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대학생의 사회적 문제해결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심다연 숭실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50751

        본 연구는 대학생의 사회적 문제해결능력에 대한 개인 내적인 요인, 가정환경 요인, 사회적 관계 요인의 영향력을 살펴보기 위한 것이다. 본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 4년제 대학에 재학 중인 서울 경기 지역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하여 설문을 실시하였고, 총 200부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자료분석 방법은 연구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과 주요 변수들의 전반적인 경향을 살펴보기 위해 빈도분석과 기술통계분석을 실시하였고, 인구사회학적 변인에 따른 사회적 문제해결능력의 차이를 검증하기 위해 t 검증과 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각 변수 간의 상관관계와 다중공선성의 문제를 확인하기 위해 상관관계분석을 실시하였고 마지막으로 인구사회학적 변인과 독립변수들의 상대적 영향력을 확인하기 위해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들의 사회적 문제해결능력은 평균이 3.42로 다소 높은 편으로 나타났으며 독립변수인 자존감과 사회적 지지 역시 각각 3.00과 3.91로 다소 높은 편으로 나타났다. 부모화 경험 점수는 2.41로 대학생들의 부모화 경험이 많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대학생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중 성별과 연령에 따라 사회적 문제해결능력의 차이가 유의하게 검증되었다.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26세 이상 집단이 그 이하 연령 집단보다 사회적 문제해결능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대학생의 사회적 문제해결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탐색하기 위해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첫 번째 모델로 투입된 인구사회학적 변인 중에서는 성별과 경제 수준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두 번째 모델로 투입된 인구사회학적 변인과 자존감 중에서는 성별과 종교 유무, 자존감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세 번째 모델로 투입된 인구사회학적 변인과 자존감, 성장기 부모화 경험 중에서는 두 번째 모델과 동일하게 성별과 종교 유무, 자존감이 영향을 미치며 성장기 부모화 경험이 미치는 영향은 유의미하지 않았다. 마지막 모델로 투입된 인구사회학적 변인과 자존감, 성장기 부모화 경험, 사회적 지지 중에서는 성별과 종교 유무, 자존감, 그리고 사회적 지지가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대학생의 사회적 문제해결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살펴봄으로써 사회복지 실천 현장에서 만나는 클라이언트의 사회적 문제해결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이해하고 이들의 문제해결능력을 고취시키기 위한 방안을 마련하는데 필요한 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intrapersonal factor, family environmental factor and social relationship factor on social problem solving ability of college students. To perform this study, surveys were conducted for current college students in four-year colleges located in Seoul and Gyunggi areas. Total 200 survey copies were collected and used for analysis. The SPSS 18.0 program was used for following analysis. Frequency analysis and descriptive analysis were conducted in order to verify the research participants' general characteristics and main parameters overall trends. T-test and ANOVA analysis were conducted to inspect variance of social problem solving ability on demographic variables. 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verify the correlation between each variable and the multicollinearity problem. Finally, the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in order to verify the relative influence of demographic variables and independent variables. The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college students had high level of social problem solving ability with an average 3.42. The level of self-esteem and social support as independent variable was also slightly high, respectively 3.00 and 3.91. The level of parentification was 2.41 that showed a lot of college students has no parentification. Second,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level of the social problem solving ability according to gender and age. Male than female and over 26 years than less have higher level of social problem solving ability. Third, the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in order to find the factors that affect social problem solving skill of college students. As a result, in the first model, gender and economic level among demographic variables influenced the level of social problem solving ability. In the second model, gender and religious affiliation among demographic variables and self-esteem influenced the level of social problem solving ability. In the third model, gender and religious affiliation among demographic variables and self-esteem influenced the level of social problem solving ability like the second model. However, the impact of the growing parentification was not significant. In the last model, gender and religious affiliation among demographic variables, self-esteem and social support influenced the level of social problem solving ability significantly. This study examined the factors that affect social problem solving ability of college students. The study results can be helpful to understand the factors that affect social problem solving ability of clients in the social work practice field.

      • 성인초기의 눈치와 주관적 안녕감, 대인관계의 관계에서 사회적 문제해결능력의 매개효과

        최혜진 숭실대학교 기독교학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50750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social problem solving ability on the relationship off nunchi to subjective well-being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among the young adulthood group. Additionally, this study examined the mediating effects of social problem solving abilities among the Christian group in comparison to non-Christian group. The results were expected to enrich the understanding of the relationships among those variables and inform clinicians of how to better help people in young adulthood increase their subjective well-being and enhance their interpersonal relationships. To this end, the researcher distributed and collected the questionnaires that consisted of nunchi, subjective well-being, interpersonal relationship, and social problem solving ability measurements to 266 people in their 20s. The url questionnaires were also utilized. The participants were recruited from three 4-year universities in Seoul and Gyeonggi area and three churches in Seoul and Gyeonggi area.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to analyze the data according to the research quest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variables of nunchi and subjective well-being, interpersonal relationship, and social problem solving ability had significant relationships with each other. Second, social problem had the partial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of nunchi to subjective well-being. Third, social problem solving ability had the partial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of nunchi to interpersonal relationship. Fourth, the averages of relavant variables between the Christian group and the non-Christian group did not yield any significant differences. The mediating effects of problem solving ability among the Christian group versus the non-Christian group were compared. The Christian group showed the full mediating effect of social problem solving ability on the relationship of nunchi to subjective well-being, and the partial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of nunchi to interpersonal relationship. In the non-Christian group, the partial mediating effect of social problem solving ability on the relationship of nunchi to subjective well-bing was confirmed, but the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of nunchi on interpersonal relationship was not confirmed. The results of this study support, the mediating effects of social problem solving ability in the relationship of nunchi to subjective well-being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in young adulthood. It is suggested that the results should inform further research and counseling to help those in their young adulthood enhance subjective well-being and healthy interpersonal relationship. * Key words: nunchi, social problem solving ability, subjective well-being, interpersonal relationship 본 연구의 목적은 성인초기 집단을 대상으로 눈치가 사회적 문제해결능력을 매개로 주관적 안녕감과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데 있다. 또한 기독교 성인초기 집단과 비기독교 성인초기 집단의 비교를 통해 종교별 성인초기의 사회적 문제해결능력의 매개효과를 살펴보고자 했다. 이를 통해 성인초기의 주관적 안녕감과 대인관계의 어려움을 겪는 청년들에게 눈치와 사회적 문제해결능력이 어떤 식으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 적절한 상담계획을 수립하여 돕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자는 서울, 경기 지역의 4년제 대학 3곳에 재학하고 있거나, 서울, 경기지역의 교회 3곳에 출석하고 있는 사람들과, URL 설문지를 이용하여 20대 청년 266명을 대상으로 눈치, 주관적 안녕감, 대인관계, 사회적 문제해결능력으로 구성된 설문지를 배포하고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연구문제에 따라 기술통계, t-test,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눈치는 주관적 안녕감, 대인관계, 사회적 문제해결능력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사회적 문제해결능력도 주관적 안녕감과 대인관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눈치와 주관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사회적 문제해결능력의 매개효과는 완전매개효과로 나타났다. 셋째, 눈치와 대인관계의 관계에서 사회적 문제해결능력의 매개효과는 부분매개효과로 나타났다. 넷째, 성인초기의 기독교인 집단과 비기독교인 집단의 각 변인들의 평균은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하지만 두 집단의 변인 간 관계 양상은 다르게 나타났다. 기독교인 집단은 눈치와 주관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사회적 문제해결능력의 완전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고, 눈치와 대인관계의 관계에서 사회적 문제해결능력은 부분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비기독교인 집단에서는 눈치와 주관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사회적 문제해결능력의 부분매개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지만, 눈치와 대인관계의 관계에서 눈치는 대인관계에 유의한 영향이 있었으나 사회적 문제해결능력의 매개효과는 확인 할 수 없었다. 본 연구의 의의는 성인초기의 눈치가 사회적 문제해결능력을 통해 주관적 안녕감과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봄으로써, 성인초기의 주관적 안녕감과 대인관계의 건강한 발달을 위한 연구 및 상담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한 것에 있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상담과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였다. * 주요어 : 눈치, 사회적 문제해결능력, 주관적 안녕감, 대인관계

      • 임상간호사의 회복탄력성과 사회적 문제해결능력이 소진에 미치는 영향

        김민정 계명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50750

        본 연구는 임상간호사의 회복탄력성과 사회적 문제해결능력이 소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자료 수집은 A시에 소재한 대학병원과 종합병원에서 근무하는 임상간호사 192명을 대상으로 2013년 5월 30일에서 6월 19일까지 진행하였다. 연구도구로 회복탄력성은 Reivich와 Shatté (2003)가 개발하고 김주환 (2011)이 번역, 수정 개발한 한국형 회복탄력성지수(KRQ-53)를 사용하였으며, 사회적 문제해결능력은 D’Zurilla와 Nezu (1990)가 개발한 것을 Maydeu- Olivares와 D’Zurilla (1996)가 성인대상으로 수정하고 최이순 (2002)이 한국어로 번역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소진은 Maslach와 Jackson (1981)이 개발하고 장은숙 (1995)이 번역한 것을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은 실수와 백분율, 평균 및 표준편차,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를 이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회복탄력성은 5점 만점에 평균 3.43점 이었으며, 하위영역에서 자기조절능력 3.31점, 대인관계능력 3.53점, 긍정성은 4.51점으로 나타났다. 사회적 문제해결능력은 4점 만점에 2.59점 이었으며, 하위영역에서 문제해결지향 2.47점, 문제해결기술 2.67점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소진은 5점 만점에 2.78점 이었으며, 하위영역에서 정서적 탈진 2.98점, 비인격화 2.73점, 개인적 성취감 결여 2.63점으로 나타났다. 2. 일반적 특성에 따른 회복탄력성은 연령, 결혼상태, 간호직 선택 동기, 밤 근무 개수, 근무형태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사회적 문제해결능력은 결혼상태, 밤 근무 개수, 근무형태, 매일 돌보는 환자 수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그리고 일반적 특성에 따른 소진은 간호직 선택 동기, 밤 근무 개수, 근무형태, 희망부서 배치 여부, 매일 돌보는 환자 수, 병원크기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3. 회복탄력성과 소진, 사회적 문제해결능력과 소진은 유의한 부적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회복탄력성과 사회적 문제해결능력은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다. 4. 임상간호사의 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회복탄력성(β=-.445), 병원크기(β=.210), 사회적 문제해결능력(β=-.173), 희망부서 배치(β=-.132)순서로 나타났으며, 설명력은 43.1% 이었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임상간호사의 소진을 감소시키기 위해 회복탄력성과 사회적 문제해결능력을 증진시킬 필요가 있다. 따라서 임상간호사의 소진을 조절하고 더 나아가 이직을 줄이기 위한 방안으로 회복탄력성과 사회적 문제해결능력을 증진시킬 수 있는 다양한 전략을 모색해야할 것이다. This study was conducted as a descriptive study with the aim of identifying the effects resilience and social problem solving abilities on burnout of clinical nurses. Data collection for the study was carried out between May 30th and June 19th, 2013 by surveying 192 clinical nurses working in university medical centers and general hospitals located in Daegu. In order to measure subjects’ resilience, the Korean Resilience Quotient (KRQ-53) developed by Reivich and Shatté (2003) and translated and modified by Joo Hwan Kim (2011) was used. For measuring subjects’ social problem solving abilities, a tool that was developed by D’Zurilla and Nezu (1990), revised by Maydeu-Olivares and D’Zurilla (1996) for adult subjects, and translated into Korean by Yi Soon Choe (2002) was used. To measure subjects’ burnout, a tool that was developed by Maslach and Jackson (1981) and translated into Korean by Eun Sook Jang (1995) was used. For the analysis of the data, the statistical methods of frequency, percentag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t-test, one-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employed. The findings of the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1. On the resilience test, subjects scored 3.43 on average on a 5.00 scale. In subcategories, subjects scored 3.31 for self-control, 3.53 for interpersonal competence, and 4.51 for positivity. In social problem solving ability testing, subjects scored 2.59 on a 4.00 scale. In subcategories, subjects scored 2.47 in problem solving motivation and 2.67 in problem solving skill. For subjects’ burnout testing, the subjects’ average score was 2.78 out of 5.00 and in subcategories, subjects scored 2.98 for emotional exhaustion, 2.73 for depersonalization, and 2.63 for lack of sense of personal accomplishment. 2.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depending on age, marital status, reason for choosing a nursing career, frequency of night work, and work patterns. For subjects’ social problem solving abilities, there were also significant differences, depending on marital status, frequency of night work, work patterns, and number of patients cared for daily. When the category of burnout was analyzed by general features, depending on reason for choosing a nursing career, frequency of night work, work patterns, placement in a desired department, number of patients cared for daily, and size of hospital,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3. There was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subjects’ resilience and burnout and also between their social problem solving abilities and burnout. Also, between subjects’ resilience and social problem solving abilities, there was a significant statistical correlation. 4. Factors affecting clinical nurses burnout were identified in the order of resilience (β=-.445), size of hospital (β=.210), social problem solving abilities (β=-.173), and placement in a desired department (β=-.132) and the explanatory power was 43.1%. The findings of the study indicate that in order to decrease clinical nurses burnout, their resilience and social problem solving abilities have to be enhanced. Thus, to find intervention to control clinical nurses burnout and reduce the turnover rate of clinical nurses, various strategies that will strengthen clinical nurses resilience and social problem solving abilities will have to be explored.

      • 멀티미디어교육 참여동기가 사회적 문제해결능력에 미치는 영향 :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

        주주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2023 국내박사

        RANK : 250749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 analysis of social suppor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hinese University student's motive for participation in multimedia education and their ability to solve social problems. In other words by analyzing the medi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on the motivation of University students participating in multimedia education and their ability to solve social problems it is intended to enhance Chinese University student's social problem-solving ability and provide relatively accurate directions for students.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university students in Shenyang Liaoning Province in northeastern China and the number of valid respondents was 630. In addition a survey was conducted between July 5 2022 and December 10, 2022. The contents of the survey are motive for participation in multimedia education social support and social problem-solving ability. Using the SPSS 21.0 program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reliability and validity factor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Sobel Test were performed for the collected data.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level is . It was set to 05. The analysis results obtained through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motive for participation in multimedia education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ability to solve social problems. Specifically activity-oriented factors a sub-factor of motive for participation in multimedia education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ability to solve social problems. These analysis results explain that if the motive for participation in multimedia education is high the ability to solve social problems is high. Second it was found that motive for participation in multimedia education had a positive (+) effect on social support. Specifically it was found that motive for participation in multimedia education had a positive (+) effect on friend support parent support teacher support and effective factors which are sub-factors of social support. These analysis results show that if the motive for participation in multimedia education is high social support is high. Third it was found that social support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ability to solve social problems. Specifically it was found that the friend support factor a sub-factor of social support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ability to solve social problems. Therefore it was confirmed that if social support is high the ability to solve social problems is high. Fourth social support was found to have a partial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otive for participation in multimedia education and ability to solve social problems. Therefore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obtained in this paper the following suggestions were made. First it was confirmed that the higher the motive for participation in multimedia education the higher the ability to solve social problems. Looking at the influence of the sub-factors of motive for participation it was found that the activity-oriented factor had a positive (+) effect on the ability to solve social problem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performance compensation system that can motivate University students to participate in multimedia education with a proposal to improve University student's ability to solve social problems. In particular in order to satisfy University student's motive for participation in activities it is necessary to develop various club activities that meet the needs of University students. Second it was confirmed that the higher the motive for participation in multimedia education the higher the social support. Looking at the influence of motive for participation on social support sub-factors it was found that motive for participation had a positive (+) effect on friend support factors parent support factors and teacher support factors. Therefore the conclusion obtained through the analysis of all sub-factors of social support is that measures to enhance motive for participation in multimedia education are required. In addition it increases University student's motive for participation in multimedia education so that students can actively ask for help from friends teachers and family when they face difficulties. Third it was found that the higher the social support the higher the ability to solve social problems. Looking at the influence of the sub-factors of social support it was found that the friend support factor had a positive (+) effect on the ability to solve social problems. Therefore in order to improve University student's ability to solve social problems it is necessary to integrate various resources of universities and society and develop and operate programs to increase their social support so that University students can gain more support in solving social problems. In particular in order to increase the factor for supporting friends it is necessary to place more emphasis on support capabilities centered on alumni and friends. Fourth social support played a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otive for participation in multimedia education and ability to solve social problem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University student support system centered on universities and social public interest groups and teachers friends and parents can provide material emotional and information support in various ways when students face social problems. In this way University students who receive social support gradually become easier to accept multimedia education content in a harmonious environment.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멀티미디어교육 참여동기와 사회적 문제해결능력과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 분석을 규명하는 데 있었다. 즉, 멀티미디어교육에 참여한 대학생들의 참여동기와 그들의 사회적 문제해결능력에서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의 영향을 분석하여, 이를 바탕으로 대학생의 사회적 문제해결능력을 높이는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는 데 있었다. 연구 대상은 중국 동북지역에 있는 Y시 A 대학교의 대학생이며, 유효한 응답자 수는 630명이다. 또한, 2022년 7월 5일부터 2022년 12월 10일 사이에 설문 조사를 하였다. 조사 내용은 멀티미디어교육 참여동기, 사회적 지지, 사회적 문제해결능력이다. 수집한 자료는 SPSS 21.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기술통계분석, 신뢰도와 타당도 요인분석, 상관관계 분석, 다중회귀분석, 소밸 테스트(Sobel Test) 등을 실시하였다. 통계적 유의수준은. 05로 설정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멀티미디어교육 참여동기가 사회적 문제해결능력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다. 구체적으로 멀티미디어교육 참여동기의 하위요인인 활동지향 요인이 사회적 문제해결능력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분석결과는 멀티미디어교육 참여동기가 높으면 사회적 문제해결능력이 높다는 것을 설명한다. 둘째, 멀티미디어교육 참여동기는 사회적 지지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멀티미디어교육 참여동기가 사회적 지지의 하위요인인 친구지지, 부모지지, 교사지지의 요인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결과는 멀티미디어교육 참여동기가 높으면 사회적 지지가 높다는 것이 확인되었음을 말해준다. 셋째, 사회적 지지가 사회적 문제해결능력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사회적 지지의 하위요인인 친구지지 요인이 사회적 문제해결능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사회적 지지가 높으면 사회적 문제해결능력이 높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넷째, 사회적 지지는 멀티미디어교육 참여동기와 사회적 문제해결능력 간의 관계에서 부분적으로 매개효과를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본 논문에서 얻은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이 제언하였다. 첫째, 멀티미디어교육 참여동기가 높아질수록 사회적 문제해결능력 높아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참여동기 하위요인의 영향력을 살펴보면, 활동지향 요인이 사회적 문제해결능력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대학생의 사회적 문제해결능력을 향상하는 제안으로 대학생들의 멀티미디어교육 참여동기를 부여할 수 있는 성과보수 시스템구축이 필요하다. 특히 대학생들의 활동지향 참여동기를 만족시키기 위해서는 대학생들의 수요에 맞는 다양한 동아리 활동 개발이 필요하다. 둘째, 멀티미디어교육 참여동기가 높아질수록 사회적 지지 높아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참여동기가 사회적 지지 하위요인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보면, 참여동기가 친구지지 요인, 부모지지 요인, 교사지지 요인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사회적 지지의 모든 하위요인에 대한 분석을 통해 얻은 결론은 멀티미디어교육 참여동기에 대한 제고 방안이 요구된다는 것이다. 또한, 대학생들의 멀티미디어교육 참여동기를 높여 학생들이 어려움에 직면했을 때 친구, 교사, 가족에게 적극적으로 도움을 청할 수 있도록 한다. 셋째, 사회적 지지가 높아질수록 사회적 문제해결능력 높아지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사회적 지지의 하위요인의 영향력을 살펴보면, 친구지지 요인 사회적 문제해결능력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대학생들의 사회적 문제해결능력을 높이기 위해서는 대학교와 사회의 다양한 자원을 통합하고, 대학생들의 사회적 지지를 높이는 프로그램을 개발·운영하여 대학생들이 사회적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에서 더 많은 지지를 얻을 수 있도록 할 필요가 있다. 특히 친구지지 지향 요인을 높이기 위해 동창, 친구 위주의 지지역량을 더욱 중시해야 한다. 넷째, 멀티미디어교육 참여동기와 사회적 문제해결능력 간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는 부분 매개효과 역할을 하였다. 따라서, 대학교와 사회 공익단체를 중심으로 대학생 지원체계를 구축할 필요가 있으며, 학생들이 사회적 문제에 직면할 때 교사, 친구, 부모가 다양한 방식으로 물질적, 정서적, 정보 지지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런 식으로 사회적 지지를 받는 대학생들도 점차 화목한 환경에서 멀티미디어교육 콘텐츠를 받아들이기 쉬워진다.

      • 대학생의 컴퓨터활용교육 학습참여 동기와 취업역량 간의 관계 : 사회적 문제해결 능력 매개효과

        범지빈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2023 국내박사

        RANK : 250748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among university students' learning participation motivation of computer aided education, social problem solving ability and employability, and to provide suggestions for improving their social problem solving ability and employability. The research object is college students from a university located in S city, Northeast China. In order to conduct this study, the survey was conducted for three months from October 8, 2022 to January 8, 2023. A total of 245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and collected, excluding 27 unfaithful respondents, and 218 were ultimately analyzed. The analysis methods include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and factor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etc. All statistical analyses were validated at a significance level of 0.05 and analyzed using the SPSS 23.0 program. The specific results are as follows. Firstly, it is confirmed that the sub factors of learning participation, internal learning participation motivation, and external learning participation motivation have a positive impact on employability. Secondly, it was found that the sub factors of learning participation motivation, internal learning participation motivation factors, and external learning participation motivation factors have a positive impact on social problem solving ability. Thirdly, it is confirmed that negative problem-oriented factors, impulsive and casual reaction style factors, rational problem-solving skills factors, and positive problem-oriented factors have a positive impact on social problem-solving ability as sub factors. Fourthly, it is confirmed that social problem solving ability has a partial mediating effect between learning participation motivation and employability.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the following suggestions are proposed. Firstly, it has been confirmed that the higher the motivation to participate in computer aided education, the higher the employability.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enhance job competence by enhancing intrinsic and extrinsic motivation for learning participation in the future computer aided education process for college students.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increase the motivation to participate in computer aided education by analyzing all sub factors of employability. Secondly, it has been confirmed that the higher the motivation to participate in computer aided education, the higher the ability to solve social problems. Therefore, in order to improve the ability of college students to solve social problems, it is necessary to enhance their enthusiasm for participating in computer aided education through various channels such as internal learning participation motivation factors and external learning participation motivation factors, in order to enhance their enthusiasm.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develop customized education on learning participation motivation through the analysis of various sub factors of future college students' social problem solving ability. Thirdly, the higher the ability to solve social problems, the higher the employability. Therefore, in order to enhance the employability of college students, it is necessary to strengthen education on rational problem-solving skills, positive problem-orientation, avoidance response methods, and impulse-casual response methods.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d provide projects to enhance students' ability to solve social problems. Fourthly, social problem solving ability plays a mediating role between learning participation motivation for computer aided education and employability. This means that the higher the motivation to participate in computer aided education, the higher the job competence, but the social problem solving ability has a greater impact than the learning participation motivation in computer aided education. The higher the social problem solve ability, the higher the employability, and the higher the adaptability in the job search process.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social problem solving ability by analyzing various sub factors of employability. 본 연구는 대학생의 컴퓨터활용교육 학습참여동기가 취업역량에 미치는 영향 및 사회적문제해결능력의 매개효과를 분석하여 대학생의 사회적문제해결능력 및 취업역량 증진을 위한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는 데에 목적이 있었다. 연구대상자는 중국 동북지역에 S시에 소재한 A대학교 대학생이다. 2022년 10월 8일부터 2023년 1월 8일까지 3개월 동안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245부 설문지를 배부 및 회수하고, 불성실한 응답자 27부를 제외한 후 최종적으로 218부를 분석하였다. SPSS 23.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기술통계 분석, 신뢰도 분석과 요인분석, 상관관계 분석, 다중회귀분석 등이다. 통계적 유의수준 .05로 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습참여동기의 하위요인 내재적 학습참여동기 요인, 외재적 학습참여동기 요인이 취업역량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다. 둘째, 학습참여동기의 하위요인 내재적 학습참여동기 요인, 외재적 학습참여동기 요인이 사회적문제해결능력에 유의미한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셋째, 사회적문제해결능력의 하위요인 부정적인 문제지향 요인, 충동-부주의적인 반응양식 요인, 합리적인 문제해결기술 요인, 긍정적인 문제지향 요인이 취업역량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넷째, 학습참여동기와 취업역량의 사이에서 사회적문제해결능력은 부분매개효과가 있었다. 연구결과에 대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학습참여동기가 높아질수록 취업역량도 높아지기 때문에 향후 대학생들의 컴퓨터활용교육 과정에서 내재적 학습참여동기를 높이고 외재적 학습참여동기를 강화함으로써 취업역량을 높이는 것이 요구된다. 또한, 취업역량의 전체 하위요인 분석을 통해서 학습참여동기를 높이는 방안이 필요하다. 둘째, 학습참여동기가 높아질수록 사회적문제해결능력도 높아지기 때문에 대학생들의 사회적문제해결능력을 증진하기 위해서는 내재적 학습참여동기 요인, 외재적 학습참여동기 요인 등 다양한 경로를 통해 대학생들의 학습참여동기를 강화하여 그 적극성을 높이는 것이 요구된다. 또한, 향후 대학생들의 사회적문제해결능력의 전체 하위요인 분석을 통해서 학습참여동기에 대한 맞춤형 교육을 개발할 필요성이 있다. 셋째, 사회적문제해결능력이 높아질수록 취업역량도 높아지기 때문에 대학생들의 취업역량을 높이기 위해서는 합리적인 문제해결기술, 긍정적인 문제지향, 회피적 반응양식과 충동-부주의적인 반응양식에 교육을 강화하는 것이 요구된다. 또한, 학생들의 사회적문제해결능력을 증진하는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다. 넷째, 학습참여동기와 취업역량 간의 관계에서 사회적문제해결능력은 매개효과 역할을 하였다. 이는 학습참여동기가 높을수록 취업역량은 높아지지만, 참여동기는 사회적문제해결능력을 통해서 취업역량에 더 많은 영향을 준다는 것을 의미한다. 사회적문제해결능력이 높을수록 취업역량이 높아져 구직 과정에서 적응력이 높아진다는 것이다. 따라서, 취업역량의 모든 하위요인 분석을 통한 사회적문제해결능력 향상이 필요하다.

      • 고등학생이 지각하는 스트레스와 학업중단의도와의 관계 : 사회적 문제해결능력, 자아탄력성의 조절효과

        장정희 계명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50717

        본 연구는 고등학생이 지각하는 스트레스와 학업중단의도와의 관계에서 사회적 문제해결능력과 자아탄력성의 조절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대상은 대구광역시에 소재하는 N고등학교 1학년 남녀 학생 408명이며 사용한 측정도구는 스트레스 척도, 학업중단의도 척도, 사회적 문제해결능력 척도, 자아탄력성 척도이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1.0 통계 프로그램을사용하여 분석하였다. 각 척도의 신뢰도를 검증하기 위하여 Cronbach's α 계수를 산출하였다. 또 변인들의 상관관계를 살펴보기 위하여 Pearson의 적률 상관분석을 실시하였고 고등학생이 지각하는 스트레스와 학업중단의도와의 관계에서 사회적 문제해결능력과 자아탄력성의 조절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위계적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적 문제해결능력이 고등학생이 지각하는 스트레스와 학업중단의도와의 관계에서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자아탄력성이 고등학생이 지각하는 스트레스와 학업중단의도와의 관계에서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는 상담현장에서 스트레스로 인한 고등학생의 학업중단의도를 예방하고 조절하기 위하여 사회적 문제해결능력과 자아탄력성의 수준을 향상시킬 수 있는 지속적인 지지와 노력의 적극적인 개입이 필요함을 시사해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oderating effects of social problem-solving skills and self-resilien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high school students’ perceived stress and dropout likelihood. The sample consisted of 408 students in their first year at N High School in Daegu Metropolitan City. Data were collected using the stress scale, academic interruption scale, social problem solving ability scale and ego-resiliency scale.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1.0. For verification of the reliability of each scale, 7Cronbach'sㅕㅕ α was examined. Pearson's bivariate correlat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correlation between variables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to investigate the moderating effect of social problem-solving skills and self-resilience in relation to the high school students' perception of stress and academic interruption.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social problem solving ability had a moder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high school students’ perceived stress and academic interruption. Second, self-resilience was found to have a moder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high school students’ perceived stress and academic interruption. These results suggest the necessity of ongoing support and the need for an active effort to improve social problem solving ability and self-resilience among high school students. These efforts could help to prevent dropping out and other academic interruptions among high school students caused by the perceived stress of high school life.

      • 디자인씽킹 창업교육이 사회적문제해결능력과 회복탄력성에 미치는 영향

        최예경 계명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50717

        4차산업혁명시대는 초연결성과 융합을 통해 창업기업이 새로운 아이디어를 지속적으로 사업화하는 것이 요구된다. 본 연구는 창업을 준비하는 학생들에게 문제를 발굴하고 해결하는 역량과 다양한 사람들과 현실세계의 문제상황을 극복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도록 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창업교육에 디자인씽킹을 접목하는 것이 일반 창업교육과 비교하여 사회적 문제해결능력과 회복탄력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디자인씽킹 방법론을 교과과정에 접목한 창업수업과 창업교육만 진행한 수업에 참여한 학생들을 대상으로 사회적문제 해결능력과 회복탄력성을 조사하고 두 집단간의 차이를 비교하였다. 설문분석 결과 디자인씽킹 방법론을 적용한 창업교육을 진행한 수업에 참여한 학생이 문제를 좀 더 긍정적으로 바라보고, 문제를 합리적으로 해결하고자 하는 역량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으며 충동적으로 의사결정을 하거나 문제를 회피하고자 하는 성향이 낮게 나타났다. 회복탄력성 측면에서 대인관계능력의 감사하는 마음과 관계성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본 연구결과는 디자인씽킹 방법론을 적용한 창업교육이 일반 창업교육에 비해 사회적 문제에 대해 적극적으로 대처하고 다양한 사람들과 긍정적인 관계를 맺어갈 가능성을 높일 수 있음을 시사한다. In the era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it is necessary for start-ups to continuously commercialize new ideas through the formation and convergence of the first ones. This study needs to ensure that students preparing to start a business have the ability to discover and solve problems and to overcome the challenges of different people and the real world. This study looked at the positive impact of applying design thinking to entrepreneurial education on social problem solving ability and resilience compared to general entrepreneurial education. To this end, the two groups investigated the ability of social problem solving and resilience of students to participate in the entrepreneurial classes that combined design thinking methodology to the curriculum and those that conducted only the entrepreneurial education. As a result of the survey analysis, students who took part in the entrepreneurial training course with the design thinking methodology looked at the problem more positively and have statistically high capacity to resolve the problem reasonably.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grateful mind and relationship of interpersonal skills in terms of resilience. The result of this study is that entrepreneurial education with design thinking methodology can actively address social problems and develop positive relationships with various people compared to general entrepreneurial education.

      • 재한 동남아시아 유학생의 대학생활 적응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산다툰 대구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50703

        This study was planned to figure out actual conditions and adaptation factors of Southeast Asia students who have came to study in Korea.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realize factors which affect adaptation of the southeast student on college life in Korea as well as proper measurements to enhance their adaptation rate. As a sample for this study, 120 international students who were from Southeast nations and studied in 4-year college in South Korea were chosen, and stress which was led by the adaptation factors, self-esteem and how social support, endopsychic features, potential to resolve social problems, and enculturation stress affected adaptation stress were studied and analyzed. First, the analysis on college adaptation stress reveals tha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college adaptation stress upon age, nationality, college, martial status, type of international schooling, and level of Korean. In case of age, younger students seemed to adapt well from aspects of academy and emotion which are sub-factors of college adaptation stress comparing to the older. The samples were mostly from Malaysia, Myanmar, Vietnam, Philippine, and some other Southeast Asia nations including Cambodia, Brunei, Singapore, East Timor, and Thailand, and the samples from Malaysia emotionally adapted to South Korea than the samples form Myanmar. Martial status was shown to influence social adaptation, which was another subfactor of college adaptation stress. Unmarried Southeast Asia students were found to have higher social adaptation rates than the married ones. The types of international schooling caus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emotional adaptation and environmental adaptation which were sub-factors of college adaptation stress, and the samples in undergraduate school was revealed to have higher emotional adaptation rates than the samples in graduate school and the doctor's course. For environmental adaptation, the samples in undergraduate school had higher environmental adaptation rates than the samples attending a language course. Location of a college affected an academical adaptation rate as well. The samples attending colleges in Jeollabuk-do and Jeollanam-do had lower academical adaptation rates than the samples attending colleges in Daegu. Moreover, the samples with higher Korean levels had better academical and environmental adaptation rates than the sample with intermediate Korean levels. Second, from this study, it was shown that self-esteem, an endopsychic feature, affected college adaptation stress. Third, the social support rate did not influence on college adaptation stress. Fourth, capacity to resolve social problems affected on college adaptation stress and as a level of this capacity got higher, the samples had less college adaptation stress. Fifth, enculturation stress was directly related with college adaptation stress which means the sample had higher college adaptation stress as culture adaptation stress was higher. Based on the results of these analysis, some proper measurements which could efficiently intervene in college adaptation stress of Southeast students who are studying in South Korea could be developed and they are as follows. First of all,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the limited number of samples since it was nearly impossible to study all the Southeast students in South Korea, and it might limit the result of this study as well. Therefore, the future study should have more number of samples. Just because there are a few Southeast Asia students who have college adaptation stress, it would not be proper if we do not take proper measurements to enhance the situation and more studies should be executed in the future. Second, among various factors of college adaptation stress, enculturation stress was found to have the biggest influence, Therefore, efficient ways for reducing enculturation stress should be developed. Third, the third largest factor of college adaptation stress would be the capacity to resolve social problems. Thus, self-esteem enhancement program and capacity enhancement programs should be provided to raise ones' ability to resolve social problems. The future study on Southeast Asia students who have studied in South Korea should be continued in the aforementioned way. Most of all, the study on Southeast Asia students should be conducted continuously while seeking for more depth and qualified study results. Not only that, efficient measurements for decreasing college adaptation stress of Southeast Asia students should be prepared while accurately measuring their college adaptation stress levels and factors of college adaptation stress. 본 연구는 국내의 외국 유학생들이 날로 다양해지고 있는데, 그 중 동남아시아 유학생들의 적응의 실태와 적응에 장애가 되는 요소들을 파악하기 위해 시작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동남아시아 유학생들의 대학생활 적응을 근거로 개입 방안을 모색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조사대상은 전국 4년 제 대학에 재학 중인 재한 동남아시아 유학생120명이었으며, 학생들의 일반적 특성과 심리내적 특성인 자아존중감, 사회적지지, 사회적 문제해결 능력, 문화적응 스트레스가 대학생활 적응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을 하였다.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일반적 특성에 따른 대학생활 적응 스트레스를 분석한 결과 연령, 국적, 학교, 결혼여부, 유학형태, 한국어 수준에 따라서 대학생활 적응 스트레스는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연령의 경우 연령이 낮은 학생들은 연령이 높은 학생들보다 대학생활 적응 스트레스의 하위요인인 학업적응과 정서적 적응을 잘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적의 경우 동남아시아 유학생들을 말레이시아, 미얀마, 베트남, 필리핀, 기타(캄보디아, 부르나이, 싱가포르, 동티모르, 태국)로 해서 살펴봤을 때, 말레이시아 학생이 미얀마 학생보다 정서적 적응을 잘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난 것이다. 결혼여부는 대학생활 적응 스트레스의 하위요인인 사회적 적응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혼인 동남아시아 유학생들이 기혼인 동남아시아 유학생들보다 사회적 적응의 수준이 높다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유학형태의 경우 대학생활 적응 스트레스의 하위요인인 정서적 적응과 환경적 적응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학부학생들이 석사와 박사 다니고 있는 학생들보다 정서적 적응의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난 것이다. 환경적 적응의 경우 학부학생들이 어학연수생들보다 환경적응의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학교 소재지의 경우 전라북도/전라남도에 있는 학생들이 대구광역시에 있는 동남아시아 유학생들보다 학업적응 수준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어 수준의 경우 한국어 수준이 고급인 동남아시아 유학생들은 한국어 수준이 중급과 초급 학생들보다 대학생활 적응 스트레스의 하위요인인 학업적응과 환경적 적응에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심리내적 특성인 자아존중감은 대학생활 적응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쳤으며, 자아존중감 수준이 높을수록 대학생활 적응 스트레스가 낮은 것으로 알 수 있다. 셋째, 사회적지지 수준은 대학생활 적응 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넷째, 사회적 문제해결 능력 정도는 대학생활 적응 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쳤으며, 사회적 문제해결 능력의 수준이 높을수록 대학생활 적응 스트레스를 적게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문화적응 스트레스의 경우 대학생활 적응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쳤다. 문화적응 스트레스의 수준이 높을수록 대학생활 적응 스트레스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동남아시아 유학생들의 대학생활 적응 스트레스에 개입 방안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에서는 전국적으로 분포가 퍼져 있는 동남아시아 유학생들을 전체적으로 연구하기가 어렵고 대상자의 인원이 다른 나라 유학생들보다 적지만 그 숫자가 증가하고 있기에 심층적인 연구도 계속할 필요가 있다. 둘째, 대학생활 적응 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여러 요인 중 문화적응 스트레스가 가장 큰 영향을 미쳤다. 따라서 문화적응 스트레스를 줄이기 위한 다양한 방안을 모색해야만 한다. 셋째, 재한 동남아시아 유학생들의 대학생활 적응 스트레스에 세 번째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사회적 문제해결 능력이다. 특히 문제해결 능력 향상을 돕는데 필요한 자존감 향상 프로그램, 문제를 개관적인 차원에서 해결할 수 있는 능력 프로그램 등을 지원해야 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동남아시아 유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후속연구를 위해 제언을 하면 다음과 같다. 무엇보다 향후 동남아시아 유학생들에 대한 연구는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하며 심층적이고 질적인 연구가 많이 이루어져야 한다. 뿐만 아니라 이렇게 질적인 연구를 통해 동남아시아 유학생들의 대학생활 적응에 있어서 스트레스의 정도를 파악해서 실천 방안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게다가 동남아시아 유학생들의 대학생활 적응 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해서도 지속적인 연구도 이루어져야 한다.

      • 사회적 문제해결능력과 사회적 지지가 학교폭력 도움요청 의도에 미치는 영향

        김은지 영남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34367

        This study investigated whether there was a difference in social problem solving inventory, social support, willingness to seek help in school violence according to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secondly, intended to find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problem solving inventory and willingness to seek help in school violence. Also, this study aimed to confirm the effects of social problem solving inventory and social support on willingness to seek help. The survey participants were 360 people of 1st, 2nd grade students in middle school located in Daegu and the survey was conducted in form of self-report survey. The survey was conducted for a week from October 10th to October 17th, 2016. Data analysis was carried out by using independent sample t-test to review social problem solving inventory, social support, willingness to seek help in school violence according to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by using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o review the effects of social problem solving inventory on willingness to seek help in school violence. Also, this study carried out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o confirm the effect of social problem solving inventory, social support to willingness to seek help in school violence. The major study results are following : First, the difference in willingness to seek help in school violence was not shown according to the gender gap and there was no difference in social support in accordance with gender gap. Negative problem orientation and rational problem solving skill(both are lower factors of social problem solving inventory) were higher in the group of junior high school students than girls' middle school students. But there was no difference in positive problem orientation, Impulsive-careless style, avoidance coping style according to the gender gap. Second, willingness to seek help in school violence and social support did not differ according to school year. There was a difference in positive problem orientation, negative problem orientation(both are lower factors of social problem solving inventory) depending on the academic year, but rational problem solving skill, Impulsive-careless style, avoidance coping style did not vary according to the grade. Third, social problem solving inventory have been shown to affect willingness to seek help in school violence. If someone attempted to solve the problem in impulsive and careless way, it increased willingness to seek help in school violence. Also if someone noticed that he lacked the ability to solve the problem by himself, willingness to seek help in school violence was at a low level. And if somebody avoided and postponed solving problems, willingness to seek help was lower. Fourth, the impact of social problem solving inventory has been different depending on the targets of seeking help in school violence. If the targets were their parents and teachers : When someone attempted to solve the problems in impulsive and careless way, it increased willingness to seek help and when he recognized inability to solve the problem by himself, willingness to seek help in school violence was lower. Also, when he avoided and delayed solving problems, willingness to seek help in school violence was lower. If the targets were their friends : When he noticed that he lacked the ability to solve the problems by himself, willingness to seek help in school violence was lower. Fifth, it appears that social problem solving inventory and social support have effect on willingness to seek help in school violence. Concretely, when he attempted to solve the problems in impulsive and careless way, willingness to seek help in school violence increased. And when he recognized the problems negatively or tried to avoid the problems, willingness to seek help was get lower even though social support was provided. It varied in gender. In case of male students : When they attempted to solve the problems in impulsive and imdeliberate way or in reasonable and deliberate way, willingness to seek help increased regardless of social support. And when they tried to avoid the problems, willingness to seek help was lower. In case of female students : When they recognized the problem as a possible solution, they showed willingness to seek help to their parents and friends. In contrast, when they recognized the problem as impossible solution, they didn't show willingness to seek help. It appears that when someone attempted to solve the problems efficiently or in impulsive and careless way, willingness to seek help increased if social support was provided. It also varied in school year. 1st graders : When they attempted to solve the problem in impulsive and undeliberate way, willingness to seek help increased and when they recognized the problem negatively or tried to avoid the problem, willingness to seek help decreased. 2nd graders : Only when they recognized the problem positively, willingness to seek help appeared and if social support is provided, willingness to seek help appeared depending on social support rather than social problem solving inventory. If students have been victims of school violence, when they attempted to solve the problem in impulsive and careless way, they showed willingness to seek help to their parents and friends. When they recognized the problem negatively or tried to avoid the problem, willingness to seek help is at a low level. If students have been witness of school violence, when they attempted to solve the problem in impulsive and careless way, they showed willingness to seek help only to their parents, and when they recognized the problem negatively or tried to avoid the problem, willingness to seek help didn't appear.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focus on improving social problem solving ability to increase willingness to seek help in school violence and to form a social support system that encourages students to ask for help. Also, result implies that appropriate intervention strategy is essential based on gender, age, and personal type. 본 연구는 인구학적 특성에 따라 사회적 문제해결능력, 사회적 지지, 학교폭력 도움요청 의도에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고, 두 번째, 사회적 문제해결능력과 학교폭력 도움요청 의도는 어떠한 관계를 가지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또한 사회적 문제해결능력과 사회적 지지가 학교폭력 도움요청 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 연구의 조사 대상자는 대구광역시에 위치한 중학생 1, 2학년 360명을 대상으로 자기보고식 설문조사를 통하여 이루어졌다. 설문조사는 2016년 10월 10일부터 10월 17일까지 일주일간 실시하였다. 자료 분석은 인구학적 특성에 따른 사회적 문제해결능력, 사회적 지지, 학교폭력 도움요청 의도를 살펴보기 위해 독립t검증을 실시하였고, 사회적 문제해결능력이 학교폭력 도움요청 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또 사회적 문제해결능력과 사회적 지지가 학교폭력 도움요청 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첫째, 학교폭력 도움요청 의도는 성별에 따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사회적 지지도 성별에 따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사회적 문제해결능력의 하위요인 중 부정적 문제 지향과 합리적 문제해결기술은 남자 중학생이 여자중학생보다 높게 나타났으나, 긍정적 문제 지향, 충동-부주의적 반응양식, 회피적 반응양식은 성별에 따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학교폭력 도움요청 의도와 사회적 지지는 학년에 따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사회적 문제해결능력의 하위요인인 긍정적 문제 지향과 부정적 문제 지향은 학년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합리적 문제해결기술, 충동-부주의적 반응양식, 회피적 반응양식은 학년에 따라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사회적 문제해결능력이 학교폭력 도움요청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문제를 충동적이고 신중하지 못한 해결을 시도할 경우 학교폭력 도움요청 의도를 증가시키며, 문제를 스스로 해결할 수 있는 능력이 부족하다고 인지하는 경우 학교폭력 도움요청 의도가 낮게 나타난다. 또한 문제 해결을 회피하는 경우에도 학교폭력 도움요청 의도가 낮게 나타난다. 넷째, 학교폭력 도움요청의 대상에 따라 사회적 문제해결능력이 미치는 영향이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부모 및 교사의 경우 충동적이고 신중하지 못한 해결을 시도할 때 학교폭력 도움요청 의도를 증가시키며, 스스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능력이 부족하다고 인지하는 경우에 학교폭력 도움요청 의도가 낮게 나타났다. 또한 문제를 회피하고 미루는 경우에도 학교폭력 도움요청 의도가 낮게 나타났다. 학교폭력 도움요청을 하는 대상이 친구일 경우에는 문제를 부정적으로 인식하고 스스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능력이 부족하다고 인지하는 경우에 학교폭력 도움요청 의도가 낮게 나타났다. 다섯째, 사회적 문제해결능력과 사회적 지지는 학교폭력 도움요청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충동적이고 신중하지 못한 해결을 시도할 때 학교폭력 도움요청 의도는 증가하며, 문제를 부정적으로 인식하거나 피하고자 할 때 사회적 지지를 제공하여도 학교폭력 도움요청 의도는 더 낮게 나타난다. 성별에 따라서는 남학생의 경우에는 사회적 지지에 관계없이 문제를 합리적이고 신중하게 해결하고자 하거나 충동적이고 신중하지 못한 해결을 시도하고자 할 때 학교폭력 도움요청 의도가 증가하며, 문제를 피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학교폭력 도움요청 의도가 낮게 나타난다. 여학생의 경우는 문제를 해결 가능한 것으로 인식하면 부모 및 친구에게 도움요청 의도가 나타나며, 문제를 해결하지 못한 것으로 인식하면 도움을 요청할 의도를 나타내지 않는다. 문제를 효율적으로 해결하려는 시도를 하거나 충동적으로 신중하지 못한 해결을 시도하는 경우는 사회적 지지가 제공되면 도움을 요청하는 의도가 증가한다고 나타났다. 학년에 따라서는 1학년의 경우 충동적이고 신중하지 못한 해결을 시도할 때 도움요청 의도가 증가한다고 나타났으며, 문제를 부정적으로 인식하거나 피하고자 할 때에는 도움요청 의도는 감소한다고 나타났다. 2학년은 문제를 긍정적으로 인식할 때만 도움요청 의도가 나타나며, 사회적 지지가 제공이 되면 사회적 문제해결능력보다는 사회적 지지에 따라 학교폭력 도움요청 의도가 나타난다. 학교폭력 피해를 경험하게 된다면 충동적이고 신중하지 못한 해결을 시도할 때 부모 및 친구에게 도움요청 의도가 나타나며, 부정적으로 문제를 인식하거나 회피하고자 할 때는 도움요청 의도가 낮게 나타났다. 학교폭력을 목격한 경우에는 충동적이고 신중하지 못한 해결을 시도할 때 부모에게만 도움요청 의도가 나타나며, 부정적으로 문제를 인식하고 회피하고자 할 때는 도움요청 의도가 나타나지 않는다. 따라서 사회적 문제해결능력의 향상에 초점을 맞추어 학교폭력 도움요청 의도가 증가될 수 있도록 해야 하며, 학생들이 도움요청을 할 수 있는 사회적 지지체계를 형성해주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성별과 연령, 유형에 따른 적절한 개입 전략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 사회적 지지 지각과 자아탄력성이 문제해결능력에 미치는 영향

        이영미 가톨릭대학교 상담심리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34367

        This study attempted to examine how perceived social support and ego-resilience influence problem solving ability. In order to examine the hypothesis, 317 undergraduate students(female 162, male 155) completed a social support, ago-resilience and social problem solving ability. And perceived social support and ego-resilience were divided into two sub groups according to its lever(high/ low 50%). And 2×2 ANOVA was conducted on the problem solving ability as a independent, social support and ego-resilience was viewed as a dependent variabl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students who scored high social support weren't more high problem solving ability than low in this field. but students who scored high social support were more than low social support in problem orientation. Second, students who scored high ego-resilience were more high problem solving ability than low in this field. Third, social support and ego-resiliency has not interaction effect on the solving problem ability. that is ego-resilience has relatively more influences on the solving problem ability than perceived social support. In conclusion, since ego-resilience have influences on the problem solving ability, development of programs for problem solving ability are needed to study. Lastly, the discussion follows about meaning of this research and limitations. 본 연구는 사회적 지지 지각과 자아탄력성이 문제해결능력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고자 한 것이다. 연구대상은 서울, 경기, 충남지역 소재 대학생 317명(여 162명, 남 155명)을 대상으로 사회적 지지, 자아탄력성, 문제해결능력을 측정하는 질문지를 실시하였다. 사회적 지지와 자아탄력성의 총점을 근거로 하여 고, 저 50%씩을 선발하여 분석하였다. 그리고 문제해결능력을 종속변인으로 사회적 지지 지각(고, 저)과 자아탄력성(고, 저)을 독립변인으로 이원변량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사회적 지지 지각이 낮은 경우보다 높은 경우에 문제해결능력은 높지 않았다. 그러나 문제해결능력의 하위 요인인 문제 지향에서는 사회적 지지 지각이 낮은 경우보다 높은 경우에 높았다. 또한, 자아탄력성이 낮은 경우보다 높은 경우에 문제해결능력은 전반적으로 높았다. 그러나 문제해결능력에 대한 사회적 지지 지각과 자아탄력성의 상호작용 효과는 없었다. 즉, 사회적 지지 지각의 수준에 상관없이 자아탄력성은 문제해결능력에 큰 영향을 미쳤다. 이상의 연구 결과로 볼 때, 자아탄력성이 문제해결능력에 큰 영향을 미치므로 자아탄력성을 신장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 및 문제해결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다각적 측면의 연구가 필요하다고 보여 진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과 후속연구의 필요성이 제시되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