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서울시 자동심장충격기의 설치율과 이에 영향을 미치는 지역의 사회경제적 위치

        이선영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9691

        심정지 환자의 생존율을 높이기 위해 일반인 자동심장충격기 (이하 심장충격기) 사업이 시작되었다. 미국심장협회는 심정지 발생 가능성이 큰 위험지역에 심장충격기를 설치할 것을 권고하고 있다. 그러나 심장충격기 관리에 비용부담이 있고, 사회경제적 위치가 높은 사람들이 건강위험 관리 및 대처에 관심이 많다는 점을 고려할 때, 지역의 사회경제적 위치가 심장충격기 설치에 영향을 주었을 가능성이 있다. 서울시는 2012년 자치구 보건소를 중심으로 심장충격기 설치 지원사업을 시작하였다. 본 연구는 서울시의 심장충격기 설치율을 확인하고 지역의 사회경제적 위치와 심장충격기 설치 사이의 관련성을 알아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2010-2014년 5년간 서울에서 발생한 심정지 자료와 중앙응급의료센터에 등록된 서울시 심장충격기 설치 자료, 서울시 지방세 징수액 자료를 사용하여 연구를 수행하였다. 동과 구의 일인당 지방세 납부금액을 구해 지역의 사회경제적 위치의 지표로 사용하였다. 설명변수로는 거주인구 10,000명당 1년간 발생한 심정지수(거주인구당 심정지 발생비)와 동 지방세 납부금액, 구 지방세 납부금액을 사용하였고, 종속변수로는 동의 거주인구 10,000명당 설치된 심장충격기 수, 위험지역 심장충격기 설치율을 사용하였다. 다수준 선형회귀분석을 사용하여 설명변수와 종속변수 사이의 관련성을 조사하였다. 연구 결과 서울시 전체 동의 심정지 위험지역 중 평균 10%에 심장충격기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거주인구당 심정지 발생비가 높은 동에 거주인구 10,000명당 설치된 심장충격기 수가 더 많았다. 그러나 거주인구당 심정지 발생비를 보정한 후에도 구 지방세 납부액이 큰 동에 거주인구 10,000명당 설치된 심장충격기 수가 더 많았다. 지방세 납부금액과 위험지역 심장충격기 설치율 사이에는 연관성이 보이지 않았다. 본 연구의 결과에 의하면 현재 서울시의 심장충격기 설치율은 낮은 수준으로, 거주인구당 심정지 발생비 외에 지역의 사회경제적 위치가 심장충격기 설치와 관련되어 있다. 향후 진행될 심장충격기 사업에서는 사회경제적 위치가 낮은 지역에서 심장충격기 설치를 확대할 수 있는 지원방안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 消費者의 社會 經濟的 位置가 쇠고기 購買 態度에 미치는 影響

        양석진 韓京大學校 産業大學院 2004 국내석사

        RANK : 249646

        이 연구는 도시지역에 거주하는 소비자 1343명을 대상으로 쇠고기 구매와 관련된 요인과 쇠고기 유통제도에 대한 소비자 의향을 설문조사하여 쇠고기 마케팅에 활용하고자 실시하였다. 1. 가정에서 쇠고기를 구입하는 회수는 소비자의 사회, 경제적 위치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 서울시와 광역시가 일반시보다, 고소득층이 저소득층보다, 40대가 20대 보다 더 자주 구입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 구입장소는 서울시, 광역시 등 대도시 거주자와 월 200만원 이상의 고소득층은 백화점, 할인점을 주로 이용하고 있는 반면, 중소도시 및 저소득층은 전문점 및 정육점을 주로 이용하였다. 3. 시판 쇠고기에 대한 개선 사항은 대도시 거주자, 고소득층 및 30대 이상은 위생, 포장방법을 중소도시, 저소득층 및 20대는 육질의 균일성 및 가격인하를 요구하였다. 4. 등급제에 대한 인식은 거주지, 월소득 및 연령층에 따라 다르게 나탔으며 중소도시거주자, 저소득층 및 20대와 40대에서 부정적으로 나타났다. 5. 구분판매제에 대한 의향은 중소도시거주자, 2백만원 이상의 고소득층, 30∼40대의 가정주부에서 긍정적으로 평가하였으나 상당비율의 소비자가 이 제도에 대해 모르거나 중요치 않은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6. 쇠고기 구매시 고려하는 사항 중 선호 부위는 등심, 양지, 갈비 순이었으며 구매 시 고려요인은 부위, 가격, 원산지 순이었다. 또한 품질 요인으로는 신선도, 색깔 등을 표시사항에 대해서는 가격, 품종 부위 순으로 중요시하였다. This current survey was conducted to examine consumer attitudes toward factors determining beef purchasing and improving distribution system. 1) The frequency of beef purchasing reflected social and economic status in that inhabitant in large cities such as Seoul and higher salary showed a higher frequency. In addition, consumer group in 40th of age bought beef more frequently than in 20th. 2) Consumer in Seoul and megalopolis, and monthly income of higher than 200million Won more prefer to purchase in department store and discount market. On the other hand, people in small city and with lower income appeared to buy from butcher shop and brand shop. 3) In a question for unsatisfaction factors of retail beef, with high income and in age higher than 30th raised packaging problem. For people in low income and younger than 30 consistency of quality and price were the prime concerns. 4) With regard to beef grading system, consumer response varied between inhabitant, monthly income and age group whereby people in small city, with low income, and in 20th and 40th showed negative viewpoint. 5) For the differential beef distribution system, small city citizen, income higher than 200 million Won and 30-40 aged housewife answered positively but, a large number of consumers were not familiar with this system. 6) The most demanding portion were loin, flank and rib in order, and the most considering factors determining purchasing beef were price, breed and portion in order.

      • 아동기 사회경제적 위치가 성인기 우울에 미치는 영향 : 성인기 교육수준과 고용형태의 다중매개효과

        최지희 중앙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33343

        본 연구는 우울의 사회적 현상이 높아짐에 따라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의 관점에서 성인이 우울에 이르는 경로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생애과정 관점에 근거하여 아동기 사회경제적 위치와 성인기 우울의 관계를 살펴보고, 두 변수와의 관계에서 성인기 사회경제적 위치(교육수준, 고용형태, 소득수준)의 다중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분석자료는 한국복지패널 1차년도(2006년)와 16차년도(2021년)에 모두 응답한 1,955명을 데이터로 활용하였고, 분석방법은 경로분석과 다중매개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아동기 사회경제적 위치로 측정된 생계 곤란하여 학업중단 경험, 아동기 경제적 생활상태, 부모 교육수준은 매개변수인 성인기 사회경제적 위치로 설명되는 교육수준, 고용형태, 소득수준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아동기 사회경제적 위치가 낮을수록 성인기 사회경제적 위치인 교육, 직업, 소득에 지속적인 영향을 주는 경로가 확인되었다. 둘째, 성인기 사회경제적 위치는 우울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었다. 교육수준에서 우울로 가는 직접경로와 교육수준이 고용형태와 소득수준을 각각 거쳐 우울로 가는 간접경로 모두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아동기 사회경제적 위치가 성인기 사회경제적 위치를 다중매개로 성인 우울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아동기 때 생계 곤란하여 학업중단 경험이 있고, 경제적 생활 수준이 낮고, 부모의 교육수준이 낮을수록 성인기 교육수준은 낮아지고, 이는 불안정한 고용형태와 소득을 감소시켜 성인기 우울을 증가시키는 경로로 확인되었다. 넷째, 남성과 여성의 데이터를 분리하여 우울 경로를 살펴보았을 때 대부분의 경로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아동기 사회경제적 위치가 성인기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서 성별에 따라 어떠한 경로에서 우울에 차이를 보이는지 검증한 결과 일부 경로에서 차이가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성인 우울 예방과 개입을 위해서는 성인기 위험요인뿐만 아니라 특히 삶의 초기 단계인 아동기 사회경제적 위치의 영향력이 강조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아동기 위험요인이 있는 아동에게 집중하여 초기 불리한 영향력을 줄이고 인생에서 공정하고 평등한 출발선을 보장할 수 있는 개입이 무엇보다 필요하다. 또한, 우울의 일부 경로에서 남녀 차이를 보였는데 이는 성인 우울의 예방 전략을 고려할 때 성별에 따른 차별화된 개입방법을 고려되어야 함을 의미한다. 본 연구는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의 관점을 적용하여 사회적 맥락 안에서 우울에 미치는 영향력을 정리하였다. 아동기부터 성인기에 이르기까지 생애과정관점에 기초하여 우울에 대한 관심이 사회적으로 높아지는 시점에 성인 우울 예방을 위한 사전적 예방 개입의 근거를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path of depression among adults from the perspective of social determinants of health. The main purpose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hood socio- economic status and adult depression and to verify the multi-mediating effect of adult socioeconomic status (education level, employment type, income level) in relation to the two variables. The sample included 1,955 adults from the first year (2006) and the 16th year (2021) data of the Korean Welfare Panel Study. For the analysis, path analysis and multiple mediation analysis were conducted.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the experience of school drop-out due to economic conditions, childhood economic living conditions, and parental education level, indicating the socioe- conomic status in childhood, were found to affect the education level, employment type, and income level, the parameters of adult socio- economic status. In other words, lower socioeconomic status in childhood, affected education, occupation, and income, which are socioeconomic statues in adulthood. Second, the socioeconomic status of adulthood had a significant effect on depression. It was found that both the direct and indirect path from the education level to depression through employment type and income level, respectively, were significant. Third, it was found that the socioeconomic status of childhood affects adult depression through multiple mediums of socioeconomic status of adulthood. In other words, the lower the level of education of parents, the lower the level of education in adulthood, and the lower level of education in adulthood is associated with increase in depression through unstable employment and low income. Fourth, when models were examined separately for each gender, most of the paths were foun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se results indicate that adult depression prevention and intervention should emphasize not only adult risk factors but also the influence of childhood socioeconomic status, especially in the early stages of life. Interventions that focus on children with childhood risk factors to reduce their initial unfavorable condition and to ensure a fair and equal starting line in life are needed above all else. In addition, the differences between men and women in some paths of depression indicates that differentiated intervention should be considered for prevention strategy of adult depression.

      • 노인의 사회경제적 위치가 우울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건강상태의 매개효과

        유진나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33343

        This study examines the mediating effects of health statu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oeconomic position and depression of the elderly in Korea. This study used cross-sectional data from the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Ⅴ(2010-2012), analyzing 5,765 subjects over 60 years of age who completed health survey and did not receive treatment for depression. Socioeconomic position was determined according to education level and income level and health status was composed self-perceived health status, pain/ discomfort and activities limitation. Depression was determined as having felt sadness or despair that caused hindrance in daily life in the past two consecutive weeks within the recent year. SAS 9.4 version was used for all analyses. For general characteristics, socioeconomic position and health status according to depression, X2-test was used. 3step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to identify the mediating effect of health status between socioeconomic position and depression by the approach of Baron & Kenny(1986). Sobel test was performed to verify the significance of the mediating effect. The results are presented as follows: 1. There were differences in general characteristics, socioeconomic position and health status according to depression. The percentage of depression in subjects who were female(p<.001), lived without a spouse(p<.001), did not have occupation(p=.001), were of a lower education and income level(p<.001)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percentage of without depression. The percentage of depression in subjects who had negative self-perceived health status, pain/discomfort, and activities limitation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percentage of without depression. 2. There was a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socioeconomic position and depression in the analysis of step 1. 3. There was a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socioeconomic position and health status(self-perceived health status, pain/discomfort and activities limitation) in the analysis of step 2. 4. In the analysis of step 3, self-perceived health status, pain/discomfort and activities limitation had a significant effect on depression. In addition, there was a partial mediating effect of health status(self-perceived health status, pain/discomfort and activities limitation) in association with socioeconomic position and depression. 5. Finally, it was verified by Sobel test that there was the significance of the partial mediating effect of health status(self-perceived health status, pain/discomfort and activities limitation) in association with socioeconomic position and depression. In conclusion, this study verified that there was a partial mediating effect of health status(self-perceived health status, pain/discomfort and activities limitation) in association with socioeconomic position and depression. Given the results, it is important to assess about socioeconomic position of the elderly in the treatment of the elderly with depression. This is because the socioeconomic position affect the health status of the elderly and the health status of the elderly ultimately affect depression. In that sense, the results of this study would be helpful in the early diagnosis and systematic management of depression in the elderly of socially disadvantaged class. 본 연구는 「제 5기 국민건강영양조사」자료를 활용하여 노인의 사회경제적 위치와 우울감, 건강상태의 관계를 확인하고, 노인의 사회경제적 위치가 우울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건강상태의 매개효과를 확인한 2차 자료 분석 연구이다. 연구의 대상자는 제 5기 국민건강영양조사에 참여한 60세 이상의 노인 중 건강설문조사를 완료하지 못하였거나, 우울증치료를 받고 있는 대상자를 제외한 5,765명이다. 자료의 조사 기간은 2010년 1월 1차를 시작으로 2012년 12월 3차를 끝으로 3년간에 걸쳐 이루어졌다. 연구 자료는 「제 5기 국민건강영양조사」 건강설문 문항 중에서 노인의 우울감과 사회경제적 위치에 해당하는 교육수준과 소득수준, 그리고 노인의 건강상태 확인을 위한 주관적 건강인식, 통증 및 불편감, 활동제한 항목이다. 자료 분석은SAS(ver. 9.4) 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분석방법으로는 빈도분석을 통하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사회경제적 위치 및 건강상태를 확인하였고, Chi-square test를 통해 우울감에 따른 일반적 특성과 사회경제적 위치, 건강상태를 확인하였다. 그리고 노인의 사회경제적 위치와 우울감과의 관계에서 건강상태가 미치는 매개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Baron과 Kenny(1986)가 제시한 접근방법대로 진행하되 변수들이 모두 범주형 변수임을 감안하여 3단계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시행하였고, 매개효과의 유의성 검증은 Sobel test를 실시하였다. 분석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노인의 우울감에 따른 일반적 특성과 사회경제적 위치의 차이로는 여성 노인인 경우(p<.001), 배우자가 없는 경우(p<.001), 직업이 없는 경우(p=.001), 교육수준과 소득수준이 낮은 경우(p<.001)에 우울감 발생 비율이 높았다. 그리고 노인의 건강상태에서는 주관적 건강인식이 부정적일수록(p<.001), 통증 및 불편감이 있고(p<.001), 활동제한이 있는 경우(p<.001)에 우울발생 비율이 높았다. 1단계 분석에서 독립변인인 노인의 사회경제적 위치와 종속변인인 우울감은 유의한 관련성이 있었다. 2단계 분석에서 독립변인인 사회경제적 위치와 매개변인인 주관적 건강인식, 통증 및 불편감, 활동제한은 유의한 관련이 있었다. 3단계 분석에서 매개변인인 주관적 건강인식, 통증 및 불편감, 활동제한이 모두 종속변인인 우울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며, 사회경제적 위치와의 우울감 사이에서 주관적 건강인식, 통증 및 불편감, 활동제한이 부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사회경제적 위치는 우울감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지만 건강상태에도 영향을 미쳐 사회경제적 위치가 높을수록 주관적 건강인식이 긍정적이고, 통증 및 불편감이 감소하며, 활동제한이 적어 우울감이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끝으로 Sobel test를 통하여 노인의 사회경제적 위치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건강상태의 부분매개효과의 유의성이 검증되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통해 노인 우울의 치료에 있어서 노인의 사회경제적 위치가 중요함을 알 수 있으며, 그런 의미에서 본 연구의 결과가 우울 중재 시 우선순위를 판단할 수 있는 자료로 활용되어 한정된 의료자원을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하도록 하고, 궁극적으로는 사회경제적으로 취약한 계층에 있는 노인들의 우울 조기 진단과 체계적 관리에 도움이 될 것으로 본다.

      • 한국의 사회경제적 사망 불평등에 대한 반복측정된 건강행태와 임상생물학적 요인의 기여도

        강희연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33342

        연구배경 및 목적 사회경제적 건강 불평등의 크기와 이를 설명하는 요인의 기여도를 밝히는 기전 연구는 건강 불평등에 관한 정책적 측면에서 중요한 의미가 있다. 이에 사회경제적 사망 불평등의 크기와 이를 설명하는 요인의 기여도에 관한 여러 기전 연구들이 진행되었다. 그중에서도 건강 불평등을 설명하는 요인 중 건강행태와 임상생물학적 요인과 같은 위험요인은 시간에 따라 변화할 수 있는데, 한국의 건강 불평등의 기전을 다룬 그간의 연구에서는 특정 시점에 한정되어 측정된 위험요인을 가지고 건강 불평등에 대한 기여도를 주되게 평가해왔다는 점에서 한계가 있었다. 이 연구에서는 사회경제적 사망 불평등을 설명하는 요인으로서 반복측정된 건강행태와 임상생물학적 요인의 역할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사회경제적 사망 불평등의 위험요인을 여러 시점에서 반복측정하여 평가하였을 때, 한 번 측정된 요인을 고려하였을 때보다 사망 불평등에 대한 기여도가 높아지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 본 연구에서는 국민건강보험공단 건강검진코호트DB(NHIS-HEALS)를 이용하였다. 2004-2005년 건강검진을 받은 적이 있는 40-69세의 건강보험가입자를 대상으로, 2004-2005, 2006-2007, 2008-2009, 2010-2011, 2012-2013년의 건강검진 검사 및 문진 결과를 이용하였다. 주요 변수인 사회경제적 위치 지표는 소득으로 월 건강보험료 부과액을 바탕으로 한 건강보험료 분위 자료를 대리지표로 하였다. 건강 결과인 사망은 전체 사망 이외에 주요 사망원인별로 암 사망, 심혈관계질환 사망, 암 및 심혈관계질환 이외 사망, 흡연 관련 사망, 음주 관련 사망, 치료 가능 사망으로 구분하였다. 주요 위험요인은 건강검진의 검사 결과 및 문진 자료의 건강행태 변수로 흡연, 음주, 신체활동과 함께 임상생물학적 변수로는 혈압, 공복혈당, BMI, 혈색소, 총콜레스테롤, 아스파르테이트아미노전달효소(aspartate aminotransferase, AST), 알라닌아미노전달효소(aspartate aminotransferase, ALT), 감마지티피(gamma- glutamyl transpeptidase, GGT), 요단백을 이용하였다. 사회경제적 위치에 따른 사망위험을 알아보기 위해, 성별, 사망원인별 소득수준에 따른 연령표준화 사망률의 차이를 알아보고, 콕스 회귀분석(Cox regression analysis)을 이용하여 성별, 사망원인별로 소득수준에 따른 사망위험비(Hazard Ratio, HR)를 산출하였다. 또한, 사회경제적 위치와 위험요인의 관련성 분석을 위해 성별, 검진시기별, 소득수준별 건강행태 및 임상생물학적 요인의 연령표준화 유병률을 산출하여, 위험요인별 사회경제적 연령표준화율의 차이와 그 추이를 살펴보았다. 위험요인에 따른 사망위험 분석은 콕스 회귀분석을 이용하였다. 성별, 사망원인별로 건강행태와 임상생물학적 요인에 따른 사망위험비를 구하고, 위험요인은 기저 시점(baseline)과 반복측정 시점의 측정자료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반복측정된 건강행태와 임상생물학적 요인을 이용한 분석은 시간 의존 콕스 회귀분석(time-dependent Cox regression analysis) 방법을 이용하였다. 사망에서의 사회경제적 불평등에 대한 건강행태와 임상생물학적 요인의 기여도(설명력)는 사회경제적 위치에 따른 사망위험 분석 모형에서 위험요인을 보정하기 전과 후의 가장 높은 소득분위 대비 가장 낮은 소득분위의 초과 사망위험의 감소분(% attenuation)으로 정의하여 산출하였다. 이를 한 시점에서 측정된 위험요인을 고려한 경우와 반복측정된 위험요인을 고려한 경우로 산출하여 설명력에 차이가 있는지 확인하였다. 사망에서의 사회경제적 불평등에 기여하는 매개 요인(mediator)으로서, 건강행태 요인과 임상생물학적 요인 각각의 설명력을 산출하였다. 모든 분석은 성별(남녀 전체, 남성, 여성), 사망원인별로 수행하였으며, 위험요인이 기저 시점에서 측정된 경우와 반복측정된 경우 중 어떤 경우에 사망의 사회경제적 불평등을 얼마나 더 잘 설명하는지, 그리고 어떤 위험요인이 가장 잘 설명하는지 확인하였다. 연구 결과 2004-2005년 기저 시점의 전체 연구대상자는 228,910명으로 남성은 132,396명, 여성은 96,514명이었다. 이들 중 사망한 사람은 6,643명으로 전체의 2.9%를 차지하였으며, 남성 4,969명, 여성 1,674명으로 남성 사망자가 더 많았다. 사망원인별로는 전체 사망자의 49.6%인 3,292명이 암으로 사망하였으며, 심혈관계질환 사망자는 1,011명(전체 사망자의 15.2%), 치료가능 사망자는 925명(13.9%), 흡연 관련 사망자는 978명(14.7%), 음주 관련 사망자는 628명(9.5%)이었다. 연령표준화 사망률 분석 결과, 남녀별, 사망원인별로 소득수준에 따라 연령표준화 사망률에 차이가 있었다. 그러나, 여성에서 흡연, 음주 관련 사망에 대한 연령표준화 사망률의 경우, 소득수준 간 뚜렷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거나, 역전되어 나타났다. 사망위험비는 사망원인에 따라 성별, 소득수준별로 다르게 나타났는데, 남성이 여성에 비해 2.65배(95% CI 2.51-2.80) 높았다. 남녀 전체, 전체 사망에서 가장 높은 소득계층 대비 가장 낮은 소득계층의 사망위험비는 1.70(95% CI 1.60-1.81)으로 1.7배 사망위험이 높았다. 남녀 전체에서 소득수준에 따른 사망위험비가 가장 높은 사망원인은 치료가능 사망으로 2.13배(95% CI 1.79-2.54) 사망위험이 높았다. 소득수준에 따른 시기별 건강행태와 임상생물학적 요인의 연령표준화율은 남녀 전체의 경우 총콜레스테롤과 요단백을 제외한 모든 요인에서 낮은 소득계층이 높은 소득계층에 비해 표준화 유병률이 높았다. 여러 지표 중 남성의 과체중 유병률은 높은 소득계층의 유병률이 낮은 소득계층보다 높게 나타나는 소득역전 현상을 보였는데, 비만 유병률의 경우에는 소득역전 현상이 나타나지 않았다. 여성의 경우에는 소득수준이 낮을수록 과체중 유병률과 비만 유병률 모두 증가하였다. 위험요인과 사망의 관련성 분석 결과, 대부분의 사망원인에서 음주 빈도와 현재 흡연에 따른 사망위험비는 반복측정되었을 때, 그 영향력이 감소하였고, 신체활동은 증가하였다. 임상생물학적 요인에 따른 사망위험은 반복측정자료 분석 결과 사망위험이 대체로 증가하였으며, 사망원인마다 조금씩 달랐다. 혈색소의 경우 반복측정되었을 때, 모든 사망원인에서 사망위험비가 크게 증가하였고, 총콜레스테롤은 심혈관계질환 사망원인에서만 사망위험비가 유의하게 나타났다. 사망에서의 사회경제적 불평등에 대한 건강행태와 임상생물학적 요인의 기여도 분석 결과, 남녀 전체, 남성과 여성, 모든 위험요인과 사망원인에서 기저 시점의 위험요인보다는 반복측정된 위험요인의 설명력이 높았다. 기저 시점에서 1회 측정된 전체 위험요인의 소득수준에 따른 사망 불평등에 대한 설명력은 18.96%였으며, 그 중 건강행태 요인의 설명력은 12.34%, 임상생물학적 요인의 설명력은 9.11%로 건강행태가 임상생물학적 요인에 비해 설명력이 높았다. 성별 전체 위험요인의 설명력은 남성(20.54%)이 여성(18.00%)에 비해 높았다. 임상생물학적 요인의 설명력은 남성(10.27%)이 여성(4.28%)에 비해 더 높았고, 여성의 경우에는 건강행태요인의 설명력(14.71%)이 남성(12.99%)에 비해 더 높았다. 건강행태와 임상생물학적 요인의 시간 가변적 특성을 고려한 반복측정자료 분석 결과, 사망에서의 사회경제적 불평등에 대한 전체 위험요인의 설명력은 28.78%로 기저 시점의 위험요인의 설명력보다 높았다. 이러한 경향은 남녀 모두에서 발견되었는데, 남성(20.54%에서 28.52%)에 비해 여성(18.00%에서 32.96%)에서 크게 증가하였다. 전체 위험요인의 설명력이 가장 높은 사망원인은 남녀 전체의 경우 흡연 관련 사망과 암으로 인한 사망으로 각각 35.28%, 32.14%의 설명력을 보였으며, 남성 또한 흡연 관련 사망(36.77%)과 암으로 인한 사망(36.74%)에서 설명력이 가장 높았다. 여성의 경우에는 전체 사망(32.96%)과 심혈관계질환 사망(29.68%)로 높은 설명력을 보였다. 남녀 전체 분석 결과, 건강행태의 설명력은 흡연 관련 사망(31.48%)과 암으로 인한 사망(20.41%)에서, 임상생물학적 요인의 설명력은 암으로 인한 사망(22.19%)과 음주 관련 사망(19.53%)에서 가장 높았다. 남성의 경우에는 흡연 관련 사망, 심혈관계질환 사망을 제외한 사망원인에서 임상생물학적 요인이 건강행태요인에 비해 다소 높은 설명력을 보였으며, 여성의 경우에는 건강행태 요인의 설명력이 임상생물학적 요인보다 높았다. 개별 위험요인의 사망의 사회경제적 불평등에 대한 설명력을 비교하면, 모든 경우에서 흡연의 설명력이 가장 높았다. 남녀 전체, 전체 사망을 대상으로 한 분석에서 기저 시점 흡연의 설명력은 9.20%, 반복측정된 흡연의 설명력은 13.89%로 나타났으며, 사망원인 중 남성의 흡연 관련 사망 분석에서 반복측정된 흡연의 설명력은 25.60%로 가장 높았다. 임상생물학적 요인의 경우에는 혈색소, AST, GGT의 설명력이 높은 편으로 나타났다. 남녀 전체를 대상으로 암 사망의 불평등에 대한 각 요인의 설명력은 각각 12.40%, 10.33%, 13.45%으로, 흡연(15.41%) 다음으로 높은 설명력을 보였다. 대체로 사망과의 관련성이 높은 요인들(흡연, 혈색소, AST, GGT 등)이 사회경제적 위치에 따른 격차에 대한 설명력도 높았다. 결론 이 연구는 우리나라 사회경제적 사망 불평등의 기전에 관한 연구로서 사회구조가 사망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측정된 불평등의 크기와 이를 설명하는 요인의 기여도를 밝히고자 하였다. 이는 구체적인 정책적 개입 지점에 관한 정보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정책적 함의를 갖는다. 또한, 여러 가지 위험요인 중 어떤 요인이 가장 설명력이 높은지 탐색하였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방법론적 측면에서는 향후 건강 불평등의 기전에 관한 연구를 수행할 때, 각 설명 요인들을 어떻게 측정, 분석할 것인가에 대한 근거를 제시할 수 있다. 사망과 같은 장기 추적 연구에서 여러 시점에서 반복측정된 자료를 이용하여 시간 가변적 특성을 고려할 때, 건강 불평등에 대한 기여요인의 설명력을 더욱 높일 수 있을 것이다. 이 연구 결과에 따르면 흡연은 여전히 사회경제적 위치에 따른 사망 불평등을 설명하는 주요한 원인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흡연에서의 사회경제적 불평등을 줄이는 것이 사망에서의 사회경제적 불평등을 줄이는 데에 상당 부분 기여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연구에서 규명된 위험요인별 기여도를 바탕으로, 장기적으로 사망 불평등을 줄이기 위한 접근 방안의 세부적인 근거를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Background Research on the mechanisms of socioeconomic health inequality has important implications for policies targeting health inequality. Studies have sought to explain the magnitude of socioeconomic inequalities in mortality and assess the contributions of explanatory factors. Risk factors, such as health behaviors and bioclinical factors, change over time. However, a limitation of previous studies, including those conducted in Korea, is that they mainly assessed contributions to health inequality using risk factor measurements from a specific time point.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ole of repeatedly measured health behavioral and bioclinical factors in socioeconomic mortality inequalities in Korea and compared the contribution of risk factors to mortality inequality according to whether they were assessed longitudinally at multiple time points or measured only at baseline. Methods This study used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National Health Screening Cohort (NHIS-HEALS) database. The study subjects were individuals aged 40-69 who were eligible for health insurance and participated in the NHIS health screening program in 2004-2005. Their health checkup results and questionnaire responses in 2004-2005, 2006-2007, 2008-2009, 2010-2011, and 2012-2013 were reviewed. Their socioeconomic position was measured using income, operationalized as the health insurance premium decile based on monthly health insurance premiums. The underlying causes of death were classified into cancer, cardiovascular diseases, smoking-related diseases, alcohol-related diseases, amenable mortality, and all-cause mortality. The major risk factors were health behaviors (smoking, drinking, physical activity) and bioclinical factors (blood pressure, fasting blood sugar, hemoglobin, total cholesterol, aspartate aminotransferase [AST], alanine aminotransferase [ALT], gamma-glutamyl transpeptidase [GGT], proteinuria, and body mass index [BMI]). First, the difference in age-standardized mortality rates according to income level by sex and cause of death was investigated, and hazard ratios (HRs) were calculated by Cox regression analysis. In order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oeconomic position and risk factors, the age-standardized prevalence of health behaviors and bioclinical factors by sex, screening period, and income level was calculated. A Cox proportional regression model was used to analyze the associations between the risk factors and death. The HRs for death according to risk factors were calculated by sex and causes of death. The risk factors were assessed at baseline and longitudinally evaluated five times from 2004 to 2013. Repeatedly measured risk factors were used as time-varying covariates, and HRs were calculated by time-dependent Cox regression analysis to assess the longitudinal effect. The contribution of each risk factor at a baseline and multiple time points to socioeconomic inequalities in mortality was defined by the percentage reduction in the coefficient for income level before and after adjusting for risk factors. The results when the risk factors were measured at one point in time were compared with those of repeated measurements to determine whether there was a difference in explanatory power. As mediators contributing to socioeconomic inequality in mortality, the explanatory power of each behavioral factor and clinical biological factor was calculated. All analyzes were stratified by sex and cause of death. Results The number of study subjects from 2004-2005 was 228,910 (132,396 men and 96,514 women). The number of deaths was 6,643, accounting for 2.9% of the total population. In total, 4,969 men and 1,674 women died during the study period. During the follow-up period, there were 3,292 (49.6%) deaths from cancer, 1,011 (15.2%) deaths from cardiovascular diseases, 925 (13.9%) amenable mortality, 978 (14.7%) deaths related to smoking, and 628 (9.5%) alcohol-related deaths. The age-standardized mortality rates varied according to income level, sex, and cause of death. However, income levels either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or a reverse relationship for smoking- and alcohol-related deaths in women. The HRs for death differed by sex and income level according to the cause of death. The risk of death in men was 2.65-fold (95% CI, 2.51-2.80) higher than in women. For both men and women, the HR of death for the lowest-income group versus the highest-income group was 1.70 (95% CI, 1.60-1.81). The highest risk of death for the lowest-income group versus the highest-income group was 2.13 times (95% CI 1.79-2.54) for amendable mortality. The prevalence of risk factors varied according to socioeconomic position in the follow-up period. The difference in the age-standardized prevalence rate by income level was maintained for all risk factors, except for total cholesterol and proteinuria, and the standardized prevalence rates were higher in the lowest-income group than in the highest-income group. The prevalence of overweight in men showed an income reversal phenomenon, with a higher prevalence in high-income groups than in low-income groups. The obesity prevalence rate was income-regressive. Among women, the prevalence rates of overweight and obesity in the lowest-income group were higher than in the highest-income group. When the health behaviors were repeatedly measured, the HRs of most causes of death according to smoking status and drinking habits were lower than when they were assessed at baseline only. However, the HRs for most causes of death associated with the frequency of physical activity increased when it was repeatedly measured. When repeatedly measured, the HRs for death associated with the bioclinical factors generally increased, but with differences for each cause of death. For hemoglobin, when repeated measurements were performed, the HR for mortality increased substantially for all types of causes of death, while repeated measurements of total cholesterol only showed significantly higher HRs for death from cardiovascular disease. Regarding the contribution of the health behaviors and bioclinical factors to socioeconomic inequalities in mortality, the explanatory power of repeatedly measured risk factors was higher than that of only baseline measurements for all risk factors, all causes of death, and both sexes. The explanatory power of inequality by income level for death in all risk factors with measurements made once at baseline was 18.96%; the contribution of health behavioral factors (12.34%) was higher than that of bioclinical factors (9.11%). The contribution of all risk factors was higher in men (20.54%) than in women (18.00%). The explanatory power of bioclinical factors was higher in men (10.27%) than in women (4.28%), while in women, the explanatory power of health behavioral factors (14.71%) was slightly higher than that in men (12.99%). In the analysis of repeated measurements, the contribution of all risk factors for socioeconomic inequality in all-cause mortality was 28.77%, which was higher than that obtained with only baseline measurements. Changing from baseline-only measurements to multiple measurements led to a substantially greater increase in explanatory power in women (18.00% to 32.96%) than in men (20.54% to 28.52%). The cause of death with the highest contribution of all risk factors was smoking-related death (35.28%) in both men and women, followed by cancer-related death (32.14%). High explanatory power for overall mortality (32.96%) and death from cardiovascular disease (29.68%) was observed in women. In men, bioclinical factors showed somewhat higher explanatory power than health behavioral factors for causes of death other than smoking-related and cardiovascular disease. In women, health behavioral factors had higher explanatory power than bioclinical factors. Smoking was the individual-level risk factor with the highest explanatory power for socioeconomic inequalities in all-cause mortality. In the analysis of all-cause mortality in both men and women, the explanatory power of smoking when measured at baseline was 9.20%, while that of repeatedly measured smoking was 13.89%. Of the bioclinical factors, the explanatory power of hemoglobin, AST, and GGT was high. The explanatory power of each factor for inequalities in cancer death among men and women was 12.40%, 10.33%, and 13.45%, respectively, which were the highest explanatory powers after smoking (15.41%). In general, the factors closely related to death (e.g., smoking, hemoglobin, AST, and GGT) also had high explanatory power for disparities according to socioeconomic position. Conclusion This study on the mechanism of socioeconomic inequalities in mortality in Korea aimed to present the magnitude of inequalities and the contribution of explanatory factors. The results of this study have policy implications because they provide information on specific points for policy interventions. This study also explored which risk factors had high explanatory power. From a methodological perspective, the basis for measuring and analyzing each explanatory factor can be presented in future research on the mechanisms of health inequality. In long-term follow-up research, considering time-varying variables using repeated data at multiple times could enhance the explanatory power of factors contributing to inequalities in mortality. In this study, smoking was identified as a major cause of inequality in mortality according to socioeconomic status. Therefore, reducing socioeconomic inequalities in smoking would contribute to reducing socioeconomic inequalities in mortality. This study’s findings on the contributions of each risk factor will make it possible to provide a detailed rationale for a long-term approach to reducing mortality inequalities.

      • 최근 우리나라 담배 규제 정책에 따른 흡연의 사회경제적 불평등 추이 : 국민건강영양조사, 지역사회건강조사, 사회조사의 활용

        장영수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33327

        흡연은 폐암을 비롯하여 허혈성 심장질환, 뇌혈관질환, 하기도 감염, 만성 폐쇄성 폐질환, 결핵 등을 일으키는 중요한 건강 위험요인이다. 흡연은 2015년 전세계 조기 사망과 장애에 있어 두 번째로 중요한 위험요인이었다. 우리나라 국민건강영양조사에 따르면, 우리나라 성인 흡연율은 1998년 35.2%에서 2015년 21.6%로 감소하는 추세다. 흡연이 문제가 되는 이유는 흡연이 건강에 악영향을 주는 것은 물론, 흡연의 양상이 사회경제적 위치에 따라 불평등하여 건강불평등을 만들기 때문이다. 유럽 국가들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지난 수십 년 동안 흡연율이 감소하였지만, 높은 사회경제적 위치를 지닌 집단에서 흡연율 감소가 두드려졌다. 기존 연구를 통해 여러 가지 담배 규제 정책들 중에서 담뱃값 인상이 효과적으로 흡연 불평등을 감소시킬 수 있다고 알려져 있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에서 최근 담배 규제 정책으로 인한 흡연의 불평등의 추이를 밝히고자 한다. 본 연구는 국가적으로 대표성 있는 국민건강영양조사, 지역사회건강조사, 사회조사를 자료원으로 이용하였다. 국민건강영양조사와 지역사회건강조사는 2009년부터 2015년까지 매년, 사회조사는 2008년부터 격년으로 2016년까지 조사자료 틀로 활용하였다. 각 조사의 총 대상자수는 결측을 제외하고 국민건강영양조사 35,467명, 지역사회건강조사 1,416,300명, 사회조사 151,817명이었다. 분석 대상은 30세 이상 남녀 성인이었다. 분석은 남성과 여성으로 나누었고, 각각 30-59세와 60세 이상으로 연령 구간을 나누어 분석하였다. 사회경제적 위치 지표로 교육, 직업, 소득을 사용하였다. 사회경제적 위치에 따라 연령표준화 흡연율, 흡연율 차이, 흡연율 비, 경사 불평등 지수, 상대 불평등 지수를 산출하였다. 연령표준화에서 표준 인구는 2010년 센서스 인구를 이용하였다. 분석 결과, 3개 조사 자료에서 연도별 남성 흡연율은 감소하는 추세였고, 2015년을 기점으로 흡연율의 감소가 상대적으로 크게 나타났다. 남녀 모두 사회경제적 위치에 따라 낮은 사회계층에 불리한 흡연의 불평등이 존재했다. 지역사회건강조사와 사회조사에서 30-59세 남성에서 교육, 직업에 따른 절대적 불평등은 연도에 따라 증가하였으나 2015년을 기점으로 다소 감소하는 양상이었다. 60세 이상 남성에서는 사회경제적 위치에 따라 절대적 불평등이 감소하였다. 30-59세 여성에서는 교육과 직업에 따른 절대적, 상대적 흡연의 불평등이 연구기간 동안 증가하였고, 2015년 이후 감소하는 추세를 보이지 않았다. 30-59세 여성에서는 소득에 따른 흡연의 불평등이 감소하였다. 60세 이상 여성에서는 직업과 소득에 따른 절대적 흡연의 불평등이 감소하였다. 최근의 담배 규제 정책은 남성에서 흡연율을 감소시켰지만 전체 연구기간 동안 불평등을 감소시키지는 못했다. 다만 2015년을 기점으로 불평등이 완화되는 양상을 보였다. 여성에서의 흡연율은 과소 보고될 가능성이 존재하기 때문에 여성에서의 담배 규제 정책 효과에 대해서는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담뱃값 인상에도 불구하고 불평등이 해소되지 못했으므로 정책적으로는 담뱃값 인상이 더 이루어져야 젊은 층에서의 불평등이 감소할 것으로 판단된다.

      • 소득, 직업으로 본 사회경제적 위치와 비흡연자의 간접흡연 노출 : 2008년, 2012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신은지 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33325

        연구배경: 간접흡연 노출의 유해성과 심각성에 대한 인식은 점점 높아지고 있으며, 간접흡연과 관련된 여러 연구들이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간접흡연 노출과 관련하여 사회경제적 위치가 건강불평등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음에 주목하고 있으며, 사회경제적 위치가 낮은 경우 간접흡연 노출 위험이 높은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소득, 직업으로 본 사회경제적 위치와 비흡연자의 간접흡연 노출에 대한 차이를 분석하고 관련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 및 방법: 본 연구는 국민건강영양조사 제 4기 2차년도(2008년)와 제 5기 3차년도(2012년) 자료를 이용하여 만 19세 이상 비흡연자 성인 중 사회경제적 위치 지표와 간접흡연 노출여부에 응답한 2,354명을 대상으로 소득, 직업으로 본 사회경제적 위치에 따른 간접흡연 노출 차이와 관련성을 분석하였다. 사회경제적 위치 지표 중 소득, 직업과 간접흡연 노출의 관련성을 파악하기 위해 Model 1에서는 소득을 보정하였고, Model 2에서는 직업을 보정하였으며, Model 3에서는 소득, 직업, 연령, 성별, 교육수준, 거주지역, 고용상태, 주택소유, 결혼상태 변수를 보정하여 다중 로지스틱 회귀분석(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을 시행하였다. 연구결과: 소득과 직장실내 간접흡연 노출은 전체 대상자와 남자의 경우 관련성이 있었고, 소득과 가정실내 간접흡연 노출은 여자의 경우만 관련성이 있었다. 직업과 직장실내 간접흡연 노출은 전체 대상자와 여자에서 관련성이 있었고, 직업과 가정실내 간접흡연 노출은 여자에서만 관련성이 있었다. 소득별 직장실내 간접흡연 노출을 보면, 소득 ‘상’ 그룹에 비해 ‘하’ 그룹의 오즈비는 0.58(95% CI: 0.37-0.90)로 낮았고, 남자의 경우는 ‘상’ 그룹에 비해 ‘중상’ 그룹의 오즈비가 8.22(95% CI: 1.21-55.77)로 높았다. 소득별 가정실내 간접흡연 노출의 경우, 여자에서만 소득 ‘상’ 그룹에 비해 ‘중하’ 그룹의 오즈비가 3.99(95% CI: 1.33-11.98)로 높았고, ‘하’ 그룹의 오즈비는 3.94(95% CI: 1.19-13.03)로 높았다. 직업별 직장실내 간접흡연 노출을 보면, 관리사무직에 비해 생산직의 오즈비는 0.59(95% CI: 0.42-0.82)로 낮았고, 여자의 경우도 관리사무직에 비해 생산직의 오즈비는 0.42(95% CI: 0.30-0.60)로 낮았다. 직업별 가정실내 간접흡연 노출의 경우, 여자에서만 관리사무직에 비해 생산직의 오즈비가 4.06(95% CI: 1.30-12.72)으로 높았다. 결론: 본 연구는 대부분 여자에서 사회경제적 위치가 비흡연자의 간접흡연 노출과 관련성이 있었다. 향후 사회경제적 위치와 간접흡연 노출의 관련 요인을 다각적으로 고려한 후속 연구와 이를 적용한 간접흡연 예방에 대한 지속적인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Background: A range of negative effects which are associated with secondhand smoking have been acknowledged and recently a number of research papers have indicated that those with lower socioeconomic status are more likely to be exposed to secondhand smoking. This study takes a step further to examine how socioeconomic position, especially income level and occupation, are associated with secondhand smoking exposure among non-smoking adults. Sample & Methods: This study as stated above examines the association between one's socioeconomic position and secondhand smoking exposure level in a sample of 2,354 adults over the age of 19. The data were obtained from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of 2008 and 2012. A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carried out to assess the research questions. Particularly to examine the association of income level and occupation with the secondhand smoking exposure, independent and confounding variables in the research models were adjusted; an income level(Independent Variable, IV) in Model 1, the occupation(IV) in Model 2, and income level, occupation, age, gender, education level, residential area, employment, and marriage(IV and Confounding Variable, CV) in Model 3. Results: The association income level and occupation with secondhand smoking exposure was significantly different in terms of gender. The association between income level and secondhand smoking exposure in workplace was significant for male and the overall sample, whereas the association between income level and secondhand smoking exposure in home was significant only for female. The association between occupation and the secondhand smoking exposure in workplace was significant for female and the overall sample, whereas the association between occupation and the secondhand smoking exposure in home was significant only for female. The secondhand smoking exposure at the workplace in regards to income level, the 'Low Income Group' is 0.58 times less exposed to secondhand smoking at the workplace than the 'High Income Group' (95% CI: 0.37-0.90). However, in the case of male, the 'Mid-High Income Group' is 8.22 times more exposed to secondhand smoking in workplace than the 'High Income Group (95% CI: 1.21-55.77). When secondhand smoking exposure at home in terms of income level is considered, it was significantly different only for females: compared to the 'High Income Group', the 'Mid-Low Income Group' (95% CI: 1.33-11.98) is 3.99 times and 'Low Income Group' (95% CI: 1.19-13.030.37-0.90) is 3.94 times more exposed to secondhand smoking. In secondhand smoking exposure at the workplace in terms of occupation, blue collar professionals are 0.59 times more exposed to collar smoking than white collar professionals (95% CI: 0.42-0.82). In the case of female gender, blue collar professionals are 0.42 times more exposed to collar smoking than white collar professionals (95% CI: 0.30-0.60). Moreover, blue collar female professionals are 4.06 times more likely to be exposed to collar smoking at home than their white collar counterparts (95% CI: 1.30-12.72). Conclusion: This study is meaningful when it is considered that the female's socioeconomic position is associated with secondhand smoke exposure. However, the research and findings are not intended to be conclusive, but rather to be used as a catalyst for further research into the question of how socioeconomic position and an array of different variables are related to the level of secondhand smoking exposure, and for developing an actionable plan to prevent non-smokers from any negative effects of secondhand smoking exposure in the future.

      • 한국성인의 사회경제적 위치 및 스트레스와 당뇨병 유병의 연관성

        김은미 건양대학교 보건복지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33311

        In this study, based on the raw data of the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2019-2021 (8th), 14,412 people aged 30 years and older were surveyed to analyze the socioeconomic position and the association of stress and prevalence of diabetes mellitus among Korean adults. According to the guidelines for the use of raw data, the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the complex sample analysis method. The groups with the highest prevalence of diabetes mellitus were the elderly, unspoused, poor subjective health, low income level, unpaid family worker/non-economically active population/unemployment, and education level below primary education. In terms of age group, the prevalence of diabetes mellitus was higher in middle-aged people (OR=3.466, 95% CI=2.774~4.331) and the elderly (OR=4.860, 95% CI=3.757~6.286) compared to young adults. In marital status, the prevalence of diabetes mellitus was higher in those without a spouse (spouse, separated/widowed/divorced) and with a spouse (spouse, cohabitation) compared to those who were unmarried, and the prevalence of diabetes mellitus was higher in unpaid (unpaid family worker/non-economic activity/unemployment) compared to commercial occupation (OR=1.207, 95% CI=1.019~1.431). Low socioeconomic position increases prevalence of diabetes mellitus, but no difference in prevalence of diabetes mellitus with stress level has been identified. In particular, we did not find a protective or exacerbating effect of stress levels on the prevalence of diabetes mellitus by socioeconomic position. However, this study suggests that when studying stress as a prevalence factor of diabetes mellitus, it is necessary to take into account measurement issues and inverse causality and cumulative effects. In addition, it is significant in that it suggests the need for interventions that take into account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socioeconomic position when considering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intervention programs for diabetes mellitus. 이 연구에서는 국민건강영양조사(KNHANES) 2019-2021년(제8기) 원시자료를 기반으로 하여 만 30세 이상 14,412명을 대상으로 한국성인의 사회경제적 위치 및 스트레스와 당뇨병 유병의 연관성을 분석하였다. 원시자료 이용지침서에 따라 복합표본 분석 방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가장 높은 당뇨병 유병을 나타낸 집단으로는 노년층, 무배우자, 나쁜 주관적 건강상태, 낮은 소득수준, 무급가족종사자/비경제활동인구/실업, 초졸 이하 교육수준으로 확인되었다. 연령대에서는 청년층에 비해 중년층(OR=3.466 95% CI=2.774~4.331), 노년층(OR=4.860 95% CI=3.757~6.286)이 당뇨병 유병이 높았다. 결혼상태에서는 미혼에 비해 배우자 없음(유배우자,별거/사별/이혼)과 배우자 있음(유배우자, 동거)이 당뇨병 유병이 더 높았으며, 직업은 상용직에 비해 무급(무급가족종사자/비경제활동/실업)이 당뇨병 유병이 더 높았다(OR=1.207 95% CI=1.019~1.431). 낮은 사회경제적 위치는 당뇨 유병을 증가시키지만, 스트레스의 정도에 따른 당뇨병 유병의 차이는 확인되지 않았다. 특히, 사회경제적 위치에 따른 당뇨병 유병 영향에 대한 스트레스 정도의 보호 및 악화 효과도 확인하지는 못했다. 하지만 이 연구에서는 당뇨병 유병 요인 중 스트레스를 연구할 때, 측정의 문제와 역인과성 및 누적효과를 고려해야 함을 시사한다. 그뿐만 아니라, 당뇨병의 중재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을 고려할 때 인구학적 특성, 사회경제적 위치를 고려한 중재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한국 성인의 사회경제적 위치와 구강건강 형평성의 관계

        조남억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박사

        RANK : 233293

        구강건강상태는 여러 사회경제적 위치들과 관련이 있다. 20세기 후반기 이후 사회경제적 불평등이 심화되면서 구강건강불평등도 심화되어왔다. 여러 선진국에서는 구강건강불평등에 대한 여러 가지 기초자료들을 모으고, 이 문제를 사회적 이슈화하여 정책적으로 문제 해결하기 위하여 노력하고 있다. 하지만 한국에서는 아직 구강건강 불평등에 대한 연구가 매우 부족한 상태이다. 본 연구에서는 2006년 전국구강건강실태조사 자료를 통계분석하여 한국 성인들의 사회경제적 위치와 구강건강 형평성의 관계를 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무치악자율에 대하여 교육수준이 12년 초과인 집단을 기준으로 12년 미만인 집단의 교차비(OR, odds ratio)가 3.10으로 나타났다(P<0.05). 소득수준에 따른 집단 간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2. 치주염 유병률에 대하여 월평균 가구소득이 301만원 이상인 집단을 기준으로 101~200만원, 100만원 이하인 집단의 교차비(OR)가 각각 1.54, 1.52로 나타났다(P<0.05).교육수준에 따른 집단 간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3. 현재치아수 20개 미만 보유자율에 대하여 소득수준이 301만원 이상인 집단을 기준으로 100만원 이하인 집단의 교차비(OR)가 1.41로 나타났다. 교육수준이 12년 초과인 집단을 기준으로 12년과 12년 미만인 집단의 교차비(OR)는 각각 2.18, 3.75로 나타났다(P<0.05). 4. 기능치아수 20개 미만 보유자율에 대하여 소득수준이 301만원 이상인 집단을 기준으로 100만원 이하인 집단의 교차비(OR)가 1.31로 나타났다. 교육수준이 12년 초과인 집단을 기준으로 12년과 12년 미만인 집단의 교차비(OR)는 각각 1.65, 3.14로 나타났다(P<0.05). 5. 사회경제적 구강건강 형평성을 설명하는 데에 기능치아수 20개 미만 보유자율 지수(R-square=0.522)가 현재치아수 20개 미만 보유자율 지수(R-square=0.467)보다 더 효과적으로 설명하였다. 2006년도 한국 성인에서 사회경제적 위치에 따라 구강건강 비형평성이 존재하였다. 앞으로 사회경제적 위치들에 대한 구강건강 형평성 실태조사 연구가 계속되어야 하며, 구강건강 비형평성을 일으키는 기전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고, 구강건강 비형평성을 감소시키려는 정책이 필요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