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고려 무인집권기 敎宗불교계의 동향

        김현룡 동아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7807

        고려시대의 불교는 종교로서의 측면에서뿐만 아니라, 정치·경제·사회적인 측면에서도 중요한 위치를 점하고 있었다. 고려는 국가적 차원에서 승려와 사원에 대해 많은 관심을 보였으며, 불교계 역시 국가권력과 불가분의 관계를 유지하였던 것이다. 고려시대 불교사에 대한 기존의 이해방식은 시기별로 교선의 교체와 변화로 규정하고, 나말여초 시기는 선종 중심으로, 고려중기 이후는 화엄종과 유가종 등 교종 중심으로, 그리고 무인집권기는 다시 선종 중심으로 규정하여 왔다. 이러한 시기구분에 의한 이해방식은 어느 정도 수용할만한 것이지만 지나치게 도식화, 단선화 하였다는 비판을 면할 수 없으며, 특히 무인집권기 교종불교계에 대한 연구는 상대적으로 소홀하게 다루어져왔다. 무인정변으로 인해 교종불교계의 지지기반이라 할 수 있는 왕실은 무력화되었고, 문신정권은 붕괴되었다. 무인집권 초기부터 무인집권자와 교종불교계의 갈등과 충돌은 계속되었다. 이는 당시 왕실·문벌귀족과 연계하여 사회 전반에 걸쳐 큰 영향력을 발휘하고 있던 교종불교계와 이를 무너뜨린 무인집권자와의 피하기 힘든 갈등이었다고 생각된다. 이러한 충돌에서 피해를 입은 것은 교종불교계였다. 그러나 많은 피해에도 불구하고 교종불교계와 왕실·문신들과의 교유는 무인집권기에도 계속되고 있었다. 이는 집권자의 교체가 백성들의 신앙을 가로막을 수는 없었다는 것을 보여준다 하겠다. 그리고 교종불교계는 반룡사·수암사 결사를 통하여 지방으로 교세를 확장하였으며, 스스로를 개혁하려는 노력을 지속적으로 전개하였다. 당시 교종불교계 승려들의 행적은 비문과 묘지명을 통해 확인되는데, 이들은 법회와 선과를 주관하였으며 정치에 관여하는 경우도 있었다. 그리고 이들은 당대의 명사들과도 교유하였으며, 시문은 문사들의 문집에 전해질 정도로 수준이 높았다. 또한 국난을 극복하기 위한 국가적 사업인 대장경 조판사업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였으며, 사경활동도 활발하게 전개하였다. 교종불교계는 이러한 방법을 통해 自存의 길을 찾을 수 있었다고 생각된다. 이러한 교종 불교계의 활동은 14세기 원간섭기에도 꾸준히 이어졌다. Buddism in Koryo dynasty had much influence on every aspects of society, including religious aspect as well as political, economical and socical aspects. Koyro dynasty paid much attention to Buddisit priests and temples, Buddist world also was closely related to the political powers. Until now, lots of scholars has considered that the Buddisim in Koryo dynasty experienced the change of Buddism, which was the change of Non-zen Buddism and Zen Buddism. To be exact, Zen Buddism was popular in the late Koyro and in the early Chosun, Non-zen Buddism was popular in the middle Koyro and Zen-Buddism was again popular in Military regime. This view is somewhat acceptable, but this view is criticized by some scholars becasue of oversimplicity. And some scholars said this view took the research on Non-zen Buddism in Military regime too lightly. Military coup d'etat caused the government, the foundation of Non-zen Buddism to lose its powers and also caused existing aristocracy to be destroyed. From the early military regime, the conflict between militray leaders and Non-zen Buddism continued. This conflict is indispensible because Non-zen Buddism connected with the government and the aristocarcy had much influence on every aspects of society and Military leaders made such Non-zen Buddism's powers be under their control. Non-zen Buddism was harmed from this conflict. In spite of this severe harm, the relationship between Non-zen Buddism and the government continued in Military regime. This shows that the change of leaders in the government can't prevent the common people from believing in Buddism. And Non-zen Buddism expanded its powers to provinces through Banryoungsa and Suamsa organizations and tried to reform the obsolete system in Non-zen Buddism. We can know Buddist priests' lives through epitaphs, according to these epitaphs they had charge of Buddist ceremony and the elective course, sometimes they took part in politics. They also are related to the famous wirters, their poetry and prose are polished enough to be recorded in the famous writers' books. They also took part in typesetting of the complete collection of Buddhist Sutras,Laws and Treatises to overcome national difficulties. Non-zen Buddism can find out its self-existence through these ways. These activities in Non-zen Buddism in Militry regime continued during the anti-Mongolian period in 14th century.

      • 朝鮮總督府의 佛敎政策과 佛敎界의 對應

        김순석 高麗大學校 大學院 2001 국내박사

        RANK : 247806

        지금까지 朝鮮總督府의 佛敎政策에 대한 불교계의 대응을 추종과 저항이라는 관점에서 식민지 시기 불교사를 검토하였다. 그 결과 지금까지의 연구를 요약해 보면 다음과 같다. 조선왕조 정부는 문호개방 이후 외세와 함께 유입된 개신교 포교의 자유를 묵인할 수 밖에 없었다. 그에 따라 불교에 대한 억압도 완화되었고 불교계는 대한제국 시기를 거치는 동안 이전의 억압된 상황에서 벗어나게 되었다. 문호개방 이후에는 일본 불교 세력이 본국의 정치권과 유착되어 조선에 침투하였다. 1877년 淨土 眞宗 大谷派 東本願寺가 포교사를 파견한 이래 많은 일본의 불교 종파들이 포교사를 파견하고, 일본 사찰의 별원과 포교소를 설립하였다. 일본 승려들은 조선인의 일본인에 대한 적대감을 완화시키고 정탐활동까지 하는 등 침략을 위한 첨병 역할까지 수행하였다. 1895년 일련종 승려 사노 젠레이(佐野前勵)는 김홍집 내각에 건의하여 조선 승려들의 도성해금을 실현시켰다. 물론 도성해금은 사노의 건의가 아니더라도 해제될 상황이었다. 즉 개항기 들어 불교계는 이전보다 자유로운 분위기를 접하고 있었다. 개신교가 포교의 자유를 얻어가고 있었고, 동학농민군이 제시한 폐정개혁안 12개조에도 신분제 철폐에 관한 조항이 포함되어 있었다. 그리고 갑오개혁을 추진하던 군국기무처가 실시해야할 시급한 과제 가운데 승려의 도성해금 조항이 들어 있었다. 대한제국은 1902년 元興寺를 首寺刹로 지정하고 궁내부 소속의 寺社管理署를 설치하여 불교계를 관리하면서 「국내사찰현행세칙」 36개조를 발표하였다. 「국내사찰현행세칙」은 여전히 봉건적인 요소가 남아 있었지만 이전 시기에 비해서 훨씬 완화된 분위기 속에서 불교계의 자주적인 발전을 보장하였다. 수사찰로 지정된 원흥사 아래 16개의 中法山을 두어 모든 사찰을 통괄하게 하였다. 승단의 최고 책임자로서 左敎正을 두고, 右敎正·大禪議 등의 임원을 두게 하였다. 승려가 가벼운 범죄를 저질렀을 경우 세속법의 적용을 받지 않고 승단에서 처결할 수 있는 자율권을 부여하였다. 그리고 불교계가 학교를 세워 인재를 선발하여 발전을 도모할 것을 권장하기도 했다. 이러한 정책에 힘입어 불교계는 자체적으로 종단을 설립하고 학교를 세워 인재를 양성하는 등 발전을 꾀하게 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불교계의 발전 가능성은 국권을 상실하고 식민지 시기로 접어들면서 또다시 좌절되었다. 대한제국 시기 원종의 종정으로 추대되었던 李晦光은 조선 불교가 발전하기 위해서는 일본 불교의 포교방식을 배워야한다고 주장하면서 조선 불교계를 일본 불교 조동종과 연합하려고 시도했다. 이러한 이회광의 망동은 韓龍雲·朴漢永·陳震應·金鍾來 등 민족주의 성향의 승려들이 臨濟宗을 설립함으로써 무산되었다. 그러나 임제종 또한 조선총독부의 탄압을 받아 해산되었다. 조선총독부는 1911년 6월에 「寺刹令」을 공포함으로써 불교계를 장악하였다. 「사찰령」은 일본이 패망하던 순간까지 불교계를 제약한 악법이었다. 「사찰령」의 모법이라고 할 수 있는 종교법안은 일본 제국의회에서도 헌법정신에 위반되고 국가의 종교간섭이 시대착오적 발상이라는 이유로 세 차례나 부결되었던 법안이었다. 「寺刹令」과 「寺刹令施行規則」에 의해서 조선총독부는 불교계를 30본사체제로 개편하였다. 조선총독은 본사 재적 승려들의 투표에 의하여 선출된 본사 주지의 최종 인가권을 가짐으로써 인사권을 장악하였다. 사찰의 재산을 매각할 때도 사전에 당국에 신고하여 허가를 받도록 함으로써 불교계의 재정권을 장악하였다. 30본사 주지들은 총독부 당국과 결탁하지 않고서는 사찰을 운영할 수 없었다. 朝鮮總督이 사찰 재정권과 본사 주지들의 임면권을 가졌지만 불교계를 효율적으로 운용하기 위해서는 그들을 회유할 필요가 있었다. 이 때문에 30본사 주지들은 조선총독부의 권력을 배경으로 수 십개의 말사를 가진 본사의 최고책임자로서의 권한을 누릴 수 있었다. 또 총독은 주임관 대우를 부여한 30본사 주지들을 매년 정초에 관저로 초대하여 신년하례식을 함께 하였다. 이외에도 30본사 주지들은 공식행사에 종교계 요인으로 초대되어 우대를 받았다. 30본사의 선정은 조선의 전통적인 寺格을 정밀하게 고려하지 않았기 때문에 사격이 뒤바뀐 경우도 있었다. 전라남도 구례의 화엄사의 경우는 본사 승격 운동과정에서 유혈사태가 발생하여 사회적으로 큰 문제가 야기되기도 하였다. 조선총독부는 진상조사단을 파견하여 1924년 11월에 화엄사를 본사로 승격시켰다. 그러나 그 외의 나머지 사찰들의 불만은 묵살했다. 조선총독부는 30본사 체제를 만들면서 중앙에 통일된 통제기관을 두지 않고 30본사를 개별적으로 관리하였다. 그것은 30본사의 위상을 평등하게 함으므로써 관권 이외에 어떠한 통제나 영향력도 차단하기 위한 것이었다. 또 30본사 주지들이 정하는 내부규약까지 사전에 초안을 제시하는 등 강한 영향력을 행사하였다. 이것은 불교계의 모든 행위가 조선총독부가 제시한 테두리 안에서만 이루어지도록 제도적으로 통제하는 장치였다. 따라서 불교 교단의 자율적인 발전 여지와 항일운동의 전개 가능성은 원천적으로 차단되었다. 이와 더불어 「사찰령」에는 사찰 창립에 관한 조항이 없었기 때문에 식민지 시대에 새로 건립된 사찰은 찾을 수가 없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3·1운동 시기에 불교계는 여러 곳에서 만세시위를 전개하였다. 한용운과 백용성은 승려로서 '민족대표'에 참가하였다. 불교계의 3·1운동은 중앙학림의 학생들을 통하여 전국적으로 확산되었다. 3·1운동에 가담하였던 불교계의 청년들은 이후에 전개되는 독립운동에 다양한 형태로 참여하였다. 무장투쟁 단체에 가담한 청년들이 있었는가 하면 상해 임시정부와 연계를 가지면서 국내특파원으로 활동한 사람도 있었다. 대한민국청년외교단의 일원으로 활약한 사람도 있었고, 대동단에 참여한 사람들도 있었다. 불교계의 3·1운동 참여가 천도교나 기독교 세력에 비해 상대적으로 열세를 보인 것은 사실이다. 그 원인은 당시 불교계 자체에 있었다기보다 수백년간 누적된 조선왕조 정부의 억불정책에 기인한다. 이 때문에 불교계가 사회 참여의식을 고양시킬 수 있는 제도적 장치를 마련할 수 없었다. 이러한 역사적 환경 속에서 교단지도부의 3·1운동 인식은 부정적이었고 3·1운동에 냉담한 반응을 보이는 승려들도 적지 않았다. 그러나 1919년 11월 상해에서 大韓僧侶聯合會라는 단체의 이름으로 조선의 모든 승려들은 일본 제국주의 세력을 상대로 하여 해방이 되는 그 날까지 血戰을 선언하는 「大韓僧侶聯合會宣言書」가 발표되었다. 불교계는 조선왕조로부터 극심한 탄압을 받았지만 식민지가 된 상황에서는 국권을 회복하기 위해 종래의 출세간적 은둔적 경향에서 벗어나 적극적으로 독립운동에 참여하였다. 이러한 점에서 볼 때 불교계가 전개한 3·1운동의 의의는 결코 적지 않다. 3·1운동 이후 조선총독부는 통치정책을 종래의 무단통치에서 문화통치로 전환하였다. 문화정치는 조선인에게 약간의 자유를 허용하면서 감시와 통제를 강화하여 민족주의 세력을 분열시키는 분할통치 정책이었다. 분할통치의 구체적인 내용은 기존에 설립된 민족운동 단체들에 새로운 친일세력들을 투입하여 갈등을 조장하여 무력화시키고, 친일세력으로 하여금 주도권을 장악하게 하는 것이었다. 조선총독부는 원활한 분할통치를 진행을 위해서 친일파의 양성이 무엇보다도 필요하였다. 그 일환으로서 조선총독부는 1920년대에 朝日文化 교류를 장려하였다. 불교계에는 재조선 일본인 유력자와 조선인 친일 거두들을 중심으로 朝鮮佛敎團이라는 外護團體기 만들어졌다. 조선불교단은 조선의 유명 인사들과 젊은 청년 유학생들을 선발하여 시찰단으로 파견했다. 조선불교단은 유능한 조선의 젊은 청년들을 일본의 대학에 유학을 시키고, 강연회·강습회 개최와 같은 각종 문화행사를 통하여 친일파를 양성하는데 기여하였다. 이러한 시책으로 인하여 불교계에는 친일세력들이 늘어났고 일본 불교의 영향을 받아서 대처승들이 늘어났다. 이에 반해 1920년대 불교계의 자주적인 면모는 佛敎靑年會와 불교청년회의 행동조직이라고 할 수 있는 佛敎維新會 등 청년 승려들의 활동에서 찾을 수 있다. 불교청년회는 당시 교계의 현안이기도 했던 재정일원화·교육기관의 운영 등의 문제가 본사 주지들만이 결정할 사안이 아니므로 종래의 산중공의제 부활을 주장했다. 이들은 관권과 결탁한 본사 주지들의 전횡적인 교단 운영을 혁신하고자 한 것이다. 3·1운동 당시 활약하였던 인물들이 주도했던 불교유신회는 식민지 시대에 불교계를 제약하였던 「사찰령」 철폐운동을 전개하였다. 나아가서 불교유신회는 교계의 모든 사안을 본산 주지들이 전횡하는 폐단을 없애고 민주적인 불교계 운영을 주장하면서 불교도 총의를 수렴할 수 있는 임시통일기관으로 총무원을 성립시켰다. 이에 대해 조선총독부는 총무원을 와해시키기 위해 본사 주지들 중심으로 교무원을 만들도록 지시하였다. 결국 교무원 측은 총무원 세력을 배제한 가운데 60만원 기금의 재단법인 교무원을 설립했다. 교무원 측의 노선에 반대하던 10개 본사가 총무원을 구성했지만 조선총독부의 계속된 압력으로 7개 본사가 탈락하고 총무원은 통도사·범어사·석왕사 세 본산으로 이루어졌다. 결국 계속되는 조선총독부의 압력과 재정난 때문에 1924년 財團法人 朝鮮佛敎中央敎務院으로 통합되고 말았다. 불교계가 교무원으로 통합된 것은 자주적 불교세력의 몰락이라고 할 수 있다. 조선총독부가 재단법인의 설립을 허용한다는 명분은 종교계의 재산을 보호해 준다는 것이었다. 그러나 실제 내용은 보면 법인의 주요 활동사항에 대하여 관할 관청에 보고해야 했기 때문에 간섭과 통제를 원활하게 하기 위한 것이었다. 재단법인 교무원은 1935년 1월부터 전개된 '심전개발운동'에 참여하여 '朝鮮佛敎心田開發促進會'를 구성하였다. 1937년 중일전쟁이 발발한 직후에는 '조선군사연맹후원회'를 결성하고 만주 지방으로 '황군위문단'을 파견하는 등 조선총독부의 정책에 호응하는 모습을 보였다. 재단법인 교무원은 1924년부터 1942년까지 존속한 불교계 대표기관으로서 식민지현실 속에서 일제와 타협하는 모습을 띠었다. 재단법인 교무원이 어용세력에 의해 성립되었다면 禪學院은 민족적 성향을 가진 비구승 중심으로 창설되었다. 선학원은 帶妻僧들이 늘어가는 현실에서 계율을 회복하고 전통 禪脈을 계승하고자 하는 취지에서 설립되었다. 비구승들은 선풍을 진작시키기 위해 일종의 자구 조직으로 禪友共濟會를 결성하였다. 선우공제회는 전국적으로 지부조직을 가지면서 禪의 대중화에 힘썼다. 그러나 1924년 이후에는 재정난으로 침체에 빠졌고 1931년 한의술에 능한 승려 金寂音에 의해 중흥기를 맞았지만 재정난을 벗어나기는 어려웠다. 결국 1934년에 재단법인 조선불교중앙선리참구원으로 개편된 이후 조선총독부의 지시와 간섭을 받으면서 조선총독부 정책에 협조하는 모습을 띠게 되었다. 1920년대 불교계에 나타나는 또 하나의 특징은 일본 불교의 영향을 받은 일본 유학승들에 의해서 대처식육의 풍습이 만연했다는 것이다. 대처승의 만연으로 사찰경제는 더욱 어려워졌고, 승단의 수행풍토도 쇠퇴하게 되었다. 이러한 현상에 대하여 白龍城은 127명의 승려들과 연명으로 조선 불교의 전통을 회복하고, 정통성 수호를 위하여 승려들의 대처식육을 금하여 달라는 건백서를 조선총독부에 제출하였다. 그러나 조선총독부는 조선 불교계가 일본 불교계를 모방할 것을 종용하는 정책을 취했기 때문에 이 건백서는 아무 성과를 얻지 못했다. 1931년 만주사변을 도발한 일제는 국제사회에서 고립되면서 1933년에는 국제연맹을 탈퇴하기에 이르렀다. 때마침 제기된 천황기관설에 자극받은 일본 정부는 국민들에게 국체를 분명하게 인식시켜야 할 필요를 느꼈다. 특히 식민지 조선에서는 충량한 皇國臣民으로서의 역할을 강화할 필요가 있었다. 또 이 시기에는 세계 대공황으로 일본 경제가 위기를 맞게 되었다. 특히 일본 농촌사회의 위기는 심각한 수준이었다. 그 영향은 바로 조선으로 이어졌다. 일본이 조선으로부터의 쌀 수입을 제한하면서 조선의 농촌경제도 파탄 국면에 빠지게 되었다. 1931년에 조선총독으로 부임한 우가키는 대륙침략에 필요한 인적·물적자원 조달을 원활하게 수행하기 위한 조건 마련에 부심하게 되었다. 이러한 배경에서 입안된 농촌진흥운동은 경제적 측면에서 물질적인 생활개선을 위한 운동이었다. 그리고 이 운동을 정신적인 면에서 지원하여 식민지 정책에 불만을 가진 조선인들의 저항을 사전에 봉쇄하고 조선인을 천황에게 순종하는 충량한 황국신민으로 육성하기 위해 입안된 것이 심전개발운동이었다. 심전개발운동은 조선총독부에서 입안하고 주관했지만 그 전개과정은 종교계를 통해 이루어졌다. 특히 오랜 전통을 가지고 있고 많은 잠재 신도를 가진 종교였던 불교에 역점을 두었다. 조선총독부도 정책적으로 불교계를 지원하고, 승려들의 대우를 향상시켜 주면 불교계도 심전개발운동에 적극 협력할 것이라고 판단했다. 1935년 이후 조선 농촌의 상대적 안정과 1937년 7월 일제의 중일전쟁 도발을 계기로 심전개발운동은 보다 강력한 전시사상 통제책인 國民精神總動員運動이 전개되는 디딤돌 역할을 했다. 실제로 심전개발운동은 1940년 이후 創氏改名, 志願兵制, 供出制, 徵兵, 徵用 등 일련의 동원정책이 전개될 수 있는 밑거름이 되었다. 전쟁이 장기 국면으로 접어들자 부족한 물자와 인력을 조달하기 위하여 총력전 체제를 구축한 일본은 조선의 사상계를 통제할 필요가 있었다. 이에 부응한 것이 1939년 종교단체법안 통과였다. 이에 따르면 모든 종교단체의 설립은 행정관청의 허가를 받아야 했고 많은 종교 단체를 법인화 시켜 주무관청의 통제를 받게 하였다. 종교단체법은 종교의 내용과 교규 통제에 그치지 않고 전시체제 하에서 종교단체를 시국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것이었다. 조선총독부도 보다 강력한 후방 지원체제를 위해 종래 31본산을 개별적으로 통제·관리하던 체제에 대신하여 총본사 설립을 추진하게 되었다. 조선총독부의 학무국장이 총본사 설립위원회 위원장이었고, 부위원장 가운데 1명은 조선총독부 사회교육과장이었다. 조선총독부는 太古寺의 설립을 인가하고 「사찰령시행규칙」을 개정하여 총본사로 삼았지만 전국 본사 주지 임면권과 사찰재산 처분 인가권은 총본사 주지인 종정에게 주지 않았다. 조선총독부의 「사찰령시행규칙」 개정 의도는 총본사에 통제권을 주어서 불교계를 자율적으로 통괄하게 하려는 것이 아니었다. 총본사는 조선총독부의 지침을 원할하게 수행하는 일종의 중간기구에 불과했다. 그것은 행정권과 입법권의 수장을 동일한 인물이 책임지도록 한데서 알 수 있다. 1944년에는 주지들의 임기 규정(「사찰령시행규칙」 제4조)에도 불구하고 전국 사찰주지들의 임기를 연장하는 조치를 취하였다. 주지가 퇴임할 때는 퇴임사유서를 첨부하게 함으로써 자유로운 퇴임마저 제한하였다. 이러한 조치는 조선 불교계를 일본의 전쟁 수행에 보다 강력하고,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도록 한 조치였다. 총본사 태고사는 불교계의 이른바 황민화정책 수행에 나섰다. 조선 사찰에서는 아침, 저녁으로 천황의 만수무강과 황군의 무운장구를 기원하는 축도를 해야만 했다. 또 불교도들에게 위문품을 걷어 군당국에게 역할도 하였다. 전쟁터로 위문단을 파견하기도 하였으며, 戰時體制를 옹호하기 위한 강연회를 열기도 하였다. 징병제가 실시될 때에는 승려와 불교도들이 모여 징병제 실시 감사 법요식을 거행하기도 했다. 조선인들이 전쟁터에 나갔을 때 일본어를 해득하지 못해 발생하는 문제점을 해소시키기 위하여 일본어 강습회도 개최했다. 총본사는 불교계 전교도를 동원하여 2대의 전투기까지 헌납했는데 불교계전체를 포함하면 모두 5대를 헌납하였다. 무기생산에 급박해진 일제가 금속류 헌납운동을 전개하자 불교계는 불교의식에 사용되는 징·바라 등과 범종·향로·촛대 등 佛具까지 헌납하였다. 총본사의 역할은 일제의 통치방식이 노골적인 파쇼화 경향을 띠어가는 과정에서 불교계를 통제하기 위한 보조기구였다. 해방 이후 불교계가 당면한 문제는 식민지 시기 교단지도부가 조선의 민중들에게 정신적으로 또 물질적으로 많은 고통을 주었다는 사실에 대하여 참회의 장을 마련하고, 새로운 발전을 지향하는 것이었다. 그리고 많은 항일투사들의 행적을 새롭게 조명하는 것이었다. 그러나 불교 교단은 역사 의식에 입각한 반성의 기회를 갖지 못한 채 비구·대처승의 분쟁에 휘말림으로써 오늘날까지 이 과제는 미완으로 남겨져 있다. 항일운동의 행적도보다 적극적인 조명이 이루어져야 할 부분이다.

      • 전문합창단의 정기연주회 프로그램 분석 및 불교계와의 문화적 갈등 해소 방안 연구

        김미숙 광주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806

        대한민국은 1970년대부터 경제적 발전과 더불어 시민들의 문화 의식과 예술에 대한 기대치가 높아지며 정부 주도하에 적극적인 관심과 후원에 힘입어 우리나라도 전문합창단의 창단이 시작되었다. 1973년 국립합창단을 시작으로, 1972년 비상임으로 시작했던 부산 시립 합창단이 1983년 상임합창단으로 전환하였다. 그리고 1981년 역시 비상임으로 시작했던 대구시립합창단이 1985년 상임합창단으로 전환하는 등 우리나라 주요 3개 도시에서 전문합창단이 창단됨에 따라 한국 합창음악의 전문화 시대가 본격적으로 열리게 되었다. 이들 전문합창단의 활동은 우리나라 합창음악을 선도하며 합창을 대중화 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또한 전국적으로 전문합창단의 창단을 이끄는 계기가 되었다. 지금은 전국에 60여 개에 이를 만큼 많은 전문합창단이 창단되어 양적인 성장과 음악적인 발전을 거듭하며 우리 사회의 합창문화를 선도해 왔다. 이제는 시민들의 정서 함양은 물론 시민들의 수준 높은 문화적 욕구를 충족시켜야 하는 책임을담당하기에 이르렀다. - v - 그러나 2013년부터 대구시립합창단을 시작으로 전국적으로 일어나기 시작한 한국 합창계와 불교계의 문화적 갈등은 2021년에 이르러 매우 심각한 상황에 이르러 종교적 분쟁까지 일어날 조짐을 보이고 있다. 불교계의 주장은 국·시립합창단이특정 종교의 음악에 편중된 음악을 지난 50년동안 지속했다는 것이다. 이제는 국공립합창단의 연주 프로그램을 비음악인들에게 검열 받고, 합창음악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종교 작품을 연주할 수 없음으로 인해 연주 레퍼토리 구성에 어려움을 보이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은 2021년 국립, 부산, 대구시립합창단의 프로그램을 분석하여 최근의 연주양상과 형태를 분석하고, 최근 다시 불거진 문화적 갈등을 재조명하며, 그 해결책으로 불교계가 가진 위대한 유산인 범패의 활용 제안과 불교계가 왜음악에 적극적인 투자와 지원을 해야 하는지 그 이유와 당위성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결론에서는 불교계의 갈등 원인이 종교 편향적 관점인지 아니면 예술적 표현의 관점인지를 알아보며, 불교계와의 문화적 갈등 해소 방안을 위해 실용적 제안을 하였다. 이 논문은 국·시립합창단이 시민들과 더욱 음악적으로 공감하며, 세계의 합창을 선도하는 국가로서 우리나라 고유의 음악적 색채를 보여줄 수 있는 훌륭한 음악적 작품이 많이 창작되고, 널리 연주될 수 있도록 도움을 주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 高麗 光宗代 僧階制의 시행과 佛敎界의 재편

        김윤지 高麗大學校 大學院 2015 국내석사

        RANK : 247804

        Gor-yeo Gwang-jong period Seungkye(僧階)system enforce and Buddhism reorganization Kim Yunji As control of center weakened, powerful local family rose and Zen Buddhism ideologically diffused. By inviting Zen sect monk to center regardless of existing Seungguan(僧官), royal family of Silla requested Buddhist sermon or asked Buddhist monk of temple and made Kuksa(國師). But powerful local family from various parts rose, politics lost pivot and authority of royal family was damaged as starting from Jin-sung queen period. In this situation, monks also disregarded royal family. Tae-jo coming from powerful local family invited futher many monks before and after the foundation of Gor-yeo. Inviting then influential monks, he actively entered into a relation with monks like asking them as chief Buddhist monk of greenly founding Kyekyung(開京) temple at the beginning of a state or consulting about monarchy in the process of unification of Three Han States and installing as Wangsa(王師) etc. Monks disregarding royal family at the end of the Silla gradually gathered around Tae-jo in Gor-yeo through this process. But relation between Tae-jo and Buddhism actually was temporary thing called invitation about monks. As Zen Buddhism was spread and Buddhism was magnified in the end of the Silla and beginning of the Gor-yeo, the number of monks being called Daeduk(大德), Daesa(大師), Hwasang(和尙) and Sunsa(禪師) etc. also increased. Especially, Daeduk(大德) and Daesa(大師) are more noted in the way that they constituted Gwang-jong period Seungkye(僧階) afterward. When Tae-jo desired to acknowledge monk appearing highly talent, He gave a Daeduk(大德). In contrast, he gave a Daesa(大師) with a posthumous epithe, when existing high priests that had formed a close relationship entranced into Nirvana. By the way, this policy of Tae-jo is similar to thing of Silla' king. Also, by inviting a Zen priest, making an appointment Kuksa(國師) or asking chief Buddhist monk was also that Tae-jo was to manage Buddhism in the manner of Silla. It is important in this regard that Tae-jo brought to himself authority of Silla's king. Owing to effort of Tae-jo that want to concentrate Buddhism circle on Gor-yeo, Gwang-jong presented a new system to the Buddhism circle. It was enforcement of Seungkye(僧階) system. State began to status to monks. By the way, existing terms called Daeduk(大德) and Daesa(大師) were used intactly. In Silla, one of the conditions to be Daeduk(大德) was that ‘monk’s age must be elder than 50’. After then, an age group called as Daeduk(大德) didn’t significantly get out 50s. In fact, Tae-jo also distinguished by adding word of ‘Byul(別)’, When he gave Daeduk(大德) to 28-year-old Tanmoon(坦文). An age group that can be Daeduk(大德) was maintaining in Gor-yeo too. Also, since the end of the Silla, Great Master had been provided as title with a posthumous epithe, contemporary a high priest entrancing into Nirvana and construction of tombstone being prosecuted. On the other hand, when Gwang-jong period Seungkwa(僧科) was conducted, an average age of monk going in for and passing it was about 24 years old and Daeduk(大德) was granted to them. Consequently, an age group of monk being Great Master and Daeduk(大德) drastically got lower as starting from Gwang-jong period. As such, conducting Seungkye(僧階) system by resetting layer of Daeduk(大德) and Great Maste, Gwang-jong greenly reorganized authority of monk being commonly used in existing. Because an age group of monk being Great Master and Daeduk(大德) got lower, monks pursuing knowledge under a high priest were main object institutionally managed by getting Seungkye(僧階). 신라말 중앙의 통제력이 약화됨에 따라 지방호족이 흥기한 한편 사상적으로는 禪宗이 확산되어 갔다. 이에 신라 왕실은 기존의 僧官과는 별도로 禪僧을 중앙으로 초빙하여 설법을 요청하거나 사원의 주지로 청했으며 國師로 삼았다. 그러나 진성여왕대를 기점으로 각지의 호족들이 흥기하고 정치는 구심점을 상실했으며 왕실의 권위가 실추된 가운데 승려들 역시 왕실을 외면했다. 호족 출신이었던 태조는 고려 건국을 전후로 하여 많은 승려들을 초빙해나갔다. 그는 당시 유력한 승려들을 국초 새로 창건한 개경사원의 주지로 청하거나, 삼한통일 과정에서 王政에 대한 자문을 구했으며, 王師로 책봉하는 등 승려들과 적극적으로 관계를 맺어나갔다. 신라말 왕실을 외면했던 승려들은 이러한 과정을 통해 점차 고려 태조에게로 모였다. 그러나 태조와 불교계의 관계는 사실상 승려들에 대한 초빙이라는 일시적인 성격이 컸다. 신라말 고려초 禪宗이 확산되고 佛敎界가 확대됨에 따라 大德, 大師, 和尙, 禪師 등으로 지칭되는 승려의 수도 늘어났다. 특히 大德, 大師는 이후 광종대 僧階를 구성했다는 점에서 더욱 주목된다. 태조는 뛰어난 자질을 보이는 승려를 인정하고자 할 때는 大德을 수여했던 한편, 그와 긴밀한 관계를 형성했던 기존의 고승들이 입적하면 시호와 함께 大師를 내려주었다. 그런데 태조의 이러한 정책은 불교계에 대한 신라왕의 접근방식과 유사하다. 또한 태조가 禪僧을 초빙하여 國師를 임명하거나 住持를 청한 것도 신라의 방식으로 불교계를 운영한 것이었다. 이는 태조가 신라왕의 권위를 자신에게로 가져왔다는 점에서 중요하다. 불교계를 고려로 집중시키고자 했던 태조의 노력에 힘입어, 광종은 불교계에 새로운 체계를 제시하는데 바로 僧階制의 시행이었다. 국가에서 승려에게 계서화 된 지위를 수여하기 시작한 것이다. 그런데 僧階에는 ‘大德, 大師’라는 기존의 용어가 그대로 활용되었다. 신라에서는 大德이 되기 위한 조건 중 하나로 ‘승려의 나이가 50세 이상이어야 한다’고 했다. 이후로도 대덕이라 할 만한 연령층은 50대를 크게 벗어나지 않았다. 실제로 태조대만 하더라도 28세의 탄문에게 대덕을 수여할 때 ‘別’자를 더함으로써 구분했다. 고려초에도 대덕이 될 수 있는 연령층이 유지되고 있었던 것이다. 또한 신라말 이래로 大師는 당대의 고승이 입적하고 碑의 건립이 추진되면서 諡號와 함께 내려진 것이었다. 이와 달리 광종대 僧科가 시행되자 여기에 응시하여 합격한 승려의 평균 나이는 약 24세였고 이들에게는 대덕이 수여되었다. 그 결과 대덕, 대사가 되는 승려의 연령층은 광종대를 기점으로 대폭 낮아지게 되었다. 이처럼 광종은 僧階制를 시행하여 대덕, 대사의 층위를 재설정함으로써 기존에 통용되던 승려의 권위를 새롭게 구축했다. 주제어: 光宗, 僧階, 僧階制, 佛敎界, 僧政, 僧科, 大德, 大師 광종대 대덕, 대사가 되는 승려의 연령층이 낮아지자, 고승의 문하에서 수학하는 승려들은 승계제로 들어오게 되는 주요대상이 되었다. 이러한 점에서 승계제는 젊은 승려들에게 전에 없던 우대였고, 당시 불교계에서 다수를 차지한 승려들 특히 고승의 문도들을 보다 직접적으로 국가로 흡수하는 효과적인 매개체가 되었을 것이다. 그리하여 광종대를 지나서는 교종 승려들 역시 승과에 참여하게 된다. 광종대 僧政이 형성되기 시작하자 기존의 유력 선종 승려들이 제도 안으로 들어왔고, 이와 가까운 시기에 교종 승려들의 참여가 나타난 것이다. 이는 당시 승계제의 시행이 불교계에서 종파를 막론하고 효과적으로 작용했음을 보여준다.

      • 日帝의 佛敎 浸透와 朝鮮 佛敎界의 對應

        정영삼 延世大學校 敎育大學院 2003 국내석사

        RANK : 247788

        본 논문은 舊韓末이래 日帝 强占期 때에 이루어졌던 日本 佛敎의 朝鮮 浸透와 이에 대한 朝鮮 佛敎界의 對應을 살펴보고자 하는 데에 그 목적을 두었다. 開港과 더불어 밀려 들어왔던 日本 佛敎의 朝鮮 浸透는 이후 日帝 强占期를 맞이하면서 寺刹令이라는 朝鮮 佛敎 抑壓·統制 政策에까지 이르게 되었다. 특히, 초창기의 日本 佛敎의 朝鮮 浸透는 朝鮮 佛敎를 日本의 統治 政策에 이용하려는 측면이 강하게 나타났었다. 이러한 면은 朝鮮 佛敎로 하여금 日本 佛敎에 동화시켜 日帝의 政治的 統治를 용이하게 하고 또한 日帝에 호의 내지는 동조를 얻어 내고자 하는 시도에서 이루어졌던 것이었다. 이에 朝鮮 佛敎界에서는 이러한 日本 佛敎의 浸透에 대항하여 朝鮮 佛敎 자체의 近代化와 改革을 이루고자 하는 改革論이 대두하게 되었다. 近代化를 위한 노력으로는 近代 敎育 受容이라는 측면이, 그리고 改革論의 擡頭는 韓龍雲의 維新論 발표가 그 대표적인 것이었다. 여기서 近代 敎育 受容은 바로 普通學의 受容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佛敎 發展을 위해 僧侶들의 敎育을 普通學을 기본으로 한 연후에 이루어 내야 한다는 佛敎 發展을 위한 방법론적인 것이었다. 또한 改革論의 擡頭는 여러 가지가 있었지만, 그 대표적인 것이 韓龍雲의 維新論이었다. 이는 퇴락한 朝鮮 佛敎의 새로운 도약을 위해 佛敎界 자체의 變化와 革新이 있어야 한다는 것으로서 僧侶 敎育을 포함한 佛敎 儀禮의 革新, 佛敎의 社會的 地位 强化, 布敎 方法의 改善 등등을 밝힌 것이었다. 이와 더불어 日帝 强占期에 들어 朝鮮 佛敎 統制 수단으로 이용되었던 寺刹令으로 인해 발생하게 된 여러 가지 矛盾들을 극복하기 위한 차원의 노력으로 이루어졌던 것이 바로 寺刹令 撤廢 運動과 僧侶大會와 總本山 建設 運動으로 표현되었던 佛敎界 統一 運動이었다. 우선 寺刹令 撤廢 運動은 寺刹令으로 인해 굴절된 朝鮮 佛敎界의 부정적인 변화들을 일소시키기 위한 차원에서 가장 근본적으로 제기되었던 것이었다. 또한 佛敎界 統一 運動은 1929년의 僧侶大會와 總本山 建設 運動의 형태로 표현되었던 것으로, 다소 의미가 축소되고 커다란 성과를 직접적으로 일구어 내지는 못했다 하더라도 總本山을 건설해냈다는 측면 등에서는 그 나름의 의미를 가지는 일련의 움직임들이었다. 즉, 佛敎界 統一運動은 朝鮮 佛敎의 傳統을 회복하여 거듭나는 朝鮮 佛敎界 정립을 목표로 이루어졌던 움직임으로, 이도 역시 결국은 寺刹令 撤廢 運動과 그 맥을 같이하는 것이었다. 日帝의 佛敎 浸透에 대한 이와 같은 노력들은 두드러지는 효과를 거두어들이지는 못하였다. 그러나 日帝의 統制와 이로 인해 야기된 矛盾들을 克復하고자 했던 노력의 일환으로 제기되었던 이러한 움직임들은 그 나름의 의미를 가지는 것이었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paper has focused on the Japanese infiltration to Buddhism and Chosun Buddhists confrontation under the rule of Japanese imperialism. In the very early stage of the opening of a Korean port, Japanese Buddhism started to infiltrate into Korea and it became affecting the suppression policy for Chosun Buddihism, called The Buddhist Temple Prescription(寺刹令). Especially, Japanese infiltration in the early stage turned out to be used as the tool for a part of an occupation policy. Japanese imperialists tended to make it easy to control Chosun people expediently assimilating Chosun Buddihism to Japanese one and get Chosun people to have a positive attitude toward Japanese imperialism as a result of it. In the meanwhile, it was raised that the requirement of modernizing and reforming Chosun Buddhism itself in the Chosun Buddhists against Japanese infiltration to Buddhism. From the point of view on making an effort to modernize, accepting a modern education in Korea, and from the reformative point of view, advocating Reformation by Han, Yong-Woon, these movements were representative in that period. Accepting a modern education meant accepting a common education(普通學) and it was the method to improve Korean Buddhism through taking a common education before Buddhism education. And there were various movements for reforming, Reformation by Han, Yong-Woon could stand for all of them. He advocated that Chosun Buddhism should have Change and Revolution in itself to improve the decayed Chosun Buddhism, in the concrete, reforming Buddhism ritual including Buddhists education, strengthening a social position of Buddhism, improving the way to evangelize, and so on. In addition, the movement on abolishing The Buddhist Temple Prescription(寺刹令) and the unification movements were also encouraged to overcome many conflicts caused by Japanese oppression such as The Buddhist Temple Prescription(寺刹令). The movement on abolishing The Buddhist Temple Prescription(寺刹令) was basically raised to clear away the negative change to Chosun Buddhism generated by The Buddhist Temple Prescription(寺刹令). And the unification movement appeared as a Buddhists Convention in 1929 and the movement on building the head temple. Although its intention was narrowed and it did not have a significant result, the fact that Chosun Buddhists built the head temple eventually could be the important turning point. That is to say, the unification movement of Chosun Buddhism was the critical step toward identifying Chosun Buddhism through rehabilitation of the Chosun Buddhism tradition. And this was on the same direction to the movement on abolishing The Buddhist Temple Prescription(寺刹令). These efforts did not have such a visible effect against Japanese infiltration to Buddhism. However, these movements based on the effort overcoming a conflict caused by Japanese imperialism are meaningful for themselves.

      • 불교계 호스피스의 운영실태와 활성화 방안

        전민정 동국대학교 행정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7759

        The Progress of science and technology has brought about rapid changes in people's of way of lives. It has also prolonged people's span of life, and increased the number of chronological disease and the number of patients at their last moment. The higher level of economic well-being has caused people to be concerned about the quality of lives of such patients at their last moment. The hospice system has been developed in order to take good care of them. The ultimate purpose of medical service and welfare is said to be the improvement of people's quality of lives and the respect of human dignity. Accordingly the patients at their last moment also has the right to be taken good care of. We should have much more consideration in order to make them spend their last lives more comfortably. This paper aims to fine activation methods through the investigation of the actual conditions of the Buddhist hospice in Korea. To activate Korea Buddhist hospice activities, the following measures were proposed. Raise Buddhist hospice funds. Suggest tax exemption measures to the government for donations to encourage more donations. The legalization of the hospice has to be accomplished, which well provide health insurance to hospice patients. Increase the number of Buddhist hospice professionals and volunteers. Provide professional training to volunteers, more than simply being listeners, who can be requested and respected by the patients and their families because of the professional skills. Provide in-service training to maintain the motivation and to deal with the stresses of facing death. Build the network of Buddhist hospice organizations for efficient contacts between patients and volunteers. Respect volunteers' needs when the need of the hospice facilities and the of the volunteers conflict in allocating works. Finally, We suggest that a very positive public relations programs should be worked out in order to derive wide public support for the early introduction and institutionalization of Buddhist hospice system.

      • 불교계의 범죄피해자 지원방안에 관한 연구

        심규선 동국대학교 행정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727

        Today in our society, the criminal justice system uses most of its resources to control criminals. It is true that the crime victims do not attract much attention from the government or from our society. In a Buddhist society, Victimology, the study of crime or the crime victim support has rarely been recognized before. This study focuses on encouraging support for the victims of crime in our society as well as in a Buddhist society. For many years, Buddhist society has provided welfare support for the victims of crime. However, this support may have been too trivial compared to the annual number of crime victims. I believe we need to focus more of the products of both our economy and human resources in supporting these victims. There are four way to solve these problems: First, we must ensure that people recognize the problems faced by victims of crime. Second, we should create an organization that specifically supports the victims of crime at a governmental level. Third, we should develop new programs that operate under the Buddhist organization level. Fourth, we should focus increasing amounts of human and physical support. The social welfare activity of a Buddhist society does not have a long history. In fact, it is less than 20 years since the Jogye Ordered of Korean Buddhism the Foundation of Social Welfare. Therefore, it is possible that our society has not recognized the necessity of supporting important activities, such as victims of crime. From now on, we should focus more on these problems and spend our resources to support the needs of our society Finally, I hope this study will serve as a meaningful starting point for such an effort and will be used as a helpful document in allowing others to recognize the problem.

      • 16·17세기 불교정책과 불교계의 동향

        손성필 동국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박사

        RANK : 247725

        This research investigates the Chos.n court policies on Buddhism and Buddhist activities in the sixteenth and seventeenth centuries through the analysis of such Chos.n texts as the official chronological historiographies (官撰編年史書), the legal codes (法典), the household register (戶籍), the Buddhist writings and published scriptures (佛敎典籍), the literary collections of the monks (僧侶文集), and the memorial steles for the renowned monks (高僧碑). Thereby, the research provides a new perspective for understanding the history of Buddhism in Choson. The two major political factions of the sixteenth century Choson court held different approaches to Buddhism: the hunchok (勳戚) or meritorious elite, a political faction that consisted of merit subjects and their descendants, attempted to directly control the Buddhist monasteries and monks according to the regulations stipulated in the Kyongguk taejon (經國大典 Great Codes for Governing the State) while the sarim (士林) or Neo-Confucian literati faction did not interfere in the internal affairs of the Buddhist circle, simply hoping the Buddhist monks to be edified by the Cheng-Zhu learning without taking any practical measures. During the reign of king Chungjong (r. 1506-1544), the court largely took the sarim approach to Buddhism, which consequently allowed the religion to maintain its tradition. During the reign of king Myongjong (r. 1545-1567), however, the court turned to the hunchok approach: it enforced several measures to control the Buddhist monasteries and monks, which catalyzed the change of personnel in the Buddhist circle with the emergence of the Chongho lineage (淸虛系), the formation of the mobilization system of the monk-militia, and the abolition of the ban on becoming a monk. As the sarim faction seized the power in the early period of king Sonjo (r.1567-1608)'s reign . which was before the Hideyoshi Invasion, the court turned back to the non-interference approach to the Buddhist affairs. Buddhism in this period could remain undiminished thanks to this court policy as well as the economic resources of the monasteries such as alms-giving and temple-land as the government officials of this time testified that the number of Buddhist monasteries and monks had increased since the 1530s. The sixteenth century Choson saw the drastic increase in the publication of the Buddhist texts as well as the beginning of the compilation of the monks? literary collections. The publication of the Buddhist texts sharply increased particularly at local monasteries in the 1530s, and culminated in the early period of king Sonjo's reign. The most published Buddhist texts in this period were: (1) the scriptures such as the Lotus Sutra (法華經) and the Pumo injung kyong (父母恩重經); (2) the ritual manuals for the Suryuk chae (水陸齋 Festivals of Water and Land) such as the Suryuk much'a p'yongdung chaeui ch'aryo (水陸無遮平等齋儀撮要) and the Ch'onji myongyang suryuk chaeui ch'aryo (天地冥陽水陸齋儀纂要); (3) Such Son texts as the Mongsan hwasang yukto posol (蒙山和尙六道普說), the Mongsan hwasang pobo yaknok (蒙山和尙法語略錄), the Popchip pyorhaengnok choryo pyongip sagi (法集別行錄節要幷入私記), and the Sonwon chejonjip toso (禪源諸詮集都序). From these texts, it could be surmised that Choson Buddhim of the sixteenth century inherited the Abstract 315 trend of late Koryo and early Choson, which emphasized the kanhwa Son technique and the Suryuk festival. In addition, in the latter half of this century, Chos.n Buddhim also witnessed the appearance of the lecturing activities, based on the scheme of the simultaneous cultivation of Son and Kyo (Sonkyo kyomsu 禪敎兼修). In the same period, the compilations of the monks' literary collection began to be published, which reflected the Chos.n Buddhist attempt to enhance their social status in response to the emergence of the literati (the sajok 士族) as the ruling class of the Choson society. The Hideyoshi invasion stabilized the Buddhist policies of the Choson court in the sixteenth century, bringing a compromise between the two different approaches to Buddhism. The court established the administrative system to control monks, though unofficial, in the course of discussing the commanding structure of the monk-militia and their merits during the invasion. Even after the seven-year long invasion, the court maintained this system, granting the monastic positions and abolishing the regulations for becoming a monk in reward for imposing the military charges on the Buddhist monks. In this way, the Chos.n court recognized the presence of Buddhism from its practical needs. Eventually in the late seventeenth century, the court officially incorporated the Buddhist monks into the social order of Choson by adding the monk class on the household registers. With such policies, the Choson Buddhist community could remain stable in the seventeenth century. The Buddhist trend of the previous century continued in the seventeenth century: the publication of the Buddhist texts, the compilation of the monks' literary collections, and the erection of the memorial steles for the renowned monks still went on this century. Most of all, in the seventeenth century, many literati composed the preface for the monks' literary collections as well as the epitaphs for the renowned monks. The tendency in the sixteenth century publication of the Buddhist texts largely remained the same with small changes: the publication of the texts for the monk-curriculum (iryok 履歷) remarkably increased while there was no more publication from the mid seventeenth century for the Son texts related to Mengshan Deyi (蒙山德異 1232-1308), a Yuan Linji master who had significant impact on the Korean Son tradition during the period between late Koryo and early Choson. In the seventeenth century, the descendants of Ch'ongho Hyujong (淸虛休靜 1520-1604) and Puhyu Sonsu(浮休善修 1543-1615) established the genealogical legitimacy of their lineage by compiling the literary collections and erecting the memorial steles of their lineage ancestors. They also attempted to promote the social status of the Buddhist monks in the literati-centered society by having the renowned literati of the time compose the prefaces of the collections as well as the epitaphs, and thereby, presenting the image of a literati-monk. Hence, the compilation of the literary collections and the erection of the epitaphs became both cause and effect of the dominance of the Chongho and Puhyu lineages (淸虛?浮休系) in the Choson Buddhist community, which subsequently formed several sub-lineages. The lecturing activities in the late sixteenth century and the legitimizing attempts of the two main lineages of the early seventeenth century resulted in the development of the monk-curriculum and the recognition of T'aego Pou (太古普愚 1301-1382) as the founding patriarch in the mid seventeenth century, respectively. These two results, moreover, became general features of Korean Buddhism in late Choson. From the mid seventeenth century, Buddhist monks were integrated into the state administrative system, and thus attained the legitimate social status within the Choson society. They united together under several sub-lineages of Chongho and Puhyu, developing a distinctive Buddhist tradition: they defined themselves as the Imje (C. Linji) lineage by establishing T'aego Pou as the founder of their lineages (臨濟太古法統說); simultaneously cultivated the three practices (三門修學) of the kanhwa Son (看話禪)), the doctrinal studies (敎學), and the recitation of the Buddha's name (念佛); lectured on the Buddhist texts based on the thought of Zongmi (宗密 780-841), Dahui (大慧 1089-1163), and Chinul (知訥 1158-1210); and held such Buddhist ceremonies as suryuk chae (水陸齋) and yongsan chae (靈山齋). The seventeenth century Choson Buddhism, therefore, created a tradition, which could be called "munp's pulgyo (門派佛敎) or "sub-lineage Buddhism" in contrast with Chinese "lay practitioner oriented Buddhism" (居士佛敎) or Japanese sectarian Buddhism (宗派佛敎) of this time. The Korean tradition of sub-lineage Buddhism has been transmitted to the present day through the tumultuous period of late Choson and Japanese colonialization. Considering the complex reality of the court policies on Buddhism and the Buddhist activities in the sixteenth and seventeenth centuries, there would be serious limitations in understanding the Choson Buddhist history with the perceptions that Choson Buddhism had been degraded and socially impotent because of Confucian persecution; and that it could be divided into two periods on the Hideyoshi invasion or the lineage development. Since the understanding of the sixteenth and seventeenth century Buddhism has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interpretation of the entire history of Choson Buddhism, this research could contribute to overcoming the shortcomings of the aforementioned perceptions of Buddhism in Choson.

      • 불교계 노인 Terminal Care의 실태와 과제에 관한 연구 : 타종교와 비교연구를 통해

        김현태 東國大學校 社會科學大學院 2002 국내석사

        RANK : 247711

        This paper was written for grasping the realities of terminal care for the aged Buddhist and settling the problem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prepare for the active countermeasure through terminal care for the last stage patients among Buddhists in an aging society, and herewith to promote the development of the aged Buddhist welfare. Its necessity can be divided into the social and the religious aspects. At first in relation to the social necessity, the study referred the problems about the aging of the aged men, the increasement of the aged men having a chronic disease and the curing defrayment of the aged men having the last stage disease, and in relation to the religious necessity, it is required to actively take part in a social activity in functional aspect of a religion., and the study referred that the necessity of terminal care of the aged Buddhist men is being heightened in respect of the necessity of the relief of the aged men having the last stage disease according to the Buddhism doctrine and the direction of the national policy. To study this, the second chapter studied the concept, members and form of terminal care and the program, and studied the form of aged man welfare in terminal care. It also studied the example of terminal care from the Sutra that Buddha saved a patient, and suggested an ideological ground with aged man terminal care way in a view of life and death, the charity idea, the nursing idea and the benefit and blessing idea among the Vihara idea of Buddhism. In addition, the third chapter investigated the general state, the education, the service, the financial state and so forth of Jung Tou village, the single independent-type hospice facilities in order to investigate the realities of terminal care of the aged Buddhist, and compared with Sam Mul hospice of Christianity and Kang Nam St. Mary's Hospital hospice of Catholicism about the philosophy, the objective, the activity organ, the team and the program of terminal care. The fourth chapter suggested a plan for an aged Buddhist terminal care through the analysis. The fifth chapter summarized the content of the paper.

      • 韓國 近代 佛敎 改革思想 硏究

        정숙경 위덕대학교 불교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90

        본 논문은 한국불교사의 유구한 흐름 위에서 개화기를 맞이하여 격변하는 정치, 사회 상황과 더불어 일어난 불교계의 시대사명의 자각에 바탕하고 있었던 개혁불교에 대한 내용이다. 개혁불교는 불교교단의 전통적인 모습에 대한 반성과 함께 새로운 존재 확립을 위한 강한 실천이념을 바탕으로 전개되고 있는 것이다. 개항 이후 불교계의 시대자각은 한반도에 불교가 公傳된 이래 천수백 년 동안 호국불교로서 정교의 기반을 담당해 오던 불교가 조선시대를 거치면서 주자학에 그 위상을 이양하고 상실한 사회적 지위나 민중교화의 기반에 대한 새로운 인식으로부터 출발했다. 조선시대 불교의 사회적 교화력은 승려들의 신분저하나 도성출입의 제한 등이 대변해 주고 있는 것처럼 제도적 장치에 의해 약화되어 왔는데 이러한 제약을 넘어서기 위한 반성과 노력이 경주된 것이다. 또한 개혁사상은 변화된 사회상에 알맞은 제도․이념의 실천적 전개를 뜻한다. 그것을 위해 교단의 제도․조직이나 교화방법론이 새롭게 강구되고, 시대에 맞는 교육 이념과 교재 등의 정비가 필수적이었다. 또한 정치사회의 현실에 참여해야 하며, 민족이 처해진 운명과 함께하는 사회적 역할을 요청받게 된다. 그 가운데서 불교의 개혁이념이 전개될 수 있었고 이후 나타나는 항일불교, 새불교운동, 대중불교라는 시대적 사조와 같은 맥락에서 파악할 수 있다고 생각된다. 따라서 구한말에서 시작되어 일제강점기를 거쳐 해방 이후 근대에 이르는 근백년 간의 기간 동안 불교계 지성들의 삶과 사상 및 그들의 활동을 중심으로 불교개혁의 이념과 운동에 관한 문제를 고찰하여, 한국의 근⋅현대사에서 이들이 차지하는 위상과 그들의 역할 및 오늘날의 영향을 총체적으로 조망하고 있다. This study discusses the reformist Buddhism which was arisen from Buddhist's self-awareness of the mission of the times when political, social situations were rapidly changed by the impact of the western civilization. The reformist Buddhism emerged from reflection on the traditional Buddhist world and a strong activism toward establishing a new existence. After opening of the national port to the western civilization, Buddhist circle's awareness of the times started from a new perception of their lost social standing or foundation for enlightening people, which the Buddhists have long maintained for over a dozen hundred years since introduction of the Buddhism to the Korean peninsula but gave way to the new Confucianism. Buddhist's educational influence over people in the era of Joseon Dynasty had been weakened by social systems such as the lowered social standing of Buddhist monks and restriction of access to the capital city. Buddhists made efforts and had self reflection to overcome these restrictions. In addition, the thought of reformist Buddhism meant a practical development of system and ideas that fit the phase of the changed society. Doing this required a new system and organization of the Buddhist world, a new methodology of enlightening people, and rearrangement of educational ideas and materials that meet the times. In addition, the Buddhist world was asked to engage in the political, social realities and to undertake the social responsibility to share the sufferings the nation faced. The reformist idea could be developed in that situation, which could be understood in the same context as the Anti-Japanese rule Buddhism, New Buddhism Movement, and Popular Buddhism that followed. Therefore, this study discusses the reformist Buddhism idea and movement focused around the life, thought, and activities of the Buddhist intellectuals for nearly one hundred years from the last era of Joseon Dynasty through the period of Japanese rule, to the national liberation and the modernization era, and provides an overview of their standing and roles in the modern and contemporary history of Korea, and their influence on today's Kore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