이를 활용하는 국가의 의한 통치성의 효과, 이 통치성의 효과를 높이기 위해 활용되는 전략(장치)이 함께 분석대상이 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논문에서는 교사전문성의 담론이 특정한 맥락에서 어떠한 방향으로 작동하면서, 교사들을 어떠한 전문가로 만들어 내려하고(주체의 생산), 교사들은 이러한 국가의 통치에 대해 그런 방식으로 통치당하지 않는 실천을 하는지(대항적 주체화) 분석하기 위해 푸코의 통치성과 장치 개념을 활용하였다. 하지만 사법, 규율, 안전이라는 푸코의 통치성 모델을 그대로 적용하는 것이 아니라, 푸코가 통치성 분석을 위해 사용한 분석틀을 중심으로 한국적 통치성의 특징을 국가-권위주의 통치성 :사법-규율 모델(The model of legal-discipline)과 신-자유주의 통치성:생명-안전 모델(The model of bio-security)로 개념화 하였다. 이러한 통치성의 구분에 따라, 교사전문성의 담론변화를 프레임의 변화, 지식-권력 장치의 변화, 주체의 생산과 대항적 주체화 양상으로 나누어 단계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를 종합하면, 국가-권위주의 통치성에서 신-자유주의 통치성으로 변화함에 따라 교육과정, 평가, 수업과 관련하여 생산되는 어휘와 프레임의 방향이 목표도달, 효과적 교과지식의 전수와 객관적인 평가에서 학생 개개인의 이해와 성장, 융합적 지식과 역량의 계발, 성장을 지원하기 위해 종합적 정보를 제공하는 평가로 전환하였다. 이에 따라 요구되는 전문성의 내용도 정확한 교과지식에 대한 이해, 효과적인 전수의 방법, 객관적이고 신뢰도 있는 평가문항 개발에서, 융합적이며 연계적인 지식과 구성능력, 다양한 교수학습 방법의 활용 능력, 교육과정, 수업과 일체화된 평가 설계 능력을 요구하는 것으로 바뀌었다. 자연스럽게 교사 전문성을 지원하기 위한 여러 가지 장치들도 이에 맞게 변화하였다. 우선 장학은 교육청이 현장을 관리감독 하는 것에서 현장을 지원하는 것으로 바뀌었고, 교사를 양성하는 기관의 교육과정을 반복적 수행 중심에서 반성적 수행과 교육과정 재구성이라는 방향으로 바뀌었다. 의사결정 역시 학교장에게 권한을 집중하고, 명령과 통제, 지시와 지침에 의해 행동하는 것에서 자율과 책무를 갖고, 함께 결정하과 책임지는 공동의 의사결정으로 전환하였다. 이러한 변화는 주체의 생산과 대항적 주체화에도 영향을 미쳤다. 국가-권위주의 시기에는 국가에 충성하고, 국가의 교육이념이 학생에게 스며들도록 하는 충성스런 교사상을 요구했다면, 신-자유주의 통치성 시기에는 공교육을 책임지는 교사로서 민주시민의식과 자기계발이 조화를 이루는 교사상을 요구했다. 이러한 주체 생산양식의 변화로 저항의 방식도 달라졌다. 국가-권위주의 시기에는 억압하고 통제하는 국가권력에 맞서 저항하고, 이러한 저항에 대한 국가의 과도한 대응으로 교육 부조리에 대한 저항이 지나치게 정치화되는 모습을 보였지만, 신-자유주의 통치성 시기에는 이러한 저항은 약화되고, 주체의 생산과정과 대항적 주체화 양상이 통합(포획)되어, 교사들이 수업을 바뀌고, 교육과정을 재구성하고, 학교를 혁신하는 과정에 주체적으로 참여하는 혁신가이며, 기업가의 역할을 하게 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통치성의 구분에도 불구하고, 교사전문성의 담론에는 한국의 근대화 과정이 만들어낸 공통적인 특성도 발견되었다. 후발 자본주의 국가로서 한국은 전쟁이후 근대화를 추진하면서, 서구를 따라잡는(catch-up) 근대화 전략을 취했다. 이 과정에서 형식적으로는 민주화를 이루어나가면서, 권위주의, 전체주의, 가신주의, 전 근대적 가부장주의, 탈근대주의와 같은 상이한 역사적 시간이 극복되지 못하고, 동시적으로 공존하는 결과를 만들어 냈다. 여기에 더해 높은 경제성장은 효율성에 지나치게 의존하는 엘리트 관료행정, 군부의 권위주의가 양산되었다. 이렇게 서구의 근대화와 같이 긴 시간에 걸친 진화적, 연속적, 단계적, 자생적 과정을 거치지 않고, 압축적으로 근대화의 단계를 단축시켜 서구를 따라잡으려는 과정에서 비동시성의 요소가 사회 곳곳에서 나타났다. 교사전문성 담론도 예외가 아니었다. 미군정기 이미 최고수준에 도달해 있던 미국 교육학의 학문적 지식을 한국적 현실에 적용하면서, 압축적(compressed)이고, 단축적으로 전문성 신장의 단계를 단축(telescoping)하려는 모습은 교사전문성 담론에서도 그래도 반영되어 나타났다. 그래서 학생들이 배워야 할 교육과정을 비롯해, 교사 양성과정, 연수(장학)과정, 현직교사연수 등 교사전문성과 관련이 있는 모든 영역에서 ‘빨리 빨리’ 교사의 전문성을 신장하고, ‘어서어서’즉각적인 효과를 내려는 현상, 가시적인 목표를 산출하려는 행동주의 기반의 전문성 신장 논리, 투입 대비 효율성을 증진시키려는 통치성이 교사전문성 담론 전체를 지배하였다. 연구를 통해 확인된 것은, 통치성은 패러다임과 같이 단절이나 통약 불가능성을 의미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국가-권위주의 통치성에서 신-자유주의 통치성으로 전환했다는 것은 이전의 통치성이 사라지고 전혀 다른 통치성이 등장한 것이 아니다. 통치성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인간과 객관적 대상물로 구성된 하나의 총체(ensemble)로서 사물들을 올바르게 배치하는 국가의 행위이기 때문에, 특정목적을 위해 사물들을 효과적으로 배치하는 데 동원되는 전략과 전술은 다양하게 존대한다. 이와 같은 이유 때문에 국가-권위주의 통치성 안에도 사법과 규율의 모델이 공존하고 있고, 신-자유주의 통치성 속에 자유주의, 신자유주의, 후기 자유주의, 국가주의가 함께 나타난다. 연구결과를 종합하면, 교사전문성 담론은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갖는다. 우선, 교사전문성 담론은 이중운동(dual movement)의 성격을 갖는다. 담론 안에는 교사들이 스스로 전문가로서 자율성을 가지고 생애에 걸쳐 전문성을 신장해 나가는 운동으로서 자기 조정적 전문성 형성 원리와 국가가 교육의 질 관리 차원에서 공적으로 전문성을 관리하며 국가 또는 사회의 전문성 보호(Proof) 원리가 동시에 영향을 미치는 이중운동의 성격을 갖는다. 따라서 국가는 교사를 억압하려고 하고, 교사는 스스로 전문성을 신장하는 존재라는 구분은 타당하지 않다. 국가가 교사전문성 담론에서 교육학의 지식을 활용하여 교사전문성의 프레임을 형성하고, 이와 관련된 다양한 지식권력 장치를 고안하여 이들을 전략적으로 배치하면서, 교사를 전문성을 갖춘 주체로 생산하는 강력한 기능을 가지고 있지만, 그것은 교사를 억압하거나 교사의 교육활동을 제약하는 방향만 있는 것이 아니라, 교사의 전문성 신장 활동을 지원하고, 조장하는 역할을 하기도 한다. 반대로 교사들은 국가의 교육활동을 통제하려는 의지에 맞서, 저항하기도 하지만, 오히려 교육을 사적 관계로 전환하면서, 개인의 욕망을 실현하려는 방향이나, 교육의 공공성을 증진하기 위한 공적 개입을 저지하면서, 아무런 간섭도 받지 않는 자율성을 추구하기도 한다. 다음으로 교사전문성 담론은 다양한 욕망의 체계라는 특성을 갖는다. 담론은 정책이나 합리적인 제도만으로 이루어진 것이 아니라, 개별 교사들의 승진에 대한 욕망, 계속해서 배우고 성장하려는 욕구, 연구에 대한 열정, 좋은 교사에 대한 욕망, 전문가로 인정받고 싶은 감정, 좀 더 질 높은 환경에서 일하고 싶은 욕망, 더 많은 의사결정에 대한 참여의 욕망을 생산하고 조직한다. 교사들 역시 교육과정 편성, 재구성에 대한 자율성과 전문성, 생활지도 전문성, 평가 전문성, 수업 전문성과 같은 합리적이며 이성적인 방향에서만 저항하는 것이 아니라, 승진, 덜 권위적인 조직문화, 더 많은 방학, 정시퇴근 등과 같은 감정적, 심리적 요인에 대해서 저항하기도 한다. 이처럼 담론 속에서 주체는 항상 장치들과 이성적, 감성적 관계를 맺으며 불안정하고 개방적인 재배치 속에 존재한다. 이는 담론이 단순히 이성적인 제도들의 결합이거나, 연수, 양성과정에 대한 질 관리, 합리주의적 접근만으로 작동될 수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오히려 담론은 몸과 삶의 방식을 확장시키는 주체의 욕망을 조절함으로써 주체들에게 수용성을 높이고, 교육적인 방식을 바꾼다는 것을 의미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