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중년기 기혼남녀의 부부친밀감에 관한 연구 : 자아정체감, 부부의사소통, 양성평등의식을 중심으로

        우명순 숭실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중년기 기혼남녀의 부부친밀감에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인구사회학적 변인과 자아정체감, 부부의사소통, 양성평등의식이 부부친밀감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연구대상은 서울, 경기, 대구에 거주하는 40세 이상 59세 미만의 결혼 지속년수가 10년 이상 된 중년기 기혼남녀 220명이었고, 분석방법은 기술통계방법, t 검증과 일원변량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응답자의 특성에 따른 부부친밀감의 차이를 살펴보면, 기혼남성이 여성보다 부부친밀감을 더 높게 지각하였으며, 연령으로서는 40대가 50대에 비해 부부친밀감이 더 높았다. 교육정도에 따른 부부친밀감은 대학원 이상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평균소득에 있어서는 소득이 높을수록 부부친밀감이 높았으며, 결혼지속 년수가 10년 이상 20년 미만인 경우가 20년 이상 된 경우보다 부부친밀감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자아정체감, 부부의사소통, 양성평등의식 그리고 부부친밀감의 남녀간 차이를 살펴보면, 자아정체감과 부부의사소통에 있어서는 남녀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가정생활과 사회문화생활에 관한 양성평등의식에서는 남녀 간에 큰 차이를 보였는데 여성이 두 하위요인 모두에서 남성보다 높은 양성평등의식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부부친밀감에 있어서는 남성이 여성보다 높게 지각하는 것으로 나타나 남녀 간에 차이를 보였다. 셋째, 중년기 기혼남녀의 부부친밀감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 성별이 가장 큰 영향요인으로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부부의사소통과 가정생활에서의 양성평등의식, 결혼년수와 월평균소득, 자아정체감 순으로 부부친밀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중년기의 부부친밀감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이 남녀차이를 보였는데 남성의 경우 부부의사소통이 가장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고, 다음으로 자아정체감과 가정생활영역에서의 양성평등의식으로 나타나 인구사회학적 변인과 사회문화생활영역에서의 양성평등의식은 유의한 결과를 보이지 않았다. 여성의 경우 교육정도가 부부친밀감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가정생활영역에서의 양성평등의식, 결혼년수, 부부의사소통 순으로 부부친밀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중년기 기혼남녀의 부부친밀감을 높이기 위한 사회복지적 접근의 필요성을 다음과 같이 제언하고자 한다. 첫째, 성별이 중년기 기혼남녀의 부부친밀감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난 구체적인 이유가 무엇인지 탐색해보고, 부부가 이를 공유함으로 비슷한 수준의 부부친밀감을 유지할 수 있도록 돕는 다양한 측면에서의 개입이 필요할 것이다. 둘째, 부부상호적인 요인인 부부의사소통이 개인적인 요인인 자아정체감과 사회문화적인 요인인 양성평등의식보다 부부친밀감에 더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므로 부부의사소통 프로그램이 시급하게 적용되어야 할 것이다. 셋째, 가정생활에서의 양성평등의식이 부부친밀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밝혀진 바 기혼여성과 남성 모두 양성평등의식으로의 변화와 실천으로 권한을 공유하고, 평등하고 동반자적 부부관계를 격려하고 도전할 수 있는 다양한 경로와 실천전략이 필요하겠다. 넷째, 중년기의 부부친밀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해 남녀 간에 차이를 보였는데 남성의 경우는 부부의사소통과 자아정체감이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반면 여성의 경우는 교육정도와 가정생활영역에서의 양성평등의식변인이 부부친밀감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부부친밀감을 높이기 위해 남성과 여성에게 적용되는 전략이 달라야 할 것이다. 본 연구결과가 최근 빠르게 증가하고 있는 중년기의 이혼예방 및 건강한 부부관계를 유지할 수 있도록 돕는 부부상담의 기초자료로 활용되는데 기여하기를 바라며, 차후 부부치료나 가족치료와 연계된 양성평등의식과 실천에 대한 보다 명확하고 심층적인 연구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several factors on the marital intimacy of middle-aged men and women. To accomplish the purpose, I examined several factors influencing on marital intimacy by dividing the subject into demo-sociological variables and self-identity, marital communication, and gender equality awareness categories. The subjects of this study are 220 middle-aged men and women living in Seoul, Gyunggi, and Daegu areas, aged from 40 to 59, who have been married over ten years. To process and analyze the data, I used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d one-way ANOVA, and multiple regression. The results of the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n terms of the difference of marital intimacy depend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spondents, married men showed more marital intimacy than married women. In terms of age, the couples in their 40's showed higher awareness than those in their 50's. In terms of the level of education, people with graduate school education are the highest in couple intimacy, followed by people with college education. In terms of level of average income, the higher the average income is, the higher the marital intimacy is. Finally in terms of spans of marriage, the couples with 10 to 20 years of marriage showed stronger marital intimacy than those with over 20 years of marriage. Second, I investigated the differences between men and women in such categories as self-identity, marital communication, gender equality, and marital intimacy. There was a slight difference between men and women in self-identity and marital communication. However, their gender equality awareness in domestic life and social and cultural life showed distinguished differences, which indicates women have higher gender equality awareness than men in those two sub-factors. Moreover, in terms of marital intimacy, married men have higher awareness than women. Third,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gender is the greatest factor as a variable on marital intimacy of middle-aged men and women, followed by marital communication, gender equality awareness in domestic life, spans of marriage, average income per month and self-identity. Fourth, when looking into the differences between men and women in the factors influencing middle-aged marital intimacy, men think the factor of marital communication is the most meaningful in marital intimacy, which is followed by self-identity and gender equality awareness in domestic life. The factors of demo-sociological and gender equality awareness in the area of social and cultural life were not so significant. On the other hand, women consider the factor of level of education is the greatest and the most meaningful in marital intimacy. Other factors of gender equality awareness in domestic life , spans of marriage, and marital communication are also meaningful to marital intimacy. According to these results of the study, the suggestions for enhancing marital intimacy of middle-aged couples in the light of social welfare can be made as follows. First, it is needed to work out the reason why gender is the most influential factor on marital intimacy of middle-aged couples, and to find various ways to help maintain couple intimacy by sharing that. Second, it is needed to develop and apply marital communication programs which enable middle-aged couples to interact each other more smoothly and functionally, for marital communication as an interactive factor is more influential than self-identity as an individual factor and gender equality awareness as a social and cultural one. Third, since gender equality awareness in domestic life is influential on marital intimacy, both married men and women need to move into gender equality awareness and practice it sharing their rights, and then they need to be equipped with various ways to encourage equal partnership and acting strategies for achieving that. Fourth, there is differences between men and women in the factors of middle- aged couples' marital intimacy. In the case of men, the factor of marital communication and self-identity are the most influential. In the case of women, on the other hand, level of education and gender equality awareness in domestic life are the most influential to marital intimacy. Therefore, there must be different strategies for facilitating marital intimacy. I hope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contribute as a basic material for marital counselling which helps to prevent rapidly increasing middle-age divorces and maintain sound couple relation. I look forward to more clarified and profound studies as to gender equality awareness and its implement related to marital healing and family healing.

      • 부부친밀감 측정도구 타당화 연구 : 영적친밀감을 중심으로

        정이선 숭실대학교 기독교학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8703

        This study is intended to develop a scaleof spiritual intimacy which people have with perceptional, emotional and sexual intimacy. Also, this study purposed to verify the validity of this scale through the correlation that if a couple has a high degree of intimacy they might also have a high degree of satisfaction. To do this, each variable was defined according to previous research and measurements were prepared for the survey. This study set up an index of intimacy and satisfaction between couples and developed a theoretical for measuring spiritual and non-sexual intimacy. This measure was reviewed to examine the possibility of application in this study by four professional counselors, three professors and parents who have had children. This study carried out a survey targeting married couples by using this measure. The preliminary survey was taken from March 18, 2010 to April 5, 2010 and the formal survey was carried out from April 12, 2010 to May 22, 2010. In total, two hundred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this survey and one hundred eighty four of them were collected and used as data. This data was used to analyze the correlation between intimacy and satisfaction in married life. Through research and factor analysis, the element of intimacy was found to consist of five sub factors: spiritual intimacy (both intimacy with God and intimacy with one’s spouse), mental intimacy and physical intimacy (both sexual and non-sexual). Also, our analysis revealed a high degree of reliability among all factors which are compositions of variables. With these results, I conducted regression analysis to verify whether intimacy effects satisfaction in married life.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spiritual intimacy was not relevant to satisfaction in married life. Second, mental intimacy positively affected satisfaction in married life. Third, physical intimacy also has a positive impact on satisfaction. These results show that attention toward intimacy between spouses should increase in the field of counseling and family study. In the professional field, it is important to the concept of intimacy to allow couples to equally identify the intimacy they are seeking. The measure of spiritual intimacy developed through this study will be helpful for studying wider intimacy in a couple’s relationship. Also, it will be a useful measurement for counselors who want to gauge the intimacy between spouses. Finally, this study will be connected to further study about measurement in family counseling and the development of programs to increase intimacy and education. 본 연구에서는 인지, 정서, 성적 친밀감 영역 외에 모든 사람에게 존재하고 있는 영적 부분의 친밀감 척도를 개발하고, ‘부부의 친밀감이 높으면 결혼만족도 또한 높을 것이라는 것이다‘라는 연관성을 통해 친밀감척도의 타당성을 검증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우선 이를 위하여 선행연구를 통해 각 변수들의 개념을 구체화하였고, 조사에 필요한 측정도구를 마련하였다. 친밀감과 부부만족도의 지표를 설정하고, 배경원인을 알아내어 이론적 근거를 통해 영적친밀감, 비성적 친밀감 척도를 개발하였다. 이 척도에 대한 적합성여부를 가늠하기 위해 논문지도위원회와 상담사 4인, 그리고 학부모의 검토를 받았다. 이 측정도구들을 사용하여 결혼한 부부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2010년 3월 18일부터 4월5일까지 예비조사를 한 후, 4월 12일부터 5월 22일까지 본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총 200부의 설문지를 배포여 이중 총 184부를 본 연구에 최종 분석 자료로 사용하였다. 실증 조사된 자료는 연구가설을 검증하기 위하여 친밀감과 결혼만족도간의 영향관계에 대해서 분석하는 과정에 사용되었다. 선행연구의 고찰과 요인분석의 결과를 통하여 친밀감의 요소는 영적친밀감(신과의 영적 친밀감, 배우자와의 영적 친밀감), 정신적 친밀감, 육체적 친밀감(성적 친밀감, 비성적 친밀감)의 5개 요인(하위변수 포함)으로 구성되었고, 정신적 친밀감은 1개의 단일 요인으로, 영적 친밀감과 육체적 친밀감은 2개 요인으로 도출되었다. 또한 요인분석을 토대로 하여 신뢰도 분석을 실시한 결과, 모든 변수를 구성하는 요인들은 높은 신뢰도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친밀감이 결혼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가설을 검증하기 위하여 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영적 친밀감(신과의 영적친밀감, 배우자와의 영적친밀감)은 결혼 만족도(배우자와의 관계에서 결혼만족도)와 관련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영적 친밀감은 결혼 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정신적 친밀감은 결혼 만족도(배우자와의 관계에서의 만족도, 개인적인 결혼 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육체적 친밀함(성적 친밀감, 비성적 친밀감)은 결혼 만족도(배우자와의 관계에서의 만족도, 개인적인 결혼 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사실들을 미루어볼 때 부부 상담과 가족연구에 있어서 부부간 친밀감에 관한 관심을 더욱 증가될 것으로 보인다. 상담 현장에서는 부부친밀감의 개념을 명확히 함으로 부부가 추구하는 친밀감을 동일하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해 주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개발한 영적 친밀감 척도는 부부관계에 폭 넓은 친밀감을 규명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며, 상담현장에서 부부가 느끼는 친밀감 정도가 다룰 때 생기는 문제의 요인들을 측정하여 상담자가 내담자에게 접근하는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는 도구라고 본다. 이를 통해 부부의 특성에 맞는 척도 연구와 친밀감 증진 친밀감 증진프로그램 개발, 교육도 이루어 질 수 있을 것이다.

      • 신혼기 남녀의 내면화된 수치심이 부부친밀감에 미치는 영향: 관계진솔성과 지각된 배우자 지지의 순차매개효과

        하희정 서울상담심리대학원대학교 2023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개인의 내적 모델과 대인간 모델을 통합하여 부부관계를 설명하는 맥락모델의 입체적인 시각을 빌려 신혼기 남녀의 내면화된 수치심과 부부친밀감의 관계에서 관계진솔성과 지각된 배우자 지지의 순차적 매개효과를 연구하였다. 이를 위해 초혼이며 결혼한 지 5년 이하의 자녀가 없는 신혼기 남녀 330명을 대상으로 부부친밀감 척도, 내면화된 수치심 척도, 한국판 관계진솔성 척도, 배우자 지지 척도를 사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IBM SPSS statistics 29.0과 PROCESS Macro for SPSS 4.1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기술통계분석, 신뢰도분석, 상관관계분석, 직렬다중매개모형 검증을 하였으며 부트스트래핑 방식으로 매개효과의 유의성을 확인하였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신혼기 남녀의 내면화된 수치심이 부부친밀감에 미치는 총효과는 유의하였으나 직접효과는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즉 내면화된 수치심이 매개변수를 통하여 부부친밀감에 간접효과를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신혼기 남녀의 내면화된 수치심과 부부친밀감의 관계에서 관계진솔성의 매개효과는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관계에서 진솔하기만 해서는 내면화된 수치심과 부부친밀감의 관계에서 유의한 매개효과를 가질 수 없으며, 관계에서 진솔함으로 인해 다른 어떤 특성이 변화하여 부부친밀감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사실을 알려준다. 셋째, 신혼기 남녀의 내면화된 수치심과 부부친밀감의 관계에서 지각된 배우자 지지의 매개효과는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즉 개인내적 특성인 내면화된 수치심으로 인해 배우자의 지지를 낮게 지각하게 되고 낮게 지각된 배우자의 지지가 부부친밀감을 저하시킨다는 것이다. 넷째, 신혼기 남녀의 내면화된 수치심과 부부친밀감의 관계에서 관계진솔성과 지각된 배우자 지지의 순차적인 매개효과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나 직렬다중매개모형이 채택되었다. 개인의 내면화된 수치심은 친밀한 관계에서 자신의 감정을 진솔하게 표현하지 못하게 하여 부정적인 상호작용을 만들며 배우자의 지지를 낮게 지각하게 한다. 그것이 결국 부부친밀감의 저하를 불러일으킨다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신혼기 남녀의 개인 내적 요인인 내면화된 수치심이 대인간 요인인 관계진솔성과 지각된 배우자 지지를 거쳐 부부친밀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알려줄 뿐만 아니라 부부관계에서 심리적 내적 요인과 대인간 요인이 모두 중요함을 보여준다. 따라서 친밀하지 못함으로 인해 갈등을 겪고 있는 부부치료 장면에서 서로가 서로에게 영향을 미치는 상호관계적인 입장에서 배우자를 수용하고 진솔하게 대하며 지지행동을 용감하게 드러낼 수 있도록 방향성을 제시한다면 보다 효과적일 수 있음을 시사한다. This study examined the sequential mediating effect of Relationship Authenticity and Perceived Marital Suppor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ternalized shame and marital intimacy of newlyweds, using a three-dimensional perspective of a contextual model that explains marital relationships by integrating an intra-personal model and interpersonal model. To this end, data were collected from 330 newlyweds who were married for less than five years using the marital intimacy scale, the internalized shame scale, the Korean version of Relationship Authenticity scale, and the marital support scale. The collected data were verified through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serial multiple mediation model using IBM SPSS statistics 29.0 and PROCESS Macro for SPSS 4.1, and the significance of the mediating effect was confirmed by bootstrapping.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the total effect of internalized shame on marital intimacy in newlyweds was significant, but the direct effect was not significant. That is, internalized shame had an indirect effect on marital intimacy through parameters. Second, it was found that Relationship Authenticity did not have a significant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ternalized shame and marital intimacy of newlyweds. This indicates that being honest and sincere in a relationship cannot have a significant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nalized shame and marital intimacy and that some other characteristics will change due to honesty in the relationship, affecting marital intimacy. Third, it was found that Perceived Marital Suppor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nalized shame and marital intimacy of newlyweds had a significant mediating effect. In other words, due to internalized shame, an individual characteristic, marital support is perceived as low, which lowers marital intimacy. Fourth, in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nalized shame and marital intimacy of newlyweds, Relationship Authenticity and perceived marital support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sequential mediating effect, and the serial multiple mediation model was adopted. An individual's internalized shame prevents one from honestly expressing one’s feelings in an intimate relationship, creating negative interactions and perceiving the spouse’s marital support as low. That in turn causes a decline in marital intimacy. These findings show that internalized shame, an intra-personal factor of newlyweds, has a significant effect on marital intimacy through interpersonal Relationship Authenticity and Perceived Marital Support, as well as that both intra-personal factors and interpersonal factors in marital relationships are important. Therefore, in marital therapy, which is in conflict due to lack of intimacy, internalized shame will be a basis for suggesting a direction to accept spouses, treat them sincerely, and bravely reveal their supportive behavior from an inter-relational perspective that affects each other.

      • 종교성향, 원가족 건강성과 심리적 디스트레스 및 부부친밀감의 관계

        최종환 가톨릭대학교 상담심리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내현적 종교성향이 부부 친밀감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기 위해서 수행되었다. 종교성향과 관련된 선행 연구들은 종교성향과 심리적 건강 내지 적응의 상관관계에 대한 것이었다. 그러나 본 연구는 내현적 종교성향을 매개 변인으로 할 때, 원가족 건강성이 주로 부부 친밀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그 결과를 통하여 종교를 가진 내담자 부부를 대상으로 효율적인 부부 상담을 할 수 있는 기초 자료를 제공하기 위함이었다. 이를 위해서 수도권 남부 지역의 도시인 수원, 성남, 안산, 안양, 용인, 시흥에 소재하는 성당 중에서 각각 2개 성당, 그리고 부천에서 1개 성당 등, 7개 도시의 13개 성당에서 무선 표집하여 190쌍의 부부, 총 380명을 대상으로 2007년 3월 17일부터 3월 25일까지 종교성향, 원가족 건강성, 심리적 디스트레스, 부부친밀감을 측정하는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았다. 첫째, 내현적 종교성향은 심리적 디스트레스와는 부적상관, 부부친밀감과는 정적상관이 있었다. 그리고 외현적 종교성향은 심리적 디스트레스와 정적상관, 부부친밀감과는 부적상관이 있었다. 둘째, 원가족 건강성은 높을수록 심리적 디스트레스의 대부분의 요인이 감소되는 경향과 부부친밀감의 모든 요인이 증가되는 경향이 있었고, 원가족 건강성이 낮을수록 내현적 종교성향이 높으면 심리적 디스트레스의 일부 요인이 감소되는 경향과 부부친밀감의 모든 요인이 증가되는 경향이 있었다. 셋째, 부부의 내현적 종교성향은 낮을수록 세례조건이 변화하더라도 부인의 정서적 친밀감에 별 차이가 없었으나 내현적 종교성향이 높을수록 세례조건의 변화에 따라 부인의 정서적 친밀감이 증가하는 경향이 있었다. 그리고 부부의 내현적 종교성향은 낮을수록 심리적 디스트레스의 수준에 변화가 있어도 부인의 인지적 친밀감에는 별 차이가 없으나 내현적 종교성향이 높을수록 심리적 디스트레스가 낮은 경우에 부인의 인지적 친밀감이 증가하는 경향이 있었다. 끝으로 본 연구의 결론, 그리고 결론과 관련된 논의와 연구의 제한점 및 보완점, 그리고 본 연구의 의의를 언급하였다. 주요어 : 종교성향, 원가족, 심리적 디스트레스, 부부친밀감

      • 기혼여성의 원가족 분화경험이 부부친밀감에 미치는 영향 : 자기성찰과 부부갈등 대처행동의 매개효과

        김윤정 용문상담심리대학원대학교 2021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기혼여성을 대상으로 원가족 분화경험과 부부친밀감의 관계에서 심리내적 변인인 자기성찰과 부부 상호작용 변인인 부부갈등 대처행동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서울, 경기 지역에 거주하는 결혼기간 30년 이하 기혼여성 220명을 대상으로 원가족 분화경험 척도, 부부친밀감 척도, 자기성찰 척도, 부부갈등 대처행동 척도를 사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1.0을 사용하여 기술통계분석, 상관관계분석을 하였고 Hayes(2017)가 제안한 Process Macro를 사용하여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매개효과의 유의성 검증을 위해 부트스트래핑을 시행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기혼여성이 지각하는 부부친밀감은 연령, 학력, 결혼기간, 종교유무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둘째, 기혼여성의 원가족 분화경험은 부부친밀감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다. 즉 원가족 분화경험이 긍정적일수록 부부친밀감을 높게 지각하였다. 셋째, 기혼여성의 원가족 분화경험과 부부친밀감의 관계에서 자기성찰의 매개효과는 유의하지 않았다. 넷째, 기혼여성의 원가족 분화경험과 부부친밀감의 관계에서 부부갈등 대처행동의 매개효과는 유의하였다. 즉 원가족 분화경험이 긍정적일수록 부부갈등 대처행동이 긍정적이었으며, 부부갈등 대처행동이 긍정적일수록 부부친밀감을 높게 지각하였다. 본 연구는 그동안 거의 연구되지 않았던 부부관계 맥락에서 자기성찰의 역할과 원가족 분화경험과의 관계를 살펴보았고, 원가족 분화경험과 부부친밀감의 관계에서 부부갈등 대처행동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이를 토대로 부부친밀감을 향상시키기 원하는 기혼여성들에게 상담 장면에서 자신의 원가족에서의 정서경험을 성찰해 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원가족 분화경험과 부부갈등 대처행동을 고려한 통합적 부부상담 개입을 위한 이론적 근거를 제시했다는 데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mediated effect of married women’s self-reflection and marital conflict coping behavior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amily-of-origin differentiation and marital intimacy.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220 women who lived in Seoul and Gyeonggi-do and married for 30 years or less, using the scales assessing their family-of-origin differentiation experience, marital intimacy, self-reflection, and marital conflict coping behavior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and correlation by SPSS 21.0, hierarchical linear regression analyses were also performed with Hayes' proposed Process Macro, and bootstrapping was performed to verify the significance of the mediated effects. The main finding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marital intimacy of married women was significantly different depending on their age, educational background, duration of marriage, and religious status. Second, married women's experience of family-of-origin differentiation directly affected marital intimacy. In other words, the more positive the family-of-origin differentiation experience, the higher the marital intimacy was. Third, the mediated effect of self-reflection was not significa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arried women's family-of-origin differentiation and marital intimacy. Fourth, the mediated effects of marital conflict coping behavior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arried women's family-of-origin differentiation and marital intimacy were significant. In other words, the more positive the family-of-origin differentiation experience was, the more positive the marital conflict coping behaviors were, and the more positive the marital conflict coping behaviors were, the higher the marital intimacy was perceived. This study examined the role of self-reflection in the context of marital relationships, which has rarely been studied,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reflection and the family-of-origin differentiation, and verified the mediated effects of marital conflict coping bahavior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amily-of-origin differentiation and marital intimacy. Based on this, it is meaningful that married women who want to improve marital intimacy were given an opportunity to reflect on their emotional experiences in their family-of-origin in the counseling scene and provided theoretical grounds for integrated marital counseling intervention considering the family-of-origin differentiation and marital conflict coping behaviors.

      • 재혼부부의 부부친밀감 형성 경험의 현상학적 연구

        김인복 평택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재혼부부의 삶속에 들어가 부부친밀감의 형성이 어떻게 일어 나고 있는지 부부친밀감 경험에 대한 그들의 공통적 의미를 이해하고 본 질을 파악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에 대한 연구문제는 ‘재혼부부의 부부 친밀감 형성 경험의 내용은 무엇인가?’, ‘재혼부부의 부부친밀감 형성 경험 의 구조는 무엇인가?’ 이다.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연구 참여자의 심층면담에서 얻어진 사실적인 기 술을 통하여 인간의 주관적 경험을 이해하고자 하는 현상학적 연구방법을 적용하였고, 경험의 심리학적 의미 분석을 시도한 Giorgi의 현상학 방법으 로 연구 참여자의 부부친밀감 형성 경험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재 혼부부 6쌍, 12명을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여 2019년 6월부터 11월 까지 심 층면담을 실시하고 자료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는 195개의 의미단위, 79개의 하위구성, 11개의 구성요소가 도출 되었으며 11개의 구성요소는 ‘혼자라는 고달픔’, ‘재혼을 고민함’, ‘재혼 전 친밀감’, ‘재혼: 잠깐의 행복’, ‘재혼생활의 어려움’, ‘부부친밀감-갈등해결’, ‘부부친밀감-애정’, ‘부부친밀감-헌신’, ‘부부친밀감-성생활’, ‘부부친밀감-경 제력’, ‘행복한 부부’이다. 경험의 구조는 초혼에서 이혼이나 사별을 경험한 참여자는 홀로됨의 고 - iv - 달픔을 경험하며 재혼을 고민하다가 새로 만난 사람과 친밀감이 쌓여가며 재혼을 선택한다. 이제는 혼자가 아니라 다시 정상가정을 이루었다는 행복 도 잠시 곧 찾아오는 여러 어려움에 직면해야 했다. 복잡하고 어려운 주변 환경에도 불구하고 부부친밀감은 재혼생활의 어려움을 극복케 했다. 재혼 부부들은 소통과 역할완수 노력으로 갈등을 해결해 나가며 애정을 담아 구체적 행동으로 배우자에게 헌신하게 된다. 이런 애정과 헌신은 배우자의 마음을 열어 성(性)적 하나됨으로 나아가게 하고 재혼부부를 더욱 강력하 게 결속시킨다. 또한 경제적 하나됨은 부부의 하나됨을 촉진시키며 다섯가 지 부부친밀감의 요소는 상호 긍정적 영향을 주고받으며 행복한 부부가 되게 하였다. 여기에서 부부친밀감의 다섯 가지 하위 요소는 순차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이 아니라 전체적으로 상호작용을 하며 부부친밀감을 형 성, 발전 시켰다. 본 연구에서 홀로된 고달픔에서 행복한 부부로 나아가게 한 것이 부부 친밀감임을 알 수 있다. 부부친밀감을 형성 및 발전시키는 하위 요소로는 갈등해결, 애정, 헌신, 성생활, 경제력이다. 아울러 참여자들이 경험한 부부 친밀감의 의미는 삶을 지탱해주는 힘이요 자신감의 출발점, 살아있음을 느 끼게 해주는 생동감, 삶을 연장하는 이유, 행복 자체로 참여자들에게 부부 친밀감은 다시 얻은 재혼생활에서 매우 소중한 의미요 가치임을 알 수 있 었다. 본 연구에서 부부친밀감을 형성 확장해 나가는 과정을 ‘홀로된 외로움에 서 하나된 행복감으로 가는 여정’이라 할 수 있겠다. 이런 재혼 부부관계 는 단계가 되면 이루어 지는 것이 아니라 일생을 두고 완성해가는 진행형 의 심리적 과정이라 보인다.

      • 중년기 남성의 부부친밀감이 생활만족도 및 아버지 역할수행에 미치는 영향

        변선아 단국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8703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seek for an influence degree of a marital intimacy perceived by over 40 middle- aged man on his life satisfaction and role performance as a father, and for an additional purpose to compare a perception degree of the middle aged man and that of his family. Over 40 middle aged married man with offspring more than one, living in Seoul and Gyeonggi area were selected as the subjects of the study, and finally, the data from 226 middle aged men and 47 families were used. Likert scale based self-report questionnaire was used as the data collecting method, the questionnaire was made separately for general one for married men and for families. 6 versions of questionnaires were made with cross equalization conducted as a way to control the order effect in answering with questionnaire constitution.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coefficient,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used with SPSS 12.0 program dor the selected data, and Cronbach's Alpha was used for reliability estimation by scale. The results of the study was summarized as below. First, the results of the effect of marital intimacy perceived by middle- aged man on each sub area of his life satisfaction, significant emotional, sexual intimacies were predicted in every variables. in cognitive intimacy, there appeared no significant prediction in every area. Second, the results of an influence of the marital intimacy level perceived by middle aged men on each sub area of the role performance as the fathers, showed recognitive intimacy as a significant prediction level in every variables. In sexual intimacy, no area was appeared that had considerable prediction. Third, the results of the comparison between the marital intimacy, life satisfaction, role performance as a father perceived by middle aged men and the perception level of their wives about marital intimacy, that of their offsprings about the role performance as their fathers, appeared that the perception of the middle aged men was higher than that of their families. From the integrated results, it was clear that the married couples' level was higher in mutual emotional intimacy and in recognition of sex as an uninhibited matter, their life satisfaction also were higher, and when the married couples were recognized as a independent being with their own personality, the father-role performance were carried out actively. Besides, there existed a difference in recognition between the middle aged men and their families, which indicates a necessity of approach under the consideration of interaction aspect in family related education and in counseling scene to reduce the difference between a perception and reality. 본 연구는 40대 이상 중년 남성이 지각하는 부부친밀감이 자신의 생활만족도와 아버지로서의 역할수행에 미치는 영향 정도를 살펴보고, 부가적으로 중년 남성 자신의 지각 정도와 가족의 지각 정도를 비교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연구의 대상은 서울시와 경기도에 거주하며 자녀가 한 명 이상인 40세 이상의 중년기 기혼남성으로 선정하였고, 최종적으로 226명의 중년 남성과 47가족의 자료가 사용되었다. 자료수집 방법은 리커트 척도에 의한 자기보고식 설문지법을 사용하였으며, 기혼 남성용 일반설문지와 가족용 설문지를 제작하였다. 질문지 구성에 의한 응답의 순서효과를 통제하기 위해 교차균형화 작업을 하여 6가지 버전의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되었으며, 빈도분석 및 기술통계, 상관계수 산출 및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고, 척도별 신뢰도 산출을 위해 내적합치도 계수를 사용하였다.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중년 남성들이 지각하는 부부친밀감의 정도가 자신의 생활만족도 각 하위영역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본 결과, 모든 변인에서 정서적, 성적 친밀감이 유의하게 예측되었다. 인지적 친밀감의 경우, 모든 부분에서 유의하게 예측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중년 남성들이 지각하는 부부친밀감의 정도가 자녀를 위한 아버지로서의 역할수행 각 하위영역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본 결과, 모든 변인에서 인지적 친밀감이 유의하게 예측되었다. 성적 친밀감의 경우, 모든 부분에서 유의하게 예측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중년 남성들이 지각하는 부부친밀감, 생활만족도, 아버지 역할수행과 부부친밀감에 대한 부인의 지각정도, 아버지 역할수행에 대한 자녀의 지각정도, 중년 남성 스스로의 생활만족도 간의 관계를 비교해본 결과, 중년 남성들의 인식이 가족이 인식하고 있는 것보다 높게 지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을 종합해보면, 부부가 상대방과 함께 느끼는 정서적 밀접함의 정도와 성을 개방적으로 받아들이는 정도가 클수록 생활만족도가 높다는 것과, 부부가 각자 개성을 가진 독립된 존재임을 서로 인정할 때 아버지 역할수행이 적극적으로 이루어진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중년 남성의 인식과 가족의 인식 간에 차이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는데, 이는 지각과 실제에 대한 차이를 줄이기 위해 가족 관련 교육과 상담현장에서 상호작용측면을 고려해 접근하는 것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 사회부과 완벽주의 성향이 부부친밀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분노억제의 매개효과

        김미애 중앙대학교 심리서비스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8703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 of anger-in on the effects of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tendency on marital intimacy in married couples. The study was conducted to provide an academic basis for interventions in counseling settings, regarding couples who are experiencing difficulties due to a lack of intimacy. A self-report survey was conducted on married men and women aged 20 to 70, an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6.0 and MACRO v4.0. The key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mong the socio-demographic variables influencing marital intimacy, the final education level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hile the duration of marriage had a negative correlation. Second, examination of the influence of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tendency and anger-in on marital intimacy revealed that higher levels of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tendency and increased anger-in were associated with the lower levels of marital intimacy. Third, this study confirmed the mediating effect of anger-in on the effects of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tendency on marital intimacy. The analysis showed that anger-in partially mediated the influence of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on marital intimacy.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study proposes the intervention strategy that deals with anger-in, in order to lower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tendency that hinders the formation of marital intimacy. 본 연구는 기혼남녀의 사회부과 완벽주의 성향이 부부친밀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분노억제의 매개효과를 살펴 상담 현장에서 부부친밀감의 결여로 어려움을 겪는 기혼남녀의 부부친밀감 증진을 위한 개입의 근거를 제안하려는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20대 이상~70대 이하의 기혼남녀를 대상으로 자기보고식 설문조사를 진행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26.0과 MACRO v4.0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부친밀감에 영향을 주는 인구사회학적 변인 중 최종학력은 정적 영향을 결혼기간은 부적 영향을 미쳤다. 둘째, 사회부과 완벽주의 성향, 분노억제가 부부친밀감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사회부과 완벽주의 성향이 높고, 분노억제가 많을수록 부부친밀감이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사회부과 완벽주의 성향이 부부친밀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분노억제의 매개효과를 확인한 결과, 사회부과 완벽주의 성향이 부부친밀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분노억제가 부분 매개함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부부친밀감 형성을 저해하는 사회부과 완벽주의 성향을 낮추기 위해서는 분노억제도 함께 다루어야 하는 개입의 근거를 제안하였음에 의의가 있다.

      • 부부친밀감 향상 방안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Marital Intimacy

        박평식 국제신학대학원대학교 2009 국내석사

        RANK : 248703

        인류의 기대는 모든 상황이 지속적으로 긍정적인 방향으로 변화되길 기대하고 있다. 그러나 기대하는 만큼 변화가 있지 않는 부분이 있는데 그것이 부부의 문제인 것 같다. 21세기에 들어 정치, 경제, 문화, 교육 사회 등 주변 환경은 많은 개선이 일어나고 있지만 오히려 가족 간의 관계성이 약화되면서 가정은 더 심각한 위기를 맞이하고 있다. 자살, 이혼, 부부간 가정폭력, 우울증 등은 점점 증가하지만, 출산율은 저하되며, 행복지수는 여전히 낮은 수준이다. 이러한 가정의 문제를 해결하거나 가정의 행복을 추구하기 위한 방법들은 다양하게 나타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가정의 가장 핵심은 부부이며, 부부를 중심으로 가정에서 부모와 자녀의 안정과 평안, 치유와 휴식과 새로운 도전이 꿈꾸어지고 이루어진다. 가정은 인간이 태어나고 자라면서 접하는 최초의 사회적 환경이며, 가족이라는 친밀한 인간관계를 통해서 서로 애정적 신뢰, 위안과 존경 등 심리적이고 정서적인 만족을 얻을 수 있는 곳이다. 건강한 가정의 출발은 부부친밀감에서부터 출발하는 것이다. 그러나 부부친밀감 향상을 위한 구체적인 방안이나 프로그램이 많지 않다는 것이다. 그리고 기존의 연구가 대부분 기독교적인 방안에서 연구가 되었으며, 기독교적인 방안과 일반적인 방안으로 구분되어 있다는 것이다. 또한 그 동안의 연구가 영적 친밀감에 대해서는 소홀히 하였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영적 친밀감에 대한 항목을 추가하여 정리함으로서 일반적인 친밀감과 영적 친밀감을 통합하였다. 그리고 영적 친밀감을 향상시키는 방안을 제시하여 정리하였다. 본연구의 제한점은 첫째, 본 논문에서 제안한 방안을 구체적인 프로그램으로 적용하지 못한 아쉬움이 있다. 둘째, 기독교적인 바탕에서 방안을 제시하되 일반적인 방안과 통합적인 방안을 제시하려 하였지만 쉽지가 않았다. 이와 같은 제한점을 극복하고 후속연구를 위해 다음 사항을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기독교와 사회 전체가 결혼 전부터 부부친밀감 향상에 관한 교육을 통하여 부부친밀감이 넘치는 부부가 되어 이혼과 가정문제를 줄여나가도록 해야 할 것이다. 둘째, 국가적으로 더 많은 연구가 이루어져 부부친밀감이 증대되는 가정이되도록 해야 할 것이다. 셋째, 이혼율이 증가하는 결혼 초기 5년 이내와 20년 이상 동거한 부부를 중점적으로 돌보는 관심이 필요한 때이다. 마지막으로 부부친밀감 향상 방안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는 출산율 증가에 중요한 역할을 감당할 것이므로 부부친밀감 향상 방안에 대한 연구가 지속되어야 할 것이다.

      • 부부의 원가족건강성이 부부친밀감에 미치는 영향 : 자기효과와 상대방효과

        박수진 상명대학교 복지상담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870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ctor and partner effects of family strength of family of origin on marital intimacy in the couples. The subjects for this study were 193 married couples from Seoul, InCheon and Gyeonggi Province. Research was conducted by questionnaire survey with using a Family-of-origin strength scale and a marital intimacy scale. Data analysis produced an Actor and Partner Effect using APIM analysis of Interaction Model through SPSS 18.0 and AMOS 18.0. T difference verification results of couple’s family-of-origin strength and a marital intimacy shows that the average of wives’ is higher than husbands’ with regard to quality bond of Family-of-origin. Furthermore, averages of cognitive sense of intimacy and quality bond, which is a sub factor of marital intimacy, are both higher compared to wives’. According to APIM analysis, first, the effect of Family-of-origin Strength of husbands and wives on marital intimacy is significant. Second, the analysis revealed that, regard to husbands’ effects on marital intimacy, their Actor Effects are much greater than wives’ Partner Effects. Lastly, the Actor and Partner Effect on wives’ marital intimacy is nonsignificant. Based on the results of these, this research discussed a suggestion for implications for marriage counseling and further research plan. Key Words: Family-of-origin Strength, Marital Intimacy, Actor Effect, Partner Effect, APIM 본 연구는 부부의 원가족건강성이 부부친밀감에 미치는 영향을 부부 상호간 역동성을 규명하기 위하여 APIM(Actor-Partner Interdependence Model; Kenny,1996)분석방법을 사용하였다. 이를 통하여 부부관계의 강화와 이혼 예방의 방안을 모색하고 부부상담 현장에 필요한 자료를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시 및 경기도와 인천시 지역에 거주하는 193쌍의 부부를 대상으로 원가족건강성척도와 부부친밀감척도를 사용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18.0과 AMOS 18.0을 통하여 상호작용 모델인 APIM분석으로 자기효과와 상대방효과를 산출하였다. 부부의 원가족건강성과 부부친밀감의 차이 T검증 결과, 원가족건강성의 질적유대감에 있어서 부인의 평균이 남편보다 높게 나타났다. 또한, 부부친밀감의 하위요인 인지적 친밀감과 정서적 친밀감은 모두 남편의 평균이 높게 나타났다. APIM분석에서는 첫째, 남편과 부인의 원가족건강성이 부부친밀감에 미치는 자기효과가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남편의 부부친밀감에 미치는 영향은 남편의 자기효과가 부인의 상대방효과보다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부인의 부부친밀감에 미치는 자기효과와 상대방효과는 유의미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시사점과 추후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하였다. 주요어 : 원가족건강성, 부부친밀감, 자기효과, 상대방효과, API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