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실외놀이터의 질적 수준에 따른 유아의 실외 상상놀이에 관한 연구

        류진순 덕성여자대학교 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실외놀이터의 질적 수준에 따라 유아의 실외 상상놀이 참여율은 성별, 연령별, 상상놀이 유형별, 주제별로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고, 이를 통해 교사가 실외놀이터의 질적 수준과 유아의 실외 상상놀이와의 관계에 대한 깊은 이해를 갖고, 실외 상상놀이를 도모하기 위한 환경 구성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에 따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실외놀이터의 질적 수준에 따라 유아의 실외 상상놀이 참여율은 성별로 차이가 있는가? 2. 실외놀이터의 질적 수준에 따라 유아의 실외 상상놀이의 참여율은 연령별로 차이가 있는가? 3. 실외놀이터의 질적 수준에 따라 유아의 실외 상상놀이 참여율은 유형별로 차이가 있는가? 4. 실외놀이터의 질적 수준에 따라 유아의 실외 상상놀이의 참여율은 주제별로 차이가 있는가? 본 연구의 대상은 경기도 부천시 원미구에 위치한 실외놀이터의 질적 수준이 높은 유치원과 일반적인 유치원에 다니는 중류층 가정의 유아 각 60명씩(3세-20명, 4세-20명, 5세-20명) 총 120명이다. 실외놀이터의 질적 수준을 평가하기 위하여 Frost(1997)가 개발한 '실외놀이 평가도구(수정판)'를 사용하였으며, 유아 관찰방법은 시간표집법으로 15초 동안 관찰을 실시하였다. 자료 분석방법은 실외놀이터의 질적 수준에 따라 유아의 실외 상상놀이 참여율은 성별, 연령별로 차이가 있는가를 알아보기 위하여 이원변량분석을 실시하였고, 상상놀이 유형별, 주제별로 차이가 있는가를 알아보기 위하여 t 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실외놀이터의 질적 수준이 높은 유치원의 유아들이 일반적인 유치원의 유아들에 비하여 실외 상상놀이 참여율이 높게 나타났고, 실외놀이터의 질적 수준에 따라 유아의 실외 상상놀이의 참여율은 성별로 차이가 있는가를 알아본 결과, 여아가 남아에 비하여 실외 상상놀이의 참여율이 높았으며, 실외놀이터의 질적 수준이 높아질수록 여아는 실외 상상놀이에 더 많이 참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실외놀이터의 질적 수준에 따라 유아의 실외 상상놀이의 참여율은 연령별로 차이가 있는가를 알아본 결과, 실외놀이터의 질적 수준에 상관없이 모두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실외 상상놀이의 참여율이 높게 나타났다. 셋째, 실외놀이터의 질적 수준에 따라 유아의 실외 상상놀이의 참여율은 유형별로 차이가 있는가를 알아본 결과, 실외놀이터의 질적 수준이 높은 유치원 유아들이 일반적인 유치원 유아들에 비하여 연합적, 협동적 상상놀이 유형에 더 많이 참여하였으며, 실외놀이터의 질적 수준이 일반적인 유치원 유아들은 높은 유치원 유아들에 비하여 비상호적인 상상놀이 유형에 더 많이 참여하였다. 넷째, 실외놀이터의 질적 수준에 따라 유아의 실외 상상놀이의 참여율은 주제별로 차이가 있는가를 알아본 결과, 실외놀이터의 질적 수준에 상관없이 유아들이 놀이한 상상놀이의 주제는 비슷하게 나타났으나, 같은 주제 내에서도 실외놀이터의 질적 수준이 높은 유치원 유아들은 실외 상상놀이시 등장인물의 역할이 다양하였고, 구조성이 높은 놀이감과 구조성이 낮은 놀이감을 잘 이용함으로써 놀이가 여러 방향으로 자극되고 촉진되어 놀이의 확장이 잘 일어났으며, 창의적이고 상호 협동적인 놀이를 하였다. 반면 실외놀이터의 질적 수준이 일반적인 유치원의 유아들은 높은 유치원의 유아들에 비하여 등장인물의 역할이 단순하였고, 구조성이 낮은 놀이감의 활용을 잘 하지 못하여 놀이가 창의적이지 못하였으며 상호작용의 정 도가 낮음을 알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search whether the quality of the outdoor playground made a difference in the rate of preschoolers' engagement in the imaginative play by their gender and age, and by the type of imaginative play and the play's subject. Further, this study aimed to enhance teachers' understandings of the relation between the quality of the outdoor environment and preschoolers' outdoor imaginative play and to provide fundamental data about the outdoor imaginative play for preschoolers to establish better outdoor environment. The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s : 1. Does the quality of the outdoor playground and the preschoolers' gender make differences in their engagement in the imaginative play in outdoors? 2. Does the quality of the outdoor playground and the preschoolers' age make differences in their engagement in the imaginative play in outdoors? 3. Does the quality of the outdoor playground make differences in the type of preschoolers' imaginative play in outdoors? 4. Does the quality of the outdoor playground make differences in the subject of preschoolers' imaginative play in outdoor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20 preschoolers from middle-class families who consisted of 60 preschoolers (3 years-20, 4 years-20, 5 years-20) from a high quality kindergarten and 60 preschoolers from an average quality kindergarten and the both kindergartens were located in Wonmi district, Bucheon city, Gyeonggi Province. Evaluation tools of this study were "the tool for evaluating the outdoor play (revised version)" developed by Frost (1997) to evaluate the quality of the outdoor playground and "the interval recording and time sampling" for 15 seconds to observe the preschoolers. For analysis on the data of this study, two-way analysis of variance was performed to research whether the rate of preschoolers' engagement in the outdoor imaginative play is different by their gender and age according to the quality of the playground,. and t-test was performed to research whether the rate is different by the type and the subject of the imaginative play.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 1. As a result of researching whether the quality of the outdoor playground and the preschoolers' gender made a difference in the rate of their engagement in the outdoor imaginative play, female preschoolers tended to do more imaginative play than male preschoolers regardless of the quality of the playground. And, as the quality of the playground became higher, the female preschoolers tended to participate in the imaginative play much more frequently. 2. As a result of researching whether the quality of the outdoor playground and the preschoolers' age made a difference in the rate of their engagement in the outdoor imaginative play, the preschoolers of older age tended to engage in the imaginative play more frequently regardless of the quality of the playground. 3. As a result of researching whether the quality of the outdoor playground made a difference in the rate of preschoolers9 engagement in the outdoor imaginative play by the type of the play, the kindergarteners with high quality playground tended to have more combined and cooperative types of plays than the kindergarteners with the average quality playground. In other words, the kindergarteners with the average quality playground tended to have imaginative plays with less interaction than the kindergarteners with the high quality playground. 4. As a result of researching whether the quality of the outdoor playground made a difference in the rate of preschoolers engagement in the outdoor imaginative play by the subject of the play, the observed subjects of play tended to be alike in both of two kindergartens regardless of the quality of the outdoor playground. But, though the play subject was the same, in the kindergarten with the high quality playground, preschoolers showed characters with more various roles in a play and make good use of small tools including more constructive playthings and less constructive playthings so that their plays could be stimulated and encouraged in various directions and extended very well, and they play creatively and cooperatively. Whereas, in the kindergarteners with the common quality playground, preschoolers showed characters with simpler roles in a play than preschoolers of the kindergarten with the high quality playground, and didn't make good use of less constructive playthings so that their plays were not creative, and they showed low level of interaction.

      • 상상어린이공원의 사업후평가에 관한 연구

        신미숙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8703

        Seoul Children's Park has been avoided by not only, children, but residents, because there are many facilities deteriorated and playing facilities are monotonous, and it's been used as a crime-ridden district. For those reasons, Seoul City enforced Item 179 of Instructions of the Mayor of Seoul and the process to implement the project was pushed ahead after naming it as 'Seoul Imaginary Children's Park for civil customers to customize' and organizing an advisory committee. Starting in Jan. 2008, Seoul Imaginary Children's Park Project will be implemented by Dec. 2010, dividing it into Stage 1 and Stage 2 and residents were asked to participate in the design process to encourage them to have senses of ownership after selecting construction companies through a design competition. Participation of residents that was carried out two times in forms of presentation for residents and design work-shop, was to make creative and interesting plans together, but there was a limit to realize creative facilities or spaces due to deliberation of local government and professionals.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its limitations by examining and the project promotion process of Seoul Imaginary Children's Park with a slogan, 'for custom-built for civil customers and imagination' and assessing user behaviors after completion. According to the installation standard of the Clause 6 of the 'Law for urban parks and green belt', 5 parks of 5 companies that implemented the projects, such as Kang-buk Saekdong Children's park of A company, Young-san Saenara Children's Park of B company, Gu-ro Samkak Children's park of C company, Yang-cheon Hodori Children's park of D company and Kang-seo Angol Children's Park, where meet the installation area of over 1,500㎡, were selected as targeted places of the research. Method and frame of post-implementation evaluation were analyzed through analysis of plans and status, analysis of user behaviors and in-depth interview in each place. The results of analysis are as following; First, as a result of in-depth interview, the meanings of a slogan of Imaginary Children's Park Project, 'imagination' were different in each company, although they clearly set up purposes of projects. So their focuses to build Children's Parks were different in place and facility and surrounding environment. Second, as a result of analysis of user behaviors, subjects of targeted places were not generally associated with playing facilities of subjects and there were rarely imaginary plays. Also, as a result of in-depth interview, designers had insufficient knowledge about playing characteristics of children. Third, as a result of analysis of plans and in-depth interview, residents didn't positively participate in the projects and designers, who implemented participation of residents for the first time, didn't draw their opinions well. Fourth, as a result of analysis of plans and in-depth interview, deliberation opinions generally focused on deliberation of playing facilities as the 'Law for safety management of playing facilities for children' came into effect. Lastly, as a result of in-depth interview, they felt difficult to carry out deliberation by local government and professionals and design-build along with the first and second participation of residents in 20 places within limited time and many of them subcontracted design-builds to other companies. In conclusion, it is likely that the environments of children's parks were improved through reorganization projects, but purposes of the projects were not clear. It resulted from temporal problems to complete constructions in many places in a short-term, insufficient knowledge of children characteristics and political problems of designers and presenters, who didn't experience participation of residents. Therefore, it is judged that we need to make sure purposes of the projects for building children's parks and take temporal and political problems into consideration by classifying project promotion process in more depth. 서울시 어린이공원은 조성한지 오래되어 노후화 된 곳이 많고 놀이시설이 천편일률적으로 단조로워서 어린이뿐만 아니라 주민들에게도 일부 외면을 받아왔다. 이에 서울시는 시장지시사항 제179호로 어린이공원사업계획을 실시하여‘시민고객 맞춤형 상상어린이공원’으로 명칭을 정하고 자문위원을 구성하여 사업 시행을 위한 과정을 추진하였다. 상상어린이공원사업은 2008년 1월을 시작으로 2010년 12월까지 1단계와 2단계로 나누어 시행되었으며 현상공모를 통하여 업체를 선정하고 주인의식을 갖게 하기위해 설계과정에 주민을 참여시켰다. 주민설명회 및 디자인워크숍은 1,2차에 걸쳐 진행된 주민참여는 창의적이고 흥미있는 계획(안)을 함께 만들고자 한 것이지만 자치구 및 전문가의 심의 등으로 인해서 창의적인 시설이나 공간을 구현하는데 한계성을 드러냈다. 본 연구는 ‘시민고객맞춤’ 및 ‘상상’이라는 슬로건을 내세운 상상어린이공원의 사업추진과정과 준공 후 이용행태를 살펴보고 평가함으로써 어떠한 한계성을 드러내는지 파악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지는 사업을 시행한 다섯 업체별로「도시공원 및 녹지등에 관한 법률 시행규칙」제6조의 설치기준에서 정하는 1,500㎡이상의 규모이상인 대사지를 업체별로 선정하였다. 이러한 기준으로 강북 색동어린이공원, 용산 새나라어린이공원, 구로 삼각어린이공원, 양천 호돌이어린이공원, 강서 안골어린이공원을 대상으로 하였다. 사업후평가의 방법과 틀은 각 대상지마다 계획내용 및 공원현황분석, 이용행태관찰 분석, 심층인터뷰로 분석되었으며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심층인터뷰를 한 결과 사업의 취지는 명확히 있었지만 업체에 따라 상상어린이공원사업의 슬로건인 ‘상상’에 대한 의미를 생각하는 바가 다르게 나타났다. 그로 인해 어린이공원을 계획하는 주안점이 공간 및 시설물, 주변 환경 등으로 다양하게 나타났다. 둘째, 공원현황 및 이용행태관찰을 분석한 결과 대체로 해당 대상지의 주제와 주제가 나타내는 놀이시설물과는 상관없는 놀이가 나타났으며 상상놀이는 드물게 나타났다. 이에 대해 심층인터뷰를 한 결과 설계자들은 아동놀이특성에 대한 지식이 미비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계획내용분석 및 심층인터뷰를 한 결과 주민참여 유형이 소극적인 형태로 나타났으며 처음 주민참여를 시행해보는 설계자들은 주민들의 의견을 잘 이끌어 내지 못하였다. 넷째, 계획내용분석 및 심층인터뷰를 한 결과 심의는 2008년 「어린이놀이시설 안전 관리법」이 시행됨에 따라 대체적으로 놀이시설물에 심의의 초점을 두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심층인터뷰를 한 결과 한 업체가 20개소를 제한된 시간 안에 1,2차 주민참여와 함께 자치구 및 전문가 심의, 실시설계를 하는 것에 부담이었던 것으로 파악되며 대체로 실시설계는 다른 업체에 하도급을 주어 일을 마무리한 것으로 나타났다. 상상어린이공원의 사업후평가를 한 결과 전체적으로 어린이공원이 재정비되어 환경이 좋아진 것은 사실이나 사업의 취지가 대상지에 잘 드러나지 않았으며 이는 많은 개소를 단기간에 완료해야하는 시간성의 문제, 아동특성에 대한 지식의 미비함과 주민참여를 접해보지 않았었던 설계자 및 발표자들의 미숙함에 대한 대처가 제도적으로 부재했던 정책적 문제를 안고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앞으로 새롭게 조성해야 할 많은 어린이공원에 대하여 사업의 취지를 명확히 정의하고 사업추진과정을 더 세분화하고 참여정책적인 지원 실효성을 거둘 수 있는 시간성과 정책성의 문제를 고려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 놀이에 대한 교사 효능감에 따른 영아의 상상놀이에서 교사 개입에 관한 연구

        유정화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의 목적은 놀이에 대한 교사 효능감에 따라 영아의 상상놀이에 교사의 개입유형의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는 데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에 따라 본 연구에서 설정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영아반 교사의 놀이에 대한 교사 효능감은 어떠한가? 2. 영아의 상상놀이 시 교사의 개입유형은 어떠한가? 3. 영아반 교사의 놀이에 대한 교사 효능감에 따라 영아의 상상놀이 시 교사개입 유형에 차이가 있는가?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 및 경기도에 소재한 유아교육기관에서 만 2세 반을 담당하고 있는 교사 42명이었다. 놀이에 대한 교사 효능감을 알아보기 위해서 조영희(1999)의 유치원 교사의 놀이에 대한 효능감 검사도구를 사용하였고, 상상놀이에서의 교사의 개입유형을 알아보기 위하여 유애열(1994)의 상상놀이에서의 교사개입 유형 관찰 도구를 보완하여 사용하였다. 연구방법은 자유 놀이 50분간 영아의 상상놀이에 교사의 재입에 일어날 때마다 관찰지에 기록하였고, 관찰 후 놀이에 대한 교사 효능감 질문지를 교사가 작성하도록 하였다. 자료분석은 빈도분석과 일원분산분석, 사후 검증(Scheffe), t검정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영아반 교사의 놀이에 대한 교사 효능감을 알아보고 개인적 변인에 따른 놀이에 대한 교사 효능감의 차이를 알아보았다. 영아반 교사의 놀이에 대한 교사 효능감은 비교적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일반적 교수 효능감이 개인적 교수 효능감 보다 높게 나타났다. 개인적 변인에 따른 놀이에 대한 교사 효능감은 경력에 따라 놀이에 대한 교사 효능감이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경력이 높은 교사(5년이상)가 경력이 낮은 교사보다(5년미만) 놀이에 대한 교사 효능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영아의 상상놀이에서 교사의 개입유형과 정도를 알아보았다. 영아의 상상놀이에서 교사들은 '영아의 상상놀이 유지시키기(26.1%)'로 상상놀이에 가장 많이 개입하였고, '상상놀이 형태로 전화시키기(16.8%)', '언어적 상호작용을 통하여 역할수행에 도움을 주고 놀이 확장시키기(14.0%)', '다른 영아 참여시키기(9.3%)', '소극적으로 관찰하기(7.3%)', '상상놀이를 위한 유아의 행동이나 표현 지시하기(7.3%)', '영아가 상상놀이 소품을 사용하도록 격려하기(6.1%)' 순으로 나타났고 '무관한 행동하기(3.1%)', '과잉 주도하기(2.4%)', '상상놀이를 위한 환경 재구성하기(2.8%)', '비난하기(2.1%)', '무조건 도와주기植.1%)'는 적게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놀이에 대한 교사 효능감에 따른 영아의 상상놀이에 교사개입의 차이를 알아보았다. 놀이에 대한 교사 효능감이 높은 교사는 '상상놀이 유지시키기', '언어적 상호작용을 통하여 역할수행에 도움을 주고 놀이 확장시키기', '영아가 시작한 행동이나 표현을 상상놀이 형태로 전환하기'를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differences of patterns of teache rs' intervention about infants' pretend play by teachers' efficacy belief. For this purpose, the study questions are established as follows: 1. How is teachers' efficacy belief about infants' play? 2. How is pattern of teachers' intervention in infants' pretend play? 3. What are differences of pattern of teachers' intervention by teachers' efficacy belief about infants' play of the teachers? The subject of this study were 42 teachers, who took infant classes of the childhood education institutes, Seoul and Kyeongkido Province. Young Hee, Jo's (1999) tool for efficacy belief about play of kindergarten teacher was taken to see teachers' efficacy belief about infants' play. And also. Ae Yul, Yu's (1994) observation tool for teachers' intervention pattern in imaginary-play was used to see teachers' intervention pattern in pretend play after reinforcing Yu 's study. Whenever teachers' intervention was happened in infants' pretend play, it was recorded on the checking list for 50 minutes of free-playing time. The teacher answered the questionnaire after being observed.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by frequency analysis, one way analysis of variance, post hoc comparison analysis (Scheff) and t-test.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eachers' efficacy belief about play was investigated, and differences of teachers' efficacy belief about play were examined according to personal variable. Teachers' efficacy belief about infants' play was mostly answered in the affirmative, general teaching efficacy belief was higher than individual teaching efficacy belief. Teachers ' efficacy belief about infants' play according to individual variable was not statistically differences by educational level, bu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y years of teaching experience. Teachers with many years of teaching experiences(over 5 years) were higher in efficacy belief about infants' play than teachers with less than 3 years of teaching experiences Second, patterns and degrees of teachers' intervention were examined about infants' pretended play. When teachers intervened in infants' pretend play, they used the method of maintaining imaginary play in most, then transferring from starting action or express of infants to imaginary play, helping role play and extending play through linguistic mutual action, bringing other infant, passive observation, reconstructing environment for imaginary play and commanding infants behavior and expression for imaginary play, encouraging infants tool usage in imaginary play in order. The method of reconstructing environment for imaginary play, irrelevance behavior, helping unconditionally, blaming, over-leading were used less. Third, differences of teachers' intervention in play were examined by teachers' efficacy belief about infants' pretended play. Teachers with high teachers' efficacy belief about play used the method of maintaining imaginary play, helping role play and extending play through linguistic mutual action, transferring from starting action or express of infants to imaginary play in most, on the other hand, teachers with low teachers' efficacy belief used the method of irrelevance behavior in most.

      • 유아교육기관 실외놀이터에서 루즈파트 유무에 따른 상상놀이의 질적수준 및 언어사용 효과 관찰 연구

        이지현 연세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8703

        유아교육기관 실외놀이터에서 루즈파트 유무에 따른 상상놀이의 질적수준 및 언어사용 효과 관찰 연구 본 연구는 유아교육기관 실외놀이터에서 루즈파트 제공 유무에 따른 만 3, 4세 아동의 상상놀이 질적 수준 및 언어사용 효과와 시점에 따른 변화를 알아보고자 관찰 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대상은 수도권 소재 2개의 유아교육기관에 재원 중인 만 3, 4세 아동 77명이었다. 연구를 위해 실험집단 아동들이 이용하는 실외놀이터에 루즈파트를 첫 3주간 2회, 이후 4주차와 5주차에 각각 1회씩 총 4회 제공하였고, 통제집단 아동들은 평소와 동일한 놀이매체가 있는 실외놀이터에서 놀이하도록 하였다. 루즈파트는 총 12가지 종류로 돌, 나뭇가지, 통나무, 솔방울, 모래, 조개의 자연적 루즈파트와 천, 블록, 튜브, 상자, 로프, 바퀴의 인공적 루즈파트를 선정하여 제공하였다. 이후 두 집단 아동의 상상놀이 질적수준 및 놀이 에피소드 양상과 언어 사용을 관찰하였다. 먼저 상상놀이 질적수준을 살펴보기 위해 아동들의 놀이를 Westby(2000) 상징놀이 평정척도(Westby Symbolic Play Scale)로 1분 시간표집법을 통해 평정하였으며 상상놀이 에피소드별로 놀이 주제와 놀이 지속시간, 사용된 루즈파트 및 놀이매체 등의 내용을 분석하였다. 또한 아동들의 언어사용 양상을 살펴보기 위해 영상 촬영된 놀이를 전사하여 어휘량(MLU)과 탈맥락적 언어를 측정하였다. 실외놀이터에 루즈파트 제공 유무에 따른 효과가 나타나는지 알아보기 위해 기술통계와 반복측정 분산분석(Repeated Measures ANOVA), 대응표본 t 검증(paired t-test)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루즈파트를 제공한 뒤 실험집단 아동들의 상상놀이에서 ‘탈맥락화’, ‘언어기능’, ‘언어의 형태와 내용’ 수준이 상승하였다. 둘째, 루즈파트를 제공한 뒤 실험집단의 경우 상상놀이 주제와 놀이매체사용이 더욱 다양하게 나타났고 놀이 지속시간도 길었다. 셋째, 루즈파트를 제공받은 실험집단 아동들의 ‘어휘량(MLU)’과 ‘탈맥락적 언어 표현’이 증가하였다. 결론적으로 유아교육기관의 실외놀이터라는 고정된 놀이환경에 루즈파트를 제공할 경우 아동의 상상놀이 수준과 놀이 중 탈맥락적 언어사용이 증가하고 다양한 상상놀이 주제가 발현되며 놀이 지속시간도 늘어나므로 영유아기관과 지역사회 놀이터에 개방적 놀이매체인 루즈파트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hanges in the quality of imaginary play and language usage patterns of children according to the presence of loose parts in kindergarten outdoor playgrounds. The subjects of this study included 77 children, aged 3 to 4 years old, who were enrolled in two kindergartens located in the metropolitan areas. For the experimental group, loose parts were provided in the outdoor playground twice in the first 3 weeks, and then one time each in 4th and 5th week, a total of 4 times. Afterwards, the qualitative level of imaginary play and the patterns of language use and imaginary play of the two groups were evaluated and compared before and after providing the loose parts at 4 th week and 5 th week respectively. To examine the qualitative level of imaginary play, children's play was evaluated by 1 minute time sampling method using Westby(2000)’s Symbolic Play Scale. To evaluated the children's language usage patterns, their play was filmed and transcribed, and the mean length of utterance(MLU) and decontextualized language use was calculated. In addition, play theme, play time duration, the use of loose parts and other play materials for each imaginary play episod were recorded. Descriptive statistics and repeated measure ANOVA were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between the groups and the time points and the interaction effect in the qualitative level of imaginary play and language usage patterns. In addition, a paired t-test was performed to examine the time point at which the impact of providing loose parts was significant.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after providing loose parts, the levels of 'decontextualization', 'language function', and 'form and content of language' during the imaginary play of the experimental group increased. Second, in the case of the experimental group provided with loose parts, the theme of imaginary play and the use of play materials were more diverse and their play time duration was longer. Third, after providing loose parts, the 'MLU' and ‘decontextualized language expression' of the experimental group increased. In conclusion, when loose parts are provided in the outdoor playground of ECEC institution, the level of children's imaginary play and the use of decontextualized language use increases, the themes of imaginary play become more diverse, and the play time duration increases.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provide loose parts in outdoor playgounds in ECEC institutions and communities.

      • 유아의 상상성향(상상친구, 상상놀이)와 상상친구 유무에 따른 여가활동, 기질 및 문제행동 분석

        이형경 울산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에서는 유아의 연령과 성별에 따른 상상친구의 특성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 관련 변수간의 관련성과 관련변수가 유아의 기질,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지를 살펴보는데 그 목적이 있으며 구체적인 연구문제를 다음과 같다. 1. 유아의 연령과 성별에 따라 상상친구의 특성에는 차이가 있는가? 2. 유아의 연령과 성별에 따라 상상놀이의 특성에는 차이가 있는가? 3. 상상친구 유무에 따라 유아의 놀이특성, 기질, 문제행동은 어떠한가? 4. 유아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상상친구유무, TV시청시간, 기질의 영향은 어떠한가? 본 연구의 대상은 울산광역시에 소재한 유아교육기관에 다니는 만3, 4, 5세 유아 728명과 그 학부모 및 유아를 지도한 담임교사 37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도구로는 유아의 상상친구를 알아보기 위해 Marjorie Taylor와 Stephanie M. Carlson이 개발한 부모용 role play interview질문지를 본 연구자가 번역·수정하여 사용하였고 유아의 기질을 측정하기 위해 Rothbart(1996)가 개발한 CBQ 단편형(Very Short Form of Children's Behavior Questionnare)을 박혜원(2007)이 번역, 수정하여 표준화시킨 CBQ 간편형(Short Form of Children Behavior Questionnare)검사도구를 사용하였으며, 유아의 문제행동을 측정하기 위해 홍강의, 오경자, 이혜련이 Achenbach (1991)가 제작한 Child Behavior Checklist를 번역하여 표준화한 K-CBCL검사를 본 연구자가 수정하여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12.0 통계 프로그램에서 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중다회귀분석의 Stepwise분석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논의된 연구 결과를 종합하여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의 연령과 성별에 따른 상상친구의 차이를 살펴보면 연령에 따른 상상친구의 유무에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 성별에 따른 상상친구의 유무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그리고 현재 상상친구와 과거 상상친구의 특성을 살펴보면 연령에 따라 현재 상상친구 출현시 나이, 자녀의 현재 상상친구에 대한 부모 이해도, 과거 상상친구의 성별, 자녀의 과거 상상친구에 대한 부모 이해도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유아의 성별에 따라 현재 상상친구의 성별, 현재 상상친구 출현시 나이, 과거 상상친구의 성별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의 상상놀이의 특성을 살펴보면 연령에 따른 동물 상상놀이,사람 상상놀이, 물건 상상놀이에서 모두 상상놀이의 시작시기와 동물 상상놀이의 기간에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성별에 따른 동물 상상놀이에서는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고 사람 상상놀이는 현재 가장 여부와 상상놀이 빈도, 장신구 사용 여부에서 차이를 나타냈고 물건 상상놀에서는 가장경험과 현재 가장 여부, 장신구 사용 여부에서 차이를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상상친구 유무에 따른 유아의 놀이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상상친구가 있는 집단에서는 성별에 따라 혼자놀이 시간, 혼자놀이 종류, 또래놀이 종류, 좋아하는 장난감, 부모와의 놀이, 좋아하는 TV 프로그램 종류, 좋아하는 이야기에서 차이를 나타냈고 상상친구가 없는 집단에서는 성별에 따라 혼자놀이 종류, 혼자놀이시 다른 세계 경험, 또래놀이 종류, 좋아하는 장난감, 부모와의 놀이, 좋아하는 TV 프로그램 종류, 좋아하는 이야기에서 차이를 나타냈다. 넷째, 유아의 문제행동 중 우울/불안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 충동과 통제력이 유의한 영향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충동과 TV시청시간은 사고의 문제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In this paper, leisure time activity, temperament and behavior problems were analyzed in relation to imaginary tendency and imaginary companions(ICs) among 148 3-6 year olds. Hypotheses were as follow: 1. Are there significant differences of imaginary companions depending on age and gender? 2. Are there significant differences of imaginary play depending on age and gender? 3. Are there significant differences of TV watching, temperament and behavior problems depending on imaginary companions? 4. What are the influences of TV watching, temperament and imaginary companions on behavior problems? In order to recruit children having imaginary companions, 728 3-, 4- or 5-year-old children who attend kindergartens and daycare centers in Ulsan were surveyed through parental questionnaire on imaginary companions and leisure time activities. Out of these children, 148 children who have imaginary companions and the same number of children who does not have ICs were further surveyed on temperament and behavior problems though their teachers. Total number of teachers were 37. Each teacher rated the same number of children in two groups(2 each in IC group and No-IC group). The questionnaire on imaginary companions and leisure time activities were prepared based on the measure of Imaginary Companions of Children by Taylor and Carlson(1993), and the temperament measure of the Short Form of Children Behavior Questionnaire by Rothbart was translated. For the measure of behavior problems, two subscales of K-CBCL(Hong, Oh and Lee, 1991) were used. SPSS 12.0 version was used for descriptive as well as inferential analyses including t-test, F-test and stepwise regression analyses. The results were as follow: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prevalence of ICs depending on gender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depending on age. Analyses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and the past ICs reveale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time when ICs had appeared, and parental attitudes toward the past and present ICs and the gender of past ICs depending on gender. Also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time when ICs had appeared and the gender of the past and present ICs depending on gender. Secondly, analyses of imaginary play revealed that depending on age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onset time of pretend play as animals, pretend play as persons, pretend play as objects and the duration of pretended play as animals. Depending on the gender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frequency of the present pretend play as persons, and using the ornaments and in the frequency of the present pretend play as objects, and using the ornaments. Thirdly, there were differences between boys and girls in time playing alone, type of play alone, types of play with friends, preferred toys, play with parents, preferred TV program, and preferred story in the group with ICs. However, in the group without ICs,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type of play alone, experience of imaginary world during playing alone, types of play with friends, preferred toys, play with parents, preferred TV program, and preferred story between boys and girls. Finally, regression analyses revealed that impulsivity and control of temperament had significant effects on depression and impulsivity and TV watching time had significant effects on thinking problems.

      • 유아의 상상놀이와 창의성과의 관계

        이정숙 강원대학교 산업과학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8702

        유아의 상상놀이와 창의성과의 관계 이 정 숙 강원대학교 산업과학대학원 유아교육학과 유아교육전공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의 상상놀이와 창의성과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상상놀이의 유형(비상호적 놀이, 연합적 놀이, 협동적 놀이)과 창의성의 전체 요인과 하위요인과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수행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목적에 따라 본 연구에서 설정한 문제는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1. 창의성 전체와 상상놀이의 3가지 유형 사이의 관계는 어떠한 가? 연구문제 2. 창의성 하위요인과 상상놀이의 3가지 유형 사이의 관계는 어떠 한가? 본 연구의 대상은 강원도에 위치한 C 어린이집 3세~5세 유아 22명과 S 유치원 5세 유아 33명, 전라북도에 위치한 S유치원 3세~5세 유아 23명, 경기도에 위치한 3세~5세 유아 50명으로 총 128명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유아의 상상놀이 유형을 알아보기 위해 Mcloyd(1983)의 상상놀이 유형(비상호적 놀이, 연합적 놀이, 협동적 놀이)의 범주를 사용하였다. 그리고 유아의 창의성을 측정하기 위해 노영희, 김경철, 김호(2006)가 개발한 교사용 유아 창의성 평정 척도를 사용하였다. 평정은 객관성과 신뢰도 및 타당도를 위해 유아들과 2개월 이상 함께 지낸 담임교사가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창의성과 상상놀이의 관계에서 창의성 전체와 상상놀이와의 관계는 비 상호적 상상놀이, 연합적 상상놀이, 협동적 상상놀이 모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창의성 하위요인과 상상놀이와의 관계에서는 창의성의 하위요인인 확산적 사고에서 비상호적 상상놀이, 연합적 상상놀이, 협동적 상상놀이 모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창의성의 하위요인인 몰입과 상상놀이의 하위요인인 연합적 상상놀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음적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그리고 독립성과 협동적 상상놀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ren's Imaginative Play and Creativity Jung-Suk Lee Depart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Industry & Science, Kangwon National University Abstract This study aims to find out the relationship between pretend play and creativity of infants. To this end, it tried to find ou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ypes of pretend play(noninteractive play, associative play, cooperative play) and the entire elements and sub-elements of creativity. The questions that were set according to the aim of the research are as follows. Question 1. How i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ntire elements of creativity and 3 way types of imaginative play? Question 2. How i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ub-elements of creativity and 3 way types of imaginative play?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a total of 128 participants, including 22 infants aged 3~5 in C daycare center located in Gangwon-do Province, 33 infants aged 5 in S kindergarten, 23 infants aged 3~5 in S kindergarten located in Jeollabuk-do Province, and 50 infants aged 3~5 in Gyeonggi-do Province. To find out the types of pretend play of infants, this study adopted the categories of pretend play(noninteractive play, associative play, cooperative play) by Mcloyd(1983). To measure the creativity of infants, teachers’ evaluation standard of infants’ creativity developed by Younghui Noh, Gyungcheol Kim, and Ho Kim(2006) was used. For objectivity, reliability, and validity, the evaluation was carried out by homeroom teachers who spent more than 2 months with the infants. The result of the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s for the relationship between creativity and pretend play,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in all cases of noninteractive play, associative play, and cooperative play. Second, as for the relationship between sub-elements of creativity and pretend play, divergent thinking, a sub-element of creativity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all of noninteractive pretend play, associative pretend play, and cooperative pretend play, but immersion, one of the sub-elements of creativity, and associative pretend play, one of the sub-elements of pretend play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Independence and cooperative pretend play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 만 2세 유아의 상상놀이에 관한 연구

        이지향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8702

        본 연구의 목적은 만 2세 유아의 상상놀이 특성을 알아보고, 교사참여 유·무에 따라 만 2세 유아의 상상놀이 특성이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에 따라 본 연구에서 설정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1. 만 2세 유아의 상상놀이의 특성은 어떠한가? 2. 만 2세 유아의 상상놀이에서 교사참여는 어떠한가?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 및 경기도에 소재한 유아교육기관에서 영아반을 운영하는 학급에 재원 중인 2세 영아 30명과 교사 8명이었다. 상상놀이의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서 이숙재(1984)의 상상놀이 가작화 요소에 관한 도구를 수정·보완하여 사용하였고, 상상놀이 유형을 알아보기 위해서는 McLoyd(1983)의 상상놀이 유형별 정의를 사용하였다. 그리고 상상놀이에서의 교사개입 유형을 알아보기 위하여 유애열(1994)의 상상놀이에서의 교사개입 유형 관찰도구를 수정하여 사용하였다. 자유놀이 50분 동안 매일 한 명의 유아를 선정하여 유아가 상상놀이를 할 때마다 관찰 목록표에 기록하였으며, 교사개입이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에는 유아의 상상놀이 유형을 한번만 기록하고, 교사가 개입한 경우에는 개입 전·후 두 번을 기록하였다. 자료분석은 빈도 분석과 χ² 검정, t검정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만 2세 유아의 상상놀이의 주제, 가작화 요소, 상상놀이 유형, 상상놀이가 일어난 장소를 알아보고 성에 따른 차이를 살펴보았다. 만 2세 유아들은 상상놀이 주제로 가정놀이를 가장 많이 하였으나, 상상놀이 주제는 성에 따라 차이가 나타났다. 남자 어린이들은 여자 어린이들에 비해 교통놀이, 병원놀이, 환상놀이, 동물흉내놀이, 공사놀이, 소방관놀이, 전쟁놀이 등을 많이 하였고, 여자 어린이들은 남자 어린이들에 비해 가정놀이를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작화 요소 중 역할의 가작화에서 만 2세 유아들은 현실적 역할을 많이 하였고, 가족역할, 허구적 역할 순이었으나, 역할의 가작화는 성에 따라 차이가 나타났다. 남자 어린이들은 여자 어린이들에 비해 현실적 역할과 허구적 역할은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여자 어린이들은 남자 어린이들에 비해 가족역할을 더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행동의 가작화에서 만 2세 유아들은 다른 사물을 통한 행동보다는 자신의 행동을 통한 상상놀이를 많이 하였고, 행동의 가작화는 성에 따라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사물의 가작화에서 만 2세 유아들은 실물과 유사한 사물을 사용하여 상상놀이를 많이 하였고, 실물과 다른 사물, 실물을 사용하지 않는 경우 순이었으나, 사물의 가작화는 성에 따라 차이가 나타났다. 남자 어린이들은 여자 어린이들에 비해 실물과 다른 사물, 사물을 사용하지 않은 경우가 높게 나타났으며, 여자 어린이들은 남자 어린이들에 비해 실물과 유사한 사물을 사용하여 상상놀이를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언어의 가작화에서 만 2세 유아들은 역할 언어를 가장 많이 사용하였고, 해설언어, 효과음, 2개이상의 언어를 사용하는 경우, 기타의 순으로 나타났으나, 언어의 가작화는 성에 따라 차이가 나타났다. 남자 어린이들은 여자 어린이들에 비해 효과음과 2개 이상의 언어를 사용한 경우는 높게 나타났고, 여자 어린이들은 남자 어린이에 비해 역할언어, 언어를 사용하지 않은 경우가 많이 나타났다. 만 2세 유아들은 비상호적 상상놀이를 가장 많이 하였고, 연합적 상상놀이, 협동적 상상놀이 순으로 나타났고, 상상놀이 유형은 성에 따라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만 2세 유아의 상상놀이가 일어난 장소는 '역할영역'이 가장 많았고 '쌓기영역', '다양한 영역', '미술영역', '도서영역', '조작영역'의 순이었으나, 성에 따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교사참여 유·무에 따른 만 2세 유아의 상상놀이의 특성에 대해 살펴보았다. 교사들은 만 2세 유아의 상상놀이에 참여할 때 '유아의 상상놀이 유지시키기'의 방법을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었으며, '언어적 상호작용을 통하여 역할수행에 도움을 주고 놀이확장 시키기', '유아가 상상놀이에 소품을 사용하도록 격려하기', '소극적으로 관찰하기', '무관한 행동하기', '다른 유아 참여시키기', '무조건 도와주기', '상상놀이를 위한 환경 재구성하기', '상상놀이를 위한 유아의 행동이나 표현을 지시하기'의 순으로 나타났다. 상상놀이의 가작화 요소, 상상놀이유형, 상상놀이가 일어난 장소가 교사참여 유·무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교사의 참여 유·무에 따른 역할의 가작화와 행동의 가작화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는 않았다. 교사의 참여 유·무에 따른 사물의 가작화는 실물과 유사한 사물과 실물과 다른 사물을 사용하여 가작화하는 경우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즉 실물과 유사한 사물을 사용한 경우는 감소하였고, 실물과 다른 사물을 사용한 경우는 증가하였다. 교사 참여 유·무에 따른 언어의 가작화는 해설언어, 효과음, 2개 이상의 사용하는 경우, 기타의 경우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나, 역할언어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즉 교사참여가 이루어진 경우 해설언어와 2개 이상의 언어를 사용한 경우는 증가하였으나 효과음과 언어를 사용하지 않은 기타의 경우는 감소하였다. 교사 참여 유·무에 따른 상상놀이 유형은 교사참여가 이루어진 경우 비상호적 상상놀이, 연합적 상상놀이, 협동적 상상놀이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즉 비상호적 상상놀이는 교사참여가 이루어진 후 감소하였으나, 연합적 상상놀이와 협동적 상상놀이는 증가 하였다. 교사 참여 유무에 따른 상상놀이가 일어난 장소는 역할영역과 '다양한 영역'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즉 교사 참여가 이루어진 경우 역할영역은 감소하였고, '다양한 영역'은 증가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find out the peculiarity of infants imaginary-play, and how the peculiarity of infants imaginary-play varies with teachers intervention. There are two definite theses for this research; 1. How is the peculiarity of imaginary-play by infants (aged 2 in full)? 2. How is teachers intervention in imaginary-play by infants (aged 2 in full)? The object of this research was 30 infants (2years old in full) and 8 teachers from infant classes in childhood education institutes, Seoul and Kyung Ki Do. Suk Jae Lees (1984) tool for make-believe elements in imaginary-play was taken to see the peculiarity of imaginary-play after modification and reinforcement, and McLoyds (1983) definition of imaginary play in each pattern was used to see the pattern of imaginary. And also, Ae Yul Yus (1994) observation tool for teachers intervention pattern in imaginary-play was used to see teacher intervention pattern in imaginary play after modifying and reinforcing Yu study. For 50 minutes free-playing time, one infant was selected in each day, and then, when the infant did imaginary-play in any time, it was recorded in the observation list, and if there was not teachers intervention, infants imaginary-play pattern was recorded once. On the other hand, if there was teacher intervention, infants imaginary-play pattern was recorded twice to pre and post interventions. For data analysis, frequency test, 2 examine and t examine were executed. The conclusion for this research is this; Firstly, infants (aged 2 in full) subject of imaginary-play, make-believe elements, imaginary-play pattern and place imaginary-play occurred are investigated, and their differences are examined according to gender. Infants (aged 2 in full) did mostly the playing-house in subject of imaginary-play, and there was a difference according to the gender. Namely, male infants did relatively more the traffic-play, the hospital-play, the fantasy-play, the animal-pretend-play, the construction-play, the fireman-play, the war-play, and etc than female infants did. On the other hand, female infants did relatively more the playing-house than male infants did. In terms of the make-believe role in the make-believe elements, most infants did realistic role, and then they did family role and role of fiction in order. However, make-believe role showed difference according to the gender. Male infants relatively did more realistic roles and roles of fiction than female infants. On the other hand, female infants relatively did more family roles. In terms of the make-believe behavior, most of them rather did imaginary-play through own behavior than behavior through a thing, but make-believe behavior did not show any difference according to gender. In make-believe of a thing, most of them did more imaginary-play by using a thing (which is similar to real thing), then they did imaginary-play by a thing (which was not similar to real thing) and by none of using real thing in order, and make-believe of a thing showed difference according to gender. Male infants relatively did more imaginary-play through the cases of not similar to real thing and none of using a thing than female infants. On the other hand, female infants relatively did more imaginary-play through the case of similar to real thing than male infants. In make-believe of language, infants aged 2 (in full) did more language of role, and they did explanation language, effect sound, multiple languages, etc in order, and make-believe of language showed difference according to gender. Male infants relatively did more effect sound and multiple languages. On the other hand, female infants relatively did more language of role and none of using language. Infants aged 2 (in full) did un-mutual imaginary-play in most, then they did combination imaginary-play and co-operative imaginary-play in order, but the pattern of imaginary-play did not show difference according to gender. Infants aged 2 (in full) places imaginary-play occurred were domain of role in most, then they were domain of heaping, various domain, domain of art, domain of books and domain of operation in order, but there was no gender difference. Secondly, peculiarity of infants (aged 2 in full) imaginary-play was examined according to the teachers intervention. When teachers intervened in infants (aged 2 in full) imaginary- play, they used the method of maintaining imaginary play in most, then they used the methods of helping role play and extending play through linguistic mutual action, encouraging infants tool usage in imaginary-play, passive observation, irrelevance behavior, bringing other infant, reconstructing environment for imaginary-play and commanding infants behavior & expression for imaginary-play in order. The make-believe of imaginary-play, the pattern of imaginary-play and the place imaginary-play occurred were examined whether there was difference according to teachers interventions. The make-believe of role and behavior did not show difference according to teachers interventions. The make-believe of a thing according to teachers intervention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in make-believe case of the thing (similar to real thing) and the thing (not similar to real thing). Namely, the case of the thing (similar to real thing) was decreased. However, the case of the thing (not similar to real thing) was increased. The make-believe of language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in explanation language, effect sound, multiple languages and etc according to teachers intervention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language of role. Namely, once teachers intervention occurred, the cases of using explanation language and multiple languages were increased. However, the cases of using effect sound and no language were decreased. The pattern of imaginary-play according to teachers intervention indicated that, if teachers intervention occurred,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un-mutual imaginary-play, combination imaginary-play and co-operative imaginary-play. Namely, un-mutual imaginary-play was decreased after teachers interventions. However, combination imaginary-play and co-operative imaginary-play were increased after teachers interventions. The place imaginary-play occurred according to teachers intervention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in domain of role and various domains. Namely, once teachers interventions occurred, the domain of role was decreased. However, various domains were increa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