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경로당 이용과 노인 삶의 만족 관계에서 사회공헌활동의 조절효과 검증 연구

        노경선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2024 국내박사

        RANK : 248703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들의 경로당 이용만족도가 삶의 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파악하고자 하였으며, 경로당 이용노인의 이용만족도와 삶의 만족도와의 영향관계에서 사회공헌활동의 조절효과가 어떻게 나타나는지에 대하여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경로당 활성화를 통한 경로당 이용노인의 삶의 만족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정책적·실천적 개입 방안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는 서울특별시 N개 자치구의 경로당 중 사회공헌활동에 참여하는 경로당 이용노인들을 대상으로 2023년 6월 12일부터 2023년 7월 14일까지 1개월간 진행하였으며, 임의표집 방법에 따라 자기보고식, 문답식 조사방법으로 실시하였다. 설문지는 총 630부를 배부하여 미 회수된 설문지 및 불성실한 응답 57부를 제외한 총 573부를 실증 분석에 활용하였다. 가설 검증을 위해 경로당의 이용만족도, 삶의 만족도, 사회공헌활동을 측정하였다. 삶의 만족도는 하위요인으로 자아성취감, 현실만족도, 노화태도로 구성하였으며, 이용만족도의 하위요인으로 이용만족도로 구성하였다. 조절변수인 사회공헌활동의 하위요인으로는 사회공헌활동의 참여동기, 참여유형, 참여기간, 참여시간, 참여횟수, 지속의지, 만족도로 구성하였다. 분석방법은 빈도분석, 기술통계분석, 상관분석, 신뢰도 검증, 탐색적 요인분석과 확인적 요인분석, 차이분석, 구조방정식과 다중집단분석 및 조절효과 검증을 실시하였다. 통계분석은 설문지의 코딩을 거쳐 SPSS ver 26.0과 AMOS ver 26.0을 사용하였으며, 유의수준은 p<0.05로 설정하여 검증하였다. 본 연구에서 밝혀진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경로당 이용특성 중 경로당 이용기간은 삶의 만족도의 구성요소인 자아성취, 현실만족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고 있었다. 경로당에서 하루 보내는 시간은 자아성취, 노화태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고 있었으며 경로당에서 하는 일은 자아성취, 현실만족, 노화태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고 있었고, 경로당 이용 이유는 자아성취, 현실만족, 노화태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고 있었다. 다음으로 사회공헌활동 특성 중 사회공헌활동 참여동기는 삶의 만족도의 구성요소인 자아성취, 현실만족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고 있었다. 사회공헌활동 참여유형은 자아성취, 현실만족, 노화태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고 있었으며 사회공헌활동 참여기간은 현실만족, 노화태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고 있었고, 사회공헌활동 1회 시간은 자아성취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고 있었다. 사회공헌활동 참여횟수는 현실만족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고 있었고, 사회공헌활동 지속의지는 현실만족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고 있었다. 둘째, 경로당을 이용하는 노인의 이용만족도가 삶의 만족도의 구성요소인 자아성취감, 노화태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경로당 이용노인의 이용만족도가 삶의 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경로당을 이용하는 이용만족도가 높을수록 노인의 노화태도와 자아성취감이 높아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셋째, 경로당 이용만족도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관계에서 사회공헌활동의 구성요소인 참여동기, 참여유형, 참여기간, 참여시간, 참여횟수, 지속의지, 참여만족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나 조절효과가 있음이 검증되었다. 사회공헌활동 참여동기의 경우 이용만족에서 현실만족으로 가는 경로와 이용만족에서 노화태도로 가는 경로에서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사회공헌활동 참여유형의 경우 이용만족에서 현실만족으로 가는 경로와 이용만족에서 노화태도로 가는 경로에서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공헌활동 참여기간의 경우 각 변수 간 영향관계가 다르게 나타나며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사회공헌활동 참여시간의 경우 이용만족에서 현실만족으로 가는 경로에서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공헌활동 참여횟수의 경우 이용만족에서 자아성취로 가는 경로, 이용만족에서 현실만족으로 가는 경로, 이용만족에서 노화태도로 가는 경로에서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사회공헌활동 지속의지의 경우 각 변수 간 영향관계가 다르게 나타나며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사회공헌활동 참여만족도의 경우도 각 변수 간 영향관계가 다르게 나타나며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종합하면 경로당 이용만족도가 노인의 삶의 만족도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요소임을 알 수 있었으며, 사회공헌활동에 조절효과가 있음이 검증되었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경로당 이용만족도, 노인의 삶의 만족도 그리고 사회공헌활동 제고를 위한 정책적·실천적 개입 방안을 다음과 같이 제언하였다. 첫째, 경로당 이용특성과 사회공헌활동 특성에 따라 삶의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경로당에서 보내는 시간이 지루하지 않기 위해, 경로당에서 오래 머물고 싶도록 경로당 특성에 맞는 수요자 맞춤형 프로그램이 개발·보급되어야 할 것이다. 미국의 시니어센터(Senior Center)나 일본의 노인복지센터, 노인휴식의 집, 노인휴양 홈, 실버인재센터 등을 벤치마킹하여 우리나라의 경로당은 내 집에서 가깝다는 점과 언제든지 쉴 수 있는 휴식의 공간이라는 점을 놓치지 않고 공급자 입장에서 다양함만을 강조하며 무분별하게 프로그램을 제공할 것이 아닌, 그 경로당을 이용하는 노인 수요에 맞춰 그들이 대체로 원하는 프로그램을 질적으로 특성화시켜 개발·운영해야 할 것이다. 여기에 더하여 경로당 관리·운용의 법적 지위를 가지고 있는 우리나라의 대표 노인단체인 대한노인회에서는 다양한 노인복지사업 및 지원을 통해 경로당 운영에 있어 실천적 개입 방안을 적극적으로 펼쳐야 할 것이며 이에 따른 정부와 지자체의 지원이 따라주어야 할 것이다. 둘째, 경로당 이용만족에 따른 삶의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가족적인 환경에서 자립생활을 지원하는 그룹홈 형태의 경로당 운영이 필요할 것이다. 그룹홈 경로당을 운영함으로써 노노케어 실천과 더불어 늦은 오후까지 개방하여 방과 후 어린이교실도 함께 운영할 수 있기에 일자리 창출과 더불어 사회공헌활동 기회까지 이끌어낼 수 있다. 기존 지역사회 자원인 경로당을 적극 활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현대사회로 오면서 맞벌이는 점점 더 늘어나고 있는 현 상황에서 그룹홈 경로당은 아이돌봄에 대한 부담을 덜어주는 큰 역할 수행까지 가능할 것이다. 그에 맞게 책임감에 따른 적절한 지원 역시 충분히 따라줘야 할 것이다. 셋째, 경로당 이용목적에 큰 차지를 하고 있는 프로그램 참여와 식사가 원활하게 운영될 수 있는 환경을 위해 경로당의 시설기준에 바뀐 시대상을 반영한 명확하고 구체적인 근거가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경로당 시설기준에 명확한 근거가 마련되기 위해서는 설비시설을 보다 세분화해 프로그램실, 식당, 부엌 등을 추가해야 한다. 식당의 경우 반드시 좌식이 아닌 입식으로 조성해야 하며, 설비시설의 기준도 20㎡ 이상 등으로 구체화하는 것이 필요하다. 노인생활에서 경로당의 역할은 커졌지만 시설기준이 미흡해 지역 내에서도 격차가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기에 정부와 지자체, 경로당을 관리·운용하는 대한노인회, 노인복지전문가들의 협력으로 관련법 개정 및 서울시 경로당 운영 지원에 관한 조례를 제정하는 등 현재 경로당 위상에 맞는 명확하고 구체적인 시설기준 마련에 힘을 쏟아야할 것이다. 넷째, 경로당 이용노인의 사회공헌활동의 만족에 따른 삶의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경로당의 사회공헌 기능을 활성화시킬 수 있도록 정책적·제도적 뒷받침이 필요할 것이다. 노인은 부양을 받아야만 하는 이미지가 여전히 존재하여 우리나라에서의 노인 사회공헌 이미지는 선진국과는 달리 좋지 못한 실정이기에 노인이 사회에 공헌하는 활동은 선택이 아닌 필수인 상황이다. 그렇기 때문에 사회공헌활동 분야 중에서도 건강한 노인이 덜 건강한 노인을 케어하는 노노케어 분야를 중심으로 활성화시켜야 할 것이다. 최대한으로 인력자원을 활용한다면 세대 간 갈등은 최소화하고, 노인 본인을 위한 삶과 더불어 우리사회 전체를 위해서도 가치 있는 활동을 펼칠 수 있음을 충분히 보여줄 수 있을 것이다. 이처럼 사회공헌 기능 강화와 같이 지속적으로 사회의 흐름을 고려하여 경로당 이용노인의 양적·질적 측면에서의 이용만족도와 삶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방안들을 여러 분야에서 발굴하여 노인들의 욕구를 충족시켜 경로당 활성화를 이끌어내야 할 것이다.

      • 지상파 방송사의 사회공헌활동 특성에 관한 연구

        김지영 건국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8703

        기업의 사회적 책임에 대한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는 현 시점에서 미디어 기업도 예외일 수는 없다. 일반 기업의 범주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는 미디어 기업도 매체 간 경쟁이 심화되고 있어 이미지 향상을 목표로 한 사회공헌활동 또한 치열해지고 있다. 이에 미디어 기업이 일반 기업과 가장 큰 차이를 보이는 ‘공공성’의 특징을 가진 지상파 방송사의 활동은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으며 그 유형과 특성은 어떠한지 파악하기 위해 본 연구를 실시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문헌연구를 통해 기존의 분석틀을 변형, 적용해 조작적 정의를 통해 지상파 방송사만의 유형체계 정립 후 활동의 분류 및 내용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자료는 각 방송사의 홈페이지 자료, 연차보고서, 경영평가보고서를 자료화하였다. 연구 대상은 국내 지상파 방송사 3사의 2004년 1월 1일부터 2008년 12월 31일 사회공헌활동 관련 방송프로그램과 캠페인 및 후원활동 총 914건을 선정하였다. 연구 기간은 2009년 11월 10일부터 총 10일간 이루어졌다. 연구 결과, 지상파 방송사의 사회공헌활동은 크게 4개의 활동분야로 구분되고 총 14개의 세부유형(‘사회공헌보도’, ‘사회복지’, ‘의료보건’, ‘교육 · 학술지원’, ‘문화체육’, ‘환경보호’, ‘자선구호(재해)’, ‘역사 및 전통문화 보전’, ‘지역사회 개발’, ‘기부 및 성금’, ‘시상활동’, ‘공익캠페인’, ‘NGO와 공익연계’, ‘자원봉사’)으로 구분되었다. 활동분야별로 살펴보면, 보도활동은 MBC가 두각을 나타냈고 공익사업활동에서는 각 방송사별로 집중하는 활동이 구분되었다. KBS의 경우 ‘교육 · 학술지원’, MBC의 경우 ‘지역사회개발’, SBS의 경우 ‘문화체육’활동에 집중하고 있었다. 기부활동에서는 MBC가 두각을 나타내며 타 방송사에 비해 많은 활동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KBS의 경우 ‘시상활동’, MBC는 ‘공익캠페인’, SBS는 ‘기부 및 성금’활동에 좀 더 집중하고 있었다. 자원봉사활동 경우에는 MBC만이 NGO와 연계하여 활동하는 등 두각을 나타냈으나 다른 두 방송사도 자원봉사활동이나 NGO단체와 연계하며 점차 늘려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4개의 사회공헌활동 모두 아직은 일반 기업에 비해 적은 수지만 꾸준히 관심을 가지고 활동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탐색적 분석을 통해 지상파 방송사의 사회공헌활동에 대한 유형을 분류하고 그 특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사회공헌활동이 더 이상 선택이 아닌 필수라는 인식을 가지고 향후 방송사의 전략적 사회공헌활동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Importance regarding social responsibility of a company is emphasized exceptional a media company in present points of time. The media company which doesn't get greatly out in categories of a general company is keen social contribution activity competition between media is deepened, and having already done with the aim of elevations, too. Terrestrial broadcasting gratitude activity to have had characteristics of anger 'public' a media company showing a general company and a difference largest to this is consisting how, and the tangible characteristic executes this study. Therefore, I changed into the existing analysis mold, and I applied it, and I executed action classifications and contents analysis after tangible system thesis of terrestrial broadcasting Company only through Operant definitions through literature study in this study. The research materials data anger called home page data of each broadcasting company, an annual report, a management evaluation report. The study object forgave domestic terrestrial broadcasting, and I selected total 914 cases action a broadcast program and campaigns and support regarding contribution activity social 2008 December 31st from three 2004 January 1 work. Study period was performed from 2009 November 10 work for total ten days. Is categorized to a field active contribution social result of research, terrestrial broadcasting gratitude greatly action of 4 detailed of total 14 material detailed types. If watch you by action fields, MBC active news distinguished itself, and concentrate in public utility activity by each broadcasting companies action was categorized. I was concentrating to 'a learned journal educational' in case of KBS, 'Reverse-social development' in case of MBC, 'culture physical education' activity in case of SBS. MBC distinguishes itself, and there is a lot of it in contributions activity compare with other broadcasting companies appeared to things that was moving into action. I was concentrating to 'awarding activity' in case of KBS, 'public interest campaign' in case of KBS, SBS was concentrating further to 'contributions and contribution' activity. MBC active resources service only was connected to NGO, and I distinguished myself in a back being active, but different two broadcasting company was connected to a NGO group active resources service, and appeared to what I would increase gradually. This study classifies a type regarding contribution activity social terrestrial broadcasting gratitude through exploratory analyses, and I will grasp the characteristic. I have recognition called essence which isn't any more selection action social contribution, and I will present a direction action social contribution strategic of a future broadcasting company through this.

      • 사회공헌활동 참여자의 참여 동기-만족도 및 행동유형(DISC)과 자아효능감의 관계

        박현숙 경희대학교 공공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8703

        사회공헌활동 참여자의 참여 동기  만족도 및 행동유형(DISC)과 자아효능감의 관계 본 연구는 급격한 고령화로 인한 사회적 인적자원의 가치를 지닌 전문직 퇴직자들의 사회 환원에 대한 관심에서 시작되었다. 2012년부터 시행되고 있는 신중년 일자리지원사업이 양적인 측면에서는 매년 성장하고 있으나 질적인 측면에서 참여자의 참여 의미를 제대로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 이에 사회공헌활동지원 사업 참여자의 참여 동기와 만족도 및 행동유형과 자아효능감 간의 관계를 규명하고, 사회공헌 참여활동에 대한 질적인 측면에서 효율적인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 대상은 서울지역에 거주하는 50대 이상 사회공헌활동지원 사업 참여자 210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활용하여 조사하였다. 연구방법은 전문직 퇴직자의 사회공헌활동지원 사업 참여 동기 및 사업 만족도가 자아효능감과의 관계와, 참여자의 DISC 행동유형과 자아효능감 간의 관계를 규명하기 위하여, 이론연구와 실증연구를 병행하였다. 이론연구에서는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사회공헌활동과 DISC 행동유형 이론 연구, 자아효능감 이론을 근거로 연구모형과 연구가설을 설정한 다음 설문지를 구성하여 서울지역 사회공헌활동지원 사업 참여자를 대상으로 실증조사를 하였다. 실증조사 설문지는 참여자의 일반적 특성과 사회공헌활동 만족도를 독립변수로 구성하고 DISC 행동유형을 매개변수로 설정하고 자아효능감 요인을 종속변수로 하였다. 자료 분석 방법은 SPSS 22.0을 이용하였으며 타당도와 신뢰도 검증을 위해 Crorbach Alpha를 실시하였고, 연구가설 검증을 위하여 t검증, 교차분석, ANOVA(분산분석), 회귀분석 도구를 사용하고 사후검증법으로 Tukey 검증을 적용하였다. 연구 문제는 1. 참여자의 성별과 연령에 따라 사회공헌활동과 자아효능감은 의미 있는 차이가 있을 것이다. 2. 참여자의 참여 동기와 만족도는 자아효능감 간에 의미 있는 관계를 가질 것이다. 3. 사업 참여자의 참여 동기와 만족도 및 DISC 행동유형이 자아효능감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이며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사회공헌활동 참여자의 일반적인 특성은 다음과 같다. 인구사회학적 특징으로 참여자의 성별 구성은, 남자 149명(71%), 여성 61명(29%)이었다. 사회공헌활동 참여에서 성별로 차이가 나지 않는 것은 참여 동기, 사회공헌기관유형, 사회공헌활동의 만족, 도움여부, 활동수당이었다. 차이가 나는 것은 사회공헌기관 선택 시 고려조건과 사회공헌활동 참여횟수였다. 사회공헌기관 선택 시 고려조건으로 남성의 경우 직무적합성, 사회적 평판 및 규모, 통근거리였으나, 여성의 경우 통근거리, 사회사업내용 및 서비스, 직무적합성 순이었다. 사회공헌활동 참여횟수의 경우 에서 남성의 경우 세 번째, 네 번째, 두 번째 순이었으며, 여성의 경우 세 번째, 처음, 두 번째 순으로 나타났다. 이는 남성이 더 많이 참여하는 것으로 보여 진다. 참여자들의 현재 활동이 과거 최종직종과의 연관성은 71.9%현재 활동 직종이 과거 최종직종과 관련 있음으로 나타났다. 이는 사회공헌활동 참여자들은 최종직종과 관련된 업무 영역에서 활동하는 경향을 알 수 있다. 참여자의 특성 분석 결과, 참여자들의 사회공헌활동 참여 동기는 자원봉사활동(50.0%), 성취감 및 자부심(18.1%), 사회공헌기관 선택에서 직무적합성(29.0%), 통근거리(21.9%) 순이었다. 사회공헌활동이 도움(96.9%)되었고 활동에 대한 만족도(96.1%)도 높았다. 이는 참여자들의 주관적인 견해에서 자신이 할 수 있거나 가능한 일을 우선으로 하면서 가까운 거리에서 사회공헌활동에 참여하고 있으며, 활동에 대한 만족도가 아주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하지만 사회공헌활동 수당의 만족도에서 보통이하(67.7%)와 연간 사회공헌 활동시간(330시간 내외)의 적절성의 경우 보통이하(78.4%)로 나타난 것으로 보아 수당이나 활동시간에 대한 후속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여 진다. 자아효능감과 사회공헌활동 만족도와 행동유형의 관계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첫째, 참여자의 사회공헌활동과 자아효능감은 의미 있는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참여자의 참여 동기, 만족도는 자아효능감에 의미 있는 관계성을 가짐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사업 참여자의 참여 동기와 만족도 및 DISC 행동유형에서 참여자의 DISC 행동유형에 따라 자아효능감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DISC 행동유형은 유의도에서 평균 차이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즉 사회공헌 참여 동기와 만족도에 따라 자아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은 높아진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사회공헌 참여 동기와 자아효능감 간의 DISC 행동유형이 미치는 매개효과는 회귀분석에서 효과가 밝혀졌고, DISC 행동유형이 만족도와 자아효능감의 관계에서 부분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사회공헌활동 참여 동기와 삶의 만족도 및 행동유형이 매개효과를 통해 자아효능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것을 입증하였다. 아울러 자료를 활용하여 사회공헌 사업의 정부 정책방향과 사업계획 수립에서 양적, 질적인 측면에서 노인이나 전문퇴직자들이 보다 적극적으로 사회에 참여할 수 있도록 제언하고자 한다. 키워드: 사회공헌활동지원사업-참여동기, 만족도, 자아효능감, DISC행동유형, This study began with the interest in the social return of professional retirees with social and human resources values in our society. In the quantitative aspect, the number of projects that have been implemented since 2012 is growing year by year, but the qualitative aspect does not reflect the meaning of particip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 direction for contributing to the enhancement of social contribution participation activities by identifying the motivation, satisfaction, and behavioral types of the participants in the social contribution support project, then to contribute to the realization of social value.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10 people, all whom were over 50 and residing in the Seoul district and also have participated in the social contribution activity project. The questionnaire survey method was used in this study.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otivation for participating in social contribution activities of professional retirees, the effect of business satisfaction on self - efficacy, the relationship between participant's DISC behaviors and self - efficacy, both theoretical studies and empirical studies were used in this study. The first criteria of this study is knowing that social contribution activities and self - efficacy will have a meaningful difference according to the sex and age of participants. Second, motivation and satisfaction of participants will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self - efficacy. Third, motivation, satisfaction and DISC behaviors of the participants attending the project will positively affect self – efficacy.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meaning of this study has significantly shown that if used and groomed properly, social contribution demonstrates a high consciousness and positive influence on the relatively negative attitude that the society has about the older generation. And it will contribute to the activation of the problem consciousness and discus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ed below. First, it is important to examine the effects of social contribution activities of elderly generation on self - efficacy. In addition, this study implies the possibility of practicing various social participation for healthy old age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is study proves that self-efficacy can be improved through the mediating effect of social motivation participation motivation, life satisfaction and DISC behavior type. In addition, I will suggest that elderly or professional retirees can participate more actively in terms of both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aspects in the government policy direction and business plan formulation of social contribution projects.

      • 기업의 지역사회공헌활동의 유형에 따른 효과성 분석에 관한 연구

        이효정 건국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8703

        세계적인 기업환경의 변화와 함께 등장한 기업의 사회적 책임(CSR,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은 기업전략의 핵심이자, 지속가능한 기업의 필수조건이 되었다. 이와 함께 CSR활동 중에서도 상징성이 가장 큰 활동으로써 사회공헌활동 역시 발전해왔다. 기업의 사회공헌활동은 과거 기부 및 자원봉사 중심이었던 활동에서 보다 기업전략적인 활동으로 발전해왔다. 많은 기업들이 사회공헌활동을 양적·질적 측면에서 발전시키고자 노력하고 있지만 여전히 질적인 수준은 낮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 전문가들은 사회공헌활동의 지속성과 진정성 부족에 따른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기업 내․외부 이해관계자들과의 적극적인 커뮤니케이션이 요구되고 있다. 그 중에서도 ‘지역사회(Community)’는 기업에 대한 핵심적인 사회적 인식을 반영할 수 있는 핵심이해관계자로서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사회적 책임의 국제표준인 ISO26000에서도 ‘지역사회 참여와 발전’을 핵심주제의 하나로 제시함으로써 CSR과 사회공헌활동에 있어 지역사회의 중요성은 계속해서 커지고 있다. 뿐만 아니라 국내외 학자들의 연구에서도 사회공헌활동의 다음 발전단계로‘지역사회투자(CCI, Corporate Community Investment)’등을 제시하고 있다. 이렇게 지역사회의 중요성이 커짐에 따라, 지역사회공헌활동이 갖는 의미와 효과성을 살펴볼 필요가 있다. 하지만 지금까지의 CSR과 사회공헌활동에 대한 성과분석에서 지역사회의 구성원이자 기업의 고객인 지역주민의 인식을 고려한 성과분석 연구는 부재한 상황이다. 지역주민은 지역에서 실시하는 사회공헌활동에 참여하기도 하며, 활동에 따라 직간접적으로 도움을 받는 핵심 주체이다. 따라서 기업의 사회공헌활동을 평가함에 있어 지역주민을 고려하지 않고서는 그 효과성을 평가할 수 없으며, 지속가능한 사회공헌활동으로 나아가기 어렵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지역주민의 인식을 통해 국내기업의 지역사회공헌활동의 유형에 따른 효과성 분석을 실시하였다. 먼저, 기업의 지역사회투자(CCI)에 대한 해외 선진국의 선행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재구성한 7가지 기준을 통해, 지역사회공헌활동의 유형을 ‘지역사회기부형’과 ‘지역사회투자형’으로 구분하였다. 여기서 국내기업의 지역사회공헌활동의 유형을 구분 짓는 핵심기준은 ‘지역주민의 참여’와 ‘지역사회와의 지속적인 커뮤니케이션 채널’이다. 기준별 충족정도에 따라 국내 115개 우수 사회공헌활동 시행기업의 지역사회공헌활동을 지역사회기부형 및 지역사회투자형으로 구분하여 4개 사례를 선정하였다. 각 활동지역의 지역주민을 대상으로 기업의 사회공헌활동에 따른 인식수준과 지역발전 효과성을 조사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지역사회투자형 사회공헌활동 사례지역의 주민들이 기업의 사회공헌활동에 대한 참여도와 기업 사회공헌활동의 추진이유에 대해 높은 인식수준을 보였다. 특히, 지역사회기부형 사례지역의 주민들보다 지역사회투자형 사례지역의 주민들이 기업의 사회공헌활동 추진이유로 ‘지역사회 발전에 공헌’을 인식하고 있었다. 또한 지역주민들은 지역사회투자형 사회공헌활동이 지역사회기부형 사회공헌활동보다 지역발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세부적으로는 행사개최 및 여가․오락기회 항목을 제외한 모든 지역발전 조사항목에서 지역사회투자형 사회공헌활동이 지역사회기부형 사회공헌활동보다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는 결과가 나타났다. 이에 기업이 지역사회공헌활동을 행함에 있어 지역주민의 참여와 지역사회와의 지속적인 커뮤니케이션은 지역발전에 대한 주민 인식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핵심요소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기업의 사회공헌활동이 한 단계 발전하기 위해 지역주민의 참여를 확대하고, 지역사회와의 적극적인 공감대를 형성해 나갈 것을 제시하였다. 나아가 지역사회 참여와 소통을 보다 효율적으로 이루어가기 위해서는 지역사회를 기반으로 하는 다양한 네트워크를 형성해 나가야 할 것이다.

      • 조기퇴직자의 사회공헌활동 프로그램 효과성 분석

        이은진 경북대학교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8703

        With the aging of the Republic of Korea, which progresses faster than ever unprecedentedly in the world, the phenomenon of middle and old aged people and the rapid increase in the number of early retirees bring about many changes to individuals and society and raise various problems at the same time. Despite the middle and old age is a critical time in which people play socially pivotal roles in the life-cycle, involuntary early retirement leads to the impossibility of the acquisition of social roles and the deepening of psychological and emotional isolation, which weaken the status of middle and old aged people. In other words, it brings about a decline in their generativity due to the suspension of productive activities, negatively affects their self-efficacy obtained by achieving various roles as individuals and for society and makes it difficult for them to maintain and improve the quality of life. Thus, it is necessary to provide an opportunity for middle and old aged people to give back individual knowledge and experience to society, giving them the roles lost due to early retirement again through social participation activities and to maintain and improve their generativity, self-efficacy, and quality of life. Recently, social contribution activity (SCA) that provides opportunities for social participation has begun to be recognized as a work, which is a task of middle and old aged people who retired early, and its concept has expanded as an activity of which the value is recognized by society, which has public interest and social value. Also, of various social participation activities, attention is drawn to the aspect that SCA can utilize the professionalism and experience of retirees. And yet, in South Korea, some SCA programs for early retirees in middle and old age are implemented as pilot projects by the government, and there are insufficient studies for analysis of effectiveness to empirically verify the effects of the program. Thus, it is necessary to conduct a study of the effectiveness of the SCA program for the improvement of welfare for early retirees in middle and old age. This study aims to empirically analyze whether an SCA program for early retirees in middle and old age is effective for the improvement of their generativity, self-efficacy, and quality of life. As for the research method, of the early retirees in middle and old age using J. Social Welfare Center, composing a participation group and a comparative group through non-equivalent control group design, pre-, post-, and follow-up tests were conducted by constructing a participation group and a control group, and the number of participants in the program was a total of 86 persons. With the collected data, this study conducted x 2 test for the verification of homogeneity in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participation group and control group, using SPSS Statistics 25.0 and independent sample t-test, repeated measures ANOVA, and paired sample t-test were conducted to measure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As for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the SCA program significantly increased generativity and change in the quality of life of early retirees in middle and old age and the effect was maintained in the follow-up. Thus, it was found that the SCA program had positive effects on the formation and continuation of generativity, self-efficacy, and quality of life in early retirees in middle and old age. As for significance and implications, this study proposed a middle and old age SCA program of early retirees applicable to the field of practice, conducted a follow-up to analyze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and increased its reliability and validity, checking if the effectiveness continues after the program. It has significance in checking the trial social contribution activities at the government level and developing the early retirees’ SCA program into a sustainable program in the future. 세계적으로 유례없이 빠른 속도로 진행되고 있는 대한민국의 고령화와 더불어 중고령자의 조기퇴직(early retirement) 현상 및 조기퇴직자 수의 급속한 증가는 개인과 사회에 많은 변화를 가져옴과 동시에 다양한 문제를 제기하고 있다. 중고령기는 생애주기에서 사회적 중추적 역할을 하는 중요한 시기임에도 불구하고 비자발적 조기퇴직은 사회적 역할 취득의 불가, 심리·정서적 고립의 심화로 이어져 중고령자의 지위를 약화시키고 있다. 즉, 생산적 활동 중단으로 인한 생성감의 저하와 개인 및 사회의 다양한 역할을 성취함으로써 얻게 되는 자기효능감에 부정적인 영향을 가져오며 삶의 질을 유지·향상하는데 어려움을 겪게 된다. 그러므로 중고령자에게 조기퇴직으로 인해 상실한 역할을 사회 참여활동을 통해 역할을 재부여 함으로써, 개인이 가진 지식과 경험을 사회에 환원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이를 통해 생성감, 자기효능감과 삶의 질을 유지 및 향상시킬 필요가 있다. 최근에는 사회적 참여의 기회를 제공하는 사회공헌활동이 조기퇴직한 중고령자의 과업인 일로써 인정되기 시작했으며, 사회로부터 가치를 인정받고 공공의 이익과 사회적 가치를 갖는 활동으로 개념이 확장되고 있다. 또한, 다양한 사회 참여활동 중 사회공헌활동의 경우 전직의 전문성 및 경험 활용 가능하다는 측면이 주목을 받고 있다. 그러나 국내의 경우 중고령기 조기퇴직자 대상 사회공헌활동 프로그램이 정부에서 시범사업으로 일부 진행되고 상황이며, 프로그램의 효과를 실증적으로 검증하기 위한 효과성 분석연구도 미비한 실정이다. 그러므로 중고령기 조기퇴직자의 복지향상을 위한 사회공헌활동 프로그램의 효과성 연구가 진행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중고령기 조기퇴직자를 위한 사회공헌활동 프로그램이 생성감과 자기효능감 및 삶의 질 향상에 효과가 있는지에 대해 실증적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연구방법은 J종합사회복지관을 이용하는 중고령기 조기퇴직자 중 비동일통제집단으로 참여집단과 비교집단을 구성하여 사전-사후-추후 검사를 실시하였고 프로그램 참여자는 총 86명이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Statistics 25.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참여집단과 비교집단의 일반적 특성에 대한 동질성 검증을 위해 카이스퀘어 검증(Chi square)을 실시하였고,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측정하기 위해 독립표본 t검증(Independent Sample t-test), 반복측정 분산분석(Repeated Measures ANOVA), 대응표본 t검증(Paired sample t-test)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결과는 사회공헌활동 프로그램은 중고령기 조기퇴직자의 생성감과 자기효능감 및 삶의 질 변화를 유의미하게 증가시켰으며, 그 효과는 추후검사에도 유지되었다. 따라서 사회공헌활동 프로그램은 중고령기 조기퇴직자의 생성감과 자기효능감 및 삶의 질 형성과 지속성에 긍정적 효과를 주는 것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의 의의 및 함의는 실천 현장에서 적용 가능한 중고령기 조기퇴직자의 사회공헌활동 프로그램을 제시하였으며, 프로그램의 효과성 분석을 위해 추후검사까지 실시하여 프로그램 종료 후의 효과성 지속여부 확인을 통해 신뢰도 및 타당도를 높였다. 이를 통해 정부차원의 시범적인 사회공헌활동의 효과성을 확인하고 운영하는 조기퇴직자 사회공헌활동 프로그램의 향후 지속가능한 프로그램으로 발전하는데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 기업과 사회의 소통을 향한 기업의 문화사회공헌 사업 지원 : 우림건설 문화지원 활동을 중심으로

        이상엽 성공회대학교 시민사회복지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8703

        '노블레스 오블리쥬'의 전통이 있는 유럽과 미국의 경우 기부가 매우 활발하다. 최근 마이크로소프트사 빌 게이츠 회장은 회사업무에서 손을 떼고 에이즈와 말라리아 등의 치료약을 개발하는 공익재단 '빌앤드 멜린다 게이츠 재단'에 전념하겠다고 발표했다. 쉰 살밖에 안 되는 젊은 나이에 일선에서 물러나는 것이 우리에게는 낯설지만 미국에서는 보기 힘든 풍경만은 아니다. 이제 그러한 모습을 우리나라에서도 볼 날이 멀지 않았다고 생각된다. 아직 초보단계이기는 하지만 기업들이 기부문화를 단지 사회적 책무나 오너의 이미지 개선 차원을 벗어나 기업과 사회가 소통할 수 있는 장으로 인식한다면, 기업의 사회공헌 활동은 점차 긍정적인 방향으로 진행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런 차원에서 기업의 문화사회공헌활동은 개인(고객과 직원), 지역 그리고 국가 차원에서 행복지수를 향상시키는데 기여할 것으로 이겨진다. 기업의 문화사회공헌활동은 사회도 좋고 기업도 좋은 '윈-윈' 전략이다. 이러한 상황에 발맞추어 정부도 세제혜택 등 문화사회공헌활동을 장려하려는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 미국의 경우 기업들이 공익성이 강한 기부금을 낼 경우 과세소득의 10%까지 공제해 주고 있다. 영국은 기업 지원금에 대해 30%의 세액공제를 해주고 있으며, 프랑스는 예술지원금에 대해 60%까지를 세액공제(총매출의 0.5%한도)해 주고 있다. 개인의 경우는 기부금의 40%(총소득의 12.5%한도)까지 공제해 주고 있다. 일본은 1990년 기업메세나협의회가 설립되었으며, 1994년에는 특정공익증진법인으로 인정받아 세제상의 우대조치를 받을 수 있게 되어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아직은 미미하지만 문화사회공헌활동에 대해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 및 세제 혜택을 강구중인 것으로 나타나 머지않은 장래에 문화사회공헌활동이 기업의 사회공헌 활동을 자리 매김 하는데 시간문제라 생각된다. 현재 기업의 문화사회공헌활동은 우리 인간의 삶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삶의 활력소로 작용하고 있다. 또한 우리 문화산업을 지원 육성하는데도 커다란 성과로 자리 매김하고 있다. 이는 곧, 우리나라의 문화 정체성을 지키는데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이는 곧, 문화 주체성으로 각양각색의 외래문화가 유입되는 현실에서 우리 문화를 지키는 작은 버팀목의 역할을 할 것으로 보인다. 또한 기업의 문화적 지원은, 기업의 정체성 확보와 직원들 간의 내부 결속력 강화로 이어지면서 기업의 건강한 발전에 커다란 영향을 미치게 될 것이다. 더 나아가 기업의 입장에서는 기업 문화를 일반인들에게 전달함으로써 기업의 정체성을 일반인들에게 홍보할 수 있으며, 기업이 추구하는 방향으로 사회를 이끌어 갈 수 있는 영향력까지도 발생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기업들은 향후 문화사회공헌활동의 지속적인 발전을 위해 기업 스스로 끊임없는 연구와 노력이 필요할 것이며, 예술단체들과도 협력하여 윈-윈 할 수 있는 전략 개발 및 효과 측정 방법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 개발과 피드백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무엇보다 사회와의 소통의 장들이 많이 마련되어 기업과 사회가 서로 갭(gab)이 생기지 않도록 하는 노력도 함께 기울여야 할 것이며, 그러할 때 진정으로 문화를 매개로 하는 기업과 사회와의 상생의 관계가 이루어 질 것이다.

      • 기업의 사회 공헌 활동에 관한 연구 : 대기업의 사례를 중심으로

        이충재 울산대학교 정책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8703

        현대 사회에서 기업의 이미지는 기업의 성패를 좌우하는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기업의 성패는 곧 기업의 이윤 창출과 이어지는 것이다. 현대 사회의 많은 기업들의 기업의 이미지 재고에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기업의 이미지에 대한 연구 분석을 통하여 오늘날 많은 기업이 기업의 이미지에 가장 중요시하고 있는 부분 중에 하나인 기업의 사회적 책임 그 중에서도 기업의 사회적 공헌 활동에 대한 사례분석을 통하여 기업과 지역사회가 나아가야 할 방향에 대한 연구를 하고, 기업의 사회적 공헌 활동에 대한 방향을제시하고자 한다. 기업의 이미지에 대한 분석을 이루어내고, 기업의 사회적 책임. 그중에서도 기업의 사회공헌활동에 대한 배경 및 이론적인 방향을 제시한다. 이어 외국의 사례인 미국과 일본의 사회공헌활동에 대한 내용을 파악하고, 미국의 주요 기업들의 사회공헌활동에 대한 사례를 살펴본다. 그리고 국내의 사회공헌활동에 대한 연구를 살펴보면 전경련의 자료를 통하여 국내의 주요기업들의 사회공헌활동에 대한 연구 자료를 분석하고 국내 기업의 사회공헌활동의 실태를 파악한다. 이어 국내 대기업을 중심으로 현재 사회공헌활동 사례를 살펴본다. 최종적으로 도시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한 기업의 사회공헌 활동에 대한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첫째, 행정지원체계의 일원화 둘째, 정부차원에서의 경제적 인센티브의 제공 셋째, 지역사회 자원연계센터 구축 이상 세가지를 바탕으로 하여 지역개발 파트너십을 구축하고 산업복지 공동체 구축을 제시하고 있다. 기업과 지역사회 모두가 win-win 할수 있는 사회공헌활동을 통하여 보다 나은 미래를 구축할수 있을 것이다. 또한 지역은 기업의 특성을 고려하여 전략적 사회공헌활동을 유도하여 지역사회 발전을 이룩하여야 할 것이다.

      • 대학운동부의 지역사회공헌활동에 대한 인식과 태도에 관한 연구

        오세안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대학운동부의 지역사회공헌활동에 대한 인식이 대학운동부 및 대학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해 서울 소재 대학 인근 지역에 거주하는 주민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총 232개의 응답을 최종 분석에 사용하였다. 자료처리는 SPSS 27.0을 활용하여 빈도분석, 교차분석, 회귀분석을 수행하였다. 그리고 Hayes의 Process 4.0을 사용하여 매개효과 분석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운동부의 지역사회공헌활동에 대한 지역주민들의 인식은 긍정적으로 나타났다. 둘째, 지역사회공헌활동 인식은 대학운동부에 대한 태도와 대학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사회공헌활동을 수행하는 대학운동부에 대한 태도는 대학 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넷째, 대학운동부는 지역사회공헌활동과 대학 태도 간의 관계에서 부분매개역할을 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결론적으로, 대학운동부의 지역사회공헌활동은 지역 구성원들에게 긍정적으로 인식되며, 이러한 인식이 대학운동부와 대학에 대한 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규명하였다. 특히, 지역사회구성원들이 인식하는 사회공헌활동이 대학 태도에 미치는 영향 관계에서 대학운동부에 대한 태도가 매개 역할을 한다는 결과는 대학이 지역사회에 공헌하는데 있어서 대학운동부는 효과적인 매개체가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따라서 대학은 대학운동부의 사회공헌활동을 활용하여 지역사회에 기여하고 지역사회와 상호이익을 주는 관계가 될 수 있으므로 지역사회와 대학, 대학운동부의 상호협력적 관계를 구축할 필요성이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college sports teams` social contribution activities on the attitude toward college and college sports team. For this purpose, a survey was conducted from residents living near college in Seoul, and a total of 232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Frequency analysis, chi-square test, and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by using SPSS 27.0 programs. Hayes’s Process 4.0 was also used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local residents' perception of college sports team’s social contribution activities was positive. Second, the perception of social contribution activities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attitude toward college sports team and college attitude. Third, it was found that college sports team’s social contribution activities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attitude toward college. Fourth, partial mediating effect of college sports team was confirm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contribution activities and attitude toward college. In conclusion, the college sports teams` social contribution activities are positively recognized by local residents, and this perception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attitude toward college sports team and college. Also the main results that college sports teams played a mediating role between social contribution activities and attitude toward college, suggest that the college sports teams can be an effective medium in contributing to the community.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make a cooperative relationship between the college, community and college sports team by using social contribution activities of college sports teams to contribute and mutually benefit the local community.

      • 공기업 사회공헌활동 참여자의 참여도및 만족도 영향요인

        이삼희 서울시립대학교 2009 국내석사

        RANK : 248703

        오늘날 기업을 둘러싸고 있는 경영환경은 기업의 목적이 이윤추구에서 지속가능한 성장으로 변화했고, 이에 따라 기업은 생존을 위해서 사회의 일원으로서 책임을 다해야 한다는 사회적 분위기가 생성되고 있다. 또한 기업의 사회적 책임 이행은 기업의 이윤, 기업호감도 및 인지도에 영향을 끼쳐 경영성과도 향상시킨다는 연구결과가 나오고 있다. 그래서 우리나라도 대기업을 중심으로 복지재단을 운영하거나 전사적인 사회공헌활동을 추진하는 형태로 기업의 사회적 책임 이행에 관심을 갖기 시작하였다. 이런 사회적 분위기에 발맞춰 정부의 예산 및 의사결정에 놓인 공기업들도 정부의 공기업 경영평가 지표 속에 사회공헌활동 항목이 포함되면서 다양한 형태의 사회공헌활동을 추진하고 있지만 가시적인 실적이 우선시되어 사회공헌활동에 참여하는 직원들의 참여도 및 만족자체에는 별로 관심을 기울이지 않고 있다. 그래서, 본 연구의 목적은 공기업 경영전략의 일환으로 추진되는 사회공헌활동에 대하여 어떤 요인이 직원들의 참여도 및 만족도에 영향을 줄 수 있는지를 규명하고, 이를 토대로 공기업구성원들의 참여도 및 만족도를 높이는 효과적인 사회공헌활동 방안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기획재정부에서 경영평가를 하고 있는 대상 공기업 중 5개 사에 종사하고 있는 직원들을 대상으로 공기업 사회공헌활동 참여자의 사회공헌활동 先경험, 자발적인 참여의사 정도, 당위성 인식이 공기업 사회공헌활동 참여도 및 만족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중심으로 연구를 수행하였다. 이에 대한 연구를 통하여 도출된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첫째, 공기업 사회공헌활동에 참여하는 직원들은 기업차원의 사회공헌활동을 하기 전에 개인적으로 기부 및 자원봉사활동 등 사회공헌활동에 참여한 경험이 있는 직원들이 많았으며 사회공헌활동에 자발적으로 참여하고자 하는 의사 또한 긍정적으로 나타났고, 기업차원의 사회공헌활동을 당위적으로 인식하는 직원들이 많았다. 또한 공기업 사회공헌활동 참여에 대한 만족항목을 살펴보면 새로운 경험을 통한 개인적 삶의 변화와 성장의 계기가 되었다는 자아실현에 대한 만족과 좋은 일을 해서 주변의 인정과 격려를 받았다는 사회적 인정에 대한 만족이 높았다. 불만족한 부분은 기존의 업무 외 부가적인 업무부담, 업무시간 이후나 휴일참여, 사회공헌활동 대상기관에 실질적인 도움을 주지 못하는 이벤트성 활동, 참여할 수 있는 시간과 장소의 제약 및 활동내용이 단조롭고 얻어지는 기술과 지식이 거의 없다는 것을 꼽았다. 둘째, 독립변수인 사회공헌활동 사전경험여부, 자발적 참여의사의 정도, 기업 사회공헌활동에 대한 당위성 인식을 모두 연관하여 사회공헌활동 참여도 및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면 개인적 참여 경험이 있는 경우가 참여횟수와 만족도가 높았고 사회공헌활동에 대한 자발적 참여의사가 높을수록 만족도가 높고 불만족도는 낮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당위성인식에 대해서는 회사차원의 의무적 참여를 옳다고 생각하는 경우보다 옳지 않다고 생각하는 경우가 만족도가 높음을 알 수 있다. 즉, 사회공헌활동 참여자의 참여도 및 만족도를 높이는 데는 당위성을 강조하기 보다는 자발적인 참여의사를 높이는 게 중요함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공기업 사회공헌활동의 발전방안에 관해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공기업 사회공헌활동 참여자가 사회공헌활동에 자발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동기를 부여하는 것이 중요하다. 조사결과 자발적인 참여의사가 사회공헌활동의 당위성 인식보다 참여 및 만족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기 때문에 자연적인 사회공헌활동 참여분위기를 조성하는 것이 당연히 해야한다는 도덕적 의무감이나 기업의 사회적 책임의식을 강조하는 것보다 중요함을 알 수 있다. 이를 위해서는 사회공헌활동에 대한 권유 및 분위기를 조성하고 사회공헌활동이 지역사회에 주는 도움을 환기시켜 기업 사회공헌활동 참여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을 심어주고, 사회공헌활동에 참여하는 직원들의 활동과 역할을 존중하며 참여자의 제안에 관심을 기울이는 등 호의적인 태도를 갖고 대우해야 하며 기업차원은 물론 개인적으로 참여하는 사회공헌활동에 대한 지원도 검토할 필요가 있다. 둘째, 사회공헌활동에 참여하는 직원들의 만족과 불만족을 고려하면 자아실현의 성취욕구나 주변의 인정과 격려부분에서 만족도가 높고, 개인생활을 희생해서 사회공헌활동에 참여하는 것과 사회공헌활동의 단조로움과 시간·장소의 제약등이 불만사항 인만큼 이 부분을 반영하여 직원이 가진 기술과 자원을 발휘할 수 있는 사회공헌업무를 찾고, 사회공헌활동에 대한 휴직제도, 휴가제도등을 도입하여 시간 및 장소의 제약에 대한 부담을 줄이고, 퇴직 임직원을 활용하여 사회공헌활동을 운영하는 등 다양한 지원방안을 설계해야 할 것이다. 셋째, 지역사회의 NPO/NGO 기관과 파트너십을 가지고 공기업의 사회공헌활동에 대한 지속적인 교육과 정보를 제공해야 한다. 공기업의 공공성은 비영리기관과 설립 목적에서 비슷한 부문이 있으므로 상생적 협력체제를 구축한다면 지역사회에서 사회공헌의 효과를 더욱더 극대화시킬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