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세계력사』에 나타난 북한의 역사인식

        강진아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9711

        본고는 주체사관의 원리를 검토하고 그 내용이 『세계력사』의 서술에 어떻게 반영되었는지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북한의 역사인식을 올바로 이해하는 바탕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주체사관의 주요원리는 인민대중 중심의 역사관, 민족혁명 중심의 역사인식, 수령과 후계자의 역할 강조로 나누어진다. 그 중 주체사관에서 가장 강조하는 것은 인민대중 중심의 역사관이다. 이로부터 출발하여 주체사관은 역사의 본질은 인민대중의 자주성을 위한 투쟁이며, 인류역사의 성격을 인민대중의 창조적 역사라고 본다. 또한 인민대중의 자주성과 창조성을 일깨우기 위한 역사의 추동력을 자주적 사상의식으로 정의한다. 하지만 인민대중이 역사발전의 자주적 주체가 되려면 반드시 수령의 지도를 따라야 한다고 규정하여 실질적인 역사발전의 주체를 수령으로 귀결시킨다. 이와 같은 주체사관의 원리는 북한 세계사 교육의 목표와 교과편제, 『세계력사』의 서술에도 반영된다. 그 결과 『세계력사』에서도 역사발전의 주체는 인민대중이며 이들의 자주적 요구와 창조적 활동으로 사회가 개조되고 역사가 발전한다고 설명된다. 특히 역사발전의 원동력을 인민대중의 자주성을 회복하기 위한 투쟁으로 보기 때문에 노예폭동, 농민봉기, 반제민족투쟁과 해방운동은 역사발전의 합법칙성을 설명할 수 있는 사건으로 중시한다. 이에 반해 인민대중과 대립되는 왕이나 노예주와 같은 지배계급의 착취, 종교, 수정주의, 제국주의 침략전쟁에 대해서는 철저한 비판과 부정적인 평가를 내린다. 하지만 사회역사발전을 이룩하기 위한 혁명운동은 고도의 의식적인 운동이며 심각한 계급투쟁을 동반하기 때문에 반드시 수령과 후계자의 지도가 필요하다고 설명한다. 본래 주체사관에서 수령은 김일성을, 후계자는 김정일을 뜻하지만 『세계력사』에서는 해당 사회의 혁명을 지도하는 대표자를 의미하며 이들의 지위나 역할은 매우 중요하게 그려진다. 그러나 이보다 더 강조되는 것은 세계 각국의 반제민족해방투쟁에 기여한 김일성의 지도력과 혁명업적이다. 『세계력사』에서 김일성은 앞서 나타난 지도자들 보다 월등히 우수하고 영향력 강한 위대한 지도자로 묘사되어 북한 사회주의의 우수성을 정당화한다. 이처럼 주체사관은 『세계력사』에 반영되어 세계사 학습을 통해 주체사상을 고양하며 민족자주사상과 애국주의 함양을 지향한다. 이를 통해 『세계력사』는 주체사상의 이론을 정교화하고, 대중적으로 확산하기 위한 정치사상교육의 일환임을 확인할 수 있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historical consciousness of North Korea on the basis of examining the main elements of juche(self-determination) ideology reflected in Segyeryoksa. The main elements of juche ideology include: a people-oriented view of history; a historical consciousness centering on popular revolutions; and the central roles of the suryong(revolution leader) and his successor. The essential of element of theses is the people-oriented view of history. This historical view is the bedrock of juche ideology, which argues that the essence of human history is in the endless struggles of the popular masses for power to determine their own fate. The ideology claims that the historical impetus that awakens the popular masses to their creativity and capacity to determine their own lives is a voluntary or self-determination centered ideology. But asserts that the popular masses must obey a suryong in order to become active subjects of historical evolution, there by transferring the role of leading historical evolution to one single leader. The elements of juche ideology form the foundation of the objective of the North Korea world history curriculum and Segyeryoksa. Segyeryoksa asserts that the active subjects of historical evolution are the popular masses, whose voluntary demand and creative activities reform the society and lead the progress of history. Because juche ideology locates the impetus of historical evolution in the struggles of the popular masses to gain power to determine their own fate, such historical events as slave riot, peasant uprising, and anti-imperial nationalist movement and independence fight are treated as the evidence supporting such view on history. But renders scathing criticisms and negative judgments on the exploitation of ruler(such as king and slaveholder), religion, revisionism, and imperialist invasion and colonialism. The book goes on to assert that, since revolutionary struggles for the sake of social and historical evolution required a highly sophisticated consciousness and accompany serious class conflicts, such struggles require the strong leadership of the suryong and his successor. In juche ideology, these positions are personalized: the suryong refers to Kim il-sung, while his successor refers to Kim Jong-il. Segyeryoksa, however, includes all leaders of revolutions in a given society under the category of suryong, whose roles and positions in the history of society could not be emphasized more. Even more emphasized, however, are the leadership and accomplishments of Kim il-sung who is depicted as having made crucial contributions to the liberation of peoples of various nations from oppressive and exploitative forces. Kim il-sung is described in Segyeryoksa as incomparably superior to all the previous leaders of world revolutions, and his power and influence justify the superiority of the North Korea version of socialism. Segyeryoksa seeks to inculcate students in juche ideology by teaching them a highly selective version of world history. The ultimate objective of the book is to instill strong ideologies of self-determination and patriotism in students. Segyeryoksa, in other words, is an elaboration of juche ideology and is an political tool used to support the legitimacy of the ideology.

      • 김정은 계승 이후 역사 교과서 변화에 나타난 북한 역사교육의 성격

        김인선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33343

        본 연구는 김정은 정권 성립 이후 간행된 북한 역사 교과서 변화 분석을 통해 북한 역사교육의 성격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주체사관을 바탕으로 역사 교과서의 서술 내용 및 역사 인식과 교수‧학습 자료의 적절성을 분석하였다. 김정은 계승 이후 2013년~2015년에 간행된 북한 역사 교과서는 이전 교과서보다 민족의 우수성 및 애국심을 한층 강조하였다. 지배층이라도 계급적 성격을 줄이거나 삭제하고 애국적 활동을 자세히 서술하였다. 민족문화의 우수성 및 애국심 관련 본문 서술 분량이 증가하고, 읽기자료 및 탐구활동 등으로 이를 더욱 부각하였다. 그렇지만 이전 교과서와 마찬가지로 주체사관의 바탕 아래 인민대중을 역사의 주도 세력으로 서술하였다. 북한 역사 교과서는 또한 정통성을 강화하였다. 반침략 투쟁을 정통성의 기준으로 하였으며 정통국가를 ‘고조선–고구려–발해–고려–조선’으로 규정하고, 정통국가와 관련된 유적지와 문화유산을 복원·보존하였다. 평양과 대동강 유역, 고구려 중심의 역사 서술 등 현 북한 지역 중심의 역사 계승 의식을 표방하고, 이전 교과서에서는 분리되어 있었던 한국사와 세계사를 김정은 계승 이후에는 『력사』로 통합하여 김일성-김정일–김정은의 3대 세습에 세계사적 의미를 부여하였다. 교수‧학습 측면에서는 교과서의 학습자료가 대폭 증가하고, 사진, 그림, 지도, 연표, 읽기자료 등 학습자료의 형태도 다양해졌다. 학습자료의 증가 및 형식의 다양화는 북한 역사 교과서가 교수활동이나 학습 효과 측면도 고려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개정 교과서에서는 본문과 장, 절의 정리 부분에 배운 내용 정리, 생각하기, 탐구, 되새겨보기, 배운 내용 총화 등 여러 단계의 탐구활동을 배치했다. 이전의 교과서에는 탐구활동에 해당하는 내용이 전혀 없었으나 개정 교과서에는 이러한 요소가 새롭게 추가된 것이다. 교과서 속 탐구활동의 도입은 정보화 시대의 요구에 맞게 학생의 흥미와 자기 주도적 학습을 고려하고, 학습활동을 학생 중심으로 활성화하려는 변화 노력을 보여준다. 하지만 학습활동의 궁극적 목적이 북한 체제에 대한 지지와 긍지를 내면화의 방식으로 주입하려는 의도로도 보이며, 이러한 경향은 정서적 파급효과가 큰 초급중학교 교과서에서 더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2013년 이후 간행된 북한 역사 교과서 서술의 방향이나 교수‧학습 활동에서 남한 역사 교과서와 비슷한 측면도 보인다. 남한의 역사 교과서도 1970년대 이후 외세의 침략을 막아내고 국난극복에 기여한 인물, 주요 독립운동가, 민족문화의 우수성 등을 강조하였다. 통사 체제를 바탕으로 한 정통론적 역사 인식도 그러하다. 자료를 기반으로 학습자의 탐구를 강조하는 것 역시 남한 교과서와도 맥을 같이 하며, 이는 역사교육이나 교과서의 세계적인 추세이기도 하다. 남북한 평화 공존의 시대를 준비하기 위해서는 학생들에게 역사교육을 통하여 다양한 사고를 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비판적 문제의식을 가지게 해야 한다. 다양한 관점의 역사 인식에서 비롯되는 역사적 사실의 논쟁성도 학습 과정에서 경험해 볼 수 있게 해야 한다. 김정은 계승 이후 북한 역사 교과서의 변화를 비판적으로 분석한 본 연구는 이를 위한 하나의 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다.

      • 북한 역사교과서의 서술형식 분석

        김효숙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33327

        역사교과서의 내용뿐 아니라 서술형식도 학생들의 역사이해에 커다란 영향을 미친다. 북한 역사교과서의 서술형식은 남한 역사교과서와 많은 차이를 보인다. 본 연구는 북한 역사교과서의 서술형식을 분석하고, 그 특징을 남한 역사교과서와 비교하였다. 그리고 북한 역사교과서의 서술형식이 가지고 있는 문제점과 시사점을 검토하였다. 북한 역사교과서의 서술형식이 보이는 특징은 대체로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첫째, 해석적 서술이 많이 나타난다. 역사적 사실들을 현재적 관점에서 해석하고 풀이하고 의미를 부여하여 서술하고 있다. 둘째, 계기적 서술형식 중에는 내러티브적 서술이 많다. 구체적이며 생동감 있는 서술을 사용하며, 모범적인 인물들의 이야기를 통해 긍정적인 감화를 불러일으키려 한다. 셋째, 가치판단적 서술이 많다. 여러 영역에서 사회주의 가치에 입각하여 학생들의 정서를 자극시킬 수 있는 서술을 하고 있다. 북한의 역사교과서가 이러한 서술형식을 보이는 것은, 역사를 정치사상과목으로 생각하여 사회주의 사상의 체득이라는 역사교육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해석되고 의미를 부여한 역사적 사실을 전달하고 있기 때문이다. 교육을 정치도구화하고 있다는 면에서, 북한 역사교과서의 이와 같은 서술 태도는 커다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지나치게 가치를 표면에 드러내는 서술방식은 역사적 사실의 객관성을 해칠 우려도 있다. 하지만 북한 역사교과서의 서술은 학습자에게 역사적 사실을 재미있는 옛날이야기를 하듯이 전달하며, 그 의미를 알기 쉽게 해석해준다는 긍정적 측면도 가지고 있다. 최근 남한에서도 재미있고 쉽게 읽히는 역사교과서의 서술 방식에 대한 연구들이 나오고 있다는 점에서, 이와 같은 북한 역사교과서의 서술형식은 하나의 시사점을 줄 수 있다. 남한과 북한은 하나의 민족으로 공동의 역사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남북 역사인식의 통합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역사교과서의 서술 내용뿐 아니라, 본 연구에서 검토한 서술형식의 차이를 좁히려는 노력도 필요하다. 본 연구는 이를 위한 하나의 기초가 될 것이다. Not only contents but also description style of textbooks has huge influence on students’ understanding in the field of history. Description style of North-Korean textbooks shows big differences from that of South-Korean textbooks. This study not only analyzes the description style of North Korean history textbooks, leading to the comparison with the history textbooks of South Korea. In addition, this study examines the its results with South Korean history textbooks. Characteristics of North-Korean description style in history textbooks can be summarized as below. First, interpretive description is generally used. It interprets and comprehends historical facts from the modern view. Second, narrative style is often selected within sequential description. Role models are described in detailed and vivid manners to bring out positive emotional responses from readers. Third, description style for value judgement is commonly found. It stimulates student’s emotion in various dimensions based on socialism. The reason for these characteristics above is that North-Korea considers history as a subject of learning political ideology to achieve educational purpose, integrating socialism to students. Using education as one of the political methods is quite problematic itself. Description style with too much value judgement can distort historical facts, too. On the other side, however, it can be easier and more interesting for students to understand textbooks with this description style due to its storytelling-like approach. The fact that more and more history books have been published in a similar way recently in Korea proves its positive effect. As racially homogeneous nations, South and North Korea shares the same history. Therefore, how to build common understanding and awareness of history should be studied. In order to do that, making effort to narrow the gap down in the description style is required as well as in historic contents. This report will provide foundation for the further studies.

      • 남북한 국사교과서의 조선시대 경제사 서술 비교 : 남한 고등학교 『국사』와 북한 중학교 『조선력사』를 중심으로

        장광태 계명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33327

        2000년대에 들어와서 2번 실시된 남북한 정상회담을 통해 남북한의 교류가 확대되고 있는 시점에서 남북한의 통일에 대한 전망은 밝아지고 있다. 그러나 통일을 위해서는 지금의 노력보다 더 많은 노력과 준비가 필요하다. 그 이유는 분단이 60년 넘게 지속되면서 남북한은 정치?경제?사회?문화 등 모든 영역에서 상호간 이질성이 심화되고 있으며, 그중에서도 가장 이질성이 심화된 것은 교육의 이질성일 것이다. 남북한 교육의 이질성은 60년 넘게 분단이 된 현시점에서 통일을 생각할 때 가장 큰 걸림돌이 될 것이다. 이러한 남북한 교육의 이질성은 남북한 통일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따라서 지금의 통일 교육은 이질성을 극복하여 최소화하고 동질성을 회복하는 방향으로 나아가야할 것이다. 본 연구는 남북한 국사교과서의 서술 분석을 연구 대상으로 삼되 이를 역사 교육의 이질성을 극복하기 위해서 남북한 국사교과서 서술의 상이함을 지적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남북한이 동질성을 회복하기 위해서는 서로의 역사인식의 차이를 극복해야 하는데, 이를 위해서는 남북한의 역사 서술을 객관적으로 비교?분석해야 할 것이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남한의 고등학교『국사』와 북한의 중학교『조선력사』의 조선시대 경제사 서술 부분에 대하여 서술 체제 및 서술상의 특징을 비교?분석하였다. Ⅱ장 남북한 국사교과서의 구성에서는 교과서 서술 분석에 앞서 남북한 역사 교육의 목적과 역사과 교육과정, 내용구성 및 서술상의 특징을 선행 연구자의 연구 성과를 바탕으로 정리해 보았다. 북한은 자주성을 위한 인민대중의 투쟁의 역사, 물질적 부를 생산하고 문화를 발전시켜 온 창조의 역사를 학습하는데 중점을 두고 있지만, 남한은 과거를 통하여 현재를 이해하기 위하여 역사를 배우는 것에 중점을 두고 있다. Ⅲ장 남북한 국사교과서의 조선시대 경제사 서술 비교에서는 남북한 역사교과서의 조선시대 경제사 서술의 동일한 부분도 찾아볼 수 있지만 아직도 많은 부분에서 차이를 보이고 있으나,『국사』가 무조건 옳고『조선력사』가 무조건 그르다고 할 수는 없다. 이러한 비교 분석을 통하여 남북한 역사인식의 이질성을 극복할 수 있는 방안을 연구할 수 있는 초석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오랫동안 분단이 되어 이질화된 남북한 역사교육의 이질성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남북한 모두가 통일기반을 목표로 한 남북한 역사 교과서의 비교?분석 연구가 더욱 필요할 것이고 나아가 이질성보다 동질성에 대한 연구가 활발해 지고 남북한 교육당국과 역사학자?교사가 공동으로 노력을 한다면 통일을 대비한 역사교육을 준비할 수 있고, 통일 후 이질화된 역사를 빠른 시간 안에 바로 잡을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된다. Prospects of unification of the South Korea and the North Korea are bright at this point of time exchange between the South Korea and the North Korea is being expanded owing to South-North Korean Summit Talks held twice in 2000s. But more preparative effort is needed to accomplish unification. Mutual heterogeneity in all areas, including politics, economy, society and culture, has been intensified because division of the Korean peninsula has lasted for more than 60 years. The most intense heterogeneity exists in education. Heterogeneous education systems of the South Korea and the North Korea can be the biggest obstacle to unification at this point of time division of the Korean peninsula has lasted for more than 60 years. Heterogeneous education systems of the South Korea and the North Korea are having considerable influence on unification of the South Korea and the North Korea. Accordingly, unification education should be oriented towards overcoming and minimization of heterogeneity and restoration of national homogeneity. This study is conducted on analysis of descriptions mentioned in the Korean history books of the South Korea and the North Korea an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oint out differences of descriptions mentioned in the Korean history books of the South Korea and the North Korea. Differences in mutual recognition of history should be overcome in order to overcome restore homogeneity of the South Korea and the North Korea. To do this, descriptions mentioned in the Korean history books of the South Korea and the North Korea should be compared and analyzed objectively. In this study, the description system and characteristics of description are compared and analyzed on economic history of Joseon Dynasty mentioned in the South Korea's High School 『Korean History』 and the North Korea's Middle school 『Joseon History』. In Chapter Ⅱ, Composition of History Textbooks of the South Korea and the North Korea, purposes of history education, curriculum, composition of contents and characteristics of description the South Korea and the North Korea are summarized using results of preceding studies before analyzing descriptions of the textbooks. The North Korea's text book is based on learning of history of people' strife for independence and creative history of production of material wealth and development of culture, But the South Korea's text book is based on learning of history to understand the present through the past. In Chapter Ⅲ, Descriptions of Joseon Dynasty's Economic History Mentioned in the Textbooks of the South Korea and the North Korea, same contents can be found in the descriptions of Joseon Dynasty's economic history mentioned in the textbooks of the South Korea and the North. But, descriptions are different in most cases. No body can say the South Korea's 『Korean History』 the North Korea's 『Joseon History』 is right and is wrong. This study can lay a foundation for studying methods to overcome heterogeneity of history recognition of the South Korea and the North Korea through this kind of comparison and analysis. More comparativeㆍanalytic studies of history textbooks of the South Korea and the North Korea on the basis of unification are needed to minimize heterogeneity of history education of the South Korea and the North Korea caused by division of long standing. Studies on homogeneity, instead of heterogeneity, should be activated. If education authorities and historiansㆍteachers of the South Korea and the North Korea make constant efforts jointly, history education preparing for unification can be ensured and heterogeneous history can be corrected just in a short time after unification.

      • 김정은 집권 이후 북한 세계사 교육의 변화

        정하늘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33295

        본 연구는 김정은 집권 이후 북한 세계사 교육의 변화를 전반적으로 검토하고, 변화의 원인을 살펴보고자 했다. 이를 위해 2013년 개정된 교육강령과 교과서를 이전 것과 비교하여 세계사 교육관과 내용 선정 및 조직 방식, 서술 내용의 변화를 분석하였으며, 변화의 원인을 북한의 대·내외적 상황을 통해 밝히려 했다. 김정은 집권 이후 북한 세계사 교육은 그 위상이 약화되었다. 사상 과목과 실용적 과목이 강조되어 역사 과목의 시수가 감소하면서, 세계사 영역의 시수가 감소했다. 과거 한국사의 학습목적이었던 민족적 긍지와 자부심의 함양은 세계사까지 포괄하는 학습목적이 되었다. 한국사와 세계사가 통합된 목적은 세계사와의 비교를 통해 한국사의 우수성을 부각 하려는 조선민족제일주의 교양에 있었다. 한편, 지식경제시대에 대응한다는 교육개혁의 방향에 따라 세계사 교육의 목적‧목표에서는 실용적· 실제적 측면이 강화되었다. 세계사 교육에서 민족주의가 강화된 것은 김정은 집권 직후 조선민족제일주의를 포괄하는 논리인 김정일애국주의가 교육강령 전반에 걸쳐 강 조되었기 때문이다. 또한 자본주의 진영의 대중문화 유입으로 위기감이 고조되면서, 방어논리로서 민족성과 민족 유산을 보전해야 한다는 주장이 강화되었기 때문이다. 세계사 학습내용은 한국사와 비교할 수 있는 것으로 선정되었으며, 북한식의 한국사 시대구분을 기준으로 배치되었다. 이처럼 세계사 학습에 서는 세계사 고유의 내적 논리나 학문 체계보다 한국사 시대구분에 따른 한국사와의 비교가 중시되었다. 내용 조직상 통사 중심의 한국사와 주제 중심의 세계사라는 구성 방식 의 큰 틀은 변화하지 않았다. 한국사와 세계사의 통합은 화학적인 결합 이라기보다는 이전의 학습 주제를 몇 개씩 묶어 기계적으로 재배치한 형태로 나타났다. 세계사 서술 내용에서는 세 가지 변화가 나타났다. 첫째, 민족적 우월성을 동방 혹은 아시아로 확장하여 설명하려는 시도가 나타났다. 둘째, 반침략‧반제국주의적 서술이 강화되었다. 셋째, 마르크스와 레닌의 활동과 사상에 대해 상세히 서술했다. 이러한 서술상의 변화는 민족적 우수성을 강조하는 조선민족제일주의, 탈냉전 시기 미국 중심 국제 질서에 대항하는 반미의식의 심화, 강화된 수령론과 같은 북한식의 역사인식이 과거에 비해 강하게 투영된 것이다. 따라서 김정은 집권 이후 세계사를 자민족, 자국사 중심으로 이해하는 경향이 강화되었다고 볼 수 있다.

      • 현행 북한의 중등학교 '현대사' 교육 : 1926년 ~ 1953년을 중심으로

        강연수 성균관대학교 2005 국내석사

        RANK : 200511

        In this study I surveyed the North Korean education for 'the contemporary history' in order to overcome the problems regarding the division of the Korean peninsula. I thought existing studies on the North Korean history education neglected the North Korean 'contemporary history' which emphasizes Kim Il Sung's activity. At first, I looked into the changes in the North Korean history education from the 1945 Liberation to now. And then I thought about the changes within the political and social background. In this way I could find out that the current North Korean history education consists of two categories. The general history is a topic of one category which characterizes books like 'The Joseon History' and 'The World History'. The revolution history is another topic of the other category which distinguishes books like 'The Kim Il Sung Revolution History', 'The Kim Jung Il Revolution History' and 'The Kim Jung Suk Revolution History'. And then I took a close look at 'the contemporary history' part in the current North Korean History Textbook. I choose the book, 『The great leader Kim Il Sung Revolution History』which deals with the North Korean 'contemporary history'. To make clear the characteristics, I compared it vertically with the 1955 edition of 『The Joseon History』 which was made before the Juche ideology was adopted, and I compared it horizontally with the current South Korean history text book. Through those studies I found out characteristics are as follows. First, the North Korean education of 'contemporary history' came to emphasize its original situation which is focused on the internal factors of the North Korean, as the Juche ideology was adopted. But this trend was moving toward the Kim Il Sung's activity because of the North Korean trinity of 'Leader-Party-People', and 'the contemporary history' was replaced by the Kim Il Sung revolution history. Second, despite the changes from the Juche ideology, current textbooks have something in common with previous textbooks. Those books say that the hegemony of National liberalization movement was up to the Kim Il Sung's Anti-Japan armed struggle movement after the 3.1 Movement; and after the 1945 Liberation the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 which is the only legitimate government, was established according to thoughts of the entire Joseon people. And they are negative about liberation movement in the line of the Nationalism and disagreeable for the South Korean government. These reflect reality of the division of Korean peninsula which still continues, in spite of political and social changes inside the North Korea. Third, North Korean history textbooks are different in the ways of describing and analyzing concrete facts from South Korean history textbooks. But they use similar way like, saying that they have hegemony of liberation movement exclusively based on 'Temp Government Centralism(South Korea)' and 'Revolution Tranditionalism(North Korea)'; and attributing the division and Korean War to each other, ignoring each other. This shows that both South Korea and North Korea are taking advantage of the history education so as to insist on each system, not to speculate on the reality of the division.

      • 러시아혁명에 관한 통일 대비 역사 교과서 모형 제시 : 남·북한, 러시아, 미국, 영국, 일본, 중국 교과서 분석을 통하여

        배선주 서강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167759

        남북한의 관계가 종종 불협화음을 내고 있지만 한반도의 통일 여건은 과거의 어느 시기보다 더욱 긍정적인 상황으로 변화하고 있다. 사회 각계각층은 통일에 대비하여 다각적인 노력을 전개하고 있다. 본 연구 역시 앞으로 다가올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처하고, 통일의 기반 조성을 위한 대책의 일환으로 남북한 통일 대비 역사 교과서의 모형을 만들고자 하였다. 통일을 대비한 교과서를 통해 서로 다른 체제가 통합될 때 발생하는 의식 갈등의 문제를 최소화시킬 수 있는 현실적인 대책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러시아혁명이다. 본 연구의 대상으로 러시아혁명을 선택한 이유는 첫째, 러시아혁명은 20세기 현대 사회를 특징짓는 냉전 체제를 형성한 사건으로, 현재 남한의 자본주의 국가 체제와 대립되는 북한과 같은 사회주의 국가 체제를 탄생시킨 역사적 사건이기 때문이다. 둘째, 그 동안 러시아혁명은 다른 역사적 사건에 비해 체제와 이념의 직접적인 영향을 받아 남북한 역사 해석의 대립과 왜곡의 정도가 심하고, 그 동안 올바른 연구가 불가능했기 때문이다. 따라서 역사에 올바르게 접근할 수 있는 권리와 균형 잡힌 역사 인식의 회복을 위해 러시아혁명을 통일 대비 교과서의 주제로 선정하였다. 한편 통일 대비 교과서의 구체적인 방안 모색을 위해 남북한 및 한반도의 주변 정세에 크게 영향력을 행사하는 러시아, 미국, 영국, 일본과 중국의 교과서를 분석하였다. 분석의 결과, 몇몇 특징적인 사실들을 발견하였다. 첫째, 분단 체제의 남북한뿐만 아니라 러시아, 미국, 영국, 일본과 중국의 교과서에도 이념 및 체제적 논리에 의해 러시아혁명에 관한 해석상의 큰 편차가 존재하는 것이었다. 국제적인 맥락 속에서 교과서들의 상관 관계를 분석한 결과 러시아혁명에 관한 해석은 남한, 러시아, 미국, 일본의 자본주의 국가 체제와 북한, 중국의 사회주의 국가 체제로 뚜렷하게 양분화 되어 있었다. 둘째, 국가 체제에 따라 양분화 된 교과서들은 체제 우위를 증명하거나 체제의 정당화를 위한 정치적 도구로써 적극적으로 활용되고 있었다. 러시아혁명이 현대 세계를 형성하고 있는 국가 체제와 직접적인 연관성을 맺고 있다는 이유로 청소년을 위한 교과서는 이념적 측면에 의해 좌우되었고, 러시아혁명의 역사적 실체는 올바르게 복원되지 못하고 왜곡되어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남북한 통일 대비 역사 교과서 모형 제시를 위해 러시아혁명에 관한 이념적, 체제적, 정치적 논리 극복을 최우선의 과제로 삼았다. 그리고 학문적인 입장에서 러시아혁명의 실체를 객관적으로 복원하기 위해 사회사적 접근과 역사 연구의 계량적인 방법론을 도입하였다. 그리하여 러시아혁명에 관한 통일 대비 역사 교과서의 모형은 혁명 당시 러시아 사회의 제반 조건과 직면한 문제, 러시아 사회의 누적된 문제가 혁명으로 귀결될 수밖에 없었던 이유, 러시아 민중이 러시아 사회의 대안 세력으로 레닌과 볼셰비키를 선택한 배경 등 혁명의 전개 과정을 상세하게 서술하였다. 통일에 대한 기대가 높아지는 상황에서 본 연구는 시론적(試論的)인 입장에서 통일 대비 역사 교과서의 모형을 제시해 보았다. 본 연구가 통일의 기반 조성에 작은 보탬이 되기를 기대해 본다. 그리고 앞으로 통일을 대비한 교육 대책이 이념적 편향성을 지양하고, 올바른 역사적 접근과 균형 잡힌 역사 인식의 회복을 위해 나아가길 바란다. Despite inter-Korean relations in a lull at present, Koreans are witnessing more favorable conditions for peaceful national reunification than ever before and they are, therefore, stepping up their efforts to be prepared in case it should happen. In this thesis, I will propose a model history textbook for a unified Korea and I believe that it would be a concrete and practical measure to reduce ideological conflicts which could be arisen when two disparate systems are combined. In the model history textbook of this thesis, I mainly focused on presenting an objective perspective on the Russian Revolution. There are two reasons why I took interest in the historical event. First, it is a significant event in history that brought about the Cold War and also helped to institute a communist state in the northern Korea. Second, The interpretation on the Russian Revolution has been extremely different between the two Koreas. It is because that they were established on the different ideological, political and economical structures. As you know, it's time for us to prepare a new history book which will be used in the age of the Unification. If the new history book is accepted by both sides, the historian should be in a neutral and objective position. It's a good exercise to identify the Russian Revolution on every viewpoint - North and South Korea, Russia, the U.S., the U.K., Japan and China. Analysing the history textbooks of North and South Korea along with those of Russia, the U.S., the U.K., Japan and China whose roles in the Korean peninsula have been crucial, I found some surprising facts. First, the textbooks of those countries showed a striking disparity of views on some historical events depending on their political stands. The interpretation was clearly different between the capitalist countries including South Korea, Russia, the U.S. and Japan and the communist countries such as North Korea and China. Second, those countries aforementioned turned out to use their history textbooks for a political purpose, trying to demonstrate their system's superiority over the other. The textbooks for young students who are supposed to receive an unbiased education have often been swayed by a specific ideology, and the Russian Revolution part, in particular, have been seriously distorted in every country because of the ideological influence on the historians. Except for the U.K. reflecting recent studies on the Russian Revolution in the history textbooks, the other countries are reluctant to rectify the distorted records of the revolution. In this thesis, I focused on overcoming the perverted views on the Russian Revolution in order to provide a history textbook with an impartial point of view for a unified Korea. To that end, I attempted to grasp the facts with a social historical approach and a measuring method of historical studies. As a result, the model I suggested could vividly portrait the life of people who had gone through the harsh times and spotlight on the process of the revolution by emphasizing on the following aspects: what were the urgent problems that the Russian people had to solve in the period of the revolution, why the accumulated social problems should result in a form of revolution and why they had to choose Lenin and Bolshevists as an alternative power for Russia. Now, the Koreans' high expectations for the national reunification become bigger and bigger. I'd be happy to design the model history textbook. I hope my suggestion would be of some use for building the basis of reunification. Adopting an objective historical approach and balanced understanding of history, the educational policy of a unified Korea should not incline toward a specific ideology.

      • 南.北韓 初.中等 敎科書 歷史領域에 나타난 人物, 年代, 書誌, 地圖, 揷畵에 關한 比較 硏究

        백종철 仁川敎育大學校 敎育大學院 2002 국내석사

        RANK : 85887

        지난해 남·북 정상회담의 성공에 따라 이산가족 상봉이 이루어지고 남북한 장관급 회담 및 경제협력 등 각 분야에서 통일에 대한 기운이 활발히 조성되고 있다. 1980년대 이후 교육분야에서도 통일에 대비한 심층적인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그러한 연구물들은 거의가 남·북한간의 교육과정이나 교과서 등의 차이점에 대한 사실 확인 정도에 그치고 있으며, 통일 이후에 실시되어야 할 통합된 교육과정이나 준거에 대한 깊이있는 연구가 부족한 것이 현재의 실정이다. 본 연구는 남·북한 초·중등 교과서 역사영역에 나타난 인물, 연대, 서지, 지도, 삽화에 관한 비교 연구를 위해 남한의 초등 사회과교과서, 중학교 국사(상), 국사(하)와 북한교과서 조선력사 고등중학교2, 3, 4학년용 교과서와 선행 연구 자료, 문헌을 통해, 수량화, 도표화, 혹은 서술을 통해 비교 분석하면서 그 속에서 남·북한의 서로 다른 역사인식과 교과서 서술상의 차이를 찾아보고자 했다. 제1장에서는 통일 대비 선행 연구물들을 접근 방식에 따라 분류하고, 유형별 분석을 통하여 선행 연구물들의 흐름을 파악하였다. 제2장에서는 남·북한 역사교육의 기초가 되는 역사교육의 이론적 배경에 대해 살펴보았다. 남한은 홍익인간의 교육이념을 근간으로 일제식민주의 역사학을 극복하고 민족주의적 역사학을 계승하여 다양한 역사연구 방법론을 발전시켜 왔다. 반면 북한은 우리나라 역사인식이나 서술을 사회주의 국가 건설의 방향이나 주체사상의 확산을 위한 수단으로 일관하고 있다. 제3장에서는 남·북한 초·중등 교과서 역사영역에 나타난 인물 실태와 그 인물에 관한 서술 실태, 연대, 서지, 지도, 삽화 등을 분석하여 그 차이점을 제시하였다. 인물 실태에 대한 차이점으로는 교과서에 등장하는 인물의 수가 남한이 북한보다는 훨씬 많으며, 이와같은 현상은 북한은 김일성 주체사상과 유물사관에 입각한 교육으로 김일성 교시와 김정일의 유시가 곧 학습의 결론이고 주안점이며, 사실에 대한 정답으로서의 해석을 내린 결과라 생각된다. 또한 남한교과서에서는 왕(왕실)과 정치인의 등장이 많은 반면, 북한교과서에서는 군인, 농민군 지도자, 노비등의 등장이 많다. 이러한 현상은 남·북한의 역사관의 차이에서 비롯된 것이라 해석할 수 있다. 인물에 관한 서술 실태에서 왕(왕실)과 , 정치인에 대한 서술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찾아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왕(왕실)의 서술을 살펴보면, 남·북한이 공통적으로 서술한 왕(왕실)은 단군, 주몽, 온조, 박혁거세, 왕건을 들 수 있고, 서술이 다른 왕(왕실)은 의자왕과 이성계를 들 수 있다. 둘째, 정치인의 서술에 대한 차이점을 살펴보면, 남·북한 교과서에 공통적으로 등장하는 정치인들 중 긍정적인 측면에서 서술된 정치인으로는 김옥균을 들 수 있고, 부정적인 이미지로 서술된 정치인은 이자겸을 들 수 있다. 연대의 경우 남한교과서에서는 단순히 시기만을 구분 짓는 연대가 자주 등장한 반면, 북한교과서에서는 특정한 분야 곧 전쟁과 관련된 연대에 편중되어 있음을 찾을 수 있다. 서지에 관한 기술을 살펴보면 남한교과서에는 75종의 서지가, 북한교과서에서는 1종의 서지에 관한 사항만 나타나 남·북한간의 편차가 심한데, 이는 북한의 교과서가 문화적인 면을 소홀히 다루고 있음을 나타낸 것이라 할 수 있다. 지도의 경우 남한교과서에서는 역사를 보는 객관적 관점과 창의적인 힘을 길러주는 데 중점을 두어 행정구역도, 분포도, 형세도의 비중이 큰 반면, 북한 교과서에서는 투쟁도나 신분해방 운동과 같은 주제에 비중을 둔 것으로 나타나는 데 이는 주체사상에 입각한 사회주의 건설을 위한 도구로 역사교육을 활용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삽화에 관한 부분을 살펴보면 남한교과서에서는 시각적 효과가 뛰어난 사진이나 그림 자료를 많이 게재하고 있으며, 북한교과서에서는 학습자료가 빈약하고 섬세하지 못하며 거의가 흑백으로 되어 있어 시각적 효과를 기대하기가 어렵다. 이상의 남·북한 교과서 역사 서술 부분의 비교 분석 및 고찰의 결과에서 찾아볼 수 있듯이 남·북한간 체제의 차이에서 비롯한 교육의 이질화 문제는 상당히 심각한 실정이다. 이러한 점에서 통일이 된다 하더라도 민족적 동질성을 극복하기 위한 노력이 절실히 요구되어지는 것이다. 다행히도 북한에 대한 연구가 다방면에 걸쳐 이루어지고 있으며, 현재 남한 교육과정과 교과서, 북한 교육과정과 교과서 등에 대한 비교 연구가 심층적으로 이루어져 통일 이후 통일한국의 통합된 교육제도와 교육과정에 대한 틀도 제시되어 있는 상태다. 이를 바탕으로 역사영역의 인물, 연대, 서지, 지도, 삽화 학습에 있어서 특정한 역사적 상황 및 사건과 관련하여 어떤 구체적 사실을 선정해야 할 것인가의 문제는 어린이들의 올바른 역사 이해, 역사 발전에 대한 긍정적 인식과 함께 바람직한 인간관을 형성하게 하는 데 직접적인 영향을 줄 것이다. 따라서 수많은 역사적 사실 가운데서 학습목표에 도달할 수 있도록 구체적 사실에 대한 어느 정도의 기술을 할 것인가 하는 기준이 필요한 것이다. 이를 위해서 인물, 연대, 서지, 지도, 삽화의 선정과 그것에 관한 서술이 조화가 이루어져야 우리나라 역사상에 대한 올바른 이해가 이루어 질 것이다. This review is a comparative analysis on characters, periods, bibliography, maps and illustration that appear in the history textbooks for primary school and middle school students in South and North Korea. This review tries to identify the differences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in the way they recognize the history and how they describe the historic event in their textbooks. This review was conducted by analysing the preceding studies, the textbooks and the literature. The comparative analysis is presented in a quantitative method, a graphical method and a descriptive method. In the first chapter, this review classifies the preceding studies conducted to prepare for the reunification of Korea by their approaching methods, and tried to grasp the trend of the preceding studies based on the analysis of each class. In the second chapter, this review discusses the theoretical backgrounds of the history education, which is the foundation of the history education in South and North Korea. In the third chapter, this review analyses characters that appear in the history textbooks of primary school and middle school in South and North Korea. It analyses the character itself as well as the description, period, bibliography, maps and illustration related to the character, and presents the difference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The difference identified about the characters is that more characters appear in the history textbook of South Korea than that of North Korea. While the textbooks of South Korea are focused on the characters such as the King, the royal family, and the politicians, the textbooks of North Korea are focused on the characters such as soldiers, leaders of the peasant army and peasants. The periods in the textbooks of South Korea are mostly used to identify the time of the historic event. However, the periods in the textbooks of North Korea are closely related to a specific event such as a war. When examining the description of the bibliography of South and North Korea, one can find an extreme deviation between the two countries. The textbooks of South Korea presents 75 types of bibliography, while the textbooks of North Korea presents only 1 type of bibliography. In the case of maps, the South Korean textbooks have maps that represent the administrative jurisdiction, the distributions and the situations. However, the maps in the North Korean textbooks put a great deal of weight on the theme such as struggles and emancipation of serfdom. In the case of the illustrations, the South Korean textbooks have many pictures and photographs that have a significant visual effects. The North Korean textbooks have illustrations that are relatively limited and not very delicate. The history textbooks of South and North Korea are found to be very different, based on the comparative analysis on the descriptions of historic event in the history textbooks of South and North Korea. The different education in two countries, due to the difference in the political system is a serious problem. Consequently, a great deal of effort is required to recover the homogeneity of Korean people even after the reunification. A right understanding of Korean history can be achieved when the selection of characters, period, bibliography, map and illustration harmonizes with the descrip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