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인공지능시대의 비대면·온라인 기독교교육 모형 연구

        조은애 연세대학교 연합신학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33343

        본 논문은 인공지능시대라는 급격한 변화 속에서 탈인습적 온라인 신앙공동체를 지향하는 비대면·온라인 기독교교육 모형을 제시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이미 도래한 인공지능 기술의 발전은 비접촉·비대면으로도 사람 간의 연결이 가능하게 한다. 특히 코로나 19 팬데믹(Pandemic)으로 인해 시행되었던 비대면·온라인 교육은 시·공간의 제약을 넘어 교육이 이루어질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그러나 앞으로 더욱 활성화될 것으로 예측되는 비대면·온라인 교육은 기술과 정보에 대한 취약성으로 야기되는 불평등, 개인주도학습을 주요 목적으로 하는 바에 따른 개인주의화 및 타인과의 상호주의적 협력성 부족, 개인의 취향에 따른 선택학습이 가져오는 구조적 분화, 다원화에 저항하는 근본주의의 등장이라는 다양한 문제들을 내포하고 있다. 또한 인공지능기술이 삶의 편의와 질은 높여주지만, 예측할 수 없는 위험(risk)들을 내포하고 있다는 점에서 이를 누리는 개인에게 불안을 느끼게 한다. 즉 급격한 사회의 변화에 적응하고자 노력하지만, 동시에 시공간을 불문하고 야기되며 보상받을 수도 없는 위험들이 나타남에 따라 현대인들은 소외현상과 자아정체감의 혼란을 겪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논문은 리차드 아스머(Richard Osmer)의 ‘합의 모델’을 가지고 네 가지의 과제 곧 기술적-경험적 과제, 해석적 과제, 규범적 과제, 실용적 과제를 수행하는 방식으로 비판적 과제를 진행하였다. 우선 기술적-경험적 과제를 수행하기 위해 인공지능 시대의 도래와 그에 따른 비대면·온라인 교육 변화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해석적 과제 수행을 위해 인공지능시대와 기독교교육의 현황을 파악하고, 규범적 과제를 수행하기 위해 이론적 근거를 살펴보았다. 특별히 인공지능(AI)과 하나님의 형상(Imago Dei)으로서의 인간에 대해 고찰해보고, 관계성(relationality)을 추구하는 삼위일체론을 중심으로 탈인습적 기독교교육을 조명해보았다. 그리고 인공지능시대의 비대면·온라인 교육이 관계성을 추구하는 기독교교육으로서의 가능성을 내포하고 있는지 살펴보았다. 이러한 일련의 과정들을 토대로 실용적 과제 수행의 결과로 탈인습적 신앙공동체를 지향하는 비대면·온라인 기독교교육 모형을 제시하였다. 교육의 목적은 삼위일체 하나님의 관계성을 지향하는 탈인습적 신앙공동체를 형성하는 것이다. 즉 비접촉·비대면의 인공지능시대에 ‘공간과 장소’로 한정되어 있던 교회를 넘어 ‘나와 너(I-Thou)’의 관계로 발전할 수 있는 온라인 신앙공동체를 이루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리고 관계성·평등성·개방성을 토대로 하는 기독교적 자아정체감을 정립하는 데에 교육목표가 있다. 그리고 베로즈(Barrows)에 의해 의과대학에서부터 시작되어 오늘날까지 활용되는 PBL(Problem Based Learning)을 기반으로 하여 PBL협력모형을 비대면·온라인 기독교교육의 교육방법으로 제시하였다. PBL협력모형은 일반교육과 기독교교육에서 작용되는 구체적 실행 단계에 있어서 ‘삶으로의 적용(Praxis)’여부가 가장 큰 차이로 나타난다. 이에 본 논문은 여러 학자들의 PBL학습모형을 비교분석하여 탈인습적 자아정체성을 위해 김현숙이 제시한 ‘탈인습적 대화 모형’을 비대면·온라인 기독교교육에 어떻게 적용시킬 것인가 모색한다. 본 논문의 의의는 기독교교육학 분야에서 비대면·온라인 교육을 연구하였다는 점이며, 또한 삼위일체 하나님의 관계성을 지향하는 탈인습적 신앙공동체 형성을 위해 PBL협력학습을 활용한 구체적 비대면·온라인 기독교교육 모형을 제시했다는 데에 있다. This paper aims to present a model of non-face-to-face and online Christian education for a 'postconventional' congregation in the context that effective non-face-to-face and online Christian education should be conducted amid the rapid change of the AI era. The technology of the era of AI that has already arrived shows that people can connect with each other without contact or face-to-face. Non-face-to-face and online education, which had been implemented due to the special Hi Corona 19 fandom, suggests that education can now be done without any further restrictions on space. However, non-face-to-face and online education, which is expected to become more active in the future, poses various problems such as inequality caused by vulnerabilities in technology and information, individualism and lack of mutualistic cooperation with others. In addition, the rapid changes in the AI era have both the advantages of improving the convenience and quality of life and the unpredictable risks, which make individuals anxious to adapt to them. In other words, modern people suffer from the confusion of alienation and self-identity as risks appear that they try to adapt to rapid changes in society but cannot be compensated regardless of time and space. In this context, this paper has a model of agreement by Richard Osmer and has four tasks: technical-experimental tasks, analytical tasks, normative tasks, practical ones.Critical tasks were carried out in the way they were carried out. First of all, the advent of the AI era and the consequent changes in non-face-to-face and online education were presented to carry out technical and empirical tasks. And to carry out the analytical task, we have identified the current status of the Artificial Intelligence era and Christian education, and looked at the theoretical basis to carry out normative task. In particular, we considered human beings as AI and the image of God (Imago Dei) and shed light on the 'postconventional' education centered on the Trinity of seeking relationality. And we looked at whether non-face-to-face and online education in the AI era implies the possibility of Christian teaching seeking relationships. As a result of carrying out practical tasks based on this series of courses, a model of non-face-to-face and online Christian education aimed at a 'postconventional' congregation was presented. The non-face-to-face and online Christian education model aimed at a 'postconventional' congregation consisted of educational goals, educational methods and contents, teachers, learners, environment and evaluation. First of all, it is to form a 'postconventional' congregation that aims for the relationship of God in the Trinity, which is less educational. In other words, the goal is to form an online community of faith that can develop into an I-Thou relationship beyond the church, which was limited to space in the age of non-contact and non-face-to-face AI. And the goal of education is to establish a Christian self-identity based on relationships, equality and openness. In addition, the PBL (Problem Based Learning) cooperative model was presented as an educational method based on the PBL, which was started by Barrows and is used today. PBL collaborative learning can be summarized into six major categories: starting with the first question, emphasizing the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of the second learner, means a shift from the "professor"-centered to the "learning"-oriented, sharing solutions together with teams, subdividing them into individual autonomous exploration, and creating a collaborative learning environment where the fourth member teams form a team, and promoting the role of the fifth-professor. However, this model of the PBL agreement shows the biggest difference between "Praxis" in specific stages of implementation in general and Christian education. In response, this paper compares and analyzes the PBL learning models of various scholars to find out how to apply the "postconventional dialogue model" proposed by Kim Hyun-sook to non-face-to-face and online Christian education for a postconventional self-identity. In this context, 'non-face-to-face' and 'on-line' applied PBL cooperative learning forms a team for solving problems, seeks relationality in preparation for the change, equality through coordination, and openness through shared reflection in the community beyond dichotomous thinking in discussion." The significance of this paper is to study the non-face-to-face and online education in the field of self-taught education, and also to present a specific model of non-face-to-face and online Christian education using PBL cooperative learning to form a 'postconventional' congregation that aims at the relationship of God in the Trinity.

      • 비대면 시각문화예술교육 과정과 온라인 원격 교육 연구

        강버들 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33343

        과학과 기술 등의 발전과 함께 전 세계에는 다양한 부분에서 변화가 찾아왔다.오늘날 사회는 4차 산업혁명의 도래와 함께 인간의 삶과 사고방식, 문화에 이르기까지 많은 것들이 변화하고 발전되어 왔으며 세계적 수준의 기술력과 경쟁력을 갖춘 기술 강대국이 되었다. 기술 분야에 비약적인 성과를 냈지만 학교 교육은 시대와 사회의 변화에 둔감한 채 여전히 구조화된 지식의 습득이 강조되고 있다. 교수 매체에 많은 변화가 생겼지만 교사들은 새로운 매체를 활용한 교수 방법 및 학습자료의 직접적 개발 연구보다 교육전문가들이 미리 제작한 콘텐츠를 학습자료로 많이 활용해왔다. 현재 학교 교육과정에서는 디지털 매체를 활용하는 수업이 요구되고 있지만, 실제 수업에서 사용되고 있는 디지털 매체는 매우 한정적이다. 학교 교육은 변화해야 한다. 디지털 시대에 맞는 혁신적이고 미래지향적인 교수-학습 방법이 필요하다. 2019년 12월에 발생한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이 전 세계로 확산되면서 학교 교육 문화를 크게 바꾸어 놓았다. 코로나19로 인해 대부분의 교육이 온라인에서 수업이 가능한 비대면(non-face to face) 형태의 다양한 유형의 수업으로 변경되었다. 초등학교는 EBS 온라인 개학을 시작으로 과제 중심 수업이 이루어 졌으며, 중·고등학교는 원격수업이 시행되었다. 비대면 온라인 수업으로 인한 학생들과의 단 방향적 소통의 어려움은 교사와 학생들에게 혼란을 가중시켰다. 비대면이라는 형식에 몰입하여 교육 과정의 목표에 대한 고민과 다채로운 교육과정 연구가 충분하지 않았다. 교육 목표설정과 교육내용 선정 등 교육과정 연구에 소홀해졌으며, 온라인 원격수업에 필요한 디지털 장비와 교육매체 선정, 기술 활용 연구에 중점을 두고 있어 업무의 부담이 높아졌다. 원격 교육에서의 시스템적 오류와 부가적인 원인으로 인해 교육의 질은 낮아지고 학생들의 학업 격차는 날이 갈수록 커지고 있다. 특히 실기 수업을 바탕으로 하는 미술 교과는 학생들의 작품 결과뿐만 아니라 제작과정도 중요하기 때문에 온라인으로 운영하기 어려운 과목이 되었다. 이렇듯 교육계 에서는 비대면(온라인) 교육이 다수 등장했지만 시각적인 요소를 주로하는 시각문화 예술교육에서는 실습에 한계가 있다. 이러한 이유 등으로 미술 실기 수업은 온라인 개학을 했음에도 불구하고 효과적으로 운영되지 못하고 있어 비대면 문화예술교육에 관한 연구가 필요한 시점이라고 볼 수 있다. 디지털 매체의 활용과 조작에 대한 어려움은 교사가 비대면 온라인 수업 준비에 부담을 주는 요인으로 작용한다. 특히나 미술 실기 교과의 온라인 원격수업은 타 교과목에 비해 여러 환경적 요인이 마련되지 않고 있다. 현재 학교에서는 온라인 쌍방향 미술 실기 수업을 위한 협업 활동 도구의 매뉴얼(manual) 조차 제시하지 않고 있다. 그 결과, 교사는 수많은 온라인 콘텐츠 자료를 직접 검색하고, 수업자료 제작을 위해 쌍방향 원격수업에 사용할 협업 활동 도구를 직접 실험하고, 선별하여 운용하기까지에 많은 시간을 투자하고 있다. 따라서 교사의 업무를 경감시키고 학생에게 양질의 수업이 제공될 수 있도록 미술 교과의 특성을 고려한 온라인 실습 위주 수업 표준환경 설정과 협업 활동 도구의 체계적인 매뉴얼을 제시해 주어야 할 필요성이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은 첫째, 비대면 시각 문화예술 교육의 사례를 통해 비대면 시각 문화예술 교육이 갖는 장점과 한계점을 확인하고 앞으로의 방향을 제시한다. 둘째, 비대면(온라인) 수업이 원활하게 운영될 수 있도록 수업환경 설정안을 마련하여 교사와 학생, 학생과 학생이 소통할 수 있도록 한다. 셋째, 미술 실기 수업에 활용할 수 있는 온라인 협업 활동 도구를 탐색하여 제시함으로써 교사의 업무를 경감시키고 학생의 표현활동을 실시간으로 관찰함으로써 온라인 수업에서 과제 수행평가에 치우치지 않고 과정 중심 평가가 병행되는 미술교육이 이루어지도록 보완한다. 넷째, 쌍방향 미술 실기 수업에 효과적인 표현 매체와 도구, 애플리케이션 등을 활용하고 직접 운용해 봄으로써 실시간 온라인 미술 실기 수업에 유의미한 효과를 찾는다. 끝으로 본 연구의 가장 중요한 목적은 새로운 패러다임(paradigm)의 교육과정을 제시하는 것이다. 지금부터의 교육에서는 비대면 방식의 한계를 보완하고 장점을 극대화시키며, 전혀 새로운 교육에 대한 연구가 계속 진행될 것으로 보여진다. 교육의 패러다임의 전환이 계속해서 제기되는 이때, 본 연구가 기존의 패러다임에서 벗어나는 밑거름이 되기를 바란다.

      • 후기수용모델을 활용한 비대면 온라인 교육에 대한 외국인 유학생의 만족도와 학업 지속 의도에 관한 연구-Hospitality 전공 외국인 유학생을 중심으로-

        문지영 경성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33343

        비대면 온라인 교육은 4차 산업혁명 이후 발전된 기존의 온라인 교육을 포함하여 COVID-19의 팬데믹 현상과 더불어 언택트 사회를 반영한 새로운 교육 패러다임이라고 할 수 있다. 비대면 온라인 교육은 원격교육과 이러닝의 개념을 통합할 뿐만 아니라 감염병의 여파로 인한 준비되지 않은 언택트의 상황을 포함하는 개념으로서의 용어 정립 및 상황의 구분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할 수 있다. 줌(Zoom)을 비롯한 화상회의 프로그램을 활용한 비대면 온라인 교육의 초기 수용 단계에서는 이용자들의 선택이 아닌 COVID-19의 영향으로 인한 필수불가결의 문제였지만, 이후에는 감염병의 종식 또는 확대와 상관없이 이용자들의 경험에 따라 지속 여부가 선택의 문제로 전환될 것이다. 이에 비대면 온라인 교육 경험에 대한 만족과 기대 일치, 지속 이용 의도에 관한 연구는 온라인 플랫폼을 비롯한 미래 교육 시장의 주도권을 예측하게 하며 성공적인 전략 제시에도 중요한 논점이 된다. 특히, 외국인 유학생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함으로써 국내 대학들의 정원 미충원 문제와 등록금 의존에 대한 구조조정을 초래하는 현실에 대한 대비책 및 국제화 전략으로써 유학생 유치 및 관리에 대한 시사점을 제고할 수 있다. 외국인 유학생이라는 특수성에 따라 내국인과 비교해 언어 능력을 비롯한 수업 이해도에 따른 비대면 온라인 교육의 유용성 인지와 사회적 적응의 문제가 더욱 민감하게 포함될 것을 예상할 수 있으며, 학습자의 개인적, 내재적 요인들을 파악하는 것은 유의한 의미를 갖는다. 따라서 한국의 비대면 온라인 교육에 대한 경험과 만족도, 학업 지속 의도에 대한 문헌연구와 영향을 주는 변인들의 인과관계 분석을 통해 향후 외국인 유학생의 유치 및 중도 탈락 방지와 재등록을 이끄는 대학의 경쟁력 제고를 위한 전략으로도 활용 가능하다. 이를 위해 후기수용모델과 비대면 온라인 교육에 대한 학습자의 개인적 변인에 해당하는 자기 효능감, 혁신성, 사회적 특성을 활용하여 국내 대학에서 수학 중인 외국인 유학생들을 대상으로 비대면 온라인 교육의 만족도와 학업 지속 의도에 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특히, Hospitality 전공 유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하여 전공의 특성을 따라 실습과 이론 과목을 구분하여 대면수업과 비대면 수업의 선호도를 파악하였으며, 일반적 사항을 구체적으로 나누어 이에 따른 조절효과를 분석하여 학습자의 특성에 따른 차이가 나타나는지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는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설문지를 구성하였으며, 1차 조사는 부산 지역의 Hospitality 관련 전공 외국인 유학생을 대상으로 2021년 5월 10일부터 2021년 5월 21일까지 수집하여, 70부의 데이터를 분석하였다. 또한, 1차 예비조사를 바탕으로 측정항목에 대한 타당성 검증 및 수정, 보완의 단계를 거쳐 본 조사는 2021년 6월부터 8월까지 약 2개월에 걸쳐 진행하였다. 지역을 한정하지 않고 해당 전공 외국인 유학생들을 대상으로 눈덩이표본추출을 통해 수집된 270부의 유효 표본에 대하여 실증분석을 수행하였다. 연구 결과, 비대면 온라인 교육 수강 시 가장 많이 활용되는 플랫폼은 ‘줌(Zoom)’이며, 이용매체는 스마트폰(49.3%), 노트북(40.7%)의 순으로 파악되었다. 실습 과목 수강 시에는 선호하는 수업의 유형이 오프라인 수업이나, 이론 과목 수강 시에는 오프라인 수업과 함께 실시간 온라인 수업에 대한 선호도가 높게 파악되었다. 특히, 이론 과목에서는 비대면 온라인 수업 중 실시간과 녹화를 병행하는 방식에 대한 선호도가 가장 낮아 통일된 수업 방식을 선호한다는 결과가 나타났다. 실습 과목에서는 녹화형 수업에 대한 선호도가 가장 낮은 것으로 Hospitality 전공 외국인 유학생들이 의사소통과 상호작용이 가능한 수업 유형을 선호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대학에서는 Hospitality 전공 외국인 유학생들의 실습 과목 구성 시 참여형 수업에 대한 교육방법을 고려해야할 것이다. 둘째, 후기수용모델의 구성 요인인 기대 일치와 지각된 유용성, 만족도, 학업 지속 의도의 영향관계는 모두 정(+)의 영향으로 기존의 선행연구들을 뒷받침하는 결과를 얻었다. 개인적 변인은 혁신성을 제외한 사회적 특성과 자기 효능감이 기대 일치와 지각된 유용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매개효과 검증을 통해 개인적 변인이 만족도와 학업 지속 의도에 각각 부분매개와 완전매개의 간접효과의 영향값을 가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지각된 유용성이 학업 지속 의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밝혀짐에 따라 외국인 유학생들에게 비대면 온라인 교육의 유용함을 인지할 수 있는 교육이나 시스템 활용법에 대한 설명과 안내가 우선되어야 함을 알 수 있다. 이는 외국인 학습자들의 자기 효능감 고취 및 성공 경험을 제공하는 긍정적인 바탕이 되며, 포털 사이트나 커뮤니티를 통해 유학생들의 한국에서의 비대면 온라인 교육 수강의 사례를 전달하고 시기적절한 교육임을 홍보하여 학습자들이 사회적 지지를 받는다면 만족도와 학업 지속 의도 향상에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마지막으로 성별, 한국어 능력, 아르바이트 유무, 국가이미지 인식 정도에 따른 조절효과 분석을 통해 개인적 변인과 만족도, 학업 지속 의도 등 상이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파악하였다. 이러한 차이를 따라 외국인 유학생을 대학의 중요한 구성요소로 인지하고 개별 변인이 학업에 있어서도 중요한 조절변인들로 작용함을 따라 차별화된 상담 및 행정서비스의 제공을 통해 유지와 관리의 다양성이 요구된다고 할 수 있다. Non-face-to-face online education is a new educational paradigm that reflects the pandemic and contactless society caused by the spread of COVID-19, including existing online education. In the context of prolonged non-face-to-face online education, it is now time to establish a new concept of terminology and differentiate the situation. Non-face-to-face online education integrates the concept of e-learning that emphasizes the use of electronic media and distance education that emphasizes the distinction of existing physical distances. In addition, it is a concept that includes the unprepared non-contact situation due to the aftermath of an infectious disease. The rapid growth of video conferencing programs, including Zoom, was an indispensable issue due to the influence of COVID-19 rather than the user's choice at the initial stage of acceptance. However, it will later become a matter of choice based on the user's experience regardless of the end or expansion of the infectious disease. According to the expansion of online education, the experience of using the online platform allows users to make judgments and choices about continued use in the future. Accordingly, research on satisfaction, expectation confirmation, and academic persistence of non-face-to-face online education experience predicts the future education market, including online platforms, and is an essential basis for successful strategy presentation. In particular, by in-depth study of international students,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implications for attracting and managing international students as an internationalization strategy and countermeasure against the realities that cause restructuring of tuition reliance and the problem of insufficient quota at domestic universities. According to the peculiarity of being an international student, the problem of recognizing the usefulness of non-face-to-face online education and social adaptation according to the level of comprehension of class, including language ability, will be more sensitively included compared to Koreans. Therefore, to attract international students, prevent elimination, and improve the re-registration of universities through research on satisfaction and academic persistence of non-face-to-face education experience in Korea. To this end, this paper researched the satisfaction and academic persistence of non-face-to-face online education for international students studying in Korea using a post-acceptance model. In addition, concerning non-face-to-face online education, self-efficiency, innovativeness, and social characteristics corresponding to learners' variables were added and analyzed. In particular, a survey was conducted for international students who are majoring in hospitality management. The preference of face-to-face and non-face-to-face classes was analyzed according to practice and theory subjects, and the moderating effect according to general matters was verified. The questionnaire was first collected from May 10, 2021, to May 21, 2021, for international students majoring in hospitality in Busan through expert review, and 70 copies of the data were analyzed. Based on these data, this study conducted validation, correction, and supplementation of the measurement items. The period was about two months, from June to August 2021, and analyzed 270 copies were collected through snowball sampling targeting international students in the relevant major without limitation the region.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most used platform for non-face-to-face online education was 'Zoom', and the medium used by learners was smartphones(49.3%) and laptops(40.7%). Offline classes were more than half of the preferred class types when taking practical classes, but when taking theory classes, real-time online classes were as preferred as offline classes. In particular, in the practical subjects, the preference for the recorded class was the lowest. The international students who are majoring in hospitality prefer class types that allow communication and interaction. Therefore, universities should consider the educational method for participatory classes when composing practical courses for international students majoring in hospitality. Second, the post-acceptance model's expected confirmation had a positive (+) effect on perceived usefulness and satisfaction, and perceived usefulness also had a positive (+) effect on satisfaction and academic persistence. Satisfaction also had a positive (+) effect on academic persistence, and the results supported the previous studies. In addition, the perceived usefulness had the most significant effect on academic persistence, and the expectation confirmation factor had the most significant influence on satisfaction. As for personal variables, the social characteristics, and self-efficiency, excluding innovativeness, directly affected only expectation confirmation and perceived usefulness. The mediating effect test confirmed that personal variables had indirect effects of partial and complete mediation on satisfaction and academic persistence. Therefore, the explanation and guidance on how to use the education system and recognize the usefulness of non-face-to-face online education for international students should be prior. Finally, by analyzing the moderating effect according to gender, Korean proficiency, presence of a part-time job, and the degree of national image recognition, it was found to have different influence relationships such as personal variables, satisfaction, and academic persistence. Therefore, universities recognize international students as an essential component, and individual variables appear to act as critical modulating variables. It requires diversification of maintenance and management through differentiated counseling and administrative services.

      • 중국 후베이문리대학교의 비대면 온라인 교육에 대한 메타버스 교육 플랫폼 연구 : ‘게더타운’과 ‘부브미팅’을 사례로

        양동욱 조선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33342

        Unknown causes of infection have been found in Wuhan City, Hubei Province, China since December 2019. Since then, the novel coron9 has spread rapidly to the world. Great changes have taken place in all areas of the world, such as healthcare, health, politics, economy, industry and education, in order to overcome the fatal COVID-19. It is a time for industrial, academic research and investment to become a new industry in this era and its response as the global investment in Metaverse, which is based on digital, in the Web 3.0 era. As of November 2022, the global epidemic prevention policy has been relaxed to "with corona". Nevertheless, the Chinese government adheres to the "Zero COVID-19" policy. It imposes a lock-down, quarantine and strict management on the city. The 20th CPC National Congress closed on October 22, 2022. It decided that Xi Jinping would be re-elected. The Chinese government is likely to continue its "zero epidemic" policy in the next 1 to 2 years. At present, COVID-19 continues to spread in China, with university lectures being non-face-to-face online for education. Hence, effective non-face-to-face education based on digital is required for undergraduates' effective non-face-to-face education in Chinese universities. Modern is an era in which new digital technologies need to be applied in education. This researcher has conducted theoretical studies on "metaverse education" that has been actively developed and used for digital technology and online virtual space in the past 3 years to prevent the spread of novel coron9, especially focused on the study and investigation of successful cases of "metaverse education" in Korea. Thanks to these studies, it has become a mixture of face-to-face education in the real world and non-face-to-face education in the digital virtual world, a new educational innovation in the modern Web 3.0 era, known as education, academic, industrial development and basics. Hence, the first purpose of the study was to facilitate new digital education through this technology. As of November 25, 2022, 17,789 high-risk areas in China had been lockdown. In this case, most Chinese universities conduct non-face-to-face online education through the Voov Meeting platform. Especially for Voov Meeting, a non-face-to-face online theoretical education in animation, School of Fine Arts, Hubei University of Arts and Science, China suffers from problems such as insufficient interaction between learners and professors, a decline in the sense of learning investment, and a decline in the learning effect of learners. Hence, a comparative analysis is made on the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of the non-face-to-face online education Voov Meeting and "Gather Town" metaverse education, which are major in animation, School of Fine Arts, Hubei University of Arts and Science in China. The second goal of the study is to propose new digital-based non-face-to-face education improvement programs to Chinese universities. While considering the differences and originality of the research topics and purposes, the researcher conducted a summary and analysis of the existing research materials, such as literature, articles and reports, etc. A comparative analysis was conducted in the previous study on degrees and academic articles related to online education in South Korea and China, as well as degrees and academic articles related to metaverse education. A summary is presented of the differences in this study through previous studies. The author found the topic and sorted out some of the contents related to this study in the previous research. This study focuses on the theoretical examination of the metaverse and the overview, characteristics, advantages and problems of the metaverse as well as the utilization and technology of the metaverse. To examine the theory of non-face-to-face online education, a comparative analysis of non-face-to-face online education platforms, online communications, equipment and network 3.0 era, as well as face-to-face education and non-face-to-face education in China and Korea is studied. Moreover, an examination on the theory of "Gather Town" is conducted, which studies the overview of Gather Town, its characteristics & advantages, issues, and the utilization of Gather Town. Secondly, this paper investigates cases of non-face-to-face education in China and digital meta education in Korea in order to study the effective non-face-to-face online education in Chinese universities. In particular, an empirical and comparative study is made on the theoretical education of animation, School of Fine Arts, Hubei University of Arts and Arts, Xiangyang City, Hubei Province, China, on the non-face-to-face online education "VooV Meeting" and "Gather Town" education in South Korea. This paper analyzes the problem points and studies them. Three Chinese and three Korean experts were invited to consult VooV Meeting and Gather Town in the three fields of graphics, function and technology. Based on the experience of Chinese and Korean experts in three fields: graphic, functional and technical, a comparative analysis is made in this thesis on the consultation between VooV Meeting in China and Gather Town in Korea. For objective results, the use evaluation is collated into scores for comparison in this thesis. The evaluation shows that the educational effect of Metaverse is more effective than the VooV Meeting with image and sound as the center. As a platform for non-face-to-face online education, they got better scores. Advantages and characteristics of the "Metaverse Education Platform" in Korea are proposed as effective non-face-to-face online education in Chinese universities through this study. In particular, it is proposed that the possibility of non-face-to-face online theory education for animation majors in the School of Fine Arts, Hubei University of Arts and Science can be improved through non-face-to-face online metaverse education based on "Gather Town". Moreover, as a result of the COVID-19 era and the insistence on the "Zero COVID-19" policy, appropriate use can be made for new non-face-to-face online university education alternatives. It is expected to be a value and application of metaverse education and research materials. Moreover, personalities in digital virtual spaces that cannot be discussed in depth in this study are issues that need to be continuously studied and solved for virtual people and related legal restrictions. As a result, continuous improvements are required in the fields of images, functions and technologies for the development and use of metaverse education platforms such as "Gather Town", which are still in their infancy. 2019년 12월부터 중국 후베이성 우한시에서 원인을 알 수 없는 폐렴 환자가 발생하였다. 이후 코로나는 전세계로 빠르게 확산하였고, 치명적인 코로나를 극복하기 위해 전세계는 보건, 위생, 정치, 경제, 산업 및 교육 등 모든 분야에서 큰 변화가 일어나고 있다. 이러한 시대적 상황과 대안으로서 웹 3.0 시대의 디지털 기반 온라인 메타버스의 글로벌 투자가 새로운 산업으로 대두되면서 현재는 이에 대한 산업적, 학문적 연구와 투자가 필요한 시기이다. 2022년 11월 현재까지, 전 세계적으로 ‘위드 코로나’로 방역 정책을 완화하고 있지만, 중국 정부는 ‘제로 코로나’ 정책을 고수하면서 도시의 봉쇄와 격리로 철저하게 관리하고 있다. 2022년 10월 22일 중국공산당대회 폐막에서 시진핑의 3연임이 결정되었고, 중국 정부는 ‘제로 코로나’정책을 향후 1~2년 동안 지속할 가능성이 크다. 현재 중국은 코로나19가 계속해서 확산되고 있어 대학교 강의를 비대면 온라인 방식으로 진행하고 있다. 따라서 중국 대학교의 재학 중인 대학생의 효율적인 비대면교육에 대한 디지털 기반의 효율적인 메타버스 교육 방안이 필요한 실정이다. 현대는 교육에 새로운 디지털 기술의 활용이 필요한 시대이다. 본 연구자는 최근 3년간의 코로나 확산을 방지하기 위해 디지털 기술과 온라인의 가상공간을 적극 개발, 활용하고 있는 ‘메타버스 교육’에 대한 이론적 연구를 하였으며, 특히 한국에서 ‘게더타운’ 메타버스 교육의 성공 사례를 집중적으로 연구·조사하였다. 이러한 연구를 통해 현실세계의 대면교육과 디지털 가상세계의 비대면교육이 혼재된 현대의 웹 3.0시대의 새로운 교육혁신에 대한 교육적, 학문적, 산업적 발전과 기초적인 자료를 정리하였다. 따라서 이러한 비대면교육과 메타버스 교육에 대한 기초적인 이론을 정리해서 중국의 새로운 디지털 교육에 도움을 주는 것을 첫 번째 연구목적으로 하였다. 2022년 11월 25일 현재 중국의 17,789개 고위험지역(高風險地區)이 봉쇄되고 있다. 이 상황에서 중국 대학교의 대부분이 ‘부브미팅(Voov Meeting)’ 플랫폼으로 비대면 온라인 교육을 진행하고 있다. 특히 중국 후베이문리대학교 미술대학 애니메이션전공의 비대면 온라인 이론교육의 ‘부브미팅’은 학습자들과 교수 간의 상호작용이 부족하고 교육의 몰입감이 떨어져 학습자들의 학습 효과가 떨어진다는 등의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다. 따라서 중국 후베이문리대학교 미술대학 애니메이션전공의 비대면 온라인 교육방식인 ‘부브미팅’과 ‘게더타운’ 메타버스 교육의 장단점 등을 비교 분석하여 중국 후베이문리대학교에 새로운 디지털 기반의 비대면교육 개선 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연구의 두 번째 목적으로 하였다. 본 연구자는 연구의 주제와 목적 등의 차별성과 독창성을 고민하면서 선행 연구자료에 대해 문헌과 논문, 보도자료 등의 내용을 검토, 정리 분석하였다. 선행연구 중에서 본 논문과 관련한 한국과 중국의 '온라인 교육' 관련 학위 및 학술논문과 '메타버스 교육' 관련 학위 및 학술논문을 비교분석을 통해 연구하였다. 선행연구를 통해 본 연구와 차별성을 검토하여 연구의 주제를 찾았고, 일부 선행연구에서 본 연구내용과 관련한 내용을 참고 정리하였다. 본 연구는 ‘메타버스’의 이론적 고찰을 위해 메타버스 개요, 특징, 장점과 문제점 그리고 메타버스 활용과 기술에 대해 연구하였다. 비대면 온라인 교육의 이론적 고찰을 위해 중국과 한국 비대면 온라인 교육플랫폼, 온라인에 대한 통신, 장비 및 웹 3.0 시대와 대면교육, 비대면교육에 대해 비교분석하였다. 그리고 ‘게더타운’의 이론적 고찰을 위해 게더타운의 개요, 게더타운의 특징과 장점, 문제점 및 게더타운의 활용을 연구하였다. 다음으로는 중국 대학교의 효과적인 비대면 온라인 교육을 연구하기 위해 중국의 비대면교육과 한국의 디지털 메타버스 교육에 대한 사례들을 연구 조사하였다. 특히 중국 후베이성 상양시 후베이문리대학교 미술대학 애니메이션전공의 이론교육에 대해 비대면 온라인 교육인 ‘부브미팅’과 한국에서 ‘게더타운’ 교육을 실증하고 비교해서 문제점을 분석 연구하였다. 부브미팅과 게더타운에 대한 ‘그래픽’, ‘기능’, ‘기술’ 세 가지 분야에 대한 자문을 위해 세 명의 중국 전문가와 세 명의 한국 전문가들을 모셔 자문 과정을 진행하였다. ‘그래픽’, ‘기능’, ‘기술’ 등의 세 가지 분야별 중국 및 한국전문가들의 사용 후기와 경험을 바탕으로 중국의 ‘부브미팅’과 한국에서‘게더타운’ 교육에 대한 비교분석에 대한 자문을 구하였고, 객관적 결과를 위해 사용에 대한 평가를 점수로 정리하였다. 평가결과 메타버스 ‘게더타운’의 교육효과가 영상과 음향을 중심으로 진행하는 ‘부브미팅’보다 우수하다는 정량적 결과를 도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한국에서‘게더타운’ 메타버스 교육 플랫폼의 장점과 특징을 중국 후베이문리대학교의 효과적인 비대면 온라인 교육으로 제시하고자 한다. 특히 ‘게더타운’에 기반에 비대면 온라인 메타버스 교육을 통해 중국 후베이문리대학교 미술대학 애니메이션전공의 비대면 온라인 이론교육을 개선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한편, 연구결과로 도출된 내용은 코로나 시대와 ‘제로 코로나’ 정책을 고수하고 있는 중국의 현황에 적절하게 활용이 가능한 새로운 비대면 온라인 대학 교육의 대안으로서 ‘메타버스 교육’과 연구자료로서 그 가치와 활용을 기대한다. 또한, 본 연구에서 깊이 있게 다루지 못한 디지털 가상공간에서의 인격체로서의 아바타와 메타버스에 대한 법률적 규제 등은 지속적으로 연구하고 풀어야 할 과제이다. 따라서 개발과 사용이 아직은 초기 단계인 ‘게더타운’를 비롯한 메타버스 교육 플랫폼에 대한 그래픽, 기능, 기술 분야에 대한 지속적인 개선이 필요하다.

      • 비대면 교육 환경에서의 상호작용과 애착에 관한 연구 : '온라인 개학' 경험학생을 중심으로

        우희은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33327

        본 연구는 비대면 온라인 교육에 대한 교육적 함의를 목적으로 비대면 온라인 교육으로 전환 시 상호작용 차이를 검증하고, 각각의 상호작용이 애착형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선행 연구를 통해 온라인 교육, 제 4차 산업혁명 시대의 교육, 상호작용, 애착이론에 대한 문헌적 분석을 실시하였고, 온라인 교육을 경험한 고등학생 184명에 대한 설문조사 결과를 기반으로 통계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아래와 같다. 첫째, 비대면 온라인 교육으로의 전환은 교사-학생 상호작용과 학생-학생 상호작용을 모두 감소시켰다. 둘째, 비대면 온라인 교육 전환 전후의 모든 교사-학생 상호작용은 교사애착형성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비대면 온라인 교육 전환 전의 학생-학생 상호작용은 또래애착형성에 정(+)의 영향을 미치나, 비대면 온라인 교육 전환 후의 학생-학생 상호작용은 또래애착형성과 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educational implications for non-face-to-face online education. In this study, we verify the change in interaction due to changes from face-to-face education to non-face-to-face education and examine the effect of face-to-face interaction and non-face-to-face interaction on attachment. For this study, previous studies on online education, education in the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interaction, and attachment theory were analyzed, and a survey was conducted on 184 students with online school opening experience and statistical analysis was conduct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change from face-to-face education to non-face-to-face education reduced both teacher-student interaction and student-student interaction. Second, it was found that all teacher-student interactions before and after the transition from face-to-face education to non-face-to-face education have a positive influence on attachment to teacher. Third, before switching from face-to-face education to non-face-to-face education, student-student interaction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influence on peer attachment, however after switching from face-to-face education to non-face-to-face education, student-student interaction was not related to peer attachment.

      • 대학 비대면 교육에서 학습자의 교수 실재감, 사회적 실재감, 인지적 실재감과 학습성과와의 관계 및 영향에 관한 연구

        김준원 한양사이버대학교 교육정보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33327

        본 연구는 코로나19 사태로 인해 비대면 온라인 교육의 중요성이 부각됨에 따라 대학에서 비대면교육 학습자들의 교수 실재감과 사회적 실재감, 인지적 실재감과의 관계를 연구하여 수업 설계의 시사점을 도출하는 데 연구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다음과 같이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대학에서의 비대면 교육에 있어서 교수 실재감, 사회적 실재감, 인지적 실재감은 학습성과에 영향을 미치는가 둘째, 대학에서의 비대면 교육에 있어서 교수 실재감, 사회적 실재감, 인지적 실재감의 영향 관계는 어떠한가 셋째, 대학에서의 비대면 교육에 있어서 교수 실재감이 사회적 실재감 또는 인지적 실재감을 매개로 하여 학습성과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이를 위해 자료 수집 대상은 코로나19 상황 이후에 일반 대학에서 비대면 온라인 수업을 수강한 적이 있는 수도권의 H대학, M대학과 충청권의 B대학 학생을 대상으로 모바일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설문지는 총 325부이며 이 중 불성실한 설문지 12부를 제외한 총 313부를 최종적으로 활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SPSS, AMOS 등의 통계 패키지를 활용하여 통계분석 및 가설검정을 하였다. 실증분석 방법은 기초통계 및 기술통계분석, 신뢰성 및 타당성분석, 상관관계분석, 구조방정식분석 등의 분석 방법을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 대학에서의 비대면 온라인 교육에 있어서 인지적 실재감은 학습성과에 직간접적으로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수 실재감 및 사회적 실재감은 학습성과에는 직접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는 않지만, 교수 실재감이 인지적 실재감을 매개로 하여 학습성과에 미치는 부분에서는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교수 실재감이 사회적 실재감을 매개로 하여 학습성과에 미치는 영향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대학에서의 비대면 온라인 교육에 있어서 교수 실재감은 사회적 실재감과 인지적 실재감에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사회적 실재감이 인지적 실재감에 유의하게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통해 대학에서 온라인 교육의 수업설계에 교수 실재감, 사회적 실재감, 인지적 실재감을 고려한 실천적 방안 마련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것에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This study aims to draw implications of class design by study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ing presence, social presence, and cognitive presence of non-face-to-face education learners in universities as the importance of non-face-to-face online education is highlighted due to the Corona 19. To achieve this purpose,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were set up. First, does teaching presence, social presence, and cognitive presence affect learning outcomes in non-face-to-face education at universities? Second, w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ing presence, social presence, and cognitive presence in non-face-to-face education at universities? Third, what is the effect of teaching presence on learning outcomes through social presence or cognitive presence in non-face-to-face education at universities? For this purpose, mobile survey was conducted on students from H, M, and B universities in the metropolitan area who had taken non-face-to-face online classes at general universities after Corona 19 situation. The collected questionnaires were 325 copies, and 313 copies were finally used except 12 copies of insincere questionnaires. In this study, statistical analysis and hypothesis testing were conducted using statistical packages such as SPSS and AMOS. The empirical analysis methods were basic statistics and descriptive statistics analysis, reliability and validit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cognitive presence had a significant direct or indirect effect on learning outcomes in non-face-to-face online education at universities. Teaching presence and social presence did not have a direct significant effect on learning outcomes, but teaching presence had a mediating effect on learning outcomes through cognitive presence. On the other hand, teaching presence has no effect on learning performance through the medium of social presence. And in the non-face-to-face online education at university, teaching presence had a significant effect on social presence and cognitive presence. In addition, social presence had a significant effect on cognitive presence.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provides basic data for practical plan planning considering teaching presence, social presence, and cognitive presence in the class design of online education at universities.

      • 대학생의 비대면 강의 유형에 따른 교육 효과 분석 : 오프라인 대학을 중심으로

        이영주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33327

        초 록 정보통신 기술의 발달로 시공간적 제약으로부터 자유로운 다양한 형태의 비대면 교육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대학교육에서의 비대면 교육은 사이버대학교와 평생교육원에 한정되어 활용되는 경향이 강했지만, 최근 코로나로 인한 급격한 교육환경 변화로 오프라인 대학에서의 비대면 교육 또한 활발하게 활용되고 있다. 그러나 오프라인 대학의 비대면 교육은 아직 초기단계라 볼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오프라인 대학에 적합한 비대면 교육에 관한 연구는 미흡한 상태이다. 본 연구는 오프라인 대학의 비대면 온라인 강의를 수강한 학생들을 대상으로 수행한 설문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비대면 실시간 강의와 비대면 녹화 강의의 학습효과를 비교하였다. 이를 통하여 비대면 강의형태에 따른 자기주도 학습, 교수학생 상호작용, 반성적 학습 및 협력적 학습의 학습효과 차이를 밝히는데 그 목적이 있다. 분석자료는 서울 소재의 H대학의 비대면 교육실태 파악을 위한 설문조사 결과를 활용하였다. 각 학생이 수강한 전체 비대면 강의 대비 비대면 녹화강의의 비율을 독립변수로 사용하였으며, 주기주도 학습, 교수학생 상호작용, 반성적 학습 및 협력적 학습을 종속변수로 설정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그 결과 첫째, 비대면 녹화 강의 비율은 자기주도학습과 반성적 학습에 정(+)의 영향을 미쳤다. 둘째, 비대면 녹화 강의 비율은 교수학생 상호작용과 협동적 학습에 부(-)의 영향을 미쳤다. 연구 결과 비대면 녹화 강의가 자기주도학습과 반성적 학습에는 비대면 실시간 강의에 비하여 상대적인 강점을 가지고 있으며, 반대로 교수학생 상호작용과 협동적 학습에는 상대적인 약점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에 따라 비대면 실시간 강의와 비대면 녹화 강의 중 하나의 강의형태를 일률적으로 적용하는 것보다는 각 강의가 목표하는 주된 학습효과에 따라 적합한 강의 형태를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다양한 학습효과를 동시에 달성하기 위하여 하나의 강의 내에서도 비대면 실시간 강의와 녹화 강의를 상호 보완적으로 사용하여 보다 효과적인 비대면 교육을 학습자에 제공해야 한다. Abstract Various forms of non-face-to-face education that are free from spatiotemporal constraints are being actively carried out in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Non-face-to-face education in university education tended to be used only for cyber universities and lifelong education, but recently, due to the rapid changes in the educational environment caused by Corona, non-face-to-face education at offline universities has also been actively used. However, non-face-to-face education at offline universities is still seen as in its infancy, and as a result, research on non-face-to-face education suitable for offline universities is inadequate. In this study, we compared the learning effects of non-face-to-face real-time lectures and non-face-to-face recorded lectures based on the results of a questionnaire survey conducted on students who took non-face-to-face online lectures at offline universities. The purpose of this is to clarify the difference in learning effects between self-directed learning, teaching, student interaction, reflection learning and collaborative learning in a non-face-to-face lecture format. The analysis utilized the results of a questionnaire survey to grasp the actual situation of non-face-to-face education at H University of Seoul Materials. Ratio of all non-face-to-face lectures taken by each student Using the ratio of non-face-to-face recorded lectures as independent variables, we proceed with research by Self-directed learning, teaching-student interaction, reflection learning and collaborative learning as dependent variables. As a result, firstly, the proportion of non-face-to-face recorded lectures had a positive (+) effect on self-directed learning and reflection learning. Second, the proportion of non-face-to-face recorded lectures influenced the interaction of teachers and students and the collaborative learning department (-). Research Results Non-face-to-face recorded lectures have relative strengths in self-directed learning and reflection learning compared to non-face-to-face real-time lectures, and conversely, relative to professor-student interaction and collaborative learning. You can know that you have weaknesses. As a result, it is desirable to select an appropriate lecture format according to the main learning effect aimed at by each lecture, rather than uniformly applying either the non-face-to-face real-time lecture or the non-face-to-face recorded lecture format. In addition, in order to achieve various learning effects at the same time, it is necessary to provide learners with more effective non-face-to-face education by using non-face-to-face real-time lectures and recorded lectures in a complementary manner even within a single lecture.

      • 비대면 미술교육에 있어서 온라인 원격 실기 수업의 유형별 도구 활용과 효과 연구

        노수진 부산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33327

        COVID-19 has confused the world and has caused major changes in all fields such as society, economy, education, culture and art. In school education, along with socio-economic losses, school attendance was interrupted and unprecedented online lessons began amid concerns about educational disparities. Online lessons started unprepared, adding to the confusion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Also differences in the educational environment of individual students and inadequate construction of the teaching environment for teachers led to a decline in the quality of education. This has resulted in severe educational disparities among students. In particular, non-face-to-face lessons in art subjects have turned art education into a one-way character. Art subjects are subjects with handmade characteristics, and unlike other subjects, the percentage of practical lessons is high. In the process of education, teachers need to observe the process of student expression activities and provide immediate feedback, which is not easy in a non-face-to-face environment. Teachers and students cited the difficulty of two-way communication due to inadequate construction of the online lesson environment as the reason why non-face-to-face art lessons are not running smoothly. Researcher considered solutions, noting that teachers spend a lot of time building non-face-to-face lesson environments and selecting media. In order to solve this, researcher raised the need to prepare standard environment settings for interactive online art practical lessons and to study practical lesson management plans. In addition, the purpose of the research was to create an environment for improving the quality of online art classes so that teachers can provide high-quality lessons that induce students' interest and voluntary participation in the lessons. In order to understand the necessity of this study, researcher investigated the types of art lessons since the online class and the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art materials, tools, digital devices, and applications used by teachers and students. In order to understand the current state of online art class operation, reference materials, news articles, and online class casebooks published by the National Office of Education were analyzed, and research-related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current middle and high school art teachers. Through interview analysis, it was possible to know the total class hours of art subjects conducted from the first semester of 2020 to the first semester of 2021 and the ratio of class operation in the areas of experience, expression, and appreciation. On the other hand, I was able to understand the types of lessons that are run based on the subject area and the difficulties that teachers are experiencing in non-face-to-face lessons. Based on the materials collected in the interview, the researcher navigated the equipment, tools, and applications suitable for non-face-to-face interactive practical lesson operation in order to build a standard environment for online art classes. The researcher selected the tools and applications required for the lesson based on the compared and analyzed data, and prepared the standard environment settings for the remote actual lesson based on the experimental results. The equipment required for the real-time interactive art practice class is three monitors using a PC or laptop, a smart phone camera, a camera with a built-in laptop computer, a microphone, a light, a tablet PC, a smart touch pen, a tripod, and a vertical shooting stand. It consists of a hub and a mirroring system. In order to prepare standard environment settings and investigate the effects of Elements specific to each type of practice specialization elements and environment setting, we divided the art practice types into four and presented an example of a lesson plan that can be used in actual art classes. In the on-tact era, remote systems have become an indispensable element. The standard setting for non-face-to-face remote art practice classes proposed by researcher is to prepare for another infectious disease that cannot be predicted in the future. We hope that the results obtained in this research will be usefully utilized in the actual field of art education and that online art practical lessons will be effectively managed.

      • 국어 교육에서 비대면 온라인 시스템을 활용한 교육과 평가 : 중학생, 고등학생이 인식하는 학습 효용과 교수자의 평가 요소 중심

        유정준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33327

        2020년 2월 Covid-19, 일명 코로나19의 등장은 우리 삶의 방식을 송두리째 바꿔놓았다. 전염병의 영향력에 교육도 예외일 수는 없었고 2020학년도 1학기는 개학 연기, 등교 금지 등의 초유의 사태를 맞이했다. 이런 상황 속에서 다수의 교육기관은 학습 결손을 막기 위해서 온라인 수업을 통한 수업을 실시했다. 초기 온라인 수업은 EBS를 이용한 대체 수업에서 각 교육기관이 직접 온라인 강의를 제작 또는 화상 회의 프로그램을 이용한 실시간 수업으로 운영됐다. 짧은 기간 안에많은 교육 기관과 교수자들의 노력에 힘 입어 학습자를 위한 다양한 교육 방식이 개발되었다. 하지만 아쉽게도 실제 학습자들이 온라인 교육에 적응하는 데는 많은 시간이 필요했다. 학습자의 개인별 역량에 따라서 학습 격차가 벌어지는 싱황이 발생했다. 학습자들은 온라인 수업의 편의성에는 만족하는 것으로 보였지만 아쉽게도 1) 수업 내 의사소통의 부재, 2) 교수자의 관리, 감독의 가능 여부 등에 따라서 학업 집중도가 오프라인 수업에 비해 현저히 떨어졌다. 학습 격차 심화와 학습 결손 등의 단점은 온라인 교육만이 가지고 있는 장점을 모두 상쇄할 만큼 큰 문제였기에 각 교육 기관들은 서둘러 오프라인 수업으로 전환하기 위한 준비를 했다. 하지만 실제로 수업을 진행했던 교수자의 입장에서의 온라인 수업은 오프라인 수업이 가질 수 없는 명확한 장점이 있었다. 첫째, 학습자가 자신의 의견을 표현하는 부분에서 타인의 시선을 신경쓰지 않고 자유롭게 의사 표현을 할 수 있다는 점. 둘째, 기존 오프라인 수업에서는 모든 학생들의 의견을 수렴, 수용하기 어려운 환경이었다면 온라인 수업에서는 멀티미디어 기기를 통해 수업 내 모든 학생들의 의견을 수용할 수 있다는 점. 등이 그것이었다. 이런 온라인 수업의 장점들은 단순히 학업 결손의 이유로 외면받기에는 너무나도 안타까운 부분이 많았기에, 본 연구에서는 학습자의 자유로운 의사 표현을 통한 의사소통이 필요한 ‘문학’교과 에서의 수업 모형을 통해서 온라인 수업이 가지고 있는 장점을 오프라인 수업으로 고스란히 옮기려는 시도를 해보고자 했다. 해당 수업 모형의 핵심 목적은 1) 학생들의 다양한 의견 청취, 2) 해당 의견을 평가 요소로 활용, 3) 해당 자료의 입시 자료로써의 활용, 4) 문학 교과의 교육 목표 달성 등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학습자, 교수자들과의 심층 면접을 통해 온라인 수업의 장점을 오프라인 수업으로 옮김과 동시에 차후에 다른 불가피한 상황에서 일어날 수 있는 전면 온라인 수업에 대한 대비를 동시에 하고자 한다. The emergence of COVID-19, also known as COVID-19, in February 2020, completely changed our way of life. Education was no exception to the influence of the epidemic, and the first semester of 2020 faced an unprecedented situation such as postponement of school opening and prohibition of school attendance. In this situation, many educational institutions conducted classes through online classes to prevent learning deficits. Early online classes were operated in real-time classes using video conferencing programs or produced online lectures by each educational institution in alternative classes using EBS. In a short period of time, various educational methods for learners were developed thanks to the efforts of many educational institutions and instructors. Unfortunately, however, it took a lot of time for real learners to adapt to online education. There was a situation in which the learning gap widened according to the learner's individual competency. Learners seemed to be satisfied with the convenience of online classes, but unfortunately, their academic concentration decreased significantly compared to offline classes depending on 1) lack of communication in class, 2) the management and supervision of instructors. The disadvantages of widening the learning gap and learning deficits were big enough to offset all the advantages of online education, so each educational institution hurriedly prepared to transfer classes offline. However, from the perspective of the instructor who actually conducted the class, online classes had a clear advantage that offline classes could not have. First, the fact that learners can freely express their opinions without paying attention to the gaze of others in the part of expressing their opinions. Second, in the existing offline class, it was difficult to collect and accept all students' opinions, but in the online class, all students' opinions can be accepted through multimedia devices. The back was that. Since the advantages of these online classes were too unfortunate to be shunned simply for academic deficits, this study attempted to shift the advantages of online classes to offline classes through a teaching model in the Literature subject that requires free communication of learners. The core purpose of the class model is 1) to listen to various opinions of students, 2) to use the opinions as evaluation elements, 3) to use the materials as entrance examination materials, 4) to achieve educational goals for literature subjects. In this study, through in-depth interviews with learners and instructors, the advantages of online classes are shifted to offline classes, and at the same time, preparations for full online classes that may occur in other inevitable situations in the future.

      • 비대면 교육환경에서의 온라인 TIE 프로그램 개발 적용

        최은선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33327

        이 연구는 COVID-19로 인한 비대면 교육환경에서 온라인 TIE(Theatre in Education) 프로그램을 개발, 적용하여 그 구성과 활용 가능성 및 시사점을 밝히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교내 교육연극 교사 연구회를 조직하여 온라인으로 적용하기에 적합한 TIE 프로그램의 고안 과정을 연구하였으며 실시간 화상회의 프로그램으로 적용하여 그 결과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온라인 TIE 프로그램은 어떻게 구성되는가? 둘째, 비대면 교육환경에서의 온라인 TIE 프로그램의 가능성과 시사점은 무엇 인가? 본 연구는 경기도 D초등학교에서 근무하는 교육연극 비전문가 교사들이 자발적으로 연구회에 참여하여 온라인 TIE 프로그램을 개발하였고, 개발한 프로그램은 6학년 한 학급을 대상으로 적용하였다. 질적 사례연구의 방법으로 진행하였으며 온라인 TIE 프로그램에 대한 교사와 학생의 반응을 분석하기 위해 현장 녹화 자료, 설문지, 활동지, 인터뷰 자료를 수집하였다. 비대면 교육환경에서의 온라인 TIE 프로그램 개발 적용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비대면 교육환경에서의 TIE 프로그램에 대한 개발과 활용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기존 연구에서 찾아 볼 수 없었던 초등학교에서의 온라인 TIE 프로그램 적용 방법을 연구했다는 점에 의의가 있으며 기존 TIE와 같은 효과가 온라인상에서도 일어난다는 점에서 적용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다. 둘째, 온라인으로 적용하기 위한 TIE 프로그램의 개발 과정을 연구했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온라인 수업과 기존의 TIE 프로그램을 모두 고려하여 온라인 TIE 프로그램 고안 원리와 개발 단계를 마련하고, 그 과정을 밝혔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의의를 찾을 수 있다. 셋째, 온라인으로 진행하는 TIE에 대한 학생과 교사의 반응을 연구하였다. 온라인이라는 새로운 방법으로 진행한 극 관람 및 활동에 대한 학생과 교사의 반응을 분석한 내용은 온라인 TIE에 대한 후속 연구의 방향성을 제시할 수 있다. 넷째, 연구 참여교사를 통해 자발적으로 협력하는 교사문화를 발견하였다. 이전 연구에서 드러난 폐쇄적인 교사문화와 달리 교육연극 체험, 수업 경험이 적은 비전문가 교사들이 자발적으로 연구회에 참여해 교사 공동체를 형성하였다. 본 연구는 기존에 시도하지 않았던 온라인 방법으로의 TIE 프로그램을 개발했다는 것에 의의가 있으며 학교 현장에서의 적용을 통해 그 가능성과 시사점을 제시하고 있다. 앞으로 온라인 TIE 프로그램이 다양한 내용으로 개발되고 연구되기를 기대한다. This study aims to develop and apply an online TIE(Theatre In Education) program in a remote education environment due to COVID-19 and discover its construction, utilization possibilities, and implications. To this end, an in-school drama education teachers’ research group was organized to study the developing process of an appropriate TIE program to be implemented online, and the results were reviewed through a real-time video conference program. The research questions established for this purpose are as follows: First, how can an online TIE program be designed? Second, what are the possibilities and implications of an online TIE program in a remote learning environment? In this study, a group of teachers working at D elementary school in Gyeonggi Province who had no expertise in drama education voluntarily participated in the research group to develop an online TIE program, and the program was implemented in a sixth-grade class. A method of qualitative case studies was conducted, and field recordings, questionnaires, activity sheets, and interview materials were collected to analyze the responses of teachers and students to the online TIE program. Findings on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an online TIE program in a remote learning environment are as follows: First, this study demonstrated the development and applicability of TIE programs in a remote learning environment. It is meaningful in that it investigated how to apply an online TIE program in elementary schools which cannot be found in previous studies, and it discovered the applicability that existing TIE can have the same effect online. Second, it is meaningful that this study investigated the development process of TIE programs for online application. It is also meaningful that the study built the development foundations and principles for online TIE programs by considering both online classes and existing TIE programs and discovered the development processes. Third,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esponses of students and teachers to TIE conducted online. The analysis of the responses of students and teachers to theatre viewing and activities conducted in a new way called online can be used to present the direction of subsequent research on online TIE. Fourth, this study discovered a teacher culture that teachers voluntarily cooperate through participation in research. Unlike a closed teacher culture revealed in previous studies, the teachers who had less experienced drama education and its teaching, voluntarily participated in a research group and formed a teacher community.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a TIE program as an online method was developed, which was not previously attempted, and the possibilities and implications through its application in a class were presented. It is expected that online TIE programs will be further developed and researched with various contents in fu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