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장 칼뱅(Jean Calvin)의 사회봉사가 한국교회 목회실천에 주는 의의

        김기용 장로회신학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8703

        한국사회 내에서 간절히 요구되는 교회의 자정과 나아가 사회공동체의 개혁주체로서의 교회를 생각할 때, 칼뱅의 제네바 성시화 운동, 사회봉사를 통한 사회공동체의 개혁은 우리에게 많은 시사점을 주고 있다. 칼뱅의 신학, 사상, 그리고 사회봉사에서의 교회와 목회자의 역할을 살펴보고 그 참여적 사회윤리를 오늘날 한국사회 속에 접목하는 방안을 강구함으로 새로운 기독교 공동체를 모색하고자 한다. 칼뱅은 우수한 인문주의자로 교육 받았으나, 아버지의 죽음을 계기로 삶의 전환기를 맞이하게 되고 ‘갑작스러운 회심’(subita conversio)으로 시편주석에서 변증하듯이 하나님의 섭리하심과 개입하심 속에 1533-4년을 고비로 종교개혁가의 길로 접어들게 되었다. 칼뱅은 당시 유럽의 요지였던 제네바에서 파렐의 요청을 받아들여 목회를 시작하였으나, 2년을 채우지 못하고 시의회와의 갈등으로 추방당하게 되고 스트라스부르그에 부처를 만나 생의 전환점을 가지게 된다. 부처를 통하여 예배개혁에 많은 영향을 받고 결혼도 하게 된다. 드디어 1541년 제네바로부터 칼뱅이 돌아와 줄 것을 탄원 받음으로 제네바로 돌아온다. 칼뱅을 만난 제네바는 새로운 역사를 써 나가게 된다. 제네바와 칼뱅의 만남은 하나님의 축복이었고 섭리였다. 제네바에서 칼뱅은 목회자들이 정치적 직임이나 권한을 가지고 통치하는 이른바, 신정정치를 구현하려 했던 것은 아니었다. 그러나 중세후기의 사회·경제 질서의 급격한 변화와 프로테스탄티즘의 발흥과 확산의 중심지로서의 제네바의 다양한 사회, 경제적인 문제에 대해 성서적 사회·경제 이해와 디아코니아의 구체적인 실천을 통해 칼뱅은 응답해 나갔으며, 그의 이러한 사회·경제적 문제들에 대한 응답의 중심에는 ‘사회적 약자들’에 대한 관심, 기독교 사회윤리의 관점과 신학이 놓여 있음을 보게 되었다. 칼뱅은 개인보다 공동체를 중요시 하였으며 늘, 공동의 선을 추구하였다. 부스마(W. J. Bouwsma)의 말대로 ‘공동체로서의 사회를 살아있는 유기체로 이해하고 기독교 사회의 근간은 그리스도 안에서의 인간 공동체에 대한 계속되는 인식’으로 칼뱅의 공동체 사상을 설명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성서와 신앙의 근거를 둔, 사회적 약자들에 대한 자비와 국가와 교회의 사회봉사의 주체로서 역할을 메시지에 담아 전달하였다. 칼뱅은 성서에 근거한 권면으로, 제네바의 개혁을 위하여 힘쓴다. 이러한 점은 그의 사회 경제 윤리에서도 잘 드러나는데, 개인의 경제적 권리를 인정하면서고 사회 윤리적 책임을 통한 공동체의 이익을 우선하는 입장을 취하였다. 부의 유익과 가능성을 인정하면서도 한편으로는 부의 위험성과 부의 축적을 경계하며 사회적 약자를 배려하는 인간 공동체 안의 삶의 균등함을 추구하였다. 즉, 개인의 권리와 재화를 보장하면서 전체 사회의 필요를 존중하는 균형을 항상 추구하였으며 비엘레(André Biéler)는 칼뱅의 경제이해를 ‘개인적 사회주의’ 또는 ‘사회적 개인주의’라고 말하고 있다. 그의 이러한 사상은 구체적인 디아코니아 사역을 통하여 실현되었다. 시정부와 교회의 조화로운 긴장관계를 형성하며 사회적 약자를 섬기는 디아코니아 사역으로 도시를 개혁하여 나가게 된다. 특히, 이중집사제도를 활용한 종합구빈원과 프랑스 기금운용 등은 사회의 큰 변화를 가져오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중집사제도는 제네바시를 개혁하는 근간으로 역할하였다. 그의 사역은 성스러움과 세속성이 하나님 은혜 안에서 녹아드는 방식으로 기능하였다. 칼뱅은 더욱 활동의 영역을 넓혀 학교사회사업가로서, 지역사회사업가로서도 활발하게 활동하였다. 그라함(W. Fred Graham)은 이러한 칼뱅의 세속영역에서의 실천적인 경건에 관해 ‘건설적인 혁명가’(constructive revolutionary) 칼뱅으로 묘사하고 있는데, 이는 칼뱅이 악을 근절하기를 원했고, 기존의 사회를 파괴함 없이 새로운 시대의 공동체성을 추구하였던 진정한 혁명가였기 때문이다. 칼뱅의 사회봉사를 통해 보여준 그의 기독교적 윤리는 오늘날 한국교회에서 깊이 연구되어짐으로 문제 해결의 초석으로 삼을 수 있을 것이며, 한국교회 사회봉사의 방향성을 보여준다. 한국교회의 지도자들이 사회봉사에 대한 인식의 전환이 있어야 하며, 교회는 상처 입은 자들을 치유하고 약자들의 삶을 변화시키는 실천적 사회구제가 있어야 하며, 사회복지와 사회 상담을 통한 책임 있는 사회봉사를 감당하여야 한다. 칼뱅이 제네바에서 실천적으로 보여주었던 디아코니아의 모습이 오늘날 한국 교회에 요구된다 하겠다.

      • 노인의 사회봉사참여가 우울증에 미치는 영향

        김연순 경기대학교 2011 국내석사

        RANK : 248703

        이 연구는 노인의 사회봉사참여가 우울증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종교활동, 봉사활동, 사회단체활동 등을 독립변인으로 설정하고 우울증을 종속변인 그리고 성별, 연령, 학력을 통제변인으로 설정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의 대상은 수도권에 거주하고 있는 60세 이상의 노인 234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빈도분석, 기술분석, 변량분석, 상관분석, 회귀분석 등을 사용하였다. 연구가설 검증을 통해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가설 1은 노인의 종교활동이 우울증 개선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치고 있는가를 알아보는 것이었다. 분석 결과 5% 유의수준에서 노인의 종교활동이 우울증 개선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노인이 적극적으로 종교활동을 하는 경우 우울증을 줄이고 긍정적인 생활을 유지할 수 있다는 것이다. 또한 종교활동이 우울의 하위 요인들인 스트레스, 소외감, 자살충동을 약화시키는데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가설 1은 수용되었다. 둘째, 가설 2는 노인의 봉사활동이 우울증 개선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인가를 알아보는 것이었다. 분석 결과 노인의 봉사활동이 우울증 개선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즉 노인이 봉사활동을 적극적으로 하는 경우 우울증이 줄어들고 긍정적인 생활을 누릴 수 있다는 것이다. 그리고 봉사활동이 우울의 하위 요인들인 스트레스, 소외감, 자살충동을 약화시키는데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가설 2는 수용되었다. 셋째, 가설 3은 사회단체활동이 우울증 개선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인가를 알아보는 것이었다. 분석 결과 5% 유의수준에서 노인의 봉사활동이 우울증 개선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노인의 사회단체활동에서의 적극성 정도는 우울증 개선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는 것이다. 그리고 사회단체활동이 우울의 하위 요인들인 스트레스, 소외감, 자살충동을 약화시키는데 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가설 3은 기각되었다. 이 연구에서 분석된 결과를 바탕으로 몇 가지 정책적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조사대상자인 노인들이 가지고 있는 우울 수준은 전체적인 우울 평균점수 3.97점으로 상당히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우울 수준이 높게 나타난 응답자들의 비율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노인들의 우울을 감소시킬 수 있는 정책적 노력이 필요하며, 노인들 스스로도 긍정적인 자세를 갖기 위한 노력이 요구된다. 둘째, 개인 특성에 따른 우울 수준을 분석한 결과 성별에 따른 우울 수준은 남성이 4.74점, 여성이 3.52점으로 나타나 남성의 우울 수준이 여성보다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70세 이상 연령층의 우울 수준은 그 이하 연령층의 우울 수준보다 높게 나타났다. 학력에 따른 우울 수준을 분석한 결과 초졸 학력을 가지고 있는 노인들의 우울 수준이 그 이상의 학력을 가진 노인의 우울 수준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이러한 변인별 특성을 고려한 노인 우울증 예방 대책이 요구된다. 셋째, 사회봉사참여 활동 정도에 따라 우울 수준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종교활동, 자원봉사활동, 사회단체활동 등에 적극적인 노인들의 우울 수준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많은 노인들이 이러한 활동에 참여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데 노력할 필요가 있다. 넷째, 회귀분석 결과 조사대상자인 노인의 우울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종교활동, 봉사활동, 성별, 연령, 학력 등으로 나타났으며, 이 중에서 봉사활동, 학력, 종교활동이 가장 큰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그리고 투입된 전체 변인은 우울의 31.8%를 설명하고 있었다. 노인의 봉사활동 참여가 적극적일수록, 학력 수준이 높을수록, 종교활동에 적극적인 경우 우울이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노인의 우울증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이러한 노인 특성을 고려한 대응책이 마련될 필요가 있다. 이 연구는 노인들의 개인특성과 사회봉사참여 정도를 알아보고 이러한 변인들이 노인의 우울증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었다. 이 연구는 다음과 같은 한계를 가지고 있다. 첫째, 이 연구는 노인 대상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기관을 중심으로 조사대상자를 선정하였다. 따라서 대부분 활동성이 많은 노인들이 대상에 선정되었다. 따라서 활동이 불편하거나, 경제적 여건으로 인해 외부 활동에 참여하지 못하는 노인들은 연구 대상에서 제외되었을 가능성이 많다. 둘째, 이 연구에서는 노인의 사회봉사참여 수준을 기준으로 분석을 진행하였기 때문에, 여러 가지 사회 문화적인 변수를 활용하여 분석을 진행하지 못하였다. 노인들의 우울 수준에 영향을 많이 미칠 수 있는 경제적 수준, 건강 상태 등과 연계한 후속 연구가 요구된다.

      • 대학사회봉사활동의 동기와 봉사학습요구에 관한 연구 : S여자대학교의 사례를 중심으로

        이수진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1999 국내석사

        RANK : 248703

        Very recently, tended to emphasis on voluntary service, which could be called as social service, in order to build moral character and solve the social problem such as : egoism, materialism, and etc. Especially Universities have strongly recommended students to do voluntary work which is expected to develop the Voluntary sector as the third function of University. For this, Universities try to open voluntary service course as one of the regular curricula since 1995s. University Voluntary Service seems to be able to foster a desirable leader in the future, build human-natured character and choose the occupation. University Voluntary Service Program which is not well constructed, however, has been straightly doing by administrators without concerning how much University students understand of social trends and rapid changes in society, as well as social economic situation. Over the past four years, University Voluntary Service has been sharply expanded quantitatively. Nevertheless, the growth of quality has still got lots of problems such as unsystematic management of volunteers, compulsory voluntary program which are not matched with student's character, interest and their need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find more various and professional service program based on University Student's character. In order to achieve my study purpose, a survey was conducted for university students who have taken voluntary service course in Seoul Women's University which has been already established that : a couple of years ago to ask participation motivation, expected individual benefits given by voluntary work, the factors to activate University Voluntary Service, possibility to put the knowledge to practical use and etc. The results of my study are as follow : First, in the area of the motivation of individual participation, the need of experience is the most highest and selfish motivation is the higher than an altruistic motivation. Second, not only the opportunity of new experience but also the satisfaction of achievement is very strongly pointed as individual benefits which are given by doing voluntary work. Third, we can see that most volunteers were very much satisfied to their voluntary service activities. Fourth, students preferred voluntary service related to their major in the university and expected to have educational effect by doing voluntary work as well. Fifth, the high participation and the positiveness of the volunteers, who participated the program related to their major was showed. Based on the above results, firstly University Voluntary Service has to be performed as a process of experimental education for training competent person in our future. Secondly the developing of voluntary service program which is related to students study interest, is urgently required for the consistent and positive voluntary service activities. Finally, the university can contribute to community by voluntary service using professional human resource. As well student might mature by having an opportunity to utilize their major throughout doing voluntary service activities.

      • 중년여성의 사회봉사 활동유형에 따른 자아존중감 수준의 비교 연구

        오동숙 목원대학교 2002 국내석사

        RANK : 248703

        사회봉사활동은 중년기의 위기를 극복하고, 여가를 활용하는 수단으로서 큰 역할을 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사회봉사활동이 중년여성의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과 그 영향력을 분석하고, 이를 통해 중년여성의 자아존중감 증진방안을 제시해 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유의표집방법을 활용하여 대전지역에 거주하는 중년여성 370명을 대상으로 자기기입식 조사방법에 의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조사완료된 323부에 대하여 사회과학을 위한 통계패키지(SPSSWIN)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모형 검증결과, 중년여성의 봉사활동 참여, 결혼생활 만족도, 가족 소득액, 그리고 주관적 건강평가라는 4가지 변인이 중년기 자아존중감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중에서 결혼생활 만족도가 가장 큰 영향력을 미쳤으며, 가족 소득액, 봉사활동 참여, 주관적 건강평가 순이었다. 본 연구에 의하면, 사회봉사활동에 참여하고 있는 중년여성이 사회봉사활동에 참여하고 있지않은 중년여성보다 자아존중감 수준이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종교기관과 사회복지기관중 어떤 단체에 소속되어 봉사활동을 했는가에 따라서는 자아존중감 수준에는 의미있는 차이가 없었다. 사회적 관계 만족도에 있어서는 과거나 현재 사회봉사활동에 참여한 중년여성이 봉사경험이 전혀 없는 중년여성에 비해 높고, 친구ㆍ이웃 관계 만족도는 현재 사회봉사활동을 하고 있는 중년여성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봉사활동참여 전후의 개인적 변화는 사회복지기관소속 봉사자가 종교단체소속 봉사자보다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이 중년기의 사회봉사활동이 자아존중감증진과 사회적 관계 만족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점을 고려해 볼 때 사회봉사활동이 중년기의 위기해결의 한 방안이 될 수 있을 것이다. The voluntary activity of the middle-aged women plays on an important role in the settlement of their mental cris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herefore to investigate the factors which affect the self-esteems of the middle-aged women by types of the voluntary activity, and to suggest the intervention strategies to improve their self-esteem. The three hundred seventy middle-aged women who live in Taejon metropolitan city were selected by the purposive sampling methods and interviewed. Data were analyzed by using statistical techniques including chi-square, ANOVA,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The main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As a result of testing the research model, four major variables, such as satisfaction of marriage, participation of voluntary activity, monthly family income, and perceived health state, would significantly influence on the levels of the self-esteem of middle-aged women. Among these variables, the effects of satisfaction of marriage was stronger than those of any other variables. As a result of testing the research hypotheses, the middle-aged women who participate the voluntary activity had higher level of the self-esteem compared to those without the activity. However there is no differences in the levels of the self-esteem between women who serve in the religion organizations and those in the social welfare organizations. The middle-aged women who attended or is attending the voluntary activity show higher levels of satisfaction in social relationship and friend-relative relationship. On the other hand, the change of personal character after voluntary activity was higher in case of women who serve in the social welfare organization compared with those in a religion organization. As voluntary activity has positive influences on the improvement of self-esteem and the satisfaction of social relationships, this can be one of solutions to resolve the crises of middle-aged women

      • 대학생의 봉사학습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에 관한 연구

        원미순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2003 국내박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봉사학습의 관점에서 대학의 사회봉사 교과목이 대학생들에게 개인적, 사회적, 그리고 교육적 성과가 있는지를 확인하고, 봉사학습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이 무엇인지를 밝히려는 시도에서 이루어졌다. 1995년 이후 대학의 사회봉사 학점제가 확산되면서 급속한 속도로 참여자의 양적인 증가를 보이고 있고 그 필요성에 대한 인식이 고조되고 있다. 그러나 실제적으로는 사회적 성과와 교육적 성과 차원에서 활성화되지 못하여 대학의 사회봉사 학점제가 목표로 하는 성과를 거두지 못하고 있음이 여러 선행연구를 통해 밝혀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의 원인이 학점제로 이루어지고 있는 대학생의 봉사활동이 봉사학습의 관점으로 이해되지 못하고 일반 지역사회봉사 및 자원봉사와 구별 없이 이해되고 있기 때문이라고 보고 봉사학습의 관점에서 대학의 사회봉사성과를 설명하고자 하였다. 즉 학생들은 봉사학습을 통해서 지역사회복지 증진에 기여하게 되는 한편 교육적 성과와 개인적 발달의 목표들을 충족시킬 수 있다는 봉사학습의 상호성 원칙에 근거하여 대학생이 얻게 되는 봉사학습성과와 그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은 무엇인지 살펴보고자 한 것이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 상정한 연구문제는 봉사학습 경험이 대학생들에게 어떠한 성과가 있으며, 봉사학습 경험자와 관련된 어떠한 변인들이 봉사학습성과에 영향을 미치는가, 그리고 봉사학습성과에 가장 영향력 있는 변수는 어느 것인가를 확인하는 것이었다. 연구문제에 따른 가설들을 검증하기 위하여 본 연구는 서베이 연구방법을 활용하였다. 서울시에 소재하고 있는 4년제 대학에 재학중인 남·녀 대학생들을 모집단으로 설정하고, 서울시에 소재하고 있는 35개 한국대학사회봉사협의회 회원대학 중 4개 대학에서 419명의 남·녀 대학생을 대상으로 서베이를 실시하였다. 분석에 사용된 종속변인은 개인적 성과로서의 지역사회봉사 자기효능감, 사회적 성과로서의 사회적 책임감 및 지역사회 참여의식, 교육적 성과로서의 학습동기와 능력·진로계획 등의 봉사학습성과였다. 이에 영향을 미치는 독립변인들로는 개인배경변인으로 성별, 학년, 전공계열, 종교, 사회경제적 계층 등을 상정하였고, 학교의 정책적 지원·관리변인으로는 봉사학습 관리제도, 관리활동, 관리의지, 교과목의 다양성, 프로그램 개발, 지역사회 연계의지 등을 상정하였다. 그리고 봉사학습의 구성·내용 변인으로는 상호성 변인과 반성적고찰 변인을 상정하였고, 봉사활동현장(기관) 변인으로는 봉사업무 관리형태, 봉사업무와의 개인적 관련성, 기여에 대한 인지, 직원의 관리 태도와 인식 등으로 상정하였다. 이렇게 수집한 자료는 SPSS 10.0 통계 패키지를 사용하여 다중회귀분석의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발견된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봉사학습경험의 영향을 검증한 결과 봉사학습경험이 개인적 성과인 지역사회봉사 자기효능감, 사회적 성과인 지역사회참여의식, 교육적 성과인 학습동기, 진로계획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봉사학습경험이 학생들에게 성과가 있었음을 확인하였다. 둘째, 봉사학습을 경험한 대학생들의 개인배경 중 대학입학 이후 봉사활동경험이 봉사학습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봉사학습과 지역사회봉사활동은 상호 연관성이 큰 활동이므로 대학은 봉사학습과 지역사회봉사활동 양측이 모두 활성화될 수 있도록 지원·관리하여야 할 것이다. 셋째, 학교의 봉사학습 관리의지가 봉사학습성과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교의 봉사학습 관리의지는 봉사학습성과의 세 하위변인인 지역사회봉사 자기효능감, 지역사회참여의식, 학습동기·진로계획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봉사학습의 성과를 높이고 활성화시키기 위해서는 학교의 관리 의지가 매우 중요하다는 점을 보여주고 있다. 넷째, 봉사학습의 구성·내용변인 중에서 상호성은 지역사회참여의식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반성적고찰은 지역사회봉사 자기효능감, 학습동기·진로계획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봉사학습의 교육적 효과와 지역사회복지에의 기여라는 사회적 효과를 위해서 봉사학습 교과목의 구성과 내용이 구조화되어야 할 필요가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다섯째, 봉사활동현장(기관)에서 학생들이 수행해야 할 역할이 명확하게 부여되고 자율성이 보장되며 봉사업무의 양과 시간이 적절히 배분될 때 학생들의 학습동기·진로계획의 수준이 높아지며 학생들이 자신들의 기여와 헌신의 중요성을 인지할수록 지역사회참여의식의 수준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봉사활동현장(기관)의 지도감독 역할이 매우 중요하며 명확한 업무 부여, 다양한 경험의 기회 제공, 교육과 수퍼비전, 지지와 격려가 봉사학습성과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봉사활동현장(기관)은 학생들의 성과에 미치는 교육적 영향력을 인식하고 봉사학습 관리·지원체계를 수립하여야 할 것이며, 학교는 봉사학습의 교육목표 달성과 지역사회복지 증진을 위해 지역사회 봉사활동 현장(기관)들과 상호적이고 협력적인 관계를 형성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factors influencing university students' service-learning outcomes by adopting community service related subjects as part of service-learning and examining the subsequent effects. As the number of community service related subjects established at universities has increased tremendously since 1995, many students have had an opportunity to take these subjects and the demand for the subjects has reached a mature stage. However, the original goal of service-learning, aiming at both the social and the educational outcome, has not been achieved. This study attributes this failure to the fact that the credited service activities were understood as general community services or volunteering jobs rather than being viewed from the perspective of service-learning. This study views the universities involvement in community services from the perspective of the service-learning and focuses on the service-learning outcomes and the related influencing factors based on the reciprocity principle of service-learning. That is, students can make contributions to the development of community welfare as well as satisfy their primary goal of individual achievement and learning aspects of improvement through the service-learning. A research survey was conducted and data collected randomly from 419 students at four different universities out of 35 universities located in Seoul. The dependent variables used in analysis were service-learning outcomes such as (1) self-efficacy from the community service experience, (2) consciousness of participation in community activities and (3) academic motivation and endeavors for the future career. The influencing independent variables were (1) students' personal background, such as gender, age, major, religion, and living standard (2) universities' systematic support and management, such as the service-learning management system, supervision of activities and curriculum diversity, program development, and willingness to establish relationships with the local community, (3) characteristics of the service-learning, such as reciprocity and reflection, and (4) social welfare agencies, such as management formation of service activities, personal involvement in service activities, contribution recognition, service providers management attitude and awareness. Multiple regression was employed in order to analyze the collected data and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as a result of the influence on service-learning experience analysis, it was found that the service-learning experience affected students' consciousness on self-efficacy, participation in community activities, and their academic motivation and endeavors for future career plans. Secondly, it was found that among students' personal backgrounds, the experiences in volunteering after university entrance affected the service-learning outcomes greatly. Therefore, universities should maintain its support for the activation of the service-learning and volunteering activities as they are mutually inclusive. Thirdly, it was found that institutional climate of the service-learning management had a great influence on the service-learning outcomes of the self-efficacy on community service, participation in community activity, and academic motivation and endeavors for the future career. In particular, the institutional climate is very important in improving the service-learning outcome and activating the service-learning. Fourthly, from the characteristics of the service learning, it was found that the reciprocity influenced the consciousness of participation in community activities and reflection influenced the self-efficacy on community service and academic motivation and endeavors for the future career. This result indicates that for the social and educational outcomes of learning aspects of the service-learning and contribution to the improvement of community welfare, the curriculum of the service-learning needs to be more systematized. Fifthly, it was found that students academic motivation and endeavors for their future career were increased when the role of each student was clearly assigned and autonomy was given at the service activity site or agency. Also, the more students recognize their contribution and commitment towards the service activities, the higher their consciousness of participation in community activities grows. Also, as it was found that definite job assignment, opportunities for diverse experience, education and supervision, and supports and encouragement had an influence on the service-learning outcomes, the community service providers role of supervision was very important. Social service providers or agencies should acknowledge the educational influence on students service-learning outcome and devise a system for the support and management of the service-learning. Also, institutions should seek out reciprocal and cooperative relationships with community service providers or agencies for the development of community welfare and a rich educational environment of the service-learning for students.

      • 聖潔敎會의 社會奉仕 實態와 改善方向에 關한 硏究

        이경미 명지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1999 국내석사

        RANK : 248703

        한국교회는 새로운 21세기를 향하는 기점에서 사회 속에서 “빛과 소금”의 역할을 다하여야 할 것이다. 그러기 위해서 교회는 지역사회 공동체의 삶의 중심지가 되어야 하며, 그 요구에 응하는 자세가 되어야 하며, 지역사회가 안고 있는 사회 문제를 진지하게 해결하려는 움직임과 그에 맞는 프로그램들이 있어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성결교단(예수교 대한 성결교회)에 있는 목회자들의 사회 봉사에 대한 의식과 태도를 알아보고 현재 실시되고 있는 프로그램의 현황과 앞으로 의미있는 사회 봉사 활동을 기획하고, 전개하는데 필요한 자료를 얻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에 따라 본 연구는 현지조사 연구방법이 적용되었다. 조사연구는 전국의 성결교회(예성)에 소속되어 있는 800교회에서 목회하는 목회자들에게 설문지를 우편으로 발송하여 회송받은 327개의 설문지를 통해 얻어진 결과이다. 조사도구는 32개의 문항으로 목회자와 교회에 대한 개인배경 변인으로 7문항과 현재 각 교회에서 실시되고 있는 사회봉사활동에 대한 현항과 목회자들의 사회봉사활동에 대한 의식과 태도에 관한 25개의 문항으로 이루어져 있다. 조사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결론이 도출되었다. (1) 성결교회의 현재 실시되고있는 사회봉사 프로그램을 보면 주로 교인을 위한 구제사업에 국한되어 있다. 이제는 교회가 위치한 지역사회의 욕구조사를 통해 지역주민의 특성과 그들의 요구와 기대에 맞는, 또한 지역사회가 필요로 하는 프로그램의 개발이 요구된다. (2) 성결교회는 보수적 신학경향이 강하다. 교회의 지역사회를 봉사활동이 복음적 입장에서 신학적 규명이 있어야 하는데, 이 일을 개 교회 목회자들이 담당해야 할 것이다. (3) 교회의 사회봉사활동에 대한 의식화 교육은 교회학교 교육과정에 사회봉사의 내용을 포함시켜 영아부로 시작하여 모든 교인에게 확대 실시되어져야 할 것이다. (4) 지역사회를 위한 교회의 최선의 개방의 방법으로 주차장을 개방하고 차량을 대여하고 운행하는 것에서 만족하지 말고 교회가 보유하고 있는 시설자원을 지역사회와 공유할 공간으로 개방하고 활용할 수 있도록 해야 겠다. 특히 청소년들의 건전한 휴식과 만남의 장으로 개방되어 그들의 다양하고 복잡한 문제를 함께 고민하여 해결해 줄 수 있는 일도 담당해야 할 것이다. 끝으로 좀 더 전문적이고 체계적인 사회봉사 활동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교회내 사회봉사 프로그램을 총괄하는 사회봉사 전문체계를 조직하고, 사회봉사 활동에 대한 전문적 지식을 가진 자격있는 봉사자를 배치하여야 하며, 질적으로 자질있는 평신도 봉사자를 발굴하여 사회봉사 의식을 더 높이 고취시켜 목회자와 교인 전체가 한 마음으로 사회봉사의 일을 담당해야 할 때이다. At this starting point toward the new 21st century, Korean church will have to play a role as "light and salt" in society. To do so, the church should be the center of life in a local community, grasp what the community demands and have the manner to comply with it, and move toward seriously solving the social problems the community has and develop the programs suitable for it.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plore the consciousness and manner to social services of the pastors belonging to the Holiness Church Order (Korea Christian, Holiness Church), examine the present state of programs in enforcement and obtain necessary data for planning and developing the future meaningful social service activities. According to the aim of this research, this study applied the field research method. The research finding is the result earned through sending questionnaires to the pastors of the national Holiness Churches (Yesung) by mail and receiving 327 sheets of them. The research instrument is composed of 32 questions, 7 of them related to the individual variables of pastors and churches, and 25 to the current condition and direction of social service activities implemented by each church and the awareness and manner of pastors to social services.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the following conclusion was drawn out. (1) Looking at the social service programs currently executed at Holiness Church, they are restricted to the salvation work for the believers. Now it is needed to develop a program fit for the characteristics and demands of the local residents and the community through the research of the needs of the local society where the church is located. (2) The Holiness Church has a strong conservative theological tendency. The service activity of the church for the community should be closely examined on the standpoint of evangelism, the pastors of the protestant churches will have to take charge of it. (3) The consciousness education the church to social service activity should include social service contents at the curricula of church schools, and start it from the infant division and expand to all believers. (4) Without being satisfied with opening the parking lot, renting cars and vehicles and operating them as the best opening method for the community, the church should open the facility resources of its own as the space to share them with the community and make it available. In particular, it should play a part of opening it as the place of sound rest and meeting for the youth, worrying about their diverse and complicated problems and solve them together. In closing, in order to perform more specialized, systematic social service activities, all the pastors and believers should take charge of social service by organizing a special system for social service controlling social service programs in it, deploying qualified volunteers with specialized knowledge to social service activity, picking out qualified laymen volunteers, having them enhance their consciousness of social service.

      • 대학생의 사회봉사 만족도 및 지속의사에 지도감독이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이소진 강남대학교 사회복지전문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8703

        사회봉사에 있어서 지도감독은 자원봉사자의 개별적인 성장 발달을 가져오는데 결정적인 역할을 하며, 자원봉사자의 행정적 능력, 이론 및 기술적 발달 그리고 개인의 업무활동에서 오는 스트레스의 해소를 통해 전문적 성장과 사명감을 고취시키는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사회봉사 담당직원과 자원봉사자와의 관계는 봉사활동을 지속하도록 하는데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효과적인 사회봉사활동을 창출할 수 있게 한다. 본 연구는 대학생의 사회봉사에 있어서 만족도와 지속의사를 높이는데 지도감독 특성요인이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밝혀내고 대학 내의 사회봉사 실태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사전조사를 거친 설문지를 경기지역 K대학교에 사회봉사 경험이 있는 224명의 자원봉사자에게 배포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사회과학 통계조사도구인 SPSS/10.0을 가지고 분석하였다. 사회봉사 만족도와 지속의사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살펴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도감독 특성요인 즉, 지도감독자의 지도여부, 지도감독 횟수, 지도감독 내용, 지도감독에 대한 만족도 중에서 사회봉사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학교의 봉사센터 지도감독 여부, 학교의 지도교수의 지도감독 여부, 지도감독에 대한 만족도가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사회봉사 지속의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학교의 봉사센터 지도감독 여부, 지도감독 횟수와 지도감독에 대한 만족도만이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둘째, 개인적 특성요인 즉, 성별, 전공, 학년, 연령, 종교, 성적, 사회성 중에서 사회봉사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성별, 학년, 성적이 유의미하게 나타났고 전공과 사회성이 사회봉사 지속의사에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셋째, 봉사활동 특성요인 즉, 봉사기관 수, 봉사인원, 봉사기간, 봉사동기, 봉사활동분야, 봉사시간, 교육여부(오리엔테이션, 소양교육), 종결평가 여부 중에서 사회봉사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학교의 오리엔테이션과 소양교육, 기관의 소양교육, 학교의 종결평가 여부와 봉사기관의 종결평가 여부가 사회봉사 만족도에 유의미하게 나타났으며, 기관의 오리엔테이션 여부가 사회봉사 지속의사에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넷째, 지도감독 특성요인 즉, 지도감독자의 지도여부, 지도감독 횟수, 지도감독 내용, 지도감독 만족도 중에서 사회봉사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학교의 봉사센터 지도감독 여부, 학교 지도교수의 지도감독 여부, 지도감독 횟수, 지도감독에 대한 만족도, 봉사기관의 지지적 지도감독 내용이 사회봉사 만족도에 유의미하게 나타났으며 사회봉사 지속의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학교의 봉사센터의 지도감독 여부와 지도감독 횟수, 지도감독에 대한 만족도가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다섯째, 개인적 특성요인, 봉사활동 특성요인, 지도감독 특성요인 중에서 사회봉사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학교의 봉사센터 지도감독 여부와 봉사기관의 지도감독 내용으로 나타났고, 사회봉사 지속의사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는 학교의 봉사센터 지도감독 여부, 기관의 오리엔테이션, 지도감독에 대한 만족도가 사회봉사 지속의사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 대한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봉사의 선행연구에서 깊이 다루지 못했던 지도감독 요인을 범주화 시켜 분석하였으며 둘째, 지도감독 유형의 부재라는 현실 속에서 지도감독에 대한 유형화를 구체화 시키고 그것을 사회봉사 현실 상황에 맞게 적용해 볼 수 있는 가능성을 열었다는데 의의가 있을 수 있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연구를 통해 봉사 실시주최 기관인 대학과 봉사기관의 지도감독 실태를 파악해 볼 수 있었으며, 사회봉사에 있어서 바람직한 지도감독의 방향과 필요성을 제시할 수 있었다는데 의의가 있다. Supervision in social service plays a critical role not only in enhancing personal development of a volunteer, but also in improving administrative ability, theoretical and technical development of a volunteer. It also helps a volunteer deal with job stress, and grows in professionalism and a sense of duty. The relationship between a volunteer and a social service personnel can affect the sustenance of a volunteering activity. It also generates effective social service activit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and analyze the characteristic factors of a supervision related to the degree of satisfaction and intention to re-participate of social services. For this purpose we administered questionnaires to 224 students at K university in Gyeonggi province who have former experience of social service. The questionnaire was preliminarily examine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through the statistical process of SPSS/10.0. The satisfaction with and the continuation of social service activities are dependant on following factors. First, among factors related to the characteristics of supervision - whether supervision is intervened or not, the frequency of supervision, the contents of supervision, and the satisfaction with supervision, etc, - such factors like whether a university supervise a social service center or not, whether professors supervise or not, and satisfaction with supervision have significant effects on the degree of satisfaction of social service activities. Those factors like whether a university supervise the social service center or not, the frequency of supervision, the degree of satisfaction with supervision activities affect the continuation of social service activities. Second, among personal factors including sex, major, school year, age, religion, grade, and sociality, such factors as volunteers' sex, school year, grade, have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satisfaction with social service activities. And factors as volunteers' major, sociality have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continuation of social service activities. Third, among factors related to the characteristics of social service activities including the number of institutions, the number of volunteers, duration of service activities, motivation of service activities, activity field of service activities, the number of hours of service activities, whether there is education and training or not and whether there is final assessment or not, such factors like, orientations and training by universities, training by social service institutions and whether or not the final assessment is performed not by either universities or social service institutions affect the continuation of service activities. Fourth, factors related to the supervision including whether or not a supervisor supervised, the frequency of supervision, the content of supervision and the degree of satisfaction with supervision, such factors like whether or not universities supervise the social service center, whether or not professors supervise, the frequency of supervision, the degree of satisfaction with supervision, and supportive contents of supervision by service institutions have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degree of satisfaction social service activities, and factors affecting volunteer's willingness to continue their service activities are; whether or not a university supervise the public service center, the frequency of supervision, and the satisfaction with the supervision. Fifth, among factors of personal characteristics, and factors related to the characteristics of social service activities and supervision, factor that affect the degree of satisfaction with social service activities are whether or not universities supervise the service center, and the contents of supervision, and factors that affect volunteers' willingness to continue their service activities are whether or not universities supervise the social service center, orientation offered by institutions, and the degree of satisfaction with supervision. Based on above results this study has its significance as follow. First, factors related to supervision, which have not been covered in previous studies, are categorized and analyzed. Second, this study materializes the types of supervision, and therefore opens door to applying them to the reality of social service activities. Finally, through this study, we can understand the current state of supervision conducted by sponsors of service activities like universities and institutions, and future directions of desirable supervision can be presented.

      • 목회자의 사회복지 실천의식 연구

        강영훈 강남대학교 사회복지전문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의 목적은 첫째, 현재 교회가 시행하고 있는 사회복지사업에 대한 실태를 파악하고 둘째, 앞으로 계획하고 시행하고자 하는 사회복지사업에 대하여 알아보고 셋째, 목회자의 사회복지 의식과 사회봉사 태도를 알아봄으로 앞으로 교회가 보다 활발하고 적극적인 사회복지사업을 실천할 수 있도록 하는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경남지역의 대한예수교 장로회 통합측인 진주노회와 진주남노회의 담임목회자들을 대상으로 2004년 11월 15일에서 11월 22일까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지는 모두 81부(52.6%) 회수되었으며, SPSS WIN. 10.0을 활용하여 응답자의 일반적 특성과 사회복지 프로그램 관련 실태에 대해서는 빈도분석과 다중응답빈도분석을 사용하였고, 목회자의 사회봉사에 대한 의식 및 태도와 관련해서는 평균과 표준편차, 빈도분석, t검증, 다중응답 분석을 이용하여 비교.분석하였다. 연구의 조사결과는 다음과 같이 나타났다. 첫째, 사회봉사활동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은 높은 반면 그에 대한 설교나 교육은 부족함을 보였다. 이것은 자원봉사 경험의 유무에 따라 차이를 보이고 있었다. 둘째, 사회복지 프로그램을 실시하면서 가장 어려운 사항으로는 예산부족이라는 결과가 가장 많이 토로되었다. 셋째, 교회내에 사회복지 전담부서가 설치된 곳은 14곳에 불과하나 지역사회복지사업 시행시 담당 주체로 목회자를 중심으로 한 복지 전담부서가 요구된다라는 높은 응답의 결과를 나타내었다. 넷째, 현재 실시중인 프로그램에는 청소년 대상의 프로그램이 활발하게 운영되고 있고, 계획중인 프로그램에서는 노인대상 프로그램이 가장많이 계획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지출 대비 구제/사회봉사비의 비율은 평균 22.09%가 적정하다고 응답하고 있었으나, 2004년 지출 총액 대비 지출항목 비율에서 보면 구제/사회봉사비는 평균 8.84%의 지출에 불과한 것으로 조사되어 이상적인 사회봉사 비용과 실제 사용하고 있는 것과의 차이가 나타났다. 이상과 같은 조사결과에 기초해서 교회의 사회복지사업 활성화를 위한 구체적인 방안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목회자의 사회복지의식 제고를 위하여 신학교육 학부과정에 사회복지 과목을 도입하고 자원봉사를 자연스럽게 경험할 수 있는 교육의 장을 마련해 주어야 한다. 둘째, 교회의 환경적인 특성들이 교회의 사회복지사업 수행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므로 농어촌 교회나 소규모 교회에 대한 교단 차원에서의 특별 선교비 지원이 요구된다. 세째, 사회복지 사업 전담 목회자 제도를 도입하고 교회 조직내에 사회복지전담부서를 설치해야 할 것이다. 넷째, 현재 운영중인 프로그램에는 아동과 청소년 대상의 복지사업이 그리고 앞으로 계획중인 사업으로는 노인을 대상으로 한 프로그램에 많은 관심을 보였다. 그러나 교회의 구성원들의 대부분이 여성임을 감안할 때 앞으로는 여성을 대상으로 한 프로그램이나 서비스들에도 관심을 가져야 할 것이다. 본 논문을 통하여 앞으로는 대한예수교 장로회 통합측 뿐만 아니라 다른 교단과의 비교연구와 목회자를 비롯한 교회 구성원들을 조사대상으로 한 연구가 이루어져서 교회의 사회봉사 실천에 관한 구체적인 후속 논문들이 나오기를 기대하며, 본 논문이 더욱 세분화된 교회 사회봉사 논문의 기초자료가 되기를 바란다. The main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make basic materials for practicing active and positive church-social work available through grasping recent church-social work, plans for church-social work, and pastors' attitudes towards church-social work. For this purpose, I surveyed the pastors charged by the presbyterian churches(the so-called "tong-hap" group) of "Jin-Ju presbytery area and "the Southern Jin-Ju presbytery area from November 11, until November 15, 2004. After 81copies of questionnaires distributed among the Presbyterian churches were returned to us, I comparatively analyzed their responses by using a frequency test and multi-response analysis to grasp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respondents and the actual conditions involved in the social work program with the Statistical Package for Social Science(SPSS ver 11.0), and analyzed pasters' attitudes involved in social service by using average, standard deviation, frequency test, t-test, and a multi-response analysis. The findings of this study through actual proof analysis is as follows First, most pastors perceived the necessity of social work, but they lacked the preaching and teaching for practicing for social work. It was as thought it depended on their having volunteering experience. Second, though they would have liked to practice social work , themost difficult matter was the financial problem of being short of fund for social work. Third, only 14churches or so have established a department wholly charged for social work. Fourth, it was shown that recent social work program were mainly for adolescents, a program for senior citizens was still in the planning stage. Fifth, it was presented that the ratio of the relief expenses to total expenses, an average 22.09% , should be most pertinent to church budget, but in reality the ratio was only 8.84%. The ideal goal of using budget differed from the real expenses for social work. On the base of these results, I would propose some concrete alternatives for active church social work as below: First, some subjects concerning social work has to be worked into the theological seminary/college curriculum, so they have an opportunity to get through volunteering experiences freely. Second, the small churches in the farming or fishing towns needs special mission funds on a religious associations level, because the financial condition greatly influences church social work. Third, the pastors' charge of social work and the social work post have to be instituted into the church. Fourth, they are interested in recent program for adolescent oriented social work, and planning for programs for senior citizens, but considering accounting for most church members, we should take much interest in the programs towards social work and social service I hope, through this thesis, that relative study between other religious orders or both pastors and church brethren would perform, and a concrete following thesis about church social work practice would come out hereaft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