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사회부과 완벽주의와 분노 억제의 관계 : 자기비하와 이차적 분노사고의 매개효과

        정다운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32397

        본 연구는 사회부과 완벽주의와 분노 억제 관계를 자기비하와 이차적 분노사고가 매개하는지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경기도 지역의 대학생 363명을 대상으로 자기보고식 설문을 실시하였다. 각 변인을 측정하기 위해 다차원 완벽주의 척도(HMPS), 한국판 일반적 태도 및 신념 척도(GABS-K), 이차적 분노사고 척도, 한국판 상태-특성 분노 표현 척도(STAXI-K)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부과 완벽주의, 자기비하, 이차적 분노사고, 분노 억제 간에 유의한 정적 상관이 존재한다. 둘째, 사회부과 완벽주의와 분노 억제 관계를 자기비하와 이차적 분노사고가 매개한다. 사회부과 완벽주의는 자기비하와 이차적 분노사고를 순차적으로 매개하여 분노억제에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이차적 분노사고를 단순 매개하여 분노 억제에 영향을 미친다. 이차적 분노사고의 하위요인으로는 무력감 사고만이 사회부과 완벽주의와 분노 억제 관계를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사회부과 완벽주의 수준이 높을수록 자기비하와 관련된 비합리적 신념이 높아지고, 역기능적 자동적 사고가 유발되어 분노를 억제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한계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present study aimed to examine the mediating role of self-downing and secondary anger-thoughts between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and anger-in. For this purpose, 363 undergraduate students completed self-report questionnaires: Multidimensional Perfectionism Scale(HMPS), General Attitude and Belief Scale-Korean version(GABS-K), Secondary Anger-Thoughts Scale, State-Trait Anger Expression Inventory-Korean version(STAXI-K). The result were as follows. First,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self-downing, secondary anger-thoughts, and anger-in were significantly positively correlated. Second, self-downing and secondary anger-thoughts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and anger-i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and anger-in was sequentially mediated by self-downing and secondary anger-thoughts. And secondary anger-thoughts directly mediated the relation between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and anger-in. Finally, clinical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 분노표현태도와 대인관계문제 : 분노표현방식의 매개효과

        고윤경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32367

        본 연구에서는 분노표현태도와 분노표현방식이 일치하는지, 분노표현태도에 따른 분노표현방식과 그에 따른 대인관계문제는 어떻게 나타나는지, 분노표현방식이 분노표현태도와 대인관계문제 간 관계를 매개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직장에 근무하고 있는 일반인 395명을 대상으로 분노표현지지태도 척도, 분노억제지지태도 척도, 분노표현척도, 대인관계문제 척도를 실시하였다. 상관분석한 결과, 분노표출지지태도와 분노표출방식, 분노억제지지태도와 분노억제방식이 정적 상관이 있었으나, 분노표출지지태도와 분노억제방식, 분노억제지지태도와 분노표출방식이 정적 상관이 있었다. 또 분노표출지지태도가 높은 사람은 분노표출방식이 높고 다른 사람의 일에 지나치게 관여하려는 경향이 높고 분노표출방식이 높은 사람은 자신의 힘을 타인에게 지나치게 행사하고 자기중심적으로 타인과 세상을 지각하고 행동하며 자신의 지각에 따라 상대방을 바꾸고 통제하려는 경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분노억제지지태도가 높은 사람들은 분노억제방식이 높았으며 사회적 상황에서 불안해하고 회피적이며 비사회성이 높고 자신의 주장이나 의사표현을 잘 하지 못하고 냉소적인 태도를 보일 수 있으며 자기자신보다는 상대방의 입장과 욕구를 중요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다회귀분석 결과, 분노표출지지태도와 과관여의 대인관계문제 간 관계에서 분노표출방식이 매개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분노억제지지태도와 냉담, 사회적 억제, 비주장성, 과순응성, 자기희생 등의 대인관계문제 간 관계에서 분노억제방식이 매개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의의로 첫째, 분노표현방식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인지적 변인으로 분노표현태도를 함께 고려하여 살펴보았고, 둘째,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선행연구와 달리 일반인을 대상으로 한 본 연구에서는 분노표현태도와 분노표현방식이 일관적이지 않았고 분노표출과 분노억제가 정적 상관을 보였다는 것이다. 본 연구의 제한점으로는 자기보고형 검사의 한계와, 표집대상의 편향, 분노의 다차원적인 특성을 고려하지 못한 것이다. 또한 상반된 분노표현태도를 가지고 있는 경우 분노표현방식이 어떻게 나타날 것인지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whether anger expression attitude agreed on anger expression style, how anger expression style based on anger expression attitude affected interpersonal problems, and whether anger expression style mediated relationship between anger expression attitude and interpersonal problems. The participants of the study were 395 working adults. Measurements were the Anger-out Attitude Scale, Anger-In Attitude scale, Trait Anger expression Inventory-Korean Version, Short form of the Korean Inventory of Interpersonal Problem Circumplex. Correlation analysis indicated that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anger out attitude and anger out style. Also,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anger in attitude and anger in style. However, a positive correlation not only between anger out attitude and anger in style, but also between anger in attitude and anger out style was shown. Adults with high anger out attitude showed high anger out style and domineering, egocentric, and intrusive interpersonal problems. Adults with high anger in attitude showed high anger in style and socially avoidant, self-sacrificing and overly nurturance, interpersonal problems. Results from a standard multiple regression indicated that the mediating effect of anger out style in the relationships between anger out attitude and intrusive interpersonal problems was shown. The results showed the mediating effect of anger in style in the relationships between anger in attitude and cold, socially avoidant, nonassertive, overly nurturance, and self-sacrificing interpersonal problems. Suggestions of the current study are shown as follows. First, anger expression attitude was considered as one of cognitive variance affecting anger expression style. Second, Unlike the previous study on college student, this study on working adults was not consistent with anger expression attitude and anger expression style. Also a positive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anger out style and anger in style.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re shown as follows. First, the present study was based only on self-report data. Second, there was a possibility of sample bias. Third, multidimensional aspect of anger was not considered. Finally, Future study should examine how contradictory anger expression attitude influences anger expression style. key words : Anger expression attitude, Anger expression style, Interpersonal problems

      • 성인의 거부민감성과 데이트폭력의 관계 : 분노억제 매개효과

        김선혜 가톨릭대학교 상담심리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32364

        본 연구에서는 데이트폭력을 심리적 폭력, 통제행위, 신체적 폭력, 성적 폭력의 네 가지 유형으로 나누어 경로 분석을 통해 거부민감성이 데이트폭력 각 유형에 미치는 영향과 분노억제의 매개 효과를 파악하였다. 이를 위해 성인기 초기인 만 19세 이상 만 35세 미만의 미혼 남녀 555명을 대상으로 자기보고식 설문을 수행하여 수집된 자료를 분석에 활용하였으며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구조모형에서 잠재변인 간 직접적인 영향 관계의 유의성을 검증한 결과, 거부민감성은 분노억제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β=.663, p<.001). 또한 거부민감성이 심리적 폭력(β=.352, p<.001)과 통제행위(β=.352, p<.001), 신체적 폭력(β=.192, p<.001), 성적 폭력(β=.198, p<.001)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분노억제는 심리적 폭력(β=.323, p<.001)과 통제행위(β=.234, p<.001), 신체적 폭력(β=.287, p<.001), 성적 폭력(β=.292, p<.001)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각 변인들 간 직접 효과와 간접효과 및 총 효과를 더 자세히 파악하기 위해 부트스트랩(Bootstrap)을 통해 직접 효과, 간접 효과, 총 효과의 크기를 산출하고 간접 효과의 유의성을 검증한 결과, 거부민감성은 심리적 폭력(β=.214, p<.001)과 통제행위(β=.155, p<.05), 신체적 폭력(β=.190, p<.001), 성적 폭력(β=.194, p<.001)에 간접적으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거부민감성이 심리적 폭력, 통제행위, 신체적 폭력, 성적 폭력에 미치는 영향에서 분노억제가 매개 역할을 하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거부민감성이 높은 경우 데이트폭력을 행할 가능성이 높아지며, 분노를 억제하여 데이트폭력을 심화시킬 수 있다는 점을 보여준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시사점과 한계점을 함께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ffects of Rejection Sensitivity on each type of Dating Violence(Psychological violence, Interpersonal control, Physical and Sexual violence) and the mediating effect of Anger-In. To this end, self-report questionnaires were conducted for 555 unmarried men and women aged 19 to under 35 years of age, and the collected data were used for analysi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direct relationship between potential variables in the structural model, rejection sensitivity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anger-in(β = .663, p<.001). Also rejection sensitivity showed a positive effect on psychological violence(β = .352, p <.001), interpersonal control(β = .352, p <.001), physical violence(β = .192, p <.001) and sexual violence(β. = .198, p <.001). Anger-in is found to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psychological violence(β = .323, p <.001), interpersonal control(β =. 234, p <.001), physical violence(β = .287, p <.001) and sexual violence (β = .292, p <.001). Second, in order to understand the direct effects, indirect effects, and total effects among the variables in more detail, the magnitudes of the direct effects, the indirect effects and the total effects were verified through bootstrap. Rejection sensitivity showed indirect positive effect on psychological violence(β = .214, p <.001), interpersonal control(β = .155, p <.05), physical violence(β = .190, p <.001) and sexual violence (β = .194, p <.001). Therefore, anger-in has proved to play a mediating role in the effects of rejection sensitivity on psychological violence, interpersonal control, physical violence and sexual violence. These findings show that the higher the rate of rejection sensitivity, the greater the likelihood of committing dating violence and increasing dating violence by anger-in. This study suggests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based on these findings.

      • 초기 청소년의 적대적 귀인과 반응적 공격성의 관계에서 의도적 통제, 분노반추, 특성분노의 매개효과

        박영희 계명대학교 2017 국내박사

        RANK : 232362

        본 연구는 초기 청소년의 적대적 귀인과 반응적 공격성의 관계에서 의도적 통제, 분노반추, 특성분노의 매개효과를 분석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연구의 대상은 초등학교 5, 6학년 남녀학생 489명이었다. 연구도구는 가설적 상황도구, 의도적 통제 척도, 분노반추 척도, 한국판 상태-특성분노 경험척도와 또래갈등 척도를 사용하였다. 반응적 공격성을 설명하는 연구모형을 설정한 후, 구조방정식 모형을 이용해 분석하였다. 첫째, 초기 청소년의 적대적 귀인은 의도적 통제에, 의도적 통제는 분노반추와 특성분노와 반응적 공격성에, 분노반추는 특성분노에, 특성분노는 반응적 공격성에 영향을 미친다. 적대적 귀인은 분노반추와 특성분노, 반응적 공격성에 직접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둘째, 초기 청소년의 적대적 귀인은 의도적 통제를 통하여 특성분노에 영향을 미치며 적대적 귀인이 의도적 통제와 특성분노를 통하여 반응적 공격성에 순차적으로 영향을 미친다. 반면 적대적 귀인은 분노반추를 통하여 특성분노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며 적대적 귀인이 분노반추와 특성분노를 통하여 반응적 공격성에 순차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셋째, 초기 청소년의 의도적 통제에서 분노반추를 거쳐 특성분노에 이르는 경로에서는 성별에 따라 차이가 있다. 이러한 결과는 초기 청소년의 반응적 공격성을 예방하기 위하여 인지적인 면과 정서적인 면을 함께 고려해야 한다는 것을 말해준다. 또한 효과적으로 특성분노에 개입하기 위하여 의도적 통제와 분노반추에 있어서 남녀학생 성차를 고려해야 함을 시사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s of early adolescents' effortful control, anger rumination and trait anger in the relationship between hostile attribution and reactive aggression. A total of 489 elementary school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present study. The measures included the Hypothetical-Situation Instrument, Effortful Control Scale, Anger Rumination Scale, State-Trait Anger Expression Inventory-Korean(STAXI-K), and Peer Conflict Scale(PCS). A hypothesized structural model was tested, and gender differences in pathways to reactive aggression were examined.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early adolescents' hostile attribution had a direct effect on effortful control, and effortful control showed direct effects on anger rumination, trait anger, and reactive aggression. In addition, anger rumination had a direct effect on trait anger, and trait anger showed a direct effect on reactive aggression. On the other hand, hostile attribution did not show direct effects on anger rumination, trait anger and reactive aggression. Second, early adolescents' hostile attribution had an indirect effect on trait anger through effortful control. And hostile attribution had an indirect effect on reactive aggression, through double mediating effects of effortful control and trait anger. But hostile attribution did not have an indirect effect on trait anger through anger rumination, and hostile attribution did not have an indirect effect on reactive aggression, through double mediating effects of anger rumination and trait anger. Third, there was a gender difference only in the pathways to trait anger through effortful control, and anger rumination.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the integration of cognitive and emotional approaches are necessary in order to prevent early adolescents' reactive aggression. It is also indicated that the difference between male and female adolescents' effortful control and the anger rumination need to be taken into account for effective intervention on trait anger.

      • 간호사의 업무스트레스와 소진과의 관계에서 분노표현방식의 매개효과 : 경력 집단별 비교

        이혜영 경희대학교 공공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32303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mediator effects of anger expression sty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burnout of nurses, and provide preliminary data for developing a stress-management and anger-control program that may help the nurses efficiently manage the job stress and anger originating from hospital work by comparing different groups based on their work experience (3 years or less / more than 3 years). This is a cross-sectional narrative study in which nurses who understood the purpose and method of the study and agreed to participate through a written consent were recruited from 3 different university hospitals located in Seoul, South Korea. A total of 454 subjects were included in the final analysis and investigation was carried out using self-reporting questionnaires.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January 25th, 2016 to April 1st, 2016. The level of job stress, anger expression style and burnout were measured using research tools with verified validity and reliability from previous studie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using SPSS/WIN 18.0 and SPSS Process Macro 2.15 Program to calculate frequency, percentage, average and standard deviation and to conduct χ² 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 and SPSS Process Macro Program. The results of the bootstrapping analysis showed that the job stress directly affected burnout in all of the three groups (all subjects, 3 years or less of work experience, more than 3 years of work experience) and the group with 3 years or less of work experience in particular showed more than twice the direct effect compared to the group with more than 3 years of work experience. In the group of all subjects, anger-out, anger-in and anger-control all showed mediator effects. Anger-out and anger-control played a functional role contributing to the decrease in burnout, whereas anger-in played a dysfunctional role contributing to the increase in burnout. Meanwhile, the group with 3 years or less of work experience showed mediator effects in anger-out and anger-in, and those with more than 3 years showed mediator effect in only anger-in. Mediator effect of anger-in was shown in all three groups, and the effect was greater than that of any other anger expression styles. Based on the aforementioned results, in order to reduce the burnout of nurses caused by job stress, it is necessary to provide a differentiated stress-management and anger-control program according to work experience. It would be most effective to focus on interventions that may lower job stress, reduce the use of anger-in and simultaneously use anger-out appropriately for the group with 3 years or less of work experience, and focus on interventions that may lower job stress and simultaneously reduce the use of anger-in for those with more than 3 years of work experience

      • 자기비난이 우울과 분노에 미치는 영향 : 자비불안의 매개효과

        유선영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16061

        본 연구에서는 자기비난과 우울 및 분노와의 관계에서 자비불안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전국 대학 및 대학원생(N=362)을 대상으로 우울경험질문지(DEQ)의 자기비난척도, 한국판 자비불안 척도(K-FCS), 통합적 한국판 CES-D, 한국판 상태-특성 분노표현 척도(STAXI-K)로 구성된 자기보고식 설문을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6.0과 Process Macro 4.0을 사용하여 분석이 이루어졌다. 분석 결과, 자기비난, 자비불안, 우울, 분노는 각각 서로 유의한 정적 상관을 보였다. 그리고 자기비난이 자비불안을 거쳐 각각 우울과 분노에 이르는 매개효과가 확인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자기비난 수준이 높을수록 자비불안 수준이 높아지며, 이는 우울과 분노를 심화시킬 수 있음을 시사한다. 매개변인인 자비불안의 하위요인별 다중병렬매개효과를 추가로 분석한 결과, 자기비난이 우울로 가는 경로에서 세 자비불안(타인을 향한, 타인에게 받는, 자기) 모두의 매개효과가 확인되었으나 자기비난이 분노로 가는 경로에서는 자기자비불안만이 유의한 매개효과를 나타냈다. 또한 타인을 향한 자비불안은 자기비난이 우울로 가는 경로에서 유의한 부적 매개효과를 나타냈다. 이는 자비불안의 하위요인별로 우울과 분노에 이르는 경로가 상이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fear of compass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criticism and depression and anger. Participants were university and graduate students(N=362). They were administered measures of Self-criticism(DEQ), Korean version of the Fear of Compassion Scales(K-FCS), integrated adaption of CES-D, and State-Trait Anger Expression Inventory-Korean version(STAXI-K).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6.0 and Process Macro 4.0. Result showed self-criticism positively associated with fear of compassion, depression, and anger. And the self-criticism mediated through fear of compassion, to depression and anger, respectively.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he higher the level of self-criticism, the higher the level of fear of compassion, which can exacerbate depression and anger. Additional Multiple parallel mediating effects was conducted. Each sub-factor of fear of compassion(for others, from others, self compassion) was confirmed on the path from self criticism to depression. In the path from self criticism to anger, only fear of self compassion had a significant mediating effect. However, fear of compassion for others showed a significant negative mediating effect on the path of self criticism to depression. This suggests that the pathways leading to depression and anger may be different for each sub-factor of fear of compass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