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 ARCS모형을 기반으로 한 놀이 중심의 유소년 골프 프로그램의 효과

        조은애 명지대학교 2020 국내박사

        RANK : 247647

        본 연구는 ARCS모형을 기반으로 한 놀이 중심의 유소년 골프 프로그램의 효과를 분석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피험자에는 유소년 골프 프로그램의 실험집단인 경기도 성남시의 M골프아카데미의 골프 수강생들과 고전방식 골프 프로그램을 적용한 비교집단은 경기도 용인시의 T어린이스포츠클럽의 수강생으로 연령은 만 6세~11세의 골프 입문자이다. 실험집단 40명, 비교집단 40명은 남, 녀의 합으로 총 80명으로 구성되어있으며, 골프가 불가능한 신체 질환자는 제외되었다. 본 연구의 실험은 두 집단 모두 경기도 성남시에 위치한 D골프연습장에서 시행되었으며, 골프 학습동기 수준 검사지를 통하여 사전, 사후의 동기수준을 측정하였고, 12주간 각 프로그램으로 골프 수업을 진행 후 트랙맨4를 통해 골프 수행능력을 측정하였다. 골프 수행능력은 샷 정확도와 퍼팅 정확도로 구분 지었으며, 취학 전과 취학 후 아동의 연령별 신체 발달을 고려하여 목표점의 차등을 두어 실험을 진행하였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집단간 ARCS 하위요인에 따른 골프 수행능력 차이를 분석한 결과, 실험집단 중 ARCS 하위요인인 주의집중, 관련성, 자신감, 만족감 모두 ARCS모형을 기반으로 한 놀이 중심의 유소년 골프 프로그램을 적용한 실험집단의 상급에서 평균적으로 가장 높은 상승률을 보였고, 실험집단 상급과 하급의 모두에서 학습동기가 높을수록 골프 수행능력 중 퍼팅 정확도에 차이를 보였다. 실험집단 상급과 실험집단 하급 간의 통계적 유의한 차이는 없었으나, 평균에서의 차이는 보인 것으로 보아 모든 ARCS 하위요인의 정도에 따른 퍼팅 정확도 분석은 집단별 골프 학습동기가 높을수록 골프 수행능력인 퍼팅 정확도에 긍정적 효과를 가지고 오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샷 정확도의 경우 퍼팅 정확도와 마찬가지로 모든 항목에서 실험집단의 상급의 평균 점수가 가장 높고, 비교집단의 하급이 가장 낮았으며, 두 집단간 p< .001 수준에서 통계적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ARCS모형을 기반으로 한 놀이 중심의 유소년을 위한 골프 프로그램으로 인하여 체계적인 교육 방법을 도입할 수 있는 계기가 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되며, 본 연구에서 개발된 프로그램이 유소년을 위한 골프 프로그램의 초석이 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이를 통해 유소년에 맞는 체계적인 교육을 제공하는 것은 물론이고 유소년이 효율적으로 골프를 배우는데 도움을 줄 것이며, 또한 그간 유소년을 위한 골프 교수법이 적절한 것이었는지를 판단할 수 있는 기준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This study is aimed at analyzing the effects of play-oriented child and youth golf program based on the ARCS model. Among the subjects are golf students at the M Golf Academy in Seongnam, Gyeonggi -do, an experimental group of child and youth golf program, and those who apply the classic golf program at the T- child Sports Club in Yongin, Gyeonggi-do, who are aged between 6 and 11 years old. The 40 experimental group and 40 comparison groups consist of a total of 80 boys and girls, excluding those with physical conditions who cannot play golf. The experiment of this study was conducted in both groups at the D- Golf driving range located in Seongnam, Gyeonggi-do, and measured the level of motivation in advance and after through the examination paper of the learning motivation level, and the performance of golf was measured through Trackman-4 after each of the 12 week programs. Golf performance ability was divided into shot accuracy and putting accuracy, and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with the difference between the target points considering the physical development of the children's ages before and after school.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Analysis of the difference in golf performance according to the sub-factor of ARCS between groups showed that ARCS sub-components, Attention, Relevance, Confidence, and Satisfaction among the experimental groups, all of which were ARCS sub-factories, showed the highest on average among the higher level group with a play-oriented child and youth golf program based on the ARCS model, the higher the motivation for learning, both in the higher and lower levels of the experimental group, the more different the accuracy of putting, which is a sub-factor of golf performance. Although there were no statistical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higher level of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lower level of the experimental group, the analysis of putting accuracy according to the degree of all ARCS sub-factors showed that the higher the motivation for learning golf per group. It can be seen as a positive difference in putting accuracy, a sub-factor of golf performance ability. For shot accuracy, as with putting accuracy, the experimental group has the highest average score in all categories, the lower level of the comparison group was the lowest, statistical significant differences occurred at the level of p < .001 between the two groups. In conclusion, the golf program for play-oriented child and youth based on the ARCS model may provide an opportunity to introduce systematic education methods, the program developed in this study is believed to be the cornerstone of the golf program for child and youth. It provides systematic education for child and youth it will help them learn golf efficiently, it also suggests that golf teaching methods for child and youth have been appropriate.

      • 눈 움직임 분석을 통한 숙련급 조종사와 초급 조종사의 상황인식 비교에 관한 연구

        조은애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상황인식이란 주변의 환경을 구성하고 있는 요소들에 대한 인식, 그것들에 대한 이해, 그로부터 기대되는 가까운 미래에 대한 예측을 의미한다. 눈 움직임 분석법은 상황인식의 측정 방법 중 하나로서 기존의 다른 상황인식 측정 방법과 비교하였을 때 여러 가지 장점을 가지고 있다. 상황인식의 경험 효과란 경험이 많을수록 상황인식의 능력이 우수하다는 것으로서 이에 관련한 대부분의 연구가 상황인식의 경험효과를 지지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눈 움직임 분석법을 통해 상황인식을 측정하여 상황인식의 경험효과를 보임으로서 눈 움직임 분석법이 상황인식 측정에 활용될 수 있다는 일종의 타당성을 제공하고자 한다. 정상상황과 비정상 상황을 설정하여 숙련급 조종사 14명과 초급 조종사 12명의 분당 응시 횟수와 응시 시간 비율을 측정하였으며 상황에 따른 응시 데이터의 이동과 특정 영역에 대한 정량적인 비교 분석을 통해 분석한 결과 숙련급 조종사가 초급 조종사에 비하여 상황을 인식하는 능력이 뛰어난 것으로 나타났고 비정상적인 상황에서 숙련급 조종사의 상황인식의 수준이 초급 조종사에 비해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는 상황인식 측정에 눈 움직임 분석법을 활용하는 것에 대한 타당성을 제공하며, 실질적인 상황인식의 측정방법을 제공한다는 방법론적인 의의가 있다.

      • 인공지능시대의 비대면·온라인 기독교교육 모형 연구

        조은애 연세대학교 연합신학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인공지능시대라는 급격한 변화 속에서 탈인습적 온라인 신앙공동체를 지향하는 비대면·온라인 기독교교육 모형을 제시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이미 도래한 인공지능 기술의 발전은 비접촉·비대면으로도 사람 간의 연결이 가능하게 한다. 특히 코로나 19 팬데믹(Pandemic)으로 인해 시행되었던 비대면·온라인 교육은 시·공간의 제약을 넘어 교육이 이루어질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그러나 앞으로 더욱 활성화될 것으로 예측되는 비대면·온라인 교육은 기술과 정보에 대한 취약성으로 야기되는 불평등, 개인주도학습을 주요 목적으로 하는 바에 따른 개인주의화 및 타인과의 상호주의적 협력성 부족, 개인의 취향에 따른 선택학습이 가져오는 구조적 분화, 다원화에 저항하는 근본주의의 등장이라는 다양한 문제들을 내포하고 있다. 또한 인공지능기술이 삶의 편의와 질은 높여주지만, 예측할 수 없는 위험(risk)들을 내포하고 있다는 점에서 이를 누리는 개인에게 불안을 느끼게 한다. 즉 급격한 사회의 변화에 적응하고자 노력하지만, 동시에 시공간을 불문하고 야기되며 보상받을 수도 없는 위험들이 나타남에 따라 현대인들은 소외현상과 자아정체감의 혼란을 겪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논문은 리차드 아스머(Richard Osmer)의 ‘합의 모델’을 가지고 네 가지의 과제 곧 기술적-경험적 과제, 해석적 과제, 규범적 과제, 실용적 과제를 수행하는 방식으로 비판적 과제를 진행하였다. 우선 기술적-경험적 과제를 수행하기 위해 인공지능 시대의 도래와 그에 따른 비대면·온라인 교육 변화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해석적 과제 수행을 위해 인공지능시대와 기독교교육의 현황을 파악하고, 규범적 과제를 수행하기 위해 이론적 근거를 살펴보았다. 특별히 인공지능(AI)과 하나님의 형상(Imago Dei)으로서의 인간에 대해 고찰해보고, 관계성(relationality)을 추구하는 삼위일체론을 중심으로 탈인습적 기독교교육을 조명해보았다. 그리고 인공지능시대의 비대면·온라인 교육이 관계성을 추구하는 기독교교육으로서의 가능성을 내포하고 있는지 살펴보았다. 이러한 일련의 과정들을 토대로 실용적 과제 수행의 결과로 탈인습적 신앙공동체를 지향하는 비대면·온라인 기독교교육 모형을 제시하였다. 교육의 목적은 삼위일체 하나님의 관계성을 지향하는 탈인습적 신앙공동체를 형성하는 것이다. 즉 비접촉·비대면의 인공지능시대에 ‘공간과 장소’로 한정되어 있던 교회를 넘어 ‘나와 너(I-Thou)’의 관계로 발전할 수 있는 온라인 신앙공동체를 이루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리고 관계성·평등성·개방성을 토대로 하는 기독교적 자아정체감을 정립하는 데에 교육목표가 있다. 그리고 베로즈(Barrows)에 의해 의과대학에서부터 시작되어 오늘날까지 활용되는 PBL(Problem Based Learning)을 기반으로 하여 PBL협력모형을 비대면·온라인 기독교교육의 교육방법으로 제시하였다. PBL협력모형은 일반교육과 기독교교육에서 작용되는 구체적 실행 단계에 있어서 ‘삶으로의 적용(Praxis)’여부가 가장 큰 차이로 나타난다. 이에 본 논문은 여러 학자들의 PBL학습모형을 비교분석하여 탈인습적 자아정체성을 위해 김현숙이 제시한 ‘탈인습적 대화 모형’을 비대면·온라인 기독교교육에 어떻게 적용시킬 것인가 모색한다. 본 논문의 의의는 기독교교육학 분야에서 비대면·온라인 교육을 연구하였다는 점이며, 또한 삼위일체 하나님의 관계성을 지향하는 탈인습적 신앙공동체 형성을 위해 PBL협력학습을 활용한 구체적 비대면·온라인 기독교교육 모형을 제시했다는 데에 있다. This paper aims to present a model of non-face-to-face and online Christian education for a 'postconventional' congregation in the context that effective non-face-to-face and online Christian education should be conducted amid the rapid change of the AI era. The technology of the era of AI that has already arrived shows that people can connect with each other without contact or face-to-face. Non-face-to-face and online education, which had been implemented due to the special Hi Corona 19 fandom, suggests that education can now be done without any further restrictions on space. However, non-face-to-face and online education, which is expected to become more active in the future, poses various problems such as inequality caused by vulnerabilities in technology and information, individualism and lack of mutualistic cooperation with others. In addition, the rapid changes in the AI era have both the advantages of improving the convenience and quality of life and the unpredictable risks, which make individuals anxious to adapt to them. In other words, modern people suffer from the confusion of alienation and self-identity as risks appear that they try to adapt to rapid changes in society but cannot be compensated regardless of time and space. In this context, this paper has a model of agreement by Richard Osmer and has four tasks: technical-experimental tasks, analytical tasks, normative tasks, practical ones.Critical tasks were carried out in the way they were carried out. First of all, the advent of the AI era and the consequent changes in non-face-to-face and online education were presented to carry out technical and empirical tasks. And to carry out the analytical task, we have identified the current status of the Artificial Intelligence era and Christian education, and looked at the theoretical basis to carry out normative task. In particular, we considered human beings as AI and the image of God (Imago Dei) and shed light on the 'postconventional' education centered on the Trinity of seeking relationality. And we looked at whether non-face-to-face and online education in the AI era implies the possibility of Christian teaching seeking relationships. As a result of carrying out practical tasks based on this series of courses, a model of non-face-to-face and online Christian education aimed at a 'postconventional' congregation was presented. The non-face-to-face and online Christian education model aimed at a 'postconventional' congregation consisted of educational goals, educational methods and contents, teachers, learners, environment and evaluation. First of all, it is to form a 'postconventional' congregation that aims for the relationship of God in the Trinity, which is less educational. In other words, the goal is to form an online community of faith that can develop into an I-Thou relationship beyond the church, which was limited to space in the age of non-contact and non-face-to-face AI. And the goal of education is to establish a Christian self-identity based on relationships, equality and openness. In addition, the PBL (Problem Based Learning) cooperative model was presented as an educational method based on the PBL, which was started by Barrows and is used today. PBL collaborative learning can be summarized into six major categories: starting with the first question, emphasizing the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of the second learner, means a shift from the "professor"-centered to the "learning"-oriented, sharing solutions together with teams, subdividing them into individual autonomous exploration, and creating a collaborative learning environment where the fourth member teams form a team, and promoting the role of the fifth-professor. However, this model of the PBL agreement shows the biggest difference between "Praxis" in specific stages of implementation in general and Christian education. In response, this paper compares and analyzes the PBL learning models of various scholars to find out how to apply the "postconventional dialogue model" proposed by Kim Hyun-sook to non-face-to-face and online Christian education for a postconventional self-identity. In this context, 'non-face-to-face' and 'on-line' applied PBL cooperative learning forms a team for solving problems, seeks relationality in preparation for the change, equality through coordination, and openness through shared reflection in the community beyond dichotomous thinking in discussion." The significance of this paper is to study the non-face-to-face and online education in the field of self-taught education, and also to present a specific model of non-face-to-face and online Christian education using PBL cooperative learning to form a 'postconventional' congregation that aims at the relationship of God in the Trinity.

      • 대중가요를 활용한 자기성장프로그램이 아동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조은애 경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국 문 초록 대중가요를 활용한 자기성장 프로그램이 아동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조 은 애 초등음악교육전공 본 연구는 자기성장 프로그램에 대중가요를 접목시켜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프로그램이 아동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1. 대중가요를 활용한 자기성장 프로그램은 초등학교 6학년 아동의 자아존중감 향상에 효과가 있는가? 1-1. 대중가요를 활용한 자기성장 프로그램 참여한 실험집단과 참여하지 않은 통제집단 간에는 자아존중감 변화정도에 있어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가? 1-2. 대중가요를 활용한 자기성장 프로그램이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은 성별로 차이가 있는가? 1-3. 대중가요를 활용한 자기성장 프로그램이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은 성적 상위집단, 중위집단, 하위 집단별로 차이가 있는가? -ⅰ- 연구대상은 경기도 고양시 M초등학교 6학년 60명(실험집단 31명, 통제집단 29명)으로 하였다. 실험집단에 적용될 프로그램은 총 10회로 구성하였고, 창의적 재량활동 시간을 활용하여 주 1회 10주에 걸쳐 실시하였다. 측정도구는 Coopersmith(1967)의 연구를 참고하여 최보가와 전귀연(1993)이 연구 개발하고 전승배(2000)가 수정·보완한 자료를 사용하였다. 검사의 결과 처리는 SPSS win 12.0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중가요를 활용한 자기성장 프로그램의 효과를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간 비교, 분석한 결과, 유의미한 효과가 있었다(p< .01). 둘째, 성별에 따른 자아존중감의 향상도를 비교 분석한 결과, 남학생에게서만 유의미한 결과가 나왔다((p< .05). 셋째, 성적별 자아존중감의 향상도를 상위그룹, 중위그룹, 하위그룹으로 나누어 분석한 결과, 상위그룹과 중위그룹 학생의 경우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고, 하위 그룹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 .01). 이상의 연구결과를 통해 내린 결론은 대중가요를 활용한 자기성장 프로그램은 초등학교 6학년 아동의 자아존중감 향상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고, 여학생보다 남학생에게 효과적이며, 성적이 낮은 그룹에게 더욱 효과적이었다. 이는 학교 현장에서 담임 교사들이 인성교육시 노래를 활용한 자기성장 프로그램을 실시하여 초등학교 6학년 아동들의 자아존중감을 향상시킬 수 있음을 시사한다. 앞으로 아동들에게 보다 흥미 있고, 비 위협적으로 자신의 내면을 개방할 수 있는 다양한 예술분야와 자기성장 프로그램을 접목한 프로그램 연구가 필요하고, 자기행동 보고식의 검사도구와 행동관찰을 통해 자아존중감 상이 행동에 영향을 미쳤는지를 검증하는 연구가 요구된다.

      • 패션디자이너 뎀나 바잘리아의 작품에 나타난 포스트 소비에트 특성

        조은애 국민대학교 디자인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패션디자이너 뎀나 바잘리아의 정체성 형성과 패션 성향 정립에 지대한 영향을 준 포스트소비에트 시기의 시대적 상황을 고찰하고 현대패션에 나타난 포스트소비에트 영향을 고찰한 뒤, 바잘리아의 작품에 나타난 포스트소비에트의 특성을 조형적 표현방법과 내적의미로 나누어 논의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포스트소비에트 시기는 구소련이 붕괴한 이후부터 현재까지의 시기를 말하며, 포스트소비에트 국가는 구소련 공간에서 공존하고 있는 구소련의 회원국 이었던 15개의 국가로 개념정리 되었다. 본 연구는 포스트소비에트 시기의 사회·문화적 쟁점을 탈-사회주의와 섹슈얼리티의 전면화, 독립 국가 건설, 문화 정체성 형성으로 나누어 고찰하였다. 이를 통해 도출한 포스트소비에트의 특성은 상이한 가치관, 민족갈등 등이 공존하며 혼동을 불러일으킨 데서 나타난 ‘모호성’, 서구의 글래머 문화와 수위 높은 포르노그래피 등의 유입으로 인한 성적 향락의 ‘관능성’, 범죄와 사회체제에 대한 불만과 소수집단에 대한 차별에 대항하여 나타난 ‘저항성’, 청년들의 일상의 놀이를 통해 형성된 청년 문화에서 나타난 ‘유희성’, 서구문화에 대한 동경과 헛된 상상력의 조성, 과거에 대한 그리움의 향수에서 오는 ‘환상성’이 있다. 현대패션에 나타난 포스트소비에트 영향을 살펴보기 위해 포스트소비에트 초기에 청년기를 보낸 세대이며 오늘날 패션계에서 활발하게 활동하고 있는 패션 종사자를 고찰하였다. 이들은 서구의 패션을 받아들이는 데서 발전하여 포스트소비에트 시기에 형성된 그들만의 특수한 미적 정서와 개성을 패션에 반영하며 서구 패션 시장에서 영역을 확장하고 있다. 본 연구는 패션디자이너 바잘리아의 작품에 나타난 포스트소비에트 특성을 조형적 표현 방법과 내적의미의 측면에서 논의하였다. 포스트소비에트 시기에 성장한 바잘리아와 그의 동료들 간의 공감대를 바탕으로 작업된 바잘리아 작품의 조형적 표현방법으로 과장·해체·착장 방식으로 표현한 ‘형태 왜곡’, 소재 본래의 용도가 아닌 낯선 모습으로 변화시켜 표현한 ‘소재 변용’, 욕설·부정적 단어·연상문구를 담은 ‘슬로건 활용’, 색채가 가지는 심리적인 효과를 활용한 ‘상징 색’이 분석되었다. 바잘리아의 작품에 나타난 포스트소비에트 특성의 내적의미로는 공감대를 형성하는 집단의 자유로운 놀이과정을 통한 장난스러운 발상으로 ‘자율성의 극대화’, 반항적 문구와 상징성 파괴로 저항하는 ‘관습에 반항’, 다변적 가치 공존으로 혼동을 겪는 ‘정체성의 혼동’, 불완전한 상태를 통해 표출되는 비정상성을 미적 가치로 여기는 ‘불완전상태의 미’, 과거에 대한 그리움을 표현하는 ‘향수에 의한 환상’으로 논의되었다. 구소련 시기에 출생하고 포스트소비에트 시기에 청년기를 보내며 역사적 과도기를 경험한 바잘리아는 서구의 패션을 받아들이는 데서 발전하여 포스트소비에트 시기에 형성된 특수한 미적 정서와 개성을 반영한 패션으로 세계 패션계에서 가장 급진적인 디자이너로 주목받고 있다. 본 연구는 바잘리아의 작품을 포스트소비에트적 관점에서 분석함으로써 포스트소비에트 시기의 역사적 특수성이 글로벌 디자이너로 성장한 바잘리아의 아이덴티티에 내재되어 그의 패션에서 지대한 영향으로 나타나고 있음을 밝혀냈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view the unique situation of Post-Soviet era that had prominent effects on the identify establishment and fashion propensity of Demna Gvasalia, a fashion designer, and the effects of Post-Soviet found in contemporary fashion and to discuss the characteristics of Post-Soviet in terms of formative expression technique and internal meaning, respectively. The Post-Soviet era refers to the period from the collapse of Soviet Union to present, and Post-soviet countries are defined as the 15 countries that was a member of and is at the old territory of Soviet Union. In this study, the social and cultural issues of Post-Soviet era were investigated while dividing the issues into de-socialism, generalization of sexuality, construct independent nation and formation of cultural identity. The characteristics derived from the investigation were 'ambiguity' caused by confusion due to co-existence of values of different gender roles and national identities, pleasure-seeking 'sexuality' due to the introduction of exotic trends such as West glamour culture and high-level pornography, 'resistance' fueled by complaint for crime and social system and against discrimination, 'amusement' formed in young people's culture through daily play of young people, and 'fantasy' derived from yearning for West culture, formation of vain imagination coming from nostalgia. For the investigation of effects of Post-soviet on the contemporary fashion, the fashion industry workers who is generation that experienced early Post-Soviet as young people and is active players in fashion communities were reviewed. They not only accepted West fashion but also have been extending their realms in West fashion markets by applying their unique art emotion and characteristics formed at Poste-Soviet times to fashion. This study discussed the characteristics of Post-Soviet expressed in Gvasalia's work in terms of formative expression technique and internal meaning, respectively. The expression techniques, characterizing Post-Soviet, found in Gvasalia's work was analyzed as 'distortion of form' expressed by exaggeration, deconstruction, attachment methods, 'change in appearance of material' expressed by using unfamilar changed appearance, 'use of slogan' containing foul language, negative words, association text, 'symbolic color' using psychological effect of color. The internal meanings, characterizing Post-Soviet, expressed in Gvasalia's work were playful idea of a group with social bond through course of play and discussed as 'maximization of autonomy', 'defiance to custom' through rebellious expression and destruction of symbolism, 'confusion in autonomy' by co-existence of multi-facet value, ‘beauty with unstable state' regarding abnormality expressed through unstable state as a value, and 'reproduction by nostalgia' meaning longing to past. Gvasalia, who born in Soviet Union ear and experienced historial transition period in his youth time, not only accepted West fashion but also have made fashion reflecting unique aesthetic emotion and characteristics formed in Post-Soviet era, calling attention from all over the world as an most radical designer. This study is expected to reveal Post-Soviet characteristics derived from prominent effects embedded in Gvasalia's identity who became a global designer by analyzing his works in a view of historical particularity of Post-Soviet era.

      • 소규모 초등학교 교사의 학교 안 전문적 학습공동체 참여 경험 분석

        조은애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Through a case study,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operation of a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in a school, which is a small school, and to derive the characteristics of a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in a small school. Through this, we would like to find out how teachers can voluntarily participate in a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in a small school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According to the necessity and purpose of the research presented above, the following problems will be studied through research. First, what is the motivation for participating in the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in small school schools? Second, what kind of experience did you have in a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in a small school school? Third, what is the meaning of a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in a small school for teachers? The development direction of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ies in small schools is as follows. First, it is necessary to provide financial support to a small school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Currently, the budget for the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is not distributed separately by the Office of Education. Therefore, each school is preparing its own budget for operating a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However, since the school budget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school, it is difficult for small schools to distribute the necessary budget to the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separately. Therefore, in order to revive and maintain the spontaneity of teachers participating in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ies in small schools, it is necessary to organize budgets at the level of the Ministry of Education. Only then will there be no financial burden on running a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in small schools that lack the school's own budget, allowing them to operate a meaningful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Second, the criteria for completing small school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ies should be eased. Unlike middle-level or higher schools, small schools often have one person in charge of various tasks. As a result, there are more business trips and work per person than middle-level or higher schools. As a result, the schedule of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ies often overlaps with business trips. Whenever that happens, it is not easy to change the schedule of a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There are participants who think of the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as a compulsory community, not in terms of spontaneity or autonomy. Due to this negative perception, it may be difficult to operate a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based on teacher spontaneity.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lower the standard for the completion rate of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ies in small schools or to recognize non-participation in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ies due to business trips as participation in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ies. Third, additional points should be introduced to small school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ies. This is why additional points for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ies are needed for small school teachers who devote time and passion to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ies for schools and individuals despite difficult conditions. A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that has the meaning of maintaining schools beyond the meaning of a formal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is impossible without the spontaneity and passion of teachers. If small school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participants who strive to create a meaningful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are given extra points in various ways, such as training points or regional movement points, teachers who share school goals and share students' directions in many tasks will feel rewarded. In order to prevent the additional point itself from being the purpose, it is also necessary to consult at the education office about how a small school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is operated, share excellent cases, and give additional points if they meet the purpose of the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If additional points are introduced for a small school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operated as a school-wide community rather than a formal and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run by a few teachers, teachers can voluntarily participate in the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Fourth, it is necessary to simplify the administrative procedures of small school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ies. Currently, in order to operate a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a plan for a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is submitted at the beginning of the semester, and operational results such as the end of the semester, budget usage, and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completion rate are submitted in the form of a report. From the standpoint of the Office of Education, these processes are said to have been simplified a lot, but even these tasks are sometimes burdensome in small schools. Demanding formal plans and reports from teachers who already have difficulty voluntarily participating in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ies due to other heavy tasks hinders voluntary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participation. Therefore, in order to operate a small school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that is meaningful to teachers' spontaneity, it is necessary to simplify administrative procedures in consideration of the situation of small schools, not data uniformly required by all schools. In order for teachers' spontaneity to be expressed in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ies in small schools, it is necessary to change and support the perception of all educational communities as mentioned in this study. This is because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ies in small schools can be developed and expanded in this environment. However, in many small schools, the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is often considered a meaningless task. The internal structure and perspective of the school that can unfold the teacher's spontaneity change, and the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itself should grow into an organization with expertise by expressing internal motivation in the midst of these changes. If it develops into a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in this direction, it will be able to overcome various limitations of being a small school and become a true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based on the spontaneity of teachers. 본 연구는 사례 연구를 통해 소규모학교인 본교에서 이뤄지고 있는 학교 안 전문적 학습공동체의 운영 모습을 살펴보고 소규모학교의 전문적 학습공동체가 보이는 특징을 도출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소규모학교 전문적 학습공동체에서 교사들이 자발적으로 전문적 학습공동체에 참여할 수 있는 방법이 무엇인지 찾아보고자 한다. 앞에서 제시한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에 따라 연구를 통하여 아래와 같은 문제를 연구하고자 한다. 첫째, 소규모 초등학교 학교 안 전문적 학습공동체 참여 동기가 무엇인가? 둘째, 소규모 초등학교 학교 안 전문적 학습공동체에서 어떤 경험을 했는가? 셋째, 소규모 초등학교 교사들에게 학교 안 전문적 학습공동체는 어떤 의미인가? 소규모학교 안 전문적 학습공동체의 발전 방향은 다음과 같다. 첫째, 소규모학교 전문적 학습공동체에 재정을 지원하는 것이 필요하다. 현재 전문적 학습공동체 예산은 교육부나 교육청에서 따로 배부하지 않는다. 그러다 보니, 전문적 학습공동체를 운영하는데 필요한 예산을 학교별로 자체적으로 마련하고 있다. 하지만 학교 예산은 학교 규모에 따라 정해져 있기 때문에 소규모학교에서 따로 전문적 학습공동체에 필요한 예산을 배부하는 것에 어려움이 있다. 그러므로 소규모학교의 전문적 학습공동체에 참여하는 교사들의 자발성을 살리고 유지하기 위해서는 교육부와 교육청 차원에서 예산을 편성해 주는 것이 필요하다. 그래야 학교 자체 예산이 부족한 소규모학교에서 전문적 학습공동체를 운영하는 것에 대한 재정적 부담이 없어 유의미한 전문적 학습공동체를 운영할 수 있게 될 것이다. 둘째, 소규모학교 전문적 학습공동체 이수 기준을 완화해야 한다. 소규모학교는 중급 이상의 학교와 다르게 여러 업무 담당자가 1명인 경우가 많다. 그러다 보니 1인당 출장 및 업무가 중급 이상 학교보다 많은 편이다. 그러다 보니 전문적 학습공동체 일정이 출장과 겹칠 때가 빈번하다. 그럴 때마다 전문적 학습공동체 일정을 변경하는 것은 쉽지 않다. 전문적 학습공동체를 자발성이나 자율성의 측면이 아닌 강제적인 공동체라고 생각하는 참여자들이 있게 된다. 이러한 부정적 인식 때문에 교사 자발성에 근거한 전문적 학습공동체 운영이 어려워지기도 한다. 그러므로 소규모학교의 전문적 학습공동체 이수율에 대한 기준을 낮추거나 출장 등으로 인한 전문적 학습공동체 미참여에 대해서는 전문적 학습공동체 참여로 인정해 주는 것이 필요하다. 셋째, 소규모학교 전문적 학습공동체에 가산점을 도입해야 한다. 쉽지 않은 여건 속에서도 학교와 개인을 위해 전문적 학습공동체에 시간과 열정을 쏟는 소규모학교 교사들에게 전문적 학습공동체 가산점이 필요한 이유이기도 하다. 형식적으로 이뤄지는 전문적 학습공동체 의미를 넘어선, 학교를 유지하는 의미를 가진 전문적 학습공동체는 교사들의 자발성과 열정이 없이는 불가능하다. 유의미한 전문적 학습공동체를 만들기 위해 노력하는 소규모학교 전문적 학습공동체 참여자들에게 연수 가산점 또는 지역 이동 가산점 등 다양한 방식으로 가산점을 부여한다면 많은 업무 속에서도 학교 목표를 공유하고 학생들의 삶의 방향을 나누는 교사들에게 기꺼이 전문적 학습공동체에 자발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보람을 느낄 수 있게 해줄 것이다. 가산점 자체가 목적이 되지 않게 하기 위해서 소규모학교 전문적 학습공동체가 어떻게 운영되고 있는지 교육청 차원에서 컨설팅을 하고 우수한 사례를 공유하면서 전문적 학습공동체 취지에 맞는 경우에 가산점을 부여하는 것도 필요하다. 형식적이고 몇 명의 교사들에 의해 운영되는 전문적 학습공동체가 아닌 학교 전체의 공동체로서 운영되는 소규모학교 전문적 학습공동체에 대한 가산점을 도입한다면 교사들의 자발적인 전문적 학습공동체 참여를 이끌어 낼 수 있을 것이다. 넷째, 소규모학교 전문적 학습공동체의 행정 절차의 간소화가 요구된다. 현재는 전문적 학습공동체를 운영하기 위해서는 학기 초 전문적 학습공동체에 대한 계획서를 제출하고 학기 말, 예산 사용 현황과 전문적 학습공동체 이수율 등 운영 결과를 보고서 형식으로 제출하게 되어 있다. 교육청 입장에서는 이러한 과정들이 많이 간소화되었다고 하지만, 소규모학교에서는 이러한 업무조차 부담이 될 때가 있다. 이미 다른 과중한 업무로 인해 전문적 학습공동체에 자발적으로 참여하는 것에 어려움을 느끼는 교사들에게 형식적인 계획서와 보고서를 요구하는 것은 자발적 전문적 학습공동체 참여를 저해하는 요소가 된다. 그러므로 교사들의 자발성에 의미를 둔 소규모학교 전문적 학습공동체를 운영하기 위해서는 모든 학교들에게 획일적으로 요구하는 자료가 아닌, 소규모학교의 상황을 고려한 행정 절차의 간소화가 필요하다. 소규모학교 안 전문적 학습공동체에서 교사의 자발성이 전문적 학습공동체에서 발현되기 위해서는 이번 연구에서 말한 것과 같이 모든 교육공동체의 인식의 변화와 지원이 필요하다. 이러한 환경에서 소규모학교 안 전문적 학습공동체가 발전하고 확대될 수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아직도 다수의 소규모학교에서는 전문적 학습공동체가 하나의 의미 없는 업무로 여겨지고 있는 경우가 많다. 교사의 자발성을 펼칠 수 있는 학교 내부적 구조와 바라보는 시각이 변화하고 이러한 변화 속에서 교사 스스로 내적 동기를 발현시켜 전문적 학습공동체 자체가 전문성을 가진 조직으로 성장해야 한다. 이러한 방향으로 전문적 학습공동체게 발전된다면 소규모학교라서 가진 여러 한계들을 극복하고 교사의 자발성을 바탕으로 한 진정한 전문적 학습공동체가 될 수 있을 것이다.

      • 과민대장증후군 환자의 예후 인자로서 기저 수소 호기 생산과 구강 맹장 통과 시간

        조은애 전남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BACKGROUND AND AIMS: Traditional symptom-based therapies of irritable bowel syndrome (IBS) are directed at the relief of individual IBS symptoms. However, prognostic factors for responses to these treatments have not yet been well studie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predictors for treatment response in patients with IBS. METHODS: A total of 112 patients with IBS according to Rome III criteria checked a global IBS symptom questionnaire and underwent lactulose breath test at the same time. All participants were treated with traditional symptom-based therapies for 4 weeks. Overall improvement of global IBS symptom was reassessed. RESULTS: Four weeks after initiation of symptom-based therapies, overall improvement was observed in 83 out of 112 (74.1%) patients. High basal hydrogen level (>20 ppm) was more frequent in the subjects with poor response (6/29, 20.7%) than in the subjects with good response (4/83, 4.8%, p=0.020). Prolonged orocecal transit time (>120 min) was more frequent in the poor responders (20/29, 69.0%) than good responders (37/83, 44.6%, p=0.024). Among 72 patients who received rifaximin, seven (9.7%) had high basal breath hydrogen level. Only 42.9% (3/7) of these patients showed symptom relief, while 83.1% (54/65) of patients with normal baseline hydrogen level (p=0.013) showed symptom relief. Among those who received rifaximin, OCTT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good responders and poor responders. CONCLUSIONS: High basal hydrogen production and prolonged orocecal transit time correlate with poor treatment response in patients with IBS. High basal hydrogen production is also a poor response factor after rifaximin treatment. These results suggest that lactulose breath test can be used as a tool for prediction of treatment response in patients with IBS.

      • Complex system from biocompatible polysaccharide / PEI derivatives for enhancement of cancer therapeutic effects

        조은애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aim of this study is to develop complex system which has a specific toxicity against cancer cells. Cationic polymer/vitamin conjugates was synthesized via the formation of amide bond. The cationic polymer has a cytotoxicity, while the toxicity of the conjugate was slightly reduced. For this reason, the conjugates was covered with biocompativle polysaccharide (BP) which could be easily degraded by an enzyme secreted from tumor site. In this study, the cytotoxicity of conjugates covered with or without BP was measured by tetrazolium based colorimetric (MTT) assay and flow cytometry analysis (FACS). When the enzyme is absent, the conjugates with BP showed no cytotoxicity against the cells, while the cytotoxicity dramatically increased in the presence of the enzyme that can digest BP. The cytotoxicity depended on the concentration of the enzyme and shielding ratio of BP. In order to define the effect of BP on the cytotoxicity, the interaction between the conjugates and the cells was observed by confocal microscopy. The cell cytosol was perfectly stained by the red color (RITC-labeled PEI/ATRA conjugate) in the presence of the enzyme, while RITC-labeled conjugates only stained in the cell membrane without the enzyme. The result indicated that BP could enhance the specificity of PEI/ATRA conjugates against tumor site by inhibiting the internalization in the normal tissue. 본 연구의 목적은 암 세포에 대하여 특이적으로 독성을 나타내는 나노입자를 개발하는 데에 있다. 나노 입자를 만들기 위해 양이온성 폴리머와 비타민을 아마이드 결합을 이용하여 결합체를 형성하였다. 폴리머의 화학 구조 안에 아민 그룹을 가지고 있는 양이온성 폴리머는 세포에 독성을 나타내며 이는 소수성 성질을 가지는 비타민과의 결합체 형성을 통해 그 독성을 감소시킬 수 있다. 그리고 암으로의 특이적인 전달을 위하여 암세포 표면에 과발현되는 리셉터와 결합할 수 있는 생체 적합성 다당류로 양이온성 폴리머/비타민 결합체 표면을 감싸도록 하였다. 이 때 사용한 다당류는 암세포에서 분비되는 효소에 의해 쉽게 분해되는 것으로 이를 이용하여 암세포로 특이적인 전달을 할 수 있으며 전달된 후 효소에 의해 분해되어 세포 안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하였다. 양이온성 폴리머는 세포에 독성을 가지고 있지만 세포로의 유입에 있어서 매우 뛰어난 능력을 가지고 있어 결합체와 다당류의 결합으로 이루어진 나노 입자의 표면에 있는 다당류가 분해된 후에 세포 내로 쉽게 들어갈 수 있게 된다. 본 연구에서 합성한 결합체의 독성을 측정하기 위해서 MTT assay를 수행하였고, 다당류의 유무에 따른 독성을 확인하였다. 효소가 없을 때, 다당류와 결합시킨 결합체는 세포에 대한 독성을 나타내지 않았지만 효소 존재 하에서는 급격하게 독성이 증가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독성은 효소와 표면을 감싼 다당류의 농도에 의존적으로 나타났다. 나노입자가 나타내는 독성에 있어서 다당류의 효과를 증명하기 위해 세포와 결합체 간의 상호작용을 confocal 현미경을 통해 관찰하였다. 효소의 존재 하에서는 RITC로 표지한 결합체에 의해 세포질이 전체적으로 붉은 색을 띄지만, 효소가 없을 때는 오직 세포 막 부위에서만 형광을 나타내는 것을 볼 수 있었다. 이는 결합체에 있는 비타민이 세포핵과 반응할 수 있는 리셉터를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다당류에 의해 결합체의 표면이 가려져 있을 때는 세포핵과 상호작용을 할 수 없지만 효소에 의해 다당류가 분해되게 되면 결합체는 세포핵과 상호작용을 하여 나노 입자가 세포핵까지 도달할 수 있게 된다. 이 결과는 다당류에 의해서 나노 입자의 성질이 충분히 가려지며 효소에 의해 다당류가 효과적으로 분해된다는 것을 나타낸다. 그리고 다당류가 분해 된 후 나노입자가 암세포와 효과적으로 상호작용 할 수 있다는 것도 알 수 있다.

      • 중학교 생물 실험의 분석과 개선 : 영양소 검출 단원을 중심으로

        조은애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연구는 중학교 과학 교과서에 제시된 생물 실험 중 영양소 검출 단원을 선정하여 영양소 검출 실험 과정을 분석하고 문제점을 파악한 후 적절한 실험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 연구를 위하여 중학교 1학년 과학 교과서 8종을 분석하고 이 중 중복 실험 과정을 제외한 3개 교과서를 선정하여 실험 과정을 알아보았다.교과서 실험 분석을 해보면 실험 설계 부분에서는 3종 교과서 모두 탐구과정을 설명해주고 과제를 해결하게 하는 안내된 실험 방식을 선택하고 있다. 3대 영양소 모두를 검출하는 시간적 공간적 한계로 인하여 한 개의 검출 재료를 선택해 실험하도록 하는 과정도 있었고, 4개 영양소 검출을 위해 4개의 시약반응을 보도록 설계한 실험은 시간의 한계를 드러냈다.이렇게 영양소 검출 실험 과정을 분석하고 문제점을 파악한 결과 이를 보완할 수 있는 학습 방법을 다음과 같이 제시했다.첫째, 협동학습을 도입하여 각 영양소 검출의 전문가 집단 활동과 모집단 활동을 적절하게 수행하도록 하였다. 이런 협동학습 방법은 개인이 전체 학습 내용의 일부를 담당하고, 모둠의 모든 학습자는 주어진 학습 목표 달성을 위해서 협동하게 되며, 각 개인이 모둠 구성원의 성공에 기여하게 된다는 점이 기대된다. 즉, 4가지 영양소 검출 방법을 하기에 시간의 한계가 있었지만 이런 협동 학습 방법을 선택하면 시간의 제약을 받지 않고 결과를 얻을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그러나 집단 구성원 모두가 실험 과정을 경험할 수 없고 특정 과정만 경험한다는 한계도 있기 때문에 이런 점을 고려해서 실험 과정을 구성해야하는 어려움이 있다.둘째, SSC (Small Scale Chemistry)를 통한 실험 학습의 도입이다. 이러한 실험 학습은 가존 실험이 기구의 부족으로 인해서 학생들의 실험 참여를 낮추게 한 단점을 극복하게 할 수 있는 방법일 수 있다. 영양소 검출 실험은 생물분야 실험이지만 실험 과정이나 방법에 있어서는 화학실험에 가깝다. 그렇기 때문에 학교 실정에 따라서 실험 시약이나 실험 기구의 부족으로 인해서 실험조 편성을 다수로 하여 학생들의 참여 기회를 적게 할 수 있다. SSC를 적용한 실험은 적은 비용과 간단한 실험 키트를 사용하여 실험에 참여하는 모든 학생들에게 실험 기구가 제공 될 수 있다. 따라서 학습이 학생들 스스로 실험과정을 수행하고 결과를 얻는 과정을 통해 새로운 지식을 알아갈 수 있는 즐거움을 제공할 수 있다. 즉 학습의 기회 확대라는 측면에서 유용한 실험 방법이다. 또한 실험 과정에서 실험 기구가 무겁거나 깨지기 쉽고, 화학 약품 사용으로 인한 안전사고의 위험도 따른다. 따라서 SSC는 아주 적은 양의 시약을 사용 하며 작은 실험 기구를 이용하기 때문에 발생하는 실험실 사고를 최소화 할 수 있다.그러나 본 연구는 영양소 검출 단원 실험을 분석하고 개선 실험 방법을 모색했으나 개선 실험 방법을 이용하여 검증하는 과정을 거치지 않았기 때문에 유의미한 실험 방법이라 확신할 수 없으므로,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present the alternative experiment processes properly after examining nutrient detection experiments and finding out the drawbacks in middle school science textbooks. The subjects of the analysis are 3 different textbooks in eight different series of middle school science textbooks for the 1st grade students under the 7th curriculum.The data analysis shows that all three textbooks provide the guided experiment processes such as the directions to follow. There are the drawbacks of space and time limits. For example, students just pick up one of the three nutrient detection experiments, or need more time to finish the three experiments. Then, some suggestions for making up for the weak points are here.First of all, the cooperation learning will be the answer. In each group, all the members take their own task and cooperate to each other for completing the group task. Then, the group can share their own results with the others. They can overcome the time limits from this. But, the drawback is that each student can't have the all different experiment experiences.Next, SSC(Small Scale Chemistry) will be the answer as well. This is the way for overcoming the drawbacks by the lack of the equipments which lower the quality of students' participation for learning. Actually, the nutrient detection experiments are like chemistry more than biology based on the experiment processes and methods. Because of the lack of the equipments, each group is consisted of lots of students and, it doesn't provide enough opportunities for them to participate. When applying SSC into the experiment, teachers can provide sample kits to all the students which are based on the small money. Through the better quality learning, students can get the new knowledge with fun. It's useful experiment method for the spread of learning opportunity. In fact, real equipments are heavy and easy to be broken, and it's dangerous to use toxic chemical. But, SSC is safe because it use a few toxic chemicals and little experiment kits.In conclusion, this study examines the process and experiment method of the nutrient detection experiments. This is not proved enough yet, so we need further studies.

      • 루소의 여성 교육론 연구 : 루소 여성 교육론 재평가

        조은애 韓南大學校 敎育大學院 2005 국내석사

        RANK : 247631

        Le but de cette e’tude est de chercher des valeurs ne’cessaires a‘ notre temps par Sophie qui est de’crit par Rousseau dans l'Emile. Nous avons e’tudie’ les syste‘mes d'e’ducation des femmes. Comme nous le savons bien, son e’ducation de la femme doit e^tre relative aux hommes. Sous l'ordre naturel, les hommes sont raisonnables, passionels et libe’raux mais non chez les femmes. Parce que en tout ce qui tient au sexe la femme n'est pas homme. La femme est faite spe’cialement pour plaire a‘ l'homme donc sa caracte’ristique doit e^tre instruite seulement pour l'homme. Dans ce point, Rousseau est critique’ par fe’ministe. Mais Rousseau, il pense que C'est ici le loi de la nature, C'est a‘ dire que chacun des deux va aux fin de la nature selon sa particulie‘re. La femme est l'oeil et l'homme le bras, mais avec une telle de’pendance l'une de l'autre que c'est de l'homme que la femme apprend ce qu'il faut voir et de la femme que l'homme apprend ce qu'il faut faire. Selon une ide’e de Rousseau, la femme a la modestie et la honte dont la nature arme le faible pour asservir le fort, C'est que le plus fort est le maitre en apparence et de’pende en effet du plus faible. Ainsi Toutes les facule’s communes aux deux sexes ne leur sont pas e’galement partage’es, mais prises en tout elles se compensent. Je pense que la femme vaut mieux comme femme. Notre socie’te’ a besoin de sa caracte’ristique pour resoudre une crise de notre temps ou‘ les vices de la civilisation moderne a produit. Cette e’tude se classe en quatre chapitres. Dans le premier chapitre, nous regardons comment la source de l'education de la femme par Rousseau vient. Il est ne’cessaire que nous apprendrons la situation de la socite’te’ l'aspect de la culture au dix­huitie‘me. Dans le deuxie‘me chapitre, nous observerons la vue de la femme a cavers son oeuvre pour comprendre des ide’es de Rousseau. Ensuite, Dans le troisie‘me chapitre, nous observerons comme partager sa the’orie en trois; l'objectif, le contenu et la me’thode de l'education de la femme. Dans le dernier chapitre, nous estimerons sa the’orie ou‘ nous chercherons la valeur a‘ notre temp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