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옥외광고물에서 나타난 지역적 상징성 및 계통분류에 관한 연구 : 도시환경을 중심으로

        이경아 漢陽大學校 産業經營大學院 1998 국내석사

        RANK : 247807

        도시환경에 있어서 옥외광고물은 단순히 외부공간에서 인간과 인간을 둘러싼 어떤 현상과의 만남을 넘어서서 도시의 환경 속에서 정보체계를 구축하여 생활의 편리함과 환경의 질을 높이며 그 지역의 이미지 형성요소 즉 상징적 요소로서 작용한다. 이러한 옥외광고의 현상을 서울특별시의 6개 구 중에서 11개 지역을 선정하여 각 지역의 경제적·문화적 상황이 옥외광고물을 통하여 어떠한 상징성으로 표현되며, 상징의 유형으로 나타나는 광고물의 구조적 계통분류를 통하여 도시환경에 있어서 옥외광고물의 현상을 파악해 보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의 지역적 상징성이란 옥외광고물의 설치경향, 표현상의 특징, 소재의 사용 등을 기준으로 정하되 그것이 지역의 용도나 그 어떠한 용도에 따른 개념에 대하여 그것을 상기시키거나 연상시키는 구체적 또는 감각적인 사물로 바꾸어 나타내는 것을 지칭한다. 첫번째 연구는 광고물의 구조적 계통분류를 실시하였다. 두번째 연구에서 이루어질 상징성의 연구에 앞서 광고물의 유형과 종류의 분류를 실시함으로서 지역적 상징성을 나타내는 광고물의 유형과 종류의 편중 현상이 나타났다. 상징 빈도가 높고 광고물의 수준이 높게 나타난 지역의 광고물은 간접조명 방식의 조명법의 비중이 높았고, 직사각형의 BOX 형태보다 입체형이라든가 조각글자형의 비중이 높게 나타났다. 반대로 상징 빈도가 낮고 광고물의 수준이 낮게 나타난 지역의 광고물은 내부조명법과 사각 BOX 형의 비중이 높게 나타났으며, 전반적으로 상징성을 나타내는 광고물의 유형은 건물과 연관되어 표현되는 광고물로서 종간판, 횡간판, 스탠드형 간판 등이었으며 옥상광고 등과 같은 대형광고물은 제외되었다. 두번째 연구는 상징성의 문제로서 도시는 지역적·문화적 특색 즉 지역적 상징성을 가지고 있으며 그 중 서울은 복합도시로서의 다양성을 가지고 있고 그러한 다양성은 도시 환경의 요소인 옥외광고물의 형태를 빌어 나타난다는 가설을 설정한 후, 그 지역의 문화, 상·공업상의 특징이 타지역에 비해 뚜렷하다고 판단되는 11개 지역(인사동, 대학로, 청담동, 로데오 거리, 무교동, 충무로, 동대문시장, 용산전자상가, 이태원, 구로공단, 뉴욕제과 뒤편)을 선정하여, 상징성이 반영되었다고 판단되는 샘플을 채취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단 선정 지역 중에서도 샘플의 채취는 도로 폭 10∼12m의 기준을 만족하는 거리로 제한하였다. 그것은 도로 폭이 12m를 초과하는 대로에서는 상호간의 왕래가 자연스럽지 못하고 중심 간선도로이기 때문에 광고물의 독특한 상징성의 반영이 미약하다고 판단되었으며, 반면 도로 폭이 좁은 골목의 경우 또한 상징성이라고 하기에는 미약한 광고물의 비중이 높다는 판단에 기인한다. 설문조사의 결과 11개 지역 모두에서 상징성은 존재하였다. 물론 정도의 차이는 있어서 청담동, 인사동과 같은 지역의 상징비율은 매우 높게 나타난 반면 동대문시장과 같은 그 비율이 51%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통하여 도출할 수 있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옥외광고물의 도시 환경적 요소의 측면에서 파악할 때 광고물은 접근성, 견고성, 호환성, 안락성, 그리고 지역적 상징성을 포함한 개념으로 파악되어야 한다. 그러나 설문의 결과에서도 나타났듯이 몇몇 지역에서는 상징성의 문제가 올바르게 표현되지 못한 지역이 있다. 예를 들어 이태원의 경우 외국어의 무분별한 표기의 양상이 오히려 상징성으로 나타난 점이라든지, 무교동이나 충무로 같은 지역은 광고물의 관리 소홀의 현 상태가 상징성을 높인 측면은 상징성의 표현이라는 문제를 다시 한번 생각하게 한다. 즉 도시의 이미지라고 표현될 수 있는 상징성은 광고물을 통하여 나타나야 하지만 그 표현은 도시의 환경을 저해하지 않으면서 인간에게 즐거움과 정보전달의 기능을 동시에 만족할 수 있는 표현이 되어야 하겠다. 이를 위해서는 광고물 관리법의 재정비, 광고물과 건축물과의 조화, 색상의 아름다운 표현, 표현내용의 적합성, 광고물의 관리 문제, 광고주의 의식개선 등의 문제가 해결되어야 할 것이다. In the urban environment, the billboard is more than an encounter between human beings and a phenomenon surrounding the human beings in an outdoor space. The billboard enhances the convenience of life and the quality of the urban environment by generating an information system. Moreover, the billboard contributes to the urban image, that is, symbolism of the area. In order to discover in what symbolism the economy and culture of urban areas are manifested on the billboards, eleven areas were elected of Seoul City. In addition, the structural and systematical classification was made on the billboards to understand the phenomena that they create in the urban environment. In this thesis, the symbolism of each area was categorized by the standards such as the tendency of installation, characteristics in expression, and selection of materials. The symbolism also referred to the transformation from the usage or the concept of the usage of an area into the expression with concrete or palpable objects that remind of the usage or the concept of the usage of the area. In the first study, the structural and systematical classification was conducted on the billboards. The emphasis was put on their types and kinds that express the symbolism of the area. The result was the preponderance of certain types and kinds. The billboards of the areas which had stronger existence of symbolism and more sophistication of billboards production showed higher dependency on the indirect illumination and also on the three-dimensional or cared-letters rather than plain rectangular boards. In contrast, the billboards of the areas which had weaker existence of symbolism and less sophistication of billboard production showed higher dependency on direct illumination and plain rectangular boards. In the latter areas, overall types of billboards were vertical, horizontal, or standing, which give extended image of the building, while large-scaled billboards were excluded. The second study was centered on the issue of symbolism, First, a hypothesis was established that each urban area has its own regional and cultural characteristic, and Seoul as a metropolis has a great diversity which is expressed in the billboard, one of the constituting factors of the urban environment. Then eleven areas (Inca-dong, Daehak-ro, Changdam-dang, Rodeo road, Mookyo-dong, Chungmoo-ro, Dongdaemoon Market, Yangsan Electronics Market, Itaewon, Kuro-dong, New York Bakery area) were selected within Seoul, which have distinct features in terms of culture, commerce, and industry. In each area, sample billboards were extracted based on the judgment that they reflected those distinctiveness and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for survey. The extraction of samples were made from the roads of 10 to 12-meter width. On the roads exceeding 12 meters, the communication was not made smoothly and the unique symbolism of the area was no reflected sufficiently. On the other hand, on the roads narrower than 10 meters, the duality of the billboards were not high enough to express the regional symbolism enough. The results of the survey displayed that all of the eleven sampled areas had symbolism. Yet,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rate of symbolism. In Chongdam-dong and Insa-dong, the rate was much higher, which in Dondaemoon Market, it stayed lower at 51 percent. From these results, following conclusions can be drawn. First, when the billboards are viewed as a constituting factor of the urban environment, it should be understood as a concept embracing from accessibility, sturdiness, compatibility, comfortableness, to regional symbolism. However, as was revealed in the survey, in some areas, the regional symbolism was not expressed properly. To take an example of Itaewon, there was indiscreet uses of foreign languages. In Mookyo-dong and Chungmoo-ro, the poor management of the billboards ironically composed the regional symbolism. The symbolism of a city representing the urban image is expressed through the billboards. Therefore, the expressions should not undermine the environment, and furthermore, provide the citizens with satisfaction and information. To this end, there should be revision of the regulations to manage the billboards, harmony between the billboards and the buildings, refined color selection appropriate use of materials, good management, and the sponsors' recognition of the importance of the billboards.

      • 도시환경에 있어서 상징성 표현을 위한 환경디자인 모형사례 연구 : 여행정보센터의 상징성 표현을 위한 환경디자인을 중심으로

        김미리 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1999 국내석사

        RANK : 247806

        21세기를 앞두고, 기계론적 사고에 의한 근대운동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새로운 모더니티운동은 인간과 환경 중심의 개념을 추구하고 있다. 새로운 세계관은 물적 가치 보다 정신적 가치를 중요하게 여기고 있으며 이러한 경향은 환경에 있어서도 정신적인 가치를 새롭게 인식시켜주고 있다. 오늘날의 환경디자인은 공간의 세분화, 전문화에 따른 질적 향상으로 고유한 상징성을 요구하는 경우가 빈번해지고 있다. 이것은 공간에 있어서 기능이나 구조못지않게 상징성의 가치가 중요하게 부각되고 있다는 것을 시사해 준다. 그러나 환경디자인에 있어서 상징성 표현의 문제는 기능적인 건축적 조건이나 합리적인 상업적 요구사항 등에 비하여 그 중요성에 대한 언급이 미약하며, 이에 대한 관심도 추상적인 것으로 간주되어 적극적인 연구가 이루어지지 못했다. 이에 본 연구자는 환경디자인을 구성하는 물(物)적인 요소에 정신적 의미의 표현과 전달을 위한 개념적 요소로서 상징성 표현의 기반을 체계적으로 조직한다면 환경과의 궁극적인 의미작용을 통해 삶의 질적 향상을 기할 수 있다는 적극적인 가설을 전제로하여 다음과 같은 과정을 중심으로 연구를 진행한다. · 연구 주제인식의 배경으로서 한국현대건축의 가치와 표현특성에 대해 알아 보고, 새로운 세계관과 동양사상에 의해 대두되고 있는 환경에 있어서의 정신적 가치에 대해 알아본다. · 구축환경을 상징체계로 파악하기 위한 이론적 근거로서 상징의 개념과 특징 그리고 인간-환경 관계에서의 상징의 개념을 이해하고, 공간의 상징성 표현을 위한 다학제적 접근방법으로, 기호학적 관점에서의 상징, 원형적 상징, 사회적 상징을 연구하여 문제해결을 위한 디자인 방법론을 모색한다. · 연구된 방법론에 의거하여 상징성을 대상공간에 적용하기 위한 개념언어와 형태언어를 도출하고 프로그래밍 및 디자이닝의 과정을 거쳐 기존의 건축적인 구조체계와 비가시적인 기능체계를 상쇄시키는 미적차원의 가치를 공간 구성에 반영시킨다. · 최종적으로 제시된 모형사례에 대하여 공간기능적 측면, 연구의 주제에 대한 적합성에 대한 측면, 환경미학적 측면에서 평가한다. 이와같은 상징성 표현 과정을 통한 체계적인 디자인 접근방법에 의한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이 요약될 수 있다. · 인간은 기호화된 환경적 정보를 기호로 풀어서 자신의 선험적(先驗的) 도식에 의거하여 환경적 의미를 해독하고 이를 기초로 행동하는 상징적 동물임을 알았다. · 상징성에 대한 적극적인 탐구와 접근을 통해 환경디자인에 있어서의 독창성과 다양성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음을 알았다. · 한국 현대건축의 표피적인 서구건축사조의 모방에서 오는 인간과 구축환경과의 의미작용 단절의 해결방안으로 상징체계에 의한 정신적 가치가 커뮤니케이션의 매체로써 작용하여 상실했던 건축의 의미와 인간의 실존성을 회복시킬 수 있는 메타언어(Meta-Language)가 될 수 있음을 알았다. 본 연구는 환경디자인의 정신적 가치로서의 상징성에 대한 관심이 미래 한국 현대건축의 긍정적인 방향성 제시에 중요한 의미를 지니며, 나아가서 도시환경의 예술화라는 미학적 문제의 해결방안으로서도 가치를 지니고 있다는 논지를 사례연구를 통해 입증함으로서 본 연구의 의의를 찾고자 한다. With the 21st century near at hand, the new modernity movement getting over the limitations of modern movement depending on mechanistic thought is seeking after the concept for the human and environment. The new paradigm is trending toward de-materialization, placing importance on spiritual value rather than material. This trend gives a new recognition to the spiritual value that is expressed in environment. Nowadays the environmental design more frequently requires a creative symbolism owing to the qualitative development by the subdivision and the specialization of space. This trend suggest that the value of symbolism is importantly considered as much as function and structure in space. In the field of environmental design, however, the matter of symbolic expression is relatively less mentioned compared with those of functional architecture condition or rational commercial needs and it has not been studied earnestly because it was perceived abstractly. Therefore this study is based on assertive assumption, if the conceptual element for the expression and delivery of mental value make systematically the foundation of symbolic expression on the physical element which constitute environmental design, is that the quality of human life improve through significant interaction positively with environment. A study undergoes following processes. . To look into the value and expression´s quality of korea modern architecture for the background of a study subject and examine the spiritual value as to environment being on the rise by new world and a oriental thought. . To understand the concept of symbolic expression of itself and symbolic expression between man and environment and study the interdisciplinary approach for providing the meaning of spacial symbolism - semiotical symbol, archetypical symbol and social symbol- to establish the criteria for the solution to the problem raised in the research. . To propose the conceptual language and formative language so as to apply symbolism to the target space in accordance with the researched methodologies and organize space through the phase of programming and designing. . To assess the final model in aspects of aesthetics, subjectivity and functionalities. The conclusion of a study through the above processes is summarized as follows : . The result of a study shows that human beings are symbolic animal which interpret the information of the surrounding environment comprised in many signs and symbols and behave according to the interpretation of their empirical signs and symbols. . Through the positive exploration and approach to the symbolism, the matters of originality and variety as to the environmental design can be solved. . In korea modern architecture the imitation of western architecture´s trend brought about the discontinuation of symbolic expression between man and built environment. So we examined that the spiritual value by symbolic system could make the recovery of lost architectural significance and human existence as Meta-Language. This study has a significance in the view of that a concern about the spiritual value of environmental design shows not only affirmative direction in korea modern architecture but the solution of aesthetic problem in urban environment.

      • 지역적 상징성이 반영된 중국 안휘성 합비시 쇼핑센터 인테리어 디자인 계획 연구

        차주현 가천대학교 산업환경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806

        도시환경에 있어서 현대 사회의 성숙과 더불어 쇼핑문화 의식과 환경의 변화가 일어나게 되면서 소비자의 감성 소비에 대한 욕구가 점차적으로 더 커지게 되엇다. 현대사회 소비패턴의 변화로 인해 소비자들은 쇼핑을 하며 상품을 선택함에 있어서 신중해지고, 단순히 물건을 구입하려는 목적 외에 그 공간에서 색다른 즐거움과 경험을 추구하려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이러한 경향은 소비자의 니즈(needs)와 개성이 다양화 되면서 쇼핑에 대한 패턴이 새롭게 변모해 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현대인은 단순환 상품 구매에서 벗어나 상품을 구성하는 주변 이미지를 하나의 장면으로 인식하고 상품과 함께 구입한다. 따라서 소비자는 자신을 둘러싼 자연적, 사회적, 문화적, 물리적 요소로 형성된 각 지역의 상징적 이미지가 반영된 친숙하고, 쾌적한 공간으로 유도 되어야 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지역 경제의 발전과 지역 소비 문화의 활성화를 위해 지역의 상징성이 반영된 중국 안휘성 합비시의 쇼핑공간에 대한 인테리어 계획안을 제안 하고자 하였다. 지역성의 개념은 서로 다른 지역 내에서 나타나는 자연적 환경의 차이와 사회적·문화적 환경의 차이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지역적 성격의 특유한 모습으로 지역의 종합적인 개성을 지역성이라고 한다. 이것은 그 지역을 다른 지역으로부터 구분을 짓는 요소가 된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지역성은 그 지역만의 독특한 정체성(Identity), 즉 지역적 이미지의 상징성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지역적 상징성은 지역의 이미지를 건축물 및 공간의 특정요소로 이미지화하여 물리적 측면에서 건축공간의 규모, 특색에 영향을 주고 이를 통해 공간적 특성을 표현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지역 상징성은 자연적, 인공적 요소를 바탕으로 주변의 환경과 연계된 맥락(context)적 측면에서 사회, 문화, 역사적, 물리적 의미로 파악되는 동일적인 의미와 특정 지역만이 가지고 있는 차별적 의미를 내포한다. 이러한 구성요소들을 통해 지역 이미지를 형상화 하게 되고, 지각적 표현 요소와 개념적 표현 요소로 구분되어 질 수 있다. 지역적 상징성이 반영된 실내공간이 국·내외 표현 사례를 살펴볼 때 도시상징이 각 도시의 장소성이나 산업, 고유한 문화적 특성 등과 긴밀히 연결되어 상징물이 지닌 그 이상의 의미를 전달하게 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사례를 사회적 관점, 문화적 관점, 환경적 관점으로 구분하여 건축이나 호텔, 뮤지엄 등의 공간에 어떻게 상징화 되었는지 살펴 볼 수 있다. 쇼핑센터에 대한 정의는 나라마다 차이가 있으나, 본 연구에서는 쇼핑센터의 발상지인 미국과 일본의 개념과 중국 상무부의 정의를 사용하여 구분하였다. 쇼핑시설은 상권별 분류와 머천다이징(merchandising) 유형별로 구분할 수 있다. 상권별 쇼핑시설을 세부적으로 구분하면 근린형, 지구형, 지역형, 광역형으로 구분할 수 있다. 그리고 머천다이징 쇼핑시설을 세부 유형별로 구분하면 패션형, 파워센터, 테마센터, 아울렛으로 구분 할 수 있다. 도심형 쇼핑센터 특징은 개발의 목적과 규모에서 기존의 복합쇼핑몰과는 차별화 되는 점을 갖고 있다. 또한 쇼핑(Retail) 위주의 개발로 단순히 집객효과를 위해 엔터테인먼트 요소로 앵커테넌트(Anchor Tenant)로 입점하는 것이 아니라, 계획 및 개발 단계에서 여가·문화생활이 이뤄지는 장소로 개발이 진행된다는 점이다. 중국 안휘성은 중국의 23개의 성도중 하나로 쇼핑센터가 계획 되어진 합비는 안휘성의 수도이다. 안휘성은 삼국지의 배경이 되는 역사적 지역 상징성과 남FEI수와 북FEI수가 합비시를 감싸며 관통하는 자연적 환경의 특징을 기지고 있으며, 종이공예와 3국 유적지와 명교사 등의 문화적 환경 특징을 가진다. 사회적 요소는 예로부터 중원에서 강남 지방으로 통하는 교통의 요지였고, 오늘날에도 중국의 중부 교통망의 중심지 역할을 하는 도시이다. 본 연구에서 여러 자료를 검토하여 지역적 상징성이 반영된 안휘성 합비시 쇼핑센터의 인테리어 계획안을 제안함에 있어서 최신 디자인 트랜드를 반영하는 것이 아니라 그 지역만의 지역적 상징성을 토대로 그 지역만의 아이덴티티를 가질 수 있는 여러 요소들(자연적, 사회적, 전통적, 문화적 요소)을 반영하여 내부공간에 표출 하여야 한다. 또한 소비자의 ‘새로운 경험에 대한 기대와 만족’ 을 위해 지역적 상징성이 긍정적으로 반영된 프로그램과 경험 및 라이프스타일을 리드(lead)할 수 있는 다양한 디자인 전략 4가지를 도출 하였다. 머무르고 싶은 장소를 제공하는 복합화 전략과 특별함이 있는 명소화 전략은 M/D을 구분하는 4가지(Anchor MD, Unique MD, General MD, MD Touch) MD 전략을 토대로 하여 층별 수직적, 수평적 MD 구성 전략을 수립 하였다. 본 쇼핑센터의 3개의 아뜨리움을 이용하여 수직적 연결 공간과 수평적 연결 공간의 건축적 특징을 살려 아뜨리움이 공간과 공간을 잇는 매개체로서 휴식을 제공하는 쉼터의 공간으로의 공간 관계성 전략과, 인터렉티브 시스템, 정보전달 광고탑, 방송부스 등의 감성을 자극하는 감성화 전략을 수립 하였다.

      • 觀光地 象徵性 測定에 관한 硏究

        이덕순 京畿大學校 大學院 2001 국내박사

        RANK : 247806

        관광지는 단순한 物理的 空間이 아니라 수많은 의미가 內包된 象徵的·哲學的 공간이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관광지들은 전국 어디서나 동일한 형태라고 할만큼 지역적인 특성을 상징적으로 표현하지 못한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본 연구는 의미 있는 관광지의 조성과 관광지의 差別化 및 競爭力 提高를 도모하기 위해서 관광지의 상징성을 측정할 수 있는 척도를 개발하고 그 결과를 기존 관광지에 적용하여 실효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다음과 같은 문제의식을 갖고 연구를 진행하였다. 먼저, 관광지의 상징성을 측정할 수 있는가 관광지의 상징성을 측정하기 위한 구성 요인과 세부 항목에는 어떤 것이 있는가? 상징성 구성 요인들의 상징화에 대한 영향 정도에는 어떤 차이가 있는가? 관광객들의 상징성 구성 요인에 대한 지각에 차이는 있는가? 등이다. 본 연구를 수행하기 위하여 청학동 삼성궁에서 2000년 3월에 4회에 걸쳐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유효 표본 수는 305매였다. 실증 분석을 위해서는 SAS패키지와 SPSS 10.0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요인분석, 분산분석, 회귀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導出된 주요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관광지 상징성을 측정할 수 있는 6개의 상징성 구성 요인과 25개 측정 항목을 개발하였다. 6개의 象徵性 構成 要因은 事件·人物要因, 言語要因, 事物要因, 行爲要因, 香氣要因, 想像要因 등이다. 이론 연구 부분에서는 상징성 구성 영역이 9개(언어, 행위, 사물, 상상의 산물, 인물, 사건, 분위기, 향기, 맛) 영역으로 나타났으나, 실증연구에서는 분위기와 맛에 대한 요인이 추출되지 않았고, 사건과 인물 영역이 한 요인으로 묶인 6개요인으로 추출되었다. 향후 후속 연구에서 상징성 구성 요인을 확장시키고, 사건과 인물영역이 하나의 요인으로 묶인 것에 대한 명확한 원인을 규명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상징성 구성 요인의 상징성 강도에 미치는 영향력에는 차이가 있었다. 실증연구 대상지인 삼성궁의 상징성 강도에 가장 영향을 주는 것은 사건·인물요인으로 나타났고, 이어 사물요인, 언어요인, 행위요인, 향기요인의 順으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상요인은 직접적인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해당 관광지의 상징성 강도에 영향을 미치는 상징성 구성 요인을 파악하여 경쟁력 있는 상징성 구성 요인을 부각시키고 부족한 상징성 구성 요인을 보강한다면 해당 관광지의 전체적인 상징성을 강화시키고 다른 관광지와 차별화 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셋째, 관광지 상징성 요소에 미치는 상징성 구성 요인의 영향력에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꿈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사건·인물요인(-)과 상상요인, 환상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사건 인물요인(-)과 사물요인, 애국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사건·인물요인과 사물요인(-), 낭만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사건·인물요인(-)과 사물요인, 신비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사건·인물요인(-), 성스러움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사건·인물요인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각 관광지의 주제 상징성을 개발할 수 있고, 해당 관광지의 이미지를 統合하면 이미지를 제고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넷째, 관광객들의 관광지 상징성 구성 요인에 대한 知覺의 平均差異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성별에 따라 행위요인에 지각 차이가 있었고, 연령에 따라 언어요인, 행위요인, 상상요인에 대하여 지각 차이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방문회수에 따라 사건·인물요인에, 동반형태에 따라 언어요인에, 방문 목적에 따라 사건·인물요인과 언어요인을 지각하는데 차이가 있었다. 또한 재방문의사에 따라 사물요인을 지각하는데 차이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고, 타인 추천 의사 정도에 따라 사건·인물, 언어, 행위, 상상요인에, 만족정도에 따라 사건·인물, 행위, 상상요인에 대한 지각을 하는데 차이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관광지 상징성 구성 요인에 따른 관광객 시장 세분화가 가능하고 각 세분시장에 따른 관광지 상징성 구성 요인을 개발함으로써 모든 사람을 대상으로 한 종합적인 백화점식 관광개발을 止揚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결론적으로 관광지 상징성 측정 척도를 개발함으로써 그간 막연하게 論議되어 오던 관광지 屬性을 측정할 수 있다는 것이 밝혀졌고, 관광지 상징성을 이용하여 의미 있는 관광지 조성이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다른 관광지와의 차별화가 가능하고, 경쟁력을 높일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본 연구는 관광지 상징성 측정 척도를 개발하여 여러 관광지를 측정하여 비교하지 않고 청학동 삼성궁만을 대상으로 하였다는 점에서 一般化에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개발된 관광지 상징성 측정 척도를 다양한 관광지에 지속적으로 적용해 봄으로써 관광지 상징성 척도의 확장 및 일반화를 기대한다. Not only the space of tourist destinations was physical space but also there were lots of means embedded symbolic or philosophic space. Since 1970's, in Korea, the development increases many of tourist destinations. However, as a result of the development, one can find no difference of the tourist places in nation-wid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build up developing meaningful tourist destinations, giving difference of the each places and competitive power in economy based on the literature study, field survey and empirical analysis on the factor and path of the evaluation of the tourist destinations. The study developed based on the following typical questions. First of all, how one can measure symbols of the tourist destinations? what are the factors and details of organization to evaluation of symbols used to represent in tourist destinations? what are differences of influences in symbolizing factors of organization? how many the tourists recognize about the symbolization of tourist destinations. To develop the study, the practical analysis surveyed in Chunghakdong at Samsungkung four times in Mach, 2000. the available samples were limited to 305. The study on used the SPSSWIN 10.0 package and the Statistical Analysis System(SAS) package in order to have the practical analysis. These included analysis of variance(ANOVA), factor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study developed 6 items and 25 evaluation factors to measure the evaluation of symbols. The 6 symbolic factors divided into Event·Person, Language, Object, Act, Smell, and Imagination. The symbolic consisting area on theory study appearance 9 items(Language, Act, Object, Product of imagination, Person, Event, Atmosphere, Smell, and Taste). However, this case study did not draw out Atmosphere and Taste, Event and Person area packed one item and drew out 6 factors though continued studying will be enlarging to symbols of consistent factors and a plan to pack factors with accurate origin resources. Secondly, there are some differences among the influences of given symbolic power on the symbolic organized factors. The most influencing factors on the target of the practical study, Samsungkung were Event·Person factor and Object, Language, Act, Smell factor to follows, the factor of Imagination did not affect directly. According to this research; therefore, tourist destinations must be understood symbolic organized factors influenced by symbolic power, and they are highlighted the symbolic factors has economic power, and then can see what are differences with other places through the development of symbolizing the given place with recovering lack of symbolic organized factors. Thirdly, symbolism factor affected by the tourist destinations area's symbolism elements has some differences. The Dream was influenced by some factors: Event·Person, and Imagination factor. The Fantasy was influenced by Event·Person and Object factor. Patriotism was influenced by Event·Person and Object factor. The Romance was influenced by Event·Person and Object factor. The Mystery was influenced by Event·Person factor. Holiness was influenced by Event·Person. Therefore, they can be developed theme symbolism and expected image improvement by unifying the image of tourist destinations. Forthly, It was discovered that tourists have the deviation of perception on tourist destinations symbolism factors. The Act factor was different by gender. One can find some differences that Language, Act, and Imagination factor were different by age. Event·Person factor was different by visiting frequency; and the Language factor was different by accompaning form; the Event·Person, and Language factor were different by visiting purpose. In addition, it was analyzed that Object factor was different by revisiting intention, and the Event·Person, Language, Act, and Imagination factor were different by recommendation intention. It was discovered that Object, Event·Person, Act, and Imagination had deviation of perception by satisfaction. Therefore, it was possible that the tourist markets were divided into the tourist symbolism factor. As developing tourist symbolism factor of smaller market. It was judged that they are kept tourism from all-round development for everybody. In conclusion, the study revealed how to measure the results of developing the scale of tourist destinations symbol, and it also showed the possibilities to evaluate with using meaning tourist destinations symbol development and it expects increasing economic power as result of difference to other destinations. However, this study has some limitations because the study didn't compare many tourist destinations. Also, the study was only focused on the Samsungkung. Therefore, tourist destination symbol evaluation scale developed by the study I expect that tourist destination symbol evaluation scale developed by the study would be popularity and expansion of tourist destination symbol scale in public with many places.

      • 인도신화의 상징성이 반영된 현대 패션 디자인 연구

        최지영 동덕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7806

        최근 신화는 현대 문화에 크게 자리잡고 있다. 신화에 대한 우리의 일반적인 생각은 그것이 고대인의 환상적이고 신비한 상상의 산물이라는 것이다. 그러나 비록 겉으로 드러나는 모습은 그렇다 할지라도 보다 자세하게 그 내용을 음미해 본다면 그것이 결코 단순한 허구의 상상에 대한 나열만이 아니라는 사실을 알 수 있다. 신화는 항상 실재에 관여하고 있기 때문에 참된 이야기이며 또한 진정한 역사의 한 부분이기도 하다. 이러한 신화의 현대적 의미를 찾는데서 출발한 본 연구는 인도 신화를 통해 현대의 문화 전반에 흐르고 있는 신화를 이해하고 인도 신화의 인물들의 상징성과 의상들을 현대적 의미로 재해석하여 의상디자인에 그 이미지를 투영시키고자 하였다. 또한 세계적인 오리엔탈 열풍과 그 오리엔탈의 소재가 되고 있는 인도 신화의 상징성을 연구함으로써 예술 작품으로서의 의상 디자인에 모티브를 제공하여 현대의 진실한 신화의 이미지를 찾고 나아가 현대패션의 발전적 방향과 가능성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본 연구의 내용과 방법은 인도 민족과 사회에 대한 역사적 고찰과 인도 신화의 올바른 이해를 위하여 역사 서적과 민족학 서적을 바탕으로 인도의 역사적 배경과 문화를 연구하였으며 고서와 서사집을 바탕으로 인도의 신화를 연구하였다. 또한 인도 신화가 반영된 신화해석을 통해 현대의 오리엔탈 열풍과 현대의 신화적 기능을 연구하였다. 또한 인도신화 속에 등장하는 신들의 의식상태와 역할을 분류하여 인도 신화의 상징성을 절제성, 수호성, 관능성으로 제시하였으며 현대 패션 매거진과 디자이너의 작품집을 통해 현대 패션에 나타난 인도 신화의 상징성을 분석하여 이를 토대로 다양한 모티브를 응용한 작품 6점을 제작하였다. 본 연구의 결론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인도 신들의 특징과 성격에서 인도 신화의 주제들이 나타나고 있음을 알 수 있었고 예술과 문화는 인간의 삶에 크게 자리잡고 있기 때문에 인도 신화에 관한 재현 양상을 현대의 신화 해석을 통해 분석하여 우리의 삶에 투영되고 있는 인도 신화를 구체화 할 수 있었다. 둘째, 인도 신화의 상징성중 절제성은 완성된 인격을 갖추기 위한 절제와 자기희생을 통한 신에 대한 충성으로 나타났으며 인도 전통문양과 색상을 응용한 직물패턴에 심플하고 절제된 조형적 라인이 절제를 상징하는 기법으로 사용되었다. 셋째, 인도 신화의 상징성중 수호성은 생명과 번영의 수호자 역할과 악마를 물리쳐 장애를 제거하는 전쟁신의 모습으로 나타났으며 술 장식과 거친 커팅 기법, 금속소재를 이용하여 에스닉한 인도 전사의 모습으로 나타났다. 넷째, 인도 신화의 상징성중 관능성은 풍요와 생산과 육감적인 사랑놀이를 즐기는 모습으로 나타났으며 신체의 노출과 인도풍의 강렬한 원색의 사용이 관능적인 모습을 나타내었다. 오늘날 인도와 인도신화는 오리엔탈 열풍의 중요한 모티브가 되고 있으며 현대의 여러 디자이너들에 의해 재조명되고 있으나 학자들과 역사적 편견으로 인해 낙후된 문화라는 오해를 받고 있다. 인도 신화와 문화의 뿌리를 찾는 노력이 계속되어야 할 것이며 현대의 중요한 문화 코드인 인도 신화의 상징성에 대한 고찰을 통해 진정한 신화의 의미를 찾고 패션 디자이너들에게 새로운 모티브를 제공하여 거친 현실에 지친 현대인들에게 희망과 꿈을 찾게 하는 기회를 주고자 한다. Recently, contemporary culture is much ascribe to myths. Our general perception about myths is that a myth is a visionary and mysterious product of the imagination from the ancients. Though it looks apparently true, we come to know that it is not just an enumeration of imaginations when we look at it closer. Since a myth is always participating in the real, it is a true story and real part of the history. This study, started from finding the contemporary meaning of myth, is devoted to trying to understand myths which are scatter over the contemporary culture, through the Indian myths and re-interpreting the meaning of symbols of characters in the Indian myths and their costume as a new contemporary meaning, applying this image into the design. Also by studying the oriental trend which is the main trend all over the world and symbols of India myth which is the main resource of the trend, this study is focused on finding the true image of myths in the times with offering a motif to the fashion design regarded as an art work, thus presenting instructions and opportunities of the development of contemporary fashion design. The methods and the contents of this research are studying the historical backgrounds of India and its culture on the basis of history books and ethnics-related books, and studying the Indian myths on the basis of ancient books and epos, for better historical consideration on Indian race and society and correct understanding of the Indian myths. Also the research on the oriental trend in the times and contemporary function of myths have been carried out through the analysis of myths reflected symbols of the Indian myths. This study also classifies the conscience of Indian gods and their roles in the myths and presents the symbols of the India myths as temperance, protection and sensuality. Six art works have been made with applying the various motifs drawn from the analysis of symbols of the Indian myths in contemporary fashion design expressed in contemporary fashion design and the works of contemporary designers to the design. The summary of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the theme of the Indian myths came form the characteristics of Indian gods. The analysis of the way the Indian myths represent the reality by the contemporary interpretation of the myths have led to the embodiment of the Indian myths which reflected our life, as art and culture are the major part of human life. Second, temperance, among the symbols of the Indian myths, is represented as loyalty to God by temperance and self-sacrificing spirit to have mature personality. Woven textile pattern using Indian traditional patterns and colors and simple, moderate and figurative line are used for expressing the symbols of temperance. Third, protection, among the symbols of the India myths, is represented as a god of war who safeguards the life and the prosperity, defeat the Devil and remove the obstacle. Fringe, rough cutting techniques and ethnic Indian worrier with metals are used to express the symbol. Fourth, sensuality, among the symbols of the India myths, is represented as prosperity, birth and enjoying love with carnal desire. Exposure of the body and the vivid color of Indian style are used to express sensuality. Even India and the Indian myth have become a major motif of the oriental trend all over the world and it is re-evaluated by various contemporary designers, however it is often misunderstood that Indian culture falls behind others due to the distorted views and some scholars. The efforts to find the root of the Indian culture and myths should be continued. Through the reflection on the symbols of the Indian myths which are the major cultural code in the times, this study is showing the way to find the true meaning of myths and offering a new motif to the fashion designers thus giving the opportunity to have a dream and cherish a hope to the contemporary.

      • 양택풍수의 공간구조와 내부상징성에 관한 연구 : 양택의 풍수인테리어를 중심으로

        김소영 서경대학교 경영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806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review Korean traditional and symbolic interior housing space, and to comprehend how Korean viewpoints of nature and universe have been significant and take consideration for 양택(陽宅) and furthermore, to understand such background and systems. As the Korean traditional natural geography, "Theory of Divination based on Geography"(풍수 지리학) is referred to as 'science academic school' to provide human beings with wisdom to choose or eliminate geography useful for all human creatures, making it a basic principle to maintain symbiotic relations with nature. Thus, the school should be distinguished from secularism. Nonetheless, nature science-based "Theory of Divination based on Geography" has a tendency not to become academic education-oriented but become commercialism and secularism-oriented, in these days. Thus, this research thesis aims to search fundamental roots of degenerated world views of nature pursued by our ancestors and misused contemporary 양택(陽宅) or "Sunny Region" -centered 'Theory of Divination based on Geography', and to reestablish the status of 'Theory of Divination based on Geography' as a daily science and set directions right for new cultural code that such theory should head for. Considering that most Korean people gave top priority to the decision on geographical location-based housing sites in the process of 'building house', 'good' housing sites implied, in other word, the good geographic location in harmony with음양(陰陽) or Yeum and "Yang". Accepted as one of good signs, 'land shape' meant to provide human being with optimum housing environment, under the strong influence of providence. The review of the changing and circulating natural phenomena based on interactions between 음기(陰氣)and 양기(陽氣) means, in other words, viewpoints of nature and universe that nature and human creatures play a mutually central role. The idea of 음양(陰陽), which hints that all living creatures including human beings are subject to principles and laws of universe and nature, has been rooted in Korean ethnic people's hearts. This demonstrated that housing has had significant effects on habitant space. Thus, 'housing' represents not simply 'space for life' but 'the extension of ego and family and inherent world of life. For Koreans, housing is deemed as small universal value. This is evidenced by the fact that Korean ethnic people have regarded utopian world as the emblem of universal orders and systems, the products of ethnic group. Hence, Korean traditional housing takes into reflection of such universal and natural world views in term of housing planning/ housing site choice/ configuration/ setting/ and shape. Each component and relations with such component materialize universal orders under the profound meaning and symbols. It was 'housing site choice' that Koreans considered most important in the process of building housing, in traditional Korean history. "Theory of Divination based on Geography" means that choosing good housing sites can make house builders happy. Otherwise, they can make those people unhappy. This was cited as the product, which was experienced through habitant space. A traditional academic theory is classified into 음양오행(陰陽五行)-founded 'natural philosophical theory' and geographic forces and location -based 'natural geography theory' . Through the two theories, this research thesis conducted a case study on traditional and contemporary houses and apartments. Specifically, this thesis made a comparative analysis of geographic patterns / forces/ and structures and furthermore, an exhaustive analysis of 양택 3요(陽宅 3要) determining 길흉(吉凶), so that both houses in the past and present can be reviewed as same theory and cases or applications of 'Theory of Divination based on Geography' into contemporary house can be made and new housing can be designed in the future. Built on these results, this research thesis is deemed to contribute to creating and inducing space useful for human beings' everyday life, by applying and using multi-meanings and symbols of natural and spatial elements considered most important in 'Theory of Divination based on Geography', in a broader sense: ranging from interior space structure and remodeling and equipment. 본 연구는 우리의 전통주거 공간구조와 그 내부의 구성요소가 가지고 있는 상징성의 고찰을 통하여, 우리의 자연관과 우주관이 양택(陽宅)에 어떠한 의미와 형태로 반영되었으며, 그 배경과 사유체계는 어떠한 맥락이었는지를 이해하는데 있다. 전통의 자연지리학인 풍수지리학은 자연과의 상생(相生)을 기본원리로 인간에게 유용한 지형을 취사선택할 수 있는 지혜를 주는 학문으로서 속신적(俗信的)인 술법(術法)과는 구별되어야 한다. 그러나 근래에 와서 자연과학적인 풍수론이 학문적 성향에서 벗어나 사람들을 현혹시키는 술법적인 측면으로 흐르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선조들의 지혜로운 자연관의 퇴색과 오용되고 있는 현대 양택 풍수지리의 올바른 근원을 찾아 생활과학으로서의 풍수지리학의 위상을 재정립하고 새로운 문화코드로서의 방향성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한국인에게 있어서 집짓기는 집터의 선정에서부터 풍수적 판단을 최우선적으로 고려해 왔던바 좋은 집터는 음양(陰陽)이 조화를 이루는 입지(立地)적 길지(吉地)를 의미하였고, 택지(宅地)의 형상 또한 길상(吉相)으로서 천지(天地)의 기운이 한 데 모여 인간에게 최적의 주거환경을 제공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자연계의 변화와 순환의 이치를 음기(陰氣)와 양기(陽氣)의 상호작용으로 설명하는 것은 자연과 인간을 우주적 상호주체로 인정하는 자연관이며 우주관으로 인간을 포함한 우주 일체의 현상은 이러한 자연의 원리와 법칙성에 의한다는 음양(陰陽)사상은 이미 오랜 시기로부터 우리 민족의 사유체계로 정착되어 거주공간으로서의 집의 의미성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집이란 단지 생활을 위한 단순 형태가 아닌, 자아와 가족의 확장이며, 삶이 이루어지는 고유한 세계로서의 이상향으로 나타나게 되며, 이상향의 모상(貌相=模樣)은 그 민족 집단의 우주관에서 비롯된 우주적 질서로 표상(表象)된다할 수 있음으로 한국인에게 있어서 집은 소우주적 가치로 평가되기도 한다. 그러므로 우리의 전통 주거에는 집의 계획과 집터의 선정, 구성과 배치, 형태 등에 이러한 우주관과 자연관이 자연스럽게 녹아들어 그 바탕을 이루고 있으며, 각각의 구성 요소와 요소간의 관계가 그 의미와 상징성을 내포하면서 우주적 질서를 구현하고 있음을 알 수가 있다. 전통적으로 집을 지을 때 우리나라 사람들이 가장 중요하게 생각해온 요소는 집터의 선정이었다. 좋은 집터를 선택하게 되면 그 터로 말미암아 그 위에 집을 짓고 살아가는 사람들이 복(福)을 누릴 수 있고, 그렇지 못할 때에는 그 반대로 화(禍)가 미친다는 풍수론의 논리는 오랜 정주적(定住的) 생활속에서 경험적으로 체득한 산물이다. 집터 선정에 전통적으로 널리 통용되어온 이론은 음양오행(陰陽五行)론을 바탕으로 하는 자연철학적 이론(理氣論)과 지형(地形)의 지세(地勢)와 입지(立地)에 대한 형국(形局)을 위주로 보는 자연지리적 이론(形氣論)으로 대별된다. 본 연구는 이 두 가지 이론적 고찰을 통해 전통주택과 현대주택 및 아파트에 대한 사례분석을 병행하였다. 이를 위해 지형에 대한 형상과 택지주변의 지형지세를 포함하여 집의 구조를 위주로 길흉(吉凶)을 가늠하는 양택 3요(陽宅 3要)론적 분석 등을 통해 과거주택과 현대주택에 대한 검증을 동일한 이론으로 고찰하고 현대주택에 대한 풍수론의 적용실태를 파악하여 미래의 한국형 주택에 대한 새로운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방위와 관련하여 풍수론에서 매우 중요하게 다루고 있는 자연물과 공간성에 대한 다양한 의미와 상징성을 현대주택의 내외공간구조와 실내구조물 및 인테리어 소품에 이르기까지 적용하여 활용됨으로써 인간에게 유익한 삶의 터전으로서의 공간창출을 유도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사료(思料)된다.

      • 自我이미지와 製品象徵性이 消費者의 反應行爲에 미치는 影響 : 製品關與의 役割를 中心으로

        강상환 檀國大學校 1995 국내박사

        RANK : 247806

        從來의 消費者行動模型의 대부분은 암묵적으로 消費者의 製品에 대한 關與의 程度는 일률적으로 높은 것을 전제로 하였기 때문에, 일상적인 구매행동과 종래의 여러 消費者行動模型間에 커다란 乖離가 발생하였다. 따라서 이러한 乖離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製品關與라는 構成槪念을 도입함으로써 더 설명력있는 정교한 消費者行動模型을 구축해야 할 것이다. 그러나 製品關與에 대한 硏究를 진행되면서 다양한 정의와 측정방법들이 난무하여 통합적인 관점에서의 접근을 어렵게 하고 있다. 이러한 점을 고려해 볼 때, 從來의 硏究를 심층적으로 검토함으로써 공통요소들을 추출하여 이론들을 통합하고, 이를 보완하기 위한 實證的 資料의 蒐集이 필요하다고 하겠다. 한편 消費者틀은 자신의 自我이미지를 투영하는 대상(제품, 상표, 점포)을 선호하며, 自我이미지와 대상의 상징성이 일치하면 製品關與의 반응행동으로 야기되는 상표애호도, 정보탐색활동, 의견선도성, 혁신성 등에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보면 관여도를 이용한 마케팅전략수립을 위해서는 自我이미지, 製品象徵性에 대한 연구가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이와 같은 중요성에 비추어 本 硏究에서는 복잡다기한 關與의 槪念을 정리·통합하여, 그 本質을 糾明하고, 이를 통해 關與의 原因變數, 次元, 類型, 反應變數등의 관계를 명확히 밝힘으로써 關與에 관한 統合的 模型을 개발하기 위한 이론적 근거를 제시하는 데 초점을 두었고, 이를 토대로 기존의 自我이미지, 製品象徵性에 관한 제연구를 검토하고, 이들의 관련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그리하여 이들 변수에 대한 종합적 관점을 제시함으로써 앞으로의 연구를 위한 기초를 마련하기 위해 대표적인 제품관여모형을 근거로 製品象徵性과 自我이미지간의 관계를 이론적으로 검토하였다. 따라서 이를 동해서 복잡다기한 이들 변수들의 본질을 규명함으로써 이들을 통합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였다. 그리고 앞으로의 연구방안을 제시하고, 더 나아가 製品象徵性과 제품관여를 이용한 마케팅전략을 수립하는 데 있어 전략적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제품관여의 원인변수로서 자아이미지와 제품상징성을 파악하여 로랭과 카퍼러가 주장한 關與프로필을 검증하였는 데, 이는 제품관여개념의 다차원성을 나타내주고 있다. 종래의 많은 硏究들이 關與의 結果變數를 단지 高關與와 低關與로 2分하는 方法은 이미 한계에 도달했고, 이제부터는 關與를 그 선행요인에 의해서 파악하여야 한다. 또한 자아이미지란 개념도 다차원적 개념이란 점에서 접근할 수 있으며, 실무면에서 이를 활용하면 단순한 시장세분화 전략에서 벗어나 보다 세밀한 시장세분화를 할 수 있는 기반이 구축될 수 있을 것이며, 自社의 표적시장을 구성하고 있는 關與의 類型을 보다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게 됨으로써, 이에 대응한 마케팅전략을 효율적으로 수립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앞으로의 연구방향은 각 구성개념의 본질규명과 차원성을 밝힘에 있어 좀더 종합적인 접근을 시도하고, 이를 활용할 수 있는 실무적인 면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또한 제품관여라는 개념이 제품, 상표 등의 대상에 의해 고/저관여로 구분되기도 하지만, 무엇보다도 중요한 것은 소비자자신의 지각에 의해서 활성화되는 심리적 상태변수라는 점에서 소비자 중심적 개념으로 파악해야 한다는 점을 제시하였다. 그러므로 제품(상표)을 고/저로 분류하는 데는 매우 세심한 주의를 요할 뿐만 아니라 상황변수도 고려해야 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關與프로필을 製品階層水準과 商標選擇水準에서 검토하여 앞으로의 硏究方向에 하나의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로랭과 카퍼러가 제안한 關與프로필은 製品階層次元과 商標選擇次元을 구분하지 않았으므로 이를 구분하는 정교한 척도의 개발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며,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탐험적 관점에서 이들 차원을 구분하여 검토하였다. This paper has reviewed relationships among self-image(self-concept), product symbolism, product involvement. Each individual has a perceived image of himself or herself as a certain kind of person, with certain traits, habits, possessions, relationships, and ways of behaving. As with other types of perceptions, the individual's self-image is unique, a product of that person's background and experience. Individuals develop a perceived self-image through interactions with other people. Products and brands have symbolic value for individuals, who evaluate them on the basis of their consistency(congruence) with their personal pictures of themselves. Some products seem to agree with an individual's self-image; others seem totally alien. Consumers attempt to preserve or enhance their self-image by buying products they believe are congruent with that self-image and avoiding products that are not. Consumers also tend to shop in stores that have an image consistent with their own self-image. Consumers prefer the objects(product, brand, store)that project their self-concept. If the consistency between self-concept and product image(symbolism) exist, consumers are loyal to the product.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image and product symbolism affects the levels, responses of involvement. Therefore, for effective marketing strategy using involvement, a study on self-image and product symbolism should be preceeded. Three different self-image constructs have been identified: The ideal self-concept, actual self-concept, and expected self-concept. The concept of self-image has strategic implications for marketers. Marketers can segment their markets on the basis of relevant consumer self-images and position their products or stores as symbols of such self-images. Such a strategy is in complete agreement with the classical marketing concept. Self-image is a powerful concept which has many implications and applications in the field of consumer behavior. The concept has been used in market segmentation, advertising, packaging, personal selling, product development, and retailing. The marketing manager must identify self-concepts that are broadly held by groups of consumers and build a product image that is consistent with these concepts. Future research is needed to test the proposed relationships and further establish and refine reliable/valid measures of constructs.

      • 패턴 페인팅을 통한 상징성에 대한 연구 : 연구자 작품을 중심으로

        박현배 대진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805

        연구자의 관심이 되는 부분은 얼굴을 통한 인간관계의 묘사에 있다. 소재로 얼굴과 눈을 사용 하였고, 얼굴과 눈을 이용하여 인간 사이의 관계나 자아 형성과 변화를 상징적으로 보여 주려 하였다. 연구자는 선을 이용하여 패턴 작업을 한다. 패턴 페인팅의 특징상 장식적인 요소와 상징적 요소들이 많이 표현된다. 본 연구는 패턴 작업을 하는 연구자의 작품세계에서 나타나는 패턴 페인팅과 장식성에 대한 고찰, 그리고 연구자 작품에서 나타나는 얼굴, 눈의 상징에 대한 의미를 논하고 있다. 제 1 장에서는 장식미술의 본 개념을 고찰하였으며 장식미술의 한 부분이 되는 아르누보와 패턴 페인팅의 전개과정을 살펴 장식 미술이 가지는 미학적, 문명적 가치를 논하였다. 제 2 장에서는 상징성의 개념을 고찰하고, 미술에서의 상징적 표현에 대해 논했으며, 현대 미술에서 나타나는 상징적 표현의 전개와 의의에 대하여 논하였다. 제 3 장에서는 현대 회화에서의 다양하게 연구되어진 패턴 페인팅의 작가들을 고찰하여, 그들의 작품에서 나타나는 장식성과 상징성의 특징을 연구하였다, 제 4 장에서는 연구자 작품을 중심으로 연구자의 작품세계의 구축배경과 연구자 작품에서 나타나는 얼굴, 눈의 상징성과 선의 상징성에 대해 연구 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를 통해서 연구자가 작업해 왔던 작품들의 작업의도와 연구자의 작업관에 대한 이론이 확실해 졌으며, 이를 통하여 앞으로의 작품 연구 방향과 작품제작 방식에 많은 도움이 되었다. My interest is in the portrayal of human relationships through faces. The face and eyes were chosen for the subject matter in my work and they symbolically represent relationships among human beings, as well as the formation and changes of self. I create patterns with lines. As it is in the nature of pattern painting, many decorative and symbolic elements are included. This study examines my pattern painting and its decorative aspects and discusses the symbolic meanings of the faces and eyes appearing in my work. Chapter 1 reviews the concept of decorative art and evaluates its aesthetic and cultural values by examining the developmental process of Art Nouveau and pattern painting which is one of the decorative arts. Chapter 2 inquires into the concept of symbolism and reviews symbolic expressions in art, as well as both the development and meaning of symbolic representation in contemporary art. Chapter 3 explores pattern painting artists who have been already examined from various angles in contemporary painting and it studies both the decorativeness and symbolism of their works. Chapter 4 focuses on the background of aesthetic construction of my work and studies the symbolism of faces and eyes. Through these studies, I have established concrete intention and philosophy of my work and the ways through which it has helped me a great deal with the direction and style of my future work.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