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디지털사진의 導入과 그 影響에 관한 硏究 : 광주지역신문을 중심으로

        吳永祥 광주대학교 1999 국내석사

        RANK : 247807

        컴퓨터를 이용해 이미지파일로 처리되는 디지털사진은 신문제작과정에 있어서 사진제작과정을 변화시켰으며 비주얼편집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국내 신문의 편집방향이 보는 신문으로 급변하면서 가로쓰기와 섹션면 제작으로 사진의 크기부터 달라졌으며 컬러면이 증면됐다. 이러한 지면의 변화가 새로운 CTS의 도입을 부채질했으며 CTS도입은 곧 디지털사진의 도입으로 이어졌다. 광주지역 신문은 새로운 신문의 창간과 함께 지면경쟁과 장비경쟁이 치열했으며 이 과정에서 1990년 후반에 노트북컴퓨터를 이용한 디지털사진 전송 시스템이 도입되었으며 연합뉴스의 전송사진을 무궁화위성을 이용한 디지털사진으로 수신하기에 이르렀다. 디지털카메라가 도입돼 현상과정을 거치지 않고 사진전송을 하는 신문사도 있다. 이러한 디지털 사진의 도입 초기단계를 거쳐 토털시시템 차원에서 디지털사진의 도입은 역시 모든 자료의 DB가 가능한 제4세대 CTS의 도입이 이루어지면서 가능하게 됐다. 모든 사진자료는 온라인(on-line)으로 입력되며 입력된 자료는 제작담당 데스크에 배달된다. 전남일보와 광주매일의 시스템은 내부, 출장전송, 연합, 공동취재단 사진이 한 곳에 모아지며 온라인(on-line) 출고된다. 완전한 형태의 화상DB는 아니지만 자료의 가상본을 온라인(on-line)으로 검색, CD로 저장, 출고하는 시스템이 구축되기도 했다. 광주지역신문에 1990년대에 본격적으로 도입된 디지털사진은 신문제작에 있어서 많은 변화를 가져왔다. 1999년 6월 현재 29개 지방자치단체중에 22개 지방자치단체가 사진전송 시스템을 구축, PC통신 전자우편이나 인터넷 E-mail을 통해 전송하고 있다. 이러한 지방자치단체와 출입처의 전송사진의 양적 팽창은 보도사진의 질적 저하도 가져왔다. 1997년 IMF관리체제를 거치면서 디지털사진의 도입 결과 사진기자인원을 줄이는 또 하나의 원인이라 할 수 있다. 경영악화로 감면을 한 지역신문의 경영진은 지방자치단체와 출입처가 전송한 사진으로 지면을 만들어 가면서 사진기자 수를 줄였다. 디지털사진은 사진전송을 빠르고 쉽게 할 수 있기 때문데 재택근무 형식의 프리랜서 그룹이 탄생하고 있기도 한다. 이 밖에 디지털카메라를 도입, PCS폰과 같은 이동전화기를 이용하거나 위성전화를 이용한 초고속 사진전송기술 도입이 시작됐으며 기존의 인화지 개념의 사진자료 관리 시스템이 화상DB 시스템으로 바뀌고 있다. 디지털사진의 발달로 야기된 윤리문제는 이 지역 신문에서는 크게 문제되지 않고 있지만 지방자치단체에서 전송한 사진을 자사 지역주재기자명으로 도용하는 사례가 빈발하고 있어 저작권 침해 차원에서 큰 문제점이라 할 수 있다. The digital photography is produced on an image file of the computer. It changed the photography manufacturing process in the production of the newspaper, in addition to playing a major role in visual editing. As the editing policy of the nation's newspaper rapidly changed in the direction of a newspaper to be seen, not to be read' in recent years, they began to introduce horizontal writing' and section pages. Accordingly, the size of the photographs also changed, coupled with increased color pages. These changes in the newspapers advanced the introduction of CTS that in turn led to the introduction of the digital photography. With inauguration of new newspapers, the newspapers in the Kwangju region got involved in fierce competieion in terms of paper space and equipment. In the process, the digital photograph transmission system employing a notebook computer was introduced in the late 1990s. And it became possible to receive the photographs transmitted by Yonhap Nwes in the form of ddigital photograph via Korea's Moogunhwa satellite. Some newspapers introdused the digital cameras that enable photograph transmission without a development process. Following the initial stage of the digital photography, the introduction of a comprehemsive digital photography system was made possible with the introduction of the fourth-generation CTS that made possible the construction of a database for all the relevant data. All the photo data are inputted on-line and the inputted data are delivered to the production desk. In case of the Chonnam Ilbo and Kwangju Maeil, the two major daily newspapers in the Kwangju area, the internal photographs from the pool and Yonhap are all relayed to a center and then forwareded on-line to the production desk. Although this system falls short og a complete form of an image database, it can search the provisional versions on-line, save them on the CD, and deliver them fir production. The digital photography was introduced on a full scale in the 1990s into the newspapers in the Kwangju area. It brought about many changes in the production of the newspaper. As of June 1999, 22 out of 29 local self-governing bodies have constructed the photograph transmission systems and normally transmit the photos via PCS phone and E-mail on the internet. the number of the photographs from the lacal self-governing bodies and other news sources increased greatly in recent years but the increase in the quantity resulted in the decrease in the quality of the newspaper photographs. In the midst of the IMF supervision of the nation's econemy, the introduction of the digital photography system resulted in the layoffs of the photograph reporters. The newspapers in the Kwangju region were forced to reduce the number of pages due to the deteriorating managerial status. While cutting the number of the photograph reporters, the papers made use of the photographs transmitted directly from the local bodies and other news sources. In the meantime, freelancer photographs are emerging as a new source of photographs owing to the advanced technology of digital photography that makes photograph transmission easy and prompt. In addition the super-speed photograph transmission technology is being introduced together with the wider use of the digital cameras and the mobile and satellite telephones. And the traditiomal photo data management system based on the concept of print paper is giving way to the image database system. The ethical issue stemming from the development of the digital photography has not been so serious for the regional newspapers. But the papers often make a fraudulent use of the photos transmitted by the local bodies in the name of their own reporters. This practice may be a serious problem as it violates the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 시니어 인지건강을 위한 사진 아카이브 플랫폼 구상

        박소진 韓國外國語大學校 大學院 2021 국내석사

        RANK : 247807

        Since the enactment of the Public Records Act in 1999, archives in Korea have been recognized as a physical data repository for administrative records produced based on the work of public institutions. However, as more paper records have been converted to an electronic format recently, it is necessary to utilize a logical approach instead of preferring records on paper. Accordingly, this study seeks to incorporate the online photo archives of public institutions in the realm of social welfare, converting the "value of information" found in photographs into "the value of recollection" that would enable senior citizens to reminisce about the key moments of their lives. In addition to offering the images required for reminiscence therapy, by encouraging elderly people to share their old personal photos, this research endeavors to present an online photo archive platform where older adults as well as various generations can communicate via images. Reminiscence therapy, as one of the methods that can prevent depression and early dementia, helps individuals recall meaningful memories that took place during their lifespan development process, and this therapy can result in self-integration to restore self-esteem as well as to stimulate cognitive function by allowing them to reflect on the psychological condition at those moments.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reminiscence therapy combined with the use of photos, its effect has already been demonstrated through a number of domestic and external studies. To verify the above statement, this paper went through the following process. First, this study analyzed writing examples of photographic autobiography that had previously been conducted with the elderly. This included analyzing the relevant keywords collected from personal photographs that senior people had selected by life stage when they were organizing their life events, and it also involved categorizing the photos by type according to the lifespan development proposed in psychology. Second, the present study identified the status of photo archives in public institutions. Examining the photo records that are offered online by the Seoul Metropolitan Archives and the National Archives of Korea showed that the images were categorized by age and topic beneficial for recollection, and this paper analyzed images that would easily bring back memories afterward. Third, based on the above processes, by comparing as well as contrasting personal photographs and photo records of public institutions to match similar images, this study held workshops to ensure that public photo records could evoke past memories for senior people when used in place of personal images. Last, predicated on the analysis of survey responses and other earlier studies, the types of photo records of public institutions that can aid the recollection process of the elderly were identified as part of this study, and building on such an effort, the establishment of an online archive platform that can be connected to the photo link of the National Archives of Korea, which operates an open API, has been proposed. As suggested in this paper, the aim of utilizing public photo archives, which only had values as a record, as a social welfare tool was to connect citizens in various areas and reduce social costs through such connections. As a matter of fact, in 2020, Korea has become a super-aged society, and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announced the Fourth Dementia Plan and presented "proactive dementia management centered on prevention" as a major task. If converting the use of archives can prevent dementia in an aging society, the role expansion of archivists as well as archives will become a reality, and it will promote the utilization of such useful records in public as well. Building on such confidence, this paper attempted to propose a practical methodology.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will function as relevant as well as a significant case study. 1999년 공공기록법 제정 이후, 한국에서의 아카이브는 공공기관에서 공적 업무 행위를 토대로 생산된 행정기록을 모아놓는 물리적 보관소로 인식되어 왔다. 하지만 종이기록에서 전자기록으로 진입하는 현 시점에서는 기록에 대한 물리적 접근 보다 논리적 접근 방법을 모색해야 한다. 이에 본 연구는 공공기관의 온라인 사진 아카이브를 사회복지의 영역으로 편입시켜 사진기록이 지닌 ‘정보의 가치’를 시니어가 자신의 삶을 스스로 회상할 수 있도록 돕는 ‘회상의 가치’로 변경하고자 했다. 회상 요법에 필요한 이미지를 서비스 함과 동시에 시니어 스스로 자신의 개인 사진을 공유하며 소통하는 사진 아카이브 플랫폼을 제안했다. 우울증 및 조기 치매 예방법 중 하나인 회상 요법은 개인의 생애 발달 과정의 단계에서 의미 있는 기억을 중심으로 회상을 돕고, 당시의 심리 상태를 고찰하도록 해 인지 기능을 자극함과 동시에 자존감을 회복시키는 자아통합의 기능이 있다. 특히 사진을 매개로한 회상 요법의 경우 이미 국내·외 다수의 연구를 통해 그 효과를 입증하고 있다. 이를 뒷받침하기 위해 첫 번째로 본 연구자가 기존에 시니어와 진행해 온 사진 자서전 쓰기 사례를 검토했다. 시니어가 직접 자신의 삶을 정리할 때 뽑았던 생애 주기별 개인 사진의 키워드를 분석하고, 심리학 영역에서 제안하는 생애 발달 주기에 맞춰 사진을 유형별로 분류하였다. 두 번째로 공공기관의 사진 아카이브 현황을 파악했다. 서울기록원과 국가기록원에서 온라인으로 서비스 하고 있는 사진기록을 살펴 회상에 유의미한 시대상 및 주제 등이 분류되어있는 것을 확인하고 회상에 용이한 이미지들을 분석했다. 세 번째로 앞선 1,2번 과정을 토대로 개인 사진과 공공기관의 사진기록을 비교, 대조하여 유사한 이미지들을 뽑아 매칭 시키고, 실제 시니어를 대상으로 삶을 회상하는 워크숍을 진행,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3단계 연구와 설문조사의 답변을 기반으로 시니어의 보편적 회상을 돕는 공공기관의 사진기록 유형을 파악하고, 이를 토대로 오픈API를 서비스하고 있는 국가기록원의 사진 링크를 연결한 온라인 아카이브 플랫폼 구축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기록을 토대로 다양한 영역의 시민들을 연결하고, 그 연결을 통해 사회적 비용을 줄이기 위함이다. 실제 한국은 2020년 초고령 사회로 접어들었고 이에 보건복지부는 제4차 치매관리종합계획(안)을 발표하며 주요 과제로 ‘예방 중심의 선제적 치매 관리’를 제시했다. 고령화 사회 치매 예방에 아카이브 그 쓰임을 전환해 도움을 줄 수 있다면, 아카이브는 물론 아키비스트의 역할 역시 더욱 확대될 것이며 아카이브의 공공성 또한 돋보일 것이다. 이런 믿음을 토대로 해당 논문에서는 실제적인 방법론을 제안하고자 한다.

      • 산책활동 사진 찍기에 나타난 유아의 경험 탐색

        장창식 인천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807

        ABSTRACT A Searching for the Infant’s Experience appeared at the Photo Taking during Activities of Going for a Walk Jang, Chang sik Major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Gradate School of Education Incheon National University, This study aims at exploring what infants experience as they take a walk around their nursery, take photographs and appreciate the photographs taken. With this aim,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were set up. 1. What are the experiences of infants in their activities of taking photographs while taking a walk? 2. What does the infant's experiences mean? The study covered ten infant samples aged 3∼5 from N Nursery located in Incheon Metropolitan City, the Republic of Korea. The research took place over a period from September 1 to October 14, 2014, during which the infants took a walk, took photographs and appreciated them. The infants learned about the functions and usage of digital cameras, followed by activities of 'photographing' and 'appreciating'. The photographing excursions took place both indoors and outdoors twice a week for about 100 minutes in the mornings. The analysis data were collected based on ethnographic methods to increase feasibility and reliability of the qualitative study. They include the researcher's diary, interviews with teachers, photographs taken by infants and other video materials. The data collected were integrated and transcribed. They were categorized into the four stages of discovery of subjects and the meanings were categorized into three stages for interpretation.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based on the infants' experiences with photographing while taking a walk, they were divided into (infants revealing explorative aptitudes), (infants of creative thinking) and (infants who share and express). The infants explored the nature. They experienced the joy of new discoveries in the nature while taking photographs and taking a walk. They developed ideas creatively, asked questions and created exciting episodes. Also, the infants' photographs provided circumstantial contexts, enabling them to be effectively reminded of their walking and stimulated them to imagine. This empowered them to ask new questions again. Second, the infants' experiences of taking photographs while taking a walk meant (comparing the current experiences with the existing knowledge, integrating and revising them), (changing and promoting awareness of life as a value system), and (growing through experiences and sharing information). The infants were delighted to help, share and solace while taking a walk and photographing. Also, their value system of life changed in a way to perceive the nature as life. The infants' personal experiences extended to collective experiences while they shared experiences and information while understanding mysterious natural phenomena along with the nature's continuity as a principle and appreciating photographs. This enriched the infants' walking experienced. 국문초록 산책활동 사진 찍기에 나타난 유아의 경험 탐색 이 연구는 유아들이 어린이집 주변의 자연을 산책하며 사진을 찍고, 찍은 사진을 감상하는 과정에서 유아들이 어떠한 경험을 하는지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따라서 위의 목적에 따라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1. 산책활동 사진 찍기에 나타난 유아들의 경험은 어떠한가? 2. 산책활동 사진 찍기에 나타난 유아들의 경험에 대한 의미는 무엇인가? 이 연구에 참여한 유아는 인천광역시에 소재한 N어린이집에 재원 중인 만 3∼5세 통합 반 유아 10명이었다. 연구과정은 2014년 9월1일부터 2014년 10월14일까지 이루어 졌으며, 유아들은 산책을 하며 사진을 찍고 찍은 사진을 감상하는 활동을 경험하였다. 활동의 과정은 디지털 카메라의 기능과 사용법에 대한 준비하기를 거친 후 ‘사진 찍기’, ‘감상하기’의 순으로 진행되었다. 사진을 활용한 산책 활동은 주 2회 1시간 40분 정도 오전 일과 중에 편성하여 실내, 외 환경에서 이루어졌다. 분석 자료는 질적 연구의 타당도와 신뢰도를 높이기 위하여 문화기술적 연구방법에 의해 수집된 자료들로 연구자의 연구 일지, 교사 면담 자료, 유아들이 찍은 사진, 비디오 녹화 자료가 있다. 수집한 자료는 통합한 후 전사하여 주제의 발견이라는 네 단계의 과정을 거쳐 범주화 하고 다시 그 의미를 세 단계로 범주화 한 후 해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산책활동 사진 찍기에 나타난 유아의 경험은 (탐구적 자질을 발화하는 유아),(창의적으로 사고하는 유아), (나누고 표현하는 유아)로 나타났다. 유아들은 자연을 탐구하는 경험을 하였다. 유아들은 사진을 활용한 산책활동을 통해 자연에서 새로운 발견의 기쁨을 경험하며 창의적으로 사고하고 새로운 질문을 하였으며 재미있는 에피소드를 만들어 내었다. 또한 유아들이 산책활동을 하며 찍은 사진은 유아들에게 상황적 맥락을 제공하여 산책 경험을 효과적으로 회상하고 표상하게 하였으며 , 상상의 세계로 이끄는 자극제가 되어 또 다시 새로운 질문을 만들어 내게 하는 힘이 되었다. 둘째, 산책활동을 통한 사진 찍기에 나타난 유아의 경험에 대한 의미는 (현재의 경험을 기존의 지식에 비교, 통합하고 수정하기), (생명에 대한 가지관의 변화 및 증진), (경험과 정보의 공유를 통해 함께 성장하기)로 나타났다. 유아들은 산책활동에서의 사진 찍기를 통해 서로 돕고, 나누고, 위로하는 경험을 통해 함께하는 기쁨을 느끼게 되었다. 또한 자연을 생명으로 인식하는 생명에 대한 가치관의 변화를 보였으며, 신기한 자연현상을 이해하고 자연에 대한 연속성의 원리를 알아가고 사진을 감상하는 가운데 서로의 경험과 정보를 공유함으로써 개인적인 경험이 전체의 경험으로 확장됨에 따라 유아들의 산책활동은 더욱 풍부해졌다. 주제어: 산책활동, 사진 찍기, 유아의 경험

      • 다큐멘터리 사진의 제작과 활용을 통한 비주얼 리터러시 신장 방안 연구 : 휴대폰 카메라를 이용하여

        박상돈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807

        시각이미지는 정보의 전달과 수용에 있어서 다른 정보의 전달 방식보다 매우 용이하며 효율적 방법으로 활용되고 있다. 오늘날 청소년들에게 있어 이러한 시각적 이미지를 이용한 의사전달 방법은 매우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고 있다. 지금까지 수용자로서의 역할을 수행해 왔던 청소년들이 시각문화를 직접 제작 활용할 수 있는 친숙한 매체가 활성화 되었으며, 이러한 변화는 청소년들이 시각문화의 단순한 소비자에서 생산자로 역할 이동을 가능하게 하였다. 오늘날의 미술교육은 청소년들의 이러한 시각문화 경험의 흐름을 직시하지 못하고 전통적 미술교육의 형태를 답습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상황에서 청소년들에게 다양한 시각문화 환경에서 무분별하게 제작, 활용되고 있는 시각 이미지의 올바른 제작과 활용에 관한 인식의 전환을 갖게 해야 한다는 필요에서부터 출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시각문화에 관한 비주얼 리터러시를 함양 시킬 수 있는 교육적 방안에 대한 모색으로, 휴대폰 카메라를 매체로 다큐멘터리 사진을 제작하고 활용하는 실제적 방안을 구성해 보았다. 휴대폰은 청소년들에게 다양한 시각문화를 경험할 수 있는 가장 대표적이며 친숙한 도구 중 하나이다. 휴대폰은 음성 통화나 문자 메시지를 주고받는 단순한 통신 수단이 아닌 다양한 형태의 시각문화를 이용할 수 있으며, 직접 제작하고 이를 활용하여 활발한 의사소통을 할 수 있는 일상적 매체이다. 또한 다큐멘터리 사진은 시각문화 생산의 체계적 방법과 분석적 안목, 다양한 활용 가치를 지닌 영역으로서 비주얼 리터러시 신장의 실제적 도구로서 활용가치가 매우 높다. 휴대폰 카메라를 이용한 다큐멘터리 사진 제작을 통한 비주얼 리터러시 신장 방안으로, 다큐멘터리 사진에 대한 종합적 이해를 통해 시각문화 전반에 대해 폭넓게 인식할 수 있게 하였다. 일상성과 활용성이 뛰어난 휴대폰 카메라를 이용하여 체계적으로 이미지를 제작하고, 제작된 다큐멘터리 사진에 대해 학생 상호간의 평가를 통하여 분석․선별 할 수 있도록 하였다. 선별된 사진은 블로그에 탑재하여 학생들의 활발한 의사소통이 이루어지도록 하였으며 이 과정에서 다큐멘터리의 특성과, 시각 요소들을 반영하여 상호평가가 이루어지도록 하였다. 이러한 일련의 과정을 통해 얻어진 경험들을 바탕으로 학생들은 사진 제작을 위한 장소와 시간의 적절성에 관한 목록, 윤리규범을 직접 작성하였다. 이는 시각 이미지 제작과 활용에 관해 체계적으로 사고하는 경험의 기회를 갖게 하기 위함이다. 이러한 과정은 비주얼 리터러시의 구성요소인 시각적인 사고와, 시각적 학습, 시각적 의사소통의 과정을 순차적으로 경험할 수 있는 구성이다. 이러한 내용으로 구성된 수업은 총 7차시로 진행하였으며, 본 연구자 수업에 참여하는 남녀 공학, 인문계 고등학교 1학년 40명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이상과 같은 내용으로 진행된 수업을 통해서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다큐멘터리 사진의 이해를 통해 학생들이 지금까지 쉽게 경험해 왔던 다양한 형태의 시각문화에 대한 일반적인 이해의 폭을 넓힐 수 있었다. 둘째, 휴대폰 카메라를 이용한 다큐멘터리 사진 제작은 학생들이 일상적으로 경험 할 수 있었던 기존의 사진 제작의 방법이 아닌 체계적인 절차를 통해 이루어짐으로써 학생들이 시각 이미지의 제작에 있어서의 문화적 합목적성을 갖게 되었다. 셋째, 다큐멘터리 사진 제작 능력의 향상을 가져왔다. 학생들은 주제 표현을 위한 대상에 대한 접근 방법의 다양성을 보여주고 있으며, 사진 제작의 시각요소 구성능력이 신장되었다. 넷째, 블로그를 활용한 상호 평가는 학생들이 지금까지 시각이미지를 바라보던 유희적 관점에서 벗어나 분석적 태도를 갖게 하였다. 다섯째, 학생들이 스스로 작성한 장소와 시간의 적절성, 윤리 규범은 시각이미지를 제작하고 활용하는데 있어서 합리적이며 윤리적 범주에 관한 의식을 함양하게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서 시각적 이미지의 합리적 제작 방법의 경험과 제작 능력의 향상, 분석능력의 함양, 제작된 이미지들의 활용에 관한 윤리적 인식을 도출 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다큐멘터리 사진의 제작과 활용을 통한 수업 방안은 비주얼 리터러시 신장이라는 본 연구의 목표를 달성하기에 적절하게 구성되었고, 실제적으로 활용 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와 같은 휴대폰 카메라를 이용한 다큐멘터리 사진 제작을 통해서 학생들은 시각문화의 올바른 생산과 이해, 활용에 관한 체험적 학습 경험을 할 수 있었다는 점에서 그 의미하는 바가 크다고 할 수 있다.

      • 랄프 깁슨 사진에 나타난 단편 이미지 연구 : 사진 인덱스의 존재론적 개념을 중심으로

        김수연 홍익대학교 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논문은 랄프 깁슨 Ralph Gibson 의 단편 이미지를 사진 인덱스의 존재론적 관점에서 분석하고자 한다. 1970년 그의 첫 사진집 『The Somnambulist』에서부터 출발된, 전시와는 다른 책이라는 매체는 그의 시각을 잘 전달해 준다. 본 논문에서는 2001년에 만들어진 『Ex Libris』를 중심으로 깁슨 만의 단편이미지를 통해 보이지 않는 존재를 논하고자 한다. 2장에서는 그에게 큰 영향을 준 초현실주의와 미니멀 아트에 대한 연구를 통해 깁슨의 사진과의 유사성과 차이를 살펴본다. 깁슨의 초기 사진집 『The Somnambulist』는 초현실주의와 깊은 관련을 맺고 있으며 그곳에서 보이는 초현실성은 현실을 떠난 것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현실 속에서 초현실의 세계가 드러나는 것이다. 그는 분명 한 현실 속에서 신호의 출현을 감지하게 된다. 또한 그의 사진집 『De´ja`-Vu』(1972), 『Days at Sea』(1974)에서 보여지는 이미지는 초기의 초현실주의의 경향보다는 미니멀 아트와의 관련성을 가지며 점진적으로 더 단순하고 그래픽적으로 변한다. 미니멀 아트의 탁월성은 선택과 벗겨내기에 있는데 벗겨낸다는 것은 의미를 숨기고 감춘다는 의도보다 반대의 의미가 더 강하다. 미니멀 아트에서 보이는 시각적 텅 빈 상태와 본질이 깁슨의 사진에서는 단편적인 이미지로 나타난다. 3장에서는 깁슨의 단편적 이미지 안에서 보이지 않는 것은 재현된 이미지속에서 어떻게 나타나는지 연구하고자 한다. 재현이 실재가 된다는 것은 보여지는 외양만 말하는 것이 아니라, 경험 속에 포함된 이중의 것, 즉 의식과 무의식, 표현 가능한 것과 표현 할 수 없는 모든 감정을 포함한다. 장 보드리야르 Jean Baudrillard는 '파생 실재'라는 단어를 사용하여 현실과는 다른 입체 영상에 대해 말한다. 그러나 깁슨의 단편 이미지에서 보이는 것은 파생실재가 아닌 현실과 관계한다. 그의 단편 이미지는 분명한 형태를 지니고 있으면서 동시에 불확실한 무엇인가를 포함하고 있다. 깁슨의 사진에서 포착되어진 비물체성을 말하기에 앞서, 눈에 보이는 그림에서 먼저 보이지 않는 실재를 이해하고자 한다. 들뢰즈는 프란시스 베이컨 francis Bacon의 그림을 통해 보이지 않는 실재를 '돌발흔적'이라는 단어를 사용한다. 들뢰즈가 베이컨의 그림에서 말한 돌발흔적은 사진 이미지에 있어 사건에 해당한다고 말할 수 있다. 베이컨이 바라본 사물은 구상과 돌발흔적을 합친 것으로 이들은 서로 조화를 이룬다. 사진에 있어서 돌발흔적은 베이컨의 그림에서처럼 구상과 분리 될 수 없으며 기표는 직접 기록된다. 깁슨에 의한 단편적 이미지는 시각적 동등물이 되기 위해 기호로 작용하고 있다. 그런데 기호들은 인간의 의사소통에 필요한 전언을 구성한다. 발송자가 어떤 전언을 발생하면 그것을 받는 수신자는 머릿속의 개념과 함께 작용하여 반응하게 된다. 깁슨의 단편 이미지는 이런 언어학과 관련이 있다. 그러나 그의 단편적 이미지는 언어로 명확하게 말할 수 없는 비언어적 이미지로서, 바르트에게 있어 제 3의 의미인 무딘 의미는 깁슨의 단편 이미지의 보이지 않고 말로 표현 불가능한 것의 이해를 돕는다. 4장에서는 퍼스 사상을 통해 현실을 중요하게 생각했던 깁슨의 시각과의 관련성을 찾아본다. 깁슨의 단편 이미지에 있어서, 퍼스 사상에서 중요한 것은 대상체에 속하는 지표이다. 그의 단편 이미지 속에서 보이지 않는 그 무엇은 반드시 표면과 함께 나타난다. 그러므로 그의 이미지의 출발은 시각적 관찰에서 출발한다고 볼 수 있다. 그리고 깁슨의 시각은 감각으로 이동된다. 감각에 의해 포착된 이미지는 형이상학적인 존재를 포함하는데 그것은 깁슨이 찍었던 종이 사진에서 발견할 수 있다. 또한 깁슨은 딥틱을 이용하여 단편이미지에서 드러나는 생성을 더욱 극대화 시킨다. 깁슨의 단편적 이미지는 보여지는 외양의 모방이 아니라 외양과 존재의 동시발견과 기록이라고 말할 수 있다. 그의 사진집 『Ex Libris』에 나오는 지시하는 손의 사진은 사진 인덱스 이론과 연관성을 갖는다. 『Ex Libris』에 나오는 단편 이미지들은 존재의 증거로 남고, 과거를 미래로 가져오며 현재는 과거 속으로 끌려들어가게 하여 의미의 역설을 만든다. 또한 깁슨에 의한 단편 이미지는 이미지 자체의 텅 빈 의미를 관객으로 하여금 채우게 하고 있다. 그의 사진에서 보이는 검정은 보이지 않는 실재의 역할을 한다. 그런데 보이지 않는 실재는 소멸과 출현이 동시에 일어나는 운동을 반복한다. 이렇게 그의 사진집 『Ex Libris』는 사진 인덱스의 존재론적 관점을 논하는데 도움을 주고 있다.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segmental images of Ralph Gibson's photographs in the ontological perspective of photo index. His viewpoints were claimed more apparently not in the exhibition but in the printed medium like books, for example, his first photo collection 『The Somnambulist』 which was published in 1970. This thesis adopts 『Ex Libris』 as its main analytical tool to discuss Ralph Gibson's conception of invisible existence. In chapter two this paper sheds light on the influence of Minimal Art on his photography in comparison of similarities and disparities between Ralph Gibson's and Minimalist works. His early photo collection 『The Somnambulist』 is closely related to Surrealism. Surreality in the collection means no departure from reality, but rather revealing a surreal world within the reality. In his other collections such as 『De´ja-Vu』(1972) and 『Days at Sea』(1974) some images have more obvious affinities to Minimal Art than to Surrealism of his early works. Such images become gradually simple and graphic-like. It is often said Minimal Art is outstanding in its "selecting" and "discovering". The "discovering" means here the opposite of "hiding" or "keeping back". In chapter three it is reviewed how the invisible within Gibson's fragmental imagery appear in the reproduced images. Something becomes the real through representation. In this case, the representation means including all duality of experience, consciousness and unconsciousness, expressible and unexpressible feelings, rather than indicating merely appearance that is seen. The term used to refer to this reproduction by Jean Baudrillard is "hypere´el'(hyperreal). But Gibson's segmental imagery has something to do with reality. It has obvious shape and simultaneously something ambiguous. Prior to alluding to "non-materiality" in his pictures, the presence of invisible reality in his visible photographs has to be first understood. To indicate this invisible reality the term "accidentel"(accidental trace) has been used by Gilles Deleuze in analyzing works of francis Bacon. It can be said that an accident in photography is equivalent to the "acidentel". For Bacon, an object is the merger of figuration and this accidental trace. They are in harmony with each other. The accidental trace like in Bacon's paintings is in no way kept apart from figuration. Gibson's segmental imagery is like a sign visually equivalent to reality. His photographic imagery has to do with linguistics: The sign conveys a verbal message necessary to communicate with each other. His imagery is of course a non-verbal language that is not clearly defined. One of Roland Barthes conceptions of signification, "le sens obtus" language helps to fathom the meaning of his "fragmental" imagery. In chapter four it examines the theory of Peirce in connection with the Gibson's perspectives which considers reality quite significant. What's important in his theory as well as in Gibson's segments is the surface of all objects. In his segments something invisible necessarily appears along with the surface, hence the imagery starting from his visual observation moves to a tactile quality. The imagery captured by a tactile sensation seems to embrace a metaphysical being. An outstanding example of this imagery is found in his photographed paper works. Through the use of "Diptych" Gibson further expands the meanings of his fragments. Gibson's segment is not simply imitating appearance; rather it is discovering and recording its reality along with its appearance at the same time. The fragmental images shown in 『Ex Libris』 including the image of pointing hand are a good example of his index theory. The images are the evidence of existence and bring the past to the future and vise versa, evoking a paradox of meanings. His images also allow the viewers to fill up its emptiness. The black part visible in his picture is regarded the real invisible which repetitively emerges and simultaneously perishes. Like this, his photo collection 『Ex Libris』 helps to discuss photo index theory in the perspective of ontology.

      • 일제시대 학술조사 사진 아카이브에 대한 연구

        선일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7807

        사진은 발명 초기부터 별다른 이견 없이 그 증거로서의 능력을 인정받았으며, 이후 모든 근대적 학문의 객관적 증거로서의 소임을 다 해왔다. 이러한 사진의 객관성에 대한 믿음의 밑바닥에는 사진의 제작은 빛과 화학 작용에 의한 자동적인 메카니즘이라는 생각이 깔려있다. 그러나 사진이 학문의 자료로서 객관성을 인정받게 된 것은 사진의 이러한 물리적 속성에 기인한 것이 아니라, 오히려 17세기 이래로 학문의 기초가 되는 ‘관찰’이라는 행위에 있어서 시각에 주어졌던 거의 절대적인 특권에 의한 것이었다. 결국 사진의 탄생은 학문과 인식체계상에서 시각적인 것의 중요성이 높아지는 것에 비례해 요구되는 객관적인 재현을 위한 장치로서 발명된 것이라 할 수 있다. 사진이 발명된 초창기에 중요한 용도의 하나인 초상사진은, 상승중인 사회계급에 속한 개인들이 자신의 지위상승을 보여주고, 또한 상류계급에 자신을 속하게 하는 상징적 행위의 하나였다. 초상화보다 훨씬 저렴한 가격에 만들어지는 초상사진은 그 향유계층을 폭발적으로 증가시켰으며, 이는 이미지소유 계층의 확대를 가져오는 민주적인 역할을 담당했던 것으로 볼 수 있다. 그러나 다른 한편 사진의 객관성에 바탕을 둔 범죄 아카이브의 발전은 사진 이미지가 정치적, 물리적 지배로 이어지는 과정을 보여준다. 파리 경찰의 관리였던 알퐁스 베르티용(Alponse Bertillon)은 범죄자의 사진을 이용한 최초의 근대적인 범죄 인식체계를 만들어내었다. 결국 최초의 사진 아카이브는 범죄자를 대상으로 그들을 분류하고, 그 결과로 그들을 통제하기 위해 만들어졌던 것이다. 이렇게 사진의 표현양식은 본받아야 할 모범으로서의 인간과 처벌받아야 하는 범죄자로서의 인간을 구분하고, 그 결과 이중의 감시와 통제기능을 갖추게 된 것이다. 한반도에 사진이 본격적으로 수입되어 비로소 사진기록이 만들어지기 시작할 즈음, 역사의 소용돌이는 대한제국을 일본의 식민지로 만들어버리고 말았다. 그 결과 일본의 식민통치기간동안 많은 사진들이 일본인들에 의해 촬영되었고, 그 사진들은 당시의 한반도라는 지역을 객관적으로 보여주는 증거로서 국내는 물론 세계 각국으로 퍼져나갔다. 이렇게 일제시대에 만들어진 기록사진들은 근대기 한국의 생활을 보여주는 데 더없이 귀중한 자료들이다. 그러나 이들 사진이 일본의 식민지배를 위한 한반도에 대한 조사사업의 결과로 만들어진 것이라는 점은 부인할 수 없다. 당시의 학술조사 중 가장 방대한 사진 아카이브를 구축한 것은 고적조사사업이었다. 이 사업은 일본의 건축학자인 세키노 타다시(關野貞, 1868-1935)가 주축이 되어 전국의 유적을 조사한 것이었으며, 그 과정에서 촬영된 사진 수 만점의 유리건판이 현재 국립중앙박물관에 소장되어있다. 그리고 이러한 고적조사사업의 집대성으로 발표된 것이 『조선고적도보(1915-1935)』였다. 사진 아카이브를 형성한 또 다른 조사로는 인류학적 조사를 들 수 있다. 당시 이루어진 인류학적 조사 중 가장 규모가 큰 것은 토리이 류조의 조사로, 그는 1911년부터 유적과 풍습, 그리고 인종학적인 조사를 펼치면서 많은 사진을 촬영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는데, 그 중 주목할 것은 전국의 주민의 신체를 측정한 사진이다. 당시 그는 전국 140여 지역에서 현지 주민의 모습을 촬영한 사진을 남기고 있으며, 이 사진의 건판은 현재 세키노의 조사 때 촬영된 유리건판과 함께 국립중앙박물관에 소장되어있다. 한편 이보다 소규모의 사진 아키이브들도 만들어졌는데, 주로 민속 조사과정을 통해 촬영된 사진들이 주를 이룬다. 젠쇼오 에이스케(善生永助, 1885-?)는 『생활상태조사』를 통해 한 지역의 총체적인 모습을 보여주는 사진을 남기고 있으며, 무라야마 치준의 경우에는 주로 무속에 대한 사진을 남기고 있다. 이러한 식민지 조사, 연구, 그리고 식민지정책에 있어 큰 영향을 미친 것은 바로 일본의 고전, 즉 『고사기(古史記)』, 『日本書紀』 등에 대한 신앙에 가까운 집착을 보이는 국학(國學)의 전통이라 할 수 있다. 일본중심의 세계인식과 이민족, 특히 주변민족을 폄하하는 자민족 중심주의는 이러한 국학적 세계관에 의해 특수성을 갖게 되었다. 그리고 식민지의 연구의 또 다른 축을 이루는 것은 양학의 전통이라 할 수 있다. 이는 서구의 객관적 학문전통을 이어받은 것으로, 1920년대부터 대두하게 되어 식민지 연구에 경험적이고 실증적인 근대적 학문의 기초를 닦게 된다. 결국 일본의 조선에 대한 연구는 국학을 기반으로 한 자민족중심주의를 기초로 하고, 그 위에 서구의 객관적인 학문전통을 세운 이중적인 구조를 취하고 있었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그렇게 만들어진 지식은 역사학, 인류학 같은 근대학문의 이름으로 객관화되어 세계로 퍼져나갔고, 결국 세계가 조선을 바라보는 시각을 결정했다. 조선은 미개했으며, 고대로부터 일본의 지배를 받아왔고, 발전된 일본에 의해 하루 빨리 문명화 되는 것이 급한 상황이었다. 결국 사진은 그 자체로 식민지배의 일부가 되었던 것이다. 한편 서울대학교박물관에는 일제시대에 주로 1930년대에 촬영된 유리건판 1,300여 점이 소장되어있는데, 이들 유리건판 중 대다수를 차지하고 있는 조선과 만주 및 몽고 지역의 민속을 촬영한 사진이다. 이 사진들은 대부분 1930년부터 1940년 사이에 일본인 사회학자이며 민속학자인 아키바 다카시(秋葉隆, 1888-1954)와 아카마쓰 지조(赤松智城1886-?)가 한국과 중국의 민속을 조사하며 촬영한 것으로 밝혀졌다. 서울대학교박물관소장 유리건판의 가장 큰 특징은 미분류 상태라는 점이다. 이러한 이유로 인해 각각의 유리건판에 담겨있는 내용을 파악하는 것이 매우 어렵다는 단점을 지니고 있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아카이브가 구축되어있지 않은 원재료라는 특성으로 말미암아 아카이브에 들어가서는 안돼는 사진을 포함하고 있다는 점이다. 촬영자가 원하던, 원하지 않던 사진은 사물을 그대로 반영한다. 그러나 사진은 사물의 겉모습만을 반영하며, 수많은 우연으로 가득 차있다. 또한 사진은 대상의 모두를 담기엔 항상 부족하며, 다른 한편으로 담기 원하는 것보다 많은 것을 담고 있다. 특히 민속 사진과 같이 모든 요소를 조절할 수 없는 상황일 때, 이러한 우연적 요소는 더욱 많이 사진 속에 녹아들어간다. 우연적 요소는 잡음으로 간주되고, 이러한 잡음을 최대한 없애기 위해서 사진을 분류하고, 편집해서 아카이브를 만든다. 그러나 이러한 잡음은 사진을 다르게 읽을 수 있는 기초가 된다. 또한 아카이브는 사진의 의미를 규정한다. 아카이브 안에서 사진은 비로소 완결된 의미를 가지게 된다. 그러나 아카이브의 어느 곳에 사진이 위치하는가에 따라 사진의 의미는 다르게 읽힐 수 있다. 일제시대에 만들어진 수많은 사진들은 식민지배에 봉사하기 위한 체계를 가진 아카이브에 자리 잡고 있다. 이 아카이브를 넘어서 새로운 체계에 의한 아카이브를 세울 때, 일본인들에 의해 잡음으로 간주된 수많은 감추어진 사진의 내용을 새로운 아카이브에 의해 분류할 때, 비로소 이 사진들은 적합한 의미를 가지게 될 것이다. From its early days, photographs had been recognized as evidence, and hence been used throughout modern studies. Objectivity of photographs underlies the notion that a photographic process is an automated mechanism of light and chemical reaction. But photography has been accepted in the field of science not only for its physical properties, but rather for the privilege bestowed to the act of 'observation' that has bloomed in the 17th century. Therefore the invention of photography is linked to the human desire to produce objective visual reproductions. In its beginning days, one of most important usages of photography was portraits. By making portrait photography, climbing social class showed their rise, and at a same time it was a symbolic act of assimilating themselves to high society. Portrait photographs cost less than portrait paintings, resulting in tremendous popularity and performed a democratic role of expanding social classes who possess images. However, the development of criminal archives based on photography's objectivity showed how photographic images came under political and physical domination. Alponse Bertillon, an officer of the Paris police department, came up with the first modern criminal identification system. The first photographic archive classified and categorized criminals, and controlled them accordingly. Thus photographic presentation divided the respectful from the punishable, and as a result served as tool for surveillance and control. By the time photography was introduced and began to flourish, Japan colonized Korea. Consequently most photographs in the colonial era were taken by the Japanese, which was spread throughout the world to show Korea starkly. Those photographs are invaluable records of Korea at that time period, but it should be noted that they were made for research purposes whose main purpose was to aid the Japanese rule over their colony. Among the scientific research at that time, the most extensive photographic archive was those of historical remains. The Japanese architect Sekino Tadashi(1868-1935) lead the study of ruins, and the tens of thousands of dry plates taken in the process are currently kept at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The accumulation of the of research was published as 『Korean Historical Remains(朝鮮古蹟圖報)』. Anthropological research formed another archive. The biggest study was Tori Ryuzo(1870-1953)'s, from 1911 he photographed historical sites and customs, as well as carrying out ethnological studies, in which he photographed measurements of Koreans all over the nation. At the time he documented local inhabitants in approximately 140 areas, and the dry plates are stored in the Nation Museum of Korea along with Sekino's. In the mean time smaller photographic archives of ethnic customs were made as well. Zemsho Eisuke(1885-?) photographed and presented a overview of a specific area in 『Research on Living Conditions(生活狀態照査)』, while Murayama Chijun documented traditional shamanism. Colonial research, studies, and policies were heavily influenced by the near religious obsession with Japan's national literature such as『Ancient History(古史記)』, 『Japanese History(日本書紀)』, etc. The Japan-centered view of the world and other ethnic groups, especially the disparagement of neighboring countries brought about a self-centeredness that is characteristic of Japan's national literature. The other axis of colonial research was the western approach whose base was objective, empirical, and positivistic gained strength in the 1920's and formed the basis for colonial studies. Thus Japan's study of Korea was founded on chauvinism whose basis is the national literature, and built upon it the westernized objective study tradition. The output was objectified by modern studies as history and anthropology, which became the window through which the world viewed Korea. Korea was uncivilized, was governed by Japan in ancient times, and therefore needed Japanese aid in order to be civilized. Photography itself became a part of colonial rule. Seoul National University Museum has a collection of 1,300 dry plates from 1930's; most of the dry plates are of Korea, Manchuria, and Mongolia's ethnic customs. A large portion of the dry plates were found to be made by a Japanese sociologist and folklorist Akiba Takashi(1888-1954) and Akamatzu Chijo(1886-?) between 1930 to 1940 of Korean and Chinese customs. The characteristic of the dry plates in Seoul National University Museum is that they have not yet been classified. For this reason it is extremely difficult to discern the contents of the photography, but on the other hand since they are raw material that have not yet been archived there are photographs that should not be put in the archive itself. Whether or not the photographer wants or wants not, a photograph reflects an object exactly the way it is. A photograph only shows a subject's surface and is full of chance. It is also true that a photograph is always short in one way or another in presenting a subject matter, yet contains more than one's intention. Especially in the case of ethnic customs photography where control over all the elements is impossible, photographs are imbued with a lot more chance than otherwise. Chance or accidents are regarded as a kind of noise, and to reduce this noise it is imperative to classify photographs and edit them into archives. The noise provides a way of interpreting a photograph in another way, but an archive defines the meaning of the photographs within it. A photograph in an archive is given a complete meaning, a meaning that is rather sensitive to where it belongs in the archive. The vast number of photographs in the colonial era was made to serve the regime, are organized in systematic archives. To overcome those archives to build a new one, by archiving the hidden photographs that were considered as noise by the Japanese, these photographs will be given their rightful meaning.

      • 산업화로 변모하는 자연환경에 관한 연구 : 항공사진 중심으로 =

        최호준 상명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807

        사전적 의미에서 항공사진은 특정한 항공기를 이용해서 찍은 사진을 말한다. 항공사진은 여타의 사진들과는 달리 여러 가지 특징을 가지는데 그것은 바로 ‘거리감과 높이’이다. 산이나 높은 빌딩 같은 곳에서도 부감시를 적용한 사진을 찍을 수 있지만 항공사진만큼 높은 조망을 보장해 주는 것은 없다. 이를 통해 일상에서는 적용되기 힘든 시선으로 세상을 바라볼 수 있다는 데에 항공사진의 가장 큰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항공사진이 가지는 가장 큰 특징은 높은 고도에 있다. 고도가 높은 곳에서 지면을 조망함으로써 특별한 앵글과 거리를 확보하는 것이다. 이것은 곧 피사체를 일상적이지 않은 시선으로 마주함으로써 아주 가까운 곳에 있으면서도 우리가 알아차리지 못했던 이면의 진실을 깨닫게 해준다. 문학작품에서 말하는 ‘이화’(異化)와도 같은 원리로서 ‘거리두기’를 통해 우리가 익숙했던 거리와 시선에서 결별하고 낯설게 함으로써 새로운 거리와 시선으로 객관성을 확보하는 것이다. 그럴 때에 우리는 기존에 몰랐던 사실을, 또는 어렴풋하게 알고 있었던 사실들을 확실히 인지하게 된다. 그러나 비행기나 헬기를 이용한다는 것은 일반인으로서는 이용하기 힘들다는 한계도 있다. 20세기 초, 나다르의 선구적인 작업 이래로 기술의 발전과 더불어 좀 더 용이하게 항공사진을 찍을 수 있는 여건이 마련되었다. 베르트랑의 예처럼 지구의 모습을 항공사진에 담는다는 것은 특별한 의미를 지닌다. 단순한 피사체로서가 아니라 보호되고 함께 살아야가야 할 자연을 객관적으로 파악한다는 것이다. 이것과 의미를 공유하는 것에‘뉴 토포그래픽스’가 있다. 리차드 미즈락, 루이스 발츠와 로버트 아담스의 작업에서 알 수 있는 것처럼 사진작가들은 풍경으로 멈추는 관상용이 아니라, 또는 신비나 경외의 대상으로서가 아니라 현대 문명에 의해 훼손되고 상처받아온 자연을 주시하기 시작했다. 이것을 바라보는 시선은 무척이나 중립적이고 냉정하다. 본 논문에서 항공사진이라는 기법을 통해 환경을 들여다보고자하는 것도 결국 항공사진이 가지는 독특한 특징에 기인하는 것이다. 한국전쟁을 거치고 1960년대를 지나면서 지금에 이르기까지 한국은 눈부신 경제성장을 이룩했다. 그러나 그 과정에서 무분별한 개발로 인해 자연은 심각하게 훼손되는 지경에 이르렀다. 백두대간에서부터 우리 주변의 산과 강, 하천들에 이르기까지 인간과 더불어 살아가고 보전되어야할 자연이 회생불가능 할 정도로 파괴되어가는 모습의 전체적인 실상을 보통의 시선으로 파악하는 것은 어려운 일이다. 항공사진이 가지는 조망은 이런 면에서 볼 때 환경을 담는 가장 유용한 도구가 될 수 있다. 본 연구자는 앞서 언급했던 ‘뉴 토포그래픽스’의 일군의 작가들이 가졌던 문제의식들, 즉 ‘감정의 개입 없는 객관적이고 중립적인 자세로 냉정하게 풍경과 사물을 기록 한다’라고 하는 부분을 결합시켰다. 생태학과 사진이 결합할 수 있는 가장 효과적인 수단으로서 항공사진이라는 분야를 적용한 것이다. 4대강 공사현장을 비롯하여 산림훼손의 주범인 채석장, 인공구조물인 송전철탑, 산불현장과 재해현장, 또한 인구팽창으로 오염되어가는 대지 그리고 그 속에서 공존이라는 이름으로 살아가는 인간의 모습을 기록하였다. 본 연구자는 도시에서 시골까지, 산에서 바다까지 우리가 알고 있는 한국의 현대 모습을 담으려 했다. 그 안에는 더할 나위 없이 아름다우면서도 냉혹한 자연의 모습이 담겨있기도 하고 보이지 않는 곳에, 때로는 눈에 너무도 드러나게 파괴되어버린 자연의 실상을 확인할 수 있었다. Dictionary definitions of aerial photographs usually refer to images of the ground surface captured from aircraft. Aerial photography differs from other types of photography in its utilization of ‘distances and heights’. While bird’s-eye view images can be taken from mountain peaks or skyscrapers, they cannot secure a perspective as high as that of an aerial picture. The significance of aerial photography lies in this high perspective, which allows people to see and interpret the world from a viewpoint that is not easily adoptable in everyday life. One of the special characteristics of aerial photography is the elevated position of the camera. At high altitude cameras can secure unique angles and a lot of distance from the ground. Looking at an everyday object from a different perspective enables us to realize habitually neglected truths about it. ‘Dissimilation’ in the literature is based on the similar principle of ‘distancing’, which helps us adopt a different distance and viewpoint to de-familiarize ourselves from our everyday surroundings. This allows us to perceive things more objectively and to recognize the meanings of previously overlooked or taken-for-granted elements of our lives. Aerial photography, however, has some limitations for it to be enjoyed by the public due to its use of aircraft for photographic purposes. Following Nadar’s pioneering experimentations with aerial photography, the early 20th century saw the development of the field with the practice having been made more affordable. As seen in Yann Arthus-Bertrand’s work, capturing aerial views of the Earth bears great significance. In aerial images nature is not a mere photographic subject but is presented as something we should protect and coexist with. The so-called ‘New Topographics’ photographers attempt to state this aspect of aerial photography. Led by figures such as Richard Misrach, Lewis Baltz and Robert Adams from the New Topographics movement rejects the treatment of nature simply as an object of admiration. It highlights the human intervention upon nature, which often resulted in environmental degradation, with a rather neutral and cool-headed viewpoint. This paper aims to examine Korea’s natural environment captured by aerial photographs, taking advantage of the characteristics of that particular type of photography. Following the Korean War and especially since the 1960s, Korea has achieved remarkable economic growth. The ill-controlled development activities, however, left the natural environment seriously damaged, often beyond repair. From the famous Baekdu Mountain Range (Baekdu-dae-gan) to the mountains and rivers around us, the examples of environmental degradation abound. However, it is not easy to realize and recognize the overall destruction with our everyday viewpoint. Aerial photography, with its extraordinarily high and wide perspective, is particularly useful in capturing and examining large-scale images of the environment. This study also draws on one of the principles of the New Topographics, which is ‘to record the landscapes and objects with a neutral and objective viewpoint’. Thus, utilizing aerial photography as an effective means of combining ecology and photography, it attempts to record man-altered landscapes—from the Four-River Restoration Project sites, quarries (a source of deforestation), electrical transmission towers (artificial structures), forest fire and disaster scenes to the land degraded by population growth—as well as the humans who coexist with them. This study is built on pictures of various locations in Korea, collected through 22 helicopter-assisted aerial photographic shoots over one and a half years. It attempted to capture images of modern Korea through the scenes from cities and rural areas, as well as mountains and the sea. They reveal nature’s ineffable beauty, hardheartedness and the current state of environmental destruction both invisible and visible.

      • 1960년대 한국 사진의 '리얼리즘'에 관한 연구 : 동아사진콘테스트를 중심으로

        유병용 상명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807

        ABSTRACT The purpose of the paper is to study realism in Korean photography in the 1960s by examining prize winners from the seven editions (1963~1969) of Dong-a Photography Contest, inaugurated by Dong-a Ilbo newspaper in 1963. Realism in Korean photography took its form around the country's liberation from the Japanese colonial rule in August 1945, and the term 'realism' was first used at Im Seok-jae's first art photography exhibition in 1948. Limb Eung-sik, who assumed a leading role in broadening realism in Korean photography, was an advocate of realism based on day-to-day life, which was the first aesthetic standard in the history of Korean photography. The members' exhibition by ‘Sinseonhoe’ in 1957, with Lee Hyeung-rok at the core, helped expand recognition of realism photography, along with ‘The Family of Man’ exhibition around the same time. ‘Salon Ars’ and later the 'Hyundai Sajin Yeonguhoe’ took the torch from the association and carried on its legacy to further develop realism photography. Their accomplishments hold great significance to the development of Korean photography as a whole. When the Korea National Art Exhibition, launched in 1949, refused to accept photography from early on amid opposition from the art circle, Lee Myung-dong created the Dong-a Photography Contest in 1963. And this move played a decisive role in the Korea National Art Exhibition's opening the door for photography starting with its 13th edition in 1964. This paper looked at prize winners of the first seven Dong-a contests from 1963 to 1969. They were featured in the first volume of the collection of winners published on April 1, 1970, commemorating the 50th anniversary of Dong-a Ilbo newspaper. Overall, realism pursued and promoted by the contest lost its distinction from salon photos, and some form of salon photography remained in place. Nonetheless, it is difficult to deny that Dong-a Photography Contest, along with the Korea National Art Exhibition, was one of the most influential exhibitions for Korean photography in the 1960s. It greatly contributed to the development of realism in Korea photography in the 1960s, and it also deserves credit for laying a solid foundation for documentary photography, which got off the ground in the 1970s. 국 문 요 약 본 논문은 1960년대 한국 사진의 ‘리얼리즘’에 관하여 1963년 동아일보사가 창설한 동아사진콘테스트 제1회~제7회(1963년~1969년) 입상작품 56점을 중심으로 분석, 연구하였다. 리얼리즘은 사실주의(事實主義) 또는 사실주의(寫實主義)로 번역되기도 하며 오늘날 일반적으로 통칭되는 상징주의로 이어진 예술사조로, 1840년경부터 1870년~1880년까지 펼쳐진 운동이다. 리얼리즘은 그 시대의 생활을 세심하게 관찰하고 현실세계를 진실하고 객관적이며 편견 없이 표현하는 것을 목적으로 삼았다. 롤랑 바르트(Roland Barthes)는 “사진은 이미 존재하지 않는 것을 (불가피하게) 말하는 게 아니라, 단지 그리고 분명히 존재했던 것을 말한다.”고 했고, 켄들 월턴(Kendall L. Walton) 역시 사진은 항상 실제 존재하는 어떤 것에 대한 사진이며 회화와 사진의 분명한 차이가 여기에 있다고 말했다. 사진에서 리얼리즘이란 사진가의 의도가 개입되지 않은 대상의 투명성과 인과성을 기반으로 하며 이는 사진의 본질이자 근원적인 힘이다. 한국 사진의 리얼리즘은 8‧15해방을 전후해 형성되었으며, 한국 사진에서 ‘리얼리즘’이라는 용어는 1948년 개최된 임석제의 첫 번째 예술사진 개인전에 대한 이태웅의 평에서 처음으로 등장한다. 임석제의 사진전은 8‧15해방 후 최초의 개인전이었으며 공모전 중심의 예술사진이 성행하던 사진계에 리얼리즘이라는 새로운 경향의 사진을 선보였다는 점에서 한국 사진의 리얼리즘 형성과정에서 매우 중요하고 가치 있는 사진전으로 평가받고 있다. 한국사진의 리얼리즘 전개에 주도적인 역할을 했던 인물은 임응식·이명동·구왕삼 등이다. 구왕삼은 “객관적인 자연현상과 인간생활을 리얼하게 정직히 묘사하는 조형기록”이라고 강조하면서 조형성 리얼리즘을 주장했고, 이명동은 보도사진가로서 다분히 보도성이 강한 리얼리즘 사진을 강조하였으며, 임응식은 우리나라 사진사에서 최초로 현실 생활의 모습과 미학적 규범을 접목시킨 생활주의 리얼리즘을 주창하였다. 이형록이 중심이 되어 창립한 ‘신선회’가 1957년 개최한 회원전은 같은 시기에 개최된 ‘인간가족전(The Family of Man)’과 함께 리얼리즘 사진에 대한 인식을 폭 넓게 확산시켰다. 신선회가 ‘싸롱 아루스(Salon Ars)’, ‘현대사진연구회’로 대를 이어가며 리얼리즘 사진을 발전적으로 전개해가며 이룩해낸 성과는 한국 사진 발전에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또한 6‧25전쟁 종군기자의 활동과 4‧19의거, 5‧16군사쿠데타 당시의 보도사진은 한국 사진의 리얼리즘 전개 과정에서 일정 부분 큰 역할을 하고 사진에 대한 일반 국민의 인식을 크게 변화시켰다. 사진계는 1949년 당시 문교부 고시 제1호로 창설된 대한민국미술전람회 창설 초기부터 사진 부문이 가입되도록 끈질기게 노력했지만 미술계의 반대에 부딪쳐 계속 무산되자, 이명동은 일민(一民) 김상만(金相万)을 수차례 설득하여 1963년 민전(民展)으로서 ‘동아사진콘테스트’를 창설한다. 동아일보는 1963년 7월 3일자 사고(社告)를 통해 사단의 현안이었던 사진공모전을 창설한다고 밝히며 제1회 동아사진콘테스트 응모규정을 발표한다. 동아사진콘테스트의 창설은 1964년 제13회 대한민국미술전람회부터 사진 부문이 참가하게 되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하였다. 본 논문은 1970년 4월 1일 동아일보 창간 50주년을 기념하여 발행한 동아사진콘테스트 입상작품집 제1집에 수록된 제1회~제7회(1963년~1969년) 입상작을 대상으로 리얼리즘을 분석, 연구한다. 입상한 작품 수는 매회 특선 1점, 준특선 2점, 가작 5점 등 8점이며, 제1회부터 제7회까지 입상작은 총 56점으로, 이 작품들을 사실적 리얼리즘과 생활주의 리얼리즘, 종교적 리얼리즘이라는 세 가지 개념의 큰 틀로 분류하고 각 개념 가운데 대표적인 사진을 분석한다. 먼저, 사실적 리얼리즘 사진은 단순한 표현행위가 아니라 동시대의 대변이고 발언이다. 그것은 현실을 객관화하고 기록으로서의 리얼리즘을 확장하는 개념으로, 현실 정치와 사회의 구조적 모순 등을 사진으로 기록하여 부조리를 드러내고 모순을 비판하는 자세를 취한다. 생활주의 리얼리즘 사진은 사회의 구조적 모순이나 부조리를 비판적으로 다루기는 하나 일상생활의 모습을 주로 다루는 사진이다. 다시 말해, 서민과 빈곤층의 일상의 단편이나 애환 등을 추상적이면서도 가족주의나 혈연의 정을 감상적으로 포착한 리얼리즘 사진이다. 종교적 리얼리즘 사진은 현실의 인간 구원과 해방을 계급의식이나 현실 사회의 모순구조 속에서 실천하는 계층·계급의 힘에서 구하기보다는 인간 외부에 있는 신에 의존하여 구원과 해방을 갈구하는 당시의 종교적 심리를 포착한 사진들이다. 전체적으로는 동아사진콘테스트가 추구했던 리얼리즘이 회를 거듭할수록 회화주의적 살롱사진과의 차별성을 상실하고 여전히 살롱사진 형식이 남아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응모규정에서 명확하게 사진 내용을 제한하지 않았으며, 회화주의적 살롱사진을 추구하는 사진가가 심사위원으로 참여하였던 것도 한 원인이었겠지만 근본적

      • 사진 효과에 의한 메타-리얼리티(Meta-Reality) 표현

        박진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인 작업의 시발점은 대상의 본질을 파악하고 그것을 표현하는데 있다. 대상의 본질이란 대상이 일정한 대상이기 위해서 다른 것들과는 달리 그것에만 내재하는 고유한 존재를 의미한다. 즉, 대상의 가장 중요한 근본적인 성질이나 요소를 의미한다. 그러므로 이러한 본질에는 대상의 관념적인 부분이나 정신적인 부분이 포함될 수 있으며, 이것들은 비가시적이고 추상적인 개념들이다. 따라서 이러한 개념을 작업으로 가져옴에 있어서, 대상의 외형을 정확하고 사실적으로 파악하는 시각이 아니라 오히려 대상의 외형 너머에 내재하는 것을 인지하고자 하는 메타(meta)-시각이 요구된다. 왜냐하면 구체적인 형상은 대상을 보이는 그대로의 시각으로 제한하여, 비가시적이고 추상적인 개념에 접근하는 것을 방해하기 때문이다. 그리하여 본인은 대상을 흐려보는 방식인 사진의 시각을 사용하여 이것을 본인 나름의 메타-시각의 일환으로 설정하고, 그러한 시각으로 대상에 내재하는 본질에 다가가고자 시도한다. 또한 그러한 시도에서 얻은 이미지를 다시 회화로 재현함으로써, 마지막에는 회화가 결과물로 남는다. 본인은 이러한 작업의 동기와 함께 표현 방법의 이론적인 배경이 되는 사진에 대한 개념적인 접근과 사진으로부터 영향을 받은 회화 그리고 회화와 관련된 재현의 문제, 마지막으로 본인이 흐리기(blurring)라는 시각을 설정하여 재현하고자 하는 대상인 메타-리얼리티(Meta-Reality)를 본인 작업의 설명과 더불어 언급한다. 본인은 사진이라는 매체를 중간 단계로 사용함에 있어서, 그것의 정확하고 사실적인 이미지로부터 대상을 파악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흐려진 이미지로부터 대상에 접근한다. 이것은 습관적인 시각에서 탈피하고자 하는 시도이자, 현실의 진정한 모습인 본질을 메타-시각으로 보려는 본인의 작업 방법이다. 이러한 사진의 흐리기(blurring) 효과는 사진의 이미지와 회화의 표현 방식에 사용되어 사진으로부터의 회화라는 작업으로 귀결된다. 여기서 본인의 작업과 연관된 사진으로부터의 회화라는 개념은 사진으로부터 영향을 받은 회화의 방식을 지칭함과 동시에, 이러한 작업 방법에서 파생될 수 있는 사진과 회화의 절충된 형식이라는 의미도 함께 다룬다. 또한 이와 같은 회화 작업은 필연적으로 재현이라는 문제와 결부되어진다. 재현은 다시 나타낸다는 의미로서, 회화가 구체적인 대상이나 추상적인 관념을 대변하는 이미지를 화면에 재현한다는 문맥에서 사용된다. 또한 본인은 이러한 재현의 대상으로 앞서 언급한 대상의 본질을 다루고 있으며 이는 메타-시각과 필연적인 연계성을 지니게 된다. 위와 같이 본인은 작품의 설명을 위해 작업의 동기와 이론적인 개념들에 기초하고 있으며, 그러한 것을 근거로 하여 회화라는 최종적인 결과물을 갖는다. 따라서 본인의 작업 과정은 그것의 동기와 이론적인 배경에서 그치지 않았음을 의미하며, 그것들이 사진의 방식을 거쳐 다시 회화로 연결됨으로써 본인 자신만의 시각과 작업을 가지고자 하는 시도였다는 또 다른 의미도 함축한다. 본인은 본 논문을 통해 본 논문의 목적과 연구 방법 그리고 본인 작업의 시발점이라 할 수 있는 동기 및 그것의 전개 과정을 이론적인 배경과 함께 제시하였다. 또한 본 논문은 본인이 사고하여 본 것들을 그 밑거름으로 삼고 있으며, 그러한 사고를 바탕으로 나름의 시각을 형성하고 그것을 작업으로 시도함으로써 얻게 된 결과물들의 정리본이기도 하다. 본인은 이들이 앞으로 진행 될 본인 작업의 기반이자 동시에 또 다른 시발점으로서의 역할을 하게 되는 소박하고도 진실된 계기가 되고자 바라는 바이다. This thesis is for explaining my works. Thus, I want to graft into the explanation theories related to them as a method for such study. It begins with understanding and expressing the essence of an object. The essence means the proper existence internal to an object unlike any other things in order for an object to have constancy. That is, it means the most important fundamental nature or element in an object. Thus, it can include the ideal or spiritual parts of an object. They are invisible and abstract concepts. When I bring them to my works, therefore, I need a meta-perspective from which to recognize what are internal beyond the external form of an object rather than a perspective from which to understand the form accurately and realistically. It is because concrete forms prevent one from approaching invisible and abstract concepts by having an object seen only from an outward perspective. So I try to borrow from a photograph a perspective from which to make an object blurred, establish it as part of my own meta-perspective, and approach the essence internal to an object from such perspective. Also, I represent the images obtained from such an attempt as painting, which is my last work. Explaining my works, I mention the motive for it, a conceptual approach to photographs as the theoretical background for expressive methods, paintings affected by photographs, the question of representation related to painting, and finally Meta-Reality, an object that I try to represent by establishing the perspective of blurring. When I use a medium of a photograph as an intermediate stage, I approach and understand an object not from its accurate and realistic image but from its bluured one. This is an attempt to evade my habitual perspective and my working method in which to view essence true to reality from a meta-perspective. Such blurring effect in a photograph is borrowed to the expressive methods for its image and painting, which result in the works of 'painting from a photograph'. The concept of 'painting from a photograph' associated with my works here means not only the mode of a painting affected by a photograph but also the one compromised between a photograph and a painting. Also, such painting inevitably is connected with the question of representation. Representation means presenting it again, and is used in the context of presenting on a canvas the image of speaking for a concrete object or an abstract idea. Also, I deal with the essence of an object mentioned earlier as the object of such representation, which is inevitably connected with a meta-perspective. The explanation for my works as above is based on the motive for it and its theoretical concepts. I draw them to my works, which results in paintings. The process of my work does not include, therefore, only the motive for it and its theoretical background. Once they are connected through photography to painting, they have another significance that it was an attempt to have my own perspective and work. The thesis presented with theoretical background the purpose and research methods for it and the motive, that can be said to be a starting point for my work, and its developmental process. The thesis is based on what I have thought of about art. It arranges the results I obtained by forming my own perspective based on the thinking and working from that perspective. I hope that it will become a naive and true motive of their playing the role as a foundation for my works to develop in the future and simultaneously a starting point for another on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