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사이버대학교 강의콘텐츠 개발과정 및 개발관리체제 사례 연구

        이현지 계명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8703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contents development process of cyber university and to explore a case of development management system. ‘A’cyber university in Gyeongbuk province was selected for the study. The scope of analysis was set as types of contents developed, trend of contents development, contents development process and contents development management system. For analyzing resources, qualitative research method was mainly employed including an analysis of precedent researches, interviews with focus group, and using the university resource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contents development types of ‘A’cyber university were classified as VOD type, VOD and slide blended type, electronic blackbored, VTR and electronic blackbored blended type, flash type, and authoring tool type. Second, the progress of change in the development tended to be biased into one type although many diverse contents were developed. Third, the process of content development of ‘A’cyber university consisted of 5 stages based on ADDIE process – Analysis, Design, Development, Implementation, and Evaluation – and continual revision was made in the process. In particular, when contents were developed, lecturers were to be preparing manuscripts only, and all processes were scheduled to be carried out by specialists from lecturing design to web development. Finally, ‘A’cyber university equiped contents development system. For contents development services shall be made through contents development team with contents operation committee as an advisory institution for development and management of contents. The contents development management team took a responsibility in contents management, and all outputs and resources related to contents are saved and preserved. The copyright of contents are given to lecturers, but the rights of contents use, profit, disposal and secondary writings are given to ‘A’cyber university. Accordingly, the lecture commissioning agreement clearly indicating the copy right is documented and controlled, and this agreement should be made in new subjects and redeveloped subjects alike in principle. 본 연구는 사이버대학교의 강의콘텐츠 개발과정 및 개발관리체제 사례를 살펴보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경북 소재 사이버대학교 중의 하나인 A사이버대학교의 강의콘텐츠와 개발과정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분석범주는 강의콘텐츠 개발유형 및 개발 변화 추이, 강의콘텐츠 개발과정, 강의콘텐츠 개발관리체제로 설정하였다. 본 연구를 위한 자료분석방법은 선행연구 분석과 포커스그룹 면담, A사이버대학교의 관련 자료들을 이용하여 질적연구방법을 주로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A사이버대학교의 강의콘텐츠 개발유형은 VOD 유형, VOD와 슬라이드 혼합유형, 전자칠판 유형, VTR과 전자칠판 혼합유형, 플래시 유형, 저작도구 유형으로 구분 할 수 있었다. 둘째, 개발 변화 추이는 A사이버대학교는 다양한 유형의 콘텐츠를 개발하고 있지만 그 유형이 한쪽으로 치우치는 경향이 있었다. 셋째, A사이버대학교의 강의콘텐츠 개발 과정은 ADDIE 절차에 근거하여 분석, 설계, 개발, 실행 평가의 5단계로 구성되어 있으며, 진행과정에서 지속적인 수정 작업이 이루어지고 있었다. 특히, A사이버대학교는 강의콘텐츠를 개발할 때 교수자는 강의원고만 작성하고 교수설계부터 웹개발까지 모든 과정을 전문가가 진행하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A사이버대학교의 강의콘텐츠 개발관리체제로 콘텐츠 개발 업무는 콘텐츠개발팀, 콘텐츠 개발 및 관리에 대한 자문기구로 콘텐츠운영위원회를 두고 있었다. 강의콘텐츠의 관리는 콘텐츠개발팀에서 맡고 있으며, 강의콘텐츠와 관련된 모든 산출물 및 자료들은 모두 저장 ․ 보관되고 있었다. 그리고, 강의콘텐츠에 대한 지적재산권은 교수자가 소유하지만, 개발된 강의콘텐츠의 사용권, 수익권, 처분권, 2차 저작물의 작성권 등의 권리는 A사이버대학교가 소유하고 있었다. 그에 따라 저작권에 대해 명시한 강의 의뢰계약서를 문서화하여 관리하고 있으며, 강의 의뢰계약은 신규과목과 재개발과목 모두 체결해야 함을 원칙으로 하고 있었다.

      • 사이버대학교 졸업생의 학습만족도가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 K 사이버대학 뷰티학과를 중심으로

        임옥진 건양대학교 2021 국내박사

        RANK : 24870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effect of learning satisfaction of cyber university's beauty major graduates on job performance, and the effects of self-efficacy and job satisfaction that mediate this, to improve job competency through learning satisfaction of beauty majors and work accordingly. It was intended to provide basic data for activation of performance. To conduct the research, a research model was developed by referring to previous studies. A total of 137 copies were used for analysis by selecting a beauty major graduate of K Cyber University located in Daejeon and Chungcheong area and conducting a self-report questionnaire.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23.0 statistical program, and the Crombach a coefficient was checked to verify the internal reliability of the measurement question, and the basis for the mean, standard deviation, and mean to confirm the characteristics of respondents and the level of major variables, Statistics were conducted, and t-test, analysis of variance, and post-test were conducted to find out the difference between the major variables according to the respondents' characteristics. In addition, to confirm the correlation between learning satisfaction, self-efficacy, and job performance, an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the correlation coefficient, and a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between learning satisfaction and job performance. The results obtained through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s in learning satisfaction, self-efficacy, job satisfaction, and job performance among the graduates of the Department of Beauty at K Cyber University.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fficac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learning satisfaction and job performance, it was found that there is a mediating effect not only in self-efficacy, but also in performance achievement and personal factors, which are sub-variables of self-efficacy. Students with high self-efficacy are expected to actively act to achieve their goals, make more effort than those with low self-efficacy, and continue to work even if they have difficulties. Third, analyzing the mediating effect of job satisfac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learning satisfaction and job performance, not only job satisfaction but also job characteristics, a sub-factor of job satisfaction, had a positive mediating effect. Fourth, the relationship between learning satisfaction and job performance had a parallel mediating effect of self-efficacy and job satisfaction, and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effect among all variables.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found that the learning satisfaction of K Cyber University's beauty department graduates has an important influence on job performance, and variables such as self-efficacy and job satisfaction act as important parameters. It is suggested that the learning satisfaction of beauty majoring graduates improves job performance, and self-efficacy and job satisfaction act as an important facilitating factor in enhancing job performance in the field. Therefore, it is not only necessary to improve job satisfaction by continuously providing training courses based on practical competency to target subjects, but also to develop and operate various programs that can maximize job-related self-efficacy tailored to adult learners as well as technology-oriented education. Through measures to increase students' learning satisfaction, it is necessary to seek ways to improve job satisfaction and job performance. Although it was intended to help the cyber university’s graduates in hair and beauty industry find positive ways for their job performance, there was a limit to generalizing the research results to the results of beauty-related graduates of all cyber universities in Korea. In future research, the need for continuous and long-term empirical analysis and in-depth research is required for cyber university graduates to improve their job performance by conducting in-depth interviews and observations of experts with various cyber universities as research subjects. 본 연구의 목적은 사이버대학교의 뷰티 전공 졸업생들의 학습만족도가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과 이를 매개하는 자기효능감, 직무만족도의 효과를 검증하여 뷰티 전공 졸업생들의 학습만족을 통한 직무능력 향상과 이에 따른 직무성과의 활성화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연구를 위하여 선행연구를 참고하여 연구모형을 개발하였다. 대전․충청권에 위치하고 있는 K 사이버대학교의 뷰티 전공 졸업생을 선정하여 자기보고식 설문을 실시하여 총 137부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3.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고, 측정문항의 내적 신뢰성을 검증하기 위해 Crombach a 계수를 확인하였으며, 응답자특성과 주요 변인들의 수준을 확인하기 위해 평균, 표준편차, 평균에 대한 기초 통계를 실시하였으며, 응답자의 특성에 따른 주요 변인들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t검정과 분산분석 및 사후검정을 실시하였다. 또한 학습 만족도, 자기효능감, 직무성과 간의 상관관계를 확인하기 위하여 상관계수를 활용하여 분석을 실시하고 학습 만족도와 직무성과의 매개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K 사이버대학교 뷰티 전공 졸업생들의 학습만족도, 자기효능감, 직무만족, 직무성과 모든 변인에서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둘째, 학습만족도와 직무성과 간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의 매개 효과를 분석한 결과 자기효능감 뿐만 아니라 자기효능감의 하위변인인 수행성취와 개인적 요인에서도 매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기효능감이 높은 사람은 목표성취를 위해 적극적으로 행동하며 자기효능감이 낮은 사람에 비해 더 많은 노력을 하고, 어려움이 있더라도 과업을 지속적으로 할 것으로 예측된다. 셋째, 학습만족도와 직무성과 간의 관계에서 직무만족의 매개 효과를 분석한 결과 직무만족 뿐만 아니라 직무만족의 하위요인인 직무특성도 매개 효과가 있었다. 넷째, 학습만족도와 직무성과와의 관계는 자기효능감과 직무만족의 병렬 매개 효과가 있었고 모든 변인들 간 유의미한 영향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로 K 사이버대학교 뷰티 전공 졸업생들의 학습만족도는 직무성과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며 자기효능감, 직무만족 등의 변인들이 중요한 매개 변수로 작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뷰티 전공 졸업생들의 학습만족도가 직무성과를 높이고, 자기효능감이나 직무만족이 현장에서의 직무성과를 높이는데 중요한 촉진 요인으로 작용함을 시사해주고 있다. 따라서 대상자들에게 실무역량 기반의 교육과정을 지속적으로 제공하여 직무 만족을 향상 시킬 뿐만 아니라, 성인학습자 맞춤형으로 직무관련 자기효능감을 극대화 할 수 있는 다양한 프로그램의 개발및 운영이 요구된다. 또한 학생들의 학습만족도를 높이는 방안을 통하여 직무만족과 직무성과를 높일 수 있는 방안을 함께 모색해야만 한다. 본 연구는 뷰티 전공 졸업생들의 직무성과를 위한 긍정적인 방안 모색에 도움이 되고자 하였으나 연구 결과 모든 사이버대학의 뷰티 관련 졸업생의 결과로 일반화시키기에는 한계가 있었다. 향후 연구에서는 연구 대상을 지역별, 학교별, 전공별로 다양하게 접근하며, 전문가의 심층 인터뷰 및 관찰 등의 다양한 조사 방법을 병행하는 장기적이고 실증적인 심화 연구의 필요성이 요구된다.

      • 사이버대학교 관광영어 수업의 학습동기에 관한 주관성 연구 : Q 방법론을 적용하여

        이경여 한양사이버대학교 경영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8703

        As globalization has been proceeding, the number of tourists over the world has been increasing and South Korea is no exception. However, despite progress in English education, it is indicated that the number one inconvenience cited among tourists visiting South Korea is still communication. English is spoken as an international language among foreign languages, and colleges which send tourism workers out to the society have responsibility for improving English proficiency of the students. Tourism English approaches English for specific purposes(ESP) and it should consider many factors related to learning for successful accomplishment. Learning motivation impacts the success of learning English and many researchers have studied this. However, studies on the tourism English class at cyber universities were not only short but most researches have been restricted to quantitative studies. In this study Q methodology was used in order to identify the subjectivity of students’ learning motivation in the tourism English class at a cyber university. Q methodology is a useful way of investigating people’s views of any issues. Using Q methodology and open-ended response prompts, this study was investigated, analyzed, and categorized into different factors. Preceding researches and open questions about learning motivation of the tourism English class provided the development of 150 Q statements and with help of two Q methodology professionals the structural framework for 33 domain specific Q sort statements was confirmed and those statements were made by Q cards so as to be easy to read and facilitate sorting. Twenty two P samples were extracted out of 99 students who were studying the tourism English class at H cyber university in the second semester of the year 2015, considering the ratio of male and female, age, major, and job. The data was coded into grades from 1 to 9, and analyzed using Quanl program and Q factors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method. The result of this study on the tourism English class at H cyber university was categorized into 4 factors. The factor 1 was named as ‘Travelling abroad’ and half of the all students belonged to it. Eleven students of factor 1 wanted to study tourism English for speaking while travelling abroad. The factor 2 was named as ‘Intrinsic motivation’ and six students belonged to factor 2. They liked learning foreign languages a lot and had wanted to speak English well for a long time. The factor 3 was named as ‘Utilization at work’ and two students belonged to it. They all had been working for tourism industry and needed to speak tourism English in their present jobs. The factor 4 was named as ‘Improvement for English ability’ and three students belonged to it. All the students of factor 4 had not worked for tourism related job currently but they all needed to speak English in their present jobs and wanted to improve their basic level of general English. The aim of this study is to categorize into factors of learning motivation of the tourism English class at a cyber university. The characteristics were analyzed as well as compared with one another, and the effective curriculum suggestion of tourism English class was discussed at the end of the study. This study is meaningful that Q methodology is tried to apply to the study on tourism English as ESP at a cyber university mixed with English learning motivation. To make better cyber universities which offer the opportunity of life-long education, this study can be utilized as the basic data to be able to meet the potential students’ demand of the tourism English class. 글로벌화가 진행됨에 따라 세계의 관광객 숫자는 급속도로 증가하고 있다. 한국 또한 예외는 아닌 이 시점에서 한국을 방문하는 관광객들에게 가장 불편한 사항이 아직도 의사소통의 문제라는 것은 시급히 해결되어야 할 과제라고 사료된다. 그 중에서도 영어는 세계 국제어로 통용되고 있으며 이에 관광종사원을 사회로 배출하는 관련 대학에서는 학생들의 영어 실력을 증진시켜야 할 의무가 있다. 관광관련학과에서 진행하는 관광영어 수업은 특수목적 영어로 접근되며 영어학습의 성공적 수행을 위해 학습관련 많은 요인을 고려해야 한다. 그 중에서도 학습동기는 영어학습의 성공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고 있기 때문에 지금까지 많은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그러나 사이버대학교에서 관광영어 수업에 관한 연구는 아직 미흡할 뿐만 아니라 대다수가 양적 연구에 치우쳐 있어왔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사이버대학교의 관광영어 수업 학습동기에 관한 주관성 연구를 Q 방법론을 이용해 조사하고 분석하여 주관성에 따른 유형화를 하고자 한다. 그리하여 각 유형에 맞는 학습방법으로 사이버대학교에서 진행되는 관광영어 학습에 도움이 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먼저 국내외 문헌을 고찰하였고 관광영어, 학습동기, 사이버대학교 및 Q 방법론에 관한 개념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선행연구와 학습동기에 관한 개방형 질문을 통해 자유로운 의견이나 생각을 바탕으로 총 150개 진술문을 수집하였다. 수집된 진술문은 Q 연구 전문가 2인의 자문을 거쳐 33문항의 진술문을 Q 표본으로 확정하였으며 조사 대상자가 읽기 쉽고 분류가 용이하도록 카드로 제작하였다. P 표본은 서울시 성동구 왕십리로222에 소재한 H 사이버대학교에서 2015년 2학기 호텔관광외식영어 과목을 수강하고 있는 학생들이다. 총 99명 중에서 성별, 연령, 전공, 직장유무의 비율을 고려하여 총 22명을 선정하였다. 분석 결과 사이버대학교 관광영어 수업의 학습동기는 4가지로 유형화되었다. 제1유형은 ‘해외여행형’으로 영어실력을 길러 해외여행에서 사용하고자 하는 동기를 가진 유형이고, 제2유형은 ‘내재적 동기형’으로 외국어 학습을 좋아하며 이전부터 영어를 잘하고 싶었기 때문에 관광영어 학습동기를 가진 유형이다. 제3유형은 ‘업무활용형’으로 관광관련 업종에 종사하여 현재 업무에 필요하기 때문에 관광영어를 학습하는 동기를 가지고 있고, 제4유형은 ‘영어실력 향상형’으로 관광관련 업종에 종사하지 않으나 모두 현재 업무에 필요하고 영어 기초실력의 향상을 위한 관광영어 학습동기를 가지고 있다는 특징이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사이버대학교 관광영어 수업의 학습동기에 대한 주관성을 유형화하기 위한 것이었다. 분석 결과 학습동기는 4가지 유형으로 분류되었고 이에 따라 각 유형의 특성을 분석 비교하고 효과적인 영어 학습방법에 관해 논의하였다. 본 연구는 사이버대학교에서 관광분야와 특수목적으로서의 관광영어 수업에 대한 학습동기에 Q 방법이라는 주관성 연구를 시도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또한 다양한 학생들에게 평생교육의 기회를 제공하는 사이버대학교가 더욱 발전하기 위해서 학생들의 요구에 맞는 관광영어 수업을 제공하는데 기초 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는데 시사점을 둔다.

      • ISO/IEC 14764기반의 유지보수 감리 연구 (사이버대학교 중심)

        박대완 건국대학교 정보통신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8687

        우리나라 사이버대학은 1996년 8월 대통령 자문 교육개혁위원회의 가상대학 설립·운영 제안으로 출발하여 1998년부터 시범대학, 실험대학 등 사전 준비를 거쳐 2000년 12월에 9개 사이버대학이 개교하면서 2001년부터 평생교육 실현이라는 목적으로 교육서비스가 제공되었다. 사이버로 강의를 듣는 학생들이 증가하면서 사이버 대학교 정보시스템은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기존의 대학에서 운영되고 있는 학사행정, 일반행정, 연구행정 분야야 함께 LMS, LCMS와 같은 컨텐츠 관련 정보시스템도 발전을 하고 있다. 그러나 학생 수는 꾸준히 증가 하고 있는 추세지만 감리 관점에서의 연구는 현재까지 이렇다 할 성과가 나타나지 않고 있으며 대학 정보시스템의 감리에 대한 인식조차도 낮은 편이다. 이러한 사이버대학은 시간과 공간의 제약을 극복하고 학령기를 넘긴 성인학습자에게 고등교육 및 재교육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평생교육기관으로서의 역할을 충실히 수행해 왔으며, 현재는 고등교육법에 따른 고등교육기관으로서 새로운 대학교육의 모델로 성장·발전해 나가고 있다. 현재까지는 대학에서 시행하는 사업의 규모가 적고, 법률 시행의 초기단계이므로 감리를 시행하는 사례가 많지 않다. 공공부분의 정보화 사업과 마찬가지로 대학의 정보시스템 구축사업에도 위험 요인으로 정보의 공유 및 중복 투자에 대한 구체적 기술 검토체제 부재 및 외주 개발에 대한 전문사업관리 기능의 부재, 시스템 안정서 취약 등이 내재되어 있어 정보시스템 감리가 필요하며 정보화사업 관리나 절차개선에 효과를 높이고 시스템 품질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고 조사되고 있어 앞으로 대학의 정보시스템 구축사업에도 감리가 활성화 되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사이버대학교 정보시스템 유지보수 감리를 실시함에 있어 실무적인 측면에서 사이버대학교 정보시스템 유지보수 감리의 점검 항목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정보시스템 유지보수 관련 기준인 ISO/IEC 14764를 기반으로 사이버대학교 유지보수 업무의 부족한 부분들을 조사, 연구하여 정보시스템 유지보수 감리의 점검항목에 적합한 점검항목들을 제시하고자 한다.

      • 사이버대학교 웹 기반 수업의 현황과 효과제고를 위한 요인분석 연구 : 열린사이버대학교를 중심으로

        임종훈 서울産業大學校 産業大學院 2006 국내석사

        RANK : 248687

        정보통신과 커뮤니케이션 기술의 비약적인 발달은 사회적으로 다양한 변화를 주도하고 있다. 방송과 통신의 정보생산과 분배의 패러다임을 변화 시키고 있으며 미래 발전의 원동력인 교육 시스템의 변화를 가져오고 있다. 최근 정보통신공학의 발달과 더불어 새로운 교육 형태로 나타난 온라인 교육은 온라인 사이버대학의 설립과 함께 급진전하고 있다. 이러한 시대적 동향과 더불어 사이버대학을 통한 온라인 교육의 질적인 효율성을 평가하기 위해 다양한 주제의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며, 온라인의 원격교육매체가 일방적이 아닌 양방향의 의사소통체계로서 기능하여 온라인 교육 대상자들에게 교육적 효율성을 가져다주는 것임을 보여주는 상호작용에 관한 연구가 중요한 주제로 등장하고 있다. 본 연구는 웹을 기반으로 한 사이버대학에서 학습자의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웹 기반 교육 콘텐츠의 종류와 요인을 알아보고 학습자가 선호하는 웹 기반 콘텐츠와 학습 성과와의 관계를 알아보는 연구이다. 2001년 3월부터 온라인상으로 학위과정을 이수하는 사이버대학이 개교 운영되고 있다. 사이버대학이 개교한지 6년째에 접어들면서 현재 학습자들에게 제공되는 콘텐츠의 제작별 유형과 만족도를 국내 사이버대학 중 열린사이버대학교에서 살펴보고 콘텐츠 만족도에 대한 요구 및 인식을 파악해 봄으로써, 기초 자료를 확보하고 향후 사이버대학 뿐만 아니라 e-러닝 운영과 교육에 관련된 기초 자료를 확보함과 동시에 발전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교수자와 학습자, 학습자와 학습자간 상호작용이 활발할수록 학습자는 적극적인 태도를 가지게 됨을 알 수 있으며 수업의 만족도 또한 높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가장 선호하는 커뮤니케이션 방식으로는 게시판 방식임을 알 수 있다. 둘째, 사이버대학의 강의는 음성강의와 동영상 강의가 주를 이루고 있다. 학생들은 동영상 강의를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상호작용을 활성화하고 쌍방향적인 의사소통의 WBI 방식의 강의를 사이버대학에서는 지향하고 있다. 상위학년으로 갈수록 교수자가 직접 강의 저작 솔루션으로 제작된 콘텐츠 방식을 선호함을 알 수 있다. 학습자의 태도는 여러 요인에 의해서 영향을 받지만 본 연구를 통해서 콘텐츠의 형식과 구성원들 간의 상호작용이 활발함에 따라 원격강의의 효과는 높아진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학생들의 학업성취도와 학습 동기는 단지 학습 콘텐츠를 잘 개발하고 일방향의 동영상 강의 콘텐츠에서 WBI 방식의 강의 콘텐츠의 개발만으로 단순히 높아지는 것은 아니라 교수자와 -학습자간의 긴밀한 상호작용이 있어야 함을 알 수 있다. 일반적으로 성인학습자는 사물이나 현상에 대한 이해력, 학습내용과 관련된 현장 경험의 정도, 학습에 대한 욕구 등에서 다르게 나타나기 때문에 사이버대학에서의 온라인 콘텐츠는 학습자의 특성이 반영되어야 하며 이들의 지적 특성과 현실적 요구를 반영한 콘텐츠 개발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사이버대학에서 웹 기반 콘텐츠의 구성과 현황에 대한 학습자의 요인분석을 연구하는데 기초자료 제공 및 발전 방안을 모색해 보는 것이 그 목적이었다. 추후 본 연구에서 도출된 기초 통계자료 및 연구의 문제점을 기반으로 사이버대학의 웹 기반 콘텐츠에 대한 학습자 분석을 질적으로 발전시킬 수 있는 후속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e informative communication technology has its quantum of development initiating a variety of social changes. The technology is shifting paradigms of production/distribution of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On the other hand, it brings forth drastic changes in futuristic development of educational systems. Recently, with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online education emerged as a new educational form promotes facilitation of establishment of online cyber universities world wide. The social movements encourage various educational fields to explore theoretically and experimentally assessment on the qualitative efficiency in cyber education. Furthermore online distant education in which interactive communication between programmers/instructors and learners are easily performed denotes the significance of researches on interactive instruction that will enhance the efficiency of learning among cyber learners. This research study was intended to 1) find out the formats and elements of WBI(Web Based Instruction) contents that were assumed to influence attitude of learners attending cyber university, and 2) explore relationships between WBI contents and learning achievement. 500 students semi-randomly selected among Open Cyber University in Seoul Korea for the study responded to the questionnaires produced to find out their attitude toward cyber instruction under operation. The results of the research indicate that 1) the more active interactions occurred among learners, the higher level of contentment toward the cyber lessons were turned out, 2) the most popular mode of communication was found to be cyber bulletin, 3) animated images were preferred among learners to still images, and 4) the higher the grade level of learners, more likely learners preferred contents produced by instructors who taught them to the contents produced by any other production team. The results imply that attitudes of learners are influenced more strongly by contents formats and frequency of interactions among learners as compared to any other factors. Achievement levels of learners appear not to be raised by WBI that didn't consider on-the-job experience of learners, differences in their prerequisite cognitive levels toward learning subjects or the phenomena under instruction. It's recommended to provide learners of cyber education environment with such contents that reflect individual needs and characteristics of learners. Since the research aimed to provide fundamental data for analyzing the factors that have significant impacts upon designs and utilization situations of WBI contents in cyber universities, follow-up studies are expected to carry out higher levels of analyses on cyber contents on the basis of the descriptive statistical data derived by this research.

      • 사이버대학 학생들의 소속감 형성에 미치는 영향요인 분석

        권혁용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8671

        평생교육의 중요성이 부각됨과 동시에 직장 및 사회활동을 병행하면서 지속적 학습할 수 있는 배움의 욕구와 기대가 증가되고 있다. 이런 요구에 따라 온라인교육을 실시하는 사이버대학의 중요성은 날로 부각되고 있다. 그러나 이런 중요성과는 반대로 사이버대학은 학생들이 학교와 대면하여 만나지 못하는 성격상 소속감이 부족하고 더불어 학사 및 학생관리에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입학 후 학생들의 학업을 지속시키고 졸업까지 이르도록 지원하는 것이 사이버대학의 중요과제가 되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이런 문제의 해결을 위하여 사이버대학 학생들의 소속감 형성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분석하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2가지의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사이버대학 학생들의 배경특성에 따라 소속감은 어떤 차이가 있는가? 둘째, 사이버대학 학생들의 소속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무엇이며 어느 정도의 영향을 받는가? 위의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연구의 목적에 따라 S사이버대학의 교양강좌 중에서 학년 분포가 고르게 형성되어 있는 일부강좌의 수강생 770명을 대상으로 2013년 4월 17일부터 2013년 4월 28일까지 12일 간에 걸쳐 사이버대학에서 제공되는 온라인 설문 시스템을 통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총 546명이 설문조사에 응답하였으며, 회수된 설문 데이터 중에서 분석에 사용할 수 없는 21명의 데이터를 제외한 총 525명의 응답 내용을 분석을 위해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수집된 자료는 차이검증(T-test), 분산분석(ANOVA), 다중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하였다. 이러한 분석과정을 통해 나타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배경변인으로 설정된 요인들이 소속감에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기 위하여 차이검증 및 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배경변인 중 연령, 학년, 주당학습시간은 소속감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주요 영향요인으로 도출된 학교만족도, 학업능력, 상호작용, 가족환경, 사회인식의 정도가 소속감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하여 다중회귀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학교만족도, 상호작용, 학업능력, 사회인식, 가족환경 순으로 소속감형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결과 중 사회인식요인은 학교만족도, 상호작용, 학업능력, 가족환경 요인과 반대로 사회인식이 낮을수록 소속감이 높게 나타났다. 이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제언을 도출하였다. 첫째, 사이버대학은 기본적으로 고등교육기관인 만큼 교육의 기능을 충실하게 이행하기 위한 지속적인 관리와 투자가 필요하다. 둘째, 입학 후 최초 1년의 학생관리 프로그램이 중요하다. 셋째, 사이버대학의 학생들이 학습에 집중하고 더 많은 시간을 할애할 수 있도록 강의의 질 확보가 필요하다. 넷째, 사이버대학의 특성상 매우 부족한 상호작용을 증진시키기 위한 대학의 노력이 필요하다.

      • 온라인 한국어 교육 프로그램 <바른한국어>의 해외대학 수업 적용사례 연구 : 태국 S 대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손미영 고려사이버대학교 융합정보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8671

        본 연구는 전 세계적으로 한국어 교육에 대한 수요가 급증함에 따라 온라인 한국어 교육 프로그램인 <바른한국어>를 태국의 S 대학교의 정규과정으로 도입하기 위한 시범 운영 사례를 평가한 연구이다. 이 운영 사례는 협력 사업으로써 한국의 ACU가 온라인 플랫폼을 제공하였고, K 사이버대학교가 <바른한국어> 콘텐츠와 온라인 화상교육 등 학습과정과 평가를 담당하였고, 태국의 S 대학교가 교과목 개설 및 학습 환경을 제공하였다. 2019년 1월 6일부터 4월 7일까지 3개월 동안 태국 S 대학교의 10명의 학습자들은 ACU LMS에서 <바른한국어> 콘텐츠를 수강하였고, 온라인 출석체크와 K 사이버대학교 한국어학과에서 진행하는 4차의 온라인 화상교육과 2회의 과제제출을 통해서 학업 성취도를 평가받았다. 최종적으로 7명의 학습자들이 성공적으로 이 과정을 수료하였다. 이 사례의 평가를 위해 온라인 화상교육법, 설문지법, 참여관찰법, 인터뷰법의 네 가지 연구방법을 활용하였다. 온라인 화상교육 평가 결과에서는 태국과 한국의 시스템 차이가 있어 별도의 기술지원이 필요했지만 한국 교수자의 지도에 대한 만족도는 75%수준이었다. 한국어 교육을 위해서는 화상교육과 같은 상호작용이 중요하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사전·사후에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에서는 학습자의 70%가 <바른한국어> 콘텐츠에 공부하고 싶은 내용이 있다고 답하였으며, 전반적인 만족도가 80%로 높게 나타났다. 참여관찰 결과에서는 반복적인 피드백을 통해서 학습자들의 자신감이 높아진 것을 관찰할 수 있었고, 70%의 학습자들이 강의 수강 후 성취감을 느꼈다고 답하였다. 끝으로 인터뷰결과에서는 한국어 능력 향상을 위해서 온라인을 통해 학습자와 원활하게 소통하는 것의 중요성과, 물리적으로 떨어져 있는 학습자들이 원활하게 학습할 수 있도록 철저한 사전준비의 필요성이 강조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해, 온라인 교육의 구성요소인 교수영역, 학습영역, 관리영역으로 분석한 K 사이버대학교 <바른한국어>의 정규과정 도입에의 개선방향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교수영역에서는 충분한 사전 점검이 필요하다. 학습자들에게 충분한 학습기간의 보장과 온라인 교육의 특성상 말하기와 쓰기 영역을 집중적으로 지도해야 한다. 둘째, 학습영역에서는 학습자가 스스로 공부할 수 있도록 체계적인 학습 독려 방안을 마련하고, 학습에 흥미를 이끌 수 있는 미디어 매체를 활용해야 한다. 셋째, 관리영역으로 게시판의 활성화를 위하여 다국적 번역기를 활용하고, SNS 등을 이용하여 질문에 대한 답변을 신속하게 줄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본 연구의 의의는 온라인 한국어 학습 프로그램을 대학의 정규과정으로 도입하여 그 가능성을 탐색하였다는 데 있다. 그동안 다양한 온라인 한국어 학습 프로그램이 개발되어 왔으나, 이를 대학의 정규과정으로 도입 한 사례는 거의 없었다. <바른한국어>를 대학의 정규과정으로 발전시키기 위하여 교수· 학습·관리영역에 걸쳐 어떻게 보완해야 하는지 구체적인 대안을 제시하였다. 효과적인 온라인 교육을 위하여 혼합형 온라인 과정 구축의 필요성과 함께 온라인 화상교육 전문가의 양성이 필요하다는 것을 제언하였다. 이를 통해 해외의 대학에서 한국어를 체계적으로 정규과정에서 학습하고자 하는 학생들에게 온라인을 통한 새로운 학습기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 사이버대학교 학사업무시스템 운영과 LMS(Learning Management System)와 LCMS(Learning Contents Management System)연동을 위한 API 연동방안

        이정훈 漢陽大學校 敎育大學院 2003 국내석사

        RANK : 248671

        초고속 통신망과 컴퓨터, 서버 등이 급격히 발달함으로써 전 세계적으로 다가오는 최첨단 정보화, 개방화의 물결은 사회나 문화적인 변화만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교육환경에서도 변화가 되고 있다. 현재 사이버대학교 내의 교육정보를 정리하고 학사운영에 관하여 담당하는 강의지원운영시스템(LMS)과 컨텐츠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학습자의 특성에 맞게 학습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는 학습컨텐츠관리시스템(LCMS)은 서로 분리 되어있다. LCMS에서의 학습컨텐츠 정보를 즉시 LMS에서 사용할 수 없고 일정시간이 지난 후에 사용할 수 있다. 사용되는 데이터 또한 ADL-SCORM 표준에 맞게 LCMS에서 API를 통하여 LMS에서 전송하는 방식이 아니다. 본 시스템의 설계는 실제 운영하고 있는 국내 사이버대학교를 기준으로 모델링을 하여 ADL-SCORM 표준으로 설계하였다. 운영시스템의 개발환경은 Microsoft사의 Windows Server 이며, LCMS 시스템으로는 Knowledgeone 시스템을 기준으로 설계를 하였다. 현재 운영되고 있는 사이버대학과 학사업무시스템 중에서 강의지원 운영시스템(LMS)과 학습컨텐츠 관리시스템(LCMS) 사이의 데이터전송 방식의 차이로 인한 LMS와 LCMS간의 효율적인 전달방식을 제시하고, 그에 따른 중간자료전달 어플리케이션인 API의 설계를 하여 ADL-SCORM 표준방식에 맞는 사이버대학교의 시스템을 설계하고 적용을 하는 것에 대하여 무리가 없도록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설계서를 기준으로 현재 운영중인 사이버대학교나 사이버학습센터에서는 적용가능성이 충분히 있다고 보아지며 API를 적용한 설계이후의 개발과 운영에 대하여서는 후속연구가 요청된다.

      • 사이버대학 직원의 직무만족에 관한 연구 : 직종유형과 근무형태에 따른 비교분석

        이지복 성균관대학교 국정관리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8671

        본 연구는 사이버대학에 재직 중인 직원의 직무만족과 관련된 중요 요인별 만족도를 조사&#8228;분석하고, 직무만족도 수준을 직종유형(행정직과 비 행정직)과 근무형태(기존대학과 동시 운영하는 법인과 사이버대학만 운영하는 법인)에 따라 비교 분석함으로써 사이버대학 직원의 직무만족도 제고와 인적 자원 관리를 위한 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사이버대학과 직무만족도에 관련된 이론적 배경을 살펴보고 실증연구분석을 위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 문항은 Likert형 5점 측도에 의해 작성했으며, 직무만족에 관련된 문항은 총 24개, 인구통계학적 문항은 총 7개로 전체 문항 31개의 설문 문항을 구성하였다. 설문 조사는 서울에 거주하고 있는 사이버대학 직원에게 총 180부를 배포하였고, 이 중 144부를 회수하여 이 중 자료이용이 불가능한 6부를 제외한 138부를 대상으로 설문문항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은 SPSS 12.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실시하였으며, 직무만족과 직무만족 영향요인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서 상관관계분석을 실시하였고, 독립변수 6개 요인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서는 요인분석과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분석하였다. 직종유형과 근무형태에 따른 직무만족도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T-test와 ANOVA를 사용하였다. 직무만족과 직무만족 영향요인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6개(직무자체, 의사결정&#8228;의사소통, 인간관계, 평가, 보수, 승진)의 직무만족 요인 중 승진만이 유의한 정(+)의 상관이 있는 것으로 분석 되었으므로, 사이버대학 직원의 직무만족 요인 중 승진 요인이 직무만족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왔다. 직종유형과 근무형태의 따른 비교 분석으로 직무만족의 차이를 알아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직종유형은 행정직에 비해 비 행정직의 직무만족도가 높게 나왔으며, 전체적으로 6개 항목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둘째, 근무형태는 사이버대학만 운영하는 법인에 비해 기존대학과 동시 운영하는 법인의 직무만족도가 높게 나왔으며, 전체적으로 7개 항목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연구 분석 결과에 따른 사이버대학 직원의 직무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해 보면 다음과 같다. 첫 번째, 대학은 직원들 각자가 가지고 있는 능력을 최대한 파악하여 개인별 능력에 적합한 업무수행을 할 수 있도록 인원의 재배치 및 조직 재구성의 필요성을 인식하여야 하며, 정기적인 보직 순환을 통해 업무에 관한 매너리즘 방지와 부정부패 방지에 힘써야 한다. 두 번째, 대학 직원에게도 전문적인 영역을 가지게 하고, 대학의 발전을 위해서 직원들에게 전문적인 재교육이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대학 경영자 및 운영층은 보수적이고 권위적인 리더십에서 벗어나야 하고 끊임없는 변화를 추구해야 하며, 대학의 모든 구성원이 공유하고 개방적인 의사를 소통할 수 있는 풍토와 문화를 형성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plan of improving the job satisfaction of staff at cyber university and managing human resources by investigating and analyzing the satisfaction according to important factors related to the job satisfaction of staff at cyber university, and comparatively analyzing the level of job satisfaction according to occupational type(administrative job and non-administrative job) and shift pattern(corporation simultaneously operating cyber university with existing university and corporation operating cyber university only). This study examined a theoretical environment with respect to cyber university and job satisfaction to achieve its purpose, and survey was conducted to empirical research analysis. The questionnaire was made out by Likert 5-point scale, and was composed of 31 questions including 24 questions about job satisfaction and 7 questions about demography. The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180 staffs at cyber university living in Seoul, 144 copies were collected, then 6 copies that could not be used as data were excepted , and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with total 138 copies. SPSS 12.0 program was used to analyze, 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relation between job satisfaction and influential factors of job satisfaction, and factor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used to examine the influence that 6 independent variables had on job satisfaction. T-test and ANOVA were used to examine the difference of job satisfaction according to occupational type and shift pattern. As the result of analyzing the relation between job satisfaction and influential factors of job satisfaction, there was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only in promotion from among 6 factors(job itself, making decision&#8228;communication, human relations, evaluation, recompense, and promotion) of job satisfaction, so the promotion factor had the greatest influence on job satisfaction of staff at cyber university. The results of examining the difference in job satisfaction with comparative analysis according to occupational type and shift pattern are as follows. First, according to occupational type, the job satisfaction of non-administrative job was higher than that of administrative job, and there was statistic significance in 6 items on the whole. Second, according to shift pattern, the job satisfaction of corporation simultaneously operating cyber university with existing university was higher than that of corporation operating cyber university only, and there was statistic significance in 7 items on the whole. The plans suggested to raise the job satisfaction of staff at cyber university according to the results of research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a university must recognize the necessity of re-arranging personnel and reconstructing organization by grasping the ability of staffs as possible as it can, and making them perform tasks suitable for personal ability, and make an effort of preventing the mannerism of task and the corruption through periodic circulation of appointment. Second, it is necessary to make university staff have professional domain, and to execute professional reeducation to staffs for the development of university. At last, the management must overcome conservative and authoritative leadership, pursue endless change, and make an effort of forming the climate and culture that all members of university can share and communicate open intention.

      • 이러닝 환경에서 학습관리시스템(LMS) 강의실 환경이 학습동기 및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 원격대학 사이버 강의실의 웹 메뉴 기능을 중심으로

        김종민 부산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8671

        교육 패러다임이 점차 학습자 중심으로 변화함에 따라 학습자의자기 주도적 학습 능력을 지원할 수 있는 학습환경이 강조되고 있다. 이에 따라, 국내 원격대학 사이버 강의실의 웹 메뉴 기능이 교수자-학습자에게 어떻게 인식되고 있는지 학습동기 및 상호작용적 측면에서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1] 학생 및 교수집단 간에 학습관리시스템 사이버 강의실 웹 메뉴 기능의 학습동기 유발에 대한 인식의 차이는 어떠하며, 사이버 강의실 웹 메뉴가 학습동기에 끼치는 영향은 무엇인가? 사이버 강의실 웹 메뉴가 학습동기에 미치는 영향으로는 첫째, 코스에 대한 흥미를 끌 수 있는 웹메뉴로 강의리스트, 자료실, 수강생리스트 순으로 나타났다. 특히, 수강생리스트가 코스에 대한 흥미를 유발시키는 것은 일반적으로 독립된 공간에서 홀로 학습하는 학습환경에 따른 이러닝 학습자의 심리적 특성이 반영된 것으로, 학습자간의 상황인식이 매우 중요함을 의미한다. 둘째, 자극성 영역에서는 질문답변, 수강생리스트, 조편성으로 나타났는데, 이들 웹 메뉴 이름 및 구조가 가장 우선 개선할 필요성이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셋째, 의미성 영역으로 강의리스트가 가장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는데, 학습자는 주로 학습콘텐츠를 통해 이러닝 학습의 의미성을 찾고자 하며, 사이버대학의 경우 학습콘텐츠를 통해서만 출석인정을 하는 경우가 보편적이기 때문에 이와도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연구문제 2] 학생 및 교수집단 간에 학습관리시스템 사이버 강의실 웹 메뉴 기능의 상호작용 효과에 대한 인식의 차이는 어떠하며, 사이버 강의실 웹 메뉴가 상호작용 효과에 끼치는 영향은 무엇인가? 상호작용 기능에 있어서 디지털리터러시 능력 차이에 따른 사이버 강의실 웹 메뉴의 상호작용 기능 인식하는 차이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이러닝 교수자-학습자는 주로 빠른 피드백과 개별적 피드백을 요하는 기능인 전화, 채팅, 문자메시지 등에서 상호작용 효과를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연구문제 3] 교육형태(사이버 전용과 혼합형)에 따른 사이버 강의실 웹 메뉴의 학습동기 및 상호작용 효과는 어떠하며, 집단 간 사이버 강의실 웹 메뉴의 학습참여에 대한 영향은 어떠한가? 교육 형태에 따른 사이버전용 학습자와 혼합형 학습자의 학습동기에 대한 인식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으나, 면대면 환경을 포함하고 있는 혼합형 학습자의 코스흥미도, 자극성, 의미성과 관련한 학습동기 모두 사이버전용 학습자에 비해 높은 평균을 나타내고 있어, 학습동기 수준은 혼합형 학습자가 사이버전용 학습자 보다 높게 비교적 높게 인식된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이들의 상호작용에 대한 인식차이는 채팅에서만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나고 있는데, 이는 교수자ㆍ학습자, 학습자간 비언어적 의사소통뿐만 아니라 언어적 의사소통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As an educational paradigm gradually changes into learner-centered one, emphasis is placed on learning environment to support learners' self-directed learning abilities. In particular, it is very important to note that classroom environment with the Learning Management System which is a basic tool to support teaching-learning between a learner and an instructor in learner-centered online learning offers functions to facilitate motivation to learn and interaction. Therefore, this study intended to see how web-menu functions in online classrooms of local cyber universities were perceived by instructors and learners in terms of motivation to learn and interaction.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Inquiry 1] What differences are there between student and teacher groups in awareness of motivation to learn by web-menu functions in online classrooms with the Learning Management System and how do web menus in online classrooms affect motivation to learn? Effects of web menus in online classrooms on motivation to learn included, first of all, a lecture list, followed by resource rooms and a student list, as web menus which could attract interest in the course. In particular, the fact that a student list may induce interest in the course reflects e-learners' psychological properties by learning environment where they study alone in isolation and places great importance on awareness of situations among learners. Second, in the stimulation area, there were question and answer, a student list, and team organization; names and structures of these web menus showed the most urgent need for improvement. Third, in the meaningfulness area, a lecture list was the most meaningful, which was probably because learners tried to find out meaningfulness of e-learning primarily through learning contents and cyber universities tended to recognize attendance only through learning contents. [Inquiry 2] What differences are there between student and teacher groups in awareness of effects of web-menu functions in online classrooms with a learning management system on interaction and how do web menus in online classrooms affect effectiveness of interaction? There were differences in awareness of interactive functions of web menus in online classrooms by differences in digital literacy. In particular, e-learning instructors and learners were found to be aware of effectiveness of interaction in telephoning, chatting, and sending a written message, all of which are functions mainly requiring quick and individual feedback. [Inquiry 3] How are effects of web menus in online classrooms on motivation to learn and interaction by educational types (for on-web-based or blended) and how do web menus in online classrooms affect learning participation in two groups? While differences in awareness of motivation to learn between only-web-based and blended learners by educational types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motivation to learn related to all of interest in the course, stimulation, and meaningfulness for blended learners including face-to-face environment showed a higher mean than that of only-web-based learners, which demonstrates that blended learners have relatively better awareness of the level of motivation to learn than only-web-based ones. Differences in their awareness of interaction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only in terms of chatting, which was probably because instructor-learner and learner-learner verbal communication was included in addition to nonverbal on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