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지각된 부모양육태도와 고등학생의 진로준비행동의 관계에서 자기신뢰의 매개효과

        강민철 한세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의 목적은 지각된 부모양육태도와 고등학생의 진로준비행동의 관계에서 자기신뢰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서울, 경기도 및 충청도 소재 고등학교의 학생 382명을 대상으로 하여 자기보고식의 온라인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고, 최종적으로 377명의 수집된 자료를 사용하여 변인들 간의 구조적인 관계를 분석하였다. 사용한 검사는 지각된 부모양육태도 척도, 자기신뢰 척도, 진로준비행동 척도 검사이다. 이를 근거로 변인들 간의 관계를 살펴보았고, SPSS 29.0과 구조방정식 모형을 사용하여 주요 변인 간의 상관관계를 검증하였다. 이에 따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각된 부모양육태도는 자기신뢰, 진로준비행동과 유의미한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지각된 부모양육태도와 자기신뢰는 정적 상관을 보였으며 진로준비행동과도 유의미한 정적 상관이 있었다. 또한 자기신뢰는 진로준비행동과 유의미한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지각된 부모양육태도, 자기신뢰가 높을수록 진로준비행동이 높아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둘째, 지각된 부모양육태도와 고등학생의 진로준비행동의 관계에서 자기 신뢰의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연구모형인 부분매개모형과 경쟁모형인 완전매개모형을 설정하여 비교하였다. 두 개의 모형을 비교한 결과, 부분매개 모형이 더 적합한 것을 확인하였다. 이는 지각된 부모양육태도와 고등학생의 진로준비행동의 관계에서 자기신뢰가 부분 매개효과를 보인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연구를 통해 지각된 부모양육태도가 자기신뢰를 매개로 고등학생의 진로준비행동에 영향을 준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고등학생의 진로준비행동을 높이기 위해서 지각된 부모양육태도와 자기신뢰의 개념 및 관계를 이해하는 자료를 제공하였고, 효과적인 진로교육을 위한 시사점과 함께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self-reliance in relation to the rearing attitude of the parents and the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f high school student. In this study, a self-reported online questionnaire was conducted on 382 students who are studying in high schools located in Seoul, Gyeonggi-do, and Chungcheong-do, and analyzed the research based on the collected data. The test tools used were a measure of the rearing attitude of the parents, a measure of self-reliance, and a measure of career preparation behavior. Based on thi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variables was examined an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major variables was verified through the SPSS 29.0 and the structured model.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t has been shown that the rearing attitude of the parents has a significant bearing on self-reliance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nd it turns out that the rearing attitude of the parents has a significant static relationship with self-reliance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In addition, self-reliance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career preparation behavior. This means that the higher the rearing attitude of the parents and the self-reliance, the higher the career preparation behavior. Second, in order to find out the effect of the self-reliance between the rearing attitude of the parents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we established and compared a research model, a partial symbiosis model and a competition model, a complete mechanism model, to confirm that the partial symbiosis model is more suitable. Through this study, it was confirmed that self-reliance has a partially mediated effect in relation to the rearing attitude of the parents and the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f high school student. These studies have confirmed that the rearing attitude of the parents affects career preparation behavior by means of self-reliance. Thus, to enhance the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f high school student, the provision of materials to understand the rearing attitude of the parents and the self-reliance and suggestions for effective career learning programs and follow-up research were put forward.

      • 父母-子女間의 意思疏通과 學業成就度에 關한 硏究

        김재문 仁荷大學敎 敎育大學院 2002 국내석사

        RANK : 247807

        IMF와 가정의 핵가족화에 따른 부모-자녀간의 대화가 상대적으로 줄어들었다. 그에 따라 가정환경의 결손과 학생들의 비행청소년들의 급증으로 인해 학교 교육은 지대한 영향을 미치고 있어 부모-자녀간의 촉진적 의사소통과 역기능적 의사소통은 어떠한가를 알아보고, 교과성적과는 어떤 관계가 있는가를 알아보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첫째, 전반적인 부모-자녀간의 의사소통수준 및 실태는 학업성취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가? 둘째, 부모-자녀의 의사소통은 언어영역, 수리탐구 Ⅰ영역, 수리탐구Ⅱ영역, 외국어영역과의 교과성적과는 어떠한가를 연구문제로 설정하였다. 본 연구에서 밝혀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별에 따라 부모와의 의사소통은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촉진적 의사소통을 더 많이 하고 있음을 보였다.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부모와 역기능적 의사소통을 더 많이 하고 있음을 보였다. 둘째, 광역시에 거주하는 학생이 읍·면 지역에 거주하는 학생보다 촉진적 의사소통을 더 많이 하고 있음을 보였다. 또한 역기능적 의사소통은 거주지역에 따른 차이가 없음을 보였다. 셋째, 부모의 학력이 높을수록 촉진적 의사소통을 많이 하고 있음을 나타내었다. 또한 아버지의 학력에 따라 역기능적 의사소통은 차이가 없으나 어머니의 학력이 낮은 학생일수록 아버지와 역기능적 의사소통을 많이 하고 있음을 보였다. 넷째, 촉진적 의사소통은 중학생이 고등학생보다 많이 하였으며, 역기능적 의사소통은 고등학생이 중학생보다 많이 하였으나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다. 다섯째, 언어영역 교과성적이 높은 학생일수록 다른 학생보다 부모와의 촉진적 의사소통을 보였으며, 교과 성적이 좋지 않은 학생이 다른 학생보다 역기능적 의사소통을 많이 하고 있음을 보였다. 여섯째, 수리탐구 Ⅰ영역 교과성적이 높은 학생일수록 다른 학생보다 부모와의 촉진적 의사소통을 보였으며, 교과 성적이 좋지 않은 학생이 다른 학생보다 역기능적 의사소통을 많이 하고 있음을 보였다. 일곱째, 수리탐구Ⅱ영역 교과성적이 높은 학생일수록 다른 학생보다 부모와의 촉진적 의사소통을 보였으며, 교과 성적이 좋지 않은 학생이 다른 학생보다 역기능적 의사소통을 많이 하고 있음을 보였다. 여덟째, 외국어영역 교과성적이 높은 학생일수록 다른 학생보다 부모와의 촉진적 의사소통을 보였으며, 교과 성적이 좋지 않은 학생이 다른 학생보다 역기능적 의사소통을 많이 하고 있음을 보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some of the right directions for school education and home education, by examining the condition of parent-child facilitative communication and of disfunctional communication and the relationship of the parent-child commuication to child academic achievement, since the severed parent-child communication caused by the national financial crisis and growing nuclear families devastates families and the rapid increase of juvenile delinquents exerts a huge influence on school education. The research questions were posed as follows: First, in which way is the academic achievement of students affected by their communication with parents? Second, what is the relationship of parent-child communication to academic achievement in Korean language, math, social and natural sciences, and English sections?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by gender, the girl students shared more facilitative communication with their parents than their counterparts. And the boy students had more disfunctional communication with their parents than their counterparts. Second, by residential area, the students from the large urban area had more facilitative communication than those from the eup or myeon areas. The residential area made no difference to disfunctional communication. Third, by parent academic standard, the students with higher-educated parents shared more facilitative communication. The academic standard of the fathers made no difference to disfunctional communication, but those whose mothers were less educated shared more disfunctional communication with their fathers. Fourth, by school grade, the middle school students were more engaged in facilitative communication than the high school students. The high school students leaned toward disfunctional communication more, but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wasn't significant. Fifth, as to the Korean language achievement and communication, the students who had higher achievement in Koran language exhibited more facilitative communication, and those who had lower achievement were more familiar with disfunctional communication. Sixth, concerning math achievement and communication, those with higher math achievement had more facilitative communication, and the students with lower math achievement shared disfunctional communication more. Seventh, regarding social and natural sciences achievement and communication, the students with higher achievement in this section leaned toward facilitative communication more, and those with lower achievement were more acquainted with disfunctional communication. Eighth, as for English achievement and communication, the students who had better achievement in this section shared facilitative communication more, and those with lower achievement learned toward disfunctional communication more.

      • 부모의 양육태도와 청소년의 자아개념 관계 연구

        정현주 仁荷大學校 敎育大學院 2002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부모의 양육태도와 청소년의 자아개념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청소년의 성별에 따라 자아개념이나 부모의 양육태도(수용-거부, 자율-통제, 성취압력의 과잉-비과잉)에 대한 지각에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고, 나아가 부모의 양육태도와 자아개념의 각 하위요인(신체적 자아, 도덕적 자아, 성격적 자아, 가정적 자아, 사회적 자아, 학문적 자아)과는 어떤 관계가 있는가를 알아보았다. 위의 문제를 규명하기 위해서, 강화군의 중학교 3학년 학생 중 남학생 156명, 여학생 152명을 표집 대상으로 하였다. 측정도구로는 부모의 양육태도는 김기정이 제작한(1984) [부모-자녀 관계] 검사지를, 청소년의 자아개념은 김기정이 제작한(1984) [자아개념] 검사지를 그대로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수집된 자료는 SPS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기법으로는 청소년의 성별에 따라 부모의 양육태도와 자아개념을 살펴보기 위해 t 검증을 실시하였다 또한 부모의 양육태도가 자아개념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해 상관관계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이 인식하는 자아개념에는 성별에 따라 차이가 없었다. 둘째, 청소년의 성별에 따라 부모의 양육태도에 대한 인식을 살펴본 결과, 부모의 수용-거부 양육태도와 자을-통제 양육태도에 대한 인식은 차이가 없었으나, 부모의 성취압력에 대한 인식은 성별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는데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더 높게 지각하였다. 셋째, 부모의 양육태도와 청소년의 자아개념 각 하위요인과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부모의 수용-거부 양육태도를 높게 지각할수록 신체적 자아, 도덕적 자아, 성격적 자아, 가정적 자아, 사회적 자아, 학문적 자아, 그리고 자아개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부모의 자율-통제 양육태도를 높게 지각할수록 도덕적 자아, 성격적 자아, 가정적 자아, 사회적 자아, 학문적 자아, 그리고 자아개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부모의 성취-압력 양육태도를 과잉으로 지각할수록 신체적 자아, 도덕적 자아, 성격적 자아, 가정적 자아, 사회적 자아, 그리고 자아개념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과 같이 청소년들은 부모의 수용-거부 양육태도와 자율-통제 양육태도를 높게 지각할수록 자아개념이 높은 것으로, 부모의 성취압력 양육태도를 높게 지각할수록 자아개념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 비추어 볼 때 부모의 양육태도가 수용적, 자율적이고 그 기대가 지나치지 않을 때 청년의 자아개념 형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부모의 양육태도는 유아기나 아동기에만 중요한 것이 아니라 자아개념의 결정적 시기인 청소년기에도 중요함을 알 수 있다. 자신에 대한 의문을 가지고 자신의 참모습을 찾고자 방황하는 시기인 청소년들을 부모가 애정과 관심을 가지고 생각이나 감정을 공감적으로 이해하며 격려와 칭찬을 적절히 사용할 때 청소년의 자아개념이 긍정적으로 형성된다고 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of parental attitude to adolescent self-concept. Specifically, whether adolescents were different by gender in self-concept and perception of parental attitude (acceptance-rejection, autonomy-control, achievement pressure-achievement overpressure) and how parental attitude was related to self-concept subfactors(physical ego, moral ego, personality ego, home ego, social ego and academic ego) were investigated.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156 boy students and 152 girl students in their third year from a middle school in Ganghwa-gun. To measure parental attitude, Kim Ki-jeong(1984)'s Parent-Child Relations Inventory was utilized, and Kim Ki-jeong(1984)'s Self-Concept Inventory was employed to track the self-concept of the student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SPSS program. t-test was conducted to see the impact of gender on their self-concept and perceived parental attitude, and correlation analysis was implemented to find out the influence of parental altitude on self-concept.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could be summarized as below: First, the boy and girl students investigated didn't differ in self-concept.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ir perception of parental attitude by gender, the parental acceptance-rejection and parental autonomy-control weren't recognized in a different way, but their perception of parental achievement pressure varied with gender, as the boy students recognized it more than the girls, Third, concerning the relationship of parental attitude to self-concept subfactors, those who perceived parental acceptance-rejection more were stronger in physical ego, moral ego, personality ego, family ego, social ego, academic ego and self-concept. The students who felt parental autonomy-control more were stronger in moral ego, personality ego, family ego, social ego, academic ego and self-concept. Those who found their parents to put overpressure for achievement were poorer in physical ego, moral ego, personality ego, family ego, social ego and self-concept. As discussed above, the adolescents had a better-self-concept when they perceived parental acceptance-rejection and parental autonomy-control more strongly, and those who considered their parents to put heavier achievement pressure were poorer in self-concept. The above-mentioned findings suggest that adolescents call be positively affected in self-concept when parents bring them up in an acceptional and autonomous manner and don't have too much expectations for them. Therefore, parental attitude is crucial in not only early childhood and childhood but adolescence, a critical period for self-concept development. As adolescents have a doubt about themselves and are concerned about what they are, without keeping a firm grip on themselves, they could develop self-concept in a positive manner when their parents understand how they feel and use encouragement and praise properly with affection.

      • 교육취약계층의 부모와 자녀 관계을 위한 코칭 교육 프로그램의 효과

        송숙자 백석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코칭을 활용한 부모와 자녀 관계 개선 코칭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이 프로그램이 교육취약계층의 부모와 자녀에게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은 서울 소재 1개 초등학교 교육취약계층 부모 11명과 자녀11명이다. 실험집단 11명과 통제집단 11명으로 나누어 프로그램을 진행하였고, 실험집단은 1회당 90분으로 주1회, 총 5회기의 코칭 교육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프로그램 실시 사전, 사후의 시점과 집단간의 상호작용 효과를 분석한 결과 통제집단에 비해 코칭 교육프로그램을 실시한 실험집단이 심리적 안녕감, 정서지능, 의사소통, 양육효능감이 향상되었으며, 시점과 집단간에 상호작용 효과가 나타나 프로그램 효과가 검증되었다. 프로그램 효과의 지속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프로그램실시 후 3주후 사후, 추후 시점의 효과를 분석한 결과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아 프로그램 효과가 지속된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 코칭을 활용한 코칭 교육프로그램이 교육취약계층의 부모와 자녀 관계개선의 효과성을 처음으로 규명하였다. 단기간 이었음에도 유의미한 효과가 지속되었다는 점은 학교현장에서 코칭 교육프로그램이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본 연구는 심리서비스 대상에서 비교적 소외된 계층인 교육취약계층을 대상으로 코칭 교육프로그램을 제공하고 그 효과성을 제시하였다. 현재 일반 부모교육에 비해 교육취약계층을 대상으로 한 부모교육은 제대로 실시되지 못하고 있는 바, 본 프로그램과 같이 효과성이 입증된 단기 부모교육 프로그램이 제시된다면, 좀 더 건강한 부모-자녀 관계 형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연구는 부모와 자녀가 함께 코칭 교육프로그램에 참여하였다는 점에서 다른 부모교육 프로그램과 차별성을 지닌다. 물론 부모 혹은 자녀 한 쪽에만 교육을 실시한 것과 비교하지 못하여 직접적인 비교를 할 수는 없으나, 부모와 자녀가 함께 참여하는 교육이 효과적일 가능성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is study is to develop a parent-child relationship program by applying coaching education program and to verify the effect of the program toward parents and children in educational disadvantage. The research subject is chosen in an elementary school in Seoul. 11 parents and children in educational disadvantage were selected. The subject is divided into two groups, eleven in experimental group and the other eleven in control group. The experimental group attended a coaching education program once a week, 90 minutes each, for five weeks.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the analysis on interaction effect of each group is done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The analysis showed the experimental group had higher interaction effect than control group in psychological wellness, emotional intelligence, communication, and parenting efficacy between time, verifying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To verify the continuance of the program effect, additional analysis is done after three weeks. Any significant difference did not show, meaning the program has a sustained effect. The result shown proved the effectiveness of coaching education program to improve relations of parents and children in educational disadvantage. Even in short-term program showed significant longlasting effect denotes the coaching education program would be utilized in first-line schools. The study provided coaching education program toward educational disadvantage class, relatively underprivileged in the field, and succeeded in suggesting the effectiveness. Currently, parents in educational disadvantage are not having proper parental education comparing to general parents. If the effective short-term parental coaching education program is provided, such as this research suggested, it would have a positive effect on a healthier parent-child relationship. This study differentiates itself by having parents and children attend the program together. The study suggests the potential of the effectiveness of education participating both parent and child, however, the limitation is that the result was not compared to the research that subjects only parent or child.

      • 부모이혼이 자녀의 적응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유연성(Resilience) 효과를 중심으로

        서지영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부모이혼이 자녀의 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는 것과, 자녀의 적응에 대한 유연성의 조절효과를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연구의 대상은 이혼가족 자녀이며, 인천시 초등학교 5, 6학년을 중심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총 262명 중 이혼가족 자녀는 102명, 양부모가족 자녀는 160명이었다. 자료수집방법은 자기 기입식(self-administered)방법을 사용하였으며, 조사는 2002년 5월 3일부터 5월 29일까지 실시되었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체 조사대상자의 우울·불안과 공격성의 수준 정도를 임상적 개입을 요구하는 60T점(85% tile)을 기준으로 살펴본 결과, 이혼가족 자녀의 남자아동 34%, 여자아동의 21.8%가 우울·불안에 있어서 임상적 개입이 필요한 집단으로 나타났고, 공격성에 있어서는 남자아동의 44.7%, 여자아동의 30.9%가 임상적 개입이 필요한 집단으로 나타났다. 한편, 양부모가족 내에서는 우울·불안에 있어서 남자아동 14.3%, 여자아동 8.4%가 임상군에 속하였으며, 공격성에 있어서는 남자아동의 36.4%, 여자아동의 19.3%가 임상적 개입이 필요한 집단으로 나타났다. 비율적으로 살펴볼 때, 이혼가족의 자녀가 우울·불안과 공격성의 문제에 대해서 임상군에 더 많은 분포를 보였지만 그 차이가 크지 않았으며, 이혼가족 자녀 중에서도 우울·불안과 공격성에 있어서 임상군에 해당하지 않는 아동들이 있다는 것을 볼 때, 부모이혼이 자녀의 적응에 미치는 영향이 아동마다 다르게 나타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부모이혼이 자녀의 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부모이혼은 자녀의 우울·불안과 공격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이혼가족 자녀의 유연성이 우울·불안과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아동의 유연성 수준이 높을수록 우울·불안이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공격성과 유연성의 조절효과에서도 역시 아동의 유연성 수준이 높을수록 공격성이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부모이혼을 경험한 아동들일지라도 그들이 가지고 있는 유연성의 수준에 따라서 적응에 미치는 영향 또한 달라질 수 있음을 나타내는 것으로 유연성이 아동의 적응을 긍정적인 방향으로 조절하고 있음이 나타났다. 넷째, 이혼가족 자녀의 유연성 특성에 따른 우울·불안과 공격성을 살펴보면, 아동이 가지고 있는 사회적 유능감은 조절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고, 자신에 대한 지각과 목표의식은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부모이혼을 경험한 아동들일지라도 자신에 대한 지각과 목표의식이 높을수록 우울·불안과 공격성이 낮아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부모이혼과 자녀의 적응을 단순한 인과관계로 보지 않고, 부모이혼의 부정적인 영향을 줄일 수 있는 유연성의 조절효과를 살펴보았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 부모이혼이라는 인생의 부정적인 사건에도 불구하고 다른 요인과의 상호작용에 의해 아동 적응이 긍정적이 될 수 있다고 밝힌 것은 사회복지적인 개입에 있어서 중요한 시사점을 가지게 한다. 이러한 유연성의 개념을 밝힘으로써, 실제로 사회복지사가 이혼가족 자녀에 대해서 무엇을 개입해야할지 구체적인 방안을 제안해주고 있으며, 예방적인 차원에서도 아동 적응을 위한 프로그램의 활성화를 지지하고 있다. 또한 이혼가족 자녀를 편견으로 바라보기보다는 긍정적인 관점으로 바라봄으로써 어려운 상황 속에서도 인간이 가능성 있음을 제안하고 있다는 점은 본 연구가 기여한 바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influence of parental divorce on children's adaptation and the effect of resilience on their adaptation. The subjects of this research were composed of children in the fifth grade and the sixth grade of elementary school in Incheon city including male and female. The subjects was totally 262 children who were children of divorced family 102 and of two parents family 160. The data was collected by a self-administered survey method from May 3 to 29 in 2002. The major findings are as follow: First, Although children of divorce exhibit more behavior problems and higher levels of psychological well being, the difference is small. It is found that children adapt differently to the impact of divorce. Second, it is found that parental divorce brings negative impact to children's adaptation. The children who have experience parental divorce have depression/anxiety and aggressiveness problem. Third, Although the children have experience parental divorce, the higher resilience level of children, the lower adaptation level of. It is found that a resilience of children moderates the negative impact of parental divorce on depression/anxiety and aggressiveness of them. Fourth, Among resilience traits, Autonomy and Sense of Self and Sense of Meaning of purpose moderate positively the influence of parental divorce on children's depression/anxiety and aggressiveness.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above implication for the social work are like following: First, this study is intended to analyze not exploring simply the relation between an independent(parental divorce) variable and dependent (children's depression/anxiety, aggressiveness) but exploring moderator effects. It says that children can be adapted by interaction among variables. Therefore researcher and social worker must consider various factors and ways on a study of children's adaptation. Second, this study provides a social worker how to help children's adaptation of divorce and supports the moderator effects of resilience on the impact of negative events in life. The children's adaptation is affected not only by parental divorce but also by personal traits. So social workers need to attempt to increase resilience as a personal traits, especially autonomy and sense of self and sense of meaning of purpose. Last, program for resilience should be provided to children of divorce and of never divorce and intensified. It can make them minimize negative effects on life event and children strong, resilient, and challenging.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school and community social work programs for increasing resilience by continuous concern and screening.

      • 정신지체장애인 부모의 사회복지서비스 욕구에 관한 연구 : 대전광역시를 중심으로

        金炫京 대전대학교 2002 국내석사

        RANK : 247807

        정신지체장애인 부모의 사회복지서비스 욕구에 대해 알아보기 위하여, 장애인복지와 정신지체장애인의 일반이론, 부모에 대한 일반적인 역할과 정신지체아동의 부모역할 부담의 이론을 바탕으로, 부모들에게 설문을 실시하여 자녀의 양육, 교육 부담감을 조사하고 그에 대한 대안을 조사 분석하였다. 본 논문은 조사대상을 대전에 거주하고 있는 장애인 부모 147명이며, 방법은 설문지를 발송 및 회수하였으며, 조사 내용으로는 정신지체장애인의 부모와 자녀에 관한 일반적인 특성, 정신지체장애인에 대한 부모의 양육 및 교육부담, 부모의 이러한 부담을 경감시키기 위한 사회복지서비스로써의 부모교육에 대한 태도로 구분하여 조사 분석하였다. 조사내용은 SPSS통계처리를 통한 빈도분석이 사용되었으며,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첫째, 정신지체장애인에 대한 양육 및 교육부담감은 부모들이 자녀의 장애에 대한 정확한 원인을 모르는 데서 시작되어, 현재 자녀에게 제공되어지는 교육프로그램의 수준과 고액의 교육비가 지출되는 데서 큰 부담을 느낀다. 따라서 장애예방을 위한 부모교육 및 장애정도에 맞는 교육프로그램이 다양하게 제공되어져야 한다. 둘째, 정신지체장애인을 더 이상 부모들이 돌볼 수 없는 상황이 되었을 때, 자녀에 대한 거주문제, 생활보장, 동거인, 직업재활교육 등에 관한 부모사후 부담에 대하여 정부나 지방자치단체의 정책적인 지원에 관한 요구이다. 결론적으로는 정신지체장애인의 부모가 바라는 서비스는 외적인 요인에 대하여 지원되어질 수 있지만, 무엇보다도 중요한 것은 부모들 스스로 자신의 문제와 자녀의 문제의 극복을 위하여 노력하는 적극적인 자세가 필요하며, 그러한 자세로 대처해 나갈 때 더욱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것이다.

      • 부모의 양육 태도와 초등학교 고학년 행복감의 관계에서 성격강점의 매개 효과

        이윤숙 진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807

        이 연구는 초등학교 고학년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 태도가 초등학교 고학년의 행복감에 영향을 주고 그 과정에서 성격강점이 매개 역할을 하는지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경상남도 J시 소재 4개 초등학교 5~6학년 578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여 성별, 학년에 따른 부모의 양육 태도, 성격강점, 행복감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t-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 변인 간의 상관관계, 부모의 양육 태도와 성격강점이 초등학교 고학년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부모의 양육 태도와 초등학교 고학년 행복감의 관계에서 성격강점의 매개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도출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성별에 따라 부모의 양육 태도는 거부, 과보호에서 남자, 애정적 양육태도, 성격강점 인간애와 초월은 여자, 그 외 덕목에서는 남자, 행복감은 여자가 높게 나타났다. 부의 거부, 과보호, 모의 과보호 양육 태도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고, 성격강점은 인간애와 초월 덕목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학년에 따라서는 부모의 양육 태도 거부, 과보호는 6학년, 애정적 양육 태도, 성격강점, 행복감은 5학년이 높게 나타났다. 부모의 양육 태도는 학년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성격강점의 초월 덕목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행복감은 성별과 학년 모두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부모의 거부적 양육 태도는 행복감 및 성격강점 하위요인과 부적 상관, 부모의 애정적 양육 태도는 행복감 및 성격강점 하위요인과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모의 과보호 양육 태도는 성취적 행복감, 성격강점 덕목 중 정의, 절제와는 유의미한 상관이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부모의 양육 태도와 성격강점이 초등학교 고학년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실시한 중다회귀분석 결과, 부모의 애정적 양육 태도, 성격 강점 덕목 중 지혜와 지식, 용기, 인간애, 초월, 정의, 절제가 행복감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부와 모의 양육 태도와 행복감의 관계에 있어 성격강점이 매개 역할을 하는지 알아보기 위해 중다회귀분석 및 Sobel-test를 실시한 결과, 부와 모의 양육 태도 모두 초등학교 고학년 행복감에 영향을 주는 과정에서 성격강점이 부분 매개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 결과는 아동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 태도가 초등학교 고학년 행복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그 과정에서 성격강점이 어떤 작용을 하는지를 파악한 초기 연구이다. 또한 초등학교 고학년 행복감을 높이기 위해서는 부모를 포함한 가정 변인과 성격강점을 포함한 개인 변인이 모두 중요함을 제시한 연구로서 그 의의가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후속 연구에서는 부모와 아동 모두를 연구 대상으로 하여 부모가 지각한 양육 태도와 아동의 성격강점을 함께 분석하여 연구의 객관성을 높이고, 초등학교 고학년이 잘 이해할 수 있는 문항 수와 내용으로 구성된 성격강점 척도의 개발과 검증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 부모의 부정적 양육태도와 청소년 신체화 증상 간 관계: 청소년의 사회적 위축과 또래애착의 이중매개효과

        정미선 공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부모의 부정적 양육태도와 청소년의 신체화 증상 간 관계를 살펴보고, 부모의 부정적 양육태도와 청소년의 신체화 증상 간 관계에서 사회적 위축과 또래애착의 이중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KCYPS 2018)의 중 1데이터의 2차년도 자료(중학교 2학년)를 활용하였으며, 신체화 증상 문항에 ‘잘 모르겠음’이라고 응답한 152명을 제외하고, 모든 문항에 응답함 2,438명(남 1,318명, 여 1,12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모든 자료는 SPSS STATISTICS 23.0과 SPSS PROCESS Macro를 활용하여 분석되었으며, 연구문제를 토대로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의 부정적 양육태도, 사회적 위축, 또래애착, 신체화 증상 간 구조적 관계를 살펴보기 위하여 SPSS PROCESS Macro(Model number 6)를 이용하여 연구모형을 검증한 결과, 먼저 부모의 부정적 양육태도는 청소년의 사회적 위축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며, 청소년의 또래애착에도 유의한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청소년의 신체화 증상에도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부모의 부정적 양육태도와 청소년의 신체화 증상 간 관계에서 사회적 위축과 또래애착 간 관계에서 이중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Bootstrapping을 실시한 결과, 부정적 양육태도와 신체화 증상 간 관계에서 사회적 위축과 또래애착의 단일매개 효과가 유의하였으며 이들 간 관계에서 순차적 매개효과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교육 및 상담 장면에서는 청소년들이 신체화 증상의 어려움을 보일 경우, 신체화 증상에 영향을 미치는 또래애착에 대한 개입이 먼저 이루어져야 하며, 이후 사회적 위축을 낮추고 부모의 부정적 양육태도를 긍정적으로 변화시키기 위한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본 연구는 부모의 부정적 양육태도와 청소년의 신체화 증상 간 관계에서 사회적 위축과 또래애착의 순차적 매개효과를 구체적으로 밝힘으로써, 부모와 청소년 간 관계에서 작동되는 청소년들의 심리적 기제에 대한 이해를 넓혔다는 측면에서 의의가 있으며, 특히 청소년의 신체화 증상에 영향을 미치는 청소년의 개인 내적 특성뿐만 아니라 가정환경 중 부모 변인의 영향력까지 밝힘으로써 연구의 범위를 확장하였다는 점에서 그 중요성이 크다. 이러한 연구는 청소년 특성과 부모 특성의 인과적 상호작용을 폭넓게 이해하는 데 도움을 주며, 청소년의 신체화 증상에 영향을 끼치는 심리적 기제를 명확히 함으로써 교육과 상담 장면에서 활용될 근거를 마련한다는데 그 의미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tween negative parenting attitudes of parents and somatic symptoms of adolescents, and to verify the dual mediting effect of social withdrawal and peer attachmen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negative parenting attitudes of parents and adolescents’ somatic symptoms. For this purpose, this study used 2 data from the Korean Children and Adolescents Panel Survey(KCYPS 2018), and 2,438 people responded to all questions except for 152 who answered ‘I don’t know’ to the somatization symptom question. 1,318 people and 1,120 women) sere included. All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STATISTICS 23.0 and SPSS PROCESS Macro. Based on the research quest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This study looked at the relationship between negative parenting attitude and adolescent Somatic symptoms, and tried to verify the double-mediation effect of social withdrawal and peer attachme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s' negative parenting and adolescent Somatic symptoms. To this end, this study utilized data from the Korea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KCYPS 2018), and 2,438 respondents (1,318 males and 1,120 females) answered all questions except for 152 respondents who said they were "not sure" about Somatic symptoms. All materials were analyzed using SPSS STATISTICS 23.0 and SPSS PROCESS Macro, and based on the research proble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 study model using SPSS PROCESS Macro (Model number 6) to examin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parents' negative parenting attitudes, social withdrawal, peer attachment, and Somatic symptoms shows that parents' negative parenting has a significant static effect on youth's social withdrawal. It has also been shown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Somatic symptoms in adolescents Second, Bootstrapping to verify the dual mediated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withdrawal and Somatic symptoms of parents and adolescents showed that the single mediating effect of social withdrawal and peer attachment was significant in the relationship. Therefore, in the educational and counseling scenes, if adolescents show difficulty in Somatic, intervention in peer attachment that affects Somatic symptoms should be made first, and efforts will be made to reduce social withdrawal and positively change parents' negative parenting attitude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broadens understanding of the psychological mechanisms of adolescents operating in relationships between parents' negative parenting and adolescent Somatic symptoms, especially by revealing the influence of parental spokesmen in the home environment. These studies help to broadly understand the causal interactions between adolescent and parent characteristics, and provide a basis for use in education and counseling scenes by clarifying psychological mechanisms that affect Somatic symptoms performance.

      • 부모의 분노상황과 자녀가 사용하는 분노감소전략과의 관계

        양순도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7807

        이 연구는 부모의 분노를 감소시키기 위해서 자녀가 사용하는 분노감소전략이 분노상황에 따라 연령별, 성별로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분노감소전략의 효과에 대한 자녀와 부모의 평가는 어떠한지를 검증하기 위한 것으로, 이를 구체적으로 달성하기 위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문제 1: 자녀의 분노감소전략은 부모의 분노상황에 따라 연령별, 성별로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문제 2: 부부갈등 상황에서 자녀가 사용한 분노감소전략의 효과에 대한 자녀와 부모의 평가는 어떠한가? 연구대상은 분노상황에 따른 감소전략을 알아보기 위하여 부모가 있는 초등학교 2학년(7세)과 4학년(9세) 아동 남녀 각각 30명씩 120명, 감소전략의 효과평가를 알아보기 위하여 앞의 대상 120명과 이들의 부모 120명 등 모두 360명이며, 조사방법은 담임의 협조를 얻어 설문지에 응답하게 하였다. 이 연구에서 사용한 검사도구는 세 가지 분노상황과, 부모의 분노를 감소시키려고 제시한 자녀의 전략이 효과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한 7가지 전략을 내용으로 하였으며, Covell과 Miles(1992)가 제작한 도구를 오혜연(1994)이 번안하고 수정하여 사용한 것을 연구목적에 맞게 보완하여 사용하였다. 자료수집 기간은 2001년 12월 6일부터 7일까지(감소전략 조사)와, 2002년 2월 6일부터 7일까지(전략효과평가 조사)이며, 자료수집 방법은 구조화된 질문지를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은 다음과 같이 하였다. 각 분노상황에서 분노감소전략은 직접적 개입전략, 간접적 개입전략, 무반응(회피), 기타로 나누어 자녀의 연령별, 성별로 빈도와 백분율을, 분노감소전략 효과평가에서 자녀의 연령별, 성별 효과평가 차이는 χ2검증을, 부모의 효과평가 차이는 t검증을 하였다. 유의수준은 P<.05 수준에서 검증하였다. 이상의 과정을 통하여 얻은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부모의 분노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자녀가 사용한 전략은 분노상황에 따라 차이가 있다. 이는 자녀들이 부모 분노의 원인을 분명히 알고 이에 효과적인 감소전략을 사용할 수 있음을 말해 준다. 2) 부모의 분노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자녀가 사용한 전략은 연령에 따라 차이가 있다. 모든 분노상황에서 9세의 자녀들이 7세의 자녀들보다 직접적 개입전략을 더 많이 사용한다. 3) 부모의 분노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자녀가 사용한 전략은 성별에 따라 차이가 있다. 원인적 분노상황에서는 여아들이 남아들보다 직접적 개입전략을 더 많이 제시한다. 이는 일상생활에서 여아들은 남을 위로하기, 즐겁게 해주기에 더 익숙해있으며, 가정 내에서 부모에 의한 직접적인 사회화의 영향이 성차를 나타낸다. 4) 부부갈등상황에서 자녀가 사용한 분노감소전략 효과에 대한 자녀의 평가는 자녀의 연령에 따라 차이가 있다. 9세의 자녀가 7세의 자녀보다 7개의 모든 전략에서 효과를 높게 평가한다. 5) 부부갈등상황에서 자녀가 사용한 분노감소전략 효과에 대한 자녀의 평가는 자녀의 성별에 따라 전략별로 차이가 있다. 6) 부부갈등상황에서 자녀가 사용한 분노감소전략 효과에 대한 부모의 평가는 성별에 따라 차이가 있다. 특히 어머니들이 아버지들보다 거의 모든 전략에서 긍정적인 평가를 한다. 위와 같은 연구결과를 토대로 하여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한다. 1) 이 연구에 나타난 결과는 단순히 인지된 상황에서의 반응이므로, 실제적인 상황에서는 전략이 달라질 수도 있다. 따라서 실제상황을 재연해보거나 실제상황에서의 반응을 조사한다면 자녀가 제시하는 분노감소전략에 대한 분명한 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2) 자녀들은 모든 분노상황에서 부모의 분노를 변화시킬 수 있다고 믿고 개입하였다. 따라서 부모들은 자녀 앞에서 화를 낼 때에 화를 내는 이유를 설명해 줌으로써, 자녀들의 이해를 도와줄 뿐만 아니라, 부모 분노의 원인이 되는 행동을 고치려고 할 것이며, 부모와 자녀 사이에 바람직한 상호작용을 유지할 수 있을 것이다. 3) 부부갈등상황에서 자녀가 사용한 분노감소전략 효과에 대하여 자녀와 부모 모두 효과가 있다고 평가를 하였다. 이 연구 결과의 해석만으로는 일반화하기에 무리가 있을 수있으므로 참고자료로 제시하는 데 의의를 둔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difference of children's anger reduction strategy utilized to reduce the anger of the parents, according to the gender and age under anger situation and to investigate about the evaluation of the children and the parents on the effect of anger reduction strategy. Following are the research topics for specific accomplishment of the research. Topic 1: What is the difference of children's anger reduction strategy according to children's gender and age under the parents' anger situation? Topic 2: How do children and parents evaluate about the effect of anger reduction strategy, utilized by children in the situation of parent dilemma? The subjects of the experiment were a total of 120 students: 30 male and 30 female, second and fourth grade students with parents in elementary school to investigate about anger reduction strategy; and 360 students and parents: 120 students and 120 parents to investigate about the effect evaluation of the strategy. And with the cooperation of the homeroom teachers, a survey was conducted on students for the research method. The tool for the experiment of this research was based on 7 strategies to investigate about the effect of children's strategy proposed to reduce parent's anger and three anger situations. A tool produced by Covell and Miles(1992), which was interpreted and modified by Oh, Hyae-Yeon(1994) was supplemented according to the research purpose to be utilized. The period of data collection was from December 6, 2001 to December 7, 2001 for anger reduction strategy investigation, and from February 6, 2002 to February 7, 2002 for strategy effect evaluation investigation. The data was collected through structured surveys. The data was analyzed as follows. In the anger situation, anger reduction strategy was subdivided into direct and indirect intervention strategy, no-response (avoidance), and others to conduct the following: frequency and percentage test according to the gender and age; χ2test for difference in effect evaluation according to children's age and gender; and t-test for difference in parents' effect evaluation. The test was conducted in the level of p<.05. Following are the results. 1) Children's strategy to reduce the parents' anger had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the situation. This proves that children have accurate knowledge in the cause of parents' anger and can utilize effective anger reduction strategy. 2)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strategy children had utilized to reduce parents' anger according to the age. In all anger situation, the nine year olds utilize more direct intervention strategy than the seven year olds. 3)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strategy children had utilized to reduce parents' anger according to the gender. In anger situation with causes, female children propose more direct intervention strategy than the male children. This proves that female children are more familiarized with comforting others and giving enjoyment to others than male children. Also, direct socialization influence according to the parents in family displayed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gender. 4)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children's evaluation about the anger reduction strategy that children had utilized in parent dilemma situation according to the children's age. The nine year olds evaluate the effect in all seven strategy than the seven year olds. 5)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children's evaluation about the effect of anger reduction strategy that children had utilized in parent dilemma situation according to the gender and strategy. 6) There was a significance in parents' evaluation about the effect of anger reduction strategy that children had utilized in parent dilemma situation according to the gender. Particularly, more mothers gave positive evaluation in all strategies than the fathers. I propose the following based on the research result. 1)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the response regarding situation of a simple recognition. Therefore, strategy may differ in actual situation. Therefore, accurate result about anger reduction strategy proposed by children can achieve accurate response if actual situation could be replayed or the responses in actual situations could be investigated. 2) Children intervened, believing that they can change the anger of parents in all anger situation. Therefore, parents must explain the reason of getting angry to their children so they can help the children's understanding. Also, children will try hard to fix the behavior that caused the parents' anger, and it will be helpful in maintaining correct interaction between parents and children. 3) About the effect of anger reduction strategy that children had utilized in parent dilemma situation, parents and children both had evaluated the strategy to be effective. It may be difficult to generalize the evaluation only through the interpretation of this result. Thus, this result is proposed as a referen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