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사회비교경향성과 우울의 관계 : 자기불일치와 자기초점적 주의의 이중매개효과

        나정은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9727

        본 연구의 목적은 사회 비교에 더 빈번히 참여하도록 하고 그 영향에 더욱 취약해지도록 만드는 사회비교경향성이 우울을 유발하는 경로를 탐색하는 것이다. 사회비교경향성이 우울 증상으로 가는 경로에서 자기불일치와 자기초점적 주의가 순차적으로 매개하는 이중매개효과를 보이는지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대한민국 국적의 만 18세 이상 성인 434명을 대상으로 사회비교경향성 척도(INCOM), 실제 자기/자신 질문지와 이상적 자기/자신 질문지, 역기능적 자기초점 속성 척도(DSAS), 통합적 한국판 CES-D로 구성된 자기보고식 설문을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5.0과 AMOS 22.0을 활용해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사회비교경향성, 자기불일치, 자기초점적 주의, 우울은 각각 서로 유의한 정적 상관을 보였다. 사회비교경향성이 우울에 미치는 직접 효과, 자기불일치가 우울에 미치는 직접 효과는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사회비교경향성이 자기불일치와 자기초점적 주의를 거쳐 우울에 이르는 이중매개효과가 확인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사회비교경향성이 높을수록 자기불일치 수준이 높아지며, 이로 인해 자기초점적 주의의 역기능적 속성이 심화되어 우울에 이르게 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마지막으로 우울의 예방과 개입에 대한 시사점을 모색하고 연구의 한계점에 대해 논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mediation effects of self-discrepancy and self-focused atten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comparison orientation and depression. To this end, the study conducted a self-report survey, which comprises multiple measurements such as Iowa-Netherlands Comparison Orientation Measures(INCOM), Self-questionnaire, Dysfunctional Self-focus Attributes Scale(DSAS) and the Korean version of CES-D, involving 434 Korean adults aged 18 or older. The study found that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among social comparison orientation, self-discrepancy, self-focused attention, depression. Another finding was that self-discrepancy and dysfunctional self-focused attention had double mediating effect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comparison orientation and depression. However, there were two statistically insignificant correlations: the direct effect of social comparison orientation on depression and the direct effect of self-discrepancy on depression. Lastly, the study discussed clinical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 사회비교경향성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 온오프라인 자기불일치와 자기격려의 조절된 매개효과

        김기쁨 상지대학교 평화안보·상담심리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9727

        본 연구는 20~30대 직장인들의 사회비교경향성이 온오프라인 자기불일치를 통해서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력을 자기격려가 조절하는지 조절된 매개효과를 통해 확 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전국에 거주하는 20~30대 직장인을 대상으로 사회비교경향성 척도, 온오 프라인 자기불일치 척도, 심리적 안녕감 척도, 자기격려 척도로 온라인 설문 조사를 실 시하여 300명의 자료를 수집하여 281부의 자료를 최종 분석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1.0과 SPSS PROCESS MACRO 4.2(model 1, 4, 14)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상관 관계, 매개효과, 조절효과, 조절된 매개효과를 순차적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자면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비교경향성이 온오프라인 자기 불일치를 매개로 심리적 안녕감으로 이어지는 경로에서 자기격려의 조절된 매개효과가 확인되었다. 이는 사회비교경향성이 온오프라인 자기불일치를 매개하여 심리적 안녕감 에 미치는 영향이 조절변인인 자기격려의 수준에 따라 달라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둘째, 사회비교경향성과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하위요인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고 사회비교경향성의 능력 요인과 온오프라인 자기불일치가 매개하여 심리적 안녕감의 삶의 목적 요인에 유의미한 부적 영향을 미침을 확인하였다. 셋째, 온오프라인 자기불일치와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심리적 안녕감의 자율성 요인과 자기격려의 조절효과가 유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온오프라인 자기불일치가 낮을 때, 자기격려의 수준이 낮아도 심리적 안녕감의 자율성 요인은 낮아짐을 확인하였다. * 주요어: 사회비교경향성, 온오프라인 자기불일치, 심리적 안녕감, 자기격려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effects of social comparison orientation on psychological well-being through online and offline self-discrepancy among employees in their 20s and 30s through the moderated effect of self-encouragement. For this purpose,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with the Social Comparison Tendency Scale, Online and Offline Self-Discrepancy Scale, Psychological Well-Being Scale, and Self-Encouragement Scale among office workers in their 20s and 30s living in Korea, and 300 data were collected, and 281 data were finally analyzed. The collected data were sequentially analyzed for correlation, mediation, moderation, and controlled mediation using SPSS 21.0 and SPSS PROCESS MACRO 4.2 (model 1, 4, 14). We summarize our findings as follows. First, a moderated mediation effect of self-encouragement was found in the pathway from social comparison orientation to psychological well-being via online and offline self-discrepancy. This suggests that the effect of social comparison orientation on psychological well-being through mediating online and offline self-discrepancy depends on the level of self-encouragement as a moderator variable. Second, we tested the mediating effect of subfactor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comparison orientation and psychological well-being and found that the ability factor of social comparison orientation, mediated by online and offline self-discrepancy, had a significant negative effect on the purpose in life factor of psychological well-being. Third, the moderating effects of the autonomy factor and self-encouragement on psychological well-being were found to be significa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online and offline self-discrepancy and psychological well-being. When online and offline self-discrepancy is low, the autonomy factor of psychological well-being is lower even if the level of self-encouragement is low. Main words: Social comparison orientation, Psychological well-being, Online-offline self-discrepancy, Self-encouragement.

      • 4년제 대학 취업준비생의 다차원적 완벽주의, 사회비교경향성에 따른 군집유형별 취업불안, 구직효능감의 차이

        최명자 한국기술교육대학교 테크노인력개발전문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9727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ssify the clusters according to Self-Oriented Perfectionism,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and Social Comparison Orientation among Multidimensional perfectionism of the University Students and Graduates Preparing for Employment, and to compare and analyze whether there is a difference in Job Seeking Anxiety and Job-Seeking Efficacy for each cluster. To this end,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using a Multidimensional perfectionism scale, a Social Comparison Orientation , a Job-Seeking Anxiety scale, and a Job-Seeking Efficacy scale were used for 4-year university students, graduation deferred students, and graduates in the metropolitan area, Chungcheong area, Gyeongsang area, Gangwon area, Jeolla area, and Jeju area.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A total of 465 copies were recovered, of which 389 copies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excluding insincere responses and outlier responses. The collected data were subjected to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two-step cluster analysis, and one-way analysis of variance using SPSS 22.0, through which differences between groups were analyzed.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four naturally occurring groups were formed according to Self-Oriented Perfectionism,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and Social Comparison Orientation. Cluster 1 is the 'imperfectionism -social comparison group' with low self-oriented perfectionism and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and high social comparison Orientation, and cluster 2 is the 'society group with low self-oriented perfectionism and social compariso Orientation and high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group', cluster 3 is a 'perfectionism-social comparison group' with high self-directed perfectionism,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and social comparison Orientation, cluster 4 has low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and self-oriented perfectionism and social comparison The tendency was high 'self-oriented perfectionism-social comparison group'. The results of examining whether there is a difference in job anxiety and job search efficacy according to these cluster types are as follows. First of all, Job-Seeking Anxiety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3 perfectionism-social comparison group. In the sub-factors of Job Seeking Anxiety, Job-Seeking Anxiety inducing situations and job anxiety inducing factors, cluster 3, the perfectionist social comparison group, appeared high. Job insecurity appeared in the order of cluster 3 Perfectionism-Social Comparison group and cluster 2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group. Job-Seeking Efficacy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cluster 4 Self-Oriented Perfectionism -social comparison group. Occupational aptitude, a sub-factor of job search efficacy, and willingness to overcome problem situation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cluster 4 self-oriented perfectionism-social comparison group than in the other groups. Job readiness anxiety was higher in the 3 Perfectionism-Social Comparison group than in the other groups. In situational coping ability, the cluster 4 Self-Oriented Perfectionist-Social Comparison group showed a significantly higher score, followed by the cluster 2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t group. The result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cluster types according to the combination of Self-Oriented Perfectionism,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and Social Comparison Orientation of the University Students and Graduates Preparing for Employment, and to understand Job-Seeking Anxiety and Job-Seeking Efficacy of the University Students and Graduates Preparing for Employment by cluster type. This implies the need for evaluation of belonging to a subgroup and discriminatory intervention accordingly. Finally, based on this study, suggestions for follow-up studies were discussed. 본 연구의 목적은 취업준비생의 다차원적 완벽주의 중 하위변인인 자기 지향 완벽주의, 사회부과 완벽주의와 사회비교경향성에 따라 군집을 분류한 후 군집별로 취업불안과 구직효능감에 차이가 있는지를 비교 분석하는 것이었다. 이를 위해 수도권, 충청권, 경상권, 강원권, 전라권, 제주권의 4년제 대학교 4학년 재학생, 졸업유예자, 졸업생을 대상으로 다차원적 완벽주의 척도, 사회비교경향성 척도, 취업불안 척도, 구직효능감 척도를 사용하여 온라인 설문을 실시하였다. 총 465부가 회수되었으며 이 중 불성실한 응답과 이상치 응답 등을 제외하고 389부를 최종 분석에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2.0을 사용하여 기술통계분석, 2단계 군집분석, 일원배치분 산분석을 실시하였고 이를 통해 집단 간 차이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기지향 완벽주의, 사회부과 완벽주의, 사회비교경향성에 따라 4개의 자연발생적 집단이 형성되었다. 군집 1은 자기지향 완벽주의, 사회비교 완벽주의는 낮고 사회비교경향성은 높은 ‘비완벽주의-사회비교 집단’, 군집 2는 자기지향 완벽주의와 사회비교경향성은 낮고 사회부과 완벽주의는 높은 ‘사회부과 완벽주의 집단’, 군집 3은 자기지향 완벽주의, 사회부과 완벽주의, 사회비교경향성이 모두 높은 ‘완벽주의-사회비교 집단’, 군집 4는 사회부과 완벽주의는 낮고 자기지향 완벽주의와 사회비교경향성은 높은 ‘자기지향 완벽주의-사회비교 집단’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군집유형에 따라 취업불안과 구직효능감에 차이가 있는지 살펴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취업불안은 군집 1, 군집 2, 군집 4, 에 비해 군집 3 완벽주의-사회비교 집단이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났다. 취업불안의 하위요인인 취업불안 유발상황, 취업불안 유발원인에서도 군집 3 완벽주의 사회비교 집단이 높게 나타났다. 취업불안상태는 군집 3 완벽 주의-사회비교 집단, 군집 2 사회부과 완벽주의 집단 순으로 나타났다. 구직효능감은 군집 1, 군집 2, 군집 3에 비해 군집 4 자기지향 완벽주의-사회비교 집단이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났다. 구직효능감의 하위요인인 직업적성이해, 문제상황 극복의지는 군집 4 자기지향 완벽주의-사회비교 집단이 다른 집단에 비해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직업준비불안은 군집 3 완벽주의-사회비교집단이 다른 집단보다 높게 나타났다. 상황대처능력에 서는 군집 4 자기지향 완벽주의-사회비교 집단이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고 그 다음으로 군집 2 사회부과 완벽주의 집단이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취업준비생의 자기지향 완벽주의, 사회부과 완벽주의, 사회비교경향성의 조합에 따른 군집유형을 확인하고, 군집유형별 취업준 비생의 취업불안, 구직효능감을 이해하여 상담장면에서 내담자가 어느 하위집단에 속하는지에 대한 평가와 이에 따른 차별적인 개입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를 바탕으로 후속 연구에 대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 자기개념 명확성과 사회불안의 관계 :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과 사회비교 경향성의 매개효과

        박누리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9727

        The present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foundations on which social anxiety occurs and investigated the sequentially mediating role of intolerance of uncertainty and social comparison orientation in the path from self-concept clarity to social anxiety. For this purpose, 424 university and graduate school students completed self-questionnaires. The result showed the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intolerance of uncertainty, social comparison orientation, and social anxiety, but self-concept clarity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intolerance of uncertainty, social comparison orientation, and social anxiety. After controlling the effect of depression, the correlation among these factors were still remained significant. Also, the sequentially mediating effect of intolerance of uncertainty and social comparison orientation has been found in relationship between self-concept clarity and social anxiety. The same results have been found even after controlling the effect of depression. Overall, the result suggests that people with lower self-concept clarity tend to have more lack of tolerance of uncertainty inducing social comparison orientation, therefore, they are more likely to feel social anxiety. Lastly,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본 연구에서는 사회불안이 발생하게 되는 기저에 대한 탐색을 목적으로 자기개념 명확성과 사회불안으로 가는 경로에서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과 사회비교 경향성이 순차적 매개효과를 가지는지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경기도 소재 대학(원)에 재학 중인 대학생 및 대학원생 424명을 대상으로 자기개념 명확성 척도(SCCS),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단축형 척도(IUS-12), 사회비교 경향성 척도(INCOM), 사회적 상호작용 불안 척도(SIAS), 사회공포증 척도(SPS), 한국판 우울증 선별 척도(CES-D)를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과 사회비교 경향성, 사회불안은 각각 유의한 정적 상관을 보였으며, 자기개념 명확성은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 사회비교 경향성, 사회불안과 각각 유의한 부적 상관을 보였다. 우울을 통제한 후에도 각각의 변인들 간의 상관관계가 유의하였다. 또한, 자기개념 명확성과 사회불안의 관계에서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과 사회비교 경향성이 순차적으로 매개효과가 나타났다. 우울을 통제한 후에도 동일한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이는 자기개념 명확성이 낮을수록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이 부족하며, 이로 인해 타인과 사회적 비교를 많이 하게 되고 사회불안으로 이어질 수 있음을 시사한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한계점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 대학생의 사회비교경향성이 학업소진에 미치는 영향 : 자아탄력성과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송진아 경북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9726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 between social comparison orientation and academic burnout and to explore the moderating effects of ego-resiliency and social support on the relations between social comparison orientation and academic burnout of undergraduate student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650 undergraduate students attending four-year universities located in Daegu, Busan, and Ulsan, Korea. Data were collected through questionnaires on academic burnout, social comparison orientation, ego-resiliency, and social support. To analyze the collected data, descriptive statistics, factor analysis, t-test, analysis of variance,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simple slope analysis, Johnson-Neyman technique were conducted by using SPSS 25.0 and Process Macro v.3.5.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bility comparison orientation affected emotional exhaustion and inefficacy. Opinion comparison orientation affected cynicism. Second, Ego-resiliency moderated the effect of ability comparison orientation on inefficacy. Third, ego-resiliency moderated the effect of opinion comparison orientation on cynicism. Finally, emotional and evaluative support moderated the effect of ability comparison orientation on inefficacy. However, informational and material support had no moder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comparison and academic burnout. In conclusion, this study indicated that the influence of social comparison orientation on academic burnout differs according to the level of ego-resiliency and social support. The social comparison orientation of individual undergraduate students affects the burnout phenomenon, but the level of burnout may differ depending on how they perceive the difference from the comparison target.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ego-resiliency and social support can function as an individual variable and an environmental variable that influences the perception of differences with others.

      • 대학생의 사회비교경향성이 사회불안과 열등감을 매개로 SNS 중독에 미치는 영향: 인스타그램 사용자를 중심으로

        황태형 경북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9726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사회비교경향성이 인스타그램 중독에 미치는 영향에서 사회불안과 열등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전국 11개 도시에 소재한 19개 대학교 476명을 대상으로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SPSS Statistics 25.0과 SPSS PROCESS macro v3.5를 사용하여 기술통계와 상관분석, 매개효과, 이중매개효과 분석을 실시하였다. 첫째, 본 연구의 주요 변인인 사회비교경향성, 인스타그램 중독, 사회불안, 열등감은 모두 서로 간의 유의한 정적 상관을 나타냈다. 둘째, 대학생의 사회비교경향성과 인스타그램 중독 간의 관계에서 사회불안과 열등감은 각각 부분적으로 매개효과를 나타냈다. 셋째, 대학생의 사회비교경향성과 인스타그램 중독 간의 관계에서 사회불안과 열등감은 부분적으로 매개효과를 나타냈으며, 사회비교경향성은 반드시 사회불안과 열등감을 순차적으로 매개하여야만 인스타그램 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결과를 도피이론에 적용하여 인스타그램 중독이 발생하는 과정에 대해 간략하게 이해해보고자 하였으며, 대학생의 인스타그램 중독 수준을 낮추기 위한 개입의 필요성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s of social anxiety and inferiority in the influence of social comparison trends in college students on Instagram addiction.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an analysis was conducted on 476 university students from 19 universities 11 cities nationwide. To validate the research theory, we conduct technical statistics, correlation, mediated effects, and double-mediated effect analysis using SPSS Statistics 25.0 and SPSS PROCESS macro v3.5. First, the main variables of this study, social comparison tendencies, Instagram addiction, social anxiety, and inferiority complex, all showed significant static correlations between each other. Second, the social anxiety and inferiority complexit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comparison trends and Instagram addiction of college students showed partial mediating effects, respectively. Thir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and Instagram addiction of college students, social anxiety and inferiority showed partial mediating effects, and social comparison tendencies only affect Instagram addiction by mediating social anxiety and inferiority sequentially. Finally, we applied these results to the theory of escape to briefly understand the process of Instagram addiction, and discussed the need for intervention to lower the level of Instagram addiction among college students.

      • 부모의 학업비교와 사회비교경향성이 학업소진에 미치는 영향

        이연실 인천대학교 교육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9726

        This study looked at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s' forced academic comparisons, social comparison orientation, and academic burnout. To that end, a survey was conducted on 427 students from a general high school in Incheon. Among the parents' behavior tests produced by Lim Eun-mi (1998), the measure was‘Encourage personal improvement’as a measure of parents' forced academic comparison, and the measure of social comparability (INCOM), which was adapted by Choi Yoon-hee (2003), and Lee Su-hyun and Lee Dong-yeop (20MBI). The data collected in this study were analyzed using SPSS WIN 23.0.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parents' forced academic comparison and social comparison orientation appeared to be low degree of static correlation, and their parents' forced academic comparison and academic burnout were also low degree of static correlation. Also, social comparative tendencies and academic burnout showed low static correlation. Second, it has been shown that parents' forced academic comparisons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academic burnout. The more academic comparisons parents make, the more they experience in school. Parents' forced academic comparisons are found to affect emotional depletion and cynicism among the subcomponents of academic burnout. However, the inability of parents to compare their studies with others was not significantly predicted among the sub-factors of academic burnout. Third, it has been shown that social comparability has a significant effect on academic burnout. The ability of social comparability predicted the emotional depletion and cynicism of academic burnout in significance, and the opinion of social comparability predicted a sense of incompetence, a sub-factor of academic burnout. Fourth, the ability level and opinion level, the sub-factor of parents' forced academic comparison, social comparative trend, were shown to significantly explain academic burnout. This means that the higher the level of ability and opinion of parents' forced academic comparison, social trend, the higher the level of academic burnout. Comparing the effectiveness of parents' forced academic comparison and social trend affecting academic burnout, the results were based on the ability level of social comparative trend, parents' forced academic comparison, and opinions level of social comparison trend. The results of this study confirmed that the academic comparison of the parents, who are environmental variables, and the social comparison tendency, which is the individual, directly affect academic burnout. This was meaningful in providing basic information and the need for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parent education and counseling programs by demonstrating the importance of parents' forced academic comparison and social trend as a way to prevent and reduce academic burnout, and by verifying that problems in the mental health area caused by academic noise can affect various areas of teenagers' lives, such as their academic and school life adaptation. Finally,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and suggestions for limitations and follow-up studies were presented. 본 연구는 부모의 학업비교, 사회비교경향성, 학업소진 간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인천 소재 일반계 고등학교 학생 427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측정도구로는 임은미(1998)가 제작한 부모행동검사 중‘개인내적 향상 격려’요인 문항을 부모의 학업비교 척도로, 최윤희(2003)가 번안한 INCOM(Iowa-Netherlands Comparison Orientation Measure)을 사회비교경향성 척도로, 이수현과 이동엽(2013)이 학업소진 척도(MBI-SS)를 국내의 의대생을 대상으로 타당화한 것을 고등학생에 수준에 맞게 재구성한 것을 학업소진 척도로 각각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23.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나타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의 학업비교와 사회비교경향성은 낮은 정도의 정적상관으로 나타났고, 부모의 학업비교와 학업소진도 낮은 정적상관으로 나타났다. 또한 사회비교경향성과 학업소진은 낮은 정적상관을 나타내었다. 둘째, 부모의 학업비교는 학업소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모가 학업비교를 많이 할수록 학업소진을 더 많이 경험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부모의 학업비교는 학업소진의 하위요인 중 정서적 고갈과 냉소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부모의 학업비교가 학업소진의 하위요인 중 무능력감은 유의하게 예언하지 못하였다. 셋째, 사회비교경향성은 학업소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비교경향성의 능력차원은 학업소진의 정서적 고갈, 냉소성을 유의하게 예언하였고, 사회비교경향성의 의견차원은 학업소진의 하위요인인 무능력감을 유의미하게 예언하였다. 넷째, 부모의 학업비교, 사회비교경향성의 하위요인인 능력차원, 의견차원은 학업소진을 유의미하게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부모의 학업비교, 사회비교경향성의 능력차원, 의견차원이 높을수록 학업소진이 높아지는 것을 의미한다. 부모의 학업비교, 사회비교경향성이 학업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효력을 비교하면 사회비교경향성의 능력차원, 부모의 학업비교, 사회비교경향성의 의견차원 순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 환경적 변인인 부모의 학업비교와 개인내적 변인인 사회비교경향성이 직접적으로 학업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검증하였다. 이는 학업소진의 예방 및 감소방안으로 부모의 학업비교 및 사회비교경향성의 중요성을 제시하였으며 학업소진 때문에 발생한 정신건강 영역의 문제가 청소년의 학업과 학교 생활적응 등 청소년들의 다양한 생활영역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확인함으로 부모교육과 상담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의 필요성과 기초 정보를 제공하였다는데 의미가 있다. 끝으로 본 연구 결과에 대해 논의하고 제한점과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 대학생의 사회비교경향성과 사회적 지지가 취업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최연수 경희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9726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사회비교경향성과 사회적 지지가 취업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취업 스트레스를 구체적으로 어떤 내적 과정을 통해 경험하게 되는지에 대해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는 수도권(서울·경기도·인천) 지역 소재의 일반대학교 재학생·휴학생·졸업 유예생 239명을 대상으로 했으며, 2021년 10월 7일부터 10월 20일까지 약 3주 간 대학생의 사회비교경향성, 사회적 지지, 취업 스트레스 측정을 위해 자기보고식 설문지를 사용하여 네이버 폼을 통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총 241부의 설문지를 배부 및 수집하였고, 100% 회수하였으나, 일반대학교 학생이 아닌 교육대학교 학생의 응답지 1부와 불성실하게 응답한 1부를 제외하고 총 239부를 SPSS 25.0 프로그램을 사용해 분석하였다. 자료 분석은 빈도 분석과 기술통계분석, 상관관계분석과 중다회귀분석 및 위계적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했으며 이에 대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그 결과, 대학생의 사회비교경향성, 사회적 지지, 취업 스트레스 간에 유의한 상관관계 및 영향관계가 나타났다. 이에 대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의 사회비교경향성, 사회적 지지, 취업 스트레스 간에 유의한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먼저, 독립변인인 사회비교경향성과 종속변인인 취업 스트레스는 유의한 정적상관관계(r = .36, p < .01)를 나타냈으며, 사회비교경향성과 하위변인들은 취업 스트레스와 그 하위변인들에 모두 정적상관관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사회비교경향성과 사회적 지지는 유의하지 않은 상관관계를 보였으나, 사회비교경향성의 하위변인 중 의견비교와 사회적 지지의 하위변인들은 모두 유의한 정적인 상관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사회적 지지와 취업 스트레스는 유의한 부적상관관계(r = -.13, p < .05)를 나타냈고, 사회적 지지의 하위변인 모두 취업 스트레스의 하위변인 중 스트레스-자극과 유의한 부적상관관계를 보였다. 둘째, 대학생의 사회비교경향성, 사회적 지지, 취업 스트레스는 유의한 영향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먼저 대학생의 사회비교경향성의 하위변인 중 능력비교는 취업 스트레스 전체(β = .29, p < .001) 및 하위변인들에 유의한 정적영향을 나타냈으며, 의견비교는 취업 스트레스의 하위변인인 스트레스-반응에만 유의한 정적 영향(β = .15, p < .05)을 미쳤다. 다음으로 사회적 지지의 하위변인 중 평가적 지지만이 취업 스트레스의 하위변인인 스트레스-자극에 유의한 부적인 영향(β = -.42, p < .01)을 미쳤다. 셋째, 대학생의 사회비교경향성과 사회적 지지가 취업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이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즉, 대학생의 사회비교경향성이 낮을수록, 사회적 지지를 높게 지각할수록 취업 스트레스를 경험하는 수준이 낮게 나타난다는 것을 확인했다. 위의 내용들을 종합하면, 본 연구는 대학생의 사회비교경향성, 사회적 지지, 취업 스트레스 사이의 유의한 상관관계 및 영향관계를 확인했다. 이러한 결과에 따라 취업 준비 과정에서 대학생들이 취업에 대한 스트레스를 경험할 때, 개인이 가진 비교경향성의 차원과 정도뿐만 아니라 사회적 지지를 얼마나 지각하고 있는지를 고려하여 적절히 개입하는 것이 중요함을 확인했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는 사회비교경향성을 가진 대학생이 어떤 수준의 비교경향성을 가지고 있는지, 어떤 차원의 비교를 더 자주 경험하는지 그리고 사회적 지지를 지각하는 정도에 따라 취업 스트레스에 관해 상이한 영향을 미친다는 결과를 알 수 있었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이를 통해서 대학생의 취업 스트레스 감소 및 완화를 위해 상담 장면 혹은 교육 장면에서 대학생의 사회비교경향성 수준 및 차원과 사회적 지지를 지각하는 수준을 미리 파악하고 이해하여 더욱 효과적인 개입 방안을 활용할 수 있게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effects of social comparison orientation and social support on job-seeking stress of university students, and to find out how they experience job-seeking stress through exploring participants’ specific internal process. The subjects of the research were 241 undergraduate students in Seoul, Gyeonggi, Incheon. A Self Report Questionnaire, which estimates social comparison orientation, social support, and job-seeking stress, were conducted from October 7th, 2021 to October 20th, 2021 through Naver-Form service. The 241 data had a hundred percent retention rate. Excluding one response from university of Education and one incomplete response, the remaining 239 responses were analyzed by SPSS 25.0. The data were statistically analyzed through frequency analysis, technical statistic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s a result, the data show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and Influence relationship among university students’ social comparison orientation, social support, and job-seeking stress. The following shows the results of the research. Answering the first research question, significant correlations have been identified among university students' social comparison orientation, social support, and job-seeking stress. Social comparison orientation and job-seeking stress were positively correlated(r = .36, p < .01). Ability comparison has a positive correlation with job-seeking stress(r = .35, p < .01), stress-response(r = .36, p < .01), stress-stimulating(r = .27, p < .01), and opinion comparison has a positive correlation with job-seeking stress(r = .261, p < .01), stress-response(r = .30, p < .01), stress-stimulating(r = .16, p < .05). Also, No significant correlations were found between social comparison orientation and social support, whereas opinion comparison has a positive correlation with social support(r = .26, p < .01), emotional support(r = .28, p < .01), informational support(r = .27, p < .01), material support(r = .25, p < .01), evaluational support(r = .27, p < .01). Lastly, Negative correlations between social support and job-seeking stress(r = -.13, p < .05), stress-stimulating(r = -.27, p < .01), but has no meaningful correlations between social support and stress—response. And emotional support(r = -.27, p < .01), informational support(r = -.20, p < .01), material support(r = -.21, p < .01), evaluational support(r = -.31, p < .01) also has meaningful negative correlations with stress-stimulating. Verifying the second hypothesis, university students’ social comparison orientation, social support, and job-seeking stress were found to be inter-related through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First of all, students’ ability comparison has positive influences on job-seeking stress(β = .29, p < .001) and its sub-variables, and opinion comparison only has positive influences on stress-response(β = .15, p < .05). Moreover evaluational support only has negative influences on stress—stimulating(β = -.42, p < .01). Futhermore, students’ social comparison orientation and social support has meaningful influences on job-seeking stress. In other words, it was confirmed that the lower the social comparison orientation of university students and the higher the perception of social support, the lower the level of experiencing job-seeking stress. In sum,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statistically meaningful correlations and influencing relationships between social comparison orientation, social support and job-seeking stress of students. According to these results, when university students’ experience job-seeking stress in the process of preparing for the job, it is important to intervene appropriately considering not only on which level of comparison orientation an individual has but also what degree of social support they perceive. Therefore, the results of this study illustrate that although a significant influences of university students with social comparison orientation on job-seeking stress, the influence could be effected by the level of comparison they experience more often and can be different the degree of social support they perceive. Hence, it is expected to provided basic data for the reduction and alleviation of job-seeking stress which university students have so that more effective intervention measures can be used by grasping and understanding the social comparison orientation and social support of university students in advance, in counseling or education scenes. key words: university students, social comparison orientation, social support, job-seeking stres

      • 조절초점과 취업 스트레스 간의 관계에서 사회비교경향성, 결과기대,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 취업준비 중인 대학생을 대상으로

        정유진 건국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9725

        본 연구는 취업준비의 상황에서 조절초점의 두 유형인 예방초점, 향상초점에 따라 취업 스트레스와의 관계에서 인지적 측면으로서 사회비교경향성과 결과기대,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결과를 통해 취업준비의 과정에서 어려움을 겪고 있는 대학생들의 진로상담에 활용할 수 있는 기초자료 제공을 본 연구의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첫째, 사회비교경향성, 결과기대, 자기효능감은 예방초점과 취업 스트레스의 관계를 매개하는가? 둘째, 사회비교경향성, 결과기대, 자기효능감은 향상초점과 취업 스트레스의 관계를 매개하는가? 의 두 가지 연구 문제를 선정하였다. 연구를 위해 4년제 대학의 남, 여 대학생 410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그 중 연구대상에 적합하지 않은 대상을 제외한 321명의 설문 자료만 SPSS 21.0과 SPSS MACRO PROCESS v3.4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변인들 간의 상관관계를 측정을 위해 상관분석을 실사하였고, 예방초점과 취업 스트레스와의 관계에서 사회비교경향성과 결과기대,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와 향상초점과 취업 스트레스와의 관계에서 사회비교경향성과 결과기대,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을 알아보기 위해 병렬 매개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예방초점과 취업 스트레스의 관계에서 사회비교경향성과 자기효능감은 완전매개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예방초점이 높으면 사회비교경향성이 높아지고 취업 스트레스가 높아졌으며, 예방초점이 높으면 자기효능감은 낮아지고 취업 스트레스는 높아지는 결과를 나타냈다. 반면, 예방초점과 취업 스트레스의 관계에서 결과기대는 매개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향상초점과 취업 스트레스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은 부분매개 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향상초점이 높으면 자기효능감이 높아지고 취업 스트레스 또한 높아지는 결과를 나타냈다. 반면, 향상초점과 취업 스트레스의 관계에서 사회비교경향성과 결과기대는 매개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은 의미를 제공한다. 첫째, 취업 준비 중인 대학생의 조절초점 중 예방초점과 취업 스트레스의 관계에서 사회비교경향성과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둘째, 취업 준비 중인 대학생의 조절초점 중 향상초점과 취업 스트레스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는 점에서 또한 의의를 가진다. 셋째, 취업준비로 어려움을 겪는 내담자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상담 방향 및 방식 수립에 좀 더 폭넓고 다양하게 접근할 수 있는 기본 자료를 제공했다는 점에 그 의의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과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의한다. In this study, we wanted to find out the interventions of Social Comparison Orientation, Results Exposition, and Self-Efficiency as a cognitive aspect in relation to Job-seeking stress according to the two types of The Regular focus and the Promotion focus in the research preparation for employm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basic data that can be used for career counseling for college students who are having difficulties in preparing for employment. To this end, first of all, does Social Comparison Orientation, Results Exposition, and Self-Efficiency bridge the relationship between Prevention focus and Job-seeking stress. Second, does Social Comparison Orientation, Results Exposition and Self-Efficiency bridg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romotion focus and the job-seeking stress. Two questions were selected for the study. A guy from a four-year college for research. A survey of 410 female college students was conducted. Of these, only 321 survey data, excluding those that were not suitable for the study,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21.0 and the SPSS MACRO PROCESS v3.4 statistical program. To measure the correlation between variables, Pearson's correlation was investigated, and the interaction effects of Social Comparison Orientation and Results Exposition, Self-Efficiency in relation to the Prevention focus and Job-seeking stres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romotion focus and the Job-seeking stress.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revention focus and Job-seeking stress, the Social Comparison Orientation and Self-Efficiency were found to be completely mediated, the higher the Prevention focus was the Social Comparison Orientation, the higher the Job-seeking stress, and the lower the self-efficacy of the Job-seeking stress. On the other hand, results expec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revention focus and Job-seeking stress was found to be unmediable. Secon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romotion focus and the Job-seeking stress, Self-Efficiency was shown to be partial, and a high Promotion focus resulted in higher Self-Efficiency and higher Job-seeking stress. On the other h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romotion focus and the job-seeking stress showed that Social Comparison Orientation and Results Expection were not mediated. The above findings provide the following meaning: First, it is meaningful in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revention focus and Job-seeking stress of the college students preparing for employment has been identified as a medium between Social Comparison Orientation and Self-Efficiency. Second, it is meaningful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romotion focus and the Job-seeking stress of the college student preparing for a job has confirmed the mediated effect of Self-Efficiency. Third, it is meaningful that it has provided basic data that provides broader and more diverse access to establishing more specific counseling directions and methods for those who are struggling with job preparation. Therefore,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study discusses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subsequent studies.

      • 취업준비 대학생의 사회부과 완벽주의와 취업불안의 관계에서 마음챙김과 사회비교경향성의 이중매개효과

        정미정 신라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9725

        본 연구는 대학생의 사회부과완벽주의와 취업불안의 관계에서 마음챙김과 사회비교경향성의 이중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전국 대학의 3, 4학년 대학생 316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했고 SPSS v. 22와 SPSS Process v.2.16의 Macro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한 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사회부과완벽주의와 취업불안, 마음챙김과 사회비교경향성은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나타내었으며 시회부과 완벽주의와 취업불안과 사회비교경향성과는 정적상관을 보였으며, 마음챙김과는 부적상관을 보였다. 둘째, 사회부과완벽주의와 취업불안의 관계에서 마음챙김과 사회비교경향성의 이중매개효과는 부분매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사회부과완벽주의와 취업불안의 관계에서 사회비교경향성의 하위요인 중 사회비교 능력은 부분매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연구의 의의와 제한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This study verified the dual mediating effect of mindfulness and social comparison tendenc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and job – seeking anxiety of college students preparing for employment. For this purpose, a survey was conducted on 316 college students in the third and fourth grades of universities nationwide, and the survey was conducted using SPSS v. 22 and Macro of SPSS Process v.2.16.,First, the results of the analysis showed that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job - seeking anxiety, mindfulness and social comparison tendency had a significant correlation, and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perfectionism of the city council and job - seeking anxiety and social comparison tendency, and there was a negative correlation with mindfulness., Second, the dual mediating effect of mindfulness and social comparison tendency was partially mediat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and job - seeking anxiety. Thir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and job - seeking anxiety, social comparison ability, one of the sub - factors of social comparison tendency, was partially mediated., Based on these results, the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